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윤도현"을(를) 전체 찾아보기

윤도현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하현우 . . . . 5회 일치
          * 보컬의 가장 큰 특징은 '''압도적인 하드웨어'''. 동년배의 보컬리스트 중 비교 대상을 찾기 힘들 정도로 강력하다.[* 록 보컬리스트들 중에서도 이만한 폭발력과 하드웨어를 전면적으로 내세웠던 인물들은 외인부대와 아시아나 보컬 당시의 [[임재범]], [[김경호]], [[김종서(가수)|김종서]], [[윤도현]], [[김바다]], [[부활(밴드)|부활]] 보컬 당시의 [[박완규]] 정도로 손꼽힌다.][* 현재로써는 동년배 보컬 중 [[이수(가수)|이수]]나 [[김범수]] 정도. 다만 이수는 주 장르가 팝 발라드인 이상 3옥타브 후반대의 초고음보다는 2옥타브 후반~3옥타브 초반의 중고음을 구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김범수의 경우 아직까지 보여준 음역대가 하현우보다 낮다. 즉, 현재 최고의 하드웨어는 하현우가 갖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물론 김범수는 락 가수가 아닌데다, 가창의 정석과 같은 가수라 직접적인 비교는 무의미하다.] 타고난 성량을 바탕으로 [[흉성(발성)|흉성]], [[두성]], [[샤우팅]]을 이용해 [[파사지오]]를 넘나드는 광활한 음역대가 가장 큰 강점이자 특징이다. 현 대한민국 가요계의 보컬들 가운데 최정상급의 발성을 사용한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 라이브에서 무대를 온통 휘젓고 뛰어다니고 거기에 격한 기타 연주까지 하면서도 노래가 전혀 흔들리지 않는다는 점도 하현우의 발성이 아주 탄탄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창법이 꼭 나쁜 것 만은 아니다. 오히려 이 정석적인 창법만의 장점도 존재한다. 우선 한 우물만 파듯 자신의 개성을 극대화 한 가수들에 비해서 다양한 장르의 노래를 소화 할 수 있다. 이 점은 하현우와 비슷한 발성적 특성을 가진 가수들(ex:김범수, 김연우, 윤도현, 최근의 박효신 등)도 공통적으로 가지는 장점이다. 거기에 더해 성악처럼 개성이 극히 줄어든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많은 차이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차이을 주면서 개성을 살리기도 한다.
         [[윤도현]]과 함께 [[tvN]] 신규 음악 예능 프로그램인 '이타카로 가는길'[* 프로그램 제목은 하현우가 좋아하는 시로 언급한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의 이타카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에 출연한다. 오직 SNS에 업로드한 노래 영상 조회수로 얻은 경비로 터키에서 [[그리스]] [[이타카]] 섬까지 가는 20일간의 여정을 그릴 예정.
         2018년 7월 15일 첫 방송 된다고 하며 복면가왕, 런닝맨과 동시간대 편성이라고 한다. 윤도현의 말에 따르면 자신들은 웃긴 게 하나도 없는데 tvN 예능국장이 5분마다 한 번 씩 터진다며 주말 프라임 타임 편성을 제안했다고.
          * 개구리를 닮았다. 그래서인지 거침 없는 태도에 비해 외모는 의외로 순하고 귀여운 편이다. 그런데 [[윤도현]]과 사진을 찍을 때 안경을 벗은 모습이 은근히 배우 [[류혜영]]을 닮았다.[* 하현우의 초등학생 때 사진과 고등학교 졸업 사진을 보면 안경을 쓰지 않았다. 안경을 벗고 찍었는지 원시인지는 불명. 본인 말에 의하면 집에서 안경을 벗을 때도 누가 있나 확인한 다음 벗는다고 한다.] 안경 벗은 모습이 은근히 [[박해진]]을 닮은 것 같기도 하다.[* 개구리상이라 웃겨보이게 생겨서 그렇지 자세히 보면 절대 못생긴 얼굴이 아니다. 오히려 이목구비가 또렷해 잘생겨 보인다. 한 가지 단점이 있다면 눈이 다른 사람에 비해 조금 더 튀어나온 것처럼 보인다는 점. 갑상선 투병 설에 대해 '원래 그렇게 생긴 것'이라고 해명까지 했다.]
  • 심현섭(코미디언) . . . . 4회 일치
         그러다가 그 화려한 전성기 시절, [[2002년]] [[16대 대선]] 때 [[이회창]] 후보 선거운동에 참여했으나 이회창 후보와 함깨 고배를 마셨고 유력한 후보로 점쳐졌던 코미디 대상에서도 [[신동엽(코미디언)|신동엽]]에게 대상을 넘겨줘야 했다.[* 그 자신의 주장으로는 12월 17일 이미 수상이 통보되었으나 정작 발표 때는 결과가 뒤집혔다고 한다. 이 당시 윤도현의 러브레터에 출연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했었는데, 실제로는 매니저와 담당자간의 오해로 밝혀져 심현섭이 사과했다.][* 그 전에도 모 프로그램에서 말실수를 심하게 하여 공영방송에 출연정지를 당한 적이 있었다.]
         심현섭 [[본인]]도 친정으로 돌아오려고 시도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2004년 [[KBS 2TV]] 코미디 프로그램 [[폭소클럽]]에서 '윤도현의 러브레터'를 패러디한 '윤또현의 무비레터'를 통해 2년 만에 친정인 KBS로 복귀할 예정이었지만, '이 코너가 [[가수]] [[윤도현]]을 [[비하]]하는 [[패러디]]'라는 [[네티즌]]들의 거센 항의에 밀리면서 종영되었다. 그는 공연 현장 반응이 좋았는데 종영해서 안타까워했다.
         보수 네티즌들은 심현섭의 몰락이 [[참여정부]] 시절의 정치압력이라고 주장하며, 이명박 정부 시대의 [[김미화]]·[[김제동]]·[[윤도현]]·[[김C]] 등의 방송 하차가 정치 압력의 결과라는 주장을 역공하는 근거로 삼았다. 정권이 확실히 바뀌어버린 후에도 여전히 방송에 얼굴을 잘 비치지 않으며 가끔 나와도 추억속 개그맨 이상의 모습은 보이지 못하는걸 보면 그냥 본인이 개그쪽을 더이상 중시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더 정확할 것이다.
  • 이현 (1983년) . . . . 3회 일치
         * [[2012년]] [[Mnet]] [[윤도현의 MUST]]
         * [[2012년]] [[Mnet]] [[윤도현의 MUST]]
         * [[2012년]] [[Mnet]] [[윤도현의 MUST]]
  • 황치열 . . . . 3회 일치
         * 같은 해 6월 1st Digital Single 수록곡을 포함한 총 12곡을 담은 정규 앨범 《[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352312 오감(五感)]》을 발표하고 [[윤도현의 러브 레터]]에 출연, 신인 가수로 주목을 받았으나 소속사 사정이 어려워지며 활동을 중단하게 됨.
         * 2015년 4월 25일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에서 첫 무대로 [[서유석]]의 '구름 나그네'를 불러 416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얻으며 본격적으로 가수로서의 '황치열'을 알리기 시작함. 2007년 가수 '치열'로 [[윤도현]]의 [[윤도현의 러브 레터|러브레터]]를 통해 첫 무대에 선 이후 9년 만에 같은 장소인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무대에 선 것으로, '가수 황치열'의 지상파 첫 선을 보이는 그의 스토리와 더불어 진한 무명의 설움을 담아 부른 노래가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전하여 더욱 주목받게 됨.
  • 김광석 . . . . 2회 일치
         # 광야에서/윤도현
         # 이등병의 편지 /윤도현
  • 박명수(MC) . . . . 1회 일치
          * MBC FM4U 《두시의 데이트 이문세입니다/두시의 데이트 윤도현입니다/두시의 데이트 윤종신입니다》 - 〈퀴즈 땡칠이〉(1998~2000), 〈애인수배〉(2000~2008)코너 고정 게스트
  • 박화요비 . . . . 1회 일치
         데뷔 초부터 지금까지 주로 음악 프로그램 위주로 활동하였다. 공중파, 케이블, 지역 방송사를 가리지 않고 꾸준히 출연하였다. 당시에는 활동 시기에 긴 공백기가 거의 없어서 TV 음악 프로그램에서 그녀를 자주 볼 수 있었다. 나중 이야기지만, '윤도현의 러브레터'에는 많이 출연한 가수 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 성시경 . . . . 1회 일치
         |< 커플><br>(Feat. 이문세, 윤도현, 성시경,<BR>메이비, 크라운J)
  • 신성우(가수) . . . . 1회 일치
         데뷔 시절에는 같은 시기에 데뷔했던 [[이덕진]]과 함께 '''원조 테리우스''' 논쟁을 벌일 정도로 꽃미남 가수였다. 당시의 인기는 대단한 편이여서 지금의 [[윤도현 밴드]] 이상 가는 인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데뷔 때부터 그가 하는 음악보다는 그의 외모가 먼저 주목받았는데, 동시기에 비슷한 컨셉으로 소비(?)되었던 이덕진과 비교해 본다면, 이덕진은 들국화 최성원의 기획하에 그냥 곡 하나로만 주목받았던[* 사실 음악 빼고 외모 덕을 본 건 이 사람이 더 하다면 더 했다.] 것에 비해 신성우의 경우 꾸준히 자신 앨범에서록 음악의 작사, 작곡을 해 왔던 사람이다. 즉, 신성우는 외모 때문에 그 음악성이 역차별당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 육성재 . . . . 1회 일치
         20대 초반이라는 어린 나이에 비해 비교적 감성이 올드한 편이다. 대기실 비하인드 영상, 직접 촬영하여 트위터에 업로드한 영상 등에서 자신이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이었을 시기인 90년대 중후반~2000년대 초반의 곡들을 즐겨 부르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지금까지 각종 비하인드 영상에서 부른 곡들은 '제비([[김건모]])', '너를 보내고([[윤도현]])', '열정([[스티브 유|유승준]])', '가위(유승준)', '마지막 콘서트([[이승철]])' 등이 있다. ~~선곡만 보면 1995년생이 아니라 95학번이래도 믿을 수준~~ [[https://youtu.be/yKsTJNQIjnI|#]] (0:00~0:21)~~누나팬들은 이렇게라도 세대 차이를 덜 느껴서 좋다고 한다~~
  • 윤종신 . . . . 1회 일치
         2010년대의 라이브가 2000년대보다 훨씬 듣기 좋다. 예를 들어, 2002년 [[윤도현의 러브레터]]에서 키를 낮추고도 겨우겨우 [[https://youtu.be/3UolEfWBAn4|불렀던]] '''담배 한 모금'''을 2015년 작사가 콘서트에서는 원키로 가뿐히 [[https://youtu.be/dbq_o9Y2lng|부른다]]. [* 최고음 3옥 도]
  • 이승엽 . . . . 1회 일치
         **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해피투게더]] - 쟁반노래방 (2003년 12월, 게스트 [[윤도현]], [[장나라]]와 동반출연)
  • 정용화 . . . . 1회 일치
         # 추억은 잔인하게... (With 윤도현)
  • 타루 . . . . 1회 일치
         * [[윤도현의 러브레터]] ([[KBS 2TV|KBS2]])
  • 황정민(남자배우) . . . . 1회 일치
         ||<:>2013년||<:> [[Mnet]]||<:> [[윤도현]]의 MUST ||<:>83회 ||
11531의 페이지중에 1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09-12 14:47:33
Processing time 0.024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