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제3의 로마

목차

1. 소개
2. 의미
3. 역사
4. 사례
4.1. 이탈리아의 계승
4.2. 비잔티움 제국의 계승
4.3. 신성마제국의 계승
5. 여담
6. 참조
7. 분류

1. 소개

Third Rome

제3의 마 제국이라는 의미서, 새운 '마 제국'의 계승 국가를 뜻하는 말이다. 과거 유럽의 여러 정권들이 내세운 정치적 구호이다.

2. 의미

제3의 마란, 제1의 마를 이탈리아에 수도를 둔 마 제국으 보고, 제2의 마를 콘스탄티노플(현재의 이스탄불)에 수도를 둔 비잔티움 제국 보며, 자국 혹은 현재 정권을 제1의 마와 제2의 마를 계승한 '제3의 마'라고 보는 것이다.


3. 역사

제3의 마라는 구호가 나타난 데는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이 가장 큰 계기가 되었다.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으 고대 마의 직접적인 계승국이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서 서구 문명의 근원인 '마 제국'의 계승자라는 명분이 각국의 군주들에게 매력적으 다가왔던 것이다.

4. 사례

4.1. 이탈리아의 계승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민족주의, 공화주의 운동가들은 이탈리아의 독립과 통일을 위한 구호서 이탈리아를 민중의 제3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탈리아 왕국이 이러한 사상을 계승하였으며, 무솔리니와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에서도 제3의 마 제국을 선전 구호 내세웠다.

4.2. 비잔티움 제국의 계승

러시아 제국
제3의 마를 제창한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바 러시아 제국이다. 러시아는 정교회의 종주국이자 보호자서 제3의 마 계승을 내세웠다.

오스만 제국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킨 오스만 투르크 제국은 룸 카이세리(Kayser-i Rum, 마의 황제)라는 칭호를 내세우며, 정교회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였다.

그리스 왕국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한 그리스 왕국은 민족 종교정교회라는 종교 열정과, 민족주의 운동에 따라서 비잔티움 제국의 계승을 주장했다.

4.3. 신성마제국의 계승

카롤링거 왕조마 제국의 계승을 주장했으며, 이 계승권 주장은 신성마제국 이어진다. 이 계통에서는 '서마제국'이 제1제국이며, 신성마제국이 제2제국, 그 계승국가가 제3제국이 된다. 신성마제국의 붕괴 이후 계승권 주장은 이렇게 되는데….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신성마제국의 계승으서, 제3의 마 제국임을 주장했다.

독일 제국
독일 제국은 신성마제국의 계승으서, 제3의 마 제국임을 주장했다.

5. 여담

사실 독일 제국이 제3이면 나치 독일은 '제4제국'이 되어야 하지만, 서마를 떼어버리고 독일인만 기준으 해서 신성마제국, 독일 제국, 나치 독일 해서 제3제국임을 주장한다.바이마르 공화국의 눈물 '제4'는 아무래도 뭔가 애매하게 느껴지나보다.



7.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