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화가"에 대한 역링크 찾기

화가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기덕 (1960년)
         김기덕은 [[1960년]] [[12월 20일]]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봉화군) 에서 태어났다.<ref>{{웹 인용 |url = http://media.daum.net/culture/life/newsview?newsid=20060907173507219|제목 = 봉화 금강송숲·창수전시림… 명품숲 4곳 일반에 개방|저자 = 이성원|날짜 = 2006-09-07|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한국일보}}</ref><ref>{{웹 인용 |url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077952&cp=du|제목 = 솔향 그윽한 소나무가 그립다… 소나무 숲 5선|저자 = 박강섭|날짜 = 2012-05-16|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국민일보}}</ref><ref>{{웹 인용|url =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제목 = 김기덕 감독, 고향 봉화군에 플래카드 붙었다 '금의환향'|저자 = 연예팀|날짜 = 2012-09-12|확인날짜 = 2012-09-12|출판사 = 스포츠서울|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20915041151/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081734.htm#|보존날짜 = 2012-09-15|깨진링크 = 예}}</ref> 초등학교 3학년 때였던 [[1968년]]에 [[경기도]] [[고양시|고양]]으로 이주하였으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기술을 배우라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중학교 진학을 포기했다. 전수 학교와 전자 공장을 다니며 20세까지 성장한 김기덕은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부사관]]으로 임관하여 5년 간 복무했다. 제대한 후 [[1986년]]부터 [[화가]]로도 활동하였고 [[남산 (서울)|남산]]의 장애인 보호 시설에서 [[전도사]]로 일하는 동시에 신학교를 다니며 30세까지 [[서울]]에서 지냈다.
         [[1992년]]에 귀국한 뒤 《화가와 사형수》로 [[1993년]] 영상작가교육원 창작 대상, 《무단 횡단》으로 [[1995년]] 영화진흥공사 시나리오 공모 대상을 받는 등 각본가로 활동하다가 [[1996년]]작인 《[[악어 (영화)|악어]]》를 통해 자신이 직접 감독하여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잔인하고 어두운 영상과 내용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사마리아 (영화)|사마리아]]》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빈 집 (2004년 영화)|빈 집]]》으로 연이어 감독상을 수상했다.
         [[분류:초현실주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강간범]][[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살바도르 달리]][[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986년 데뷔]][[분류:봉화군 출신]][[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감독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 김기만 (1929년)
         | 직업 = [[동양화]][[화가|가]], [[한국화|조선화]][[화가|가]], [[교수|대학 교수]]
         | 친척 = [[김기창 (화가)|김기창]](첫째형) <br /> [[박래현|박내현]](첫째형수)
         '''김기만'''(金基萬, [[1929년]] [[5월 9일]] ~ [[2004년]] [[12월 26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양화|동양화가]] 겸 [[한국화|조선화가]]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金海)]]이고 [[서울특별시|서울]] 출생이며 [[1944년]] [[동양화|동양화가]]로 [[일제 강점기]] 말기 화단에 첫 입문하였고 이후 [[한국 전쟁|6·25 한국 전쟁]] 때 [[조선인민군|북조선인민의용군 사병]]으로 강제 징집되어 강제 월북하였다.
         이후 그는 [[1954년]]에 [[조선인민군|북조선인민의용군]]에서 군필 제대 조치 처분되었고 [[1956년]]에는 [[평양미술대학|평안남도 평양미술대학교]] 조선화과에 입학, 이후 [[1960년]] [[평양미술대학|평양미술대학교]] 조선화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한국화|조선화가]]로 활동하였고 또 아울러 모교 [[평양미술대학|평양미술대학교]]의 교수를 지낸 적이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양화|동양화가]] [[정창모]](鄭昌謨)와 사형제(師兄弟) 관계를 이루었다.
         이후 [[2000년]] [[2000년 12월|12월]] 이산가족 상봉자라는 입장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당시에 투병을 하고 있던 형 [[김기창 (화가)|김기창(金基昶)]]을 만나며 서로 작품을 교환, 이후 대한민국에도 그의 이름이 크게 알려졌다.
         * 형: [[김기창 (화가)|김기창]] (金基昶, [[1913년]] [[2월 18일]] ~ [[2001년]] [[1월 23일]], [[대한민국]]의 [[동양화|동양화가]].)
         * 형수: [[박래현|박내현]] (朴崍賢, [[1920년]] [[4월 13일]] ~ [[1976년]] [[1월 2일]], [[대한민국]]의 [[동양화|동양화가]] 겸 [[판화|판화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양화|동양화가]] 및 [[한국화|조선화가]] 겸 [[수묵화|수묵화가]] 활동한 [[정창모]](鄭昌謨)의 사형(師兄)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서양화|서양화가]] 겸 [[동양화|동양화가]] 및 [[한국화|조선화가]] 겸 [[공예|공예가]] [[선우영|선우 영]](鮮于 英)의 스승이다.
         {{토막글|화가|미술가}}
         [[분류:1929년 태어남]][[분류:2004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김해 김씨]][[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조선로동당 당원]][[분류:서울교동초등학교 동문]][[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
  • 김기창 (화가)
         | 직업 = [[동양화]][[화가|가]], [[교수|대학 교수]]
         '''김기창'''(金基昶, [[1913년]] [[2월 18일]] ~ [[2001년]] [[1월 23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화가|가]]로, 호는 운보(雲甫), 운포(雲圃)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金海)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천주교 [[세례명]]은 [[베드로]]였다.
         그는 그의 뛰어난 붓놀림으로 일제 군국주의를 떠받쳐 준 전력을 가진 화가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의 그림들이 고스란히 남아 이를 대변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운보는 친일 미술인 단체인 조선미술가협회 일본화부평의원으로 있던 이당 김은호의 제자로, 식민지 조국의 현실을 외면하고 그림을 통해 일제의 전쟁동원에 적극 협력하였다.
         24살 때인 조선미술전람회(줄여서 “선전”)에서 최고상을 받은 운보는 연4회 특선 경력으로 27살 나이에 “선전” 추천작가가 되면서 “추천 작가된 영광”을 일제군국주의에 동조하는 것으로 갚은 사람이다. 조선남화연맹전(1940.10), 애국백인일수전람회(1943.1)를 통해 일제의 기금 모집에 적극 협력 하였을 뿐 아니라 그의 유려한 붓끝을 놀려 일제군국주의를 찬양, 고무하는 그림을 그려낸 화가이다.
         |장=김기창 : 스승에게 물려받은 친일화가의 길 (이태호)
         [[분류:1913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서울매동초등학교 동문]][[분류:세종대학교 교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중앙대학교 교수]][[분류:단국대학교 교수]][[분류:추계예술대학교 교수]][[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청각 장애인]][[분류:김해 김씨]][[분류:한국화가]]
  • 김용준 (1904년)
         '''김용준'''(金瑢俊, [[1904년]] [[2월 3일]] ~ [[1967년]] [[11월 3일]]?)은 [[한국]]의 [[화가]]이며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이다. 수필가로도 알려져 있다. 아호는 근원(近園)이다.
         [[경상북도|경북]] [[구미시|선산]]에서 태어나 [[경성부]]의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 화가 [[이종우 (1899년)|이종우]]에게 수학한 뒤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건설이냐? 파괴냐?〉로 입선하면서 화단에 데뷔했다. [[1926년]] [[일본]]에 유학하여 [[도쿄 미술학교]]에 입학해 서양화를 공부했다. 이때 같은 도쿄 유학생이던 동갑의 [[이태준]]을 만나 평생 동안 교유했다.
         [[1928년]] 귀국한 후로는 [[서울특별시|서울]]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하면서 [[길진섭]]과 함께 [[목일회]]를 창립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작품 활동 뿐 아니라 미술사 연구와 미술 평론계에서도 선구자 격의 위치를 차지한 인물이다. 본래는 서양화가로 출발하였으나 목일회가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된 1930년대 후반부터 [[조선화]]의 기법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그린 말년의 작품들은 조선화가 대다수이다.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태은 (예술가)
         '''김태은'''(金兌垠, Kim Tae Un, 1986년 9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미술작가([[화가]], [[설치미술|설치미술가]]), [[아트 디렉터|아트디렉터]] 이다.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구상주의 화가 앤드류 크리스토피디스로부터 사사하였고, 이후 벤 퀼티, 샘 리치, 피터 샤프, 데이빗 이스트우드 등 오스트레일리아의 젊은 스타작가들과 교류하며 전시회를 가졌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0개국 32인의 작가들과 함께 창단한 AFY작가그룹의 디렉터로 활동하면서 교류전시 기획에도 발을 내딛었다.
  • 김한일(영화감독)
          | 직업 = [[동양화]][[화가|가]] <br/> [[서예|서예가]] <br/> [[영화감독]] <br/> [[영화 평론|영화평론가]] <br/> [[미술 평론|미술평론가]] <br/> [[영화 각본|영화 시나리오 작가]] <br/> [[연극]][[연출가]] <br/> [[영화]] [[연출가|영화편집감독]] <br/> 영화 총지휘제작감독 <br/> [[투자가|영화 기획가]] <br/> [[교수|대학 교수]] <br/> [[기업가]]
         '''김한일'''(金漢日, [[1921년]] [[2월 10일]] ~ [[1975년]] [[4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동양]][[화가]] 겸 [[서예|서예가]]이며 [[영화 감독|영화감독]] 겸 [[기업가]]이다.
         * 1941년 동양화가 첫 등단.
         {{토막글|화가|영화 감독}}
         [[분류:1921년 태어남]][[분류:1975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함창 김씨]][[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941년 데뷔]][[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서예가]][[분류:대한민국의 서예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중앙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투자가]][[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하얼빈 공업대학 동문]][[분류:서라벌예술대학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당뇨병으로 죽은 사람]][[분류:폐렴으로 죽은 사람]]
  • 김현정 (1979년)
         | 직업 = [[화가]], 前 [[배우]]
         '''김현정'''({{출처|날짜=2013-06-19|金賢靜}},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1998년]] 스톰 4기 모델로 데뷔하였다.
         * [[2012년]]부터 [[세계일보]] 미술[[칼럼]] '''''배우화가 김현정의 그림 토크'''''를 연재했다. 이 칼럼은 작가 자신의 그림을 스스로 평론하며 미술이론, 미술사 등에 관한 작가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 [[2017년]]부터 가톨릭평화신문 문화[[칼럼]] '''''배우화가 김현정의 영화 & 명화'''''를 매주 연재 중이다.
         == 화가 ==
         2009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연극 '나비'를 마지막으로 배우로서 활동을 마치고 '가톨릭상담봉사자과정'에서 1년 넘게 심리상담 교육을 받은 후 화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2014년 6월에는 첫 개인전인 <묘사와 연기>가 열렸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965311 화폭으로 옮긴 심리 치유…배우겸 화가 김현정 개인전], 연합뉴스, 2014년 6월 17일 작성.</ref>, 2014년 11월 9일 부터 11월 19일까지 [[백남준]], [[이왈종]]과 함께 중국 베이징에서 <하나에서 셋으로:한국 예술가 3인전>에 작품전을 열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8578 ‘동양화로 그린 장서희는?’ 화가 김현정, 中진르미술관 초청], 뉴데일리, 2014년 10월 7일 작성.</ref>
         * "선물"<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1/0200000000AKR20160921175700005.HTML '배우 화가' 김현정 "내 그림이 누군가에게 선물이었으면"], 연합뉴스, 2016년 9월 22일 작성.</ref>
         대표 저서로는 《랄라의 외출》이 있으며, 이 서적은 2014년에 세종도서 문학나눔에 선정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26781 배우 화가 김현정 ‘랄라의외출’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뉴데일리, 2014년 12월 9일 작성.</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 김현정(1979)
         | 직업 = [[화가]], 前 [[배우]]
         '''김현정'''({{출처|날짜=2013-06-19|金賢靜}},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1998년]] 스톰 4기 모델로 데뷔하였다.
         * [[2012년]]부터 [[세계일보]] 미술[[칼럼]] '''''배우화가 김현정의 그림 토크'''''를 연재했다. 이 칼럼은 작가 자신의 그림을 스스로 평론하며 미술이론, 미술사 등에 관한 작가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다.
         * [[2017년]]부터 가톨릭평화신문 문화[[칼럼]] '''''배우화가 김현정의 영화 & 명화'''''를 매주 연재 중이다.
         == 화가 ==
         2009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연극 '나비'를 마지막으로 배우로서 활동을 마치고 '가톨릭상담봉사자과정'에서 1년 넘게 심리상담 교육을 받은 후 화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2014년 6월에는 첫 개인전인 <묘사와 연기>가 열렸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965311 화폭으로 옮긴 심리 치유…배우겸 화가 김현정 개인전], 연합뉴스, 2014년 6월 17일 작성.</ref>, 2014년 11월 9일 부터 11월 19일까지 [[백남준]], [[이왈종]]과 함께 중국 베이징에서 <하나에서 셋으로:한국 예술가 3인전>에 작품전을 열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8578 ‘동양화로 그린 장서희는?’ 화가 김현정, 中진르미술관 초청], 뉴데일리, 2014년 10월 7일 작성.</ref>
         * "선물"<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1/0200000000AKR20160921175700005.HTML '배우 화가' 김현정 "내 그림이 누군가에게 선물이었으면"], 연합뉴스, 2016년 9월 22일 작성.</ref>
         대표 저서로는 《랄라의 외출》이 있으며, 이 서적은 2014년에 세종도서 문학나눔에 선정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26781 배우 화가 김현정 ‘랄라의외출’ 세종도서 문학나눔 선정], 뉴데일리, 2014년 12월 9일 작성.</ref>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박근형
         * 1992년 [[MBC]] 6.25특집극 《나목》 ... 미군 [[PX]] [[화가]] 옥희도 역
         * 2013년 《[[고령화가족]]》 ... 구씨 역
  • 박진원 (1968년)
          | 직업 = [[동양화]][[화가|가]] <br/> [[서양화]][[화가|가]] <br/> [[가수]] <br/> 기타리스트 <br /> 베이스 기타리스트 <br/> 대학 교수 <br /> 대학 강사
         '''박진원'''(朴軫遠<ref>{{웹 인용|url= https://neolook.com/archives/20090905g|제목= The Eternal Truth and Light of Existence 박진원展|출판사=네오룩|확인날짜=2016-07-14}}</ref>, {{llang|en|Vincent Park|빈센트 파크}}, [[1968년]] [[7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기타 연주자|기타리스트]], [[베이스 기타|베이시스트]] 겸 [[음악가]] 분야에서 은퇴한 [[동양화]]가, [[서양화|서양]][[화가]], [[대학 교수|미술대학 교수]]이며 前 정치가이다.
         * 1989년 [[동양화]][[화가|가]] 첫 입문.
         [[분류:1968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밀양 박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198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록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베이스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디자이너]][[분류:서울충무초등학교 동문]][[분류:여의도중학교 동문]][[분류:보성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카디프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동문]][[분류: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웨일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기독사랑실천당 당원]][[분류:기독자유민주당 당원]][[분류:기독당 (대한민국) 당원]][[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추계예술대학교 교수]][[분류:경운대학교 교수]][[분류:한일장신대학교 교수]][[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안양대학교 교수]][[분류:협성대학교 교수]][[분류: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분류: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배운성
         '''배운성'''(裵雲成, [[1900년]] [[7월 13일]] ~ [[1978년]])은 [[한성부]] 출신의 [[화가]]로, [[한국 전쟁]] 이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활동했다.
         광복 후 [[홍익대학교]]에 미술학부를 설치해 초대 학부장을 맡았으며, [[좌익]] 계열에서 활동했다. 배운성의 부인은 여성 지식인 [[공산주의자]]였던 [[이정수]]였는데, 배운성의 정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수립 이후 북조선으로 가지 않은 좌익 출신 미술인들인 [[이쾌대]], [[정현웅 (화가)|정현웅]], [[정종여]], [[최재덕]] 등과 함께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ref>{{서적 인용
         배운성은 대한민국에서 월북 화가라는 이유로 오랫동안 금기시 되어 [[1988년]] 월북 예술인 해금 조치 이후에야 언급되기 시작했으며, 사진 자료로만 일부 알려졌던 유럽 시절의 작품이 프랑스 유학생 전창곤에 의해 발굴되어 [[2001년]] 대거 소개되었다.
         |제목=첫 유럽 한국 화가 裵雲成: 베를린 생활 16년간의 발자치
         |제목=<nowiki>[미술]</nowiki> 월북화가 배운성 작품, 유럽서 돌아와
         [[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78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백현진
         | 직업 = [[배우]], [[가수]], [[화가]]
         '''백현진'''([[1972년]] [[6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가수]]이자 [[화가]]이며 [[어어부 프로젝트]]의 일원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 작곡가]][[분류:경주시 출신]]
  • 변동림
         |직업 = [[수필|수필가]], [[미술]][[미술 평론가|평론가]], [[서양화]][[화가|가]]
         '''변동림'''(卞東琳, [[1916년]] [[2월 29일]] ~ [[2004년]] [[2월 29일]])은 [[대한민국]]의 여성 [[수필가]], [[미술]][[미술 평론|평론가]] 겸 [[서양화]][[화가|가]]이다.
         본관은 [[초계 변씨|초계]](草溪)이다. [[경성부]] 출생이다. 시인 겸 소설가 [[이상 (작가)|이상]]과 결혼하기도 했었지만, 이상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인하여 결혼 생활은 4개월 만에 끝났다. 이후 [[1944년]] 화가 [[김환기]]와 재혼했다.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학과를 중퇴하고, [[프랑스]]의 소르본 대학교 및 에콜 드 루브르에서 미술사와 미술평론을 공부했다. 주로 파리를 소재로, '''김향안'''(金鄕岸)이라는 필명으로 글을 쓴 수필가였고 [[1964년]] [[서양화]][[화가|가]]로 화단에 등단하기도 하였다.
         {{토막글|작가|화가}}
         [[분류:1916년 태어남]][[분류:2004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자유 연애]][[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초계 변씨]]
  • 살바도르 달리
         [[스페인]] 태생의 [[초현실주의]] [[화가]].
         초현실주의 화가 답게 정말 수염이 특이하게 생겼다.
         유명한 화가인 만큼 당연히 그림값이 무지무지 비싸지만, 단돈 150유로에 그림을 구입한 사례가 있다.
         1988년 스페인의 화가이자 미술사학자 토메우 라모는 1988년 스페인 북부 지로나의 골동품점에서, 2만5천페세타(150유로)에 달리의 작품을 구입했다. 골동품점 주인은 써진 연대가 달리가 태어나기 전엔 1896년이므로 이 작품은 [[위작]]이라고 판단했으나 토메우 라모는 이를 진품이라고 생각해서 구입했고, 결국 2004년에서 2013년에 걸쳐서 감정을 한 결과 결국 달리가 17살 때인 1921년에 그려진 진품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그러나, 살바도르 달리 재단은 아직 달리의 진품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http://www.huffingtonpost.kr/2014/05/23/story_n_5377257.html 참조]
         [[분류:스페인 인물]] [[분류:화가]]
  • 솔비
         | 직업 = [[가수]], [[화가]]
         '''솔비'''(率飛, [[1984년]] [[9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화가]]. 2006년 [[타이푼 (음악 그룹)|타이푼]]의 메인보컬로 데뷔했다. 본명은 권지안(權志晏)이다. 솔비는 2012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5년 음악과 미술을 결합한 셀프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펼치고 있다.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신개념 융합 장르를 선보이며 아트테이너 다운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8년 '2019퍼스트브랜드대상' 초대 아트테이너 부문에서 수상하며 아트테이너로서의 가치를 대중으로부터 인정받았다.
         === 가수에서 화가로 변신 ===
         2010년 치유 목적으로 시작한 미술에 흠뻑 빠지며 화가로서의 역량도 발휘하고 있다. 2015년 'Trace'의 '공상'을 시작으로 셀프 콜라보레이션(서로 다른 두 개의 자아인 권지안과 솔비가 협업해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선보였다. 셀프 콜라보레이션은 2016년 '블랙스완', '직지 코리아 국제 페스티벌' 초청작가, 2017년 '하이퍼리즘-레드', 2018년 '하이퍼리즘-블루'까지 총 다섯 작품이다. 특히 솔비는 '하이퍼리즘'(정보와 콘텐츠의 홍수로 인해 현대인들의 욕망과 높아진 기대치들이 해소되지 못할 경우 반대로 오는 상대적 박탈감, 상실감 등의 부작용이라는 시대적 현상을 솔비가 정의한 용어)라는 신조어를 만들며 현대인의 우울과 상처에 대해 작품으로 표현했다. '하이퍼리즘-레드'<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069|제목='다양성 가요계' 솔비가 쏘아 올린 작은 공|성=정진영 기자|이름=|날짜=2017년 6월 1일|뉴스=|출판사=한국스포츠경제|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는 여성의 상처를 주제로 KBS 2TV '뮤직뱅크'에서 파격적인 [https://tv.naver.com/v/1717804 '레드' 퍼포먼스]를 펼치며 신선한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2018년 3월 '하이퍼리즘-블루'의 '클라스' 음원을 본인 유튜브채널에만 공개하는 등 독특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군포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타이푼의 일원]][[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200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안동 권씨]][[분류:X맨]]
  • 안다빈
          | 직업 = [[화가|서양화가]], [[설치미술|설치미술가]]
         '''안다빈'''(安多彬, [[1988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 겸 [[설치미술|설치미술가]]이다.
         그의 [[본관]]은 [[순흥 안씨|순흥]](順興)이고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신장은 182cm이고 체중은 79kg인 그는 영화배우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서승환]]와 조각가 겸 대학 교수 [[신재은]] 사이에서 슬하 2남 중 장남(長男)으로 출생하였으며 그는 초등학교 5학년 시절이던 [[1998년]]부터 [[미국]] 유학을 하였고 이후 [[2006년]] [[서양화|서양]][[화가]]로 [[미국]]에서 화단에 첫 등단하였으며 [[2009년]] [[미국]]에서 [[설치미술|설치미술가]]로 등단하였다.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5%88%EB%8B%A4%EB%B9%88&sm=ppl_cts&ie=utf8&key=PeopleService&os=163358 네이버 데이터 - 서양화가 겸 설치미술가 안다빈]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184149 Daum 데이터 사전 - 서양화가 겸 설치미술가 안다빈]
         {{토막글|화가|미술가}}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순흥 안씨]][[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200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설치미술가]][[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프랫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안다빈 (미술인)
          | 직업 = [[화가|서양화가]], [[설치미술|설치미술가]]
         '''안다빈'''(安多彬, [[1988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 겸 [[설치미술|설치미술가]]이다.
         그의 [[본관]]은 [[순흥 안씨|순흥]](順興)이고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신장은 182cm이고 체중은 79kg인 그는 영화배우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안성기]]와 조각가 겸 대학 교수 사이에서 슬하 2남 중 장남(長男)으로 출생하였으며 그는 초등학교 5학년 시절이던 [[1998년]]부터 [[미국]] 유학을 하였고 이후 [[2006년]] [[서양화|서양]][[화가]]로 [[미국]]에서 화단에 첫 등단하였으며 [[2009년]] [[미국]]에서 [[설치미술|설치미술가]]로 등단하였다.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5%88%EB%8B%A4%EB%B9%88&sm=ppl_cts&ie=utf8&key=PeopleService&os=163358 네이버 데이터 - 서양화가 겸 설치미술가 안다빈]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184149 Daum 데이터 사전 - 서양화가 겸 설치미술가 안다빈]
         {{토막글|화가|미술가}}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순흥 안씨]][[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200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설치미술가]][[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프랫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윤송아
         '''윤송아'''(본명 : '''민지선''', [[대한민국]]의 [[배우]] 겸 [[화가]]이다. [[영국]]과 [[홍콩]]에서 유년기를 보냈고를 에서 졸업한 뒤 [[홍익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 이경윤
         '''이경윤'''(李慶胤, [[1545년]] [[6월 10일]] ~ ?)은 [[조선]]중기의 왕족 출신 [[화가]]이다. 자는 수길, 호는 낙파, 봉호(封號)는 학림정(鶴林正) 또는 학림공(鶴林公)<ref name='cs'>[http://www.chosun.com/editorials/news/200604/200604140449.html 왕족 화가 이경윤] {{웨이백|url=http://www.chosun.com/editorials/news/200604/200604140449.html |date=20160513120839 }} 조선일보 2006.04.14.</ref>, 본관은 전주이다.
         조선에서 유행했던 화풍 중의 하나가 절강성(浙江省) 출신의 [[대진 (명나라)|대진]](戴進)을 중심으로 이룩된 [[절파]](浙派) 화풍이다. 이는 대경산수인물화(大景山水人物畵)와 소경산수인물화(小景山水人物畵)가 특징인데, 이경윤이 조선 중기의 절파화풍을 대표하는 화가이다.<ref name='cs' />
         * 아들 (서자) : [[이징 (화가)|이징]](李澄, 1581- 1674)
         * [[이징 (화가)|이징]]
         * [https://web.archive.org/web/20160513120839/http://www.chosun.com/editorials/news/200604/200604140449.html 왕족 화가 이경윤] 조선일보 2006.04.14.
         [[분류:1545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16세기 한국 사람]][[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왕족]][[분류:전주 이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 이외수
         | 직업 = [[작가]], [[소설가]], [[시인]], [[평론가]], [[화가]]
         [[분류:194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전주 이씨]][[분류:이외수]][[분류:함양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
  • 이쾌대
         '''이쾌대'''(李快大, [[1913년]] [[1월 15일]] ~ [[1965년]] 2월 20일)는 [[한국]]의 [[화가]]이다.
         [[경상북도]] [[칠곡군|칠곡]]의 대지주 집안 출생으로, 미술 및 복식사, 민속사에 깊은 식견을 가지고 있던 맏형 [[이여성]]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다. 1928년 대구 수창보통학교를 졸업했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미술교사로 재직 중이던 화가 [[장발 (화가)|장발]]에게 미술을 배운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면서 화단에 데뷔하였고, 그 해 가을에 제3회 전조선남녀학생작품전람회 회화부 2등상을 수상했다. 1934년 [[일본]]으로 유학, 도쿄 [[제국미술학교]]에 입학하여 [[1938년]] 졸업했다. [[1941년]] 도쿄에서 [[조선신미술가협회]]를 조직하였는데 이때 협회 구성원들은 [[이중섭]], [[최재덕 (화가)|최재덕]], [[문학수]], [[김종찬 (화가)|김종찬]], [[김학준 (화가)|김학준]], [[진환]]이었다.<ref name=sinsae>{{서적 인용
         |제목=신세계창립29주년기념 월북화가 이쾌대전
         |장=이쾌대 - 장엄한 역사의 서막을 알려준 화가의 손}}
         [[분류:1913년 태어남]][[분류:1965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칠곡군 출신 인물]]
  • 임응구
         | 직업 = 서양화가
         '''임응구'''(林應九, <small>일본식 이름: </small>伊藤應九 <small>이토 오큐</small>, [[1907년]] [[9월 13일]] ~ [[1994년]])는 [[한국]]과 [[일본]]의 서양화가이다. 본관은 [[나주 임씨|나주]](羅州)이다.
          |제목 = <nowiki>[판화가 이용길 내가 본 부산미술] </nowiki> <17> 故 나혜석·임응구 화가
         '''임응구'''(林應九)의 아우인 [[사진가|사진작가]] '''임응식'''(林應植, [[1912년]] [[11월 11일]] 출생 ~ [[2001년]] [[1월 18일]] 사망)은 서양[[화가]]'''(李鳳商, [[1916년]] [[7월 27일]] 출생 ~ [[1970년]] [[8월 4일]] 사망)과 오랜 친구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제목=<nowiki>[특집]</nowiki> 경남.부산 친일예술인 연구 4 인물편-화가들 - 회화 보국에 나선, 임응구-정종녀 등 친일화가
         |장=일제를 위하여 붓을 잡은 화가들}}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1994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도쿄 예술대학 동문]]
  • 현덕
         * 동생: [[현재덕]](玄在德, [[1912년]] ~ ?) [[아동 문학|아동문학가]], [[한국화|한국화가]], [[동양 미술|동양화가]], [[서양화]][[화가|가]], [[조각|조각가]], [[판화|판화가]]
11830의 페이지중에 2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