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해양"을(를) 전체 찾아보기

해양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9회 일치
         >해병은 해변 강습과 다른 해양 작전에 특화된 보병의 정예 병과입니다. 이들은 해양 지형에서 일반 보병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특수한 장비와 전술을 사용합니다.
          * Port Strike(항구 타격): 1914년 연구인 "해양 항공 지원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항구를 폭격한다. 대함 공격력이 높을 경우 항구 내 함대를 직접 공격하며, 전략 공격력이 높을 경우 항구 자체를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 Naval Strike(해상 타격): 1918년 연구인 "해양 공격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에서 초계 비행을 벌이다가 적 함대를 발견하면 공격한다.
          * Bomb Convoys(호송선단 폭격): 1918년 연구인 "해양 공격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에서 초계 비행을 벌이며 적의 호송선단을 공격한다.
          * Naval Interdiction(해양 봉쇄): 목표 지역에서 초계 활동을 벌이며 조우한 적 함대를 공격한다.
          * Sea Transport(해양 수송): 수송선이 탑재한 육군 부대를 목표 지역으로 수송한다.
          * Naval Combat Patrol(해양 초계): 목표 광역에서 초계 활동을 벌이며 조우한 적 함대를 공격한다. DHR에서는 해양 봉쇄도 광역을 커버칠 수 있는데 이게 왜 남아있을까.
  • 울릉군 . . . . 8회 일치
         또한 항공편이 생긴다면 항공기에게 연료란 돈 폭탄이니 활주로가 완공되어 경비행기가 다닌다면 대구나 [[포항공항]]으로 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다만 1시간 내외의 단거리 항공노선은 이륙시 드는 연료비가 전체 연료비에 거의 40%에 육박할만큼 비중이 크기 때문에 포항, 대구보다는 김포노선이 추가될 가능성도 크다. 또한 착륙시 활주로 진입과정이 길기 때문에 실제로는 김포노선이든 대구, 포항노선이든 소요시간이라든지 요금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을(10~20분 차이)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김포 제주간 운항시간이 약 1시간 인데 광주나 여수에서도 제주까지 40분은 걸린다.] 게다가 울릉도 경제권이 이미 [[강원도]]가 아닌 [[경상북도]]로 통합되어 있는 데다가[* 울릉도는 천주교 교구도 [[천주교 대구대교구|대구대교구]] 소속이다. 교구 소속은 만약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강원 쪽으로 옮겨지면 따라서 [[춘천교구]]나 [[원주교구]]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겠지만..], 주민 대다수가 [[경상북도]] 출신이기도 하고 행정구역이 1914년 이래 경상북도가 되었으니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하지만 섬이라는 특성상 마냥 강한 소속감을 가지긴 쉽지 않다.[* 2013년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김순견 새누리당 예비후보가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32438|울릉특별자치군 설치법률을 제정하겠다는 주장]]을 한 적도 있다. 2017년에는 강원도에서 [[http://m.mbceg.co.kr/post/44307?|고성특별자치군 주장도 등장]]했다.] 그래도 일단 행정구역 관할구역 설정상 경북지방경찰청 소속이다. [[대한민국 해양경찰청|해경]]의 경우를 보면, 경북 해역 담당인 [[포항해양경찰서]]가 아닌 동해해양경찰서의 관할 구역인데 이건 해경이 애초에 '도' 단위로 관할 구역을 끊을 만큼 조직이 커서 도마다 하나씩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 --물론 동해가 더 가깝기도 하고-- 다른 예로 [[충청남도]] 해안의 경우 평택해경과 태안해경이 분할 관리하며, 이 평택해경은 [[경기도]] 남부와 충청남도 북부 해안을 아울러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평택해경이 생기기 전에는 태안해경이 전부 담당했다. 부산의 경우 역시 부산해경이 있는데도 부산신항 일대는 창원해경이 담당한다. 점점 조직이 커지면서 점점 관할 구역을 나눠가지는 구조다.
         앞으로 울릉도에는 소방서가 신설[* [[http://biz.heraldcorp.com/village/view.php?ud=201608182228226328368_10|2020년까지 울릉소방서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하지만, 인구가 적다보니 정치적 파워도 그만큼 떨어지므로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11년에 울릉경찰서장이 경정에서 총경(4급 상당)으로 격상되었고, 동해해양경비안전서 울릉해양경비안전센터장도 경감(6급 갑 상당)이 맡고 있기 때문에 기관장 회의라도 하려면 울릉안전센터장이 지방소방경(6급 갑 상당) 정도로 계급~~짬밥~~이 밀리는 느낌도 있다.]되고, 공항이 개설되고 일주도로까지 완공되면 독도 수호, 안전, 교통 흐름 모두 다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군은 아니지만, 경찰의 [[전투경찰]] 부대인 [[울릉경비대]]도 118전대와 함께 주둔하고 있다. 이들은 울릉경찰서가 아닌 경북지방경찰청 소속이며, 이 부대 소속 직원과 [[의무경찰]]들이 교대해가며 [[독도경비대]]에 투입된다. 현재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경비함을 위한 항만 시설이 건설 중이며, 완료시 해경 중형함정 1척+소형 경비정 몇척이 교대로 상시 입항해 있게 된다.
         [[경상북도교육청]] 소속의 울릉교육지원청이 관할하고, [[고등학교]]까지는 있다. 울릉도 유일의 중학교인 [[울릉중학교]]와 울릉도 유일의 고등학교인 [[울릉고등학교]]가 있으며 한 학년에 40여명이 있다. [[전문계]]와 [[일반계]]가 통합된 종합고등학교로 진학반, 취업반, 해양반으로 나뉘며, 대학 진학 전이라도 대다수는 [[포항]], [[경주]], [[경산]] 등 육지로 일찌감치 나가고, 울릉도에 남아있는 학생들은 매우 적기 때문에 [[수능]]도 당연히 울릉도에서는 치지 않아 수능 며칠 전부터 포항으로 나가 있어야 한다.[* 여담으로 [[2017년 포항 지진]]의 여파로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되자 본의아니게 포항에서 일주일간 숙박을 해야만 했다는 일이 있었다.] 울릉도에 사는 토익커들도 관내에 토익 시험장이 없어 시험을 보기 위해 포항 등 외지로 나가야 한다.
         울릉도 공항 얘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 [[울릉공항]]의 건설이 최근 급격히 대두된 것은 일본의 독도 침입 때문이었다. 해상자위대의 함선이나 해상보안청 순시선, 항공자위대의 군용기가 독도에 출몰했을 때, 본토의 [[F-15]], [[F-16]]등이 발진해 독도로 오더라도 연료 공급문제상 체공시간이 짧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고 독도에 대한 실효지배를 강화하려는 의미에서 공항 건설이 추진되었던 것. 규모가 [[대한민국 공군]]의 각종 항공기가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계획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최근 공군이 체공시간 문제를 연료탱크 장착 및 [[공중급유기]] 도입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있어 공항 건설이 불투명해지는 듯 했으나, IATA, ICAO 등의 각종코드가 이미 부여된 것을 보면 공항 건설은 예정대로 진행할 듯하다. 국토해양부는 2020년까지 [[Let L-410]] 정도의 소형 여객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울릉공항]]을 건설하기로 결정하였다.
  • 박근혜 . . . . 6회 일치
         박근혜는 곧바로 조직 개편에 들어갔다. 우선 이명박 정부가 폐지했던 부총리직을 다시 만들었다. [[해양수산부]]를 신설하였고 교육과학기술부를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개편하고,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개편하였다. 또한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국토해양부를 국토교통부로 개편하였다. 그밖에 지식경제부를 산업통상자원부로, 농림수산식품부를 농림축산식품부로 개편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해상에서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였다. 이 사고로 인하여 세월호에 침몰하고 있던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과 일반인 등 300여명이 사망하였다. 사고 발생 이후 해양경찰의 미숙한 대처와 미흡한 구조로 인하여 다수의 사망, 실종자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되어 해경 및 정부에 대한 강한 비판여론이 발생했다. 일부에서는 세월호를 의도적 계획적으로 침몰 시켰다는 의견을 제시하시도 했다.(출처: 김어준의 파파이스)<ref>https://www.youtube.com/watch?v=EXpccBhD_lU&t=242s</ref>
         5월 19일, 박근혜는 TV와 라디오로 전국에 중계된 대국민담화를 통해 세월호 사고에 대하여 다시 사과하였다. 박근혜는 ‘세월호 사고의 모든 책임은 대통령인 저에게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서 구조 및 사고대처 미흡을 책임을 물어 해양경찰청을 해체하고, 안전정책을 총괄하는 안전행정부 역시 해체에 가깝게 개혁하며, 안전정책 및 구조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국민안전처|국민안전처]]를 신설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북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평가, 여야 지도부 ‘식사정치’ 소식,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임명 강행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해임
  • 창원시 . . . . 5회 일치
         [[마산]] 및 [[진해]] 지역은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지형. 마산은 무학산을 등에 지고 마산만을 맞대고 있으며, 진해는 장복산을 등에 지고 진해만을 맞댄 형태. 특히 마산같은 경우 좀 평평하다 싶은 지역은 죄다 시가지 확장 과정에서 생긴 매립지들. 항구 도시로 번창하던 [[일제강점기]]부터 실시되고 있으며 '''[[2013년]]''' 현재도 해양신도시 사업으로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지형 때문에 [[2003년]] 태풍 [[매미]]가 들이닥쳤을 때 남마산 일대가 모조리 물바다가 되어버린 적도 있다. ~~혹자는 지하 5층의 대우백화점이 없었다면 물탱크 역할을 할 구심점이 없어져 피해가 더 커졌을 거라고 한다.~~
          * 창원해양공원 : 구 진해해양공원. 높이 136m의 창원 솔라타워 외에 어류생태학습관, 해전사체험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옛 39사단 터 유니시티 상업지구에 대형 상업시설 입점[* 태영건설에서 자체 개발하는 상업시설 어반브릭스와 신세계그룹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07578|복합쇼핑몰]] 진출이 추진되고 있다.] 이 계획되어 있어서 일대가 의창구의 새로운 상업지구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되며, 창원중앙역 역세권과 마산해양신도시에도 넓은 상업 용지가 있어서 창원시의 상업지구는 더욱 다핵화될 것으로 보인다.
          * 해양교통
  • 한명회 . . . . 4회 일치
         셋째 딸을 [[조선 세조|세조]]의 차남 [[조선 예종|해양대군]]에게 출가시켰으나, 셋째 딸은 아들 인성대군을 낳고는 산욕으로 요절한다. 외손자 [[인성대군]] 마저 요절하면서 한명회는 [[조선 예종|해양대군]]과는 다소 껄끄러운 위치에 놓이게 되는데, [[조선 예종|해양대군]]이 곧 [[조선 예종|예종]]으로 즉위하게 된다.
         그는 세조 집권 초반부터 변방의 성곽 수축과 병력 양성을 건의하고, 해안가에도 성곽을 쌓고 병력을 보내 방비를 튼튼히 해야 하며 미구에 있을 왜구와 [[여진족]]의 침략을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456년]]부터 [[조선 단종|노산군]]과 [[금성대군]]을 처형시킬 것을 주장하였으나 [[조선 세조|세조]]가 듣지 않았다. [[1457년]](세조 2년) 초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승진하고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와 [[오위도총부]]도총관을 겸한 뒤, 상당군(上黨君)에 봉군되었다. 그해 [[금성대군]]과 [[순흥부|순흥]][[부사]] [[이보흠]]의 모의를 적발하여 처형시켰다. 그해 겨울 [[조선 예종|해양대군]]의 [[왕세자]] 책봉을 주청(奏請)을 위한 [[세자]][[책봉]] [[주청사]]가 되어 [[명나라]]의 [[연경]](燕京)에 들어갔다.
  • 해양군 . . . . 4회 일치
          | 이름 = 해양군 <br /> 海陽君
         '''해양군 이희'''(海陽君 李僖, [[1620년]] ~ [[1682년]])는 [[조선]]의 [[왕족]]이다.
         [[1625년]] 당시 6세의 나이로 '''명선도정'''(明善都正)에 책봉되었다가 [[1633년]] '''수덕군'''(綏德君)으로 개봉되고, 2년 후 [[1635년]] '''해양군'''(海陽君)에 재개봉되었다. [[1668년]] [[흥안군 (1598년)|흥안군 이제]]의 양자로 출계하였으며, [[1682년]]에 향년 63세로 별세하였다.
         * [http://www.rfo.co.kr/view_party.php?list_mode=people1&refnum=090&party_name=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해양군 이희]
  • 김경식 (1960년) . . . . 3회 일치
         * 2010.03 ~ 2010.09 : 국토해양부 토지정책관
         * 2010.09 ~ 2012.01 : 국토해양부 국토정책국 국장
         * 2012.01 ~ 2013.02 : 국토해양부 건설수자원정책실 실장
  • 경대수 . . . . 2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소속위원회}}}''' ||<(>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bgcolor=#C9151E> '''{{{#FFFFFF 현직}}}''' ||<(> [[제20대 국회의원]][br][[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
  • 부산광역시/인물 . . . . 2회 일치
         * [[김민경(배우)|김민경]] - 영도구 동삼동 (해양로) 해양특구주유소
  • 이강덕 . . . . 2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약력}}}''' ||<(> 제12대 해양경찰청장[br]서울지방경찰청장[br]경기지방경찰청장[br]청와대 대통령실 치안비서관[br]부산지방경찰청장 ||
         경찰대학 졸업 이후 [[대한민국 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포항남부경찰서장, 구미경찰서장, 서울남대문[[경찰서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대통령실]] 치안비서관, 부산[[지방경찰청장]], 경기지방경찰청장, 서울지방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등을 지냈다.
  • 이시종 . . . . 2회 일치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
  • 이원재(공무원) . . . . 2회 일치
         || '''약력''' ||<(>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실 국토교통비서관[br]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장[br]주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br]국토해양부 주택정책관[br]국토해양부 토지정책관 ||
  • 창작:IDF . . . . 2회 일치
         '''IDF 해양대'''(IDF Maritime Force)
         IDF 해양대는 세계 여러 해역의 치안 악화와 그에 따른 해적 대처 임무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비교적 뒤늦게 창설되었다. '해군'에 해당하지만 그 특성상 해군보다는 해안경비대에 가까운 속성을 가지고 있다. 보유 함정은 원양 항해 능력과 헬리콥터 운용 능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
  • 한준희 . . . . 2회 일치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난 한준희는 7살이던 [[1976년]] [[차범근]]이 출전한 대통령컵 말레이시아전을 본 것을 계기로 축구광이 되었다. 학창시절 [[할렐루야 축구단]]과 [[대우 로얄스]]의 팬으로서 대한민국 축구를 챙겨보았고, TV에서 가끔 방송해주었던 [[분데스리가]]와 [[인터콘티넨털컵 (축구)|인터콘티넨탈컵]]을 빠짐없이 시청하며 해외축구를 섭렵했다. [[1990년]] [[서울대학교]] 해양학과에 입학하였고, 대학교 3학년때 과학철학에 심취한 그는 철학 교수를 꿈꾸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딴 후 박사학위를 따기 위해 미국 유학길에 오른다. 유학 중에도 틈틈이 [[폭스 방송]]을 통해 해외 축구를 즐겨보던 그는 취미로 인터넷 축구 커뮤니티인 [[사커라인]]에 칼럼을 올린 것이 계기가 되어 [[2002년]] 귀국 후 [[MBC 스포츠+|MBC ESPN]]의 축구해설가로 입문하게 된다. [[MBC 스포츠+|MBC ESPN]]에서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경기 해설을 맡으며 화면에 비친 사람 대부분의 신상정보를 읊는 신통한 정보력과 전문적인 전술 해설, 거기에 감초같은 샤우팅 중계가 더해져 축구팬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각 지상파 방송국에서는 축구 해설위원을 충원하였는데, [[MBC 스포츠+|MBC ESPN]]에서 해외 축구를 중계하던 3인방 중 한준희는 [[KBS]]로, [[서형욱]]은 [[MBC|MBC 지상파]]로, [[박문성]]은 [[SBS]]로 각각 스카웃되었다. [[2005년]]부터 [[한국방송공사|KBS]]에 몸담은 한준희는 [[월드컵]],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K리그]]부터 유소년 축구, 대학 축구, 실업 축구, 여자 축구 등 다양한 축구경기를 중계하며 [[대한민국]] 최고의 해설위원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또한 어렸을적 [[롯데 자이언츠]]를 좋아했었다. 당시 롯데가 실업야구 때부터 좋아해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고 [[K리그]] 의 [[전북 현대 모터스]]의 팬이기도 하다.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해양학 학사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1회 일치
          상륙작전과 해양수송의 패널티를 줄여주고 패널티 없이 상륙 가능한 사단수를 늘려주는 연구들. Engagement Theories의 Naval Logistics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회 일치
          * FAMH(Forges et aciéries de la marine et d'Homécourt,옴쿠르 해양제련 및 철강)
  • 김보름 . . . . 1회 일치
         2015년 2월 26일 서울 태릉빙상경기장에서 열린 제96회 전국동계체전 대학부 3000m에 출전한 김보름(대구)이 대학부 3000m 4연패를 달성했다. 김보름은 이날 박도영(경기, 한국체대)과 같은 조로 경기를 펼쳤으며 차분한 페이스를 유지하며 박도영과 거리를 유지해 나갔다가 경기 중반에 이뤘을때 치고 나가기 시작해 박도영과 거리를 벌리며 4분18초95로 여유롭게 결승선에 찍었다. 한편 김보름과 같은 조로 출전한 박도영은 4분21초13으로 최종순위 2위로 여자 대학부 3000m를 끝마쳤다.<ref>{{웹 인용|url=http://www.yachtpi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43|제목='전국 동계체전' 여자 대학부 3,000M 김보름 선수 금메달 획득 - 해양레저전문미디어 요트피아|언어=ko|확인날짜=2017-03-15}}</ref> 27일 열린 1500m에서도 김보름(22)이 2분04초97로 참가선수 7명 중 가장 좋은 기록을 내며 4회 연속 2관왕의 대업을 일궜다. 박도영(22-한국체대-2분06초50)과 남지은(20-한국체대-2분07초01)이 각각 은, 동메달을 차지했다.<ref name=":18">{{뉴스 인용|url=http://news.zum.com/articles/20096322?cm=popular|제목=[동계체전] 곽윤기, 쇼트트랙 남자 3관왕[종합]|언어=ko|확인날짜=2017-03-17}}</ref>
  • 김선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3월부터 1999년 3월까지 [[해양수산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99년 [[한일어업협정]]이 문제가 되어 경질되었다.
  • 김정재 . . . . 1회 일치
         ||<bgcolor=pink> '''{{{#0C0C0C 소속위원회}}}''' ||<(><bgcolor=#F6EDF8>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 김정호 (1949년) . . . . 1회 일치
         * 1999년 : 청와대 농림해양수산비서관
  • 남상태 . . . . 1회 일치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79년 [[대우중공업]]에 입사하였으며, 2006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대우조선해양]]의 사장으로 재임하였다. 연임을 위한 정치권 로비의혹이 제기되었다.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 7월 10일 || MBC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SOS 해양구조대]] || [* 듀엣 파트너인 [[상큼한 산토리니]]와 한 표차 접전을 벌였으며 마지막에 투표한 [[공찬]]의 선택으로 승부가 갈렸다. 그녀는 가수 활동 때 음이탈을 저지르는 바람에 무대 공포증을 크게 겪은 게 있어서 [[음치]]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나왔음을 밝혔다.] ||
  • 세정(구구단) . . . . 1회 일치
          * 10월 6일 빅픽처패밀리 3회에서는 진주인공 같은 역할을 해냈다. 사진작가 역할로는 비진도 해양구조대 촬영구도를 멋지게 잡아냈고 그들과의 체육대회(?)에서 인덕원적토마라는 별명답게 압도적으로 승리하면서 멋진 언니(혹은 누나 '막내라면서요?')의 모습을 보여줬다. 신체적으로 구조대를 압도했다. 사진 구도 및 진행 역시 갓세정의 모습을 보여줬다.
  • 송지효 . . . . 1회 일치
         | [[해양경찰 마르코]]
  • 안종범 . . . . 1회 일치
         2018년 3월 29일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는 안종범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였다. 안종범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에 재직 당시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방해를 위해 해양수산부 공무원들에게 ‘대통령 조사’ 안건 부결 기획안 마련 등을 지시한 혐의를 받았다.<ref>{{보고서 인용|저자=공보담당관 차장검사 문찬석|url=http://www.spo.go.kr/_custom/spo/_common/board/download.jsp?attach_no=193667|제목=세월호 특조위 활동 방해 사건 수사결과|출판사=서울동부지방검찰청|날짜=2018년 3월 29일}}</ref>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1회 일치
          * 해당 임무를 완수하면 저택 2층에 해양 그림(Naval Painting)이 생긴다.
  • 이광수(배우) . . . . 1회 일치
         || 해양경찰마르코 || 더빙 || 마르코[* [[송지효]]와 같이 더빙에 참여.] ||
  • 이병석(정치인) . . . . 1회 일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국회]] 국토해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4년까지 제19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 이상휘 . . . . 1회 일치
         [[1971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용인대학교]]를 졸업 및 학위를 취득했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이후, [[데일리안]] 대표이사를 지냈으며, [[위덕대학교]] 부총장까지 지냈다.
  • 차명진 . . . . 1회 일치
         *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
  • 채이식 . . . . 1회 일치
         *1998년 ~ 2000년 한국해양방제조합 법률고문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소련군 . . . . 1회 일치
          보통은 적이 볼 수 없는 해양생물. 적 함선을 촉수로 휘감는다. 촉수에 휘감긴 적은 풀려나기 전까지 지속적인 데미지를 입는다.
  • 토리코/362화 . . . . 1회 일치
          * 오가이는 고대의 해양생물로 고동과 비슷한 종류다. 토리코 일행의 구르메 세포 악마들 조차 멸종된 줄 알았던 초고대의 생물. 겉보기엔 작지만 실은 내부에 무한에 가까운 공간이 있다. 고대 바다의 모든 생물을 먹어봤다고 전해지며 악귀, 도깨비와 같은 식욕을 지녔다고 한다.
  • 트로피코 4 . . . . 1회 일치
          * 선원 캐릭터 특성 추가 - 선박의 교통량 증가, 해양 테마 건물의 효율 증가
  • 편의치적 . . . . 1회 일치
         편의치적선의 실질 소유국에서는 세수 감소, 선원 고용 축소, 노동조건 압박 등이 일어나며, 국제적으로는 해난, 해양 오염 확대, 선원 고용의 불안정화 등의 문제가 있다. 개발 도상국은 해운에서 압박을 받게 된다. 국제노동기구나 국제해사기구 등에서는 국제적인 규제를 발표하고 협약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유엔무역개발회의 UNCTAD에서는 편의치적국 근절을 위한 토의를 하였으나 폐기는 좌초되었다.
  • 한가인 . . . . 1회 일치
         | 보해양
  • 해원군 . . . . 1회 일치
         [[인성군 이공]]의 3남(三男)으로 출생한 그는 일찍이 [[1619년]] '''해원정'''(海原正)에 책봉되었는데 아버지 [[인성군]]이 반정공신 이귀(李貴)의 핍박 섞인 모함으로 인하여 모반역모 혐의를 받자 [[1628년]]을 기하여 형 해평군 · 해안군, 아우 [[해양군]] 등과 아울러 역신의 후손이라 하여 [[제주도|전라도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뒤 [[1635년]] [[제주도|전라도 제주]]에서 [[울진군|경상도 울진]]으로 이배되었고 2년 후 [[1637년]] 석방되었다.
11532의 페이지중에 3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