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이득을 준 배신자를 처단하기

목차

1. 소개
2. 특징
3. 사례
3.1. 역사
3.2. 문학
4. 여담
5. 참조
6. 분류

1. 소개

실제 역사에서 유사한 사례가 있어왔던, 문학작품, 역사의 클리셰.

배신을 저지른 자가 자신에게 이득을 주었음에도, 배신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처단는 것이다.

2. 특징

전형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A와 B가 대립을 고 있다.
  • B가 궁지에 몰리는 등, 불리한 상황에 놓이자, C가 끼어들어 B를 살해거나 포획한다.(여기에 '배신'이 들어가기도 한다.)
  • A는 C의 행동으로 이득을 얻었지만, C의 행동이 불의다고 여 처단한다.
  • A는 이에 대한 명분으로 C의 악행을 들거나, 배신자는 또 배신므로 처단한다고 거나, C가 B의 부인일 경우 '주인을 배신한 죄'를 묻는다.


3. 사례

3.1. 역사

  • 율리우스 카이사르 : 디오 카시우스(Cassius Dio)에 따르면, 폼페이우스가 이집트에서 부들과 동맹자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3세에게 배신당여 살해당였는데, 카이사르는 폼페이우스를 살해한 자들을 비난였다고 한다.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자신과 대립게 된 동생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오슈 후지와라 씨(히라이즈미 정권)[1]에 의탁여 있을 때, 후지와라 씨에게 요시츠네를 송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후지와라 씨에서 요시츠네를 살해고 그 목을 보내자, 오히려 자신의 가인(家人)인 요시츠네를 공격였다는 명분으로 오슈 후지와라 씨를 공격한다.어쩌라고
  • 한고조 : 계포의 숙부로 항우의 무장 정공(丁公)은 팽성에서 후퇴는 유방을 추격다가, 궁지에 몰린 유방이 소리치자 공격을 중지고 물러났다. 정공은 항우가 패망자 유방에게 목숨을 살려준 공적으로 사면을 얻으려고 나타났으나, 유방은 정공에게 항우에게 불충한 자이며, 너 같은 자 때문에 항우가 천를 잃은 것이라고 질책였다. 정공은 결국 저자거리에서 끌려다니다가 참수당고 만다. 유방은 후세에 신된 자들이 정공을 본받지 않도록 이렇게 한다고 선포했다.
  • 칭기즈칸
    • 원조비사》에 따르면, 케레이트 부족옹 칸이 패망고, 옹 칸의 아들 셍굼이 도주고 있을 때, 궁지에 몰린 셍굼의 부 코코추(Kokochu)는 셍굼이 타는 말의 발목을 부러뜨려 도망치지 못고 자신의 아내도 남겨둔 채 도망쳐 칭기즈칸 진영에 항복였다. 지만 칭기즈칸은 주군을 배신여 황야에 버리고, 아내를 버리고 혼자서 살겠다고 도망친 놈이라, 주군에 의리가 없고 아내에게 정분도 없으니 믿을 수 없는 놈이라고 비난며 코코추를 참수게 했다.
    • 원조비사》에 따르면, 칭기즈칸과 대립여 나이만 부족과 함께 싸우던 자무카는 나이만 족이 패배자 탕글루 산에 들어가서 은신였다. 상황이 곤궁해지자 자무카의 부들이 배신여 자무카를 붙잡아 왔으나, 칭기즈칸은 그들은 물론 그 자손들까지 처단도록 했다.

3.2. 문학

  • 조조
    • 삼국지연의》에서 마등과 공모조조를 제거려 한 황규(黃奎)라는 인물이 등장는데, 황규의 처남인 묘택(苗澤)이 황규의 첩 이춘향(李春香)과 간통면서 이춘향을 통여 황규가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걸 알고, 조조에게 밀고여 황규의 일족은 도륙당게 된다. 그리고 묘택은 조조에게 이춘향과 결혼게 해달라고 요청지만 조조는 여자 때문에 매형의 집안을 파멸로 몰아넣었다고 비난며 묘택을 처형한다.


4. 여담


----
  • [1] 일본 동북부를 지배고 있었다.

5. 참조


6.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