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최강희"을(를) 전체 찾아보기

최강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민서(배우) . . . . 6회 일치
         [[장나라]], [[최강희(배우)|최강희]]와 꽤 친한 사이라고 한다. [[최강희(배우)|최강희]]와 함께 [[http://patchkorea.org/|패치코리아]]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아임 쏘리 강남구]]의 종영과 함께 [[FNC엔터테인먼트|FNC]]에서 FA로 풀리자마자 절친인 [[최강희(배우)|최강희]]를 따라 [[2017년]] 6월 30일 [[플라이업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
  • 한교원 . . . . 4회 일치
         2013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2014년 1월 5일, K리그 최고의 윙덕후로 불리는 [[최강희(축구인)|최강희]] 감독이 이끄는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였다. 군대에 입대한 서상민의 뒤를 이어 7번을 달면서 팬들의 기대를 받고 있었다. 한편 이와 별개로 인천 팬들은 전년도 [[정인환]]+[[정혁]]+[[이규로]] 세트 이적에 이어서 이번에는 [[김남일]]과 한교원을 동시에 전북에 넘겨 허탈한 감정을 갖기도 했다. 1년 후에는 [[문상윤]]마저 전북으로 넘어갔지만, 그 뒤에는 전북으로 이적하는 인천 선수가 많이 나오지는 않고 있다. 그리고 2015년에는 [[김인성]], [[박세직(축구선수)|박세직]] 등이 반대로 인천으로 넘어갔다.
         활동량, 체력이 상당히 좋으며 발도 빠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훌륭한 윙어가 될 자질은 타고났다. 그리고 공에 대한 집착과 투지도 상당하여 상대에게 압박감을 주는 것은 물론, 팀의 수비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선수이다. 라인을 타고 돌파하여 밀고 올라가는 돌파 능력을 지니고 있고, 한 번 분위기를 타면 무서운 활약을 보여줄 수 있다. 최전방부터 센터백까지 온갖 포지션을 경험하면서 얻은 경험이 독이 아니라 긍정적인 요소가 된 듯. 아쉬운 부분은 판단력과 크로스. 그리고 유효 슈팅은 꽤 잘 만들어내지만 정작 만들어내는 기회에 비해 실제 득점으로 연결되는 수도 다소 아쉽다. 입단 당시보다도 훨씬 전북의 스쿼드가 두꺼워지면서 더는 과거처럼 전북의 핵심으로 평가받지는 못하지만, 다른 선수들과는 차별화되는 본인만의 스타일을 지닌 선수인지라 최강희 감독의 신임을 계속 받고 있다.
         타국 선수도 아니고[* 설령 타국과의 경기였다고 해도 용서되지 않는 행동이다. ] 같은 국적에 친정팀과의 경기[* 한교원은 2014년 인천을 떠났는데 박대한은 2014년 [[강원 FC]]에서 프로 데뷔를 했으니 한솥밥을 먹은 적은 없다.]. 그것도 경시 시작 5분만에 저지른 어이없는 반칙에 팬들로부터 말 그대로 융단폭격을 맞았다. 너무 정신나간 반칙이라 전북팬들도 어떻게 변호를 못했다.[[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0&aid=0000243677&|최강희 역시 그의 퇴장이 분위기를 망쳤다며 그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 박주영 . . . . 3회 일치
          * 도주영 : 이 별명은 도주영 30년 축구 인생의 모토에 대한 압축적 표현이다. 행위의 결과는 이미 주체 안에 내재되어 있었다는 일부 철학 학파의 시선으로 볼 때 도주영 별명 석 자는 포항에서 서울로 달아날 때부터 예고되었다, 이후 모나코에서 릴로 이적하려다 벵거의 전화를 받고 아스날로 이적하며 도주영 3글자는 거의 수면 가까이까지 부상하였으나, 축구선수의 전격적 이적은 왕왕 있어온 일이라 현실화되기에는 아직 충분치 못하였다. 그러나 최강희 감독의 부름은 시종 무시하면서도 홍명보 감독의 부름은 덜컥 받아들여 병역에서마저 성공적으로 도주하는 기이한 솜씨가 아니고서야 도주영 세 글자 별명은 성공적으로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후에도 박주영은 표홀히 아스날, 왓포드, 알 샤밥 등지를 방랑하며 주급만은 쏙쏙 챙겨먹는 솜씨로 도주영 세 글자 이름을 드높였다.
          * 박주영이 병역 논란 당시 귀국 후 최강희 감독의 기자회견 제의를 거절하고 최강희 감독은 물론 축협 등의 모든 연락을 거부하며 잠수 탔을 때 이를 비꼬는 사람들이 [[투명드립|투명하다, 사라졌다, 보이지 않는다며]] 비꼴 때 사용되는 인터넷 은어 종범 대신 이제 대세는 주영이라며 대체하려고 했다. 은어로 쓰이는 종범 자체가 워낙 광범위하게 퍼진 말이라 대체되진 않았지만 그 후에도 이따금씩 사용례가 발견되곤 한다. 그런데 종범이 지역감정 문제로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는것도 있고 은퇴하면서 존재감이 낮아진 반면 박주영은 아스널서 절정을 찍고 있기에 주영의 점유율이 치솟는 중.
  • 박용우(배우) . . . . 2회 일치
         2년 후인 [[2005년]]에는 영화 [[혈의 누(영화)|혈의 누]]에 [[악역]]으로 출연, 주인공 [[차승원]]마저 능가하는 악마적 연기를 선보여 대대적으로 재조명된다. 그 다음 해인 [[2006년]] [[최강희(배우)|최강희]]와 함께 주연한 달콤, 살벌한 연인에서 혈의 누와는 대비되는 소심하고 코믹한 남자 주인공으로도 어필했다.
  • 이유리(배우) . . . . 2회 일치
         2001년 KBS 일일극 《사랑은 이런거야》에서는 [[최강희(배우)|최강희]]의 동생이자 한차례 대입 실패로 입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재수생 '오윤아'역으로 분했으며 2003년 한 해에만 KBS 드라마 《아내》에서는 '상호([[김승수]])'의 연인 '김윤주'역으로, SBS 일일 드라마 《스무살》에서는 '준([[공유(배우)|공유]])'과 사랑에 빠지는 꿈많은 대학생 '한채리'역으로, KBS 드라마 《노란손수건》에서는 '나미령'역으로 MBC 국방 홍보원 공동 제작드라마인 《[[아르곤]]》에서는 특전사 중사 '강강희'역으로 총 4편의 드라마에 출연했다. 이 때에 《스무살》의 주연 제의를 받으면서 《아내》에서 중도하차하게 되자 방송사에 미운털이 박혀 KBS에서 출연정지를 당했다. 설상가상으로《스무살》은 저조한 시청률로 조기종영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 김청(1962년 6월) . . . . 1회 일치
          * [[달려라 장미]] - 최강희 교수
  • 정형돈 . . . . 1회 일치
         * [[KBS Cool FM]] 《최강희의 볼륨을 높여요 - 상상마이너스 (5월 31일) : 게스트》
  • 추자현 . . . . 1회 일치
         * [[2010년]] [[MBC]] 주말특별기획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드라마)|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 서미수 / 최강희
11531의 페이지중에 8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5-02-14 18:33:05
Processing time 0.0117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