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 . 67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의 에피소드 일람.
[[일곱개의 대죄/169화]]
[[일곱개의 대죄/170화]]
[[일곱개의 대죄/171화]]
[[일곱개의 대죄/172화]]
[[일곱개의 대죄/173화]]
[[일곱개의 대죄/174화]]
[[일곱개의 대죄/175화]]
[[일곱개의 대죄/176화]]
[[일곱개의 대죄/177화]]
[[일곱개의 대죄/178화]]
[[일곱개의 대죄/179화]]
[[일곱개의 대죄/180화]]
[[일곱개의 대죄/181화]]
[[일곱개의 대죄/182화]]
[[일곱개의 대죄/183화]]
[[일곱개의 대죄/184화]]
[[일곱개의 대죄/185화]]
[[일곱개의 대죄/186화]]
[[일곱개의 대죄/187화]]
- 일곱개의 대죄/219화 . . . . 23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8화]] |||| '''일곱개의 대죄/219화''' |||| [[일곱개의 대죄/220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9화. '''영웅들의 휴식'''
* "돼지의 모자"정이 리뉴얼되고 [[멜리오다스]]와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방 배정 때문에 티격태격한다.
*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와 [[디안느]]는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을 방문하는데 그 자리에서 디안느가 멜리오다스와 엘리자베스와 닮은 사람을 봤다고 밝힌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 [[에스카노르]]가 술집에서 작은 소동을 일으킨다.
*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십계 진영을 염탐하며 "왕에 걸 맞는 마력"을 찾던 도중 사역마 올론디가 죽은 줄 알았던 [[젤드리스]]에게 발각 당한다.
* 멀린이 찾던건 [[아서 펜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 펜드래곤]]. 그녀는 쓰러지면서도 아서가 어디있는지를 걱정한다.
*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돼지의 모자"정의 리뉴얼 오픈을 앞두고 한껏 흥분했다. 자신있게 낙성신을 선언했으나 정작 보러온 것은 [[멜리오다스]]와 [[반(일곱 개의 대죄)|반]] 둘 뿐. 모처럼 일곱 개의 대죄도 다 모이지 않았냐 따지니 나머지 인원들은 각자 일정이 있어 오지 못했다 한다. 차가움을 느끼는 호크. 게다가 개막 역할도 자신이 하려고 했는데 멜리오다스와 반이 얼렁뚱땅 가로챈다.
* 반과 재회한 이후로 엘레인은 이곳에 머물고 있었다. 그녀는 엘리자베스에겐 "생각을 닫아도 안절부절하는 기분은 다 전해졌다"고 핀잔하고 디안느에겐 "[[킹(일곱 개의 대죄)|오빠]] 생각 뿐이라 금방 들켰다"고 핀잔한다. 물론 그 이상으로 연인 생각만하는건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지만. 인사를 마친 엘레인은 "정말 오빠로 괜찮겠냐"고 디안느를 걱정한다. 그러고 보니 문제의 오빠는 보이지 않았다. 할리퀸은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랑 남자의 대화를 한다며 술집으로 향했다 한다. 오늘밤 연회가 있는데 낮부터 술집이라니. 엘레인은 역시 오빠로 괜찮은지 고심해본다.
>그렇게 되면... 그렇게 되면 분명 킹도 일곱 개의 대죄의 모두도 나를 좋아해 줄지도 몰라...
이렇게 해서 술집의 평화는 상처를 남긴 채 돌아왔다. 사실 옆 테이블에서 [[그리아몰]]과 [[하우저(일곱 개의 대죄)|하우저]]가 마시던 중이었는데 무섭기도 하고 "시끄러운 손님들"취급을 받는 그들이 창피하기도 해서 모른척해버렸다.
* 단원들이 각자 한가한 시간을 가지는 동안, 일행의 책사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자신의 실험실에서 다급한 용무를 처리 중이었다. 그는 수정 너머를 바라보며 누군가에게 "어디에 있냐"고 물었다. 십계가 정복한 영역에 돌입한 사역마 올론디였다. 올론디는 "왕에 걸맞는 마력"을 찾으란 분부를 받고 십계가 정복한 구역에 잠입했다. 하지만 보이는건 마신족 졸개나 세뇌된 인간 뿐. 말도 안 되는 명령이라고 불평하던 올론디는 갑자기 멀린의 목소리가 들리자 화들짝 놀란다.
* 멀린이 올론디를 지켜보던 수정이 깨졌다. 젤드리스가 공격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명백했다. 멀린이 피를 토할 정도로 심한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비틀거리며 간신히 서있다. 그녀가 이런 위험을 무릎쓰고 찾던 이는 바로 카멜롯의 젊은 왕 [[아서 펜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 펜드래곤]]이었는데.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0화 . . . . 22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9화]] |||| '''일곱개의 대죄/220화''' |||| [[일곱개의 대죄/221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0화. '''영웅들의 연회'''
* 일곱 개의 대죄의 재집결과 돼지의 모자정의 리뉴얼을 기념하는 연회가 열린다. 그런데 무슨 일인지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 뒤늦게야 나타난다.
*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어차피 그도 집결한 대죄의 적은 못 된다고 얕보는데 멀린은 적을 과소평가 말라며 과잉반응한다.
* 사실 멜리오다스는 그녀가 [[아서 펜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 펜드래곤]]을 찾다가 젤드리스에 당한 것을 눈치채고 있었다.
* 일곱 개의 대죄가 당면했던 주요 사건들이 대부분 종결되고 일행이 다시 뭉쳤다. 무너졌던 돼지의 모자정도 리뉴얼을 완료하고 일곱 개의 대죄 재집결을 기념하는 연회가 열렸다.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와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도 참석. [[에스카노르]]가 자작시를 낭송하는 가운데 참석자들은 자기들끼리 수다떨고 마시기에 바쁘다. 아무도 듣지 않는 시낭송이 끝나고 에스카노르가 울적해하지만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만은 좋은 시였다고 호응한다. 하지만 어차피 잔반 처먹느라 제대로 듣진 못해서 "바람에 춤추는 백성의 외침"이란 싯구를 "바람에 춤추는 잔반"이라고 들었다.
* 시가 무시당하는 거야 하루이틀도 아니니 곧 털어버리는 에스카노르. 그런데 이 경사로운 자리에 한 사람이 빠져있다. 연회가 시작한지 꽤 됐는데도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자리만 비어있다. [[멜리오다스]]는 "수상한 실험"이라도 하느라 틀어박혔을 거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나 에스카노르는 걱정된다며 보고오겠다고 한다. 하지만 그럴 필요는 없었다. 에스카노르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빈 의자로 순간이동해 나타나는 멀린.
* 그런 사정가지는 파악하지 못한 에스카노르가 멜리오다스에게 다시금 건배하자고 제의한다. 엘레인을 끼고 있다시피한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이제 일곱이 다 모여서 10년 전으로 돌아간 기분이라고 말한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그 말을 듣고 조금 다르다고 대답하는데, 이제는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진짜 동료"가 되어서 그렇다고 한다. 기뻐하는 고서. 살짝 취기가 오른 [[디안느]]는 거기에 엘리자베스랑 엘레인도 있다며 둘을 와락 움켜쥔다. 이런 분위기를 정돈하며 멜리오다스가 술잔을 높이 든다.
>그럼 다시금, "일곱 개의 대죄"의 재회에...
>[[아서 펜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를 지키는 것.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2화 . . . . 22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1화]] |||| '''일곱개의 대죄/222화''' |||| [[일곱개의 대죄/223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2화. '''저주받은 연인들'''
* 엘리자베스의 의지 덕인지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에게 걸린 저주가 사라진다. 이후 일곱 개의 대죄는 카멜롯을 탈환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한다.
* 한편 [[헬브람]]은 웬 일인지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을 떠나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을 방문 중.
* 엘레인은 머지않아 자신의 수명도 다할 거라 생각하지만 그보다 [[반(일곱 개의 대죄)|반]]의 앞길을 더 걱정한다.
*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에게 걸린 [[젤드리스]]의 저주를 풀기 위해 그 마력과 접촉한 [[엘리자베스 리오네스]]. 놀랍게도 그 마력을 통해 저주를 건 당사자와 연결된다. 젤드리스는 엘리자베스를 혐오하는 듯 한데. 그는 엘리자베스를 자신을 형 [[멜리오다스]]를 괴롭히는 "저주받은 여신"이라 비난한다. 하지만 엘리자베스로서는 전혀 모르는 이야기들 뿐. 젤드리스는 "저주는 진짜였다"고 중얼거리며 그녀가 얽혀있는 진실을 폭로한다. 성전 시대로부터 3천년 간, 엘리자베스가 몇 번이나 전생을 되풀이하며 멜리오다스와 이별과 만남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
* 돼지의 모자 정이 갑작스럽게 빛을 발한다. 옥상에서 자던 [[디안느]]가 그 바람에 깨어난다. 산에서 내려오던 멜리오다스와 [[반(일곱 개의 대죄)|반]],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돼지의 모자정이 발하는 심상치 않은 빛을 발견하고 발걸음을 서두른다. 그건 엘리자베스가 발하는 마력의 빛이었다.
* [[에스카노르]]와 [[핸드릭슨(일곱 개의 대죄)|핸드릭슨]]의 놀라운 시선을 받으며 엘리자베스의 정화의식이 끝난다. 그녀가 젤드리스와 접촉한 일이 이것과 관련이 있을까? 저주에서 풀려난 멀린이 자리에서 일어난다. 그 건강해진 모습에 에스카노르가 감격. 그때 멜리오다스 일행도 들어온다. 깨어난 멀린은 자신은 젤드리스의 마력에 사로잡혀 잠드는 저주에 걸렸었다고 말한다. 이런 추태를 보인 것에 사과하고 저주를 풀어준 엘리자베스에게 감사한다. 멜리오다스는 그녀가 젤드리스의 마력을 풀어냈다는 말을 듣고 놀란다. 멀린은 간호해준 에스카노르에게도 감사를 전하는데, 그는 자신은 아무런 도움도 못 됐다며 겸연쩍은 웃음을 짓는다. 사실 그는 멀린이 [[아서 팬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 팬드래곤]]을 "그는 내 희망 자체"라고 했던 일을 마음에 걸려하고 있다.
방을 나선 엘리자베스는 식당으로 내려온다. 잠시 뒤 소란을 듣고 온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테이블에 앉아 있는 엘리자베스에게 무슨 일이냐 묻는다. 그런데 그녀가 고개 숙인 채 눈물을 떨구고 있다. 호크가 당황해서 어쩔 줄 몰라하자 그녀가 안심시킨다.
* 멀린이 건강을 회복하면서 일곱 개의 대죄의 발길을 막는 요소는 사라졌다. 일행은 드디어 진짜 목적을 위해 리오네스 왕국을 떠났다. [[마가렛 리오네스]]와 핸드릭슨, [[드레퓌스]]가 일행을 배웅한다.
* 멜리오다스가 그곳이 "성새도시 코란도"라고 알려준다. 몇 백년 전 대학살이 일어나 멸망한 폐도시다. 에스카노르가 "대학살"이란 말만 듣고 무서워 벌벌 떤다.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는 코란도 자체 보다는 "남동쪽"이란 단어에 반응을 보인다. 그는 그 방향이라면 "거기"도 통과할 거라면서 조금 옆길로 샐 순 없겠냐고 건의한다. 어차피 하루이틀 거리도 아니니까.
* 회의가 끝난 후. 반은 베란다에 있는 엘리자베스에게 슬쩍 부탁한다.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의 일이었다. 내색하진 않고 있지만, 상당히 힘들어하고 있다면서. 엘리자베스에게 그녀를 좀 봐달라고 부탁했다.
* 간만에 친구 곁을 떠난 헬브람은 그 여동생 엘레인의 집에 와있다. 엘레인은 오빠의 친구가 방문하자 별 일이라며 오빠를 부탁하지 않았냐 질책한다. 헬브람은 가끔씩은 괜찮지 않나며 그 말을 흘렸다. 그리고 엘레인에게 일곱 개의 대죄를 떠나보내도 괜찮냐고 화제를 바꿨다. 엘레인은 어차피 자신에게 남은 시간은 얼마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헬브람의 모습을 볼 수 있는게 그 증거다. 지금 엘레인은 산 자와 죽은 자의 중간, 달리 말하면 그 어느 것도 아닌 존재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9화 . . . . 2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8화]] |||| '''일곱개의 대죄/229화''' |||| [[일곱개의 대죄/230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9화. '''사랑은 소녀의 힘'''
* 엘리자베스는 모든 전생의 힘과 기억을 되찾았으며 어린 시절의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에 대한 기억도 가지고 있어 그녀를 당황하게 한다.
* 일곱 개의 대죄 앞에 모습을 드러낸 메라스큐라는 그들을 직접 쓸어버리기 위해 거대한 뱀의 형상을 드러낸다. 맨 처음 노린 것은 [[반(일곱 개의 대죄)|반]].
*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이 반을 구하기 위해 날아가지만 역부족이었고 반과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만류를 받는다.
* [[디안느]]에게 씌워진 주박을 벗겨낸 [[엘리자베스 리오네스]]. 이제 여신족의 힘에 완전히 각성했다. 그녀의 등장에 가장 경악한 것은 [[메라스큐라]].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이 난처해하는 것을 보고 즐기며 승리를 확신했으나 엘리자베스의 등장으로 일거에 상황이 뒤집혔다. 그녀가 당혹해 해서 엘리자베스의 이름을 입에 올리자 그녀의 "암담의 고치"에 갖혀 있던 [[멜리오다스]]가 엘리자베스가 눈을 뜬 거냐고 묻는다. 메라스큐라는 그 말을 들은 척도 없이 어차피 엘리자베스는 이제 3일 후에 죽겠지만 자신이 직접 죽여주는 것도 좋겠다며 전장에 나서려 한다. 멜리오다스는 자신을 당장 꺼내주는게 좋을 거라고 다시금 경고하나 그녀는 무시한 채 암담의 고치를 나선다. 혼자 남겨진 멜리오다스는 엘리자베스의 이름을 읊조리며 격렬한 분노를 쌓아가는데.
* 엘리자베스는 디안느를 해방시켰을 뿐만 아니라 여신족의 치유의 힘을 발휘해 일행의 상처를 치유해준다. 상쾌한 바람 같은 기운이 훑고 지나가다 중상을 입었던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가 깨끗히 치유된다.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엘리자베스를 따라온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을 질책했다. 그녀가 좋지 않은 몸상태로 무리를 한 게 가슴 아팠다. 엘레인은 반과 모두가 걱정돼 어쩔 수 없었다고 대답했다. 반은 이제 그 문제를 묻어두고 지금이라도 빨리 돼지의 모자 정으로 돌아가라고 하지만 엘레인이 대답을 피했다.
거기에 대답하기 적당한 사람은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었다. 하지만 그녀가 아무 말도 없자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그녀에게 왕녀가 묻지 않느냐고 대답을 부추겼다. 우두커니 있는 그녀에게 엘리자베스가 먼저 다가갔다. 그녀는 새삼스럽게 아주 반가운 사람을 만난 것처럼 굴었다.
메라스큐라는 그 다음으로 십계에 대항하는 "건방진" 존재인 일곱 개의 대죄 일행, 그리고 자신이 임시적인 생명을 부여한 엘레인까지 일일히 거명했다.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는 은근히 자기도 불러주길 기대했지만 안중에 있지도 않았다.
* 사냥감을 어이없이 빼앗긴 메라스큐라가 분통을 터뜨렸다. 하지만 그녀가 놀라는 건 이제부터다. 코란도 중심부에 있던 거대한 건물이 알 수 없는 폭발을 일으켰다. 아니, 그게 무슨 의미인지 메라스큐라는 알 수 있었다. 그곳은 멜리오다스를 암담의 고치에 가둬 숨겨놓은 곳. 거기서 이변이 생겼다는 건 한 가지 이유 밖에 없었다. 단지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뿐. 거대하고도 사악한 파동. 그 기는 분명 그 사람의 힘이었다. 이젠 일곱 개의 대죄 일행도 그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 멜리오다스. 그가 결국 자력으로 암담의 고치를 파괴했다. 메라스큐라만이 그걸 인정하지 못했다. 무리도 아니었다. 그녀가 아는 한 암담의 고치는 십계 중 누구도 깨뜨리지 못하는 술법이었다. [[젤드리스]] 조차도 마신왕의 마력을 행사하지 않는 한 그럴 순 없었다. 하지만 그게 사실이었다. 멜리오다스는 흉흉한 기운을 날개의 형상으로 뻗으며 일어나고 있었다. 마신왕의 마력 없이는 젤드리스도 깨뜨릴 수 없다. 그렇다면 멜리오다스에 내뿜은 사악한 힘의 정체는 분명했다. 마신왕의 힘. 그는 그 힘에 잠식된 듯 보였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30화 . . . . 2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9화]] |||| '''일곱개의 대죄/230화''' |||| [[일곱개의 대죄/231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30화. '''선택받은 전사들'''
* [[에스카노르]]는 멜리오다스와 자신을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퍼펙트 큐브로 격리시키고 단독으로 단장을 상대한다.
* 메라스큐라는 저 둘만 제외하면 나머지는 두려울게 없다고 으스대나 [[반(일곱 개의 대죄)|반]]이 그 방심을 노려 폭스 헌트로 심장을 노린다.
* [[엘리자베스 리오네스]]가 간단히 독을 정화해 반을 구하고 [[디안느]]와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압도적인 힘으로 메라스큐라를 박살낸다.
*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은 죽음을 각오하고 메라스큐라의 퇴로를 차단, 멀린에게 그녀를 처리할 것을 부탁한다.
*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이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의 부활과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의 각성으로 기뻐했던 것도 잠시. [[메라스큐라]]가 암담의 고치로 감금했던 [[멜리오다스]]가 심상치 않은 상태로 풀려난다. 그의 등 뒤로 드리운 검은 날개.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조차 위험시 해 "너 조차 어쩔 수 없다"고 경고하나 오만의 죄 [[에스카노르]]는 조금도 개의치 않고 "아이 돌보기"를 하러 다가선다.
멜리오다스가 나타난건 코란도의 중심부였으나, 그 힘이 내뿜는 여파는 외곽에 있는 일행에게까지 날아왔다. 멀린은 일찌감치 퍼팩트 큐브로 엘리자베스와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를 보호했다. 엘리자베스가 멜리오다스의 상태를 보고 폭주했다고 생각하나 멀린의 말에 따르면 통상적인 폭주와는 전혀 다르다. 그를 감싼 검은 기운이 주체할 수 없이 용솟음쳐서 걸치고 있던 갑옷 조차 하나씩 터져나간다. 엘레인과 상공에 있던 [[반(일곱 개의 대죄)|반]]이 걱정스럽게 지켜본다. 적인 메라스큐라 조차도 일곱 개의 대죄는 물론 자기 자신까지 포함해 "모든 게 끝장"이라고 두려움에 떤다. 그녀는 저 상태의 멜리오다스가 무엇을 뜻하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 놀랄 일은 아직도 한참 남았다. 이번엔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분풀이 차례였다. 그 몸이 바닥에 채닿기도 전에 무수하게 분열된 영창이 벌떼처럼 덮쳤다. "버블비". [[그로키시니아]]에 필적하는 신수의 힘이었다. 긴몸에 성한 곳이 없을 정더로 잘게 저며진 메라스큐라는 맥 없이 바닥에 처박혔다.
>"일곱 개의 대죄"는 "십계"를 쓰러뜨리기 위해 모인 운명의 동료다!
그의 말이 맞았다. 멀린을 앞세운 일곱 개의 대죄가 마지막 처분을 내리기 위해 다가오고 있었다. 멀린은 그녀를 "어리석은 메라스큐라"라고 지칭했다. 대죄를 얕보고 뱀의 형태를 드러낸게 메라스큐라의 패착. 차라리 통상의 모습으로 마력을 발휘했다면 골치 아픈 상황으로 전개시킬 수 있었을 거라고 멀린은 혹평을 내렸다. 반박할 말은 없다.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메라스큐라는 분함을 억누르고 달아날 방법을 모색했다.
* 뽑혀나간 검은 독기운이 완전히 사라지고 나자, 거대한 뱀의 형성은 믿기 어려울 정도로 쪼그라들었다. 힘도 지성도 없는 작디 작은 뱀.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그 지렁이 같은 크기를 보고 어이없어 했다. 호크의 콧김에 겁을 먹은 작은 뱀이 꽁무니를 뺐다. 하지만 뱀이 기어 간 곳은 멀린의 플라스크 안. 멀린은 뱀을 그 안에 가두는 것으로 처분을 마쳤다. 마계의 강한 장기에 노출되며 살아온 독뱀이 마력을 얻은 것이 메라스큐라의 정체. 엘리자베스는 멜리오다스가 그렇게 알려줬었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녀를 죽이지 않고, 엘레인을 죽이지 않고 끝낼 수 있었던 것이다. 멀린은 짐짓 쿨한 태도로 감탄했지만 결국 본성을 숨기지 못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3화 . . . . 2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2화]] |||| '''일곱개의 대죄/223화''' |||| [[일곱개의 대죄/224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3화. '''망설이는 연인들'''
*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의 상태가 날이 갈 수록 악화되고 [[엘리자베스 리오네스]]가 치료하는 것으로 간신히 버텨간다.
*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아서 팬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의 안부에 온정신이 쏠려있고 [[에스카노르]]는 그걸 보며 가슴아파한다.
*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는 무언가 다른 계획을 가진 듯하며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친구 [[헬브람]]의 행동이 평소와 다르다 여긴다.
*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엘레인의 남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걸 직감하고 다음 임무에서 빼달라고 요청한다.
* 십계 [[젤드리스]]에게 점령 당한 카멜롯을 해방하기 위해 여정을 떠난 일곱 개의 대죄. 돼지의 모자정은 우선 주요 거점인 성채도시 코란도를 방문하기로 한다. 그곳 또한 적의 손에 넘어간 위험한 지역.
[[엘리자베스 리오네스]]는 전날 [[반(일곱 개의 대죄)|반]]에게 부탁 받은대로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의 상태를 돌본다. 시름시름 앓던 엘레인이 엘리자베스의 힘을 쐬이자 조금 기운을 되찾는다. 여행은 계속되고, 정신을 차린 엘레인과 [[디안느]], 엘리자베스 셋이서 티타임을 가진다. 이날은 엘리자베스가 사실 윤회를 거듭하며 [[멜리오다스]]와 인연을 쌓아왔다는 이야기가 화제다. 엘레인은 참 기묘한 이야기라 말하며 디안느는 3천년 전 성전시대에서 목격했던 엘리자베스가 지금 눈 앞의 당사자였을 줄은 몰랐다고 호들갑 떤다. 정작 엘리자베스는 아직도 반신반의하는 상태. 디안느는 그래도 믿고 싶은 것 아니냐고 떠본다.
그건 놓치고 있던 부분이다. 디안느는 혹시 그가 바람을 피거나 엄청난 성희롱을 한 짓 따위를 은닉하기 위한게 아닌가 의혹을 품는다. 그리고 엘레인에게 멜리오다스의 마음을 읽을 수는 없냐고 묻는데, 이유는 모르겠지만 안 되더라도 대답한다. 그러는 동안 엘리자베스는 가벼운 두통과 함께 젤드리스가 했던 말, "전부 떠올리면 자신의 죄를 깨닫게 된다"던 저주스러운 말이 떠오른다. 그녀의 고통을 몰랐던 디안느는 엘리자베스의 손을 붙잡고 "꼭 기억을 되찾자"고 응원한다. 설령 괴로운 기억이 떠오르더라도 행복한 기억도 함께 떠오를 거라면서. 그녀와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의 경우는 분명 그랬다. 엘리자베스는 방금 전의 고통은 지워버리고 미소와 함께 그러자고 대답한다.
* 돼지의 모자정은 순조롭게 목적지로 향한다. 가끔 마신족이 접근하기도 했지만 강해진 호크 엄마가 콧방귀만으로 날려버린다.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저주가 나은 이후론 식당 구역에서 시간을 보냈다. [[에스카노르]]가 바를 지키고 있다. 멀린의 정신은 온통 [[아서 팬드래곤(일곱 개의 대죄)|아서]]의 안녕에 쏠려있다. 그는 음료를 마시면서도 아서가 무사하기만을 기원한다. 자연 울쩍한 모습인데, 그런 그녀를 바라보는 [[에스카노르]]의 마음도 무겁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일행과 떨어져 친구 [[헬브람]]과 떠들고 있다. 돼지의 모자정 옆구리의 손잡이 조형 부분이었다. 작전 회의 도중에 헬브람이 없었던 걸로 그때 어디에 있었냐고 묻는데, 그의 친구는 묘하게 말을 돌려버린다. "먼저 축하할게 있다"는 핑계로. 그는 드디어 할리퀸이 디안느와 애인관계가 된 걸 반쯤은 축하하고 반쯤은 놀린다. 그리고 날개에 대해서도 일단 축하하나 "빈말로도 멋지다고 할 수 없는 날개"라고 덧붙여서 속을 긁어놓는다. 할리퀸이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냐"고 역정을 내자 헬브람이 답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6화 . . . . 1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5화]] |||| '''일곱개의 대죄/216화''' |||| [[일곱개의 대죄/217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6화. '''대죄 집결'''
* 시련에서 돌아온 [[디안느]]는 십계 [[고서]]의 도움으로 200년 전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만났던 기억을 되찾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다.
* 오슬로는 그로키시니아가 사라진 이후 어느 틈엔가 나탔는데 그로키시니아는 그가 자신이 죽인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의 환생이라 생각한다.
* 그로키시니아는 십계를 이탈해 요정왕의 숲을 지키기로 하고 디안느와 할리퀸은 일곱 개의 대죄로 복귀를 결정한다.
* 요정왕의 숲에서 눈을 뜬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오랜만에 재회한 [[오슬로]]가 반갑게 얼굴을 핥는다. 그 바람에 일어난 할리퀸은 아주 행복한 꿈을 꾸었다며 "[[디안느]]가 나에게 키스하는 꿈을 꾸었다"고 말하는데, 마침 당사자가 옆에 있었다.
그로키시니아는 오열하는 여동생을 안은 채 "용서받을 순 없지만 사과하게 해달라"고 속삭인다.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에 대해서나, 그녀의 생사도 확인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나. 게라이드는 다 지나간 과거이며 자신도 로우도 각오했던 일이라 의연하게 말하지만 흐르는 눈물을 멈추지 못한다.
>우리들은 "일곱 개의 대죄"니까!
* 한편 왕국에 있던 일곱 개의 대죄, [[멜리오다스]], [[반(일곱 개의 대죄)|반]],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 [[고서]], [[에스카노르]]는 한 자리에 모여있다. 그 장소는 과거 일곱 개의 대죄가 성기사장 [[자라스트로]]를 죽였다는 혐의를 받았던 고성의 꼭데기였다. 이들을 불러모은 장본인은 멀린. 국왕 [[바트라 리오네스]]가 본 새로운 예지를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일곱 개의 대죄"는 다시금 집결한다.'''
* 그 자리에 나타난 것은 디안느와 할리퀸. 예언대로 일곱 개의 대죄가 다시금 모였다. 비록 단장 멜리오다스는 디안느 밑에 깔려서 보이지 않았지만.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8화 . . . . 1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7화]] |||| '''일곱개의 대죄/218화''' |||| [[일곱개의 대죄/219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8화. '''다시 만났네'''
* 다시 기억을 고치려는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를 저지한 [[디안느]] 고서는 공격하지만 춤을 추며 공격을 피한다.
* 고서는 도주하려 하지만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에게 가로막히는데 그의 전투력은 총 4만 이상.
*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마음의 심장"을 분석한 결과를 알려주러 오고 이것은 단지 빈 케이스고 진짜 고서의 마음은 바로 그 자신 속에 있다고 말한다.
* 한 발 늦게 도착한 [[멜리오다스]]와 [[반(일곱 개의 대죄)|반]]. 마지막으로 [[에스카노르]]가 합류. 멀린의 제안으로 오늘을 기념하는 연회를 열기로 한다.
* 이로써 일곱 개의 대죄는 완전히 집결한다.
*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는 [[나쟈 리오네스]]의 기억이 떠오르려 할 수록 부정하며 또다시 기억을 수정하려 했다. 때마침 나타난 [[디안느]]가 그것을 저지하고 "기억을 지우려 했다는건 뭔가 떠올랐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고서가 "단지 노이즈일 뿐"이라고 대꾸하지만 디안느는 "그거야 말로 네 마음일 수 있지 않냐"고 거듭 지적한다. 고서는 디안느의 방해를 뿌리치기 위해 공격하는데 디안느는 춤을 추며 간단하게 피한다. 고서는 그녀가 춤을 출 수록 전투력이 급상승하는 것을 발견하고 경악한다. 그 수치가 무려 15100에 달했기 때문. 그녀의 마력이 급격히 올라가는건 인근에서 수색 중이던 [[멜리오다스]]와 [[반(일곱 개의 대죄)|반]]도 감지할 수 있었고 곧 고성 쪽으로 향한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한 발 먼저 고서의 퇴로를 차단했다. 고서가 측정한 요정왕의 전투력은 41600. 고서는 도망치던 것도 잊고 단기간에 이토록 전투력이 급상승한 이유가 뭐냐고 묻는다. 킹은 그런 질문을 듣는거 자체로 만족하지만 곧이어 고서가 "그 조그마한 날개 때문이냐"고 날개 크기를 걸고 넘어지자 분개한다.
계속해서 떠오르는 옛기억. 고서는 그걸 고통스러워하며 비명을 지른다. 디안느는 걱정스럽고 당황해서 하마터면 그의 손을 놓을 뻔 했는데, 익숙한 목소리가 절대 손을 놓아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었다.
>"일곱 개의 대죄"의 동료들이!
멀린은 오늘은 일곱 개의 대죄에 있어 경사스러운 날이라며 연회를 제안한다. 반은 얼렁뚱땅 멜리오다스가 쏘는 걸로 떠넘긴다.
* 이로써 진정한 모습으로 재집결한 일곱 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5화 . . . . 1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4화]] |||| '''일곱개의 대죄/225화''' |||| [[일곱개의 대죄/226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5화. '''멸망한 폐도로'''
* 과거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은거했던 마을의 촌장은 마신족의 요구에 따라 여행객들을 잡아 바치며 마을을 유지하고 있었다.
* 고서와 함께 마을로 돌아온 일곱 개의 대죄가 마을을 점거했던 마신들을 일소해버린다.
* 고서와 재회하고 그가 정말 전설적인 성기사인 일곱 개의 대죄였음을 확인한 페리오는 감격하고 떠나는 고서를 마지막까지 배웅한다.
*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는 자책하고 고민하는 단원들에게 냉정해지라고 조언하며 엘리자베스는 꼭 구할 수 있을 거라 장담한다.
* 마신족이 브리타니아를 점령하고, 그 압제에 시달리는 백성들은 그들이 시키는 짓이라면 무엇이든 해야했다. 인간의 영혼을 먹고 사는 마신들은 마을 주민들을 살려두는 조건으로 그만큼의 인간 영혼을 요구했고, 각 마을에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할당량을 채우려 들었다. 한때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아만드"란 이름으로 은거했던 마을에서도 그랬다. 이 마을 촌장은 여행객들을 속여 마신족에게 바쳐왔다. 그렇게 생긴 시체가 쌓이고 쌓여 마을 공동묘지는 묘비가 빼곡하게 박혀있다. 촌장의 어린 아들 "페리오"는 그런 아버지의 방식에 반발했다. 촌장으로선 마을과 아들을 지키기 위해선 선택지가 없었다. 하지만 아들은 도저히 그럴 수는 없다며, 아버지나 어른들은 모두 겁쟁이고 자신이 마신족들을 다 물리치고 말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촌장은 자식의 뺨을 때리면서까지 그런 말을 틀어막으려 했다. 그 말이 누구 귀에 들어갔다간...
* 덩치가 큰 마신이 포효했다. 영혼을 먹고 싶다는 아우성이었다. 작은 지 친구보다도 훨씬 멍청했던 그 마신은 상황파악 조차 하지 못했다. 물론 그에게 그런 능력은 필요가 없었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파워업한 진 영창 샤스티폴이 "인 크리스"의 형태로 마신을 갈기갈기 찢어발긴다. 날개가 돋기 전보다 한층 정교하고 강력해진 위력. [[헬브람]]이 그 성장을 축하하지만 할리퀸은 아직 온전하게 역량을 시험하기엔 상대가 너무 약했다고 투덜거렸다.
마을 사람들은 광장에 일어나는 일들을 어리둥절하게 쳐다보며 저들이 자기들을 구한게 맞는 건지, 상황이 어떻게 변해가는 건지 갈피를 잡지 못했다. 이 일대를 점거하고 있던 마신족은 하나도 남김 없이 일곱 개의 대죄가 처리했지만, 그들이 알 수 없는 일이었다. 마을을 언덕 위에서 굽어 보며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 [[멜리오다스]]에게 이런 데서 시간을 낭비하고 있어도 되겠냐고 물었다. 원래 그들은 성채도시 코란도로 가야했다. 멜리오다스는 그렇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우선 고서가 강력하게 희망하기도 했지만, 마신족의 위협에서 백성을 구하고 피폐해진 그들의 삶을 되돌리는 것도 성기사가 해야 할 일이다.
>너는 진짜 "일곱 개의 대죄"였구나.
마침 잘 나타난 화풀이감이다. 그렇다면 죽어, 그렇게 말하며 하급 마신이 주먹을 휘둘렀다.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그런 주먹이라도 실컷 맞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렇게라도 하면 마음이 가벼워질까 했지 했지만 하급 마신의 주먹은 너무 시시껄렁했고 자신이 친구에게 저지른 짓이 역겨워 견딜 수가 없었다. 자신이 뭐라고 했던가?
반은 눈 앞의 쓸모없는 것을 치워버렸다. 자신에게 치미는 화를 어찌할지 몰라 연인에게 호소를 보내봤다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은 돼지의 모자정에 있으면서도 그의 고통과 죄의식을 고스란히 느끼고 작은 목소리로 책망했다.
* 이들을 중재한건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였다. 팀의 잔반당번은 지극히 타당한 말로 이들의 다툼을 말렸다. 지금 가장 괴로운건 멜리오다스가 아닌가? 다른 사람들은 냉정해져야 한다. 그리고 왜 벌써 희망을 버리는가?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7화 . . . . 1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6화]] |||| '''일곱개의 대죄/227화''' |||| [[일곱개의 대죄/228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7화. '''격돌! 격돌!! 격돌!!'''
*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의 부의 에너지를 흡수한 해골병이 일곱 개의 대죄를 궁지로 몰 거라고 생각한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디안느]]가 반격하고 [[에스카노르]]마저 정오에 가까워지며 힘을 되찾자 강해진 해골병이라도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 이를 감지한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은 힘겹게 몸을 일으켜 일행을 도우려 가려 하는데, 그때 의식을 되찾은 [[엘리자베스 리오네스]]가 나타난다.
* [[젤드리스]]를 미끼로 사용해 [[멜리오다스]]를 함정에 빠뜨린 [[메라스큐라]]. 멜리오다스를 삼킨 "암담의 고치"는 부의 에너지를 빨아들여 메라스큐라가 부리는 사령의 힘을 강화한다. 그 힘이 부여된 해골병들은 점차 강해져 손귑게 상대하던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을 당황케 한다. 강해진 해골병의 힘은 거인인 디안느가 떠밀라나갈 정도가 됐다.
*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는 이제 달아나는 신세였고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는 정면승부를 피하며 조금씩 물러났다. 그대로 해골병들을 유인하며 특기인 신경조작을 걸었다. 하지만 마신족 마저 조종하는 그 기술이 해골병에겐 통하지 않았다. 위기의 순간,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후방지원이 빛을 발했다. 강력한 마법의 힘이 해골병들을 새까맣게 태워버린다.
* 일행 중 아직 고전하는 건 호크를 제외하면 [[반(일곱 개의 대죄)|반]] 뿐이었다. 그의 특기는 해골병에겐 전혀 먹히지 않는데다 하나하나의 힘도 강해져서 상대하기 힘들었다. 그런데다 머릿수까지 불어나자 속수무책으로 공격을 허용하고 피투성이가 되어갔다. 그때 호크를 따라 도망치고 있어야 할 [[에스카노르]]의 목소리가 들렸다.
>"일곱 개의 대죄"는 "십계"를 쓰러뜨리기 위해 모인 운명의 동료야.
다시 전세역전. 하지만 메라스큐라도 이대로 끝낼 생각은 없었다. 아직 해골병도, 수단도 남아있다. 일곱 개의 대죄는 마지막 남은 해골병을 포위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작스럽게 해골병이 강력한 힘을 내뿜기 시작했다. 굉장한 힘의 집적. 부서진 해골들의 원념이 살아남은 해골로 모여들고 있었다. 이것이 메라스큐라의 회심의 카드. 부의 에너지를 하나로 응축한 최강의 사령이라면 과연 일곱 개의 대죄라도 무사할 수 있을까? 그녀는 멜리오다스의 안색이 좋지 않다며 빈정거렸다.
* 격전지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 돼지의 모자 정은 아직 코란도로 향하는 다리 앞에 있었다. 안정을 취하고 있던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엘레인]]은 반과 그 일행에게 일어난 일을 느꼈다. 디안느의 의식이 공포와 분노의 소용돌이에 잠식되었다. 이대로 두면 자신과 반이 겪었던 일이 디안느와 오빠에게도 일어날 것이다. 그것만은 막아야 한다, 그런 일념으로 엘레인은 불편한 몸을 침대에서 끌어냈다. 동료들에게 가겠다는 그녀의 의지는 확고했으나 걷지도 못하는 몸이 따라주지 않았다. 위태롭게 기어다가 쓰러지는 그녀에게, 누군가 손길을 뻗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8화 . . . . 1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7화]] |||| '''일곱개의 대죄/228화''' |||| [[일곱개의 대죄/229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8화. '''여신과 성녀'''
* 디안느의 마음의 상처는 [[엘리자베스 리오네스]]를 죽게 만들었다는 자책.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구해보려 했지만 원념의 힘이 상상을 초월했다.
* 원념은 급기야 디안느를 자해시키기까지 하나 막을 방법이 없는 일행. 그때 헬브람이 친구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을 놔두고 홀로 날아오른다.
* 그때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 ]]과 함께 나타난 엘리자베스가 정화의 힘으로 그녀를 해방시킨다.
* [[멜리오다스]]의 부의 에너지로 강화된 해골병으로 일곱 개의 대죄를 처치하려던 [[메라스큐라]]의 계획은 좌절됐다. 하지만 그녀는 포기하지도 않고 새로운 음모를 고안했다. 해골병이 감당하지 못한 부의 에너지, 그렇다면 같은 일곱 개의 대죄는 어떨까? 예상대로 안성맞춤인 그릇이었다. [[디안느]]가 마수에 걸려들었다. 섬뜩한 피눈물과 불길하게 물든 눈동자. 사령에 지배당한 디안느가 일행을 향해 공격 자세를 취했다. "드롤의 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그만두라는 외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공격이 쇄도해온다. 심지어 즐거워 보였다.
일행이 뒤로 넓게 흩어지며 공격을 피했다.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발빠르게 분석에 들어갔다. 디안느의 상태는 통상의 세뇌나 최면과 달랐다. 할리퀸이 보기에 디안느를 조종하는 것은 단순히 메라스큐라의 마력이 아니라 성채도시 코란도에서 학살 당한 사람들의 원혼이었다. [[반(일곱 개의 대죄)|반]]은 그런걸 어떻게 쓰러뜨리내고 투덜거렸다. 그런데 [[헬브람]]이 이상했다. 이 모든 상황은 자기 책임이라며 할리퀸에게 용서를 구하는데.
* 멀린은 "다소 죽일 생각"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반은 거부감을 느꼈지만 디안느의 힘이 위험한 것도 사실이다. 그도 결국 "나쁘게 생각마라 디안느"라며 멀린의 지시에 따른다. 할리퀸 만큼은 그럴 수 없었다. 디안느가 다음 공격을 준비하는 동안에도 그는 일행과 디안느 사이를 가로막았다. 헬브람은 원념에겐 물리적 공격은 물론 마법도 통하지 않는다고 알려줬다. 그 말대로라면 설사 디안느를 다치게 해도 원념을 쓰러뜨릴 순 없다. 킹은 그런 말을 하며 일행을 말리고 디안느 쪽을 향해 필사적으로 애원했다. 원념에게 삼켜지지 말라고. 그러나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측정해 보니 디안느의 전투력은 점점 올라 4만 8천에 육박했다. 킹이 위험했다. 고서의 경고는 애타는 할리퀸에겐 들리지 않았다. 헬브람의 경고도 마찬가지. 그러나 디안느는 아랑곳 없이 무자비한 발길질을 보냈다.
* 연결이 끊겼다, 고서의 눈 앞엔 디안느의 신기 [[기데온]]이 들이닥쳤다. 횡으로 원심력을 받은 전투망치의 충격이 고서를 크리켓 공처럼 튕겨보냈다. [[메라스큐라]]에겐 최고로 유쾌한 구경거리였다. 그녀는 허리를 꺾으며 웃어댔다. 고서를 발견한게 최고다. 자신을 이용해먹은 빌어먹을 고서. 그 녀석이 만든 인형이 일곱 개의 대죄였다지. 이 "열받는 서프라이즈"의 연속이 도주미 질리지 않는다.
다른 일행의 눈에는 이해할 수 없는 장면이었다. 할리퀸의 투구가 떠오르자 디안느가 움직임을 멈췄다, 단지 그렇게 보였다. 잔해 속에 숨어있던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도 고개를 내밀며 무슨 일인가 쳐다봤다.
* 엘리자베스 리오네스가 [[엘레인(일곱 개의 대죄) ]]과 함께 그 자리에 있어다. 원념을 몰아낸 그녀는 친구의 질문에 당연하게 대답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6화 . . . . 1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5화]] |||| '''일곱개의 대죄/226화''' |||| [[일곱개의 대죄/227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6화. '''사납게'''
* 차원의 뒤틀림을 해결하기 위해 성채도시 코란도에 들린 일곱 개의 대죄 일행. 거기서 뜻밖에도 [[젤드리스]]와 맞딱뜨린다.
* [[멜리오다스]]는 함정이라는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경고도 무시하고 돌진, 젤드리스를 처단한다.
* 메라스큐라는 멜리오다스를 도발해 보다 강력한 해골병으로 일곱 개의 대죄 일행을 위협한다.
* 십계에 점령된 카멜롯을 해방시키기 앞서, 카멜롯을 둘러싼 "차원의 뒤틀림"을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일곱 개의 대죄는 발생지로 지목된 성채도시 코란도에 먼저 들러 차원의 뒤틀림을 해결하려 했다. 하지만 코란도에서 기다리고 있는건 카멜롯에 있어야 할 [[젤드리스]]. 그는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의 생명을 조롱하며 [[멜리오다스]]를 도발했다. 함정임을 직감한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 경고하나 멜리오다스는 격분해 뛰쳐나가 단숨에 젤드리스를 베어버린다.
* 멜리오다스는 마신족의 힘을 끌어냈을 정도로 흥분해 있었고 분노가 담긴 공격은 코란도의 입구 부근의 지형이 바뀔 만한 위력이었다. 어마어마한 파편이 발생해 사방으로 떨어지는데, 일부는 유성처럼 카멜롯 방향으로 날아가기도 했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서둘러 처리해야겠다고 하지만 멀린은 문제 없다고 한다. 파편은 일정한 지점에서 사라져 버린다. 수면에 떨어진 돌이 파문을 남긴 것처럼, 허공에 크고 작은 원이 생겨난다. 이것이 차원의 뒤틀림이다. 멀린은 이것이 카멜롯에 접근하는 모든 것을 막는 성가신 "벽"이라 말한다. 그리고 멜리오다스의 돌발행동이 결과적으론 차원의 뒤틀림의 위치와 강도를 확인한 셈이 됐다고 덧붙인다.
* 메라스큐라와 악연이 깊은 [[반(일곱 개의 대죄)|반]]이었다. 그는 그 검은 구체가 멜리오다스를 감싸는 걸 보고 메라스큐라의 속셈을 눈치챘다. 다른 일행보다 한 발 먼저 자리를 박차고 나선다. 하지만 한 발 늦었다. 멜리오다스를 삼킨 구체가 코란도의 지면 속으로 스며들어간다. 반은 간발의 차이로 구체를 놓친다.
* [[디안느]]가 어쩌면 좋겠냐고 묻자 [[고서(일곱 개의 대죄)|고서]]가 마력감지로 적이 멀리까지 가지 못했고 코란도 중심부에서 마력이 느껴진다고 말한다. 그때 [[헬브람]]이 할리퀸에게 주위를 보라고 귀띔한다. 근처에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시체, 다 썩어서 백골만 남은 시체가 가득했다. [[에스카노르]]와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놀라 자빠진다. 이들은 마을 사람들일까? 그렇다면 여기서 일어난 대학살의 희생장일지 모른다. 고서가 조용히 수를 헤아려 보니 족히 천에 이르렀다.
>멜리오다스와 "일곱 개의 대죄"의 전투야!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1화 . . . . 14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0화]] |||| '''일곱개의 대죄/211화''' |||| [[일곱개의 대죄/212화]][[br]][[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일곱 개의 대죄]] 제 211화. '''이별을 고하는 자'''
* 갑자기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 앞에 나타난 [[고서]]는 요정왕과 거인왕을 막기 위해 온 것이다.
* 그러는 사이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를 비롯한 인간 전사들은 스티그마의 병력을 인정사정없이 유린한다.
* 난데없이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 앞에 나타난 십계 무욕의 [[고서]]. 그러나 이 시대 사람이 아니고 그가 마신족 출신인 것도 몰랐던 둘은 그를 무욕의 고서가 아니라 일곱개의 대죄 멤버였던 고서로 생각하고 있다. 물론 그런 사정은 고서 본인도 모르는 일이다. "고서가 아니다"라는게 무슨 뜻이냐고 묻는 고서. 할리퀸은 확실히는 몰라도 자기가 아는 고서는 아니라고 대답한다. 고서는 "내가 모르는 날 알고 있다는 이야기"라며 흥미를 보인다.
디안느와 할리퀸은 고서가 십계와 대화하는 장면을 보고나서야 경계한다. 고서는 자신이 십계인걸 모르냐고 오히려 이상해한다. 할리퀸은 그가 "십계가 아니라 일곱개의 대죄 멤버"라며 항변하지만 디안느가 그런 언쟁보다는 은총의 빛으로 향해야 한다고 가로막는다.
* 디안느는 그러는 사이에도 엄청나게 많은 마력이 사라지는걸 감지한다.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를 비롯한 인간 전사들은 스티그마의 병사들을 도륙하며 은총의 빛을 사수한다. 마침내 할리퀸은 [[그로키시니아]]의 여동생 [[게라이드]]가 부르는 소리를 감지하고 고서를 내버려둔 채 은총의 빛으로 향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7화 . . . . 14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6화]] |||| '''일곱개의 대죄/217화''' |||| [[일곱개의 대죄/218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7화. '''마음의 거처'''
* 우여곡절 끝에 재집결한 일곱 개의 대죄 멤버들. 재회의 인사를 나누느라 국왕 [[바트라 리오네스]]가 나올 타이밍을 잴 수가 없었다.
* 리오네스 왕국의 고성을 울린 굉음은 인근 주민들에게도 들렸다. 굉음을 낸 당사자 [[디안느]]와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그로키시니아]]의 시련을 마친 이들이 일행과 합류하려다 하늘에서 뚝 떨어져 어마어마한 소리가 났던 것이다. 국왕 [[바트라 리오네스]]의 예지를 듣기 위해 고성에 모였던 멤버들은 잠시 어안이 벙벙했으나 그것도 잠시. 곧 서로를 알아보고 반갑게 재회의 인사를 주고 받는다.
>기다리고 있었다. 드디어 모였나 보구나! 일곱 개의...
멜리오다스가 살아난 걸 몰랐던 이들을 단장 귀신이 나왔다고 소란을 부리고 [[반(일곱 개의 대죄)|반]]과 [[에스카노르]]가 "귀신이 아니라 진짜"라고 알려주고 나서야 진정된다. 이런 소동 때문에 바트라는 끼어들지도 못하고 돌아가지도 못한 채 어정쩡하게 서있었다.
그 말을 듣고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이 진짜냐고 놀란다. 그리고 디안느의 기억을 지운 당사자, [[고서]]도 반응한다.
* 고서는 기억해냈다. 소중한 약속과 [[나자 리오네스]]. 단편적인 기억들이 스쳐갔다. 그러나 고서의 다음 행동은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그는 그대로 고성 꼭대기에서 뛰어내려 도망쳐 버렸다. 바트라가 기다리라고 말해도 전혀 듣지 않았다. 일행은 그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갈피를 잡지 못했다. 멜리오다스와 반은 오줌이나 똥이 아닐까 하는 한심한 추리나 하고 있었다. 디안느는 바트라가 보여준 물건이 그를 도망치게 했다고 여겼지만, 사실 그건 고서 자신의 물건이었다. 정확히는 [[일곱 개의 대죄/고서 외전|그가 바트라의 누나 나자에게 주었던 물건]]. 원래 고서의 가슴 속에 있어서 마법의 마음을 주었던 물건이다. 에스카노르는 "마법의 마음"이란 표현이 마음에 들었는지 시상을 떠올린다. 멀린은 그보다는 실용적인 착상이 떠올랐는지 바트라에게 그 물건을 잠시 보여달라 한다.
* 마법의 심장이 어떻든, 우선은 고서를 쫓아갸아 한다. 디안느가 그렇게 성화를 부리며 멀린에게 자신을 작게 만들어 달라 부탁한다. 반은 여전히 위기의식 없이 "먼저 고서를 잡는 사람한테 한 잔 쏘기" 내기를 제안, 할리퀸이 한심하게 여긴다. 에스카노르도 얼른 쫓아가자고 건의하자 멜리오다스도 일곱 개의 대죄의 네 번째 규칙을 들어 허가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4화 . . . . 13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3화]] |||| '''일곱개의 대죄/214화''' |||| [[일곱개의 대죄/215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4화. '''그 날의 너에게는 이제 닿을 수 없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를 죽이기 직전 [[반(일곱 개의 대죄)|반]]을 떠올리고 공격을 멈춘다.
* 분노에 찬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는 이미 죽음을 받아들였기에 [[게라이드]]의 만류를 사양하고 그녀를 바닥에 내려준다. 그리고 날아오는 영창을 향해 떳떳하게 고개를 든다.
* 그것은 [[반(일곱 개의 대죄)|반]]의 모습. 자청해서 창에 맞으려는 듯한 로우의 모습을 보고 반을 떠올렸다. 그리고 [[엘레인]]과 그의 관계, 그때문에 그가 할리퀸에게 속죄하려 했던 일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1화 . . . . 13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0화]] |||| '''일곱개의 대죄/221화''' |||| [[일곱개의 대죄/222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1화. '''그저 한결 같이'''
*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은 [[젤드리스]]의 저주로 사경을 헤매고 [[핸드릭슨]]이 자신의 힘으로 저주를 풀 수 없자 엘리자베스의 힘에 기대를 건다.
* 엘리자베스가 조심스럽게 오늘의 진짜 용건을 꺼낸다. 그녀의 이야기는 [[자라트라스]]가 드루이드의 주술로 보여준 16년 전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때가 엘리자베스와 멜리오다스의 첫 만남. 그런데 무슨 우연인지 그의 연인이었던 [[리즈(일곱 개의 대죄)|리즈]]가 죽은 것도 16년 전이다. 그녀는 [[케인(일곱 개의 대죄)|케인]]이 알려준 사실이라며 리즈의 본명이 엘리자베스인 것도 알고 있다고 말한다. 멜리오다스는 그저 아이러니인 것처럼 웃어넘긴다.
멜리오다스에게 동요의 빛이 떠오른 것도 잠시. 그는 모든게 우연일 뿐이라고 얼버무린다. 엘리자베스도 그렇게 생각했다. 어제까지는. [[디안느]]와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성전시대로 돌아가 자신과 똑닮은, 여신족 소녀 엘리자베스를 봤다고 말하기 전까진. 이것도 그저 우연일 뿐이냐고 묻는 엘리자베스. 이제 멜리오다스는 눈에 띄게 당황한다. 그는 너무 피곤해서 헛된 생각을 하는게 아니냐고 말하지만 말에 자신이 없다. 엘리자베스는 더욱 거세게 몰아붙인다. 같은 증언을 해준 사람이 한 사람 더 있기 때문이다. 십계의 [[데리엘]]. 그녀가 엘리자베스와 마주쳤을 때 이렇게 말했었다.
* 봉우리 뒤편의 언덕에서 불청객이 기어나왔다. [[반(일곱 개의 대죄)|반]]과 할리퀸이 슬금슬금 일어나더니 "무슨 짓을 저질렀냐"고 은근히 힐난했다. 분명 엿듣고 있던게 분명하다. 둘은 사랑싸움이냐느니, 왕녀가 울고 있던거 같다느니 쓸데없이 참견해온다. 멜리오다스가 여긴 왠 일이냐고 묻자 반이 "킹이 요정 주제에 프로포즈하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했다"고 대꾸했다. 혹시 전부 들었냐고 묻자 둘은 전혀 아니라고 답했지만 반이 곧바로 "사랑 싸움의 원인은 뭐냐"고 짖궂은 얼굴로 물었다. 요즘 연애를 시작했다고 너무 기가 산 할리퀸 쪽도 "여자 마음을 좀 더 공부해야 한다"고 거들먹거린다. 부하들의 따뜻한 관심에 감격한 단장.
* 대지의 모자정 옥상에선 낮잠에서 깬 디안느가 기지개를 켰다. 느긋한 옥상과 달리 식당 안 [[멀린(일곱 개의 대죄)|멀린]]의 방은 심각한 분위기. 지난 밤 연회 이후로 멀린이 무섭게 앓았다. [[핸드릭슨]]이 용태를 보러와 있다. [[에스카노르]]가 그저 안절부절. 핸드릭슨의 주위에서 알짱대면서 상태를 묻는다. 핸드릭슨은 이것이 무서운 저주라고 진단한다. 그는 대체 멀린에게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묻는다. 에스카노르가 아는 거라곤 어젯밤부터 그녀의 상태가 좋지 않았다는 것. 걱정돼서 아침에 와보니 이렇게 악화되었다. 열도 엄청나고 의식을 차릴 기력 조차 없다. 핸드릭스가 이런저런 방법을 동원해 보지만 아무 것도 통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어쩔 수준의 문제가 아니고 드루이드가 한 명이라도 있어야 할 거라고 말한다. 갑자기 드루이드를 어디서 모셔올 건가? 에스카노르가 절망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7화 . . . . 12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6화]] |||| '''일곱개의 대죄/197화''' |||| [[일곱개의 대죄/198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7화. '''각자의 답'''
* 성에서 목욕을 즐기는 멀린. 에스카노르는 하인처럼 목욕시중을 들고 있다. 얼굴이 시뻘개져서 안마에 열중하는 중. 멀린도 대만족. 멀린은 멜리오다스 일행에게 왕국이 원상복구된 일에 대해 질문을 들은 모양인데 "원래대로는 아니다"라고 답하고 있다. 그녀가 복원한건 어디까지나 "건물"이라는 것. 사실 애초에 반 정도는 멀린이 부순 셈이니 고쳐주는건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건물이 돌아왔다고 해서 마신족 치하에서 고통 받은 사람들의 상처까지 낫는건 아니라고 지적한다. 더군다나 계금에 걸린 성기사들와 백성들이 카멜롯으로 달아났는데 그 말은 카멜롯이 잔존한 십계의 근거지가 된다는 말이다. 싸움은 이제부터라 말하는 멀린. 그래도 이번 싸움의 승자는 일단 일곱개의 대죄임에 틀림없다고 추켜세운다. 하지만 대답을 들은 멜리오다스는 뭔가 떨떠름한 표정.
* 한편 왕궁에서는 국왕 바토라가 성기사들을 소집한 상태. 바토라는 일곱개의 대죄의 활약으로 십계의 위협은 벗어났지만 아직도 안심할 수 없는 상태라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성기사들을 통솔할 성기사장 자리를 비워둘 수 없어 새로히 임명한다고 선언한다.
* 목욕을 마친 멀린은 이 다음 수를 구상하겠다고 우선은 일곱개의 대죄가 전부 모여야 한다고 말한다. 그 결과인지 데스피어스는 멀린과 바토라의 명의로 지하감옥에 갇혀 있던 고서를 석방한다. 그런데 고서는 상태가 다소 이상하다. 무슨 말을 들어도 "나는 일곱개의 대죄 색욕의 죄 고서."라는 말을 되풀이한다. 데스피어스는 미심쩍어 하지만 어쨌든 명령은 명령. 고서를 풀어주며 그가 십계의 일원이라는 혐의가 완전히 풀린건 아니라고 경고하는데. 그렇게 구속이 풀린 고서. 자유롭게 움직이라고 말하자 어쩐지 고서의 기색이 달라진다.
멀린은 무한한 마력을 각성해서 그런지 하룻밤 만이 수도를 다 복구해 버린다. 한편 십계의 본거지는 카멜롯이라고 하는데 아서 일행이 카멜롯을 버리고 유랑하고 있던 이유도 설명이 된다. 일곱개의 대죄가 아서왕 연대기의 프리퀄적인 성격도 있는걸 감안하면 앞으로 원탁의 기사들도 등장하게 될지도? 참고로 현재 길선더를 데리고 도망친 마녀 비비안은 아서왕 연대기에서 호수의 마녀 비비안을 모델로 한 것으로 추측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3화 . . . . 12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2화]][[br]][[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일곱개의 대죄/213화''' |||| [[일곱개의 대죄/214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3화. '''그것을 우리는 사랑이라 부른다'''
*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는 스티그마의 병사들을 무차별 학살하지만 싸움을 말리려는 [[게라이드]]를 공격하진 않는다.
* 그때 도착한 [[그로키시니아]], 그 안의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로우가 게라이드를 죽였다고 생각해 격노한다.
* 스티그마를 배반하고 싸움을 시작한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와 인간 전사들. 단 네 명 뿐이지만 스티그마가 전멸 위기에 처해있다. 로우는 피투성이가 된 채 천사족 전사와 싸운다. 전사가 로우를 강하게 몰아붙이며 자세를 무너뜨린다. [[게라이드]]는 울고 있지만 싸움을 멈추라고 외친다. 그러나 천사족 전사를 그녀를 겁쟁이라 매도하면서 "울틈이 있으면 싸워라"고 일갈한다. 그 잠깐의 틈이 승부를 갈랐다. 로우는 자세가 무너진 채로 칼을 던져서 전사의 가슴을 꿰뚫었다.
* 무서운 기운이 숲으로부터 날아온다. 로우는 본능적으로 그것이 날아온 방향으로 시선을 돌린다. 그로키시니아, 그 내면에 깃든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돌아왔다. 그는 참혹한 현장을 목격했고 그 가운데, 가장 보고 싶지 않던 장면을 보고 말았다. 그는 분노를 억누르고, 로우를 향해 게라이드에게서 손을 떼라고 경고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2화 . . . . 1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1화]] |||| '''일곱개의 대죄/182화''' |||| [[일곱개의 대죄/183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2화. '''확실한 온기'''
* 바트라는 "일곱 명의 대죄인이 왕국의 수호자가 된다"는 예언을 보고 멀린과 멜리오다스가 예언의 인물들을 모아 "일곱개의 대죄"를 만든다.
* "일곱 명의 대죄인이 리오네스 왕국의 수호자가 된다."
* 이것이 바로 "일곱개의 대죄"에 대한 예언.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2화 . . . . 1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1화]] |||| '''일곱개의 대죄/202화''' |||| [[일곱개의 대죄/203화]] ||
[[일곱개의 대죄]] 제 202화. '''성전의 배우들'''
*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는 진짜 3천년 전으로 옮겨진게 아니라 의식만 옮겨진것. [[헬브람]]이 킹을 깨워보려 하지만 반응이 없다.
* [[헬브람]]은 의식을 잃고 쓰러진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을 깨우려고 안간힘 쓴다. [[디안느]] 또한 죽은 것처럼 쓰러져 있다. 그런데 헬브람이 당황하는 모습이 [[그로키시니아]]에게 보이는 모양이다.
* 싸움이 끝나자 인간 생존자가 하나둘 나타난다. 그 중에 "로우"라는 젊은이가 다가와 감사를 표한다. 어딘지 현세의 [[반(일곱 개의 대죄)|반]]을 닮은 젊은이다. 그는 일행을 "스티그마"(빛의 성흔)가 아니냐고 묻는다. 물론 이 시대가 처음인 디안느와 킹은 알지 못하는 이름이다.
네로바스타는 [[일곱개의 대죄/187화|던젤의 몸을 통해 나타났던 여신족]]. 등장 당시에도 고위 여신족이었고 성전 시기에도 사대천사의 직속 부관격으로 보이는데 거만하기만 하지 실력은 개뿔도 없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0화 . . . . 11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9화]] |||| '''일곱개의 대죄/210화''' |||| [[일곱개의 대죄/211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0화. '''감정 메일스트롬'''
* [[게라이드]]는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와 대화를 주고 받으며 시간을 보내다가 네로바스타의 호출이 전달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는 이변을 감지하고 은총의 빛으로 서둘러 돌아간다.
그러나 진상을 아는 [[게라이드]]는 어두은 얼굴이다. 그녀는 한 눈에 봐도 불편한 얼굴로 안절부절하지 못한다. [[그로키시니아]], 그 몸을 가진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에게 경호를 부탁받았던 [[로우(일곱 개의 대죄|로우]]는 그녀의 안색을 살피며 혹시 인간인 자신이 호위라 불안한 거냐고 묻는다. 게라이드는 그저 무슨 생각을 하느라 그런 거라며 당치 않다는 반응을 보인다. 로우는 그녀의 오빠가 요정왕 그로키시니아지 않느냐며 자신을 의식할 필요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오빠로서 그로키시니아는 어떤 인물이냐고 묻기도 한다. 게라이드가 다정하고 자기가 곤란해하면 언제든 달려와준다고 말하자 로우는 아주 흐뭇하게 웃는다. 그런데 게라이드는 그 웃음을 보면서 무언가 미심쩍은 점을 느끼는데.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7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6화]] |||| '''일곱개의 대죄/177화''' |||| [[일곱개의 대죄/178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7화. '''내가 네게 해줄 수 있는 것'''
* 고위 마신족은 모두 일곱개의 심장이 있다. 어떤 마신이든 그 일곱개의 심장이 모두 당하면 죽는다.
* 고위 마신족에게 일곱개의 심장이 있다는 설정은 젤드리스, 에스타롯사 본인들에게도 적용될 것이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4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3화]] |||| '''일곱개의 대죄/184화'''[[br]][[일곱개의 대죄/번외편]] |||| [[일곱개의 대죄/185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4화. '''초격돌'''
* 일곱개의 대죄와 성기사들은 그 조차도 십계엔 안 되는 거냐고 우려하는데.
* 사실 일곱개의 대죄 중에서도 에스카노르가 너무 강해서, 나머지는 멜리오다스랑 에스카노르 탱만 해주면 될 것도 같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9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8화]] |||| '''일곱개의 대죄/189화''' |||| [[일곱개의 대죄/190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9화. '''영웅, 서다'''
* 엘리자베스는 몸은 괜찮냐고 거듭 확인하는데 멜리오다스는 일곱 개의 심장 전부 멀쩡하다고 과시한다.
* 십계 두 명이 갑작스럽게 리타이어? 이미 젤드리스와 에스타롯사가 리타이어한 상황이라 십계와 일곱개의 대죄 간의 파워 밸런스가 턱없이 붕괴해버린 셈이다.
* 이렇게 줄줄이 박살나는 것도 이상하기 때문에, 몬스피드 정도만 리타이어할 거란 예상이 있다. 물론 젤드리스와 에스타롯사는 복귀. 이렇게 되면 일곱개의 대죄와 십계가 7대7로 숫자가 정확히 맞아, 앞으로 1대1 대결로 전환시켜도 짝이 맞기 때문.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4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3화]] |||| '''일곱개의 대죄/204화''' |||| [[일곱개의 대죄/205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4화. '''빛이 있으라'''
* 그로키시니아의 모습을 한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게라이드]]를 걱정하지만 로우가 은혜를 갚겠다고 보호를 자청한다.
* 십계의 대군이 당도했다는 소식이 요정왕의 숲 곳곳으로 전파된다. [[그로키시니아]]의 몸을 빌린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킹]]은 이게 [[뤼드셀]]의 노림수라면 이걸로 대체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의문스러워한다. 그때 [[드롤]]의 몸을 빌린 [[디안느]]가 "이게 진짜 시련일지 모른다"고 말한다. 그들은 이거야 말로 그로키시니아가 말한 시련일 거라고 확신한다. 그때 [[멜리오다스]]가 도착한다.
* 하지만 킹은 이 사이에 그로키시니아의 여동생 [[게라이드]]를 방치하게 되면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그때 숲은 인간들에게 맡겨달라며 로우가 나선다. 로우는 구해준 은혜를 갚겠다고 하는데, 그의 모습이 [[반(일곱 개의 대죄)|반]]을 너무 닮아서, 킹은 자신도 모르게 그를 반이라고 부른다. 그래도 "반과 달리 좋은 녀석"이라 말하며 게라이드와 숲을 꼭 지켜달라고 하는데.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7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6화]] |||| '''일곱개의 대죄/207화''' |||| [[일곱개의 대죄/208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7화. '''파괴수 인드라'''
* 인듀라는 일곱 개의 심장을 가진 마신이 여섯 심장을 모두 바쳐 본성을 드러내는 변신으로 전투력 5만이 넘는 개체만 가능하다.
본래 마계에서만 존재하며 마신들조차도 두려워하는 전설 상의 존재다. 그 실체는 일곱 개 이상의 심장을 가진 마신이 자신의 여섯 심장을 바치고 계약을 맺어 본성을 드러낸 형태다. 전투력이 최소 5만이 되지 않으면 변화에 견디지 못하고 죽는, 자폭과도 같은 기술이다. 갈란은 십계 두 명이 인듀라화를 결심하게 만들 만큼 뤼드셀이 강한 거라며 감탄하기도 하는데. 그러나 이젠 "끝"이라고 말한다.
* 전투의 여파는 접근 중인 [[멜리오다스]], [[드롤]]의 몸을 빌린 [[디안느]], [[그로키시니아]]의 몸을 빌린 [[킹(일곱개의 대죄)|할리퀸]]도 느낄 수 있다. 할리퀸은 숲이 비명을 지르는 것처럼 느껴진다. 디안느는 "십계보다 끔찍한 기척"을 느끼며 좋지 않은 예감을 받는다. 그러던 중 멜리오다스는 근처에 추락해서 아크로 보호되고 있던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엘리자베스]]를 발견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2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1화]] |||| '''일곱개의 대죄/212화'''[[br]][[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일곱개의 대죄/213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2화. '''선물'''
* [[메라스큐라]]를 이용해 자유를 되찾은 무욕의 [[고서]]. 그는 공간의 틈을 열고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 앞에 나타난다.
* [[그로키시니아]]와 [[드롤]], 그 안에 있는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과 [[디안느]]는 자신들 눈 앞의 "인형" [[고서]]가 하는 말을 듣는다. 그는 마신왕에게 무욕의 계금을 받고 500년 동안 자유를 뺏겼다. 그 사이 자신이 만든 인형 고서를 통해 겨우 바깥과 접촉했다. 하지만 그것도 한계에 달했다. 그는 이 세상에 이별을 고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러기 전에 꼭 그들, 할리퀸과 디안느를 직접 만나고 이야기하고 싶다고 하는데.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15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4화]] |||| '''일곱개의 대죄/215화''' |||| [[일곱개의 대죄/216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15화. '''처형인 젤드리스'''
*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그런 처사에 절규하지만 놀랍게도 디안느는 죽지도 굴복하지도 않고 제 3의 선택을 해서 깨어나는데... 그건 "도망"이었다.
* 그리고 다음 순간, 디안느는 방어할 틈도 없이 젤드리스의 일격을 허용한다. 젤드리스는 화살처럼 날아와서 드롤의 가슴을 과녘처럼 파고든다. 디안느는 쓰러지면서도 지금 일어난 일이 믿기지 않는다. [[일곱개의 대죄/201화|십계의 공격에도 끄떡 없던]] 드롤의 몸이다. 단 한 번의 공격으로 이렇게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걸까? 하지만 우선은 방어다. 쓰러진 채로 "가이아폼"을 사용하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몸에서 마력이 발동하지 않는다. 젤드리스가 그를 쓰러뜨리면서 마력까지 봉해서 아무런 기술도 쓸 수 없는 것이다. 디안느는 그가 다른 십계와도 다른, 믿기지 않는 강자라는 걸 실감한다.
* 디안느가 위험한 선택의 기로에 있을 때, 현세의 진짜 드롤은 이 모든 정황을 짐작하고 있었다. 하기야 자신이 겪은 일이니까. 적 앞에서 도망치는게 허용되지 않는 거인족에게, 선택지란 결국 두 가지 밖에 없었다. 죽거나, 혹은 십계가 되는 것. 그런데 그 말은 무서운 의미다. 시간회귀술은 과거에서 죽으면 현세에서도 죽는다. 물론 "시련"에서 다른 선택을 하지 못해도 현세로는 돌아올 수 없다.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은 통증으로 괴로워하면서도 그 무서운 함정을 눈치챈다. 그가 드롤에게 따져묻자 드롤은 "그저 궁금했을 뿐"이란, 어찌보면 무책임한 대답이 돌아온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24화 . . . . 10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23화]] |||| '''일곱개의 대죄/224화''' |||| [[일곱개의 대죄/225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24화.
* 경직된 일곱 개의 대죄 단원들 사이에서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조심스럽게 대체 누가 둘을 벌했냐고 묻는다. 그건 물론 주 진영의 최고 지배자였다.
* 그들의 진실을 알게 된 단원들은 누구 하나 말을 꺼내지 못했다.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는 소리를 죽여가며 눈물을 철철 흘렸다. 멜리오다스는 담담하게 지난 3천년 동안 107명의 엘리자베스를 만나 106번 그녀의 마지막을 지켜봤다고 털어놓았다. 그리고 며칠 안으로 107번 째의 마지막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몇 번을 반복해도 이것 만큼은 적응할 수가 없다고 말한다. 두 번째 엘리자베스가 그토록 당부한 것도 이 때문이었다. 언젠가는 이 고통을 끊어야 한다. 저주를 풀기 위해서는 마신왕이나 최고신에 필적하는 힘이 필요하다. 앞으로 상대할 [[젤드리스]]가 마신왕에게 빌린 힘도 적당하겠다. [[바트라 리오네스]]가 예견했던 십계의 부활과 대죄의 집결도, 멜리오다스의 입장에서는 이 저주를 끊기 위한 포석들의 하나였다. 그게 결과적으로 단원들을 속이는 게 돼버렸다며 그가 사과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도영(1996) . . . . 9회 일치
||<#FF0133><:>'''{{{#white 데뷔}}}'''||<(> [[2016년]] [[NCT U]] '[[일곱 번째 감각|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노래하는 것을 매우 좋아해 그의 무대를 보면, 자신의 파트가 아님에도 가사를 곱씹는 장면이 종종 포착된다. 특히 [[위닷츄|WITHOUT YOU]] 무대를 보면 흥에 넘쳐하는 그의 모습을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https://youtu.be/L53QGmAUjsM|160606 엠카운트다운 스페셜 NCT U - WITHOUT YOU + 일곱 번째 감각 by플로라]] 발매된지 약 2년이 지난 2018년 5월 팬파티에서 또 이 노래를 불렀는데 언제나처럼 너무나 행복하게 부르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다. 후에 라디오에서 그 순간이 너무 즐거웠고 2018년 들어 최고로 흥이 올랐던 순간이라고 밝히기도.
[[일곱 번째 감각]]에서 중간중간 나오는 가성이나 백 코러스를 주로 도영이 담당했다. 재현과 쌍둥이 안무를 이루며[* 실제 무대에서는 라이브를 위해 수정되었다.] 같이 노래하거나, 혹은 재현의 바로 뒤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NCT 127의 소방차 활동은 참여하지 않아 같이 노래하는 모습을 볼 수 없었지만 무한적아 때부터 127 정식 멤버로 합류하게 되면서 재현-도영-태일로 이어지는 보컬 파트를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무한적아, Cherry Bomb, Chain 등이 대표적인 예.
|| 2016년 4월 9일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WITHOUT YOU|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NCT U || 디지털 싱글 ||
|| 2016년 4월 10일 ||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WITHOUT YOU|WITHOUT YOU]] || NCT U || 디지털 싱글 ||
* [[재현(NCT)|재현]]과는 데뷔 전 쇼챔피언 MC나 루키즈쇼 MC를 하였으며 함께 한 활동이 가장 많은 멤버이다.[* NCT U로서는 일곱 번째 감각, Without U, 텐데, Boss, 그리고 소방차를 제외한 NCT 127의 모든 곡을 함께 하였다.] 재현의 별명 '우재'를 지은 멤버가 도영이며 도영을 처음으로 토끼라고 부른 멤버가 재현이라고.
* 지금까지 했던 머리색 중 가장 좋아하는 색은 검은색. 좋아서 계속 하고 있는 거라고. 사실 변화를 주고 싶기도 한데 이것보다 잘 어울릴만한 머리를 찾을 수 있다는 확신이 없다고 한다. 그 말대로 2017년 9월부터 약 1년 넘게 흑발을 고수하고 있는데 최근 회색 브릿지를 살짝 넣었다. 그 후 Regular 활동을 시작하면서 전체적으로 흑발을 유지하되 부분적으로 파란색 헤어피스를 붙이고 있다. 참고로 일곱번째 감각 활동 당시에는 오렌지 머리에 금빛 브릿지를 넣었었다. 당시 도영의 헤어스타일을 쟈니는 플라밍고, 피닉스에 비유하기도 했다.
- 마기/336화 . . . . 9회 일치
* 세상이 루프로 환원되는걸 막으려면 이 일곱 개의 던전에서 일곱 명의 신드바드를 쓰러뜨려야 한다.
* [[연백룡]], [[쥬다르]], [[알라딘(마기)|알라딘]]은 주위를 주시하며 보통 던젼이 아니라고 짐작한다. [[아르바(마기)|아르바]]는 일행과는 무관하게 모래시계만 들여다 보고 있다. 그때 진 "바알"이 나타나 이 던전 바알은 신드바드가 14살 때 공략한 던전인 동시에 현재 그의 "신념"을 나타낸 것이니 신드바드를 이기고자 한다면 일곱 개의 신념을 넘어보라고 말한다.
* 바알을 비롯한 일곱 진들은 각각이 신드바드가 지닌 일곱 개의 신념을 인정해 왕의 그릇으로 선택했다. 이들 앞에 나타난 일곱 던전은 각기 신념에 따라 재구성된 것이며 역시 일곱 명의 신드바드가 지키고 있다. 알라딘은 바알의 의도를 알아차린다. 세상이 루프로 환원되는 걸 막고 싶다면 일곱 던전의 일곱 신드바드를 쓰러뜨리라는 것이다. 쥬다르는 이쪽이 네 명인데 7회전이냐 할 거냐고 디스한다.
- 일곱개의 대죄/183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2화]] |||| '''일곱개의 대죄/183화''' |||| [[일곱개의 대죄/184화]][[BR]][[일곱개의 대죄/번외편]] ||
[[일곱개의 대죄]] 제 183화. '''트레저 존'''
* 일곱개의 대죄와 리오네스 왕국의 성기사들은 십계의 공세에 대항해 최선을 다하지만 검을 들 수조차 없게 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5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4화]][[br]][[일곱개의 대죄/번외편]] |||| '''일곱개의 대죄/185화''' |||| [[일곱개의 대죄/186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5화. '''오만 VS 자애'''
* 에스카노르가 마력을 개방하자 주위에 있던 성기사들과 일곱개의 대죄 일행까지 타들어갈 지경이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0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9화]] |||| '''일곱개의 대죄/190화''' |||| [[일곱개의 대죄/191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0화. '''마연'''
* 일곱개의 대죄 폭식의 죄 멀린 부활.
* 일곱개의 대죄 폭식의 죄, 멀린 부활.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1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0화]] |||| '''일곱개의 대죄/201화''' |||| [[일곱개의 대죄/202화]] ||
[[일곱개의 대죄]] 제 201화. '''공투하는 자들'''
* [[멜리오다스]]와 [[엘리자베스 바토라|엘리자베스]]는 [[킹(일곱 개의 대죄)|킹]]과 [[디안느]]를 마신족이 학살을 자행하는 현장으로 데려간다.
* [[드롤]]과 [[그로키시니아]]의 몸에 들어간 [[디안느]]와 [[킹(일곱 개의 대죄)|킹]]. 그들은 자신들의 상태 보다도 "[[여신족]]"인 [[엘리자베스 바토라|엘리자베스]]의 등장에 더욱 놀라워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3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2화]] |||| '''일곱개의 대죄/203화''' |||| [[일곱개의 대죄/204화]] ||
[[일곱개의 대죄]] 제 203화. '''뤼드셀의 계획'''
*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킹]]은 스티그마와 현시대의 상황을 냉정하게 파악하지만 디안느는 생활에 적응해서 별 관심이 없다.
* 디안느는 [[할리퀸(일곱 개의 대죄)|킹]]에게 승리를 자랑하듯 어떻게 봤냐고 의견을 구한다. 킹은 건성으로 대답하는데 실은 방금 전에 본 뤼드셀이란 남자를 의식하고 있다. 잠깐 봤을 뿐이지만 그 마력은 십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숲 깊숙한 곳에서도 강한 마력이 느껴지는데 그 기색은 뤼드셀과 같은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 걸까? 킹은 이런 의문점에 대해 디안느에게 어떻게 생각하느냐 묻지만 디안느는 듣고 있지 않았다. 그녀는 짧은 시간만에 이곳 생활에 적응한 건지 거인족들을 따라다니며 "한 번 더 승부하자"고 조르고 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9화 . . . . 9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8화]] |||| '''일곱개의 대죄/209화''' |||| [[일곱개의 대죄/210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9화. '''가르쳐 주세요 이 마음을'''
* 그러나 [[드롤]], [[그로키시니아]]의 몸을 빌린 [[디안느]]와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 그를 막는다.
* 그를 방해한건 바로 [[드롤]]과 [[그로키시니아]]. 그들 안에 들어가 있는 [[디안느]]와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이었다. 디안느가 대지를 조종해 뤼드셀을 밀쳐내고 두 십계를 보호한다. 뤼드셀은 뻔뻔하게도 정의를 구현하려는 자신을 왜 방해한 거냐며 두 사람에게 따진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69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68화]] |||| '''일곱개의 대죄/169화''' |||| [[일곱개의 대죄/170화]] ||
[[일곱개의 대죄]] 168화. '''전설의 최약성기사'''
* 그러던 중 멀린을 만나고 일곱개의 대죄에 스카웃 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2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1화]] |||| '''일곱개의 대죄/172화''' |||| [[일곱개의 대죄/173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2화. '''한때 친구였던 너희에게'''
* 나머지 일곱개의 대죄는 완전 병풍화되었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6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5화]] |||| '''일곱개의 대죄/176화''' |||| [[일곱개의 대죄/177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6화. '''내가 너에게 해줄 수 있는 것'''
* 메라스큐라는 일곱개의 대죄한테는 별 짓을 다 당했다며, 그 분풀이를 멜리오다스에게 하겠다고 나선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9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8화]] |||| '''일곱개의 대죄/179화''' |||| [[일곱개의 대죄/180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9화. '''희망을 찾아서'''
* 고르기우스는 운이 좋다고 웃다가도 "일곱개의 대죄에 패해 수도에서 쫓겨나고 다음은 마신족의 먹이. 호화로운 전개네요"라고 몸을 떤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2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1화]] |||| '''일곱개의 대죄/192화''' |||| [[일곱개의 대죄/193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2화. '''벗을 구하는 검, 그 혼'''
* [[일곱개의 대죄/188화]]와 소제목이 중복되는데, 무슨 의미가 있는 건지는 불명.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5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4화]] |||| '''일곱개의 대죄/195화''' |||| [[일곱개의 대죄/196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5화. '''리오네스 방위전 종결'''
고우서와 비슷한 모습의 십계도 재등장. [[일곱개의 대죄/176화]]에서 십계 시절 멜리오다스를 묘사하며 등장했었다. 프라우드린은 사실 정식 십계가 아니라 "무욕의 십계"의 대리일 뿐이라고 하는데, 이 자가 진짜 무욕의 십계일 가능성이 높다. 고우서와 거의 비슷한 외향에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듯한 태도 또한 유사하다.--이제 곧 진(眞) 십계 가 나올 듯 하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8화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7화]] |||| '''일곱개의 대죄/208화''' |||| [[일곱개의 대죄/209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8화. '''엘리자베스 vs 인듀라'''
* [[디안느]]와 [[킹(일곱개의 대죄)|할리퀸]]은 상공에서 벌어지는 사건에 눈이 휘둥그래 진다. [[엘리자베스 리오네스|엘리자베스]]가 대치하고 있는 괴물들의 정체를 알 수 없다. [[멜리오다스]]가 십계가 계약을 통해 변신한 모습, "인듀라"라고 가르쳐준다. 이들은 죽을 때까지 파괴를 되풀이하는 존재. 디안느는 이대로는 브라타니아가 멸망할 거라고 걱정한다. 멜리오다스는 저들을 막기 위해선 저들의 남은 심장을 태워버리는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11화]] |||| [[일곱개의 대죄/212화]][[br]]'''일곱개의 대죄/고서 외편''' |||| [[일곱개의 대죄/213화]] ||
[[일곱 개의 대죄]] 고서 외전. '''인형은 사랑을 갈망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번외편 . . . . 8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3화]] |||| [[일곱개의 대죄/184화]][[br]]'''일곱개의 대죄/번외편''' |||| [[일곱개의 대죄/185화]] ||
[[일곱개의 대죄]] 번외편.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0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69화]] |||| '''일곱개의 대죄/170화''' |||| [[일곱개의 대죄/171화]] ||
[[일곱개의 대죄]] 170화. '''그 빛은 누구를 위해'''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3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2화]] |||| '''일곱개의 대죄/173화''' |||| [[일곱개의 대죄/174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3화. '''어둠은 내려서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4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3화]] |||| '''일곱개의 대죄/174화''' |||| [[일곱개의 대죄/175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4화. '''멜리오다스 vs 십계'''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5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4화]] |||| '''일곱개의 대죄/175화''' |||| [[일곱개의 대죄/176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5화. '''사랑하는 멜리오다스에게'''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8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7화]] |||| '''일곱개의 대죄/178화''' |||| [[일곱개의 대죄/179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78화. '''암흑의 브리타니아'''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0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9화]] |||| '''일곱개의 대죄/180화''' |||| [[일곱개의 대죄/181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0화.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1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0화]] |||| '''일곱개의 대죄/181화''' |||| [[일곱개의 대죄/182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1화. '''성기사장 자라트라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6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5화]] |||| '''일곱개의 대죄/186화''' |||| [[일곱개의 대죄/187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6화. '''리오네스 방위전'''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7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6화]] |||| '''일곱개의 대죄/187화''' |||| [[일곱개의 대죄/188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7화. '''멸망하라 사악한 자들아'''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88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87화]] |||| '''일곱개의 대죄/188화''' |||| [[일곱개의 대죄/189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88화. '''벗을 구하는 그 검, 그 혼'''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1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0화]] |||| '''일곱개의 대죄/191화''' |||| [[일곱개의 대죄/192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1화. '''만족하지 못하는 여자'''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3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2화]] |||| '''일곱개의 대죄/193화''' |||| [[일곱개의 대죄/194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3화. '''각오의 성기사장'''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4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3화]] |||| '''일곱개의 대죄/194화''' |||| [[일곱개의 대죄/195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4화. '''잔혹한 희망'''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6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5화]] |||| '''일곱개의 대죄/196화''' |||| [[일곱개의 대죄/197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6화. '''네가 있는 것만으로'''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8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7화]] |||| '''일곱개의 대죄/198화''' |||| [[일곱개의 대죄/199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8화. '''거인과 요정'''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99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8화]] |||| '''일곱개의 대죄/199화''' |||| [[일곱개의 대죄/200화]] ||
[[일곱개의 대죄]] 제 199화. '''빛이 없는 자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0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99화]] |||| '''일곱개의 대죄/200화''' |||| [[일곱개의 대죄/201화]] ||
[[일곱개의 대죄]] 제 200화. '''성전의 기억'''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5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4화]] |||| '''일곱개의 대죄/205화''' |||| [[일곱개의 대죄/206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5화. '''십계 vs 사대천사'''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206화 . . . . 7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205화]] |||| '''일곱개의 대죄/206화''' |||| [[일곱개의 대죄/207화]] ||
[[일곱 개의 대죄]] 제 206화. '''야수, 울부짖다'''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일곱개의 대죄/171화 . . . . 6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일곱개의 대죄/170화]] |||| '''일곱개의 대죄/171화''' |||| [[일곱개의 대죄/172화]] ||
[[분류:일곱개의 대죄]] [[분류: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진격의 거인/86화 . . . . 6회 일치
* 지크가 일곱 살이 될 무렵, 마레 정부는 파라디섬을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엘디아인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병사를 모집한다.
* 마레 측은 정부 관리 하의 "일곱 거인"을 계승시킨다는 계획.
* 마레는 자신들이 확보하고 있는 "일곱 거인"을 계승할 새로운 병사를 원하고 있다.
* 일곱 살이 된 지크는 마레 정부에 부모님과 엘디아 복권파를 고발한다.
그런데 지크는 "좌표"를 가진 거인도 아니면서 다른 거인을 "지배"하고 있는 걸로 보이는데, 이런 능력은 다른 일곱 거인을 계승한 거인화 능력자에겐 보이지 않는다.
작전에 투입된 인원은 마레 정부가 소유하고 있던 일곱 명의 거인 전원과 그외로 보인다.
- Crusader Kings 2/특성 . . . . 5회 일치
''일곱가지 죄악 중에 첫 번째인 음욕이 이 인물을 사로 잡았습니다. 육체적 욕망은 교단에서 존중 받지 못할 뿐 아니라 부부 관계에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순결"은 일곱가지 미덕의 첫 번째입니다. 순결한 이들은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내곤 합니다. 그리고 이들은 혼외정사를 갖지 않을 것입니다.''
''착실하고 근면합니다. "근면"은 일곱가지 미덕의 네 번째입니다.''
''"인내"는 일곱가지 미덕의 다섯 번째이며 분노와 상반합니다. 인내를 지닌 인물은 모든 면에서 조금은 더 나은 모습을 보입니다.''
''겸손은 일곱 가지 미덕 중의 하나로 오만과 대립합니다. 오만한 인물이 명성을 얻는다면 겸손한 인물들은 신앙을 원하며 오만한 사람을 달가워하지 않습니다.''
- 마기/325화 . . . . 3회 일치
* 우고의 주위를 신드바드의 일곱 진이 둘러싼다. 후르후르, 베파르, 바레포르, 바알, 포칼로르, 크로세르, 제파르. 본래 진들은 금속기의 주인이 죽으면 성궁을 거쳐 다시 던전으로 돌아가 새로운 왕을 기다린다. 그러나 일곱 진들은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이들은 솔로몬이 택한 자유로운 운명을 "무책임한 것"으로 비난하며 신드바드의 절대적인 지도자 이론에 찬동한다. 그리고 그 절대적인 지도자로는 신드바드 외에는 생각할 수도 없다고 말한다. 우고는 뒤늦게 이들의 배신을 깨닫는다. 그들이 솔로몬을 비난하고 비하할 수록 본래 왕이 되려고 하지도 않았고 남들의 권유로 그 자리에 올랐던 솔로몬이 왜 모욕 당해야 하냐며 억울해서 눈물을 흘린다.
신드바드가 부활할 수 있었던 열쇠는 일곱 명의 진. 분명 이들도 우고가 주창한 솔로몬의 이상에 동조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신드바드에서 감화된 것인지 완전히 솔로몬의 이상을 부정하게 됐으며 신드바드의 수족으로서 우고 마저 배신하게 되었다. 이들이 배신한 이상 지상에 있는 신드바드의 옛동료들은 권속기를 사용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 마기/335화 . . . . 3회 일치
* [[신드바드(마기)|신드바드]]는 성궁을 조작해 자신이 공략했던 7개의 던전을 본따 "신드바드란 인간"을 일곱개의 던전으로 나누었다.
* 하늘에서 그들의 대화에 끼어드는 목소리가 있다. 그들은 신드바드에게 복종하는 일곱 진들. 그들은 일행의 추론이 맞았다고 답하며 모습을 드러낸다. 그들이 나타난 하늘 아래에는 나선의 탑이 나타나있다. 알라딘은 그들을 알아보고 신드바드의 진들이라고 일행에게 전달한다. 일곱 진들은 일행을 향해 말한다.
- 김윤아(1974) . . . . 2회 일치
'''__2012년 이후로는 피처링이 늘어나고 있다.__''' 2013년 [[김진표]]의 7집 '서른일곱', 월간 [[윤종신]] Repair 11월 '그댄 여전히 멋있는 사람'에 참여하였다.[* 참고로 이노래는 김윤아가 '''단 한번에 불러서''' 녹음한 노래라고 한다. 들어보면 이걸 한 번에 녹음했다는게 도저히 믿기지 않는다. 2가지 버전(아코디언, 스트링)이 있는데 두 버전에서 김윤아의 노래가 묘하게 다르다. 그것이 이 노래의 매력이라면 매력이다.] '''2014년 6월에는 JTBC의 브랜드송 '[[컬러풀 JTBC]]'를 만들고 불렀다.'''[* 작사/작곡은 김윤아, 기타 연주는 이선규가 참여하였다.] [[http://www.youtube.com/watch?v=9CXeltAkPrs|컬러풀 JTBC 브랜드송]]
||<rowbgcolor=white> 7집 JP7 || 서른일곱 (Feat. 김윤아 of 자우림) || [[김진표]] || 2013.10.10 || 5 ||
- 마기/352화 . . . . 2회 일치
* 하지만 그것도 잠시. 신의 위계가 또다시 바뀌며 신드바드가 [[아르바(마기)|아르바]]를 데리고 재등장. 그를 따르던 일곱 진이 신드바드를 복권시킨 것이다.
* 이건 신의 서열이 바뀌었다는 증거. 다윗은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알지 못한다. 우고느 성궁 시스템에 버그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신드바드는 다윗을 전적으로 믿은게 아니었다. 언제나 자기 등 뒤를 노리는 걸 알고 있었고 그에 대한 대책도 세웠다. 바로 일곱 명의 진들이다. 신드바드가 루프로 환원됐을 때도 그들의 힘이 있어 신드바드가 돌아오는게 가능했다. 이번에도 그들의 힘이 있어 신드바드의 주도권이 복구된 것이다.
- 문근영 . . . . 2회 일치
[[1999년]] 대역배우로 처음 연기에 발을 디뎠고[* 첫 출연은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박재홍(야구)|박재홍]]의 첫사랑 역할이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2&aid=0000012966|관련 기사]].], 1999년작 [[어린이 드라마]]《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에서 깍쟁이 소녀로 등장한 것이 본격적인 출연이다. 그 외에도 몇 편의 단역을 맡았으나, 본격 출세작은 [[2000년]] [[가을]]에 방영된 [[가을동화]]에서 [[송혜교]]의 [[아역]]. 성인 역할로 바뀐 [[송혜교]]보다도 역에 훨씬 어울린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2> [[1999년]] ||<|2> [[KBS]] ||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 || 한미소 || ||
- 신혜진 . . . . 2회 일치
||<#FF95CD> {{{#000000 '''신체'''}}} ||<(> 160cm[* 오마이걸 활동 시절, 유일하게 키가 알려지지 않았었던 멤버인데, 당시 다른 일곱 멤버들의 키를 물어봤던 팬이 진이한테만 까먹고 안 물어봤다고 한다(...) [[아린(오마이걸)|아린]]보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ohmygirl&no=1722|약간 작지만]] 최단신인 [[효정]]보다 키가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 159cm인 [[승희(오마이걸)|승희]]보다는 크고 160cm인 [[유아(오마이걸)|유아]]와 비슷하니 약 160cm쯤 될 것이다.], [[A형]] ||
자신의 새로운 꿈을 향해 나아가는 진이 양과 일곱 명의 멤버들로 활동하게 된 [[오마이걸]]에게 앞으로도 팬 여러분들의 아낌없는 사랑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 월하노인 . . . . 2회 일치
노인이 말하길, "아직 안된다. 네가 맞을 아내는 지금 세살이로다. 열일곱이 되면 너에게 시집오게 되어있다."
또다시 십사년, 위고는 아버지의 음덕으로 상주의 군인(相州軍)이 되었다. 자사(刺史) 왕태(王泰)는 위고를 사호연(司戸掾)에 앉혀 자신을 보좌하게 하였는데, 위고는 송사일에 유능하였다. 그리하여 왕태는 자신의 딸을 위고의 아내로 삼도록 했다. 나이는 열 여섯, 일곱이고, 용모는 아름다웠다. 위고는 아주 행복하였다.
- 윤용현(1969) . . . . 2회 일치
하지만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라는 [[어린이 드라마]]에서는 '''순박한 시골 청년'''을 그야말로 맛깔나게 잘 표현하는 등, 다른 연기도 충분히 가능하다. 배우 본인은 "코믹한 배역이 원래 성격과 맞다. 사람을 웃기는게 좋다"라고.
* KBS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1999) - 만길이네 삼촌
- 정형돈 . . . . 2회 일치
* [[MBC]] 《MBC 스페셜 509회 - 일곱살 인생 (2월 11일) : 내레이션》<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 다큐 ‘일곱살 인생’ 첫 내레이션 호평 “재미+감동”|url=http://media.daum.net/entertain/broadcast/view.html?cateid=1032&newsid=20110212143606182&p=seoul|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연예뉴스팀|날짜=2011-02-12}}</ref>
- 진격의 거인/94화 . . . . 2회 일치
* 후보생 생활은 또다시 길고 긴 훈련의 시간이었다. 당시의 후보생은 모두 일곱 명. 라이너, 마르셀, 포르코, 피크, 베르톨트, 애니. 그리고 지크 예거였다. 어느날 장거리 달리기 훈련을 마친 직후, 지크가 말했다. 얼마 후면 팔라디섬 공략이 시작된다. 그리고 그때 후보생들이라면 바라마지 않는 기회가 온다.
>우리 일곱 명의 전사후보생 중에서
- 페어리 테일/543화 . . . . 2회 일치
나츠를 공격했던 아크놀로기아의 마력이 나츠에게 흡수 당한다. 마룡도 이해할 수 없는 상황. 그 해답은 웬디에게 있었다. 의식을 잃은 줄 알았던 그녀는 나츠에게 자신의 인챈트 마법을 부여했다. 그 힘이 마룡의 힘마저 나츠에게 주입했다. 그 뿐만 아니었다. 웬디는 곧 모든 멸룡마도사들의 힘을 끌어온다. 정신을 차린 멸룡마도사들은 최후의 힘을 쥐어짜 나츠에게 전한다. 곧 마룡의 힘에 더해 그 자리에 있던 일곱 멸룡마도사의 힘 전부가 나츠에게 축적된다. 이제 나츠에게서 전에 없던 새로운 힘이 탄생했다.
일곱 속성의 힘을 내뿜으며 타오르는 불꽃.
- 페어리 테일/544화 . . . . 2회 일치
* 일곱 용의 힘을 합한 [[나츠 드래그닐]]과 마룡 [[아크놀로기아]]의 격돌. 한편 현세에서는 아크놀로기아의 육신을 구속하기 위해 페어리 스피어가 작렬한다.
* 동료를 믿고 최후까지 포기하지 않았던 [[나츠 드래그닐]]. [[웬디 마벨]]의 기지로 그 자리에 있는 모든 멸룡마도사들의 힘이 나츠에게 전해졌다. 웬디 자신과 [[렉서스 드레아]], [[가질 레드폭스]], [[스팅 유클리프]], [[로그 체니]], [[코브라(페어리 테일)|코브라]]. 일곱 룡의 힘을 하나로 합친 칠염룡의 힘을 발휘하는 나츠. 마룡 [[아크놀로기아]]가 놀라워한 것도 잠시. 곧 자신의 힘을 끌어내 나츠의 힘과 충돌한다.
- 한재석(1973) . . . . 2회 일치
부친은 [[기아자동차]]에서 부회장을 역임했던 한승준이다. 1995년에 방영된 SBS 드라마인 째즈가 그의 데뷔작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의 정식 데뷔작은 1994년에 방영된 MBC 드라마 마지막 연인이다. 첫 주연 작품인 째즈로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여세를 몰아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라는 영화에도 출연했지만, 영화가 흥행과 비평에서 크게 실패하게 되고 연기력이 너무 부족하다는 평가와 함께 하락세 테크를 탔다. 순식간에 주연급에서 서브 조연급으로 확 떨어지고 만다.
1996년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 조나단 역
- MoniWikiTutorial . . . . 1회 일치
== 일곱째 고개: 리스트와 테이블 ==
- 긴나라 . . . . 1회 일치
[[자타카]]에서 나오는 인간과 긴나라 공주의 사랑 이야기. 하스티나푸라 왕국의 왕자 수다나(Sudhana)와 카일라사 산봉우리에 사는 긴나라의 공주 마노하라(Manoharā)의 이야기이다. 긴나라왕의 일곱 딸 가운데 가장 어리고 아름다운 마노하라가 언니들과 함께 숲 속 호수에 목욕을 하기 위해 지상에 내려 왔을 때, 하스티나푸라의 이웃나라에서는 희생제사를 지내려고 사냥꾼을 시켜서 히말라야의 동물들을 잡으려고 했다. 그런데 긴나라와 긴나리를 잡지 못하자, 마술을 쓸 수 있는 한 사냥꾼이 히말라야에 들어가서 목욕을 하던 마노하라를 포획한다.
- 김숭실 . . . . 1회 일치
[[1981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난 김숭실은 일곱 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할머니 밑에서 컸다. 대구봉덕초등학교 3학년 때 우연히 탁구부에 들어가 탁구를 시작했다. [[2000년]] 실업 무대에 데뷔한 이래 6년만인 [[2002년]] 12월 [[SBS 챔피언전]] 여자 단식에서 생애 처음으로 전국 규모 대회에서 우승했다.<ref>[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182724.html 김창금, <만나봅시다 여자 탁구 샛별 김숭실>, 《[[한겨레신문]]》2007.1.8]</ref>
- 김처선 . . . . 1회 일치
[[세종대왕|세종]]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겼으며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인물. [[충청남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1914년 전의현이 [[연기군]]으로 편입되어 전의면이 되었다.] 사람이다.
- 마기/346화 . . . . 1회 일치
* [[알리바바 사르쟈]]는 자신이 살아돌아온 이야기를 마친다. [[아르바(마기)|아르바]]는 일 일라에 대한 이야기도 잊고 "다윗의 확신은 반드시 실현된다"는 부분에 관심을 가진다. 알리바바의 말대로 다윗은 자신이 [[신드바드(마기)|신드바드]]의 몸을 빼앗고 성궁의 주인 자리를 차지할 거라고 "확신"했다. 그리고 알리바바는 그걸 막기 위해 되살아난 건데, 정작 그 두 가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르바는 그 점을 지적하며 다윗이 신드바드의 몸을 빼앗긴 커녕 회유당해 하수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하는 김에 [[우고(마기)|우고]]와 일곱 진들 조차도 그의 편이 되어버린 것도 다시금 강조한다. 신드바드는 새삼 그동안 성궁에서 일어난 일을 곱씹으며 생각에 잠긴다.
- 마기/348화 . . . . 1회 일치
* 신드바드를 따르는 일곱 진들도 이 대화를 경청한다. 알리바바의 작전이 "예상 밖"인 건 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과연 신드바드는 어떻게 대응할까? 진들이 다시 귀를 기울인다.
- 문무왕 . . . . 1회 일치
이때 대당대총관으로 임명된 대각간 김유신은 풍병(風病) 때문에 전투에 직접 참가하지는 못하고 수도 서라벌에 남았고,<ref name="김유신-하">《삼국사기》 권제43 열전 제3 김유신 하</ref> 일찍이 백제를 치는데 선두로 나섰던 여러 장수들이 모두 지도부의 요직을 맡아 고구려 공격에 나서게 되었다. 임명된 관직으로 추정한 진격루트는 한성주(한산주)와 비열주(비열홀주) 그리고 하서주(하슬라주) 세 곳으로, 수도 서라벌에서 조직된 군사들은 닷새 후 북쪽을 향해 출발했다.{{출처|날짜=2018-06-28}} [[6월 22일]]에 유인원이 신라의 귀간(貴干) 미힐(未肹)을 보내어 고구려의 대곡성(大谷城)과 한성(漢城) 등 2군 12성이 항복해왔음을 알렸고, 신라군 장수인 인문·천존·도유 등은 일선주 등 일곱 군과 한성주의 병마를 이끌고 당의 군영으로 나아갔다.<ref name="삼국사기-668"/> [[6월 27일]]에는 드디어 문무왕 자신이 서라벌을 출발했고, 이틀 뒤에는 여러 도의 총관들이 일제히 출발했다. 당군 총사령관 이적을 만난 신라의 김인문은 고구려의 평양 북쪽 20리 되는 지점인 영류산(嬰留山) 아래까지 진군하였다.<ref name="삼국사기-668"/>
- 박현정 (배우) . . . . 1회 일치
*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SBS, 2018년)
- 백일섭 . . . . 1회 일치
* [[1987년]] 《[[따귀 일곱대]]》 ... 회장 역
- 변요한 . . . . 1회 일치
|| 열일곱, 그리고 여름★ || 조연 || 태구 ||
- 봉준호 . . . . 1회 일치
| {{small|*}}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1996년||(각본, 연출부)
- 블랙 클로버/105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위기에는 용감히 맞서 싸우는 자들도 있으며 이러한 자들을 칭송하기 위해서라도 그들을 기리는 축제는 열려야 했다. 마법제는 그 말을 끝으로 싸우는 자들의 대표, 아홉 마법기사단 단장들을 단상 위로 불러온다. 일전에 사고가 생긴 홍련의 사자단과 자줏빛 범고래단은 새로운 얼굴들이 단장으로 올라왔다. 특히 홍련의 사자단은 여성이 단장이 되어서 화제가 된다. 그런데 단상에 오른 사람은 모두 일곱 명. 푸른 들장미단과 검은 폭우단이 빠져있다. 마법제는 그렇게 당부를 했는데 기어이 늦었다고 내심 화를 내는데 야미는 그렇다쳐도 샬롯까지 늦은걸 이상하게 여긴다.
- 블랙 클로버/113화 . . . . 1회 일치
* 그렇게 있는대로 어그로를 끌더니, 이번엔 아스타에게 한 팀인 모양이니 잘 부탁한다며 악수를 청한다. 어리숙한 아스타는 방금 전 그따위로 나오는 걸 보고도 일단은 그 악수를 받는데, 아니나 다를까 악수를 가장해 클로버 왕국에서 최악의 악취를 자랑하는 "무지개 노린재"를 쥐어준다. 함정. 이 곤충은 일곱 빛깔의 가스를 내뿜는 정말로 극악한 마법생물. 아스타가 뒤늦게 그의 본색을 깨닫지만 잭스는 "얼빵한 얼굴에 텐션만 높고 무식한걸 까발리고 다니는 시끄러운 꼬맹이"라고 더욱더 독설에 박차를 가한다. 말주변 없는 아스타가 받아친답시고 "입 주위에 뭔가 멋있는걸 두른 녀석"이라고 해보지만 칭찬도 욕도 아닌 애매한 무언가다.
- 상디 . . . . 1회 일치
다만 이 때문에 '''적이라도 여자라면 절대 손을 못댄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직접 치지 않고 제압하는 정도는 가능하지만 상대방이 예쁘든 추하든 일단 여자라면 절대 발로 차지 못하고, 하다 못해 죽도록 공격당하면서도 반격을 못 한다. 여자는 절대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이 상디의 원칙인데, 이 원칙은 상디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 깨트리려 해도 절대 깨질 수가 없다.[* 이런 상디지만 [네펠타리 비비]의 적이었던 미스 올 선데이(니코 로빈)이 처음 등장하자 '''총을 겨눈 적이 있었다!'''(13권 114화) 그 이후에 로빈 능력으로 갑판에 쓰러진 다음 "자세히 보니 예쁜 누님이잖아!"라고 한 걸 보면 단순히 비비가 당황해하고 있으니 앞뒤 안 재고 들이댄 것 같다. 애초에 상디는 위스키 피크 편 내내 자느라 무슨 상황인지도 모르는 상태였고, 결정적으로 총을 쏜건 아니니 설정파괴는 아니다. Cp9 칼리파에게도 위협정도는 했었다.] 거의 로봇의 기본 3원칙 수준으로 각인되어버린 수준. 이 때문에 나미로 분장한 [[봉쿠레]]와의 결투와 [[CP9]]의 여성 멤버인 [wiki:"칼리파(원피스)" 칼리파]와의 결투에서는 상당히 고전했다. 칼리파의 경우는 신체능력만으로는 상디가 훨씬 위라서 거꾸로 제압당하기도 했지만, 이것도 상디가 제압만 했지 마무리는 안 했기 때문에 상디가 당한 것이다.[* 만약 상디가 칼리파를 진심으로 상대했다면 1분도 안되서 '''"이겼다! 열쇠 확보 끝!"'''상태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더빙판에서는 구슬의 시련 담당인 사토리를 여자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에 여자를 패버리는 상디가 나와버렸다(...)] 이런 점을 반영했는지 GBA로 나온 원피스 일곱섬의 대보물이라는 게임에서는 상디가 여성형 적한테 접근하면 '''공격을 못하는 상태이상'''에 걸린다.[* 게임에 의외로 여성형 적이 많은 편이고, 애로사항이 피는 시점은 일행하고 따로 나눠져서 [[알비다]]를 상대해야하는데 같이오는 동료가 [[우솝]], [[wiki:"나미(원피스)" 나미]]라서 실질적으로 상디가 딜러로서 봉인된다.] 또 [[원피스 해적무쌍 시리즈]]에서는 여성 적을 때릴 수는 있는데 가하는 데미지가 1로 고정된다!(...) 키즈나 어택으로는 데미지가 들어가지만 정말 못할 짓인게 사실인 만큼, 상디를 골라서 여성 적이 나오는 스테이지를 하려고 하면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 서윤아(배우) . . . . 1회 일치
|2018||SBS||[[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클라이언트||
- 스틸오션/일본 . . . . 1회 일치
>해대3형(海大三形, Kaidai IIIa) 잠수함은 1922년 당시 워싱턴 해군 조약 하에서 진행되던 8-8 함대 계획의 일부였다. 프로젝트 번호는 S26였다. 해대2형(海大二形, Kaidai II)에 기반을 둔 이 함급은 더 깊은 잠수한계와 추가적인 그물 절단기를 가지고 있었다. 해대3형은 제18전대와 제19전대 소속으로 자바해 전역에 배치되어 일곱척의 상선을 격침시켰다. 모든 해대3형이 전쟁에서 살아남았다.
- 원피스/836화 . . . . 1회 일치
* 여덞개의 팔로 칼 일곱 자루와 방패를 들고 싸우는 크래커.
- 유동근(배우) . . . . 1회 일치
[[어린이 드라마]]와도 인연을 맺은 일이 있다. [[우리 아빠 홈런]]은 유동근이 1990년대 들어와 부드러운 이미지를 겸비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고, 1999년에는 KBS 2TV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의 주연을 맡아 활약했다.[* 이미 대상까지 탄 배우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시간대의 어린이 드라마에 출연한 것은 이 드라마의 연출자인 이교육 PD와의 인연 때문이었다. 《용의 눈물》 조연출자였다가 이 드라마가 연출 입봉작이었고, 선생님 역 캐스팅에 난항을 겪자 유동근이 의리로 출연한 것. 《용의 눈물》의 또 다른 중심축이었던 배우 [[김무생]] 또한 이 드라마에서 마을 이장역으로 출연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 유키히라 소마 . . . . 1회 일치
메구미와 소마의 요리는 일곱 가지의 야채를 사용한 '무지개 테린[* 테린은 잘게 썬 고기, 생선 등을 그릇에 담아 단단히 다져지게 한 뒤 차게 식힌 다음 얇게 썰어 내는 전채요리이다.]으로 소스는 스다치[* 유자의 한 품종으로 과실은 유자보다 작으며 푸를 때 따서 향미료로 이용한다.]로 만든 젤리와 차조기를 중심으로 한 허브로 만든 페스토 두 종류를 내었다.
- 윤선우 . . . . 1회 일치
|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 이기택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 제11대를 제외하고 내리 일곱 번 당선되었으며, 1993부터 1995년까지 제1야당의 수장이었다.
- 전성군 (1488년) . . . . 1회 일치
[[1527년]](중종 22) [[7월]] [[함열읍|함열]][[현감]](咸悅縣監)에 임명되었다가 얼마 뒤 면직되었다. 이후 좌익찬(左翊贊), [[사복시]]주부, 겸[[한성부]][[참군]](兼漢城府參軍), [[장예원|장예]][[사평]](掌隷司評), [[종부시]]주부를 거쳐 다시 사헌부감찰이 되었다가 용강 [[현령]](龍岡縣令), [[평양]][[진관]] 병마첨절제 도위, [[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541년]](중종 36) 부정(副正) 이공장(李公檣)의 천거를 받았다가 [[사헌부]]로부터 성품이 본래 침착하지 못하고 소행도 탐욕스럽고 간특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ref>중종실록 94권, 1541년(중종 36년, 명 가정 20년) 2월 17일 갑술 1번째기사, "헌부가 천거하는 자들이 사적으로 천거를 함으로 폐단이 심하다고 아뢰다"</ref> [[내자시]]정(內資寺正)을 지낸 정종보(鄭宗輔)의 딸 동래정씨와의 사이에서 8남 1녀를 두었는데, 일곱째 아들이 권신 [[이량 (조선)|이량]]이고, 고명딸은 [[청송 심씨]] [[의정부]][[영의정]][[심연원]]의 아들이자 [[좌의정]] [[심통원]]의 조카 [[심강]]에게 출가했다.
- 정명훈 (지휘자) . . . . 1회 일치
[[서울]]<ref>{{뉴스 인용|제목 = 운명처럼 다가왔던 베토벤 '운명' 들고 태어난 부산방문 설레|url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30509.22023204805 |출판사 = 국제신문 |날짜 = 2013-05-08 |확인날짜 = 2013-05-09}}</ref>에서 7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으며, [[서울덕수초등학교]]를 [[입학]]했다. 일찍부터 피아노 연주에 재능을 보여 [[피아노]]를 배운 지 3년만인 일곱 살 때인 [[1960년]] [[서울 시립 교향악단]]과 [[하이든]]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해 화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피플Q 정명훈의삶&음악] 정명훈은 누구?|url=http://news.donga.com/3//20100120/25520037/1|출판사=동아일보|날짜=2010-01-20}}</ref> [[1961년]]에 가족들과 함께 [[미국]] [[워싱턴주]] [[킹 군 (워싱턴주)|킹 군]] [[시애틀]]로 이주했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명동]]에서 한식당을 운영했던 그의 [[부모]]는 [[미국]] 워싱턴 대학가에서도 한식당을 경영했다.<ref>{{뉴스 인용|제목=마에스트로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663110|출판사=mk뉴스|날짜=2009-12-25}}</ref> 정명훈은 이 시절을 회상하며 "부모님의 식당에서 부엌 일을 도왔고 새벽 신문 배달과 잔디 깎기까지 안 해본 일이 없었다. 신문을 돌리고서 나중에 구독료를 받으러 다니는 '수금'이 특히 힘들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제목="北 악단장도 스트라디바리우스(바이올린 최고 명기) 쓴대요"|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13/2012041300179.html|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2-04-13}}</ref> 14세에 첫 개인 리사이틀을 가진 정명훈은 연주 도중 곡을 잊어버리는 실수를 했지만 당황하지 않고 반복해서 연주한 끝에 무사히 공연을 마쳤다.<ref>유동철, 《아들아 너는 세계를 무대로 살아라》, 북로그컴퍼니, 2009, p.94, {{ISBN|978-89-962617-3-5}}</ref> 그의 선생이었던 제이콥슨은 정명훈에게 "네가 완벽한 연주를 하는 것보다 실수를 하더라도 감동적인 연주를 하기 바란다."고 격려했다.</ref>
- 정칠성 . . . . 1회 일치
그녀의 어린시절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일곱 살에 기녀가 되어 각종 기예를 익혔고, [[경성부]] 한남권번(漢南券番) 소속 기녀가 되었다. 한남권번에서 '''금죽'''(錦竹)이라는 기명으로 활동했다. [[기생학교]]에서 기예를 배운 뒤 한남권번에서 기생으로 활동하였다.
- 진격의 거인/95화 . . . . 1회 일치
이 일곱 거인의 위력을 검증하는 자리에는 마가트 또한 있었다. 어느날 갑자기 저런 것들이 들이닥치게 될 "섬의 악마들"이 불쌍하다는 동료에게, 그도 동감을 표했다. 현 세대 계승자들은 어렸을 때부터 단련시킨 값을 충분히했다. 분명 전세대 보다 강해졌다. 그럼에도 그는 팔라디 작전과 그 작전을 인가한 상층부를 불신했다. 고작 네 명의 전사들에게 시조 거인 탈환을 맡긴다? 그는 "제정신으로 내린 결정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동료는 "방금 전 그 애들이 나라 하나를 짓뭉개는 걸 봤잖아"라며 전혀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하긴 이 녀석은 훗날 밀실 대화를 듣고도 지크의 꿍꿍이를 알아차리지 못한 놈이다.
- 차선우 . . . . 1회 일치
* 애니메이션 더빙을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358203|했다]]. 영화 이름은 <일곱난쟁이>로, 바로가 맡은 역은 주인공 막내난쟁이 '보보' 역으로, 어떤 일에든 호기심 가득한 보보는 치명적인 자신의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나머지 여섯 난쟁이들과 함께 용기 있게 모험을 나서는 캐릭터로 위기에 빠진 동화 속 주인공들을 구하기 위해 긴 여정에 나선다. 그 외의 캐릭터들은 모두 현역 [[성우]]들이 맡는다. 바로는 관객수 50만이 넘으면 케이크를 쏘겠다는 공약을 걸었다. ~~꼭 보자 두번 보자~~
- 천상천하유아독존 . . . . 1회 일치
『장아함경(長阿含経)』에서 석가모니는 태어나서 사방으로 일곱걸음 씩 걷고, 한 손으로 하늘을 가리키고, 다른 한 손으로 땅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최제훈 . . . . 1회 일치
* 《일곱 개의 고양이 눈》([[자음과모음]], 2011)
- 최창흡 . . . . 1회 일치
그는 [[1839년]] [[6월]]에 체포되었는데, 그때 그의 사위 [[조신철]]이 [[베이징]]에서 가져온 [[성물]]들이 발견되어, 극심한 [[심문]]과 [[고문]]을 받았다. 그는 일곱 차례의 극심한 [[주뢰형]]과 주장질을 받고 [[태형]] 150대를 맞으면서도 결코 배교하지도 교우들의 위치를 발설하지도 않았다. 그는 [[형조]]에서도 세 차례를 더 극심한 고문을 받았지만, 신심으로써 견뎌냈다. 그는 사형장으로 압송되기 직전에, 한 형졸을 불러 수감되어 있는 자신의 아내와 딸에게 울지 말며 [[하느님]]께 감사하고 [[찬미]]하며 [[순교]]로서 자신을 따라오라는 말을 전해달라고 청했다.
- 킹덤/515화 . . . . 1회 일치
* 지금껏 이렇다 저렇다 말도 없이 지시만 내렸던 왕전이지만, 이번엔 그가 그리는 전략을 편린이나마 보여준다. 여전히 어떤 목적 때문에 소도시들을 공략하는지 밝히진 않았으나 [[이목(킹덤)|이목]]의 움직임에 유의하고 있다는 점, 그가 왕도권으로 돌아와 통제력을 갖추기 전까지 어떤 "준비"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을 내비쳤다. 왕전이 보기에 이목이 함단까지 돌아오는데 하루, 그가 왕도권 군단의 통제권을 인수하는데 하루, 최종적으로 준비를 마치고 업에 도착하기까지를 하루로 잡아서 총 3일의 시간이 있는 걸로 계산했다. 왕전은 이제부터 군을 셋으로 나누기로 한다. 왕전 자신의 본대와 [[환의(킹덤)|환의]]군, [[비신대]]와 [[낙화대]], [[옥봉대]]를 합친 연합군의 세 갈래로 나눠 업 주위에 남은 일곱 성을 한 꺼번에 공략한다는 것이다. 작전 내용은 같다. 점령지의 식량을 빼앗고 백성들을 바깥으로 내몬다. 그들이 갈 곳은 "동쪽"이다.
- 킹덤/525화 . . . . 1회 일치
주나라의 천하가 펼쳐진지 500여 년. 한때 백에 이르렀던 나라들이 도태와 규합을 거듭해 지금은 고작 일곱이 남았다. "일대국". 분명 대륙의 역사는 그렇게 흘러가고 있었다. 진왕이 품은 꿈은 곧 역사가 바라는 "해답"이기도 한 것이다. 물론 이같은 지적에 조군이 반발했다. 왕분도 그들의 입장은 이해했다. 그러나 이곳은 전장. 그런 말뿐인 대립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 토리코/376화 . . . . 1회 일치
* 기네스는 아들의 원수가 되니 싸우러 온 게 당연하며 다른 팔왕들은 기네스의 울음소리를 듣고 모였다. ( 토리코가 랑왕이 다른 일곱의 왕을 부른다 함)
- 토리코/395화 . . . . 1회 일치
* 일곱 번째는 "디저트", 단맛의 백화점 무지개 열매다. 이거야 말로 코마츠와 토리코가 처음으로 포획한 "풀코스". 여기에 깜놀사과 레벨 100짜리, 식림사의 보물 샤봉 플루츠, 냄새 폭탄 두두리안 붐. 두두리안 붐의 악취 때문에 작은 소란이 일지만 토리코는 추억의 냄새고 익숙해지면 괜찮다고 웃어넘긴다. 존게는 두두리안 붐의 냄새를 전혀 느끼지 못하고 그냥 맛있게 잘 먹는다.
- 페어리 테일/483화 . . . . 1회 일치
[[페어리 테일]] 제 483화. '''일곱 개의 별'''
- 페어리 테일/540화 . . . . 1회 일치
* 자신의 예정이 크게 벗어났건만 아크놀로기아는 동요를 보이지 않는다. 일곱 명의 멸룡마도사가 있음에도 그의 오만한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 페어리 테일/541화 . . . . 1회 일치
* 시간의 틈새에 집결한 멸룡마도사들. [[아크놀로기아]]의 마력으로 갇힐 뻔 했으나 친구들의 부름을 듣고 극적으로 풀려난다. 반드시 아크놀로기아를 타도하기를 맹세하는 이들. 그러나 일곱이나 되는 멸룡마도사를 눈앞에 하고도 아크놀로기아는 여유롭다.
- 한성식 . . . . 1회 일치
* [[1996년]]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 ... 마 실장 역
- 허준호(배우) . . . . 1회 일치
* 1992년 《스물일곱송이 장미》... 승진 역
- 현아 . . . . 1회 일치
[[현아]]는 1992년 6월 6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현아]]의 아빠는 예전에 연기를 하고 싶어 했는데, [[현아]]에게 "아빠 대신 네가 해보는게 어떻겠냐"라는 말에 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일곱 살때 엑스트라로 활동했다.<ref name="네이버매거진">{{웹 인용|저자=ARENA|제목=현아의 시간 - GUILTY PLEASURE|url=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636&contents_id=65194|출판사=네이버 매거진|날짜=2014-08-01|확인날짜=2015-06-16}}</ref> 초등학교 1, 2학년때 대학로에서 춤추는 사람들을 처음 봤고, 이를 계기로 춤을 배우기 시작했다.<ref name="네이버매거진"/> [[현아]]는 춤에 대한 열정이 그 누구보다도 컸었고,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댄스 학원을 다녔다.<ref name="rta" /> 같은 시기 TV로 [[싸이]]의 〈새〉 안무인 새춤을 보면서 가수의 꿈을 키웠다.<ref>{{뉴스 인용|저자=홍은미 기자|제목=현아 싸이 언급 "초등학교 3학년 때 싸이의 '새춤'보고 꿈을 키웠다"|url=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531.990010724435354|출판사=영남일보|날짜=2013-05-31|확인날짜=2014-04-24}}</ref> [[동명여자중학교]] 시절 [[현아]]는 춤을 자신의 진로로 정했지만, 부모님이 반대하면서 갈등을 빚었다.<ref name="rta">{{뉴스 인용|저자=홍은미 기자|제목='강심장' 김현아, 머리에 X만 찼냐→춤으로 세상을 바꾸겠다 '춤사랑 공개'|url=http://www.tvdaily.co.kr/read.php3?aid=128268894982923002|출판사=티브이데일리|날짜=2010-08-25|확인날짜=2010-11-21}}</ref>
- 홍경인 . . . . 1회 일치
|| [[일곱 개의 숟가락]] || 조정인 || ||
11531의 페이지중에 12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