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황병기 . . . . 10회 일치
{{다른 사람|황병기 (1949년)||대한민국의 공무원}}
|이름 = 황병기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프란치스코)<ref>[http://news.donga.com/3/07/20150323/70280084/1 국악인 황병기·소설가 한말숙 부부, 천주교 세례 받아], 동아일보</ref>
|웹사이트 = [http://www.bkhwang.com/ 국악인 황병기 홈페이지]
'''황병기'''(黃秉冀, [[1936년]] [[5월 31일]] ~ [[2018년]] [[1월 31일]])는 국악 [[작곡가]]이자 [[가야금]] 연주가이다. 본관은 [[우주 황씨|우주]](紆州)이다.
황병기는 1936년 [[경성부]]에서 독자로 출생하였다. [[서울재동초등학교|재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2018년 1월 31일 [[폐렴]]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ref>{{뉴스 인용|저자1=장병호|제목=가야금 명인 황병기 31일 별세…향년 82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3&sid2=242&oid=018&aid=0004023311|날짜=2018-01-31|확인날짜=2018-01-31|뉴스=[[이데일리]]}}</ref>
<ref>{{뉴스 인용|url=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9050145/|제목=가야금 깊은 울림, 세계를 울린다…황병기 창작앨범 英美 동시발매|뉴스=[[동아일보]]|저자=전승훈|날짜=2007-09-05|확인날짜=2008-04-07}}</ref><ref>{{뉴스 인용|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739590|제목=`가야금 사랑` 반세기 삶, 우리 가락에 담다
* 나효신 저 《황병기와의 대화》(도서출판 풀빛, 2001년)
* [http://www.bkhwang.com/ 황병기 공식 홈페이지]
- 한말숙 . . . . 4회 일치
|배우자 = [[황병기]]
|종교 = [[천주교]](세례명 : 헬레나)<ref>[http://news.donga.com/3/07/20150323/70280084/1 국악인 황병기·소설가 한말숙 부부, 천주교 세례 받아], 동아일보</ref>
본관은 [[청주 한씨|청주]](淸州)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여성 [[소설|소설가]] [[한무숙]]의 누이동생이며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의 부인이다. [[1956년]] 《신화의 단애》로 [[소설|소설가]] 등단하였다.
**** 남편: [[황병기]]
- 한무숙 . . . . 3회 일치
| 친척 = [[한복 (1914년)|한복]](오빠) <br /> [[한말숙]](누이동생) <br /> [[황병기]](제부) <br /> [[황준묵]](이질)
* 누이동생: [[한말숙]](韓末淑, [[1931년]] [[12월 27일]] ~ . [[소설|소설가]]. [[숙명여자고등학교|경성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 및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 졸업.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黃秉冀)와 결혼.)
* [[황병기]]
- 최희준 (가수) . . . . 1회 일치
1936년 [[경성부]]에서 태어나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3학년 때였던 1957년에 [[황병기]]와 함께 참가한 서울대학교 축제에서 [[샹송]] 《고엽》을 불러 입상한 뒤, 1959년 졸업과 함께 파피 김(본명 김안영)을 통해 미8군 무대에서 가수 생활을 시작했다.
11531의 페이지중에 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