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최영"에 대한 역링크 찾기

최영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개국 (드라마)
         * [[신구]] : [[최영]] 역
  • 서인석(1949)
         [[최영(정도전)|최영]] 역이 [[인기]]를 끌면서 하차와 동시에 언론 [[인터뷰]]도 나왔다. 그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246740|기사]].
          * KBS <정도전>(2014): [[최영]] 역. [[위화도 회군]]에서 [[이성계]]에 패배.
          '''[[2014년]] [[정도전(드라마)|정도전]] - [[최영(정도전)|최영]]'''
         방영 전과 초반부 견훤의 재림(...)을 우려하는 반응이 있었으나 드라마가 진행되며 견훤과는 다른, 강직하면서도 독단적인 최영의 모습을 잘 소화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 [[2014년]] [[정도전(드라마)|정도전]] - '''[[최영(정도전)|최영]]''' 역
  • 손병호
         * [[2012년]] [[SBS]] 대기획 《[[대풍수]]》 ... [[최영]] 역
  • 손병호(배우)
          * 2012년 SBS [[대풍수]] - [[최영]] 역
  • 신구 (배우)
         * 《[[개국 (드라마)|개국]]》 ([[KBS1]], [[1983년]]) - [[최영]] 역
  • 이민호(1987)
         그 후 [[송지나]] 작가의 [[신의(드라마)|신의]]에 출연하여 깊은 눈빛과 절도 있는 액션 연기로 신의있는 젊은 [[최영]]의 모습을 표현해 2012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10대 스타상 등을 수상했다. 극이 진행될수록 이민호가 맡은 [[최영]] 캐릭터만 남았다는 평을 받을 정도로 점점 캐릭터와 밀착되는 모습을 보였고 [[송지나]] 작가도 이민호는 [[최영]] 그 자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http://view.heraldcorp.com/view.php?ud=20121021000320|기사]].]
         || 2012년 || [[신의(드라마)|신의]] || [[최영(신의)|최영]] || ||
  • 전국환(배우)
         ||<|4> 2015년 ||<|3> SBS || [[육룡이 나르샤|육룡이 나르샤]] || [[최영]] ||
         || MBC || [[미스터 백]] || 최영달 ||
  • 탐라국 여왕
         [[최영]] 장군과 얽혀서 전해지는 전설상의 인물이며, 영도 아씨당에서 숭배되는 신령이다. 전설에 따르면 고려 말기에 [[탐라국]](지금의 [[제주도]])를 지배한 [[여왕]]이다.
          * 탐라국 여왕과 최영의 대결은, 실제 역사에서 최영이 고려말에 제주도에서 진압한 [[목호의 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기록을 보면 실제로 제주도에는 탱자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주목사 조정철이 1812년 선조에게 본도의 성터에 해자를 파고 탱자나무로 둘러쌋으므로, 고려 때부터 탱자성(枳城)이라 불렸는데, 근래에 성곽이 붕괴되고 탱자나무를 구경할 수 없게 되었다고 보고한다. 1749년 비변사 등록에 보면, 강화유수 원경하가 영조에게 강화도에 탱자나무를 심자면서, "고려의 최영이 탐라국을 격파하지 못한 것은 그 가려진 지책(枳柵,탱자나무 목책) 때문이었다"고 한다.
         충남 홍성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탐라국 여왕은 탐라국에서 최영 장군과 싸운다. 탐라국 여왕은 중국 여자로 키가 팔 척이며, 힘이 장사이며, [[탱자]]나무 숲을 성처럼 두른 탱자성에 살고 있었다. 최영 장군이 탐라국을 정벌하러 왔을 때, 과연 탱자나무 숲이 성과 같아서 공격할 수 없었다.
         최영이 고민을 하였는데 꿈에 신령이 나타나, 억새풀 씨를 따서 연에 매달아 탱자성에 뿌려, 다음해 억새풀이 무성하게 되면 가을에 불을 질러 공격하라고 일러주었다. 또 쳐들어갈 때는 몸에 구리판을 두르고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영은 신령이 일러준 대로 하여, 가을에 탱자나무 숲을 모두 불태우고 공격에 나섯다. 최영은 탐라국 여왕과 대결을 벌였는데, 여왕은 괴력을 가지고 있어 쉽게 이길 수 없었다. 하지만 최영이 목까지 구리갑옷으로 둘둘 말고 있어 여왕도 최영을 죽일 수 없었고, 마침내 여왕이 지쳤을 때 최영은 목을 쳐서 이겼다.
         충남 홍성 전설과는 달리 부산 영도 아씨당 전설에서는 여왕이 죽지 않고 최영에게 항복하였으며, 탐라국에서 머물 때 최영의 [[첩]]이 되었다. 그런데 최영은 신돈의 음해에 빠져서 유배를 가게 되었고, 여왕은 영도로 최영을 찾아갔으나 최영이 영도로 갔다는 것은 풍문에 불과하여 만나지 못했다.
         결국 여왕은 적막한 땅에서 홀로 지내다가 죽어서 혼령이 됐으며, 최영을 만나지 못하고 죽은 한 때문에 영도 목마장의 말을 죽이게 되었다. 영도 목마장에서는 멀쩡하던 말이 영도를 떠나면 나자빠져 죽게 된 것이다.
11830의 페이지중에 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