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전라북도"을(를) 전체 찾아보기

전라북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전라북도 . . . . 6회 일치
         |이름 = 전라북도
         전라북도 정읍시 망제동에 위치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8호 망제동 석불입상(望帝洞石佛立像).
         전라북도 ! ! 全羅北道 ! ! 783,552 ! ! 1,863,894 ! ! 8,067.40
         전라북도 행정구역
         [[분류:전라북도 출신|전북 출신 인물]][[분류:1896년 설치]]
  • 김상중(배우) . . . . 4회 일치
         || '''출생''' ||<(> [[1965년]] [[8월 6일]] [*음력] ([age(1965-08-06)]세), (정부 직할) [[전라북도]] [[완주군]] [* 현 전라북도 완주군. 전북 태생이지만 어린 시절부터 전라북도 무주군(현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자랐다.] ||
  • 혜정(1993년 8월) . . . . 4회 일치
         ||<#FFFFF0> '''{{{#black 출생}}}''' ||<(> [[1993년]] [[8월 10일]] ([age(1993-08-10)]세), [[전라북도]] [[정읍시]][* 출생 당시에는 전라북도 정읍시이었다.] ||
         [[1993년]] [[8월 10일]], [[전라북도]] [[정읍시|정읍시]](현 [[전라북도]] [[정읍시]])에서 태어났다.
  • 이순재(1935년 10월) . . . . 3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35년]] [[10월 10일]][* 주민등록상으로는 1935년 10월 10일생인데 실제로는 저 생일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국회의원이던 당시나 현재 [[http://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169&page=1|대한민국헌정회에서는 1935년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2018년자 뭅뭅 인터뷰에서는 (세는나이) 84세로 본인을 소개하였다.]([age(1934-11-16)]세)[* 1934년생일 때 기준.][br][[일본령 조선]] [[전라북도]] [[전주시|덕진구]] ||
         [[전라북도]] [[전주시]][* 그 유명한 [[김종서]]의 [[6진 개척]]에 나오는 6곳 중 하나.] 출생, [[일제강점기]], 광복과 [[6.25 전쟁]]을 모두 경험했다. 출생지는 전주이지만, 4살 때([[1938년]])에 조부모님이 계신([[전라북도|전북]])로 왔고, 해방 후 부모님도 전북로 올라오셨다고 한다. 어릴 때 힘들게 살아 초등학교 6학년 때 [[할아버지]]와 함께 [[비누]] 장사를 했는가 하면, 중학생 때는 선생님이 가정방문을 오고 나서 [[등록금]]을 안 내도 아무 말 없었다고 한다. 전주고등학교 1학년 때인 [[1950년]], [[6.25 전쟁|6월 25일]] 동생[* 이명재(1994년 사망). 남동생의 아내 이름은 중견 탤런트 [[정혜선(배우)|정혜선]]과 동명이인이다.] [[수영복]]을 사러갔다가 군인들의 부대 복귀를 종용하는 즉, 한국전쟁이 일어났다는 방송을 들었다고 한다.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8673|#]]
  • 하현우 . . . . 3회 일치
         ||<:><bgcolor=#353535>'''{{{#white 출생}}}'''||<(>[[1981년]] [[11월 25일]][* 야구선수 [[KIA 타이거즈]]의 [[이범호]]와 생년월일이 같다.] ([age(1981-11-25)]세)[br][[전라북도]] [[장수군]]||
         [[1981년]] [[11월 25일]], [[전라북도]] [[장수군]] 태생. 현재는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하고 있다. 록 밴드 [[국카스텐]]의 보컬과 기타를 맡고 있다.
         1981년 11월 전라북도 장수에서 태어났다. 그리고 7살쯤 경기도 안산으로 이사를 와서 안산에서 초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냈다.
  • 강유미(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출신지''' ||<(> [[전라북도]] [[완주군]]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출신.
  • 남창희(연예인)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82년]] [[7월 27일]], [[전라북도]] [[진안군]][* 1995년에 [[전라북도]] [[진안군]]로 명칭이 바뀌었다.] ||
  • 성시경 . . . . 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
         성시경은 [[1979년]] [[4월 17일]]에 [[대한민국]]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1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홍콩]]에서 산 적도 있었고, [[미국]]의 유명한 [[연예인]]인 [[머라이어 캐리]]의 [[음악]]을 듣기 위해서 [[영어]]를 열심히 공부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별 어려움 없이 구사한다.
  • 소진은 . . . . 2회 일치
         [[1921년]] 조선총독부 경상북도 경부에 임명되었으며, 왜관경찰서 경부로 발령받은 뒤부터 경찰 간부로 이동했다. 상주경찰서(1922년 ~ 1923년), 포항경찰서(1925년 ~ 1929년)를 거쳐 경상북도 경찰부 보안과 경부(1930년 ~ 1931년)로 근무하면서 정치범에 관한 업무를 담당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경상북도 경찰관교습소 교관으로 활동했고, [[1933년]] [[5월 12일]]에는 도경시로 승진하면서 전라북도 경무과에서 근무하게 된다. 이 때부터 전라북도 순사교습소장, 순사징계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 유인촌 . . . . 2회 일치
         || 출생 ||[[1951년]] [[3월 20일]] ([age(1951-03-20)]세), [[전라북도]] [[완주군]] ||
         [[1951년]] [[3월 20일]]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태어났다.[* 그 이전까지 자신이 태어난 곳은 서울이라고 했다. 갑작스럽게 고향이 바뀐 이유는 가카 내각에서 호남 인사 홀대 소리가 나와서.... 유인촌의 부모가 [[한국전쟁]] 때 전주로 피란을 가 유인촌을 낳았다고 한다...] 한성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연극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까지 중앙대학교 연극학과의 교수 역임[*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예술대학에 교수연구실이 있었다. TV에서의 인자하고 덕이 풍부한 [[이미지]]와는 달리 강의 때는 여러모로 과격(?)했다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2012년 2월 20일부터 잠깐 예술의 전당 이사장을 맡았고, 2014년 배우로 복귀했다. 자신을 문화체육부 장관으로 발탁했던 [[이명박]] 前 대통령과 상당한 친분을 가지고 있어, 이명박이 퇴임한 현재도 최측근들과 더불어 이명박을 자주 만난다고 한다.
  • 윤균상(1987) . . . . 2회 일치
         || '''출생''' ||<(> [[1987년]] [[3월 31일]] ([age(1987-03-31)]세), [[전라북도]] [[전주시]] ||
         [[전라북도]] [[전주]] 출신. 전주 서신중학교와 영생고등학교 출신이며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상경해 1년 반 동안 모델 일을 했었다.[* 런웨이에 섰던 것은 세 번 정도라 인터뷰 할 때마다 모델 출신이라는 말이 쑥스럽다고 덧붙이곤 한다.] 그리고 '''[[제대]] 후'''[* [[운전병]] 출신이다.] 뒤늦게 대학에 입학하여 세한대학교 뮤지컬학과에 재학하며 본격적으로 연기를 시작했다.
  • 이경실 . . . . 2회 일치
         ||<#595959><:> {{{#FFFFFF ''' 출생 ''' }}} ||<(> [[1966년]] [[2월 10일]][* [[지석진]]과 같은 생년월일이다.]([age(1966-02-10)]세) / [[전라북도]] [[군산시]] ||
         [[문화방송|MBC]] 1기 공채 코미디언. [[1966년]] [[2월 10일]]생으로 [[전라북도]] [[군산]] 출생. 1987년 제 1회 MBC TV 개그 콘테스트에서 금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데뷔한다. 원래 코미디언이 될 생각은 없었고 배우를 지망했는데, 4학년 2학기 등록금이 필요하던 차에 열린 개그 콘테스트의 대상 상금이 100만원이란 얘길 듣고 응시한다. 하지만 상금이 70만원인 금상을 타게 되고, 불로소득세 33%를 떼고 지인들에게 수상 턱을 내고나니 남는 돈이 없어서 그대로 MBC에 입사하게 되었다고.
  • 이시영(배우) . . . . 2회 일치
         || '''출생''' ||<(> [[1982년]][* 소속사의 합격 전략 때문에 어쩔 수 없이 1984년생으로 데뷔했으나 어느 날부터 이렇게 알려지고 있다.] [[4월 17일]] ([age(1982-04-17)]세), [[전라북도]] [[완주군]] [* 9살 때 전라북도 완주군로 이주했다고 한다.] ||
  • 임현식(배우)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지}}}''' ||<(> [[전라북도]] [[순창군]] ||
         [[전라북도]] [[순창군]] 출신. 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 전지수 . . . . 2회 일치
         | 소속팀 = [[전라북도|전북도청]] <br> 류&마케팅컴퍼니
         '''전지수'''(全志秀, [[1985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현재 [[전라북도|전북도청]] 소속이다.
  • 조성모(가수) . . . . 2회 일치
         || '''출생''' ||<(> [[1977년]] [[3월 11일]]([age(1977-03-11)]세)[* 호적상 생일은 2월 28일.][br][[전라북도]] [[임실군]][* 과거에는 [[전라북도]] [[임실군]].] ||
  • 최희암 . . . . 2회 일치
          | 출생지 = {{KOR}} [[전라북도]] [[무주군|무주]]
         그는 [[전라북도]] [[무주군|무주]] 출생이며 졸업을 거쳐 [[연세대학교]]를 학사 학위하고 실업 팀 [[전주 KCC 이지스|현대전자]]에서 선수로 뛰었다. 그러나 대학 시절에는 동기생인 [[박수교]], [[신선우]] 등에 가려 출장 기회를 많이 잡지 못했고 실업 농구에서도 빛을 보지 못해 선수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하정우(영화감독) . . . . 2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78년]] [[3월 11일]] ([age(1978-03-11)]세), [[전라북도]] [[임실군]] ||
         중학교([[전라북도]] [[임실군]]에 소재한 [[예원예술대학교]] 출신)때 전교 선도부장을 맡으며 학교 여학생들의 인기를 독차지했다. 더욱 멋진 것은 하정우는 남자 후배들에게도 흔히들 선배가 잡는 허세나 똥군기를 하나도 안 잡고 살갑고 따뜻하게 대해줌으로써 남녀 모두에게 인기가 많았던 학생으로 기억된다는 것. 그래서 동문들 사이에서는 하정우의 성공을 두고, "성훈이 형이 잘 되어서 정말 좋다."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 출연분에 따르면 중학교 2학년 시절 성적이 안 나오자 담임이 '[[김용건|너희 아버지]]가 [[패드립|그러니 니가 그 모양이지 않느냐]]' [* 당시 [[김용건]]은 에로 영화에도 간간히 출였했었고, 드라마 《[[서울의 달]]》에서 빨간 양말을 신고 다니며 춤을 가르치는 [[제비족]]으로 출연 중이었다.] 라는 식으로 혼을 내 충격을 먹고 성적을 올려 모범생이 되었다고 한다.
  • 한규복 (1881년) . . . . 2회 일치
         《[[친일파 군상]]》에서는 한규복과 [[전라북도]][[도지사]]를 지낸 [[손영목]]에 대하여는 "일본인들에게 무조건 친일 또는 아부자가 아니었다 한다"며 그러한 주장을 인정해 주었다.<ref name="parksgi87"/> 그에 대해서는 맹목적인 친일파는 아니라는 의견이 존재하여 그의 처벌에는 반대하는 여론도 나타났다.
         그러나 [[민족정경문화연구소]]의 보고서인 《친일파 군상》에서는 맹목적인 친일파는 아니라고 인정해 주었다. 《친일파 군상》에 의하면 그를 가리켜 "이러한 기회에 일층 적극 진충보국하면 자기 개인은 물론이요, 민족적으로도 장래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 자"로 분류하였다.<ref>김학진·정운현 역, 《친일파죄상기》(학민사, 1993), 353페이지</ref> 한규복과 [[전라북도]][[도지사]]를 지낸 [[손영목]]에 대하여는 "일본인들에게 무조건 친일 또는 아부자가 아니었다 한다"며 그러한 주장을 받아들였다.<ref name="parksgi87"/>
  • 황병기 . . . . 2회 일치
         * 아버지 황태문의 고향은 [[전라북도]] [[옥구군]](現 [[군산시]])이며, 선대 시묘(侍墓)가 [[전라북도]]에 있다. 아버지 황태문은 [[우주 황씨]] 전국중앙종친회 초대회장을 지냈다.
  • 고경표(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90년]] [[6월 11일]] ([age(1990-06-11)]세), [[전라북도]] [[순창군]] ||
  • 권해효 . . . . 1회 일치
         || '''출생''' ||<(> [[1965년]] [[11월 6일]], [[전라북도]] [[무주군]] ||
  • 김갑수(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57년]] [[4월 7일]] ([age(1957-04-07)]세),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고인돌대로) ||
  • 김미숙(1959) . . . . 1회 일치
         || '''출생''' ||<(> [[1959년]] [[5월 3일]] ([age(1959-05-03)]세), [[전라북도]] [[순창군]] ||
  • 김민기(가수) . . . . 1회 일치
         하지만 [[전두환]]을 비롯한 [[하나회]] 세력들이 [[12.12 군사반란]]으로 정권을 잡게 되자 다시 농사를 지으며 대외 활동을 삼갔는데, 1981년 5월에는 [[국풍81]] 개최를 앞두고 정부에서 자신을 회유하려고 하자 농사일이 바쁘다면서 끝까지 참가를 거절했다.[* 이때 [[허문도]]가 김민기를 회유하기 위해 [[백지수표|흰 종이를 한 장 내밀며, "원하는 액수를 쓰라" 라고 하기도 했다.]] 물론 김민기는 거절.] 대신 틈틈이 찾아와 농사를 도와주던 [[전라북도]] 각지의 연극패와 노래패들과 [[동학농민운동]]을 다룬 마당극 '1876년에서 1894년까지'를 만들어 [[전주시|전주]]에서 근대사 세미나와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1984년]] [[3월 16일]]([age(1984-03-16)]세), [[전라북도]] [[전주시|완산구]] ||
  • 김민아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다른 사람|김민아 (1969년)||전직 전라북도 의원}}
  • 김민희(1982) . . . . 1회 일치
         ||<#0f0f3e><:>'''{{{#white 출생}}}'''||<(><#ffffff> [[1982년]] [[3월 1일]]([age(1982-03-01)]세)[br] [[전라북도]] [[무주군]] ||
  • 김보름 . . . . 1회 일치
         2013년 11월 8일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2013-2014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07초93의 기록으로 12위에 머물렀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joins.com/article/13090996|제목=‘빙속 여제’ 이상화, 캘거리 월드컵 500m 금메달|날짜=2013-11-09|뉴스=중앙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9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1분56초94 만에 결승선을 통과, 20명의 선수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ref>{{웹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sports/2013/11/10/1007000000AKR20131110013951007.HTML|제목=-빙속월드컵- '여제' 이상화 500m 세계신기록(종합) {{!}} 연합뉴스|확인날짜=2017-03-13}}</ref> 10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양신영이 3분00초32로 5위를 차지했다. 2013년 11월 15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04초62로 15위를 차지했다. 16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6초12로 개인최고기록을 세우며 8위를 차지했다. 17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박도영이 2분58초32로 7위를 차지했다. 2013년 11월 29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5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7분09초99로 6위를 차지했다. 30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8초12로 1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3년 12월 9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월드컵 4차 대회 팀추월에 김보름은 노선영(24-강원도청), 양신영(23-전라북도청)과 함께 출전해 3분02초04의 기록으로 네덜란드(2분58초19), 폴란드(3분1초18)에 이어 3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url=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493417|제목=전북도청 양신영 국제빙상 월드컵 동메달 - 전북일보|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 김보미(1958) . . . . 1회 일치
         김보미(1958년 7월 29일~) [[전라북도]] [[남원시]] 출생을 대한민국의 중년 여배우이다. 1977년 TBC 17기 공채 탤런트으로 데뷔하였다.
  • 김성겸(탤런트) . . . . 1회 일치
         || '''고향''' ||[[대한민국]] [[전라북도]] [[김제시]]||
  • 김성훈(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지 = {{KOR}} [[전라북도]] [[임실군]]
  • 김영인(탤런트) . . . . 1회 일치
         || 출생 ||<(> [[1952년]] [[9월 5일]]([age(1952-09-05)]세), [[전라북도]] [[고창군]] ||
  • 김원주(가수) . . . . 1회 일치
         || '''출생''' ||<(> [[1987년]] [[7월 29일]]([age(1987-07-29)]세), [[전라북도]] [[정읍시]] ||
  • 김윤아(1974) . . . . 1회 일치
         ||<#CF89D7> {{{#ffffff '''출생'''}}} ||<#FFFFFF><(> [[1974년]] [[3월 11일]]([age(1974-03-11)]세), [[전라북도]] [[순창군]] ||
  • 김주환(탤런트) . . . . 1회 일치
         출생 [[전라북도]] [[무주군]]
  • 김형인(코미디언) . . . . 1회 일치
         김형인은 [[대한민국]]의 [[개그맨]]이다. [[SBS]] [[공채]] 7기며, [[1981년]] [[2월 12일]],[* 헌데, [[네이버]]에는 [[1979년]] [[12월 12일]] 생으로 나온다. 1980년 생인 모 위키러의 말에 따르면 고등학교 1년 선배였다니, 1979년생이 맞을지도...] [[전라북도]] [[부안군]] 출생이다. 2남 2녀 중 [[차남|막내]]. [[종교]]는 [[개신교]]이다.
  • 김혜선(배우) . . . . 1회 일치
         ||<#595959><:> {{{#FFFFFF ''' 출생 ''' }}} ||<(> [[1969년]] [[9월 28일]], [[전라북도]] [[정읍시]] ||
  • 남능미 . . . . 1회 일치
         출생지 [[전라북도]] [[군산시]][* 10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이모]]가 있는 [[전라남도]] [[순천시]]로 거처를 옮겼으며, 이후 쭉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 문근영 . . . . 1회 일치
         [[2008년]]에 복귀해 방영한 [[드라마]] '[[바람의 화원]]'에서 [[남장여자]] 기믹의 신윤복 역을 훌륭히 소화해내며 연기력을 검증받았다. 다만 얼굴을 [[남자]]에 대입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는 사실에 쇼크를 먹은 팬들이 있으며[* 영화 [[미인도]]에서 [[신윤복]] 역을 맡은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개명전:김민선)도 [[남장]]을 했다지만 본판은 여자라는 티가 났다.], [[박신양]]의 강렬한 엘보우에 가격당해 코뼈가 나가기도 했다(…). 현재는 완치되었다. 덕분에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1219371|21세기를 이끌 미래인재]]에 선정되기도 했을 정도. 참고로 같이 선정된 사람 중 한 명이 동향인 [[전라북도]] [[남원시]] 출신의 [[KIA 타이거즈]] 투수 [[한기주]]였다.(...)
  • 문무왕 . . . . 1회 일치
         10년([[670년]]) 봄 정월, 당 고종은 신라의 사신 김흠순에게는 귀국을 허락하였지만 김양도는 억류하여 감옥에 가두었는데 마침내 감옥에서 죽었다. 이것은 신라가 백제의 땅과 유민을 취한 데 대한 보복 조치였다.<ref name="삼국사기-670">《삼국사기》 권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10년(670)</ref> 3월, 사찬 [[설오유]](薛烏儒)가 고구려 [[태대형]] [[고연무]]와 함께 각각 병사 1만 씩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서 옥골(屋骨)에 이르렀다. [[4월 4일]] 개돈양(皆敦壤)에 주둔하고 있던 [[말갈족]]<ref group="주">당나라의 지휘를 받고 있었다</ref>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다. 이후 당나라가 병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하자 백성(白城)<ref group="주">지금의 [[경기도]] [[안성]] 일대</ref>으로 후퇴했다.<ref name="삼국사기-670"/> [[6월]]에는 고구려 대형(大兄) [[검모잠]]이 당나라 관리와 승려 법안(法安) 등을 죽이고 신라로 향하였다. 검모잠은 [[안승]](보덕왕)을 왕으로 추대하고 신라에 충성을 약속했다. 문무왕은 이들을 금마저(金馬渚)<ref group="주">지금의 [[전라북도]] [[익산]]</ref>에 머물게 하였다. 7월, 백제의 남은 세력이 배반할까 의심하여 대아찬 김유돈(金儒敦)과 옛 백제의 주부(主簿) 수미(首彌)·장귀(長貴)를 웅진도독부로 보내, 신뢰 차원에서 양측간의 인질 교환을 제의했다. 웅진도독부는 이에 응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군사와 말을 모아 신라군에 대한 야간 기습을 수차례 반복했다.<ref name="삼국사기-671"/> 한편 김흠순 등이 귀국해 당에서 가져온 지도를 바쳤는데, 그 지도는 신라가 차지하게 되어있던 옛 백제령을 모두 백제(웅진도독부)에 돌려주도록 하는 것이었다.<ref name="삼국사기-671"/> 신라는 이를 빌미로 앞서 웅진도독부에서 파견한 백제의 사마(司馬) 예군(禰軍)을 첩자의 혐의를 물어 억류하고, 군사를 일으켜 웅진도독부를 쳐서 땅을 빼앗았다. 이때 신라 장수들 중 싸우지 않고 퇴각한 이들도 있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특별히 처벌 대신 면직으로 매듭지었다.<ref name="삼국사기-670"/> 같은 달, 사찬 수미산(須彌山)을 보내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책봉’했다.<ref name="삼국사기-670"/> 12월, 한성주(漢城州) 총관(摠管) 수세(藪世)가 반란을 도모하려 하자, 대아찬(大阿湌) 진주(眞珠)를 보내 목을 베었다.<ref name="삼국사기-670"/>
  • 문지애 . . . . 1회 일치
          | 출생지 = [[전라북도]] [[임실군]]
  • 박경림(MC) . . . . 1회 일치
         || '''출생''' ||<(> [[1979년]] [[3월 30일]][*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이다. 실제 생년월일은 1978년 12월 8일생이다. 라디오 DJ 하던 시절 본인이 어릴 때 약하게 태어나 출생신고가 늦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종종 했었고, 2002년 말띠해, 2014년 말띠해 당시에 본인을 [[https://entertain.v.daum.net/v/20140102191109515|말띠라고 소개했다.]] 심지어 2001년 1월 9일 뉴논스톱에서 생일로 사주를 보는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이때 극중 박경림 스스로가 언급한 자기 생일이 12월 8일이었다. 물론, 학교는 1979년생들과 다녔다.] ([age(1979-03-30)]세), [[전라북도]] [[순창군]] 적성면 (관평길) ||
  • 박고은 . . . . 1회 일치
         '''박고은'''(박채경, [[1988년]] [[1월 1일]] ~ [[전라북도]] [[순창군]])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박상면(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68년]] [[1월 27일]] ([age(1968-01-27)]세), [[전라북도]] [[완주군]] ||
  • 박윤경(가수) . . . . 1회 일치
         | 출생지 ={{KOR}} [[전라북도]] [[군산시]]
  • 박화요비 . . . . 1회 일치
         || '''출생''' ||<(> [[1982년]] [[2월 11일]] [[전라북도]] [[군산시]][* 아버지가 [[대한민국 군무원]]이라서 3살 때 [[경상북도]] [[포항시]]로 이사 가고 어린 시절은 포항에서 보냈다. 고등학교도 포항에서 다니다가 전학하여 졸업했다.][* 데뷔 초에는 창법이나 음색만 보고 [[윤미래]]처럼 [[미국]] 본토 교포 출신이라는 오해(?)를 받았으며 평상시 말하는 스타일도 우물쭈물 어리바리 컨셉으로 웅얼거리는 게 많아서 아직까지도 교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
  • 방실이 . . . . 1회 일치
         ||<#00AAB5> '''{{{#FFFFFF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
  • 변요한 . . . . 1회 일치
         ||<#FAECC5> '''출생''' ||<(> [[1986년]] [[4월 29일]][* [[이채영]]과 생년월일이 같다.] ([age(1986-04-29)]세), [[전라북도]] [[진안군]] ||
  • 분류:고창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군산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김제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남원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무주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부안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순창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완주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임실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장수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전주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정읍시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분류:진안군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전라북도 출신 인물]]
  • 서영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출생''' ||<(> [[1928년]] [[8월 25일]], [[전라북도]] [[임실군]] ||
  • 세령(가수) . . . . 1회 일치
         출생 [[전라북도]] [[군산시]]
  • 신성우(가수) . . . . 1회 일치
         || '''출생''' ||<(> [[1967년]]/[[1968년]][* 프로필상 1968년 생으로 되어 있지만, [[김광규(배우)|김광규]]랑 동갑 친구라고 밝혀서 1967년 생이 정설일 여지도 있다.] [[음력]] [[4월 19일]][* 포털 사이트 등지에는 [[7월 26일]]로 등재돼 있으나, [[SBS]] [[룸메이트(방송)|룸메이트]]에서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본인이 음력 4월 19일이라고 [[인증]](?)한 바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
  • 안갑준 . . . . 1회 일치
         국민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경찰전문학교 교장, 충청북도경찰국장(현 충청북도[[지방경찰청장]]),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연수원 원장, 경기도 부지사, 충청북도 부지사, 충청남도 부지사, 전라북도 부지사, 전라남도 부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 안내상 . . . . 1회 일치
         [[연세대학교]] 신학과에 입학하였으며, "소외계층 없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사회 혁명"을 꿈꾸며 사회운동에 나서 학생운동을 주도했다. 1988년 2월 26일 광주직할시 (현재 전라북도 고창군) [[미국]] 문화원 내 도서관 진열장에 사제 시한폭탄을 설치한 혐의가 드러나 총포 도검 화약류 단속법 위반,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구속됐다. 8개월 동안 수감된 후 집행유예로 석방되었다.
  • 영천시 . . . . 1회 일치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한 [[시(행정구역)|시]]. 2017년 기준 10만명을 간신히 넘기는 인구가 거주 중이다. 인구 변동폭이 워낙 작아서 2013년 8월 '''100,999명'''으로 인구가 10만 명대로 하락한 이후 4년 가까이 10만 명선에서 정체되어있다[* 그런데 2017년부터 '''서서히 아주 조금씩 인구가 늘고 있다!!'''] 행정구역면적은 920.29㎢ 에 1개 읍(금호읍), 10개 면(청통, 신녕, 화산, 화북, 화남, 자양, 임고, 고경, 북안, 대창), 행정동 5개 동(동부, 중앙, 서부, 완산, 남부), 법정동 30개 동(망정, 야사, 도남, 도동, 조교, 녹전, 오수, 조교, 대전, 매산, 신기, 문내, 문외, 언하, 괴연, 채신, 성내, 화룡, 오미, 과전, 창구, 봉동, 완산[*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완산구]] 완산동과는 전혀 상관없다.], 금노, 본촌, 서산, 쌍계, 범어, 작산, 교촌)이 있다. [[대구광역시]]와 접한 도시인 만큼 대구 생활권에 대체로 속하고, 다만 [[포항시]]와 접하는 고경면은 포항 생활권에 좀 더 가깝다...고 하지만 실상은 둘 다 차타고 넉넉잡아 1시간 정도의 거리라(...) 그냥 독자 생활권이라고 보면 편하다. 굳이 대도시에 볼 일이 있을 때 그쪽으로 간다는 것.
  • 오시만 . . . . 1회 일치
         [[1689년]] [[승지]]에 머물렀다. 그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복귀하자 [[1691년]] 대사헌에 이르렀으나 부당하다 하여 다시 승지로 전임되었다. [[1692년]] [[좌승지]]가 되었다가 우부승지 이현조가 오정위를 공격하자 피혐으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숙종이 반려시켰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되자, 바로 삭탈관직되고 유배당하였다. 지조가 깨끗하고 겸허 담백하였으나 [[1694년]] 당화(黨禍)(갑술환국)를 입어 [[전라북도]] [[전주시|전주]], [[전라남도]] [[무안군|무안]] 등지로 10여년간 유배살이를 하였다.
  • 오영실 . . . . 1회 일치
         || '''출생''' ||<(> [[1965년]] [[1월 30일]]([age(1965-01-30)]살)[* 프로필 상으로는 [[1월 1일]]로 되어있다.][br][[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봉두길) ||
  • 유다인 . . . . 1회 일치
         ||<#3D414D> {{{#ffffff '''출생'''}}} ||<(> [[1984년]] [[2월 9일]] ([age(1984-02-09)]세), [[전라북도]] [[임실군]] ||
  • 유지연(탤런트) . . . . 1회 일치
          | 출생일 = {{출생일과 만나이|1976|5|9}} [[전라북도]] [[정읍시]]
  • 윤상현(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CE4E9> '''출생''' ||<(> [[1973년]] [[9월 21일]]([age(1977-09-21)]세)[* 데뷔 초 프로필에는 1977년생으로 소개했었다(...).], [[전라북도]] [[임실군]] ||
  • 윤철형 . . . . 1회 일치
         || '''출생지''' ||[[전라북도]] [[정읍시]]||
  • 은지원 . . . . 1회 일치
         ||<#000000> '''{{{#FFFFFF 출생}}}''' ||<(> [[1978년]] [[6월 8일]] ([age(1978-06-08)]세),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 (성산길) ||
  • 이갑성 . . . . 1회 일치
         [[2월 28일]]에는 목사 [[김창준 (1890년)|김창준]]에게 [[함태영]]이 인쇄한 독립선언서 900매 중 약 600매를 받은 뒤 이를 다시 인쇄하고, 그날 5매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이용설(李容卨)에게 교부하여 인쇄하게 한 뒤 학생들에게 돌리게 하였다. [[3월 1일]] 아침 일찍 이갑성은 독립선언서를 수천 장 인쇄하여 400여매를 병원 사무실에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인 [[이용상]](李容祥)에게 주어, 그중 200매는 대구의 목사 [[이만집]](李萬集)에게 보내고 나머지 200매를 [[마산]]의 독립운동 동조자 임학찬(任學瓚)에게 보내도록 한다. 또한 학생 [[김병수]](金屏沫)에게는 [[전라북도]] [[옥구군]]에 있는 [[박연세]](朴淵世) 등에게 보내기 위해 200매를 주었으며, [[충청남도]] [[천안]]에서 올라온 [[임영신]]에게도 일부 배포하고, [[경성부]] 강기덕(姜基德)에게 천500매를 주어 배포케 한다. [[2월 28일]] 밤 [[경성부]] 재동(齋洞)에 있는 손병희의 집에 모인 손병희 등의 민족대표들은, 당초에 독립선언 장소로 결정했던 [[파고다 공원]]에는 많은 학생들이 모이기 때문에 큰 혼란이 있을 것을 염려하여, 다시 그 장소를 [[인사동]](仁寺洞)의 [[태화관]](泰華館)으로 정하였다.
  • 이성희(배구감독) . . . . 1회 일치
         2018년 4월, [[전라북도]] [[고창군]]의 흥덕초등학교 배구부 감독으로 선임되었는데, "유소년 배구가 활성화돼야 대한민국 배구가 발전할 수 있다는 평소의 소신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17732|#]] 참고로, 해당 학교는 전교생이라고는 고작 72명에 불과한 완벽한 [[분교장|농촌학교]]며, [[송희채]]의 모교이기도 하다.
  • 이승효(탤런트) . . . . 1회 일치
         출생 [[1980년]] [[5월 5일]]([[전라북도]] [[김제시]])
  • 이재황(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 [[1976년]] [[12월 26일]] [[전라북도]] [[고창군]] ||
  • 이정재(영화배우) . . . . 1회 일치
         ||<:><#4C4C4C>'''{{{#FFFFFF 출생}}}'''||[[1973년]] [[3월 15일]]([age(1973-03-15)]세)[* [[1973년]] [[3월 15일]]은 주민등록상의 생일이고 실제로는 1972년 12월 15일이라는데 공신력있는 증거가있으면 추가바람.] / [[전라북도]] [[군산시]] [br] 물고기자리/검은소띠 (계축년) ||
  • 이주승(영화배우) . . . . 1회 일치
         ||<#20B2AA> {{{#ffffff '''출생'''}}} ||<(> [[1989년]] [[7월 20일]]([age(1989-07-20)]세), [[전라북도]] [[임실군]] ||
  • 이혜숙(영화배우) . . . . 1회 일치
         ||<#87CEFA> '''{{{#ffffff 출생}}}''' ||<(> [[1962년]] [[9월 4일]](만 [age(1962-09-04)]세), [[전라북도]] [[고창군]] ||
  • 임수정(탤런트) . . . . 1회 일치
         || '''출생''' ||<(> [[1979년]] [[7월 11일]]([age(1979-07-11)]세), [[전라북도]] [[임실군]] ||
  • 임현성 . . . . 1회 일치
         || '''출생''' ||<(> [[1979년]] [[4월 21일]] [[전라북도]] [[부안군]] ||
  • 장석조 (판사) . . . . 1회 일치
         |경력 = 제42대 전라북도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장헌식 . . . . 1회 일치
         [[1921년]] [[2월 12일]] [[조선총독부]] 사무관(朝鮮總督府 事務官)이 되고, 3월 10일 종4위(從四位)로 승급하였다. [[1921년]] [[3월 18일]]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실(總督官房室) 행정관이 되었다. 1921년 3월 20일 칙임사무관(勅任事務官) 민정시찰관에 임명되어 4월 7일부터 6월 19일 [[평안남도]], [[평안북도]] 일대를 민정시찰하였고, [[10월 16일]]부터 [[12월 27일]]까지는 민정시찰관으로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민정시찰을 다녀왔다. 이때 그는 관용 차량이 주어졌지만 거부하고 열차와 대중교통으로 시찰을 다녔다. [[1922년]] [[2월 15일]]에는 [[전라남도]]를 [[3월 5일]]부터는 [[전라북도]]를, [[7월]]에는 [[강원도]]를 시찰다닌 뒤 [[7월 22일]] 귀환하였다. [[9월 4일]]에는 [[황해도]] 수해현장을 시찰하고 돌아왔다.
  • 전혜빈 . . . . 1회 일치
         || '''출생''' ||<(> [[1983년]] [[9월 27일]], [[전라북도]] [[고창군]] [br] 천칭자리/검은돼지띠 (계해년) ||
  • 정인선(탤런트) . . . . 1회 일치
         ||<#B0C4DE> {{{#ffffff '''출생'''}}} ||<(> [[1991년]] [[4월 25일]] ([age(1991-04-25)]세), [[전라북도]] [[완주군]] ||
  • 조안(배우) . . . . 1회 일치
         ||<#996699> {{{#ffffff '''출생'''}}} ||<(> [[1982년]] [[11월 14일]] ([age(1982-11-14)]세), [[전라북도]] [[진안군]] ||
  • 주현미 . . . . 1회 일치
         [[화교]] 3세[* 주현미의 [[아버지]]는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4살에 한국으로 이민와서 자랐으므로 사실상 2세인 것이나 다름없다. [[TV조선]] 인생다큐 마이웨이 180412 주현미편에서 주현미의 친할아버지는 중국인이고 친할머니는 [[한국인]]이라고 말했다. 아마도 할머니는 중국으로 이주하여 생활한 조선인 1세(그 당시에는 [[조선]]이라고 불렀다. 물론 한국인 맞음)인 것으로 추정한다. 주현미의 [[할머니|친할머니]]와 [[어머니]]가 [[한국인]]이었기 때문에 주현미의 형제들은 어린 시절 집안에서부터 이미 한국 문화 방식으로 자랐다고 한다. 따라서 오히려 주현미와 형제들은 처음 화교 학교에 입학하였을 때 그것 때문에 굉장히 혼란스러웠다고 한다.] 출신으로, [[전라북도]] [[남원시|남원]] 에서 4남매 중 첫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4살 때 한국으로 이주하여 자란 [[중국인]][* [[중국]] [[산동성]] 모평현에서 4살 때 한국으로 이주한 [[중국인]]이지만, 당시 [[북한]]과 대치 중인 한국의 [[정치]] 및 군사적 상황에 의하여 [[대만]] [[국적]]이 되었다.] [[한의사]]였고, 어머니는 [[한국인]]이었다. 참고로 주현미의 친할머니 역시 [[한국인]]이었다고 방송에서 밝혔다. 따라서 주현미는 굳이 혈통을 따지자면 중국 [[쿼터]](1/4) [[혼혈]]인 셈이다. 대만 국적이었으나 결혼 후 남편을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다. 주현미의 동생들은 아직 [[중화민국]] 국적이라 한다.[* 한국화교는 [[타이완 섬]]과는 거리가 먼 [[산둥 성]] 출신들이며 단지 국적을 부여한 나라가 [[중화민국]]이었을 뿐이다. 상황이 이렇게 좀 꼬인 건 국부천대 때문. 물론 현재 화인들의 대부분이 귀화를 택하면서 중화민국 국적자는 줄고 있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소화 데레사라는 세례명을 가지고 있다.[* 좀 비슷한 케이스인 외성인 출신 대만가수 [[등려군]]도 테레사라는 세례명을 가진 [[가톨릭]] 신자이다. 등려군 역시 산둥 출신.~~틀린 정보이다 등려군 자신은 타이완 태생 부친은 하북성 모친이 산둥성 출신이다~~]
  • 지수원 . . . . 1회 일치
         출생 [[1967년]] [[6월 18일]] ([age(1967-06-18)]세) [[전라북도]] [[부안군]][* 프로필상 69년으로 되어있으나 실제 나이는 67년생.]
  • 차수연 . . . . 1회 일치
         ||<#D7D8CA> '''{{{#584A41 출생}}}''' ||<(> [[1981년]] [[8월 15일]] ([age(1981-08-15)]세),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안성로) ||
  • 채영인 . . . . 1회 일치
         || 생년월일 ||[[1982년]] [[8월 28일]] [[전라북도]] [[장수군]] ||
  • 최용민(연극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지 = {{KOR}} [[전라북도]] [[부안군]]
  • 최재성(배우)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64년]] [[11월 18일]] ([age(1964-11-18)]세), [[전라북도]] [[전주시]][* 출생 당시에는 [[전주시]]였다.] ||
  • 최재환(배우) . . . . 1회 일치
         || '''출생''' ||[[1983년]] [[7월 15일]],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상하로)||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D76181> {{{#FFFFFF '''출생'''}}} ||<(> [[1975년]] [[6월 11일]] ([age(1975-06-11)]세), [[전라북도]] [[완주군]] ||
  • 최흥철 . . . . 1회 일치
         ||<#00BFFF> {{{#ffffff '''출생'''}}} ||<bgcolor=#ffffff> [[1981년]] [[12월 3일]]([age(1981-12-03)]세) [[전라북도]] [[무주군]] ||
  • 하태웅(가수) . . . . 1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
  • 한진희(1949) . . . . 1회 일치
         || 출생 ||[[1949년]] [[3월 14일]]([age(1949-03-14)]세) [[전라북도]] [[부안군]]||
  • 허준호(배우) . . . . 1회 일치
         ||<bgcolor=#113759> {{{#white '''출생'''}}} ||[[1964년]] [[4월 14일]] ([age(1964-04-14)]세) [[전라북도]] [[전주시]] ||
  • 현제명 . . . . 1회 일치
         대구 대남국민학교와 [[계성고등학교|계성학교]]를 다녔고, 대구에 있는 제일교회에 들어가 교회 성가대에 입대하여 음악단원이 되었다. 이후 숭실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음악 교육을 받았고 1923년에 졸업한 후 [[전라북도]] [[전주시|전주]]에서 신흥학교의 음악 교사로 활동했다.
  • 홍은희(배우) . . . . 1회 일치
         ||<#C69770> {{{#FFFFFF '''출생'''}}} ||<(><#FBFAFB> [[1980년]] [[2월 17일]]([age(1980-02-17)]살)[br][[전라북도]] [[정읍시]] ||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1회 일치
         ||<#878787> '''{{{#EEE156 출생}}}''' ||<(> [[1982년]] [[1월 17일]] ([age(1982-01-17)]세), [[전라북도]] [[남원시]] ||
11830의 페이지중에 10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08-03 06:24:29
Processing time 0.785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