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청구영언"에 대한 역링크 찾기

청구영언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이조년
         [[경상북도]] [[성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이장경]]이며 어머니는 [[합천 이씨]]이다. [[고려 충렬왕|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1306년]] 비서랑으로 왕을 모시고 원나라 수도 연경(燕京)에 갔을 때 [[왕유소]]·[[송방영]] 등의 모함으로 충렬왕과 [[고려 충선왕|왕자]]의 사이가 나빠졌다. 이때 그는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았으나 화를 입고 유배되었다. 그 후 유배에서 풀려나 13년간 고향에 있다가, [[1340년]] [[고려 충혜왕|충혜왕]] 때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그는 천성이 결백 강직했으며 특히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한 수가 《[[청구영언]]》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ref name="글로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고려-조선의 문학/고려시대 문학/고려 후기#이조년|이조년]]〉</ref> [[고려 공민왕|공민왕]] 때 성산후에 추증되었고, 충혜왕의 사당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렬(文烈).
  • 이현보
         그는 특히 문장에 뛰어나 자연을 노래한 시조가 많이 있는데, 10장으로 전하던 <어부가>를 그가 5장으로 고쳐 지은 것이 <[[청구영언]]>에 실려 있다. <효빈가(效嚬歌)> <농악가> <농암가(聾巖歌)> 등이 그의 저서인 <농암(聾巖)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ref name="이현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고려-조선의 문학/조선 전기 문학/시조 문학#이현보|이현보]]〉</ref>
         중종 때 이현보는 연시조인 어부단가(漁父短歌)를 지었는데, 이는 고려 때부터 전해 오던 어부 단가 10수를 고쳐 지은 것이다. 모두 5장으로 내용은 어부의 생활을 읊은 것이며 본래의 어부 단가 10수는 전하지 않는다. 그 가사가<청구영언><해동가요>에 전해 온다. <ref name="어부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고려-조선의 문학/조선 전기 문학/시조 문학#어부사(漁父詞)|어부사(漁父詞)]]〉</ref>
12238의 페이지중에 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