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청도"에 대한 역링크 찾기

청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명성(승려)
         * 1970년 ~ 1987년 - [[청도]] [[운문사]] 승가학원 강사 취임
         * 1977년 ~ 1998년 - [[청도]] [[운문사]] 강원 강주 및 제 8,9,10,11,12대 [[운문사]] 주지
         * 1987년 ~ 현재 - [[청도]] [[운문사]] 승가대학 학장
         * 1997년 ~ 현재 - [[청도]] [[운문사]] 승가대학 원장
  • 박문웅(1890)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다. [[일제 강점기]]의 [[일본]] 유학파 관료로 [[1916년]] 판임관 공개채용 시험에 합격, [[선산군]]속, [[김천군]]속, [[경상북도]] 학무과 주사, [[경주시]] 총무과 서무주임 등을 거쳐 [[경북]] 달성군수, 경북 청송군수(1934.9.14~1938.3.25), 청도군수(1938.3.25~1943.3.6), 상주군수(1943.3.6~1944.12.21) 등을 역임하였다.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신념형 친일파 관료 [[박중양]]의 아들로, [[치과]][[의사]]이자 대학 내 [[치의학]]과 설립 운동을 한 [[이열희 (1924년)|이열희]]는 그의 사위였다. 다른 이름은 영문(泳文) 또는 순성(淳聖)이다.
         청도군 국민정신총동원연맹 각 읍면지부 조직 준비 기사, 매일신보 1938년 8월 15일자
         그뒤 [[사무관]]을 거쳐 [[1934년]] [[9월 14일]] [[경상북도]] [[군속]]이 되었다. [[1934년]] [[9월 16일]] [[고등관]] 7등에 [[군수]]로 승진, [[청송]][[군수]](靑松郡守)가 되었다.<ref>동아일보 1934년 09월 16일자, 1면</ref> [[청송]][[군수]]로 재직 중 [[1935년]] 판임관 7등이 되고, [[1937년]] 판임관 6등으로 승진하였다. [[1938년]] [[3월 17일]] [[청도]][[군수]]가 되었다.<ref>동아일보 1938년 03월 27일자, 1면</ref> 그해 [[8월]] [[국민정신총동원연맹]] 청도군지회 이사장을 맡았다. 이후 달성군수, 청송군수 등을 지내고 [[1939년]] [[9월 30일]] 인사에서 [[고등관]] 4등(高等官四等)으로 승진하였다.<ref>동아일보 1939년 10월 01일자 1면</ref>
         [[1939년]] [[12월 17일]] [[청도군]]의 [[유학자]] 모임인 [[청도유림회]](淸道儒林會) 결성에 참여하고 지부장에 추대되었다.<ref>동아일보 1939년 12월 20일자, 3면 사회면</ref> [[12월]]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1940년]] [[판임관]] 5등이 되었다. 그해 [[5월]] [[창씨개명]]령이 떨어지자 그해 [[9월]] 박충으로 창씨개명하였다. [[1941년]] 다시 청도군수가 되었다가 [[1942년]] [[판임관]] 4등으로 승진하였다. [[1943년]] [[영천]][[군수]]가 되었다가 그해 [[3월 6일]] [[상주군|상주]][[군수]](尙州郡守)로 부임하였다. [[1943년]] [[8월 2일]] 각 도별로 [[일본적십자사]] 녹사(日本赤十字社錄事)를 선발할 때 [[경상북도]] 지역구 [[일본 적십자사]] 녹사의 한사람으로 선임되었다. [[12월 31일]] [[고등관]] 3급으로 승진하였다.
  • 백이소
         '''백이소'''(白以昭, [[1557년]] [[경상북도]] [[경주시]] ~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융원(隆遠), 호는 부암(傅巖)이다. 본관은 [[청도 백씨|청도]](淸道)이나 옛 지명인 오산(鰲山)으로 쓰기도 한다.
         고려 때 [[박경순]](朴慶純) 일당의 난을 진압한 [[청도]] 호장 [[백계영]](白桂英)의 후손인 선략장군(宣略將軍) [[백희]](白熹)의 둘째 아들로 [[경주부]] 서면 부산촌(富山村) 출신이다. 풍채가 크고 힘이 출중하였는데,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1592년]](선조25) 6월 [[경주]]지역 의병장으로 경주부윤 [[윤인함]], 판관 [[박의장]]과 함께 [[문천회맹]](蚊川會盟)에 참여하였다. 노모와 아내를 산 속에 피신시킨 후 산에서 내려와 가복들을 이끌고 의병장이 되어 왜적을 무찔렀다. [[1594년]]([[선조]] 27)에는 갑오별시 병과에 급제하고 훈련원 봉사에 특제되었다.<ref>《[[부암실기]]》</ref>
         [[분류:1557년 태어남]][[분류:1597년 죽음]][[분류:조선의 무신]][[분류:의병]][[분류:의병장]][[분류:조선 의병장]][[분류:임진왜란 의병장]][[분류:정유재란 참전 중 사망자]][[분류:임진왜란 관련자]][[분류:정유재란 관련자]][[분류:16세기 한국 사람]].[[분류:백씨]][[분류:청도 백씨]][[분류:문천회맹]][[분류:경주시 출신 인물]]
11830의 페이지중에 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