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이윤열 . . . . 9회 일치
2001년 데뷔 후 각종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면서 당시 임요환의 뒤를 잇는 새로운 신예 테란으로 주목받았다. 2002년 들어 전성기를 맞이한 이윤열은 그 당시 개인리그 중 하나였던 iTV 랭킹전에서 임요환과 변길섭을 꺾고 2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KPGA(MSL의 전신)에서 3연속 우승을 하면서 기염을 토했다. 특히 2003년 초반엔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배스킨라빈스배 2002 KPGA 4차리그는 물론 GhemTV 3차 스타리그까지 동시에 석권하면서 전무후무한 그랜드 슬램의 위업을 달성했다.
[[파일:Leeyoonyael.png|섬네일|오른쪽|160px|프링글스 MSL 시즌2에 출전하여 경기 중인 이윤열]] 2010년 9월 자신의 팀인 [[위메이드 FOX]]와의 재계약을 하지 않고 스타크래프트 2로의 전향을 공식 선언한다.<ref>{{뉴스 인용|제목=스타 '천재테란' 이윤열 스타2 전향 선언|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5795|출판사=이슈프리즘 깜뉴스|저자=|쪽=|날짜=2010-09-17|확인날짜=2010-10-17}}</ref> 이후 스타크래프트 2 게임단인 [[oGs]]에 입단하여 10월 13일 [[Sony Ericsson STARCRAFT II OPEN Season 2]]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올랐다.<ref>{{뉴스 인용|제목=임요환·이윤열, GSL 오픈 시즌 2 본선 진출!|url=http://www.eto.co.kr/?Code=20101013111109640&ts=174147|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쪽=|날짜=2010-10-13|확인날짜=2010-10-1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12053354/http://www.eto.co.kr/?Code=20101013111109640&ts=174147|보존날짜=2016-03-12|깨진링크=예}}</ref>
8강전에서는 드디어 스타크래프트에서 라이벌이었던 '황제' 임요환을 만났다. 1Set를 따냈으나 2,3,4Set를 연이어 내주며 1:3 역전패를 당하면서 탈락하고 말았다.
하지만 Sony Ericsson STARCRAFT 2 OPEN Season 3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하는 충격을 겪었으며 심지어 본선진출조차 하지 못했다. 라이벌 임요환이
* [[2002년]] iTV 랭킹전 3차리그 우승 (3:1 [[임요환]])
* 2002년 KTF BIGI 4대천왕전 준우승 (1:2 [[임요환]])
* 2003년 KT-KTF 프리미어 리그 2003 우승 (3:1 [[임요환]])
|이전=[[임요환]]
- 송병구 . . . . 8회 일치
====한동욱, 서지훈, 전상욱, 임요환====
'''[[임요환]]'''
송병구 선수는 임요환선수에게 상대전적 4:1로 크게 앞서고 있지만 자신의 첫 패배가 임요환의 개인통산 스타리그 100승의 제물이 됐었던 아픈 기억이 있다.
* 2005년 12월 16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05~06 16강 B조 2경기 임요환 승
**'''스타리그 100승 달성''' - [[임요환]], [[홍진호]] 다음 역대 세번째이며 프로토스 유일<ref>{{뉴스 인용|title='사령관' 송병구, 역대 3번째 스타리그 100승 대기록 달성|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newspaper=중앙일보|date=2012-05-22}}{{깨진 링크|url=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259548&ctg=1601 }}</ref><ref>{{뉴스 인용|title=삼성전자 송병구, 레전드의 반열에 오르다. 임요환-홍진호에 이어 세 번째 온게임넷 개인리그 100승 점령|url=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205222119450060784|newspaper=데일리e스포츠|date=2012-05-22}}</ref>
*송순신: WCG를 비롯한 국제대회에서 큰 공을 세웠다 하여 지어진 별명이다. 2007 wcg에서 마재윤을 탈락시킨 샤쥔춘을 이기고 우승을 하고,IEF 2009에서 한국 선수들이 대거 탈락한 가운데(김택용,임요환,김정우) 우승하며 더욱 굳어진 별명이 됐다.
- 황희두 . . . . 5회 일치
| 별명 = 임요환의 제물, 희생양
2010년 MBC게임 히어로에서 은퇴한 후 [[TSL]]팀에 합류하여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처음 모습을 드러냈으며 2010년 10월 18일에 열린 Sony Ericsson STARCRAFT II OPEN Season 2 64강 경기에서는 테란유저 임요환을 만나 0:2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는 생중계 도중 곰TV 서버를 다운시키는 사태를 일으켰으며 이후 곰TV가 공식사과를 하기에 이르렀다. 현재(2010-11-05 이전) 조회수 약 240만을 기록하였다. <ref>http://www.gamemeca.com/news/view.php?gid=89370 게임메카 발췌</ref>
2010년 10월 임요환 선수와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게임계에서 은퇴하였으며 '제물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제물테란 , 희생양 =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64강에서 테란의 황제 임요환에게 패배한 후 붙여진 별명
* tvN [[임요환의 날개]](2010년)
- 마재윤 . . . . 4회 일치
==== 임요환 ====
[[임요환]]과의 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1:1이나,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6:1 더 강세다. 2004년 4차 마이너리그 E조 1경기 승리, 2006년 10월에 열린 제1회 슈퍼파이트 e스포츠에서 3:0으로 승리하였고, 여담으로 이때 임요환은 공군 입대까지 엿새 남은 때였다. 이어 2007년 어린이날엔 역시 비공식전인 도너스캠프 드림매치에서 2:0 승리, 그러나 나흘뒤 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공군전 1세트에서는 처음으로 임요환에 패했으며, 이로써 비공식전까지를 포함한 상대전적 전승 기록이 끊겼다. 이 기록 역시 KeSPA에는 삭제되어서 없다.
11531의 페이지중에 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