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현빈의 작품 목록"을(를) 전체 찾아보기

현빈의 작품 목록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57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조직화된 공장]]'''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2|초기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을 연구하지 않았을 시 '''{{{#red -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3.3.1|실용주의]]''' 발명 발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4.3.1|근대 논리학]]'''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4|반 자동화]]''' 기술 연구시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1.1|소화기 생산]]'''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5.5|경제적 책임]]''' 기술 연구시 '''{{{#green +2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5.4|해군 병참]]''' 기술 연구시 '''{{{#green +2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6|군중 정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4.1|시간연구]]'''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1|트랙터]]''' 발명 발견시 '''{{{#green +2%}}}'''
  • 신민아 . . . . 48회 일치
         한 때 CF쪽에서는 활발한 활동을 하였으나, 유독 [[영화]]와는 인연이 없는지,--드라마라고 아닌건 아닌데..-- 아니면 작품을 선택하는 안목이 낮은건지 출연한 작품 중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고 '''말아먹었다'''. 그 덕분에 ''''한국 영화사 최고의 [[핵잠수함]]'''', ''''[[충무로]]의 흥행 [[부도]] [[수표]]''''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는데[* 의외로 이름난 드라마작가나 유명 [[영화 감독]]들과 작품을 많이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CF나 영화에 캐스팅되고 있어서 '[[스폰서]]가 빵빵하다', '[[언론플레이]]에 능하다'라는 의견도 다수 가지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 공히 '히트작이 없음'에도, 'CF에 있어서는 가히 도배'를 하고 있는건 미스테리다. 흥행 관련해서는 비슷한 내용이 [[봉태규]] 항목에도 똑같이 존재한다. 2010년대 들어서는 남배우로 봉태규보다 ~~새로 떠오르는 국밥배우~~ ~~흥행전선 먹구름~~[[김강우]]와 더 많이 비교되는 것 같다. 다만 김강우의 경우 2017년부터 시작해서 조금씩 살아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2010년]] 인기 드라마 중 하나였던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여주인공 역으로 겨우 체면치레는 했다. 주목할 점은 상대역이 바로 [[이승기]]라는 점.~~마이더스의 손과 마이너스의 손의 대결~~ 시청률은 [[KBS|옆동네]] [[제빵왕 김탁구]]가 너무 [[넘사벽]]이라 ~~역시 막장은 못 이긴다~~ 별 재미를 못봤지만 김탁구 끝나자마자 시청률이 뛰어 최종회에서 19.9%의 시청률을 보여줌으로서 잠수함 타이틀에서 벗어날 계기가 되었다. 다만 제빵왕 김탁구는 KBS 내부에서도 쉬어가는 작품이었고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압승을 SBS 내부에서 기대했던 만큼 방영전의 기대감에 비해서는 형편없이 추락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처음에는 [[발연기|연기를 못 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으나, 조정석과 합을 맞춘 영화 [[나의 사랑 나의 신부(2014)]]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주며 흥행에 성공하자 연기력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은 많이 사라졌다. 확실히 자연스러운 멜로 연기에 능숙한 편. MBC 수목 드라마 [[아랑 사또전]]에서도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며 호평받았다. 또한 비교적 최근작인 [오마이 비너스], [내일 그대와]에서는 그나마 자신의 이미지에 맞는 연기력은 선보여 주었다. 근데 폭망했다. 부족한 작품성 때문인 듯...--못 해도 망 잘해도 망-- 국내에서는 비록 망했을지라도 해외에서는 [오마이비너스],[내여자친구는구미호]의 팬층이 상당히 두터웠다. 특히 내여자친구는 구미호는 중국에서도 1등을 차지했을 정도...
          * 네임드급 미남배우들과 자주 엮이다 보니 그만큼 조명을 못 받는다는 소리도 있는데, 그렇다면 그들과 잠시 떨어져 연기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각본의 작품에 출연하여 연기력에서 인지도를 쌓아야 하는 게 우선인 듯 싶다.
         ||2008||[[고고70]][* 이 작품으로 춘사영화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주연||미미 役||최호||59만 명||실패||
         역시 영화만큼 폭망한 드라마다. [[때려]]의 경우에는 <대장금>이랑 붙었으니 정상참작의 여지가 있고 아직 뜨지 못했던 [[주진모(1974)|주진모]]나 심지어 [[성시경]]이 나왔던 드라마로 이 드라마는 그나마 조금 봐주자. 하지만 그 이후에도 역시나 영화처럼 흥행이 없다. 영화도 300만 넘은 작품이 없듯이 드라마도 20% 넘은 작품이 없다. 간신히 15%채운게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뿐이다.
         때려 이후의 첫 작품 [[이 죽일놈의 사랑]]. [[공효진]]과 상두야 학교가자로 우려를 단번에 불식시키고, [[송혜교]]와 [[풀하우스(드라마)|풀하우스]]등을 통해 최고의 반열에 오를 뻔하였던 [[비(연예인)|비]]와 [[미안하다 사랑한다]]로 명필을 휘날린 [[이경희]] 작가와 함께한 [[이 죽일놈의 사랑]]은 사상 최대의 폭망은 아니지만 시작도 하기 전 엄청났던 기대치를 단숨에 잠재우며 조용히 와서 조용히 떠나갔다. 사실 [[소지섭]]과 [[임수정]]을 톱스타 반열에 올려 놓은 미사의 위용을 이을 거라 생각했던 시작 전 분위기를 고려해 보면 망했다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마왕(드라마)|마왕]]의 경우도 [[엄태웅]]을 엄포스로 만들었던 부활의 제작진이 다시 뭉친 작품. [[부활(드라마)|부활]]이 나름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드라마 막판에는 어느 정도 시청률이 올라기에 이 작품 또한 이죽사처럼 엄청난 기대를 가졌던 작품이다. 부활의 엄태웅마저 다시 합치고 또 궁을 통해 스타로 발돋움한 [[주지훈]]까지 합류한 이 작품. 역시 망했다. 완전 폭망은 아니지만 문제는 이 드라마 크게 뜨지 못한 원인 중 하나가 신민아의 연기력이다. 사실 연기력이 남다른 남주 두 명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연기력은 드라마의 몰입도 자체를 떨어뜨렸고 이상하게도 부활에 비해 떨어지는 작품성이 더해져 역시 조용히 종영했다.
         때려를 제외한 이후의 두 개의 드라마가 기대치에 비해 신민아를 제외한 작품 내적인 결함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어쨌든 방송사 및 언론의 푸쉬를 제대로 받았고 아주 망작들은 아니었기에 어찌보면 둘 중 하나는 뜰 법도 한데 망했다. 강한 푸쉬를 받은 두 작품을 둘다 말아먹기도 사실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책임에 신민아가 아주 자유로운 것도 아니고...
         여담으로 [[마왕(드라마)|마왕]]과 동시에 방영했던 MBC의 [[고맙습니다]]가 시청률 대박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화제성을 끌며 인기몰이를 했는데 이 작품의 작가가 [[이죽사]]의 작가인 이경희였고 여자 주연배우는 신민아가 [[이죽사]]에서 함께했던 [[비(연예인)|비]]를 [[상두야 학교가자]]에서 연기자로 성공적 데뷔를 시켜주고 나중에 후술될 [[홍자매]]의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후속작인 [[최고의 사랑]]을 히트쳐내서 홍자매의 명성을 다시 부활시킨 공효진. --공효진의 쩌는 선구안. 절친이라는데 좀 배웠으면--
         그리고 시작 전 엄청난 기대를 받았고 그나마 나름 TV커리어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할수 있으나 그 초반의 압도적인 기대에는 거의 미치지 못한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이 드라마 압도적인 기대를 모은 것은 작가가 홍자매인 점이 첫 번째고 두 번째는 바로 바로 상대역이 무려 [[이승기]]. [[소문난 칠공주]]로 연기 데뷔하고 [[한효주|동생으로 유명한 그분]]과 함께 한 찬란한 유산이 기대 이상의 엄청난 대박을 터뜨리고 [[1박2일]] 시즌1로 전성기를 구가하며 [[강심장]]으로 인기를 끌던 그야말로 드라마를 찍지 않아도 TV를 종횡무진하던 그와 함께 하여 정말 이번에는 안망할 줄 알았다. 사실 2010년 위 이승기라면 마이더스의 손으로 하는 족족 앨범 드라마 예능 모두 성공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 16회 중 20%를 넘거나 근접한 것은 막판 4회 뿐이고 거의 나머지 기간동안은 10%초반을 찍었다. 결국 평균 시청률은 15%(TNms기준)였다. AGB 기준으로는 12.6%이다. 시청률 20%는 거의 보장하는 것으로 유명한 [[홍자매]]와 시청률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2014년도와는 거리가 한참 있는 2010년도에 작품을 했음에도 이거밖에 못 거둔거면 사실 망했다고 보는게 맞다. 홍자매의 전작인 [[미남이시네요]]도 사실 별로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이는 홍자매 또한 특정 연령층을 겨냥한 그닥 높지 않은 시청률을 생각했다고 밝혔으나[* 방송사에서도 시청률이 제일 중요하지만 매번 대박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일선에서 뛰는 모PD의 블로그-[[일지매]]PD-에 따르면 심지어 엄청난 대작이 상대방에서 나올 경우 일부러 시간 떼우기로 폭망할 작품을 넣는 경우까지도 있다. 시청률이 잘 안 나올지도 모른다고 해서 무조건 편성을 안하진 않는다. 쓸만한 작품이 없어서 방송은 계속 해야 되는 거니까.. --그러니 푸쉬받고 세 번이나 망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라니깐--] [[쾌도 홍길동]]과 더불어 홍자매가 이건 뜰 거라고 생각했던 작품인데도 안됐다. --물론 쾌도 홍길동도 20%은 못넘겼지-- 물론 동시 방영하던 타방송사 작품이 [[제빵왕 김탁구]]였긴 했으나 아까 위에서 말했다시피 이것저것 변명대면 남는 게 없다. 홍자매 또한 [[미남이시네요]]로 할 거 다 해보고 여기서는 다시 뜰 줄 알았으나 그냥저냥 했던 홍자매는 바로 이후 작품인 [[최고의 사랑]]이 AGB 기준 20%를 넘기면서 부활에 성공했다. 하지만 마이더스의 손, 이승기는 이후 [[더킹 투하츠]]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긴 했다. 영화계를 떠나서 드라마만 봐도 이정도면 흥행 블랙홀이다.
         이후에 선택한 [[아랑 사또전]]은 [[이준기]]의 제대 이후 첫 복귀작으로 역시 화제를 모았으나 역시나 망했다. 물론 신민아의 문제보다는 제작진의 문제가 크다고 하지만 이상하게 입대 전까지 거의 모든 작품을 방방 띄워온 [[이준기]]는 [[투윅스]], [[조선 총잡이]], [[밤을 걷는 선비]]등 거의 모든 작품에서 시청률로는 굉장히 고난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후 다시금 [[건축학 개론]]과 [[시그널(드라마)|시그널]]의 [[이제훈]]과 뭉친 [[내일 그대와]]도 또 망했다. 그냥 망한 정도도 아니고 폭망했다. 내일 그대와 바로 전에 방영되었던 작품이 [[도깨비(드라마)|도깨비]]였음을 생각했다면 안습중에 안습. 나름 2016년들어 tvN 금토 드라마들이 자리를 잡아 평균 4~6%정도의 시청률을 올려주었던 것을 생각한다면 1~2%의 시청률은 폭망했다고 봐야한다. tvN 역사상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에서 방영 내내 중간 광고에서 수차례 미뤄줬는데도 망했으니 푸쉬받지 못했다고 변명도 어려운 상황. 물론 이 작품에서 신민아의 연기가 별로 인것은 아니다. 나름 자신이 가장 잘하는 캐릭터를 골랐고 상대배우, 소재 모든 것이 나쁘지 않았으나 드라마의 전개나 진행방식이 매우 형편없었다. 하지만 이런 작품을 고르는 안목 또한 배우의 역량이기에 기본적인 선구안이 매우 부족한 느낌. --제발 누가 옆에서 보고 골라줘. 원하는거 하지말고 시키는거 하세요.--
         사실 위에 언급된 작품 중에서 신민아가 연기를 완전 발로 해서 다 망했다라고 여길만한 작품은 마왕 정도밖엔 없다.--이죽사에선 비도 못했지-- --물론 잘한 건 아니다.-- 물론 제작진의 잘못이나 다른 부분들이 많은 포션을 차지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드라마가 푸쉬를 받는다고 무조건 뜨면 어떤 드라마가 안 뜨겠는가?
         다만 여러가지로 봤을 때, 신민아 본인의 작품을 선택하는 기준이나 안목이 흥행과는 거리가 한참 멀어보인다. 작품성만 보고 한 것도 아닌데 선구안이 항상 아쉽다. 본인도 한 오래전 인터뷰에서 블록버스터나 스케일이 큰 영화보다 작은 영화, 매니악한 영화를 좋아한다고 밝힌 적이 있고 --좋아하는 작품을 얘기한 인터뷰를 보면 쉽게 대중들에게 이해될 영화는 아니나, 취향이 그렇다고 하여 주연 배우로서의 작품 선택이 흥행하지 못한 것에 이유는 될 수 없다만-- 출연한 작품을 보면 나름대로 고심..을 한 듯 하지만, --마왕은 애초에 시청률이 높지 않을 것 같다 하여 소속사에서는 만류하였으나 본인의 고집으로 출연하였다-- 그렇다 해도 어떤 장르의 영화, 드라마든지간에 일단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면 흥행이란 것을 떼어놓고 말할 수 없는 노릇이라..
         다만 출연한 작품 중 영화에 있어선 비중이 상당히 작고, 아예 옴니버스식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으니 작품을 줄세워놓고 앞 뒤 설명없이 '얘 존나 개망함ㅋ' 이라고 한다면 할말이 없지는 않은 정도. --하지만 드라마에선 할말없다--
         연기를 잘 한다고는 할 수 없는 편이기에 기존에 형성된 이미지에 맞춰 캐릭터를 선별하는 방향으로 작품들을 선택해서 나아갔어야 했는데 경력 초반에는 오히려 고도의 연기력이 필요로 하는 이죽사나 마왕을 했고 이후 나름 자신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작품들을 선택했으나 이미 이런 작품들의 시대는 지나간 지가 오래였다. 연기력을 키워 자신의 연기의 폭을 넓혀 다양한 작품을 고르고 골라 선별해야하는데 이제 그걸 받쳐줄 연기력 없이 작품만 꾸준히 찍으니 이러한 참사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 연기력을 기르든지 아니면 최근의 [[전지현]]처럼 자신의 캐릭터를 확실하게 살려줄 만한 작품들을 잡아가든지 둘 중의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해야 좋은 결말에 이를 듯 싶다.[* 사실 연기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연기 스펙트럼이 좁다는 것을 뜻한다. 자연스러운 연기, 멜로 연기는 상당한 연기 수준을 가지고 있으나 확실히 다른 작품에서는 부족함을 보여준다.]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B14B60><rowbgcolor=#B14B60>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27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3|국가와 정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3|국가와 정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3.3|경험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와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1|작업 관리와 계층제]]'''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1|작업 전문화]]'''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2|정탄]]'''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5|진보한 야금학]]'''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5|조립 라인]]'''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조직화된 공장]]'''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교체 가능한 부품]]'''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4.3|철제 후장식 화포]]'''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1%}}}'''
  • 김태희 . . . . 20회 일치
         | 수상 = [[김태희의 수상 및 후보 목록|수상 목록]]
         그러던 중 2003년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SBS 드라마]] 《[[스크린 (드라마)|스크린]]》에 출연했는데, 연기력으로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ref name="MBC"/> 같은 해 드라마 《[[흥부네 박터졌네]]》에 수진 역할로 출연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1&oid=014&aid=0000092055|제목=권선징악 주제 현대판 흥부놀부전, SBS새 일일 드라마 ‘흥부네 박터졌네’|웹사이트=[[파이낸셜뉴스]]|저자=정명진|날짜=2003-10-23 |확인날짜=2014-02-25}}</ref> 이후 출연한 [[SBS 수목미니시리즈|SBS 드라마]] 《[[천국의 계단 (드라마)|천국의 계단]]》에서 처음으로 악역인 한유리 역할을 연기했다. 이 작품은 평균 시청률 38.4%, 최고 시청률 43.5%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뒀고,<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11031246131001|제목=‘천국의계단’ 권상우 “아베마리아 음악 나오면 달려야 할 것 같다”|뉴스=뉴스엔|저자=박영주|날짜=2010-11-03 |확인날짜=2014-02-25}}</ref> 김태희 역시 이 드라마를 통해 자신의 이름을 알렸고,<ref name="MBC"/> 그 해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ref name="SBS연기대상">{{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3&aid=0000017311|제목=이병헌, SBS '연기대상 수상'|출판사=뉴시스|저자=민성진|날짜=2004-01-01 |확인날짜=2014-02-25}}</ref> 하지만 일부는 정형화된 연기 스타일도 소화하지 못했다며 연기력 비판을 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드디어 연기인생 한판승 거두나?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01141557551110&ext=na|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배국남|날짜=2011-01-14 |확인날짜=2012-03-08}}</ref>
         김태희는 2004년, [[KBS 2TV|KBS2]] 《[[구미호 외전]]》에 이어 [[SBS 월화드라마|SBS 드라마]] 《[[러브스토리 인 하버드]]》에서 하버드 의대생 이수인 역할로 출연했다.<ref name="김태은">{{뉴스 인용 |제목=작품속 김태희, 이렇게 바뀌었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61711531396823&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태은|날짜=2007-06-19|확인날짜=2014-03-05}}</ref> 그녀는 이 두 작품으로 [[KBS 연기대상]]에서 신인연기상,<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04931 |제목=김태희-이완 남매, 최초로 신인연기상 동시수상 |날짜= 2004-12-31 |출판사= 스타뉴스 |확인날짜= 2010-10-02 }}</ref> [[SBS 연기대상]]에서 10대스타상과 네티즌최고인기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5&aid=0001978489 |제목=김태희의 하루’ 네티즌들 관심 가득 “뭘해도 예뻐요” |날짜= 2008-06-20 |출판사= 한국경제 |확인날짜= 2010-10-02 }}</ref>
         이 드라마를 통해 자리를 확고히 한 김태희는, 2006년 제작비 130억,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올로케이션으로 촬영한 영화 《[[중천 (영화)|중천]]》에서 [[정우성]]과 함께 공연하며 소화 역할로 첫 장편 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다.<ref name="김태은"/>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ref>최지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30&aid=0000001410 '국내' '이 상을 <하얀거탑> 폐인 분들께 바칩니다'] 매거진t 2007년 10월 4일</ref> [[대종상영화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43&aid=0000063392 ‘가족의 탄생’최우수작품·시나리오상…대종상 이변] 국민일보 2007년 6월 9일</ref> 그녀는 [[청룡영화상]]에서 인기스타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www.blueaward.co.kr/bbs/board.php?bo_table=awards_news&sca=28|제목=제28회 청룡영화상|출판사=청룡영화상|확인날짜=2014-02-27}}</ref> 하지만 연기력에서 “대사 소화가 부족하고 표정연기가 풍부하지 못했다”, “평면적 연기다” 등의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다.<ref name="김태은"/> 《[[중천]]》은 관객수 150만 명을 기록하면서 흥행에도 실패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중천' 참패, CJ 주가 폭락|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0319790|출판사=뉴시스|저자=김용호|날짜=2007-02-19|확인날짜=2014-03-05}}</ref> 2007년에는 영화 《[[싸움 (영화)|싸움]]》의 윤진아 역할을 연기했다. 연기파 배우 [[설경구]]와 공연하며 연기력에 있어서는 이전 작품보다 확실히 좋아졌다는 평을 받았으나,<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연기력과의 싸움에서 '웃다'|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1100&g_serial=299002|출판사=조이뉴스24|저자=정명화|날짜=2007-12-05|확인날짜=2014-03-05}}</ref> 3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ref>{{뉴스 인용 |제목=톱스타 마케팅, 더 이상 안 통한다!|url=http://osen.mt.co.kr/article/G1010070161|출판사=OSEN|저자=이명주|날짜=2010-10-07|확인날짜=2014-03-05}}</ref>
         김태희는 2009년 4년 만에 첩보액션 드라마 《[[아이리스 (드라마)|아이리스]]》의 여주인공 최승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아이리스`, 가장 진지하게 준비한 작품"|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273866|출판사=MK 뉴스|저자=진향희|날짜=2009-05-12|확인날짜=2014-03-05}}</ref>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39.9%, 평균 시청률 30%대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아이리스’ 실체 추적하는 감성적 액션 주목하세요… 블록버스터 드라마 ‘아이리스2’ 제작발표회|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627557&cp=nv|출판사=국민일보|저자=진정희|날짜=2012-11-14|확인날짜=2014-03-05}}</ref> 연기력에 있어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에서는 첩보원 역할에 걸맞지 않다는 평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제목='멍때리는' 김태희? 연기논란 재점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102914300874627&type=1&outlink=1 |출판사=머니투데이 |날짜=2009-10-29 |확인날짜=2010-01-02}}</ref> 그 해 [[KBS 연기대상]]에서 처음으로 연기력으로 우수연기상을 받았는데,<ref>[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김태희, '아이리스'로 연기력 논란 극복하고 상도 받고 눈물 '펑펑']{{깨진 링크|url=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 리뷰스타 2010년 1월 1일</ref> 이에 대해 “우수연기상은 인기로 받은 인기상이 아닌 연기자로 인정받은 최초의 상이었다. 연기로 인정 못 받고 있다고 그간 생각했다.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저자1=김지연|제목=김태희 "연기력 논란,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91500362265489&type=1&outlink=1|날짜=2010-09-15|확인날짜=2015-12-14|뉴스=머니투데이}}</ref> 2010년 1월 김태희는 소속사를 [[나무엑터스]]에서 자신의 형부가 설립한 루아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1인 기획사 대열 합류… 전 소속사와 협업관계 유지 |url=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305720 |출판사=[[일간스포츠]] |날짜=2010-01-11 |확인날짜=2010-01-11}}</ref> 9월 16일에는 영화 《[[그랑프리 (영화)|그랑프리]]》에서 서주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추석영화열전⑥]'그랑프리' 김태희, 연기논란 잠재우고 흥행퀸 '찜'|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91608154987413|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조범자 |날짜=2010-09-16|확인날짜=2015-07-17}}</ref> 김태희의 연기력은 이전보다 나아졌다며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16만 명의 관객수를 끝으로 상업적 실패를 거뒀다.<ref>{{뉴스 인용|제목=[울림과스밈] ‘그랑프리 실패’ 김태희에게는 ‘약'|url=http://www.hani.co.kr/arti/culture/movie/442216.html|출판사=한겨레|저자=김진철|날짜=2010-10-05|확인날짜=2015-07-17}}</ref> 11월 22일에는 몇몇 내용을 편집해 만든 《[[아이리스: 더 무비]]》가 개봉했다.<ref>{{웹 인용|제목=씨네21 - 아이리스 더 무비|url=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출판사=[[씨네21]]|날짜=2010|확인날짜=2012-02-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5/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보존날짜=2016-03-04|깨진링크=예}}</ref> 12월 13일에는 《[[아이리스]]》의 스핀오프작 《[[아테나: 전쟁의 여신]]》 1회에 회상신으로 특별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짧아서 아쉬워"..이병헌·김태희 `아테나` 깜짝 등장|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138166593198520&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 |날짜=2010-12-14|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2011년 1월부터 방영된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에 출연했다. 드라마는 평균 15%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저자=이수아|제목='마이 프린세스', 종영…여심 흔든 달콤한 '황실로맨스'|url=http://www.frontiertimes.co.kr/news/news/2011/02/25/65491.html|출판사=프런티어타임스|날짜=2011-02-25 |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송승헌]]과 함께 공연해 대학생 이설 역할을 맡아 기존의 이미지와는 달리 코믹한 캐릭터를 연기했고, 이미지의 변화와 이전보다 향상된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저자=김민호|제목=김태희 푼수연기 호평 "이제야 딱 맞는 캐릭터!"|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출판사=투데이코리아|날짜=2011-01-06|확인날짜=2011-01-06}}{{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 }}</ref> 4월 1일에는 《[[MBC 다큐스페셜]]》에서 셀러브리티 바이오그래피 [[MBC 스페셜 방영 목록#2011년|태희의 재발견]]이 방영되었고, 방송에서 김태희의 일상, 연기력 논란, 학창 시절 등에 대해서 다뤘다.<ref name="미디어스">{{뉴스 인용|저자=곽상아|제목=MBC스페셜 '태희의 재발견'…"황당·실망"|url=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0|출판사=미디어스|날짜=2011-04-03|확인날짜=2014-04-07}}</ref> 시청률은 지난 편에 비해 2배 가량 상승한 9.3%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저자=문완식|제목=궁금했던 김태희..'태희의 재발견' 시청률 9.3%|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4020912530683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1-04-02 |확인날짜=2014-04-07}}</ref> 하지만 일부에서는 “뭘 말하려 했는지 모르겠다”, “김태희 홍보프로” 등의 비판이 이어졌다.<ref name="미디어스"/> 이에 대해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MBC스페셜]]이 김태희도 다룰 수 있다. 문제는 소재가 아니라 다루는 방식”이라고 말했다.<ref name="미디어스"/> 《[[마이 프린세스]]》가 종영되고 나서 김태희는 [[일본]] 기획사 [[스위트 파워]]와 계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한다고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진출…"일본서 적극적으로 활동 펼칠 것"|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출판사=SSTV|저자=신영은|날짜=2011-03-03|확인날짜=2014-04-0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14713/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보존날짜=2014-04-08|깨진링크=예}}</ref> 이후 [[일본]] [[후지TV]]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에 여주인공 한유나 역할로 출연해 일본 배우 [[니시지마 히데토시]]와 공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드라마 주연…니시지마 히데토시와 호흡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519575|출판사=아시투데이|저자=정희영|날짜=2011-08-25 |확인날짜=2011-09-10}}</ref> 첫 [[일본]] 드라마는 평균 시청률 9.3%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끝냈고, 많은 CF 촬영도 진행 할 예정이였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日 드라마 성공 데뷔 후 해외 CF 러브콜 쇄도|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출판사=일간스포츠|저자=김인구|날짜=2012-02-21|확인날짜=2012-02-25}}{{깨진 링크|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 }}</ref> 그러나 2005년 이완과 함께 스위스에서 독도 사랑 캠페인을 벌인 것을 빌미로 각종 CF 방영 계획이 취소되었고, 드라마 촬영 중단까지 요구되었다.<ref name="광주일보">{{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日 CF행사 취소..독도발언 때문|url=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29898239461109010|출판사=[[광주일보]]|날짜=2012-02-22 |확인날짜=2012-02-25}}</ref>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방영된 SBS 퓨전사극 드라마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 김태희는 '9대 [[장희빈]]'으로 캐스팅 되며 세간의 주목을 받으며 [[장옥정]] 역할을 연기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혹평으로 이어진 계속되는 시청률 하락과 함께 김태희의 연기력 논란, [[한국사|역사]] 왜곡 등으로 문제를 지적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장옥정' 독기만 품은 김태희, '착한' 장희빈은 어디갔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339334|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최두선 |날짜 = 2013-05-28 |확인날짜 =2017-09-09 }}</ref><ref>{{뉴스 인용 |제목 =김태희 "연기력 혹평에 자존심 상처··독하게 해보겠다"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007259|출판사 =아시아경제 |저자 =최준용 |날짜 = 2017-05-24 |확인날짜 =2017-09-09 }}</ref><ref>{{뉴스 인용 |제목 =종영 '장옥정',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잃었나 |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027910 |출판사 =오마이뉴스 |자지 =김성규 |날짜=2013-06-26 |확인날짜 =2017-09-09 }}</ref>
         2014년 5월 29일, 김태희는 중국 사극 드라마 《[[서성왕희지]]》 제작발표회에 참석하며 중국 데뷔를 알렸다. 그녀는 극중 왕희지의 아내 씨루이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중국 드라마 출연..'서성왕희지' 제작발표회 참석|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453046606094168&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저자=고규대|날짜=2014-05-30|확인날짜=2015-08-05}}</ref> 김태희는 자신의 역할 씨루이에 대해 "뻔한 여성상이 아닌, 순수하고 정의로운 캐릭터"였기 때문에 더욱 매력을 느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中드라마 '서성 왕희지', 유학 동경해 선택한 작품"[TD포토]|url=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6553404869440017|출판사=티브이데일리|저자=고규대|날짜=2015-03-17|확인날짜=2015-08-05}}</ref> 이듬해 2015년에는 한국 브라운관으로 복귀해, [[SBS TV|SBS]] 드라마 《[[용팔이 (드라마)|용팔이]]》에 한여진 역할로 출연했다. 김태희에게는 2년만에 안방극장으로 복귀작으로 최고 시청률 20.4%를 기록하며 시청자들에 큰 인기를 얻었다. 그녀는 이 작품으로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최우수연기상,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SAF 연기대상] 김태희, 최우수연기상 수상 "'용팔이' 덕에 행복한 한 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16&aid=0000174514|출판사 =SBS funE |저자 =김재윤|날짜 = 2016-01-01|확인날짜 =2017-09-09}}</ref>
         김태희는 작품 출연보다는 CF에서 주로 활동하는 [[연기자]]이다.<ref name="dd">{{뉴스 인용 |제목=CF톱스타들 왜 연기력 논란 거세나?|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802111723061110 |출판사=마이데일리 |날짜=2008-02-11 |확인날짜=2008-03-31}}</ref> 김태희는 광고 1년 전속 계약을 할 경우 평균 10억대를 받아 업계에서 특A급 연예인으로 분류되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기록으로 돌아보다...최장수 모델, 최고 몸값 CF스타는?|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220166586345288&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저자=양승준 |날짜=2008-03-20 |확인날짜=2012-03-08}}</ref> 출연하는 영화나 드라마마다 연기력 논란이 항상 따라다니는 편이였지만, 현재는 어느정도 연기력을 인정받고 있다.<ref name="dd"/>
         == 작품 목록 ==
         {{본문|[[김태희의 작품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본문|[[김태희의 수상 및 후보 목록]]}}
         |title = 김태희의 수상 목록
  • 봉준호 . . . . 20회 일치
         1993년 6mm 단편 영화 《백색인》을 연출하여 영화계에 데뷔했으며, 2번째 단편《지리멸렬》은 큰 화제가 되었다. [[배두나]]가 출연하였던 첫 장편 《[[플란다스의 개 (영화)|플란다스의 개]]》가 흥행에 실패했으나 이후 [[송강호]]와 김상경이 출연한 《[[살인의 추억]]》을 개봉하였는데 크게 흥행하였고, 작품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잡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2006년 7월에 3번째 장편 영화 《[[괴물 (2006년 영화)|괴물]]》을 개봉했다. 2008년 그는 [[미셸 공드리]], [[레오 카락스]] 감독과 함께 [[도쿄도|도쿄]]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프로젝트 영화 《[[도쿄!]]》에 참여하였다. 3편의 영화 중 "흔들리는 도쿄"에서 [[카가와 테루유키]], [[아오이 유우]]와 호흡을 맞췄다. 이 영화를 통해 멜로적 감수성 또한 인정 받았다.
         == 작품 목록 ==
         * [[2014년]] 제5회 [[올해의 영화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13년]] 제3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13년]] 제22회 [[부일영화상]] 최우수작품
         * [[2010년]] 일본 닛칸스포츠영화상 외국작품상 수상
         * [[2010년]] 제4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각본상
         * [[2009년]] 제30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
         * [[2009년]] 제2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각본상
         * [[2009년]] 제10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
         * [[2009년]] 제18회 [[부일영화상]] 최우수 작품
         *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
         * [[2007년]] 제1회 아시아 필름 어워드 최우수작품
         * [[2006년]]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06년]] 제27회 [[청룡영화상]] 최우수 작품
         * [[2003년]] 제40회 [[대종상]] 감독상, 최우수작품
         * [[2003년]] 제11회 [[춘사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작품
         * [[2003년]]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각본상, 작품
         |title = 봉준호의 수상 목록
  • 이창동 . . . . 18회 일치
         데뷔작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부터 시작해 《[[박하사탕]]》,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 《[[밀양 (영화)|밀양]]》, 《[[시 (영화)|시]]》 등 많은 작품들이 좋은 평가를 받아 각국의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감독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신일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하다가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중편 소설〈전리(戰利)〉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 등단하여 여러 편의 소설을 썼다. 1993년 영화《[[그 섬에 가고 싶다]]》의 시나리오를 쓰고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영화계로 들어선 이후에는 소설보다 영화에 주력하게 되었다. [[1997년]] 이스트 필름의 창립 작품이기도 한 [[한석규]] 주연의 영화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를 통해 [[영화 감독|감독]]으로 데뷔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년 뒤 내놓은 영화 《[[박하사탕]]》은 1999년 [[부산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며 [[설경구]]란 걸출한 배우를 탄생시켰다. 2002년 설경구, [[문소리]]와 다시 호흡을 맞춘 영화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로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아시스’ 이창동―감독상·문소리―신인상 등 5관왕…베니스 영화제 쾌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18051|출판사=국민일보|저자=이광형 기자|날짜=2002-09-09}}</ref>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를 맡고 있다. 2009년 열린 [[칸 영화제]]에서 [[중화민국|타이완]]의 영화 배우 [[수치 (배우)|수치]](서기)와 함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창동 감독 장편 부문 심사위원 위촉… “칸에서 나의 국적은 영화”|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514004092&subctg1=15&subctg2=00|출판사=[[세계일보]]|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09-05-14}}</ref> 2010년에 열린 50회 칸 영화제에서는 영화 《[[시 (영화)|시]]》로 각본상을 수상했다.
         == 영화 감독 작품 ==
         *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작품
         * 1997년 제1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
         * 1997년 제18회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
         * 2000년 제2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
         * 2000년 제37회 [[대종상]] 최우수작품
         * 2002년 제2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
         * 2002년 제1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
         * 2007년 제1회 아시아 퍼시픽 스크린 어워즈 최우수작품
         * 2007년 제6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
         * 2008년 제2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작품
         * 2010년 제47회 [[대종상]] 최우수작품
         * 2010년 제3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
         * 2010년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
         * 2010년 제6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작품
         |제목 = 이창동의 수상 목록
  • 이유리(배우) . . . . 16회 일치
         같은 해에 공포 영화 《분신사바》에서 '김인숙'역으로 출연했다. 촬영 당시 특수렌즈를 끼고 있어 앞이 보이지 않는 이유리에게 감독이 갯지렁이를 산낙지라고 속여 갯지렁이를 먹이고 이 사실을 뒤늦게 기사로 알게 되는 등 많은 고생을 하며 찍은 작품이지만 흥행에는 실패했다.
         2006년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가 1987년 76%의 높은 시청률로 대히트했던 동명의 드라마를 19년만에 리메이크 한 작품인 SBS 드라마 《[[사랑과 야망]]》에서 막내딸 '박선희'역[* 87년 원작에서는 [[임예진]]이 맡았다.]으로 열연했다. 이유리에게 큰 영향을 미친 작품으로 극 중 소아마비로 인해 한쪽 다리를 저는 선희역을 소화하기 위해 평소에도 다리를 직접 끈으로 묶어 다니면서 연습했으며 3회의 눈밭에서 다리를 절며 돌아가신 아버지를 부르짖는 장면은 명장면으로 꼽힌다. 한 가족의 대서사시를 그린 작품이기에 극 중 이유리는 81회 동안 10대부터 60대까지 한 인물의 생을 넓게 표현했으며 몸은 불편하지만 심성은 누구보다 고운 선희를 잘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같은 해 MBC 일일드라마 《사랑해, 울지마》 에서 [[이정진]]과 함께 데뷔 후 처음으로 대가족의 막내딸 혹은 주인공을 괴롭히는 악역에서 탈피해 주연으로 작품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극 중 출생의 비밀의 밝혀지기도 하고 결혼 과정에서 파혼을 겪으며 다사다난한 일을 겪는 '조미수'역을 맡았다. 여담으로 이 드라마의 작가 박정란 작가에게 김수현 작가가 적극적으로 이유리를 추천해 출연이 성사 됐다고 한다.
         2011년 MBC 주말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 '황금란'으로 본격적으로 독보적인 악녀연기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사실 깍쟁이 같은 이미지의 캐릭터는 종종 맡은 적이 있어도 본격적인 악녀 연기는 2002년 《러빙유》이후 9년만이었다. 극 중 부잣집 막내딸로 태어났지만 운명의 장난으로 인해 산부인과에서 부모가 뒤바뀌는 바람에 가난하기 그지 없는 집안의 둘째딸로 살아가던 중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자신과 운명이 뒤바뀐 '정원([[김현주]])'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정원을 향해 열등감과 분노를 표출하는 인물로 열연해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출생의 밝혀지기 전 초라한 모습과 정반대로 부잣집에 입성하면서 매 회 화려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드라마의 성공과 함께 이유리도 큰 주목을 받았으며 이 작품으로 MBC 연기대상에서 우수상을 수상한다.
         == 출연 작품 ==
         || 미상 || FAST || || 독립영화[* 이유리는 모 인터뷰를 통해 출연비를 떼인 일화를 밝히기도 했는데 아마도 'FAST'란 작품을 말하는듯 하다. 배우 [[정우]]와 함께 출연한 영화는 당시 이유리의 앳된 모습과 동시에 담배피는 불량스런 모습을 볼수 있다.] ||
          * 데뷔초부터 활발하게 주조연으로 활동했기에 여러 작품에서 만난 인연이 깊은 배우들이 있다. 특히 [[이동욱]]이 대표적이다. 우선 학교 시리즈의 선후배 사이이며 《사랑은 이런거야》, 《러빙유》, 《부모님전상서》 총 세 작품을 함께 했다. 《사랑은 이런거야》에서는 이유리와 이동욱이 각각 재수생과 영화감독 지망생으로 나와 커플연기를 펼쳤는데 그로부터 1년 후, 《러빙유》에서 재회했다. 초반에 이동욱이 이유리를 좋아했지만 회차가 지날수록 악녀본색을 내뿜는 이유리의 실체를 밝히는데 기여한다. 그 후 가장 마지막으로 만난 작품이 《부모님전상서》. 김수현 작가의 작품답게 대가족이 나오는 이 드라마에서 이동욱과 이유리는 4남매 중 각각 3호와 4호를 맡았다. 전작들보다 극중 상황이 더 나빠져 보기만 해도 으르렁거리는 현실 남매 연기를 보여주었다.
          * 2006년 인기리에 연재된 박소희 작가의 동명의 순정만화가 드라마 《[[궁(드라마)|궁]]》으로 리메이크 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으로부터 주인공 '신채경'역으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준수한 연기력과 만화 원작의 신채경 모습과도 싱크로율이 높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결국 여주인공으로는 [[윤은혜]]가 낙점됐다. 이유리는 인터뷰에서 제의를 받았으나 연기자로서 차근차근 한 발을 내딛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 《사랑과 야망》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다만 '《[[궁(드라마)|궁]]》의 전작이 바로 이유리가 출연한 《영재의 전성시대》였는데 바로 다음 작품을 출연하는게 말이 안된다.', '제작사는 이유리에게 캐스팅 제의도 한 적이 없다고 했다.' 등을 근거로 들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으나 《영재의 전성시대》에서 이유리는 주인공도 아니였을 뿐더러 전작을 했다고 다음 작품에 출연하지 못한다는 것은 사견에 불과하고 제작사에서 캐스팅 제의를 한 적이 없다는 주장 또한 이유리가 여러 차례 인터뷰에서 캐스팅 제의 사실을 분명히 언급했던것과는 달리 출처가 불분명 하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 드라마 《[[왔다! 장보리]]》의 연민정을 연기한 이후 [[만화가]] [[이토 준지]]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인 [[토미에]]와 닮았다는 얘기가 나오곤 한다.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53535><#353535> '''{{{#white 수상 연도}}}''' ||<#353535> '''{{{#white 시상식}}}''' ||<#353535> '''{{{#white 부문}}}''' ||<#353535> '''{{{#white 작품}}}''' ||<#353535> '''{{{#white 관련 영상}}}''' ||
  • 현진건 . . . . 16회 일치
         [[1920년]], 현진건은 양아버지 현보운의 동생 [[현철 (1891년)|희운]](僖運)의 소개로 11월, 문예지 『[[개벽 (잡지)|개벽]](開闢)』에 「희생화(犧牲花)」를 개재하면서 처음으로 문단에 이름을 올리는데, 이보다 앞서 현진건은 『개벽』에 번역소설 「행복」(아르치바세프 원작)과 「석죽화」(쿠르트 뮌체르 원작)를 발표하고 있었다. 그의 자전적 성격도 동시에 가진 것으로 알려진 「희생화」는, 그러나 당시 문예평론가 [[황석우]](黃錫禹)로부터 "소설이라고 부를 수도 없는, 하등 예술의 형식을 갖추지 못한 무명 산문"<ref>황석우, 「희생화와 신시를 읽고」, 『개벽』 6호, 1920. 12.</ref> 이라는 혹평을 받은 작품이었다.
         [[1921년]] 1월에 현진건은 다시 『개벽』에 단편소설 「빈처」를 발표하였는데, 이것이 문단의 호평을 받아<ref>이때의 문인들의 평가는 성해(星海)의 「憑虛君의 『貧妻』와 牧星君의 『그날밤』을 읽은 印像」(1921년 05월 01일자 『개벽』제11호), 박종화의 「文壇의 一年을 追憶하야 現狀과 作品을 槪評하노라」(1923년 1월 1일자 『개벽』제31호)에 나타나 있다.</ref> 11월에는 다시 『개벽』에 단편 「[[술 권하는 사회]]」를 발표하였고, [[1922년]] [[1월]]부터 [[4월]]까지 『개벽』에 중편소설 「타락자」를 발표하였다. 작품 [[술 권하는 사회]]에서 그는 사회의 부조리함을 알면서도 저항하지 못하는 나약한 지식인상을 풍자하였다.
         [[1922년]] 9월에 현진건은 조선일보사를 그만두고<ref>1년에 걸치는 「조선일보」 근무에 대해서 현진건은 그렇게 달가워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 이유로는 초기 「조선일보」가 보여준 노골적인 친일신문 표방 태도, 친일 색채가 농후한 발행 주체들이나 수시로 뒤바뀌는 발행인으로 인해 현진건 자신의 소신을 펼치기 곤란했던 점이 지적되고 있는데, 당시 「조선일보」의 친일 분위기에 대해 현진건의 문우였던 박종화는 "월남 이상재 선생 사장과 신석우 부사장, 민세 안재홍 편집국장 등이 취임하기 전의 초기 「조선일보」에는 양심있는 사람으로는 오래 거접(居接)할 것이 아니었다"(박종화, 「빙허 현진건 군(君)」, 『신천지』 1954.10. p.139~140)고 하였으며, 자전적 성격을 띠고 있는 현진건의 「지새는 안개」에는 「조선일보」를 빗대어 아예 "썩은내, 더러운내, 곰팡내, 음탕한내가 감도는 분위기", "도야지(돼지) 우리"로까지 표현하고 있다.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135~136.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총서24.</ref> [[최남선]](崔南善)이 만든 동명사(東明社)에 들어간다. 그 다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창간 당시부터 민족적 색채가 농후했고, 역사지향적 성격을 추구하며 「조선통속역사강화」(최남선 저) · 「조선과거의 혁명운동」(문일평 저) 등 유독 국학(國學) 관련 논문이 자주 연재되었던 「동명」에서의 경험은 훗날 「고도순례 경주」, 「단군성적 순례」 등의 민족의식이 농후한 작품을 쓰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ref>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9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총서24.</ref> 그리고 11월 13일에 그의 첫 창작집 『타락자』가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발간된다.
         [[1925년]] 1월, 현진건은 『개벽』에 단편 「불」을 발표하였다. 이때 그는 「시대일보」의 사회부장이 되었으나 「시대일보」가 폐간되면서 동아일보사로 전직하여야 했다. 3월 1일자 『개벽』 제57호에는 이때의 현진건의 근황에 대해 "근래에 빙허(憑虛) 군은 신문사 일도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더 많은 독서와 연구에 노력하겠다 한다. 늘 군은 조선의 평론계가 아무 보잘 것 없는 것을 매우 분개해서 앞으로는 논문도 쓰실 작정이라고. 고마운 일이며 즐거운 일이며 마음히 든든해지는 일이다."라고 짤막하게 소개하고 있다.<ref>「文壇雜談」 1925년 3월 1일자 『개벽』제57호.</ref> 그리고 박문서관에서 그의 중편 「지새는 안개」가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또한 2월에 단편 「[[B사감과 러브레터]]」를 『조선문단』에 발표하고<ref>현진건이 『조선문단』에 작품을 싣기 시작한 것은 『개벽』이 점점 '계급주의 문학'을 외치는 [[카프]]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부터였다는 지적이 있다.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9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총서24.</ref>, 4월과 5월에는 수필 「목도리의 복면」과 「설 때의 유쾌와 낳을 때의 고통」을 각각 기고하였다. 7월에는 「조선문단과 나」라는 기고에서 작가는 삼삼오오 짝을 짓고 당을 나누어 서로 갈라서서 싸우는 존재가 아니라 작가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개체라는 "일인일당(一人一黨)주의'라는 용어를 써가며, 계급주의 문학을 옹호하는 카프의 주장에 맞서 내용적 가치와 계급적 가치란 별개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조선문단』에서 만든 조선문단합평회의 정기회원으로서, 10월에는 『조선문단』 신추문예(新秋文藝)에 응모한 작품들의 심사를 맡아 처음으로 평론을 싣기도 했다.
         {{인용문|나는 역사소설이 작품으로 나타나기까지 작자의 태도를 대별하여 두 가지 경로를 밟는다고 생각합니다.<br />그 하나는 작자가 허심탄회로 역사를 탐독완미하다가 우연히 심금을 울리는 사실을 발견하고 작품을 빚어내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사실 자체가 주제를 제공하고 작자의 감회를 자아내는 것이니 순수한 역사소설이 대개는 이 경로를 밟지 않는가 생각합니다. 예하면 스코트의 제(諸) 작품 아나톨 프랑스의 「신들은 주린다」라든가 우리 문단에도 춘원의 「단종애사」, 상허의 「황진이」 같은 작품이 그 좋은 예라고 하겠습니다.<br />또 하나는 작자가 주제는 벌써 작정이 되었으나 현대에 취재하기도 거북한 점이 있다든지 또는 현대로는 그 주제를 살려낼 진실성을 다칠 염려가 있다든지 하는 경우에 그 주제에 적당한 사실을 찾아 대어 얽어놓은 경우입니다. 쉔키비치의 「쿠오 바디스」, 아나톨 프랑스의 「타이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춘원의 「이차돈의 사(死)」 같은 작품은 다 이런 경로를 밟은 작품이라고 봅니다.<br /> 제1의 경우라고 해서 대작(大作) 신품(神品)이 없는 것이 아니지만 제2의 경우에야말로 웅편(雄編) 걸저(傑著)가 더 많지 않은가 합니다. 그가 작품마다 그 구별이 뚜렷한 것이니 아니오 서로 혼합되고 착종하는 경우도 적지 않겠지요.}}
         {{인용문|사실을 위한 소설이 아니오 소설을 위한 사실인 이상 그 창작가는 제2의 경우를 더욱 중시하여야 될 줄 믿습니다. 이미 주제를 작정한 다음에 그 소재를 취하는데 현재와 과거를 가릴 필요가 없는 줄 압니다. 작품상에는 현재라고 더 현실적이오 과거라고 비현실적이란 관념은 도무지 성립이 되지 않는 줄 압니다. 더구나 제2의 경우에는 그 과거가 현재에 가지지 못한, 구하지 못한 진실성을 띄었기 때문에 더 현실적이라고 믿습니다. 현재의 사실에서 취재한 것보담 더 맥이 뛰고 피가 흐르는 현실감을 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어야 될 줄 믿습니다. 이렇게만 된다면 비현실적이라는 등 도피적이라는 둥 하는 비난의 화살은 저절로 그 과녁을 잃을 것입니다.<ref>「역사소설문제」, 『문장』 1939년 12월. p.126~129.</ref>}}
         그가 『동아일보』에 연재하던 「흑치상지」는 총독부의 검열과 탄압으로 불과 58회만에 강제 중단되었고, 이어 그의 작품집인 「조선의 얼골」까지 총독부에 의해 '금서'로 지정되어 판매가 금지된다.
         * 술에 관한 에피소드가 적지 않다. 술과 관련해 하루는 『조선문단』에 함께 작품을 기고하던 염상섭이나 [[김동인]]·나도향·[[양주동]] 등과 잡지사에 모였다가 저녁에 술을 마시는데, 술에 취해 저마다 "나는 조선의 [[괴테]]가 될 테니 자네는 (조선의) [[톨스토이]]가 되게", "나는 베르렌이 될테니 너는 [[안톤 체홉|체홉]]이 되라" 등의 주정을 늘어놓으면 곧잘 "그놈의 톨스토이, 괴테 좀 집어치우시오" 하고 큰소리치곤 했으며<ref>「문단이면사」(46) '방인근과 조선문단', 『경향신문』 [[1983년]] 12월 24일자 제7면 기사.</ref> 「동아일보」 사회부장으로 근무하던 시절에는 명월관에서 있었던 사원들끼리의 송년회식 자리에서 「동아일보」 사장에게 "이 놈아, 먹어, 먹으라고."하며 술을 권하다가 급기야 뺨까지 때렸다. 하지만 사장은 현진건을 내치지 않았다는 것이다<ref>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14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24.</ref>(다만 이때 현진건에게 뺨을 맞았던 동아일보 사장이 [[송진우 (정치인)|송진우]]였는지 [[김성수 (1891년)|김성수]]였는지는 사람마다 증언이 다르다).
         == 작품 ==
  • 박신혜 . . . . 15회 일치
         | 수상 = [[박신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수상 목록]]
         박신혜는 2001년, [[이승환]]의 7집 앨범 타이틀곡 〈사랑하나요〉 뮤직 비디오로 출연하며 데뷔하였다. 이후 2003년에도 이승환의 〈꽃〉 뮤직 비디오에 출연하며 얼굴을 알린 박신혜는 당초 배우지망생이 아닌 가수를 꿈꾸는 연습생이었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오디션을 본 2003년 12월 첫 방영 된 드라마 《[[천국의 계단 (드라마)|천국의 계단]]》에서 [[최지우]]의 아역인 한정서 역을 맡아 브라운관에 데뷔하였다.<ref>{{웹 인용|url=http://globerove.com/south-korea/tree-of-heaven-korean-drama/3740|title=Tree of Heaven Korean Drama|publisher=GlobalRove|accessdate=2014-09-08|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908015531/http://globerove.com/south-korea/tree-of-heaven-korean-drama/3740|보존날짜=2014-09-08|깨진링크=예}}</ref><ref name="hancinema1">{{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tree-of-heaven--a-new-tryout-for-a-resurgence-of-korean-wave-5387.html|title='Tree of Heaven': a new tryout for a resurgence of Korean Wave|publisher=The Korea Herald via Hancinema|accessdate=2013-10-08}}</ref><ref name="hancinema2">{{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park-sin-hye-invited-to-photo-exhibition-for-korean-top-stars-6302.html|title=Park Shin-hye Invited to Photo Exhibition for Korean Top Stars|publisher=KBS Global via Hancinema|accessdate=2013-10-08}}</ref> 이 작품에서 그녀는 14살 이제 막 중학교에 입학한 어린 소녀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싱그럽고 풋풋한 첫사랑 감정을 첫 연기라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출중한 연기를 선보이며, 안방극장의 뜨거운 사랑과 지지를 받았고 그 당시 이례적으로 아역들의 분량이 1회 늘어나기도 했다. [[SBS 연기대상]] 아역상을 수상하였다. 당시 연출을 맡은 이장수 감독은 박신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인용문2|“(박신혜씨 연기를) 정말 잘해요. 연기한 걸 직접 한 번 봐야하는데…우리나라 배우들이 자질이 정말 뛰어나다는 걸 신혜를 보면 느낄 수 있어요. 비록 신인이지만 잘 할 것으로 봐요”|MBN스타 2016년 7월 8일자 기사<ref name="mbn">{{뉴스 인용 |제목 =[M+TV피플] 박신혜, 꾸미지 않아 더 아름다운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989093|출판사 =MBN스타 |저자 =금빛나 |날짜 = 2016-07-08 |확인날짜 =2016-07-10 }}</ref> 중}}
         박신혜는 2009년, 드라마 《[[미남이시네요]]》로 이후 1년 반만에 브라운관에 복귀하였다. 극중 속세와 차단된 수녀원을 나와 쌍둥이 오빠 고미남을 대신해 비밀과 가십, 계산과 계약으로 움직이는 연예계에서 살아 나가는 고미녀 역을 연기하며 배우 인생 전환점을 맞이했고, 일본 및 중화권에서도 인지도를 높히며 한류 퀸으로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ref>{{웹 인용|url=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851058 |title=‘미남이시네요’가 ‘아이리스’에 기죽지 않는 이유 |출판사=일간스포츠 |저자= 정지원|날짜=2009-10-30 |확인날짜=2016-12-29}}</ref><ref>{{웹 인용|url=http://www.hancinema.net/jang-geun-seok-you-re-beautiful-beats-winter-sonata-33223.html |title=Jang Geun-seok "You're Beautiful" beats "Winter Sonata" @ HanCinema :: The Korean Movie and Drama Database |publisher=Hancinema.net |date=2011-09-14 |accessdate=2016-12-29}}</ref> 나중에 박신혜는 인터뷰에서 “성인이 돼 처음 한 작품으로, 아역이 아닌 ‘박신혜’라는 한 여배우의 시작을 알리게 해준 작품”이라고 ‘미남이시네요’에 대해 말했다.<ref name="mbn" /> 이듬 해, 2010년 박신혜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시라노; 연애조작단]]》에서 연애 조작 요원 오민영 역을 맡아 [[엄태웅]], [[이민정]], [[최다니엘]]과 공연하며 영화는 260만명의 관객수를 동원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박신혜는 사전 제작 된 대만 드라마 《선풍관가 旋風管家》에서 샤오즈 역을 맡아 출연하였고, 2011년 방영되었다.
         박신혜는 이후, 2013년 10월부터 방영 된 하이틴 로맨스 드라마 《[[상속자들]]》에서 가난하지만 당당한 여고생 차은상 역을 맡아 성인 연기자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kdramastars.com/articles/13557/20131228/2013-kdramas-that-got-the-best-ratings.htm |title=2013 Kdramas That Got The Best Ratings : Drama Stories |publisher=KDramaStars |date= |accessdate=2016-12-29}}</ref> 이 작품을 통해 국내를 넘어 아시아권에서도 크게 인기를 끌면서 여배우 최초로 ‘Dream of Angel’라는 타이틀의 아시아투어를 하는 등 부동의 인기를 누리는 한류스타로서 입지를 다졌다.<ref>{{뉴스 인용|title=Park Shin Hye First Female Actress to Tour Asia|url=http://www.kdramastars.com/articles/8567/20130315/park-shin-hye-first-female-actress-tour-asia.htm|accessdate=31 January 2014|newspaper=kdramastars|date=15 March 2013}}</ref>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우수연기상, 베스트 커플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다.
         박신혜는 2014년 11월부터 방영 된 드라마 《[[피노키오 (드라마)|피노키오]]》에 캐스팅 되어 《[[천국의 나무]]》 PD였던 조수원 감독과 9년만에 재회하게 됐다.<ref>{{뉴스 인용 |제목 ='피노키오' 박신혜 "작품 기다리는 배우, 취준생의 심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1&aid=0000404814|출판사 =엑스포츠뉴스 |저자 =김승현 |날짜 = 2014-11-06 |확인날짜 =2014-11-10 }}</ref> 이 작품은 방송국 사회부 기자들의 삶과 24시간을 함께 하며 전쟁같이 보내는 이들이 설레는 관계로 발전해가는 풋풋한 청춘을 그린 드라마로 박신혜는 거짓말을 하면 딸꾹질을 하는 가상의 증후군인 '피노키오 증후군'을 앓고 있는 최인하 역을 연기하였고, 실제 사회부 기자들의 실상이나 문화를 현실적으로 잘 반영해 호평을 받았다.<ref>{{웹 인용|url=http://www.koreaherald.com/view.php?ud=20140904000373|title=Park Shin-hye confirmed to star in ‘Pinocchio’|publisher=The Korea Herald|accessdate=2014-09-08}}</ref><ref>{{웹 인용|title=Cultural Exports to Surpass 1 Trillion Won This Year|url=http://www.businesskorea.co.kr/english/news/lifestyle/8231-culture-trade-balance-cultural-exports-surpass-1-trillion-won-year|work=Business Korea|accessdate=2015-10-24|date=2014-12-26}}</ref><ref>{{웹 인용|title=‘Pinocchio’ sells distribution rights to China for record price|url=http://kpopherald.koreaherald.com/view.php?ud=201411241750324868840_2|work=Kpop Herald|accessdate=2015-10-24|date=2014-11-24}}</ref> 박신혜는 [[SBS 연기대상]] 중편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과 베스트 커플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다. 또한 제51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으며,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연속 인기상을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5년 연속 인기상 수상…대세 여배우 입증 [51th 백상]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612085|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이은지 |날짜 = 2015-05-26 |확인날짜 =2017-09-20 }}</ref> 같은 해 12월, 개봉 된 사극 영화 《[[상의원]]》에 왕비 역을 연기하였다.
         2016년 6월, 첫 방영 된 메디컬 드라마 《[[닥터스 (드라마)|닥터스]]》에 캐스팅 된 박신혜는 학창시절 무기력한 반항아에서 사랑이 충만한 국일병원 신경외과 펠로우 의사로 성장하는 유혜정 역을 맡아<ref>{{뉴스 인용|제목=박신혜·김래원, '닥터스' 본방사수 독려 "오늘 첫방 아시죠?"|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606210100156110010947&servicedate=20160620|출판사=스포츠조선|저자=정유나|날짜=2016-06-20|확인날짜=2016-06-20}}</ref> 한층 더 발전한 연기력을 선보였고,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21.3%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많은 사랑을 받으며 따뜻한 감성 드라마로 호평를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박신혜, 이게 바로 인간 승리…'공부의 신' 됐다 (종합)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2374|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김수현 |날짜 = 2016-06-21 |확인날짜 =2016-06-21 }}</ref> 연출을 맡은 오충환 감독은 제작발표회 당시 박신혜에 대해 “촬영장 공식 명칭이 ‘우리 신혜’다. 오전, 오후로 미담을 만들어 내고 있다. 처음으로 내가 열심히 해서 배우를 잘 되게 만들어 주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연기도 좋고 인성도 좋다”고 말했다.<ref name="mbn" /> 박신혜는 연말 [[SBS 연기대상]] 장르&판타지드라마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10대스타상 3관왕을 수상했우며,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 후보에 올랐다. 이 작품을 통해 박신혜는 20대 여배우 중 가장 주목 받는 한류 스타이자 대표하는 ‘흥행배우’로 성장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닥터스' 종영기획②] '3연속 흥행퀸' 박신혜, 믿고 보는 20대 女배우 우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807409|출판사 = 마이데일리|저자 =최지예 |날짜 = 2016-08-24 |확인날짜 =2016-09-01 }}</ref><ref>{{뉴스 인용 |제목 =[SS이슈]'닥터스' 박신혜,안방 흥행여왕+20대 CF퀸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169345|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조현정 |날짜 = 2016-07-12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6년 11월 개봉 된 코미디 영화 《[[형 (2016년 영화)|형]]》에서 국가대표급 오지랖 유도코치 이수현 역을 연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만났다하면 케미퀸…이번엔 조정석x도경수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23745|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6-11-08 |확인날짜 =2016-11-10 }}</ref>
         박신혜는 2017년, [[정지우 (영화 감독)|정지우]] 감독의 영화 《[[침묵 (2017년 영화)|침묵]]》에서 변호사 최희정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약혼녀가 살해당하고 그 용의자로 자신의 딸이 지목되자, 딸을 무죄로 만들기 위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건을 쫓는 남자 ‘임태산’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ref>{{뉴스 인용 |제목 =최민식x박신혜x류준열 '침묵' 11월 개봉 확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88848|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수정 |날짜 = 2017-09-20 |확인날짜 =2017-09-20 }}</ref> 2017년 11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박신혜는 2017년 6월부터는 지난 2013년 첫 투어 이후 4년만에 2017 아시아투어의 첫 스타트 무대를 홍콩에서 성황리에 마쳤으며, 이번 아시아투어는 올 해로 네 번째로 투어 수익금 전액은 기아대책에 기부되었다. 이외에도 대만, 필리핀, 일본, 싱가포르, 태국에서도 열릴 예정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아시아투어 첫 무대 성료…"MC 없이 단독진행"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105412|출판사 =스포츠조선 |저자 =정유나 |날짜 = 2017-06-12 |확인날짜 =2017-09-12 }}</ref><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한류여제’ 파워 과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76478|출판사 =스포츠동아 |저자 =이정연 |날짜 = 2017-07-04 |확인날짜 =2017-09-12 }}</ref>
         == 출연 작품 ==
         {{본문|박신혜의 작품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본문|박신혜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하이큐!! . . . . 14회 일치
         ||<tablewidth=100%><#eeeeee> '''[wiki:"소년 점프/연재중인 작품"주간 소년 점프에 연재 중인 작품]''' 그 외 작품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 참조 ||
         주간 [[소년 점프]]에서 2012년 12호부터 연재중인 후루다테 하루이치(古舘 春一)[*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의 작가. 이 작품은 인기가 없어서 단 18화만에 연재 종료당했지만, 그런 것치고는 국내에서 인지도가 알게 모르게 있는 괴이한 작품.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의 [[배구]] 만화. 하이큐의 뜻은 배구(排球)의 일본어 독음.
         작품에 대한 평가로는, 대체적으로 '''평작 이상'''이라는 반응이다. 이전에 연재를 한 경험이 있어 그림체가 호불호가 갈린다곤 해도 상당히 안정된 편이고, 캐릭터가 주연 조연 모두 매력적이며 구성도 탄탄하다. 뿐만 아니라 만화 특유의 페이지를 넘겼을 때의 칸 연출에 상당히 능숙한 편. <하이큐!!>의 최대의 강점은 그 연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허무맹랑한 필살기나 기술명이 난무하지 않고, 스포츠를 가장한 특수 [[능력자 배틀물]]의 성격을 띄는 경우[* 대표적인 만화가 테니스의 왕자다. 필살기 난무, 특수능력 난무로 만화 자체가 안드로메다로 가버린 후 이작품은 매너의 스포츠로 불리는 테니스를 모욕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테니스 한 번 치면 사람이 다치고 인사불성~~]가 많은 점프계치고는 [[주인공 보정]]이나 만화적 연출을 제외하면 상당히 현실성 넘치는 경기 묘사[* 많은 [[덕후]]들이 잘 모르는 사실인데 [[스포츠물]]에서 진짜 100% 현실적인 묘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설령 100% 현실적인 묘사로만 이루어진다해도 정말 ~~[[암]]을 유발할 것 같은~~ 답답한 전개가 펼쳐지기때문에 그야말로 독자들이 지쳐 나가떨어진다. 이는 현실의 스포츠 경기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아무리 그나마 현실적인 묘사를 하더라도 약간의 판타지는 섞여있을 수 밖에 없다. 리얼계 스포츠물의 [[레전설]]로 불리는 <[[슬램덩크]]>도 사실 100% 현실적인 건 아니다. 비슷하게 현실적이라는 호평을 듣는 스포츠물인 <[[크게 휘두르며]]>도 100% 현실적이진 않다.]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호감을 사는 면도 있다.
         1회전에서 사라지는 수많은 약체팀들에도 포커스를 맞췄다. 이들을 단순히 주인공 학교의 1승 제물로 등장시키지 않고, 그들 역시 배구와 함께 고교시절을 보내는 청춘임을 묘사한다. 그 결과 나온 것이, 대부분의 팬들이 감동적인 에피소드를 꼽을 때 꼭 언급되는 40화 '승자와 패자' 편(애니메이션에서는 16화). 인터하이 1차전이 끝난 후 1회전에서 탈락한 23개 팀 모두를 '''한 컷씩 다 그려냈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분량 문제인지 23개교가 전부 나오지 않아,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다.] 그리고 이 장면에서 등장하는 ''' "우리들도 했어 배구" ''' 라는 대사는,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보여준다.
         절대적인 악역도 없고 거의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배구에 청춘을 걸고 있거나 혹은 걸었던 사람들인지라,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밝고 건강하다. 스포츠를 좋아하지 않더라도, 드라마적인 측면에서만 봐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카라스노 고교]]의 모델은 이와테현 구노헤 군 가루마이마치의 현립 가루마이 고교이다. 실제로 까마득한 산골로, 하이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광 코스를 소개하고 있다. [http://blogs.yahoo.co.jp/yosicosmic 블로그(일본어)] 작품의 배경은 미야기현이면서 카라스노 고교의 배경은 이와테현이 된 셈인데, 이는 작가가 미야기 출신이지만 이와테현에서 청소년기를 보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하이큐/에피소드|에피소드 목록]] ==
          * 배구계에서도 작품의 인기와 영향력을 의식하였는지 [https://twitter.com/ALan_twt_/status/507780608991322112/ 실제 일본 봄고 배구대회 포스터]까지 장식하는 쾌거를 누린다.
          * 작가인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이 불분명하다. 심지어는 후루다테 작가가 졸업한 도쿄 디자인 전문학교에 졸업 후 찾아왔었다는 포스팅이 어떤 블로그에 올라왔는데, 댓글에서 어떤 팬이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을 묻자 '작가님이 직접 공개하지 않으신 사생활은 공개할 수 없습니다' 라고 철통방어(...)를 하기도 했다. 종합 1000만 부 이상 팔린 만화책의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으로도, 온라인으로도, 심지어는 인터뷰조차도 그의 활동은 적어 필명이 본명인지, 나이가 얼마인지, 성별이 무엇인지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작품들이 [이와테]현 및 [미야기]현을 작중 배경으로 하고 있고 작가 본인도 인터뷰에서 그렇게 밝혔으므로 출신지가 그 쪽인 것은 분명하다. 작가가 여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팀메이트 간의 감정 묘사, 이름 및 생일의 의미와 관련성까지도 계산한 ~~설정덕후의~~ 섬세함, 특유의 동글동글한 그림체를 근거로 내세워 여자 작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반면 작가가 남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wiki:"니시노야 유" 니시노야]와 [wiki:"타나카 류노스케" 타나카]의 [wiki:"시미즈 키요코" 시미즈] 빠질을 저렇게 완벽하게(...)그려내는 것은 남자밖에 하지 못한다.', '[쿠로코의 농구]도 남자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감정선을 잘 그려내고 있다' 등을 근거로 남자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점치고 있다.
  • 허근욱 . . . . 11회 일치
         === 작품, 문학 활동 ===
         == 저서 및 작품 ==
         == 작품성 ==
         그의 작품 중에는 자전적인 내용을 담은 소설, 문학 작품들도 존재한다. 이를 두고 자신의 출신과 관련된 남한 쪽에서의 모종의 제약 때문에 의식적으로 이데올로기나 분단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는 평도 있다. 또한 일찍이 이념과 삶의 진정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아버지 및 가족과 결별하고 월남했던 이력이 말해주듯, 누구보다 분단과 가족공동체의 회복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까닭도 있다는 작품평도 있다.
         그의 작품들에서는 명시적이지 않지만 때때로 가족과 친지들에 대한 그리움과 때로는 분노가 표출되기도 한다. 허근욱의 초기작품의 하나이자 대표작인 자전적 소설 《내가 설 땅은 어디냐》 등에서는 남과 북 어디에서도 정체성을 발견하지 못한 채 수난을 겪어야 했던 과거에 대한 아쉬움과 세상에 대한 분노, [[6.25 전쟁]]이 막 끝난 직후 다시는 보지 못한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 이념, 이데올로기를 빌미로 한 폭력성에 대한 거부감 등이 담겨 있어 이 작가의 작품 경향을 대변해 주고 있다는 평도 있다.
         초기 작품 [[내가 설 땅은 어디냐]]는 [[1964년]] 영화감독 [[편거영]] 등에 의해 영화화되어 그 해 [[4월 8일]] [[서울]]에서 개봉되었다. [[1987년]] [[11월]]에는 그의 작품 멩가나무 열매가 각본으로 꾸며져 [[무용]]으로 선보여지기도 했다.<ref>동아일보 1987년 11월 18일자 6면, 생활문화면</ref>
  • 김연수(작가) . . . . 10회 일치
          * 상위 문서: [[작가/목록]]
         ||<:>[[구효서]][br]명두[br](2006) || → ||<:>'''김연수[br]달로 간 코미디언[br](2007)'''|| → ||<:>수상작 없음(2008)[* 본심에 오른 작품 중 수상할 만한 작품 없음. 독자의 반응을 의식한 편향성이 명확하며 완성도가 수상에 부합할 수준에 못 미침.] ||
         1993년 <작가세계> 여름호에 시 <강화에 대하여> 외 4편이 당선되면서 등단했으며, 1994년 장편[[소설]] <[[가면]]을 가리키며 걷기>로 제3회 작가세계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본인 스스로도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써왔다'고 할 만큼 왕성하게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수상 경력도 화려하며, 내놓는 작품마다 호평을 받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김훈(소설가)|김훈]], [[박민규]]와 더불어 가장 주목받는 작가들 중 한 명이며 중학교 동창인 [[문태준]], [[김중혁]]과 함께 김천 3인방이라고도 불리며, 21세기의 블루칩이라는 말 또한 들어왔다.
         == 작품 목록 ==
         == 작품 성향 ==
         초기 작품에서는 젊은 날의 상실감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혹은 <꾿빠이, 이상>,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밤은 노래한다>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역사적 사실에 소설적 장치를 첨가하기도 한다. 굉장히 유려한 문장이 특징이며, 읽는 사람에 따라서는 어렵다며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반대로 독자들의 허영심을 채워주는 역할로도 작용한다. 사람의 심리를 잘 파고드는 문장을 구사하며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다. 외국어로 번역하기 편한 글을 구사한다고 하며, 동시에 번역투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사실 내용도 소설을 가볍게 읽는 사람들이 읽기엔 지나치게 현학적인 데가 있다. 김연수는 문학적 허세가 있다는 이야기도 들리며, 작가가 오히려 풍부한 독서를 바탕으로 문학 측면에서 어렵게 씀에도 불구하고 독자들이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산문집을 읽어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애독자인 듯 하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원더보이>에서는 청년과 중년 여성의 섹스, 가족이나 연인의 자살과 그로 인한 트라우마, 밤낮없이 길을 걸으며 방황하는 주인공 등 무라카미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의 영향을 받은 듯한 소재가 종종 등장한다. 그러나 이들 작품 모두 격동의 시대를 살며 방황하는 청춘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자살과 섹스, 목적지 없는 도보 여행 등 '방황하는 청춘'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사용했다고 볼 수도 있다.
  • 홍상수 . . . . 10회 일치
         == 작품활동 ==
         * 1996년 제27회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최우수 작품상《[[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2000년 제1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오!수정]]》
         * 2008년 제9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밤과 낮]]》
         * 2008년 제17회 [[부일영화상]] 최우수 작품상《[[밤과 낮]]》
         * 2008년 제28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 작품상, 각본상《[[밤과 낮]]》
         * 2014년 제3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최우수작품상 《[[자유의 언덕]]》
         * 2014년 제36회 낭뜨3대륙영화제 최우수작품상《[[자유의 언덕]]》
         * 2015년 제53회 히혼국제영화제 장편부문 최우수작품상《[[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title = 홍상수의 수상 목록
  • Victoria II/디시전 . . . . 8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3.3|철제 증기선]]''' 기술을 연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2.1|말라리아 예방]]'''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3.3|철제 증기선]]''' 기술을 연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을 연구함
  • 기동전사 건담 . . . . 8회 일치
         일명 '퍼스트 건담'이라고 부른다. [[건담 시리즈]]의 출발점이 된 작품.
         당시 만연했던 '로봇 프로레슬링'[* 매 화마다 특정 메카와 1대 1, 혹은 1대 다수로 일회성 대결을 펼치는 방식. '마징가 Z' 등을 떠올려보면 쉽다.] 플룻에서 벗어나 전쟁 서사적인 면을 다룬 스토리로 막 태동하기 시작하던 마니아 층에게 어필하여 초반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인기를 끌어모아 거대한 프랜차이즈를 형성하는 계기를 만들어냈다. 로봇물에서 이른바 '슈퍼로봇'과 '리얼로봇'이라는 구분법이 생겨나게 된 계기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단, 21세기 시각에서 돌이켜 보면 여전히 옛날 로봇애니의 요소들도 많이 담고 있기도 한 '과도기적 작품'이다.[* 아니,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21세기 작품들이 '옛날 로봇애니 요소'는 더 많을지도 모른다(…). ~~(유행은 돌고 돈다)~~]
         전반적으로 아폴로 계획으로 태동된 우주개발 붐 문화('아폴로 문화')가 바탕에 깔려 있는 작품[* 아폴로 붐 당시 우주개발에 대한 열기는 경제적인 문제로 본격적인 우주개발이 '과거'의 일이 되어버린 현대와는 크나큰 차이가 있었다.]이다. 또한 당시 인기를 끌었던 SF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영향이 강하다. 소년병들이 다수인 집단이 지구와 우주 각지를 떠도는 부분은 '15소년 표류기' 등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도 있다.
         기동전사 건담은 전투 장면의 연출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다.
         그러한 반면에 건담은 TV판 40화 이상 혹은 극장판 3편이라는 장기 작품을 사실상 단 세가지 무기만 가지고 밀도 있는 액션을 펼쳐나가는 것이다. 그 때문에 무기의 숫자는 줄었지만 오히려 액션은 훨씬 다채롭고 창의적으로 만들어졌다.
          * 1년 전쟁 : 우주세기 0079년에서 0080년 사이에 벌어진 지구연방과 지온 공국의 전쟁. 해당 작품의 배경으로, 초반에 지온 공국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둬 지구권의 상당 부분을 점유하기도 했으나 지구연방의 반격과 공국의 내분으로 인해 결국 지구연방이 전세를 역전시켜 최종 방어선인 아바오 아 쿠 요새 함락 후 종전 협정을 체결해 끝난다.
  • 이민호(1987) . . . . 8회 일치
         반짝스타가 아니고 아역부터 올라온 연기자다. [[박보영]]과 함께한 EBS [[청소년 드라마]] '[[비밀의 교정]]', [[문채원]]과 호흡한 SBS '달려라 고등어',[* 여담이지만, [[박보영]], [[문채원]]과는 여러 편 같이 한 바 있다. 박보영과는 '비밀의 교정', '달려라 고등어', 영화 '울학교 이티'에서 같이 나왔으며, 문채원은 여기서 '비밀의 교정'을 뺀 나머지 두 작품에 같이 나왔다.] [[박민영]]과 함께하는 [[아이 엠 샘(드라마)]] 등등으로 드라마 주조연으로 등장하기도 했고 '[[사랑찬가]]'나 '[[논스톱]]', '[[반올림(드라마)|반올림]]' 같은 드라마에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단막극 '나도 잘 모르지만'에서 주연을 맡거나 영화는 '울학교 이티'와 '[[강철중: 공공의 적 1-1]]'에서도 출연했다.[* 중견기업으로 위장한 조폭 두목인 [[정재영]]이 키우던 건달 ~~유스~~ 유망주 중 하나였는데 건달짓에 회의를 느낀 이민호를 오른팔 [[김남길]]을 시켜 살해하고 거기서 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여담으로 꽃보다남자 에서 이민호가 캐스팅 되었다는 소리를 들은 [[김현중(SS501)|김현중]]은 이민호를 '''아 그 영화에서 나오자마자 칼맞고 죽은 사람?''' 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그런 그가 선택한 작품은 [[SBS]] 드라마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 이민호가 주인공으로 나왔던 드라마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는 처음부터 원작과 다르게 기획되었고 프리퀄을 표방하여 제작되었으며, 원작자가 주인공으로 이민호가 캐스팅된 것에 대해 대단히 만족감을 표시하고 싸인까지 보내 제작발표회에 공개하기도 했다. 오히려 원작과 차별화된 시나리오로 사회성 짙은 드라마가 되어서 흥행에 성공했다. 이민호의 연기력뿐만 아니라 매력이 돋보였고 특히 눈빛, 액션 연기는 굉장히 호평을 받아 "이민호의, 이민호에 의한, 이민호를 위한 드라마"라는 평가들이 나왔다.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로 이민호는 [[중국]]에서 거의 신드롬급으로 인기를 끌었다. 거기다 해외 팬덤이 강력해서 드라마 수출 계약도 호조를 보이는 엄청난 한류 배우.
         2015년 초에 개봉한 [[강남1970]]의 [[김종대#s-2]] 역할로 영화 첫 주연작품을 찍었다. 이민호의 새로운 연기 변신에 호평을 받았고 눈빛 연기, 액션 연기 쪽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청불임에도 불구하고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총 관객수 220만 명으로 막을 내리는 걸로 스크린 데뷔식을 치렀다. [[강남1970]]으로 2015년 52회 [[대종상영화제]] 남자신인상 수상, 19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 프로듀서초이스상을 수상하였다.
         == 작품 선구안 ==
         연기 실력이 탄탄하지 않은 채 많은 작품을 소화하는 몇몇 배우들과 달리 신중하게 자신의 작품을 고르고, 매번 새로운 모습으로 변신해왔고 무명 시절부터 다양한 배역을 경험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았다.
         [[정일우]]와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정일우는 거침없이하이킥에 캐스팅되고 이민호는 다른데로 캐스팅된 것이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1983784|#]] 둘이 바다로 놀러 가다가 교통사고를 당했는데, [[정일우]]는 재활 치료를 연기하면서 어떻게든 하이킥에 출연했지만 이민호는 혼수 상태까지 가서 7개월 간 입원했을 정도로 크게 다친 바람에 오른쪽 허벅지와 무릎에 철심을 박는 등, 심각한 후유증을 겪었다. 거기다가 이 사건의 계기로 하이킥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 출연이 무산되었다. 이 사고로 둘 다 [[병역판정검사|신검]]에서 공익 판정을 받았고, 실제로 둘 다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다.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에서 사격 장면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수전증이 있다. 이 또한 교통사고 후유증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 이후 [[시티헌터(드라마)|시티헌터]]를 찍을 때 또 한 번 교통사고를 당했다. [[강남1970]] 촬영 당시 한쪽 다리만으로 발차기 액션 씬을 찍었다고 밝힌 바 있다.
         ||<rowbgcolor=#696969> {{{#white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정용화 . . . . 7회 일치
         == 음반 목록 ==
         {{참고|씨엔블루의 음반 목록|설명=정용화가 씨엔블루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 음반 목록
         ! 음반 목록
         == 출연 작품 ==
         {{참고|씨엔블루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설명=씨엔블루로 활동한 것에 대해서는}}
         ! 작품
  • 현이와 덕이 . . . . 7회 일치
         '''장덕'''(張德, Chang Deok, [[1961년]] [[4월 21일]] ~ [[1990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다. 그녀는 싱어송라이터로서 [[진미령]] · [[이은하]] · 양하영 · [[임병수]] · [[김범룡]] · 국보자매 등 많은 다른 가수들의 음반에 참여하며 [[작사가]] · [[작곡가]]로 활동하였고, [[음반 프로듀서]]로도 활동을 하였다. 그녀는 친오빠 [[장현]]과 함께 현이와 덕이를 결성, 만 14세의 최연소 [[싱어송라이터]]로 가요계에 데뷔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만 15세([[고등학교]] 1학년) 때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최연소 [[작사]] · [[작곡가]]로 출전하여 입상하는 등 [[천재]]소녀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또한 그녀는 예쁘장한 외모로 [[배우]]로도 활동, 10여 편의 [[영화]]에 [[주연]] 또는 [[조연]]으로 출연하며 하이틴 [[스타]]로도 거듭났다. 그리고 솔로로 독립해 성인이 된 후에도 더욱 많은 연예활동을 하여 [[스타]]의 자리를 지켰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장덕 [[작사]] · [[작곡]]의 [[작품]] 개수는 총 129개(2015년 6월 기준: 신탁자코드 W0138300)이며, 생전 남긴 창작작품은 [[록]] · [[포크]] · [[리듬 앤 블루스]](R&B) · [[컨트리]] · [[댄스]] · [[펑키]] · [[트로트]] · [[발라드]] · [[융합]](복합) 등 다양한 [[장르]]의 300여개 정도이다.<ref>이은정.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623003 요절가수 장덕·장현 남매 25주기…음원 등으로 재조명]. 연합뉴스. 2015년 5월 28일.</ref>
         미국에 머물던 이 시기 장덕은 [[미국]] [[가수]]에게 <[[여인이여 안녕 (노래)|여인이여 안녕]]>이라는 작품을 주어서 취입 시키기도 하였는데, 당시 장덕의 [[미국]] 내 창작활동은 [[미국]] 일간지 및 [테네시언]지에 크게 소개되기도 하였다.
         1985년 6월 [[장현]] · 장덕 남매는 7년만에 재결합, 현이와 덕이를 결성하며 타이틀곡 <너너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비롯 <이젠 안녕>, <그대의 투정>, <해바라기 사랑> 등의 곡들이 수록된 정규 2집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를 발표한다. 그리고 이 앨범의 타이틀곡 <너나 좋아해 나너 좋아해>가 단숨에 가요순위 10위권 내에 들며 인기를 끌었고 장덕에게 막힌 숨통을 트게 해주었다. 이 앨범에서는 장현 또한 작사/작곡에 많은 참여를 하였다. 현이와 덕이의 정규 1집 《순진한 아이》에서는 모든 곡들을 장덕이 작사/작곡했지만 이 앨범에서는 B면 3번 트랙 <그댄 없지만>과 그들의 정규 1집 《순진한 아이》에 실린 버전들의 재편곡 버전인 B면 4번 트랙 <소녀와 가로등>, B면 5번 트랙 <순진한 아이>를 제외하고는 모든 작품을 [[장현]] · 장덕 남매가 함께 만들었다.
         == 음반 목록 ==
         ==출연 작품 ==
         == 출연 작품 ==
  • Q.E.D. 증명종료 . . . . 6회 일치
         그래도 고정팬들로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추리만화다. 다만 작가가 소재가 겹치는 [[C.M.B. 박물관 사건목록]]을 연재하면서 Q.E.D.를 다소 소홀히 하는 듯한 경향이 보이며 또 팬들의 애탄 바람과는 상관없이 [[토마 소|토마]]와 [[미즈하라 가나|가나]]의 ~~연애질~~연애노선이 진전될 가망이 안보인다는 점(...)[* 주인공들이 아직도 서로를 토마군-미즈하라씨 로 부르고 있다...]
         같은 작가의 [[C.M.B. 박물관 사건목록]]과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 극중에서 토마가 언급한 괴짜 사촌이 바로 박물관 사건목록의 주인공인 [[사카키 신라]]. 콜라보레이션 기획으로 두 작품의 주인공이 만나는 편도 있다. 이제까지 총 2번의 기획이 진행되었으며, 해당 단행본은 첫번째가 QED 28/CMB 6권[* 이 때는 서로 다른 사건을 쫓다가 마주하게 되었다. 사건이 성격이 각각 다르기에 둘의 지능에 우열을 매길 수는 없겠지만, 자기가 쫓는 사건이 아님에도 신라보다 진상 파악이 빨랐던 것으로 보이는 토마의 판정승이라 보는 의견이 많다.], 두번째가 최근의 QED 41/CMB 19권.[* 전편을 의식한 것인지, 이번엔 아예 각자의 두뇌를 한껏 활용하면서 말 그대로 정면충돌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예고편 동영상이 올라오면서 뭇 팬들을 설레게 했었다. 밝혀진 결과물은 정면 충돌.
          * 작품 초반부에는 주인공들이 어느정도 정상적인 시간 흐름을 보였지만 그 이후로는 자연스래 여타 추리 계열 만화들과 처럼 [[사자에상 시공]]에 접어들었다.
          * 작품 자체의 소재가 일반인들은 접해보지 않은 개념들이 많아. 상당히 상식적인 면에서 읽어볼만하나 원체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 많기도 하고, 일본어 특유의 외국어 표기법(ex, 마구도나루도)으로 번역자가 그대로 해석해서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과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연속체 가설에서 만화책에서는 '아레후'라고 나오지만 제대로 된 명칭은 [[알레프]].
  • Victoria II/개혁 . . . . 6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3.1|수발식 소총]]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2.1|나폴레옹 이후 사상]]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5.1|참모 체계]]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2.1|넬슨 이후 사상]]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1|수차 동력]] 기술 획득
  • 김재규 . . . . 6회 일치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사육신]] 목록에 자신의 조상인 [[김문기]]의 이름을 넣도록 하기 위해 학계에 압력을 가한 적이 있다. 사육신 문서 참고. 이는 사육신만 알고 삼중신을 몰라서 벌인 촌극이다.
         [[http://www.nis.go.kr/ID/1_5_3.do?page=03|국가정보원 홈페이지]]에서는 그래도 역대 원장들 중 한 명으로 기록해주고 있다. 하지만 육군에선 대우가 전혀 다른데, 이 사람이 사단장을 지냈던 [[제6보병사단|6사단]]의 역대 사단장, 연대장으로 지냈던 [[제5보병사단|5사단]] 독수리연대 역대 연대장 목록에는 제명당한 상태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가결된 2017년 이후 들어 재평가가 이루어지며 3군단과 6사단 등, 부임했던 부대에 다시 초상화가 걸리고 역대 지휘관 목록에는 부분적으로나마 다시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s://news.v.daum.net/v/20180807104522128]]
         한국 [[미술]]계의 대형 스캔들인 [[천경자 미인도 위작 사건]]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미인도는 한때 김재규의 개인 소장품이었는데, [[10.26 사건]] 후 김재규의 재산을 몰수하는 과정에서 이 그림이 국가로 귀속되어 1980년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된 이후 위작논란이 시작되었다. 즉, 김재규가 이 작품의 위작 여부를 알고 있었는지, 작품을 소장하게 된 경위가 어떤 지를 밝히는 게 위작논란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일단은 김재규의 남동생에 의하면 "형수가 그 그림이 진품인지는 알지못하고 걸었다"라고 인터뷰한 바가 있고 검찰에 의하면 김재규의 부인이 친한 오모 대령의 부인에게서 받은 그림이라고 한다. 처음 이 논란이 시작되었을 때는 단순히 전 소유주라는 사실 이상의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그 사건]]이 터지고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도 다루면서 '''김재규의 업적을 깎아내리기 위한 신군부와 미술계의 결탁'''이라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KBS에서 방영된 12.12 사건 세미 다큐 드라마. 여기서는 김재규라는 이름으로 초기부터 나온다. 역시 백찬기가 김재규를 맡았고, 드라마 진행상 10.26 사건 이후 [[전두환]]에게 체포되면서 [[리타이어]]된다. 이 다큐 드라마에서 [[박정희]]는 [[이창환]], [[최규하]]는 [[김성겸]], [[전두환]]은 [[박용식]]으로 이후 정치드라마의 고정 배역의 시초가 된 작품.
  • 슈퍼히어로 . . . . 6회 일치
         초기에는 단순한 이야기가 많아서 관점에 따라선 유치하고 진부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슈퍼히어로 물은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였는데, 갈수록 단순한 [[권선징악]]의 스토리가 아니라 선악의 구분이 모호해지거나 선악의 문제가 아니라 신념의 차이가 문제가 되는 이야기들을 내놓았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슈퍼히어로의 존재의의, 슈퍼히어로의 갱니적인 내면 갈등 등을 소재로 삼기도 했다. 그리하여 역으로 독자에게 다양한 생각할 점을 던지는 깊이있는 작품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물론 지금도 권선징악을 주소재로 잡고 진행되는 단순한 스토리의 작품도 있지만 이것 역시 나름대로의 개성이나 재미를 표출하기도 한다.
         특성상 작품이 [[능력자 배틀]] 경향을 띠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순히 '[[초능력]]'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지혜]], [[용기]] 같은 정신적인 측면의 역할도 많이 나타난다. 특히 자신의 능력을 약간 활용한 기상천외한 아이디어나 전술로서 승리를 거두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슈퍼히어로 장르의 작품은 일반적인 [[배틀 만화]]보다 오히려 [[파워 밸런스]]가 상당히 엉망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저스티스 리그]]를 압도하던 하얀 화성인을 일반인들이 [[라이터]] 하나로 제압당하거나.(…) [[뱃신]] 같은 사례가 있다.[* 다만 이 경우는 화성인들의 약점이 불이라서다.]
         슈퍼히어로는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는데 주로 자신의 주변인들에 대한 보복 우려나 일상생활의 보장 등의 이유가 있다. 만약 이 정체가 들통나면 무슨 사단이 벌어지는지는 불행 히어로의 대명사 [[스파이더맨]]의 경우에서 잘 드러난다. 그러다보니 작품에 따라서는 맨얼굴을 드러내지 못하는 영웅을 믿을 수 없다는 묘사가 나오거나 아예 정부에서 얼굴 보이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 슈퍼히어로 장르의 작품 ===
  • 유승민(정치인)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불교/인물, top3=대구광역시/인물)]
         ||<-5><bgcolor=#FFFFFF><:>[[틀:바른정당 대표|{{{#949494 {{{-1 역대 당대표 목록}}}}}}]]||
         ||<-5><bgcolor=#FFFFFF><:>[[틀:바른미래당 대표|{{{#949494 {{{-1 역대 당대표 목록}}}}}}]]||}}}||
         || '''의원 대수''' ||<white><(> [[제17대 국회의원 목록|17]],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제19대 국회의원 목록|19]], [[제20대 국회의원|20]] ||
  • 이준(배우) . . . . 6회 일치
         현대 무용수 출신이다. 국내 최고 예술대학인 [[영진고등학교]] 무용과 출신이다. 중3이라는 늦은 나이에 [[무용]]을 시작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상당한 재능과 노력이 뒷받침 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진고등학교]] 졸업 후 [[영진고등학교]] 무용과를 입학하였으나, 이 학교는 졸업전까지는 방송 및 연예활동이 금지 되기 때문에 도중에 자퇴했다.[* 장동건이 한예종에 있던 과거에는 완전불가였으나 현재 연기과는 1학년은 여전히 불가, 2학년 교내작품은 가능(영화과 작품 출연 등) 3학년 교외활동도 가능하다. 무용·음악원은 여전히 금지. 영상·전통·미술원은 수업에 지장이 없는 한 신경쓰지 않는다.] 워낙 들어가기 힘든 것으로 잘 알려진 한예종을 자퇴했다는 사실이 잊을만하면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으며 아예 '''한예종의 위엄'''이라는 유명한 짤방 시리즈가 존재한다. 당초엔 수석입학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라디오스타에 출연해 일반입학이었다고 정정했다. "왜 그동안 정정하지 않았냐"고 물으니, '''"내가 낸 소문도 아니고, 좋은 얘긴데 굳이 제가 나서서 정정할 필요가 있나"'''라고 했다. ~~반박할 수가 없다~~
         2017년 2월 18일, [[소녀시대]] [[서현(소녀시대)|서현]]과 함께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7년 상반기#s-2.7|63회]]에 출연했다.
         2016년 3월 방영한 [[OCN]]의 오리지널 시리즈 [[뱀파이어 탐정]]에서 주인공 윤산 역을 맡았다. 같이 출연한 배우[* 오정세, 이세영]들과 잘 어울렸으나 예상보다 기억에 남을만한 작품은 아니었다.
         == 출연 작품 ==
         ||<rowbgcolor=#696969> {{{#ffffff '''연도'''}}} || {{{#ffffff '''시상식'''}}} || {{{#ffffff '''부문'''}}} || {{{#ffffff '''작품'''}}} ||
  • 판타스틱 포 . . . . 6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마블의 원로급 팀이며 [[한국]]에서는 유명한 편은 아니지만 마블 세계에서는 매우 비중이 높고 유명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로봇애니로 치면 [[캡틴 아메리카]]는 [[철인 28호]], [[네이머 더 서브마리너]]는 [[철완 아톰]]이라면, 판타스틱 포는 [[마징가Z]] 정도의 존재인 오랜 역사의 작품. 한국에서는 주로 줄여서 '판포'라고 불린다.
         리보위츠는 굿맨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당시 DC의 호황이 《[[저스티스 리그]] 오브 아메리카》 덕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 작품은 그 때까지 독립된 타이틀에서만 활약하던 DC의 여러 슈퍼 히어로 캐릭터들([[슈퍼맨]], [[배트맨]], [[원더우먼]] 등)이 한데 모여 집단으로 싸운다는 내용이었다. 이러한 이야기에 ~~열이 뻗치게~~ 자극을 받은 굿맨은 '자기 회사에서도 집단 히어로물을 발표해야겠다'고 결심하고 스토리 작가 [[스탠 리]]를 찾아가 "우리도 저스티스 리그 같은 히어로팀 만화 만들자"라며 그 임무를 맡기고, 그 결과 나온 것이 판타스틱 포이다.
         당시 리는 코믹스 업계가 너무 갑갑하다고 느낀 나머지 전직을 생각하던 중이었고, 결국 이 작품 하나만 마무리짓고 마블을 떠나기로 마음 먹은 상태였다. 리는 [[잭 커비]]와 함께 머리를 짜낸 끝에, '진짜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나 다름없는 4명의 평범한 인간들이 우연히 [[초능력]]을 얻은 뒤 한 팀을 이루어 적과 싸운다'는 취지의 신작을 창안했다. 이 작품의 주인공들은 이전의 코믹스에서 활약하던 히어로들과는 달리 매우 세속적이고 약점투성이라서 오히려 인간적인 매력을 느끼게 했다. 당시 어린 독자들은 그런 모습을 보고 [[현실적]]이라고 느꼈다고 한다. 그 뒤 《판타스틱 포》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이 시리즈는 예상치 못한 대성공을 거두고 마블 코믹스의 전성기를 열어젖히기까지 했을 뿐만 아니라, 스탠 리가 그 뒤로도 이 업계에 남아 [[스파이더맨]]을 비롯한 수많은 캐릭터들을 배출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단순 마블 코믹스뿐 아니라 다른 코믹스에서도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였다.
         《판타스틱 포》가 나오기 전부터 여러 작품의 스토리를 다루었지만 리는 이게 마음에 안들어서 만화책을 더 이상 쓰지 않으려고 했고 《판타스틱 포》의 제작에 참가하지 않으려 했다. 하지만 리의 아내가 "그럼 당신이 쓰고 싶은 얘기를 써보세요"라고 얘기했고 리는 아내의 말에 따라 《판타스틱 포》를 자기가 원하는 방식대로 썼는데 그게 대성공했다. 이때 처음 사용한 방식이 바로 리가 대략적인 개요와 플롯을 작화 담당에게 주면 작화 담당이 여기에 따라 원고를 완성하고 리가 대사를 쓰는 방식이었다. 이런 방식으로 작화 담당들의 끼가 폭발할 수 있었으며 리 본인도 여러 아이디어를 내는 동시에 더 편하게 작업할수 있었다.
         그 전에도 [[네이머]]나 [[캡틴 아메리카]] 등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이 마블 코믹스에 있었지만, 《판타스틱 포》는 마블 코믹스의 고유의 특징을 처음으로 보인 작품이었다. 바로 '''완벽하지 않은 영웅들'''이라는 요소였다. 늘상 서로 다투기도 하고 협력도 잘 안되지만 결국 서로를 [[가족]]처럼 사랑한다는 구성은 그 당시 혁명적인 요소였다. 판타스틱 포의 구성원들은 별거 아닌 이유로 싸우고 원한을 품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결국 화해하는 인간 드라마를 보여준다.
  • Victoria II . . . . 5회 일치
         각 국가는 한개 이상의 주(State)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각 주마다 "내셔널 포커스"라고 불리는 정책을 지정해 철도 건설, 특정 상품의 생산, 직업, 이주, 정당 지지율 등을 장려할 수 있다. 국가가 한번에 지정할 수 있는 내셔널 포커스의 양은 해당 국가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정치 사상 연구]]를 얼마나 연구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전쟁으로 할양받을 수 있는 영토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주다.
         상품의 목록은 [[Victoria II/상품]] 문서 참조.
         기술과 발명의 목록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페이지 참조.
         외교 행동을 하는데에는 외교 점수(Diplomatic Point)가 필요하다. 외교 점수는 기본적으로 0.3씩 들어오며, 특정 기술을 개발해서 수입을 늘릴 수 있다. 주요 열강은 외교 포인트를 두배로 더 받는다. 가능한 외교 행동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 . . . 5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금조(나인뮤지스) . . . . 5회 일치
         아래는 참여곡 목록
          * [[카라(아이돌)|카라]] - '''[[구하라/음반 목록|CUPID]]'''
          * [[구하라]] - [[구하라/음반 목록|어때? (Feat. 허영지)]]
          * [[구하라]] - [[구하라/음반 목록|하라구]]
         == 출연작품 ==
  • 김윤환 . . . . 5회 일치
         || '''의원 대수''' || [[제10대 국회의원 목록|10]], [[제11대 국회의원 목록|11]], [[제13대 국회의원 목록|13]], [[제14대 국회의원 목록|14]], [[제15대 국회의원|15]] ||
          * [[시인(문학)|시인]]으로도 활동했는데, [[경북대학교]] 정문과 학생주차장 사이에 새롭게 단장한 KNU 센트럴 파크에 그의 시비가 있다.[* [[경북대학교]]에서 잠깐 교수로 재직한 적이 있는 [[김춘수]] 시인의 유명 작품인 "꽃"도 KNU 센트럴 파크에 새겨져 있다.]
  • 로라 로라 . . . . 5회 일치
         = 작품 내에서의 모습 =
         안 까이는 경우는 별로 주목을 못 받아야 가능한 경우인데... 대표적으로 [기동전사 Z 건담]의 [화 유이리] 정도만큼 존재감이 희미하거나 [기동전사 건담: 제08 소대]의 [아이나 사하린]처럼 주인공(남편)을 쉴드삼아 성녀로 등극해야지만 가능한 경우다. 이는 건담이 가지고 있는 인간의 성장드라마가 진행됨에 따라 등장인물들이 성숙해지면서 미성숙 단계의 병크가 부각되거나 '''작품이 끝날때까지 정신적 성장이 안 되는''' 경우에 팬들에게 까이는 요소가 되는데, 토미노 작품에서도 로라 로라의 존재는 특이하게도 등장 시점부터 '''성숙한 단계'''였다.
         여러모로 토미노 작품뿐만 아니라 전체 건담작품으로 확대해도 특이한 히로인이다.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5회 일치
          오래전 발생한 범지구적 대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환경재앙. 오프닝의 나레이션에 의하면 "지축이 뒤틀리고 대부분의 대륙이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다"고 한다. 이 작품이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이미 몇십년 전의 일인데, 아직도 지각변동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어서 극 마지막에는 인더스트리아가 있는 지역이 모두 수몰되고, 작은 섬이던 홀로남은 섬이 융기하여 [[대륙|커다란 땅덩어리]]가 된다.
          [[비행정]]. 기간트를 제외하면 작품상에 등장하는 유일하게 전투가 가능한 비행기다. 전체적으로 기체는 둥글며, 주익은 있지만 수평꼬리날개가 없고, 수직꼬리날개 상단 후방에 수소가스터빈엔진으로 구동하는 프로펠러 1기가 장착된다. 최고속도는 360km/h 이며, 최저속도는 60km/h 까지 가능하다. 기수에 고정된 기관총과 선회식 기관총으로 무장한다.
          작품상에 약방의 감초처럼 자주 등장하며, 최종적으로는 기간트와 싸우다가 만신창이가 된 채 기간트 위에 추락한 끝에 간신히 활강비행으로 삼각탑에 귀환한다. 이후 수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다가 삼각탑과 함께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현대의 시각에서 본다면, 무장을 어느 정도 갖추었지만, 본질적으로는 저속으로 항행(航行)하는 연안 순시선 정도에 불과하지만, 작품상 시기에서는 사실상 [[전함]] 취급을 받는 당당한 1급 전력이다. 당장 인더스트리아에서도 운항 시 다량의 석유가 필요한 이유 등으로 인해, 원로위원회의 허가가 없으면 출격할 수 없는 물건이며, 이 배의 침공을 받은 하이하버에서는 코난이 결사적으로 폭탄을 설치하는 개고생을 한 끝에야 격침이 가능했다.
          인더스트리아에서 침몰한 여객선을 인양하는 데 사용하는 선박. 현대의 동종선박과는 달리 자력항해가 불가능하다. 선박에는 크레인과 각종 작업도구가 있으며, [[잠수복]]은 외부에서 인력펌프로 공기를 넣어주는 공기 호스가 달린 구식 물건이다. 작품상에서는 간신히 여객선을 인양하는 데 성공했으며, 해당 여객선은 인더스트리아 주민들의 피난선으로 사용되었다.
  • 박상원(배우) . . . . 5회 일치
         시대를 풍미한 드라마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 [[첫사랑(KBS)|첫사랑]] 등 굵직한 작품을 맡으면서 특유의 부드럽고 젠틀한 이미지를 내세워 성공 가도를 달렸으며 당시 가장 결혼하고 싶은 남자 1위에 뽑히기도 했다.
         00년대 이후에도 [[토지(소설)|토지]], [[태왕사신기]] 등 꾸준히 유명 작품들에 출연해 존재감을 잃지 않고 있다.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 [[신의(드라마)|신의]] 등 故 [[김종학]] PD의 작품에 많이 출연해 인연이 깊으며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 백야 3.98, 태왕사신기 등 [[최민수]]와 많은 작품을 찍었다. 또한 [[모래시계(드라마)|모래시계]]와 여명의 눈동자, 여자의 방 등을 통해 [[고현정]]과도 여러번 호흡을 맞추었다.[* 셋 모두 故 김종학 PD가 아끼던 배우들이라 그의 장례식 때 찾아와 빈소를 지켰다.]
          * 1998년 [[그대 그리고 나]] (MBC)[* <마포 무지개>의 실패 후 친정인 MBC를 떠난 뒤 한동안 타 방송사 위주로 활동해 오다가 해당 작품을 통해 MBC 복귀를 했다.]
  • 손담비 . . . . 5회 일치
         {{참고|손담비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손담비는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면서 많은 상을 받았다. [[서울가요대상]]에서는 2009년,<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미쳤어’ 열풍 과시|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2121717531002|출판사=뉴스엔|저자=지형준|날짜=2009-02-12|확인날짜=2014-05-15}}</ref> 2010년,<ref>{{뉴스 인용|제목=아이돌, 그들을 위한 잔치! 서울가요대상 이변은 없었다(종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2032026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날짜=2010-02-03|확인날짜=2014-05-15}}</ref> 2011년에 이은 3년 연속으로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3년 연속 본상 수상… “내겐 너무 특별한 상”|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출판사=뉴스엔|저자=양나래|날짜=2011-01-20|확인날짜=2014-05-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30014/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보존날짜=2014-05-17|깨진링크=예}}</ref> 2009년에는 제24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디지털음원부문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골든디스크 본상’ 손담비 “이렇게 큰 무대에서 큰 상을 받다니…”|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091210205154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 bnt뉴스|저자=박영주|날짜=2009-12-10|확인날짜=2014-05-15}}</ref> 2009 [[SBS 연기대상]]에서는 《[[드림 (드라마)|드림]]》으로 뉴스타상을 받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김범-이민정 등 12명,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url=http://osen.mt.co.kr/article/G0912310257|출판사=OSEN|저자=봉준영|날짜=2009-12-31|확인날짜=2014-05-15}}</ref> 2012년에는 《빛과 그림자》로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 우수상,<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MBC 연기대상 ‘우수상’ 수상, “숟가락 얹은 것 뿐”|url=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36379|출판사=뉴데일리|저자=신성아|날짜=2012-12-31|확인날짜=2014-05-15}}</ref>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신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신인상 수상...인증샷 공개|url=http://osen.mt.co.kr/article/G1109511163|출판사=OSEN|저자=정유진|날짜=2012-12-06|확인날짜=2014-05-15}}</ref> 배우, 가수 이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를 통해 200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특별상 베스트 브랜드상을 받았다.<ref name="2008MBC">{{웹 인용|url=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8entertain/awards/|제목=2008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자 목록|출판사=[[MBC]]|웹사이트=[[MBC 방송연예대상]]|확인날짜=2011-02-16}}</ref>
         == 음반 목록 ==
         {{본문|손담비의 음반 목록}}
         == 출연 작품 ==
  • 수애 . . . . 5회 일치
         영화에서는 2004년 영화 《[[가족 (2004년 영화)|가족]]》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였고, 2008년 영화 《[[님은 먼 곳에 (영화)|님은 먼 곳에]]》에서 [[베트남 전쟁]]에 파병 간 남편([[엄태웅]] 분)을 찾으러 간 순이 역을 연기하여 대종상, 영평상, 부일영화상, 황금촬영상 여우주연상을, 2010년 작품 [[심야의 FM]]으로 청룡영화상, 대한민국대학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작품 목록 ==
         ! 작품
         |title = 수애의 수상 목록
  • 애니 일본어 . . . . 5회 일치
         여기서 더 심화되면 특정 작품이나 특정 캐릭터의 어투나 말투를 그대로 따라하는 경우까지도 제법 흔하다.
         굳이 제대로 된 일본어 회화를 공부하는데 애니메이션을 참조하겠다면 장르나 작품을 잘선정하면 도움이 될수도 있다.
         보통 대학교의 일본어과의 경우 일상물이나 스튜디오 지브리의 작품은 그럭저럭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해당하는 작품의 캐릭터가 여캐인가 남캐인가도 중요하고, 작품의 배경이나 이런것도 가능한 현대와 현실에 가까운것을 추천한다.
  • 우현(배우) . . . . 5회 일치
         물론 논란이 될 사항은 아니다. 민주화 운동가였던 故 [[문익환]] 목사의 아들인 배우 [[문성근]]도 [[1987(영화)|1987]]에서 [[전두환]]의 심복이자 [[안기부]]의 수장이었던 [[장세동]] 역으로 출연했는데(...) 정작 문성근 씨는 진보 성향인데다 과거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을 역임한 바 있으며, 또한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이라는 [[시민단체|시민운동단체]]를 조직하는데 앞장서서 진보시민운동을 주도하기도 했고, 현재도 [[진보]] 진영에서 여러 활동을 하지만 영화, 드라마 등 작품에서는 반대 성향의 역할을 맡아왔다([[군부]] 정권 시절의 친 정부 성향 경찰 간부나 [[정보기관]] 수장, 부패한 정치인, 언론인 등등). 본인 스스로도 [[한밤의 TV연예]] 인터뷰에서 “그 영화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했다.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크게 중요한 것 같지 않다.” 라고 밝혔다.
         하지만 [[응답하라 1988]]에서 현재 [[성노을]] 역을 맡았는데 매우 충격적이다. 당연히 시청자들의 반응은 좋지 않다. 물론 외모가 다소 비슷하고 노을이의 말투나 행동을 연구했는지 유사하게 연기해서 호평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반응은 "제작진들이 너무 무리수를 뒀다", "다 된 밥에 재(우현) 뿌리기냐", "너무 어색하다"는 평이 주를 이뤘다. 이런 이유로 우현의 연기 인생에 있어서 영화 '니 말을 믿으라는 거야' 라는 작품에서 성인용품 인형을 사용하는 장면 이후로 최대 [[흑역사]]로 남을 것 같다. 후에 라디오 스타에 출연할 당시에도 이 부분을 언급하였다.
         여담이지만 각본가 중 김석윤 PD, 이남규 작가와 인연이 깊다. 사실 데뷔작인 [[올드미스 다이어리]]도 이 두 사람의 작품이니..
         == 작품 내역 ==
          * 엄청난 마성의 매력 소유자다. 본인 말로는 "처음 볼 때는 엄청 싫어하다가, 몇 번 보고 나면 재미있고 유쾌한 매력에 점차 빠져든다"고 한다. 이 때문에 아내도 이런 매력에 다른 사람들이 좋아할까 두려워한다고 한다. 실제로도 배우 [[조민희]]나 박남정 딸 [[박시은(2001)|박시은]]도 잠시 동안에 빠졌었다. 그래서 못친소에 나온 것이 싫었다고.[* 못친소에서 밝히길 아들 준서도 처음엔 엄청 싫어했지만 5살 즈음에 좋아했다고 언급했다. 그런데 우현의 아들은 못친소 특집에 우현이 나간다고 하자, "아빠가 꼭 1등했으면 좋겠습니다"라고 했고 우현이 왜냐고 반발하자, "아빠가 잘생긴 걸로 1등할 수 없기 때문에 그걸(못생긴거)로라도 꼭 1등했으면 좋겠어요"라고 했다.] 그러나 주변인의 증언과 본인 인터뷰를 종합해보면 사실 단순히 재미있고 유쾌한 모습의 마성이라기보다, 실제로 인성이 훌륭하고 부드러우며 심지도 곧은데다가 포용력과 배려심이 깊어서, 많은 사람들이 유형을 가리지 않고 쉽게 편안함을 느끼고 좋아하게 되는, 즉 [[진국]]이라서 그런 것이다. 엄혹한 시대에 독재에 맞서 민주화 운동으로 청춘을 던진 것만 봐도 정신이 올바른 것이 보인다. 본인도 삶의 목표가 '지인들이 있는 자리에 내가 온다고 하면 기분 좋아지고 환영하고 싶어지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단지 본인의 외모와 작품에서 맡은 역할이 뭔가 표독스럽거나 독특한 성격의 느낌을 준 적이 많아, 사적으로 보면 그와 전혀 다르기 때문에 그렇게 마성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그래서 못친소에서도 결국 그 대인친화적인 인성으로 우승을 했다.[* '생각해보니 진짜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노홍철]]이 1등을 했던 못친소 1과 다르게 우현이 나온 못친소 2는 '못생겼지만 매력 있는 남자' 컨셉으로 출연자들이 정말 가장 마음에 들었던 사람을 뽑았던 사실상의 인기투표였다.]
  • 정웅인 . . . . 5회 일치
         |제목= ‘힐링캠프’ 정웅인 황금인맥 공개, “이병헌이 작품에 꽂아줬다” |url= http://news.donga.com/3/all/20140805/65596520/1 |출판사=동아일보|날짜= 2014-08-05 }}</ref> 이후 탤런트 공채시험에 줄곧 낙방을 하다 1995년 강정수 감독의 영화《리허설》로 영화계에 입문했고, 1996년에 드라마《천일야화》로 정식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정웅인은 데뷔 이후 여러편의 작품에 단역으로 출연하며 무명 시절을 거쳐 [[SBS]] 예능 《좋은 친구들》의 인기 코너인 "심리학개론 흑과 백"에 [[박수홍]]과 함께 출연했고, 극중 "감 잡았어"의 대사를 유행시켰다.<ref>{{뉴스 인용
         |제목= 첫딸 공개한 정웅인 “코미디는 피같은 존재다” 연기열정 고백 |url=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807100023121001 |출판사=뉴스엔|날짜= 2008-07-10 }}</ref> 이후, 정웅인이 본격 두각을 나타내며 주목을 받았던 작품으로 [[1998년]] 38.5%의 시청률을 기록한 《은실이》에 의리 있는 깡패 춘식 역할에 이어, [[1999년]] 53.1%의 시청률을 기록한 《국희》에서 강하고 신념있는 자본가 김상훈 역할로 많은 사랑을 받았고 그 해 신인상을 수상했다.
         <!--딸 정세윤의 광고 출연 목록도 함께 포함합니다-->
         ! 작품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 . . 5회 일치
         == 작품 목록 ==
          인피니티워드 제작. 현대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
          트레이아크 제작. 전작인 월드 앳 워에서 이어지는 작품이다. [[베트남 전쟁]] 시기 미국의 비밀 작전을 다루고 있다.
          인피니티워드 제작. 우주를 배경으로 한 작품.
  • 하일권 . . . . 5회 일치
         | 주요 작품 =
         == 작품 ==
         2006년 파란 웹툰에서 연재하여 총 조회수 1천만 회를 넘기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외모에 심각한 콤플렉스를 가진 사람들이 자괴감에 빠져 ‘외모 바이러스’에 걸려 발작을 일으키고, 이발사 ‘삼봉’이 저마다의 상처를 안은 사람들의 트라우마를 치료해준다는 이야기이다. 하일권의 작품들 중 첫 연극화가 되어 2011년 11월 24일부터 12월 19일까지 공연하였다. 2012년 5월 2일부터 연극이 다시 열린다. 2012년 3월 네이버에서 재연재되고 있다.
         2008년 네이버 웹툰에서 연재하였다. 대학을 졸업하고 난 후의 하일권의 첫 작품이지만, 사실 졸업작품을 각색한 것이다.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는 주인공 호구가 어느 날 인간의 기본적인 인격이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로봇 시보레의 짝궁이 되어 펼쳐지는 만화이다. 많은 사람들이 제목에 대해 궁금해 하였으나, 제목 3단합체김창남에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후기에 밝혔다. 2009년 <3단합체 김창남>의 판권이 영국 제작사 페브러리 필름즈에 팔리게 되었다.
  • 하쿠다 켄 . . . . 5회 일치
         '''하쿠다 켄'''({{llang|ja|白田 健}}, はくだ けん, [[1951년]] ~ )은 [[대한민국]] 출생의 [[일본]] 기업인으로서, 비디오 예술가 [[백남준]]의 큰조카이자 현재 [[백남준]]의 작품에 대한 저작권의 소유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켄 백 하쿠타'''라고도 불린다.
         숙부인 [[백남준]]의 도움으로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 유학하여 경제학 학사와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받고 장난감 판매, [[텔레비전]] 프로덕션 등의 사업을 하던 그는 [[1990년대]] 이후 숙부 [[백남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숙부의 작품 활동을 도왔다.
         [[2006년]] 백남준이 타계한 후 그는 [[미국]] [[뉴욕]]의 백남준 스튜디오와 백남준의 모든 작품의 저작권을 물려받아, 현재 뉴욕 백남준 스튜디오의 이사이자 백남준의 법적 대리인으로서 작품 관리와 기념사업 등을 책임지고 있다.
         * [[한국계 일본인의 목록]]
  • 한승원 (만화가) . . . . 5회 일치
         | 주요 작품 =
         ! width="25%" | 작품명 !! width="15%" | 잡지 연재 !! width="20%" | 단행본 !! 특징
         | 《우정이상 사랑이하》 || || 1998년 대원 단권 || 단편집, 수록작품: 〈학교가 보이는 풍경〉, 〈이런 사랑을 하고 계십니까?〉, 〈우정이상 사랑이하〉, 〈사랑해요〉, 〈느낌이 겨울인 그대〉, 〈사월의 카네이션〉
         | 《우정이상 사랑이하》 || || 1998년 대원 단권 || 단편집, 수록작품: 〈학교가 보이는 풍경〉, 〈이런 사랑을 하고 계십니까?〉, 〈우정이상 사랑이하〉, 〈사랑해요〉, 〈느낌이 겨울인 그대〉, 〈사월의 카네이션〉
         초판 발행일을 기준으로 작품을 나열한다. 단, 초판 발행일을 알 수 없는 것은 재판 발행일을 따른다.
  • 허안나 . . . . 5회 일치
         === TV 출연 목록 ===
         === 예능 출연 목록 ===
         === 라디오 출연 목록 ===
         === 공연 목록 ===
         === 기타 활동 목록 ===
  • 현아 . . . . 5회 일치
         == 음반 목록 ==<!--음반 목록 문서가 있으므로 EP, 정규 음반만 적습니다.-->
         {{본문|현아의 음반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후보 작품
  • MoniWikiTutorial . . . . 4회 일치
          * TitleIndex(목록) :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PageList` - 인수로 사용되는 패턴과 일치하는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페이지가 발견되면 그 페이지로 갈 것이고, 발견되지 않으면 비슷한 이름의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NavigationMacro . . . . 4회 일치
         /!\ 매크로를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각 문서의 목록 하단에 {{{[[Navigation(목록문서이름)]]}}}을 삽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목록문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정해주면 문서 상/하단에 Navigation 링크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action=navigation&value=목록문서}}}
  • UploadedFiles . . . . 4회 일치
         {{{UploadedFiles}}}플러그인은 이미 업로드 된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플러그인이다.
         {{{[[UploadedFiles]]}}} : 현재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pds/현제페이지이름/* 하위의 모든 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UploadedFiles(페이지이름)]]}}} : 지정된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4회 일치
         첫 작품인 [[그랜드 테프트 오토]]가 나올 당시에는 스토리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3인칭 탑뷰 게임이었으나 [[그랜드 테프트 오토 III]]부터 스토리 비중을 늘리기 시작했다.
         == 작품 목록 ==
          1999년 발매. 제목 그대로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 지금까지 나온 GTA 시리즈 중 유일하게 미국 배경이 아닌 작품.
  • 기간트 . . . . 4회 일치
         [[미래소년 코난]]에 등장하는 거대 비행체. 말 그대로 공중요새에 가까운 물건이다. 과거 세계를 멸망직전까지 몰아붙였던 원흉으로, 당시에는 소형 양산기들이 셀 수조차 없을 만큼 하늘을 뒤덮었다고....... 본 작품의 시기에는 인더스트리아의 [[삼각탑]] 옆에 숨겨진 격납고에 대형기 1기가 잔존한 상태였다. 국내 방영판에선 우주 비행기라고 부른다.
         레프카의 최종병기. 작품의 후반부에 등장한 강력한 비행체다. 플라잉 머신이나 몬스리의 팔코 [[비행정]], 하이하바에서 코난 일행이 사용한 비행체와는 차원이 다른 거체를 지닌 비행요새나 다름없는 존재로 곳곳에 무기가 설치되어 있다.
          * 무장도 다양하며, 수량이 많다. 작품 전개상 방어용 대공화기 위주로만 등장하지만 총탑만 따져도 100기가 넘어가며, 여기에 대포를 갖춘 선회포탑이 있고, 동체 중심부 근방에는 [[레이저]] [[포탑]]까지 있다. 일단 요격하려는 [[전투기]]를 상대하는 데는 부족함이 없으며, 레이저 포탑의 경우 지상 목표도 사격이 가능한데, 단 1격에 삼각탑의 반사경 1개를 개발살내고 삼각탑을 반신불수로 만들었을 정도로 위력이 세다. 그리고 이런 총탑과 포탑은 모두 수납이 가능하므로 사용시에만 돌출하기 때문에 비행성능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 외에도 설정상으로는 동체 하부에 초자력 병기를 보유하지만, 작품상에는 나오지 못했다.
  •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 . . . . 4회 일치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한 작품. [[기동전사 건담 F91]]의 외전으로서 만화책과 소설, 프라모델로 스토리가 전개되었다.
         코믹스는 사이버 코믹스(CYBER COMIX)[* 반다이에서 발매한 SF 만화 잡지. 건담계열 작품이 많이 연재되었는데, '''온갖 괴작'''이 넘쳐나는 잡지였다. 건담으로 닌자물이 되어버린 G의 인영이나, 마법의 소위 블래스터 마리 등등(…)]와 MS SAGA에서 발표되었다. 이후 단행본으로 출시. 소설은 MJ 지에서 발표되었다.
         작품명은 '실루엣 포뮬러 F91'이 아니다. 연재 당시는 기동전사 건담 0123 실루엣 포뮬러 91이라는 제목이었지만, 단행본이 되면서 0123이 떨어져 나갔고 이후로는 단행본 제목으로 표기되고 있다.
         굉장히 마이너한 작품이다.
  • 김성조 . . . . 4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의원 대수''' || [[제16대 국회의원 목록|16]], [[제17대 국회의원 목록|17]],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
  • 김형준(배우,가수) . . . . 4회 일치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 음반만 기록합니다. [[SS501(아이돌)|SS5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SS501(아이돌)/음반 목록]] [[Double S 3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Double S 301/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김형준/음반 목록]] 참조
          * 2009년 4월 14일부터 [[SBS 파워FM]]에서 매일 새벽 2시에 방송하는 김형준의 뮤직하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DJ로 활동했으며 2013년 8월 현재 4년을 훌쩍 넘겨 장수 DJ 목록에 합류후 이 프로그램을 시작한지 정확히 5년째가 되는 2014년 4월 14일 끝으로 종방했다. 본인도 이 프로그램에 상당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듯. 10년 이상 활동하고 싶다고 라디오에서 몇번 밝혔다. 여담으로 이 프로그램, 새벽 2시 마지막 날 선곡표에는 자신의 곡 두 곡, 프로그램을 시작했던 날에 선곡했던 SS501의 '내 머리가 나빠서' 가 올랐다. 2014년 후반기 즈음으로 예상되는 군입대도 DJ 하차에 한 몫 하는 듯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4회 일치
         === 정식 시리즈 파생 작품 ===
         === 외전 작품 ===
         건 서바이버 시리즈[* 항목에 건 서바이버 3가 없는 이유는 3가 바이오하자드가 아닌, 건 서바이버 3 : 디노 크라이시스라는 제목으로 공룡과의 사투를 다룬 작품이기 때문이다.]
         === 기타 작품 ===
  • 오와콘 . . . . 4회 일치
          * 우선 인기를 끌었던 작품 내지는 작품군일 것
          * 작품 내외적으로 퀄리티가 망가지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로인해 컨텐츠 소비자가 급격히 외면하게 된다.
         99%의 콘텐츠는 1년 이내로 오와콘이 된다. 기본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은 매년 신작 굿즈 생산 → 신작 굿즈 재고 처리 → 후년 신작 굿즈 생산 이라는 사이클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붐이 일어난 작품은 좀 더 오래 끌 수 있지만, 매년 나오는 신작 러쉬에 밀려서 사라지기 마련이다.
  • 유지태 . . . . 4회 일치
         2003년 [[단편 영화]]《자전거 소년》를 통해 [[영화 감독]]으로서 첫발을 내딛었고 그해 부산아시아 단편영화제에서 관객상을 받음으로써 영화 감독으로 재능을 발휘했다. 2005년《장님은 무슨 꿈을 꿀까요?》, 2008년《나도 모르게》, 2009년《초대》의 단편 영화를 발표했고, 네 번째 단편 영화《초대》는 2009년 7월, 제5회 인디판다 국제 단편 영화제와 제8회 제주 영화제에 초청을 받았다.<ref>{{뉴스 인용|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819001036&subctg1=15&subctg2=00|제목=유지태, 네 번째 작품 제주영화제 출품|성=|이름=스포츠월드 황인성 기자|날짜=2009-08-19|출판사=세계일보|확인날짜=2010-04-17}}</ref><ref>{{뉴스 인용|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0907300038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819001036&subctg1=15&subctg2=00|제목=감독 유지태, 인디판다 국제단편영화제 4연속 초대|성=|이름=OSEN 조경이 기자|날짜=2009-07-30|출판사=스포츠 엔터테인먼트 전문 미디어 OSEN|확인날짜=2010-04-17}}</ref>
         == 작품 ==
         ! 작품
         |title = 유지태의 수상 목록
  • 이상무(만화가) . . . . 4회 일치
          * [[만화가 및 일러스트레이터 목록/한국]]
         == 작품활동 ==
         드물게 느와르물을 그린 적도 있다. 검은 휘파람이라는 작품으로 무대가 미국이고 총격이 난무하는 마피아물이다 보니 독고 탁이 안 나오는데, 주인공이 모습도 그렇고 이름이 탁 데커.(...)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 작품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주로 [[골프]] 전문 만화를 많이 그리면서 [[박세리]]를 만화로 그린 바 있다. 실제로도 골프광이았다고 한다.
  • 이장희 (시인) . . . . 4회 일치
         == 작품 활동 ==
         [[1924년]] 《[[금성 (잡지)|금성]]》 3월호에 〈실바람 지나간 뒤〉, 〈새한마리〉, 〈불놀이〉, 〈무대〉, 〈봄은 고양이로다〉 등 5편의 시 작품과 [[레프 톨스토이|톨스토이]] 원작의 번역소설 〈장구한 귀양〉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후 《신민》,《생장》,《여명》,《신여성》,《조선문단》등 잡지에 〈동경〉, 〈석양구〉, 〈청천의 유방〉, 〈하일소경〉,〈봄철의 바다〉등 30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요절하였기에 생전에 출간된 시집은 없으며, 사후 [[1951년]] 백기만이 청구출판사에서 펴낸 《상화와 고월》에 시 11편만 실려 전해지다가 제해만 편 《이장희전집》(문장사, 1982)과 김재홍 편 《이장희전집평전》(문학세계사, 1983)등 두 권의 전집에 유작이 모두 실렸다.
         시인 생존시에 이루어진 평으로는 [[박종화]]와 [[이상화 (시인)|이상화]]의 것이 있다. 박종화는 《조선문단》 1925년 10월호 〈9월의 시단〉에서 《여명》에 실린 이장희의 시〈청천의 유방〉과 〈비오는 날〉을 평가하면서 〈청천의 유방〉은 "기괴를 쓰랴는 마음, 상징을 위한 상징시라는 것을 나는 말할 뿐이다.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다."하고 말했으며, 〈비오는 날〉은 "작자에 착각적 정서로부터 나온 작품이다. 다만 한 때에 마취된 감흥의 씌운 붓장난이라 할 것이다."하고 혹평했다.<ref>이기철, 〈이장희 연구(1)〉, 《인문연구》6권,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4, 179쪽</ref> 반면, 이장희와 동향 친구였던 이상화는 같은 해, 《개벽》 6월호에서 이장희의 시 〈고양의의 꿈〉과 〈겨울밤〉을 이채 있는 시라고 하면서, 이상화를 정관(靜觀)시인이라고 고평하였다. 다만 생명에서 발현된 열광이 없음을 덧붙였다.<ref>{{서적 인용
  • 이현보 . . . . 4회 일치
         == 관련 작품 ==
         * 해제: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를 하는 한가한 삶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 등장하는 어부는 "가어옹(假漁翁)"으로, 실제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어부와는 성격이 다르다. "가어옹"이란 속세를 떠나 강호에서 낚시하면서 시나 읊고 술잔을 기울이던 양반을 이르는 말로, 작품에서도 실제 어부의 삶이 구체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천심녹수(千尋錄水)", "만첩청산(萬疊靑山)"과 같이 상투적인 용어를 구사하여 관념적으로 어부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의 어부의 삶이란 곧 자연 속에서의 은둔 생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5수의 초장과 중장에서 볼 수 있듯이 세상에 대한 관심을 완전히 끊지는 못하고 있다.
  • 장혁주 . . . . 4회 일치
         일본 문단에서 활동하던 장혁주는 [[1933년]] 장편 《무지개》로 한국 문단에도 선을 보였다. 도시를 배경으로 한 《무지개》도 초기의 사실주의적 작풍이 살아 있는 작품이나, 이후 남녀간의 복잡하게 얽힌 애정 관계가 묘사된 《삼곡선(三曲線)》(1934~1935) 등 점차 통속적인 경향의 소설을 발표했다. 이 무렵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공한 일본인 장수 [[가토 기요마사]]를 다룬 〈가등청정〉(1939)을 시작으로 전시 체제에 협력하는 친일 작품을 집필했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 수록되었고,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제목=친일문학 작품목록
  • 하성란 . . . . 4회 일치
         == 주요 작품 ==
         *《곰팡이 꽃》(조선일보사,1999): 제30회 동인문학상수상작품집 1999
         *《강의 백일몽》(삶과꿈,2004): 2004년 제11회 이수문학상 수상작품
         *《사랑을 믿다》(문학사상사,2008): 2008년 제32회 이상문학상 작품
  • 한가인 . . . . 4회 일치
         한가인은 2002년 [[아시아나항공]] 광고 모델로 데뷔해 드라마 《[[애정의 조건]]》, 《[[신입사원 (드라마)|신입사원]]》, 《[[나쁜 남자 (드라마)|나쁜 남자]]》, 《[[해를 품은 달 (드라마)|해를 품은 달]]》,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건축학개론]]》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였다. 2018년 4월 드라마 《[[미스트리스 (2018년 드라마)|미스트리스]]》로 지난 2012년 《[[해를 품은 달 (드라마)|해를 품은 달]]》 출연 이후 6년 만에 컴백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한가인, 6년 만에 드라마 복귀 "'미스트리스' 출연 확정"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8&aid=0000337295|출판사 =스포츠서울 |저자 =정하은 |날짜 = 2018-01-05 |확인날짜 =2018-04-17 }}</ref>
         == 출연 작품 ==
         ! 작품
         |title = 한가인의 수상 목록
  • 허가윤 . . . . 4회 일치
         {{참고|포미닛의 음반 목록|설명= 허가윤이 포미닛 음악 그룹에서 부른 음반에 대해서는}}
         == 출연 작품 ==
         {{참고|포미닛#출연 작품|설명= 허가윤이 포미닛의 일원으로 출연한 작품에 대해서는}}
  • 현덕 . . . . 4회 일치
         [[1932년]] 《[[동아일보]]》에 동화 〈고무신〉을 발표한 뒤, [[김유정 (소설가)|김유정]], [[김기림]], [[이석훈 (1908년)|이석훈]], [[박태원 (1909년)|박태원]], [[안회남]], [[이상 (작가)|이상]] 등과 교유하는 습작 기간을 거쳐 [[1938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남생이〉가 당선되면서 정식 데뷔했다. 처녀작인〈남생이〉의 화자는 ‘노마’라는 소년이며, 노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동화를 《[[소년조선일보]]》와 어린이 잡지 《[[소년 (잡지)|소년]]》에 꾸준히 발표하는 등 아동 문학에 관심이 컸다. 이후 〈경칩〉(1938년), 〈두꺼비가 먹은 돈〉(1938년), 〈골목〉(1939년), 〈잣을 까는 집〉(1939년), 〈녹성좌〉(1939년), 〈군맹〉(1940년)을 차례로 발표했으나, 건강이 좋지 못한데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의 어렵던 시절이라 더이상의 작품 활동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광복 후 월북을 한 이후에는 [[1961년]]까지 〈싸우는 부두〉 등의 단편소설을 자작함으로써 작품 활동을 계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 경향은 농민과 도시 빈민의 참혹한 현실을 묘사하며 사회 구조적 모순을 인식하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데뷔 시기가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 해체 이후이므로 카프에 직접 가담한 적은 없으나, 카프의 이념적 성향과 대체로 방향이 일치하는 작품을 썼다.
  • 홍주찬 . . . . 4회 일치
         == 음반 목록 ==
         {{참고|골든차일드의 음반 목록|설명=골든차일드 그룹으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 음반 외 활동 목록 ==
         {{참고|골든차일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설명=골든차일드 그룹으로 참여한 음반 외 활동에 대해서는}}
  • 홍해성 . . . . 4회 일치
         [[1930년]]에 귀국하여 [[윤백남]], [[박승희 (1901년)|박승희]], [[김을한]] 등이 동인으로 포함된 극단 경성소극장을 창립했으나, 재정 문제 때문에 무산되어 이번에는 최승일, [[홍노작]], [[박희수]] 등과 함께 신흥극장을 창립했다. 신흥극장의 창립작은 경향파적인 작품인 《목단등기》였는데, 이 작품이 흥행에 실패하고 신흥극장이 문을 닫으면서 홍해성의 활동도 크게 위축되었다.
         [[1935년]]에 상업연극 전문 극장인 [[동양극장]]이 개관하자, 동양극장 연출부로 이동했다. [[1943년]]에 지병으로 사임할 때까지 동양극장에서 총 400편의 작품을 연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승방비곡》, 《검사와 사형수》, 《어머니의 힘》 등이 대표적인 흥행작이다. 본격적인 전문 연출가로서 한국에 근대극을 정착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한데 이어, 동양극장 이적 후에는 세련된 상업 연극으로 대중극의 수준을 격상시켰다는 평이 있다.
         광복 후에는 [[1950년]]에 신극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피선된 것과, [[불교]] 성극을 몇 편 연출한 것 외에는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았다. [[1957년]]에 [[국립중앙극장|국립극장]]에서 《신앙과 고향》을 연출한 것이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 COCOM . . . . 3회 일치
         [[아이슬랜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 15개국이 참가했으며, [[일본]]과 [[호주]]가 이에 추가되었다. COCOM위원회에서는 참가국들에 [[소련]]과 공산권 국가 및 공산권 지역에 대하여 전략 물자 수출 기준을 제시하였고, 참가국들은 이에 따라야 했다. 구체적인 목록은 1988년 까지 비공개였다.
         1948년 [[미국]]은 공산권 봉쇄를 위하여 금수품 목록을 발표하는 등 수출 통제 정책을 시작했으며, 이를 북대서양 조약기구 전체로 확대하려 했다.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들과 논의를 거쳐서 1949년 11월에 출범하게 된다. 1957년에는 대 중국 수출 위원회를 흡수했다.
         1960년대 이후로 COCOM 목록은 완화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등의 위기가 닥치면 강화되었다.
  • 고아성 . . . . 3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title = 고아성의 수상 목록
  • 김지훈(배우) . . . . 3회 일치
         [[JTBC]]의 예능 [[크라임씬 2]]와 [[크라임씬 3]]에서 훌륭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크라임씬 2에서 게스트로 출연해 범상치 않은 모습 ~~사카린쨩~~을 보여주었고 크라임씬 3에서는 고정으로 출연하면서 [[크라임씬3/숙다방 살인사건|간첩]], [[크라임씬3/캠핑장 살인사건|고자]], [[크라임씬3/과학고 연쇄살인사건|탈모]], [[크라임씬3/호텔 살인사건|정신병자]] 등 독특한 캐릭터들을 훌륭하게 소화해냈다. 출연 작품들을 보면 [[법조인]] 역할을 많이 맡았는데 본인은 크라임씬에서 다양한 캐릭터들을 연기할 수 있었다면서 색다른 경험이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
         == 출연 작품 ==
         ||<table align=center><rowbgcolor=#696969> '''{{{#ffffff 수상 연도}}}''' || '''{{{#ffffff 시상식}}}''' || '''{{{#ffffff 부문}}}''' || '''{{{#ffffff 작품}}}''' ||
  • 다크 유니버스 . . . . 3회 일치
         == 목록 ==
          * 본 게시물은 정식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 '유니버설 몬스터즈(Universal Monsters)'라 표기되었다. 영문 위키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유니버설 픽처스의 괴물 영화 목록 페이지인 유니버설 몬스터즈에도 링크되어있다. 정식 명칭 공개 후에는 별도의 명칭을 가지게 되었으며 물론 영문 위키의 유니버설 몬스터즈 항목에서도 다크 유니버스를 찾을 수 있다.
          * 관련 영상을 보면 투명인간과 오페라의 유령의 팬텀도 등장하는 듯 하다. 그리고 예정 목록을 보면 노틀담의 꼽추인 콰지모도도 예정된 듯. 그런데 이상한 것이 투명인간이야 그렇다 해도 팬텀과 콰지모도는 괴물이 아니라 인간이다.(...) 물론 시점을 괴물영화보다 고전 호러 영화에 두면 딱히 이상하진 않다만 드라큘라, 미이라 등 대표적인 캐릭터들을 생각해보면 뭔가 안맞는 느낌도 있다.
  • 레이나 검랑전설 . . . . 3회 일치
         스탭들의 '''레이나 모에'''가 극에 달한 작품. 그리고 '''[[롬 스톨]]이 죽는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크로노스의 대역습 팬들에게 평가는 그리 좋지 않은 편.
         [[켄류]]는 왠지 로봇이라기보다는 파워드 슈츠에 가까운 디자인이 되었다. [[바이캄프]]는 디자인 자체는 거대하고 위압적이라서 괜찮은 편이지만, 3편에서 어둠의 바이캄프로 소환되었다가 켄류도 아닌 그냥 검랑만 든 레이나에게 졌다.[* 사실 이 때 레이나가 검랑을 들면서 일단 '변신 비스무리한 연출'이 있긴 있고, 이 작품의 켄류는 로봇이 아니라 파워드슈츠 같은 것이므로 일단 켄류 비슷한 상태라고 볼 수 있을듯.]
  • 마누엘 고도이 . . . . 3회 일치
          * 당시 기준에서 상당히 호색한이었던 모양으로, [[프란시스코 고야]]의 명작 [[나체의 마하]]와 [[옷을 입은 마하]]를 주문제작했던 본래 소유주였다. 벨라스케스의 [[거울을 보는 비너스]] 역시 고도이가 주문제작한 작품이다. 본래 종교적으로 엄격했던 스페인에서 나체의 마하 같은 작품은 너무나 선정적이라서 제작되기 어려웠는데, 권력자인 고도이였기 때문에 그 같은 작품을 주문제작할 수 있었던 것이다.
  • 바르나바 복음서 . . . . 3회 일치
         [[바르나바]]([[바나바]])가 썻다고 하는 [[복음서]]. 초창기 기독교의 [[위경]] 목록에 바르나바 복음서라는 목록이 발견되며,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로 된 사본이 현존하며, [[아람어]]로 된 사본이 2010년대에 [[터키]]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사본과 고대 목록에 언급되는 바르나바 복음서가 같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을 알 수 없는 바르나바 복음서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바르나바 복음서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 박근혜 . . . . 3회 일치
         2017년 3월 10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 소추안을 인용]]하면서 박근혜는 대통령직에서 파면,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ref>{{웹 인용|url=https://www.ccourt.go.kr/cckhome/kor/event/adjuList.do|제목=선고목록 및 결정문 - 헌법재판소|확인날짜=2018-12-13}}</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56&aid=0010429073|제목=[영상]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3-10}}</ref> 탄핵 후에는 곧바로 3월 21일 검찰에 소환되어 대한민국의 전직 대통령 중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에 이어 네 번째로 검찰 수사를 받았고,<ref>{{뉴스 인용 |title=[박근혜 검찰 출석] 최순실 ‘곰탕’·이재용 ‘자장면’…박근혜는? 미리 준비한 ‘도시락’ |url=http://news.donga.com/3/all/20170321/83428508/2 |work=동아일보 |date=2017-03-21 |accessdate=2017-05-18}}</ref> 3월 31일에는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서울구치소]]에 수감되면서 전두환, 노태우에 이어 세 번째로 구속된 전직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title='최순실 국정농단 공범' 박근혜 구속…"혐의소명·증거인멸"(종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30/0200000000AKR20170330171251004.HTML |work=연합뉴스 |date=2017-03-31}}</ref> 구속된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진행하던 중에 2017년 10월 16일 6개월인 1심 구속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검사가 앞선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않은 뇌물 공소사실에 대하여 다시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구속기간이 최대 6개월 연장되었다. 이에 대하여 박 전 대통령 측은 반발하였고 모든 변호인단이 사임하였다.<ref>[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710171022138598395_1
         {{참고|박근혜의 대통령 순방 목록}}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새누리당|비례대표]] | 새누리당 | 9,129,226 표 | 42.8 | 비례대표 1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5선]] }}
  • 배경 세계 공유 . . . . 3회 일치
         == 목록 ==
          * 클로버필드 관련 배경 공유 작품들[* <클로버필드 유니버스>라고도 하나 이는 정식명칭이 아니다.]
          괴수영화 [[클로버필드]]가 대표적. 현재까지 나온 관련 작품들의 성격이 많이 다르나 배경 세계를 공유를 증명하는 요소가 있다.
  • 백진희 . . . . 3회 일치
         ! 작품
         }}</ref> 이 작품이 끝난 뒤 시작한 예능 프로그램이었던 SBS [[기분전환 수요일]] 공동 MC<ref>{{뉴스 인용
         |title = 백진희의 수상 목록
  • 살바도르 달리 . . . . 3회 일치
         달리는 부인 갈라가 죽고 7년 뒤에 사망했는데, 자식이 없어서 달리의 작품들은 스페인 정부에 유산으로 남겨졌다. 달리의 시신은 피게레스에 있는 극장의 지하실에 묻혔다.
         1988년 스페인의 화가이자 미술사학자 토메우 라모는 1988년 스페인 북부 지로나의 골동품점에서, 2만5천페세타(150유로)에 달리의 작품을 구입했다. 골동품점 주인은 써진 연대가 달리가 태어나기 전엔 1896년이므로 이 작품은 [[위작]]이라고 판단했으나 토메우 라모는 이를 진품이라고 생각해서 구입했고, 결국 2004년에서 2013년에 걸쳐서 감정을 한 결과 결국 달리가 17살 때인 1921년에 그려진 진품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그러나, 살바도르 달리 재단은 아직 달리의 진품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http://www.huffingtonpost.kr/2014/05/23/story_n_5377257.html 참조]
  • 야설록 . . . . 3회 일치
         | 주요 작품 = 《[[불꽃처럼 나비처럼]]》<ref>소설《불꽃처럼 나비처럼》은 영화《불꽃처럼 나비처럼》의 원작이기도 하다.</ref><ref>{{뉴스 인용 |제목 = '소설에나 나올 법한' 명성황후의 뜨거운 사랑 「 불꽃처럼 나비처럼」1, 2 (야설록/형설라이프) |url = http://www.unionpress.co.kr/detail.php?number=40521&thread=01r04r02r02 |출판사 = 유니온프레스 |저자 = 방송연예팀 기자 |쪽 = |날짜 = 2009-09-03 |확인날짜 = 2009-09-05}}</ref>
         == 작품 ==
         * [[한국의 장르작가 목록]]
  • 이규환 (영화감독) . . . . 3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이나 어릴 때 [[경성부]]로 이주하여 자랐다. [[우미관]]을 드나들며 [[찰리 채플린]]의 작품을 보며 성장하였다. [[1919년]]에 대구 [[계성고등학교]]의 전신인 계성중학교에 재학 중, [[3·1 운동]]으로 인해 [[밀양시|밀양군]]의 시골 마을에서 2년 동안 피신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때의 경험은 후에 이규환의 영화 작품에 드러나는 향토적 화면에 영향을 미쳤다.
         [[1932년]]에 귀국하여 제작한 작품이 《임자 없는 나룻배》이다. [[나운규]]와 [[문예봉]]이 출연한 이 영화는 좋은 평가를 받고 문예봉을 스타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그러나 이후 제작비 문제 등으로 순탄치 않은 영화 작업을 계속했다. [[1937년]]에는 [[성봉영화원]]을 설립하고 로컬리즘 색채가 강한 《나그네》를 내놓아 주목을 받았다. 성봉영화원이 [[조선영화주식회사]]로 통합된 뒤 이 회사에 들어가지 않고 [[만주]]로 떠나, 일제 강점기 말기의 [[군국주의]] 영화 제작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 이석훈 . . . . 3회 일치
         == [[SG워너비/음반 목록#s-6|음반 목록]] ==
         [[SG워너비/음반 목록#s-6|문서 참고]].
  • 이인성 (화가) . . . . 3회 일치
         그의 작품은 수채화에서 날카로운 지적인 특성을 보였으며 독자적인 강한 개성으로 한국의 풍토적인 감각을 살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가을의 어느 날>, <경주의 산곡에서> 등이 있다.
         == 작품소개 ==
  • 이지아(배우) . . . . 3회 일치
         ||<table bordercolor=#C3C03A><rowbgcolor=#C3C03A> '''{{{#white 개봉 연도}}}''' || '''{{{#white 작품}}}''' || '''{{{#white 배역}}}''' ||'''{{{#white 비고}}}''' ||
         || 2016년 || [[무수단(영화)|무수단]] || 신유화 중위 || [* 실질적 첫 스크린 작품.] ||
         ||<tablebordercolor=#C3C03A><rowbgcolor=#C3C03A>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조긍하 . . . . 3회 일치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대구에서 중등교육을 마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구니타치 음악대학|도쿄 제국음악학교]] 성악학과를 졸업하였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8383&mobile&categoryId=1639 조긍하 - 네이버 지식백과]</ref>. 그 후 [[테너]] [[성악가]]와 [[피아노 연주자]]로 활동하다가 은퇴하고 [[사진가|사진]] 촬영과 [[영화]] 분야로 전향하였다. 사진작가의 관록으로 조감독 수련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감독이 되었는데, [[1952년]]에 《베일부인》을 감독한 것을 시작으로 《황진이》([[1956년]]), 《곰》, 《육체의 길》([[1959년]]), 《인간만세》, 《과부》([[1960년]])등의 영화를 감독하였고, 시나리오도 직접 집필해왔다. 또한, 1960년대 말에는 《상해임시정부》, 《인천상륙작전》 등 애국지사들의 일대기를 내용으로 한 작품들을 만들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1300032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1-30&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181&publishType=00020 故(고) 趙肯夏(조긍하)감독의 人間(인간)과 作品(작품)세계 고지식하면서도 유머풍부 - 1982년 1월 30일 경향신문]</ref>.
         == 작품 ==
  • 조소혜 . . . . 3회 일치
         | 주요 작품 = [[젊은이의 양지]], [[첫사랑 (1996년 드라마)|첫사랑]] 등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나를 졸업한 후 은행에서 근무하다가 [[1984년]] [[KBS]] [[드라마게임]] 《선택》으로 데뷔하였다. 이후 《[[젊은이의 양지]]》, 《[[첫사랑 (1996년 드라마)|첫사랑]]》 등의 작품을 집필하였다.
         == 작품 ==
  • 조원진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대구광역시/인물)]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제19대 국회의원 목록|19]], [[제20대 국회의원|20]]||
  • 주상욱 . . . . 3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title = 주상욱의 수상 목록
  • 창작:Project NA . . . . 3회 일치
         간단히 위 설정과 관련된 작품을 작성하면 된다. 가게를 바탕으로 한 일상물도 좋고, 골동품이 갖고 있는 사연을 작성해도 된다.
         === 관련 작품 목록 ===
  • 창작:말퓨스 스토리 . . . . 3회 일치
         = 작품 개요 =
         말퓨스 스토리는 여러개의 에피소드가 하나의 근간을 이루는 작품이며, 첫번째 에피소드로 츠키노 아스카가 주인공인 월야편(月野編)이 준비되어있다.
         타치바나 이즈미 : 츠키노 아스카의 라이벌이자, 이 작품의 유일한 메인 악역. 아스카를 격렬히 증오하며, 아스카와는 과거부터 악연으로 점철되어있다 못해 아주 길어져버린 사이이다.
  • 최희서 . . . . 3회 일치
         ! 작품
         |<ref name="yonhapnews_2017-10-25_54th_grand-bell-awards">{{뉴스 인용 | 저자= 김희선 | 위치= 서울 | 뉴스= 연합뉴스 | 제목= 대종상 최우수작품상에 '택시운전사'…'박열' 5관왕 | url=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25/0200000000AKR20171025185700005.HTML | 날짜= 2017-10-25 | 확인날짜= 2017-10-25 | 보존url= http://archive.is/Bv9w9 | 보존날짜= 2017-10-25 | 깨진링크= }}</ref>
         | 제목 = 최희서의 수상 목록
  • 풍운 . . . . 3회 일치
         독고일방의 딸, 독고명의 여동생. 초반에 섭풍과 로맨스 라인을 타는 여성. 섭풍이 위기에 빠졌을 때 한 여인이 도움을 주었는데, 몽(夢)이라는 이름으로만 부채로 펜팔을 나누면서 교류하고 있었다는 설정이었다. 하지만 섭풍은 아버지의 원수다보니 맺어지지 못하고 갈등하는데, 나중에는 자신과 이름이 같은 '제이몽'이라는 여캐가 끼어들면서 얘가 진짜 몽이었다는게 밝혀지고 독고몽은 쩌리로 전락한다(…). 그리고 작품에서 퇴장.
          *아동학살주의 : 대중문화에 흔한 '아동불살주의'가 도무지 통용되지 않는다(…). 아이들이 그야말로 마구마구 죽어가는데(…), 니보살의 손녀, 섭풍을 따르던 아이들, 섭풍의 딸 등 다른 문화권 작품이라면 어지간하면 억지를 써서라도 살릴 것 같은 아동 캐릭터들이 마구마구 죽는다. 도리어 이 만화에 어린아이가 나오는건 '사망 플래그'에 가깝다.
          * 회개부정주의 : 주역은 일단 회개하라고 몇번이나 살려주고, 다른 작품이면 회개 플래그가 될 만한 것이 몇번이나 나오는데도 도무지 악역이 회개 같은걸 하지 않는다. '''특히 단랑'''. 거의 회개 플레그가 섯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배신할 때의 충격이란. 기본적으로 한 번 악인은 거의 모두 악역, 회개한 캐릭터가 거의 손에 꼽을 정도다.
  • 하이큐!!/등장인물 . . . . 3회 일치
          참고로 작가의 전작인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과 관련되는 캐릭터, 해당 작품의 주역급 캐릭터였던 마코토의 두 살 터울 오빠이다. 즉, 이 작품의 시간대는 해당 작품의 2년 후.
  • 한확 . . . . 3회 일치
         동생 한전(韓磌)·한질(韓)이 모두 일찍 죽었는데, 한확이 그 고아를 무육(撫育)하기를 자기 자식과 다름이 없었다. 작품으로는 [[고려]]말기의 문신 [[차원부]]를 애도하는 치제문이 있다. 그가 죽자 [[조선 세조|세조]]는 9월 22일까지 정사와 조회를 중단하였다. 이때 강무까지 중단하려 하였으나 [[승정원]]의 반대로 강무는 계속하였다.
         == 작품 ==
         == 관련 작품 ==
  • 황두진 . . . . 3회 일치
         건축가로서 개별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살기 좋은 도시, 거리와 소통하는 건물, 사회에 필요한 건축 등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무지개떡 건축은 그의 주요 테마 중 하나이다. 그가 현대 도시건축의 중요한 유형으로 보고 발전시켜오고 있는 개념이다. 개별 작품과 기고문을 통해 생각을 전개시킨 후 2016년 저서인 '무지개떡 건축'을 통해 정리해서 발표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22085412|제목=진정한 의미의 주상복합이 가장 도시적인 건축|저자=이은주 기자|날짜=2017-11-06|뉴스=중앙일보|출판사=}}</ref>
         == 작품 소장 ==
         2015 한국공간구조학회 작품상(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 CategoryTemplate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건담 . . . . 2회 일치
         건담 시리즈인 애니메이션. [[건담]] 탄생 20주년 기념작으로 기존의 건담과는 확연하게 구분되지만, 또 기존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작품이다.
         마지막 시대를 다룬 건담 작품으로 기존 건담 시리즈와 동일하게 지구와 우주의 갈등의 중심에서 주인공 [[로랑 세아크]]와 각 인물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주요 스토리이다.
  • 건담 시리즈 . . . . 2회 일치
         [[마징가Z]]로 대표되는 슈퍼로봇물과 달리 [[전쟁]] 등의 무거운 소재에 중점을 둔 시리즈다. [[토미노 요시유키]]의 [[기동전사 건담]]이 첫작품이며 이후 꾸준히 애니메이션이 나오고, 게임, 코믹스, 소설도 나오고 있는 상당한 역사를 지닌 시리즈다.
         == 목록 ==
  • 검은방 시리즈 . . . . 2회 일치
          검은방 시리즈 최초의 작품.
          시리즈를 완결짓는 작품. DLC가 추가되었다.
  • 경순왕 . . . . 2회 일치
         == 경순왕이 등장한 작품 ==
         그 후 원본은 사라졌지만 조선시대에 이모한 작품 5점이 전하고 있다. 5점은 [[1677년]](숙종 2년) 강원 원주의 고자암에서 제작한 것, [[1749년]] 경북 영천 은해사 상용암에서 그린 것, [[1794년]] 초상화가 이명기가 은해사본을 보고 다시 그린 것, [[1904년]](광무 8년) [[승려]] 출신 [[대한제국]]의 화가 이진춘이 이명기 본을 보고 다시 그린 것과, 이진춘 본의 초본 등이다.
  • 고원희 . . . . 2회 일치
         == 작품 활동 ==
         ! 작품
  • 고준희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 구광본 . . . . 2회 일치
         | 주요 작품 =《[[강 (시집)|강]]》
         [[1986년]]《소설문학》신인상에 단편소설 〈검은 길〉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1987년]]에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하며 시집 《[[강 (시집)|강]]》을 펴냈다.
  • 구성재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긴나라 . . . . 2회 일치
         사람들이 별로 관심없는지 예술작품에 따라서는 머리가 말 대신에 소가 되거나 새가 되거나 한다.
         불교 미술 작품에서 그려지긴 하지만 숭배하는 사람은 없다(…). 무시당하고 있다.
  • 김남조 . . . . 2회 일치
         | 주요 작품 = 《목숨》, 《동행》, 《너를 위하여》
         == 작품 세계 ==
  • 김문집 . . . . 2회 일치
         |제목=친일문학 작품목록
  • 김봉환(1921)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 김수자 . . . . 2회 일치
         김수자(Kimsooja)는 [[웹사이트]] [[도메인 네임]]을 선정할 때 자신의 성과 이름을 하나의 단어로 합쳐 그것이 개념적으로 암시하는 것에 대하여 생각하였다. 한 단어로 된 이름은 성과 이름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정체성이나 결혼 여부,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지 않는다. 그녀는 《어 원 워드 네임 이스 언 애너키스트스 네임》(''A One-Word Name Is An Anarchist’s Name'')이라는 개념 미술 작품에서 이 행위를 기념하였다.<ref><span class="citation web" contenteditable="false">[https://www.artsy.net/artist/kimsooja "Kimsooja"]. </span></ref>
         김수자는 1957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으며,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하였다. 김수자의 화가로서의 근본은 그녀의 예술 발전에서 중요한 시작점이다.<ref>Arum Sok, Christina, Kimsooja: A Modern Day Global Nomad Transcending boundaries, re-constructing a global identity 2014, paper Abstract, in Kimsooja’s official website: http://www.kimsooja.com/texts/sok_2014.html</ref> 김수자의 "꿰매기" 시리즈는 세계의 뒤엉퀸 모습을 수평면과 수직면의 체계에 합성하여 십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천의 아상블라주를 만든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루초 폰타나]]가 하나의 색으로 칠해진 캔버스를 날이 선 단도로 꽤뚫었던 것과 같이 김수자 또한 작품의 표면을 꿰매어 더 이상 환상의 화면이 이닌 3차원 구조의 예술을 창조하였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 김용준 (1904년) . . . . 2회 일치
         [[1928년]] 귀국한 후로는 [[서울특별시|서울]]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하면서 [[길진섭]]과 함께 [[목일회]]를 창립하는 등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작품 활동 뿐 아니라 미술사 연구와 미술 평론계에서도 선구자 격의 위치를 차지한 인물이다. 본래는 서양화가로 출발하였으나 목일회가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된 1930년대 후반부터 [[조선화]]의 기법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그린 말년의 작품들은 조선화가 대다수이다.
  • 김장섭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 김중혁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 김지석(배우)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tablebordercolor=#009e25><rowbgcolor=#595959>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김지훈 (영화감독) . . . . 2회 일치
         1998년 단편영화 《온실》로 제2회 [[세계 필름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으며, 제46회 [[독립영화제]]에서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후 《[[목포는 항구다]]》, 《[[화려한 휴가]]》를 제작하였다. [[5.18]]을 다룬 《[[화려한 휴가]]》는 [[전라도]] 사투리 연구에 많은 공을 들였고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227432 김지훈 감독 "대구출신이라 3년 간 전라도 사투리 연구"] 세계일보. 2007년 05월 17일</ref> [[2011년]] [[8월]] 개봉한 한국 최초 3D 블록버스터인 《[[7광구]]》를 제작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 = 김지훈: 영화정보-씨네21|url =http://www.cine21.com/Movies/Mov_Person/person_info.php?id=6724|출판사 = 씨네21|확인날짜=2011-05-19}}</ref>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2009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연극 '나비'를 마지막으로 배우로서 활동을 마치고 '가톨릭상담봉사자과정'에서 1년 넘게 심리상담 교육을 받은 후 화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2014년 6월에는 첫 개인전인 <묘사와 연기>가 열렸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965311 화폭으로 옮긴 심리 치유…배우겸 화가 김현정 개인전], 연합뉴스, 2014년 6월 17일 작성.</ref>, 2014년 11월 9일 부터 11월 19일까지 [[백남준]], [[이왈종]]과 함께 중국 베이징에서 <하나에서 셋으로:한국 예술가 3인전>에 작품전을 열었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8578 ‘동양화로 그린 장서희는?’ 화가 김현정, 中진르미술관 초청], 뉴데일리, 2014년 10월 7일 작성.</ref>
         == 저서 및 출판 목록 ==
  • 김형태(정치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 니세코이/216화 . . . . 2회 일치
          * 이치죠가 중학교 졸업 이후 집안일을 하게 됐기 때문에 집에는 거의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작품활동 중.
          * 문제의 그림책은 학생 때 완성한 첫 작품이라고 말한다.
  • 드래곤볼 . . . . 2회 일치
         토리야마 아키라 원작의 만화. 한 시대를 풍미한 소년만화의 왕도격인 작품이었다. 스토리상으로 초반에는 '서유기'를 기반으로 작가의 다른 작품 '닥터 슬럼프'를 섞어넣은 듯한, 슬랩스틱 코메디가 섞인 로드 무비 방식이었으나 점차 소년 격투만화 스타일로 변모해 갔다.
  • 떨어진 용왕과 멸망해가는 마녀의 나라 . . . . 2회 일치
         마이사카 코우 작품답게(...) 서비스신이 엄청나게 많다. 강철의 흰토끼 기사단 때와 마찬가지로, 삽화를 보면 여캐들이 전체적으로 헐벗은데다 성희롱성 장면이 넘쳐난다. 그러면서도 전체적인 소설 내용은 또 진지한 게 함정. 여러모로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 마이사카 코우 . . . . 2회 일치
         작품들이 대체적으로 '투희' 속성 캐릭터를 다수 투입하여 서비스신 가득한 연출을 할 때가 많은데, 그렇다고 단순한 뽕빨만이 아닌 나름 진지한 설정과 배경이 깔린 전쟁물을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 작품 ==
  • 맥스 페인 시리즈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 몽키 D. 루피 . . . . 2회 일치
         주인공이 크는 건지 필살기가 크는 건지 모를 괴이한 매너리즘에 빠지기 쉽상인 배틀만화에서 필살기를 부각시키지 않고도 화려한 전투 씬을 뽑아낼 수 있다는 점은 많은 액션 마니아들에게 작품의 매력의 하나로써 어필된 바가 크다. 보통 이런 스타일의 캐릭터들에게는 [[사카타 긴토키|간판 기술의 부재]]라는 부담이 따르기 마련인데도 '''불구하고''' 신기하게도 인기가 있는 기술은 굉장히 많고[* 고무고무 바주카나 고무고무 도끼의 경우는 사실 많이 쓰는 편도 아닌데 인기가 좋고 폭풍우도 따지고 보면 두세번밖에 사용하지 않았는데도 인기와 지명도는 굉장히 높다.][* 사실 초반의 강력한 필살기가 후반에서 인플레를 맞고 쩌리가 되는 상황도 배틀만화에서 많이 보여지는 경향인데, 루피같은 경우는 되려 초반에 사용하던 기술이고 후반에 사용하던 기술이고 취급이 비슷하기 때문에 되려 잊혀지는 기술이 없다. 정상결전 직전인 에니에스 로비 편에 가서 대미를 장식한 기술이 따지고 보면 처음부터 쓸 줄 알던 고무고무 개틀링인 셈이니 정말로 잊혀지는 기술이 없는 셈.] 실제로 격투 게임 등에서의 취급이 손쉽다는 결과는 그야말로 두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아낸 셈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원작이 아닌 애니 오리지널 스토리에서의 장면이지만, 루피가 딱 한 번 책에 관심을 보인 적이 있긴 했었다. 계속 비가 와서 놀지도 못하고 심심해 미칠 지경인 상태에서, 로빈이 읽던 책을 보고는 무슨 책이길래 그렇게 읽냐며 물어보더니 모험기 작품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관심을 갖고 읽어보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동시에 옆에 있던 동료들은 경악) 뭐 결국에는 읽으려는 순간 상륙할 섬이 보이는 바람에 곧바로 내던지고 나가버렸지만, 사실상 원작과 애니 오리지널을 통틀어서 루피가 책에 관심을 가진 건 이 때가 유일하다.
  • 문무왕 . . . . 2회 일치
         |목록=[[신라의 역대 국왕|신라의 제30대 국왕]]
         == 문무왕이 등장한 작품 ==
  • 미래소년 코난 . . . . 2회 일치
         SF [[애니메이션]]. 감독은 [[미야자키 하야오]]. 미야자키 하야오의 첫 감독 작품이다. NHK에서는 처음 방영한 셀 애니메이션. 화수는 총 26화. 1978년 방송.
         원작이 있다. 알렉산더 케이의 SF소설인 <The Incredible Tide>. 이 소설은 이후 일본에 '남겨진 자들'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원작이 없는 오리지널 작품을 만드는 것은 지극히 어려웠다고 한다.
  • 미저리 . . . . 2회 일치
         [[미국]]의 [[소설가]] [[스티븐 킹]]이 쓴 소설. 한 소설가의 작품을 추종하는 광신도에게 감금된 그 소설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소설가 폴 셸던은 자신이 새로 쓴 소설을 출판사에게 전해주기 위해 차를 운전한다. 그는 "미저리"라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 시리즈 "미저리"[* 작중 묘사에 의하면 근세 배경의 신데렐라 스토리 소설인 것 같다.]로 성공을 거둔 작가지만 폴은 그 소설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그는 자신이 새로 낸 미저리 시리즈인 "미저리의 아이"의 최후반부에 아이를 낳던 미저리가 사망하는 내용을 넣어 시리즈를 끝내버린 후, 차도둑을 소재로 한 새로운 소설을 집필한다. 소설을 완성한 폴은 자신이 쓴 소설의 작품성에 흥분하며 차를 타고 서쪽으로 향하다가 빙판길에 의해 교통사고를 당한다.
  • 민효린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 박경석(1937)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불교/인물]]
  • 박소연 (배우) . . . . 2회 일치
         == 출연작품 ==
         ! 장르 !! 작품 !! 연도
  • 박진성(시인) . . . . 2회 일치
         [[2015년]] 제7회 시작 작품상을 수상
         그러나 허위로 밝혀졌음에도 여전히 정신 못차리는 인간들이 오프라인과 온라인 가리지 않고 많다. [[아몰랑|조리돌림해놓고 사과 한 마디도 하지 않는 건]] 양반이고, 아직도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다.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4804441760350208|#1]][[https://archive.is/LXMJh|@1]][* 첫번째 예시에 나온 사람은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서 리을과 시옷이라는 닉네임을 쓴 적 있고 김여선 또는 이선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며, 주점 레스토랑 Cooper Room(카퍼룸)([[https://twitter.com/Copper_Room_|#트위터 계정]][[https://store.naver.com/restaurants/detail?id=37996846|#네이버 플레이스 정보]])에서 일하는 요리사이자 시인 지망생[[https://twitter.com/satoy_0045/status/928626634474663936|#]][[https://archive.is/Nhple|@]]인데, 이 사건에서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6453624502284288|박 시인에게 무고죄로 고소당한 2명 중 한 명]]([[https://archive.is/yofTZ|@]])이다. 무고죄로 기소유예를 받은 뒤에 트위터 계정을 완전히 삭제했다가 파란이 사그라들자 다시 계정을 복구하였다. 여러 문학 작품들만 인용하는 식으로 한동안 이 건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가 [[탁수정]]과 박 시인 간의 설전에서 자극을 받았는지 2월에 갑자기 박진성 시인을 공격했었는데, 김여선의 전과를 아는 사람들이 있어서인지 반응은 대체로 싸늘한 편이었는데다 도리어 대중들이 자신의 죄를 역으로 캐묻기 시작하자 수세에 몰린 것을 직감했는지 다시 트윗들을 삭제했고, 사태가 다시 잠잠해지자 자신을 비판했던 이들을 고소할 것을 선언했다. 3월에 또 박 시인을 공격했지만 예전에 비해 호응해주는 사람이 없어서인지 며칠 후부터는 다른 일에만 전념하고 있는 듯했는데, 4월 16일에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85887446482042883|'이후의 삶' 펀딩을 망치기 위해 다른 사람인 척해서 거금을 후원하겠다고 했다가 취소하려는 수작이 들켰다]]고 한다.][[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3667324225306624|#2]][[http://web.archive.org/web/20171127054338/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23667324225306624|@2]][* 유진목이라는 1인 영상 제작사 목년사를 운영하고 있는 작가다. [[http://www.yes24.com/24/AuthorFile/Author/171395|#]]] 심지어 이 중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4776705218068482|송승언]]([[https://archive.is/HxWyl|@]])이라는 사람은 [[http://moonji.com/bookauth/9173/|월간 문예지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시인]]인데 2017년 5월 17일 이후로 주로 트위터에서 박진성 시인을 성폭력 가해자로만 단정짓고 이야기했으며, 무혐의 처분 후에도 사과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https://twitter.com/search?f=tweets&vertical=default&q=blanknoose%20박진성&src=typd|#]][[https://archive.is/286Iy|@]] 이후 박진성 시인의 무고가 확실해지면서 자신에게도 비난의 목소리가 이어지자 한동안 [[https://twitter.com/blanknoose|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였다가 사태가 잠잠해지면 다시 공개로 전환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웃긴 것은 2017년 5월 24일부터 자신의 전 연인이자 후배 문학도에게 '문단창녀'라 성희롱한 사실을 숨기기 위해 박진성을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으며, 송승언은 이에 대응하지 않고 자신에게 비판하거나 박진성 편을 드는 자들은 무시당해도 싸다는 정신승리로 침묵하고 있으며 박진성 시인을 모욕했다는 증거를 삭제하고 있다(증거 자체는 예전부터 삭제하고 있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867579611017658372|#1]][[https://archive.is/z5QTN|@1]][[https://twitter.com/blanknoose/status/936928452875186180|#2]][[https://archive.is/IMg8R|@2]][[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899014088801386496|#3]][[https://archive.is/IdmMq|@3]]]
  • 박진주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 분류:3월의 라이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Europa Universalis 4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K리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NTX 공동창작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TV 프로그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Victoria II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동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조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지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건담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관련 정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장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격투기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고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고전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곤충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관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괴롭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교통수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군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2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념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논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도시전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독일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동음이의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드래곤 퀘스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랑그릿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러브라이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로마 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블 퍼즐퀘스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만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만화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망한 나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명탐정 코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모발 기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모에요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무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문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 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분류 . . . . 2회 일치
         어느 분류에 넣어야 할지 모르겠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민족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바키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범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보드게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보쿠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부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북두의 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불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불교 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브로포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랙 클로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리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리치 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비속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살인사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삼국시대의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존주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서든어택 2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소련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 히어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걸(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마켓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틸오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페인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페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포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식극의 소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식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조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체부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의 조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암살교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애니메이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야민정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양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어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역사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영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오스트리아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오컬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괴위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피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피스 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한해결사무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웹사이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위저드리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위키 관련 정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유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유전질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육상선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은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은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음료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음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의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의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이노센스 투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이탈리아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인터넷 은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곱개의 대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논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만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아이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여배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연예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영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전통의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풍속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잡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장난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자제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절대가련 칠드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절대가련 칠드런/에피소드 . . . . 2회 일치
         [[절대가련 칠드런]]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정신질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조선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조선시대 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좀비위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좀비탈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종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주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중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지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지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직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진격의 거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질병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총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총기난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최루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축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캐릭터 클리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커맨드 앤 컨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컬트 종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컴퓨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클리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토리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패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페어리 테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페이데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편의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하이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학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한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핫라인 마이애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공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공폭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법체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헌터X헌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산바람 . . . . 2회 일치
         학생 시절에 조아라에서 연재한 작품도 있다.
         == 작품 ==
  • 서지훈 (1997년)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 소냐(가수) . . . . 2회 일치
         == 음반 목록 ==
         === 경연곡 목록 ===
  • 송지효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송창현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데뷔 초에는 속구와 슬라이더 두 개의 구종만 사용한 것으로 보이지만 시즌 후반에 체인지업과 커브를 장착한 것으로 보아 구질 습득도 빠른 편인듯 하다.[* 체인지업은 [[송진우(야구)|송진우]], 커브는 [[정민철]] 혹은 [[이대진]] 코치의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 한화 이글스의 팟캐스트 방송 이글스캔들에서 본인이 밝힌 바로는 체인지업은 송진우 코치가 그립만 가르쳐준 것을 실전에서 사용했더니 통했다고 한다.]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 빅히트 윤석준 이사에 따르면 멤버들과 화양연화라는 단어를 통해서 청춘을 표현하자는 부분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가 되고 나서 제일 먼저 떠오른 게 슈가였다고 한다. "사실 그 나이 때의 슈가를 본 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농구코트에서 홀로 농구공을 던지다 땀에 젖은 채로 앉아 있는 슈가의 모습이 그려졌다, 이런 얘기를 슈가에게 전달하였더니 슈가도 실제 그런 경우가 꽤 있었다고 하더라. 그 때 느꼈던 감정을 그대로 랩으로 만들어주면 그게 곧 청춘 그 자체일 거 같다고 얘기했고 아니나 다를까 너무나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 왔다. 자신감과 불안감이 교차하는 젊음의 단면을 농구하는 소년을 통해 그려낸 우화라고 받아들여주면 될 거 같다. 내 입장에서 이 곡은 단순히 이번 음반만의 인트로가 아니라 화양연화 2부작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그려낸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12&news_seq_no=2331260|인터뷰 전문]]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 . . 2회 일치
         현재 스타크래프트 2가 발매된 상태이며, 2017년 여름 첫번째 작품인 스타크래프트의 [[https://starcraft.com/ko-kr/|리마스터 버전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 게임 목록 ==
  • 신영식(만화가) . . . . 2회 일치
          * [[만화가 및 일러스트레이터 목록/한국]]
         == 주요작품 ==
  • 아이린(레드벨벳) . . . . 2회 일치
          *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6년 상반기#s-2.25|29회]]에서 정수리에 점이 있다고 밝혔다.
         해당 발언(레벨업프로젝트2 생방송 팬미팅)이 나올 때, 아이린은 책 제목을 말할 때도 "그... 82년생... 그거 읽었고..."라며 제목을 정확히 기억하지도 못했다. 읽었다는 다른 책들도 대다수가 베스트셀러 목록에 있는 책들로, 제목을 기억하지 못했던 주황색 표지의 책도 시/에세이 부분 베스트셀러인 '별일 아닌 것들로 별일이 됐던 어느 밤'이란 책이다. 사실상 아이린의 취미가 독서이고 과거 인터넷을 잘 보지 않는다고 밝힌 것을 감안하면 인터넷 상의 남녀갈등과는 별개로 그저 휴가를 가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들을 읽었고, '그중에 우연히' 82년생 김지영이 포함된 것이었을 뿐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것을 구실로 연예인을 비난하는 것은 그냥 생트집일 뿐이다.
  • 안드로메다 스토리즈 . . . . 2회 일치
          * 일단 명목상 남녀 쌍둥이 간의 애정이지만, 아푸루가 거의 작중 내내 미소년으로 묘사되고 있어 거의 BL 작품 분위기(…)이다.--생각해보니까 애초에 어느 쪽이든 위험하다.--
          * 매년 24시간 테레비의 특집 애니메이션은 거의 다 [[데즈카 오사무]] 작품의 영상화였는데, 안드로메다 스토리는 여기에서 특이하게 예외였다.
  • 양희승 (작가) . . . . 2회 일치
         | 주요 작품 =
         == 집필 작품 ==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2회 일치
         밑은 해방 임무의 목록. 해당 지역의 시민들을 돕는 임무가 주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 임무의 경우에는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의 해방 임무 부분 참고.
         ==== 목록 ====
  • 에릭 (가수) . . . . 2회 일치
         * 2006년 [[MBC]] 《[[늑대 (드라마)|늑대]]》 ... 배대철 역 (미종영 작품) (주연)
         |title = 에릭의 수상 목록
  • 역행 . . . . 2회 일치
         창작물 장르에서는 과거의 자신으로 돌아가서 인생을 다시 시작하는 판타지, SF 작품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회귀'라고도 부른다.
         대개 미래의 지식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최적의 행동을 취하게 되며, 이러한 어드벤티지로 주인공은 대활약을 하거나 괴로워하는 누군가를 구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게 된다. 하지만 역행의 결과가 언제나 순풍만범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작품에서는 역행 탓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 염재욱 . . . . 2회 일치
         == 작품 활동 ==
         * 해외 포르투칼 홍신자선생님 작품"순례'공연-00년
  • 영천시 . . . . 2회 일치
         망정동에 있는 아이존빌스타 서쪽에는 커다란 폐교[* 건물이 보통 대학교보다 수가 적지만 그래도 지하1층, 지상4층으로 옆으로 쫙 뻗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탓에 창신아파트나 아이존빌스타가 보이는 곳에서는 서쪽에 폐교가 보인다.]가 보이는데 옛 제원예술대학건물로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목록]]항목 참조.
          * [[박인로]][*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작품인 누항사, 선상탄으로 유명하다]
  • 오칸 아트 . . . . 2회 일치
         예술가인 어머니가 만든 작품…이 아니고 어머니가 수공예로 만든 '''뭐가 뭔지 알 수 없는 현대 아트 스러운 괴이한 작품'''을 뜻한다.
  • 위키 템플릿 . . . . 2회 일치
         == 작품 템플릿 ==
          * [[ReviewTemplate]] - 작품 소개
  • 이명규(국회의원)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불교/인물]],
  • 이미연 (배우)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title = 이미연의 수상 목록
  • 이선희 . . . . 2회 일치
         == 음반 목록 ==
         == CF 작품 ==
  • 이영은(1982) . . . . 2회 일치
         == 출연작품 목록 ==
  • 이효상 . . . . 2회 일치
         일본에 유학, 1930년 일본 [[도쿄제국대학]] 독문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1936년]] 《가톨릭청년》지에 <기적>이라는 시를 발표하여 등단한 후 많은 작품, 특히 문학과 관련된 연구논문 등을 발표하였다.
         |직책 = 참의원([[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경상북도 제1부]])
  • 장세용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include(틀:정치인/목록)]
  • 전태일 . . . . 2회 일치
         == 전태일 관련 작품 ==
         그의 삶은 [[1983년]] 출판된 [[조영래]] 변호사의 《[[전태일 평전|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전태일재단에서 전태일 평전이 개정판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1990년대에 전태일의 생애를 다룬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란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전태일 역을 맡은 배우 [[홍경인]]과 내레이션 역할을 맡은 배우 [[문성근]]은 이 영화에 무료로 출연하였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33100209138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3-31&officeId=00020&pageNo=38&printNo=22812&publishType=00010 영화「전태일」주역 확정 문성근 홍경인 무료출연] [[동아일보]] 1995년 3월 31일 작성</ref> 2000년에는 전태일 30주기에 맞춰 제작된, 전태일열사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의 인터뷰를 엮은 영화 《전태일의 기억》이 개봉하였다.<ref>[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34429 씨네21-전태일의 기억]</ref> 연극으로는 자유학교 물꼬 학생들의 연극모임 '터'의 9기 학생들이 선보인 《스물 한살》이 있다.<ref>[http://www.chuntaeil.org/?c=30&p=3&uid=742 전태일 재단-[영화/다큐멘터리<nowiki>]</nowiki> 목록]</ref>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경북고등학교/동문]]
  • 정혜선(배우)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왕꽃 선녀님]] : 해당 작품에서 공연했던 [[사미자]]는 정혜선이 출연한 [[KBS 2TV]] [[시트콤]] <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에서 할머니 역[* 정혜선 분.]에 한때 거론되었지만, [[MBC]]의 [[보고 또 보고]] 녹화일과 겹쳐 고사했으며, 사미자 외에도 [[여운계]], [[전원주]], [[반효정]] 등이 물망에 올랐다.
  • 조응천 . . . . 2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top1=법조인/목록, top2=정치인/목록, top3=대구광역시/인물, top4=불교/인물)]
  • 지훈(TRCNG)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TRCNG]], [[가수/한국]], [[대한민국 아이돌]], [[보이그룹]], [[보이그룹/목록]], [[한국 아이돌/역사]]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음반만 기록합니다. [[TRCNG]]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TRCNG/음반 목록]]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 창작:헤이즈 . . . . 2회 일치
         == 에피소드 목록 ==
         == 참고 작품 ==
  • 채호기 . . . . 2회 일치
         * 2007년, 제8회 [[현대시작품상]] 시 《소나기 온 뒤》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김수영 문학상 수상자]][[분류:현대시작품상 수상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대전대학교 동문]][[분류:인천 채씨]][[분류:20세기 시인]][[분류:21세기 시인]]
  • 최남선 . . . . 2회 일치
         1906년에 다시 일본 유학을 떠나 4월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고등사범학부 지리역사과에 입학하지만, 역시 3개월간 다니다 동맹 휴학으로 제적당하다가 복학하였다. 이어 [[이광수]] 등 유학생과 사귀면서 러시아 문학 작품을 탐독하였다. 1906년 7월 유학생 회보인 《[[대한 흥학회보]] (大韓興學會報)》편찬회를 맡아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대한 흥학회보]] (大韓興學會報)》의 편집 활동을 하면서 그는 회보에다 새로운 형식의 시([[신체시]])와 [[시조]]를 발표하였다.
         == 작품 및 저서 ==
  • 최승자 . . . . 2회 일치
         == 작품세계 ==
         한바탕 난장이 훓고 지나간 후의 권태와 상념에 대한 뒤돌아봄, 그리고 삶에 대한 애착과 허무를 담은 시로, 우리나라 현대시인들 중에서는 아주 드물게 인기 작가가 됐다. 작품세계가 끔찍할 정도로 어둡고, 자기 과거에 대한 노출이 적나라하다. 비극적 사랑에 의한 슬픔 혹은 인생의 덧없음에 의한 공허감, 자기연민 등을 극한까지 밀어붙이고, 이를 자학에 가까울 정도로 찢어발기며 냉소한다. 그런데 그러한 어둠이 아주 매력적이라는 게 반전이다.
  • 최우석 (화가) . . . . 2회 일치
         1915년 [[조선서화미술회]] 강습소에 입학하면서 [[안중식]]과 [[조석진]]의 문하생이 되었고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서화협회]] 전람회 정회원을 역임했다. 1925년부터 1934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근대적인 채색화 수법을 응용한 풍경화와 한국의 역사 인물을 주제로 한 초상화 연작을 출품하여 입선과 특선을 연달아 수상했지만 그가 작품 활동 초기에 그린 풍경화와 인물화는 일본 화풍의 채색화라는 비판을 받게 되었고 점차 한국의 전통적인 수묵 담채화의 관념적 작품으로 회귀하게 된다. 주로 산수화와 신선도 등을 그렸다고 전해진다.
  • 캡틴 아톰 . . . . 2회 일치
         [[리부트]] 이후의 [[NEW 52]]부터 개인 시리즈가 나오고 있다. 여기서는 능력 때문에 뇌가 버티지 못하고 인간성을 상실해 버린다. 또한 능력이 '''엄청나게 강화'''되어 거의 전능한 능력을 보여준다. 암을 치료하고 화산 폭발을 막아내며, 탱크의 분자를 수소와 산소로 바꿔서 소멸시키는데다가 방사능을 흡수하여 소멸시킨다. ~~그냥 닥터 맨하탄~~[* 참고로 리붓 이후의 DC 유니버스에도 닥터 맨하탄같은 캐릭터가 하나 더 있다. 파란색인 맨하탄과 달리 붉은색.] 하지만 판매량이 나빠서 2012년 9월에 폐간된다. ~~결국 안습.~~ 개인 시리즈가 부활하지 않는한 다른 작품에서 등장하지 않으면 얼굴 볼 일이 없어지는 상황.
         [[그랜트 모리슨]]의 <멀티버시티> 이야기중 하나인 <팍스 아메리카나> 편에서 등장한다. <팍스 아메리카나>는 캐릭터만 DC 코믹스 캐릭터이고 실제로는 왓치맨이나 다름없는 작품인지라 캡틴 아톰은 문자 그대로 닥터 맨하탄.[* 팍스 아메리카나에서 캡틴 아톰은 유일한 초능력자이자 거의 신급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죽은 개를 살리는 것이 가능하며 과거에 있는 상태에서 미래의 인물과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 콩고(소설) . . . . 2회 일치
         엘리어트는 이들을 자신의 이름을 딴 신종으로 발표하려고 조사를 했으나, 작품 말미에 화산이 폭발하면서 고대도시 진즈가 용암에 묻히면서 모두 전멸하고 말았고 이들을 조사한 엘리어트의 연구 결과도 진즈와 함께 파묻혔다.
         [[쥐라기 공원]]이 마이클 클라이튼 판 [[고질라]]라면, 이 작품은 마이클 클라이튼 판 [[킹콩]]. 하지만 쥐라기 공원과는 달리 장기간 인기 시리즈를 형성하지 못하고 묻혀버린 '초기작'이 되어버렸다.
  • 크립토나이트 . . . . 2회 일치
         여기 있는 목록들은 모두 리부트 전의 내용으로 지금은 리부트로 중구난방인 크립토나이트들은 없어지고 '''그린 크립토나이트'''만 남았다.
         붉은 크립토나이트. 그린 크립토나이트 다음으로 자주 나온다. 발생의 원인도 다양하다. 효과는 작품마다 다양하지만, 대체로 슈퍼맨의 이성을 약화시켜 난폭하게 만들고 그 힘을 폭주하게 만든다.~~아마도 크립톤인을 [[버서커]]화시키는것같은데. 아니 능력강화일지도~~
  •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 . . . . 2회 일치
         == 작품 일람 ==
         [[모탈 컴뱃]] 시리즈에서나 나올 법한 걸[* 당연히 그 쪽처럼 죽는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랬다간 당연히 검열 크리~~] 이런 물건에 넣는 캡콤도 어찌보면 상당히 용자 집단인듯도 하다..~~3작품이나 용자질을 하는데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 안한 게 더 놀라울지도.~~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 . . 2회 일치
         == 작품 일람 ==
          * 작품의 넘버링은 원래 로마숫자로 표기하지만 항목개설의 용이와 검색의 용이를 위해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2회 일치
         === 일반적인 에셋과 사전계획 목록 ===
         == 하이스트 목록 ==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2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블라드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코카인을 숨긴 곳들은 다음 목록 중 하나다.
  • 평론을 쉽게 쓰는 법 . . . . 2회 일치
         = 목록 =
          * 작품이 미국에서 만들어졌을 경우
  • 한명회 . . . . 2회 일치
         묘비문은 동문이자 오랜 친구이기도 한 [[서거정]]이 찬하였다. 생전에는 활달하고 호쾌하며 솔직한 성격으로 인정되었으나 [[조선 세조|세조]] 말기부터 공신들을 견제할 목적으로 등용한 [[김종직]]과 그의 제자인 [[사림파]]들이 [[조선 세조|세조]] 이후 정치계에 본격 진출하면서 그는 '간신'으로 격하되었으며, 그는 가장 '위대했던 간신'으로 평가되었다. [[대한제국]]이 멸망한 뒤에도 오래도록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1910년]] [[대한제국]]의 멸망 이후 그에 대한 전기와 전설, 작품 등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그 뒤 [[1990년]]대에 와서 재평가, 재조명 여론이 나타나게 되었다.
         == 한명회를 다룬 작품 ==
  • 한무숙 . . . . 2회 일치
         장편 작품으로는 [[한국방송]] 대하드라마로 각색되어 유명해진 《역사는 흐른다》 외에 《빛의 계단》, 《석류나무집 이야기》, 《만남》 등이 있다. [[정약용]]의 삶을 주제로 한 《만남》에서 보듯 한국 고유의 전통과 여인의 한에 대한 관심이 특징으로, 동양적 작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수필집으로는 《열길 물속은 알아도》, 《이 외로운 만남의 축복》, 《내 마음에 뜬 달》 등이 있다.
         |제목=“책 읽어라” 등떠밀지 말고 문학관서 작품 체험시켜요 - 엄마랑 아이랑 책나들이 (1) 한무숙 문학관
  • 한승주 (공무원) . . . . 2회 일치
         |직책 = [[고려대학교 총장 목록|고려대학교 총장 서리]]
         |직책 = [[고려대학교 총장 목록|고려대학교 총장 서리]]
  • 허드슨 대학교 . . . . 2회 일치
         == 등장 작품 ==
         참고로 로 앤 오더 만이 아니라 은근히 범죄극에 등장하여 흉악사건의 무대가 되는 경우가 많다. 등장한 작품으로는 캐슬, 블루블러드 등이 있다. 의외로 코스비 가족에도 등장했던 모양.
  • 홍경인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table align=center><rowbgcolor=#696969> {{{#white '''수상 연도'''}}} || {{{#white '''시상식'''}}} || {{{#white '''부문'''}}} || {{{#white '''작품'''}}} ||
  • 황광희 . . . . 2회 일치
         == 출연 작품 ==
         ! 작품
  • 황태연 . . . . 2회 일치
         |주요 작품 = [[Lotus]](영문 소설),<br>[[수영 바이블]](수영 이론서)
         필명 황태연과 황연으로 활동하는 저자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외국인 번역가나 대리인 없이 영문 소설을 처녀작으로 직접 집필, 퇴고, 편찬한 최초의 한국인이다. 현재 [[Lotus]](ISBN-10: 1980979170, ISBN-13: 978-1980979173)라는 소설 작품으로 해외 [[아마존닷컴]]에 등단하여 종이책, [[아마존 킨들]] 전자책으로 판매 중이며 왕성한 활동 중인 작가는 연이어 한국 수영 이론서인 [[수영 바이블]]을 BOOKK란 출판사와 교보문고 퍼플 출판사, 유페이퍼 출판사를 통해 종이책 컬러본과 흑백본, 그리고 전자책으로 출간하였다.
  • 후예 . . . . 2회 일치
         * 창작작품 등장인물의 후손이 활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것들 가운데 특히 자식과 손자가 활약하는 경우를 [[2세물]]이라고 한다.
         == 후손을 소재로 한 작품 ==
  • 희빈 장씨 . . . . 2회 일치
         == 희빈 장씨가 등장하는 영상 작품 ==
         !구분!!연도!!작품명!!배우!!참고
  • 3월의 라이온/에피소드 . . . . 1회 일치
         [[3월의 라이온]] 에피소드 목록
  • DC 확장 유니버스 . . . . 1회 일치
         세계적인 인지도를 지닌 유명 히어로들이 등장하는 DC 히어로들이 그 동안처럼 따로 등장해온 것이 아니라 각 작품이 연동되는 시리즈에서 등장하게 되기에 많은 사람들을 흥분시켰으나..... 그 상태가 '''많이''' 안좋다. 그래도 원더우먼 영화가 준수한 완성도를 지니면서 그 입지를 어느정도나마 회복시켜줬고, 이후 아쿠아맨도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어느 정도 호전되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1회 일치
         == 이벤트 목록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회 일치
         각자의 연구진은 최대 여섯가지의 전공을 가지고 있다. 각자의 기술 또한 다섯-여섯개의 전공(겹칠 수 있음)을 요구하는데, 해당 전공이 연구진이 가지고 있는 전공이라면 연구 속도가 빨라진다. 전공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EpisodeTemplate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IsbnMap . . . . 1회 일치
          IsbnMap 에서 map 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 이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옵션을 달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ISBN 매크로를 고쳐서 (가능하다면 jpg가 없을 때 gif를 찾는 어떤 로직을 넣는 방법이 있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coding에 능력이 전혀 없는지라, 이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리적 차원에서는 이게 사용자 정신건강에 이로운 해결책이 아닐까합니다. (제 위키에서 책목록을 관리하는데 수작업으로 바꿔 줄 생각을 하니 조금 끔직합니다. - 스크립트를 돌려도 되기는 하지만 ... )
  • NEC 코퍼레이션 . . . . 1회 일치
         ==== 주요 작품 ====
  • QTE . . . . 1회 일치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몇몇 작품의 최종부는 QTE로 이루어져있다. 안하면 최종보스에게 죽는다.
  • RecentChangesMacro . . . . 1회 일치
         대부분의 위키위키에서 RecentChanges 문서는 위키의 가장 중심이 되는 뷰이며 위키위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 게시판에서 게시판 목록을 보는 것과 거의 같은 기능을 담당합니다.
  • SeriesTemplate . . . . 1회 일치
         == 작품 일람 ==
  • Victoria II/상품 . . . . 1회 일치
         농부에 의해 생산된다. 생산지는 인도에 많다.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4.1|합성 염료]] 발명을 발견했을 경우 염료 공장의 기능공이 석탄을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 ℃-ute . . . . 1회 일치
         제50회 일본 레코드 대상 우수작품상 수상
  • 강대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강세정 . . . . 1회 일치
         |2017||KBS2||[[내 남자의 비밀]]||기서라, 진여림||<ref>이 작품때부터 본명인 강세정으로 활동하고 있다.</ref>
  • 거대로봇 . . . . 1회 일치
         당연한 말이나 거대로봇은 만들 수 있나, 없나를 떠나서 현실적이지 못하다. 단골요소인 거대한 인간형 2족 보행 로봇이라면 더 그렇다. 그러다보니 거대로봇물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도 적지 않은데 단순 취향 차이도 있으나 거대로봇물에 대한 과한 추종심이 원인이기도 하다. 물론 가상매체에서의 일인데 뭐 어떻냐는 사람들도 있고, 이러한 허구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지 꽤 된 시점에서도 양질의 작품이 나오니 팬이라면 과하게 생각지 말고, 즐기길 권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에피소드 . . . . 1회 일치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에피소드 목록.
  • 고수희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곽승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구성윤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구자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권은희 (1959년) . . . . 1회 일치
         '''권은희'''(權恩嬉, [[대구광역시|대구]], [[1959년]] [[5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컴퓨터공학자이다. 정계에 진출하여 [[2012년]] [[새누리당]]으로부터 공천을 받아 대구에서 당선되어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20대 총선에는 공천을 받지 못하고 컷오프 되었으며,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20_0013969591&cID=10301&pID=10300 與권은희 무소속 출마…유승민계 두 번째 탈당] 뉴시스, 2016년 3월 20일</ref> 바른미래당 전당대회에서 6.85%를 얻어 4위 안에 들지 못했으나, 여성 몫으로 최고위원이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917155|제목=바른미래당, 전당대회…손학규 신임 대표 선출|성=남정민|날짜=2018-09-02|뉴스=SBS NEWS}}</ref>
  • 권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 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그랜드 펜윅 공국 . . . . 1회 일치
         하지만 작품 내에서는 엄청난 활약을 선보인다. 뉴욕을 침공한다던가, 미국 경제를 휘어잡는다던가, 미국과 소련을 제치고 달에 착륙한 첫 국가가 된다던가.
  • 김광석 . . . . 1회 일치
         또한 2010년 11월 그가 태어난 [[서울특별시|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에는 그를 기리는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이 조성되어 350미터의 길에 김광석의 삶과 노래를 주제로 다양한 벽화와 작품들이 들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6/05/2014060501769.html|제목=김광석 출생 50년에 주목받는 김광석 길 따라가보니...|출판사=[[조선일보]]|저자=조성관 편집위원|날짜=2014-06-05}}</ref><ref>{{뉴스 인용|url=http://www.ytn.co.kr/_ln/0115_201405251507299539|제목='김광석'으로 되살아 난 길|출판사=YTN|날짜=2014-05-25}}</ref> 2015년 11월 2일, 1975년부터 1990년까지 김광석의 매각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단독]가수 고(故) 김광석, 학창시절 보낸 창신동 집 팔려 |url=http://www.focus.kr/view.php?key=2016012200153752620 |출판사=포커스뉴스 |저자=이유정 |날짜=2016-01-25 |확인날짜=2016-05-08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60508074315/http://www.focus.kr/view.php?key=2016012200153752620 |보존날짜=2016-05-08 |깨진링크=예 }}</ref>
  • 김대호(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만제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민수 (1983년) . . . . 1회 일치
         ! 작품
  • 김병윤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 김병준 (희극인)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김부식 . . . . 1회 일치
         == 김부식이 등장한 작품 ==
  • 김새해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김숙자 (1389년) . . . . 1회 일치
         김숙자는 스승 길재의 가르침에 확신했고, 그걸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김종직]]은 아버지 김숙자의 이 가르침을 평생을 두고 지켰다. 어릴 때부터 책 목록을 정해 놓고, 그 순서대로 읽는 습관을 따랐다고 한다. ‘소학’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실천 강조 학풍은 김숙자-[[김종직]]을 거쳐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될 정도로 큰 설득력을 발휘했다. 뒤에 영남사림파의 큰 학자로 드러난 [[김굉필]]은 스스로 ‘소학동자’라고 지칭하면서 30세까지 ‘소학’에만 천착했을 정도였다. [[길재]]에서 김숙자를 거쳐 [[김종직]]에 이르는 [[정주학]](程朱學)의 학통이 이렇게 시작되었다.
  • 김승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승목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쌍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우동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정재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준 (배우)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김처선 . . . . 1회 일치
          * [[김(성씨)/목록]]. [[한국사 관련 정보]]
  • 김충섭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김태룡(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태환(1943)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에피소드 목록.
  • 남치근 . . . . 1회 일치
          * 임꺽정 관련 작품에서 거의 언제나 [[최종보스]]로 등장. 잔인하게 토벌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 네토라레 . . . . 1회 일치
         --이미 마음이 떠난 여친이나 친구가 섹스하고 비디오를 찍어서 자위하라고 보내주는 훈훈한 미담을 다룬 작품들--
  • 노무리쉬어 . . . . 1회 일치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서 프로듀서 [[노무라 테츠야]]가 담당한 작품에서 나오는 표현들이, 매우 [[중2병]] 스럽기 때문에 이걸 놀리는 의미로 붙여진 말이다.
  • 노행하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1회 일치
         === 이 용례가 사용된 작품 ===
  • 다멘즈 . . . . 1회 일치
         2000년에서 2013년 까지 연재된 『다멘즈 워커(だめんず・うぉ〜か〜)』라는 만화가 어원. 주로 몹쓸 남자를 만나서 고생을 하는 여자들의 체험담을 소개하는 내용을 그린 작품으로, 드라마화도 되었다. 이 만화의 제목은 카도가와 서점에서 발매하는 잡지 『Men's Walker』를 패러디 한 것이기도 하다.
  • 대마신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도모세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동왕부 . . . . 1회 일치
         서왕모와는 달리 동왕부는 독자적으로 숭배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동왕부를 묘사할 때는 미술 작품(동경, 그림 등) 등에서 서왕모와 나란히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미술적 관점에서 서왕모와 대칭되는 존재로 나타난 것이 동왕부의 시초인 것이다. 동왕부는 서왕모의 부속신이라고 할 수 있다.
  • 듄 2 . . . . 1회 일치
         듄 2의 팬 리메이크 작품인 듄 레가시가 있다. 인터페이스 등의 요소가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 비슷해 졌다던가, 프레멘 같은 진영이 추가되었다던가 하는게 특징.
  • 라데츠 . . . . 1회 일치
         플롯의 개념에서 상당히 비중이 큰 캐릭터인데, Z의 도입부에서 갑작스러운 등장으로 충격 효과를 줄 뿐더라, 작품의 무대를 우주로 넓히고 손오공의 과거나 정체 같은 중요한 설정까지 공개. 그리고 엄청난 강함으로 앞으로 있을 사이어인과의 처절한 사투를 예고하고 있는 캐릭터이다.
  • 라이트노벨 . . . . 1회 일치
         문학의 한 장르로, 말 그대로 가볍게 읽고 즐기는 것이 목적인 소비지향적인 [[소설]]을 뜻한다. 일본에서 만들어졌으며 최초의 라이트노벨은 몰라도 최근에는 주로 오타쿠들이 소비하는 소설로 여겨지고 있다. 장르의 특성상 러브코메디나 또는 전쟁물 등 말초적인 자극을 주는 내용들이 자주 보인다. 2000년대 중반~2010년대에는 국산 라이트노벨도 만들어졌으나 인기 저하 및 웹소설의 부흥으로 사실상 멸망했다고 보고 있으며, 여전히 시장에선 일본산 라이트노벨의 영향력이 크다. 또한, 작품들 중 인기있는 라이트노벨의 경우 코믹스나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지고 있다.
  • 로빈 . . . . 1회 일치
         == 인물 목록 ==
  • 리얼리즘 FPS . . . . 1회 일치
         == 목록 ==
  • 마기/334화 . . . . 1회 일치
          사실 네르바가 반란을 도모한건 쥬다르의 충동질 때문이었다. 그러고 보니 알리바바가 뢰엠에 갔을 때 [[티토스 알렉키우스]]가 한 말도 있다. 원래 부추기기 쉬운 도련님이라 누가 선동한거 같다는 이야기. 그게 쥬다르의 작품이었다.
  • 마기/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마기]]의 에피소드 목록.
  • 마더콘 . . . . 1회 일치
         여기서는 미와와 오오이와 사이에서 태어난 여자아이 카나코(加奈子)와 후유히코가 재혼 후에 낳은 소년 마리오(麻里夫)이 성장하여 사랑을 한다는 데서 시작된다. 참고로 사노 시로우는 마리오 역도 맡았으며 이 작품에서는 진성 스토커다.(...)
  • 마약 . . . . 1회 일치
         == 목록 ==
  • 마왕이 나타났다 . . . . 1회 일치
          * 처음에는 마왕의 ㅁ자도 보이지 않는 작품도 있다. 약간 복선은 있지만 아무래도 떼어다 붙인 느낌이 된다.
  • 마철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망나니 장군 . . . . 1회 일치
         [[에도 막부]]의 제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정체를 숨기고, 하타모토의 삼남 토쿠다 신노스케(徳田新之助)라는 이름으로 마을로 내려와 소방대 메구미(め組)의 식객으로서 읍민과 교류를 하며, 세상에 만연하는 악을 베어서 처단한다는 [[권선징악]] 작품이다.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Nicole Horne. 이 작품의 최종보스. 에이저 코퍼레이션의 회장으로 미군이 진행하던 계획인 "발할라 계획"의 주요 인물이었다. 발할라 계획이 취소된 후에도 발키리를 계속해 만들었다. 펀치넬로 저택에서 탈출하던 맥스를 붙잡아 발키리를 주입해 기절시키고 저택에 불을 지른게 첫 등장. 하지만 맥스는 살아남아 에이저 코퍼레이션 건물을 습격하였고, 니콜 혼은 헬기를 타고 도망치려 했지만 맥스가 무너뜨린 첨탑에 의해 헬기가 폭발, 사망한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Max Payne 2: The Fall of Max Payne. TPS 게임 시리즈인 [[맥스 페인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1회 일치
         == 목록 ==
  • 모던 워페어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못난 나를 사랑해주세요 . . . . 1회 일치
          * 슈에이사 작품소개 : http://you.shueisha.co.jp/lineup/damena_watashi.html
  • 문호월 . . . . 1회 일치
         문호월은 3박자 대중가요와 트로트, 신민요에 고루 능하여 다양한 음악을 구사했으나, 신민요 히트작이 많아 초기 신민요의 대표적 작곡가로 꼽힌다. [[1940년]]에 발표한 〈반달 뜨는 밤〉 이후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작품 활동이 드물어졌고, 사망 시기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미스터 아톰 . . . . 1회 일치
         외형은 대체로 머리 부분이 뾰족한 모습이며 등장 작품에 따라선 보다 기계적인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1회 일치
         이후 그는 건축사업에 착수하는데, 우선은 성 소피아 성당과 성 바울 성당을 보강했고, 이후 '네아 바실리카'라 불리는 그의 걸작품인 성당을 축조한다. 이 성당은 바실레이오스의 성 소피아 성당이라 할 수 있는데, 금을 입힌 돔은 도시밖에서도 보였고, 내부를 들여다보면 돔내부에는 예수의 모자이크가 그려져 있으며, 그외에 천사, 대천사, 순교자, 사도 등등이 묘사된 모자이크가 실내 곳곳을 장식했다. 성상 칸막에는 금은과 보석들이 장식도 있었고, 주제단은 '금보다 더 귀한 금속으로'장식되 있었다고 하며, 은을 입힌 닫집 기둥[* 중간을 오목하게 파서 장식한 기둥]이 성당주위를 둘렀다. 그외에도 그는 금고와 목욕탕, 트리클리니움[* 침상이 구비된 식당]을 많이 지었으며 칼케대문과 도시의 수많은 궁전들을 보수하고 일일이 장식했다. 말그대로 그의 치세에 도시는 전성기를 열었다.
  • 박기환(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보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상돈(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대한민국 국군/인물]]
  • 박성원 (소설가) . . . . 1회 일치
         |주요 작품 = 이상異常 이상李箱 이상理想<br /> 나를 훔쳐라<br /> 얼룩
  • 박세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박소희 (만화가) . . . . 1회 일치
         == 주요 작품 ==
  • 박순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술희 . . . . 1회 일치
         == 박술희가 등장한 작품 ==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재홍(1941)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개종/인물]]
  • 박정수(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종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주아(1942년)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박주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박준규(1925)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박준홍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창달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칠용 . . . . 1회 일치
         * [[1986년]] 《[[대원군 (소설)|대원군]]》<ref>[[김동인]]의 [[소설]] 《[[운현궁의 봄]]》과 [[유주현]]의 [[소설]] 《[[대원군 (소설)|대원군]]》을 혼합 형식으로 각색 및 제작한 [[연극]] 작품.</ref> ...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 이하응]] 역(주인공)
  • 박태준 (작곡가) . . . . 1회 일치
         본관은 [[밀양 박씨|밀양]]이며 호(號)는 귀봉(龜峯)· 산남(山南)· 계산(桂山)이고, 종교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개신교(예장통합)]]이다.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나 [[계성고등학교 (대구)|대구 계성고등보통학교]]를 나온 이후 미국 [[터스컬럼 대학교]]와 [[웨스트민스터 대학교]] 음대 및 대학원을 나왔다. 귀국 후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를 거쳐 [[연세대학교]] 종교 음악과를 창설하였으며, 많은 작곡을 하여 한국 음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예술원 음악공로상과 국민훈장 무궁화장 등을 받았다. 64년 연세대학교 음대 학장을 지냈다. 작품으로 〈오빠생각〉 〈집 생각〉 〈사우(思友)〉 등 150여 곡이 있고, 동요곡집으로 〈중 중 때때중〉, 가곡집으로 〈박태준 가곡집〉 등이 있다.
  • 박현진 (음악가)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박희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배기철(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배영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백기만 . . . . 1회 일치
         == 작품 ==
  • 백남억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 백성현 . . . . 1회 일치
         ! 작품
  • 백일섭 . . . . 1회 일치
         |title = 백일섭의 수상 목록
  • 백정현 . . . . 1회 일치
         별명으로는 '백작가'[* [[작가(야구)|마운드 위에서 작품활동을 한다는]] 뜻이 아니라,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여행 사진의 퀄리티가 사진작가급이라는 것에서 유래. --[[랜디 존슨]]?-- '이야깃거리' 항목 참조. ], 오키나와 전지훈련에서만 잘하는 것에서 따온 '오키나와 에이스', '오키나와 커쇼', 이름에서 따온 '백정', 그리고 못할 때는 '[[백린탄]]'이라고 불리며 까인다. 팀내 별명은 '말순이'인데, 과거 드라마 [[육남매]]에서 말순이 역할을 맡은 송은혜와 비슷해서 붙은 별명이다. 2017년 지금은 삼성 선발진에서 에이스나 다름 없는 활약을 하며 '백쇼'(백정현+커쇼)라는 별명이 거의 정착된 상태.
  • 벚꽃놀이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창작된 대중문화 작품에서는 흔히 나오는 이벤트이다. 특히 연애물에서는 빠지지 않는다.
  • 벨트스크롤 게임 . . . . 1회 일치
         == 목록 ==
  • 보쿠걸/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보쿠걸]] 에피소드 목록
  • 보테바라 . . . . 1회 일치
         배가 볼록 튀어나와 있는 모습. 주로 18금 작품에서 쓰이는 말이다.
  • 북유럽 신화 . . . . 1회 일치
         마법도 등장하고 괴물도 많이 나오고, 대개 판타지와 분위기가 밀접해서 그런지 많은 작품에서 인용된다. 판타지 리소스로는 [[그리스 신화]]와 투톱.
  • 불단 . . . . 1회 일치
         일본 대중문화 작품에서 고인을 모시는 모습으로 가끔 볼 수 있다.
  • 블리치/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블리치]]의 에피소드 목록
  • 산킨고타이 . . . . 1회 일치
         일본 시대극에서도 '다이묘 행렬'은 단편적으로만 묘사되지만, 일본 만화 '[[츠라츠라 와라지]]' 등의 일부 작품에선 제법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 생일파티 . . . . 1회 일치
         러브코미디나 연애가 나오는 작품에서는 생일 챙겨주기 이벤트는 흔히 나타난다.
  • 서림 . . . . 1회 일치
         '간사한 배신자' 서림은 임꺽정 이야기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등장한다. 대부분의 작품에서 서림은 원초적인 완력을 강조하는 '[[백정]]' 임꺽정과 대비되어, 몰락양반이나 아전 등 [[지식인]] 계층의 인물로 등장한다.
  • 성인 . . . . 1회 일치
         이 4개의 교단은 각각 성인으로 인정하는 대상이 달라서 제각각 별도의 성인 목록을 가지고 있다. 정교회의 경우, 각 지역 정교회 마다 또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대체로 모든 교단에서 성인으로 인정받는 사람은 10명도 채 되지 않는다(…).
  • 손민수(희극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코미디언/목록]]
  • 송아영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송언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경북고등학교/동문]]
  • 슈퍼걸(드라마)/1시즌 10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1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2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3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4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5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6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7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8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걸(드라마)/1시즌 9화 . . . . 1회 일치
         # 특정작품의 몇화의 에피소드 소개.
  • 슈퍼히어로 팀 . . . . 1회 일치
         슈퍼히어로 한 명이 등장하는 것과 비교하면 슈퍼히어로 팀으로서는 실사[[영화화]]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일단 등장 캐릭터가 많고[* 히어로가 한 명이라 해도 그 히어로와 싸울 빌런과 히어로의 주변인물 등이 있다. 그런데 팀이라면 더 많아진다.], 각 캐릭터의 비중[* 원작이 있는 작품이고, 캐릭터가 인기파인데 비중이 약하면 욕먹기 딱 좋다. 그리고 인기는 둘째 치고 등장했으면서 별 비중 없으면 왜 등장시켰냐는 비난을 듣기 쉽다.]과 액션[* 주역이 초능력자라면 그 초능력을 잘 묘사해야 하고 비능력자라도 뛰어난 격투신같이 좋은 액션을 보여줘야 한다. 특히 주역이라면.]을 신경써야 하기에 그 난이도가 정말 높아진다. 90년대에 먼저 나온 닌자 거북이 실사판 3부작의 성공이 팀 무비도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줬고, [[어벤져스]]의 대박으로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알렸다.
  • 스트레인지리얼 . . . . 1회 일치
         전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현대 전투기가 날아다니는 배경으로 7~8개의 작품을 쑤셔넣은 결과. 이게 쪼그만한 전쟁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는데 한 전투마다 전투기 수십여대가 격추되는 수준의 전쟁이라.......
  • 스트리트 파이터 2 . . . . 1회 일치
         [[캡콤]]이 제작한 대전액션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으로 엄청난 인기를 불러모았다.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스파이더맨 . . . . 1회 일치
          몇몇 관련 작품에서는 몸에서 직접 만들어져 발사된다. 정식 시리즈에서는 일시적으로 가졌던 능력이며, 샘 레이미의 영화판 스파이더맨 시리즈에서도 이러한 묘사로 나왔다. 이런 종류에서는 보통 손목에서 거미줄 발사관이 있는 걸로 나온다. 하지만 올드한 팬들은 이쪽 설정은 징그럽게 느끼는 것 같다(…).
  • 식극의 소마 . . . . 1회 일치
         동잡지에 연재중인 [[토리코]]는 비슷하게 요리와 배틀을 접목시킨 작품인데, 이쪽은 어디까지나 배틀물인데 비해 식극의 소마는 전통적인 요리배틀 만화의 플롯을 지키고 있다. 기존 점프 만화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정통파 요리배틀 만화.
  • 식극의 소마/221화 . . . . 1회 일치
          * 그렇게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결정된 메기시마의 2라운드 작품은... '''아프리칸 라면'''. 소마, [[타도코로 메구미]], [[타쿠미 알디니]]는 자신들이 들은게 맞는지 의심하며 서로 확인해 보지만 틀림없이 "아프리칸 라면"이라 말했다. 그게 대체 뭔가? 아프리카에 라면이 있긴 한가? 하긴 적인 린도는 악어가 주재료다. 이래서야 악어와 코끼리가 자웅을 겨루는 동물의 왕국스런 장면 밖에 연상되지 않는다.
  • 식극의 소마/225화 . . . . 1회 일치
          * 사이토가 내놓은 요리. "참치 십관 홍옥알 스시". 화과자를 연상케하는 작고 정교하고 화려한 초밥이다. 이전에 [[나키리 아리스]]가 만든 "테마리즈시"보다도 작다. 보는 이들은 누구나 "아름답다"고 입을 모으는 작품. 한편 아직 조리를 마치지 않은 미마사카는 사이토의 공정에 없는 무언가를 추가하려고 하고 있다. 어떤 재료를 볼에 담아서 꺼내는데. 소마는 그것이 뭔지 직감했다. 이것이 승부의 향방을 판가름할지도 모른다. 이제 남은 조리 시간은 10분. 2라운드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 식극의 소마/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식극의 소마]] 에피소드 목록.
  • 신지훈(배우)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신화용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심학봉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아이언맨 . . . . 1회 일치
         [[미국]] [[만화]] 회사 '[[마블 코믹스]]'의 작품 중 하나에 나오는 [[슈퍼히어로]]. ~~빨리 발음하면 '아연맨'으로 들린다.~~
  • 아키즈키 리츠코 . . . . 1회 일치
          * 사실 리츠코가 전업 프로듀서로 나온건 2와 애니마스 뿐. 하지만 2차 창작에서는 대부분 전업 프로듀서다. 왜일까 원포올에서 복귀했음에도 복귀를 그리는 작품이 드물다.
  • 악당 . . . . 1회 일치
          아름다운 외모만으로도 존재감이 빛나는 유형.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첫인상이 중요한 것은 창작물에서도 예외가 아니기에, 대개 미형 악역인 경우는 작품 내외적으로 인기나 옹호가 많다. 특히 성격까지 매력적이면 (다른 의미로) 답이 없다. ~~여기에 성우 더빙까지 된다면...~~ ~~그만해~~ 물론 악당으로서의 행적이 인간말종스러우면 그 외모가 소용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그 외모가 사라질 정도의 최후를 맞이하는 편.
  • 안기효 . . . . 1회 일치
         그 외 대표적인 별명은 하부리그의 총사령관, 혹은 지옥의 하데스. 메이저 본선에서는 큰 활약을 펼치지 못하나, 하부리그인 챌린지 리그나 듀얼 토너먼트 등에서는 못이기는 상대가 없기에 붙여진 별명. [[온게임넷]] 예선인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에서 대 테란전 전적은 총합 25승 6패이며 상대들의 이름만 보더라도, 각 팀 주전급 이상의 테란들이다. 아래는 챌린지 및 듀얼에서 맞붙은 [[테란]] 목록.
  • 안효민 . . . . 1회 일치
         == 출연작품 ==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 목록 ==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1회 일치
         2012년 발매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5번째 작품. [[미국 독립 전쟁]]시기를 배경으로 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1회 일치
         해당 아이템의 목록은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페이지 참조.
  • 얼티밋 에콜로지 . . . . 1회 일치
         [게메스트]의 제1회 게임 기획 대상 수상작품.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Ace Combat 5: The Unsung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Ace Combat Zero: The Belkan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6번째 작품.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엔자이 . . . . 1회 일치
         이데 대해 다룬 영화로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라는 작품이 있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2329|포스터]를 보면 알겠지만 유죄확률 99.9%라는 단어가 나올 정도로 일본에서 한번 열린 형사재판에서 무죄가 될 가능성은 그냥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암담한 현실을 다룬다. 영화의 결말도 99.9%의 확률을 이기지 못한다.
  • 영국 요리 . . . . 1회 일치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오중기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오퍼레이션 발할라 . . . . 1회 일치
         == 요원 목록==
  • 우메즈 카즈오 . . . . 1회 일치
         === 작품 활동 ===
  • 우미나리 시 . . . . 1회 일치
         그나마 3편 StrikerS 이후로는 작품의 배경이 다른 곳으로 옮겨지면서 ~~표면적으로~~ 평온을 되찾게 된다.
  • 우찬양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우치데노코즈치 . . . . 1회 일치
         『헤이케이야기(平家物語)』에서 [[오니]]가 가진 보물의 목록에 등장한다.
  • 원피스/842화 . . . . 1회 일치
          * 상디의 그 지독한 기사도는 바로 제프의 작품.
  • 원피스/847화 . . . . 1회 일치
          * 빅맘 샬롯 링링은 성의 도서실에서 자신의 "컬랙션"을 과시하고 있다. 그녀의 컬렉션은 아들 샬롯 몬도르의 작품. 그의 능력으로 살아있는 생물을 "책" 속에 봉한 것이다. 그는 여러 페이지를 펼쳐서 수집한 생물을 보여준다. "검은 수염"이 임펠다운을 습격했을 때 유출된 "만티코어"나 "유니콘" "그리폰" 같은 전설적인 생물도 있다. 마치 표본처럼 못이 박혀 있는데 하나같이 살아서 몸부림친다. 심지어 사람도 들어가 있는데 펑크 하자드에 있던 "켄타우로스"나 수장족과 족장족의 혼혈인 "수족장인간" 같은 희귀한 인간도 들어가 있다.
  • 원피스/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원피스]] 에피소드 목록.
  • 위저드리 6 . . . . 1회 일치
         위저드리 시리즈의 6번째 작품. 부제는 Bane of Cosmic Forge. 일본어판의 부제는 '금단의 마필'.
  • 유언/게임 . . . . 1회 일치
         게임의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적으며, 시리즈물일 경우에는 작품 순서대로 적는다. 등장인물의 순서는 사망 장면이 등장한 순서대로 적는다.
  • 유언/영화 . . . . 1회 일치
         영화의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적으며, 시리즈물일 경우에는 작품 순서대로 적는다. 등장인물의 순서는 사망 장면이 등장한 순서대로 적는다.
  • 유열 (가수) . . . . 1회 일치
         2014년 [[제3회 예그린어워드]]에서 한해 가장 우수한 아동 청소년 창작뮤지컬 작품상인'아시테지상'을 수상하였다.
  • 유한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육홍균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윤진이 . . . . 1회 일치
         ! 작품
  • 윤천주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서울대학교/총장]], [[부산대학교/주요 총장]]
  • 은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은혼]]의 에피소드 목록
  • 의적 . . . . 1회 일치
         == 의적(이라고 불리는 사람들)목록 ==
  • 이강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이근직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기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이동찬(기업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이득을 준 배신자를 처단하기 . . . . 1회 일치
         실제 역사에서 유사한 사례가 있어왔던, 문학작품, 역사의 [[클리셰]].
  • 이미라 . . . . 1회 일치
         == 작품 ==
  • 이병석(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병욱(스트리머) . . . . 1회 일치
         '''[[골초|상당한]] [[애연가]]'''다. 그래서인지 최근 영상 목록에는 대부분 [[담배]] 리뷰 밖에 없다.
  • 이상정 (1897년) . . . . 1회 일치
         == 작품 ==
  • 이상휘 . . . . 1회 일치
          * 상위문서: [[정치인/목록]], [[친이]]
  • 이선미 (소설가) . . . . 1회 일치
         == 작품 ==
  • 이설주 . . . . 1회 일치
         == 작품 ==
  • 이영희 (1936년) . . . . 1회 일치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한 그녀는 [[1994년]]에는 프랑스 파리에서,<ref>[http://news.joins.com/article/18725617 반평생 바친 한복, 한류 명품으로 키울 자신 있어요] 《중앙일보》 2015-09-23</ref> [[2001년]] [[6월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평양직할시|평양]]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였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108528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의 인생 이야기] 《연합뉴스》 2014-09-06</ref> 또 2005년 APEC 정상회의 때는 APEC 정상회의의 이벤트였던 전통의상 부문에서 참가국 정상들의 두루마기를 제작한 바 있다.<ref>[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12674691 APEC 정상들의 두루마기 패션쇼] 《한국경제》 2016-01-26</ref> 배우 [[전지현]]의 시외조모이다.<ref>[http://news.ichannela.com/enter/3/06/20151004/73990365/1 ‘전지현 시할머니’ 이영희, 누구 한복 만들었나] 《채널A》 2015-10-04</ref>
  • 이예린 (1974년)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이원석(1981년)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이원재(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이원형(1951)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 이은수(육군)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법조인/목록]]
  • 이인 . . . . 1회 일치
         |직책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참의원(서울특별시 제2부)]]
  • 이정명 . . . . 1회 일치
         == 작품 ==
  • 이정무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준섭(군인,정치인)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 이중환(법조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법조인/목록]]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철희(1964)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판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헌일 . . . . 1회 일치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6437&ipp=10000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자 목록]
  • 이현 (1983년)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이홍우(1959)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휘향 . . . . 1회 일치
         ! 작품
  • 인교진 . . . . 1회 일치
         ! 작품
  • 임은정(법조인) . . . . 1회 일치
          * 상위항목 : [[법조인/목록]]
  • 임인배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장우석 . . . . 1회 일치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국가인권위원회]]가 주최하는 '인권작품 공모전'(www.humangongmo.kr) UCC부문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어 활동했다.
  • 재생불능공격 . . . . 1회 일치
         배틀물에서 등장하는 특수능력의 하나. 재생, 회복 등의 특수능력이 있는 설정의 작품에서 재생이나 회복 등의 특수능력을 무효화 하는 특수능력이다.
  • 전국 BASARA . . . . 1회 일치
         [[캡콤]]이 제작, 발매한 액션게임. [[전국 BASARA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 전순옥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민주통합당|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 7,777,123 표 | 36.45 | 비례대표 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절대가련 칠드런/462화 . . . . 1회 일치
         목욕탕 카운터를 보고 있는 인물은 [[시이나 타카시]]의 전작 [[엽기열탕 카나타]]의 주인곤 카나타. 머리 위에 있는건 [[성룡도]]다. 워낙 망한 작품이라 작가 본인도 흑역사 취급에 "절대로 공식에선 그리지 않겠다"고 공언한 물건인데 왠지 카메오로 등장.
  • 절대가련 칠드런/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절대가련 칠드런]] 에피소드 목록
  • 정겨운 . . . . 1회 일치
         ! 작품
  • 정광용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친박]], [[박사모]],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정치깡패]], [[범죄자/목록/한국]]
  • 정무식(정치인)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 정재민(2001)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정진욱(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정형돈 . . . . 1회 일치
         |title = 정형돈의 출연 활동 목록
  • 주상철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아나운서/목록]], [[가톨릭/인물]]
  • 주윤발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지증왕 . . . . 1회 일치
         |목록=[[신라의 역대 국왕|신라의 제22대 국왕]]
  • 진헌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창작:세대륙 이야기 . . . . 1회 일치
         = 참고작품 =
  • 창작:요괴위키 . . . . 1회 일치
         == 목록 ==
  • 창작:좀비탈출 . . . . 1회 일치
         == 목록 ==
  • 최고은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작품 ==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최동익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민주통합당|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 7,777,123 표 | 36.45 | 비례대표 2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최란(배우)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최민환 . . . . 1회 일치
         '''{{참고|FT아일랜드#수상 내역|설명=[[FT아일랜드]] 수상 목록은}}'''
  • 최선영 (희극인)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최성관 (1925년) . . . . 1회 일치
         == 영화작품 ==
  • 최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 작품 활동 ==
  • 최수진 (성우) . . . . 1회 일치
         == 출연작품 ==
  • 최수환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최아라 (모델)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최영미 (시인) . . . . 1회 일치
         1992년 《창작과비평》 겨울호에 〈속초에서〉 외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투명한 언어, 일상의 언어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정확한 비유, 대담한 발상과 세련된 유머, 자본과 권력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로 한국사회에 충격을 주었던 첫 시집인 《서른, 잔치는 끝났다》는 [[1994년]] 50만 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저서로 시집 《꿈의 페달을 밟고》, 《돼지들에게》, 《도착하지 않은 삶》, 《이미 뜨거운 것들》이 있다. 1970년대 서울 변두리의 가족사를 다룬 첫 장편소설 《흉터와 무늬》(2005년)를 출간했고, 1988년 이후 26년 간 틈틈이 써온 원고를 다듬고 보완하여 1980년대 청춘의 방황과 좌절을 다룬 자전적인 소설 《청동정원》(2014년)을 펴냈다.
  • 최우제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1회 일치
          * 관련 항목 : [[법조인/목록]], [[우병우 사단]]
  • 최재만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최재웅 (배우) . . . . 1회 일치
         !rowspan="2"|작품
  • 최정호 (성우) . . . . 1회 일치
         == 출연작품 ==
  • 최준석 . . . . 1회 일치
          * 《[[2015년|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 미디어데이&팬페스트('15. 3. 23.)》행사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주장#s-1|주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배지현|사회자]]의 "[[홈런]] 세리머니[* 각 루를 차례로 돌고난 뒤 홈 베이스를 밟을 때 하늘을 향하여 두 번 손짓.]의 의미가 혹시 경기 끝나고 [[족발]] 2인분?"이라는 질문에...[*스포일러 "[[중학교|중]]1 때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는데, 이 [[홈런]]을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바친다는 의미입니다."라고 대답하여 빵터졌던 장내를 일시에 숙연하게 하였다.] [[https://youtu.be/11ez9dbOz94|백문이 불여일견(유튜브 링크)]] ...라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이 세리머니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407001&redirect=false|홍성흔과의 합작품.]] 원래는 홈런친 것을 잊고 다시 시작하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외부에 드러냄으로서 동료의 사기를 높이고 상대에게 위압감을 느끼게 한다고... 이후 세리머니 논란을 의식했는지 대외적으로는 추모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2016년부터는 세리머니를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2&id=2203353|안 하기로 결정했다.]]
  • 최희준 (가수) . . . . 1회 일치
         1960년 첫 작품인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라는 곡으로 본격적으로 활동하였다. 《엄처시하》(1961년, [[문화방송]] 드라마 주제가) 발표 후 1961년 9월 해병 연예대에 입대했다.
  • 추봉 (배우) . . . . 1회 일치
         == 출연작품 ==
  • 추자현 . . . . 1회 일치
         |title = 추자현의 수상 목록
  • 츠라츠라 와라지 . . . . 1회 일치
         에도 시대의 제도인 '[[산킨고타이]]'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당시 일반적인 '다이묘 행렬'의 상세한 전모를 들여다볼 수 있다. '츠라츠라 와라지'란 말은 다이묘 행렬 수행원들이 짚신 신고 걷는 모습을 '짚신(와라지) 행렬(츠라리츠라리)'이라고 묘사한 것.
  • 츤데레 . . . . 1회 일치
         겉으로는 상대에게 퉁명스럽거나 또는 싫어하는 척 하면서 실제로는 호의를 보이는 태도. 서브컬쳐나 문학 작품에서 먼 옛날부터 쓰여온 설정 중 하나이다.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1회 일치
         본디 원작은 마크 슐츠[* [[피너츠]]의 작가와 성씨가 같지만 혈연관계는 아니다. 나중에는 슈퍼맨&배트맨 vs 에일리언&프레데터 같은 작품을 쓰기도 했다.]의 제노조익 테일즈(Xenozoic Tales). [[만화]]가 히트한 후 당시 애니메이션의 주 시청자인 미국의 10대 소년, 소녀들에게 맞게 원작의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부분을 삭제하면서 내용을 변형시키고[* 그러한 부분들을 삭제하니 내용 자체가 안 이어져서 그냥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제목을 바꿔서 [[애니메이션]]화한 것이 바로 캐딜락&디노사우르스이다. 이후 애니메이션을 베이스로 [[마블 코믹스]]에서 이걸 다시 만화화했으며, 또 이 만화를 [[캡콤]]이 [[벨트스크롤 액션게임]]화한 것 또한 캐딜락&디노사우르스이다. 본 항목에서는 게임 위주로 서술한다.
  • 캡콤 . . . . 1회 일치
         == 게임 목록 ==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 . . 1회 일치
         == 게임 목록 ==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 . . . 1회 일치
         [[RTS]] 게임인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작품. 2003년 발매되었다. 테러조직인 [[GLA]]에 대항해 [[미국]]과 [[중국]]이 손을 잡고 싸우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1회 일치
         이에 맞서 튀르크군은 자가노스 파샤[* 그리스인 배교자로, 대표적인 주전파였다.]를 지휘관으로 한 부대를 금각만 근처에 배치했고, 보소포로스 해협건너 언덕에 병력을 산개시켜 페라의 제노바인들이 도시를 돕지 못하게 막았다. 그리고 성벽 맞은편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금각만에서 언덕위에 카리시오스 문까지는 카라쟈 파샤를 지휘관으로 한 유럽 정규군들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중포도 상당수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포들은 블라케르나에 성벽에서 테오도시우스 성벽과 이어지는 귀퉁이 공격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리쿠스 계곡 남쪽 경사면에서 마르마라 해안까지는 이샤크 파샤의 지휘하에 아나톨리아 정규군이 저라접었는데, 그는 황제의 신임을 받지못했기에 그의 절친한 친구였던 그리스인 배교자 마무드 파샤가 지휘를 맡았다.[* 그는 특이하게도 앙겔로스가 출신이었다.] 술탄은 메소테이키온 성벽 맞은편 리쿠스 계곡에 자리잡았는데, 그의 앞에는 그의 최정예 부대인 예니체리 부대와 헝가리인 대포 기술자 우르반의 대포들이 있었다.[* 이 우르반이란 자는 본래 황제에게 고용된 자였는데, 황제가 그의 신작품들을 만들어줄 자금이 충분치 않다는걸 알자, 몰래 도시를 빠져나와 술탄에게 간 자였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1회 일치
         Call of Juarez: Gunslinger. [[서부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으로,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의 네번째이자 제일 최근 작품이다.
  • 태종무열왕 . . . . 1회 일치
         == 태종무열왕 등장한 작품 ==
  • 토리코/395화 . . . . 1회 일치
          * 풀코스의 "전채", BB콘이 등장. 하지만 통상의 BB콘이 아니라 치킨 키슈와 비장의 조미료 "멜크의 별가루"가 토핑돼 있다. 하객들이 대호평하자 초대 멜크와 2대 멜크도 만족스럽게 미소짓는다. 치킨 키슈도 공들인 작품. 다양한 재료로 만든 페이스트리 안에 커스타드 크림을 넣은 음식인데 코마츠가 토리코와 처음 만났을 때, 토리코가 낚시로 잡았던 가재피시와 오미 독수리를 넣었다. 코마츠는 풀코스 안에 자신과 토리코의 인연과 여정을 새겨넣은 것이다.
  • 토이 솔져스: 콜드 워 . . . . 1회 일치
         장난감 병정 [[타워 디펜스]] 게임인 [[토이 솔져스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 1편인 [[토이 솔져스]]가 [[제1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했다면, 토이 솔져스: 콜드 워는 미국과 소련 간의 [[제3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다뤘다.
  • 토탈워: 쇼군 2 . . . . 1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이다.
  • 트로피코 4/건물 . . . . 1회 일치
          * 트로피코 전통 미술: "소녀와 라마"("2명의 소녀와 한 마리의 라마"와는 다른 작품입니다.)와 "파파야를 먹는 남자"와 같이 트로피코의 명화들을 전시합니다. 트로피코의 미술품이 매각되면 부수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특촬물 . . . . 1회 일치
         단어 그 자체의 의미로는 '''특수촬영물'''(特殊撮影物)의 약자. 넓은 의미로는 특수촬영기법이 사용된 모든 영상물을 말하지만,[* 오죽하면 [[닥터후]]나 [[히어로즈]]와 같이 특수효과로 점철된 [[드라마]]들도 특촬물이라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크게 보자면 틀린말도 아니긴 하다)--한 술 더 떠서 [[텔레토비]]도...--][* 대표적으로 몇 년 전 [[루리웹]]의 애니 게시판에서(여기선 특촬물 관련 글도 같이 취급한다) 일부 회원들이 저 두 작품을 두고 '이것도 특촬이다'라며 도배하면서 논쟁이 일어났다가 잠시 동안 특촬 관련 게시글이 금지가 됐었다.] 일반적으로 '특촬물'이라고 하면 전대물, [[괴수]]영화 같은 일부 장르의 영상물에 한정된다. 특수효과를 뜻하는 약어인 SFX(Special Effect)가 영상물 전반의 이름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SF]]와 헷갈리지 말자! [[디워]]의 경우가 --애초에 이 영화 자체가 여러가지로 까이지만-- SF와 SFX를 구별 못한 대표적 사례로, SF영화라고 홍보했다가 엄청난 빈축을 사기도 했다.
  • 틀:스포일러 . . . . 1회 일치
         이 틀의 아래에는 <b>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b>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div>
  • 판타스틱 포(2005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참고로 국내 개봉하면서 제목을 <판타스틱 4>라 했다. 그러다보니 몇몇 사람들은 저 4를 '4번째 작품'이란 뜻의 4로 착각하여서 이 영화가 전편이 있는 물건인 줄 알고 '''판타스틱 3, 판타스틱 2''' 등을 찾아보는 웃지못할 해프닝도 벌어졌었다. 사실 원제는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Fantasrtic Four'라고 표기되니 딱히 헷갈릴 일이 없는데 굳이 4라고 써놔서...
  • 판타스틱 포(2015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 마찬가지로 마블 코믹스 원작에 폭스에서 영화화한 [[브라이언 싱어]]의 [[엑스멘 실사영화 시리즈]] 세계관과 크로스오버를 얘기하는 팬들도 있는데, 사실 판타스틱 포 영화의 리부트 계획 당시 엑스맨 영화의 세계관과 병합시키고자 하는 '''크로스오버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차츰 계획 진행이 예상과 달라지면서 세계관 병합은 무리라고 판단한 20세기 폭스가 독자적인 영화로 만들고자 했는데, 제작자의 현재 입장은 "엑스맨과의 크로스 오버는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일단 판타스틱 4는 그 자체 작품만으로 집중할 것이다. 마블이 그들만의 세계관을 합치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엑스맨과 판타스틱 4 역시 그러한 방면에서 융합이 시도될지도 모르지만 지금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 페어리 테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페어리 테일]] 에피소드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로크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베인이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의 클래식 하이스트 목록. 전작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하이스트들을 페이데이 2에 맞게 리메이크한 것들이다.
  • 표창원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플래시(DC 코믹스) . . . . 1회 일치
         == 목록 ==
  • 피서영 . . . . 1회 일치
         피서영은 [[피천득]] 선생의 수필집에서 자주 언급되는 막내 딸로 수필 '서영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수필 '서영이'에는 "내 일생에는 두 여성이 있다. 하나는 나의 엄마고 하나는 서영이다. 서영이는 나의 엄마가 하느님께 부탁하여 내게 보내 주신 귀한 선물이다. 서영이는 나의 딸이요, 나와 뜻이 맞는 친구다. 또 내가 가장 존경하는 여성이다. 자존심이 강하고 정서가 풍부하고 두뇌가 명석하다. 값싼 센티멘털리즘에 흐르지 않는, 지적인 양 뽐내지 않는 건강하고 명랑한 소녀다." 라는 내용이 있다. 이외에도 '서영이 대학에 가다', '딸에게', '서영이와 난영이' 등의 작품에서 여러 차례 딸에 관한 글을 남겼다.
  • 하야테처럼! . . . . 1회 일치
         불행한 주인공 하야테가 우연한 일로 대부호의 딸 나기의 집사로 일하게 되는 것으로 시작된 코미디 작품.
  • 한길로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작품 ==
  • 한명진 (1426년) . . . . 1회 일치
         == 한명진이 등장한 작품 ==
  • 한보배 . . . . 1회 일치
         ! 작품
  • 한용희 . . . . 1회 일치
         == 작품 ==
  • 한지우(배우)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한희 (연출가) . . . . 1회 일치
         == 작품 활동 ==
  • 함신영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함신익 . . . . 1회 일치
         그는 또, 현대음악에 관심을 기울여 동시대 작곡가의 작품을 초연했으며 한국에 머무를 때면 동서울 FC의 레프트 윙으로서 활약하고 있다.
  • 함중아 . . . . 1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지금의 대구광역시) 출생이며 한때 [[경상북도]] [[포항시|포항]]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고 이후 [[경상북도]] [[안동시|안동]]에서 성장한 그는 1971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 첫 데뷔하였으며 이후 1977년 [[함정필]], [[정동권|최동권]] 등과 함께 제1회 [[MBC 대학가요제]]에서도 입상을 한 바 있고 이후 1978년 1집 발표하는 등 록 음악 밴드 활동도 병행을 하였는데 그 후로도 1988년 시절까지 [[윤수일]], [[조경수]], [[유현상]], [[박일준]] 등과 함께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록]] [[가수]] 활동으로 인기를 구가한 그는 《내게도 사랑이》,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작품이 공전 히트를 기록하였다.
  • 핼로워크 . . . . 1회 일치
         니트나 히키코모리를 다룬 작품에서 갱생이 되는 결말이면 핼로워크로 가는 결말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 허남성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허범욱 . . . . 1회 일치
         == 작품 ==
  • 허쉬 . . . . 1회 일치
         == 제품 목록 ==
  • 헌경왕후 . . . . 1회 일치
         == 헌경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
  • 헤소린 가스 . . . . 1회 일치
         사실 이 단편이 발표된 1979년은 일본에서 [[각성제]](히로뽕)이 남용되어, 제2차 각성제 남용기라 불리던 시기이다.[* 제1차 각성제 남용기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전쟁물자로 남은 히로뽕이 남용되던 시기.] 이러한 세태를 반영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 현재원 . . . . 1회 일치
         == 작품 ==
  • 현정건 . . . . 1회 일치
         「운수 좋은 날」, 「술 권하는 사회」 등의 작품을 남긴 소설가 현진건의 형으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부인 윤덕경과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고, 함께 독립운동을 하던 동지이자 연인으로 계옥(桂玉, 현규옥)이 있었다.
  • 홍가람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홍국영 . . . . 1회 일치
         == 관련 작품 ==
  • 홍아름 . . . . 1회 일치
         ! 작품
  • 홍예슬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홍유경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홍준표 (마술사)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홍창선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7대 비례대표 열린우리당|비례대표]] | 열린우리당 | 8,145,824 표 | 38.26 | 비례대표 2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홍현희 . . . . 1회 일치
         '''홍현희'''(洪賢熙, [[1982년]] [[5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로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9기 공채 [[희극 배우|개그맨]]으로 정식 데뷔하였다. 그리고 그녀의 대표 작품에는 《더 레드》 등이 있다.
  • 화완옹주 . . . . 1회 일치
         == 화완옹주가 등장한 작품 ==
  • 화장실의 하나코 씨 . . . . 1회 일치
         메이저한 도시전설로서, 다양한 요괴 관련 작품에서 등장한다.
  • 황가히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
  • 황대봉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 황선희 . . . . 1회 일치
         ! 작품
  • 황준국 . . . . 1회 일치
         |직책 = [[한영 관계#외교관 목록|주 영국 대사]]
  • 효령대군 . . . . 1회 일치
         == 관련 작품 ==
11531의 페이지중에 66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08-17 20:04:36
Processing time 0.8293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