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어유구"에 대한 역링크 찾기

어유구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권상하
         그 뒤 [[송시열]]의 비문을 찬하면서 [[송시열]]이 화를 당한 것은 "[[윤증]]이 (사사로운 마음으로) [[윤휴]](尹鑴), [[허목]]의 무리와 함께 조작한 것”이라는 내용을 비문에 기록하여 [[소론]]계 유생 [[유규]](柳奎) 등 8백 여명의 [[성균관]] 소론계 유생들에게 비판을 받고 [[사간원]][[대사간]] [[이관명]](李觀命), [[홍문관]][[수찬]] [[어유구]](魚有龜<ref>경종의 장인이다.</ref>) 등 [[소론]]측으로부터 비문을 수정하라는 항의를 당하였으나 그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715년]]에는 [[윤선거]](尹宣擧)와 [[유계]](兪棨)의 공저인 가례원류의 저작권을 둘러싸고 윤선거와 유계의 후손 사이에 분쟁이 일어나자, 그 서문에서 유계의 저술이라고만 하여 소론의 영수 윤증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이어 스승 [[송시열]]의 묘비명을 지을 때 송시열이 화를 당한 것은 [[장희빈]] 소생 원자 책봉을 반대해서가 아니라 “[[윤증]]이 [[윤휴]]의 무리와 함께 조작한 것”이라 주장하며 이를 그대로 송시열의 비문에 기록하여 [[소론]]계 유생 [[유규]](柳奎) 등 8백여명과 [[소론]]인 [[사간원]][[대사간]] [[이관명]](李觀命), [[홍문관]]수찬 [[어유구]](魚有龜) 등 [[소론]]이 반발, 소론측으로부터 비문을 수정하라는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
  • 박세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고 [[소론]]이 주도권을 잡게 되자 [[의정부]][[좌의정]]에 발탁되었다. [[소론]]의 힘으로 [[좌의정]]이 되었지만 이후에는 '시비명변(是非明辨) 후의 탕평론(蕩平論)'과 '벽이단(闢異端)'을 강조하는 [[노론]]의 정치적, 학문적 입장을 지지하였다. 그가 교유한 인물과 초기의 문인들은 대부분 [[소론]]이었고, [[송시열]] 등 일부 노론도 있었다. 그런데 그가 [[노론]]의 입장을 지지한 것을 두고 그가 죽은 뒤에 [[김간]](金幹), [[김구 (1649년)|김구]], [[어유구]], [[어유봉]], [[김상로]] 등 그의 문하생 대부분이 [[소론]]을 탈당하고 [[노론]]으로 이탈하는 원인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 어유구
         '''어유구'''(魚有龜, [[1675년]] [[4월 18일]] ~ [[1740년]] [[1월 16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경종|경종]]의 비 [[선의왕후 (조선)|선의왕후]]의 친정아버지이다. 학자 [[어유봉]](魚有鳳)의 동생이다. 본관은 [[함종 어씨|함종]](咸從). 자는 성칙(聖則), 호는 긍재(兢齋). 시호는 익헌(翼獻)이다.
         [[1722년]](경종 3) [[목호룡]]의 고변 사건에 참여한 부사공신(扶社功臣)을 녹훈할 때, [[김일경]]이 공신으로 어유구도 포함되어야 된다고 하자 이를 불편하게 여겨 [[양주시|양주군]]으로 내려갔다.
         [[조선 경종|경종]]이 [[소론]]에 기울었던 것에 반해 어유구는 [[신임사화]] 때 [[노론]](老論)을 극력 옹호하였고 유생들이 건의한 [[윤선거]](尹宣擧), [[윤증]](尹拯) 부자의 신원과 복직에 반대하였다. [[1722년]](경종 3)에는 [[사간원]]사간 정해(鄭楷)가 그가 [[노론]]을 비호한다며 논죄하였다. 그 뒤 경기도 [[양주시|양주]](楊州)에 낙향하였다.
         ***** 본인 : [[어유구]](魚有龜) - [[조선 경종|경종]]의 [[국구]] 영돈녕부사 · 함원부원군(咸原府院君)
         * [[어유구]]의 외손자 심능필은 [[어유구]]의 사위 심이지의 아들이고, 심능필은 [[홍인한]]의 사위이다.
  • 어진익
         아들 [[어사형]](魚史衡)이 종2품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가 되어 추은(推恩)으로 [[증직|증]]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후일 손자 [[어유구]]가 보국숭록대부 [[돈녕부]]영사에 올라, 그는 다시 [[증직|증]] [[의정부시|의정부]][[좌찬성]]으로 가증되었다. 그의 증손녀 [[선의왕후]] 어씨는 [[조선 경종|경종]]비가 되었다.
         ** 아들 : [[어유구]](魚有龜, 1675 ~ 1740)
  • 헌경왕후
         ***** 당숙 : 증 영의정 [[홍상한]](贈 領議政 洪象漢, 1701~1769) - [[어유구]]의 조카사위, [[선의왕후 (조선)|선의왕후]]의 사촌제부
11830의 페이지중에 5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9-11-09 09:20:38
Processing time 0.0138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