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전가의 보도

목차

1. 소개
2. 의미
3. 기원
4. 역사
5. 사례
6. 여담
7. 참조
8. 분류

1. 소개

伝家の宝刀

2. 의미

전가(伝家)는 집안 대대로 내려온 것라는 의미며, 보도(宝刀)는 귀한 칼라는 뜻다.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 비법나, 강력한 필살기 같은 것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3. 기원

일본의 무가(사무라 가문)에서는 가문 대대로 명검(보도)를 유산으로 전수하는 사례가 많았다. 과거에는 공업 기술 낮았으며, 칼을 만들려면 장인 수작업으로 만들어야 했다. 때문에 명장 만든 보도는 매우 높은 부가가치희소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자손 대대로 전수할 만한 자산었던 것다.

그러나 렇게 귀한 가치가 있는 반면, 가치가 너무 높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없는 것 전가의 보도였다. 가문 대대로 물려줄 정도의 보도라면 가치가 매우 높지만, 일본도는 관리하기가 어렵고 실전에서 사용하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다. 하지만 전가의 보도에는 높은 가치가 있는 만큼 실제로 사용하다가 손상을 입히면 그만큼 깍여나가는 피해액은 만저만한 것 아니다.

결국 러한 사정 때문에 높은 가치를 가진 '전가의 보도'는 정말로 어쩔수 없는 상황 아니면 함부로 꺼내서 쓰는 것 아니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던 것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군도를 대신하여 런 '전가의 보도'를 가지고 전장에 나가는 사례도 많았는데, 그 탓에 런 전가의 보도가 손상을 입는 사례도 빈발하였다. 아무리 름 높은 명검라고 해도 근대 공업제품과는 달리 품질 일관적지 않아서 오히려 근대 기술로 만들어진 칼보다 성능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4. 역사

본래 귀해서 함부로 쓰지 않는 것라는 의미가 있었지만, 대중문화에서는 "전가의 보도"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 탓에 평범한 "필살기" 정도로 의미가 약화되었다.

5. 사례

야구 분야에서는 투수가 자신있게 사용하는 변화구에 대하여 전가의 보도라는 말을 사용한다.

6. 여담

24년도 일본 문화청에서 발표한 「국어에 관한 여론조사(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에 따르면, 전가의 보도(伝家の宝刀)로 쓰는 사람 54.6%, 그런데 본래 한자가 아닌 천하의 보도(天下の宝刀)[1]로 쓰는 사람 무려 31.7%나 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 인터넷에서는 "'전가의 보도는 옛날에 '양반가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보검'을 뜻하는 말다. 아들나 아내가 불미스러운 일로 집안에 누가 되는 행동을 범했을 때 를 처단하는 도구로도 사용됐다."는 야기가 있는데, 근거는 낮은 것 같다. 애초에 말은 한국 문화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민중의 소리)

사실 말은 굳 말하자면 일본어의 잔재. 애초에 대대로 보도를 물려주는 문화가 일본 사무라 가문에서 나온 것인지라(…).

----
  • [1] 일본어로는 발음 같다.


8.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