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유튜브"을(를) 전체 찾아보기

유튜브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이병욱(스트리머) . . . . 6회 일치
         ||<bgcolor=#A50000> {{{#EEE156 신체}}} || 175cm, 74kg[* 유튜브 생방송에서 언급함. 아프리카TV 방송 초창기에는 저체중일 정도로 무척 말랐었으나 2017년 중반기를 들어서면서 살이 급격하게 찌기 시작하였다. [[https://youtu.be/svyp7QMoyLk|참고영상]]] ||
         ||<bgcolor=#A50000> {{{#EEE156 링크}}} || [[https://www.facebook.com/qud2174?fref=ts|[[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5]]]] [br] [[https://www.youtube.com/channel/UCFZDDApnxYxWJ5MnuI29ryw|[[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5]]]] [br] [[https://www.twitch.tv/qud2174|[[파일:트위치 로고.png|width=20]]]] [br] [[http://afreecatv.com//lss654577|[[파일:아프리카TV 로고.png|width=25]]]] --(탈퇴)-- [br] [[https://cafe.naver.com/leebu|[[파일:네이버 카페.png|width=20]]]] [br] [[https://www.instagram.com/qud2174|[[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4월 15일]] 유튜브에서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3개월 스트리밍 정지 처분을 받은 이후로 [[https://www.youtube.com/channel/UCF7C3RLjl2zSZCA-5cTbzQQ|스트리밍용 계정]]으로 방송을 하고있다...가 트위치에서도 동시 송출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1월 이후로 트위치에서 방송은 하지 않고 있다. --언젠가 다시 할지도 모른다.--]
         현재 [[느금마엔터테인먼트]]에서 유일한 트위치 스트리머. 그래서인지 유튜브, 트위치를 통틀어 채팅창이 대체로 질이 좋지 않다.[* 승냥이도 있었지만 현재는 활동 중단]
         해당 영상에서 보면 '''웃으면서''' 협박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철면피|이런 범죄행위를 저지르고도 유튜브/트위치 스트리머로 활동해도 되는지 의문이 갈 정도.]]
          * 유튜브 라이브에선 좆목질과 완장질이 심하다.말투를 보면 대부분이 [[개초딩|어린학생들]]
  • 김기수(코미디언) . . . . 4회 일치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msRD5l54nq9pox_3B7KhCg|유튜브]] ||
         2015년부터는 Kisoo라는 예명으로 DJ로 활동하며 유튜브에 영상을 올렸다. 그러다가 화장을 좋아했기에 뷰티 유튜버에 도전해서 구독자 10만을 넘는 등 성공했다.
          * 유튜브 미미채널과의 합방에서 밝히길, 어렸을 때 부터 코스메틱 덕후였으나, 주변의 오해들 때문에 밝히지 못했다고 한다. 댄서킴 할 때도 이미 집에 화장품이 많았으나 오해가 더 커지는 게 싫어서 밝히지 못하다가 한참뒤에야 뷰티 유튜브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https://www.youtube.com/watch?v=q1Voh45qbH8|미미채널]][* 남자들도 미용에 관심을 가지고 남성용 비비크림까지 나오는 지금까지 남자가 화장품을 좋아한다던지 화장을 한다던지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선이 많은 편인데 지금보다 훨씬 이전인 댄서킴 활동 당시에는 더 심하면 심했지 결코 덜하진 않는다.]
  • 세정(구구단) . . . . 4회 일치
         무려 '''3000:1'''이나 되는 경쟁률을 뚫고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오디션에 합격했다. 2년 3개월간의 [[연습생]] 생활을 하다가 [[프로듀스 101]]을 통해 최종 11인에 선정되어 프로젝트 [[걸그룹]] [[I.O.I|아이오아이]]로 데뷔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이앤티트레이닝센터라는 연기학원에도 다녔었다.[[https://cafe.naver.com/talent7942/253|학원 카페에 올라온 사진(가입을 해야하지만 네이버에 김세정 연기학원이라고 치면 그냥 볼수있다.)]] [[http://www.2ntstar.com/bbs/board.php?bo_table=05_03&wr_id=8|학원 홈페이지의 데뷔 축하 포스터]] 고등학생때 연극부 활동을 한것과 학원을 다닌 덕분인지 학교 2017에서 첫 주연을 맡은것 치고는 무난하게 연기를 해냈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유튜브에 올라와있는 과거 영상 역시 이 학원을 다닐때 찍은것으로 보인다.
          * 11월 11일 유튜버 [[윰댕]]의 실시간 방송에 하나, 미미와 같이 출연했다. [[유튜브]]와 구구단의 콜래보레이션의 일환이라고. 이 방송에서 김세정은 자기 남편 [[대도서관(방송인)|대도서관]]을 팔씨름으로 이긴다는 윰댕의 도전을 받아 왼팔씨름으로는 근소하게 뒤지는 상황(해녀왈 "손목이 꺽였는데 지지를 않아")이었으나 이어 계속된 오른팔씨름에서는 압도적으로 승리(윰댕"괴물이야 팔에 철심을 박았나?")해서 걸그룹 팔씨름 제왕으로의 면모를 과시했다. 이어 반반댄스에서는 개다리춤으로 발칵 뒤집어 놓았다. 여담으로 구구단이 퇴근하고 이루어진 방송에서 윰댕의 스탭에게 "졌대요~ 졌대요~" 팔씨름 패배의 굴욕을 당했고 윰댕 본인도 이렇게 져본 적도 없는데 팔에 심각한 근육통까지 있어 심신이 굴욕적(퇴근하면서 세정이 "괜찮으세요? 팔 안아프세요? 와~ 힘 정말 세세요"했다고 한다...)이라며 나름 유쾌하게 방송종료했다. (참고로 윰댕은 학창 시절 유도를 했다.)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produce101&no=968659|안양초등학교 재학 시절 장래 희망을 가수라고 쓴 문집]]의 그림 속 무대 모습이 [[Fingertips]] 무대와 매우 흡사하여 화제가 되었다.--꿈을 이룬 갓세정 김세정이 갓세정인 이유는 [[http://gall.dcinside.com/kimsejeong/246583|미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라 [[카더라]]-- 그리고 [[유튜브]]에 2016년 2월에 업로드된 [[https://www.youtube.com/watch?v=BYet-wkwh-g|고등학생때 학우들과 알바천국 광고 패러디 영상]]을 보면 중간에 왕뚜껑을 닦는 모습, 흡사 런닝맨과 비슷한 환경(방에 들어가거나 나가면서 뛰어다니는 장면), 교복을 입으며 연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왕뚜껑 광고모델(I.O.I로서 참여), 런닝맨 게스트 출연, 알바천국 광고모델, 학교 2017 주연을 이루었다고 언급된 댓글을 볼 수 있다.
          * [[어서옵SHOW]]에서 부른 [[정채연]]과 김세정이 부모님께 쓴 편지를 보고 지코가 20분 동안 즉석에서 작곡 작사하고 정채연과 같이 부른 '꽃길'이 호평을 받았다. [[https://youtu.be/L7bMXRZMDCg|유튜브 링크]] 많은 능력자들이 장인력을 발휘해 리믹스하거나 앨범 커버를 만들었으며 결국 어서옵SHOW가 폐지된 뒤에야 정식 음원으로 선보일 수 있었던 점이 아쉽다. ~~어서옵SHOW가 남긴 위대한 유산~~ 나머지는 상단 해설 참조.
  • 안기효 . . . . 4회 일치
         ||<#F157FF> {{{#ffffff '''관련사이트'''}}} ||<bgcolor=#ffffff> [[http://afreeca.com/aghhi| [[파일:아프리카TV 로고.png|width=18]] 아프리카TV]] [br] [[https://www.twitch.tv/aghhi| [[파일:트위치 로고.png|width=18]] 트위치 채널]] [br] [[https://www.youtube.com/channel/UCYG8tuvbQzWsDeoADyJFU8Q| [[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18]] 유튜브 채널]] [br] [[http://cafe.daum.net/NalROCK| [[파일:네이버 카페.png|width=18]] 팬카페]] ||
         >- 한 유튜브 시청자
         2016년 10월 철구와의 스폰빵에서 보여준 승리 세리머니는[* 그 유명한 학사경고 영상이다. 자세한 사항은 유튜브의 "철구 학사경고" 참조] 안기효 방송의 애청자이던 트위치 스트리머 [[스틸로]]의 영향으로 옆 동네 트위치에서 대유행을 타기도 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원조를 따라잡지는 못했단 평을 받았다.--그 와중에 [[김도|한 명]]은 채신기술로 쓴다-- 배경음악은 [[Silver Scrapes]]다.
  • 연정(우주소녀) . . . . 4회 일치
         노래를 부를 때 특별한 기교나 습관을 넣는, 이른바 '자기화' 시키지 않는다는 것 역시 특징으로 꼽힌다. 어떤 노래라도 원곡의 분위기에 맞게 부르면서도 자신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한다는 면에서는 정말 뛰어나다고도 볼 수 있다. [[프로듀스 101]]에 출연했을 때는 특정 장르의 노래는 어울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간혹 나왔지만 생방송 무대에서 보여준 <Crush> 무대 이후로는 그런 이야기가 사라진 상태. 어떤 류의 노래를 불러도 거부감 없이 편하게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걸그룹에서 메인보컬을하기에 최적화된 보컬'''이란 평. 감성 전달력이 약하지 않느냐는 평은 적지 않지만 전달력이 마냥 약한 건 아닌지라 자기만의 특색과 전달력은 어느 정도 경험을 쌓아가면 해결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 어린 나이라는 걸 감안하면 오래지나지 않아 자기만의 색깔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복면가왕에 출연한 뒤로부터 "연정의 특색이 이거였구나."라는 반응이 많아져서, 이전까지는 되려 저평가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어찌보면 당연한데, 방송에서 직접 언급했듯이 '''그 전까지는 방송에서 솔로곡을 완창한 적이 없었다.''' 평가할 만한 솔로 무대가 유튜브 영상 외에 없었으니 솔로로서의 평가가 박했던 것이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XDu6D1fpW8|<서쪽 하늘(이승철)>]] with 세정 - 타임슬립 - I.O.I[* 출처 : 유튜브 dear Breeze 팬 직캠.]
          * 검은색 양말을 자주 신는다. 한림예고 연습실에서 부른 노래 영상 모두 여고생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교복에 검은 양말의 복장을 하고 있다. [[https://youtu.be/0nOEpbS1i3I|인연 유튜브 영상]], [[https://youtu.be/yDfgyCBBupY|오늘은 가지마 유튜브 영상]]. 방송에서도 공연일정으로 통일된 의상을 입는 경우가 아니라면 까만 양말을 애용하는 장면들이 자주 비친다.
  • 유민상(개그맨) . . . . 4회 일치
         || '''링크''' ||<(> [[https://www.instagram.com/minsangyoo/|인스타그램]], [[https://www.twitch.tv/boowoonim|트위치]], [[https://www.youtube.com/channel/UCvbU93Zy1sNB-ToLYSbwWNQ|유튜브]] ||
         8월에는 스트리머 [[풍월량]]의 배틀그라운드 상자깡 방송을 장시간 도방[* 도둑방송 또는 도용방송이라는 뜻으로 아프리카 TV에도 있는 용어. 남의 허가 없이 자기의 라이브 방송에 남의 라이브 방송이나 다시 보기 화면을 띄우는 것이다. 아프리카나 트위치나 BJ의 방송 자체가 고유의 컨텐츠(저작권)이기 때문.]하는 일이 있었다. 트위치에서 허가 없는 도방은 금지[* 대표적인 사례가 하스스톤 카드공개 도방 사건이다. 블리자드의 카드공개 방송을 도방하던 다수의 하스스톤 스트리머들이 단체로 2일 정지 처분을 받았다. 블리자드의 카드공개 방송은 블리자드에 저작권이 있기 때문에 영상 도네이션 중 저작권 보호 요청 영상을 틀면 정지되는 것과 마찬가지 현상이다.][* 트위치에서는 단시간 도방이 이미 문제 제기되었던 적이 있다. 영상 도네이션 등으로 '''허가 받지 않은 타 스트리머의 트위치 클립'''이나 '''유튜브 편집본을 송출'''하는 행위는 다시 보기 화면의 일부(도방)일뿐더러 엄연한 저작권 위반 행위이기 때문이다. ~~트수의 암살 시도~~]되어 있다는 시청자의 지적에 "그런말 할거면 팔로우나 누르고 가라"는 식으로 다시 한번 트위치 스트리머와 시청자를 존중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트게더에 이를 지적하는 글이 올라오자 이를 비꼬는 듯한 댓글을 달아 다시 논란을 가중시켰다.
         현재 유민상의 트게더와 트위치 채널은 폐쇄된 상태며 새로운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fX2Wxlb7OE0|방송]]을 열었다.
          * 개인방송에서 [[미연시]]를 플레이한 적이 있는데, 흐뭇한 아빠 웃음을 지어가며 캐릭터를 키워가는 그의 모습에 많은 시청자들이 얼굴을 찌뿌려야 했다. 유튜브 방송에 올라온 제목에도 <형, 왜 이러고 살아...> ㅠㅠ
  • 솔비 . . . . 3회 일치
         2010년 치유 목적으로 시작한 미술에 흠뻑 빠지며 화가로서의 역량도 발휘하고 있다. 2015년 'Trace'의 '공상'을 시작으로 셀프 콜라보레이션(서로 다른 두 개의 자아인 권지안과 솔비가 협업해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선보였다. 셀프 콜라보레이션은 2016년 '블랙스완', '직지 코리아 국제 페스티벌' 초청작가, 2017년 '하이퍼리즘-레드', 2018년 '하이퍼리즘-블루'까지 총 다섯 작품이다. 특히 솔비는 '하이퍼리즘'(정보와 콘텐츠의 홍수로 인해 현대인들의 욕망과 높아진 기대치들이 해소되지 못할 경우 반대로 오는 상대적 박탈감, 상실감 등의 부작용이라는 시대적 현상을 솔비가 정의한 용어)라는 신조어를 만들며 현대인의 우울과 상처에 대해 작품으로 표현했다. '하이퍼리즘-레드'<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069|제목='다양성 가요계' 솔비가 쏘아 올린 작은 공|성=정진영 기자|이름=|날짜=2017년 6월 1일|뉴스=|출판사=한국스포츠경제|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는 여성의 상처를 주제로 KBS 2TV '뮤직뱅크'에서 파격적인 [https://tv.naver.com/v/1717804 '레드' 퍼포먼스]를 펼치며 신선한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2018년 3월 '하이퍼리즘-블루'의 '클라스' 음원을 본인 유튜브채널에만 공개하는 등 독특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클라스' 유튜브에 선공개
         * {{ID 없는 유튜브 사용자|UCYOXaMjoodvzodBT3oO0D3A|솔비 (로마공주)}}
  • 슈가(방탄소년단) . . . . 3회 일치
         유튜브 채널을 잘 보다 보면 슈가의 똘끼가 눈에 띈다. 주로 옛날 영상인 경우가 많긴 하지만. 대표적인 링크는 [[https://youtu.be/OpKUc8IeUrc|아미들의 성지 방탄밤에서의 슈가의 똘끼]], 좀 더 차분한 반응이 필요하다면 [[https://youtu.be/pYd3rqxPG6k|앞으로 못 나가 매우 서러운 슈가형]]을 참고. [[WINGS|정규 2집]] 활동 때는 [[https://youtu.be/aniSCuwXJ7s|제이홉을 향한 샤우팅]]을 비롯해 무대, 방송 등에서 상당한 에너지를 발산하기도 했다. 이럴 때 팬들이 부르는 별명은 '흥슈가'. [[https://youtu.be/M3xMTYfVo2E|흥 타신 슈가씨]]
         [[방탄소년단]] 꿀FM[* 방탄소년단이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 실제 라디오 방송은 아니며 데뷔 n주년, 크리스마스 등 불규칙한 시기에 유튜브 공식 계정을 통해 업로드된다. 여담으로 6.13mhz라고 한다.]에서 '슙디(슈가+DJ)'로 DJ를 맡기도 했다. 라디오식 방송의 특성상 차분한 저음과 능숙한 진행 능력 때문에 지목된 듯. 신인왕 때도 MC다래[* 당시 다래끼가 나 있었다.]로 발탁돼 매끄러운 진행을 보여준 바 있다.
          * 해외의 뱀 애호가가 만든 인스타그램 계정에 Agust D 뮤직비디오를 시청하는 [[볼파이톤]] 동영상이 올라왔다. [[https://instagram.com/p/BaZhszOl4hz/|링크]] 이 볼파이톤의 주인은 평소 유튜브에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 동영상을 볼파이톤과 함께 감상했는데, 그날 뱀을 자신의 어깨에 올려 놓고 Agust D 뮤직비디오를 시청하는 순간 이 뱀이 스르르 기어나가 슈가를 향해 혀를 날름거리며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 뱀은 수컷이다.
  • 승리(빅뱅) . . . . 3회 일치
         2016년 1월 28일 빅뱅의 멤버 지드래곤은 [[https://twitter.com/IBGDRGN/status/692636122548056064|트위터]]에 '''승리 주제곡'''이라며 그룹 [[검정치마]]의 신곡 Everything 유튜브 영상을 링크하기도 했다.
          * 외국 예능에도 자주 출연하는데 2012년 10월 29일. 일본 닛테레 퀴즈 프로그램인 'TORE!'에 출연. 벼랑 스테이지[* 빈칸에 알맞은 음절을 집어넣어 단어를 완성하는 스테이지로, 2시간 스페셜 방송에서는 이게 최종 단계가 되는 경우가 많다.]에서 활약을 하나...싶었더니 3번째 턴에서 '''펜던트'''를 맞추지 못해서 탈락...[* 최홍만 등장 이후 한류 스타가 나오는 회에서도 난이도가 대폭 업그레이드됐다.] 2013년 4월 28일 일본의 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했는데 세 번이나 멘붕당하는 모습이 그저 안습.. [[https://www.youtube.com/watch?v=fdw5ykM1OoE&feature=youtu.be|유튜브]]
          이에 승리 팬들은 양현석을 가루가 되도록 까는 중. 유튜브 댓글 중 한번만 더 그런 이유로 혼내면 양현석을 죽여버리겠다는 댓글이 압권.
  • 하현우 . . . . 3회 일치
         내려가는 음도 장난 아니게 낮은데, 대한민국 성우 중 가장 낮게 내려가는 [[시영준]]의 '''-1 옥타브 라(A1)''' 보다 4키(=2음) 낮은 '''-1 옥타브 파(F1)'''[* 복면가왕 기준 아니다. 공연에서 [[일상으로의 초대]]를 원키보다 낮게 불러서 '''-1옥타브 파(F1)'''에 도달한 영상이 유튜브에도 많이 있다.] 까지 내려갔다.
          * 다만 음색에 한해 비판점이 없지 않은데, 분명 자신만의 목소리를 가졌다는 점에서는 칭찬받을 만하지만, 음색 자체가 대중들에게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는 점이다. 좋아하는 쪽은 맑고 깨끗한 음색이 매력적이라고 하나, 싫어하는 쪽에서는 째지는 음색이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편. 특히 락이라는 장르 상 고음 가창이 잦은 하현우의 경우 '''3옥타브 미(E5)''' 이상의 초고음을 발성하는 경우가 많아 종종 이런 비판을 듣는 중이다. 물론 '호불호'가 갈리는 것이지, '나쁜' 음색은 아니다. 음색의 기본 미덕인 '희소성'이라는 측면에서, 하현우의 음색은 '''결코 나쁘다고 볼 수 없다.''' 유튜브 등지에서 자주 보이는 하현우를 저평가하는 댓글들의 태반이 음색에 대한 비판인데 밑도끝도 없이 흔한 음색이라거나 그냥 음색이 별로라거나 누구보다 별로라는 식으로 비교하는 등, 그냥 자기가 별로라고 생각하는걸 강요하는 스타일의 댓글이 많은 편.
         3월 말부터 노래 영상이 [[https://www.facebook.com/roadtoithaca.tvn/|페이스북 페이지]]와 [[https://www.youtube.com/watch?v=f0V35CYsLJ0|유튜브]]에 주기적으로 업로드되고 있다.
  • Daisy Bell(Bicycle Built For Two) . . . . 2회 일치
         [[https://youtu.be/PqvuNb8DevE|유튜브 링크]]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HAL9000]]이 불렀다. [[https://youtu.be/E7WQ1tdxSqI?t=25s|들으러 가기(유튜브)]].
  • 금조(나인뮤지스) . . . . 2회 일치
         ||<#732788> {{{#FFFFFF '''SNS'''}}} ||<(> [[https://twitter.com/keumjo_1217|[[파일:트위터 아이콘.png|height=22]]]] [[https://www.instagram.com/keumjo_121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height=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pY-pgLn-m7LZwa7lvChxow/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png|height=22]]]] ||
         ||<#ab9a9e> {{{#FFFFFF '''편성'''}}} || 화요일 오후 6:00[* 유튜브를 통해 라이브로도 시청할 수 있다.] ||
  • 김미경(강사) . . . . 2회 일치
         ||<-2> [[http://www.kmkclass.co.kr/|공식 홈페이지]] [[https://youtube.com/channel/UCnaGfDaiM-pM1l-SXYpq37Q|유튜브]] ||
         MBC [[무릎팍도사]][* 2부는 앞에서 언급된 논문 표절로 인해 통편집되었다.], 세바시(죽어가는 꿈을 구출하라 등 외),tvn 스타특강쇼 등에서 출연했고 유튜브에서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 니엘(가수) . . . . 2회 일치
         ||<#ad84db> '''{{{#white 링크}}}''' ||[[https://soundcloud.com/music-niel|사운드 클라우드]] [[https://www.youtube.com/channel/UClJ8EJeSRZ_yRYJbbFhMSjQ|유튜브]]||
         2016년 12월 25일에 'TELEVISION' 이라는 제목의 노래를 본인의 [[https://soundcloud.com/music-niel/television|사운드 클라우드]]와 [[https://www.youtube.com/watch?v=baSC_y0FqAI|유튜브 채널]]에 공개했다.
  • 오중기 . . . . 2회 일치
         || '''링크''' || [[https://twitter.com/iskr12|[[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ohjungki|[[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2]]]], [[https://blog.naver.com/iskr12|[[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ohjungki|[[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2]]]] ||
         2017년 1월, [[문재인]] 전 대표가 구미시청을 방문해 [[박사모]]의 습격을 받을 때 이를 온몸으로 방어하다가 아스팔트 바닥에 넘어지기까지 했는데, 이 장면이 유튜브 생중계로 찍혀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s://youtu.be/eqhKXSYot1w|영상]]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후보의 경북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다.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2회 일치
         >-[[https://youtu.be/SX2g8LOEMPs|컷신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2UIBLcmVFgg|컷신 유튜브 링크]]
  • 이보림 . . . . 2회 일치
         2017년 6월에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그룹인 다이아 TV가 자체 제작한 웹 드라마인 '''뷰티학 개론~여자의 화장에는 이유가 있다(여화이) 시즌 1'''(총 4회 완결)의 여주인공으로 출연했다.[*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웹 드라마로, 현재 시즌 3까지 나왔다. 참고로 이 드라마에는 훗날 [[tvN]]의 드라마인 [[크리미널 마인드(tvN)|크리미널 마인드]] 15회(9월 13일 방영)에서 납치된 수영선수 여고생 3인방 중의 한 명으로 등장하는 같은 소속사의 임채연도 출연한다.]
  • 허안나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www.instagram.com/huranna/ 허안나인스타그램]<br>[https://www.youtube.com/watch?v=r3VC9xQ1mjY 허안나유튜브]
         * 안나TV 유튜브 (2017)
  • 현아 . . . . 2회 일치
         2011년 12월에 [[현아]]는 같은 소속사의 가수이자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멤버 [[장현승]]과 함께 유닛 그룹 [[트러블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블 메이커]]를 결성했다.<ref>{{뉴스 인용|제목='뮤직뱅크' 장현승-김현아 '트러블메이커' 컴백 예고|확인날짜=2011-11-26|url=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013323|출판사=리뷰스타|저자=김혜정|날짜=2011-11-25}}</ref> 트러블 메이커는 12월 1일 첫 미니 앨범 《[[Trouble Maker (EP)|Trouble Maker]]》를 발매했고, 동명의 타이틀곡 〈Trouble Maker〉로 활동을 시작했다. 〈Trouble Maker〉는 좋은 반응을 얻으며 [[K-Pop 빌보드 핫 100]] 최고 2위까지 올라갔고,<ref>{{웹 인용|제목=BILLBOARD K-POP HOT100 12월 3주차|출판사=[[빌보드]]|url=http://www.billboard.co.kr/v1/chart.php?t=3&query=&pubdate=2011-12-14|확인날짜=2011-12-12}}</ref>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는 1위를 했다.<ref>{{웹 인용|제목= 2011년 12월 다섯째주 디지털 종합차트|출판사=가온 차트|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total/list.gaon |확인날짜=2011-12-12}}</ref> 그러나, 〈Bubble Pop!〉과 똑같이 공연 중 안무 선정성 문제가 일어나 결국 안무를 수정했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11120913181888325&type=1&outlink=1</ref> 2012년 3월 현아는 [[스파이시칼라]]와 손을잡고 현아 위드 스파이시칼라라는 브랜드를 론칭했고, 50년대 낙관주의와 60년대 레트로 빈티지 무드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자신의 이름 내건 브랜드 론칭|확인날짜=2012-03-15|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203141127323&mode=sub_view|출판사=bntnews|저자=이형준|날짜=2012-03-14}}</ref> 2012년 여름에는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 강남스타일, 유재석 노홍철 김현아 ‘3인 3색 댄스 화제|url=http://www.interview365.com/news/27962|출판사=인터뷰365|저자=장민혜|날짜=2012-07-13|확인날짜=2012-08-07}}</ref> 2012년 8월 15일에는 〈강남스타일〉을 여자의 입장에서 재해석한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김현아, '오빤딱내스타일' 뮤비공개..섹시·상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81512060525950&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길혜성|날짜=2012-08-15|확인날짜=2012-08-05}}</ref>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투브]] 조회수 1억 건을 넘기며 [[소녀시대]]의 〈[[Gee (노래)|Gee]]〉를 제치고 〈강남스타일〉에 이어 유튜브 역대 가장 많이 본 동영상 한국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오빤 딱 내 스타일' 1억뷰 돌파..싸이 효과!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102111121506368&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윤성열|날짜=2012-10-21|확인날짜=2012-10-21}}</ref> 2012년 10월 21일에는 두 번째 솔로 미니 앨범 《[[MELTING]]》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Ice Cream〉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에 올랐고, [[코리아 K-Pop 핫 100]]에서는 최고 6위에 올랐다. 2012년 12월 29일 SBS 《[[SBS 가요대전|가요대전]]》을 앞두고 현아는 [[효린]], [[전효성]], [[니콜 (1991년)|니콜]], [[나나 (가수)|나나]]와 함께 대즐링 레드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 27일 [[용감한 형제]]와 똘아이박이 작곡한 〈이사람〉을 발매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효린]]·[[전효성]]·[[니콜 (1991년)|니콜]]·[[나나 (가수)|나나]], SBS '가요대전'서 대즐링 레드 결성|url=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12280748241118|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최두선|날짜=2012-12-28|확인날짜=2014-01-08}}</ref>
         * {{ID 없는 유튜브 사용자|UCoc2P5sEaBV4p173cYBzDpA}}
  • Drunken Sailor . . . . 1회 일치
         [[https://youtu.be/qGyPuey-1Jw|캐나다 밴드인 아이리시 로버즈가 부른 버전(유튜브)]]
  • Good Morning, Mr Zip-Zip-Zip! . . . . 1회 일치
         [[https://youtu.be/_8kNpGTPbvk|유튜브 링크]]
  • Hanging On The Old Barbed Wire . . . . 1회 일치
         [[https://youtu.be/_K1BdDVvV9Q|유튜브 링크]]
  • House of the Rising Sun . . . . 1회 일치
         [[https://youtu.be/5A-4VGfx5lU|유튜브 링크]]
  • I Didn't Raise My Boy to Be a Soldier . . . . 1회 일치
         [[https://youtu.be/-C2qOAgMCl4|들으러 가기(유튜브)]]
  • Oui Oui Marie . . . . 1회 일치
         [[https://youtu.be/yPjvU0gF8OA|듣기(유튜브)]]
  • 고성국 . . . . 1회 일치
         2018년에는 [[유튜브]] 방송을 시작하였다. 2018년 3월 1일 고성국은 '고성국TV'를 개국하고 정치분석 방송을 연일 내보내고 있다. 고성국TV 개국 시 [[정우택 (1953년)]], [[나경원]] 등 [[자유한국당]] 계열 정치인들이 축사를 보냈다.
  • 고현정(미스코리아) . . . . 1회 일치
         영화 필모그래피가 약해 영화에서의 연기에 대한 평가는 많이 찾기 힘들다. 그러나 두 편의 홍상수 영화 해변의 여인, 잘 알지도 못하면서에 출연한 고현정이 감독의 영화세계 뿐 아니라 영화를 찍는 방법론에까지 영향을 미쳤을거라는 평[* 프로-아나 시대의 카운터 디바 <여우야 뭐하니> (Dramatique 7호) -변영주 감독]과 더불어 영화평론가 [[이동진(평론가)|이동진]]으로부터 고현정은 홍상수스러움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넘어서 자기스러움을 연기하는, 대한민국 여배우 중 가장 머리가 좋은 배우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푸른밤 성시경 '필름 속을 걷다'에서] 고현정이 고현정을 연기한 이재용 감독의 영화 여배우들은 다큐멘터리와 극영화의 경계에 있어 어디까지가 연기이고 어디까지가 실제인지 판단은 자기 몫.[* 짜고 치는 상황극인 고현정 vs 최지우 씬에 관한 유튜브 댓글에서는 실제 배우가 까이고 있다. 이걸 보면 연기를 잘하긴 잘한 듯...?] 2012년 개봉한 고현정의 첫 상업영화 미쓰GO는 유해진, 성동일, 박신양 등 걸출한 배우들과 함께 했지만 모두 영화가 구리다는 평으로 덮혔다.
  • 김민서(배우) . . . . 1회 일치
         원래는 1999년 12월 9일에 3인조 힙합 걸그룹 민트로 데뷔해 약 10개월 정도 활동했는데 대표곡으로는 'Passion', 'The End'가 있다. 당시 멤버구성은 오지선(1986년 1월 2일 생), 강혜경(1985년 8월 24일 생)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유튜브에 MBC 음악캠프의 Passion의 공연 영상이(2000년 8월 12일자와 10월 28일자의 두개.) 올라와 있다.
  • 김재규 . . . . 1회 일치
         당시 최후진술의 녹음본이 있다. 들어보자. 무려 40년 가까이 된 녹음본임에도 의외로 들을 만 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ftjlJ-kt_Dw|유튜브]] 이 녹음본은 월간지 신동아 1996년 10월호에서 첫 공개가 되었는데, 이 녹음본을 듣고 감동한 독자들로부터 "김재규를 재평가해야한다."는 의견이 신동아 편집부에 쇄도하였다고 한다.
  • 김희철(1983) . . . . 1회 일치
          * 그리고 그의 직설적인 화법 덕분에, 유튜브의 서구권 K-POP 유튜버들 사이에선 "Heechul Savage[* 기본적으로 야만적인이라는 뜻의 단어지만, 여기서는 끝내주게 멋지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이다.]"라고 해서 그의 영상(주로 아는 형님에서의 막말드립)을 보고 웃음이나 놀라움을 참는 리액션 영상을 올리기도 한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강한 한방 드립을 보고 "저친구 지금 뭐라고 한거야?" "저렇게 세게 말해도 되나?"라고 놀라는게 대부분. 그러면서도 그런 강한 막말을 웃음으로 연결시키는 능력에 감탄을 보내는 편.
  • 남유진 . . . . 1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www.namyoochin.com/|공식 사이트]] [[https://blog.naver.com/namyoochin|[[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namyoochin1|[[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9idNb2O1DSBW_Ua6sh-iEQ?view_as=subscriber|[[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gumi_yooch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레드맨 . . . . 1회 일치
         [[https://www.youtube.com/channel/UC5PBnSG7C0WXp5gjd4bzKtw|유튜브의 츠부라야 공식 채널]]에서 일주일에 몇개씩 시한부로 풀어줬었다. 지금은 다 풀어줘서 [[오프닝]]과 1화만 볼 수 있는 상태.
  • 문지애 . . . . 1회 일치
         * [https://www.youtube.com/channel/UCpw8avraau8T-DZeXHblkoQ 문지애] - [[유튜브]]
  • 변요한 . . . . 1회 일치
         || 타이레놀★☆[* 여기서 시청 가능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fL5k8QrzuV8|유튜브 링크]]] || 주연 || 박종수 ||
  • 서영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가족으로는 [[딸]] [[서현선]]과 [[아들]] [[서동균]]이 있고 둘 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코미디언]], [[배우|연극배우]]의 길을 밟았다. 서현선은 1990년대 초반 [[KBS]] '한바탕 웃음으로'에서 레귤러로 이름을 알렸다. 현재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봉숭아 학당]]'에서 [[오서방]]([[오재미]])과 합을 맞추는 미녀 [[코미디언]]이 바로 그녀이다. 동료들이 서영춘의 성대모사를 시전하자 발끈하는 모습을 (물론 개그로) 보여주기도 했다. 서동균은 [[개그콘서트]] 초중반기 멤버로 참가하며 로보캅 연기로 인지도를 쌓았으나 이후 [[이정수(1979)|이정수]]처럼 연극 및 뮤지컬 배우로 전업하였다.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30/2018033001538.html|조선일보]]에서는 "남성 청년층의 반페미니즘이 점점 도를 넘는다"라 평가하며, "소비자 지위를 악용해 사실상 사상 검증을 벌이는 식"이라고 지적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3/2018041303076.html|오피니언]]에서는 "페이스북·트위터 같은 소셜 미디어는 물론이고 유튜브 같은 동영상 서비스가 중요한 홍보 수단으로 떠오르면서 가수들의 일거수일투족이 24시간 노출되는 상황"이라는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 교수의 논문을 인용하며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해 일언반구하지 못한 채 언제나 방긋 웃는 표정을 지어야 한다면 '박제된 인형'이나 마찬가지"라 평가했다.
  • 양예나 . . . . 1회 일치
          * 한 살 아래 동생인 멤버 [[이진솔]]과 친한 듯하다. 실제로 유튜브에 들어가면 이진솔을 챙겨주거나 진솔과 투닥거리는 영상들이 있다. ~~같이 헬륨 가스를 마시기도 한다~~ 또한 APRIL 멤버 중 가장 친동생 삼고 싶은 멤버로 이진솔을 꼽았다. 스킨십하는게 좋다며. --[[이진솔]]이가 완강하게 거부(?)한건 덤--
  • 육성재 . . . . 1회 일치
         [[김동률]]을 롤 모델로 삼고 있다. 라디오에서는 김동률의 '오래된 노래'를 부른 적이 있고, 유튜브에 '기억의 습작'을 커버한 동영상도 있다. 복면가왕에서 마지막으로 부른 '감사' 역시 김동률의 노래이다. 리얼리티 영상을 보다보면 김동률의 노래를 습관처럼 부르곤 하는 모습을 살짝살짝 엿볼 수 있다.
  • 윤채경(가수) . . . . 1회 일치
         4월 25일, [[https://www.youtube.com/watch?v=mTzPnh0LmDM|프로듀스101'에 출연했던 두 소녀가 간절히 외칩니다]]라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연예계의 특성상 소속사에서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언론이나 연습생이 자의적으로 저런 영상을 만들었을 리 없기 때문에 이는 팬들에게 데뷔를 강하게 암시하는 메시지라고 추측된다.
  • 은지원 . . . . 1회 일치
          * 젝키 재결합 후, 솔로 활동 때와 달리 메이크업을 하고 나온 번듯한 모습을 보고 '내가 초,중학생 때 보던 [[1박 2일]]의 은초딩이 맞나...'하고 혼란이 온 사람들이 제법 많다. 당장 유튜브에 은지원 영상 중 제법 꾸민 영상들 댓글에는 '내가 알던 지원이 형(오빠)이 이렇게 잘생겼었다니...'하고 멘붕에 빠진 댓글들이 넘쳐난다. 잘생긴 얼굴이지만 솔로 활동 때는 머리도 삭발을 주로 했고, 메이크업도 일절 하지 않았어서 부각되지 못했었다.
  • 이민호(1987) . . . . 1회 일치
         특히 [[필리핀]]에서 이민호는 이름만 대면 다 아는 어마어마한 스타라고 한다. [[필리핀]]에서는 팬미팅할 때 [[비욘세]]나 [[머라이어 캐리]]보다 더 많은 인원이 몰려든다고 할 정도.[* [[필리핀]]에서 디바형 [[미국]] 가수의 인기는 어마어마하다. 유튜브만 검색 해 봐도 남녀노소 디바의 노래를 따라 부르는 영상이 수두룩하다. 즉 이민호의 인기가 정말로 어마어마하다는 소리.]
  • 이애란(가수) . . . . 1회 일치
         놀랍게도 [[던전앤파이터]]에서 번안곡 '던파인생'을 불렀다. [[http://df.nexon.com/df/news/event?mode=view&no=213130|공식 홈페이지 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XkFU2lDapzc|유튜브 주소]]
  • 이유리(배우) . . . . 1회 일치
         [[http://m.blog.naver.com/pinkleeyuri|[[파일:external/lifestraveller.co.za/blog.png|width=24]]]] [[https://m.youtube.com/channel/UCA36iuRKB6uMkD_-QyYaKGw?|[[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8]]]] [[http://cafe.daum.net/pswforever|[[파일:다음 카페.png|width=24]]]] ||
  • 이은혜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OfficialLeeEunhye|유튜브=https://www.youtube.com/c/LeeEunhye}}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https://www.facebook.com/bigbang1003|페이스북]], [[https://www.youtube.com/user/leeinyoungTV|유튜브 채널]] ||
  • 이정재(영화배우) . . . . 1회 일치
         제대 후 다시 연기를 시작했지만, 연기가 맞는 옷인지도 모르겠고 갑작스레 얻은 인기와 돈 때문에 이 직업이 자신의 길인지도 잘 모르던 상태에서 [[설상가상]]으로 당시 소속사 부도로 인해 그 빚을 모두 떠안게 되어 심적으로 많은 고생을 했다고 한다. 사실 모래시계나 느낌같은 경우 2010년대에도 유튜브를 비롯한 여러곳에서 볼수 있는데 발연기가 무엇인가 알 수 있을 정도로 처참하다. 다만 변명아닌 변명을 하자면 저 당시에 드라마에서는 뭔가 대단한 연기를 요구한 일이 별로 없었고 그 당시는 그정도했어도 문제가 없는 수준이었다.
  • 이지은(2000) . . . . 1회 일치
         충청북도 충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냈다. 시점은 정확하지 않지만, 수댄스 스튜디오에서 랩와 춤을 연습하며 꿈을 키워온 듯하다. 수댄스 대표의 상당한 애제자인 듯하며, 대표 인스타에는 이지은에 대한 애정어린 포스트가 상당하다. 현재 남아 있는 상당수의 자료들이 수댄스에 있을 때 작성된 것이다. [[예지(피에스타)]]의 곡인 미친개 커버([[https://www.youtube.com/watch?v=o95OUDg2sOw|유튜브]])를 올리기도 했다.
  • 이홍렬(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2001년부터 풀벌[* 벌이 아닌 털뭉치를 뜻하는 영어 furball에서 따 왔다고 한다.]이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었는데 지난 2018년 7월 5일 무지개다리를 건넜다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888162|관련기사]] 그리고 풀벌을 키우던 이야기를 [[유튜브]]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PM_kmFTaaoI|연재하고 있다.]]
  • 인순이 . . . . 1회 일치
         사이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 장우혁 . . . . 1회 일치
         *{{유튜브 사용자|MrJangWooHyuk|장우혁}}
  • 전기의자 . . . . 1회 일치
         [[코끼리]] 한마리도 이런 식으로 처형된 사례가 있다. 톱시(Topsy)라는 이름의 코끼리였는데 [[사육사]]를 죽여버린 사고를 친 것. 그 결과 6,600 볼트 전류로 사형당했다. [[https://youtu.be/NoKi4coyFw0|유튜브 동영상-충격적일 수도 있음.]] 위의 최초의 인간 사형집행과 함께 잔인하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었고, 이와는 별개로 사보타주를 통해 교류를 밀던 웨스팅하우스를 파산시키기는 했으나 교류의 보급을 막는 데에는 실패했다.
  • 전효성 . . . . 1회 일치
         유튜브에 MPD라는 채널이 있고 이곳에서 찍어서 올려주는 직캠 영상이 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8iDKiRqNqhs|이 무대 직캠]]이 [[https://twitter.com/MnetMV/status/596232717697552385|최초로 백만뷰를 넘겼다고 한다.]](...) 최초로 백만 뷰를 넘긴 공로를 인정받아(...) <반해> 컴백 첫 무대인 엠카에서 엠피디에게 직접 상을 받았다.
  • 정기고 . . . . 1회 일치
         * {{유튜브 사용자|Junggigo}}
  • 정승환(가수) . . . . 1회 일치
         2018년 2월 8일, '눈사람' 라이브 버전이 공개되었다. 유튜브에 공개된 지 약 5개월이 지난 7월 11일 현재 '''450만뷰'''를 넘어섰다.
  • 정재호 (1964년) . . . . 1회 일치
         * [https://www.youtube.com/channel/UC1plTd7IwmRx9gdHaLGDlgA 정재호 유튜브]
  • 정찬성 . . . . 1회 일치
         UFN 24 이후 해설자인 [[조 로건]]이 이 서브미션을 보고 트위스터로 유명한 주짓떼로 '에디 브라보'가 기뻐할 거라 이야기 했는데, 정말로 기뻐해 주셨다. 친히 '코리안 좀비' 티셔츠를 입고 유튜브에 10 여분 가까이 되는 트위스터에 대한 교육용 비디오를 올렸다. MMA형 트위스터, 레슬링형, 주짓수 공방용, 스웨덴 스타일 등 온갖 화려한 트위스터를 다 올려 놨다. 정찬성 보라고 올린 것은 아니지만 에디 브라보가 내놓은 컴비네이션들을 보면 트위스터가 백을 잡은 상황에서 MMA의 새로운 공격 방도가 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충격적인 기술이었으나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 트위스터를 잡으려면 하프로 내려와야 하는데 기껏 백을 잡아놓고 하프를 타는건 상당한 손해를 감수하는 일이다. 00년대 이후로는 점점 섭밋보다도 파운딩이 대세이기도 하고. 에디 브라보의 동영상 역시 MMA 형 트위스터의 경우 트위스터로 기술을 완성시키기 보다 트위스터를 밟아가는 와중 늑골 파운딩이나 안면 파운딩으로 이어지는 컴비네이션을 설명해 준다. 정찬성의 경우처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백을 잡은 상황에서 RNC와의 한방 이지선다를 노릴 수도 있다. 그리고 브라보는 트위스터 동영상 말미에 정찬성 보고 '친구들 데리고 술이나 한잔 하자' 라고 발언했다.
  • 지석진 . . . . 1회 일치
         생각보다 경력이 다양하다. 원래 85년부터 연극배우/뮤지컬 배우로 활동했었고, 메인스트림 연예인 데뷔는 1992년에 [[가수]]로 하였다. 장르는 [[발라드]]이고 앨범 제목은 '''우울한 오후엔 미소를'''. 애초에 다른 개그맨들처럼 개그 소스로 만들기 위해 음반을 낸 것이 아니라 당시 '''뮤지컬 배우 출신'''으로 정말, 진지하게 가수로 활동하려고 낸 음반이었기에 생각보다 노래가 괜찮다. 본인 말에 따르면 자신을 두고 기획사 3곳이 경쟁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문제는 활동 후속 곡의 제목이 하필이면 '''[[난 알아요]]'''였다는 것. 심지어 1집 데뷔 시기와 데뷔 프로그램도 서태지와 같았다.[* 유튜브 등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데뷔 프로인 MBC의 "특종TV연예"를 검색해 보면 음반 소개로 잠깐 나온다.] 결국, 그의 가수 활동은 '''[[서태지와 아이들]]'''이 일으킨 폭풍으로 철저하게 묻혔고 훗날 그의 개그 소재로 쓰이게 되었다. 나중에는 지석진 본인도 '''"여기서 서태지랑 대결해 본 사람 있으면 나와 봐!"'''라는 식으로 농담삼아 여러 번 써먹는다.
  • 챈슬러 (음악가) . . . . 1회 일치
         * {{ID 없는 유튜브 사용자|UCIcjOmEJRRt0ERWCSxrdgKQ}}
  • 최준석 . . . . 1회 일치
          * 《[[2015년|2015]] 타이어뱅크 [[KBO 리그]] 미디어데이&팬페스트('15. 3. 23.)》행사에서 [[롯데 자이언츠]]의 [[주장#s-1|주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배지현|사회자]]의 "[[홈런]] 세리머니[* 각 루를 차례로 돌고난 뒤 홈 베이스를 밟을 때 하늘을 향하여 두 번 손짓.]의 의미가 혹시 경기 끝나고 [[족발]] 2인분?"이라는 질문에...[*스포일러 "[[중학교|중]]1 때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는데, 이 [[홈런]]을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바친다는 의미입니다."라고 대답하여 빵터졌던 장내를 일시에 숙연하게 하였다.] [[https://youtu.be/11ez9dbOz94|백문이 불여일견(유튜브 링크)]] ...라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이 세리머니는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076&article_id=0002407001&redirect=false|홍성흔과의 합작품.]] 원래는 홈런친 것을 잊고 다시 시작하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외부에 드러냄으로서 동료의 사기를 높이고 상대에게 위압감을 느끼게 한다고... 이후 세리머니 논란을 의식했는지 대외적으로는 추모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2016년부터는 세리머니를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2&id=2203353|안 하기로 결정했다.]]
  • 트위스티 퍼즐 . . . . 1회 일치
         이러한 큐브를 완성시키고, 그 시간을 측정하는 스포츠도 있다. 이러한 것을 포함해 유튜브에서도 퍼즐 완성 영상을 볼 수 있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1회 일치
         고난이도라고 해도 요령만 있다면 장비가 나빠도 할 수 있는 방식. 하지만 요령을 파악하지 못한다면 몇번씩 리스타트해가며 해야한다. 못해먹겠다면 유튜브에서 스텔스 공략이라도 보자.
  • 한동근 . . . . 1회 일치
         * {{ID 없는 유튜브 사용자|UCGCdG69Z-kLQeqPxBd2BwoQ}}
  • 해쉬스완 . . . . 1회 일치
         * {{ID 없는 유튜브 사용자|UCKZq309YKnWF-atFCL4cOgA}}
  • 홍주찬 . . . . 1회 일치
         * [[백석예술대학교]] 실용음악 (재학) <ref>[https://www.youtube.com/watch?v=K66_cnUupYQ 골든차일드 Golden Child _ 인사 멘트 ment _ 전체직캠 _ 백석예대 OT _올림픽홀], 유튜브.</ref>
11532의 페이지중에 6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