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1433년"에 대한 역링크 찾기

1433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숙자 (1389년)
         [[1422년]](세종 4) [[5월]] 종사랑으로 승진, 성균관학록이 되었다. 아들 김종직에 의하면 [[1423년]] 김주가 한성으로 간 뒤, 장인 한변(韓變)을 불러서 [[사헌부]]에 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한다. [[사헌부]]에 소환된 그는 대질심문을 받았으며 낙직(落職)당하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한다.<ref name="ginyon"/> 고령현감을 거쳐, [[1423년]](세종 5) [[7월]] 성균 직학(成均直學)이 되었을때, [[사헌부]]가 [[세종대왕]]에게 그가 자식이 있는 조강지처를 망령되이 서얼(庶孽)이라 일컬어 아무 까닭도 없이 버려 이별하였으니, 형률에 의거하면 곤장 80대를 치라는 계를 올렸다.<ref>세종실록 21권, 1423년(세종 5년, 명 영락 21년) 7월 4일 임오 3번째기사, "성균 직학 김숙자를 처벌하다"</ref> [[1431년]] [[7월]] 모친 유씨가 죽어 밀양에서 분상했는데, 8월 아버지도 사망하였다. 그는 할머니 김씨부인 묘소 하에 빈소를 마련하였다. 이후 3년간 복상하였다. [[1433년]] 가을 상복을 벗고 [[밀양]]으로 돌아왔다.<ref name="ginyon"/>
  • 심정 (1471년)
         * 아버지 : [[심응]](沈應, [[1433년]] ~ [[1504년]]) - [[적개공신]] 봉조하 증영의정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 원천군 (1433년)
          | 출생일 = [[1433년]]
         '''원천군 이의'''(原川君 李宜, [[1433년]] ~ [[1476년]] [[3월]])는 [[조선]]의 [[왕족|왕족 종실]]이며 [[성녕대군|성녕대군 이종]]의 양차자(養次子)이다.
         [[분류:1433년 태어남]][[분류:1476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양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전주 이씨]][[분류:효령대군파]][[분류:조선 세종]][[분류:조선 문종]][[분류:조선 단종]][[분류:조선 세조]][[분류:조선 예종]][[분류:조선 성종]][[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신부전으로 죽은 사람]]
  • 율원군
         '''율원군 이종'''(栗元君 李倧, [[1433년]] ~ [[1476년]] [[1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보성군 (왕족)|보성군]](효령대군의 3남)의 다섯째 아들이다. 이름은 종(倧)이요 자는 유안(幼安), 시호는 양경(襄頃), 양환(襄桓)이다. [[1467년]](세조 13) 특명으로 부원수(副元帥)에 책봉되고, 적개공신으로 군에 승작되고 정의대부(正義)가 되었다.
         문무(文武)에 능하여 세조 12년 장용대장 대호군(壯勇大將大護軍)으로 서울도에 있을 때 총통도장(銃筒都將)으로 토벌대의 한사람에 임명되어 총통군(銃筒軍) 1,350명을 거느리고 도총사(都摠使) 귀성군 이준(龜城君李浚)을 도와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세종 15년(1433년)에 태어나 성종 7년(1476년) 향년 44세에 병사하였다.
         [[1433년]](세종 15)에 태어났으나 생일은 미상이다. 할아버지는 [[효령대군]] 보(孝寧大君 補)이고, 아버지는 [[보성군 (1416년)|보성군 합]](寶城君 㝓)이고, 어머니는 청풍군부인 [[합천 이씨]](淸風郡夫人 陜川李氏)로 [[광록시]]소경(光祿寺少卿)을 지낸 이무창(李茂昌)의 딸이다.
         [[분류:1433년 태어남]][[분류:1476년 죽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무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 세종]][[분류:조선 세조]][[분류:전주 이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한국의 장군]][[분류:병사한 사람]]
11830의 페이지중에 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