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청구풍아"에 대한 역링크 찾기

청구풍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종직
          * [[청구풍아]]
  • 윤유후
         [[음서 제도|음보]]로 관직에 올라 사과(司果)로 재직 중 [[1568년]](선조 1년) 증광사마시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이후 행용양위부사과, 좌랑을 거쳐 고양군수에 이르러 암행어사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삭녕군|삭녕]][[군수]]를 거쳐 [[1590년]](선조 23년) 영월부사가 되었다가 [[1592년]](선조 25년) 자산군수를 거쳐 [[임진왜란]]을 겪은 뒤, 관직은 [[한성부]][[서윤]]에 이르렀다. 그는 집안에 전해지던 [[성삼문]](成三問)의 문집과, 문집에 실리지 못하고 각종 문헌 [[동문선]](東文選), [[청구풍아]](靑邱風雅), [[용재총화]](慵齋叢話), [[황화집]](皇華集), [[대동시림]](大東詩林) 등에 전하던 [[성삼문]]의 시와 글들을 모아서 정리, 성근보선생집 (成謹甫先生集),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등을 간행하였으며, 발문을 썼다. [[성근보집]]과 [[육선생유고]] 모두 [[성삼문]]의 문집인데 서로 다른 내용들이 실려있다. 윤곤(尹坤)의 5대손으로, [[정현왕후]]의 친정 종손자가 된다.
         그는 [[1575년]]에서 [[1590년]] 사이로 추정되는 어느 때에 그는 집안에 전해지던 [[성삼문]](成三問)의 문집 성근보유고와 기타 시문을 정리해 [[성삼문]]의 문집 2권을 간행한다. 문집에 실리지 못하고 각종 문헌 [[동문선]](東文選), [[청구풍아]](靑邱風雅), [[용재총화]](慵齋叢話), [[황화집]](皇華集), [[대동시림]](大東詩林) 등에 전하던 [[성삼문]]의 시와 글들을 모아서 정리, 성근보선생집 (成謹甫先生集),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등을 간행하였으며, 발문을 썼다. 윤유후는 자신이 [[성삼문]]의 문집을 정리하게 된 것에 대해 성근보집 발문에 누가 편집한 것인지는 알수 없으나 필사본으로 베낀 성근보유고 (成謹甫遺稿) 1권이 집안에 대대로 가전(家傳)되어 왔기에, 문집에 실리지 못한 시문이 있을까 찾다가 자신이 [[동문선]](東文選), [[청구풍아]](靑邱風雅), [[용재총화]](慵齋叢話), [[황화집]](皇華集), [[대동시림]](大東詩林) 등에 수록된 [[성삼문]]의 미수록 유작을 채집하여 시부(詩賦) 89수‚ 전(箋)‚ 찬(讚)‚ 함(箴)‚ 서(書)‚ 설(說)‚ 성삼문이 지은 타인의 묘비명(墓碑銘)‚ 대책(對策) 등 16편의 글을 찾아내 유집을 완성시켰다 하였다. 그의 성근보집과 육선생유고는 [[조선 고종|고종]] 때에 간행한 매죽헌선생문집 (梅竹軒先生文集) 등의 참고자료가 된다.
12544의 페이지중에 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