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진주"에 대한 역링크 찾기

진주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온순 (1812년)
         '''김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안동 김씨 (신)|신안동]]이다. [[음서 제도]]로 관직에 올라 [[참봉]] 등을 지내고 [[1862년]] 문화현령으로 부임한 이래 해주판관, 합천군수, 순창군수, 담양군수, 해주군수, 밀양부사, 수운판관, 임실군수, 진주목사, 청주목사, 안주목사, 다시 청주목사와 안주목사 등 20년간 지방관을 역임하고, [[1882년]] [[공조]][[참판]]으로 발탁되었다. 지방관으로 재직 당시 실적을 인정받아 여러 번 포상을 받았으며, 청주목사 처음 재직 시에는 통정대부로, 두 번째 청주목사 재직 중에는 1882년 1월에 가선대부, 1882년 4월에 가의대부로 승진하였다.
         [[1872년]] [[7월 16일]] 해주판관(海州判官)이 되었다가 다시 [[해주]][[군수]]가 되었다. [[1874년]] [[7월 12일]] [[밀양]][[부사]](密陽府使)를 거쳐 [[11월]] [[수운]][[판관]]으로 내직으로 돌아왔다. [[11월 13일]]에는 황해도 암행어사(黃海道暗行御史) 조병필(趙秉弼)이 그가 해주판관으로 있을 때 군호(軍戶)가 고르게 보급되었다고 치적을 보고하여 특별히 [[통훈대부]]로 승진하였다. [[11월 27일]] [[수원부]] [[판관]]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1875년]] [[9월]] 부모의 병으로 사직을 청하는 임실 현감(任實縣監) 민두호(閔斗鎬)를 배려하여 [[대한제국 고종|고종]]은 특별히 임실현감 민두호를 수원부판관으로 임명하고 김온순을 [[임실]][[군수]]로 임명해 내려보냈다. [[1876년]] [[12월]] [[진주]][[목사]]로 부임하였다.
         진주목사로 재직 중 조정에 바칠 공물의 수가 적자, 김온순은 무리하게 거두지 않고 차라리 자신의 녹봉을 감하여 조정에 공물을 바쳤다. 이를 안 [[이조]]가 계목을 올려 그를 치하하였다.
         고종은 지방관 인사 실적과 암행어사들의 계본을 보고는 "전 진주 목사(晉州牧使) 김온순(金蘊淳)은 과연 잘 다스렸구나."하고 칭송하기도 했다. [[1878년]] [[4월 26일]] [[청주]][[목사]]로 부임하였다. [[1879년]] [[8월]]에는 [[선혜청]]으로부터 정공(正供)으로 거두어들이는 세금이 가장 낮다는 이유로 탄핵을 당했지만 [[조선 고종|고종]]이 알아서 하겠다 하고 무마시켰다.
  • 성혼
         [[전라감사]] [[홍여순]]은 [[남명 조식]]의 제자로 [[진주]]에 살고 있던 [[최영경]]을 길삼봉이라고 잡아들였다.<ref name="jud144">신정일, 《지워진 이름 정여립:조선사회사총서 6》 (가람기획, 2000) 144</ref> 그러나 사실무근으로 판정되어 석방되었으나, 곧 두 사람이 친교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최영경은 다시 잡혀와 국문을 받던 도중 의문사했다.<ref name="jud144"/> 그는 [[최영경]]이 [[정여립]]과 사적인 친분은 있더라도 사악한 짓은 같이 하지 않을 사람이라며 변호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윤휴
         [[1910년]](융희 3년) [[대한제국]] 멸망 이후 그에 대한 연구와 재조명 노력이 이어졌다. [[1927년]] [[경상남도]] [[진주]]의 용강서당(龍江書堂)에서 김대림(金大林)과 윤휴의 8대손 윤신환(尹臣煥)에 의해 처음으로 《백호문집 白湖文集》을 석판본으로 간행하였다. [[1934년]] 8대손 윤신환이 다시 [[백호독서기]](白湖讀書記)를 정리해서 간행하였다. 1974년에 직계 후손 [[윤용진]](尹容鎭)등에 의하여 비밀리에 비전(祕傳)되던 다른 원고들을 모두 망라한 《백호전서(白湖全書)》가 출간되었다.
11830의 페이지중에 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