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의학"에 대한 역링크 찾기

의학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고민환
          | 기타 이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br/> [[산부인과]] [[의사|전문의]], [[대학 교수]] <br/> [[산부인과|산부인과의과학교육학]] [[저술가]] <br/> [[영남대학교|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br/> [[영남대학교 의료원]] 산부인과 과장 <br/> [[인제대학교|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특임교수 <br/> [[을지대학교]] 초빙교수 <br/>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 <br/>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초빙교수
         '''고민환'''(高敏煥, [[1952년]] [[3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이자 [[의학박사]]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다. [[을지대학교]] 초빙교수 겸 서울 을지병원 산부인과 초빙교수이기도 하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의학박사]]
         * 1998년 [[대한여성성의학연구회]] 회장(2007년 퇴임)
         {{토막글|의학|교육인}}
  • 김동욱 (의학자)
          | 기타 이력 = [[가톨릭대학교|가톨릭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내과]] [[의사]], [[교수|대학 교수]] <br/> [[내과|내과의학교육 저술가]] <br/>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br/>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동욱'''(金東煜, [[1961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내과]] [[의사|전문의]]이자 [[의학박사]]이며 현재 [[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 교수|교수]]이고 국내 백혈병 내과의학의 최고 권위자라 일컬어지는 [[의학박사]]이다.
         * [[1985년]] [[가톨릭대학교|서울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1992년]] [[가톨릭대학교|서울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1996년]] [[가톨릭대학교|서울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490703 Daum 데이터 사전 - 내과 전문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김동욱 의학박사]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EA%B9%80%EB%8F%99%EC%9A%B1&os=173428&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 데이터 - 내과 전문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김동욱 의학박사]
         {{토막글|의학|교육인}}
  • 김집 (1926년)
          | 기타 이력 = [[요코하마 국립 대학|일본 요코하마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br /> 소아과 의사 겸 [[교수|의과대학 교수]] <br /> [[경북대학교|경북대 의과대학]] 교수 <br /> [[영남대학교|청구대 보건학과]] 외래교수 <br /> [[계명대학교|계명대 보건학과]] 강사 <br /> [[대구가톨릭대학교|효성여대 가정학과]] 강사 <br /> 민주정의당 국회의원 <br /> [[대한민국 체육부|체육부 장관]] <br /> [[중앙대학교|중앙대 행정학과]] 초빙교수 <br /> [[한양대학교|한양대 행정학과]] 초빙교수 <br /> 민주정의당 상임위원 <br/> 민주정의당 전임위원 <br/> 신민주공화당 보건행정교육특보위원 <br/> 자유민주연합 특임고문 <br /> [[한국청소년연맹]] 명예총재
         '''김집'''(金潗, [[1926년]] [[12월 15일]] ~ [[2012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소아과]] [[의사|전문의]] 및 [[의학박사]]이며 [[저술가]] 겸 국회의원이자 [[교수|대학 교수]] 겸 [[사회 운동|사회운동가]]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였다.
         * [[경북대학교|경북의학전문학교]] [[의학]][[학사|사]] ([[소아과]] 전공)
         *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피츠버그 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에모리 대학교|미국 에모리 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일본]] [[요코하마 국립 대학|요코하마 국립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1982년 [[대한의학협회]] 대의원 의장(1982년 퇴임)
         * 1983년 대한스포츠의학협회 회장(1988년 퇴임)
         * 1985년 대한의학협회 상임고문(1986년 퇴임)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11221001285435 두산대백과사전 - 소아과 전문의·의학박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김집 前 한국청소년연맹 명예총재]
         [[분류:1926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대한민국 육군 중위]][[분류:함창 김씨]][[분류:상주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피츠버그 대학교 동문]][[분류:에모리 대학교 동문]][[분류:요코하마 국립 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대한민국의 체육부 장관]][[분류: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 김한중
         |기타 이력 = 예방의학과 [[의사|전문의]] <br /> [[대학 교수|의과대학 교수]] <br /> [[연세대학교|연세대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졸업|졸]] <br/> [[연세대학교|연세대 대학원]] [[보건학]] [[석사]] <br/>[[서울대학교|서울대 보건대학원]] [[보건학]] [[박사]] <b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장 <br /> 연세대학교 총장
         * [[일본]] [[게이오기주쿠 대학교]] 명예 의학박사 ([[2011년]])
         * 1982년 5월 ~ 2012년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 2006년 12월 ~ 2008년 : 대한예방의학회 이사
         * 2002년 : 의사평론가상(의약사평론가협회, 의학신보사)
         * 《예방의학의 발전방향 : 보건의료관리분야》(2006년)
  • 박상민 (1970년)
         * 그의 아버지 박성태는 [[외과|일반외과]] [[의사|전문의]]·[[의학]][[석사]] 및 [[대한민국 육군|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출신이며 현재 방광암 완치후 [[강원도 (남)|강원도]] [[춘천시|춘천]] 지방 재활병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 신의진
         |학력 = [[혜화여자고등학교]]<br/>[[연세대학교]] [[의학]] 학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신과학 석사<br/>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신과학 박사
         |직업 = [[정치인]], 정신의학자, 의사
         '''신의진'''(申宜眞<ref>[http://focus.chosun.com/people/people01.jsp?id=9556 조선닷컴 포커스]</ref>, [[1964년]] [[4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여성 [[정치가]]이자 [[정신의학|정신의학자]]이다.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정신과 의사]][[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분류:정신의학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혜화여자고등학교 (부산)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분류:홍준표]][[분류: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국회의원]][[분류:평산 신씨]]
  • 오은영 (의사)
          | 학력 = [[연세대학교|연세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장르 = [[의학|정신과의학교육 저술]]
         '''오은영'''(1966년 3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대학 교수 겸 저술가이다.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의학박사]]
         {{토막글|의학|교육인}}
  • 윤기선
         ** 매형: [[정봉섭]]([[의학]][[박사]])
         ** 사위: 노춘규(미국 거주, 의사, 의학, 철학박사, 대학교수), 의학박사 노병호의 아들
  • 윤영선 (1896년)
         ** 이복 매제: [[정광현]](鄭光鉉, 법의학자, 호는 설송(雪松), [[1902년]] - [[1980년]] [[12월 7일]])
         ** 이복 매제: [[정봉섭]](鄭奉燮, [[1912년]] - ?, [[의학]][[박사]], [[산부인과]] 의사)
  • 이열희 (1924년)
          | 기타 이력 = [[경북대학교|경북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 치과 의사 · 외과 의사 <br /> 구강성형외과 의사 <br /> 의학 교육자 및 대학 교수 <br /> [[치의학|치의학교육 저술가]] <br /> [[성형외과|구강성형외과학교육 저술]][[저술가|가]] 겸 [[수필|수필가]]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br />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이사장 <br /> 대한치과의학협회 경상북도 지회장 <br />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명예회장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학장 <br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
         '''이열희'''(李烈熙, [[1924년]] [[12월 18일]] - [[2012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의학 교육자, [[치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 대학 교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며, 치과, 악안면외과(악안면성형외과) 전문의였다.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의 치의학과 과장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이었다. [[1962년]] [[11월]]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6.25 전쟁 당시에는 군의관으로 참전했고, [[1950년]]대부터 [[치과]]대학 부설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1979년]] [[경북대학교]]에 치의과대학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후 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단설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977년]] [[5월]]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 대한치과의학협회 경상북도 지회장,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교수, [[경북대학교]] 치과대 학장, 경북치과의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시인 [[이상화 (시인)|이상화]], 독립운동가 [[이상정]], 역사학자 겸 스포츠인 [[이상백 (사학자)|이상백]]의 5촌 조카였다. 일제 강점기 당시 도지사를 지낸 [[박중양]]은 그의 처조부가 된다.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고 호는 백산(白山)이다. [[천주교]] 영세명은 '''토마'''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1946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를 졸업하고 모교인 [[서울대]] [[치과]]대학 조교가 되었으며, [[1947년]] 대구의학전문학교 치과학교실 조교가 되었다. 그해 [[3월]] 다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했다. 이후 [[국군수도병원|육군병원]]의 외과, 치과 의사로 근무하였다. 육군병원에 근무할 당시 구강외과를 설립하고 60년대초 구강외과내에 악안면 성형외과를 신설하였다.<ref name="imails">[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15733&yy=1999 지방 국립대 7곳 치대 설립 '산파역'] 대구매일신문 1999년 06월 08일자</ref> [[구강외과]]를 전공한 그는 구강성형 분야의 완전한 의술확립을 위해 다시 경북대의대에 입학, 다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을 다녔다. 경북대 의대 재학 중에는 외과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하였다.<ref name="imails"/> 그 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제25육군병원에서 [[하버드 대학]] 출신인 [[치과]]전문의 [[마틴 D. 해치]](Martin D. Hatch) 박사의 지도 하에 악안면 [[성형외과]]를 수학하였다. 이후 그는 육군 제1병원에 근무하였으며, 제1병원 재직 중 악안면성형 및 구강외과를 창설했다. 당시엔 전쟁 당시 발생한 부상이나 상처 등으로 턱, 안면 등에 변형이 생긴 환자들이 있었다. 그의 성실성을 높이 평가한 [[마틴 D. 해치]]는 [[한국]]을 떠나기 전 그에게 수술할 때 사용했던 소수술기구와 성형외과학서적 5권을 그에게 특별히 선물해주기도 했다. 이후 그는 [[1953년]]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 치의학과를 졸업하였다.
         [[1956년]]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 치의학과 전임강사가 되고, 그해 동 대학 조교수가 되었다. [[1956년]] [[4월]] [[경북대학교|경북대]] 의과대학에 치의학과가 신설되자 동년 [[8월]]에 이열희는 조교수에서 경북대 치의학과 학과장으로 부임하였다.<ref>[http://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9&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학과교실] 덴포라인 2006.04.05</ref> 그러나 예산 부족을 이유로 치의학과는 [[1957년]] [[3월]] 폐지됐다.
         [[1961년]] [[6월 6일]] 전임강사에서 조교수로 승진하여 [[경북대학교]]로 정식 발령<ref>"정부인사", 경향신문 1961년 06월 06일자 1면 정치면</ref>, 경북대 치의학과 조교수에 임명되었다. [[1962년]] [[11월]] 오재인(吳在仁), 정순경(鄭淳慶), [[국군통합병원]] 의무과장 최형곤 [[대령]] 등과 함께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의 창립에 참여하였고, [[1972년]]부터 [[1976년]] [[11월]]까지는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제3대 회장을 역임했다. 동시에 그는 무의촌대책위원회 치과분과 회장을 맡으며, 병원, 의료시설이 없는 무의촌의 치과 진료 봉사에도 참여하였다.
         [[1963년]] 치과의학회 경상북도지회장에 선출되었다. [[1963년]] [[8월 1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 논문 "인태아(人胎兒) [[소화기]]계의 [[점액]]선에 대한 발생학적 급조직 화확적연구"를 제출하고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65년]] [[3월 3일]] [[경북대]] 의대 부교수로 승진하였다. [[1967년]] [[10월]] [[대한구강악안면외과협회]] 제9차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에서 부회장에 선출되어 [[1969년]] [[10월 17일]]까지 재임했다. [[치과]]전문의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식한 그는 경북대 의과대학에 치의학과 재설치를 꾸준히 청원하게 됐다.
         치과의사가 부족하여 무허가 불법 치과의료 시술이 나타나고 부작용이 증가하자 그는 각 의과대학 내 치과 설치 증설과 치과대학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는 외국의 인구 대비 치과의사 수를 확인하고 정부에 치과의사 양성이 필요함을 꾸준히 설득했다. [[1973년]] 전국 7개 지방 국립대에 치의학과, 치의예과 설립 허가를 얻어냈다.
         [[1972년]]부터 4년간 [[대한구강안면성형외과학회]] 회장에 선출되었다. [[1974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치의학부 교수가 되고 이후 대구시 치과의사회 회원이기도 했다. [[1974년]] [[3월]] 경북대 의대 치의학과장이 되었다. 1977년 5월 대한악안면성형외과학회 명예회장에 추대되었고, [[대한치과의사협회]] 회원, [[대한치과의학회]] 경상북도지회장 등을 역임했다.
         [[1979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치과가 단과 대학으로 승격, 치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신설되자, 그는 경북대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1981년]] [[3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제2대 학장이 되었으나 그 해 9월을 기하여 물러났다. 이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평교수로 재직하며 경북치과의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후 개인의로 개업하여 이열희 의원 원장을 맡기도 했다. [[1980년]] [[9월]] [[대한군진의학협회]] 명예회원에 위촉되고, [[1981년]] 정년 퇴임과 동시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명예교수에 선임되었다. 1983년 3월 FICO학위를 취득하였다.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치의과대학]] [[치의학]][[학사|사]] 수석 졸업([[1946년]])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졸업([[1958년]])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졸업([[1963년]])
         * [[경북대학교|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졸업]]([[1968년]])
         * [http://dent.knu.ac.kr/intro/history.jsp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1272&yy=2013 美 선교사 치의학교 설립 추진] 매일신문 2013년 06월 24일자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치과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분류:경북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위]][[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기갑학교 동문]][[분류:육군기계화학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육군공병학교 동문]][[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
  • 이창명
         그 중에서도 [[압권]]은 바로 [[2000년]]에 [[KBS2]] '행복채널[* 1998.10.12 ~ 2003.10.31. 여유만만의 전신 프로그램이며, 2018년부터는 현재의 타이틀인 '그녀들의 여유만만'으로 변경하여 방영하고 있다.]'에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0038821|장애인이 태어나는 이유는 깨끗하지 못한 성관계 때문]]이라는 황당무계한 주장을 내뱉은 것.[* 이것은 '''명백한 장애인 비하 발언'''이다. 이 경우는 진짜 [[장애인]]들에게 있어서는 평생 씻을 수가 없는 상처를 남길 수 있는 정도며, 심각한 경우에는 [[명예훼손죄]]로 고소당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의학]]적 근거도 하나도 없을 뿐더러 장애아들을 가진 부모들을 엿먹이는 소리다.] 그의 이러한 불찰 때문에 한때 이와 관련하여 큰 난리가 난 적이 있다. 이런 것들만 봐도 이창명이 출발 드림팀 외에 다른 방송의 [[MC]]를 맡거나 다른 방송에 게스트로 출연한 횟수가 많지 않은 것도 다 [[이유]]가 있었다.
  • 장가용
          | 기타 이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외과]] [[의사]], [[의학자]], [[교수|대학 교수]] <br/> [[종교|종교인]], 인도주의자, [[수필|수필가]] <br/>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br/>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br/> [[자유민주연합|자민련]] 보건행정교육특임위원(2002년)
         '''장가용'''(張家鏞, [[1935년]] [[9월 20일]] ~ [[2008년]] [[1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의학자]], [[교수|대학 교수]], [[종교|종교인]], [[인도주의|인도주의자]]이자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며 [[본관]]은 [[안동 장씨|안동]](安東)이다.
         [[외과|외과 의사]] [[장기려]](張起呂) [[의학박사]]의 둘째아들로 [[일제 강점기]] [[경성부]]에서 출생하였으며 [[평안북도]] [[룡천군|용천]]에서 성장하였다. [[한국 전쟁]] 때 아버지 [[장기려]]를 따라 남하하였고 그 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을 졸업했다. [[대한민국 육군|육군]] [[군의관|군의무관]] [[소령]]으로 예편하였고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학장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를 지냈다.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외과]] 전공)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의학박사]]
         {{토막글|의학|교육인}}
  • 정태섭 (1954년)
          | 직업 = [[영상의학과]] [[의사]]<br/>[[문화]][[평론|평론가]] <br/>[[저술가]] <br/>[[엑스레이]] [[미술|미술가]]<br/>[[교수|대학 교수]] <br/> 사회기관단체인 <br/>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 분야 = [[영상의학]] <br/> [[과학]][[평론]] <br/> 저술 <br/> [[엑스레이]] [[미술|아트]]
          | 수상 = 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상 장려상 <br/> 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상 우수상
          | 학력 = [[인제대학교|인제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웹사이트 = [http://www.tschung.pe.kr/ 정태섭 의학박사 홈페이지]
         '''정태섭'''(鄭台燮, [[1954년]] [[6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영상의학|영상의학과]] [[의사|전문의]] 겸 [[문화]][[평론|평론가]]이자 [[텔레비전 진행자]] 및 [[저술가]] 겸 [[엑스선|엑스레이]] [[미술|미술가]] 및 사회기관단체인이다.
         '''정태섭''' 교수는 뇌신경영상의학 전문의로 뇌, 척추 및 두경부영상분야에 다수의 국제적 논문업적을 발표하였으며 최근 관심영역을 의학뿐만 아니라 과학, 예술과 인문학에 까지 확장하고 있다. [[2003년]] [[문화]][[평론|평론가]]로 첫 입문하였고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과학]][[방송|프로그램 진행자]]로 [[문화방송|MBC TV]]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어린이 과학 프로그램]] 《아하 그렇구나!》의 진행MC를 하였으며 이후 [[2007년]] [[엑스레이]] [[미술|미술가]]로 첫 입문한 그는 [[엑스레이]] [[미술|아트(X-Ray Art)]]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며 작품은 초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7종과 초등4학년2학기 과학교과서에 수록되어있다. 현재 [[영상의학과]] [[전문의]]이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이다.
         그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1973-1979년)를 학사 학위하였으며 연세의료원 영상의학과에서 전공의 과정후 전문의를 취득하였다(1980-1983년). 1987년 군예편후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전임강사발령 및 현재 교수로 재직중이다. 도중에 미국 펜실베니아의과대학(1992-1993년)에 연구교수로 있었다. 그후 그는 과학의 일반화, 과학과 예술의 융합및 과학과 인문학의 교류에 대한 시도를 하고 있다.
         *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장 (2010년-현재)
         *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회장 (2009-2011년)
         * 대한핵의학전문의 취득 (1997년)
         * 대한영상의학전문의 취득 (1983년)
         * '''국내학회 가입 사항 (현재)''': 대한영상의학회 (1983년-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1996년- ),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1987년- )
         ==의학적 주요 관심분야 ==
         의학적 전문분야가 뇌 척추 및 두경부 영상의학이며 해당분야의 MRI를 이용한 임상과 실험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EBS TV 명의 204회 (2011.05.06)를 통해 소개되었다.
         그는 세종대왕의 업적중 과학적인 업적에 많은 관심을 가지며 특히 장영실, 이천, 이순지,노중례, 정초등 당시의 과학적 업적을 현대과학으로 재조명하고자 노력중이다. 특히 훈민정음의 발성시 발성기관을 현대 영상의학으로 해석하고자 시도중이다. 또한 장영실, 이순지의 천문학적 발전을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계승하게하고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원에서 소아환자와 강남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천체관측행사를 13년간 시행하였으나 (1996년-2008년) 최근 주변 도시화의 진행과 고층아파트의 증설으로 중지되었다.
         그는 과학, 의학과 예술의 새로운 융합 예술으로 X-ray art를 시작하여 2007년 3월 광화문 갤러리정에서 첫 전시회를 가진후 2015년11월 현재 개인전16회 단체전및 아트페어 130회등 전시회를 가졌다. 개인전중 2012 프랑스 파리를 시작으로 모스크바 박물관등 해외에서 개인전을 5회하였다. 2014년도 홍콩 소버린예술재단에서 아시아작가 30인중에 선정되었다. 그의 작품은 과학과 예술의 융합예로 초중고등미술교과서 7종과 초등4학년2학기 과학교과서1종에 수록이 되어 국민교육에 도움이 되고 있다. 2016년 KBS2 TV "태양의 후예"드라마에서 배경그림으로 이용되었다.
         * [[1979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1982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1997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진수일
          | 서훈 내역 = 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상 <br/> 대한의학신문사 의학저작상 <br/> 대한방사선의학회 학술연구상 <br/> [[대한민국의 훈장|대한민국 국민훈장 석류장]] <br/> [[한국원자력연구원|한국에너지연구소 소장]] 표창장 <br/> [[대한민국]] [[대한민국 과학기술처|과학기술처]] [[대한민국의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장관]]상
          | 기타 이력 = [[서울대학교|서울대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출신 <br/> [[영상의학|영상의학과]] [[의사]] 겸 [[교수|대학 교수]] <br/> [[영상의학|방사선영상의과학교육]] [[저술가]] <br/> [[음악 평론|고전음악평론가]] 겸 [[과학]][[평론|평론가]] <br/>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 교수|외래교수]] <br/> [[중앙대학교|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br/> [[대한영상의학회]] 상무이사 <br/> [[서울의료원|서울특별시 시립 강남의료원]] 원장
         '''진수일'''(陳秀一, [[1943년]] [[6월 5일]] ~ [[2009년]] [[9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의사]] 및 [[의학박사]]이자 평론가 겸 대학 교수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다.
         : 장남이자 첫째인 진훈(陳薰, 성형외과 전문의 및 의학박사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은 배우자 [[신윤정]](申允廷)과 1996년 11월 2일 결혼하였다. 슬하에 1녀 진세은(陳世恩)이 있다.
         * 1968년 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영상의학|방사선과]] 전공)
         * 1973년 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1977년 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토막글|의학|작가}}
         [[분류:1943년 태어남]][[분류:200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위]][[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중앙대학교 교수]][[분류:경주 진씨]][[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
  • 차광렬
          | 기타 이력 = [[연세대학교|연세대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출신 <br /> [[의사]] 겸 [[기업인]] <br /> 차병원그룹 [[차바이오컴플렉스]] 총괄 회장
         *1980 ~ 198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2000 차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설립, 차의과학대학교 학원장
         *1998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산부인과학교실 교환교수
         *1997.02 ~ 1997.12 제1대 차의과학대학교 (구: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총장,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의학과 산부인과학교실 교수
         *1992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외래교수
         *1984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부원장, 강남 차병원 산부인과 의사, 강남 차병원 부원장
         {{토막글|의학|군인}}
  • 최신해
          | 근무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육군 수도사단]] <br/> 육군군의학
          | 경력 = [[야마구치 대학교|일본 야마구치 醫大院]] [[의학박사]] 출신 <br/> [[정신과|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br/> [[정신과|정신과의학교육 저술가]] <br/> [[수필|수필가]] 겸 [[교수|대학 교수]] <br/> [[서울청량리뇌병원|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 <br/> [[서울대학교|서울대 의과대학]] 대우교수 <br/> [[통일민주당]] 보건행정특임위원 <br/> [[신민주공화당]] 문화예술행정특임고문
         '''최신해'''(崔臣海, [[1919년]] [[4월 24일]] ~ [[1991년]] [[3월 24일]])는 [[대한민국]]의 [[정신건강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겸 [[수필|수필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이고 [[호 (이름)|호]]는 삼락당(三樂堂, 三落黨), 향당(鄕黨)이다. [[부산광역시|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부산부]]에서 국어학자 [[최현배|외솔 최현배]](외솔 崔鉉培)의 셋째아들로 출생하였으며 한때 [[경주시|경상북도 경주]]와 [[해주시|황해도 해주]]에서 각각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고 이후 [[울산광역시|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울산면]]에서 성장한 그는 [[연세대학교|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나온 이후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정신과]] 교실에서 연구하다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 부속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연구를 계속 하였다.
         이후 그는 [[1951년]]에 대한민국 육군군의학교 교관으로 이임되어 복무하다가 [[1954년]]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으며 [[1956년]]에는 [[서울청량리뇌병원|국립 서울청량리뇌병원]] 원장이 되었고, [[1961년]]에 [[일본]] [[야마구치 대학교]] 의과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고 [[대한민국]]에 귀국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과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 [[연세대학교|경성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의학]][[학사|사]] ([[정신과]] 전공)
         * [[경성제국대학|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일본]] [[니혼 대학|니혼 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일본]] [[야마구치 대학|야마구치 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1951년]] [[대한민국 육군|육군]] [[소령]] 진급([[1951년]] [[3월 27일]])하였고 대한민국 육군군의학교 교관으로 이임하여 복무([[1951년]] [[11월 7일]]).
         *** 둘째사위: 송인성(宋仁誠, [[1946년]] [[8월 22일]] ~ , 내과 전문의·의학박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 장남: 최문식(崔文植, [[1950년]] [[3월 26일]]~ ,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학석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 차남: 최홍식(崔洪植, [[1953년]] [[10월 28일]] ~ , 이비인후과 전문의·의학박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차자부: 임인경(林仁京, [[1953년]] [[3월 5일]] ~ , 임상병리과 전문의 및 의학박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http://people.joins.com/Search/?pgi=1&ps=&q=%EC%B5%9C%EC%8B%A0%ED%95%B4 조인스 인물정보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학박사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 최신해 前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우교수]
  • 피수영
         | 기타 이력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졸업]] <br /> [[소아과]] [[의사]] 겸 [[대학 교수|의과대학 교수]] <br /> [[소아과|소아내과의학교육 저술가]] <br /> [[미네소타 대학교|미국 미네소타 주립 대학교]] [[대학 교수|객원교수]] <br /> [[서울아산병원|서울아산병원 예하 소아신생아병원]] 원장 <br /> [[울산대학교|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학 교수|명예교수]]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사]]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서울대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피수영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출신으로 [[미네소타 대학교]] 외과대학 소아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과장,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1996년 대한민국의 신생아학회를 탄생시킨 실질적인 주역으로, 신생아 진료 분야를 세계적 수준으로 향상시켰으며, 대한신생아학회 및 대한주산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피천득]](皮千得)의 1965년 수필 〈피가지변(皮哥之辯)〉에서 "… 피(皮)씨의 직업은 대개가 의원이요, 그 중에는 시의(侍醫, 임금·왕족의 진료를 맡은 의사)도 있었다는 것이다. … 의학을 공부하는 우리 아이는 옥관자는 못달더라도 우간다에 가서 돈을 많이 벌어 가지고 올 것이다." 라고 하였는데, 수필에 나오는 아이가 바로 당시 23세로 [[서울대학교]] 의대에서 의학 공부를 하던 [[피천득]]의 차남 피수영이다.
         {{토막글|의학|교육인}}
         [[분류:1943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순천향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 육군 소령]][[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울산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동문]][[분류:홍천 피씨]][[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11830의 페이지중에 1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