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890년"을(를) 전체 찾아보기

1890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이갑성 . . . . 5회 일치
         [[2월 28일]]에는 목사 [[김창준 (1890년)|김창준]]에게 [[함태영]]이 인쇄한 독립선언서 900매 중 약 600매를 받은 뒤 이를 다시 인쇄하고, 그날 5매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이용설(李容卨)에게 교부하여 인쇄하게 한 뒤 학생들에게 돌리게 하였다. [[3월 1일]] 아침 일찍 이갑성은 독립선언서를 수천 장 인쇄하여 400여매를 병원 사무실에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이용상]](李容祥)에게 주어, 그중 200매는 대구의 목사 [[이만집]](李萬集)에게 보내고 나머지 200매를 [[마산]]의 독립운동 동조자 임학찬(任學瓚)에게 보내도록 한다. 또한 학생 [[김병수]](金屏沫)에게는 [[전라북도]] [[옥구군]]에 있는 [[박연세]](朴淵世) 등에게 보내기 위해 200매를 주었으며, [[충청남도]] [[천안]]에서 올라온 [[임영신]]에게도 일부 배포하고, [[경성부]] 강기덕(姜基德)에게 천500매를 주어 배포케 한다. [[2월 28일]] 밤 [[경성부]] 재동(齋洞)에 있는 손병희의 집에 모인 손병희 등의 민족대표들은, 당초에 독립선언 장소로 결정했던 [[파고다 공원]]에는 많은 학생들이 모이기 때문에 큰 혼란이 있을 것을 염려하여, 다시 그 장소를 [[인사동]](仁寺洞)의 [[태화관]](泰華館)으로 정하였다.
         3·1 운동 당시 [[김창준 (1890년)|김창준]], [[박희도 (1889년)|박희도]]와 함께 30대 초반으로 가장 연소한 편이었으며, 93세까지 장수함으로써 33인 중 가장 늦게까지 생존했다. 광복 이후 [[독립유공자]] 대표로 매년 3·1절 행사와 광복절 행사에 초청되었다. [[국토통일원]] 장관을 지낸 정치외교학자 [[이용희 (1917년)|이용희]]가 이갑성의 아들이다.
         |전임자 = [[이윤영 (1890년)|이윤영]]<br/>(서리)
         |전임자 = [[이청천]]<br/>[[이윤영 (1890년)|이윤영]]
         |후임자 = [[이윤영 (1890년)|이윤영]]<br/>[[허정]]
  • 박부남 (1931년) . . . . 3회 일치
         '''박부남'''(朴富南, [[1931년]] ?월 ?일 ~ [[2018년]] [[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소아과|소아]][[내과]] [[의사]], 대학 교수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구한 말의 관료 [[박중양]]의 손녀이며, [[청도군|청도]], [[상주군|상주]], [[청송군|청송]][[군수]]를 지낸 [[박문웅 (1890년)|박문웅]]의 딸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 출신.
         * 아버지 : [[박문웅 (1890년)|박문웅]]((朴文雄,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
  • 이열희 (1924년) . . . . 3회 일치
          | 친척 = 이동진(증조할아버지) <br /> 이일우(할아버지) <br /> 이시우(작은할아버지) <br /> 이상악(큰아버지) <br /> 서법경(큰어머니) <br /> 이명득(큰어머니) <br /> [[이상정 (1897년)|이상정]](5촌 숙부)<br /> [[한문이]](5촌 숙모) <br /> [[권기옥]](5촌 숙모) <br /> [[이상화 (시인)|이상화]](5촌 숙부) <br /> [[이상백 (사학자)|이상백]](5촌 숙부) <br /> [[이상오]](5촌 숙부) <br /> 이겸희(6촌 누이동생) <br /> [[박창암]](6촌 매제) <br /> 이용희(6촌 남동생) <br /> [[박문웅 (1890년)|박문웅]](장인) <br /> [[박중양]](장조부)
         [[1954년]] [[소아과]][[의사]]이자 [[내과]][[의사]]였던 [[박부남 (1931년)|박부남]]과 결혼했는데, 그는 구한 말, 일제 강점기에 [[도지사]]를 지낸 해악 [[박중양]]의 손녀이며, 상주,청도[[군수]] 등을 지낸 [[박문웅 (1890년)|박문웅]]의 차녀였다.
         * 장부 : [[박문웅]]((朴文雄,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
  • 윤덕주 (농구인) . . . . 2회 일치
         * 사돈 :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 [[박문웅 (1890년)|박문웅]]
  • 최남선 . . . . 2회 일치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사회 운동|문화운동가]]이다. 본관은 [[동주 최씨|동주]](東州)이다.
         [[분류:1890년 태어남]][[분류:195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역사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출판인]][[분류:일제 강점기의 번역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공작원]][[분류: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만주국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출판인]][[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한문학자]][[분류:민족대표 48인]][[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
  • 최동희 . . . . 2회 일치
         '''최동희'''(崔東曦, [[1890년]] [[1월 4일]] ~ [[1927년]] [[1월 26일]])는 [[일제 강점기]] 때의 [[독립 운동가]]로 [[1926년]] [[고려혁명당]]을 세웠다.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1890년 태어남]][[분류:1927년 죽음]][[분류:고려혁명당]][[분류:경주 최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한석명 . . . . 2회 일치
         '''한석명'''(韓錫命,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로,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이다.
         [[분류:1890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죽음]][[분류:20세기 한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통역관]][[분류:일제 강점기의 경찰]][[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유교 신자]][[분류:청주 한씨]]
  • FN 에르스탈 . . . . 1회 일치
         1890년대에 소유권이 마우저 소총의 특허를 보유한 독일인들에게 넘어갔는데, 이때 [[자전거]]도 만들게 된다. 미국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미국 총기제작자 [[존 브라우닝]]과 관계를 쌓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
  • 돌턴 갱 . . . . 1회 일치
         Dalton Gang. [[서부개척시대|미국 서부시대]]에 활동했던 8인조 갱단. 갱단 멤버 중 밥 돌턴(Bob Dalton), 그랫 돌턴(Grat Dalton), 에밋 돌턴(Emmett Dalton) 세명이 형제였기에 돌턴 형제(Dalton Brothers)라고도 불렸다. 이 세명은 연방보안관으로 활동하였으나 1890년경 무법자가 되었다. 이들은 다른 총잡이들과 함께 돌턴 갱을 이루었고, [[오클라호마]]주와 [[캔자스]]주에서 [[은행강도]]와 [[열차강도]]를 벌였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소련]]의 정치가, 외교관. --[[바텐더]].-- 1890년 3월 9일 생, [[러시아]] 쿠카르카(지금의 소베츠크) 출생. 1886년 11월 8일 [[모스크바]]에서 사망.
  • 양시칠리아 왕국 . . . . 1회 일치
         죠죠의 기묘한 모험 6부 [[스틸 볼 런]]에 등장하는 네아폴리스 왕국(ネアポリス王国)은 명칭이나 통치 지역 면에서 양시칠리아 왕국에 해당하는 듯 하지만, 작중 시기인 1890년 시점에서 양시칠리아 왕국은 이미 멸망하고 이탈리아 통일이 완료된지 오래되었으므로 현실과는 다르다. 하지만 상당히 구시대적이고 불합리하게 보이는 국가 정세나, 결국 혁명으로 왕정이 전복되버린 것은 양시칠리아 왕국과 유사점이 있을지도?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 사돈 :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 이상화 (시인) . . . . 1회 일치
         * 사돈 :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 이인 . . . . 1회 일치
         |같은 지역구 의원 = (종로구 갑)[[이윤영 (1890년)|이윤영]]
  • 이호성 (대한제국) . . . . 1회 일치
         [[군수]] 재직 중 1888년(고종 25년) [[과거 제도|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그 해의 관록(館錄)과 도당록(都堂錄)에 들었으며, [[1889년]]에는 직각권에 들고 시강원문학, 시강원 사서 등을 역임하였다. 1890년(고종 27년) [[1월 15일]] [[시강원]]사서에서 다시 시강원문학이 되었으며, 그해 시강원필선이 되었고, [[성균관]][[대사성]],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1893년]] [[이조]][[참의]]를 지냈으며, [[1900년]](광무 3년)에는 [[가선대부]]로 [[봉상사]][[제조]](奉常司提調)를 거쳐 [[태자]][[시강원]]첨사(侍講院詹事), [[1901년]] [[2월]] 부첨사(副詹事), [[9월 21일]]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 잘츠부르크 . . . . 1회 일치
         이 가운데 모차르트 쿠겔른(Mozart Kugeln)이라는 초콜렛은 1890년 처음 만들어졌는데 현재는 잘츠부르크의 명물 취급이다.
  • 차금봉 . . . . 1회 일치
         서울 미동보통학교(渼洞普通學校)를 졸업한 뒤 [[1917년]] 용산(龍山) 기관차 화부 견습공으로 일하던 중,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노동자들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그는 식민지 현실의 노동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면서 1920년 2월 조선노동문제연구회 발기인으로 참가했고, 같은해 3월 [[김명식 (1890년)|김명식]]·[[오상근]] 등과 함께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를 조직하여 교양부 간사를 맡았다. [[1922년]]에는 최상덕 등과 함께 지식인들이 주도하는 조선노동공제회의 쇄신운동을 폈으며, 동년 9월 조선노동공제회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다. 조선금물직공조합·경성신문배달조합 창립을 지도했으며, 1923년 9월에는 조선노농대회 발기인으로 활약했다. 1924년 5월 [[조선노농총동맹]]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여 중앙집행위원이 되었으며, 각지의 공장 노동자를 조직하기 위해 활동했다. 1926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노동운동 단체와 농민운동 단체를 분리하는 정책을 실행시키기 위해 힘썼다.<ref name="역대"/>
  • 핑커톤 . . . . 1회 일치
         1890년대에는 2,000여명의 현직 직원과 30,000명의 예비 직원으로 구성된 거대한 규모를 뽐내게 되었다. 이 때문에 [[오하이오]] 주에서는 탐정사무소를 불법화했다.
  • 함병춘 . . . . 1회 일치
         ** 이복 형수 : 진주강씨([[1890년]] [[2월 10일]] ~ ?), 강성흠(姜星欽)의 딸
  • 함인섭 . . . . 1회 일치
         * 어머니 : 강리백가(姜利百加, [[1890년]] [[2월 10일]] ~ ?), 강성흠(姜星欽 또는 강종근(姜種謹))의 딸
  • 홍승목 . . . . 1회 일치
         [[한성부]] 출신으로 [[1875년]] [[조선의 과거 제도|과거]]에 합격하여 [[승정원]]에서 관직을 시작했다. 이후 [[홍문관]]과 [[사헌부]] 등에서 근무하다가 [[1879년]] 형조와 병조의 참의 자리에 올랐으며, [[1881년]]과 [[1883년]]에는 각각 [[사간원]]의 대사간과 [[성균관]]의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1890년]] 형조참판과 병조참판을 지냈고, [[1900년]] [[궁내부]] 특진관에 올랐다.
  • 황옥 (1885년) . . . . 1회 일치
         1923년 [[김상옥 (1890년)|김상옥]]이 일으킨 [[종로경찰서 투폭사건]] 이후에 사건 관련자를 색출한다는 구실로 중국으로 출장을 가서 [[톈진]]에서 의열단 단장 [[김원봉]]과 만났고, 폭탄 36개와 권총 5정을 수령, 김시현, 김재진, [[권동산]] 등과 함께 물건을 [[단둥]], [[신의주]]를 거쳐 [[경성]]까지 밀수했다.
11889의 페이지중에 2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