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872년"을(를) 전체 찾아보기

1872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구미시 . . . . 1회 일치
         흥선 대원군의 명으로 1872년에 만들어진 지방 지도의 선산읍성 일대 부분으로, 붉은 원 안에 구미역(九尾驛)이라고 적혀 있다.
  • 돈가스 . . . . 1회 일치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서양인의 체격을 따라잡기 위해 육식을 허용[* 일본은 675년부터 1872년까지 포유류 고기를 먹는걸 금지했다.]했다. 하지만 10세기 넘게 고기를 먹지 않았던 일본인들이 고기에 적응할리가 없었다. 그리하여 일본인들 입맛에 맞는 고기 요리가 만들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돈가스다.
  • 라무네 . . . . 1회 일치
         1872년에 [[영국]]에서 유리구슬로 막는 병이 발명되고, 1887년에 일본에서 이 병을 사용해서 레모네이드를 담게 되어 이것이 '라무네'로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팔리게 되었다.
  • 박근혜 . . . . 1회 일치
         * 조모 [[백남의]] (白南義, [[1872년]] ~ [[1949년]])
  • 박부남 (1931년) . . . . 1회 일치
         * 할아버지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회 일치
         1872년 뉴욕, 코너는 상처가 다 낫지도 않은 채 찰스 리에게 향한다. 리는 헤이덤의 무덤 앞에서 그를 추모하는 말을 하고 있었다. 코너는 리를 죽이기 위해 그에게 다가가지만 리의 용병들에게 잡혀 리 앞에 꿇어앉게 된다.
  • 윤덕주 (농구인) . . . . 1회 일치
         * 사돈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이상백 (1904년) . . . . 1회 일치
         * 사돈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이상화 (시인) . . . . 1회 일치
         * 사돈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이열희 (1924년) . . . . 1회 일치
         * 처조부 : [[박중양]](朴重陽,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이호성 (대한제국) . . . . 1회 일치
         [[1864년]](고종 1년) 증광과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음서 제도|음서제]]로 관직에 올라 [[군수]]에 이르렀다. [[1872년]] [[12월]] [[동몽교관]], [[1873년]] [[8월]] 사용, [[1875년]] [[7월]] [[예빈시]]주부와 [[호조]][[좌랑]] 등을 역임했다. 그해 [[12월]] [[세자익위사]]사어, [[1878년]] [[6월]] [[의빈부]]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879년]] [[1월]] [[토산]][[군수]](兎山郡守)로 부임하였고, [[1880년]] [[8월]] [[양근]][[군수]](楊根郡守)로 발령되었다. 그해 [[8월]] 상을 당하여 사퇴한 뒤 3년후 다시 [[양근]][[군수]]로 복직되었다.
  • 핑커톤 . . . . 1회 일치
         1872년, [[제시 영거 갱]]의 핵심인물이었던 [[제시 제임스]]와 프랭크 제임스를 잡는답시고 그들의 가족이 사는 집에 폭탄을 던져버렸다. 이로 인해 제임스의 9살 먹은 이부동생 아치 사무엘(Archie Samuel)이 사망했으며 제임스의 모친인 제렐다 새뮤얼(Zerelda Samuel)[* 재혼해서 성이 바뀌었다.]은 한쪽 팔을 잃게되었다. 핑커톤측은 집을 불태워버리려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주장했지만 앨런 핑커톤이 "집을 불태워버려라"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있다.
  • 함병춘 . . . . 1회 일치
         * 아버지 : [[함태영]](咸台永, [[1872년]] [[10월 22일]]<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2250 함태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1964년]] [[10월 24일]])
  • 함인섭 . . . . 1회 일치
         * 할아버지 : [[함태영]](咸台永, [[1872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
  • 흥인군 . . . . 1회 일치
         그는 [[흥선대원군]]이 [[당백전]]을 발행하자 "일문전(一文錢)이 어찌 백문전(百文錢)으로 쓰이겠는가? 다만, 일문의 가치로만 쓰일 뿐이다"라고 비판하였다. 한편 물건값을 치를 때 당백전을 일전으로 계산하였기 때문에 나중에 환전하는 과정에서 이익을 얻은 상인이 많았다 한다. [[1872년]] [[경복궁 중건]] 공사가 끝나자 [[돈령부]]판사로 전직되었다. 그는 자신의 동생이 섭정이 되자, 동생의 권력을 빙자하여 뇌물을 받기도 했다. 흥선대원군은 그를 경멸했고, 의정부와 육조에 흥인군에게는 어떠한 우대나 혜택도 해주지 말라고 비밀리에 지시하였다.
11830의 페이지중에 1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