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울진군 . . . . 44회 일치
[include(틀:울진군의 읍면)]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58D3F7><bgcolor=#DF0174><:>{{{+2 {{{#FFFFFF '''울진군'''}}}}}} [br] {{{#FFFFFF '''蔚珍郡 / Uljin County'''}}} ||
||<-3><bgcolor=#FFFFFF> [[파일:울진군 로고.jpg|width=200]] ||
||<-3><bgcolor=#FFFFFF> [include(틀:지도, 장소=울진군,너비=100%)] ||
||<-2><bgcolor=#08088A> {{{#FFFFFF '''국회의원'''}}} ||<bgcolor=#CEE3F6>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bgcolor=#58D3F7> {{{#FFFFFF '''링크'''}}} ||<bgcolor=#CEECF5> [[http://www.uljin.go.kr/index.uljin|울진군 공식 홈페이지]]
[[https://twitter.com/marinepiauljin|[[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15]]울진군 공식 트위터]]
[[http://blog.naver.com/uljingokr|[[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15]]울진군 공식 블로그]]
[[https://www.facebook.com/marinepiaulj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5]]울진군 공식 페이스북]] ||
||<bgcolor=#F0F8FF> ▲ 나곡 해수욕장 (북면 나실길 20-19)[* 울진군의 최북단 지역의 해수욕장이다.] ||
울진군은 인구가 많지않은 군 지역인데도 [[의성군]]과 더불어 [[국민은행]] 지점이 있다. (울진읍 소재) ~~그런데 정작 [[대구은행]] 지점은 없다.~~
||<tablewidth=100%><-5> '''울진군 행정구역 변천사''' ||
|| [[강원도]][br]울진군[br]江原道[br]蔚珍郡 ||<|2> 강원도[br]울진군[br]江原道[br]蔚珍郡 ||<|2> '''[[경상북도]][br]울진군[br]慶尙北道[br]蔚珍郡''' ||
|| '''황색 : 울진군(蔚珍郡)''' || '''녹색 : 평해군(平海郡)''' ||
고려시대 이래로 울진현과 평해군으로 나뉘어져 존속해왔으며, 1895년 [[23부제]]의 시행으로 강릉부 울진군과 평해군으로 편제되었다. 1년 뒤 13도제의 도입과 동시에 [[강원도]]로 환원되었다.
|| '''황색 : 울진군(蔚珍郡)''' ||
|| 1. 서면(西面)[br]2. 북면(北面)[* 옛 울진군 원북면][br]3. 삼화면(三和面)[* 옛 울진군 근북면 + 상군면 + 하군면][br]4. 근남면(近南面)[br]5. 원남면(遠南面)[br]6. 평해면(平海面)[* 옛 평해군 원북면 + 근북면][br]7. 온정면(溫井面)[* 옛 평해군 원서면 + 근서면][br]8. 월송면(月松面)[* 옛 평해군 상리면 + 북하리면 + 남하리면 + 남면] ||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평해군이 울진군에 흡수되었다.
|| '''황색 : 울진군(蔚珍郡)''' ||
|| 1. 금강송면(金剛松面)[* 옛 서면][br]2. 북면(北面)[br]3. 죽변면(竹邊面)[* 구한말 울진군 근북면과 일치][br]4. 울진읍(蔚珍邑)[* 옛 삼화면][br]5. 근남면(近南面)[br]6. 매화면(梅花面)[* 옛 원남면][br]7. 기성면(箕城面)[* 옛 평해면][br]8. 온정면(溫井面)[br]9. 평해읍(平海邑)[* 옛 월송면][br]10. 후포면(厚浦面)[* 구한말 평해군 남면과 일치] ||
- 영덕군 . . . . 5회 일치
||<bgcolor=#F781F3> {{{#FFFFFF '''국회의원'''}}} ||<bgcolor=#F8E0F7>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그런데 대게 생산지로 알려진 주변지역인 [[울진군]]과는 대게 문제로 사이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산 대게의 원조가 영덕이냐, 울진이냐를 놓고 두 지역간의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으며 지금도 두 지역 사이에서는 대게를 놓고 한 판 경쟁을 벌이는 수준. 정치적으로도 소지역주의로 약간 갈등 소지가 있으니 [[울진군]] 항목 참조.
||<-3> 청송군-영덕군 || 청송군-[br]영양군-영덕군 ||<-4>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 [[강석호]] : 영덕군을 비롯해 [[영양군]], [[봉화군]], [[울진군]] 지역구의 국회의원이지만 실제로는 아랫동네 [[포항시]] 출신이다.
- 영양군 . . . . 5회 일치
||<bgcolor=#FA5858> {{{#FFFFFF '''국회의원'''}}} ||<bgcolor=#F8E0E6>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 면적은 815.14㎢ , 서쪽은 [[안동시]], 북쪽은 [[봉화군]], 남쪽은 [[청송군]], 동쪽은 [[영덕|영덕군]], [[울진군]]과 접하고 있으며 인구는 2018년 2월 기준 약 1만 7천 명. 영양군보다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는 [[경상북도]] [[울릉군]]뿐이다. 그나마도 울릉군은 자그마한 섬이라는 특수성이 있으니, 이 영양군이 (섬을 빼고) [[육지#s-2|육지]] 중엔 사실상 한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셈이며, 이는 [[팔라우]] 전체 인구와 거의 비슷하다. 아울러 인구 밀도 21명/㎢로 전국에서 [[강원도]] [[인제군]]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밀도가 낮은 시군이다. 참고로 인제군의 인구밀도는 20명/㎢. 그러나 주민등록을 옮기지 않고 인제군에서 군 복무를 하는 대다수 군인들을 감안하면, 실제 인구밀도는 오히려 영양군이 인제군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
1906년 영해군 석보면을 편입하였다. 1914년 진보군 북면과 동면을 편입하였다. 1963년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를 편입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 영양군-봉화군 || 영양군-[br]봉화군-울진군 || 청송군-[br]영양군-영덕군 ||<-4>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
- 울릉군 . . . . 5회 일치
||<bgcolor=#F0F8FF> ▲ 주변지역과의 최단거리[* 후포(울진군)가 가장 가까운데, 울진 자체가 1963년 전엔 강원도였다.] ||
[[경상북도]]의 군.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기초자치단체]]이자 경북 유일의 섬으로만 이뤄진 지자체다. 심지어 멀리 [[동해]]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다. 위치상으로는 오히려 강원도에 가까워 보이지만, 직선거리로 제일 가까운 곳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이다(130.3km). 다만 울진은 1962년에 [[경상북도]]로 이관되기 전까지는 강원도 소속이었고 울릉도 자체도 1906년까지는 강원도 소속이었다. 그러다가 1906년 13도 분도 후에 뜬금없이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가 1914년에서야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엉뚱하게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와 묶여있다. 그런데 정작 포항에서 울릉도로 들어가는 관문인 포항 구항은 북구에 있다.--신나는 [[월경지]]-- 이는 포항 남구보다 포항 북구 인구가 미묘하게(2~3만 명 정도) 많아서 그렇게 묶은 것으로 추정된다. 인구 비례를 생각하면 경상북도의 농촌 선거구에 옮기는게 맞겠지만, 선거운동하기가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배편이 있는 울진군에 엮으면 될 것 같지만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만으로도 벅차다. 네 군 모두 벽지 중의 벽지긴 한데 울진은 그나마 낫다. 다시 [[강원도]]로 옮길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지방자치가 본격화된 이후로 행정구역 옮기는 것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쉽진 않다. 행정적으로 경상북도에 속한 이후로 말투도 경상북도 사투리가 발달했다. 거기다 원래 울릉도에 살던 강원도 사람들은 대다수 이미 사망하였거나 외지로 떠났고 현재 울릉군 주민들은 경북 출신들이 대다수. 경계가 애매한 지역들은 양쪽 사이에서 소속감이 애매한 사례가 비일비재한데, 면적도 좁은데다 고립된 섬이라는 특수성까지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경북쪽 정서로 비슷해진 느낌이다.
[[포항시]], [[울진군]] 후포면 후포항,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 [[강릉시]]에서 울릉도로 왕래하는 배를 탈 수 있다. 대부분 [[대아고속해운]]에서 운항한다.
- 경상북도 . . . . 1회 일치
[[울진군]]''' || 蔚珍郡 || 989 || 52,681 || 23,864
- 박기환(정치인) . . . . 1회 일치
'''지방자치제도 도입 후 [[TK]]에서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당선된 기초지방단체장.'''[*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울진군]]수에 당선된 신정 전 군수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구미시]]장에 당선된 [[장세용]] 현 시장이 있다.]
-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울진군 출신 인물]]
- 장세용 . . . . 1회 일치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20년만에 탄생한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TK 기초자치단체장'''[* 당시 경북 울진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의 [[신정]] 후보가 [[한나라당]]의 전광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으로 당선된 [[박기환(정치인)|박기환]] 전 시장을 포함하면 3번째 사례이다.]
- 해원군 . . . . 1회 일치
[[인성군 이공]]의 3남(三男)으로 출생한 그는 일찍이 [[1619년]] '''해원정'''(海原正)에 책봉되었는데 아버지 [[인성군]]이 반정공신 이귀(李貴)의 핍박 섞인 모함으로 인하여 모반역모 혐의를 받자 [[1628년]]을 기하여 형 해평군 · 해안군, 아우 [[해양군]] 등과 아울러 역신의 후손이라 하여 [[제주도|전라도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뒤 [[1635년]] [[제주도|전라도 제주]]에서 [[울진군|경상도 울진]]으로 이배되었고 2년 후 [[1637년]] 석방되었다.
11531의 페이지중에 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