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진"에 대한 역링크 찾기

이진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서울특별시/인물
         * [[이진]] - 강남구
  • 이제현 (1288년)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다. 초명은 지공(之公), [[자 (이름)|자]]는 중사(仲思), [[호 (이름)|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 (고려)|이진]](李瑱)의 아들이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다.
         익재 이제현은 [[1287년]] 검교정승인 임해군 [[이진]](李瑱)과 부인 진한국대부인 박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고려]] 건국초의 [[삼한공신]](三韓功臣)이며 [[경순왕]]의 사위인 [[이금서]](李金書)와 [[형부상서]] [[이주좌]]의 후손이었지만 5대조 이선용의 대에 말단직인 군윤이 된 이래 하급관료를 전전하다가 아버지 이진이 다시 가문을 일으켰다. 아버지 이진은 과거에 급제하여 신흥관료로서 크게 출세함으로써 다시 가문을 일으켜세웠으며,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는 [[1320년]]말 다시 출국했으나 아버지 이진의 상으로 다시 귀국하여, 3년상을 마치고 [[1323년]] 출국, 다시 [[원나라]]에 되돌아갔다. [[1323년]]([[충숙왕]] 10) [[유청신]](柳淸臣)·[[오잠]](吳潛) 등이 원나라에 글을 올려 고려에 성(省)을 설립하여 원나라의 제성(諸省)과 동등하게 하려고 청하자(입성론) 고려 편입 반대론을 주장하며 입성반대상서를 올렸는데, 상소문은 실전되었지만 그 내용이 현재 전해진다. 이제현은 [[도평의사사]]에도 글을 올려 고려 400년의 토대가 이로 말미암아 무너진다고 간곡히 호소하여 이 문제를 철회케 하였다.
         ** 아버지 : [[이진 (고려)|이진]](李瑱, 1244년;고려고종31 ~ 1321년;고려 충숙왕8)
11830의 페이지중에 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