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김시진 . . . . 26회 일치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감독 (2009년 ~ 2012년)
[[1983년]] [[삼성 라이온즈]]에서 데뷔해 [[1992년]]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할 때까지 10시즌 동안 통산 124승 73패, 16세이브, 3점대 평균자책점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남겼다. 은퇴 후 [[태평양 돌핀스]]를 시작으로 13년 동안 투수코치 생활을 하다가 [[2006년]] 시즌 후 [[김재박]]의 후임으로 [[현대 유니콘스]]의 감독으로 임명되어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었다. [[2009년]]부터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감독직을 맡아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2013년부터 [[롯데 자이언츠]] 감독직을 맡았으나 2014년 10월 팀 성적 부진으로 자진사퇴하였다.<ref name="ohmynews">[[오마이뉴스]] - 2008년 4월 기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872861 "최동원 · 선동렬에 가려진 위대한 투수"]</ref>
[[롯데 자이언츠]]에서 은퇴하고 [[1993년]] [[태평양 돌핀스]]의 투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오랫동안 [[김재박]]과 같이 활동하였으며, [[2007년]] [[현대 유니콘스]]의 마지막 감독이 되기 전까지 투수 코치로 계속 활동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아마추어 실업 야구 팀 [[현대 유니콘스|현대 피닉스]]에서 잠깐 코치 생활을 하기도 했었으나, 이내 곧 [[1998년]]에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로 임명되어 프로에 복귀했고, 그 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 이래 첫 우승을 거두었다. [[현대 유니콘스]]의 투수 코치를 맡으면서 그는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임선동]], [[조용준]], [[오주원]], [[황두성]], [[박준수]], [[장원삼]] 등 뛰어난 투수들을 조련하고 육성하는 데에 뛰어났으며 [[투수]]를 보는 안목이 탁월했다. 투수 코치를 맡은 기간 동안 그는 '명 조련사'로 불렸는데, [[1998년]] [[김수경 (야구인)|김수경]], [[2002년]] [[조용준]], [[2003년]] [[이동학]], [[2004년]] [[오주원]] 등이 [[한국 프로 야구 신인왕|신인왕]]을 수상했던 것을 예로 들면 그는 투수 코치로서 선수들을 키우는 데에 있어서 일가견이 있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이는 감독 생활에도 이어져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최초 1차 지명으로 선발한 좌완 투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 역시 [[2009년 한국 프로 야구|2009 시즌]]에 옥석으로 평가받았다.<ref>[[스포츠 서울]] -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73&article_id=0002013951 "히어로즈가 끝까지 지킨 강윤구는 누구?"]</ref> 시즌 전 트레이드로 홍역을 앓았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는 걸출한 신인 우완 투수 [[고원준]]을 배출하였으며, 트레이드로 영입한 [[금민철]]을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그가 투수 코치로 있는 동안 [[태평양 돌핀스]]와 [[현대 유니콘스]]에서 뛰어난 [[투수]]들이 많이 배출되어 '투수 왕국'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시절 ===
[[2008년]] 시즌 종료 후, 성적 부진을 이유로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에서는 [[이광환]]을 경질하고 그를 감독으로 임명했다. 그는 구단과 계약 기간 3년, 계약금 2억원, 연봉 2억원 등 총 8억원에 계약을 맺으면서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의 2대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2008년 [[10월 10일]] 감독 취임식을 가졌다.<ref>《한겨레》, 2008, 10, 11.</ref> [[2009년]]에 6위를 기록하였지만, 시즌 후반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와 치열한 4위 다툼을 벌이기도 했고, 시즌 초반에는 한때 선두를 달리기도 했다. 특히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와 [[강정호]], [[황재균]] 등의 젊은 선수들은 [[이택근]], [[이현승 (야구 선수)|이현승]], [[장원삼]]의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파동|트레이드 파동]] 때 "트레이드 불가"로 못박을 정도로 좋은 활약을 보여 주었다. [[2009년]] [[8월 6일]] [[SK 와이번스|SK]]전에서 감독 통산 100승을 기록했다.
* '79' - [[현대 유니콘스]] (투수코치 & 감독),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롯데 자이언츠]] (감독)
|2009||<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div>||6||133||60||1||72||0.451||0.272||1219||153||192||683||762||5.40||
|2010||<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7||133||52||3||78||0.391||0.262||1165||87||135||570||652||4.55||
|2011||<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8||133||51||2||80||0.389||0.245||1065||79||99||512||622||4.36||
|2012||<div style="text-align: 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div>||6||118||54||2||62||0.466||0.247||952||90||159||497||503||3.94||
{{s-ttl | title = 제2대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 감독 | years = [[2008년]] [[10월 6일]] ~ [[2012년]] [[9월 17일]]}}
{{넥센 히어로즈 감독}}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항시 출신]][[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감독]][[분류:현대 유니콘스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 감독]][[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KBO 승리상 수상자]][[분류:KBO 승률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포항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김성현 (1989년) . . . . 16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 (2008년)
*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년 ~ 2009년)
* [[넥센 히어로즈]] (2010년 ~ 2011년)
|2008 ||[[넥센 히어로즈|우리]] ||4.03 ||22 ||0 ||4 ||1 ||0 ||0 ||0 ||38 ||29 ||0 ||22 ||30 ||20 ||17
|2009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6.99 ||27 ||2 ||4 ||0 ||0 ||0 ||0 ||65 2/3 ||72 ||10 ||45 ||48 ||53 ||51
|2010 ||[[넥센 히어로즈|넥센]] ||4.90 ||24 ||7 ||8 ||0 ||0 ||0 ||0 ||90 ||91 ||10 ||42 ||60 ||51 ||49
|2011 ||[[넥센 히어로즈|넥센]] / [[LG 트윈스|LG]] ||5.60 ||23 ||4 ||9 ||0 ||0 ||0 ||0 ||107 2/3 ||120 ||9 ||62 ||61 ||71 ||67
* 우리(우리 히어로즈)는 2008년 시즌 중에 히어로즈(히어로즈), 2010년 넥센(넥센 히어로즈)으로 구단명을 변경.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파동}}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제주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본리초등학교 동문]][[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
- 이정호 (1982년) . . . . 12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0년)
'''이정호'''(李正鎬<ref>한국야구위원회, 2009 가이드북</ref>, [[1982년]] [[4월 27일]] ~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자, 현재는 [[대구고등학교]]의 투수코치이다.
[[2004년 한국시리즈]]에서 [[현대 유니콘스]]에 패해 준우승에 그친 [[삼성 라이온즈]]는 시즌이 끝나고 그 해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게 된 [[박진만]]과 [[심정수]]를 잡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이정호가 보상 선수로 지명되어 그는 고향 팀을 떠나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2545786 히어로즈 이정호 힘찬 부활의 날갯짓] - 뉴시스</ref> 현대에 이적한 후에도 병역을 이행해야 했기 때문에, 팔꿈치와 어깨 수술 등으로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와 재활을 병행하여 현대에서의 활동은 없었다.
== [[넥센 히어로즈]] 시절 ==
소집 해제 이후 바뀐 팀에 복귀했다. [[2008년]] [[8월 26일]] [[목동 야구장]]에서 친정 팀과 맞붙었을 때 [[마일영]]의 뒤를 이어 등판, 1군에 복귀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8271130302225&ext=na '잊혀졌던 유망주' 이정호의 반가운 복귀] - 마이데일리</ref> 이 날은 [[삼성 라이온즈]] 투수 [[이상목]]이 100승을 거둔 날이기도 했다. 복귀 후 주로 불펜으로 활동했다. 2010년에도 부상으로 4경기에만 등판하여 1홀드만 기록했다. 기회를 잡지 못하게 되자 시즌 후 해외 진출에 도전하겠다고 선언, 구단에 임의탈퇴 공시를 요청하여 현재는 [[넥센 히어로즈]]에서 임의탈퇴된 상태이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11270006 '해외도전' 이정호, "추신수에 자극받은 것 아니다"] - OSEN</ref>
|2008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우리]] ||5.79||9||0||0||0||0||0||0||0.000||48||9 1/3||10||1||7||3||8||7||6
|2009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13.50||3||0||0||0||0||0||0||0.000||16||2 2/3||3||0||5||0||3||4||4
|2010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5.59||4||0||0||0||0||0||1||0.000||44||9 2/3||9||2||8||1||7||6||6
[[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내당초등학교 동문]]
- 정수성 (야구인) . . . . 12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3년)
* [[화성 히어로즈]] 주루, 외야수비코치 (2013년 ~ 2014년)
* [[넥센 히어로즈]] 주루, 외야수비코치 (2014년 ~ 2016년)
'''정수성'''(鄭守盛, [[1978년]] [[3월 4일]] ~ )은 전 [[KBO 리그]]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의 [[외야수]]([[우익수]])이자 현 [[SK 와이번스]]의 주루코치다. 그의 형은 전 [[야구 선수]] [[정수근]]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하고 [[히어로즈]]가 대부분의 선수들과 계약하면서 2008년부터 활동하였다. 2013년 은퇴를 선언하였다.
현역 시절 대주자로 많이 활약한 것을 바탕으로 [[넥센 히어로즈]]의 주루코치를 맡고 있으며, 외야수로도 활동하였기에 외야수비코치를 겸해서 맡고 있다.
2016 시즌을 마치고 [[넥센 히어로즈]]와 재계약에 실패한 후, [[SK 와이번스]]로 자리를 옮겼다.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초당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
- 김성민 (1994년) . . . . 9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7년 ~ 현재)
'''김성민'''(金聖民, [[1994년]] [[4월 26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이후 [[5월 18일]]에 당시 [[넥센 히어로즈]] 소속이었던 [[김택형]]과의 1:1 트레이드로 [[넥센 히어로즈]]로 이적하였다. 이에 관해 [[고형욱]] 단장은 이전부터 그를 지켜봐 왔다고 밝히면서 즉시 전력감으로 활용할 수 있고 컨디션과 실전 감각이 대학 시절만큼 회복된다면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529&aid=0000001214 <nowiki>[배지헌의 브러시백]</nowiki> 넥센은 왜 김택형 대신 김성민을 택했나], 《엠스플뉴스》, 2017년 5월 18일.</ref> [[2017년]] [[5월 28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4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2017년]] [[7월 2일]] [[kt 위즈]]와의 경기에서 5이닝 1실점으로 승리 투수 요건을 갖췄고, 6회에도 올라왔으나 경기가 강우 콜드로 끝나면서 완투승으로 데뷔 첫 승을 기록하였다.<ref>[http://news1.kr/articles/?3036995 '김성민 데뷔 첫 승' 넥센, kt에 6회 강우콜드 승리] 《뉴스1》, 2017년 7월 2일.</ref>
|2017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4.93 ||33 ||1 ||0 ||4 ||3 ||0 ||1 ||0.571 ||411 ||87.2 ||104 ||12 ||40 ||9 ||75 ||54 ||48
{{넥센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옥산초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SK 와이번스 선수]]
- 황두성 . . . . 9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 <br /> 히어로즈· <br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황두성'''(黃斗聖, [[1976년]] [[11월 16일]] ~ )은 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트레이닝 코치이다.
=== [[넥센 히어로즈]] 시절 ===
|2008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4.05 ||34 ||6 ||8 ||8 ||1 ||0 ||0 ||104.1 ||88 ||10 ||45 ||77 ||50 ||47 ||align="left"|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해태 타이거즈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분류:배명중학교 동문]][[분류:배명고등학교 동문]]
- 이상민 (야구선수) . . . . 8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4년 ~ 현재)
'''이상민'''(李相旼, [[1990년]] [[11월 4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그의 사촌 형은 전 [[KBO 리그]] [[고양 원더스]]의 [[내야수]] [[이성엽]]이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400&article_id=0000000027 信人을 꿈꾸는 新人들 ④ 동의대학교 이상민ㆍ강동호ㆍ김성호] - NC 다이노스</ref>
==[[넥센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복귀==
|2014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8.10 ||6 ||0 ||0 ||0 ||0 ||0 ||0 ||- ||19 ||3.1 ||4 ||0 ||4 ||0 ||4 ||4 ||3
{{넥센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남도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동의대학교 동문]][[분류:경찰 야구단 선수]]
- 최원태 . . . . 8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드래프트 순위 = [[2015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5년]] 1차 지명([[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5년 ~ 현재)
'''최원태'''(崔原態, [[1997년]] [[1월 7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16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7.23 ||17 ||0 ||0 ||2 ||3 ||0 ||0 ||0.400 ||293 ||61 ||89 ||6 ||23 ||6 ||42 ||51 ||49
{{넥센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인헌초등학교 동문]][[분류:경원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박종윤 (1993년) . . . . 7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2012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2년 2라운드]]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2년 ~ 2017년)
'''박종윤'''(朴鐘允<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93년]] [[2월 9일]] ~ )은 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복귀==
|2012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3.00 ||7 ||0 ||0 ||0 ||0 ||0 ||0 ||- ||29 ||6 ||4 ||0 ||6 ||1 ||7 ||2 ||2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
- 김상훈 (1990년) . . . . 6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6년 ~ 현재)
'''김상훈'''(金相訓, [[1990년]] [[3월 16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김종덕 (야구선수) . . . . 6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6년 ~ 현재)
'''김종덕'''([[1993년]] [[5월 12일]] ~ )은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
- 류영수 . . . . 6회 일치
|소속 구단 =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육성군 총괄 겸 재활코치 (2014년)
* [[넥센 히어로즈]] 1군 투수코치 (2014년)
* [[넥센 히어로즈]] 육성군 재활코치 (2015년 ~ 현재)
'''류영수'''(柳永洙, [[1945년]] [[5월 25일]] ~ )은 현재 [[넥센 히어로즈]]의 육성군 재활코치이다.
{{넥센 히어로즈 명단}}
- 전근표 . . . . 6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히어로즈]] (2008년 ~ 2009년)
|2008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0.224 ||32 ||49 ||11 ||0 ||0 ||1 ||4 ||6 ||0 ||0 ||10 ||11 ||1 ||0 ||0.286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서울화곡초등학교 동문]][[분류:신일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신일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채상현 . . . . 5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2016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6년]] 2차 8라운드 ([[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6년 ~ 2017년)
'''채상현'''([[1993년]] [[4월 14일]] ~ )은 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외야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좌익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장충고등학교 동문]][[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황덕균 . . . . 5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2016년 ~ 2017년)
'''황덕균'''(黃德均, [[1983년]] [[7월 28일]] ~ )은 전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2016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3.31 ||7 ||0 ||0 ||1 ||0 ||0 ||0 ||1.000 ||68 ||16.1 ||13 ||3 ||7 ||1 ||3 ||6 ||6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황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도신초등학교 동문]][[분류:선린중학교 동문]][[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동문]][[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서울 해치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KT 위즈 선수]]
- 김용국 (야구인) . . . . 4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수비/작전/주루코치 (2009년 ~ 2010년)
* [[넥센 히어로즈]] 수비/작전코치 (2010년)
[[대한민국]]에서 연봉 5천만원에 [[LG 트윈스]]의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551908 <프로야구소식> LG, 김대진, 김용국코치 영입]</ref> 그는 추후 자리를 옮겨 [[200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6 시즌]]부터 [[2009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9 시즌]]까지 친정 구단 [[삼성 라이온즈]]에서 수비 코치로 활동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20171 삼성, 김용국·강성우 코치 영입]</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65 [사진]김용국 코치,'아픈 데는 괜찮나?'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76 [사진]김용국,'글러브 가볍고 괜찮네!'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9년]] 친정 팀의 코치 재계약에 실패한 후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10 시즌]]엔 [[넥센 히어로즈]]에 자리를 옮겨 2군 수비·작전·주루 코치로 활동하다가<ref>''OSEN'' - 2009년 11월 기사 [http://www.osen.co.kr/news/Sports_View.asp?gisano=G0911190106 "히어로즈, 김용국 전 삼성 코치 영입"]</ref> [[류중일]]이 감독으로 부임한 후 부름을 받아 친정 팀의 코치로 복귀했다.
- 장종덕 . . . . 4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0년]] 2차 9라운드([[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0년 ~ 2011년)
==[[넥센 히어로즈]] 시절==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분류:자양중학교 동문]][[분류:배명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전인환 . . . . 4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6라운드([[히어로즈]])
* [[히어로즈]] (2009년)
==[[히어로즈]] 시절==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서울학동초등학교 동문]][[분류:대치중학교 동문]][[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
- 허준 (1981년) . . . . 4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연세대 체육교육학과(2001학번) 졸업 이후 현대에 입단하지만 [[2007년]]에 선수단이 [[넥센 히어로즈]]에 인수될 때까지는 2군에만 머물렀다.
== [[넥센 히어로즈]] 시절 ==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서울미양초등학교 동문]][[분류:청량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권혁 . . . . 3회 일치
29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홈경기에서 6-3으로 뒤진 상황에서 3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그닥 좋지 못한 구위를 보여주며 1이닝 1실점을 기록하였다.결국 팀의 추격 분위기에서 찬물을 거하게 끼얹고 말았다.
* 2009년 9월 6일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예정에 없던 구원등판을 하게 되었는데, '''유니폼이 없었다'''. 평소같았으면 다른 선수 유니폼 빌려입고 나갔겠지만 하필 이 날 [[김응용]] 사장이 참관하고 있던 터라... [[최원제]]가 권혁의 이름이 마킹된 유니폼을 갖고 있던 팬[* 아마 여자 팬인 듯. 크기를 보면...]에게 부탁해서 유니폼을 빌려입었는데, 그 사이즈가 너무 작았다. 그나마 너무 작아 겨드랑이를 잘라낸게 저정도라고. --그냥 경기장 밖에서 어센틱 유니폼을 사와-- --그럼 한국야구도 이제 빨래끝난 유니폼 선수가 직접 찾아가는 식으로 하지 말고 메이저리그처럼 구단 유니폼만 관리하는 전담 직원을 마련하던가..는 그럴 돈 없다능--
- 이희성 (1988년) . . . . 3회 일치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3차 4라운드([[넥센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11년)
==[[넥센 히어로즈]] 시절==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3회 일치
2010년에는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온라인]]"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 버전이 나왔지만 현재는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
2013년에 [[독소전쟁]]을 배경으로 한 후속작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가 발매되었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에서 지원되는 캠페인. 주인공 세력은 미군으로, 오마하 해변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EC%83%B9%EB%B6%80%EC%95%84_%EC%A0%84%ED%88%AC|샹부아 전투]]까지 미군이 치룬 전투를 다루고 있다.
- 김가은(1989년 5월) . . . . 2회 일치
* [[넥센 히어로즈]] 시구를 하였다. 넥센 히어로즈 팬인듯 하다.--호탕한 웃음은 덤--
- 김명신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2017년]]에 입단하였다. 2차 1라운드에 지명된 [[박치국]]과 스프링캠프에 참가하였으며, 신인 투수가 캠프에 참가한 것은 5년 만이다. [[박치국]], [[함덕주]]와 5선발 경쟁을 하였으나, [[함덕주]]가 5선발로 낙점되었다. 그래서 불펜으로 나와 배짱투로 신인답지 않은 투구를 펼쳤다. [[4월 15일]]에 데뷔 첫 선발 등판을 하였다. [[4월 25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김민성 (1988년)|김민성]]이 친 타구가 그의 안면을 강타하여 안면 광대뼈가 골절되면서 선발진에서 하차하였다.<ref>[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9187 두산베어스 김명신, 넥센히어로즈 김민성 타구에 '부상'… 야구팬 "빨리 완쾌되길"] -이뉴스투데이</ref>
- 김재박 . . . . 2회 일치
* 2012년 [[한화 이글스]]와 [[넥센 히어로즈]]가 감독을 잇달아 경질하면서 현장 복귀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러 언론들의 보도로 한화 이글스 감독이 유력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대전구장]]과 한화 2군경기에 자주 모습을 드러낸 것이 목격되면서 사실상 김재박으로 결정된게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당시 한화 프런트는 김재박을 감독 단수 후보로 상부에 보고했지만, 수감중이던 [[김승연]] 회장을 대신해서 그룹 경영 총괄하던 장남이 무조건 최고를 데려오라면서 김재박 대신 [[김응용]]을 찍어서 지시했다는 카더라가 인터넷에 퍼졌다.] 하지만 [[한화 이글스]]는 [[김응룡]]을, [[넥센 히어로즈]]는 [[염경엽]]을 차기 감독으로 낙점지었다.
- 박근영 (야구인) . . . . 2회 일치
[[2010년]] [[4월 25일]] [[넥센 히어로즈]] 대 [[기아 타이거즈]] 경기에서 박근영 심판의 오심 논란이 제기되었다.
[[2013년]] [[6월 15일]] [[넥센 히어로즈]] 대 [[LG 트윈스]] 경기에선 5회 말 2사 만루 상황에서 아웃이 되어야 하는데 세이프로 판정하여 해당 타석을 포함하여 넥센이 8실점을 하는 사건이 일어나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 야구 위원회]]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그를 2군 심판으로 강등하였다.
- 박진영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08년]] [[4월 22일]]<br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광주]] 대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전
- 배재준 . . . . 2회 일치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8년]] [[4월 26일]]<br>[[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구원
[[대구상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3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13년]]에 2라운드로 지명받아 입단했다. [[2018년]] [[4월 2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하며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0이닝 1실점(비자책)을 기록하였다.
- 오현근 . . . . 2회 일치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16년 한국프로야구|2016년]] [[6월 14일]] <br /> [[고척스카이돔|고척]]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 전
6월 17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서울를 앞두고 [[오태곤|오승택]]이 등록되면서 1군에서 말소되었다.
- 우현(배우) . . . . 2회 일치
그러다가 2018년 2월 달에 파일럿 예능 삐그덕 히어로즈를 통해 오랜만에 예능에 출연하였다. 그 후 범바너 2화에 출연하였다.[* 참고로 친구인 안내상은 이 프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 삐그덕 히어로즈(MBC, 2018) - 파일럿 예능
- 이수진(치어리더) . . . . 2회 일치
[[한국프로야구/2014년 포스트시즌]]을 맞아 [[XTM]]의 [[베이스볼 워너B]]에서 제작한 치어리더 배틀 영상에 출연했다. 동영상 링크는 [[https://youtu.be/30M67wdL7Fw|여기]]. 당시 [[삼성 라이온즈]]는 한국시리즈에서 [[넥센 히어로즈]]와 경기를 했는데, 각 팀 치어리더들이 나와서 댄스 배틀을 펼치는 방식이었다. 이수진은 넥센 치어리더 임경미와 대결을 했다. 여기서 자신의 키만큼 발차기를 하고 다리 찢기를 하는, 놀라운 유연성을 선보였다.
2014 포스트시즌부터 적용된 [[KBO]] SAFE 캠페인 홍보 영상에 [[삼성 라이온즈]] 치어리더 대표로 출연하였다.[* [[KIA 타이거즈]]의 최미진, [[SK 와이번스]]의 [[배수현]], [[한화 이글스]]의 [[금보아]], [[NC 다이노스]]의 [[김연정]], [[LG 트윈스]]의 [[강윤이]], [[넥센 히어로즈]]의 임경미, [[롯데 자이언츠]]의 박기량, [[두산 베어스]]의 김다정 치어리더들과 함께 출연함.]
- 이승엽 . . . . 2회 일치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7년]] [[10월 3일]] <br />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대구]]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br /> [[일본 야구 기구|NPB]] / [[2011년]] [[10월 18일]] <br /> [[오사카 돔]]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세이부]]전
그는 시즌 시작 전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2017년]] [[5월 21일]] [[송창식 (야구 선수)|송창식]]을 상대로 [[KBO 리그]] 첫 450호 홈런을 기록했고<ref>[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21&newsid=01666246615931216&DCD=A20102 '이승엽, 통산 450홈런'삼성, 661일만에 시리즈 스윕(종합)] - 이데일리</ref>, 2달 뒤인 [[7월 29일]]에는 [[김성민 (1994년)|김성민]]을 상대로 [[KBO 리그]] 최초로 4000루타를 달성했다.<ref>[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707291933932974&ext=na '라이언킹' 삼성 이승엽, KBO리그 최초 4000루타 돌파] - 마이데일리</ref> 시즌 후반기부터 소속 팀을 제외한 9개 구단에서 그를 위해 은퇴 투어를 진행했고 그 여정이 끝난 [[10월 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대구를 끝으로 공식 은퇴했다. 그 대구에서 [[한현희]]를 상대로 연타석 홈런을 기록하며 그의 은퇴를 바라보는 이들을 아쉽게 만들었다. 대구 후 팀은 그에 대한 성대한 은퇴식을 열었고, 그의 등번호인 '36번'은 구단 역대 세번째로 영구 결번 처리됐다.<ref>[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612121051081031 ‘일구대상’ 이승엽 “마지막 1년, 떠날 때 후회없도록”(일구상 시상식)]</ref> 그는 은퇴 후에는 야구 관련 직종에 종사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며 "야구장 안팎에서 야구 관련 일을 하겠다"고 말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3/0200000000AKR20170113128700007.HTML?input=1195m 이승엽 "은퇴 이후 일? 야구 관련 아니면 안 한다"]</ref>
- 차일목 . . . . 2회 일치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17년]] [[8월 13일]] <br /> [[고척스카이돔|고척]]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2014년]] [[4월 9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이정훈 (1977년)|이정훈]]을 상대로 만루 홈런을 쳐 내 승리를 이끌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827159 차일목, 넥센전서 개인 통산 2호 만루포 폭발] -OSEN</ref>
- 현재윤 . . . . 2회 일치
* 2009년 4월 8일 목동구장 히어로즈 전 : 2009 시즌 첫 홈런
|히어로즈||15||37||8||10루타3개,1홈런)||4||270||432||341
- AEC 장갑차 . . . . 1회 일치
* RTS 게임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 Mk.3 버전이 등장한다.
- 강타 . . . . 1회 일치
* 2017년 [[JTBC]] 《[[갑자기 히어로즈]]》
- 구자욱 . . . . 1회 일치
그의 자리를 확고히 하기 위해 [[채태인]]을 [[넥센 히어로즈]]에 보내고 [[김대우 (1988년)|김대우]]를 받아오는 1:1 트레이드를 하였다. 팀에서 3번 타자 겸 1루수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크고 작은 부상 때문에 전경기 출장을 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3할대 타율과 14홈런으로 데뷔 시즌에 비해 기록이 상승하였다.
- 권희동 . . . . 1회 일치
10월 1일 [[넥센 히어로즈]]전에서는 4타석 3안타 3타점을 기록하여 팀의 6-2 대승을 이끌었지만 쓰리런 홈런을 날린 [[나성범]]에게 활약상이 묻히면서 ~~그 나성범조차 10승을 거둔 [[이재학]]에게 묻혔지만~~ 빛이 바랬다. 시즌 2번째 3안타 경기로 타율은 0.199 유지.
- 박지훈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2012년에 입단하였다. 입단한 해에 신인상 후보에 올랐으나 7표를 받는데 그쳤다. 신인왕 수상은 [[넥센 히어로즈]]의 [[서건창]]이 차지하였다.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 네이버TV|| [[뜻밖의 히어로즈]] || 노들희 || 주연 ||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 1회 일치
* 마블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 씽(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온몸이 바위와 같이 단단해졌기에 상당한 내구력이 있고 힘도 그에 걸맞게 세다. 마블 히어로즈의 파워 기믹 캐릭터들 중에선 [[헐크]] 같이 초강력 푸시를 받는 [[캐사기]]급은 못 되더라도, 메이저들 중에선 상급에 속하는 방어력 및 괴력에 지력도 어느 정도 겸비한 캐릭터.
- 안지만 . . . . 1회 일치
[[2002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2년]] [[삼성 라이온즈]]의 2차 5순위(전체 40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2005년]]에 [[오승환]]과 함께 불펜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2010년]]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 주며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권혁]], [[정현욱]]과 함께 불펜의 '안정권' 트리오라는 별칭이 있다.<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08200005 오치아이 코치가 바라보는 안정권 트리오] - OSEN</ref>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4홀드로 맹활약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13년]] [[8월 17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우완 [[투수]]로써 최초의 100홀드를 기록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377859 삼성 안지만, 우완 투수 최초 100홀드 대기록] - 스포츠조선</ref> 그리고 [[2014년]] 프로 데뷔 12년 만에 FA 자격을 획득하여 계약금 35억, 연봉 7억 5000만원으로 총액 4년 65억에 [[삼성 라이온즈|삼성]]과 재계약하였다. 그 뒤 [[2015년]] [[6월 5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전에서는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50홀드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하지만 [[윤성환]], [[임창용]]과 함께 해외원정 불법도박 혐의로 [[2015년 KBO 한국시리즈|2015년 한국시리즈]]에 승선하지 못했고 [[2015년 WBSC 프리미어 12|2015년 프리미어 12]]에도 탈락하였다. [[2016년]] [[7월 20일]]에 검찰로부터 불법 스포츠 도박사이트 자금 투자와 관련한 혐의를 받고 있다는 보도까지 나오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다음날 계약 해지를 발표함에 따라서 유니폼을 완전히 벗게 되었고, 구단에서 퇴출되었다. 퇴출 이후에는 사회인 야구 선수들을 가르치며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양예나 . . . . 1회 일치
* 2017년 7월 2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17 타이어뱅크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와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에 앞서 시구를 선보였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587286|기사]] --고향 팀 앞에서.....--
- 오지호(배우) . . . . 1회 일치
연기자 활동을 하면서 예능인 [[천하무적 야구단]]에도 출연하여 팀의 투수 겸 4번타자로 활약했다. 유연성이 제로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넥센 히어로즈]]의 [[정민태]] 투수코치는 오지호를 보고 "이렇게 뻣뻣한 사람이 왜 야구를 하지?" 라고 말할 정도였다. 투수는 도저히 할 수 없는 몸이라고.] 사회인 야구단에서 활동하면서 쌓은 실력을 바탕으로 절친 [[김성수(배우)|김성수]]와 함께 천하무적 야구단의 주전으로 활동했다.
- 왓치맨 . . . . 1회 일치
WATCHMEN. 미국의 만화회사 DC 코믹스가 출판한 [[그래픽 노블]]. [[브이 포 벤데타]]와 [[FROM HELL]]의 작가인 [[앨런 무어]]가 쓰고 [[할렘 히어로즈]], [[댄 데어]]의 작가인 [[데이브 기본즈]]가 그렸다.
- 은지원 . . . . 1회 일치
* 1박 2일에서 [[KBO 리그|한국 프로야구]] 구단의 모자를 쓰고 나온다. 1박 2일 촬영 중에서 [[넥센 히어로즈|넥센]]을 제외한 [[LG 트윈스|7]][[두산 베어스|개]] [[SK 와이번스|구]][[한화 이글스|단]] [[KIA 타이거즈|모]][[삼성 라이온즈|자]][[롯데 자이언츠|를]] 다 한 번씩 쓰고 나왔다. 2008년 [[1박 2일/사건사고|사직 구장 사건]] 촬영분에서 본인이 [[두산 베어스]] 팬이라고 말한 적 있지만 진짜 야구 팬인지는 알 수 없고, 그냥 코디해준 대로 쓰고 나온 게 아니라 한국프로야구단 야구모자의 모델로 활동했었다. 또한 [[퍼니셔]], [[수퍼맨]], [[배트맨]] 심볼이 그려진 윗옷을 입고 나오는 게 가끔씩 보인다. --미국 슈퍼 히어로 팬인가?--
- 이동훈 (1996년) . . . . 1회 일치
[[2016년]]에 입단하였다. [[2017년]] [[5월 5일]] [[kt 위즈|KT]]전에서 [[배제성]]을 상대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였다.<ref>[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1953 프로 첫 안타 한화 이동훈 "이제야 웃네요"] - 스포티비뉴스</ref> [[2018년]] [[8월 9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신재영 (야구 선수)|신재영]]을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기록하였다.<ref>[http://www.sportsseoul.com/news/read/668077 한화 이동훈, 데뷔 첫 홈런 신고] - 스포츠서울</ref>
- 이병규 (1983년) . . . . 1회 일치
[[2012년]]부터 다시 본업인 [[1루수]]로 [[최동수 (야구인)|최동수]]와 번갈아가며 출장했고, [[2012년]] 시즌 후 10월 무릎 수술을 받고 재활했다. [[넥센 히어로즈]]전에 특히 강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2013년]] 2012년 10월에 무릎 수술 후 2013년에는 초반에 복귀하지 못하고 2군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후반기에 복귀하였다. [[두산 베어스]]와의 플레이오프에서 홈런을 기록했다.
- 이상목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2008년]] [[8월 26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목동 경기에서 승리, 통산 100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승리였다. [[2008년]] 10월 플레이오프가 끝난 후 [[삼성 라이온즈]]에서 방출되어 현역에서 은퇴했다.
- 이상호 (1989년) . . . . 1회 일치
[[SK 와이번스]]에서 방출당한 후 곧바로 [[NC 다이노스]]의 캠프에서 테스트를 받아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2군에서 실력을 갈고 닦은 결과 개막전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2013년]] [[4월 2일]] 개막전에서 [[모창민]]이 안타를 친 후 근육통을 호소하자 [[대주자]]로 출장하며 첫 1군 데뷔를 하게 되었고, 그 경기에서 도루를 성공하며 대주자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5065708 이상호, '운이 따르네~'] - 뉴시스</ref> 이후에는 주로 대주자로 나왔으며 [[지석훈]]과 [[노진혁]]의 부진으로 종종 선발출전도 했다. [[8월 2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노진혁]]의 땅볼 때 [[서동욱]]의 태그를 절묘하게 피하며 병살을 피하였고<ref>[http://osen.mt.co.kr/article/G1109668015 이상호, '태그를 피하는 방법' ] - OSEN</ref>, 타격에서도 4타수 2안타 1타점(결승타) 2도루로 경기의 MVP가 되었다.
- 이수민(야구선수) . . . . 1회 일치
3월 8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연습경기에 선발등판했다. 2이닝 5피안타 1볼넷 4삼진. [[이택근]]의 빚맞은 타구가 안타가 되기는 했지만 두 이닝 모두 조금씩 주자를 쌓는 모습을 보여줬다. 볼질이 없고 위기때마다 삼진을 잡는것은 긍정적이지만, 아무리 2군 멤버의 수비가 안좋다해도 너무 많은 피안타를 허용했다.
- 이재학 . . . . 1회 일치
* 팀 동료이기도 했었던 같은 사이드암, 신인왕 출신, 투피치 선발 투수라는 공통점이 있는 [[넥센 히어로즈]]의 [[신재영]]과 친하다고 한다. ~~그리고 2017년에 사이좋게 같이 망한 전적이 있다.~~ 서로 구종 습득, 변화구 각도 조정 등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눈다고 한다.
- 이태현(씨름) . . . . 1회 일치
하지만 2006년 9월에 있던 [[PRIDE]] 데뷔전에서 [[브라질]]의 히카르두 모라예스에게 1라운드 8분 8초만에 TKO패를 당했다.(얼굴에 싸커킥 '짝!') 1년 후 10월에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K-1]] 히어로즈 대회에서 일본의 야마모토 요시히사를 1회 TKO로 꺾어 데뷔 첫 승을 거뒀지만 2008년에 네덜란드의 [[알리스타 오브레임]]에게 1라운드 36초만에 KO패를 당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종합격투기에서 거둔 전적은 1승 2패. 이태현의 타고난 힘으로 상대를 테이크 다운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었지만, 결국 타격부분에서는 밀릴 수 밖에 없었던게 실패의 요인이었다.
- 정동현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정동현'''(鄭東鉉, [[1997년]] [[3월 20일]] ~ )은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투수]]이다. 그의 형은 [[넥센 히어로즈]]의 투수 [[정대현 (1991년)|정대현]]이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10434287 정대현-동현, 동반 선발 등판 속 나눈 형제애]</ref>
- 정상교 . . . . 1회 일치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12년]] [[5월 6일]]<br>[[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광주]]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 최인영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1년]] [[9월 22일]] <br /> [[잠실야구장|잠실]]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 콩고릴라 . . . . 1회 일치
과거 [[포가튼 히어로즈]](Forgotten Heroes)에 가입했으며 [[뉴52]] 이전에는 [[저스티스 리그]] 오브 아메리카에 가입하기도 했다.
- 특촬물 . . . . 1회 일치
단어 그 자체의 의미로는 '''특수촬영물'''(特殊撮影物)의 약자. 넓은 의미로는 특수촬영기법이 사용된 모든 영상물을 말하지만,[* 오죽하면 [[닥터후]]나 [[히어로즈]]와 같이 특수효과로 점철된 [[드라마]]들도 특촬물이라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크게 보자면 틀린말도 아니긴 하다)--한 술 더 떠서 [[텔레토비]]도...--][* 대표적으로 몇 년 전 [[루리웹]]의 애니 게시판에서(여기선 특촬물 관련 글도 같이 취급한다) 일부 회원들이 저 두 작품을 두고 '이것도 특촬이다'라며 도배하면서 논쟁이 일어났다가 잠시 동안 특촬 관련 게시글이 금지가 됐었다.] 일반적으로 '특촬물'이라고 하면 전대물, [[괴수]]영화 같은 일부 장르의 영상물에 한정된다. 특수효과를 뜻하는 약어인 SFX(Special Effect)가 영상물 전반의 이름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SF]]와 헷갈리지 말자! [[디워]]의 경우가 --애초에 이 영화 자체가 여러가지로 까이지만-- SF와 SFX를 구별 못한 대표적 사례로, SF영화라고 홍보했다가 엄청난 빈축을 사기도 했다.
- 하정우(영화감독) . . . . 1회 일치
한국 프로야구의 [[넥센 히어로즈]] 소속 [[이택근]]이 하정우와 닮은 꼴이다[* ...라고는 하지만 하정우와 함께 《[[비스티 보이즈(한국 영화)|비스티 보이즈]]》를 촬영했으며, 이택근과 한동안 연인 사이였던 배우 [[윤진서]]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1&oid=009&aid=0002157200|'(실제로 봤을 때 둘은)안 닮았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 홍영현 . . . . 1회 일치
|첫 출장 = [[KBO (야구)|KBO]] / [[2016년]] [[5월 14일]]<br />[[고척스카이돔|고척]] 대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구원
- 황재규 . . . . 1회 일치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381205 한화 신인 황재규, '젊은 마운드의 중심이 되고 싶다'] 《조이뉴스》, 2008년 12월 23일</ref> [[2009년]] [[4월 17일]]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SK 와이번스|SK]]전에서 프로 첫 출장을 갖는다. [[2009년]] [[5월 8일]] [[잠실야구장|잠실]] [[두산 베어스|두산]]전에서 프로 통산 첫 선발 [[투수]]로 나와 3.2이닝 동안 6피안타 4실점을 허용하면서 통산 첫 패전을 기록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905080245 '첫 선발' 황재규, 아쉬움 속 희망을 쏘다] 《Osen》, 2009년 5월 8일 작성</ref><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120&g_serial=413573 한화 황재규, 데뷔 첫 선발 '실책 2개에 울다'] 《조이뉴스》, 2009년 5월 8일 작성</ref> 1군 9경기에 그친 [[2010년]] 시즌 종료 후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하였고, 소집 해제 후 [[2013년]]에 복귀하여 [[2013년]] [[5월 7일]] 마산 NC전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2015년 4월 개인적인 사유로 임의탈퇴되었고, 사용하던 등번호는 [[넥센 히어로즈]]에서 이적해 온 [[허도환]]이 달았다.<ref>[http://www.sportsseoul.com/?c=v&m=n&i=196506 한화의 충격적인 트레이드 단행, 도대체 왜?] 《스포츠서울》, 2015년 4월 9일 작성</ref>
11533의 페이지중에 6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