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히어로즈"에 대한 역링크 찾기

히어로즈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동수 (야구인)
         *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히어로즈]] (2008년 ~ 2010년)
         * [[히어로즈]] 플레잉코치 (2009년)
         * [[넥센 히어로즈]] 배터리코치 (2010년 ~ 2014년)
         '''김동수'''(金東洙, [[1968년]] [[10월 27일]] ~ )는 전 [[KBO 리그]] [[히어로즈]]의 [[포수]]이자, 현 [[KBO 리그]] [[LG 트윈스]]의 어시스턴트 코치이다.
         === [[히어로즈]] 시절 ===
         [[2008년]] [[현대 유니콘스]] 해체와 이를 인수한 [[히어로즈]]의 창단으로 다른 [[현대 유니콘스]] 선수들과 함께 [[히어로즈]]에서 활동했다. [[히어로즈]]에서 통산 200홈런과 국내 포수 최초 2000경기 출장을 기록했으며, [[2009년]]부터 [[넥센 히어로즈]]의 플레잉 코치로 승격되었다.<ref>[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1988922 히어로즈 김동수, 플레잉코치로 변신]</ref> [[2009년]] 시즌 후 현역에서 은퇴했고 배터리 코치 [[정인교 (야구인)|정인교]]를 2군 감독으로 승격하면서 그가 배터리 코치로 정식 승격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2915967& 김동수, 히어로즈 코치로 새 출발] - 연합뉴스</ref>
         [[2010년]]부터 [[넥센 히어로즈]] 배터리 코치로 활동하다가 [[2014년 한국시리즈]]가 끝난 후 친정 팀 [[LG 트윈스]]의 2군 감독으로 활동했다.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우리 히어로즈|우리]]
         [[분류:196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포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KBO 신인상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0안타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800타점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200홈런 클럽]][[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김해 김씨]][[분류:서울화곡초등학교 동문]][[분류:강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김지수 (1986년)
         |소속 구단 = 키움 히어로즈
         |드래프트 순위 =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5라운드([[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2009년 ~ 2018년)
         * [[키움 히어로즈]] (2019년 ~ 현재)
         '''김지수'''(金旨洙<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86년]] [[8월 23일]] ~ )는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내야수]], [[외야수]]이다. 그의 형은 뮤지컬 배우 [[김효수]]이다.
         == [[넥센 히어로즈]] 시절 ==
         == [[넥센 히어로즈]] 복귀 ==
         |2009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0.000 ||15 ||3 ||2 ||0 ||0 ||0 ||0 ||0 ||0 ||0 ||0 ||0 ||0 ||1 ||2 ||0
         |2010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0.000 ||8 ||5 ||1 ||0 ||0 ||0 ||0 ||0 ||0 ||0 ||0 ||1 ||0 ||0 ||2 ||0
         {{키움 히어로즈 명단}}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좌익수]][[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선수]][[분류:서울서일초등학교 동문]][[분류:경원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경찰 야구단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김진수 (1979년)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09년]] [[9월 10일]] <br>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 대 [[히어로즈]]전
  • 민태호 (1989년)
         * [[넥센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우리 히어로즈]] 시절==
         [[2007년]] [[9월 15일]] [[현대 유니콘스]]와 계약금 7,000만원 연봉 2,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0107924 현대, 김성현 등 2차지명 고교선수 계약 완료] - 마이데일리</ref> 그 후 [[히어로즈]]가 [[현대 유니콘스]]를 인수하며 소속 팀이 변경됐다.
         |2008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우리 히어로즈|우리]]||5.68 ||6 ||0 ||0 ||1 ||0 ||0 ||0 ||1.000 ||29 ||6.1 ||6 ||0 ||5 ||0 ||3 ||4 ||4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서울도신초등학교 동문]][[분류:영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여흥 민씨]][[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
  • 민태호 (야구선수)
         * [[우리 히어로즈]] (2008년)
         * [[히어로즈]] (2008년 ~ 2009년)
         * [[넥센 히어로즈]] (2010년 ~ 2011년)
         ==[[우리 히어로즈]] 시절==
         [[2007년]] [[9월 15일]] [[현대 유니콘스]]와 계약금 7,000만원 연봉 2,000만원에 계약을 체결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0107924 현대, 김성현 등 2차지명 고교선수 계약 완료] - 마이데일리</ref> 그 후 [[히어로즈]]가 [[현대 유니콘스]]를 인수하면서 자연스럽게 입단하였다.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서 현역 복무를 마쳤으나, 제대하자마자 [[넥센 히어로즈]]에서 방출당한 후 [[NC 다이노스]]의 입단 테스트를 받아 이적했다.
         |2008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우리]]||5.68 ||6 ||0 ||0 ||1 ||0 ||0 ||0 ||1.000 ||29 ||6.1 ||6 ||0 ||5 ||0 ||3 ||4 ||4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서울도신초등학교 동문]][[분류:영남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중앙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여흥 민씨]][[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
  • 박동원 (야구선수)
         |소속 구단 = 키움 히어로즈
         |드래프트 순위 =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3라운드([[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br />넥센 히어로즈]] (2009년 ~ 2010년)
         *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br />키움 히어로즈]] (2013년 ~ 현재)
         '''박동원'''(朴東原, [[1990년]] [[4월 7일]]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포수]]이다.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복귀 & [[키움 히어로즈]] 시절==
         |2010 ||rowspan="7"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0.000 ||7 ||2 ||0 ||0 ||0 ||0 ||0 ||0 ||0 ||0 ||0 ||0 ||0 ||1 ||0 ||0
         {{키움 히어로즈 명단}}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선수]][[분류:양정초등학교 동문]][[분류:부산개성중학교 동문]][[분류:개성고등학교 동문]][[분류:상무 야구단 선수]]
  • 박헌도
         |드래프트 순위 =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4라운드]]([[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br />넥센 히어로즈]] (2009년 ~ 2015년)
         ===[[히어로즈]] 시절===
         ===[[넥센 히어로즈]] 복귀===
         |2011 ||rowspan="5"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0.000 ||7 ||10 ||0 ||0 ||0 ||0 ||0 ||0 ||0 ||0 ||0 ||1 ||0 ||4 ||1 ||0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KBO 리그 좌익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사파초등학교 동문]][[분류:신월중학교 (경남) 동문]][[분류:마산용마고등학교 동문]][[분류:경성대학교 동문]][[분류:반남 박씨]][[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
  • 소연 (성우)
         * [[히어로즈]] ([[SBS]]) - 시몬 드보 ([[타우니 사이프레스]]) / 몰리 워커(에이데어 티쉴러)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케리건
  • 송신영
         |소속 구단 = 키움 히어로즈
         |마지막 경기 = [[KBO 리그|KBO]] / [[2017년]] [[4월 28일]] <br /> [[넥센 히어로즈|넥센]]전 구원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1년, 2013년 ~ 2015년)
         * [[넥센 히어로즈]] 잔류군 투수/재활코치 (2018년)
         * [[키움 히어로즈]] 잔류군 투수/재활코치 (2019년 ~ 현재)
         '''송신영'''(宋臣永, [[1977년]] [[3월 1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자, 현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잔류군 투수/재활코치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고 센테니얼 인베스트먼트의 주도로 [[히어로즈]]가 창단되면서, 그의 소속 팀도 인계됐다. 주로 셋업맨으로 활동하여 좋은 성적을 기록했으며, [[LG 트윈스]]를 비롯한 다른 팀이 그를 탐냈다. [[2011년]] 세이브와 홀드 부문 순위에 이름을 올리는 등 초반에 활약했고 그 해 처음으로 2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하지만 트레이드로 인해 시즌 중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넥센 히어로즈]] 복귀===
         [[2013년]] [[4월 18일]] [[NC 다이노스|NC]]와 [[넥센 히어로즈|넥센]]의 2:3 트레이드(그와 [[신재영 (야구 선수)|신재영]] ↔ [[박정준 (1984년)|박정준]], [[지석훈]], [[이창섭]])로 인해 1년 9개월 만에 친정 팀 [[넥센 히어로즈|넥센]]으로 복귀했다.
         2018년부터 [[넥센 히어로즈]]의 잔류군 투수/재활코치로 활동했다.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우리]]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키움 히어로즈 명단}}
         {{넥센 히어로즈의 트레이드 파동}}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서울재동초등학교 동문]][[분류:중앙중학교 (서울)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은진 송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심재학
         * [[히어로즈]] 2군 타격코치 (2008년 ~ 2010년)
         * [[넥센 히어로즈]] 2군 타격코치 (2010년)
         * [[넥센 히어로즈]] 타격코치 (2010년 ~ 2011년, 2015년 ~ 2016년)
         * [[넥센 히어로즈]] 외야수비코치 (2011년 ~ 2012년)
         * [[넥센 히어로즈]] 작전코치, 주루코치 (2013년 ~ 2014년)
         * [[넥센 히어로즈]] 수석코치 (2017년 ~ 2018년)
         * [[화성 히어로즈]] 타격코치 (2018년)
         히어로즈에 새로 부임한 [[김시진]] 감독의 부름을 받아 [[2008년]] [[10월 16일]]에 [[넥센 히어로즈]]의 2군 타격코치로 영입되어 [[2009년]]부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2&aid=0001995064 정민태·심재학 히어로즈 합류] - 세계일보</ref> 이후 그는 자신처럼 투수에서 타자로 전향한 [[장민석]]을 톱 타자로 만들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18&aid=0002275060 투수 장민석을 타자로 만든 심재학 코치의 조언] - 이데일리</ref>
  • 오주원
         |소속 구단 = 키움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히어로즈·<br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현재)
         '''오주원'''(吳周原, [[1985년]] [[3월 31일]] ~ )은 [[KBO 리그]] [[키움 히어로즈]]의 [[투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오재영(吳在英)'이다.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시절==
         [[2008년]] 2군 북부 리그에서 11승의 성적으로 다승왕에 올랐고, [[2008년]]에 제대해 자신의 전 소속 팀이었던 [[현대 유니콘스]] 선수단을 승계받은 [[넥센 히어로즈]]에 복귀하였다. 복귀 후 불펜으로만 등판하며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릴리프로 등판했다. [[2011년]]에는 20홀드를 기록해 [[정우람]], [[정현욱]]에 이어 홀드 3위를 기록하며 예전의 명성을 조금씩 찾는가 했지만 [[2012년]] 26서울에 등판해 1승 3패, 4홀드, 1세이브, 5점대 평균자책점으로 비교적 부진했고 8월에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을 받아 시즌을 마감했다. 재활 후 복귀하자 당시 감독이었던 [[염경엽]]이 부진했던 [[강윤구 (야구 선수)|강윤구]]와 [[김세현 (야구 선수)|김세현]]을 내리고 그를 선발로 올렸다. 2,672일 만에 [[2013년]] [[8월 22일]] [[NC 다이노스|NC]]전에 선발 등판해 [[2006년]] [[4월 18일]] [[두산 베어스]]전 이후 7년(2,683일) 만에 선발 승을 거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44&article_id=0000213192 2683일만의 승리 오재영, "2004년의 기억을 다시 한 번"] - 스포츠경향</ref> 이어 [[2014년]]에도 선발로 여러 번 등판했으나 안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포스트 시즌에서의 호투로 평가는 점점 좋아졌다. [[2015년]] 1월 중순에 발생한 고관절 통증으로 인해 재활했고, 시즌 중반에 복귀했지만 썩 만족스러운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15년]] 시즌 9서울에 등판해 9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6년]] [[9월 4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1.1이닝 1실점으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10490043 시즌 2세이브 달성하는 넥센 마물 오주원] -OSEN</ref>
         |2009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히어로즈]]||4.08 ||52 ||0 ||0 ||1 ||2 ||0 ||5 ||0.333 ||167 ||39.2 ||39 ||3 ||17 ||1 ||25 ||18 ||18
         |2010 ||rowspan="9"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2.38 ||69 ||0 ||0 ||1 ||1 ||0 ||9 ||0.500 ||187 ||45.1 ||39 ||4 ||15 ||2 ||28 ||15 ||12
         {{키움 히어로즈 명단}}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선수]][[분류:KBO 신인상 수상자]][[분류:청원초등학교 (서울) 동문]][[분류:청원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임태준
         *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br />히어로즈·<br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6년)
         ===[[넥센 히어로즈]] 시절===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되면서 [[히어로즈]]에 인계되어 [[2008년]]에 입단하였다.
         |2014 ||rowspan="1" style="text-align:center;" |[[넥센 히어로즈|넥센]]||0.083 ||17 ||12 ||1 ||1 ||0 ||0 ||0 ||1 ||0 ||0 ||0 ||2 ||0 ||6 ||1 ||0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광역시 출신]][[분류:KBO 리그 포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질롱 코리아 선수]][[분류:광주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장원삼(야구선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성산구 출신 인물]][[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198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넥센 히어로즈 은퇴/이적]]
         ||<-5><:><bgcolor=#820024> '''[[키움 히어로즈|{{{#FFF 우리 / 서울 히어로즈}}}]] {{{#FFF 등번호 13번}}}''' ||
         ||<:> '''소속팀''' || [[현대 유니콘스]] (2006~2007)[br][[히어로즈]] (2008~2009)[br] '''[[삼성 라이온즈]] (2010~2018)'''[br] [[LG 트윈스]] (2019~) ||
         로케이션형 투수, 소위 완급 조절이 뛰어난 투수인지라 한국시리즈나 국제 대회 등 중요 경기에서는 삼진이 늘어나는 특징을 보인다. 뭐 푹 쉬고 등판하는 경기에서는 평소보다 압도적인 구위로 볼을 뿌리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만. 그러나 현대, 히어로즈 시절보다 삼성 이적 후 탈삼진율이 꽤 줄은 것으로 볼 때, 역시 투구 스타일의 차이로 봐야할 것이다. 점수차가 많이 날 때보다 적게 날 때 잘 던지거나, 삼성 이적 이후 평균자책점에 비해 승리를 잘 챙긴다거나 하는 이유가 이 완급조절 능력의 결과로 보인다. 단 점수차가 많거나 타자가 만만하면 긴장이 풀어져서 공을 잘 못 던진다는 인터뷰를 보면 의도하지 않은 것일지도(...).
         [[류현진]]과 [[김광현]], [[봉중근]]에 비해 언론의 스포트라이트에서 상대적으로 밀려 '좌완 넘버 4'의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경기를 지배하는 능력은 이들 못지 않은 우수한 투수로 이닝 소화력도 우수하다. 뛰어나지만 아주 튀지는 않는 적당한 구위에 최고는 아니지만 좋은 제구력(코너워크에 강점을 보인다)에 좋은 커맨드. S급, A+급은 아니어도 A급 소리 듣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선수. 현대시절엔 계투의 방화, 히어로즈 시절엔 팀이 난장판이었던 것 때문에 승운이 없어 불운한 투수란 소리를 들었지만[* 2009년 히어로즈의 타선은 리그에서 상위권의 파워, 그리고 상위권의 스피드를 보여준 힘이 넘치는 타선이었지만, 정작 그때는 자기가 죽쒔다.] 삼성 이적 후 이미지가 급변한 묘한 케이스이기도 하다.
          * 고액 연봉자인데다 나이도 제법 차서 따로 집을 구할 법도 한데, [[2012년]]까지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경산 볼파크]]에서 기숙사 생활을 했다. 밥 주고, 재워 주고, 심심하면 후배들이랑 대화할 수 있어서 편하다나.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에 있던 시절에는 팀에서 숙소를 나가라고 하면 [[이가와 케이|그 앞에 텐트라도 치겠다고 했다]]. [[삼성 라이온즈]]에 와서도 기숙사 생활을 했던 건 '''[[술|다른 이유]]'''도 있었지만.[* 사실 인터뷰에서 '에이, 심심하게 어떻게 [[술]]을 혼자 마셔요'라고 공식적으로 부정했지만 그러면 숙소에서 애들 모아서 마시는 거냐고 아무도 믿지 않는다(...).] 2013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근처에 아파트를 구하면서 ~~결국 숙소에서 쫓겨나~~ 독립했다.
          * [[황재균]], [[이택근]] 등의 예를 보면 알 수 있지만 히어로즈 출신들은 타 팀에 이적하더라도 친정팀에 대한 애착이 상당히 강해서 그것을 넌지시 어필했다가 쌍욕을 먹는 경우가 많은데, 장원삼은 특이하게도 현대/히어로즈 출신인데다가 [[김시진]]에게 직접 조련까지 받았는데도 별다른 애정을 보이지 않고 오히려 삼성~~그리고 경산밥~~에 대하여 강한 애착과 충성심(...)을 보이고 있어서 넥센 팬들을 꽤 허탈하게 하였다. [[이장석]] 대표도 장원삼의 이적은 --급하게 파느라 제 값을 못 받아서-- 아쉽다고 말했는데... ~~그리고 2012년 골든 글러브 건과 2013년 FA로 인해 이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오죽하면 혀팬들은 FA로 좋게 떠난 유한준, 손승락은 욕을 잘 안하지만 장원삼은 트레이드 과정에서 위에 얘기한 차비 발언 등 돈을 밝히는(...) 모습, 트레이드가 취소되자 태업이 의심되는 부진 등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 인식 자체가 영 좋지 않다. 그래도 선발진이 허약했던 팀 특성 상 장원삼만 있었더라도 하는 소리가 종종 나왔지만, 장원삼이 2016년 이후 답이 없이 망가지면서 삼갤러들이 종종 넥갤에 찾아와 환불(...)을 요구하자 넥갤에서는 '''"저 분 삼성 1픽 아닌가요?"''', '''"우리 원삼이는 눈이 초롱초롱한 아이였는데 저 산적같은 놈이 어떻게 같은 사람이죠?"''' ~~우리 원삼이는 여름에 대구 놀러갔다가 사고나서 죽었는디~~ 등등으로 맞받아치며 관심도 주지 않는 수준이다.] 이제는 삼성에서 뛴 기간이 다른 팀에서 뛴 기간보다 거의 두 배는 더 길기 때문에 이적에 관해서는 별로 언급될 일도 없다.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 27 || '''167⅓'''[br](5위) || '''12'''[br](4위) || 8 || 0 || 0 || 0.600 || '''2.85'''[br](5위) || 145 || 9 || 59 || '''126'''[br](4위) || 54 || 53 || 1.21 ||
         || 2009 || [[키움 히어로즈|서울]] || 19 || 91 || 4 || 8 || 0 || 0 || 0.333 || 5.54 || 108 || 17 || 37 || 60 || 57 || 56 || 1.53 ||
  • 전인환
         |드래프트 순위 = [[2009년 한국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2009년]] 2차 6라운드([[히어로즈]])
         * [[히어로즈]] (2009년)
         ==[[히어로즈]] 시절==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히어로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서울학동초등학교 동문]][[분류:대치중학교 동문]][[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
  • 정민철
         |마지막 경기 = [[KBO (야구)|KBO]] / [[2009년]] [[9월 12일]] <br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대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전 선발 <br /> [[일본야구기구|NPB]] / [[2001년 10월]]
         [[2009년]] [[9월 12일]] [[히어로즈]]와의 대전에서 5회 클리닝 타임에 그의 은퇴식이 거행되었다. 은퇴식에서 그는 팬들의 사랑에 대한 고마움을 전하고, 코치로서의 포부를 말하기도 하였다.
         * 2009년 [[9월]] 12일 은퇴식 거행 (대전 히어로즈전) 등번호 23번 영구결번
  • 정수성 (야구인)
         * [[넥센 히어로즈]] (2008년 ~ 2013년)
         * [[화성 히어로즈]] 주루, 외야수비코치 (2013년 ~ 2014년)
         * [[넥센 히어로즈]] 주루, 외야수비코치 (2014년 ~ 2016년)
         '''정수성'''(鄭守盛, [[1978년]] [[3월 4일]] ~ )은 전 [[KBO 리그]]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의 [[외야수]]([[우익수]])이자 현 [[SK 와이번스]]의 주루코치다. 그의 형은 전 [[야구 선수]] [[정수근]]이다.
         ==[[넥센 히어로즈]] 시절==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하고 [[히어로즈]]가 대부분의 선수들과 계약하면서 2008년부터 활동하였다. 2013년 은퇴를 선언하였다.
         현역 시절 대주자로 많이 활약한 것을 바탕으로 [[넥센 히어로즈]]의 주루코치를 맡고 있으며, 외야수로도 활동하였기에 외야수비코치를 겸해서 맡고 있다.
         2016 시즌을 마치고 [[넥센 히어로즈]]와 재계약에 실패한 후, [[SK 와이번스]]로 자리를 옮겼다.
         |rowspan="6" style="text-align:center"|[[넥센 히어로즈|넥센]]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초당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
  • 조정훈(야구선수)
         09시즌 [[히어로즈]]를 상대로 무사 2, 3루 상황에서 갑자기 140 후반대의 공을 뿌려서 연속으로 삼진을 잡아내면서 당시 중계를 하던 [[이효봉]] [[Xports]] 해설위원의 급격한 사랑을 받았다. 이후 이효봉이 해설하는 경기를 보면 조정훈은 거의 20승 투수급으로 착각할 수준으로 칭찬을 많이 한다.
         결국 6월 2일 [[LG 트윈스|LG]]전에서도 무기력한 투구를 펼치며 4와 2/3이닝만에 내려가 시즌 평균자책점 4.75를 찍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가면 갈수록 평균자책점과 피안타율이 계속 올라가고 있다는 것. 6월 8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는 6이닝 동안 1실점(1자책)으로 호투를 했으나, 위험한 상황이다. 그리고 6월 13일 [[한화 이글스|한화]]전에서 3이닝 동안 6피안타 1홈런 1볼넷으로 5실점하며 강판당했다.
  • 특촬물
         단어 그 자체의 의미로는 '''특수촬영물'''(特殊撮影物)의 약자. 넓은 의미로는 특수촬영기법이 사용된 모든 영상물을 말하지만,[* 오죽하면 [[닥터후]]나 [[히어로즈]]와 같이 특수효과로 점철된 [[드라마]]들도 특촬물이라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크게 보자면 틀린말도 아니긴 하다)--한 술 더 떠서 [[텔레토비]]도...--][* 대표적으로 몇 년 전 [[루리웹]]의 애니 게시판에서(여기선 특촬물 관련 글도 같이 취급한다) 일부 회원들이 저 두 작품을 두고 '이것도 특촬이다'라며 도배하면서 논쟁이 일어났다가 잠시 동안 특촬 관련 게시글이 금지가 됐었다.] 일반적으로 '특촬물'이라고 하면 전대물, [[괴수]]영화 같은 일부 장르의 영상물에 한정된다. 특수효과를 뜻하는 약어인 SFX(Special Effect)가 영상물 전반의 이름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SF]]와 헷갈리지 말자! [[디워]]의 경우가 --애초에 이 영화 자체가 여러가지로 까이지만-- SF와 SFX를 구별 못한 대표적 사례로, SF영화라고 홍보했다가 엄청난 빈축을 사기도 했다.
11830의 페이지중에 1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