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청송군"을(를) 전체 찾아보기

청송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청송군 . . . . 28회 일치
         [include(틀:청송군의 읍면)]
         ||||<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4B486><bgcolor=#04B486><:>{{{+2 {{{#FFFFFF '''청송군'''}}}}}} [br] {{{#FFFFFF '''靑松郡 / Cheongsong County'''}}} ||
         ||||<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청송군,너비=100%)] ||
         ||<bgcolor=#04B486> {{{#FFFFFF '''국회의원'''}}} ||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br][[김재원(정치인)|김재원]]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bgcolor=#04B486> {{{#FFFFFF '''링크'''}}} ||<bgcolor=#FFFFF0>[[http://www.cs.go.kr/|청송군 공식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cheongsongg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5]]청송군 공식 페이스북]]
         [[http://blog.naver.com/gocheongsong|[[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15]]청송군 공식 블로그]]
         [[https://twitter.com/cheongsonggu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15]]청송군 공식 트위터]] ||
         ||<bgcolor=#CEF6E3> {{{#FF0080 ▲ 청송군청사 (청송읍 군청로 51)}}} ||
         유명한 관광지로 [[주왕산]]이 있기는 하지만, 보통 외지 사람들은 "[[청송]]"이라는 동네 이름이 나오면 맨 먼저 '''[[청송교도소]]'''와 '''청송감호소'''부터 떠올린다. 이 지역에는 [[교도소]]가 무려 네 군데나 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에 [[흉악범]]과 [[정치범]]을 [[감금]]하기 위해 이런 외진 곳에 [[교도소]]와 [[감호소]]를 왕창 지어논 것. 사실 교도소가 있는 곳은 청송읍이 아닌 [[영양군]]과의 경계지역에 있는 진보면이다. 청송이란 고장의 이미지를 깎는다고 [[대한민국 법무부]]에 지속적으로 진정이 제기되었는데 결국 이름이 경북북부교도소로 바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교도소가 들어서면 [[교정직 공무원]]들 및 면회객들도 오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도 생겨나고 있다. 심지어 청송군민들은 '''교도소를 추가 유치하겠다'''고 나설 정도.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725817&plink=ORI&cooper=NAVER|#]] 근데 이것을 역으로 보면 교도소 이외에는 지역경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낙후가 심각하다는 거다.
         ||<-10> '''청송군 행정구역 변천사''' ||
         || 청송군 [br](靑松郡, 1895) [br] 진보군 [br](眞寶郡, 1895) ||<|2> → || '''청송군 [br](1914)''' ||
         고려 시대 청부현이었다. 그러다가 1419년(세종 1) [[소헌왕후]] 심씨의 고향이라 하여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하였다. 후에 진보와 분리되고 [[세조(조선)|세조]] 때 송생현(松生縣)과 합하여 청송군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안덕현(安德縣)을 병합하여 청송도호부(靑松都護府)로 승격하고 9개 [[면(행정구역)|면]] 57개 [[리(행정구역)|리]]로 구분하였다. 한편 북쪽에는 진보현이 있었다.
         [[1895년]]에 [[23부제]]에 의해 안동부 청송군이 되었다. 이듬해 13도제를 실시하면서 [[경상북도]] 청송군이 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진보군의 대부분을 합하여 8개 면으로 개편하였다. 진보군의 영역 중 청송군에 편입되지 않은 곳은 [[영양군]]에 편입되었다. 1979년 5월 청송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농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산물로는 [[사과]]와 [[고추]]가 있다. 실제로 [[청양고추]]가 [[충청남도]] [[청양군]]이 아닌, 청송군의 '[[청]]', [[영양군]]의 '[[양]]'을 따서 이름지었다는 [[가설]]이 있다. [[청양고추]] 문서 참고. 그 외에도 [[담배(식물)|담배]]와 [[파프리카]], [[야콘]]등이 있다.
         [[산(지형)|산지]]가 대부분이고 산에 청송군의 이름에도 들어가는 [[소나무]]가 상당히 많아서 [[송이버섯]] 채취도 이루어진다.
         [[2011년]] 1월 7일~9일 3일간 청송군 부동면 내룡리 얼음골 빙벽장에서 [[2011 UIAA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으로, 앞으로도 [[2020년]]까지 청송에서 매년 개최될 예정이다.
         ||<tablealign=center><bgcolor=#C9151E><-8> {{{#FFFFFF '''19대 대선 청송군 개표 결과'''}}} ||
         || '''청송군''' ||<:>16.19%||<:>12.19%||<:>17.58%||<:>△1.39 (+8.6%)||<:>△5.39 (+44.2%)||<:>82.76%||<:>61.32%||<:>58.29%||<:>▼24.47 (-29.6%)||<:>▼3.03 (-4.9%)||
         ||<-3> 청송군-영덕군 || 청송군-[br]영양군-영덕군 ||<-3> 군위군-의성군-청송군 || 상주시-군위군-[br]의성군-청송군 ||
  • 배대윤 . . . . 12회 일치
         '''배대윤'''(裵大潤, [[1948년]] [[12월 5일]] ~ ,[[충청북도]])은 [[대한민국]]의 제43대 경상북도 청송군수이다.
         * 2002.07 ~ 2006.06 제43대 경상북도 청송군 군수
         * 2007 경상북도 청송군수 후보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43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4|9|9|9}} 49.99%||10,211표||1위||[[파일:경북당선.png|25px|경상북도 청송군수 당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44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4|8|8|0}} 48.80%||8,958표||2위||낙선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2·19 재보궐선거]]||[[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45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4|5|8|4}} 45.84%||8,076표||2위||낙선
         |직책 = [[청송군|경상북도 청송군수]](민선)
  • 영양군 . . . . 5회 일치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 면적은 815.14㎢ , 서쪽은 [[안동시]], 북쪽은 [[봉화군]], 남쪽은 [[청송군]], 동쪽은 [[영덕|영덕군]], [[울진군]]과 접하고 있으며 인구는 2018년 2월 기준 약 1만 7천 명. 영양군보다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는 [[경상북도]] [[울릉군]]뿐이다. 그나마도 울릉군은 자그마한 섬이라는 특수성이 있으니, 이 영양군이 (섬을 빼고) [[육지#s-2|육지]] 중엔 사실상 한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셈이며, 이는 [[팔라우]] 전체 인구와 거의 비슷하다. 아울러 인구 밀도 21명/㎢로 전국에서 [[강원도]] [[인제군]]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밀도가 낮은 시군이다. 참고로 인제군의 인구밀도는 20명/㎢. 그러나 주민등록을 옮기지 않고 인제군에서 군 복무를 하는 대다수 군인들을 감안하면, 실제 인구밀도는 오히려 영양군이 인제군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
         전국적으로 가장 낙후된 지역을 이르는 말인 [[BYC|B'''{{{#red Y}}}'''C]]([[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중 하나다. 그중에서도 특히 낙후되었다.
         인구수에서 알 수 있듯 전국적으로 가장 낙후된 지역 가운데 하나로 이웃한 [[봉화군]], [[청송군]]과 함께 [[BYC#s-2|BYC]]로 불린다.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편을 이용하여 영양으로 가려면 대부분 이웃한 [[안동시]]를 경유해야만 한다. 고속도로, 철도편은 전혀 없으며 국도는 [[31번 국도]], [[88번 국도]]가 있다. 여기서 [[영덕군]]으로 가려면 [[918번 지방도]]를 이용하거나 청송군 진보면으로 빠져나와 [[34번 국도]]를 이용해야 한다.
         |||| 영양군-봉화군 || 영양군-[br]봉화군-울진군 || 청송군-[br]영양군-영덕군 ||<-4>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 의성군 . . . . 5회 일치
         ||<-2><bgcolor=#FFB6C1> {{{#FF0080 '''국회의원'''}}} ||<bgcolor=#FFFFF0>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br][[김재원(정치인)|김재원]]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군. 2018년 6월 기준 인구는 약 5만 3천여명이다. 북쪽에 안동시, 동쪽에 청송군과 영천시, 남쪽에 군위군, 서쪽에 구미시와 상주시가 위치해있다. 의성군의 서쪽으로 낙동강 본류가 흐르며, 낙동강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인 위천이 의성 군내를 관통하며, 경작지가 넓고 평야지대가 비교적 많다. 때문에 농업 인구가 대다수를 차지했던 1970년대 중반에만 하더라도 인구가 20만을 넘을 정도로 제법 큰 군이었으나 이후 농촌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리즈 시절]]보다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군위군]], [[청송군]]과 한 선거구로 의성-군위-청송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지만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인근의 상주시와 합쳐져 서울시 면적의 6.4배에 이르는 거대 선거구가 형성되었다.
         ||<-3> 의성군 || 군위군-의성군 ||<-3> 군위군-의성군-청송군 || 상주시-군위군-[br]의성군-청송군 ||
  • 영덕군 . . . . 2회 일치
         ||<-3> 청송군-영덕군 || 청송군-[br]영양군-영덕군 ||<-4>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 경상북도 . . . . 1회 일치
         [[청송군]]''' || 靑松郡 || 843 || 26,697 || 12,885
  • 김홍미 . . . . 1회 일치
         [[1599년]](선조 31) 다시 [[청송군|청송]][[부사]](靑松府使)로 부임했다가 [[1601년]](선조 34년) 봄에 병환으로 관직을 사퇴하고 [[상주군|상주]]로 되돌아갔다. [[1602년]](선조 35) [[여주군|여주]][[목사]]가 되었으며, [[1604년]](선조 37) [[강릉시|강릉]][[부사]]로 임명되자 와병중인데도 부임하였다. [[1605년]] 강릉부사로 재직 중 큰 비가 내려 백성이 많은 수재(水災) 재난을 당하였다. 당시 그는 병이 들었지만, 아픈 몸을 이끌고 직접 현장을 찾아가 수재로 죽은 자의 조문과, 수재로 재산을 잃거나 굶주린 자의 진휼(賑恤)과 구제에 힘써 직무에 충실하다가, 병이 악화되어 관직에서 물러났다.
  • 남유진 . . . . 1회 일치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제22회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총무처, 내무부(이상 현 [[행정자치부]]), [[산림청]] 등에서 근무하다가 [[노태우 정부]] 후기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으로 근무하였다. [[김영삼 정부]] 초기에는 관선 경상북도 [[청송군]]수를 지냈다. 이후 다시 내무부, 행정자치부에서 근무하다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김관용]] 구미시장[* 15 ~ 17대 [[경상북도지사]]를 지냈다.] 밑에서 구미시 부시장을 지냈다.
  • 박부남 (1931년) . . . . 1회 일치
         '''박부남'''(朴富南, [[1931년]] ?월 ?일 ~ [[2018년]] [[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소아과|소아]][[내과]] [[의사]], 대학 교수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구한 말의 관료 [[박중양]]의 손녀이며, [[청도군|청도]], [[상주군|상주]], [[청송군|청송]][[군수]]를 지낸 [[박문웅 (1890년)|박문웅]]의 딸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 출신.
  • 박제균 (1887년) . . . . 1회 일치
         이후 경북 지역에서 [[청송군]], [[영덕군]], 의성군 군수를 차례로 지냈고, [[1933년]]에는 [[영천군]] 군수가 되었다. 일본 정부로부터 훈6등 서보장을 수여받는 등, 영천군수로 재직 중이던 [[1934년]]을 기준으로 종6위 훈6등에 서위되어 있었다.
  •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청송군 출신 인물]]
  • 신동미 . . . . 1회 일치
         [[분류:청송군 출신 인물]]
  • 영천시 . . . . 1회 일치
         위치로 영천시는 [[경상북도]]의 동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은 [[경주시]]와 [[포항시]], 서쪽은 [[경산시]]와 [[대구광역시]], 남쪽은 [[청도군]], 그리고 북쪽은 [[청송군]]과 [[군위군]]에 접하고 있다. 또 영천시는 태백산맥 줄기의 보현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지대에 둘러싸인 둥근 형태의 분지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에는 보현산(1,124m), 서쪽에는 팔공산(1,192m), 동쪽에는 운주산(806m), 남쪽에는 사룡산(685m)이 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북단은 화북면 하송리 산56으로 동경 128도 55분 08초, 북위 36도 10분 54초. 남단은 대창면 용호리 산13으로 동경 128도 56분 57초, 북위 35도 50분 03초로 남북간 38.64km이며, 동단은 임고면 수성리 산96-1로 동경 129도 08분 42초, 북위 36도 03분 08초. 서단은 신녕면 치산리 산141-5로 동경 128도 41분, 북위 41초 36도 00분 48초로 동서간 40.75km이다.
11531의 페이지중에 1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21-11-07 04:32:08
Processing time 1.530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