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정구"에 대한 역링크 찾기

정구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윤선도
         윤선도는 [[정구]], [[허목]], [[윤휴]]와 함께 [[왕사부동례]]설을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조선 인조|인조]]의 왕통을 이은 것은 [[조선 효종|효종]]이므로 효종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 왕통을 계승하였으므로 제2장자로서 장남과 같다고 보았다. 그에 의하면 서자는 첩의 자녀에게만 서자라 부르는 것이고, 정실 자녀에게는 중자라고 해도 서자라 부르지는 않는다고 봤다.
         * [[정구 (1543년)|정구]]
  • 윤휴
         아버지 [[윤효전]]은 관료이자 학자로 당색은 [[북인]] 소북(小北)이었다. 그가 태어날 무렵 [[경주시|경주]]를 방문했던 아버지 [[윤효전]]의 스승 중 한사람인 한강 [[정구]](寒岡 鄭逑)는 만득자인 그에게 특별히 두괴(斗魁)라는 아명을 지어주었다.
  • 이황
         학문상으로는 영남 지역이 기반인 동인과 남인의 종통이었다. 동서 분당의 원인이라 일컬어지는 성암 [[김효원]](金孝元), 그리고 한강 [[정구]] 등은 이황과 조식 둘에게서 배웠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는 [[유성룡]]과 [[김성일]]이며 많은 다른 제자들이 있었다. 한강 정구는·미수 [[허목]]에게 이어지며, 허목은·성호 [[이익]] 등 남인 실학자로 이어진다. 또한 여헌 [[장현광]] 등은 이황과 이이 학설의 절충을 한다. 이황은 영남학파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그의 제자들은 당색으로는 [[동인]]과 [[남인]]이었다. 이황 자신은 동서 분당 전에 죽었기 때문에 당파에 소속되지 않았다.
         그 문하생으로는 서애 [[류성룡]], 학봉 [[김성일]]<ref>황윤길과 함께 일본 정세를 정탐하러 파견되었다.</ref>, 소고 [[박승임]], 성암 [[김효원]], 황재 [[심의겸]] 등이 있다. 월천 조목(趙穆), 송암 권호문(權好文), 두곡 고응척이 그의 문인이었으며, 특히 권호문에게 글 쓰는 법을 설명한 필법을 선물하였다. 권호문은 이를 퇴도선생필법-퇴도선생유첩(退陶先生筆法─退陶先生遺帖)이라는 이름의 책으로 만들어 소장하고 후대에 전하였다. [[김효원]]은 [[동인]]의 영수가 되었고, [[심의겸]]은 [[서인]]의 영수가 되었다. [[심의겸]]은 [[이황]]의 문인임에도 [[이이]], [[성혼]]과 어울린 탓에 자연스럽게 [[서인]]이 되었다. [[박승임]]은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으나 그 제자 가운데 일부는 [[북인]], 일부는 [[남인]]으로 출사한다. [[류성룡]]과 그의 주변 인물, 제자는 모두 [[남인]]으로 이어진다. 368인 문인 가운데 정유일(鄭惟一), 매암 이숙량, 약포 정탁(鄭琢), 김취려(金就礪)도 그의 문인이었고, 한강 [[정구]]는 [[조식]]의 문하에서도 수학했지만 그의 문하에서도 수학하였다.
         [[이익 (1681년)|이익]]은 이황의 사상을 직접 계승하지는 않았으나 [[이익 (1681년)|이익]]의 스승 중 한명인 [[이서우 (1633년)|이서우]]가 [[허목]]의 문인이고, [[허목]]의 스승인 [[정구 (1543년)|정구]]는 이황의 문하에서도 배웠고, [[조식 (1501년)|조식]]의 문하에서도 공부하였다. [[이익 (1681년)|이익]]은 이 점을 들어 퇴계 이황과의 관련성을 계속 강조하였다.
  • 조동혁(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학창시절 [[정구]] 선수였다고 한다.
11831의 페이지중에 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