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454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454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권람
         [[조선 단종|단종]] 즉위 초 [[계유정난]](癸酉靖難)때 [[김종서 (1383년)|김종서]], [[황보 인]] 등을 제거할 때에 적극 가담, 앞장섰으며 김종서, 황보 인 등 대신들의 세력을 제거하고 이들이 왕을 능가하는 권력남용을 했다며 이들을 비판하였다. 그 뒤 정난의 성공을 위해 노력한 공로로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정난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同德佐翼功臣) 1등관에 녹훈되고 바로 [[승정원]]동부승지에 승진했다가 이후 우부승지에 올랐다. [[1454년]](단종 2년) [[2월]] [[승정원]][[우부승지]], [[8월]]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1455년]] 여름 우승지를 거쳐, [[1455년]](세조 즉위년) [[6월]] [[조선 단종|단종]]이 강압으로 양위하고 [[조선 세조|세조]]가 즉위하자 [[6월]]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발탁되고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었다.
  • 김굉필
         |출생일= [[1454년]]
         '''김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 [[10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 화가로 [[호 (이름)|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ref>[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ref>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ref>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1월 4일 기유 8번째기사 1543년 명 가정(嘉靖) 22년 판중추부사 김안국의 졸기</ref>)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김일손]], [[김전]], [[남곤]], [[정여창]] 등과 동문이었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한훤당 김굉필은 [[1454년]] [[한성부]] 정동에서 어모장군 행충좌위사직(禦侮將軍 行忠佐衛司直) 김유(金紐)와 한승순의 딸 청주한씨의 아들로 [[한성부]] [[정릉동]]에서 태어나, 집안을 따라 [[달성군]] [[현풍]]으로 이주, 그 곳에서 성장했다. 그리하여 일설에는 그의 고향을 [[대구광역시]]나 [[경상북도]]로 보기도 한다.
         [[분류:1454년 태어남]][[분류:1504년 죽음]][[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갑자사화 관련자]][[분류:무오사화 관련자]][[분류:연좌제]]
  • 김질 (1422년)
         [[1453년]](단종 2년) [[이조]]낭관을 거쳐 [[1454년]] [[8월]] [[조선 세조|수양대군]]의 추천<ref name="dan122">단종실록 12권, 단종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8월 11일(경인) 1번째기사 "세조가 김질 등에게 4품의 직사를 제수한 사유를 아뢰다"</ref>으로 6품에서 4품으로 특별 승진하였다.<ref>단종실록 12권, 단종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8월 5일(갑신) 3번째기사 "조혜·강맹경·이인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ref> 뒤에 [[조선 단종|단종]]이 그를 6품에서 4품으로 특별 승진시킨 것을 [[수양대군]]에게 문제삼자 [[수양대군]]은 이를 극력 변호하였다.<ref name="dan122"/>
  • 박팽년
         [[조선]] [[조선 세종|세종]] 때인 143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삼문]] 등과 함께 [[집현전]] 학사가 되어 편찬 사업에 참가하였고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황보인]]·[[김종서 (1383년)|김종서]] 등과 함께 [[조선 문종|문종]]과 [[조선 단종|단종]]을 보필하였다. 세종 말년에 [[신숙주]], [[성삼문]], [[윤기견]], [[윤회]], 김종서 등과 [[고려사절요]], [[고려사]]의 편찬과 간행에 참여하였다.[[1453년]] [[10월]] [[계유정난]]을 전후해서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 [[1454년]] 좌승지(左承旨)를 거쳐 [[1455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조선 세조|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안평대군]]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후, 그를 [[형조]][[참판]]에 임명하였으나, 세조가 즉위한 다음 해인 1456년, [[형조]][[참판]]의 자리에 있으면서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김문기]]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가 [[김질 (1422년)|김질]]의 밀고로 6월 2일 잡혀 갔으며, 고문 받던 중 6월7일 사망하였다.
  • 봉석주
         [[1452년]](문종 2년) 신이중(辛以中) 등 45인이 모두 활쏘기와 말달리며 활쏘기·창던지기를 잘하여 칭찬을 들었다. [[1453년]](단종 1년) [[내금위]](內禁衛)가 되었으며, 내금위 재직 중 [[수양대군]], [[한명회]] 등을 도와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워, [[1454년]] 수충 협책 정난 공신(輸忠協策靖難功臣) 2등으로 녹훈되고 강성군(江城君)에 봉해지면서 노비와 전답을 하사받고 통정 대부(通政大夫)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승진했다.
  • 소혜왕후
         |자녀 = [[월산대군]] ([[1454년]] 출생),<br />[[명숙공주]] ([[1455년]] 출생),<br />[[조선 성종|<span style="visibility:hidden">성</span>성종<span style="visibility:hidden">종</span>]] ([[1457년]] 출생) 손자 [[장성원 (배우)]] [[조선 예종|<span style="visibility:hidden>]] ([[1461년]] 출생) 손녀 [[장나라</span>]] ([[1415년]] 출생)
         [[1454년]] [[갑술년]]에는 잠저에서 첫 번째 자녀인 [[월산대군|월산군]]을 낳았다.
  • 장평도정
         그의 초기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1437년]](세종 19년) [[2월 21일]] 정윤(正尹)에 제수되고<ref>세종실록 76권, 1437년(세종 19년, 명 정통 2년) 2월 21일 신사 2번째기사, "권전·윤형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ref> 나중에 작위 개정으로 장평부정(長平副正)에 봉해졌다. [[1454년]](단종 2) 승작하여 장평정(長平正)에 봉해졌다가<ref>단종실록 11권, 1454년(단종 2년, 명 경태 5년) 5월 21일 신미 1번째기사, "세조가 경회루에서 풍정을 올리다"</ref> 뒤에 도정으로 승진했고, 품계는 [[명선대부]]에 이르렀다.
  • 한명진 (1426년)
         '''한명진'''(韓明溍, [[1426년]] ~ [[1454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 공신이다. [[조선 세조|수양대군]]을 도와 [[계유정난]]에 참여하였으며,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이고 [[한명회]]의 아우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으로 정난공신 3등에 녹훈되고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다. 1454년에 죽고 가정대부(嘉靖大夫)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양도(襄悼)이다.
         [[분류:1426년 태어남]][[분류:1454년 죽음]][[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한명회]][[분류:정난공신]][[분류:조선의 군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청주 한씨]]
  • 한명회
         그 뒤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 [[의금부]][[도사]]를 거쳐, [[조선 세조|수양대군]]이 [[영의정부사]]가 되면서 [[사복시]][[소윤]](司僕寺少尹)으로 발탁되었다가 [[1454년]](단종 2년) [[승정원]][[동부승지]](同副承旨)로 승진한다.
  • 한확
         [[1454년]] 왕비 책봉의 공로로 상을 받았다. [[1455년]](단종 3년) 초 형조 판서 이변(李邊)·도승지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벽제역]](碧蹄驛)에 가서 [[명나라]]의 사신을 영접하였다.
12544의 페이지중에 1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