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U E D R , A S I H C RSS

킹덤/517화


목차

1. 소개
2. 줄거리
3. 여담
4. 분류


1. 소개

킹덤 제 517화. 도륙질

  • 조왕 도양왕은 애써 왕도권을 방위하러 온 을 홀대하고 변명꾼라 매도한다.
  • 그는 끝내 한단군을 움직는데 반대하는데 한단성만 틀어막으면 다른 곳나 백성들야 어찌되든 자기만은 안전하게 살 수 있다고 믿기 때문.
  • 목은 그래도 언젠가는 함락될 거라 지적하나 그는 "나는 어차피 몸 약해 그때 쯤엔 죽었을 것"라며 알바 아니라고 일관한다.
  • 목은 나라의 앞날 끔찍하게 어두우나 태자 "가"는 총명하고 목의 의사를 전적으로 신뢰하는 인물라 어떻게든 버티고자 한다.
  • 왕전은 왕도권 모든 병력 업으로 들칠 거라 내다 보나 대책도 없 들어온 것 아니었다.
  • 실제로 업으로 오는 병력 중 진군을 저지할 전력은 "알여"성과 "요양"성에서 오는 두 군대 뿐. 들만 미리 요격하면 업공략은 저절로 루어진다.
  • 그는 요격 작전을 위해 군을 나누는데, 요양군은 현재 공손룡 휘하에서 양단화와 대치 중므로 에게 1만의 병력으로 지원하게 한다.
  • 알여는 왕전 자신 , 몽념, 왕분끌고 총 8만 8천으로 치러간다. 환의군 6만으로 업을 계속 포위.
  • 왕전 렇게 계산한 유는 반드시 알여군에 들어가 공격해올 거라 예측했기 때문인데, 그 예측대로 목은 알여군에 참가하기로 결정한다.
  • 목 또한 왕전 알여에 전력을 다할 것을 예측하고 순수수만을 요양으로 보내 공손룡과 함께 싸우게 하고 나머지 부하들은 모두 알여로 데려간다.
  • 렇게 해서 왕전과 목의 지력과 지력, 힘과 힘의 싸움 시작되는데.

2. 줄거리

Example.jpg
[JPG 그림 (52.07 KB)]

  • 조왕 도양왕은 먼 길을 달려온 을 노골적으로 홀대한다. 그는 미소녀 시동들에게 둘러싸인 채 목을 "변명의 달인"라 비꼰다. 조나라가 처한 작금의 사태는 전부 야기했다는 논리인데, 목은 주군에 맞서기 보다는 "처벌은 언제든 받을 테지만 우선 진군을 물리쳐야 한다"는 논리로 조나라의 정예 한단군을 출격시켜 달라 요청한다. 그러나 도양왕의 대답은 호주에게 그랬듯 단호한 거절.

Example2.jpg
[JPG 그림 (35.39 KB)]

  • 목은 업성 떨어지면 곧 수도 한단에도 적의 칼끝 닿을 거라고 진언한다. 그러나 도양왕의 태도는 변하지 않는다. 그는 설사 그래도 한단성 함락될 일은 없고 원래는 업도 그 정도 수준의 난공불락의 성나 자신의 백부 조계백 어리석게도 난민을 수용하다 그리된 거라고 빈정거린다.
    나는 그런 헛짓거리는 하지 않는다.
    만약 한단 포위된다 한들 10년든 20년 성에서 농성할 수 있어.
  • 목은 그래도 언젠가는 함락될 거라고 경고하지만 도양왕의 대답은 황당하기까지 하다.
    그렇겠지. 허나, 병 잦은 난 그 무렵에는 진작에 수명 다해 죽고 없겠지. 크크크
    나라가 어쩌고 백성 어쩌고 뒷일따윈 내가 알게 뭐냐?
    그렇게까지 말하는 조왕에게 누구하나 대꾸할 말을 대지 못한다. 목은 고개를 숙인 채로 속으로 말을 삭혔다.
    어둡다... 끔찍도...
    몸은 좋지 않아도 귀는 그렇지 않은지, 조왕은 그가 중얼거린 말을 듣고 "뭐라고 했냐"고 따진다. 얼버무리자 그럼 얼른 가서 의무를 다하라며 "업을 잃으면 목 너와 네 추종자들의 목을 베겠다"며 깔깔거린다.

Example3.jpg
[JPG 그림 (23.78 KB)]

  • 를 데리고 어전을 나선 목은 말 없 업 방위전에 임할 채비를 하러 간다. 카네는 방금 전 일 도저히 참아넘길 수 없는지 목에게 "저희 임금은..."하고 말을 건다. 목도 속 없어서 참고 있는게 아니었다. 그녀 상으로 조왕의, 나라의 문젯거리를 잘 알고 있었다.
    왕국을 멸하는 것은 적뿐만 아닐지어다... 고 하지요.
  • 그렇게 말한 그는 상나라 주왕, 주나라 여왕의 사례를 들며 도양왕 그 부류에 들지는 않기를 바래야겠다고 말한다. 모두 나라를 망친 암군으로 유명한 자들었다.
    그런 조나라에도 한줄기 희망은 있었다. 목의 앞에 나타난 조나라 태자 "가". 그는 목의 발빠른 행보가 미 수 천의 조나라 백성을 구했다고 치하한다. 그리고 지경 되도록 한단군을 움직지 않는 자기 아버지 도양왕의 실책도 알고 있어 그를 대신에 목에게 사과한다.
    태자는 도양왕에 비하면 정치적 식견도 대국을 보는 눈도 가진 인물었다. 그는 곧 진나라도 여기까지 온 상 침공 실패하면 국운 흔들릴 거라 말한다. 그렇다면 자신도 진왕 "최"성에서 그랬듯 직접 병사들을 진두지휘하며 사기를 북돋으면 어떻겠냐고 목의 의견을 묻는다. 목은 명심해두겠다면서도 "그런 일 필요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하지만 태자 가는 "지금 그 필요한 시기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목도 거기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못한다.
    태자는 다시 한 번 목에게 업성을 지켜달라고 당부한다. 목에겐 태자야말로 최후의 희망었다. 그는 도양왕 앞에서 삭힌 것과 정반대의 말을 속에 새긴다.
    견디고 말겠다. 암흑을 견뎌내어...
    가 태자마마의 시대가 왔을 때 조에 진정한 빛 비춘다.

Example4.jpg
[JPG 그림 (41.98 KB)]

  • 드디어 업을 포위한 진군. 총사령관 왕전은 마지막 작전을 실행하기 앞서 장교들을 불러놓고 현재의 상황과 앞으로의 작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을 비롯한 지휘관들 귀를 기울인다. 우선 왕전 가장 처음 정의한 전황은 진군 포위한 업을 중심으로 왕도권의 모든 조군 진군을 요격하러 온다는 것다. 듣기에도 진땀 나는 설명지만, 왕전은 그 중에서 진정으로 진군을 저지할 수 있는 병력은 단 둘 뿐라 일축한다. 바로 북서의 대도시 "알여"와 태향산맥 일대의 세력을 규합한 "요양"다. 오직 두 군만 업에 당도해 진군을 격멸할 힘 있다.

Example5.jpg
[JPG 그림 (35.15 KB)]

  • 눈치 빠른 몽념은 왕전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했다. 군을 나눠 요양과 알여를 요격할 필요가 있다, 몽념의 짐작에 왕전 그렇다다고 대답한다.
    그래서 그가 짠 작전은 랬다. 환의군 6만은 대로 업성을 포위한 채 대기한다. 6만 알여, 요양군을 제외한 모든 조나라 병력을 상대한다. 듣기엔 말도 안 되는 소리같지만 당사자인 환의는 태연했다.
    다음은 요양군. 요양군은 미 대처하고 있다. 양단화군 5만 대치하고 있는 공손룡 바로 그 요양군다. 지금은 견제만 하고 있었지만 상황 알려졌을 테니 곧 큰 움직임 있을 것다. 공손룡 요양성에서 본격적으로 병력을 끌어오면 그 군세는 약 10만에 달할 걸로 보인다. 기겁하며 "지금 양단화군은 5만 밖에 없다"고 발언한다. 물론 왕전은 그것도 계산하고 있다. 그는 벽에게 그가 끄는 8천 병력에 환의군에서 2천을 빌려 총 1만의 원군을 끌고 가라고 지시한다. 벽은 자신 일만장 되어서 양단화를 구하러 가게 됐다는 사실에 들뜬다. 그런데 은근슬쩍 병력 2천을 떼어먹히게 된 환의군의 마론은 속 쓰리다.

Example6.jpg
[JPG 그림 (29.79 KB)]

  • 남은 것은 알여. 알여는 왕전 자신 직접 대처할 것다. 신, 몽념, 왕분대의 병력을 끌고 말다. 왕전군 7만에 비신대 총 8천, 낙화대 5천, 옥봉대 5천을 더한 총 8만 8천의 병력다.
    하료초가 너무 알여에 편중된 구성 아니냐고 지적한다. 왕전은 거기에 대해서 "알여야 말로 진짜 목적"기 때문라 대답한다.
    목은 반드시 알여군에 들어가 공격해올 것다.

Example7.jpg
[JPG 그림 (45.45 KB)]

  • 한단에서 출격을 준비하던 목 진영에 "진군 군단을 나눠 알여와 요양을 요격하러 간다"는 소식 전해졌다. 진군 목의 움직임을 읽고 있다는 말지만 목은 당황하지 않고 순수수에게 요양군에 가 공손룡의 부장 되라고 지시한다. 또한 요양성주는 괴짜지만 잘 조율해 보라 당부한다. 인사는 목진영의 인물들에겐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졌는데, 무명나 다름없는데다 다른 인물들과 친분도 없는 그를 단번에 십만 대군의 부장으로 기용했기 때문다.

Example8.jpg
[JPG 그림 (42.09 KB)]

  • 그리고 나머지 부하들은 전부 알여로 함께 간다. 또한 "알여에 너무 편중됐다"는 의견 나왔지만 목은 "왕전도 알여를 향해 올 것"라 내다본다. 놀랍게도 양군 지휘관 완전히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셈. 제는 정면승부, 목은 그렇게 말한다.
    지금부턴 마침내 힘과 힘의 승부예요.
    업의 함락냐 해방냐는
    누가 상대하는 적을 박살내느냐 못하느냐에 달렸어요.

3. 여담

여기서 등장한 도양왕의 태자인 '가'는 훗날 태자 자리에서 폐립되고, 후궁 소생인 '천' 보위를 잇게 된다.




4.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