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AFC 회원 랭킹 . . . . 27회 일치
[[아시아축구연맹]]에 소속된 협회에서 일정기간동안 거둔 업적을 평가하여 산정한 순위자료다. AFC에서는 AFC MA Ranking이라 표기하고 있으며, 한국 언론에선 보통 AFC 랭킹으로 표기하고 있다. AFC 회원 순위는 AFC에서 주관하는 각종 클럽대항전 참가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에서 말하는 회원이란 특정 국가를 대표할 수 있는 축구협회를 가리키며, AFC에서는 특정한 상황이 아닌 한 1국가 1회원이라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다소 정치적인 문제와 역사 때문에 중국 본토와 마카오, 홍콩에 있는 축구협회는 중국이라는 하나로 보지 않고 별개로 인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회원순위를 산정할 때는 해당 회원이 운영하는 클럽과 리그에서 거둔 "클럽 점수"와 국가대표팀이 거둔 "국가대표팀 점수"(=National Team points, 이하 국대 점수)를 구해 이 둘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한다. 클럽 점수와 국대 점수를 합산하면 최대 100점을 부여받을 수 있다. 2016년 기준, 클럽과 국대간의 가중치는 7:3으로 클럽 점수는 70점 만점에 국대 점수는 30점 만점으로 책정되어 있다.
== 클럽 점수 산정 ==
클럽 점수는 2016년 기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규정에 의해 점수를 배정받는다.
1. 최고의 성과를 거둔 회원에게 70점을 부여한다. 나머지 회원들은 최고 득점 회원이 받은 성과에 비례하여 클럽 점수를 부여받는다.
여기에서 각 클럽팀이 얻는 점수는 모두 소속 협회의 점수에 합산된다.
1. 각 클럽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로 3점을 부여한다.
1. 만약 해당 대회에 참가한 클럽이 2팀 이상일 때, 상기 조건에 의해 얻은 점수들은 최종 획득 점수에 참가한 클럽팀의 수로 나눈다.
=== 클럽 점수 계산 예시 ===
* 대한민국 축구협회가 지난 4년간 얻은 총 클럽 점수가 190점으로 아시아 팀들 중에 최고 득점을 받으면 한국의 클럽 점수는 70점이 된다.
* ex1)사우디의 4년간 클럽 점수 = 182 / 190[* 최고점인 한국이 받은 점수를 의미] * 70[* 최대 클럽 점수] = 67.052
* ex2)일본의 4년간 클럽 점수 = 177 / 190 * 70 = 65.210
* ex3)카타르의 4년간 클럽 점수 = 188 / 190 * 70 = 69.263
[[UEFA 계수]]와는 달리 국가대표팀의 성과를 클럽의 성과와 연결한다는 점에서 AFC의 기본적인 시각이 드러나 있다. 클럽이나 국대나 어차피 종국에는 협회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것이므로 이 둘을 분리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 말하자면 "협회국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하나의 지표로 통합"하겠다는 점에서 UEFA 계수와는 차별되는 대표적인 특징이다.
이는 AFC 챔피언스 리그와 AFC 컵의 대회진행방식이 갖고 있는 한계점 때문으로 해당 대회들은 이 순위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지만 결승전을 제외하면 이 동아시아와 서아시아가 맞붙을 일은 전혀 없다. 동아시아든 서아시아든 획득하는 클럽점수의 상당부분은 같은 지역끼리의 대결을 통해 얻으므로 아시아 지역 전체를 총평하는 설득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
여기에 대해 동아시아쪽이 서아시아보다 불만이 많을 수 밖에 없는게, 2016년 시점에서 바라보면 명백히 서아시아는 동아시아보다 ACL 우승횟수가 떨어진다.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ACC)이 ACL로 개편된 이후의 역사를 통틀어 살펴보면 서아시아는 2015년까지 4번 우승, 동아시아는 9번 우승이다. 누가봐도 명백히 클럽 성과가 동아시아쪽이 더 치열하고 강한데다가 2013시즌부터는 자꾸 서아시아가 우승을 못해 흥행이 저하될 우려가 보이는지 토너먼트전에서 동서의 대결이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을 결승전에서만 동서끼리 교류가 가능한 구조로 바꿔버린다. 이러다보니 2015시즌 AFC 회원 순위를 보면 1위가 대한민국인 건 그간의 성적을 미뤄 봤을 때 논란이 적을 수 있으나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이 사우디, 이란, 아랍에미레이트보다 점수가 낮게 나오는 상황은 도무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사우디는 백번 양보해서 그래도 지난 4년동안(2012~2015) ACL 준우승을 두번 차지한 적이 있으니 그럭저럭 인정할 수 있겠고, 이란은 국가대표가 준수하게 활약하고 있어 국대점수를 최대로 받았으니 이 부분도 충분히 납득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호주와 중국이 아랍에미레이트보다 낮게 나오는 점수는 그 누구도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2013시즌, 2015시즌 ACL을 우승한 중국과 2014시즌 ACL을 우승한 호주의 2015년 클럽 점수가 각각 46.793에 41.273이다. 반면에 동 기간동안 준우승 1번밖에 없는 아랍 에미레이트는 54.503이다(...).
UEFA에서는 클럽의 성과를 측정하여 협회의 성과를 측정하고, 또 이로 인해 순위에 변동이 생기면 협회가 획득한 순위에 맞는 티켓을 다음 시즌에 부여함이 명료하게 적시되어 있다. 만약 잉글랜드가 뻘짓을 해서 UEFA 계수가 10위에 떨어지면 차기 시즌은 10위에 해당하는 UCL 티켓과 UL티켓을 받게 된다. 만약 리히텐슈타인이 갑자기 엄청 잘해서 UEFA 계수 1위에 올라오면 UL에만 참가가능한 대우가 UCL 4장, UL 3장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엔 별도의 의결이 필요없다.
- 이광훈 (축구선수) . . . . 11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9-2011
|청소년 클럽=[[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클럽 연도= 2012-2015<br />2015<br />2016<br />2017<br />2018-
|클럽= [[포항 스틸러스]]<br />→ [[대전 시티즌]] (임대)<br />[[수원 FC]]<br /> [[강릉시청 축구단|강릉시청]]<br />[[청주 시티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8년]] [[1월 20일]]
|감독 클럽=
이광훈은 [[포항 스틸러스]] 산하의 유소년 팀인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를 거쳤으며, 2011년 [[K리그 주니어|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에서는 17경기 13골로 득점왕에 오르며 포철공고의 챌린지리그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축구 명문 포철공고 ‘고교 최강자 등극’|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2&aid=0002314967 |출판사=세계일보 |date={{날짜한글화|2011-10-03}} }}</ref>
===클럽 경기 출장 기록===
!rowspan="2" width=15%|클럽
=== 클럽 ===
* 2011년 [[K리그 주니어|SBS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득점왕
- 유병수 . . . . 10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1-2003 <br /> 2004-2006 <br /> 2007-2008
|청소년 클럽 = [[둔촌중학교]] <br /> [[언남고등학교]] <br /> [[홍익대학교]]
|클럽 연도=2009-2011 <br /> 2011-2013 <br /> 2013-2016 <br> 2017-2018
|클럽 = [[인천 유나이티드]] <br /> [[알힐랄 (리야드)|알힐랄]]<br /> [[FC 로스토프]]<br> [[김포 시민축구단]]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7년]] [[1월 9일]]
|감독 클럽=
== 클럽 경력 ==
[[2013년]] [[6월 22일]] 알힐랄은 유병수가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FC 로스토프]]로 이적한다고 공식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http://news.sportsseoul.com/read/soccer/1200347.htm |제목=유병수, 사우디에서 러시아 FC 로스토프로 이적 |출판사=스포츠서울 |저자=신원엽 |날짜=2013-06-23}}</ref> 러시아로 이적한 유병수는 리그 득점왕 출신 팀 동료 [[아르템 주바]]에게 밀려 데뷔 시즌 선발 출전 2경기에 그쳤으나 주로 조커로 총 17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기록하였다. 한편 [[러시아 컵]]서도 3경기에 출전하며 팀이 클럽 최초 컵대회에 우승하여 [[유로파리그]] 티켓을 획득하는 데 기여하였다.
=== 클럽 ===
!rowspan="2" width=15%|클럽
- 이민아 (축구선수) . . . . 10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
|청소년 클럽 =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br /> [[영진전문대학]]
|클럽 연도 = 2011-2017 <br /> 2018-
|클럽 = {{국기그림|대한민국}}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WFC|인천 현대제철]] <br /> {{국기그림|일본}} [[아이낙 고베 레오네사|아이낙 고베]]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5년 2월 1일
|감독 클럽 =
|축구행정가 클럽 =
=== 클럽 ===
!rowspan="2" width=5%|클럽
=== 클럽 ===
- 정형돈 . . . . 10회 일치
* [[KBS]] 《[[폭소클럽]] - 디카클럽, 댄서의 전설, 개그 리플을 달아주세요 & 객석공감, 사랑을 위하여, 100자 동화, 여걸 난타》
*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차승원의 헬스클럽》
*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동안클럽]]》
* [[SBS]] 《[[재미있는 퀴즈클럽]]》
* [[SBS]] 《설 특집 - 재미있는 퀴즈클럽 (2월 2일) : MC》<ref>{{뉴스 인용|제목=정형돈-한유라 부부, MC-작가로 결혼 후 첫 의기투합|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11802387|출판사=한경닷컴|저자=연예뉴스팀|날짜=2011-01-18}}</ref>
* [[SBS 파워FM]] 《박용하의 텐텐클럽 200회 (11월 12일) : 게스트》
* [[SBS 파워FM]] 《박용하의 텐텐클럽 251회 (1월 2일) : 게스트》
* [[SBS 파워FM]] 《하하의 텐텐클럽 122회 (5월 9일) : 게스트》
| 현재 요약 아래 = [[무한도전]], [[일요일일요일밤에]] - 동안클럽, [[우리 결혼했어요]]<br /><br />[[신정환]] (남자)<br />[[서인영]]{{·}} [[솔비]] (여자)
- 최원권 . . . . 10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 = [[동북고등학교 축구부|동북고등학교]]
|클럽 연도= 2000-2010 <br />2009-2010<br />2011-2013<br />2013<br />2014<br />2014-2016
|클럽=[[FC 서울|안양 LG 치타스 / FC 서울]] <br />→ [[광주 상무 축구단|광주 상무]] (군 복무)<br /> [[제주 유나이티드]] <br />→ [[대구 FC]] (임대) <br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경주 한수원]] <br /> [[대구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6년]] [[11월 1일]]
|감독 클럽= [[대구 FC]] (플레잉 코치)
== 클럽 경력 ==
[[2000년]] [[FC 서울|안양 LG 치타스]] (현 [[FC 서울]])에 입단하여 [[K리그]]에 데뷔했으나, 그 해 [[아디다스 컵]]을 포함하여 4경기를 뛰는데 그쳤고, [[2001년]]에서야 리그에서 14경기를 뛰며 경기 출전횟수를 늘리기 시작하였다. 주로 [[미드필더|윙어]]로 활약하였으나 [[수비수|풀백]]으로 주 포지션을 변경하여, [[K리그 2001|2001년 K-리그]] 준우승,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04년]]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특별시]]로 연고를 이전하고 구단 명칭을 변경한 [[FC 서울]]에서 계속 활약하였다. [[2006년]] [[3월 25일]]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자신의 프로 통산 첫 [[어시스트]] [[해트트릭]]을 기록하기도 하였고,<ref>[http://new.kleaguei.com/news/kleague/view.aspx?u=7598 FC 서울 최원권 도움 헤트트릭 기록 ]</ref> [[2008년]] [[K리그]]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 클럽 ===
* [[AFC 챔피언스리그|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준우승 1회 (2002년)
- 황보관 . . . . 10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83-1987
|청소년 클럽= [[서울대학교]]
|클럽 연도=1988-1995<br />1996-1997
|클럽= [[유공 코끼리]]<br />[[오이타 트리니타]]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07년]] [[6월 30일]]
|감독 클럽=[[오이타 트리니타]] (코치)<br />[[오이타 트리니타]] U-18<br />[[오이타 트리니타]] <br />[[오이타 트리니타]] <br />[[오이타 트리니타]] (부의장&디렉터)<br />[[오이타 트리니타]] <br /> [[FC 서울]]
'''황보 관''' (皇甫 官, [[1965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 축구 클럽 경영자이자 전 [[대한축구협회]] 소속의 행정가였다. [[일본]] [[J리그]] 팀 [[오이타 트리니타]]의 코치, 감독을 거쳐 오이타 구단의 부사장 및 이사를 맡았고 [[2010년]]부터 오이타의 감독직을 다시 맡게 되었다. [[2011년]] [[대한민국]] [[K리그 클래식|K리그]] 팀 [[FC 서울]]의 감독을 맡아 [[대한민국]] 무대에 복귀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117일 만에 사임하고 [[최용수 (축구인)|최용수]]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사임한 후 [[대한축구협회]]로 옮겨 기술교육국장을 맡았고 [[이회택]]의 후임으로 기술위원장이 되었다. 본관은 [[영천 황보씨]]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 코끼리]]에서 데뷔하여, 그 해 [[K리그 영플레이어상|K리그 신인상]]을 받았다. [[1994년]] [[8월 6일]]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버팔로]]와의 경기에서 [[K리그 클래식|K리그]] 통산 7번째로 [[20-20클럽]]에 가입하였다. [[1995년]] [[일본]]의 [[오이타 트리니타]]로 이적하여 [[1996년]] 팀의 1부 리그로의 승격에 공헌하는 등 중심 선수로 활약하며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하였다. [[1998년]] 시즌 중 은퇴하였다.
=== 클럽 ===
* [http://www.national-football-teams.com/v2/player.php?id=21642 클럽 & 국가대표팀 기록]
- 김승대 . . . . 8회 일치
== 클럽 경력 ==
* 2018년 3월 11일, 전남전에서 도움을 기록하며 K리그 통산 98경기 [[20-20 클럽#s-2|24득점 20도움]]을 달성했다.
=== 통산 클럽 기록 ===
|| 시즌 || 클럽 || 리그 출전 || 리그 골 || 리그 도움 || FA컵 출전 || FA컵 골 || FA컵 도움 || ACL 출전 || ACL 골 ||
||<#00703c> '''{{{#eee156 2018.3.11}}}''' ||<#00703c> '''{{{#eee156 포항}}}''' ||<#00703c> '''{{{#eee156 전남}}}''' ||<#00703c> '''{{{#eee156 도움}}}'''[* 포항 스틸러스 소속으로 8번째 [[20-20 클럽#s-2|20-20 클럽]] 달성자] ||
'''하지만''' 이명주가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서 탈락하고 아시안 게임 승선까지 불투명해지면서, 월드컵 브레이크 동안 중동의 [[알 아인]]으로 이적하면서 상황이 바뀐다. 이명주의 킬패스를 받으며 라인 브레이킹을 일삼던 김승대는 이명주 대신 중원을 지키게 된 김재성과 호흡이 맞지 않으며 득점력이 폭망했고, 결국 [[황선홍]] 감독은 이런 저런 수를 모두 써보다 결국 이명주의 빈자리를 채우지 못한 중앙 미드필더 복구가 우선이라는 생각에 김승대를 중미로 내리고 만다. 이명주가 나간 자리에 카타르에 임대로 보냈던 신진호가 복귀했으면 이명주의 역할을 그대로 맡기면서 김승대의 득점력을 보존할 수도 있었겠지만, ~~만악의 근원~~ 포항 프런트답게 미적지근하게 신진호와 협상하다 결국 신진호는 카타르의 다른 클럽으로 임대 연장보내 버렸다.
'''같은 클럽이었던 [[신화용]]과 마찬가지로 성인 국대 운이 정말 없다.'''
- 이명주 (축구선수) . . . . 8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3-2005 <br/> 2006-2008 <br/> 2010-2011
|청소년 클럽= [[포항제철중학교]] <br/>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br/> [[영남대학교]]
|클럽 연도=2012-2014 <br/> 2014-2017<BR>2017 <br/>2018-
|클럽=[[포항 스틸러스]] <br/> [[알아인 FC|알아인]]<BR>[[FC 서울]]<br />→ [[아산 무궁화 축구단|아산 무궁화]] (군 복무)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10월 28일]]
|감독 클럽=
== 클럽 경력 ==
[[2014년]] [[6월 9일]], 포항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명주의 [[알아인 FC|알아인]] 이적을 발표하였다. 이적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언론은 그의 이적료와 연봉을 합쳐 총 95억 원 정도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등번호는 포항에서의 번호인 29번을 선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총액 95억원' 이명주 알아인 이적, K리그 이적사 다시 썼다 |url=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6100100083460005726&servicedate=20140609 |출판사=스포츠조선 |date={{날짜한글화|2014-06-9}} }}</ref> 7월 '알아인 인터내셔널 친선대회'에서 두 경기 연속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또한 9월 30일 열린 [[AFC 챔피언스리그 2014|AFC 챔피언스리그]] 4강 2차전에 [[알힐랄 (리야드)|알힐랄]]과의 경기에서 전반 10분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으나, 1, 2차전 합계 2:4로 결승 진출에는 실패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ACL) ‘이명주 선제골’ 불구 알아인 결승 좌절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413&article_id=0000011083 |출판사=인터풋볼 |date={{날짜한글화|2014-10-1}} }}</ref> 한편 정규리그에서는 12월에 열린 10, 11라운드에서 두 경기 연속 어시스트를 기록하였으며, 13라운드 [[샤르자 스포츠 클럽|샤르자]]와의 경기에서는 정규리그 첫 골을 성공시켰다. [[2015년 AFC 아시안컵|아시안컵]] 이후 복귀한 14라운드 [[알샤바브 (두바이)|알샤바브]]와의 경기에서도 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주전으로 활약하며 [[알아인 FC|알아인]]의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2014-15시즌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 조진호 (축구인) . . . . 8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1992-1993
|청소년 클럽 =[[경희대학교]]
|클럽 연도=1994-1999<br />1997-1998<br />2000<br />2001-2002
|클럽=[[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 아톰즈 / 포항 스틸러스]]<br />→ [[국군체육부대|상무]] (군복무)<br />[[제주 유나이티드 FC|부천 SK]]<br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감독 클럽 = [[제주 유나이티드 FC|부천 SK / 제주 유나이티드]] (코치) <br /> [[제주 유나이티드 FC]] (대행) <br /> [[제주 유나이티드 FC]] (코치) <br /> [[전남 드래곤즈]] (코치) <br /> [[대전 시티즌]] (수석 코치) <br /> [[대전 시티즌]] (대행) <br /> [[대전 시티즌]] <br />[[상주 상무 축구단|상주 상무]]<br>[[부산 아이파크]]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5년]] [[2월 13일]]
* [[AFC 챔피언스리그]] : 우승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6-97|1996]]),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97-98|1997]])
- 최성국 (축구선수) . . . . 8회 일치
| 청소년 클럽 연도 = 1998-2000 <br /> 2001-2002
| 청소년 클럽 = [[정명고등학교]] <br /> [[고려대학교 축구부|고려대학교]]
| 클럽 연도 = 2003-2006 <br /> 2005 <br /> 2007-2010 <br /> 2009-2010 <br /> 2011
| 클럽 =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 호랑이]] <br /> → [[가시와 레이솔]] (임대) <br />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br /> → [[광주 상무 불사조]] (군 복무) <br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1년]] [[6월 25일]]
| 감독 클럽 =
== 클럽 경력 ==
=== 클럽 ===
- 황교충 . . . . 8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1992-1997 <br /> 1998-2000 <br /> 2001-2003 <br /> 2004-2007
|청소년 클럽= 문백초등학교 <br /> 문일중학교 <br /> [[문일고등학교]] <br /> [[한양대학교]]
|클럽 연도= 2008-2009 <br /> 2010-2013 <br /> 2014-2015 <br /> 2016
|클럽= [[김해시청 축구단|김해시청]] <br /> [[포항 스틸러스]] <br /> [[강원 FC]] <br /> [[용인시청 축구단|용인시청]]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2015년]] [[12월 20일]]
|감독 클럽=
== 클럽 경력 ==
=== 클럽 ===
- 박성배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94-1997
|청소년 클럽=[[숭실대학교]]
|클럽 연도=1998-2002<br />2003-2004<br />2005-2006<br />2005<br />2007<br />2008-2009<br />2009<br />2010
|클럽=[[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다이노스]]<br />[[광주 상무 불사조]] <small>(군 복무)</small><br />[[FC 서울]]<br />→ [[부산 아이파크]] <small>(임대)</small><br />[[수원 삼성 블루윙즈]]<br />[[영하트 마나와투]]<br />[[이스턴 서버브스 AFC|이스턴 서버브스]]<br />[[용인시청 축구단|용인시청]]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감독 클럽=
=== 클럽 경력 ===
- 송병구 . . . . 7회 일치
* 2008년 10월 2일 클럽데이 온라인 2008 32강 E조 5경기 송병구 승
* 2008년 10월 18일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16강 A조 1경기 송병구 승
* 2008년 10월 25일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16강 A조 2경기 박지수 승
* 2008년 10월 25일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16강 A조 3경기 송병구 승
*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8강 ( 2:3 김구현)
**프로토스 중 본선 최다 진출 (스타리그 17회, MSL 10회로 총 27회,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분류: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포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프로토스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송정현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95-1998
|청소년 클럽=[[아주대학교]]
|클럽 연도=1999-2002<br />2003-2005<br />2006-2008<br />2009<br />2009-2011
|클럽=[[전남 드래곤즈]]<br />[[대구 FC]]<br />[[전남 드래곤즈]]<br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br />[[전남 드래곤즈]]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09년]] [[1월 1일]]
|감독 클럽=
=== 클럽 ===
- 신화용 . . . . 7회 일치
포항제철동초등학교 4학년때 단거리 육상선수에서 축구로 전향하여 포철중-포철공고까지 유스 테크트리를 탔으나 골키퍼였음에도 작은 키와 실력 성장 정체가 문제가 되어 프로입단에 실패하게 된다.[* 졸업 당시 179cm였다고 한다.] 그러던 와중에 포항 원 클럽 맨이었던 최상국 감독이 청주대로 신화용을 부르게 되고 신화용은 청주대로 가게 된다. 하지만 당시 청주대 축구부는 프로 입단,대학 입학 경쟁에서 밀린 선수들이나 가는 곳이었고 선수들의 의욕도 없었다. 게다가 1학년때 허리 디스크 부상을 당하면서 축구를 그만둘뻔 하기까지 했다.[* 이때 디스크 부상으로 인해 군 면제를 받게 된다.] 신화용이 2학년이 되자 청주대 감독이 유인권 감독으로 바뀌었고 유인권 감독의 지도하에 성장했다. 이때 포항의 백업 골키퍼였던 조준호가 이적하면서 팀에 키퍼가 부족해지자 포항은 신화용에게 입단 제의를 했고 그렇게 고향으로 돌아오게 된다.
= 클럽 =
그리고 이어진 활약상으로 2013 K리그 3라운드 수원과의 경기에서 선방쇼를 보여준 끝에 3라운드 MVP로 뽑혔다. 수상 소감 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2012 시즌 후 FA로 풀리는 과정에서 포항과 있었던 연봉 협상[* 이 때 [[황진성]]과 더불어 연봉협상에 제일 난항을 겪었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ACL 선수등록 하루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며 아슬아슬하게 팀에 남게 되었다.]의 뒷 이야기도 풀어놨는데 포항의 모기업인 포스코가 경영악화로 신화용에 걸맞는 연봉을 못 주는 상황에서 일본 클럽이 2배에 가까운 연봉을 제시했지만, 포항 유스 출신으로서 포항과 포항팬들에 대한 애정과 [[황선홍]] 감독에 대한 믿음 때문에 남는 것을 결정했다고 한다. ~~포스코 경영진들 보고 있나?~~ ~~경영정상화 되면 두고봅시다.~~ 이때 인터뷰에서 한 정확한 발언은 "감독님이 첫 번째 이유다. 전지훈련 도중 떠난다는 말을 못하겠더라. 감독님과 두 번 다시 안 볼 사이도 아니다. 그리고 나를 믿어준 동료들도 있었다. 고향이고 팬들도 마음에 걸렸다. 남아야할 이유가 더 많았다. 떠날 이유는 돈 뿐이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124687&date=20130319&page=2|보러가기]]
= 클럽 경력 =
= 클럽 기록 =
|| 시즌 || 클럽 || 리그 출전 || 리그 실점 || FA컵 출전 || FA컵 실점 || ACL 출전 || ACL 실점 ||
* 2016시즌까지는 13시즌을 포항에서만 헌신해온 원클럽맨이었으나, 2017시즌 수원으로 이적하면서 아니게 되었다.
- 실업팀 . . . . 7회 일치
실업팀은 기업, 군부대, 공공기관, 지자체 등의 구성원, 종업원으로 구성된 팀이다, 실업팀은 원칙적으로 종업원의 "사내 스포츠 클럽"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상부 조직의 특정한 '부서'로서 운영된다. 따라서 팀의 운영은 전적으로 해당 상부 조직의 관리 하에 놓여져 있다.
실업팀의 운영 실태는 모 회사나 운영단체의 성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반 종업원과 똑같이 업무를 하고, 잔업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만 연습과 시합을 하며 어디까지나 부가 활동으로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실상 실업팀 활동이 주가 되며 활동이 거의 프로 스포츠 [[클럽팀]]과 같은 수준으로, 형식만 실업팀일 뿐이지 종업원으로서의 활동은 거의 하지 않고 스포츠 활동에만 노력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종목을 관할하는 협회의 기준에 따라 준프로 내지는 세미프로로 규정되기도 하며, 그에 걸맞는 대우를 받는다.[* 축구의 경우, KFA에서는 세미프로로 규정된 실업팀들은 대학팀 같은 완전한 아마추어 팀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팀으로 규정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FA컵]]에서 1라운드 예선을 면제받고 2라운드부터 참가할 수 있는 등의 혜택을 받는다.]
근대 팀 스포츠는 노동자의 여가 생활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다.[* 반대로 개인 스포츠는 귀족적인 여가 생활에서 파생된 경우가 많다.] 노동자들은 주로 소속된 공장, 회사 단위로 스포츠 클럽을 조직하였는데, 이런 형식의 스포츠 클럽이 훗날 실업팀의 모체가 되었다. 공장 단위로 조직된 것은 서로 스케쥴이 맞고 연락을 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가 흔적으로 남은 유명한 사례로, [[잉글리쉬 프리미어 리그]]의 [[아스날 FC]]가 있다. 아스날은 영국 육군 조병창의 실업팀에서 유래하였으며, [[클럽팀]]으로 전환한 뒤에도 아스날(조병창)이라는 명칭을 유지하고 있다.
=== 스폰싱 활성화와 클럽화 ===
20세기에는 '사내'에 조직을 두는 것을 우선시 하던 한국, 일본에서도 21세기에는 스폰싱과 그로 인한 홍보 성과 계산이 일반화 되었다. 이로 인하여 조직이 분리되는 것이 실업팀의 쇠퇴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일본의 경우는 과거의 실업팀들은 법인화를 통해 독자적인 클럽팀으로 전환하고, 기존의 실업 모체는 스폰서로 전환되어 조직이 아예 분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이승현 (1985년 7월)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4-2005
|청소년 클럽=[[한양대학교]]
|클럽 연도=2006-2011 <br> 2011-2015 <br> 2013-2014<br>2016-
|클럽=[[부산 아이파크]] <br> [[전북 현대 모터스]] <br> → [[상주 상무 축구단|상주 상무]] (군 복무)<br>[[수원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6년]] [[12월 12일]]
|감독 클럽=
=== 클럽 ===
- 장남석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중앙대학교]]
|클럽 연도=2006-2011 <br/> 2011
|클럽=[[대구 FC]] <br/> → [[상주 상무 축구단|상주 상무 피닉스]] (군 복무)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감독 클럽=
!rowspan="2"|클럽
- 천제훈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 2004-2005
|청소년 클럽 =
|클럽 연도 = 2006-2011<br />2009-2010<br />2013<br />2014-
|클럽 = [[FC 서울]]<br />→ [[광주 상무 불사조|광주 상무]] (군 복무)<br /> [[포천 시민축구단]]<br /> [[목포시청 축구단|목포시청]]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5년]] [[11월 14일]]
|감독 클럽 =
=== 클럽 ===
- 최효진 (축구선수)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2-2004
|청소년 클럽 =[[아주대학교]]
|클럽 연도=2005-2006<br />2007-2009<br />2010-2014<br />2011-2012<br />2015-
|클럽= [[인천 유나이티드]] <br />[[포항 스틸러스]]<br />[[FC 서울]]<br />→ [[상주 상무 축구단|상주 상무]] (군 복무)<br />[[전남 드래곤즈]]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6년]] [[12월 2일]]
|감독 클럽=
=== 클럽 ===
- 한국영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숭실대학교]]
|클럽 연도=2010-2013<br />2014 <br />2014-2016<br />2016-2017<br />2017-
|클럽=[[쇼난 벨마레]]<br />[[가시와 레이솔]]<br />[[카타르 SC]]<br />[[알가라파 SC]]<br />[[강원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6년]] [[5월 13일]]
|감독 클럽=
[[2013년]] [[유럽]] [[프라이부르크]]와 [[셀틱]], [[클럽 브뤼헤]] 등이 한국영에게 관심을 보였으나 이적이 성사되지는 못하였다. 이후 한국영은 [[김창수 (축구 선수)|김창수]]가 뛰고있는 [[일본]]의 [[가시와 레이솔]]로 이적하였다. [[2015년]] [[카타르 스타스 리그]] [[카타르 SC]]로 이적하였다.
- 황지웅 . . . . 7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8-2011
|청소년 클럽=[[동국대학교]]
|클럽 연도=2012-2017 <br /> 2016-2017 <br> 2018-
|클럽=[[대전 시티즌]]<br/ > → [[안산 무궁화 축구단|안산]] / [[아산 무궁화 축구단|아산 무궁화]] (군 복무) <br>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경주 한국수력원자력]]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10월 30일]]
|감독 클럽=
=== 클럽 ===
- 김세윤 (1999년)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12-2014<br />2015-2017
|청소년 클럽=[[무산중학교]]<br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대전 시티즌]])
|클럽 연도=2018-
|클럽=[[대전 시티즌]]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12월 26일]]
|감독 클럽=
- 박수일 (축구선수)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광주대학교]]
|클럽 연도=2017<br>2018-
|클럽= [[김해시청 축구단|김해시청]] <br> [[대전 시티즌]]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8년]] [[3월 8일]]
|감독 클럽=
- 배천석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 2006-2008<br />2009-2011
|청소년 클럽 =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br />[[숭실대학교]]
|클럽 연도 = 2011-2014<br />2011-2012<br />2015<br />2016-2017 <br />2018-
|클럽 =[[포항 스틸러스]]<br />→ [[비셀 고베]] (임대)<br />[[부산 아이파크]]<br />[[전남 드래곤즈]]<br /> [[이천 시민축구단]]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6년]] [[12월 3일]]
=== 클럽 ===
- 이승엽 . . . . 6회 일치
16홈런, 2할대 타율로 시즌을 마감한 그는 일본 시리즈가 끝난 이후인 [[11월 14일]]에 [[한일 클럽 챔피언십]] [[KIA 타이거즈]]와의 대구에 1루수로 선발 출전해 2루타 두 방을 날리며 4타수 2안타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승엽 “내 야구 인생에 포기는 없다”|url=http://news.nate.com/view/20091116n04063|출판사=스포츠월드|날짜=2009-11-16}}</ref>
* 서울외신기자클럽 외신홍보상 (2003년)
{{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오릭스 버펄로스 선수]][[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분류:지바 롯데 마린스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0타점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400홈런 클럽]][[분류:한국시리즈 MVP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MVP 수상자]][[분류:KBO 장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출루율상 수상자]][[분류:KBO 득점상 수상자]][[분류:KBO 안타상 수상자]][[분류:KBO 타점상 수상자]][[분류:KBO 홈런상 수상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광주 이씨]][[분류:대구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장준영 (축구선수)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9<br />2010<br />2010-2011<br />2012-2015
|청소년 클럽=[[대신고등학교 (서울)|대신고등학교]]<br />[[풍생고등학교]]<br />[[대신고등학교 (서울)|대신고등학교]]<br />[[용인대학교]]
|클럽 연도=2016-2017<br>2018-<br>2018-
|클럽=[[대전 시티즌]]<br>[[성남 FC]]<br>→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임대)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8년]] [[1월 11일]]
|감독 클럽=
- 정대선 (축구선수)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중앙대학교]]
|클럽 연도=2010-2011<br />2011-2013<br />2014<br />2015-
|클럽=[[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br />[[경남 FC]]<br />[[FC 안양]]<br />[[화성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4년]] [[12월 10일]]
|감독 클럽=
- 정정용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청구고등학교]]<br/>[[경일대학교]]
|클럽 연도=1992-1997
|클럽 = [[이랜드 푸마 축구단|이랜드 푸마]]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6년]] [[11월 1일]]
|감독 클럽=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 (코치)<br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br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 (코치)<br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코치)<br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코치)<br>[[대구 FC]] (수석 코치) <br />[[현풍고등학교]]<br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8]]<br>[[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감독 대행)<br>[[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감독)<br>[[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감독 대행)
- 최문식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87-1989
|청소년 클럽=[[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클럽 연도=1989-1998<br />1996-1997<br />1999-2000<br />2001<br />2001<br />2002
|클럽=[[포항 스틸러스|포항 아톰즈 / 포항 스틸러스]]<br />→ [[국군체육부대|상무]] (군복무)<br />[[전남 드래곤즈]]<br />[[오이타 트리니타]]<br />[[수원 삼성 블루윙즈]]<br />[[제주 유나이티드 FC|부천 SK]]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03년]] [[1월 1일]]
|감독 클럽=[[포항제철중학교]] <br />[[포항 스틸러스]] (2군 감독)<br /> [[전남 드래곤즈]] (수석 코치)<br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br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수석 코치)<br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수석 코치)<br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감독대행) <br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수석 코치)<br /> [[대전 시티즌]]<br />[[옌볜 푸더]] (수석 코치)
- 최성환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97-1999<br>2000-2003
|청소년 클럽=[[배재고등학교]]<br>[[전주대학교]]
|클럽 연도=2005-2006<br>2007-2012<br>2012-2013<br>2014<br>2015
|클럽=[[대구 FC]]<br> [[수원 삼성 블루윙즈]]<br>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br> [[광주 FC]]<br> [[경남 FC]]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5년]] [[12월 20일]]
|감독 클럽=
- 탁준석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91-1993<br>1994-1996<br>1997-2000
|청소년 클럽=[[광명중학교]]<br>[[풍생고등학교]]<br>[[고려대학교]]
|클럽 연도=2001-2003<BR>2004
|클럽=[[대전 시티즌]]<BR>[[대전 코레일 축구단|인천 한국철도]]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2월 21일]]
|감독 클럽=
- 한지호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2004-2006<br />2007-2009
|청소년 클럽=[[안동고등학교]]<br />[[홍익대학교]]
|클럽 연도=2010-<br />2016-2017
|클럽=[[부산 아이파크]]<br />→ [[안산 무궁화 축구단|안산]] / [[아산 무궁화 축구단|아산 무궁화]] (군 복무)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9월 23일]]
|감독 클럽=
- 허범산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1996-2002 <br /> 2002-2005 <br /> 2005-2008 <br /> 2008-2012
|청소년 클럽= [[동명초등학교]] <br /> [[재현중학교]] <br /> [[재현고등학교]] <br /> [[우석대학교]]
|클럽 연도=2012-2013 <br /> 2014- <br /> 2016<br>2017<br>2017-
|클럽=[[대전 시티즌]] <br /> [[제주 유나이티드]] <br /> → [[강원 FC]] (임대)<br> → [[부산 아이파크]] (임대)<br> → [[아산 무궁화 축구단|아산 무궁화 FC]] (군복무)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5월 29일]]
|감독 클럽=
- 황세하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1994-1997
|청소년 클럽=[[문일고등학교]]<br>[[건국대학교]]
|클럽 연도=1998-1999<br>2003-2007<br>2009-2016
|클럽= [[대전 시티즌]]<br />[[대전 코레일 축구단|인천 한국철도/인천 코레일]]<br>[[이천 시민축구단]]
|감독 클럽 = [[용호고등학교]] (GK 코치)<br>[[문원중학교]] (GK 코치)<br>[[건국대학교]] (코치)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17년]] [[2월 23일]]
- 황연석 . . . . 6회 일치
|청소년 클럽 연도=
|청소년 클럽= [[청구중학교]]<br /> [[청구고등학교]] <br/> [[대구대학교]]
|클럽 연도=1995-2003<br />2004-2005<br />2006-2007<br />2008<br />2009
|클럽=[[성남 FC|성남 일화]]<br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 유나이티드]]<br />[[대구 FC]]<br />[[고양 국민은행 축구단|고양 국민은행]]<br />[[서울 유나이티드]]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감독 클럽=[[청구고등학교]] (코치)<br />[[해성중학교]]<br />[[용남중학교]]<br>[[신갈고등학교]] (코치)<br>[[대전 시티즌]] (2군 코치)
- 김형준(배우,가수) . . . . 5회 일치
* 4월 25일 재미있는 퀴즈클럽에 출연했다.
* 2011년 1월 3일 박정민과 함께 [[스윗 소로우]]의 [[텐텐클럽]] 출연
* 2011년 2월 19일 일본 도쿄에서 일본 공식 팬클럽을 창단했다.
* SS501 멤버들은 각자 개인 팬클럽을 가지고 있는데 김형준은 유일하게 개인 팬클럽이 없다.
- 박주영 . . . . 5회 일치
== [[박주영/클럽 경력|클럽 경력]] ==
항목이 길어져 분리하였다. [[박주영/클럽 경력]] 참고.
==== 클럽 ====
||<|2><#e60026> {{{#ffff00 시즌 }}} ||<|2><#e60026> {{{#ffff00 팀 }}} ||<|2><#e60026> {{{#ffff00 소속 리그 }}} ||<-3><#e60026> {{{#ffff00 리그 }}} ||<-3><#e60026> {{{#ffff00 FA컵 }}} ||<-3><#e60026> {{{#ffff00 리그컵 }}} ||<-3><#e60026> {{{#ffff00 대륙 축구 클럽 대항전 }}} ||<-3><#e60026> {{{#ffff00 기타 컵 대회 }}} ||<-3><#e60026> {{{#ffff00 총계 }}} ||
- 박신혜 . . . . 4회 일치
박신혜는 매년 팬미팅 수익금을 현지 NGO나 사회단체에 기부해오고 있다. 2007년, 박신혜는 드라마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몇 가지 질문》의 순수제작비를 제외한 작가, 연출자, 연기자들의 원고료와 연출료 및 출연료 전액 등의 수익금을 NGO 단체를 기부하는 것에 동참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원고료-출연료 기부...첫 도네이션 극 방영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006327|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진도 |날짜 = 2007-05-14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2년에는 한국 공식팬클럽 ‘별빛천사’와 함께 한 한국 팬미팅 티켓 판매금 전액을 팬들과 대표적인 [[NGO]] 단체 ‘기아대책’에 기부하며, 박신혜가 봉사를 다녀온 아프리카 가나의 별빛 천사 마을을 위해 후원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노래선물, ‘팬 위한 노래’ 직접 작사한 곡 ‘최초 공개’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8&aid=0002231659|출판사 =리뷰스타 |저자 =김숙희 |날짜 = 2012-02-20 |확인날짜 =2013-09-01 }}</ref> 같은 해 7월, 드라마 《[[넌 내게 반했어]]》의 후지TV 방송을 기념해 [[정용화]]와 함께 7월 15일과 16일 두 차례에 걸쳐 열린 팬미팅 행사를 성공리에 마쳤고, 팬미팅 수익의 일부를 국제기아대책기구를 통해 동일본대지진의 지원금으로 기부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정용화, '넌 내게 반했어' 日 팬미팅 수익금 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2236717|출판사 =스포츠조선|저자 =김표향 |날짜 = 2012-07-17 |확인날짜 =2013-09-01 }}</ref> 2013년 일본 팬미팅 후에는 기아대책 일본지부에, 필리핀 팬미팅의 수익금도 현지에 되돌려 한류의 이미지 제고에 앞장서오고 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中 반려동물 성금 기부… 경시풍조에 경종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69&aid=0000056438|출판사 =한국일보 |저자 =이현아 |날짜 = 2015-04-05 |확인날짜 =2015-04-07 }}</ref> 같은 해 1월, 드라마 《[[이웃집 꽃미남]]》 제작발표회에서 팬들에게 받은 쌀 화환을 나눔의 집에 기부했고, 같은 해 2월, 한국 팬미팅 수익 전액과 일본 팬미팅 수익 일부를 기아 대책에 기부했다. 4월에는,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CGV 스타리움에서 영화 《사랑의 가위바위보》의 쇼케이스 행사에 참석한 박신혜를 응원하기 위해 일본 팬클럽과 공식 팬클럽 회원들은 쌀 화환 520kg과 공식 팬클럽은 '별빛천사는 사랑의 가위바위보를 응원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적은 쌀 화환을 보내고, 이날 받은 쌀 화환 520kg은 박신혜가 지정하는 기부처로 전달돼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박신혜, 쌀 화환 520kg 어려운 이웃에 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330294|출판사 =조이뉴스24 |저자 =권혜림 |날짜 = 2013-04-30 |확인날짜 =2013-09-01 }}</ref> 6월 24일, 영화 《사랑의 가위바위보》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한국어 대사와 해설 자막, 시각장애인을 위시·청각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함께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제작한 배리어프리 버전 녹음을 진행했고, 박신혜는 영화의 앞부분에 내레이터로 재능 기부에 참여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김지운 감독·박신혜, 시청각 장애인 위해 재능기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348112|출판사 =마이데일리 |저자 =김미리 |날짜 = 2013-06-24 |확인날짜 =2013-09-01}}</ref>
- 이윤열 . . . . 4회 일치
그러나 이때부터 이윤열의 천적으로 자리잡은 마재윤에게 엘리트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결승전, WEF 2006 결승전, CJ 슈퍼파이트 S3 결승전 등에서 패배하였고, 2007년 2월 24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에서 마재윤에게 1:3으로 패배하였다. 이후 치러진 신한은행 마스터즈에서 마재윤에게 3:1 승리를 거두어 앙갚음을 하였고, 08-09 시즌에 열린 클럽데이 MSL, 로스트사가 MSL에서 연속으로 시드를 획득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보였다. 이후 찾아 온 슬럼프와 미니홈피에 쓴 글이 은퇴를 시사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었지만, IeSF 스타 인비테이셔널 클래식 우승을 전후하여 다시 게임에 매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8강 (0:3 [[윤용태]])
*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 (스타리그 본선 14회, MSL 본선 18회 진출)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KT 롤스터의 선수]][[분류:위메이드 폭스의 선수]][[분류:Old Generations의 선수]][[분류:SK 게이밍의 선수]][[분류:테란 선수]][[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골든마우스 수상자]][[분류:MSL 우승자]][[분류:MSL 금배지 수상자]][[분류:로열로더]][[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구미시 출신]][[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정인숙 (1945년) . . . . 4회 일치
출국을 한 정인숙은 무료한 이국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갑갑해 한다. 미국 일본 등지를 여행하던 정인숙은 정일권의 반대를 무릅쓰고 귀국하였다. 이때부터 그녀는 다시 남성편력을 시작한다. 국내로 들어온 정인숙은 홀로 호텔나이트클럽, 카바레 등지로 다니며 흥청망청 돈을 쓰고, 마음에 드는 남자를 만나면 잠자리도 같이 하는 등 난잡한 생활을 한다. 이 때는 전과는 달리 주로 돈 잘 쓰는 사람들을 상대했고, 재일교포와 사업가 등 유력 인사들이 그녀를 거쳐 갔다. [[1969년]] [[10월 10일]] [[국무총리]] [[정일권]]의 주선으로 그녀는 아기를 데리고 미국으로 가서 석 달 동안 있다가 되돌아 왔다. 다시 돌아온 그녀는 주변에게“곧 미국에 갈테니 차를 팔아야 겠다”는가 하면“돈 달라는 사람 많아 귀찮아 죽겠다”고 말했다. 한때는“이젠 미국 안 갈래”라고 하기도 했다. 사건 당일인 [[3월 17일]] 낮, 자동차 매매업소에 나타나 시보레 6기통짜리를 흥정을 했다.
당시 그를 목격한 연예기자 정홍택의 회고에 의하면 '그 날도 나는 남산 중턱에 있는 타워호텔 18층 나이트클럽에 갔다. 밤 8시 반쯤 되었을까? 나는 만나기로 한 일행보다 먼저 도착했고 클럽 안에서는 밴드가 연주를 하고 있었는데 젊은 여자 한 분이 카운터에 앉아 술을 마시고 있었다. 나도 술집에서 카운터 앉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라서 그 여인과 몇 자리 떨어진 곳에 앉았다. 가까이 보니 아주 미인이었다. 그리고 얼굴이 하얀 것이 더욱 아름답게 보였다.<ref name="han01">[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807/h2008070802511484800.htm <nowiki>[</nowiki>정홍택의 지금은 말할 수 있다<nowiki>]</nowiki> <16>정인숙 사건과 나] 한국일보 2008년 07월 08일자</ref>
그녀는 이 노래를 세 번 네 번 연속으로 부탁을 했고, 악단은 계속해서 연주를 해 주었다. “아하, 이 여인에게 분명히 무슨 사연이 있구나”라고 직감적으로 생각을 했지만 약 두 시간 후에 그렇게 큰 사건의 주인공이 될 줄은 정말로 꿈에도 생각을 못했다. 물론 본인도 몰랐을 것이다. 9시가 조금 지나서 그 여인은 가볍게 목례를 하고 나이트클럽을 빠져 나갔다.'는 것이다.<ref name="han01"/>
- 트로피코 4/건물 . . . . 4회 일치
=== 나이트 클럽 ===
||콧대있는 카리브 해 리조트라면 방문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밤을 선사하고자 하죠. 나이트 클럽은 정열적인 살사와 음악, 그리고 작은 우산을 꽂은 칵테일로 방문객들을 즐겁게 해줍니다. 평범한 주점보다 훨씬 신나는 분위기를 조성하죠. 하지만 치안에 주의하세요. 이런 곳에선 범죄가 성행하는 법이니까요.||
||치안은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걱정하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어두운 뒷골목에서 강도를 당하는 일은 그 누구도 원치 않지요. 섬을 낙원으로 일구고자 하신다면 주택지, 공장지역, 나이트 클럽 등지 같은 사람이 많이 몰리고 어두운 곳에 경찰서를 세워야한다는 걸 명심하십시오.
* VIP 클럽: 마리나에 상류층 관광객들만 출입하게 되지만, 서비스 질이 20 상승합니다.
- K리그 클래식 . . . . 3회 일치
이 와중에 아시아 축구를 총괄하는 AFC는 [[모하메드 빈 함맘]](이하 함맘) 회장이 집권하던 시기부터 아시아 클럽 대항전을 손보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함맘이 회장에 당선된 시기는 2002년, ACL이 개편되어 시행된 건 2003시즌부터다.] 그리고 개편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는데, 참가팀 수를 [[UEFA 챔피언스 리그]]와 마찬가지로 32개 팀까지 확대하는 한편, [[AFC컵]]의 정립까지 상당 부분을 손보게 된다.
허나 기존에 비해 월등히 경기수가 많아진 44경기이기 때문에 [[K리그 리그컵]]대회는 폐지가 불가피해지게 되었다. 이는 리그컵에 대해 AFC가 아시아 클럽 대항전에 배정할 수 없다는 원칙을 발표함으로써 K리그는 리그컵이 폐지되는 원인이 된다.
[[FIFA 클럽 월드컵]]
- 강구열 . . . . 3회 일치
* [[주현준]]([[CJ 엔투스]]) : 2009년 6월 은퇴. [[곰TV MSL 시즌3]] 8강에 오르며 시드 획득. 8강에선 당시 신예였던 [[박성균]]([[위메이드 폭스]])에게 1-3에게 완패하며 탈락. 차기 시즌에 Face Off의 저주에 걸리면서 32강에서 신희승, 박찬수에게 패하며 탈락. [[아레나 MSL 2008]]에서도 손주흥에게 패한뒤 김윤환(STX)을 잡아냈으나 박성균에게 패하며 탈락.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도 16강에서 허영무에게 패배하며 탈락. 차기 시즌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도 1승 2패로 탈락.
* [[신희승]]([[이스트로]]) : 2010년 6월 영구제명. 신희승의 강라인 가입은 험난(?)했다. [[EVER 스타리그 2007]] 4강 2007에서 [[이제동]]([[르까프 오즈]])에게 0-3으로 완패, 3,4위전에서 김택용과의 졸전 끝에 2-3으로 패배했지만 시드가 없었다. 당시에는 스타 챌린지를 통과한 선수가 D조의 시드권을 잡았기 때문에 신희승은 시드를 잡지 못했다. (스타챌린지가 없어지면서 시드권은 박카스 이후 공동 3위에게 넘어감) [[곰TV MSL 시즌4]] 8강에서 마침내 시드를 딴 이후 [[허영무]](삼성전자 칸)에게 0-3으로 완패하는 '삼고초려' 끝에 강라인의 일원이 되었다. 항간엔 "신희승의 네임밸류는 기존의 강라인과 다르다"는 반론이 일어 논쟁에 휩싸였으나, 신희승 본인이 "나는 강라인이다"고 인정하면서 '공인' 강라인이 되었다. 팬들은 전략가 이미지가 강한 그에게 '와룡희승'이란 애칭을 붙였다. 이 후 [[EVER 스타리그 2008]] 1차 본선에선 [[안기효]], [[김민제 (프로게이머)|김민제]]에게, 아레나 MSL에서 고인규, [[박찬수]]에게 패배하면서 탈락했고,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도 최종전에서 이제동에게 발목을 잡혔다. 이후 [[로스트사가 MSL 2009]]와 [[아발론 온라인 MSL 2009]]에서는 각각 16강에 진출하였다. 차기 시즌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는 1승 2패로 탈락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또 차기 시즌 서바이버 토너먼트에서도 2패로 탈락했다.
* [[손찬웅]] (현 [[화승 OZ]]) : 2011년 7월 은퇴. 손찬웅의 행보는 강라인이 되는 데 정말 완벽했다. 2007 스타챌린지 S2에서 손찬웅은 [[변길섭]]과의 최종전에서 변길섭을 꺾고 박카스 [[스타리그]]에 올라가 김동건, 박명수, 박영민에게 패하며 탈락했고, 그 다음 시즌 [[에버 스타리그 2008]] R1에서 [[이제동]]과 [[한동욱]]을 떨어트리는 충격적인 대진으로 2R에 진출했다. 그 후 R2에서 [[김택용]], [[박성균]], [[박영민 (1984년)|박영민]]과 같은 조가 되어 김택용과 박영민을 이기고 박영민과 8강에 진출하며 김택용과 박성균의 진출을 기대하였던 관계자에게 충격을 주었다. 또 8강에서는 강력했던 로얄로더 후보 [[허영무]]를 2:1로 역전시키며 4강에 진출하여 시드를 얻었다. 하지만 4강에서 [[프로토스]]전을 제일 잘 하기로 유명한 [[박성준 (1986년)|박성준]]에게 3:1로 패하는 무력한 모습을 보여주며 탈락하였으며, 끝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16강에서도 [[송병구]], [[염보성]],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전패를 당하고 광속 탈락, 강라인의 일원이 되고 말았다. 인크루트 스타리그 3패 탈락의 영향으로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도 김택용, 박영민에게 2패를 당하고 광속 탈락, 이 후에도 서바이버 시즌 3에서도 [[박태민]]과 STX의 저그 신예 [[조일장]]에게 연패하며 탈락, 강라인의 일원임을 입증했다. 이후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는 [[박태민]]과 [[서기수]]를 이기고 16강에 진출은 하나 [[문성진]], [[송병구]], [[정명훈 (프로게이머)|정명훈]]에게 무난한 3패로 광탈하며 강라인임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 차기 시즌에서는 36강에서 탈락하며 본선 진출 실패. 그 뒤로는 스타리그에도 MSL에도 복귀하질 못하였고, 계속 탈락만 하다가 2011년 7월 은퇴.
- 김대호(축구선수) . . . . 3회 일치
== 클럽 경력 ==
=== 통산 클럽 기록 ===
|| 시즌 || 클럽 || 리그 출전 || 리그 골 || 리그 도움 || FA컵 출전 || FA컵 골 || FA컵 도움 || ACL 출전 || ACL 골 || ACL 도움 ||
- 김효기 . . . . 3회 일치
|| '''소속 클럽''' || [[울산 현대]] (2010~2015)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11) (임대)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12) (임대) [br] [[화성 FC]] (2013~2014) (공익 근무) [br] [[FC 안양]] (2015) (임대) [br] [[전북 현대 모터스]] (2016) [br] [[FC 안양]] (2016~2017) [br] [[경남 FC]] (2018~ ) ||
== 클럽 경력 ==
충주 중앙중학교 3학년 때 독일 유소년 프로젝트 연습경기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독일 에이전트에 눈에 띄게되었고, 독일 클럽 유소년팀을 오퍼받았다. 그 당시에 고등학교 진학과 독일 진출 고민을 하다가 고등학교 진학을 선택하였지만 재차 독일에서 오퍼가 와서 독일로 진출하였다. 독일에서 [[하노버 96]], [[샬케 04]], [[바이어 레버쿠젠]] 등에서 테스트를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BV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유소년 팀으로 들어갔다. 도르트문트 유소년팀에서 7~8개월 활동하다가 사업상 문제로 한국으로 귀국하였다.
- 박진옥 . . . . 3회 일치
2016 시즌을 마무리로 [[용인시청 축구단]]이 해체되자 2017 시즌부터 [[K3리그]] 소속 클럽인 [[FC 의정부]]에 입단하였으며 '''주장'''으로 선임되어 1년간 활약하고 '''현역 은퇴'''를 하였다.
* 2013년 [[대전 시티즌]]으로 이적하기전까지 [[제주 유나이티드]]의 전신인 [[제주 유나이티드|부천 SK]]에 입단한 몇 안되는 '''[[원 클럽 플레이어|원클럽맨]]'''[* 다른 선수 중에는 [[한동진]]이 있다.]이었다고 한다.
- 우찬양 . . . . 3회 일치
== 클럽 경력 ==
=== 통산 클럽 기록 ===
|| 시즌 || 클럽 || 리그 출전 || 리그 골 || 리그 도움 || FA컵 출전 || FA컵 골 || FA컵 도움 || ACL 출전 || ACL 골 ||
- 정다정 . . . . 3회 일치
이광낙(<small>인터넷 아이디:</small> Lv7.벌레)은 2012년 9월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24인용 군용 텐트 혼자 치기(T24 소셜 페스티벌 또는 T24 행사)를 성공시켜 화제가 된 인물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 혼자서 24인용 군용텐트 칠수 있을까|url = http://news.donga.com/3/all/20120910/49262459/1|출판사 = 동아일보|저자1 = 박상훈 | 저자2 = 김진우 | 저자3 = 윤상호|쪽 = |날짜 = 2012-09-10|확인날짜 = 2012-10-27}}</ref> 그는 당시 자신이 활동하던 인터넷 커뮤니티 [[SLR클럽]]에서 24인용 군용 텐트를 혼자 칠 수 있는지가 논란이 되자 “되는데요”라고 답글을 단 바 있는데, 이 말은 그가 텐트를 실제로 혼자 칠 수 있음을 보이자 [[누리꾼]]들 사이에서 유명세를 탔다.<ref>{{뉴스 인용 |제목 = 유행어가 되리 시즌 2 - 제 14장│되는데요. .|url = http://10.asiae.co.kr/Articles/new_view.htm?a_id=2012091021072828319|출판사 = 10asia|저자 = 최지은|쪽 = |날짜 = 2012-09-11|확인날짜 = 2012-10-27}}</ref>
이광낙은 SLR클럽에도 글을 써 문제 제기를 했고, 정다정은 “그림 한 장 그려주는 거야 마음이 맞고 뜻이 통한다면 제 입장에선 정말 아무 문제 없습니다. 일전에도 무보수로 홍보용 일러스트 그려 드린 적이 있고요. 문제는 제가 요청 메일을 받은 적이 없어요”라고 재차 밝혔다. 이에 이광낙은 “정다정 씨, 죄송합니다. 제가 경솔했습니다. 다른 많은 트위터 유저님들의 말씀도 새겨듣고 반성하겠습니다”라고 사과했고, 정다정은 이 사과를 받아들였다.<ref name=xports /><ref name=chosun />
하지만 이후 한 누리꾼이 남긴 “야매요리 만화는 몇 번 봤는데 작가 사진은 이번 일로 처음 봤다. 예쁘다. 내 눈이 낮은 건가”라는 글에 이광낙이 “네, 눈 낮으심”이라고 외모를 비하하는 듯한 답글을 달면서 재차 문제가 되었고, 정다정은 트위터에 “사람 외모 갖고 까는 게 제일 졸렬한 거다”라고 글을 남겼다. 결국 이광낙은 “정작가님, 비하발언으로 물의를 일으켜 죄송합니다. 앞으로 조용히 살겠습니다”라는 글을 남기고 SLR클럽과 트위터에서 탈퇴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정다정 이광낙 유행어 설전…외모비하 논란으로 번져 파국|url = http://boo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1014050013|출판사 = 서울신문 Boom|저자 =Boom뉴스팀 |쪽 = |날짜 = 2012-10-14|확인날짜 = 2012-10-27}}</ref><ref>{{뉴스 인용 |제목 = 정다정 이광낙 설전, 외모비하 발언까지 '술렁'|url = http://stylem.mt.co.kr/styview.php?no=2012101414111102232&type=1|출판사 = 머니투데이 스타일M|저자 = 마아라|쪽 = |날짜 = 2012-10-14|확인날짜 = 2012-10-27}}</ref>
- 정용화 . . . . 3회 일치
* [[2012년]] [[2월 13일]] 일본 전국투어를 시작했다. 오사카를 시작으로 나고야, 도쿄, 요코하마 등지에서 이뤄진 이번 투어는 두 번째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팬클럽 회원 한정의 전국 투어 콘서트를 개최하게 되었는데, 지난 2009년부터 일본에서 인디밴드로 활동할 당시 공연했던 클럽에서 이루어졌으며, 인디즈 활동 당시 공연했던 장소에서 다시 공연하는 것을 테마로 이뤄진 이번 공연은 9회에 걸쳐 이뤄졌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인디밴드 활동 당시 공연했던 日클럽서 라이브공연|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2251028531002|출판사 = 뉴스엔|날짜 = [[2012년]] [[2월 25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日 전국투어 1만명 팬 열광…티켓 전쟁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02306|출판사 = 아시아투데이|날짜 = [[2012년]] [[2월 25일]]}}</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블루, 초심으로 돌아가 日 전국투어 라이브… 폭발적인 반응 |url=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4101&idxno=550042|출판사 = 이투데이|날짜 = [[2012년]] [[2월 25일]]}}</ref>
- 최덕희 . . . . 3회 일치
팬클럽 덕희다솜은 2014년 6월 10일에 공식 팬클럽을 다음에서 네이버로 이사를 하였고 10월 12일 팬미팅 '토크콘서트'를 개최하였다. 팬미팅에서 12년 만에 공식적으로 복귀를 선언한다고 팬들에게 직접 이야기 하였고 12월 1일부터 복귀를 발표하였다. 복귀작은 라디오 드라마이며, 12월 19일 라디오 극장 '오즈의 의류수거함' 1회 녹음으로 공식적인 성우 활동을 재개하였다.
* [[악동클럽]] ([[EBS]]) - '''리지'''
- 허근욱 . . . . 3회 일치
[[1984년]] KBS 방송국 집필담당 전문위원이 되었으며, 그밖에도 한국소설가 협회 회원, 국제 펜클럽 협회 한국본부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89년]] KBS 방송국에서 정년퇴임한 뒤에는 [[1992년]] [[4월]] [[남북문학교류위원회]] 위원<ref name="nambb">동아일보 1992년 4월 20일자 13면, 생활문화면</ref> [[1993년]] 민족통일중앙협의회 이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 [[이화여자대학교]] 동창문인회 임원, 한국여성문학인회 이사, 한국여성문학인회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1993년]] [[서정범]] 등과 함께 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 [[국제 펜클럽 협회]] 한국본부 회원
* [[국제 펜클럽]]
- 황희두 . . . . 3회 일치
[[환경재단]] [[최열]] 대표를 중심으로 만든 [[용산생태공원시민클럽]]의 대의원으로 활동중이다. 역사, 생태, 문화 이야기로 소통하며 대책 없는 개발이 아닌 재생 복원 가능한 자연친화적 공원 조성으로 참여자 모두 역사 지킴이, 생태 가꿈이, 문화유산 보존자로서 자부심을 갖게 한다는 것이 목표다. 서울의 허파인 용산공원을 세계적 자연생태공원으로 만들어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활동중이다. <ref>http://www.acrofan.com/ko-kr/detail.php?number=24342&thread=AC07|용산생태공원시민클럽 발대식 개최</ref>
* [[2016년]] 용산생태공원시민클럽 대의원
- MC메타 . . . . 2회 일치
90년대 중반부터 [[블렉스]]라는 하이텔 PC통신 흑인음악동호회에서 활동했고, 거기서 [[나찰]]과 만났다. 97년도 블렉스 멤버들과 '푸른굴 양식장'이란 공연장에서 공연하다가, 98년부터 '푸른굴양식장'이 이름을 바꾼 클럽 [[마스터 플랜]]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프리스타일에서도 일가견이 있다. [[허클베리피]]가 티비에서 MC 메타의 프리스타일을 보고 래퍼가 되겠다고 결심했다고도 한다. [* 여담으로 [[마이크 스웨거]]에서 한 헉피의 프리스타일을 보고 [[올티]]가 래퍼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실제 마스터플랜 클럽 시절 당시, 예정공연이 전부 끝나고 MC 메타의 프리스타일 타임이 관객들 사이에서 꽤 유명했다고 한다. 2014년 총 세 편의 [[싸이퍼]]를 기획하고 참여하기도 하였다.--[[치타]] 학살-- 그리고 프리스타일을 할 때마다 '연결고리'를 많이 외치기로 유명하다. [[https://youtu.be/r4h1cHTOCJI|증거자료]] 일리네어레코즈에서 본인이 피쳐링한 '연결고리'라는 곡의 유래도 엄밀히 따지면 저 멘트이다.
- 구성윤 . . . . 2회 일치
=== 클럽 ===
클럽의 활약을 통해 2015년 3월 올림픽 대표팀에 승선하였다. 2016년에는 [[김동준(축구선수)|김동준]]과 함께 [[리우 올림픽]] 최종 명단에 발탁되기도 했다.
- 마재윤 . . . . 2회 일치
이후에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 이어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도 예선전에서 떨어졌고,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신예 [[임원기]]를 잡고 복귀했지만, 32강 최종전에서 이윤열에게 또다시 패배하면서 16강 진출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하지만 이후 [[로스트사가 MSL 2009]]에서 다시 32강에 진출, 사상 유례없는 MSL 11연속 진출을 달성했다<ref>[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90893&db=news [[포모스]], 2008년 12월 18일]</ref>(KPGA시절까지 포함하면 이윤열, 조용호등이 있으나 순수 MSL만 따질 경우 마재윤이 최초이다). 2008년 10월 11일에 펼쳐진 블리즈컨 2008에서는 [[박지수]]와 [[허영무]]를 잡고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12일에 치러진 결승전에서 이윤열을 만나 2:0으로 승리를 거두고 블리즈컨 2연속 제패에 성공했다.
*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32강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2회 일치
맥스는 [[블라디미르 렘]]에게 간다. 애니 핀의 애인이었던 그의 생각을 들어보려는 것이었다. 블라드는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보드카"라는 멋진 레스토랑을 열 생각이었다. 맥스는 [[맥스 페인]]에서 죽은 줄 알았던 모나가 살아있었다는 것에 기쁨을 느끼지만 한편으로는 과거의 악이 계속 따라오는 듯한 불안함을 느낀다.
* 26층에서 27층으로 내려가는 집 TV에서 "주소지 불명"이 방영되고 있다. 여자친구를 위해 나이트클럽 "핑크 플라밍고"를 방문한 주인공 "존"이 연쇄살인마 "존 미라"의 흰옷을 입은 부하들에게 쫓기고 있다.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2회 일치
그녀와 한 전장에 설 수 있다면 아무리 위험한 일이라도 기꺼이 맡겠다고 단언하는 과격한 용병 팬도 많다고 전해지며, 심지어 유명 용병 그룹 네 개가 제각각 그녀의 팬클럽을 자처, 누가 공식 팬클럽인지를 정하자며 소규모 전투를 치렀다는 소문마저 있다.
- 서수민 . . . . 2회 일치
[[개그 콘서트]], [[폭소클럽]] 등의 코미디 프로그램을 주로 연출했고, [[2012년]] [[11월]] 개그 콘서트를 비롯한 2~4개의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책임프로듀서([[CP]])로 승진했으며 [[드라마]]국 소속의 김성근 [[PD(방송)|PD]]와 결혼했다.
*[[폭소클럽2]] (2006~2008년)
- 손담비 . . . . 2회 일치
소속사에 들어가서는 트레이닝을 받았고 2002년에는 MBC의 시트콤 《[[논스톱3]]》에 단역으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준표도 담비도 출발은 단역 아이돌 스타 무명 시절 살펴보니 |url = 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출판사 = 스포츠서울 |저자 = 나지연 |날짜 = 2009-05-03 |확인날짜 = 2009-09-02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1011100530/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보존날짜 = 2009-10-11 |깨진링크 = 예 }}</ref> 이처럼 원래 손담비는 가수보다 배우가 꿈이었으며 기획사에 들어간 계기도 사실은 배우가 되기 위해서였다.<ref name="news">{{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인터뷰③)|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출판사=뉴스엔|저자=유현진, 정유진|날짜=2009-04-17}}</ref> 2004년부터 가수가 되기로 결심하면서 춤을 배우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크럼핑을 배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내 이름은 손담비, '몸치'였던 나의 이야기 들어볼래?"|url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DCD=A606&newsid=02086086583165328&OutLnkChk=Yl |출판사 =이데일리|저자 =박미애|날짜 = 2007-06-25|확인날짜 = 2009-09-02}}</ref> 크럼핑을 배울 당시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미국의 안무가 브라이언 프리드먼과 크럼핑 댄스의 창시자 릴C 등 유명인사들에게 배웠다.<ref>{{뉴스 인용|제목=미쓰에이 연습생 시절 보다 더 파워풀한 '손담비 연습생 시절' 영상|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출판사=ENS|저자=뉴스팀|날짜=2010-12-31|확인날짜=2010-12-31}}{{깨진 링크|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 }}</ref> 당시 릴C는 손담비에게 "너는 예쁘니까 그냥 연기나 해라"라고 할만큼 재능이 부족했지만, 오랜 연습끝에 춤을 잘 출 수 있게 되었다.<ref name="10아시아"/> 같은 해 2005년에는 CJ 뮤직이 글로벌 프로젝트로 에스블러쉬라는 그룹을 결성해 초창기 멤버로 발탁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뉴스 인용 |제목 =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블러시 멤버였다 |url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 =머니투데이|저자 =김원겸|날짜 = 2007-05-06 |확인날짜 = 2014-05-15}}</ref> 2007년 5월에는 [[가희]]와 함께 에스블러쉬 멤버로서 〈It's My Life〉를 발매했고, 미국 [[빌보드]] 핫 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 2위까지 진입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블러시 멤버였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7-05-06|확인날짜=}}</ref> 하지만 팀 내부 사정으로 솔로로 전향하게 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
<!-- 인물 정보, 팬클럽 사이트 등은 올리지 않습니다. -->
- 송지효 . . . . 2회 일치
| 《[[구여친클럽]]》
| rowspan=2|2016 || 제11회 [[숨피]] 어워즈<ref>{{웹 인용|url=https://www.soompi.com/2016/02/23/announcing-the-results-of-the-11th-annual-soompi-awards-2015/|title=Announcing the Results of the 11th Annual Soompi Awards 2015|date=February 23, 2016|website=Soompi}}</ref> || 여우주연상 || [[구여친클럽]] || {{won}}
- 오냥코 클럽 . . . . 2회 일치
*[[구하라]] 오냥코 클럽
- 은혼/615화 . . . . 2회 일치
[[혼죠 쿄시로]]와 타카마가하라의 호스트들에게 둘러쌓여 있다. 호스트 클럽 모드가 된 가구라의 범접할 수 없는 위엄에 해방군도 주춤거린다. 가구라는 "위험한 물건"을 가져가는 대가로 오로나민C를 한 병씩 돌리는데.
호스트클럽까지 진출한 마드모아젤 사이고. 오카마들과 징수에 앞장서고 있다. 또다시 아들 잃은 시체가 다섯. 긴토키도 어느새 같이 누워있다.
- 이제석 . . . . 2회 일치
* 2011 서울AP클럽 올해의 광고상<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11129029031 서울AP클럽 ‘올해의 광고상’ 이제석·조현민·이의자씨]류지영《서울신문》2011-11-29</ref>
- 장태영(야구선수) . . . . 2회 일치
||[[박현식]](좌)과 [[장태영]](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정확히 말하면 당시 서울클럽이라는 야구팀 유니폼이다. 당시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데 나라에 돈이 없다보니(...) 유니폼을 따로 제작할수가 없어서 당시 국가대표팀 선수단 유니폼을 서울클럽에서 빌려서 출전했다.] ||
- 정광용 . . . . 2회 일치
5월 31일자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조만간 서울구치소에 수감될 예정이라고 한다. [[http://naver.me/xoxNhky9|#]] 6월 15일자로 구속기소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726379|#]] [[박근혜|님]]이 계신 곳으로 가니 오히려 영광이라고.--아이돌 스타를 영접(?)하는 아이돌 팬클럽 회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6&aid=0001251498|#]] [[http://cafe.daum.net/parkgunhye/U8YZ/862421|박사모에 올라온 원문]] [[독수리 켄|--??? : 역시 우리 팬클럽 회장님이셔. 날 구하러 왔구나!-- --아니야 나도 잡혔어--]]
- 정몽규 . . . . 2회 일치
2011년 제9대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로 선출돼 당시 선수들의 승부조작 사건 등을 단호하게 처리한 바 있으며 2013년에는 52대 대한축구협회 회장으로 선출됐고, 2016년 제53대 대한축구협회장으로 연임에 성공했다. FIFA 클럽월드컵조직위원회 위원(2013-2016), AFC 집행위원회 위원(2015-2017), AFC 아시안컵 조직위원회 부위원장(2015~현재), 발전위원회 위원(2015~현재), FIFA 20세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장(2016~현재), [[2016리우올림픽]] 선수단 단장(2016), [[AFC심판위원회]] 위원장(2016~현재), [[AFC]] 부회장(2016~현재), [[대한체육회]] 부회장(2017~현재), [[FIFA 평의회]] 위원(2017~현재), [[동아시아축구연맹]] 회장(2018~현재)로 활동하고 있다. 2017년 [[FIFA평의회]] 위원으로 선출된 후 중국, 일본, 북한과의 ‘2030 월드컵 공동개최’ 프로젝트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 2013.08 ~ 2016.12 :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 월드컵]] 조직위원회 위원
- 정범균 . . . . 2회 일치
| 팬클럽 =
* 《[[폭소클럽2]]》[[KBS 2TV|KBS2]]
- 코스트코 . . . . 2회 일치
1976년에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비행기 격납고를 개조하여 창고형 판매점을 세운 '프라이스 클럽'이라는 회사가 시작되었다. '코스트코'는 1983년에 시애틀에서 첫번째 창고점을 오픈했다. 창업 후 6년 이내에 매출을 30억 달러까지 늘렸다.
1993년에 '프라이스 클럽'과 '코스트코'가 합병하여, '프라이스 코스트코'라는 이름으로 206개 점포를 세워 연간 160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1997년에 회사명을 '코스트코'로 고치고, 세계로 뻗어나가기 시작하여 600점포에 달하게 되었다.
- 트로피코 4/칙령 . . . . 2회 일치
* 나이트 클럽, 경제 장관 필요
알콜 음료의 제조와 판매를 금지한다. 생산력이 증가하며 종교인의 존경심이 상승한다. 주점, 나이트 클럽, 럼주 증류소를 폐쇄한다. 주류의 불법 유통으로 범죄율이 크게 상승한다.
- 학동 . . . . 2회 일치
명칭으로는 「학동 클럽(学童クラブ)」「방과후 아동 클럽(放課後児童クラブ)」「학동보육소(学童保育所)」「부재중가정아동회/실(留守家庭児童会/室)」「아동육성회/실(児童育成会/室)」등이 있다. 학동(学童)으로 줄여서 쓰는 경우가 많다.
- 함중아 . . . . 2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지금의 대구광역시) 출생이며 한때 [[경상북도]] [[포항시|포항]]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고 이후 [[경상북도]] [[안동시|안동]]에서 성장한 그는 1971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 첫 데뷔하였으며 이후 1977년 [[함정필]], [[정동권|최동권]] 등과 함께 제1회 [[MBC 대학가요제]]에서도 입상을 한 바 있고 이후 1978년 1집 발표하는 등 록 음악 밴드 활동도 병행을 하였는데 그 후로도 1988년 시절까지 [[윤수일]], [[조경수]], [[유현상]], [[박일준]] 등과 함께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록]] [[가수]] 활동으로 인기를 구가한 그는 《내게도 사랑이》,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작품이 공전 히트를 기록하였다.
- 현이와 덕이 . . . . 2회 일치
1975년 4월 만 14세(중학교 2학년)가 된 장덕은 오빠 [[장현]]과 함께 [[드래곤 래츠]]라는 듀엣명으로 [[통기타]]를 메고 아메리칸 엠버시 클럽에서 열린 [[미8군]] 주최의 파티 무대에서 <To Be A Child Again>라는 곡으로 데뷔한다. <To Be A Child Again>는 장덕 작곡의 첫 발표곡으로 영어가사는 [[미8군]] 관계자이자 [[드래곤 래츠]]를 초청한 엘 클리나드가 붙인 것이다([[드래곤 래츠]]라는 듀엣명 또한 엘 클리나드가 붙였다.). 장현 · 장덕 남매는 이 공연을 통해 출연료도 제대로 받았고 아메리칸 엠버시 클럽의 쇼 매니저로부터 [[드래곤 래츠]]의 노래와 미모에 반했다는 찬사를 들으며 엘 클리나드를 통해 출연계약까지 정식으로 요청받는다. 그리고 이 무대에서 장현 · 장덕 남매는 곧바로 [[방송국]] [[PD]]들의 눈에 띄어 스카우트 되었고 1개월 뒤(5월) TBC TV의 청소년과 젋은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오라오라에 출연해 장덕이 [[작사]] · [[작곡]]한 <꼬마인형>, <일기장>을 부르며 최연소 남매 듀엣으로 일반 무대에 데뷔하게 된다. 이 때부터 장덕은 [[작사]] · [[작곡]]에 능한 [[천재]][[소녀]]로 평가 받게 된다.
- AT4 . . . . 1회 일치
[[https://news.google.com/newspapers?nid=1955&dat=19961008&id=umUlAAAAIBAJ&sjid=8qYFAAAAIBAJ&pg=2805,4669161&hl=ko|1994년 당시 스칸디나비아 폭주족간 항쟁에 사용된 전적이 있다.]] 요약하자면 스웨덴 군사시설에서 훔친 AT-4를 상대 폭주족 클럽하우스에 쏴버린 것.
- K리그 . . . . 1회 일치
시작은 5개 팀이었지만 어쨌거나 참가팀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1994년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조직되고나서부터 KFA가 운영하던 때보다 좀 더 세심하게 "프로"리그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이 시기를 기점으로 상당한 잡음이 생기긴 했으나 본격적인 지역연고정착에 대한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월드컵 유치와 관련하여 축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기 시작한다. 또한 대우 로얄스와 성남 일화, 포항 스틸러스, 수원 삼성이 ACL의 전신인 아시아 클럽 챔피언쉽(ACC)를 돌아가며 제패하는 등, 아시아 최상위 리그임을 증명하기 시작했다.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1회 일치
특히 무료티켓을 어느 정도 뿌렸는지 팬들이 어림으로나마 짐작이 가능할 수 있었기에 팬들이 구단에게 공평함과 내실을 요구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게 되었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인 평가로 자리매김했다. 2016시즌 기준, 수원 삼성의 경우는 무료티켓을 거의 발행하고 있지 않아 실제 관객수 당 지불비용이 가장 높은 "객단가"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는 오히려 평균관중이 줄었음에도 입장 수익이 올라가는 대표적인 신기한 사례로 남을 수 있었다.[* 무료티켓을 "완전히" 없애는 건 불가능하다. 연맹의 요청으로 군경활동의 사기진작 차원에서 구단은 무료티켓을 발행해야 하는 도덕적 의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각 연고지에서 지원하는 유소년 클럽의 경험 향상차원에서도 매 경기마다 무료티켓을 일정 이상 발행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 거의 각 구단마다 경기당 최소한 수백장 정도 무료티켓을 발행할 수 밖에 없다. 팬들도 이런 구단의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해명이 있을 경우에는 큰 문제 없이 수긍하고 가는 편이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1회 일치
1. 1부리그를 밟아본 역사가 없는 클럽팀이 '''1부리그까지 올라온 역사를 만들었다'''는 점.
- M25 최루탄 . . . . 1회 일치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4/02/005000000200402251314514.html|전투경찰 출신자가 전경시절 훔쳤던 KM25를 나이트클럽에서 터뜨린 사건이 있다.]]
- NDK . . . . 1회 일치
TV프로그램 「가칭코(ガチンコ)」의 한 코너 「가칭코 파이트 클럽(ガチンコファイトクラブ)」에서 "전에 부모를 죽이려고 복싱을 시작했다고 말했지. 지금 어떤 기분?"이라면서 부추기며 조롱하는 발언이 나온 것이 유래이다.
- OK 본 . . . . 1회 일치
* [http://okbone.cyworld.com 구단지 독서실 싸이 클럽]
- That 70's show . . . . 1회 일치
[[경찰]]로 취업하려고 하다가, 시카고에서 플레이보이 클럽 경비원 직을 따내면서 8시즌에서는 하차. 최종화 부근에서 복귀한다.
- 강세정 . . . . 1회 일치
* [[아이비클럽]] - 교복지면
- 강영식 . . . . 1회 일치
투수 오타쿠 [[선동열]]이 버릴[* 강영식은 훗날 [[선동열]] 감독이 자신에게 '사람이 해선 안 될 말'까지 서슴없이 하며 인격적으로 모독을 당했었다고 한다. 그때부터 강영식은 적어도 '''[[선동열]]이 있는 삼성'''에겐 미련이 없었다는 걸 볼 수 있다. 즉 [[선동열]]과 강영식 둘 다 서로 딱히 같이 동업할 이유도, 동기도 없었던 것이다.] 정도라는 삼성 팬들의 말이 있을 정도로 불안한 투구를 보였다. 어느 날인가도 ~~평소처럼~~ 마운드에서 부진한 뒤 라커룸에서 개털렸다고 한다. 강영식은 이날 털리면서 "아 나는 정말 여기까지인가보다"하는 자괴감이 들어 남들 보는 앞에서 펑펑 울었다고 한다. 딱한 처지를 보고 코치들이 트레이드를 권유했고, 마침 좌완 [[중간계투]]가 없는 롯데와 짝이 맞으면서 트레이드 되었다. [[신명철]] 역시 롯데에서는 [[박정태]]의 후계자로 점찍었으나 공갈스윙만 하고 영 궤도에 못 오르는 2루수였기에 [[트레이드]] 시점부터 ~~둘 중 하나만 터져도 되니까~~ 윈윈으로 평가받은 특이한 사례다. 결론적으로 신명철은 [[박종호]]의 노쇠화로 인해 삼성의 주전 2루수로 활약하며 2009년 [[20-20 클럽]]도 가입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고 강영식도 롯데 불펜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니 나름 서로 윈윈한 트레이드인 셈. 롯데에서는 [[강병철의 양아들]] 시리즈에 들면서 매우 자주 등판했다. 사실 당시 롯데에 쓸만한 좌완이 없어서이기도 했지만...
- 강재형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1996년]] 아나운서클럽 회장상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 . . . 1회 일치
카놀리는 보니노 마피아들이 경영하던 스트립클럽으로 가 그곳에 있던 모두를 족치고 프랭키를 구한다. 이제 둘은 떠그타운에서 탈출할 방법을 생각하기 시작한다. 프랭키는 강 건너편 벨루치오 마피아 빌딩에 비행선이 있으니 그걸 타고 떠그타운에서 탈출하자는 의견을 낸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조종사로 복무했다는 이야기는 덤. 하지만 비행선에 가려면 군대의 봉쇄를 뚫어야 했다. 카놀리는 프랭키와 함께 군대의 방어선을 돌파해 군대가 폭파시키려던 도개교에 도착한다.
- 곽희성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회 일치
2009년 발매된 DLC. 나이트 클럽을 운영하는 토니 프린스, 일명 "게이 토니" 밑에서 일하는 루이스 로페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기은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김경준(축구선수) . . . . 1회 일치
== 클럽경력 ==
- 김구현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 3위
- 김병준 (희극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김성민 (1991년) . . . . 1회 일치
| 클럽 직원
- 김시진 . . . . 1회 일치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항시 출신]][[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감독]][[분류:현대 유니콘스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 감독]][[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KBO 승리상 수상자]][[분류:KBO 승률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포항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김영환(1955) . . . . 1회 일치
19대 의원 시절 골프 클럽하우스나 딸이 운영하는 한 쿠키점에서 간담회 명목으로 부당한 정치자금을 집행한 적이 있다. 물론 이런 불건전한 관행이 비단 김 전 의원 혼자만의 일은 아니나 그럼에도 비판의 여지는 충분하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38105.html|한겨레 기사]]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624882_22663.html|MBC 보도]]
- 김형철 (가수) . . . . 1회 일치
1985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블루스 록 가수 첫 데뷔하였고 [[1988년]] [[신화창조 (음악 그룹)|신화창조]]라는 록 밴드에서 본격 록 음악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1년]]에는 [[신촌블루스]]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이후 영화배우로도 활약을 하였다.
- 김혜옥 . . . . 1회 일치
* [[2011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 스페셜]] - 클럽 빌리티스의 딸들》 ... 최향자 역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6화 . . . . 1회 일치
랏파는 자신의 출신이력을 조금 말했다. "지하격투장". 그는 패트검도 들어봤을 거라고 생각한다.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시설이니까. [[개성(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개성]]을 풀로 활용하는 파이트 클럽이었다. 거기서 랏파는 싸우고 싶은 대로 싸웠고 그의 펀치를 맞고 일어서는 녀석은 드물었다. 그리고 드물게 있는 녀석들도 더 싸울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는 적들이 잇따라 목숨을 구걸하는 것만큼 괴로운게 없었다. "하고 싶은 걸 하지 못하는 괴로움", 그게 랏파의 경우는 싸움이었다. 랏파는 목숨을 걸 때 생기는 힘을 좋아했고 그게 부딪히는 건 더 좋아했다. 그래서 그는 "적"이 좋아졌다. 패트껌과 키리시마. 특히 "빨간머리"가 마음에 들었다.
- 대한민국 FA컵/2016시즌 . . . . 1회 일치
* K리그 챌린지팀: 부천축구클럽1995, 부산아이파크, 대구FC, 서울이랜드FC, 대전시티즌, 안산무궁화프로축구단, FC안양, [[강원FC]]
- 디도(성우) . . . . 1회 일치
* FSTV - 꾼'S클럽, 물따라 인연따라
- 류종원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류지혜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http://cafe.daum.net/Ryujihye/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Ragna Rock. 잭 루피노의 개인 나이트클럽. 오래된 극장을 개조해서 만들었다. 맥스의 말로는 "마약굴"[* A den of drugs]이라고. 내부 인테리어가 상당히 기분 나쁘다.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 신화]]의 세상의 종말인 [[라그나로크]].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Vodka. 블라드가 개업 준비 중인 레스토랑. 전작에 등장했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개조한 것이다. 맥스는 블라드에게서 정보를 얻기 위해 이곳으로 향하지만 하필 펀치넬로 패밀리의 습격을 받고 있었다.
- 맥스 페인/줄거리 . . . . 1회 일치
맥스는 라그나록으로 향한다. 라그나록은 잭 루피노가 낡은 극장을 리모델링한 나이트클럽으로, 마약굴이 위치해 있었다. 그 안에는 발키리에 뇌가 절여진 약쟁이들과 루피노의 피도 눈물도 없는 킬러들이 있었을 것이었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회 일치
머리 모양이 돌아온 돈 칭자오는 루피에게 큰 고마움을 느끼며 자기 휘하의 팔보수군을 루피 산하에 넣어줄 생각까지 하게 되지만 피로 탓에 감사 인사를 한다고 고개 숙인 게 땅을 갈라버려 공격으로 오인한 루피가 도주해 버린다. 이 때 슬그머니 B블록의 우승자인 바르톨로메오가 루피의 극렬한 추종자라는 사실이 밝혀지는데 일이 잘 풀리면 루피는 이 드레스 로자 편에서 산하에 팔보수군과 바르톨로메오의 바르토 클럽 해적단을 얻게 될 수도 있다. 징베나 보아 행콕과의 관계로 인해 어인 해적단과 구사 해적단과는 암묵적인 동맹 관계라는 걸 생각해 보면 이는 큰 플러스.
- 박근혜 . . . . 1회 일치
* [[폭소클럽 2]]([[KBS 2TV]]) - [[강주희 (1983년)|강주희]]
- 박석민 . . . . 1회 일치
크보 공인 [[자석|지남철]]인 [[최정]]에게 은근히 묻혀서 그렇지 박석민도 그에 못지 않게 [[몸에 맞는 공]]이 많은 편이다.~~펑퍼짐한 몸매 때문에 딱 맞기 좋은 체형이라 그럴지도 모르겠다.~~ 주전으로 도약하기 시작한 2008년부터 5년 연속 두 자리수 몸에 맞는 공을 꾸준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마침내 ~~사구왕~~ 최정을 넘어 '''27개 몸에 맞는공(!)'''으로 신흥 사구왕에 등극했다!!! ~~이로써 23홈런 27사사구로 나름 [[20-20 클럽]] 가입?~~[* 사구왕 최정도 4년 연속 20사구를 꾸준히 기록하고 있지만 이정도로 독보적으로 몸에 맞지는 않았다.]
- 박학기 . . . . 1회 일치
박학기는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2남 중 막내로 태어나 어렸을 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로 이사하여 학창시절을 보냈다. 1983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포크 팝 가수 첫 데뷔한 그는 [[서울예술대학교|서울예술전문대학]] 응용미술학과를 나오고 1988년 옴니버스 앨범 《우리 노래 전시회》3집에서 〈계절은 이렇게 내리네〉라는 곡으로 정식 가수 데뷔하였다. 이듬해 자신의 솔로 앨범을 발표, 〈이미 그댄〉, 〈향기로운 추억〉 등을 히트시키며 골든디스크상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그리고 [[김광석]]의 친구로서 <김광석 추모 콘서트>를 주최하고 있다.
- 배영수 . . . . 1회 일치
계투진에서도 다소간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또다시 부진의 늪으로 빠지는게 아닌가 했던 배영수였지만, 여름이 되면서 구속이 오르자 반등하기 시작했다. 6월 11일 대구에서 열린 넥센과의 홈경기에서 선발 장원삼이 3이닝만에 5실점하며 조기강판되자, 4회부터 마운드에 오른 배영수는 8회까지 이닝을 책임지며 5이닝 동안 3실점의 투구내용을 보여주었다. 당시 등판에서 비록 8피안타(1피홈런)를 허용하기는 했으나, 사사구가 하나도 없으며 어느정도 살아난 구위와 날카로운 변화구로 공격적인 피칭을 하면서 효율적인 투구수로 5이닝을 책임져 준 것이 위안 삼을만한 부분이었다. 이어 6월 16일 사직에서 열린 롯데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 [[이우선]]이 3이닝만에 6실점으로 무너지자, 4회부터 마운드에 오른 배영수는 3⅓이닝 동안 3탈삼진 무실점 투구내용을 보여주며 이 후 삼성으로 경기를 가져오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 --역시 [[로나쌩 클럽]] 회원-- 이 경기로 인해 배영수는 3일 뒤인 6월 19일 대구에서 열린 한화와의 홈경기에서 선발로 복귀하여 등판했는데 5이닝 2실점의 투구내용을 보이며 괜찮은 흐름을 계속 이어나가게 된다. 3일만의 등판이었기 때문에 4회, 5회에 피안타가 늘어난 것이 아쉬운 부분이었다.
- 백정현 . . . . 1회 일치
[[NC 다이노스]] 팬이라면 가히 이를 가는 [[엔나쌩 클럽|엔나쌩]]이다. 데뷔 이후 통산 20승 중에 NC전에서만 8승을 챙겼다.
- 보스턴 백 . . . . 1회 일치
여행용 가방의 일종. 보스턴 백은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으로 미국에서는 '클럽 백'이라고 부른다. 보스턴 대학 학생들이 사용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전설(?)이 있다.
- 블라디미르 렘 . . . . 1회 일치
잭 루피노 소유였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고급 레스토랑 "보드카"로 개조 중. 자신은 보드카가 뉴욕 최고의 레스토랑이 되고, 자신은 부유한 유명인이 될거라며 자신한다. 여전히 범죄조직의 관련자기에 형사인 페인과는 아름다운 우정을 나눌수는 없는 관계. 블라드 曰 "내전의 양편에 선 형제와도 같군,"[* Like brothers caught on the opposite side in a civil war.]
- 서정환 . . . . 1회 일치
[[1989년]]에 은퇴하여 [[해태 타이거즈]]에서 코치 생활을 하다가 [[1995년]]에 도일하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다. [[1996년]] 고향 팀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하여 수비코치로 일했다. [[1997년]] [[10월 30일]] [[삼성 라이온즈]]는 라이벌 팀 [[해태 타이거즈]]를 벤치마킹하려는 경영진의 결정으로 [[해태 타이거즈|해태]]에서 오랜 선수 생활을 했던 그를 [[백인천]]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최초의 감독에 임명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201661 삼성,제 9대 감독으로 서정환 코치 전격 발탁] - 연합뉴스</ref><ref>서정환 다음으로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으로 감독이 된 경우는 [[류중일]]이며, 서정환과 달리 [[류중일]]은 원 클럽맨 출신으로 삼성의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1998년]]에 정규 시즌 2위, [[1999년]](이 해에 잠깐 양대 리그제로 바뀌었다.) 드림리그 1위라는 좋은 성적을 거두지만, [[롯데 자이언츠]]에 패해 [[1999년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하고 그 해 [[11월 1일]]에 사임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563593 프로야구 삼성, 서정환 감독 사의] - 연합뉴스</ref> [[2001년]] [[해태 타이거즈|해태]]로 돌아와 2군 감독을 맡았고 시즌 중 수비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 이후 구단주가 바뀐 [[KIA 타이거즈]]에서 [[김성한 (1958년)|김성한]], [[유남호]] 감독을 보좌하여 코치 생활을 하였다. [[2005년]] [[유남호]] 감독이 시즌 최하위의 책임을 지고 시즌 중 사임하자 [[KIA 타이거즈]]의 감독 대행을 맡았고 [[2006년]] 정식 감독에 취임하였다.
- 소명(가수) . . . . 1회 일치
1978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 첫 데뷔하였다.
- 송주훈 . . . . 1회 일치
== 클럽 경력 ==
- 신선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신종령 . . . . 1회 일치
| 팬클럽 = [http://cafe.naver.com/kankkongchi 네이버 신종령 팬카페]
- 신혜성 . . . . 1회 일치
* [[아이비클럽]] 모델(신화)
- 아데랑스 . . . . 1회 일치
[[일본]]의 종합모발기업. 1968년 설립, 2007년 무렵 13개국 2백 50여 곳에 지점을 운영하고 있는, 대규모 종합모발기업이다. 가발 상품 이외에 증모, 육모 분야에서도 다각도로 탈모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남성용 브랜드 아데랑스 이외에, 여성용 맞춤가발 레디스 아데랑스, 여성용 레디메이드 가발 브랜드 폰티누(FONTAINE), 해외에서 모발이식클리닉을 전문으로 하는 보즈레(BOSLEY), 해외용 판매 브랜드 헤어클럽(HAIRCLUB) 등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 2014년 10월 ~ 2015년 6월 || [[아이비클럽]] || [[EXO]]와 공동 ||
- 안기효 . . . . 1회 일치
2011년 3월 20일 프로리그에서 [[하이트 엔투스]]의 토스 에이스 [[장윤철]]을 상대로 자신의 특기인 전략으로 승리를 거뒀다. 무려 782일 만의 승리였다! ㅠㅠ ~~그리고 감동의 [[0승 클럽]]의 탈퇴.~~ 그리고 여기서 이기기 위해서 안기효는 [[장윤철]]의 VOD를 모두 보고 [[장윤철]]의 스타일을 파악하여 거기에 맞춰 다크템플러를 배제하는 또 전략가적인 면모를 보였다.
- 안내상 . . . . 1회 일치
* 2007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한원수 역
- 안병근 . . . . 1회 일치
|클럽 =
- 애로우 . . . . 1회 일치
올리버의 여동생. 올리버와 아버지가 실종된 뒤, 미성년이면서도 음주와 마약에 빠져서 방황하는 나날을 보냈으며 올리버가 돌아온 뒤에도 한동안 사고치는 역할을 맡았다. 그러다가 나이트 클럽 경영을 시작하고, 점차 철들고 강인한 여자로 성장한다.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데, 사실 올리버와는 씨다른 남매로서 그 아버지는 무려 말콤 멀린(…). 3시즌에서 말콤에게 단련을 받게 되며, 올리버의 정체를 알게 되고, 팀에 들어오게 된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1회 일치
== 클럽 ==
- 연초아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윤철종 . . . . 1회 일치
그런데 정작 와보니 연습할 곳이 없었다. 그래서 [[홍대거리]] 길바닥에 주저앉아 연습을 하니 사람도 몰리고 돈도 벌어 '어? 이거 괜찮은데?' 싶어 알바도 다 끊고 --[[버스킹]]-- 길거리 연습에만 몰두했다고 한다.[* 권정열의 성량이 웬만한 앰프를 쓴거보다 커서, 멀리서도 들리는 목소리를 찾아 사람들이 모여들곤 했다.] 그렇게 '''6개월'''을 길거리에서 보내다 보니 겨울이 됐는데, 추운 날씨를 피해 그들이 눈길을 돌린 곳은 [[홍대거리/공연장|라이브 클럽]]이었다. 연주를 하려면 팀 이름이 필요하다길래 대강 '''10cm'''[* 두 사람의 키 차이에서 따 왔다.]로 짓고 활동을 했다. 근데 그 이름으로 유명해지다 보니 바꿀 수도 없고 여차저차 하다 보니 지금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한다.
- 이계순 (1927년) . . . . 1회 일치
일본으로 유학, [[1940년]] [[교토]](京都) 제일고녀를 다녔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1421094 일본인들이 부러워한 조선인 석주명] 국민일보 2009.09.14</ref> 귀국 후 [[1953년]] [[부산]] [[경남중학교]] [[영어]]교사가 되었다. 이후 부산연세실업학교 교수 등을 거쳐 [[1964년]] [[서울대학교]] 사범대 영어교육과 교수가 되었다. [[1977년]] [[전문직 여성클럽]] 한국연맹 회장이 되어 여성단체 활동에 뛰어들었고 교수직과 병행하였다. [[1985년]]부터 [[한국여성유권자연맹]] 회장을 맡았다. 1990년 3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정무제2장관을 지냈다.
- 이동흡 . . . . 1회 일치
* [[서울고등법원]] 선거 전담 재판부인 형사10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5년 3월 22일에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03년 9월 선거구 아파트 조기축구회 창단식에 참석해 고사상에 현금 20만원을 기부하고 같은해 12월 제주도에서 열린 이장단 단합대회에 두차례 참석해 1100만여원 상당의 음식값과 술값을 후배를 통해 지급하여 기소된 [[박혁규]] [[한나라당]] 의원에 대해 이장단 단합대회에 대해 무죄라고 판단하여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원심을 깨고 모두 유죄로 인정하면서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19344]</ref> [[민주노동당]]을 공개 지지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8월 집행유예2년이 선고된 정용천 전국공무원노조 수석부위원장에 대해 징역6월 집행유예1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51]</ref> [[열린우리당]]을 반대하는 내용의 글을 [[시스템클럽]]에 게시하여 1심에서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군사평론가 [[지만원]]에 대해 벌금 3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74]</ref> 3월 29일에 [[백원우]] [[열린우리당]] 의원에 대해 "경선 당시 인쇄물을 배부한 대상은 입당 원서가 지구당이나 중앙당에 제출되지 않았던 것을 볼 때 진정한 의미의 당원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벌금 5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21828]</ref>
- 이미연 (배우) . . . . 1회 일치
||클럽모나코||지면 광고||[[롯데제과]]||가나초콜릿<br>(전 가나쵸코렡)
- 이상목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빙그레 이글스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성광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이석훈 . . . . 1회 일치
* SBS 파워FM 《이석훈의 텐텐클럽》 DJ (2011년 4월 4일 ~ 2012년 4월 29일)
- 이신학 . . . . 1회 일치
* 대구 통일라이온스클럽 회장(1992년 6월)
- 이원재(축구선수) . . . . 1회 일치
== 클럽 ==
- 이유리(배우) . . . . 1회 일치
|| 2016년 7월 25일 || SBS || 셀프디스 코믹클럽 DISCO || 패널 || 파일럿 방송 ||
- 이장훈(배우)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이재학 . . . . 1회 일치
* [[최정]]을 상대로 [[저승사자]]의 면모를 보인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정은 이재학을 상대로 한 전적이 '''32타수 5안타, 타율 0.156, OPS 0.385, 0홈런 2타점밖에 되지 않는다. 특히 삼진은 15개나 당했다!''' 이재학이 한때나마 [[슼나쌩 클럽]] 멤버였던 것도 최정의 공이 컸다. 반대로 2018 시즌부터는 [[제이미 로맥]]에게 완벽히 농락당하고 있는데 시즌 상대 기록이 무려 13타수 11안타 1홈런 1볼넷 1삼진 2타점 '''타출장 .846/.857/1.231'''이며, OPS는 무려 '''{{{#RED 2.088}}}'''![* 통산 기록은 20타수 12안타 2홈런 타율 0.600.]
- 이정훈 (1963년) . . . . 1회 일치
{{한국 프로야구 20-20 클럽}}
- 이지우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http://cafe.daum.net/cuteeunmi/
- 이철희(1964) . . . . 1회 일치
썰전의 고정 출연한 이후 상당한 인기를 누리기 시작했다. 어찌 보면 썰전의 최대 수혜자라 할 만 하다. 썰전 덕분에 팬클럽(!)도 생겼다고 한다. [[김구라]]와 [[강용석]], [[이준석(정치인)|이준석]]과 '하드코어 뉴스깨기'를 맡았다. 보수 성향의 강용석, 이준석에 맞서 진보 성향의 의견을 대변한다. 사회비판적, 이상지향적인 말을 많이 하는 편. 이에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강용석과 꽤 심각하게 대립할 때가 있다.
- 이현우 (가수) . . . . 1회 일치
그는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 후 1988년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의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로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89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한민국]]에 잠깐 놀러 왔다가 당시 [[가수]] [[강수지]]의 소속사 매니저의 소개를 받고 1990년 10월에 실험적인 [[테크노 팝|테크노]] [[댄스 팝]] [[대중음악|음악]] 장르 곡인 데뷔곡 《꿈》이 수록된 《12 Inch Dance Version》이라는 싱글 [[음반]]으로 첫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1991년 1집 [[음반]] 《Black Rainbow》로 정식 데뷔하였다.
- 장진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2018년 [[JTBC]] 《[[말술클럽]]》
- 전민제 . . . . 1회 일치
* 1974년 한국엔지니어클럽 화공분과 회원
- 전숙희 . . . . 1회 일치
1983-1991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장을 지낸 고인은 한국문학을 해외에 알리고자 노력해왔으며, 1988년에는 동서 진영의 작가들을 초청해 서울에서 국제펜대회를 개최했다.
- 전예용 . . . . 1회 일치
* 1961년 : [[국제라이온스클럽]] 한국지구 총재
- 정기고 . . . . 1회 일치
* [http://club.cyworld.com/junggigo 정기고 싸이월드 팬클럽]
- 정대석 . . . . 1회 일치
| 펜클럽 =
- 정문성 . . . . 1회 일치
* [http://club.cyworld.com/jungmoonsung 정문성 싸이월드 팬클럽]
- 정승빈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정웅인 . . . . 1회 일치
| [[2000년]] || [[SK텔레콤|신세기 디지털]] || 《017 i클럽》 || 이동통신 || 안연홍, 최종원, 최상학
- 조응천 . . . . 1회 일치
본인 말로는 식당의 매니저, 셔터맨을 도맡았다고 한다. 실제 총선 후보 시절 직업란에 '''별주부짱 매니저'''라고 기록되어 있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이후에 [[기독교방송|CBS]] 변상욱 기자가 김용민의 팟캐스트 관훈나이트클럽에 게스트로 출연해서 [[http://www.podbbang.com/ch/9954?e=21859559|조응천 씨가 횟집 이름]]을 '''[[정윤회|정윤횟집]]'''으로 지으려고 했었다는 이야기를 공개하여 화제가 되었다. --주위에서 '''"그러다 너 죽는다"'''라고 뜯어말렸다 전해진다--
- 조훈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주다영 . . . . 1회 일치
* [[2011년]] [[MBC]] 일일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안종석 팬클럽 회장 역
- 차선화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차정아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천보영 . . . . 1회 일치
| 팬클럽 = http://cafe.daum.net/love-bbo
- 천세라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천운영 . . . . 1회 일치
| 펜클럽 =
- 최다빈 . . . . 1회 일치
| 스케이팅 클럽 =
- 최란(배우) . . . . 1회 일치
*클럽 빌리티스의 딸들 (박명희 역)
- 최별이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최선영 (희극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최성조 . . . . 1회 일치
* [[MBC]] [[일밤]] [[차승원의 헬스클럽]]
- 최웅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최유정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최희령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추자현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캡콤 스포츠 클럽 . . . . 1회 일치
스포츠 클럽이라는 이름그대로 3가지 종목의 스포츠 게임 모음집으로 되어있다. 마치 [[3 원더스]]를 보는듯한 구성으로 [[농구]], [[축구]], [[테니스]]의 3가지.
- 캬바쿠라 . . . . 1회 일치
[[일본]]의 [[유흥업소]] 형태 가운데 하나.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캬바레(キャバレー,cabaret) 」와 [[영어]]에서 유래한 「쿠라브(クラブ,club=클럽)」을 합성한 단어.--어느 한쪽만 하라고.-- 줄여서 캬바(キャバ).
- 태의경 . . . . 1회 일치
* [[재즈클럽]]
- 파리피포 . . . . 1회 일치
클럽이나 라이브 하우스에서 진행자가 관객을 이렇게 불렀던 것이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 프로 스포츠 . . . . 1회 일치
소련의 CSKA 모스크바는 당시 소련군이 육성하던 엘리트 스포츠의 한 단면으로 평가될 수 있었으며, 소련군 소속이지만 이는 소련의 대외적인 체육성과를 보여주기 위한 한 장으로써 사실상 세미프로 스포츠클럽으로 봐도 무방하다.
- 하시영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한무숙 . . . . 1회 일치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부회장과 [[한국여류문학인회]] 중앙위원 등을 맡았다. [[1958년]]에 단편 〈감정이 있는 심연〉으로 [[자유문학상]]을 수상했고, 신사임당상(1973)과 [[3·1문화상]](1989) , 예술원상(1991) 등을 차례로 수상했다.
- 한보배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한송이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한용덕 . . . . 1회 일치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빙그레 이글스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대전천동초등학교 동문]][[분류:충남중학교 동문]][[분류:북일고등학교 동문]][[분류:청주 한씨]]
- 한주완 . . . . 1회 일치
| 팬클럽 = http://cafe.daum.net/HANJOOWAN
- 한지은 (레이싱모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한채이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호소키 카즈코 . . . . 1회 일치
* 팬클럽 사이트는 탈퇴할 수 없는 구조가 되어 있다. 주의하자. 현재 알츠하이머로 딸이 대신하여 마술과 사기를 치고 있음.[[https://twitter.com/OIympic2020/status/800311150856409088 (참조)]]
- 홍가람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홍경인 . . . . 1회 일치
이미지와는 별개로 실제로도 유머러스하고, 입담도 좋은 편이다.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에 아역 특집에 나와서 [[이민우(배우)|이민우]]와 [[김정현(1976)|김정현]]을 압도하는 말빨을 보여주기도 했다. 아역 시절 에피소드를 들려주다가 장렬하게 자폭하는 토크가 특징. 1976년생 용띠클럽 회원이기도 하다. 뱀발로 [[문희준]]이 군대 시절에 가장 사이가 안 좋았던 선임이 홍경인이었다고 하며 그의 갈굼에 복수하기 위해서 [[문희준]]은 그의 양말에 불개미를 넣었다고 한다. ~~이제 와서 생각해보면 이후 연예병사들의 친목질로 각종 병크가 드러났던 걸 보면 그나마 연예인 친목질로 개판5분전이던 곳에서 나름 규율시켜서 재평가~~ ~~[[엄석대|그들]][[전사의 후예|은 날 짓밟았어 하나남은 꿈도 빼앗아 갔어]]~~[* 참 아이러니한 것이, 문희준이 속한 [[H.O.T.]]의 데뷔곡인 [[전사의 후예]]의 가사에서 저격하는 대상의 가장 전형적인 예라 할 수 있는, [[엄석대]]를 연기한 인물을 군대에서 만났으니...]
- 홍나영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홍성유 . . . . 1회 일치
이후 《[[신사조]]》 주간, 《[[신사조]]》 집필위원 겸 편찬위원, [[한국문인협회]] 이사,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이사,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이사, [[한국저작권협회]] 부회장,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장,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위원, [[대한민국예술원]] 문학분과 회장,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장,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 위원 등을 지냈다.
- 화염병 . . . . 1회 일치
2015년 12월 4일, 이집트에서 나이트클럽 입장을 제지당하자 화염병을 던진 사람들도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06/0200000000AKR20151206054100079.HTML|연합뉴스 링크]].
- 황광희 . . . . 1회 일치
| 클럽남성 역
- 황두진 . . . . 1회 일치
* 2009 휘닉스스프링스 컨트리클럽 한옥연회장 (경기도 이천)
- 황리아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황병기 . . . . 1회 일치
* [[1999년]] [[3월]] 유니세프 문화예술인클럽 회장
- 황보예 . . . . 1회 일치
| 팬클럽 =
- 황정미 . . . . 1회 일치
| 팬클럽 =
11531의 페이지중에 193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