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949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949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신재
         | 활동 기간 = [[1949년]] ~ [[2001년]]
         [[경성부]] 출생으로 1932년 함경남도 청진의 천마소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후 부친이 사망하자 1938년에 서울로 옮겨와서 덕수소학교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1944년]] [[이화여자대학교|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를 2학년 때 중퇴하였다.<ref>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8KOR_A1924_2_002728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ref>[[1949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정순이》,《얼굴》이 문예에 발표되면서 등단하였다. 그 뒤에 꾸준한 창작 활동으로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 강정택
         |임기 = [[1948년]] [[9월 30일]] ~ [[1949년]] [[3월 24일]]
  • 강중인
         [[1946년]] [[민주주의민족전선]] 토지문제연구위원에 임명되었고, 미군정 과도정부의 사법부 총무국장도 지냈다. 같은 해 7월에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이 발생하여 남로당과 미군정이 정면 충돌을 일으켰을 때 위폐 사건 피고인들의 변호를 맡았다. 남로당은 곧 불법화되었고, 강중인은 [[1949년]]에 발생한 법조프락치 사건으로 구속되었다. 1심 재판에서 징역 3년형을 언도받고 항소 중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
  • 곽상훈 (국회의원)
         [[3.1만세운동]]에 가담했다가 투옥된 이후, [[신간회]]·[[상해한인청년동맹]] 등 여러 단체에 가담해 활약하였다. 광복 이후 반탁 운동에 가담했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론에 지지를 보냈다. [[제헌국회의원]]에 선출되고, [[1949년]] 반민특위 위원으로 특위 검찰차장에 임명되어 활약하였으며 [[1955년]] [[민주당 (1955년)|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민주당 (1955년)|민주당]] 신파의 지도자로 활동한다. 5선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을 지내고 4,5대 국회에서는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1955년 민주당 최고 위원이 되었으며, [[1960년]] [[6월]] 일시적으로 [[대한민국의 대통령|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였다. 이어 제5대 국회의원으로 뽑히어 국회 의장이 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그만두고 곧 [[민주당 (1955년)|민주당]]을 탈당하였다. 5.16 직후 [[군사 정권]]이 주는 감투는 거절하고 야인으로 생활하였다. 그러나 이후 [[1972년]] [[유신 체제]]에 참여하여 육영재단 이사장,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여 야당 동료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제헌의회 등원 이후 [[1949년]] [[반민족행위자처벌법]] 제정과정에서는 매우 소극적이었으며 친일파에 대한 처벌의 완화와 특별검찰부의 설립을 반대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반민특위에 스며든 부적격자들, 친일파 청산 좌절의 한 원인|url=http://www.minjog21.com/news/articleView.html?idxno=54|출판사=[[월간민족21]]|저자=김지형 기자|날짜=2003-06-23|확인날짜=2010-08-0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13220726/http://www.minjog21.com/news/articleView.html?idxno=54#|보존날짜=2013-12-13|깨진링크=예}}</ref> [[반민특위]]가 설치되자 [[반민특위]] 위원이 되었으며, 곧 [[반민특위]] 검찰차장에 선출되어 활동했다. 친일분자 색출활동에 나섰으나 [[반민특위]]가 강제로 해산당하면서 실패하였다.
  • 구본능
         '''구본능'''(具本綾, [[1949년]] [[3월 26일]] ~ )은 [[희성그룹]]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능성 구씨]][[분류:경남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범LG가]][[분류:KBO 총재]]
  • 권승렬
         |임기 = [[1948년]] [[10월 31일]] ~ [[1949년]] [[6월 5일]]
         |임기 = [[1949년]] [[6월 6일]] ~ [[1950년]] [[5월 21일]]
  • 권영해 (1888년)
         '''권영해'''(權永海, [[1888년]] [[8월 12일]] ~ [[1949년]] [[6월 23일]])는 [[대한민국]]의 [[한국의 독립 운동|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號)는 산남(山南)이다.
         1948년 6월에서 이듬해 1949년 3월까지 [[한국독립당]] 특임행정촉탁위원을 잠시 지냈다.
         [[분류:1888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안동 권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한국독립당]][[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목회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 김대우 (1900년)
         [[1948년]] [[5월 10일]]에는 초대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으며 그해 9월 2일 [[반민특위]] 재판관 [[곽상훈]]에 의해 공민권 정지 3년형을 선고받았다.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풀려났고 공민권정지 3년형 외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 김대중
         [[1947년]], 김대중은 장인의 권고에 따라 한민당 목포지부에 입당하여 시당 상무위원으로 선출된다. 김대중은 한민당에 들어가 활동하는 한편 앞서 일했던 선박회사에서의 경험을 살려 연안을 운행하는 화물선 [[목포상선주식회사|동양해운]]이라는 회사를 차리고 해운업을 시작한다. [[1948년]] 10월엔 목포일보를 인수하여 1950년 10월까지 사장을 역임했다. [[1949년]] 2월 경엔 하의보통학교 동창인 유재식(兪在埴)의 형이 동양해운 사무실로 찾아와 서울행 여비의 보조를 부탁하여 그의 상경 여비를 도와주었는데, 유재식은 [[남로당]] 섭외부원 겸 [[민주주의 민족전선]] 부위원장이었다. 이에 김대중은 유재식에 대한 자금제공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친구의 형에 대한 단순한 여비 보조라는 점이 밝혀졌고, 또 해군 목포경비부대 정보대장 오세동 중위와 헌병대장 박성철 소위의 신원보증으로 10여일 만에 석방되었다.<ref>김대중 진술서.</ref>
         [[한국 전쟁]] 전후 시기 김대중의 행적에 대해선 김대중 본인이 술회한 기록과 [[1987년]] 작성된 안기부 문건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먼저 김대중의 자서전에 의하면 [[1949년]]에 조직된 [[대한청년단]] 목포해상단에 부단장으로 참여하였다고 한다. 그는 이때 해운 사업도 번창했다고 서술한 바 있는데, 전국 양곡 연안수송을 일괄 계약하고 있던 서울 소재 조선상선주식회사의 목포지구 수송을 전담하는 하청 계약이 성사된 덕분이라고 한다.
  • 김동선 (1905년)
         용인군수로 재직하던 중에 종전이 되었고, [[미군정]]이 시작되면서 그대로 행정공무원으로 등용되었다. [[1946년]]에 경기도 인사처 총무직제과장에 임명되었고, [[1949년]]에는 사무관이 되어 경기도 지방과장으로 근무했다. [[1953년]]에 서기관으로 승진하여 경기도 산업국장으로 이동했다.
  • 김동한 (1919년)
         [[1945년]] [[12월 15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 뒤 [[1948년]] [[8월]]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함창읍]] 소재 함창동성당에서 본당 사제로 부임하여<ref>[http://www.catholicimage.org/comm/board/view.php?tid=church&division=&cate=&cate1=&schf=&schv=&lskin=list&idxNo=3434&refresh=true Catholic Image - Catholic Image<!-- 봇이 붙인 제목 -->]</ref> 1949년 6월까지 사목하였다.
         그 뒤 김동한 가롤로 사제는 [[1949년]] [[6월]]부터 [[1951년]] [[3월]]까지 [[창원시|경상남도 창원]]에서 사목하다가 [[1951년]] [[대한민국 해군|해군]]의 첫 [[군종장교|군종사관]](군종 신부)로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위]] 임관하였다.<ref name="가톨1">[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한국교회사 인물 80) (하)]{{깨진 링크|url=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 가톨릭뉴스</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28492 김동환 신부와 함께하는 故 김수환 추기경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53년 4월 진해 및 인근 본당들과 함께 ‘군민 합동 성체대회’ 개최했으며 이 대회는 진해 지역의 천주교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ref name="가톨1"/> 그 이후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계산성당]] 등에서 사목하였다.
  • 김두환
         [[1945년]] 광복과 함께 귀국한 이후에는 예산군에서 김두환회화연구소를 열었으며 예산농업중학교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했다. [[1948년]] 3월에는 [[경향신문|경향신문사]]의 후원으로 동화백화점(현재의 [[신세계 (백화점)|신세계백화점]]의 전신)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49년]]에는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향원정》으로 입선했다.
  • 김문오
         '''김문오'''(金文澳, [[1949년]] [[5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방송의 직원]][[분류:대한민국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김범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 장교 복무하여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훈국 정훈과]] 과장 재직하던 중 [[1949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중령]] 예편하였다. 이후 무소속 국회의원을 거쳐 [[계림학숙]]의 초대 교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화랑외사]](花郞外史)》가 있다.
  • 김병철 (1949년)
         |출생일= [[1949년]] [[9월 22일]]
         '''김병철'''(金炳喆, [[1949년]] [[9월 22일]] ~ , [[서울특별시]])은 [[대한민국]]의 교육인이자 [[농학|농학자]]이다. 2011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총장]][[분류: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총장]][[분류:괴팅겐 대학교 동문]]
  • 김상홍 (1964년)
         김상홍의 공식 경력은 지역 유지로서 평범한 편이나, 광복 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 당시 연령은 57세였다. 주로 추궁당한 것은 집에 가정용 감실인 [[가미다나]]를 설치하고 아침저녁으로 배례를 정성으로 하였으며 [[신사참배 강요]] 정책에 적극 호응하여 매일 단독으로 신사에 참배하는 등 일제의 황민화 정책에서 특별히 모범을 보인 일이었다. 장남의 결혼식도 앞에서 거행했다. 김상홍은 이 가운데 단독 신사참배 사실은 부인했고, 아들의 신사 앞 결혼식도 비용 절감을 위해서였다고 변명했다.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http://www.pcic.go.kr:8088/pcic/pdsBoard.do?action=view&boardId=banmin&articleId=9 피의자 심문조서 - 김상홍]{{깨진 링크|url=http://www.pcic.go.kr:8088/pcic/pdsBoard.do?action=view&boardId=banmin&articleId=9 }}〉(1949년 8월 17일)
  • 김상홍 (교육인)
         김상홍의 공식 경력은 지역 유지로서 평범한 편이나, 광복 후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 당시 연령은 57세였다. 주로 추궁당한 것은 집에 가정용 감실인 [[가미다나]]를 설치하고 아침저녁으로 배례를 정성으로 하였으며 [[신사참배 강요]] 정책에 적극 호응하여 매일 단독으로 신사에 참배하는 등 일제의 황민화 정책에서 특별히 모범을 보인 일이었다. 장남의 결혼식도 [[신사 (신토)|신사]] 앞에서 거행했다. 김상홍은 이 가운데 단독 신사참배 사실은 부인했고, 아들의 신사 앞 결혼식도 비용 절감을 위해서였다고 변명했다.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http://www.pcic.go.kr:8088/pcic/pdsBoard.do?action=view&boardId=banmin&articleId=9 피의자 심문조서 - 김상홍]{{깨진 링크|url=http://www.pcic.go.kr:8088/pcic/pdsBoard.do?action=view&boardId=banmin&articleId=9 }}〉(1949년 8월 17일)
  • 김성수 (1891년)
          | 경력 = 경성방직 사장<br>[[동아일보]] 사장<br>조선인민공화국 문교부 부장<br>조선인민공화국 내각중앙대표인민위원<br>[[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최고위원 겸 고문
          | 정당 =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1949년]]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의 최고위원이 되었고, [[한국 전쟁]] 기간인 [[1951년]] 5월부터 [[1952년]] 8월까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부통령|제2대 부통령]]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이승만]]이 [[부산 정치 파동]]으로 헌법을 개정하여 재선을 추진하자 부통령직을 사임하였다. [[1954년]] 이승만의 장기 집권에 반대하는 [[호헌동지회]]에 참여하여 통합 야당인 [[민주당 (대한민국, 1955년)|민주당]]의 창립 준비에 관여하였고, [[1955년]] 2월 18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임종 직전 [[로마 가톨릭교회]]의 세례와 [[병자성사]]를 받았다.
         민국당 창당 무렵의 김성수 (1949년)
         {{참고|민주국민당 (1949년)|한국 전쟁}}
         [[1949년]]까지 그는 [[한국민주당]]을 이끌어 오다가 [[2월 10일]] [[한민당]]이 [[신익희]]의 [[대한국민회]]와 통합하여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대한민국 제2공화국|제2공화국]] 집권여당 [[민주당 (대한민국, 1955)]]의 전신)을 창당하고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최고위원에 취임하였다.<ref>인촌기념회, 인촌김성수전(인촌기념회, 1976) 562페이지</ref> 그는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의 대표격이었다. 그해 [[8월 20일]] [[김규식 (1881년)|김규식]]을 총수로 하는 [[민족진영강화위원회]](약칭 민강위)가 조직되었다. [[8월 20일]] 김성수는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ref>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 2008) 302</ref> [[6월 26일]] [[한국독립당]] 당수 [[김구]]가 암살되자 [[김구]]의 국민장에 참석하였다.
         김성수는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이 [[조봉암]]의 신당 참여문제로 알력이 심하였을 때, 민주대동의 입장에서 [[조봉암]]과 합작할 것을 보수파에 권고하였다.<ref name="서중석92"/> 보수파들은 김성수의 정치적 영향력에 마지못해 [[조봉암]]이 [[반공주의]]노선을 견지하겠다는 것을 공적으로 약속한다면 좋다는 태도로 나와, 김성수는 [[조봉암]]에게 태도를 명확히 표명해줄 것을 권고하였다.<ref name="서중석92"/> [[조봉암]]은 새로운 성명서를 작성해서 [[2월 22일]] 발표하였으나 김성수는 [[조봉암]]의 새로운 성명서는 보지 못하고 말았다.
         *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대한민국의 부통령|부통령]]||2대||[[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막대|황|5|1|3}} 51.3%||78표||1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9/Flag_of_the_President_of_South_Korea.svg/25px-Flag_of_the_President_of_South_Korea.svg.png
         |임기 = 1947년 12월 2일 - 1949년 12월 10일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학 설립자]][[분류:고려대학교]][[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부통령]][[분류:반공주의자]][[분류:한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분류:호헌동지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한국민주당 당원]][[분류:민주국민당 (1949년) 당원]][[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세이소쿠가쿠엔 고등학교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암살 미수 생존자]][[분류:병사한 사람]]
  • 김양 (1953년)
          | 친인척 = [[백범 김구|김구]](친조부) <br/> [[임학준|임학규]](외조부) <br/> [[김진 (1949년)|김진]](형) <br/> 김휘(남동생) <br/> 김미(누이동생) <br/> 김윤(남동생)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에서 출생하였고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성장한 그는 [[백범 김구]]의 손자이며,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대한민국 건설교통부|건설교통부]] 장관·[[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중화민국|중화민국 타이완]] 주재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대사]] 등을 지낸 [[김신 (1922년)|김신]]의 둘째 아들이고, [[김진 (1949년)|김진]]의 동생이기도 하다. 본관은 [[구 안동 김씨|안동]](安東)이다.
         * 할아버지 :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
         ** 형: [[김진 (1949년)|김진]](金振, [[1949년]] [[10월 30일]] ~ ,前 대한주택공사 사장)
         * [[김진 (1949년)|김진]]
  • 김열 (공무원)
         '''김열'''(金悅, [[1949년]] [[10월 22일]] ~ , [[울산광역시|울산]])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이자, [[한국특허정보원]]장을 지낸 특허 분야 공무원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부산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분류:울산광역시 출신 인물]]
  • 김영수 (1930년)
          | 복무 기간 = [[1949년]] ~ [[1972년]]
         * [[1949년]] [[중앙고등학교|서울]] 중앙고등학교 졸업
         * [[1949년]] 공군 소위 임관하여 공군 항공사령부 작전장교로 배속 직위 보임
  • 김영환 (1921년)
         [[1948년]] [[7월 21일]] [[대한민국 육군|육군]] 항공기지사령부로 전속되어 작전과장 겸 인사과장으로 활동한 그는 [[1949년]] [[3월 15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공군 소령 재임관 직후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으로 이동하여 대대장으로 근무하였고, 1950년 2월 20일, 대한민국 공군 중령 진급하여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5대대 대대장으로 재임하고 있었다. [[1951년]] [[8월 1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제1전투비행전단 제10대대 대대장으로 임명된 데 이어 [[9월 25일]] [[대한민국 공군|공군]] [[강원도]] [[강릉시|강릉]]전진기지사령부 부참모장으로 보임되었다.
  • 김윤경(1949)
         '''김윤경'''(金允景, 본명은 '''김홍복'''(金洪福), [[1949년]] [[11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대표작으로는 [[영화]] 《[[석별]]》, [[드라마]] 《[[풀잎마다 이슬]]》, 《[[당신이 그리워질때]]》 등이 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68년 데뷔]][[분류:부여군 출신 인물]]
  • 김윤정 (1869년)
         </ref>,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다. 경무관 재직 시절 [[일본인]] 쓰치다 조스케(土田讓亮)를 살해한 혐의로 끌려온 [[김구|김창수]](독립운동가 백범 김구의 본명)를 심문하기도 했고, 외교관으로 있을 때는 미국 국무부에 고종의 밀서를 전달해 달라던 [[이승만]]의 청을 거절하였다.
         ** 사위 : [[윤치오]](尹致旿, [[1869년]] [[8월 5일]] ~ [[1949년]] [[12월 2일]])
         [[분류:1869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대한제국의 외교관]][[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청도 김씨]][[분류:암살 미수 생존자]]
  • 김윤호
         * [[1949년]] [[경신고등학교 (서울)|경성 경신고등보통학교]] [[졸업]]
  • 김인영 (목회자)
         광복 후인 [[서울특별시|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중구]]에 [[남산교회 (서울 서초구)|남산교회]]를 세우고 담임목사를 맡았다가 이듬해에는 감리교단의 대표 격인 [[정동제일교회]]로 옮겼다. 광복 후에 감리교단은 친일파 청산 문제를 놓고 재건파와 부흥파로 나뉘었다. 김인영은 [[1949년]] 합동총회에서 두 파가 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를 탄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김정렬 (1917년)
          | 복무 기간 = 1941년 ~ 1957년 1월 6일 <br/> {{육군|일본제국}}[[1941년]] ~ [[1945년]] <br />{{육군|대한민국}}[[1946년]] ~ [[1949년]] <br />{{공군|대한민국}}[[1949년]] ~ [[1957년]] [[1월 6일]]
          | 최종 계급= 일본 육군 대위(1945년) <br /> 대한민국 육군 대령(1949년) <br />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중장|공군}} 전역(대한민국 공군 예편) - [[1957년]] [[1월 6일]]
         [[1940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1941년]] 일본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조종수로 출전하였다. 해방 후 창군에 참여하고 [[1949년]]에는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참여하여 초대,3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57년]] 중장 예편 이후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1963년]]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의 초대 의장이 되었다가 그 해에 주미대한민국대사로 부임, 1년간 근무했다. 1966년에는 반공연맹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1967년]]에는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기업인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때 총리 서리로 발탁되어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1949년]] [[육군 항공대]]가 [[대한민국 공군|공군]]으로 독립하자 김정렬은 동생 [[김영환 (1921년)|김영환]]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공군]]의 창군에 참여하여 [[대한민국 공군]]의 초대 [[참모총장]]이 되었다.<ref>한편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은 [[대한민국 육군]] 창군에 참여하였다.</ref> 한편 공군의 [[장군|장성]]으로 진급하여 당시 육군 [[대령]]으로 있던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보다도 더 직급이 높아졌다. 이후 초대, 제3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하였는데 당시 육군 [[대령]]인 아버지 [[김준원 (1888년)|김준원]], 공군 대령인 동생 [[김영환 (1921년)|김영환]] 등도 참전하였다. [[6.25 전쟁]] 이후 공군사관학교 교장, 군사정전회담 한국군 연락장교단 단장, 주한(駐韓)[[유엔군사령부]] 한국군사사절 단장, [[공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1949년)
         |임기 = [[1949년]] [[10월 31일]] ~ [[1952년]] [[11월 1일]]
  • 김정렴
         |복무기간 = [[1949년]] ~ [[1952년]]
         [[1944년]] [[조선은행]]에 입행하여 재직 근무하던 중 [[1949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준위]]로 임관되어 잠시 [[분대 (군사)|분대장]]으로 복무한 후 [[1952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준위]]로 예편하였다.
         *** 장남: 김두경(金斗經, [[1949년]] [[10월 10일]] ~ )
  • 김정록 (미학자)
         남작 작위를 세습하고 조선귀족 단체인 에서 매달 150원의 생활보조비를 수령한 사실이 있어 광복 후인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자수하여 조사를 받았다. [[1939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혜화전문학교 교수로 부임했다가 신병으로 사임한 상태였다.
  • 김정수 (1949년)
         '''김정수'''(金井秀, [[1949년]] [[12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울릉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1949년 태어남]][[분류:1967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
  • 김정호 (1949년)
         '''김정호'''(金正鎬, [[1949년]] [[2월 15일]]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농림부 차관]][[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종민 (동음이의)
         * '''[[김종민 (정치인)|김종민]]'''(金鍾民, [[1949년]] [[2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낸 공무원이다.
  • 김종석 (1918년)
         |생애=[[1918년]] ~ [[1949년]]? (31세)
         |복무 기간=[[1941년]] ~ [[1949년]]
         '''김종석'''(金鍾碩, <small>일본식 이름: </small>日原正人 <small>니치하라 마사히토</small>, [[1918년]] ~ [[194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다.
         |장=박정희 - 한국의 1960·70년대를 독점한 인물}}</ref> 1949년 8월 2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서울시 은평구]]에 소재한 모처에서 총살됐다. 형장에서 이슬로 사라지기 전에도 여유를 잃지 않고 해맑게 웃으면서 미군정 소속 장교들과 악수하면서 농담을 주고받았고 총살당하기 직전에도 웃으며 인민공화국의 적기가를 불렀다.<ref name="ReferenceA">다큐멘터리,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제5화 여수 14연대 반란 1999. 10. 17.</ref> 하우스만의 유고에는 김종석을 두고 군사학교 출신의 수재로 정보장교로 키우고 싶었던 아까운 영재라고 적혀 있다.<ref name="ReferenceA"/>
         [[분류:1918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대한민국 육군 중령]][[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김해 김씨]][[분류: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군사영어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조선경비보병학교 동문]][[분류:총살형된 사람]]
  • 김종태(1949)
         || '''출생일''' ||<(> [[1949년]] [[3월 16일]] (만 [age(1949-03-16)]세) ||
         1949년, [[경상북도]] [[상주시|상주군]] 에서 태어났다. 상주낙동국민학교, 상주중학교, [[상주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영남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했다가 [[중퇴]]하고 [[육군3사관학교]]에 입교, 3사 6기로 1972년에 임관했다. 2008년에 [[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국군기무사령관]]으로 보임했고, 2010년을 마지막으로 [[중장]]으로 예편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
  • 김준원 (1888년)
         이후 [[일본군]] 장교가 되어 [[1923년]]에 일본 육군 보병 대위에 올랐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 [[대한민국 국군]]이 창설될 때 참여하여 [[1949년]]에 육군 소령이 되면서 김정렬과 함께 국군에서 복무했다.
  • 김지태 (1908년)
         [[1949년]] [[부산일보]]를 인수하였다. [[1958년]] [[부일장학회]]를 설립하였고, [[1959년]] [[부산문화방송]]을 개국하고, [[1961년]] [[문화방송]]을 개국하였다.
  • 김진
         * '''[[김진 (1949년)|김진]]'''(金振, [[1949년]]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김진 (1949년)
         '''김진'''(金振, [[1949년]] [[10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가]]이다.
         * 할아버지: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 독립운동가이며 현재 100,000[[대한민국 원|원]]권 지폐 초상으로 선정됨)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 공군 군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최고경영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김창숙(배우)
         [[분류:한국 여배우]][[분류:완도군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분류:1968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
         || '''출생''' ||[[1949년]] 1월 15일([[전라남도]] [[완도군]])||
  • 김호규
         [[1949년]] [[1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으나 [[반민특위]]의 해체로 그해 [[2월]]에 풀려났다.
  • 나선화
         '''나선화'''(羅善華, [[1949년]] [[6월 26일]] ~ [[서울특별시|서울]])는 [[대한민국]]의 제8대 [[대한민국의 문화재청장|문화재청장]]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7&aid=0000241508 나선화 문화재청장 내정자 "문화재 관리 정책에 힘쓸 것"] 《MBN》 2013년 12월 24일 이동훈 기자</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672084 나선화 문화재청장 취임 "가장 중요한 자원은 문화재"] 《연합뉴스》 2013년 12월 27일 김태식 기자</ref>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청장]][[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바른정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정치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나주 나씨]]
  • 노덕술
         | 임기 = [[1948년]] [[8월 21일]] ~ [[1949년]] [[1월 24일]]
         | 복무기간 = [[1949년]] ~ [[1955년]]
         그는 [[경상남도]] [[울산광역시|울산군]] 출신 (현 [[울산광역시]]) 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고등계 형사 겸 친일 경찰이었으며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친일파 경찰에서 수도경찰청 간부로 활약하여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반공 투사"라고 극찬을 받기도 하였다. [[1948년]] [[10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및 정부요인 암살 음모 사건]]의 이종형, 박흥식과 함께 주범 중 한명이며,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된 바가 있었으나 반민특위 해체로 풀려나 경찰직 복귀 이후에도 대한민국 경찰직에서 고위간부로 지내는 등의 호사를 누렸다.
         [[1949년]] [[1월 24일]], [[반민특위]]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는 백민태라는 청부업자를 고용하여 '반민특위 간부들을 암살하라.'고 지시한 음모가 알려지면서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이틀 뒤, [[대한민국]] 대통령 이승만은 '노덕술은 반공투사다. 그를 풀어줘라.'라고 그의 석방을 요구했고, [[반민특위]]는 석방을 거절했으나 얼마 안가 대통령 이승만과 내무차관 장경근의 주도하에 조작된 [[국회프락치 사건]], '6.6 반민특위 습격사건' 등으로 반민특위는 와해되었고, 노덕술은 풀려나게 되어 경기도 경찰부 보안주임으로 영전한다. 이후 헌병 중령으로 변신하여 [[1950년]]에는 육군 본부에서 범죄수사단장으로 근무하는 등 대공업무를 담당하였으며, [[1955년]] 서울 15범죄수사대 대장을 지냈다. [[1955년]], 부산 제2육군범죄수사단 대장으로 재임 시의 뇌물수뢰 혐의로 그 해 11월 육군중앙고등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징역 6개월을 언도받으면서 파면되었다. 이후 [[1956년]] 이후 고향 [[울산광역시|울산]]으로 내려가 칩거 생활하면서 지내다가 [[1960년]] 7월 제5대 국회의원(민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이후 행방이 묘연해졌다가 [[1968년]] 4월,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병사했다.
         * [[1949년]] [[1월 24일]] [[반민족행위자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 요인 암살 음모 혐의로 체포
         * [[1949년]] [[1월 26일]] 이승만 대통령의 석방 요청, 반민특위의 요청 거절
  • 대구 (동음이의)
         **'''[[대구시]]'''(大邱市, [[1949년]] - [[1981년]])는 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이다.
         **'''[[대구부]]'''(大邱府, [[1895년]] - [[1896년]], [[1910년]] - [[1949년]])는 한국의 폐지된 행정구역이다.
  • 문주란 (가수)
         '''문주란'''(文朱蘭, <small>본명:</small> 문필연 (文必蓮) [[1949년]] [[9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1949년]]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65년]] 중학교 3학년인 어린 나이로 [[부산MBC]] '''톱 싱거 경연대회'''에서 〈보고싶은 얼굴〉로 1등을 한 뒤 [[1966년]] [[2월]] 〈보슬비 오는 거리〉, 〈동숙의 노래〉, 〈봄이 오는 고갯길〉이 수록된 음반을 내면서 가요계에 정식으로 데뷔했다. 이 음반으로 그해 국제가요대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하였고, 무궁화상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또 1972년까지 TBC 가요상에서 신인상을 수상했다. [[1967년]]에는 군사영화 《장렬 509 대전차대》에도 출연한 바 있으며, [[1967년]]과 [[1968년]]에는 [[MBC]]에서 주최한 [[MBC 가요대제전|MBC 10대 가수 가요제]]의 10대 가수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1966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경호 (1949년)
         '''박경호'''(朴慶鎬, [[1949년]] [[12월 1일]] [[달성군]] [[화원읍]]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전직 대구 달성군수이며 현재는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대구시당 대외협력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달성중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박근혜
         박정희는 소령이던 1949년, [[여순 사건]]에 따른 숙군 여파로 육군 [[특무대]](현재의 [[국군기무사령부]])의 가혹한 고문끝에 [[남조선로동당]] 가입 혐의로 육군 고등군법회의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파면되어 육군 정보국에서 직제에도 없는 문관으로 근무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의 발발로 인해 가까스로 복직하고 대구사범학교 후배이자 부하 장교인 송재천(육영수의 이재종오빠)의 소개로 만난 육영수와의 재혼에 따른 안정기를 구가하던 시절이 박근혜가 태어난 무렵이다. 한국 전쟁이 휴전에 들어가자 군인인 아버지의 임지를 따라 전라남도 광주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며 유년기를 보냈다.
         * 조모 [[백남의]] (白南義, [[1872년]] ~ [[1949년]])
  • 박봉성
         '''박봉성'''(朴峰性, 본명: 박종구, [[1949년]] [[3월 29일]] ~ [[2005년]] [[10월 15일]])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49년]] [[3월 29일]] 경남~부산[[부산광역시|현재 부산광역시]]에서 4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나, [[1996년]] [[부산예술학교]] 만화학과 출강을 하였고, [[1999년]] [[부산예술대학교|부산예술문화대학]] 겸임교수가 되었으며, [[2005년]] [[10월 15일]] 오후 4시 30분 산행 도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사망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2005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심근 경색으로 죽은 사람]]
  • 박서양 (1885년)
         * 부인 : 경주 이씨([[1883년]] - [[1949년]] [[4월 19일]]<ref>서울 중구 인현동에서 사망</ref>)
  • 박순천 (국회의원)
         [[1949년]] [[8월 20일]] 민족진영강화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고,<ref>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역비한국학연구총서 13)(서중석 지음| 역사비평사 펴냄 | 2008) 302</ref> [[1950년]] 대한부인회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된 것을 시작으로 [[부산]]과 [[서울]]에서 거듭 당선되면서 2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후 [[1954년]] [[5월]] 제3대 국회의원 총선거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낙선하였다.
  • 박인천
         ** 자부 : 이경렬 ([[1949년]] ~ , 제18대 재무부(현 [[기획재정부]]) 이정환 전 부총리의 차녀
         ** 사위 : [[임창욱]] ([[1949년]] - , [[대상그룹]] 명예회장)
  • 박흥렬 (공무원)
         '''박흥렬 '''(朴興烈, [[1949년]] [[3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제38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을 지낸 군인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대한민국의 대통령경호실장|대통령경호실장]]을 역임하였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
  • 배금택
         '''배금택'''(裵錦澤, [[1949년]] [[8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으며, [[전남대학교]] 생물학과를 중퇴하였다. 첫 작품은 《미스 도돔바》([[1967년]])이며, 사춘기 소녀의 일상생활을 다룬 《[[영심이]]》([[1990년]])가 히트하여 TV 애니메이션화 되기도 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
  • 배영식
         [[1949년]] [[3월 15일]] ~
         1949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미국]]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과정을 졸업, 수료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성주군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
  • 배운성
         |페이지=255쪽}}</ref>, [[1949년]] 열린 초대 [[대한민국미술대전]]에 추천작가 및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이때 출품한 작품은 종교적 소재를 담은 〈성호(聖護)〉였다.
  • 백낙청
         ** 제수 : [[김윤희]](金潤喜, [[1949년]] ~ ), 대학교수 ([[김치열]]의 딸)
  • 백성욱
         [[1948년]]부터 이듬해 [[1949년]]까지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고, [[1950년]]에는 [[대한민국 내무부|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53년]]에서 [[1961년]]까지 제2대 [[동국대학교]] 총장을 지낸 그는 [[1930년대]]에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으며, 한때 그의 처남을 통하여 귀국한 [[이승만]] 내외에게 [[이화장]] 부지를 제공하기도 했다. 출가 직전인 [[1928년]]에는 잠시 [[김일엽 (승려)|김일엽]]의 연인이기도 했다. 백성욱이 떠난 후에 김일엽도 출가를 하게된다
  • 변기종
         대한민국에서는 연극 무대를 주요 활동지로 삼으면서 영화 배우 활동도 병행하였다. 데뷔 초기의 연쇄극 출연을 제외하면, [[1949년]]에 출연한 《마음의 고향》이 본격적인 영화 데뷔작이다.
  • 서인석(1949)
         || '''출생''' ||[[1949년]] [[2월 22일]] ([age(1949-02-22)]세), [[충청북도]] [[충주시]]||
         徐仁錫. [[대한민국]]의 탤런트로 [[1949년]] [[2월 22일]]생, [[충청북도]] [[충주시]] 출신이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1949년 출생]][[분류:충주시 출신 인물]]
  • 서정국 (1896년)
         [[태평양 전쟁]] 종전 후에도 [[미군정]] 하에서 청주지방법원 법원장에 임명되어 그대로 판사로 재직하였다. 대전지방법원 법원장을 거쳐 [[1949년]]에는 부산지방검찰청 검사장이 되면서 검사로 전직하였다. 부산지검장을 지내는 동안 [[국민보도연맹]] 결성 작업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한 일이 있다.<ref>{{서적 인용
  • 손진태 (1900년)
         광복 이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대한민국 문교부|문교부]] 차관보 겸 동 편수국장을, [[1949년]]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을, [[1950년]]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9월에 [[납북]]되었으며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 민족문화의 연구》, 《조선 민족사 개론》 등이 있다.
  • 송도순
         '''송도순'''([[1949년]] [[7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 출신 방송인이다.
         [[1949년]] [[7월 15일]] 5남매중 막내로 [[서울특별시]](당시 서울특별자유시)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황해도]] 출신으로, [[광복절|일제 강점기 해방]] 직후 월남했다. 출생 이듬해인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서울특별시|서울]]으로 피난길에 오른 후 다시 서울로 돌아와를 졸업했다.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진학한 후 교수의 추천으로 성우시험에 응시해, [[1967년]] [[동양방송|TBC 동양방송]] 공채 3기 수석으로 입사하며 성우 생활을 시작했다.<ref>{{뉴스 인용|저자=김문|제목=[김문기자가 만난사람] 최근 17년 진행 교통방송 떠난 성우 송도순씨|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416028001|뉴스=[[서울신문]]|출판사= |위치=28면|날짜=2007-04-16}}</ref>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196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성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신석우 (1895년)
          | 임기 = 1949년 3월 ~ 1950년 1월
         광복 후 신석우는 [[1949년]] [[중화민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 신영식(만화가)
         [[1949년]] [[2월 11일]]에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고등학교[* 현 [[서라벌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라벌예술대학[* 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를 다니다 중퇴한 뒤 1971년 소년한국일보에 <승리의 그날>을 시작으로 만화계에 데뷔한 뒤 주로 반공, 전쟁 등을 소재로 한 극화만화를 그려오다 1980년에 소년동아일보(현 어린이동아)를 통해 4쪽짜리 만화 <돌배군>을 장기간 연재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 신태영 (1891년)
         [[1949년]] 준장으로 진급, 호국군참모부장이 되었으며, [[1949년]] [[10월]] 소장진급과 함께 제3대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참모총장]]이 되었으나 재임 기간 7개월 만인 [[1950년]] [[4월]]에 스스로 물러났다. 그것은 당시의 국방부 수뇌들과 의견이 맞지 않았고, 정세 판단에서도 낙관적인 견해를 보인 당시의 미국 고문관들과 달랐기 때문이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육군|육군]] [[전라북도]] 편성관구사령관으로서 이 지역의 방어에 임하였다. 그러나 이 때도 당시의 국방장관 [[신성모]]와 작전상의 의견충돌을 빚었으며 이에 따라 [[1950년]] 7월 해임되었다. [[1952년]] 1월 복직되면서 곧 중장으로 승진하였으며, 2개월 후 1952년 3월, 육군 중장 예편과 동시에 국방부 장관이 되어 휴전 협정이 성립되기 직전까지 1년 3개월간 재임하였다. 같은 해 [[대한민국 재향군인회|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대한 제대장병보도회 회장)도 지냈다.
         |임기 = [[1949년]] [[10월 1일]] ~ [[1950년]] [[4월 9일]]
  • 신현돈 (정치인)
         |임기 = [[1948년]] [[9월 10일]] ~ [[1949년]] [[8월 16일]]
  • 신현준(군인)
         [[8.15 광복]] 후 잠시 [[광복군]]에 편입되었다가 귀국하여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한 뒤 [[해군]] [[중위]]로 [[임관]]하였다. 같은 해 인천기지사령관을 거쳐 [[1948년]]에는 진해특설기지 참모장에 임명되었으며, [[1949년]] [[4월 15일]]에 약 380명의 병력으로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될 때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당시 계급은 [[중령]]이었다.]
  • 안숙선
         '''안숙선'''(安淑善, AHN Sook Sun, [[194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중요 무형 문화재 보유자|인간문화재]]이다.<ref name="doopedia">{{웹 인용|url=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2871|title=안숙선|publisher=[[두산세계대백과사전]]|accessdate=2015-05-15|language=한국어}}</ref> [[종교]]는 [[불교]]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판소리 명창]][[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양상국 (바둑 기사)
         '''양상국'''(梁相國, [[1949년]] [[2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양세웅
         마지막 작품은 [[1949년]] 고향인 부산에서 찍은 《해연(海燕)》이다. 처제인 김영희가 조선영화주식회사에서부터 편집기사로 활동하였고, [[1960년대]]에 [[신필름]] 편집기사를 지낸 양성란은 양세웅의 딸이다.
  • 양윤재
         | 출생일 = [[1949년]] [[2월 21일]]
         '''양윤재'''([[1949년]] [[2월 21일]] ~ )는 [[대한민국]]의 대학교수, 정치인이다.<ref>{{뉴스 인용|제목=조선일보 인물DB|url=http://cdb.chosun.com/search/db-people/i_service/manDisAllXml.jsp?uci=G010+1-02141999110100161095|출판사=조선일보|날짜=|확인날짜 =2016년 4월 29일}}</ref>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부시장]][[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양주남
         * [[1949년]] [[영화]] 《나라를 위하여》로 영화 녹음기사 데뷔.
         * [[1949년]] [[영화]] 《성벽을 뚫고》로 영화 녹음감독 데뷔.
         * [[1949년]] [[대한민국 국방부|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 문관에 전격 발탁.
         * [[1949년]] 《나라를 위하여》
         * [[1949년]] 《[[성벽을 뚫고]]》
  • 어우홍
         [[부산광역시]] 출신으로 [[1949년]] 동래중 (현재 [[동래고등학교]])에서 투수로 야구를 시작해 제3회 전국지구 대표 중등학교 야구쟁패전(현 [[황금사자기]])에서 최우수 선수로 뽑히며 이름을 날렸다.<ref>[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0807091444475&code=900315 김창영, '어우홍 전 국가대표 야구 감독의 쓴소리'] 《경향신문》, 2008, 7, 10.</ref>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실업 야구에 몸담아, [[한국전력]] 등에서 1루수로 활약했다.
  • 오위영
         금융계에서 활동하던 중 광복 직후 1945년 9월 [[미군정]]이 주둔하면서 금융계 경력이 인정되어 1947년 신탁은행의 이사로 선임되었다. 미군정 기간 중 신탁은행 이사로 있으면서 기반을 쌓아 이를 바탕으로 부산일원의 자산가로 급부상하였다. [[1949년]] 신탁은행 총재가 되고, 그해 [[미국]] 시찰 중 [[주미한국대사]] [[장면]]을 만났으며, 그의 청렴성에 감명받아 귀국후 [[대통령]] 이승만에게 이를 알리고, 후에 그를 총리로 천거하게 된다.
  • 오지철
         '''오지철'''(吳志哲, [[1949년]] [[12월 30일]] ~ , [[서울특별시|서울]])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언론인이다. 제9대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차관]],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하고, 현재 [[TV조선]] 대표이사이다. 본관은 [[함양 오씨|함양]].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차관]][[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함양 오씨]]
  • 우건도
         || '''출생일''' || [[1949년]] [[9월 5일]] (만 [age(1949-09-05)]세) ||
         1949년 충청북도 [[괴산군]] 상모면(현 충주시 수안보면)에서 태어났다. 수안보초등학교, 충일중학교, [[충주고등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의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충주시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
  • 원덕상
         |페이지=448쪽}}</ref> 하였고, 서울 지역 유지이자 기업인으로 계속 활동하였다. [[1949년]]에 출간된 《대한민국인사록》에는, "경성의 명사 중의 명사"라는 설명과 함께 "의사 출신으로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사업계에 탁월한 식견과 수완을 가진 사람"이라는 인물평이 실려 있다.
         1949년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따라 반민특위에 잠시 체포된 일이 있으나,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같은 중추원 참의 출신으로서 이때 역시 기소유예 처분으로 석방된 [[현준호]]와는 동서 사이라는 설이 있다.<ref>{{서적 인용
  • 원용덕
         [[8.15 광복]] 후 월[[대한민국|남]]하여 [[1945년]] [[12월 5일]] [[미군정]]이 [[군사영어학교]]를 만들 당시 [[이응준 (군인)|이응준]], [[조병옥]]과 함께 [[미군정]]으로부터 [[생도]] 모집을 위탁받게 되어 자신은 부교장에 취임했다.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 초대 [[사령관]]과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거쳐 육군 제8연대장을 지냈고 [[1947년]] 육군 제2여단장, [[1949년]] 육군 제5여단장을 거쳐 육군본부 행정참모부장을 지냈으며 [[1950년]] 육군본부 호국군사령부 부사령관, [[1952년]] 육군 제2군단 부군단장과 국방부 장관 특별보좌관을 거쳐 육군 영남지구 계엄사령관을 지냈으며 [[1953년]] 초대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을 거쳐 이듬해 [[1954년]] 초대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연합참모본부 헌병 총사령부 총사령관]] 등으로 [[대한민국 국군|국군의 창군]] 및 초기 형성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 [[박정희]], [[정일권]], [[이주일 (1918년)|이주일]] 등이 속한 [[만주군]] 인맥에서 가장 연장자이며 상급자였다.
  • 유시환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정부가 수립되고 [[반민족행위처벌법]]이 공포되어 반민특위가 활동을 시작한 [[1949년]] 당시 생존해 있었다. 유시환은 반민특위의 조사를 받았으나 반민특위의 활동이 방해를 받고 해체되는 과정에서 특별검찰부의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 유한식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출생일 ''' }}} ||<(> [[1949년]] [[6월 20일]] ([age(1949-06-20)]세) ||
         [[1949년]] [[6월 20일]] 생 ([age(1949-06-20)]세), [[충청남도]] 연기군 (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생하였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비오이다. 농어촌 관련 공무원으로 활동하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중심당]] 소속으로 도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1949년 출생]][[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유홍준
         '''유홍준'''(兪弘濬, [[1949년]] [[1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미술사학자, 교수이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제3대 [[대한민국 문화재청|문화재청]] 청장을 역임하였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현재 12권)의 저자로 잘 알려져 있다. 본관은 [[기계 유씨|기계]](杞溪), 호는 외산(外山)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명지대학교 교수]][[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만해문학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청장]]
  • 윤강로
         광복 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서 심문을 받았으나, 반민특위가 곧 해체된데다 습작 당시 나이가 20대 초반이었기에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고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1960년대]]까지 서울에서 병원을 경영했다.<ref>{{저널 인용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피의자신문조서 - 윤강로〉 (1949년 7월 15일)
  • 윤고려
         * 남편: [[윤치오]](尹致旿, [[1869년]] [[8월 5일]] - [[1949년]] [[12월 2일]])
         * 친정아버지: [[김윤정 (1869년)|김윤정]](金潤晶,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
  • 윤기선
         1945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에서 재직하다가 그해 [[5월]] [[미국]]으로 건너갔다. 1948년 [[6월]] 하와이 연주에 갔다가 바로 [[미국]] [[줄리어드 음악학교|줄리어드 음악대학원]]에 입학하면서 눌러앉게 된다. [[1949년]] [[12월]]에는 뉴욕에서 성공적인 연주회를 하기도 했다.
  • 윤기정
         | 임기 = [[1949년]] [[6월 1일]] ~ [[1950년]] [[5월 31일]]
  • 윤상구 (1949년)
         '''윤상구'''(尹商求, [[1949년]] [[10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사회 사업가이다.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전 대통령인 [[윤보선]]과 신학자 겸 시민운동가 [[공덕귀]]의 장남이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위원장, 국제로터리 제3650지구 총재, 국제로타리 이사, 2016 국제로타리세계대회 호스트조직위원장, 국제로타리 재단이사 등을 역임했다. 호는 중정(中庭), 본관은 [[해평 윤씨|해평]](海平)이다. [[서울특별시|서울]] 출신.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분류:윤치호]][[분류:윤보선]][[분류:윤치영]][[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시러큐스 대학교 동문]][[분류:서강대학교 동문]]
  • 윤영선 (1896년)
         [[1948년]]부터 [[인천광역시|인천]] 지역의 지역 유지들의 공의로 을 유치하려 하자, 그는 [[인천광역시|인천]] 에 있던 토지 5만평을 그해 [[10월]]에 기부하여 솔선을 보였다.<ref>"개성약학대학창립 김, 윤,공 삼씨의 특지로", 동아일보 1948년 10월 17일자 2면, 사회면</ref> [[1949년]] [[10월 26일]] [[대한적십자사]] 대의원 6명 중 한명으로 위촉되었다.
  • 윤장현
         '''윤장현'''(尹壯鉉, [[1949년]] [[4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민선 6기 [[광주광역시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파평 윤씨]][[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광주서석초등학교 동문]][[분류:광주서중학교 동문]][[분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동문]][[분류:조선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조선대학교 교수]][[분류:전남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위]][[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친문]][[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새정치연합]][[분류:더불어민주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윤종호 (1949년)
         '''윤종호'''('''尹鍾皓''', [[아명]](兒名)은 '''尹鍾鎬''', [[1949년]] [[10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가]] 및 [[대학 교수]]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 육군 소장]][[분류:파평 윤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육군기갑학교 동문]][[분류:미국 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국방부 특별보좌관]][[분류:육군공병학교 동문]][[분류:미국 육군야전포병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플로리다 공과대학교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동문]][[분류:국방대학원 동문]][[분류:라이스 대학교 동문]][[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국방대학교 교수]][[분류:국민대학교 교수]][[분류:동국대학교 교수]][[분류:건양대학교 교수]][[분류:백석대학교 교수]][[분류:한양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윤주상
         '''윤주상'''(尹周相<ref>{{뉴스 인용 | 제목= 연기상 尹柱相씨 |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12260020920600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2-26&officeId=00020&pageNo=6&printNo=20074&publishType=00020 | 출판사=동아일보| 저자= | 쪽= | 날짜=1986-12-26 }}</ref>, [[1949년]] [[6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1970년 데뷔]][[분류:양평군 출신]][[분류:파평 윤씨]][[분류: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윤치영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내내 한 살 연상의 조카 [[윤보선]]과 정치적 거취를 달리했다.<ref name="윤치호 일기 p.617"/> [[한민당]]으로 정계입문하였으나 입각 후 한민당을 탈당, 이승만 정권에 대항하는 [[한민당]]과 [[민국당 (1949년)|민국당]]에 대항하여 친여 성향의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을 조직하여 야당을 견제하였다.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암살되자 바로 [[경교장]]을 방문하고 돌아왔다. [[6월 30일]] [[김구]]의 국민장 장례기간 중 국민장 준비위원회에 참석, 상주하였다. 이후 그는 [[한국독립당]] 탈당파를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으로 입당, 유치하는 정책을 펼친다.
         1949년 1월경, 주[[필리핀]] 특사에 임명되었으나, 그는 고사하였다.<ref>경향신문, 1949년 1월 29일자, 1면.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4901290032920101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9-01-29&officeId=00032&pageNo=1&printNo=719&publishType=00020 駐比 特使에 卞榮泰博士]〉 <!--“駐比 特使로 任命되었던 尹致暎氏의 固辭로 因하여 後任에 卞榮泰博士를 지난 二十七日附로 決定 任命하였다고 政府에서 二十八日 發表하였다.”--></ref>
         그러나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에서 [[신익희]], [[지청천]] 등이 탈당하여 당세가 약화되었다. 1949년 2월 대한국민당 일부의 민국당 입당으로 당이 사실상 와해되자 그는 이정회를 조직하여 꾸렸다. 이정회는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노선을 지지하는 데 선봉에 섰다.<ref name="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1949년]] 반민특위에서 국회의원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때는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이기붕]] 세력, [[장택상]] 세력 등과 경쟁관계에 놓였으며, 그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이승만]]의 주변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줄곧 [[한국독립당]]계 인사들을 적극 영입하여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으로 흡수하였다. 한편 [[국회 프락치 사건]]과 [[1949년]] [[11월]] 3.8선 근방에서 [[북한]]의 도발이 있자 그는 안보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소수 정당이었지만 [[대한국민당 (1948년)|국민당]]의 지위와 입지는 올라갔다. [[1949년]] [[11월 12일]] [[이인]], [[임영신]] 등과 함께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최고위원에 취임했다.<ref name="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2"/> [[1950년]] [[5월]] 제2대 [[민의원|민의원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서울]] 중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족자주연맹]]의 [[원세훈]](元世勳)에게 낙선하였다.
         아들 윤인선과 함께 (1949년)
         [[1948년]] [[11월]] 친[[이승만]] 성향의 정당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을 창당하는데 참여하였으며 [[지청천]], [[신익희]] 일파가 [[한국민주당]]과 통합하여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을 창당할때 이에 가담하지 않았다. 이후 [[임영신]]과 함께 독자적으로 친(親) 이승만계 정당인 대한국민당을 이끌어갔다.
         [[1950년]] [[1월 27일]] 민국당과 무소속 일부가 제출한 내각책임제 개헌안에 대해서, "개헌을 추진하는 자들이야말로 정권욕에 사로잡힌 매국노"라고 주장하며 개헌 저지에 앞장섰다.<ref>[[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50년대편 1권〉(인물과사상사, 2004), 37페이지</ref> 이후 개헌을 시도하는 [[민주국민당 (1949년)|민국당]]과 [[민주당 (1955년)|민주당]]에 대항하여 개헌논의를 막았다.
         |임기 = 1949년 7월 4일 ~ 1950년 5월 30일
         |소속정당 = [[한국민주당]] → [[대한국민당 (1949년)|대한국민당]]
         |소속정당 = [[대한국민당 (1949년)|대한국민당]]
         |소속정당 = [[대한국민당 (1949년)|대한국민당]]
         [[분류:윤치영]][[분류:1898년 태어남]][[분류:1996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 임시 정부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외교관]][[분류:일제 강점기의 정치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법학자]][[분류:일제 강점기의 야구 감독]][[분류:일제 강점기의 야구 선수]][[분류:한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종교 지도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내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의 보수주의자]][[분류:프랑스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한국민주당 당원]][[분류: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분류:민주국민당 (1949년) 당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해평 윤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서울교동초등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하와이 대학교 동문]][[분류:헤이스팅스 대학교 동문]][[분류:프린스턴 대학교 동문]][[분류:컬럼비아 대학교 동문]][[분류:엘리자베스 시립 대학교 동문]][[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동문]][[분류:아메리칸 대학교 동문]][[분류:병사한 사람]][[분류:고문 피해자]]
  • 윤탁구
         * 할아버지 : [[윤치오]](尹致旿, [[1869년]] [[8월 5일]] ~ [[1949년]] [[12월 2일]])
  • 의소세자
         훙서한 [[1752년]] 의소세손의 묘는 의소묘(懿昭廟)였는데 고종 대에 원으로 승격되면서 [[의령원]](懿寧園)으로 개호하였다. 조카인 [[문효세자]]의 원인 효창원 앞에 자리하고 있다.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시|양주군]] 남쪽 언덕 해좌 사향에 장사지냈다. 후에 다시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북(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후일 부지에 해좌사향(亥坐巳向)에 안장되었다가, 후일 [[1949년]] [[6월 7일]]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현 [[고양시]] [[덕양구]]) 경내 [[문효세자]]묘 뒤편으로 이장되었다.<ref>문효세자묘는 1944년 용산구에 고양군 이장되었다.</ref> 처음 그의 묘가 묻혔던 2호선 [[아현역]] 1번출구 주변 파출소 앞 오른쪽 골목과 정문 옆의 오른쪽 담장에는 [[의령원]]터 표석이 세워져 있다.
  •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다. 해방 후 초대 [[경상북도]] 부지사와 초대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을 역임했다.
         [[1946년]] [[1월]] 다시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에 유임되었다. 그러나 [[미 군정]]의 고압적이고 권위적인 정책에 환멸을 느껴 [[1946년]] [[9월 4일]] 부지사, 대구부윤, 군정청 민정관 사직서를 제출하고, 야인으로 돌아갔다. 46년 [[9월 5일]] [[독립촉성중앙회]] 경북지부의 후신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상북도]]지부 위원장에 피선되고, [[대종교]] 남사도본사 선범에 선임되고, [[대한민국]] 건국 직후에는 [[1949년]] [[7월 1일]] [[남선경제신문사]] 제4대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49년]] [[12월 4일]] [[대구]]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향년 69세였다.
         [[분류:1880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제국의 교육인]] <!-- 교육자 -->[[분류: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분류:신민회]]
  • 이성식 (기초단체장)
         '''이성식'''(李成植,[[1949년]] [[12월 17일]] ~ , [[부산광역시|부산]])은 [[대한민국]] 대학교수출신으로 부산 북구청장을 했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구포초등학교 동문]][[분류:부산개성중학교 동문]][[분류:동아대학교 동문]]
  • 이열희 (1924년)
          | 복무 기간 = [[1949년]] [[3월]] ~ [[1955년]] [[3월]]
  • 이영숙 (가수)
         |출생일 = 1949년
         '''이영숙'''(李英淑, [[1949년]] ~ [[2016년]] [[11월 17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49년]]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주시에 태어나 [[1968년]] '아카시아의 이별'로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1968년 데뷔]][[분류:2016년 죽음]][[분류:1960년대 가수]][[분류:1970년대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이원걸
         '''이원걸'''(李源杰, [[1949년]] [[2월 11일]] ~ , [[부산광역시|부산]])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산업자원부 차관]][[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 이인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號)는 애산(愛山).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등과 함께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1948년]] [[5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정부수립 이후 국회의원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49년]] 7월에 [[반민특위]] 위원장에 임명되어 반민특위를 와해, 해체시켰다.<ref>{{서적 인용
         1949년 3월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인 [[장면]]이 주미대사 임명 관계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그는 보궐선거에 출마하였다. 3월의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헌국회의원이 되었고, 6월에 법무부장관직을 사임하였다. [[1949년]] 6월 경찰의 [[반민특위]] 특경대 습격사건 이후 [[7월 7일]]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이인은 [[반민특위]] 특경대를 해산시키고 신변보호를 담당하던 경찰마저도 모두 철수시켜 '더이상 반민족 행위자의 체포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ref>1949년 7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ref> 나아가 이인은 반민특위 해체를 주요내용으로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그나마 기소된 [[친일파]]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시켰다.
         * 제헌 국회 의원 당시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1949년]] [[12월 21일]] ~ [[1950년]] [[5월 30일]])
         * [[1949년]] [[8월 16일]] [[김상덕]], [[곽상훈]], [[송필만]] 등과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반민특위조사위원이 되었다.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3·30 재보궐선거]]||[[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을)]]||1대||[[무소속]]||{{막대|무|3|0|5}} 30.5%||10,351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당선]]
         |임기 = [[1948년]] [[8월 2일]] ~ [[1949년]] [[6월 5일]]
         |임기 = [[1949년]] [[6월]]<ref>전임자인 [[장면]]이 1949년 2월에 주미국 대사로 부임하고, 1949년 3월에 종로구 을 선거구에 대한 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이인은 1949년 6월 5일 법무부장관에서 해임되었으므로 임기가 1949년 6월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ref> ~ [[1950년]] [[5월 30일]]
  • 이인성 (화가)
         [[1945년]]에는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를, [[1946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지냈으며 [[1949년]]에 열린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심사위원을 맡았으나 [[한국 전쟁|6.25 전쟁]] 중이던 [[1950년]]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다.
  • 이인우 (1949년)
         '''이인우'''([[1949년]] [[7월 10일]] ~, [[대구광역시]])는 [[사조그룹]]의 대표이사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ref>[http://www.newspim.com/news/view/20160106000166 이인우 사조그룹 식품총괄 사장]. 뉴스핌</ref>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재철 (1949년)
         '''이재철'''([[1949년]]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 ~ )은 [[개신교]] [[목사]]이다. [[홍성사]] 설립자이자, [[한국기독교선교100주년기념교회]] 담임목사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에 소속된 목사였으나, 현재는 원 교단을 탈퇴하고 [[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에 소속돼 있다<ref name="thkm">{{뉴스 인용|제목=예장 통합 이재철 목사 면직 논란|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0976123&code=23111111|저자=최정욱 기자|날짜=2009-10-16|확인날짜=2016-01-08|출판사=[[국민일보]]}}</ref>. 배우자는 [[홍성사]]의 대표인 정애주이다.
         1949년에 부산에서 태어났다. 이재철 목사의 저서 《참으로 신실하게》([[홍성사]])에 따르면 [[부산]]에서 살다 부친의 이른 죽음으로 [[서울]]에 올라와서 살았다. 누님들의 영향으로 부드러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가, [[고등학교]]를 다닐때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깨들과 어울리면서 씩씩한 성격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에서 [[불란서]] 문학을 만났다. 그래서 이재철 목사는 청년설교인 《청년아, 울더라도 뿌려야 한다》(홍성사)에서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칼라일]], 기독교 문인들인 [[엔도 슈사쿠]], [[구상]] 선생, [[앙드레 지드]]를 인용할만큼 [[문학]]에도 해박함을 보여주고 있다. [[유대인]] 종합상사에서 경험을 쌓은 후 무역회사인 [[홍성사]]를 개척했으나, 부도와 재기 과정을 거친 후 [[장신대]] 신학대학원에 입학했다.<ref name="ua15">{{뉴스 인용|저자=백성호 기자|제목=[성탄 인터뷰] 이재철 목사 "삶을 직선으로 살지 마라"|url=http://news.joins.com/article/19303021|날짜=2015-12-24|확인날짜=2016-01-09|출판사=[[중앙일보]]}}</ref> 신학공부와 목회수련을 거쳐 서울 송파구 [[정신여자고등학교|정신여고]]에 주님의교회를 개척했으며, 이 교회에서 [[요한복음서]]를 강의했다. 주님의 교회에서 목회할 때에는 [[최일도]] 목사의 밥퍼공동체에 교회예산의 대부분을 기부함으로써 [[사회선교]]에 도움을 주었으며, 개척 초기의 약속대로 10년 임기가 끝나자 사임했다. 그 후 대한 예수교 장로회(통합)파송 선교사로 [[스위스]] 제네바한인교회에서 3년간 교우들과 함께 사역했다.임기가 끝나고 돌아와 [[기독교]] 서적 집필에 전념하는 한편, 서울의 한 작은 [[교회]] 중고등부 교사로 일했다. [[2005년]] 7월부터 한국기독교선교 100주년기념사업협의회의 요청을 받아 [[100주년기념교회]]의 담임목사로 사역하고 있다. 이 교회에서는 [[사도행전]]을 강론하고 있다.
         *[[1949년]] [[부산]] 출생.
         [[분류:대한민국의 목회자]][[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이종화 (1949년)
         '''이종화'''(李宗和, [[1949년]] [[7월 16일]]~ , [[대구]] [[남구 (대구광역시)|남구]] 봉덕동)은 [[대한민국]]의 전직 공무원으로,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청장을 역임했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내성초등학교 (경북) 동문]][[분류:오성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이준성 (밀정)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수립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되었으나 보석으로 풀려났으며 반민특위가 해체되면서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다. [[1949년]] 체포될 때의 나이는 48세로 보도되었다. 이수흥에게는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f>{{독립유공자|5744|이수흥}}</ref>
  • 이홍우 (만화가)
         '''이홍우'''([[1949년]] [[3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라벌고등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
  • 이희근 (1929년)
          | 복무 기간 = [[1949년]] ~ [[1982년]]
  • 임상규
         '''임상규'''(任祥奎, [[1949년]] [[7월 4일]] ~ [[2011년]] [[6월]], [[광주광역시|광주]])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201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과학기술부 차관]][[분류: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분류: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분류: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시러큐스 대학교 동문]][[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장흥 임씨]]
  • 임창욱 (기업인)
         '''임창욱'''(林昌郁, [[1949년]] [[5월 7일]] [[부산광역시]]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미원그룹의 회장이었고, 현재는 [[대상그룹]]의 명예회장이다. 본관은 [[조양 임씨|조양]]이다.
         [[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조양 임씨]]
  • 임채무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함평군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분류:1973년 데뷔]][[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출생 ||[[1949년]] [[9월 2일]],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손불중앙길) ||
  • 장헌식
         [[1949년]] [[1월]]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령이 떨어지자 자수하였으며, [[반민특위]] 조사관들이 오자 담담하게 대가를 치르는 것이라며, 손자며느리에게 뒷일을 부탁한다 하고 출두하였다. 이후 조사에 순순히 응하여 구속 수사를 받았으며 [[치질]](痔疾)로 고생하였으나 병보석은 거절하였다. 이후 그는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고 [[1949년]] [[2월 22일]] [[치질]]로 인해 석방된 뒤 불구속 문초를 받아 반민특위에 다녀가며 방문조사를 받았다. [[3월 9일]] 반민특위로부터 보석이 가능하다는 통지를 받았지만 보석을 거절했다. 같은 날 반민특위로부터 불구속 기소 처분을 받았다.
  • 전광우
         '''전광우'''(全光宇, [[1949년]] [[5월 7일]] ~ , [[서울특별시|서울]])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금융인이고 전 정무직 공무원이다.
         |후임자 = [[진동수 (1949년)|진동수]]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금융위원회 위원장]][[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인디애나 대학교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분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분류:미시간 주립 대학교 교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
  • 전영록
         * 아버지는 [[1949년]]에 〈[[성벽을 뚫고]]〉로 데뷔한 영화배우 [[황해 (배우)|황해]] (본명: 전홍구)이다.
  • 지한재
         [[경상북도]] [[안동시|안동]] 출신으로 [[1949년]]부터 [[1956년]]까지 [[최용술]]의 지도하에 [[무예|무술]]을 익혔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기도 기술과 조직을 체계화함으로써 한국의 합기도를 오늘에 이르게 했다. 또한 자신의 무술 실력을 바탕으로 [[이소룡]]의 마지막 작품인 《[[사망유희]]》에서 합기도 고수로 출연했다.<ref>[http://news.nate.com/view/20050510n13461 홍콩 무술 영화 속 잊혀진 한류 스타] - 세계일보 2005년 5월 10일</ref>
  • 채이식
         '''채이식'''(蔡利植, [[1949년]] ~ )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대학 교수이다.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장이며, [[국제해사기구]](IMO) 법률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채이식 교수, IMO 법률위 의장 5선 |url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10/09/0200000000AKR20091009091200043.HTML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날짜 = 2009-10-09}}</ref>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인천 채씨]][[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런던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고려대학교 교수]]
  • 최성관 (1925년)
         * [[1949년]] 극단 팔월극장 단원
  • 최신해
          | 복무기간 = [[1949년]] [[3월 20일]] ~ [[1954년]] [[7월 30일]]
         [[1949년]]부터 [[1954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서 장교로 복무한 그는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 예하 의무대대 [[군의관|군의무장교]]로 복무한 적이 있으며 같은 시기에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함께 장교로 복무한 분자생물학자 겸 생화학자 [[이기령]]과 그의 아우인 농화학자 겸 저술가 [[이춘녕]](이 둘은 국사학자 [[이병도|두계 이병도]]의 자제)는 [[1950년]]부터 [[1953년]]까지 같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각각 같은 시기에 군의무장교 혹은 정훈장교 등의 보직으로 복무하였고 약학자 겸 저술가 [[채동규]](물리학자 [[최규남|동운 최규남]]의 손아랫처남) 또한 같은 시기인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정훈장교로 복무하였다.
         * [[1949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위]] 임관([[1949년]] [[3월 20일]])하여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대한민국 육군 수도사단]]에서 [[군의관|군의무장교]]로 복무.
  • 최태영
         [[1949년]]부터 [[1962년]]까지 [[중앙대학교]] 법정대학 교수 겸 학장으로 부임하였으며, [[1958년]]에는 동대학에서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4년]]부터 [[1955년]]까지는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겸 대학원장을 지냈고, [[1957년]]부터 [[1968년]]까지는 청주대학 교수 겸 학장 겸 대학원장을 지내는 등 활발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 최현돌
         '''최현돌'''(崔鉉乭, [[1949년]] [[7월 31일]] [[부산광역시]] ~ )은 전직 [[대한민국]] 이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동래고등학교 동문]][[분류:부경대학교 동문]][[분류:부산대학교 동문]][[분류:동의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표양문
         |임기 = [[1947년]] [[2월]] ~ [[1949년]] [[8월 14일]]
         |임기 = [[1949년]] [[8월 15일]] ~ [[1950년]] [[5월]]
  • 한규복 (1881년)
         해방 후에는 정계에 참여하지 않고 [[한국곡자]]의 대표이사 등으로 활동하였고, [[1949년]] [[반민특위]]에 자수한 뒤, 조사받고 풀려났다. 이후 기업 활동과 언론인,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그는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조선인 도지사 경력자 42명 가운데 배경이 되는 엘리트 출신 고위관료 8명 중의 한 사람이었다. [[서예]]에 능했던 그는 [[1926년]]부터 [[1930년]]의 선전(鮮展)에서 4회나 수상하였다.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이고 자(字)는 덕중(德仲), 호는 온재(溫齋)이다.
         광복 직후 일체의 공직을 사퇴하고 칩거하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군정청]] 고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8월 16일]] [[한국곡자주식회사]](韓國穀子株式會社)를 설립하고 대표이사 사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건국 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자수해 왔으나, 반민특위 활동이 방해를 받으면서 불기소처분을 받았다.<ref name="neftkin">{{웹 인용
         }}</ref> 일설에는 [[1949년]] [[4월 23일]] 한규복이 검거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으나<ref>"한규복 등 검거", 자유신문 1949년 04월 23일자 2면</ref>, 그는 [[8월 12일]] 자수하는 편지를 [[반민특위]] 앞으로 부친 뒤 [[서울역]] 광장에서 자수 소감을 발표하였다.
         {{인용문2|자수 편지<br /><br />천운(天運)이 순환하사 우리 [[대한민국]]이 탄생되니 산천(山川)과 초목이 다시 금빛이 나고 잃었던 자유가 우리 몸에 다시 오니 일반의 환희는 무엇으로 형용하리요. 하물며 일제시대에 허다의 압제를 견디면서 관리생활을 계속한 본인으로서는 더욱더욱 감개무량이외다. 본인은 대한제국시대에 관비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하여 조도전 대학早에서 정치경제과를 졸업한 고로 행정관으로 출세하여 민중지도에 노력하겠다는 이상을 가지고 관계(官界)에 투신하여 도지부 서기관으로 재임한 채로 병합을 당하여 임시토지조사국 감사관에 임명되었을 때 본인은 자신처리에 대하여 재삼 고려한 결과 나의 지력과 성력의 한도대로 민중을 지도하는 것이 차라리 유리하다는 견해로 관리생활을 계속하여 [[도지사]]를 역임하고 正4位 勳3등까지 되었으니 가위 고급관리의 지위까지 점진하였다고 하겠으며 30여 년간 관리생활을 하는 중에 민중의 계발을 여하(如何)한 정도로 하였느냐 하면 구체적으로 진술할 재료는 제공치 못하나 다만 양심적으로 민중을 지도하고 또한 민중의 의지를 대표하여 항거할 점은 어디까지든지 항론도 사양치 아니 하였으며 평범한 정치로 민중에 임하고 공정렴근(公正廉謹)으로서 관계일생(官界一生)의 목표로 삼은 것은 천인(天人)이 공인(共認)하는바 옵니다. 그러하니 민중에 대하여 행복이 되고 이익이 된 점을 일일이 수거치는 못하고 다만 장구한 세월의 관리생활을 하였다는 것밖에 남지 않았으며 무엇이라고 변명하오리까. 금일에 지하여는 전일의 양심적으로 민중을 위하여 음으로 양으로 보도, 노력한 점은 무형(無形)으로 돌아가고 다만 관계생활(官界生活)을 하여 일제에 아부한 자로 추인되어 이 점이 기탄불기(慨歎不已)할 뿐더러 관리생활로 일생을 보낸 것이 참회되는 바이며 근신(勤愼)할 뿐이 옵니다. 오직 현명한 당국의 선악을 분별하사 관대한 처분만 바라옵고 감히 소회(所懷)의 일단을 진백(陳白)하나이다.<br><Br>단기 4282년 8월 12일<br />위 인 한규복<br><br>반민행위특별조사위원회 귀중|[[1949년]] [[8월 12일]] 자수 직전에 [[반민특위]]에 보낸 편지}}
         [[1949년]] [[8월 12일]] [[반민특위]]에 편지를 보낸 뒤 그는 [[서울]]에 있는 [[반민특위]] 사무실로 자수, 스스로 찾아갔다. 그는 자수한 점이 감안되어 구속되지 않고, 출두 형식으로 조사를 받았다.
         [[1949년]] [[8월 31일]]의 [[반민특위]] 최종 심리에서 그는 반민법(제4조 2항, 3항) 위반의 혐의를 받았지만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사실及이유 본건은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의 의견서 기재 범죄사실에 관하여 수사한 바, 피의자는 한일합방 전부터 일제시대까지 30여년 간에 亘하여 관리생활을 계속하고 최후에 [[중추원]] [[참의]]까지 임명받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겠으나, 평소 그가 악질적으로 민족에게 해를 끼쳤다는 현저한 증거가 없음으로 주문과 如히 결정함'이라고 결정되었다. 그는 순순히 수사에 협조, 진술하여 정상참작이 되었다. [[1950년]] 초 한규복은 [[김시권]](金時權) 등과 함께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 손녀 : 한영식(韓永湜, [[1949년]] [[10월 26일]] - )
  • 한진희(1949)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부안군 출신 인물]][[분류:1949년 출생]][[분류:1969년 데뷔]]
         || 출생 ||[[1949년]] [[3월 14일]]([age(1949-03-14)]세) [[전라북도]] [[부안군]]||
  • 함인섭
         [[미군정]] 당시 대학 부지와 대학 설립 인가를 얻어서 [[1948년]] [[2월 1일]] 춘천농업대학을 개교하고 학장서리가 되었다가 [[1949년]] [[8월 30일]] 춘천농업대학의 학장이 되었다. 이후 춘천농대의 2대, 4~5대 학장이 되었고, 5대 학장 재직 중 춘천농업대학에서 강원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아명(兒名)은 '''함재인'''(咸在仁)이다. 본관은 [[강릉 함씨|강릉]](江陵).
         천안 출신인 그는 경성으로 올라와 [[1923년]] [[경성]] [[중앙고등학교|중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는데, 중동고보 재학 중인 1924년 3월 26일 유기환(柳基桓)의 딸 유순희(柳順嬉)와 결혼하였으며, 슬하에 6남매를 두고 [[1949년]] 사별하였다. [[1927년]] [[경성]] [[중앙고등학교|중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7년]] [[일본]]으로 유학, [[동경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1930년]] [[3월]] [[동경농업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동경농대 본과 농학부에 입학, [[1933년]] [[3월 24일]] [[동경농업대학]] 농학부를 졸업하였다.
         [[1948년]] [[2월 1일]] 당시 춘천농업대학을 설립하면서 농업토목기술원 양성소를 부설로 설립하였다. 그러나 춘천농대 부설 토목기술원양성소는 48년 10월 30일 1기 수료생을 배출하였으나, 운영 여건이 여의치 않아 [[1949년]] [[5월 5일]] 2기생을 배출하고 폐소하게 되었다.
         [[1948년]] [[8월]]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설립,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 학장서리가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그는 [[문교부]] 국가고등고시 전형위원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8월 30일]] [[강원대학교|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이 되었다. 건국 이후 그의 할아버지 [[함태영]]이 조선 말 [[독립협회]]사건과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수감된 [[이승만]]에게 관대한 한결을 내려 그 인연으로, 내각 법무장관의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성사되지 않고 할아버지 [[함태영]]은 [[심계원]]장과 제3대 [[부통령]]을 지냈다. 전쟁이 발생하자 그의 동생 함의섭이 일가족을 이끌고 [[부산광역시|부산]]으로 피신하였다.
         * 1949년 춘천농대 학장
         * 부인 : 유순희(柳順嬉, [[1907년]] [[12월 16일]] ~ [[1949년]] [[1월 23일]]), 문화 유기환(柳基桓)의 딸
  • 허삼수
         * [[1949년]] [[중앙초등학교 (부산)|중앙초등학교]] 졸업
  • 허영호 (정치인)
          | 경력 = 前 [[한국민주당]] 공보특보위원(1945년)<br/>前 [[동국대학교]] 총장(1946년)<br/>前 [[무소속]] 국회의원(1949년)
         광복 이후인 [[1945년]] 9월부터 1946년 9월까지 서울 혜화전문학교(惠化專門學校) 교장을 역임했으며 [[1946년]] 9월부터 [[1948년]] 11월까지 동국대학 학장(현재의 [[동국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49년]] [[1월 13일]]에 실시된 제헌 국회의원 경상남도 부산부 갑 선거구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7월 13일]]에 납북되었다.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13 재보궐선거]]||[[부산시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남 부산시 갑)]]||1대||[[무소속]]||{{막대|무|2|9|9|6}} 29.96%||11,899표||1위||
         |임기 = [[1949년]] [[1월 14일]]<ref>1949년 1월 13일 보궐선거에서 당선하였다.</ref> ~ [[1950년]] [[5월 30일]]
  • 허참
         '''허참'''(許參, 본명은 '''이상룡''', [[1949년]] [[11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사회자|방송인]]이며 때때로는 [[희극 배우|희극배우]]로도 활동하였다.
         [[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1949년 태어남]][[분류:1970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아대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전의 이씨]][[분류:옛 새누리당의 정치인]]
  • 현재현
         '''현재현'''(玄在賢, [[1949년]] [[2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2013년|2018년]] 기준으로 [[동양그룹]]의 전 회장이며 고대 총장을 지낸 고 [[현상윤]] 총장이 조부이며, 이화여대 의대 교수를 역임한 고 현인섭씨가 부친이다. 동양그룹 창업주 고 [[이양구]] 회장의 첫째 사위다.
         * '''출생''' 1949년 2월 12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자유시
         * 1949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7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했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동문]][[분류:연주 현씨]]
  • 홍석조 (1953년)
         ** 형님 [[홍석현]](洪錫炫, [[1949년]] [[10월 20일]] ~ ) - 중앙홀딩스 회장, 전 중앙일보 회장, 전 주미 대사
  • 홍진기
         | 장남 || [[홍석현]] || [[1949년]] [[10월 20일]] || || [[중앙일보]] 회장
11830의 페이지중에 12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