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예천군 . . . . 41회 일치
[include(틀:예천군의 읍면)]
||<-3><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1438F><bgcolor=#01438F> {{{+2 {{{#FFFFFF '''예천군'''}}}}}} [br] {{{#FFFFFF '''醴泉郡 / Yecheon County'''}}} ||
||<-3><bgcolor=#FFFFFF> [[파일:예천군 로고.png|width=150]] ||
||<-3><bgcolor=#FFFFFF>[include(틀:지도, 장소=예천군,너비=100%)] ||
||<-2><bgcolor=#5EBFED> {{{#FFFFFF '''국회의원'''}}} [br] [[영주시·문경시·예천군|{{{#FFFFFF {{{-1 (영주시·문경시·예천군)}}}}}}]] ||<bgcolor=#FFFFFF> [[최교일]]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bgcolor=#00B1EB> {{{#FFFFFF '''링크'''}}} ||<bgcolor=#FFFFFF> [[http://www.ycg.kr/|예천군 공식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ycno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5]]예천군 공식 페이스북]]
[[http://blog.naver.com/chj0494|[[파일:네이버블로그.png|width=15]]예천군 공식 블로그]] ||
||<rowbgcolor=#F0F8FF> '''예천읍내 전경'''[* 모르는 사람은 안 보일테지만... 예천초등학교, 예천경찰서, 예천군청 구 청사 등의 시설들이 보인다. 왼편에 있는 산이 '흑응산'이고, 오른편의 냇물이 '한천'이다.] || '''예천군청 조감도''' (충효로 111)[* [[경상북도청]]의 디자인을 따와서 비슷한 컨셉으로 [[공모전]]을 한 결과이다.] ||
||<-10> '''예천군 행정구역 변천사''' ||
|| 예천군 [br](醴泉郡, 1895) [br] 용궁군 [br](龍宮郡, 1895) ||<|2> → || '''예천군 [br](1914)''' [br] ||
* [[경덕왕]] 6년 : 수주현에서 예천군으로 개칭.
* 1896년 : [[23부제]] 시행에 따라 안동부 예천군이 됨.
||<-102><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DDDDDD><#FFFFFF><:> [[예천군|[[파일:예천군 로고.png|width=100]]]] [br] {{{+1 ''' [[경상북도|{{{#000000 경상북도}}}]] [[예천군|{{{#000000 예천군}}}]] {{{#000000 인구추이}}} ''' }}} [br] {{{-3 ([[1970년]]~[[2018년]])}}} ||
예천은 북쪽은 백두대간(소백산맥), 남쪽은 낙동강 본류에 접하며, 군 가운데로 내성천이 굽이굽이 흐른다. 풍양면은 예천군에서 유일하게 낙동강 이남에 위치해있는 면이다. 큰 강인 낙동강이나 내성천 주변에는 정작 제대로된 평야가 없고[* 풍양의 낙동강 연안에는 평야가 좀 있고, 예천읍 고평에는 내성천 옆에 큰 들이 위치한다.], 내성천의 지류인 한천의 하류(예천읍 일원)에 비교적 너른 평야가 있다. 대략, 북쪽일원 (효자, 은풍)이 산악지형, 중앙(예천읍, 유천, 개포, 용궁, 호명)이 평지 혹은 구릉성 지형, 동부(감천, 보문)와 남부(지보)는 산지가 많은 지형이다. 용문은 중앙(예천읍)에서 북쪽(효자, 은풍)이나 서북쪽(문경 동로면)으로 가는 길 중간에 있는데, 중앙은 평지이고, 외곽이 산지인 전형적 분지 지형을 이룬다. 풍양은 예천군에서 유일하게 낙동강 이남에 위치한 면으로서, 북쪽과 남쪽은 산지이고, 중간이 평야이다.
예천군의 동쪽을 통과하는 [[중앙고속도로]]에 [[예천IC]]가 있다. 문경, 안동 방면으로 [[34번 국도]], 의성, 영주 방면으로 [[28번 국도]], 군 북서부를 [[59번 국도]]가 지난다. 하지만 서울 방향으로 가는 경우 [[예천IC]] 보다 점촌을 지나 [[중부내륙고속도로]] [[점촌함창IC]]를 이용하는것이 훨씬 빠르다. 연평균 이용량이 300대 정도로 매우 적은 교통량. 예천읍과도 상당한 거리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앙고속도로]]가 안동과 영주를 직결하지 않고 예천으로 우회하도록 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이 있다. [[중앙고속도로]]가 예천으로 우회한 것은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정치적 후견인이었던 지역 출신 정치인 [[유학성]]의 입김이었다고 한다. [[예천공항]]이 생겼던 것도 [[유학성]]이 주도했다는 말이 있다.
||<tablealign=center><bgcolor=#C9151E><-8> {{{#FFFFFF '''19대 대선 예천군 개표 결과'''}}} ||
|| '''예천군''' ||<:>14.39%||<:>8.90%||<:>16.52%||<:>△2.13 (+14.8%)||<:>△7.62 (+85.6%)||<:>84.10%||<:>63.94%||<:>59.23%||<:>▼24.87 (-29.6%)||<:>▼4.71 (-7.4%)||
|||| 예천군 ||<-5> 문경시-예천군 || 영주시-[br]문경시-예천군 ||
|| [[예천군/행정]] 항목 참조. ||
- 영주시 . . . . 5회 일치
||<-2><bgcolor=#04B486> {{{#FFFFFF '''국회의원'''}}} [br] [[영주시·문경시·예천군|{{{#FFFFFF {{{-1 (영주시·문경시·예천군)}}}}}}]] ||<bgcolor=#EFFBEF> [[최교일]]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시(행정구역)|시]]. 인구는 2016년에 들어 10만 9천여 명으로 계속 인구가 줄고 있다.[* 1995년경에는 인구가 약 15만명이었다. 이때부터 따져도 매년 거의 2천명 꼴로 인구가 줄어든 셈. 그런데 2018년 현재 약 16만인 안동시 인구도 그 당시에는 거의 20만명에 달했다. ~~그때가 좋았지~~] 시의 동부에 [[봉화군]], 남부에 [[안동시]], 서부에 [[예천군]]이 있으며 북부는 죽령을 경계로 [[충청북도]] [[단양군]], 마구령을 경계로 [[강원도]] [[영월군]]과 맞닿아 있다.[* 영월군으로는 육로로 직결이 안 되어있어서 단양군 영춘면을 통과해야 한다.]
|||| 영주시-영풍군 ||<-5> 영주시 || 영주시-[br]문경시-예천군 ||
[[경상북도]] 지역답게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영주시 단독 선거구였으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인구 부족으로 인해 [[문경시]]-[[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었다. 그런데 문경, 예천 선거구와 통합된 건 잘못되었고, [[생활권]]이 같은 [[봉화군]]과 선거구를 통합하는 것이 타당했다는 의견이 있다.
- 유하나(1986) . . . . 2회 일치
|| '''출생''' || [[1948년]] [[3월 22일]], [[경상북도]] [[예천군]] ||
[[분류:예천군 출신]]
- 경상북도 . . . . 1회 일치
[[예천군]]''' || 醴泉郡 || 661 || 46,425 || 21,378
-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 . . 1회 일치
[[분류:예천군 출신 인물]]
- 효령대군 . . . . 1회 일치
**** 손자 : 덕은도정, 제천군, 예천군, 고림군, 청거수
11531의 페이지중에 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