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72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972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혜숙
         * [[1970년]] 교사(~[[1972년]], 서울 영란여자중학교 영란여자상업고등학교)
         * [[1972년]] 강혜숙무용학원 원장 (~ [[1975년]])
  • 강호동(1970)
         아내인 이효진과는 나이차가 큰 편이다. 강호동은 [[1970년]] 생이고, 이효진은 [[1979년]] 생이다. 9살 차이. 그런데 [[유재석]]도 똑같이 [[아내]]인 [[나경은]]과 9살 차이가 난다. 유재석은 [[1972년]] 생, 나경은은 [[1981년]] 생. --역시 이 둘은 공통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신서유기]]2에서 [[본인]]이 밝힌 바에 따르면 '''지금의 아내분은 유재석과 2:2 소개팅 도중 만난 상대라고 한다(!)'''[* 당시 유재석과 둘이 자주 놀러다녔다고 한다. 강호동이 타인과 사적으로 연락처를 거의 주고받지 않던 시절임을 생각하면 둘이 상당한 절친임을 알 수 있다. 2005년과 2006년에 2년 연속으로 당시 [[정선희]]가 진행하던 [[정오의 희망곡]] 신년특집 게스트로 출연했는데 거기서 풀어놓은 썰만 봐도 둘이 상당히 붙어다녔음을 알 수 있다. 강호동이 수상스키 타는데도 유재석을 데리고 다니고 언론 인터뷰 자리에도 데리고 다니고 아침에 영덕 대게 삶아놨으니 유재석에게 집에 와서 아침 먹으라고 부르기도 하고....] 아내분을 보고 첫눈에 이 사람은 가정을 같이 꾸릴 반려자라는 생각이 들었고, 유재석이 이를 눈치채고 두 사람을 엮어주기 위해 바람을 잡아줬다고 한다. ~~강호동 왈 "재석이가 바람잡는데 누가 빠져나가!"~~ --그리고 나경은과 결혼한 걸로 봐서 정작 본인의 소개팅 상대와는 잘 안된 듯(...) 2대 2에서 바람잡고 있는데 잘 되는 게 더 신기한 거 아닌가-- 그러면서 자기는 윤종신과 전미라사이에서 바람 잡이로 둘을 결혼에 골인 시켰다.
  • 고건
         * [[1972년]] 홍조근정훈장
  • 고복수
         }}</ref> [[12월 29일]] ~ [[1972년]] [[2월 10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가수]], [[영화]] [[투자가|기획가]], [[영화]][[영화 프로듀서|제작자]]이다.
         이후 투병을 하다가 [[뇌신경 고혈압]]과 식도염으로 1972년 사망했다. 향년 62세.
         [[분류:1911년 태어남]][[분류:1972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193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분류:투자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제주 고씨]]
  • 고은님
         '''고은님'''( [[1972년]] [[7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극작가]]이다. 2001년 《[[번지점프를 하다]]》로 영화 각본가로 데뷔하였으며, 2003년 [[MBC 베스트극장]] 《[[꽃 - 다만 때늦은 사랑에 관하여]]》로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로도 데뷔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인하대학교 동문]][[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수상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고흥문
         * 1971년 ~ 1972년 : 제8대 국회의원 (신민당)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곽노현
         [[1954년]] [[8월 7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1972년]]에 졸업하였고, [[1976년]]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으며, [[1984년]]에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법학대학원]]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곽상훈 (국회의원)
         [[3.1만세운동]]에 가담했다가 투옥된 이후, [[신간회]]·[[상해한인청년동맹]] 등 여러 단체에 가담해 활약하였다. 광복 이후 반탁 운동에 가담했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론에 지지를 보냈다. [[제헌국회의원]]에 선출되고, [[1949년]] 반민특위 위원으로 특위 검찰차장에 임명되어 활약하였으며 [[1955년]] [[민주당 (1955년)|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민주당 (1955년)|민주당]] 신파의 지도자로 활동한다. 5선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내고 4,5대 국회에서는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55년 민주당 최고 위원이 되었으며, [[1960년]] [[6월]] 일시적으로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였다. 이어 제5대 국회의원으로 뽑히어 국회 의장이 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그만두고 곧 [[민주당 (1955년)|민주당]]을 탈당하였다. 5.16 직후 [[군사 정권]]이 주는 감투는 거절하고 야인으로 생활하였다. 그러나 이후 [[1972년]] [[유신 체제]]에 참여하여 육영재단 이사장,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여 야당 동료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72년]]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의 출범과 함께 서울 도봉구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1·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ref name="다음"/> 이 일로 야당 동지들의 규탄을 받기도 했다. 기타 사회 활동으로는 사단법인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 회장, 제헌동지회장, 한국장학재단이사장, 한국국회의원동우회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ref name="동아"/> [[1973년]] [[12월 15일]] 윤봉길을 추모하는 매헌장학재단이 설립되자 회장에 선출되었다.<ref name="기념사1"/> 송건호는 곽상훈과 박순천의 협력을 변절이라며 비판하였다.
  • 곽정환 (연출가)
         |출생일 = [[1972년]] 1월
         '''곽정환'''([[1972년]] 1월 ~ )은 [[대한민국]]의 [[프로그램 감독]]이다. [[1997년]] [[한국방송공사|KBS]] 24기 공채 프로듀서로 데뷔, KBS 드라마 제작국 PD로 활동하며 다수의 [[드라마]]를 연출했으며 [[2010년]] 드라마 [[추노]]를 연출하면서 일약 스타 PD로 발돋움하였다. 이후 능력을 인정받아 [[2011년]] [[CJ E&M]]으로 이직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감독]][[분류:1996년 데뷔]][[분류:경복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구학서(1946)
          | 복무 기간 = [[1969년]] ~ [[1972년]]
         [[1972년]] [[삼성전자]] 경리과를 입사한 것을 시작으로 [[신세계그룹]]의 회장으로까지 승진하였다.
         | [[1972년]] || 삼성전자 경리과를 입사
  • 궁선영
         '''궁선영'''(弓善榮, [[1972년]] [[5월 12일]] ~ )은 [[1993년 미스코리아]] 진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미스코리아 진]][[분류:성신여자대학교 동문]][[분류:1993년 데뷔]][[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은광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은성중학교 동문]][[분류:서울남산초등학교 동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한국과학기술원 교수]][[분류:토산 궁씨]]
  • 권영수
         * [[1972년]] ~ [[1975년]] [[경기고등학교]]
  • 권영수 (1957년)
         * [[1972년]] ~ [[1975년]] [[경기고등학교]]
  • 김경숙 (1972년)
         '''김경숙'''([[1972년]] [[2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김광웅
         [[1972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1992 ~ 1994), 중국 국가행정학원 겸임교수(2000 ~ 2003) 및 명예교수(2004 ~ 2006) 등을 역임하였다. 2007년 서울대학교에서 정년퇴임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으며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 김광웅 (공무원)
         [[1972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1992 ~ 1994), 중국 국가행정학원 겸임교수(2000 ~ 2003) 및 명예교수(2004 ~ 2006) 등을 역임하였다. 2007년 서울대학교에서 정년퇴임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으며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 김기원 (1953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1972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7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1989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논문 '미군정기 귀속재산의 처리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방송통신대]] 경제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로 있으면서 [[재벌]] 체제, 기업지배구조 등을 연구했다. 한국사회경제학회, 한국산업조직학회에서 활동했고, [[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 실행위원을 맡는 등 현실 참여에도 앞장섰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0290009 "삼성에 금융실명제 누설, 직접들은 얘기아니다"] [[이데일리]]</ref>
  • 김대중
         진산 파동이 수습되고 1971년 [[5월 25일]] [[대한민국 8대 총선|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소속 전국구로 당선된 김대중은 교통사고 후유증 치료차 일본을 자주 왕래하게 되었다. 이듬해인 [[1972년]] 10월 11일 일본 정계 순방을 위해 도쿄에 체류하던 김대중은 [[10월 유신]]이 선포되자 측근인 [[송원영]]의 설득으로 [[미국]] 망명을 결심한다. 유신 선포 직후 김대중은 [[고노 겐소]]를 비롯한 일본의 여러 정치인들과 회견을 갖고 일본 언론을 통해 [[비상계엄령]]과 유신 체제를 비판했으며 그해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국민투표 무효선언을 주장하는 연설과 기자회견을 하는 등 정력적인 반 유신 투쟁을 벌인다. 1973년 [[하와이 섬|하와이]]를 경유하여 1월 3일 일본 도쿄에 도착한 김대중은 [[조윤형]], [[김상현 (1935년)|김상현]]의 구속 소식을 접하게 된다.<ref name="손세일"/> 3월 25일엔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교포 사회에서 강연 및 반정부 시위 활동을 벌인다. 초대 서울시장 [[김상돈]], [[미주민주국민회의]] 의장 [[임창영]], 전 [[한국신학대학교|한국신학대학장]] [[김재준]], 예비역 해군제독 [[이용운]] 등 교포 사회에서 활동중인 여러 지식인, 예비역 장성들과 뜻을 모은 김대중은 7월 6일 워싱턴에서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한민통)를 결성하여 초대의장에 추대된다. 7월 10일엔 한민통 일본지부 결성을 위해 일본에 입국, 비록 8월 8일에 납치되긴 했으나 15일 결성된 한민통 일본지부를 통해 미국과 일본의 교포를 규합하며 유신 반대 민주화 운동을 벌이게 된다.<ref>《전후일본외교사》, 이리에 미치마사, 1983년</ref><ref>[http://blog.ohmynews.com/kimsamwoong/296686 [81회] 한민통 발족위해 동분서주] 후광 김대중 평전</ref>
         * 어머니(친모) : 장수금 (張守錦, [[1893년]] [[7월 29일]] ~ [[1972년]] [[6월 20일]])
  • 김민국 (야구인)
         '''김민국'''(金民國, [[1972년]] [[5월 27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인 [[투수]]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분류:한서고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
  • 김민종
         '''김민종'''(金旻鍾, [[1972년]] [[3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며, [[에스엠컬처앤콘텐츠]]의 [[사외이사]]이다.
  • 김민희(1972)
         [[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2년 출생]][[분류:아역배우]][[분류:양구군 출신 인물]]
         [[1972년]] [[8월 28일]] [[강원도]] [[양구군]] [* [[1984년]]도 소년중앙엔 '''[[9월 8일]] 생'''이라고 했었다. 아마 양력 생일인 듯 하다.] 출생. [[본명]]은 [[김윤경]]인데, 데뷔 당시 활동하던 중견 탤런트의 이름과 같다고 하여 김민희로 [[예명]]을 정했다.
  • 김석훈(탤런트)
         ||<bgcolor=#3B485A> {{{#FFFFFF '''출생'''}}} ||<(> [[1972년]] [[4월 15일]]([age(1972-04-15)]세)[br][[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중앙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2년 출생]][[분류:가평군 출신 인물]][[분류:1996년 데뷔]]
  • 김성재 (가수)
          | 출생일 = 1972년 4월 18일(45세)
         '''김성재'''(金成宰, [[1972년]] [[4월 18일]] ~ [[1995년]] [[11월 20일]])는 [[가수]], [[랩 (음악)|래퍼]], [[작사가]]이다. [[이현도]]와 함께 그룹 [[듀스 (음악 그룹)|듀스]]를 결성하여 많은 사랑을 받아왔으며, 듀스 해체 이후 솔로 앨범을 발표하기도 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1995년 죽음]][[분류:199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힙합댄서]][[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의문사한 사람]][[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한양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김세연 (1972년)
         '''김세연'''(金世淵, [[1972년]] [[7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가, 정치인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금정고등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동래초등학교 동문]][[분류:안락중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김녕 김씨]][[분류:바른정당 당원]][[분류:홍준표]][[분류:자유한국당 당원]]
  • 김영수 (1930년)
          | 복무 기간 = [[1949년]] ~ [[1972년]]
         * [[1972년]] 공군 준장 예편
  • 김용우 (1912년)
         [[연희전문학교]] 수물과 본과를 졸업하고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수물과를 수료하였다. [[서울특별시]] 후생국장, 중앙기술교육위원회 사무총장, 중앙관재처 운영처장, 조선주택영단이사장을 거쳐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1954년]] 국회 사무총장을 거쳐, [[1955년]]부터 [[1956년]]까지는 제6대 국방부차관, [[1956년]]부터 [[1957년]]까지 제6대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장관을 역임하고, 1957년 [[한영 관계|주영국 초대 대사]]에 임명되어 10월 28일, 영국 런던에 도착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710300032920101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7-10-30&officeId=00032&pageNo=1&printNo=3778&publishType=00020 |제목= 二十八日 着任 金用雨駐英大使 |출판사= [[경향신문]] | 날짜 = 1957-10-30 |쪽=석간 1}}</ref>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대한적십자사]] 제11대 총재를 역임하였다. 국방부장관 재직시인 [[1957년]] [[4월 3일]] 장관 특명 ‘국방총제2288호’를 통해 각 군 참모총장에게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안식교]]인 병사들을 위생병 또는 기타 직접 무기를 휴대치 않는 병과에 가급적 배치할 것을 명령했다.<ref>《한겨레21》 (2003.1.2.) 한홍구, 〈인민군도 무작정 처벌 안 했다〉</ref>
  • 김원만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김윤호
         * [[1972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33사]][[사단 (군사)|단장]].
  • 김인식 (1947년)
         * [[1969년]] - [[1972년]] [[우리은행|한일은행]] 선수
  •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1929년]] [[전라남도]] 에서 출생한 김일은 [[1948년]]부터 [[1957년]]까지는 [[씨름]] 선수로 활동하였고 [[1957년]] [[역도산]] 체육관 문하생으로 입문하면서 레슬링을 시작했다. [[1963년]] 그의 스승인 [[역도산]]이 사망하자 그는 [[1963년]]부터 [[1972년]]까지 박치기를 특기로 극동 헤비급 챔피언, 올아시아 헤비급 챔피언,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 등의 활약을 했다. 한국 프로 레슬링 1세대 격인 장영철과 [[천규덕]] 등과 함께 레슬링의 전성기를 꾸려가다 [[1995년]] 현역에서 은퇴했다. 현역 시절의 라이벌로는 [[일본]]의 [[안토니오 이노키]]가 있었는데 김일 선수가 병환으로 입원하자 문병하기도 했다.
         * [[1972년]] 도쿄 인터내셔널 세계헤비급 태그챔피언
  • 김재걸
         '''김재걸'''(金在杰, [[1972년]] [[9월 7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내야수]]이자, 현 [[KBO 리그]] [[LG 트윈스]] 코치이다.
         | colspan="2" align="center" |[[1972년]] [[9월 7일]] - <br> 우투우타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서울영일초등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도루 클럽]][[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김정남 (1972년)
         '''김정남'''([[1972년]] [[1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1990년대]] 중,후반에 한국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은 남성 3인조 그룹 [[터보 (음악 그룹)|터보]]의 리더 이다.
         * [[1972년]] [[1월 25일]]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에서 태어났는데 한때 [[1973년]] 출생으로 알려졌으나<ref>{{뉴스 인용
         }}</ref> SBS [[올드 스쿨 (라디오 프로그램)|올드 스쿨]]에서 [[1972년]] 출생으로 당당히 밝혔으며, [[1995년]] [[9월 1일]] '''김종국'''과 함께 그룹 [[터보]]로 데뷔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터보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199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댄서]][[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의성군 출신]]
  • 김정미 (가수)
         | [[1972년]]
         * 1, 2집 앨범 - [[1972년]] 《김정미 가요 1.2집》 [[신중현]] 작사, 작곡
         * [[1972년]] 김정미 최신가요집
  • 김정태(영화배우)
         ||<#66CDAA> '''{{{#ffffff 출생}}}''' ||<(> [[1973년]] [[1월 17일]][* [[음력]] [[1972년]] [[12월 13일]].] ([age(1973-01-17)]세), [[경기도]] [[연천군]] ||
  • 김정호 (가수)
         | 활동시기 = [[1972년]] ~ [[1985년]]
  • 김주혁
         '''김주혁'''(金柱赫, [[1972년]] [[10월 3일]] ~ [[2017년]] [[10월 30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2년 10월 3일 [[부산광역시]] [[중구 (부산광역시)|중구]]에서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출신의 배우 [[김무생]]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빈소는 경북대학교병원 장례식장이며, 부검 후 2017년 10월 31일에 마련되었다. 장지는 그의 부친인 [[김무생]]과 모친 김의숙이 함께 잠들어 있는 [[대구광역시]] 에서 있는 선영 가족 봉안당으로 정해졌다. 11월 2일 오전 11시에 동료들의 깊은 슬픔 속에 발인식이 진행되었다. 발인에는 소속사 관계자들과 [[KBS 2TV|KBS2]] 《[[1박 2일]]》의 [[차태현]], [[데프콘 (가수)|데프콘]], [[김종민]], [[김준호 (희극인)|김준호]] 등 멤버와 [[유호진]] PD, 그리고 [[김지수 (1972년)|김지수]], [[황정민 (남자 배우)|황정민]], [[유준상 (배우)|유준상]] 등을 포함한 동료 연예인과 연예계 관계자, 그리고 연인 [[이유영]]<ref>이유영은 그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충격을 심하게 받아서 장례식장에서 상주 역할을 계속 하는 동안 식음을 전폐하였고, 발인식 당시 식음 전폐로 인해 수척해진 모습이 언론 카메라에 포착되어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만들었다.</ref>과 친형 김주현씨 등이 참석하였다. 11월 2일에 가족 봉안당 납골묘지에 안장 됐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201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8년 데뷔]][[분류:1박 2일]][[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경주 김씨]][[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S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자동차 사고로 죽은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무신론자]][[분류:의문사한 사람]]
  • 김지수(배우)
         ||<bgcolor=#363232> {{{#ffffff '''출생'''}}} ||<(> [[1972년]] [[10월 24일]]([age(1972-10-24)]세), [[강원도]] [[정선군]] ||
         [[1972년]]생 [[대한민국]]의 가수.
         [[분류:한국 가수]][[분류:1972년 출생]][[분류:정선군 출신 인물]][[분류:1992년 데뷔]]
  • 김지현 (1972년)
         '''김지현'''([[1972년]] [[8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영화배우]]로, [[룰라 (그룹)|룰라]]에서 메인보컬을 맡았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1994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룰라의 일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진만 (음악가)
         '''김진만'''({{출처|날짜=2012-1-6|金鎭滿}}, [[1972년]] [[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A%B9%80%EC%A7%84%EB%A7%8C&os=160938 김진만 - 네이버 인물]</ref><ref>[http://search.nate.com/search/all.html?q=%B1%E8%C1%F8%B8%B8&hi=PR463&ht=h_pf&csn=12&dsn=4&asn=001200294 김진만 - 네이트 인물]</ref> [[자우림]]에서 [[베이스 기타|베이스]]를 맡고 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자우림]][[분류:얼터너티브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김찬우 (바둑 기사)
         |출생일 = 1972년 4월 8일
         '''김찬우'''(金燦佑, [[1972년]] [[4월 8일]] ~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시]])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원고등학교 (서울) 동문]]
  • 김혜자
         | [[1972년]]
         | 이전명 = [[김지수 (1972년)|김지수]]
  • 나석호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27일]]
  • 남성훈
         1971년 [[동양방송]] 금요연속극 《그림자》에 출연, 그 후 1972년 [[동양방송]] 토요연속극 《망향》에 연달아 출연하며 [[배우]]로써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 [[1972년]] [[동양방송|TBC]] 토요드라마 《망향》
         * [[1972년]] [[한국방송공사|KBS]] 대하드라마 《임진왜란》 ... [[이이첨]] 역
  • 노무현
         [[1968년]] 군에 입대하여 제12사단 을지부대에서 육군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1972년]] 27세에 [[권양숙]]과 결혼하였고 [[1973년]]에 아들 건호를, [[1975년]]에 딸 정연을 낳았다. [[1975년]] [[3월]]<ref>동아일보 1975년3월27일</ref> 30세에 제17회 [[사법시험 (대한민국)|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이는 4번째 도전에서 이루어진 성과였고 노무현은 제17회 [[사법시험 (대한민국)|사법시험]]에서 유일하게 고졸 출신 합격자였다. 이후 [[대전지방법원]]의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5개월 만에 사직하였다.
  • 노승환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노영하
         * [[1972년]] 제17기 [[국수전]] 준우승(대 윤기현) <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207060020920802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2-07-06&officeId=00020&pageNo=8&printNo=15617&publishType=00020 盧永夏四(노영하사)단 國手戰(국수전)서 河燦錫四(하찬석사)단 꺾어 河四(하사)단 重大(중대)한 失着(실착)] 동아일보 8면 1972년 7월 6일 확인</ref>
  • 노주현
         * [[1972년]] [[TBC]] 일일연속극 《[[형제 (1972년 드라마)|형제]]》
  • 노현희
         '''노현희'''([[1972년]] [[8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겸 뮤지컬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문경시 출신]][[분류:한성대학교 동문]][[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1983년
  • 라종일 (1940년)
         서울 출신으로 1963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나온 후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 경희대학교 교수에 임명되어 1978~1998년 [[경희대학교]] 교수로 활동하였다. 1997년 김대중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 대통령직 인수위 행정실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이 되었다가 2차장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1999년 국정원 1차장으로 발탁되었다. 2001~2003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정치학박사/ 국제관계 전공)
         * [[1972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정치문제연구소(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객원교수
         * [[1972년]] ~ [[1998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류시원(배우)
         ||<#878787> '''{{{#EEE156 출생}}}''' || [[1972년]] [[10월 6일]],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마을]] 출신] ||
  • 류진(배우)
         ||<bgcolor=#B0936D> {{{#ffffff '''출생'''}}} ||<(> [[1972년]] [[11월 16일]]([age(1972-11-16)]세) [[충청남도]] [[공주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2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공주시 출신 인물]]
  • 리마리오
         '''리마리오'''(본명은 '''이상훈''', [[1972년]] [[1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분류:개그야]][[분류:개그투나잇]]
  • 맹형규
         * [[1972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문동환(1972)
         ||<:> '''생년월일''' || [[1972년]] [[5월 8일]] ||
         [[분류:경산시 출신 인물]] [[분류:1972년 출생]] [[분류:우완 투수]] [[분류:우투우타]] [[분류:불교 신자]]
  • 문용식
         * [[1972년]]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졸업
  • 문주란 (가수)
         | [[1972년]]
         | [[1972년]]
         [[1949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65년]] 중학교 3학년인 어린 나이로 [[부산MBC]] '''톱 싱거 경연대회'''에서 〈보고싶은 얼굴〉로 1등을 한 뒤 [[1966년]] [[2월]] 〈보슬비 오는 거리〉, 〈동숙의 노래〉, 〈봄이 오는 고갯길〉이 수록된 음반을 내면서 가요계에 정식으로 데뷔했다. 이 음반으로 그해 국제가요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무궁화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또 1972년까지 TBC 가요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1967년]]에는 군사영화 《장렬 509 대전차대》에도 출연한 바 있으며, [[1967년]]과 [[1968년]]에는 [[MBC]]에서 주최한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의 10대 가수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69년]] 자살 미수와 관련된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은퇴를 선언했으나, [[1970년]] 다시 컴백하여 《문주란 독집》을 취입하였다. 그 후 많은 음반을 발표해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1972년]]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에 선정되었으나, [[세종문화회관]]의 화재로 인해 부상을 당하는 불운을 맞기도 했다. 이후 [[1973년]]에 10대 가수 가요제에 또 다시 선정되고, [[1974년]]에는 대표적인 히트곡이 탄생하게 되는데 〈공항의 이별〉, 〈공항의 부는 바람〉, 〈공항 대합실〉등 공항 시리즈가 인기를 얻었으며, 동명의 영화에도 출연하게 된다.
  • 박관수 (1897년)
         공산권문제연구소 이사장 이후 [[1971년]] 현정회(顯正會) 이사, [[1972년]] 전북매일신문 회장, 1972년 [[8월]] 제3대 [[대한노인회]] 회장 등을 지냈다. 이후 여러 반공 우파 단체들을 지도하며 반공 강연활동을 하기도 했다. [[1978년]] [[8월]] 제4대 [[대한노인회]] 회장에 재선되었으나 1980년 9월 사퇴했다.
  • 박녹주
         [[1960년대]]부터는 본인이 보유하고 있었던 바탕소리 녹음을 많이 남겼다. [[1963년]] 기독교방송에서 춘향가를 녹음하고, [[1972년]] 자택에서 기록보존용으로 심청가를 녹음하였다 흥보가는 총 4차례나 전판을 녹음하였는데 이 가운데 [[1967년]] 녹음(고수 : 정권진)과 [[1973년]] 녹음(고수 : 김동준)은 음반화 되었다. 전자는 [[지구레코드]]에서 출반되었으며, 이후 CD로도 복각되었고, 후자의 경우에는 문화재보호협회 소장 녹음으로 여러차례 음반으로 제작되었으나 CD로는 제작되지 않아 지금은 듣기 어렵다. 그 외에 출반되지 않은 녹음으로는 [[1976년]] 문예진흥원 판소리 조사 사업당시에 녹음한 것(고수 미상)과 녹음시기 미상의 기독교 방송 소장의 녹음(고수 : 정철호)이 있다.
  • 박동은
         [[1959년]] [[동아일보]]에 [[기자 (직업)|기자]]로 입사하여 [[미국]]으로 유학을 가기 위해 [[1968년]] 퇴사하였다. 유학에서 돌아와 [[1972년]]에 [[성균관대학교]]에 출강하였고 [[1975년]]에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시사 영어를 강의하였다. [[1976년]]부터 [[1988년]]까지 대한가족계획협회 홍보부장으로 재임하였다. [[1988년]] [[유니세프]] 대외담당관이 되었고 [[1993년]]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 박병선 (역사학자)
         외규장각 의궤는 프랑스에 있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 존재 여부조차 확인할 길이 없어 박병선은 프랑스 전역의 도서관, 고서점 등을 다니며 발품을 팔아야 했다. 그러던 중 한문으로 된 책 한 권이 눈에 띄었는데,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이었다. 그러나 프랑스 측에서는 직지심체요절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박병선에게 입을 다물라고 했다. 타국의 중요한 문화유산을 외면하는 프랑스의 태도에 박병선은 자존심이 상했고, 혼자 직지심체요절의 가치를 밝혀내기 위한 고증 작업을 시작해 마침내 그 노력은 결실을 맺었다. [[1972년]] [[파리 (도시)|파리]]에서 열린 ‘책의 역사 종합전람회’에 직지심체요절을 출품했고 이를 통해 직지심체요절이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성경책보다 무려 73년이 앞선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임을 전 세계에 알렸다.<ref name="한윤"/>
         박병선은 [[벨기에]] 루뱅에서 동양사학을 전공한 후 파리 제7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7년]]부터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근무하였고 1967년부터 13년 동안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근무하면서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 도서]]를 발견했다.<ref name="충청">김헌섭·홍성헌. [http://www.ccdailynews.com/section/?knum=125172 직지대모 박병선 박사 '재조명']. 《충청일보》. 2009년 12월 2일.</ref> 직지심체요절의 존재를 처음 발견하여 1972년에 이 사실을 세상에 알렸고, 1975년에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를 발견해 대한민국 내 '외규장각 도서 반환 운동'에 불을 지폈다.<ref>박재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709090 고 박병선 박사 소장 '옛 주화' 1천650점 기탁]. 연합뉴스. 2014년 1월 20일.</ref>
  • 박상연
         |출생일= [[1972년]] [[6월 13일]]
         '''박상연'''([[1972년]] [[6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영화 각본|영화 각본가]],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이다.
         박상연은 1972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한 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에 진학했으나 중퇴했다. 그는 1996년 [[민음사]]에서 출판하는 잡지《[[세계 문학]]》겨울호를 통해 장편 [[소설]] 데뷔를 했다.(이 데뷔작이 1997년 출간 된 소설<DMZ>이다.) 이후 소설뿐 아니라 [[영화]]각본 작가, [[텔레비전 드라마]]극본 작가, 집단 창작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 오고 있다. 그는 동료 작가 [[김영현 (작가)|김영현]]과 함께 작가 중심의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제작법인 [[케이피앤쇼|KP and Show]]를 설립하였다. 2016년 SBS 대기획 TV 드라마《[[육룡이 나르샤]]》의 집필을 마친 후, [[tvN|TVN]]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의 집필을 준비중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박석진 (야구선수)
         '''박석진'''(朴石鎭, [[1972년]] [[7월 19일]] ~ )은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자, 현재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2군 [[투수]]코치이다. 우완 사이드암 [[투수]]로서 삼성과 롯데를 여러 차례 오가며 선수 생활을 했으며, [[신고선수]] 출신의 성공 사례로 손꼽힌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KBO 평균자책점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밀양 박씨]][[분류:수영초등학교 (부산) 동문]][[분류:대천중학교 (부산) 동문]][[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
  • 박성우 (만화가)
         '''박성우''' (朴晟佑, [[1972년]] [[7월 7일]] ~ ) 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부산광역시]] 출생.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동아대학교 동문]]
  • 박성호 (1972년)
         '''박성호'''([[1972년]] [[5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며, [[문화방송]] 소속 기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카디프 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박성훈 (만화가)
         '''박성훈'''([[1972년]] [[12월 27일]] [[서울특별시|서울]]<ref> 네이버 인물 정보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C%84%B1%ED%9B%88&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13690 박성훈]</ref>~)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93년 주간만화 〈할루씨에이션〉으로 데뷔했다. 《달마과장》, 《[[엄마는 외국인]]》 등의 웹툰을 그렸다.
         [[분류:대한민국의 웹툰 작가]][[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박소라 (성우)
         '''박소라'''([[1972년]] [[6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95년]]~[[1996년]]까지 [[EBS]] 14기 공채 성우로 입사하여 활동하였다가 [[1996년]] [[MBC]] 13기 공채 성우로 재데뷔했다.남편은 성우 [[김영선 (성우)|김영선]]이다. 그의 딸인 성우 김정인은 [[벼랑위의 포뇨]]에서 포뇨역을 맡아왔다고 한다. 포뇨역 한국 성우가 성우 [[김영선 (성우)|김영선]]과 자신의 외동딸이다.
  • 박순천 (국회의원)
         [[1972년]] 유신체제 출범 이후 친유신, 친[[대한민국 제5공화국|5공]] 인사로 변신하여 [[송건호]] 등 재야인사로부터 변절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경상남도]] [[동래군]] 출신.
         1972년 정계를 은퇴하였으며, 근명학교 이사장으로 선출되었다. [[박정희]] 정권에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고 [[1965년]] [[윤보선]]·[[장택상]]·[[장준하]] 등과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가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유신정권에서 국토통일원 고문, [[육영수]]여사 추모기념사업회 이사장, [[대통령]]국정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 박인천
         * 1972년 10월 : 금호실업 (현 [[금호아시아나그룹]]) 창업 및 그룹회장 취임
         *** 손녀 : 박은경 (朴恩慶, [[1972년]] ~ )
         *** 손서 : 허재명 (許栽銘, [[1972년]] ~ , 일진소재 대표이사, 일진그룹 회장 허진규의 차남)
         |임기 = [[1972년]] ~ [[1984년]]
  • 박정수(배우)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53년 출생]][[분류:1972년 데뷔]][[분류: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소속 아티스트]][[분류:곡성군 출신 인물]]
         || '''데뷔''' ||<(> [[1972년]] [[MBC]] 5기 공채 탤런트 ||
  • 박주미 (배우)
         '''박주미'''([[1972년]] [[10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밀양 박씨]]
  • 박주아(1942년)
         * [[한국방송공사|KBS]] 《여로》 ([[1972년]])
  • 박진영(가수)
         ||<#2797e9> '''{{{#white 출생}}}''' ||<(> [[1972년]] [[1월 13일]] ([age(1972-01-13)]세) [[충청남도]] [[태안군]] ||
  • 박홍섭
         * [[1972년]] [[서울특별시]] 모범시민상
  • 박흥렬 (공무원)
         |복무 기간 =[[1972년]] ~ [[2008년]]
         * [[1972년]] : 육군 소위 임관
  • 방상훈
         * ~ [[1972년]] [[오하이오 대학교]] 경영학 학사
         * 1971년 5월 ~ 1972년 조선일보 주미특파원
         * 1972년 6월 ~ 1973년 조선일보 기획관리실 실장
  • 방시혁
         '''방시혁'''(房時爀, [[1972년]] [[8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음반 제작자]]로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이다. 본관은 [[남양 방씨|남양]]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남양 방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199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빅히트 엔터테인먼트]]
  • 배동희
         '''배동희'''(裵東熙, [[1972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학원인이다. YBM어학원의 토익강사이며, [[한국교육방송공사|EBS]], [[JEI English TV]], YBMNET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oreatimes.co.kr/www/news/nation/2014/06/181_158475.html|제목='Enjoy English to master it'|날짜=2014-06-04|뉴스=koreatimes|언어=en|확인날짜=2017-04-17}}</ref> 2002년 미국에서의 영어 목회활동 및 [[하버드 대학교|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하던 중 귀국하여 강의를 시작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fnnews.com/news/201510051727360483|제목=배동희 YBM어학원 강사 "요즘 토익에선 요령·공식 안통해"|날짜=2015-10-05|확인날짜=2017-04-17}}</ref>
         1972년 [[서울특별시|서울]]에서 기독교 대한 감리회 故 배상길(裵相吉)목사의 장남으로 태어나 미국 Jenks East Elementary School (Tulsa, OK)를 졸업하고 강남구 개원 중학교를 졸업한 후 중동고등학교와 미국 Subiaco Academy (Subiaco, AR)를 거쳐 Booker T. Washington 영재고등학교(Tulsa, OK)를 졸업하였다. 미국 동부 Massachusetts주의 Amherst 대학에서 서양고전학 (Classics)를 전공하고 하버드 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학위 (M.Div.)를 받고 Harvard, Yale, Emory Candler School등에 전액 장학생으로 합격하였다. 미국 북부보스턴한인감리교회 (UMC), 하트포드 제일 장로교회 (PCUSA), 캠브리지한인교회 (UCC)등에서 총 5년간 영어 전도사 사역을 하였고 2년간 하버드대학원에서 신약학 박사 coursework를 우수한 성적으로 이수하였으나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사망과 가정 환경의 악화로 학업을 중단하고 학원 강사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m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4878|제목=“그리운 우리 목사님! 설교로 다시 뵙네요” - 기독교타임즈|언어=ko|확인날짜=2017-04-17}}</ref> 토플과 GRE 강사로 시작하여 EBS TV와 JEI 재능방송 등에서 활동하였고 15년 간 [[종로구|종로]] YBMe4u어학원에서 토익강의를 통하여 YBM어학원 역사상 1인 강사로는 가장 많은 수강생들 배출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ybmclass.com/teacher/template.asp?idx=10|제목=YBM인강 공식사이트|언어=ko|확인날짜=2017-04-17}}</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애머스트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 배성일
         '''배성일'''([[1972년]] [[4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536484 배성일-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
  • 배용준
         '''배용준'''([[1972년]] [[8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배용준은 1972년 8월 29일에 [[경상북도]] [[영덕군]] 에서 태어났다.<ref name="어린 시절">{{뉴스 인용|제목=배용준의 스타스토리 [3] 호기심이 왕성했던 어린시절 |url=http://sports.hankooki.com/starstory/people/byj/byj3.htm|출판사=일간스포츠|날짜=|확인날짜=2015-05-1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30814161705/http://sports.hankooki.com/starstory/people/byj/byj3.htm#|보존날짜=2003-08-14|깨진링크=예}}</ref> 1남 1녀 중 장남으로, 여동생이 한명 있다. '''에서로 전학했고를 졸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배용준 고교 졸업앨범, 日경매 호가 470만원|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11500|출판사=스타뉴스|날짜= 2005-06-01|확인날짜 = 2017-09-08}}</ref> 아버지의 영향으로 6살 때부터 [[태권도]]와 [[유도]]를 배우기 시작한 그는 어린 시절에 태권도 경기 도중 상대방에게 눈을 맞아 시력이 안 좋아지기 시작했고, 결국에는 안경을 쓰기 시작했다. 배용준은 대학입시 낙방과 초등학교 때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인해<ref>{{뉴스 인용|제목=배용준의 스타스토리 [4] 유년시절과 첫사랑의 추억 |url=http://sports.hankooki.com/starstory/people/byj/byj4.htm|출판사=일간스포츠|날짜=|확인날짜=2015-05-11|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31209030926/http://sports.hankooki.com/starstory/people/byj/byj4.htm#|보존날짜=2003-12-09|깨진링크=예}}</ref> 어려워진 가정 형편으로 자원 입대를 하려 했지만 낮은 시력으로 병역 면제 판정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 군대, 남과 여의 시각차이와 연예병사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571060 |출판사= OSEN |날짜= 2013-07-08|확인날짜 = 2017-09-08}}</ref> 또한, 배용준은 재수 시절 진위사란 절에 공부를 위해 입산했었다. 이후, 그는 두번의 낙방 끝에 대학 입시를 포기하고 다른 길을 모색했고, 어린 시절부터 "배우 한번 해봐라"라는 말을 자주 들었던 그는 연예계 진출을 떠올렸고 아버지의 지지에 큰 힘을 얻었다고 한다.<ref name="어린 시절"/> 그리고 영화 촬영장에서의 경험을 쌓기 위해 합동영화사에 들어갔다. 이후 그곳에서 연출부, 기획실, 제작실에서 영화보조 스탭으로 일했고, 출연자 섭외, 장소헌팅 등의 일을 맡으며 현장 경험을 쌓았다.<ref>{{뉴스 인용 |제목=추모특집: 서울극장 곽정환 회장 별세, 합동영화사가 키운 영화인들 |url=http://www.daehancinema.co.kr/MovieInfo/News_Content.asp?idx=MI0099833501&mi_type=03&page=12&key=&search= |출판사=대한극장뉴스 |날짜=2013-11-08 |확인날짜=2017-09-08 }}{{깨진 링크|url=http://www.daehancinema.co.kr/MovieInfo/News_Content.asp?idx=MI0099833501&mi_type=03&page=12&key=&search= }}</ref> 하지만 최종의 목표는 배우였기에 합동영화사를 나와 지인이 운영하던 연기학원에 다녔는데 그 시절 [[권오중]]과 첫 만남을 가졌다고 한다.<ref name="어린 시절"/>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영덕군 출신]][[분류:199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분류:MBC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분류:키이스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
  • 배용준(배우)
         ||<width=20%><#50B4FF> {{{#white '''출생'''}}} ||<(> [[1972년]] [[8월 29일]] ([age(1972-08-29)]세) , [[경상북도]] [[영덕군]] ||
         1972년, 아버지 배영진과 어머니 송기옥의 1남 1녀 중 장남으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72년 출생]][[분류:영덕군 출신 인물]][[분류:1994년 데뷔]]
  • 배칠수
         '''배칠수'''(裵七秀, 본명: '''이형민'''(李亨敏), [[1972년]] [[3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인]] 겸 [[사회자|방송인]]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성대모사]]
  • 백일섭
         * [[1972년]] 《[[며느리의 한]]》
         * [[1972년]] 《[[갑돌이와 갑순이]]》 ... 갑돌이 역
  • 백현진
         '''백현진'''([[1972년]] [[6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이자 [[화가]]이며 [[어어부 프로젝트]]의 일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분류:경주시 출신]]
  • 변정수 (동음이의)
         * [[볌정수]]([[1972년]] )는 [[대한민국]]의 모델이자 요리사이다
         * [[볌정수(배우)]]([[1972년]])
  • 변종문
         '''변종문'''(卞鍾文<ref>{{뉴스 인용|제목=<프로필>-許勝旭 7년 아성 허문 卞鍾文|url=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3979654|출판사=연합뉴스|저자=|쪽=|날짜=1995-03-03|확인날짜=}}</ref>, [[1972년]] [[4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이다.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슈퍼대회전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선수로는 최초로 아시안 게임 스키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올림픽에 2번 참가하였으며(1998, 2002), [[세계 노르딕 스키 선수권 대회]]에 3번 출전했다(1997, 2001, 2003).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1998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알파인스키 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알파인스키 참가 선수]][[분류: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서석영 (1972년)
         '''서석영'''(徐碩英, [[1972년]] [[4월 30일]] ~ )은 [[KBO 리그]] 전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의 [[내야수]]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OB 베어스 선수]][[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서수민
         || '''출생''' ||<(> [[1972년]] [[2월 26일]] ([age(1972-02-26)]세), [[대구광역시]]→[[경상북도]] [[포항시]] ||
          [[분류:프로듀서]][[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1995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
  • 서정 (1972년)
         '''서정'''([[1972년]] [[6월 10일]]{{#tag:ref|서정의 출생년월일인 1972년 6월 10일은 네이버 인물 정보를 참고한 것이다. IMDb에서는 서정의 출생년월일을 1972년 6월 19일로 쓰고 있다.<ref>{{웹 인용 |url= https://www.imdb.com/name/nm0432591/|제목= Jung Suh|저자= |웹사이트= IMDb|확인날짜= 2015-03-31}}</ref>|group=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이신정'''으로 1996년 단편 영화 《탈-순정지대》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단편 영화와 독립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하다가 2000년 개봉한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에서 작은 역할을 맡으며 상업 영화에 첫 출연했다. 같은 해 개봉한 [[김기덕 (1960년)|김기덕]] 감독의 영화 《[[섬 (2000년 영화)|섬]]》으로 주목을 받으며 이듬해인 2001년 [[판타스포르투]]와 시네마닐라 국제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연기상, [[황금촬영상]] 신인여우상도 수상했다. 이후 출연작으로는 영화 《[[거미숲]]》(2004년), 《[[녹색의자]]》(2005년), 《[[경계]]》(2007년), 《[[모피를 입은 비너스 (영화)|모피를 입은 비너스]]》(2012년), 드라마 《[[로펌 (드라마)|로펌]]》(2001년)이 있다. 예명인 서정은 평소 어감이 좋았던 ‘서’자를 성으로, 본명에서 따온 ‘정’자를 이름으로 해서 지은 것이다.<ref name=씨네2120071031>{{저널 인용 |저자= 김민경|날짜= 2007-10-31 |제목= <nowiki>[</nowiki>서정<nowiki>]</nowiki> 감정이 말라 비틀어질 정도로 꾹꾹 눌렀어요|url=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8916|저널= 씨네21|확인날짜= 2015-03-28}}</ref>
         서정의 본명은 '''이신정'''으로<ref name="KMDb서정"/>{{#tag:ref|서정은 첫 출연작인 단편 영화 《탈-순정지대》에 본명인 '''이신정'''으로 출연하였다.<ref>{{웹 인용 |url= http://www.indiestory.com/new2014/film/film_view.asp?film_idx=20&film_type=1|제목= 제작&배급작 > 단편영화 > 탈 순정지대|저자= 인디스토리|날짜= |웹사이트= 인디스토리|확인날짜= 2015-03-31|인용문 = 캐스트 이혁래 최윤규 이신정}}</ref>|group=주}} 1972년 6월 10일 [[경상북도]] [[영천시]] 금노동 (담안4길)에서<ref>{{웹 인용 |url=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84%9C%EC%A0%95&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96230|제목= 네이버 인물정보 > 서정|저자= 네이버|날짜= 2008-12-08|웹사이트= 네이버|확인날짜= 2015-03-28|인용문 = 출생 1972년 6월 10일 (경상북도) (영천시) 금노동 (담안4길)}}</ref> 4녀 중 셋째로<ref name="동아일보20010612">{{뉴스 인용|저자= 권재현|제목= <nowiki>[</nowiki>스타 인터뷰<nowiki>]</nowiki>'로펌'변호사역 서정 '브라운관 녹여버릴듯…'|url= http://news.donga.com/3//20010612/7701790/1|뉴스= 동아일보|날짜= 2001-06-12|확인날짜= 2015-03-28|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50328143640/http://news.donga.com/3//20010612/7701790/1|보존날짜= 2015-03-28|깨진링크= 예}}</ref> 태어났다.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와 “잘 맞지 않았던” 그녀는 거의 학교에 나가질 않았는데, 다양한 예술 분야의 책을 맘 가는 대로 읽으며 공부했고 영화를 좋아해서 틈틈이 각종 영화를 보러 다녔다.<ref name="한국경제20010603">{{뉴스 인용 |저자= 길덕|날짜= 2001-06-03|제목= <nowiki>[</nowiki>스타데이트<nowiki>]</nowiki> '탤런트 서정'|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381420|뉴스= 한국경제|확인날짜= 2015-03-28}}</ref><ref name="매일경제20010607">{{뉴스 인용 |저자= 윤자경|제목= <nowiki>[</nowiki>방송가<nowiki>]</nowiki> SBS, 수목드라마 '로펌'의 서정|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9&aid=0000123658|뉴스= 매일경제|날짜= 2001-06-07|확인날짜= 2015-03-28}}</ref> 서정은 스물 세 살 무렵부터<ref name="조선일보20010603">{{뉴스 인용 |저자= 이지형|제목= <nowiki>[</nowiki>방송<nowiki>]</nowiki> SBS ‘로펌’ 변호사역 서정|url= 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1060370278|뉴스= 조선일보|날짜= 2001-06-03|확인날짜= 2015-03-31}}</ref> 단편 영화 제작에 참여하다가 1995년 이지상 감독의 단편 영화 《탈-순정지대》(1996년)에 출연제의를 받으며 연기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ref>{{저널 인용 |저자= 홍세정|날짜= 2005-06-15|제목= <nowiki>[</nowiki>스타 줌인<nowiki>]</nowiki> 영화배우 서정|url= http://daily.hankooki.com/lpage/people/200506/wk2005061517383637490.htm|저널= 주간한국|확인날짜= 2015-03-28}}</ref><ref name="KMDb서정">{{웹 인용 |url= http://www.kmdb.or.kr/vod/mm_basic.asp?person_id=00000635|제목= KMDb - 서정|저자= 한국영상자료원|날짜= |웹사이트=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확인날짜= 2015-06-23}}</ref> 그녀는 “처음에 독립영화 하는 친구들 만나 어울리면서 영화라는 것에 깊이 빠져들었다. 그 전에 배우가 되겠다는 꿈을 꿔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말했다.<ref>{{저널 인용 |저자= 하재봉|저자링크= 하재봉|날짜= 2005-06-14|제목= 하재봉이 만난 영화, 영화인|‘섬’과 ‘녹색의자’ 서정|url=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05/06/09/200506090500052/200506090500052_1.html|저널= 주간동아|쪽= 54~56|호= 489|확인날짜= 2015-03-28}}</ref> 서정은 이후 이지상 감독의 독립 영화 《둘 하나 섹스》(1998년), 임창재 감독의 단편 영화 《눈물》(1998년), 《아쿠아 레퀴엠》(1999년)에도 출연했다.<ref name="씨네2120000411">{{저널 인용 |저자= 이영진|날짜= 2000-04-11 |제목= 충무로의 섬, 독립영화의 대지, <섬>의 서정|url=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0628|저널= 씨네21|호= 247|쪽= 72~73|issn= 1228-4025|확인날짜= 2015-03-28}}</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영천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서정(배우)
         ||<:><#000000>'''{{{#white 출생}}}'''||<#ffffff>[[1972년]] [[6월 10일]], [[경상북도]] [[영천시]] 금노동 (담안4길)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72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영천시 출신 인물]]
  • 서태지
         || '''출생''' ||<(> [[1972년]] [[2월 21일]]([age(1972-02-21)]세), [[울산광역시]] [[중구(울산)|중구]] ||
          * 이는 1970년대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의 면제율이 높은 것을 그 다음 세대들이 오해하여 나온 루머일 가능성이 높다. 군 입대 정원은 청년 인구수와는 무관하게 60만 명으로 항상 정해져 있으므로, 이들이 20대였던 90년대 초에는 지금 기준대로라면 현역을 가야 할 사람들이 방위 판정을 받는 일이 흔했다. 90년대 초 방위 유머가 유행했던 것도 바로 이 때문. 실제로 통계청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7227&yy=2007#axzz3anXLYO8L|자료]]에서도 1972년 출생자가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많다고 나와 있다
          * 굉장한 동안이다. 1972년생으로 현재 40대 후반으로 접어들었지만 양현석(1970년생)이나 이주노(1967년생)는 그 나이대에 비슷해[* 양현석은 서태지와 아이들 시절엔 노안이라는 말이 많았다. 얼굴이 젊을 때보다 많이 안 늙어서 지금은 노안까지는 아니다.] 보이는데 서태지만 아직까지 나이에 비해 매우 젊어보인다. [[http://naver.me/FlhVYK8F|물론 40대인지라 표정에 따라서 나이 든 모습이 나오기는 한다.]] 그래도 40대로는 절대 안 보인다. [[이승환]], [[이선희]]와 함께 대표적인 동안 뮤지션 중의 한 명.
         [[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중구(울산)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1990년 데뷔]]
  • 성인자
         | 활동기간 = [[1972년]] ~ 현재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197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손영길 (1932년)
         * [[1972년]] 육군 제26사단 예하 제75연대장에서 육군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전임 조치(1972년 1월 8일).
  • 송기인
         | 사제서품 = [[1972년]] 12월
         [[부산광역시|부산]] 출생으로 [[1959년]] 동래원예고등학교, [[1970년]] [[가톨릭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했다, [[1972년]] 사제품을 받은 송신부는 당시 암울한 정치 현실에 침묵하지 않고, [[정의구현전국사제단]]에 참여해 반독재 투쟁의 선봉에 섰다. 이후 본당 사목을 맡고 부산교회사 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면서도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관련된 일에 앞장섰다.<ref name=or>{{뉴스 인용|url=http://news.catholic.or.kr/WZ_NP/section/view.asp?tbcode=SEC05&cseq=4&seq=518 |날짜= 2006-01-08 |제목=부산 왕영수 송기인 오수영 신부 은퇴 |출판사=평화신문 |확인날짜=2013-01-29 |저자=가톨릭뉴스 }}</ref>
         *[[1972년]] 12월 사제 서품
  • 송상현 (1941년)
         귀국 전에 미국의 뉴욕법률사무소에서 [[외국변호사]]로서 일한바 있고, [[1972년]] [[9월 5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로 부임한 후 35년간 계속 모교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교수로 활동, 후학을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ref name="한경1"/> 1974년 7월부터 독일 함부르크 대학 방문 연구원을 1년간, 그리고 [[1978년]] [[8월]]부터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방문 연구원을 1년간 역임하고 귀국했다. 서울대학교내의 보직 중에서는 1996년 법과대학장으로 선임되어 2년간, 그리고 2000년부터 3년간 서울대학교 BK 21세기 세계속의 한국법의 발전교육연구단장으로 봉직한 바 있다.<ref name="로이슈1"/>
  • 송영주 (1972년)
         '''송영주'''(宋英株, [[1972년]] [[9월 23일]] ~ ,[[서울특별시]])은 [[대한민국]]의 전직 경기도의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성공회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 송영학
         '''송영학'''([[1972년]] [[10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114250#filmography&t__nil_main_workList=more 송영학-다음인물정보]</ref>
  • 송재용
         '''송재용'''(宋在勇, [[1972년]] [[3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의 [[투수]]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OB 베어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송재용 (야구선수)
         '''송재용'''(宋在勇, [[1972년]] [[3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의 [[투수]]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충암고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OB 베어스 선수]]
  • 신경호 (야구인)
         '''신경호'''([[1972년]] [[3월 7일]] ~ ) 는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의 선수이자, 현재 [[광주대성초등학교]]의 감독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해태 타이거즈 선수]]
  • 신구 (배우)
         그는 [[1962년]] 연극 〈소〉에 출연하면서 [[연극]][[배우]]로 연예 분야에 처음 발을 내딛은 후, [[1969년]] [[한국방송공사|서울중앙방송]](지금의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특채로써 [[배우|텔레비전 연기자]]로 입문, [[1972년]], 드라마 《허생전》으로 일약 이름을 날렸다. 주로 서민적인 아버지 역할을 맡았다.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에서 '4주후에 뵙겠습니다', [[2002년]]에 [[롯데리아]] 광고에서 "니들이 게맛을 알아?", [[2005년]] [[한국야쿠르트]] 쿠퍼스에서 "토끼 끝이야. 쿠퍼스야! 너나 걱정하세요."라는 말을 유행어로 만들어 보다 많은 세대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2007년]]에 방송된 《[[김치 치즈 스마일]]》에서는 사진관을 운영하는 아버지로 출연하였다. 같은 해에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2009년]]에는 [[MBC 연기대상]]에서 PD상을 수상했다.
  • 신기석
         [[대한국제법학회]] 이사와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1981년]]에는 학교법인 선인학원의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68년]] 대한민국학술원상, [[1972년]] [[국민훈장]] 모란장과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 《동양외교사》, 《근대외교사》, 《한말외교사 연구》, 《북정일기》 등이 있다.
  • 신동주(야구)
         ||<:> '''생년월일''' || [[1972년]] [[12월 14일]]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72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우투우타]]
  • 신윤주
         '''신윤주'''(申潤珠, [[1972년]] [[9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아나운서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1995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2년 태어남]]
  • 신은정 (영화 감독)
         '''신은정'''([[1972년]] ~ [[2012년]] [[11월 2일]])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에서 태어났고,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광주광역시 출신]]
  • 신정아
         '''신정아'''(申貞娥, [[1972년]] [[4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前 [[큐레이터]]이자 [[대학 교수]]로, 학력 위조 및 횡령 사건을 일으켜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한 인물이다. 한때 "미술계의 신데렐라"로 불리며 [[성곡미술관]]의 큐레이터와 [[동국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2007년]], [[광주 비엔날레]] 공동 예술감독으로 내정된 바 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동국대학교 교수]][[분류:청송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학력 위조자]][[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한민국의 스캔들]]
  • 신정아(큐레이터)
         || '''출생''' ||[[1972년]] [[4월 28일]]([age(1972-04-28)]세)[br][[경상북도]] [[청송군]]||
         [[분류:대한민국의 범죄자]][[분류:예술 사건사고]][[분류:1972년 출생]][[분류:청송군 출신 인물]]
  • 신충식
         * [[1972년]] MBC 성우실장
  • 심수봉
         | 활동시기 = [[1972년]] ~ 현재
         '''1세대 여성 싱어송라이터''', '''트로트의 여왕''', '''국민가수''' 등의 [[닉네임]]으로도 유명한 그녀는 [[1972년]]에 판소리 국악소리가로 첫 데뷔하였으며 2년 후 [[1974년]] 미8군 무대 록 뮤직 드러머로 데뷔하였고 4년 후 [[1978년]] 〈여자이니까〉라는 노래 작품으로 정식 가수 데뷔하였으며 그녀의 대표곡으로는 《그 때 그 사람》 《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등이 있다.
         [[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1990년대 가수]][[분류:1980년대 가수]][[분류:1970년대 가수]][[분류:1972년 데뷔]][[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경시 출신]][[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한국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음악가]][[분류:청송 심씨]]
  • 심은하
         '''심은하'''([[1972년]] [[9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청송 심씨]][[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심재민 (1953년)
         * [[1972년]]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심재학
         '''심재학'''(沈哉學, [[1972년]] [[10월 18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외야수]]이다. 2019년 시즌 [[MBC 스포츠플러스]] 야구해설자로 활약하게 된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서울영중초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청송 심씨]][[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
  • 안수찬
         || '''출 생''' ||[[1972년]] [[10월 27일]] [[경상북도]] [[칠곡군]]||
  • 안재환 (배우)
         '''안재환'''({{본명|안광성}}, [[1972년]] [[6월 8일]] ~ [[2008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양주남
          | 수상 = [[1954년]] 금성화랑무공훈장 <br/> [[1968년]] [[대한민국 공보부|공보부]]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장관]] 공로표창장 <br/> [[1972년]]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장관]] 공로표창장
         그는 [[시 (문학)|시인]] 겸 아동극작가 및 [[한국어|국어국문학자]] 겸 [[수필|수필가]] [[모기윤]](毛麒允, 1912년 ~ 1983년 6월 30일) 前 [[한글학회]] 이사장과도 문학 교류를 하였으며 그는 한때 그의 문하에 [[정일성]]· [[윤삼륙]]· [[전세권 (배우)|전세권]]· [[김벌래]] 등이 교습하였고 [[가수|트로트 가수]] 및 [[투자가|영화 기획가]] 겸 [[영화 프로듀서|영화제작자]] [[고복수]](高福壽, 1911년 12월 29일 ~ 1972년 2월 10일)·[[영화]][[영화 감독|감독]] 겸 [[영화]] [[시나리오]] [[영화 각본|각본 작가]] 및 [[투자가|기획가]] [[조긍하]](趙肯夏, 1919년 8월 16일 ~ 1982년 1월 28일) 등과도 각각 [[영화]] 기획 투자 교류 협상을 시도하기도 한 그는 이처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영화|영화예술가]] 겸 [[연극]][[연출가]]와 [[문학|문학작]][[작가|가]]로 활발히 활약을 하다가 [[1977년]] 이후에는 [[안양시|경기도 안양]]에 전격 낙향하여 그곳에 거주하였고 이듬해 [[1978년]] 영화와 문학 및 연극연출을 비롯한 예술 분야에서 사실상 은퇴하였다.
         * [[1972년]] [[신민당 (1967년)|신민당]] 문화예술행정특임공보위원(1972년 6월).
         * [[1972년]]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장관]] 공로표창장
  • 양찬우 (1926년)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에이미 앤더슨
         '''에이미 앤더슨'''(Amy Anderson, [[1972년]] [[9월 1일]] ~ )은 [[미국]]의 [[코메디언]], [[배우]], [[작가]]이다.
         1972년 9월 1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에서 태어났다. [[스웨덴]]인 부모에게 입양되어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성장했다.<ref>{{뉴스 인용| last = Shah | first = Allie | date = July 10, 2006 | title = Korean adoptee breaks new ground in stand-up comedy | work = Star Tribune | location = Minneapolis, Minnesota | url = http://www.highbeam.com/doc/1G1-148063462.html}} {{subscription required|via=HighBeam Research}}.</ref><ref name="biography">{{웹 인용 | title =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nd more! | work = It's Amy Anderson. Cool | url = http://www.amyanderson.net/site/Bio.html | accessdate = June 27, 2011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10823072406/http://www.amyanderson.net/site/Bio.html | 보존날짜 = 2011년 8월 23일 | 깨진링크 = 예 }}</ref><ref name="AuburnReporter">{{뉴스 인용 | title = Amy Anderson heads lineup at Auburn's Comedy at the Ave | work = Auburn Reporter | url = http://www.pnwlocalnews.com/south_king/aub/entertainment/96615404.html | accessdate = June 27, 2011 |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00625020051/http://www.pnwlocalnews.com/south_king/aub/entertainment/96615404.html# | 보존날짜 = 2010-06-25 | 깨진링크 = 예 }}</ref><ref>{{서적 인용| last1 = Kim | first1 = Eleana | title = Adopted Territory: Transnational Korean Adoptees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 | publisher = Duke University Press | year = 2010 | pages = 88–89 | accessdate = 2014-02-24 | isbn = 978-0822346951}} [http://books.google.com/books?id=_j6ds5A8ZfAC&pg=PA88&lpg=PA88&dq=%22Amy+anderson%22+korea+minnesota&source=bl&ots=2XyIGKBr9J&sig=GA_0ZbtQDA2iFBIGRbO9xzYke28&hl=en&sa=X&ei=gGQLU5PqKoaIygGJ8IGQDQ&ved=0CGAQ6AEwCDgK#v=onepage&q=Anderson&f=false Excerpts available] at Google Books.</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미국의 블로거]][[분류:미국의 작가]][[분류:미국의 여자 배우]][[분류:미국의 기타 연주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계 미국인]]
  • 여운계
         [[1968년]]에는 [[최무룡]]이 감독하고 주연을 맡은 영화인 《정 두고 가지마》로 영화에 첫 출연을 하였으며, 그밖에 《엄마의 일기》(1968년), 《별난 여자》([[1970년]]), 《팔 며느리》(1970년), 《목소리》([[1972년]]), 《땅콩 껍질 속의 연가》([[1979년]]), 《순악질 여사》([[1980년]]), 《만추》([[1982년]]), 《산딸기2》([[1985년]]), 《그녀와의 마지막 춤을》([[1988년]]), 《[[마파도]]》([[2005년]]), 《[[마파도 2]]》([[2007년]]) 많은 영화에 출연하였으며, [[한국방송공사]]의 《[[오필승 봉순영|오! 필승 봉순영]]》, 《며느리 전성시대》, [[문화방송]]의 《[[대장금]]》, 《[[내 이름은 김삼순]]》, [[SBS]]의 《[[쩐의 전쟁]]》등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많이 출연하였다.<ref name="아시아경제"/>
  • 여정남
         * [[1972년]] [[11월 10일]] 유신반대 포고령 위반으로 구속.
  • 연운경
         |활동기간 = [[1972년]] ~ 현재
         '''연운경'''([[1953년]] [[8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연기자]]이다. [[1972년]] [[연극]][[배우]]로 시작하여 [[1973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공채 탤런트 14기로 데뷔하였다.
  • 염홍
         '''염홍'''(본명은 '''김윤경''', [[1972년]] [[10월 5일]] ([[1972년]] [[음력 8월 28일]])<re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sug.top&where=nexearch&query=%EC%97%BC%ED%99%8D&oquery=600708&tqi=URJoElp0J1ZssuGJf90ssssstuZ-202681&acq=%EC%97%BC%ED%99%8D&acr=2&qdt=0 링크]</ref> - )은 [[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이다. 데뷔 당시, 중견 연기자 [[김윤경 (1949년)|김윤경]]과 이름이 같아 '''김민희'''로 예명을 정했었고, 오랫동안 해당명을 사용했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양구군 출신]][[분류:197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동국대학교 동문]]
  • 오승근 (가수)
         * [[1972년]] [[경희대학교]] 작곡과 중퇴
  • 오혜원 (기업인)
         | 출생일 = [[1972년]]
         '''오혜원'''({{llang|en|Oh Hyewon}}, [[1972년]] ~ )은 [[유몽기획]] 상무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일반연예계인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유몽기획사]][[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유몽기획 상무]]
  • 왁스 (1972년)
         '''왁스'''(Wax, {{본명|조선미}}, [[1972년]] [[5월 3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 댄스곡 발표한 왁스 파격 소심함 벗고 흔들었을 뿐 |url = http://sports.donga.com/3/all/20090703/20668147/3 |출판사 = 스포츠동아 |저자 = 김원겸 기자 |쪽 = |날짜 = 2009-07-04 |확인날짜 = 2009-07-20}}</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팝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 유재석
         '''유재석'''(劉在錫,[[1972년]] [[8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 [[사회자]]이다.
         1972년 8월 14일 [[광주광역시|광주]] [[서구 (광주광역시)|서구]] 농성동 (대남대로472번길) (현재는 [[광산구]] 송정동 (광주광역시) (상무대로) 관할)에서 태어났다.<ref>SBS PowerFM《[[동고동락|송은이 신봉선의 동고동락]]》. 2009년 4월 29일 수요일 방송 출연.</ref> 1991년 [[KBS]]에서 주최한 제1회 대학 개그제에서 [[최승경]]과 함께 장려상을 받으면서 데뷔했다. KBS 공채 개그맨 7기 동기로는 [[금병완]], [[김국진]], [[김수용 (희극인)|김수용]], [[김용만 (희극인)|김용만]], [[남희석]], [[박병득]], [[박수홍]], [[양원경]], [[엄정필]], [[윤기원 (배우)|윤기원]], [[이영재 (희극인)|이영재]], [[전효실]], [[최승경]]이 있다. 그 후 《[[유머일번지]]》 등에서 작은 역할로 등장하면서 1994년말 입대부터 군 제대 후 무명 시절을 거치던 중, 1997년 [[KBS2]] 《[[코미디 세상만사]]》의 코너인 《남편은 베짱이》에서 남편 역할을 맡으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한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KBS 연예대상 대상 수상자]][[분류: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분류:SBS 연예대상 대상 수상자]][[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72년 태어남]][[분류:1991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강릉 유씨]][[분류:FNC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유태웅
         '''유태웅'''(兪泰雄, [[1972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대표작으로는 [[텔레비전 드라마|TV 드라마]] 《[[야인시대]]》, 《[[불멸의 이순신]]》 등이 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기계 유씨]]
  • 유태웅(탤런트)
         ||<#88b04b> {{{#ffffff '''출생'''}}} ||<(> [[1972년]] [[6월 5일]],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로) ||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1972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윤도현
         '''윤도현'''([[1972년]] [[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 [[YB (밴드)|YB]]의 보컬이자 [[뮤지컬 배우]], [[사회자|방송인]]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하드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분류: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파평 윤씨]][[분류:1992년 데뷔]][[분류:친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윤미라
         1969년 [[대한민국 영화|영화]] 《[[사랑하고 있어요]]》의 단역을 통해 [[영화배우]]로 첫 데뷔를 하였고, 1972년 영화 《처녀 사공》으로 처음 주연을 맡아 [[대종상영화제]] 신인상을 수상했다. 1978년에는 영화 《[[고가 (영화)|고가]]》로 [[대종상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타는 등 영화계에서 화려한 활약을 펼쳤다.
         * [[1972년]] 《며느리의 한》
         * [[1972년]] 《옥녀의 한》
  • 윤삼륙
         * [[1970년]] 《소장수》 ... (이 [[소설|소설 작품]]을 원작으로 [[1972년]]에 동명 [[영화]]가 만들어짐.)
  • 윤연선 (1936년)
         * [[1972년]] 교통부 산하 중앙해난심판원 관리계장
  • 윤오영
         양정고보 졸업 후 보성고보에서 20년여간 국어교사로 교편생활을 하다가 [[5·16 군사 정변|5.16]] 이후 교원 자격 시비로 인한 무자격 교사 해임 조치<ref>{{뉴스 인용 | 제목 = 보성고, 맹휴(盟休) 돌입 | 출판사 = 경향신문 | 날짜 = 1963-03-12 }}</ref> 로 인해 교직을 떠나 학원 강사로 생계를 이었다. [[1959년]] 《현대문학》지(誌)에 <측상락>(厠上樂)을 발표한 것이 작품활동의 시작이나, [[1972년]] 창간한 《수필문학》지(誌)를 통해 가장 활발히 문단활동을 펼쳤다.
         53세가 되던 [[1959년]]에 <측상락>(厠上樂)을 《현대문학》지(誌)에 발표하며 등단하였으나, [[1972년]] 창간된 《수필문학》지(誌)에 <수필문학의 첫걸음>, <수필문학론> 등을 연재하며 활발한 문단활동을 펼쳤다. [[1974년]] 수필집 《고독의 반추》<ref name="고독의반추">{{서적 인용 | 제목=고독의 반추|저자=윤오영 |연도=1974 |초판연도=1974|출판사=관동출판사}}</ref> 는 출간 직후 베스트셀러에 올랐으며,<ref name="ReferenceA">{{뉴스 인용 | 제목 = 한국수필 75인집 - 수필가협발간|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 | 날짜 = 1974-10-26 }}</ref> 같은 해에 '수필가협회'에서 발간한 《한국수필 75인집》에 <[[방망이 깎던 노인]]>이 수록되었다.<ref name="ReferenceA"/> <br />
  • 윤인구 (아나운서)
         '''윤인구'''(尹寅求, [[1972년]] [[9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아나운서]]이다. 직책은 KBS 아나운서협회장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동문]][[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윤보선]][[분류:윤치호]][[분류:윤치영]][[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해평 윤씨]]
  • 윤인선 (1944년)
         '''윤인선'''(尹仁善, [[1944년]] [[1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사회기관단체인이다. [[해평 윤씨|해평]](海平). [[대한민국 내무부|내무부]]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윤치영]]의 둘째 아들이자, 아나운서 [[윤인구 (1972년)|윤인구]]의 아버지이며 前 [[대통령]] 해위 [[윤보선]]의 사촌동생이다. 전 [[숙명여자대학교]] 문학 교수 [[윤성선]]의 남동생이기도 하다. 자는 사안(謝安), 아호는 동웅(東雄)이다.
         **** 장남 : [[윤인구 (1972년)|윤인구]] (尹寅求, [[1972년]] ~ )
  • 윤찬 (1972년)
         '''윤찬'''([[1972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텔레비전 배우|탤런트]]이자 [[영화배우]]이다. [[1972년]] [[1월 3일]] 전남 장흥에서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연극영화과(2기, 예술대 전체 수석장학생)를 졸업하였다. [[2003년]] '영화 내츄럴시티'로 데뷔하였다. [[2009년]] [[8월]] [[EBS]] ‘원시가족 뚜따 패밀리’에서 윤찬은 처음으로 TV시트콤에 도전하여 활동영역을 넓혔다.
         [[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장흥군 출신]][[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윤치영
         [[1923년]]에는 귀국하여 [[중앙고등학교|중앙고보]]의 야구팀 코치가 되었다. [[1923년]] [[7월 5일]] [[하와이]] 이주노동자 2세 학생들이 야구팀을 결성했다.<ref name="끝나지 않는 신드롬">천정환, 《끝나지 않는 신드롬》 (푸른역사, 2005) 106-107페이지</ref> 이때 YMCA에서는 [[하와이]]로 원정경기를 가는 야구단을 조직했다. [[중앙중학교 (서울)|중앙중학교]] 재학 시절부터 축구, 야구, 육상 선수로 활동했고 중앙고보의 야구 코치를 지내기도 했던 그는 야구단의 한사람으로 차출, 1루수로 선발되어 태평양에 건너갈 수 있게 됐다. [[조선총독부]] 외무국에서는 윤치영이 반일분자라 하여 출국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당시 [[충청남도지사]] [[김관현]](金寬鉉)의 주선으로 출국이 허용, [[조선총독부|총독부]] 외무국에서 여권을 발급받고 출국하였다.<ref name="경향19720408">경향신문, 1972년 04월 08일자 4면, 사회면</ref> 그러나 그가 [[하와이]]에서 [[이승만]]을 만난 것이 알려지면서 [[김관현]]은 징계를 받게 되고, [[조선총독부]]는 [[하와이 섬]]에 밀정을 파견한다.
         [[1970년]] [[12월]]과 [[1971년]] [[6월]] [[국무총리]]의 물망에 올랐으나 [[신민당 (1967년)|신민당]]의 집단 반발로 무산되었다. [[1971년]] [[미국]]을 방문, [[고든대학교]]로부터 명예[[문학]][[박사]](Doctor of Letters)학위를 받았다. [[7월 1일]] [[대통령 특별보좌관]]에 임명되었다. [[1972년]] [[10월]] [[박정희]]의 [[10월 유신]]이 발표된 후, 학생 운동권으로부터 그가 [[10월 유신]]의 원흉이라는 성토가 쏟아져나왔으나 곧 긴급조치 발표로 묻혀졌다. 이후 그는 각종 반공 척사대회와 [[이승복]] 추모행사 등에 참여하며 야당이 학생들을 선동하여 정권을 차지하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는 점과 야당은 국익보다 권력욕에 눈먼 집단이라며 야당, 학생 운동가들을 성토했다. 또한 일부 야당은 [[미국]]을 등에 업고 외세에 의존하려 든다며 질타하였다.
         *** 손자: [[윤인구 (1972년)|윤인구]](尹寅求, [[1972년]] [[9월 13일]] ~ , 방송인·KBS아나운서)
  • 윤해영 (1972년)
         '''윤해영'''([[1972년]] [[2월 19일(음력 1월 5일)]]<ref>{{뉴스 인용|저자1=황인혜 기자 |제목=윤해영, 나이 논란 종지부 "74년생 아닌 빠른 72년생" |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51714 |날짜=2010년 9월 15일 |확인날짜=2019년 1월 7일}}</ref>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3년]] [[SBS]]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당진시 출신]]
  • 이가원
         [[1969년]]부터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성한 고서위원회에 참여하였으며,<ref>古書委員會구성, 《동아일보》, 1969.12.4</ref> [[1945년]] 구입한 《규원사화》 고서에 대하여 [[1972년]] [[11월 3일]], 당시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심의의원이었던 [[손보기]](孫寶基), [[임창순]](任昌淳)과 함께 [[조선]] 중기에 씌여진 진본임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작성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인으로 인증하였다.<ref> 고평석, 《한배달》 6호, 1989 </ref>
  • 이갑식
         '''이갑식'''(李甲植, [[1904년]] [[2월 10일]] [[한성부]] ~ [[1972년]] [[7월 8일]])은 제3,4대 민의원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조선식산은행]]을 거쳐 중공업 분야에 종사한 기업인이기도 하다.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7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이상엽 (펜싱선수)
         '''이상엽'''(李相燁<ref>{{뉴스 인용 | 제목=李相燁 에페우승 파란 | url=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120500209217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12-05&officeId=00020&pageNo=17&printNo=21670&publishType=00020 | 출판사=동아일보 | 저자= | 쪽= | 날짜=1991-12-05 | 확인날짜=2018-10-17}}</ref>, [[1972년]] [[10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에페]]이다. 199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이상기 (펜싱 선수)|이상기]], [[윤원진]], [[구교동]]과 함께 대한민국 최초 펜싱 단체 에페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펜싱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1992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펜싱 메달리스트]][[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양중학교 동문]][[분류: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이아현
         '''이아현'''(李雅賢, [[1972년]] [[4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그녀는 고등학교 1학년에서 대학교 2학년 시절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보냈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인천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199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분류: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동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열희 (1924년)
         [[1961년]] [[6월 6일]] 전임강사에서 조교수로 승진하여 [[경북대학교]]로 정식 발령<ref>"정부인사", 경향신문 1961년 06월 06일자 1면 정치면</ref>, 경북대 치의학과 조교수에 임명되었다. [[1962년]] [[11월]] 오재인(吳在仁), 정순경(鄭淳慶), [[국군통합병원]] 의무과장 최형곤 [[대령]] 등과 함께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의 창립에 참여하였고, [[1972년]]부터 [[1976년]] [[11월]]까지는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제3대 회장을 역임했다. 동시에 그는 무의촌대책위원회 치과분과 회장을 맡으며, 병원, 의료시설이 없는 무의촌의 치과 진료 봉사에도 참여하였다.
         [[1972년]]부터 4년간 [[대한구강안면성형외과학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1974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치의학부 교수가 되고 이후 대구시 치과의사회 회원이기도 했다. [[1974년]] [[3월]] 경북대 의대 치의학과장이 되었다. 1977년 5월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 [[대한치과의학회]] 경상북도지회장 등을 역임했다.
  • 이외수
         [[1972년]] [[강원일보]] 예에 단편 소설 《견습어린이들》로 데뷔하고, [[1975년]] 《세대》(世代)의 문예현상공모에서 중편 소설 《훈장》이 신인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소설가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젊은 시절 에서 임시교사로 일한 적이 있다에서 30여 년 간 거주하다가 [[2006년]] 이후 현재 감성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제15보병사단 (대한민국)|육군 제15사단]] 명예 홍보대사이다.
  • 이운형
         '''이운형'''(李運衡 [[1891년]] [[3월 24일]] ~ [[1972년]] [[3월6일]])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개신교]] [[목사]]이다. [[서로군정서]]에서 활동했고 [[3.1운동]]에 참여했다. 본관은 [[고성 이씨|고성]](固城). 안동 출신. 부친은 안동에서 최초 [[3.1만세운동|만세운동]]을 했던 [[이상동]](李相東)이며, 백부는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인 [[이상룡 (1858년)|이상룡(李相龍)]]이다. 자는 중약(重若), 호는 백광(白光).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1930년 평양장로회신학대학을 졸업하고<ref>[http://www.cportal.co.kr/bbs/board.php?bo_table=dic&wr_id=17039&sca=%EC%9D%B8%EB%AC%BC&sfl=wr_subject&stx=%EC%9D%B4%EC%9A%B4%ED%98%95&sop=and 크리스천포털 인물정보]</ref>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은 후, 영주읍교회(현 영주제일교회) 등에서 목사로 시무했다.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거부하다가 다시 투옥됐다.<ref>[http://tv.sarang.org/menu02/print.asp?db_idx=11583 사랑의 교회 인터넷 사역실]</ref> 광복 이후 [[대구]] [[계성학교]] 교목으로 근무했다.<ref>[http://www.pckworld.com/news/articleView.html?idxno=35886 기독공보-신앙의 가족, 사랑을 엮다]</ref> 1972년 미국 [[시카고]]에서 사망했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ref name="보훈처" />
         [[분류:1891년 태어남]][[분류:1972년 죽음]][[분류:안동시 출신]][[분류:고성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목회자]][[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한국의 기독교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기독교운동가]][[분류:이상룡]]
  • 이인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붕괴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맞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야당 원로로서 범 야당통합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1960년]] 참의원(參議員)에 당선되었다. [[1962년]] 유엔인권옹호한국연맹 이사에 임명되었고,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장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했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 (이름)|아호]]는 애산(愛山)이며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1963년 [[민정당]](民政黨) 창당에 참여하고 최고위원이 되었으나 범국민단일야당운동 추진에 실패하자 정계에서 은퇴했다. [[1965년]] 이인은 [[안재홍]] 사망 소식을 접하고, [[서울특별시|서울]] 정의여고 강당에서 그의 장례식을 집행, 주관하였다. 당시 [[안재홍]]은 자진월북자라는 오해와 편견으로 금기시되었고, 꺼려했다. 그러나 이인은 [[이범석 (1900년)|이범석]] 등과 함께 [[안재홍]]의 시신없는 장례식을 진행하였다. 군사정권은 그의 의도가 불순함을 의심하여 내사하였으나 혐의점을 찾지는 못하였다.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를 결성했으며 [[국토통일원]] 고문에 선임되었다. [[1974년]]에는 [[국토통일원|통일원]] 고문에 재선임되었다.
         * [[1972년]] [[1월]] 고 상허 유석창 장례위원회 위원장
  • 이장훈 (1972년)
         '''이장훈'''({{본명|'''이성호'''}}, [[1972년]] [[4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2년 경북 김천 교동 (김천시) (부거리길) 에서 태어난 이장훈은 연극,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관객을 압도하는 카멜레온 같은 배우이다. 가족 뮤지컬《피노키오》부터 미스터리 영화《물고기》, 그리고 코믹적인 요소가 가득 담긴 드라마《푸른거탑》까지, 탁월한 집중력과 진짜인지 연기인지 모를만큼 훌륭한 연기력으로 어떤 배역이든 맛있게 소화해 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현재는 서울호서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의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기절 전문 대대장 이장훈 역할로 [[tvN]] 《[[푸른거탑]]》에서도 맹활약하였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 이장훈(배우)
         '''이장훈'''({{본명|'''이성호'''}}, [[1972년]] [[2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2년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부거리길에서 태어난 이장훈은 연극, 뮤지컬,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 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관객을 압도하는 카멜레온 같은 배우이다. 가족 뮤지컬《피노키오》부터 미스터리 영화《물고기》, 그리고 코믹적인 요소가 가득 담긴 드라마《푸른거탑》까지, 탁월한 집중력과 진짜인지 연기인지 모를만큼 훌륭한 연기력으로 어떤 배역이든 맛있게 소화해 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현재는 서울호서예술전문학교 연기예술학부의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기절 전문 대대장 이장훈 역할로 [[tvN]] 《[[푸른거탑]]》에서도 맹활약하였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 이제니 (시인)
         | 출생일 = [[1972년]]
         '''이제니'''([[1972년]] ~ )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72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1세기 시인]]
  • 이준
         * '''[[이준 (가수)|이준]]'''([[1972년]] ~ )은 대한민국 [[가수]]이다.
  • 이준식 (공학자)
         * [[1972년]] ~ [[1976년]]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
  • 이태식 (1972년)
         '''이태식'''([[1972년]] [[10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개그콘서트]][[분류:안동시 출신]]
  • 이한철 (싱어송라이터)
         '''이한철'''([[1972년]] [[12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음악가이다. [[불독맨션]]의 보컬로도 활동하고 있다. [[2009년]], 가수 데뷔 15주년을 맞이했으며 [[2015년]], 데뷔 20주년을 맞이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통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록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음악가]][[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
  • 이효춘
         * [[1972년]] [[KBS]] 주간드라마 《임진왜란》
         * [[1972년]] [[KBS]] 주간드라마 《용바위》
  • 이후락(전 국회의원)
         또한 1972년 이른바 "[[10월 유신]]"도 이후락의 작품이다. 그 직전까지는 비록 형식뿐이나마 야당의 견제기능이 작동하고 있었지만, [[10월 유신]]으로 말미암아 한국 선정사는 다시 유사왕정시대로 돌아가고 말았다. 이후락의 지시에 따라 [[10월 유신]]을 작업했던 곳은 궁정동 안가였으며,[* 작업 암호명은 풍년사업.] 아이러니 하게도 [[박정희]]는 나중에 이곳에서 미녀파티를 하다 [[김재규]]의 총에 맞아 세상을 떴다. 이때 유신헌법 초안을 작성한 사람은 [[김기춘|바로...]][* 출처 : 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11&seq_800=10187567]
         [[중앙정보부]]장 재임중 대외적으로 가장 눈에 띄는 업적으로는 [[1972년]] 5월 밀사로 [[북한]]의 [[평양직할시|평양]]을 방문하여 당시 주석 [[김일성]]과 비밀회담을 하여 '''[[7.4 남북 공동 성명]]'''을 이끌어낸 것이다.
  • 이휘재
         '''이휘재'''(李輝宰, [[1973년]] [[2월 2일]] ([[1972년]] [[음력 12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 2014년 5월 6일 최근 [[Y-STAR]] [[부부감별쇼 리얼리?]] 녹화에서 "아내에게 속아서 결혼했으며, 이 결혼은 사기"라고 주장했다. 이휘재는 "나도 아내와 8살 차이가 난다. 하지만 나는 1972년 12월생이라 늦은 72년생이고, 아내는 1980년생이지만 빠른 80년생이라서 따지고 보면 6살 차이"며 "나는 아내에게 나이를 속아 결혼했으며 이 결혼은 사기"하고 주장했다. 이에 다른 출연자들은 “그게 무슨 사기냐?”라며 이휘재를 비난했지만, “처음에 아내를 만날 당시 아내가 자신은 강남구 수서동에 산다고 했지만 알고 보니 용인 수지에 살고 있었다”며 이건 명백한 사기라고 다시 한 번 강조해 웃음을 자아냈다.
  • 임도헌
         || '''생년월일''' || [[1972년]] [[6월 9일]] (만 [age(1972-06-09)]세) ||
         [[분류:배구 선수]][[분류:배구감독]][[분류:경산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불교 신자]]
  • 임채원
         '''임채원'''([[1972년]] [[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1989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장동건
         '''장동건'''([[1972년]] [[3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72년]] [[경기도|경기]] [[화성시]](현 [[평택시]] 합정동 (서동대로))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2남 중 장남으로 남동생이 한명 있다. 장동건은 1992년 연극과 뮤지컬에 출연하였으며 같은 해 [[MBC]] 공채 탤런트 21기로 데뷔해 인기 배우로 성장했지만 학업을 위해 1994년 1월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연극원 1기생으로 입학했다.<ref name="Jang Dong Gun website">{{웹 인용|title=Jang Dong-gun Profile|url=http://en.jangdonggun.co.kr/|publisher=Jang Dong-gun official website|accessdate=2012-06-23}}</ref> 연기자로서 실력을 쌓기 위해 어려운 결단이였다. 물론 2학년까지는 대외활동을 할 수 없다는 교칙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장동건은 연기자로서 성장해가기 위한 스스로의 결정으로 학교 생활에 충실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 |제목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장동건 2년6개월만에 드라마 복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374016|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윤여수 |날짜 = 2015-07-01 |확인날짜 =2017-09-12 }}</ref> 하지만 이에 2년의 학교생활을 마쳤지만, '4년간 외부활동 금지'로 규정이 바뀌면서 졸업과 활동에 대한 이해가 충돌하면서 조바심과 함께 연기에 대한 갈증이 생겼고, 결국 중퇴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name="mediapen" />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남우조연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 수상자]][[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장동국 (1972년 9월)
         '''장동국'''([[1972년]] [[9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영화감독]]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장두진
         |프로 입단 = [[1972년]]
         1972년에 입단하였으며, 1997년 7단을 거쳐 2007년 7월에 8단으로 승단하였다. 1975년 제1기 국기전 준우승, 1987년 제12기 기왕전에서 각각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88년 제18기 명인전에서 준우승했다.
  • 장서희(1972)
         ||<#9966FF> '''{{{#FFFFFF 출생}}}''' ||<(> [[1972년]] [[1월 5일]] ([age(1972-01-05)]세), [[강원도]] [[홍천군]] ||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홍천군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1989년 데뷔]][[분류:범죄자]]
  • 장세주 (기업인)
         *[[1972년]] [[2월]] [[서울중앙고등학교]] [[졸업]]
  • 장익 (1933년)
         * [[1972년]]에는 서울대교구 신학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였고
  • 장인한
         * [[1972년]]
         * 1972년 《[[장화홍련전]]》
  • 장진영 (배우)
         '''장진영'''(張眞英, [[1972년]] [[6월 14일]]<ref>{{뉴스 인용 |제목 = 故 장진영 49재, `취재진에 공개된 고인의 유골함`|url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01955157&sid=&nid=910&type=2|출판사 = 한국경제|저자 = 양지웅|쪽 = |날짜 = 2009-10-19|확인날짜 = 2012-07-31}}</ref>{{#tag:ref|장진영은 생전 활동 당시 출생일이 1974년 6월 14일로 알려져 있었고 실제는 1971년생이라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사망 후 밝혀진 정확한 출생일은 1972년 6월 14일이다. 이는 사후 공개된 유골함 사진 및 1993 미스 대전·충남 참가신청서 등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2010년 9월 3일 방송된 《MBC 스페셜》 494회 〈장진영의 마지막 1년〉 편에서도 그녀의 생일을 1972년 6월 14일로 전했다.|group=주}} ~ [[2009년]] [[9월 1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장진영]]은 1972년 6월 14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5가 (동소문로20길) 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200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199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미스코리아 지역 대회 입상자]][[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위암으로 죽은 사람]]
  • 전부일 (1924년)
         |임기 = [[1970년]] [[8월 20일]] ~ [[1972년]] [[7월 24일]]
  • 전상렬
         '''전상렬''' (全商烈, [[1972년]] [[6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현재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2군 작전·주루코치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좌익수]][[분류:KBO 리그 중견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분류:천안 전씨]]
  • 전원주
         * [[1972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특채 탤런트
  • 전재용
         *** 처: [[박상아]](朴相兒, [[1972년]] ~)
  • 전태일
         [[1972년]] 기독청년 전태일 1주기 추도식으로 시작된 이래 1980년대에 와서 노동운동가 전태일 추도식으로 제목이 바뀌었다. 그의 어머니 [[이소선]]은 아들의 유언에 따라 사망직전까지 청계천 노조 지원과 노동 운동 지원에 헌신하여 노동자들의 어머니 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1984년]] [[서울]]에서 노동운동가들 중심으로 전태일기념사업회가 조직되었고, [[1985년]] 전태일기념관이 개관하였다. 이후 전태일재단이 조직되어 '전태일문학상'과 '전태일노동상'을 제정하여 수여하기 시작하였다. [[1987년]] [[6.10 항쟁]] 이후 노동단체들이 모여 그해 [[7월]]부터 [[8월]]까지 노동자 대회를 열었으며 7월 15일에는 그의 어록, 초안 등을 참고하여 '87 노동자계급 해방선언'이 개최되었다. [[1988년]] [[11월]] 전태일의 분신 자살을 기념하기 위한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 노동자 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어 매년 [[11월]] 전국 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 [[2002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전태일을 민주화 운동 관련자로 승인하였다. [[1996년]] 9월 19일에는 서울 중구 을지로6가에서 '전태일 거리'를 선포하였고, 이를 기념하여 민예총 회원들이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고 있는 모습을담은 걸개그림 앞에서 추모공연을 하였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92000289120003&ed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09-20&officeId=00028&pageNo=20&printNo=2680&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6,09.20]</ref> 이 '전태일 거리'에서는 전태일을 추모하기 위한 '전태일 거리문화제'가 진행되고 있다. 1999년부터는 민주열사를 비롯해 의롭게 숨진 시민의 기념표석을 세우는 서울시'유적지 사업'에 포함되어 평화시장 분신장소에 기념표석이 세워졌다. 하지만 2003년 청계천 복원공사로 철거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43117 전태일 동판 철거 ‘물의’ 경향신문, 2003.12.01]</ref>
  • 전호진 (1965년)
         [[1971년]] 영화 《사랑은 당신만》의 단역으로 아역 [[영화 배우|영화배우]]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72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텔레비전 드라마]]에 첫 출연하였고 이후 [[동양방송|TBC]]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 3편 남짓 출연하다가 [[1974년]] 영화 《아빠하고 나하고》에 주연하였으며 이듬해 [[1975년]] 영화 《인간단지(人間團地)》에 단역 출연하였고 1년 후 [[1976년]] 영화 《가위 바위 보》에 주연하였으며 이후로 배우 활동이 뜸하다가 [[1981년]] 영화 《나는 할렐루야 아줌마였다》에 조연하여 영화배우 분야에 복귀하였고 [[1987년]]에는 [[연극배우]] 데뷔하였다.
  • 정기성
         '''정기성'''([[1972년]] [[10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7년에 MBC 26기 공채 탤런트로 선발되었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17710 정기성-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정민철
         '''정민철'''(鄭珉哲, [[1972년]] [[5월 11일]] ([[1972년]] [[음력 3월 28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자 현 [[MBC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전광역시 출신]][[분류:빙그레 이글스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500탈삼진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150승 클럽]][[분류:KBO 평균자책점상 수상자]][[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KBO 승률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가]][[분류:대전신흥초등학교 동문]][[분류:대전고등학교 동문]][[분류:KBO 리그 영구 결번]][[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정성태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정유석 (배우)
         '''정유석'''([[1972년]] [[12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8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
  • 정일영 (1926년)
         * ~ 1972년, [[주벨기에 대한민국 대사관|주 벨기에 대사]] 겸 주 EEC 대사<ref>{{뉴스 인용 |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2072700329201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2-07-27&officeId=00032&pageNo=1&printNo=8254&publishType=00020 |제목= 프랑스... 鄭一永씨 |출판사= 경향신문|날짜= 1972-07-27}}</ref>
         * 1972년 7월 26일 임명 ~ 1974년, [[한불 관계|주 프랑스 대사]]
         |임기 = [[1972년]] [[9월 8일]] ~ [[1974년]] [[3월 21일]]
  • 정해영 (1915년)
         |임기 =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 정호용
         * [[1972년]]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 졸업
  • 주윤발
         | 활동기간 = [[1972년]] ~ 현재
         10세 때였던 [[1965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홍콩 도심으로 이주하였으나, 어려운 가정 환경으로 인하여 초등학교를 간신히 졸업하였고 중학교를 다니던 중에는 끝내 중퇴하였다. 이렇게 초, 중, 고, 대학 등 정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자라던 중, 친구의 권유로 [[연극]]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1972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73년]] [[영화]] 《투태인(投胎人)》의 주연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다. 그로부터 1년 후인 [[1974년]]부터는 [[홍콩]]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였으며 2년 후 [[1976년]]에는 [[영화]] 《지녀》(池女)의 주연을 맡았다. 그 후로도 홍콩 영화와 홍콩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게 되었고, TVB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1980년]]에 출연한 《상해탄》(上海灘) 등으로 입지를 다졌다. [[1988년]] [[가수]] 데뷔하였으며 [[1989년]] [[영화]] 《아랑적고사》(阿郎的故事)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각색도 처음 맡아 각색가로서 데뷔하게 되었다.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가수]][[분류:홍콩의 작사가]][[분류:홍콩의 불교 신자]][[분류:중국의 반공주의자]][[분류:싱가포르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중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스코틀랜드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중국계 영국인]][[분류:하카계 홍콩인]][[분류:1972년 데뷔]][[분류:홍콩의 억만장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차범근
         '''차범근'''(車範根, [[1953년]] [[5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현재 축구 지도자, 해설가, 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 시절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1980년대에 한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독일]]의 프로 축구 리그인 [[푸스발-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였고, [[SV 다름슈타트 98|다름슈타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04 레버쿠젠|바이어 레버쿠젠]] 소속으로 뛰었다. 1972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었다. 그는 두 번의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에 기여했고,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했다.
         [[1970년]]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ref>{{뉴스 인용 |제목=아시아 청소년축구 출전 대표선수 25명 선발|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12700209208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11-27&officeId=00020&pageNo=8&printNo=15120&publishType=00020|출판사=동아일보|date={{날짜한글화|1970-11-27}}}}</ref> 1971년과 1972년 연속으로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아시아 청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였다.
         [[고려대학교]] 학생 신분이던 [[1972년]]에 당시 최연소의 나이로 국가대표에 발탁되어 [[5월 7일]]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와의 [[AFC 아시안컵]]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에도 참가하였다.
         | <div style="text-align: center;">1 || 1972년 5월 10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캄보디아|1970}} || 4 - 1 || [[1972년 AFC 아시안컵]]
         | <div style="text-align: center;">2 || 1972년 7월 1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싱가포르}} || 4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div style="text-align: center;">3 || 1972년 7월 23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인도네시아}} || 2 - 0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div style="text-align: center;">4 || 1972년 7월 29일 || {{국기나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fb|말레이시아}} || 2 - 1 || [[메르데카컵 국제축구대회|메르데카컵]]
         | <div style="text-align: center;">5 || 1972년 9월 20일 || {{국기나라|대한민국|1949}} [[서울특별시|서울]] || {{fb|태국}} || 3 - 0 ||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 <div style="text-align: center;">6 || 1972년 11월 22일 || {{국기나라|태국}} [[방콕]] || {{fb|인도네시아}} || 1 - 1 || [[킹스컵 국제축구대회|킹스컵]]
         *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72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 [[1972년]] [[한국일보]] 선정 백상체육대상 올해의 신인상
         {{1972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 국적의 축구 해설가]][[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축구 공격수]][[분류:SV 다름슈타트 98의 축구 선수]][[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축구 선수]][[분류:바이어 04 레버쿠젠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독일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독일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분데스리가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197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8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72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76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FIFA 센추리 클럽]][[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감독]][[분류:선전 FC의 축구 감독]][[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감독]][[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K리그1의 축구 감독]][[분류: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코칭스태프]][[분류:체육훈장 기린장 수훈자]][[분류:체육훈장 백마장 수훈자]][[분류:화성시 출신]][[분류:연안 차씨]][[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코칭스태프]][[분류:스포츠영웅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K리그1 감독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차성훈
         '''차성훈'''(본명 : '''김성훈''', [[1972년]] [[5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111300&anchor=filmography 차성훈-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최두선
         [[1971년]]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었다. 같은 해 적십자사 총재로서 이산가족 상봉을 건의하여 성사시켰고, 북측의 적십자사를 설득하여 [[1972년]]의 남북적십자회담을 이끌어 냈다.
         |임기 =1960년 8월 ~ 1972년 8월
  • 최만린
         [[1961년]] 27세에 국전 추천작가, [[1967년]]부터 서울대에 출강, [[1972년]]부터 국전 심사위원, 운영위원을 거쳤다.
  • 최성 (1928년)
         * [[1972년]] 《[[용호표]]》
         * [[1972년]] 《[[아들 딸 찾아 천리길]]》
         * [[1972년]] 《[[의사 안중근]]》
         * [[1972년]] 《[[명동잔혹사]]》
  • 최성(배우)
         * [[1972년]] 《[[용호표]]》
         * [[1972년]] 《[[아들 딸 찾아 천리길]]》
         * [[1972년]] 《[[의사 안중근]]》
         * [[1972년]] 《[[명동잔혹사]]》
  • 최성수 (가수)
         | 활동시기 = [[1972년]] ~ 현재
  • 최신해
         * [[1972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1978년 8월 퇴임).
  • 최태영
         학술활동에도 열의를 보여 [[1954년]]부터는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57년]]부터 [[1972년]]까지는 한국상사법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술로 국내 최초로 상법과 관련된 《현행 어음·수표법》을 집필하였고,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1977년]]에 출간한 《서양 법철학의 역사적 배경》은 학술원 저작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태종무열왕
         《삼국사기》는 태종 무열왕의 무덤이 영경사(永敬寺) 북쪽에 있다고 기록하였으며, 지금의 경주시 서악동 842번지의 선도산 동쪽 구릉에 소재한 서악리 고분군의 다섯 고분 가운데 가장 아래에 위치한 원형봉토분이 태종 무열왕의 능으로 비정되고 있다. 봉분의 면적은 14,169m<sup>2</sup>로, 신라의 왕릉 가운데 피장자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무덤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 사적 제20호로 지정되었고, [[1972년]]부터 [[1973년]]에 걸쳐 주변 정비가 이루어졌다.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은 다른 왕릉에 비해 봉분 장식이 소박한 편으로 무덤 주위에 자연석으로 둘레돌을 돌렸다.
  • 태진아
         || '''데뷔''' ||<(> [[1972년]] '내 마음 급행열차' ||
         - 1972년 현대건설사장
  • 편혜영
         | 출생일 = [[1972년]]
         '''편혜영'''(片惠英,[[197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이상문학상 수상자]][[분류: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분류:이효석문학상 수상자]][[분류:이상문학상 수상자]][[분류:동인문학상 수상자]][[분류:절강 편씨]][[분류:현대문학상 수상자]]
  • 하길종
         * [[1972년]] [[화분 (영화)|화분]]
  • 한덕수 (1907년)
         [[경상북도]]에서 태어나 [[1927년]] 성악가가 되려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니혼 대학]] 중퇴후 노동운동에 참가했다. [[1934년]] 조선인 노동자의 파업을 이끌었다가 체포됐다. [[1945년]] [[10월 15일]]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련맹(조련)에 참가해 총무부 담당 위원에 선출됐다. [[1955년]] [[5월 25일]]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결성후 의장단 6명에 포함됐다. [[1958년]] 5월 제4회 전체대회에서 의장단이 해체되고 단일 의장, 부의장제가 도입되자 의장에 선출됐다. 2001년 사망할 때까지 중앙위원회 의장으로 있었다. [[196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됐다. [[1972년]]에는 [[노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1994년]] [[김일성]]이 죽었을 당시 기준으로 서열 4위였다.
  • 함인섭
         [[1962년]] [[8월 11일]]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었다. 1967년 12월 29일부터 1972년까지 농대 학장으로 농과대학원 원장도 겸직했다. 1968년 1월 1일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에 위촉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801060032920702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8-01-*06&officeId=00032&pageNo=7&printNo=6842&publishType=00020 ]</ref> 1968년 1월 1일부터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에 재선임되었다. 강원대학의 학장으로 있으면서 그는 교내에 학술림을 조성하는데도 기여하였다.
         1970년 3월 3일 춘천농과대학이 강원대학으로 바뀌면서 [[강원대학]] 학장이 되었다. 1972년 1월 1일부터 강원대학 학장에 재선임되고, 1972년 8월 31일 정년 퇴임하였다. 이후 학교법인 상임이사, [[강원대학교]] 명예 교수, 중동학교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그밖에 [[농학]] 학문연구 활동으로는 주로 [[콩]](豆)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였다.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그는 [[기독교]] [[장로]]로도 활약하였다. [[1970년]]에는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고 [[1972년]]에는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하였다. 그는 재산을 마련하지 못해 자기 집이 없었고, 일부 제자들과 교직원들이 기금을 마련해서 그의 집을 마련해 주었다. [[1986년]] [[9월 15일]] 오전 10시 [[강원도]] [[춘천시]] [[춘천의료원]]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 1967년 12월 29일 ~ 1972년 강원대학교 농과대학원 원장
         * [[1972년]] [[3월]] 정년 퇴임
         * [[1972년]] [[대한민국의 훈장#국민훈장|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 현기환
         * [[1972년]] [[대신초등학교 (부산)|부산대신국민학교]] 졸업
  • 홍국영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는 홍국영이 묻혔다고 전해지는 묘소가 있었다고 한다. [[1977년]] 발간된 《전국문화재총람》에는 〈강릉 전 홍국영묘〉라는 제목으로 홍국영이 묻혔다고 전해지는 묘소가 설명되어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묘소의 넓이는 약 50평, 크기는 약 1미터 정도로 추정했으며, [[1972년]] 후손들이 발견하였으나 아무런 유물도 찾지 못했다고 한다. 이 지역은 뒤에 [[강릉 종합 운동장]]으로 개발되었으며 지금은 홍국영 묘소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다. 묘소 인근에는 홍국영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가옥이 전하는데, 명확하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사료는 아직 없다.
  • 홍세화
         그러나 [[1967년]] [[10월]] 자퇴하였다. 그 뒤, 다시 재수하여 [[1969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문리대에서 연극반 활동을 하였다. [[1972년]]에 '민주수호선언문' 사건으로 제적되었다가, 다시 복학하였으며, [[1977년]]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ref>동숭동에서 관악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사회과학대학 소속으로 변경</ref> 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 홍연아
         '''홍연아'''(洪姸娥, [[1972년]] [[7월 5일]] ~ ,[[서울특별시]])은 [[대한민국]]의 전직 경기도의원, 전직 경기도 안산시의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민주노동당 (대한민국) 당원]][[분류:통합진보당 당원]][[분류:민중연합당]][[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 홍현우
         '''홍현우'''(洪炫佑, [[1972년]] [[9월 28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내야수]]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KBO 출루율상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한국 프로 야구 150홈런 클럽]][[분류:해태 타이거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광주서석초등학교 동문]] [[분류:광주동성중학교 동문]][[분류:광주동성고등학교 동문]]
  • 황종률 (정치인)
         '''황종률'''(黃鍾律, <small>일본식 이름: </small>光田矗顯, [[1909년]] ~ [[1972년]] [[1월 21일]], [[서울특별시|서울]])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 겸 정치인이다.
         * 1971년 ~ 1972년 :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분류:1909년 태어남]][[분류:1972년 죽음]][[분류:만주국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재무부 장관]][[분류: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분류: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충청북도지사]][[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규슈 대학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평해 황씨]]
  • 황해 (배우)
         * 《[[남과 여 (1972년 영화)|남과 여]]》 ([[1972년]])
         * 《[[인왕산 호랑이]]》 ([[1972년]])
  • 효령대군
         [[1395년]] [[음력 12월 11일]]에 태어나 92세의 천수를 다하고 [[1486년]](성종 17, 丙午年) [[음력 5월 11일]]에 세상을 떠났다.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예장되었다. 묘소는 [[1972년]]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현 사당은 [[1736년]](영조 12)에 왕명으로 효령대군 묘 앞에 처음 세우면서 '청권사'라고 하였다.
11830의 페이지중에 20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