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황족"에 대한 역링크 찾기

황족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의친왕
         | 자녀 = 슬하 12남 9녀<br/><small>(서장남 [[이건 (대한제국 황족)|이건]], 서차남 [[이우]] 외 19인)</small>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대한제국 고종|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한국의 독립 운동|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다.<ref>[http://mpva.tistory.com/2040 〈대한제국 황족 의친왕 망명 작전〉] {{웨이백|url=http://mpva.tistory.com/2040 |date=20160304121354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국가보훈처]] 공식 블로그</ref>
         의친왕은 독립운동가 및 [[상하이 시|상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지사들과 연락하며 망명 정부가 수립되면 [[황족]]으로서의 예우를 버리고 '일개 신민'(臣民)의 자격으로 정부를 받아들이겠다고 하였다. 또한 구 양반이었던 동농 [[김가진]] 등이 상하이로 망명, 이들은 임시정부와 의친왕 간의 연락선을 접선, 주선하였다. 그 해 상복을 입고 상하이로 가려다 일본 경찰에 잡혔다. [[대한제국 황실|황실]]인사를 망명하게 하여 독립운동을 활성화하고자 한 [[대동단]](大同團)의 전협(全協)등과 탈출을 모의하여 대내외적인 화제를 일으켰으나 도중 [[만주]] 안동에서 발각되어 강제로 본국에 송환되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당시 대한제국 황족들에게 허용되었던 [[한반도]] 내 여행의 자유를 박탈당하는 보복을 당했다.<ref>{{서적 인용|제목=우리역사의 수수께끼3권|저자=이덕일 외|출판사=김영사}}</ref> 의친왕은 상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ref>주명준,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6450011&dir_id=1&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B%8C%80%EB%8F%99%EB%8B%A8&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10102 〈의친왕의 상해 망명기도 사건〉], 《황실학논총》 제7호, 한국황실학회, 2006년, 87~109쪽</ref>
         [[1948년]] [[8월 15일]] 정부가 수립되자 황실을 배척하던 [[대통령]] [[이승만]]의 정책에 의해 망국의 황자로서 고난의 세월을 보내다가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한국 전쟁]]으로 피난갔다가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후 다시 [[서울특별시|서울]]로 되돌아왔다. 그 후 [[사동궁]] 별궁에서 거주하였다. 그러나 황족으로서의 어떠한 예우도 없는 조건이 붙었다.
         황족들이 [[일제 강점기]] 당시 망국의 원흉으로 지탄받으면서 재조명의 기회가 없었다. 능은 부황인 [[대한제국 고종|고종 황제]]의 능인 경기도 남양주군 (현 남양주시)의 [[홍유릉]] 내에 위치한 의친왕묘(義親王墓)이다.
         |style="background:#eeeeee"|5남||[[이주 (황족)|황손 이주]](李鑄)||수길||해일||1917년||1982년||수인당 김흥인||-||[[대궁]]의 [[이인용 (조선귀족)|이인용]]
11830의 페이지중에 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