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위서

목차

1. 소개
2. 의미
3. 여담
4. 참조
5. 분류

1. 소개


2. 의미

  • 위서(緯書) : 한나라 시대 유교의 서적을 신비주의적으로 해석한 책. 소위 말하는 도참다. 경서(經書)에서 냩실을 뜻하는 경에 대응하여 씨실을 뜻하는 위(緯)를 붙였다. 본래 위서는 유교 경전의 주석, 해석을 가리키는 것었으나, 한나라 시대에는 유교에 신비주의 요소가 많아지면서 유교 경전을 일종의 예언으로서 해석한 책으로 변질되었다. 전한-후한 시기에 널리 연구되었으며 도참 사상에 용되었다. 광무제는 후한의 건국 명분으로 용하였다. 그러나 폐해도 많아서, 왕망원술 같은 인물 왕조를 세우는데 악용하기도 했다. 서진에서는 사회 혼란을 염려하여 위서를 연구하거나 배우는 것을 금지하여 후로 위서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 하도(河図)라는 위서는 황하에서 나온 용마의 등에 써있어, 복희를 바탕으로 팔쾌를 만들었다고 한다. 낙서(洛書)라는 위서는 우 임금 치수를 할 때 낙수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낙서된 써있는 문장었다고 전해진다.



3. 여담




4. 참조


5. 분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