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전한"에 대한 역링크 찾기

전한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강 (시호)
         * [[전한]] 교동 강왕 [[유기 (교동강왕)|유기]]
         * [[전한]] 청하 강왕 [[유의 (청하강왕)|유의]]
         * [[전한]] 하간 강왕 [[유기 (하간강왕)|유기]]
         * 전한 성양 강왕 [[유순 (성양강왕)|유순]]
         *전한 양 강왕 [[유가 (양강왕)|유가]]
         *[[전한]] 중산 강왕 [[유곤치]]
         * 홍양강후 [[왕립 (전한)|왕립]]
  • 같은 묘호와 시호 목록
         [[동아시아]]에서는 왕조 교체를 이유로 다른 인물이 더러 같은 [[묘호]]나 [[시호]]를 받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예를 들어 [[전한]]의 제7대 황제 [[전한 무제|유철]]과 [[서진]]의 초대 황제 [[사마염]]은 모두 무제(武帝)라는 시호를 받았다. 한국어의 특성상 같은 단어로 표기하나 한자로는 다르게 쓰는 묘호도 있는데 예를 들어 성종은 한자로 成宗과 聖宗으로 다르게 표기한다.
  • 경 (시호)
         * [[전한 경제|경제]]는 중국 전한 제6대 황제이다.
         * [[전한]] 조 경왕 [[장이]]
         * [[전한]] 성양 경왕 [[유장 (성양경왕)|유장]]
         * 전한 성양경왕 [[유연 (성양경왕)|유연]]
         * 전한 치천경왕 [[유유 (치천경왕)|유유]]
         * 전한 진정경왕 [[유평 (진정경왕)|유평]]
         * 전한 청하경왕 [[유탕 (청하경왕)|유탕]]
         * 전한 조경왕 [[유창 (조경왕)|유창]]
         * 전한 장사경왕 [[유부구]]
         * 전한 양경왕(양정왕) [[유무상]]
         * 전한 중산경왕 [[유보 (중산경왕)|유보]]
         * 전한 평간경왕 [[유언 (평간경왕)|유언]]
         * 전한 광양경왕 [[유건 (광양경왕)|유건]]
         * 전한 노경왕 [[유봉 (노경왕)|유봉]]
         * 전한 교동경왕 [[유음 (교동경왕)|유음]]
         * 전한 고밀경왕 [[유장 (고밀경왕)|유장]]
         * 전한 육안경왕 [[유광 (육안경왕)|유광]]
         * 전한 하간경왕 [[유수 (하간경왕)|유수]]
         * [[전한]] 연경왕 [[유택]]
         * [[전한]] 양경왕 [[유정국 (양경왕)|유정국]]
  • 고 (시호)
         * [[전한]] [[전한 고제|고제]]
  • 공 (시호)
         * [[전한]] 장사공왕 [[오우 (장사공왕)|오우]]
         * [[전한]] 조공왕 [[유회 (조공왕)|유회]]
         * [[전한]] 성양공왕 [[유희 (성양공왕)|유희]]
         * [[전한]] 대공왕 [[유등 (대공왕)|유등]]
         * [[전한]] 양공왕 [[유매 (양공왕)|유매]]
         * [[전한]] 하간공왕 [[유불해]]
         * [[전한]] 육안공왕 [[유경 (육안공왕)|유경]]
         * [[전한]] 조공왕 [[유충 (조공왕)|유충]]
         * [[전한]] 진정공왕 [[유보 (진정공왕)|유보]]
         * [[전한]] 교동공왕 [[유수 (교동공왕)|유수]]
         * [[전한]] 광릉공왕 [[유의 (광릉공왕)|유의]]
  • 대홍려
         ===[[진나라|진]]·[[전한]]===
         전한에서도 전객을 설치하였으며, [[전한 경제|경제]] 때 '''대행령'''(大行令)으로 고쳤다가<ref>단, 실제 사료상으로는 대부분
         '''대행'''으로 기록되어 있다.</ref> [[태초 (전한)|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대홍려'''로 고쳤다.
         {{전한의 구경}}
  • 도 (시호)
         * [[전한]] 분음도후 [[주창 (전한)|주창]]
  • 막부
         중국에서 막부라는 단어는 [[전국시대]]부터 나타난다. [[전한]]의 이광, 위청 등도 흉노를 정벌하며 전선에 막부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막부라는 단어가 관서를 나타나게 된 것은 [[후한]] 시기로서, [[후한 명제]] 시기에 동평왕 유창이 [[표기장군]]이 되어, 자신의 정청을 설치하고 천자를 보좌하였을 때 부터라고 한다. 기록을 보면 막부를 설치할 권한이 있는 것은 사방장군 이상(좌 / 우 / 전 / 후 의 4장군, 4평장군, 4진장군, 4정장군 등)의 장군들이었다.
  • 목 (시호)
         * [[전한]] 광양목왕 [[유순 (광양목왕)|유순]]
  • 문 (시호)
         *'''[[전한 문제|문제]]'''(文帝,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7년]], 재위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는 [[전한]]의 제5대 황제이다.
         *[[전한]] 제 문왕 [[유칙]]
         *[[전한]] 초 문왕 [[유례]]
         *[[전한]] 노 문왕 [[유준 (노문왕)|유준]], 별명 유석
  • 문제 (동음이의)
         **'''[[전한 문제|문제]]'''(文帝,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57년]], 재위 [[기원전 180년]] ~ [[기원전 157년]])는 [[전한]]의 제5대 황제이다.
  • 민 (시호)
         * [[전한]] 임강 민왕 [[유영 (임강민왕)|유영]]
  • 선 (시호)
         * [[전한 선제|한 선제]]는 [[전한]]의 제9대 황제이다.
         * [[여선왕]]은 [[전한]] [[고황후]]의 아버지다.
  • 성 (시호)
         * [[전한]] [[전한 성제|성제]]
         * [[전한]] 장사성왕 [[오신 (전한)|오신]]
  • 세종 (동음이의)
         * '''[[전한 무제|세종]]'''(世宗, 기원전 156년 ~ 기원전 87년, 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은 [[전한]]의 제7대 황제 무제의 묘호이다.
  • 소 (시호)
         * [[전한]] [[전한 소제 (8대)|소제]]
         * [[전한]] [[전한 소제 (3대)|소제]]
         * [[전한]] [[전한 소제 (4대)|소제]]
         * [[전한]] 조소왕 [[여석지]]
  • 소연
         * '''[[소연 (차정후)|소연]]'''(蕭延, ? ~ 기원전 178)은 [[전한]] 초기의 제후이다.
         * '''[[소연 (여후)|소연]]'''(召延, ? ~ 기원전 105)은 [[전한]] 중기의 제후이다.
  • 소제
         ** '''[[전한 소제 (3대)|소제]]'''(少帝)는 [[전한]]의 제3대 황제이다.
         ** '''[[전한 소제 (4대)|소제]]'''(少帝)는 전한의 제4대 황제이다.
         ** '''[[전한 소제 (8대)|소제]]'''(昭帝)는 전한의 제8대 황제이다.

  •      * [[전한]] 여숙왕 [[여태]]
  • 안 (시호)
         *[[전한]] 초안왕 [[유도 (초안왕)|유도]]
         *[[전한]] 진정안왕 [[유옹]]
         *[[전한]] 노안왕 [[유광 (노안왕)|유광]]
         *[[사고 (전한)|낙릉안후]](樂陵安侯) 사고
  • 애 (시호)
         * [[전한]] [[전한 애제|애제]]
         * [[전한]] 제 애왕 [[유양 (제애왕)|유양]]
         * [[전한]] 장사 애왕 [[오회]]
         * [[전한]] 항산(상산) 애왕 [[유불의]]
         * [[전한]] 하간 애왕 [[유복 (하간애왕)|유복]]
         * [[전한]] 임강 애왕 [[유알우]]
         * [[전한]] 제음 애왕 [[유불식]]
         * [[전한]] 청하 애왕 [[유승 (청하애왕)|유승]]
         * [[전한]] 산양 애왕 [[유정 (산양애왕)|유정]]
         * [[전한]] 교동 애왕 [[유현 (교동애왕)|유현]]
         * [[전한]] 중산 애왕 [[유창 (중산애왕)|유창]]
         * [[전한]] 창읍 애왕 [[유박 (왕족)|유박]]
         * [[전한]] 사수 애왕 [[유안세]]
         * [[전한]] 조 애왕 [[유고 (조애왕)|유고]]
         * [[전한]] 고밀 애왕 [[유홍 (고밀애왕)|유홍]]
         * [[전한]] 중산 애왕 [[유경 (중산애왕)|유경]]
         * [[전한]] 성양 애왕 [[유운 (성양애왕)|유운]]
         * [[전한]] 광릉 애왕 [[유호 (광릉애왕)|유호]]
         * 전한 건릉애후 [[위관 (전한)|위관]]
         * 전한 백지애후 [[허창 (전한)|허창]]
  • 양 (시호)
         * [[전한]] 장사양왕 [[유단 (장사양왕)|유단]]
         * [[전한]] 초 양왕 [[유주 (초양왕)|유주]]
  • 여 (시호)
         ===[[전한]]===
  • 오나라
         * '''[[오 (전한)|오]]'''(吳, 기원전 195 ~ 기원전 154)는 중국 [[전한]]의 제후왕국이다.
  • 외척
         전통적으로 중국의 왕조는 외척의 권세가 강했는데, 특히 [[전한]], [[후한]] 시기는 외척의 권세가 아주 강력했던 시기이다. 황제들은 이것을 제어하려고 [[환관]]과 손을 잡고 외척을 타도하기도 했으나, 이로 인해 이번엔 환관이 반대로 지나치게 강해져서 환관 세력이 창궐하게 된다.
  • 원 (시호)
         * [[전한]] [[전한 원제|원제]]
         * [[전한]] 초 원왕 [[유교 (초원왕)|유교]]
         * 전한 노 원왕 [[장오]] (추존)
  • 유태공
         [[전한]]을 세운 [[한고조]] 유방의 [[아버지]]. 역사상 최초로 살아 있는 상태로 [[태상황]](太上皇)의 존호를 받았다.
         [[분류:전한]]
  • 의 (시호)
         * [[전한]] 치천 의왕 [[유지 (치천의왕)|유지]]
         * [[전한]] 제 의왕 [[유수 (제의왕)|유수]]
         * [[관영 (전한)|영음의후 관영]]
  • 이 (시호)
         * [[전한]] 초 이왕 [[유영객]]
         * [[전한]] 육안 이왕 [[유록]]
         * [[전한]] 양 이왕 [[유수 (양이왕)|유수]]
         * [[전한]] 광덕 이왕 [[유운객]]
         * 전한 개봉이후 [[도청 (전한)|도청]]
  • 정 (시호)
         * [[전한]](前漢) 장사정왕(長沙定王) [[유발 (장사정왕)|유발]](劉發)
         * [[전한]](前漢) 중산정왕(中山靖王) [[유승 (중산정왕)|유승]](劉勝)
         * 전한(前漢) 장사정왕(長沙靖王) [[오저]](吳著)
         * 전한(前漢) 개정후(盖靖侯) 왕산(王信)
         * 전한 평양정후 [[조줄]]
         * [[전한]] 광덕정왕 [[유륜 (사람)|유륜]]
  • 평 (시호)
         * [[전한]] [[전한 평제|평제]]
  • 형불상대부 예불하서인
         [[전한]] 중기에 [[유교]]가 국학화 되면서 이 같은 원칙이 정권에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이며, 이후 오랫동안 유교 국가에서 하나의 원칙으로 쓰이게 되었다.
  • 혜 (시호)
         * [[전한]] [[전한 혜제|혜제]]
         * [[전한]] 광천 혜왕 [[유월 (광천혜왕)|유월]]
         * [[전한]] 성양 혜왕 [[유무 (성양혜왕)|유무]]
         * [[전한]] 하간 혜왕 [[유량 (하간혜왕)|유량]]
  • 회 (시호)
         * [[전한]] 양 회왕 [[유읍]]
         * [[전한]] 제 회왕 [[유굉 (제회왕)|유굉]]
         * [[전한]] 초 회왕 [[유문 (초회왕)|유문]]
         * [[전한]] 조 회왕 [[유존]]
         * [[전한]] 중산 회왕 [[유순 (중산회왕)|유순]]
         * [[전한]] 고밀 회왕 [[유관 (고밀회왕)|유관]]
  • 효 (시호)
         양한의 황제는 [[전한 고제]], [[후한 광무제]]를 제외한 모든 황제의 시호에 '효'가 들어가며, 통상적으로는 효를 빼고 일컫는다(예: [[전한 혜제|전한 효혜황제]] → 혜제, [[후한 장제|후한 효장황제]] → 장제). [[흉노]]는 한나라에 굴종한 후 한나라에서 황제의 시호에 항상 효를 넣는 법을 받아들여 [[선우]]의 칭호에 흉노 말로 효를 뜻하는 약제(若鞮)를 넣었다.
         * [[전한]] 대 효왕 [[유참]]
         * [[전한]] 양 효왕 [[유무 (양효왕)|유무]]
         * [[전한]] 제 효왕 [[유장려]]
         * [[전한]] 노 효왕 [[유경기]]
         * [[전한]] 하간 효왕 [[유경 (하간효왕)|유경]]
         * [[전한]] 진정 효왕 [[유유 (진정효왕)|유유]]
         * [[전한]] 성양 효왕 [[유경 (성양효왕)|유경]]
         * [[전한]] 초 효왕 [[유오 (초효왕)|유오]]
         * [[전한]] 장사 효왕 [[유종 (장사효왕)|유종]]
         * [[전한]] 광릉 효왕 [[유패]]
11830의 페이지중에 3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