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유화"에 대한 역링크 찾기

유화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배운성
         집안이 가난하여 부호인 [[백인기]]의 집에서 기숙하다가, [[1923년]] 백인기의 아들 [[백명곤]]의 [[독일]] 유학에 동행했다. 배운성은 이를 기회로 삼아 유럽에서 고학으로 [[유화]]를 공부할 수 있었고, 한국인 최초로 [[유럽]] 지역에서 미술을 공부한 사람이 되었다.
         1930년대에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에서 활발히 작품을 발표하다가 [[1940년]] 경에 귀국했다. 배운성의 유화는 한국적인 색채가 강한 것으로 평가되어 유럽의 미술계에서 주목을 끌었다. 주요 활동 분야는 [[판화]]와 유화였다. 유명한 〈가족도〉(1935)를 비롯한 채색인물화와 한국의 전통 풍습을 소재로 한 풍속화, 가상 공간 속의 인물 및 풍경을 그린 그림들이 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조선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 서울미술제작소 판화부를 담당하였고, 후퇴하는 인민군과 함께 월북했다. 북조선에서는 [[평양미술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원쑤를 반드시 갚으리라〉(1953) 등 이념성이 있는 판화, 유화, 수채화 작품을 발표했다.<ref>{{저널 인용
11830의 페이지중에 1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