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어느날 갑자기 네 번째 이야기 - 죽음의 숲"을(를) 전체 찾아보기

어느날 갑자기 네 번째 이야기 - 죽음의 숲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54회 일치
          * 어쌔신 크리드 III 부터 잡은 플레이어를 위해서인지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열심히 소개해준다. 아무 설명 없이 앱스테르고에서 탈출하던 어쌔신 크리드 II 시절보다는 나아졌으려나?
         항해 28일 째 밤, 선장은 헤이덤에게 선상 반란이 머지 않은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선원들에게 캐묻고 다니던 헤이덤은 제임스라는 선원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듣는다.
         존슨의 계산과 지도가 잘 안 맞아떨어진다. 모호크의 도움을 받을까도 했는데 걔들에게 해준것도 없는데 도와달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 이때 히키가 방법을 생각해낸다. 노예상으로부터 원주민을 구출하면 도움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것. 벤자민 처치라는 사람이 노예상이 어디있는지 알고 있을 것이라는 찰스 리의 주장에 따라 헤이덤과 찰스 리는 처치의 집을 찾아간다.
         다시 그린 드래곤 여관으로 온 일행. 존슨에게서 이야기를 전해들은 처치는 자신을 감금했던 사일러스 대처가 노예상이라는걸 밝힌다. 하지만 대처는 사우스게이트 요새를 관리하는 영국군 지휘관이며, 최소 100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있다. 헤이덤은 사우스게이트 요새로 진입할 방법을 찾는 동시에 자신의 조력자가 될지도 모르는 존 핏케언을 찾으려고 한다.
          * 첫번째 대포 왼쪽의 경비병은 무한정 리스폰된다.
         >헤이덤: 가 죽어야 문이 열려. 사적인 감정은 없었다. 뭐, '''약간은''' 있겠지. 어쨌든, 넌 짜증나는 놈이었어.
         >헤이덤: 어쩌면 그랬었지. 이젠 아냐. 가 한 일을 용서했을거라 생각해? 가 죽인 사람들은 모두 무고한 사람들이었어. 뭣 때문에? 방법이 막힌다고 해서 세상이 위험에 처하지는 않아.
         >헤이덤: 지금 같은 경우라면 동의하.
         >"자는 템플기사단원일세. 이해의 아버지께서 우리를 인도하시기를."
         1760년, 카나다세둔(Kanatahséton). 책을 읽다가 카니에티오에게 들킨 그녀의 아들. 그때 같은 마을에 사는 카나도곤(Kanen'tó:kon)과 아이들이 같이 놀자며 찾아온다. 카니에티오는 그녀의 아들인 라둔하게둔에게 언덕 너머로 나가지 말라고 당부하면서 놀러 나가게 한다. 아이들은 "곰 만큼 큰 늑대"나 "[[총기|손에서 불을 쏘는]] 낯선 사람들"에 대한 소문을 이야기하며 으로 놀러나간다.
         에 도착한 아이들은 숨바꼭질을 하기로 한다. 제비뽑기를 해 술래로 뽑힌 라둔하게둔은 아이들을 모두 찾아낸다. 그 이후 시작되는 두번째 술래잡기. 이번에는 카나도곤이 술래가 된다. 카나도곤이 숫자를 세는 동안 라둔하게둔은 자리를 잡고 숨는다.
         몇년 후. 성장한 라둔하게둔과 카나도곤이 에서 만난다. 이들은 오늘밤 쓸 물건을 모아오라는 부족 어머니(Clan Mother)의 요구에 따라 으로 온 것.
          3종류를 잡아야한다. 산토끼, 여우, 노루를 다 잡아보라는 이야기.
         한곳에 모인 마을 사람들. 부족 어머니가 라둔하게둔을 집으로 부른다. 부족 어머니는 왜 을 떠나거나 다른 카니엔케하카[* 모호크 사람들이 모호크를 부르는 명칭.]처럼 전쟁에 참가하지 않는지 궁금해하는 라둔하게둔에게 이유를 말해준다. 마을은 성스러운 땅에 위치해 있었고, 그 땅의 존재를 숨기는게 마을의 의무였다. 라둔하게둔이 그게 그렇게 중요한 일이냐고 묻자 부족 어머니는 나무 상자에서 수정구를 꺼내 라둔하게둔에게 건낸다.
          세번째 환영이 보이는 곳을 주의할 것. 동굴인지라 여기서 한번 박으면 무조건 완전 동기화 실패다. 시이발.
         하지만 라둔하게둔은 포기하지 않는다. 자신은 떠나지 않을거라고 선포한 라둔하게둔은 다시 자신이 묵는(?) 마구간으로 들어간다. 그날 밤, 마구간에서 잠을 청하던 라둔하게둔은 아킬레스를 습격하려는 괴한들을 목격한다. 라둔하게둔은 이들을 모두 쓰러뜨리고는 그들이 무슨 목적으로 왔는질 물어보지만 뒤에서 갑자기 나타난 괴한들의 우두머리에 의해 쓰러진다. 이때 아킬레스가 슬그머니 나타나 괴한들을 찔러죽여 라둔하게둔을 구해준다. 이후 아킬레스는 라둔하게둔이 시체를 치우게 한 후, 저택으로 들여보낸다.
         라둔하게둔은 6개월간 훈련을 받았다. 달리기, 벽타기, 전투, 떨어지기, 언어학, 철학, 논리학, 암살단과 성당기사단의 정보 등등. 그러던 어느날, 아킬레스는 집 공사를 하기로 마음먹고 라둔하게둔과 함께 보스턴에 간다.
         인쇄소로 나오고 나서 애덤스는 지금까지 알려준걸 정리해준다. 이에 코너는 그냥 자기가 한 일이 아니라는걸 밝히면 되는거 아니냐고 묻지만 애덤스는 자기도 나이 때는 그렇게 생각했지만 그렇게 생각하다간 죽는다고 한다.
         또다시 6개월의 시간이 지났다. 그 동안 코너는 배우고, 훈련하고, 일을 하고 아킬레스에게 템플기사단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코너는 카니엔케하카의 자유를 위해 템플기사단에 맞서고 싶어했지만, 지금은 이길 수 없다는걸 알기에 참고 수련을 계속했다. 코너가 기술을 배우고, 지식을 쌓고 성장하는 동안 아퀼라 또한 수리를 끝맞췄다.
         데스몬드는 펜트하우스로 들어가 동력원을 확보한다. 그때 갑자기 나타난 다니엘 크로스가 권총을 겨누며 동력원을 넘기라고 하지만, 데스몬드는 크로스가 방심한 틈을 노려 면상을 동력원으로 한번 스매시 해준다음 도망간다.
  • 몽키 D. 루피 . . . . 43회 일치
         ||<#DCDCDC> '''캡틴''' ||<#DCDCDC> '''밀짚모자''' ||<#DCDCDC> '''마술사''' ||<#DCDCDC> '''붉은 깃발''' ||<#DCDCDC> '''죽음의 외과의''' ||<#DCDCDC> '''바다천둥''' ||<#DCDCDC> '''살육무인''' ||<#DCDCDC> '''대식가''' ||<#DCDCDC> '''갱''' ||<#DCDCDC> '''해적 사냥꾼''' ||<#DCDCDC> '''괴승''' ||
         || [[유스타스 키드]] || '''몽키 D. 루피''' || [[바질 호킨스]] || [[X 드레이크]] || [[트라팔가 로]] || [[스크래치멘 아푸]] || [[킬러(원피스)|킬러]] || [[쥬얼리 보니]] || [[카포 벳지]] || [[롤로노아 조로]] || [[우루지]] ||
         리더로서는 솔직히 부족한 점이 보인다. 일류 인재 스카우터 수준으로 동료들은 잘 모았고, 위급할 때는 전투력도 높지만 이성적인 리더로 보기가 조금 그렇다. 감성적인 리더로 봐야 하나. 물론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은 분명 있다. 때문에 루피가 일행의 구심점은 충분히 되지만 무모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벌이는 일에 자기 옆에 모인 동료들을 한 방에 친구따라 강남 가게 한다던가(...). 뭐 애초에 루피가 자신은 검술도 항해술도 요리도 거짓말도 못한다고 이야기할 정도로 자신의 부족함을 잘 알고 있고, 그렇게에 동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그렇기에 동료들을 자기 목숨 만큼이나 소중히 여기고 또 그만큼 믿고 있다. 동료들도 그런 루피의 기대치에 맞춰 죽어라고 자신을 강화해 가며 루피를 쫓아가고 있다.[* 1부에서 '--3d--2y'의 암호를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구하는 모습이나(특히 '''자신의 최대의 적수인 미호크에게 가르침을 구하던 조로.''') 2부 펑크 해저드에서의 우솝의 대사에서 알 수 있다.] 모든 면에서 완벽해 보이는 자가 위에 군림 하는 타입이 아닌 옆에서 같이 부대끼면서 서로의 단점을 서로의 장점으로 보완해 나가는 타입의 리더쉽이라고 이해해 주면 될듯.--물론 동료들이 그덕에 피X 싸는 고생을 수시로 하는 것이지만--
         신나게 즐기며 노래하고, 동료를 아끼며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이 해적이라 생각한다. 제일 처음 본 해적이 [[빨간 머리 해적단]]이었기 때문인 듯. 영웅이 되는 것에는 별 관심이 없다. "해적은 고기를 가지고 잔치를 벌이지만, 영웅은 고기를 나눠줘야 하니 싫다"고 말하기도 했다--징베: 가 먹을 고기는 내가 줄테니 일단 말을 들어!-- 이런 면모 탓에 해적기만 내리고 다녀도 인생이 편해지지 않겠느냐는 지적도 있지만, 세계관 상 [[위대한 항로]]의 끝까지 가보려는 것 자체가 중죄다. 더군더러 해적기를 내리든 말든 몇몇 행동은 알아서 했을테니[* 특히 로빈을 구출하기 위해 에니에스 로비를 박살낸거나 천룡인을 패 버린것.] 별 상관은 없을듯.~~지금까지 해먹은 게 몇 년인데~~
         해적사냥꾼 [[롤로노아 조로]]와 함께 밀짚모자 해적단을 결성하였으며 처음에는 단 둘뿐이었다. 루피가 계속되는 동료를 찾다가, 소규모 ~~[[어선]]~~해적단이란 소리를 들을 쪽수는 채웠다. 그런데 멤버들이 하나같이 개성이 철철 넘치다 못해 흘러내릴 지경이며[* [[러시아식 유머|순록을 닮은]] [[토니토니 쵸파|너구리]](절대 오타가 아니다.), [[프랑키|로봇]]도 있는데 왜 또 [[브룩(원피스)|해골]]까지 동료에 추가하려 드냐고 상디한테 한 소리 들은바 있다.] 특히 [[위대한 항로]] 진입 이후에 들어온 동료는 전부 '''제대로 된 인간이 없다.'''[* 조로, 나미, 우솝, 상디는 '''일단은''' 멀쩡하게 생긴 인간이지만 쵸파는 순록 + 악마의 열매 능력자, 프랑키는 사이보그, 브룩도 해골 - 악마의 열매 능력자다. 그나마 외모로는 멀쩡하게 생긴 인간인 로빈도 악마의 열매 능력자. 사실 나머지 멤버도 조로, 상디는 초인급 싸움을 보여주고 나미는 위대한 항로에서 관측할 수 없는 사이클론을 감으로 예측하며 우솝은 사법의 탑 꼭대기에서 저 멀리 떨어진 다리에 있는 해군들을 정확하게 저격하는 등 나머지 명도 평범한 사람과는 거리가 멀다.]
         미들임이 D라서 [[해적왕]] [[골 D. 로저]]가 [[할아버지]]라는 루머가 있었지만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 [[해군 중장(원피스)|중장]]인 [[몽키 D. 가프]]가 할아버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다가 [[아버지]]는 [[세계구]]급 [[혁명가]]로 '세계의 적' 취급을 받는 [[몽키 D. 드래곤]]. [[형]]들은 [[흰 수염 해적단]]의 2번대 대장 [[포트거스 D. 에이스]]와 [[혁명군(원피스)|혁명군]] 참모총장 [[사보(원피스)|사보]].[* 단, 둘 다 친형은 아니고 의형이다.]
         원피스의 최종보스 세력으로써 점쳐지고 있는 것이 세계정부이며 세계정부에 정면으로 적대하고 있는 세력인 반란군의 수장이 루피의 아버지인 데다가 2년간 니코 로빈이 임시적으로 반란군과 행동을 함께 한 행적이 있어 밀짚모자 일당과 관계가 나쁠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생각해보면 사실 세계정부 측에서는 간담이 서늘해질 수도 있는 이야기. 어인섬 국왕 넵튠의 무거운 일언 등에서 생각해보면 어느 쪽이 되던간에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내용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당연하다고 하다면 당연한 일인데, 루피는 10살이 채 되기도 전부터 산적들과 함께 산속에서 살다가 최근이 되어서야 속세로 나왔기 때문에 사실상 은둔자처럼 자랐다고 할 수 있다. 정상결전 종전 이후 루피의 과거회상이 좀 더 디테일하게 나오기 전까지는 대부분의 독자들이 루피가 '마을에서 자란 아이' 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도 그럴것이 샹크스에게 모자를 받았을 때의 회상에서는 후샤마을 모습만 비췄고, 옷도 말쑥하게 입고 있었기 때문. 그러나 실상은 속에서 수렵을 해서 먹고 사는 생활을 하고 있었던데다가 키우는게 산적들이다보니 엉덩이 붙이고 교육을 받았던 적은 없을게 뻔하다.산 속으로 들어가기 전에도 아버지가 드래곤이다보니 거프라고 해도 애를 쉽사리 밖에 내놓고 길렀을 터가 없고, 심지어 마을을 나오고 나서는 이렇다 할만한 공백기간도 없이 첫 항해에서 그대로 1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태어난 이래 문명을 거의 접하지 못했다고 봐도 좋다. 오히려 자라온 환경을 생각해보면 '''글을 읽을 줄 안다는게 기적이다.'''(…)
         사실 원작이 아닌 애니 오리지널 스토리에서의 장면이지만, 루피가 딱 한 번 책에 관심을 보인 적이 있긴 했었다. 계속 비가 와서 놀지도 못하고 심심해 미칠 지경인 상태에서, 로빈이 읽던 책을 보고는 무슨 책이길래 그렇게 읽냐며 물어보더니 모험기 작품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관심을 갖고 읽어보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동시에 옆에 있던 동료들은 경악) 뭐 결국에는 읽으려는 순간 상륙할 섬이 보이는 바람에 곧바로 내던지고 나가버렸지만, 사실상 원작과 애니 오리지널을 통틀어서 루피가 책에 관심을 가진 건 이 때가 유일하다.
          * '''[[버기(원피스)|버기]]''' - 최초 능력자간 배틀. 나미의 도움으로 작아져버린 버기를 고무고무 바주카로 날려버린다. 이후 로그 타운에서는 밑을 참고. 임펠 다운 탈옥 직후 봉쿠레 이야기 때문에 시비 붙어서 또 싸우고 또 이겼다.
          * [[미스 발렌타인]] - 오해로 인해 조로와 싸우던 중 시비를 건 Mr.5 & 미스 발렌타인 페어한테 포스 넘치는 표정으로 "거 쫑알쫑알 더럽게 시끄럽! 승부에 방해된다!"라며 한 방에 끝내버리는데 이 때 루피가 팼던 게 미스 발렌타인.
          * '''[[로브 루치]]''' - 밑에서도 이야기하겠지만 루피를 가장 죽을 위기까지 몰아넣은 적 중 한 명. 마지막은 고무고무 JET 총난타로 장식했다.
          * '''[[제트(원피스)|제트]]''' - 극장판 12기 한정.[* 극장판 11기에는 실력자가 없었다.] 제트와의 3 번째 대결에서 끝내 이겼다. 하지만 3 번째 대결때는 기어를 이용해서 싸워 왔으나 막판에는 단순히 무장색 강화만 써서 서로 주먹 교환에 집중했다. 이 때 제트가 신념에 신념으로 답해준다면서 핸디캡으로 오직 팔에다가만 무장색 패기를 두르고 공격을 맞아주었기에 건강과 나이 때문에 한계가 있었기에 이길 수 있던 것.[* 실제로 루피의 무장색 패기를 담은 주먹은 제트의 부하인 슈조의 무장색 패기 + 철괴에도 큰 타격을 주지 못하거나 패기를 담은 주먹에 막히기도 했다. 30년이 넘게 무장색 패기 마스터로 이름을 날렸던 제파의 패기의 힘을 생각하면 제파가 전신에 무장색 패기로 무장을 했다면 루피는 데미지를 줄 방법도 없었다.][* 그러나 이 싸움마저도 루피의 모든 기술을 쏟아부으면서 싸우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엘리펀트 기술도 쓰지 않았다는 점도 있고 레드 호크(불주먹)같은 기술도 쓰지 않았다는 것도 있다. 사실 이런 기술은 2년 후에 루피가 등장하면서 쓴 지 얼마 안 되었던 기술이고 게다가 현재 시점으로 아직 2년 동안 수련된 상태의 루피의 기술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
          * 사이 - 이데오랑 신나게 맞붙고 있었는데 갑자기 루피가 꺼지라며 기어 2 걸고 킥을 날려서 링 밖으로 날려버렸다. 이유는 단 하나, 밑의 칭자오와의 1:1 대결을 위해.
          * [[히그마]](!) - 루피를 피떡으로 만든 것도 모자라 나중에 바다에 빠뜨려 죽일 뻔했다. 샹크스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꼼짝없이 루피는 ~~[[해신류 떡밥|후샤 D. 뉴에이지]]~~근해 괴물에게 잡아먹히는 운명이 되었을 것이다. 물론 루피가 어린 시절이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긴 하지만 일단 '''공식적으로 루피를 죽음 직전까지 몰고 간 첫 번째 인물'''. 이 때문에 밑의 버기와 함께 히그마 생존설이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 [[스모커(원피스)|스모커]] - 루피를 힘으로 제압한 첫 번째 인물. 아버지 [[몽키 D. 드래곤]]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로그 타운에서 '''원피스 끝.'''
          * '''[[크로커다일]]''' - 세 번 싸워서 두 번이나 루피를 꺾은 사나이며, 루피 의식을 뺏고 가사 상태까지 몰고 간 첫 번째 인물. 왕궁에서 로빈과 여러가지 우연 등이 겹쳐서 겨우겨우 이겼다. 마지막 전투도 주인공 보정이 없었다면 못 이겼다.
          * [[볼사리노]] - 파시피스타 때문에 이미 궁지에 몰린 상황에, 나타나 루피 일당을 더욱 몰아 붙였다. 루피도 '''"지금의 우리들로는 이녀석들을 못이겨"'''라고 인정. 그러자 키자루는 '''"솔직해서 화가 나."'''라고 반응한다. 이후 전쟁터에서도 루피를 공격하거나, 광속 발차기로 루피를 위기로 몰아넣었다.
          * '''[[제트(원피스)| Z]]''' - 극장판 12기 한정. 루피를 2번이나 간단히 발랐다. 그러나 첫 번째 때는 가프의 손자라는 말에 죽이지 않고 던져버렸으며 두 번째 때도 루피의 신념에 내심 감탄하여 화산 폭발이 운명을 정해줄 것이라며 죽이지 않고 떠났다. 세 번째 때는 제파가 핸디캡을 주어서 겨우 이길 수 있었다.
         * [[모(원피스)|모]] - 시저가 루피와의 싸움에서 밀리자 난입. 이글루 속에 루피를 가둬두고는 루피를 완전히 잠재울뻔 하다가 정신을 차린 루피가 바닥을 뚫고 지하 쓰레기통으로 떨어지는 바람에 승패가 나지 않았다.[* 참고로 이 장면은 애니메이션에서 아주 자세하게 나왔는데, 루피가 눈을 감고 완전히 잠드려는 찰나에 조로가 말했던 '''신세계는 이제부터다''' 라는 말과 함께 동료들의 모습이 스쳐 지나간다. 그리고 눈을 뜨자마자 패왕색의 패기를 발산한 뒤 모를 붙잡 기어 세컨드를 사용한다.][*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승부가 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모의 승리다. 모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싸워 이기는 것이 아니라, 시간벌기였으니.]
  • 토리코/392화 . . . . 32회 일치
          * 아카시아는 팔왕을 잡아먹고 더욱 강해졌지만 강해질 수록 그 안의 오가 아카시아의 자아를 먹어치우고 있다.
          * 비대해진 아카시아가 모든 식운을 먹어치웠다고 믿고 토리코를 공격하나 그 공격은 한순간 나타난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게 가로막힌다.
          * 세 번째 악마는 이미 승부는 났다고 말하며 토리코에게 "그 말"을 해달라고 조른다.
          * 토리코는 언제나 그래왔듯 두 손을 합장하며 "잘 먹었습니다"라고 인사하고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 안의 오를 완전히 끝장낸다.
          * 그러나 토리코는 그것이 아카시아가 아닌 "오"라고 말한다.
          * 아카시아가 말한 "진짜 아카시아의 풀코스"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는 적합식재를 모으지 못했고 시간이 갈 수록 자신의 식욕 "오"에게 먹히고 있다.
          * 토리코의 식운의 힘이 작용해 구르메 핸드, 오의 식욕 조차 방향을 잃고 흘러가 버린다.
          * 일건, '''전채'''
          * 토리코는 연이어 두 번째 일건을 먹이며 "수프"라고 말한다.
          * 그리고 '''메인디쉬'''로서 오의 살점을 뜯어먹는다.
          * 다음은 트윈 일건으로 '''샐러드'''
          * 모습을 드러낸 토리코의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
          *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의 팔을 단단히 잡고 오의 "검은 세포"를 흡수하기 시작한다.
          * 또 세 번째 악마는 아카시아는 지금 "과식"을 하고 있다며, 벌써 수 십억 년 째 과식 중이라고 비꼰다.
          * 아카시아는 오의 세포가 굴복 당하고 있다는걸 믿지 못한다.
          * 세 번째 악마가 실체화할 수 있는 건 아주 잠시 동안. 세 번째 악마는 분노의 풀코스가 들어간 시점에서 승부는 났고 당장이라도 "토해"낼 거라고 말한다.
          * 그리고 조용히 감사의 합장. 동시에 세 번째 악마는 손가락 하나를 아카시아의 이마에 찔러넣는다.
          * 아카시아, 오의 분쇄.
         세 번째 악마의 실체화. 세 번째 악마가 오의 "검은 세포"의 천적일 거라는 팬덤의 예측은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오가 완전히 패배한 걸로 묘사되는데 정작 기대를 모았던 청귀, 세 번째 악마의 실체화와 흡수는 없었고 세 번째 악마가 잠깐 등장해서 오를 끝장내는 정도로 지나가게 됐다.
         세 번째 악마는 뜻밖에도 매우 정중한 성격으로 오는 물론 자기 숙주인 토리코에게도 공손한 존댓말로 일관한다. 웃음소리는 "쿄쿄쿄".
  • 토리코/393화 . . . . 32회 일치
          * 괴멸해가는 오 안에서 아카시아의 얼굴이 나타나 자신은 어리석은 자라 말하며 토리코에게 진실을 고백한다.
          * 아카시아는 블루니트로 페어에게 오에 대해 들은 후 오 안에 갇힌 식령들을 해방코자 했다.
          * 마침내 아카시아는 오가 "싫어하는 맛"을 밝혀내고 그것이 식령들을 해방할 단서가 된다.
          * 지구의 위기는 구해지지만 이로서 우주적 순환에 지장이 생기는데 아카시아는 오 안에서 터져나오는 무수한 식재로 그것을 대신한다.
          * 아카시아는 마지막으로 토리코에게 언젠가 부활한 오를 맡기며 최후를 맞이한다.
          * 최후를 맞이하는 아카시아. 어찌된 일인지 최후의 일격을 먹인 토리코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죽어가던 중에도 아카시아는 어째서 그에게 눈물을 흘리냐고 묻는데 토리코는 이제 모든게 끝났고 더는 화낼 필요도 없어졌으니 오도 아카시아도 "그 아름다운 식욕"을 풀어주겠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아카시아의 눈에도 눈물이 맺힌다. 그는 죽어가면서 말한다. 본래 식욕 그 자체엔 선도 악도 없으며 그 자체로 무엇보다 순수하고 아름다운 것이다. 그렇기에 오가 토리코의 분노의 힘을 감당하지 못한 것이며 자신은 어리석은 인간이기에 토리코의 분노를 끌어내야 했다고 밝힌다.
          * 하지만 그가 스스로 "어리석다"고 말한 것에 블루 니트로 페어는 수긍하지 못한다. 그들이 처음 만났던 그 시절. 아카시아와 동행하던 페어는 문득 이런 이야기를 했다. "동포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것은 아카시아 안에 있는 오의 존재와 블루 니트로가 세운 봉인 계획을 설명하던 과정에서 나온 말이었다. 아카시아가 자세히 묻자 페어는 실언이었다며 그런거 보다 봉인 계획에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한다. 하지만 아카시아는 어딘지 석연치 않은 표정이다.
          * 그로부터 얼마 후. 아카시아는 페어의 협조요청을 받아들이고 오의 봉인을 위해 활동하고 있었다. 페어에게 이것저것 지식을 얻던 아카시아는 문득 "식욕의 악마에게 잠식 당하지 않는 법"에 대해 묻는다. 아카시아는 그것이 오에게 먹힌 식혼들을 구하는 열쇠가 될지 모른다고 여긴 것이다. 그는 만약 그 식혼들이 오 안에서 살아 있는 거라면 반드시 꺼내줄 방법도 있을 거라고 역설하는데 페어는 쓸데없는 소리라 일축하며 혹시 오 때문에 죄책감이라도 느끼는 거냐고 묻는다. 페어는 과거 오의 소행은 악행도 뭣도 아닌 그저 식사이며 지금와서 아카시아가 책임을 느낄 이유는 없다고 말한다. 아카시아는 그저 자신 안의 식욕에 대한 수수깨끼를 해결하고 싶은 거라고 항변하지만 페어는 귀담아 듣지 않고 풀코스의 출연이 가까웠으니 플로제의 설득이나 신경쓰라고 말한다.
          * 페어에겐 무시 당했지만 아카시아의 의문은 씻겨지지 않는다. 그는 달을 바라보며 오가 왜 자신에게 깃들었는지 자문해 본다. 오는 이미 수십억년을 먹고 먹기를 반복했다. 상상할 수 없는 세월을 그저 먹고만 있는 것이다. 생각을 거듭하던 아카시아는 마침내 "오는 사실 이미 배가 부른게 아닌가?"라는 발상에 도달한다.
          * 다시 시간이 흘렀다. 아카시아는 엄청난 발견을 알린다. "오가 싫어하는 맛"에 대한 것. 아카시아는 이것이야 말로 오 안의 동포를 구할 단서라고 말한다. 페어는 또 그딴게 집착하냐고 쏘아붙이지만 아카시아는 확고한 자세로 "그럴 방법이 있다"고 강조한다. 식욕의 에너지가 무한한 것은 만고의 법칙이고 구르메 세포가 이 세상에서 완전히 사라지는건 불가능한 일. 그렇다면 에너지의 절대량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 것이며 끝없는 순환을 반복한다. 그렇다면 오에 먹힌 식혼들 또한 사라진게 아니라 어딘가에 갇혀 있는게 맞다는 것.
          * 플로제의 동의가 있은 후에도 아카시아는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다. 스스로에게 "정말로 오가 만복인 것인지"를 끝없이 묻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머나먼 땅"으로 가는거 외엔 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실행하려는 계획이 정말 옳은 것인지, 거기에 대해서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 만약 실패한다면 지구가 멸망하는 것으로 끝날 것이며 자신의 식욕에게서 답을 구하려 해도 대답은 돌아오지 않는다.
          * 그 길고 길었던 고뇌의 역사.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카시아는 식욕과 맞서고 자신의 사명, "오에 갇힌 식혼들을 구한다"는 목적에 충실했다. 페어는 그런 아카시아가 어떻게 어리석다고 할 수 있겠냐고 소리친다. 아카시아는 과거 7대륙에서 서로의 목숨을 구해준 그 일이 모든 것의 시작이었다며 이렇게 끝낼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한다. 페어는 참지 못하고 울음을 터뜨리고 아카시아는 의식이 희미해지는걸 느낀다.
          * 지구가 붕괴하지 않는다는건 새로운 식재도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으로 우주적 순환이 끝나고 새로운 풀코스도 생성되지 않는다. 토리코는 그렇다고 지구를 붕괴하게 둘 수도 없는 노릇이라 말하는데, 듣고 있던 아카시아가 지구의 맛은 여기까지지만 지구의 맛과는 차원이 다른 레벨의 맛이 남아있다고 말한다. 바로 오 안에. 오 안에는 그동안 먹어온 음식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것이다. 페어는 그거야 말로 해결책이라고 하고 토리코 안의 청귀도 이 순간만을 기다려왔다고 환호한다.
          * 블루 유니버스와 레드 유니버스를 오가며 어마어마한 음식을 먹어온 오. 그 양은 아카시아 조차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지만 그의 "콤비"는 이미 새로운 식재의 조리를 마쳤다.
          * 마침내 최후의 순간이 다가온 아카시아. 내부에서 식재들이 치밀어 오르는 것을 느낀다. 아카시아는 자신의 계획이 완수되었다고 기뻐하지만 한 가지 마음에 걸린다며 토리코에게 부탁한다. 언젠가 부활할 오를 부탁한다는 것. 하지만 단순히 파괴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외토리였던 그 사랑스러운 식욕을 부탁한다는 말이었다. 토리코는 흔쾌히 수락하고 아카시아는 그에게 감사하며 작별인사를 한다.
         페어의 선역화와 함께 어느 정도 가능성이 생겼던 아카시아의 선역화가 기어이 완성. 사실 아카시아가 선한 목적을 가지고 위악하고 있을 거라는 설은 꾸준히 있었지만 지로를 죽이던 시점에서 완전히 폐기되다시피했다. 아카시아의 계획은 오 안에 갇힌 식혼들을 구하고 블루 니트로들이 잃어버린 동포와 식재들을 복구한다는 것. 우주적인 입장에서 보면 오에게서 동맥경화 일으키듯 막혀버린 맛의 순환이 재개되는 것이니 블루 니트로들이 세운 봉인 계획에 비해 훨씬 이로운 것이다.
         또 페어는 센터를 먹은 아카시아를 오에게 먹여 완전히 부활시킨 후 봉인하려 들었고 이게 원래 합의됐던 계획처럼 묘사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아카시아에게 설득 당해 다른 블루 니트로들에겐 비밀로 새로운 작전을 짠 걸로 묘사된다. 이 또한 모순된 묘사다.
         막판에 오 안에서 식재가 터져나오는 장면은 어떻게 봐도 구토하는 장면이라서 "최후의 식재는 오의 토사물이냐"는 악평이 많다.
  • 토리코/382화 . . . . 31회 일치
          * 팔왕의 노력에도 오는 봉쇄할 수 없었고 오히려 팔왕이 심각한 타격을 입는다.
          * 블루 니트로 페어는 풀코스를 먹은 아카시아를 오에게 먹여 모든걸 끝내려 하지만 아카시아는 배신한다.
          * 아카시아가 오히려 오를 먹고 전혀 새로운 형태로 변신, "머나먼 땅"으로 갈 준비를 마친다.
          * 오를 상대하는 팔왕들은 심각한 타격을 입는다.
          * 사왕 마더 스이크는 오를 녹여버리기 위해 소화액을 응축시킨다.
          * 초신성 폭발도 견뎌냈던 오의 신체도 조금씩 녹기 시작하지만 오는 오히려 소화액을 전부 마셔버리고 사왕의 체액까지 빨아들인다.
          * 사왕의 의도를 파악한 경왕은 사왕 째로 그 안의 오까지 빨아마신다.
          * 새롭게 각성한 아카시아는 오를 도로 불러들인다.
          * 오는 사왕의 몸에서 탈출, 경왕의 뱃속도 기공파를 날려서 터뜨리고 탈출한다.
          * 그런데 어디선가 한줄기 빛이 오의 다리를 비추고 있는데?
          * 오가 그것이 뭔지 파악하기 전에 아카시아의 부름이 들려온다.
          * 아카시아에게 달려가는 오.
          * 블루 니트로 페어는 오는 지금까지 없던 최고 상태지만 "완전한 생명"을 갖춘 형태는 아니라고 말한다.
          * 그런데 갑자기 페어의 움직임이 멈춘다. 어느 새 아카시아가 노킹을 건 것.
          * 오는 아카시아를 "강하다"고 인정하고 아카시아는 오의 힘을 받아가겠다며 이를 드러내는데.
          * 오히려 오를 먹어버린 아카시아.
          * 오도 아카시아도 아닌 전혀 새로운 모습이 되었다.
          * 마침내 오가 자신의 힘이 되었다고 선언하는 아카시아.
          * 현재까지는 오=아카시아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아카시아가 풀코스를 먹는다=오가 완전체가 된다는 공식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아카시아가 풀코스를 먹는 것과 오가 먹는 것은 일단 별개로 보인다.
          * 페어의 언행으로 볼 때 아카시아 자체도 오가 먹어야할 "풀코스"의 일부였던 걸로 보인다. 즉 현재 팔왕을 가지고 노는 오 조차 완전체는 아닌 것.
  • 토리코/394화 . . . . 30회 일치
          * 오로부터 블루 유니버스의 식재들이 끝없이 쏟아져나오고 토리코 안에 있던 청귀가 기뻐 날뛴다.
          * 토리코가 먹었던 오의 고기는 사실 오 자신의 고기가 아니라 그 안에 있던 "완상"이란 고대의 매머드 종류의 고기 인 것이였다.
          * 음식을 모두 토해낸 오는 처음의 괴물 모습으로 돌아가는데 토리코는 음식을 나눠주며 교화한다.
         * 오가 뿜어내는 식재는 우주까지 뿜어져 나간다. 막대한 양의 블루 유니버스의 식재들도 섞여 있어서 토리코 안의 청귀가 기뻐하며 날뛴다. 토리코는 그 중에서 어떤 식재의 냄새를 감지하는데, 그것은 바로 "감초"라는 별칭을 가진 "엔드 매머드"라는 고대의 생물이었다. 토리코가 맡았던 오의 고기 냄새는 사실 이 매머드의 것이었고 간간히 뜯어먹던 오의 고기 또한 이 엔드 매머드의 것.
         * 블루 니트로 페어도 이 생물에 대해 알고 있어서 이름과 내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고대 미식가들 사이에선 매우 유명했던 식재로 맛만을 놓고 보면 미식세계를 평정할 만한 식재. 오의 안에서 맛이 더욱 숙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청귀는 블루 유니버스의 식재가 아닌 탓인지 전혀 관심을 주지 않는데 제 3의 악마는 유심히 쳐다보더니 "저 식재가 토리코의 여정의 마침표가 되진 않을 것 같다"고 평한다.
         * 미도라는 자신의 힘을 속죄하는데 쓰겠다고 말하고 토리코와 스타준에게 작별인사를 한다. 그들에게 "사이좋게 같은 식탁에 앉아라"라고 충고해주는데 토리코는 그가 기뻐 보인다고 말하고 미도라도 딱히 부정은 하지 않는다. 미도라는 자신의 에너지를 맛으로 바꿔서 지구 전체를 향해 발사한다. "구르메 스파이스". 한때 인간계를 괴멸시켰던 미티어 스파이스에 반대되는 힘이다. 지구 곳곳으로 뻗어나간 미도라의 에너지는 식재로 전환되고 스파이스가 닿는 곳마자 울창한 이 생기고 새로운 식재가 풍족하게 피어난다.
         * 오는 그 후에도 끝없이 식재를 분출한다. 우주의 은하수를 수놓을 정도로 엄청난 양의 식재. 페어는 그 중 자신의 동포 블루 니트로들이 섞여 있는걸 발견한다. 결국 아카시아와 페어의 염원이 이루어진 셈이다.
         * 그 분출도 드디어 멈추고 오는 최초의 나약한 가축의 모습으로 돌아간다. 완전히 무력해진 오 앞에 식재를 든 토리코가 나타난다. 토리코는 이제 속이 시원하냐고 물으며 그에게 함께 먹자고 식재를 내민다. 수십억년 동안 뺏고 빼앗기기만 했던 생활. 오는 난생 처음으로 누군가와 식재를 나눠먹게 되고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 오가 만족해하는걸 확인한 토리코는 동료들을 불러모은다. 센터의 힘으로 재생한 동료들은 건재한 모습으로 토리코를 기다리고 있다. 토리코는 다 함께 밥을 먹자고 말하며 길었던 싸움이 마무리된다.
         청귀와 제 3의 악마는 결국 정체가 드러나지 않은 채 끝나게 됐으며 특히 제 3의 악마에 대해선 정확한 명칭 조차도 밝혀진게 없다. 팬덤에서는 최초에 "흑귀"라 불렀으나 "백귀"로 명칭이 바뀌었고 구현화됐을 때 몸체가 흰색으로 보여서 대체로 백귀란 명칭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이 세 번째 악마가 어떻게 오를 흡수할 수 있었는지, 어디서 온 존재인지 전혀 설명되지 않고 있다.
         죽은 것 같았던 팔왕도 대부분 소생했는데 낭왕 기스와 사왕 마더스이크의 생사는 불분명. 사왕은 경왕 문의 뱃속에 있어서 영향을 못 받은 걸 수도 있다. 기스는 오에게 당했을 때 즉사해 버린 건지 등장이 없는데, 어차피 오가 식재를 토해냈으므로 분명 기스도 다시 나왔을 것이다.
         오 뱃속에서 나오는 식재들은 죽은 채로 나오는게 아니라 완전히 살아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페어가 발견한 블루 니트로들도 살아있는 건지는 불명.
         토리코의 최후의 풀코스는 오가 아니라 엔드 매머드라는 고대의 매머드가 차지했다. 처음 오를 풀코스로 지목했을 때 인육을 먹는 셈이 아니냐는 논란도 있엇고 뭣보다 아카시아가 오를 보살펴달라고 했으므로 오를 잡아먹는 전개를 피한 듯 하다.
         오의 검은 세포에 대한 떡밥, 세 번째 악마의 정체에 대한 떡밥, 그리고 이번 주 세번째 악마가 "토리코의 여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는 맥락으로 한 발언 때문에 다음주 완결은 훼이크고 잡지를 옮기거나 하는 식으로 3부 연재로 가는게 아니냐는 설도 있다.
  • 상디 . . . . 28회 일치
         || 한국판[* 한국판에서는 무려 세 명의 성우가 맡았는데, 각 성우의 해석이 조금씩 달라 어느 쪽이 낫다라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대체적으로 김일의 해석이 더 디테일하고 맛깔난다는 의견이 많다. 그래서 쓰레기 퀄리티로 욕먹는 ~~대~~원피스 Original에서 유일하게 건질 만한 게 김일의 상디라는 말까지 나왔다. ~~여기에 11기에서 [[브룩(원피스)|브룩]]에 [[이인성(성우)|이인성]]이 캐스팅되면서 건질 게 더 늘었다~~ 다만 투니판을 맡은 박성태 버전도 꽤 괜찮은 연기로 호평이 많다. 양석정 버전은 특유의 음색 탓인지 셋 중 가장 평이 좋지 않다.] || [[이유리(성우)|이유리]](대원방송), [[김영은]](투니버스), [이현주(성우)|이현주](KBS) || [김일(성우)|김일](KBS, 대원방송), [[양석정]](KBS)[* 성우 교체에 얽힌 이야기가 참 복잡한데 2006년경 터진 [[흑역사가 된 것들/성우#s-1.1|KBS 성우 스캔들]]로 인해 김일을 포함한 3명의 성우가 6개월에서 1년의 자격 정지를 당해 양석정으로 교체되었고 투니버스에서 방영될 때쯤에는 김일의 자격 정지는 풀렸지만 성우 본인이 투니버스 출연을 거부하고 있어서 결국 박성태에게 넘어갔다.], [[박성태]](투니버스) ||
         사내놈들은 돌 보듯 하지만 여자에게는 태도가 180도로 돌변한다. 1부 당시에도 미녀 앞에선 그야말로 [[뿅가죽]] 모드로 돌변해서 헤롱헤롱거리고, 2부에서는 이게 더욱 심해져서 접촉이나 포옹이라도 했다가는 코피를 미친듯이 쏟아낸다.[* 거주 주민들은 둘쨰치고 '''토착 생물들까지 전부 [[오카마]]인 섬'''에서 '''[[wiki:"국방부 퀘스트" 2년 동안]] 지냈으니''' 그럴 만도...--불쌍한 상디를 애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예의없게 변태짓이나 추파를 부리는 건 아니고, 오버액션은 심하게 들어가지만 기본적으로 예의는 지키면서 외모/연령 불문하고 극진하게 '모신다'. 아마 어렸을 때부터 제프에게 받은 세뇌급 교육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호칭에서도 여성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는게, 연하인 나미에겐 나미누님[* 애니메이션에서는 나미씨(상).], 연상인 로빈에겐 로빈양[* 원판에선 로빈쨩. 친숙한 사이에 부르는 호칭], 이라고 부른다.[* 연하인 [[펠타리 비비]](16세)에게는 '~누님'이나 '~씨'가 아니라 '~양(쨩)' 이라는 호칭을 쓰는 걸 보면 뭔가 미묘할 수도 있으나, 이는 잠시 밀짚모자 일당의 배에 체류중이라 낮설 수 있는 비비를 배려함과 동시에 왕족 신분이라 공주님이라는 존칭에 익숙해져 있을 비비를 배려한 부분이라 볼 수 있다. ~~OH 젠틀맨 OH~~] 그래서인지 상디를 부담스러워하긴 해도 직접적으로 싫다고 한 여성은 아직까지는 거의 없다.
         다만 이 때문에 '''적이라도 여자라면 절대 손을 못댄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는 직접 치지 않고 제압하는 정도는 가능하지만 상대방이 예쁘든 추하든 일단 여자라면 절대 발로 차지 못하고, 하다 못해 죽도록 공격당하면서도 반격을 못 한다. 여자는 절대 공격하지 않는다는 것이 상디의 원칙인데, 이 원칙은 상디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 깨트리려 해도 절대 깨질 수가 없다.[* 이런 상디지만 [펠타리 비비]의 적이었던 미스 올 선데이(니코 로빈)이 처음 등장하자 '''총을 겨눈 적이 있었다!'''(13권 114화) 그 이후에 로빈 능력으로 갑판에 쓰러진 다음 "자세히 보니 예쁜 누님이잖아!"라고 한 걸 보면 단순히 비비가 당황해하고 있으니 앞뒤 안 재고 들이댄 것 같다. 애초에 상디는 위스키 피크 편 내내 자느라 무슨 상황인지도 모르는 상태였고, 결정적으로 총을 쏜건 아니니 설정파괴는 아니다. Cp9 칼리파에게도 위협정도는 했었다.] 거의 로봇의 기본 3원칙 수준으로 각인되어버린 수준. 이 때문에 나미로 분장한 [[봉쿠레]]와의 결투와 [[CP9]]의 여성 멤버인 [wiki:"칼리파(원피스)" 칼리파]와의 결투에서는 상당히 고전했다. 칼리파의 경우는 신체능력만으로는 상디가 훨씬 위라서 거꾸로 제압당하기도 했지만, 이것도 상디가 제압만 했지 마무리는 안 했기 때문에 상디가 당한 것이다.[* 만약 상디가 칼리파를 진심으로 상대했다면 1분도 안되서 '''"이겼다! 열쇠 확보 끝!"'''상태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더빙판에서는 구슬의 시련 담당인 사토리를 여자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에 여자를 패버리는 상디가 나와버렸다(...)] 이런 점을 반영했는지 GBA로 나온 원피스 일곱섬의 대보물이라는 게임에서는 상디가 여성형 적한테 접근하면 '''공격을 못하는 상태이상'''에 걸린다.[* 게임에 의외로 여성형 적이 많은 편이고, 애로사항이 피는 시점은 일행하고 따로 나눠져서 [[알비다]]를 상대해야하는데 같이오는 동료가 [[우솝]], [[wiki:"나미(원피스)" 나미]]라서 실질적으로 상디가 딜러로서 봉인된다.] 또 [[원피스 해적무쌍 시리즈]]에서는 여성 적을 때릴 수는 있는데 가하는 데미지가 1로 고정된다!(...) 키즈나 어택으로는 데미지가 들어가지만 정말 못할 짓인게 사실인 만큼, 상디를 골라서 여성 적이 나오는 스테이지를 하려고 하면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오죽하면 [[wiki:"모(원피스)" 모]]를 보고도 공격하지 못하는 걸 G-5 해군들이 "이보쇼? 형님, 여자는 못 건드린다고고 했는데 그러다가 적인 여자가 공격하여 목숨이 위험하면 어쩔 거요?" 라고 묻자 단번에 '''그냥 죽을 거야''' 라고 즉답하여 해군들이 기겁했다. 물론 모와 싸우던 [[롤로노아 조로]]를 막지 않고 자신은 건드리지 않지만 동료가 적인 여자와 싸워 베던지 날리던 그건 막을 생각이 없다는 걸 이야기했지만.
         더불어 여자라면 할머니건 추녀건 간에 그래도 여자라면서 인정해준다. [[Dr. 쿠레하]]에게 던져진 쿠로마리모의 털뭉치를 막으면서 "헤이헤이, 이봐 뽀글머리. 숙녀분한테 이런 쓰레기를 던지면 쓰나? 매너교육을 다시 받아야겠는데?" 라고 말했는데 이 말에 쿠레하가 씩 웃으면서 "얘가 제법 뭘 좀 아" 란 말도 해줬다. 실제로 상디가 여자를 못 때리는 것을 한심하다거나 호색한도 정도껏 하라는 식으로 싫어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성별이 여자라면 로라같은 애들도(심지어 하마 상태인데도) 못 때린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독자들에게도 진짜 기사도라고 어느정도 인정을 받고 있다. ~~물론 안 때리면서 보이는 태도에 있어서는 꽤나 차이가 있다.~~
         [[노스 블루]][* 노스 블루 출신이라면 알고 있는 [[몽블랑 노랜드]]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 출신이지만 어릴 무렵 여객선 오빗 호의 견습 요리사로 이스트 블루에 넘어와 있었던 듯하다. 한가지 의문인 건 어떻게 노스블루에서 이스트 블루로 넘어왔냐는 점. 본인의 말로는 이사왔다는데 자세한 건 아직 나오진 않았다.
         여담으로 그의 또 하나의 염원은 [[투명투명 열매]]를 얻어 여탕을 실컷 엿보는 것 이었는데, [[압살롬(원피스)|압살롬]]이 이미 그것을 먹어버려 [[틀렸어 이제 꿈이고 희망이고 없어|꿈이 깨지자]] 여러 가지 의미로 분노해 압살롬을 끔살낸다. 참고로 여러 번 ~~시뮬레이션~~상상해왔던 덕분에 투명투명 열매와 관련된 모든 전술을 파악하고 있어서 꽤 선전했는데, 위에 서술한 밀짚모자 일당 내 '히든카드'로서 첩보원 포지션에 덧대어 생각해보면 투명해진다는 능력은 묘하게 잘 어울리는 열매일지도. ~~당사자는 순전히 음흉한 마음에서 원했던 것 뿐이지만(...)~~ --두번째로 먹길 원했던 열매는 [[또록또록 열매]]이다.이유는....알 것이라고 믿겠다.(드레드로자 에피소드에서 나온다.)--
         왠지 적들에게 모습이 알려지지 않는 징크스가 있는데 [[바로크 워크스]]와 싸우게 되었을 때 위스키 파크에서 초상화가 그려지지 않거나 Mr.3일당과 전투에서도 열외되었고, [[Mr.2 봉쿠레]]가 왔다 갈 때 일당중 유일하게 그 자리에 없어 본의 아니게 얼굴이 알려지지 않게 되어 [[크로커다일]]을 두 차례나 낚았고, [CP9]와 싸울 때도 혼자 해상 열차에 숨어들어 화려하게 깽판을 쳐주는 등 의도치 않게 중요한 순간마다 히든카드가 되어 대활약. [[에니에스 로비]]에서 깽판쳐서 수배서가 배부 될 때에도 상디만 렌즈 커버를 안 벗겼는지 사진이 새까맣게 나와서 거의 추상화급 몽타주로 현상 수배서 사진이 대체된 상황이라[* 그리고 상디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해상 레스토랑 [[발라티에]]에서는 그 수배서를 받아보고는 주인인 [[제프(원피스)|제프]](그만 쿡쿡거리며 필사적으로 웃음을 참긴 했다)를 제외한'''요리사들 모두가 눈물나도록 배터지게 웃어가며 그 수배서를 손님들에게 광고지 뿌리듯 쫙 돌리기까지 했다.'''] 상디가 계속 '''히든카드'''로서 활동해 나갈 가능성에 힘이 더해져가는 중. 하지만 이렇게 대외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보니 이 후 [[엠폴리오 이반코프]]에게 자신이 루피의 동료라는 것을 증명하는 데에 무진장 고생했다.[* 이반코프는 이게 어디가 닮았냐고 믿지 않았지만 반대로 [[오즈(원피스)|오즈]]는 이걸 보고 상디를 바라보곤 "판박이."라고 공격했었다. ~~오즈는 [[바보]]니까~~]
          * 헷지 - 극장판 3기 한정. 헷지의 자칭 '세계 최고의 매력남' 언급에서부터 갈등 시작, 나중에 쵸파를 구하고자 대결을 신청했고 헷지의 독성 검에 고전하지만 4번 정도 걷어차니까 그냥 끝. 이어서 '녀석의 검은 [[롤로노아 조로|그 녀석]]의 검의 발톱의 때일 뿐이다.'라고 언급.
          * [[갓 에넬]] - 처음에 배에 갑자기 나타난 에넬의 전격 한 방에 패배. 이후 맥심에서 위기에 처한 우솝을 밀쳐낸 후 에넬의 엘 토르를 맞고 다시 한 번 패배. 두 번째에는 전투가 아니라 우솝을 구하기 위해서 자신을 희생한 셈이지만 당시 패기를 쓰지 못했으니 제대로 싸웠어도 승산은 없었다.
         > [[발라티에|이 식당]]은 저 노친의 보물이다!! 난 저 노인한테 뭐든 빼앗기만 했었지. 힘도... 꿈도... 그러니까 이제... '''무엇이 되든 더 이상 잃게 하고 싶지 않아!!!'''
         > ''' 나도 목숨을 걸 만한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저 망할 노인의 은혜를 갚을 수 없을 테니까!'''
         > [[쿠로오비(원피스)| 녀석]]의 펀치가 40단이면, 늘 맞았었던 [[제프(원피스)|영감탱이]]의 걷어차기는 400단이겠군.
         > 최악의 상황에는 항상 최고의 기회가 숨어있는 법, [우솝|]가 할 수 없는 일은 내가 한다. '''대신 내가 할 수 없는 일은 가 하면 돼! 잘 생각해라, 상황을 읽으란 말이다. 너라면 로빈 양을 반드시 구할 수 있어!!!'''[* CP9편에서 재브라에게 죽을 뻔한 우솝을 구하고 우솝에게 재브라는 자기가 쓰러뜨릴테니 로빈을 구출하는 임무를 부탁한 대사. 재브라의 꾐에 빠져서 죽다 살아나 굉장히 의기소침해진 우솝에게 사기를 북돋아주는 멋진 대사인 동시에, 상디의 전략안을 그대로 보여주는 명대사라 할 수 있다.]
         > ~~알겠냐 루피! 첫번째도 나미씨 두번째도 나미씨 세번째도 나미씨 번째도 나미씨 다섯번째도 나미씨다!!~~
          * 애니판이 KBS에서 방영되었을 때에는 아이들 정서상 부적절하다는 태클 때문에 '''담배가 츄파츕스로 바뀌는 굴욕'''을 겪었다. 근데 케이블 심의가 강화되어서 극장판을 제외한 TVA판 한정으로 [[투니버스]]에서도 츄파츕스로 바뀌었다.[* 항상 오렌지맛 사탕인 듯? 1기 오프닝과 초반부의 장면에서는 딸기맛 사탕을 연상시키는 빨간색 사탕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에는 계속 오렌지맛 사탕으로 고정. 그런데 의외로 사탕이 오리지널인 줄 알고 있었던 사람이 많은 듯하다. 원작을 보고서야 담배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고 '상디가 무인도 표류 이후 항상 먹을 걸 가지고 다니는 줄 알고 있었다'라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사탕을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도 있다(...)] KBS판에서는 주석에서도 달려있듯이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 등에서 부싯돌 튕기는 소리가 그대로 나온 반면에 이후에 방영된 투니버스판에서는 음향쪽도 완벽히 수정하여 완벽하게 사탕으로 만들었다. 북미판의 경우 [4kids] 더빙판에서는 무자비한 편집으로 악명높은 4kids답게 KBS판과 같은 츄파츕스로 만들어버렸다. 다행이게도 이후에 [퍼니메이션]에서 재발매한 DVD판의 경우 무삭제로 나왔다. 대원판은 영상 수정을 별로 하지 않아서 그냥 모자이크 처리로 때운다. 때문에 상디의 입이나 손은 항상 모자이크로 나온다. 음향쪽에서는 라이터 소리가 나는등 옥의 티가 있었지만 최소한 사탕으로 수정을 하려고 했던 KBS만큼의 성의도 보여주지 않는 대원판 원피스의 무성의함을 드러내는 증거이기도 하다.~~[동강동강 열매]도 변역기돌려서 뿔뿔이 열매로 만든 놈들이니까~~ 카툰트워크에서 방영한 토리코와의 콜라보편에서는 화면을 수정하여 '''아예 삭제됐다.''' 덕분에 손가락 모양은 담배를 쥐고 있는 손가락 모양이지만 정작 손가락에는 아무것도 끼워져있지 않다.
  • 블랙 클로버/82화 . . . . 26회 일치
         [[블랙 클로버]] 페이지 82. '''마녀의 '''
          * 아스타의 사정을 전해듣고는 도미넌트 코드의 고향 "마녀의 "이라면 방법이 있을 거라 말한다.
          * 마녀의 은 그 자체가 강마지대이며 매우 위험한 지역이지만 이들은 아스타에게 보은하기 위해 마녀의 나라로 향하기로 한다.
          * 한편 한 발 앞서 고향으로 돌아간 바사. 그녀는 마녀들의 여왕을 상대로 위험한 거래를 시도한다.
          * 금발 여성은 도미넌트 코드. 도미나란 애칭이 있고 젤의 아내이다. 마도구 장인인 마녀로 바사 에노테이커와는 지인사이.
          * 하지만 도미나는 자신의 고향인 "마녀의 ", 그 중에서도 여왕의 마법이라면 방법이 있을 거라고 말한다.
          * 마녀의 은 다이아몬드 왕국과 클로버 왕국의 경계에 걸친 지역. 자치지역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민은 전원 여성. 각각이 뛰어난 마법 소질을 가진 "마녀"들이다.
          * 핀랄은 전원이 여자라는 말에 헉헉대다가 바사를 떠올리고 "바사씨도 마녀의 으로 간 건가?"라고 말한다.
          * 바사의 이야기를 들은 도미나는 생각에 잠긴다.
          * 본래 마녀의 엔 "마녀는 마녀의 에서만 살아야 한다"는 규칙이 있고 도미나나 바사는 탈주자에 해당한다.
          * 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상응하는 대가가 필요한데, 특히 바사는 마녀의 여왕에게 중요한 인물이기 때문에 이번에 돌아가면 다시 나오기 힘들거라고 말한다.
          * 도미나는 여왕은 매우 끔찍한 존재이며 마녀의 은 자체가 강마지대이기도 하다고 경고하며 그런데도 갈 생각이냐고 묻는다.
          * 젤은 어리둥절한 아스타를 데리고 나중에 설명하겠다며 일단 마녀의 으로 향한다.
          * 그 시각 마녀의 .
          * 바사는 여왕을 대면하고 있는데, 여왕은 바사가 불완전한 존재가 되었다며 분통을 터뜨린다.
          * 원래 바사는 여왕의 "완벽한 계획"과 관련된 인물이었던 모양.
          * 바사의 실 마법은 계속 연마하면 운명 조차 조종하는게 가능하다고 말한다.
          * 그런데 바사는 "그딴 남자"(야미 스케히로)에게 홀려 이용만 당했다고 분노한다.
          * 바사는 여왕에게 지지 않고 "불완전한건 당신"이라 쏘아준다.
  • 블랙 클로버/84화 . . . . 25회 일치
          * 파나의 공격으로 마녀의 이 불타고 여왕은 자신이 점친 운명이 어긋나는걸 감지한다.
          * 바사 에노테이커는 아스타에게 어째서 무모한 짓을 했냐고 혼나는데 여왕을 적당히 이용해먹고 도망칠 생각이었다고 폭로해 버린다.
          * 마녀의 의 상공에 나타난 다이아몬드의 침략군. 아스타 일행은 여왕의 마법으로 이들의 모습을 지켜본다.
          * 증오의 파나는 리히트를 위해서 마석을 빼앗아간 녀석을 쫓아왔다고 중얼거린다. 세뇌되거나 신분을 숨기고 있는 듯 하진 않고 다이아몬드 측 병력들도 그녀의 정체를 알고 있다. 오히려 그 녀석들의 의 중심부에 있으나 싹 태워서 모습을 보여달라고 부추긴다.
          * 화염정령마법 "샐러맨더의 숨결". 그녀가 타고 있는 비룡이 입에서 거대한 화염구를 쏜다. 단 한 방으로 마녀의 을 가려주던 안개가 날아가고 이 불타오른다. 불길 속에서 당황한 마녀들의 외침이 들려온다. 여왕은 이 위력을 체감하고 나서야 자신의 예측이 틀렸음을 깨닫는다. 그녀도 파나가 불의 정령 샐러맨더를 다룬다는걸 눈치채는데 그 상태는 비록 불완전한데도 이만한 위력을 내는 것에 놀란다. 이런 내용은 점쳤던 결과를 뛰어넘는 것인데, 여왕은 운명이 어긋나고 있다고 직감한다.
          * 정신을 잃었던 바사 에노테이커는 꿈처럼 야미 스케히로와 처음 만났을 때를 회상한다. 자신이 "운명"에 묶인 몸이라고 말하지만 야미는 "그 녀석이 싫다"며 자기 마음대로 살겠다고 말하는데. 서서히 눈 뜨는 바사의 시야에 그 야미의 등과 닮은 아스타의 등이 보인다. 정신을 차려보니 아스타만이 아니라 노엘 실버, 핀랄, 게다가 젤 일행까지 있는걸 보고 당황한다.
          * 바사는 아무튼 여왕에게 이야기해 아스타의 팔을 고쳐주겠다고 하는데 이미 그 "거래"에 대해 알고 있는 아스타는 단호히 거절한다. 아스타는 바사가 희생하는 그런 방식이 싫은 것인데 바사는 바사대로 이게 유일한 방법이라고 고집을 부려서 옥신각신하게 된다. 어지간해서는 결판이 안 날거 같자 아스타는 자신에게 최종 수단이 있다며 그리모어를 꺼낸다.
          * 아스타는 팔에 감았던 붕대도 풀어버리고 입으로 숙마의 검을 끄집어낸다. 그러더니 검으로 저주에 걸린 팔을 내리찍는다. 저주를 풀기 위해 시도한 것 같지만 풀리기는 커녕 부러진 팔에 충격만 주고 실패한다. 바사는 무슨 짓이냐며 혼자 힘으로 아둥바둥대 봐야 운명의 힘 앞에선 안 통할 때도 있다고 꾸짖는다. 하지만 아스타는 동료를 희생시키는게 자기 운명이겠냐며 "그딴 놈" 말은 듣지 않을 거고 운명을 박살내서라도 이 팔로 싸우겠다고 다짐한다. 바사는 또 한 번 야미의 모습을 떠올린다.
          * 아스타는 또 무모한 짓을 되풀이하려 하는데 바사는 칼을 붙들며 "그렇기에 동료가 있는 것"이라며 사실 여왕을 이용해 저주를 풀고 나면 그 반마법의 검으로 영왕을 따돌리고 도망치려 했다고 고백한다. 바사는 뒤늦게 여왕이 바로 옆에 있는 걸 떠올리고 뜨끔해하는데, 마침 여왕은 그런 말보다는 아스타가 가진 반마법의 검에 흥미를 보이느라 제대로 듣지 않았다.
          * 노엘 실버는 우두커니 있는 여왕에게 협상을 제안한다. 다이아몬드의 침략군과 싸우기 위해 힘을 합치자는 것. 그녀는 아스타는 강하고 바깥에 있는 사람들을 돕고 싶어하니 저주를 풀어달라고 말한다. 게다가 아스타가 침략군과 싸운다면 자신을 포함한 동료들도 힘을 빌려줄 테니 전력보강이 될 거라고 설득한다. "여왕이라면 이 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하도록 해." 여왕은 그것이 그럴듯하다고 생각한 것인지 순순히 아스타의 저주를 풀어주고 전보다 튼튼하게 해주겠다고 하는데.
          * 하지만 여왕은 그렇게 만만한 사람이 아니었다. 속으로는 바사와 아스타의 반마법의 검도 자신의 것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바사는 원래 여왕을 속여먹이고 아스타의 반마법의 검으로 어떻게든 하려 했다고 주장하지만 정말로 자신을 희생하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무리 아스타라도 마녀의 의 여왕을 상대로 얼마나 싸울 수 있을지 의문이며, 애초에 바사가 에 억류된 상태에서 아스타와 재접촉이 가능할지도 미지수다. 바사를 숨겨두고 아스타의 저주만 풀어줄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
         여왕이 쓰는 마법은 "혈액 마법"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용할 때의 모습을 보면 혈액만이 아니라 "혈관" 자체가 생성되어 거기서 혈액이 방출되는 모습이다. 아스타의 상처에도 핏줄이 접촉하는 듯한 모습인걸 보면 본체는 이 혈관쪽이라 해도 좋을 듯. 바사의 실 마법과 연관점일지도 모른다.
  • 네드 켈리 . . . . 24회 일치
         Ned Kelly. [[호주]]의 [[산적]][* 호주의 산적은 부시레인저(Bushranger)라고 불린다.]이다. 풀임은 에드워드 켈리(Edward Kelly)로, 현재는 위대한 "의적"으로 기억되고 있는 인물이다. 중세 기사가 연상되는 육중한 철제 갑옷이 특징.
         1878년 4월, 피츠패트릭 순경(Constable Fitzpatrick)이라는 [[경찰]]이 켈리 가족에게 찾아온다. 피츠패트릭은 드의 동생인 댄 켈리(Dan Kelly)를 말도둑 혐의로 체포하려고 했다. 피츠패트릭은 총에 맞았고[*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후 피츠패트릭의 주장이 있는걸로 보아 죽지는 않은 것 같다.], 켈리 가족의 어머니인 엘렌 켈리(Ellen Kelly)는 이 일을 사주한 혐의로 체포되었다. 유력한 용의자인 드와 댄은 도주했다. 훗날 드의 친구인 조 번(Joe Byrne)과 댄의 친구인 스티브 하트(Steve Hart)가 합류, 켈리 갱(Kelly Gang)이라고 불리는 범죄 조직을 만들었다.
         1887년 10월, 경찰은 켈리 갱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한 경찰관 명을 보냈다. 하지만 캘리 갱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고, 경찰 팀이 야영지를 차린 스트링이바크 크리크(Stringybark Creek)를 습격했다. 이들은 경찰관들을 습격해 세명[* 로니건 순경(Constable Lonigan), 스캔론 순경(Constable Scanlon), 케디 경사(Sergeant Kennedy).]을 살해하고 한명[* 매킨타이어 순경(Constabel McIntyre).]을 붙잡았다. 이후 켈리 갱은 호주의 [[은행강도|은행을 털었다]]. 1889년 2월에 드 켈리에게 걸린 현상금은 8,000 파운드로 올라갔지만 켈리 갱은 잡히지 않았다. 켈리 갱이 최후를 맞은건 1880년 6월이 되어서였다.
         1880년 6월 27일, 켈리 갱은 빅토리아 주 글렌로완(Glenrowan)의 한 여관에서 경찰에게 포위당한다. 드는 근거리에서 총알을 막아낼 수 있는 갑옷을 입고 밖으로 나타났지만 보호되지 않은 두 다리에 총을 맞고 쓰려졌으며, 조 번은 경찰이 불을 지른 여관에서 뛰쳐나오다가 사타구니에 총을 맞고 죽었다. 댄 켈리와 스티브 하트는 여관이 불타 무너진 후 잔해 속에서 소사체로 발견되었다. 이렇게 켈리 갱은 괴멸했다. 유일한 생존자는 드 켈리 뿐이었다.
         드 켈리는 스트링이바크 크리크에서 로니건 순경을 살해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 1880년 11월 11일 아침, 멜버른 교도소에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 그의 유언은 "사는게 다 그런거지,"[* Such is life.]로 알려져 있다.
         == 그외 이야기 ==
         드 켈리는 제릴더리(Jerilderie)의 은행을 털며 편지 하나를 남겼다. "제릴더리 편지[* Jerilderie Letter]"라고 불리는 이 편지는 1870년부터의 켈리 갱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당시 호주의 경찰이 부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이 편지는 경매에 나와 빅토리아 주립 도서관이 사들였다. [[http://search.slv.vic.gov.au/primo_library/libweb/action/dlDisplay.do?vid=MAIN&search_scope=default_scope&docId=SLV_VOYAGER1636991&fn=permalink|전자책으로도 보게 해 주는 것 같으니 관심 있으면 클릭.]] 오른쪽의 View Online을 누르면 된다. 흘려쓴 영문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19세기에는 사형된 범죄자의 얼굴로 [[데스마스크]]를 만들었다. [[골상학]]에 근거해 분석하기 위한 용도였는데, 그 이유로 드 켈리의 데스마스크도 만들어졌다. 현재 이 데스마스크는 [[http://www.nma.gov.au/collections-search/display?app=tlf&irn=76705|국립 호주 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2011년에 [[http://www.yonhapnews.co.kr/special/2011/09/01/1431000000AKR20110901175200009.HTML|드 켈리의 유해가 발굴되었다.]]
         2003년 개봉된 영화 "드 켈리"(Ned Kelly)는 드 켈리를 주인공으로 삼고있다. 드 켈리 역은 [[히스 레저]]. 그전에 나왔던 1970년작도 있다. 1906년에 나온 켈리 갱 이야기"(The Story of the Kelly Gang)이라는 영화도 있다!
         호주의 화가 시드니 놀란(Sidney Nolan)은 드 켈리를 소재로 한 그림을 여러장 그리기도 했다.
         [[http://www.australia.gov.au/about-australia/australian-story/ned-kelly|호주 홈페이지 - 호주에 대해 - 호주 이야기 - 드 켈리(영어)]]
         [[https://www.slv.vic.gov.au/search-discover/explore-collections-theme/australian-history/ned-kelly/ned-kelly-fact-sheet|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홈페이지- 드 켈리 자료표(영어)]]
  • 슈퍼걸(드라마)/1시즌 6화 . . . . 24회 일치
         루시의 아버지 레인 장군이 DEO에 찾아와서, 슈퍼걸에게 미군에서 개발한 신형 병기와 싸울 것을 요청한다. 루시는 슈퍼걸에게 강제집행서를 내밀기도 한다. 모로 박사가 자신이 개발한 로봇을 공개하는데, 그것은 레드 토이도였다.
         그랜트 사장은 어머니가 자신과의 저녁 약속을 빼먹고, 작가들과의 담화에 나서서 실망한다. 그리고 스트레스는 또 카라에게 쏟아진다.--[[내리갈굼]]-- 카라와 윈, 제임스와 루시는 노는 밤을 보내게 된다. 슈퍼걸 이야기가 나오자 루시는 자신이 직접 봤는데 별로 였다고 말하고, 카라는 거기에도 스트레스가 더해진다.
         카라는 레드 토이도와 대결을 벌인다. 카라는 레드 토이도를 제압하는데 성공하지만, 화가 난 상태였기 때문인지 과도하게 타격을 입힌다. 레드 토이도는 긴급 생존 모드가 발동하여 통제에서 벗어나고 만다. 레인 장군는 슈퍼걸이 과도했다고 비난을 퍼붓는다.
         레인 장군은 레드 토이도에게 군대를 출동시킬 것을 예고하고, 레드 토이도를 개발하던 모로 박사에게 레드 토이도는 실패작이라고 비난하며 해고를 선언한다.
         그랜트는 카라가 바로 오지 않자 고함을 지르는데, 카라는 왜 그렇게 못되게 구냐고 분노를 퍼붓는다. 그랜트는 갑자기 어디로 가자고 카라를 끌고 간다. 알렉스는 레드 토이도의 팔을 맥스웰 로드에게 가져와서, 찾는데 협력해달라고 요청한다. 하지만 맥스웰은 알렉스의 요청을 거절한다. 제임스는 루시, 레인 장군과 식사를 가진다. 레인 장군은 지미를 파파라치라고 비하하며 딸에게 어울리지 않는 상대라고 깍아내린다.
         그랜트는 카라를 바에 데리고 온다. 그랜트는 카라에게 분노를 조절하고 풀어내는걸 알아내고, 정말로 화나는게 무엇인지 알아보라고 조언을 해준다. 제임스와 루시, 레인 장군이 저녁 식사 자리에서 나오는데 레드 토이도가 나타난다. 루시는 레드 토이도의 공격에 날려가고, 레인 장군은 중지를 명령하지만 레드 토이도는 듣지 않고 공격을 하다가 제임스의 호출을 받고 날아온 슈퍼걸과 대결하게 된다.
         레드 토이도는 카라에게 밀리자 토이도를 만들어낸다. 카라는 토이도를 필사적으로 없애지만, 레드 토이도는 어디론가 사라진다. 레인 장군은 카라에게 또 책임을 돌리며 비난을 퍼붓고, 행크는 레드 토이도의 표면에 납이 덮혀 있어 클립톤인을 죽이려고 만들어진 것이라는걸 지적하며 카라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레인 장군을 비난한다. 레인 장군은 여전히 마음을 돌리지 않는다.
         맥스웰 로드는 알렉스에게 레드 토이도가 여전히 모로 박사에게 조종당하고 있을 거라는 추측을 알려준다.
         알렉스와 DEO에서는 크립톤 기술로 만든 레인 장군의 홀로그램을 미끼로 써서 레드 토이도를 유인한다. 알렉스가 모로 박사의 위치를 찾는 동안, 카라는 레드 토이도와 대결한다.
         알렉스가 모로 박사의 위치를 발견하였으나, 모로 박사는 뇌파를 이용해서 레드 토이도와 연동하여 정지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어두었다. 알렉스는 --과학자 주제에 쑬데없이 강한-- 모로 박사와 격투전 끝에 사살한다.
         그런데 모로 박사의 명령이 끊기자 레드 토이도는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가, 자신의 의지로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다. 카라는 원망스런 감정과 함께 전력으로 히트비전을 발사하여 레드 토이도를 파괴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24회 일치
         집이 털리는 줄도 몰랐던 고프리와 테리는 코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묻는다. 이후 두 사람은 놈이 집에 남아있어야 했, 놈 혼자 있는건 무사할 줄 아냐하며 다투다가 집으로 돌아간다.
         싸움을 뜯어 말린 코너는 테리와 고프리 양쪽을 따로따로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
         그는 국왕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신의 목공소를 잃고 보스턴에서 쫓겨난 신세였다. 이 이야기를 들은 코너는 숙련된 장인이 필요했다며 그 남자를 대번포트 농지에 정착시킨다.
         코너는 한 여성이 팔에 부상을 입고 쓰러져있는걸 발견한다. 밀렵꾼들에게 에서 떠나라고 했다가 총에 맞은 것. 그녀를 대번포트 저택으로 부축하는 동안, 코너는 그녀의 이름이 미리엄이라는 것과 그녀가 집 없이 생활한다는 것을 알아낸다.
         미리엄을 아킬레스에게 맡긴 코너는 밀렵꾼들을 처리하기 위해 으로 간다. 코너는 들키지 않게 밀렵꾼 다섯명을 살해한 후, 마지막 한명에게 이곳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리라며 에서 내쫓는다.
         워렌이 코너를 보자 달려와서 도움을 청해온다. 프루던스가 뭔가를 모으러 나가서 밤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는 것. 코너는 워렌, 그리고 개 한마리와 함께 프루던스를 찾아나선다. 프루던스를 찾으러 으로 가는 길에 워렌은 요즘 프루던스가 달맞이꽃에서 나는 기름에 집착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에 도착한 두 사람은 프루던스가 달맞이꽃을 딴 흔적, 프루던스의 옷 조각, 프루던스의 꽃 가방을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두 사람은 곰에게 습격당하는 프루던스를 발견한다.
         곰을 해치운 코너는 프루던스를 워렌에게까지 데려다 주며 달맞이꽃을 모으는 이유를 묻는다. 프루던스와 워렌은 오랜 기간 동안 아이를 가지려고 했지만 그게 잘 되지 않았다. 그러던 중 달맞이꽃이 임신 확률을 높여준다는 이야기를 프루던스가 알게 된 것. 코너는 프루던스를 워렌에게 데려다 준 후 헤어진다.
         코너는 속에서 들려오는 프루던스의 외침을 듣는다. 코너가 달려가보니 프루던스는 배를 잡고 고통스러워 하고 있었다. 아이가 나오기 시작한 것. 프루던스는 산통으로 인해 움직일 수 없었기에 코너에게 데리고 있던 말을 주고는 라일을 불러오라고 한다.
         등 뒤에서 노리스가 달려오는걸 느낀 코너는 노리스를 제압한다. 노리스는 미리암이 청혼을 받아들였다며 결혼할 거라고 좋아한다. 뒤늦게 도착한 미리암까지 함께 세명이 즐거워하고 있을 때, 티모시 신부가 나타나 코너와 이야기를 하자고 한다.
         코너는 광산에 있는 노리스를 찾아간다. 노리스는 돌을 치워야 한다는 말에 폭약통을 가지고온다. 동굴 입구까지 가는 동안 두 사람은 미리암에 대해 이야기한다. 노리스는 미리암를 좋아하는 것 같았다. 동굴 입구에 도착한 노리스가 폭약통을 놓자, 코너는 그걸 총으로 쏴서 터뜨린다.
         코너는 아킬레스에게 돌아가 얻은 물건, 암살단 복장을 건내준다. 누가 암살단 복장을 그런 곳에 두었냐고 묻는 코너에게 아킬레스는 자신이 했다고 대답한다. 그 옷은 식민지에 첫번째로 왔던 암살단원의 옷이었다.
         >코너, 가 이걸 읽고 있다면 내가 바라던대로 작별인사 할 순간을 찾지 못한걸거다. 이 땅과 자원 모두를 너에게 남긴다.
         >이곳이 큰 의미를 무언가가 되었다는걸 가 알거라고 믿는다. 이 공동체는 이 국가가 되려는 곳이 어떻게 될 수 있는가의 예시가 된단다. 하지만 커지고 강해질수록, 부서지기 쉽고 지키기도 어렵게 되지. 이 어린 나라를 탄생시려키는 친구들이 이 진실을 깨달았으면 좋겠구나. 너의 변함없는 고집과 정직함이 너에게 너무 큰 책임을 지게 했단다. 하지만 넌 해낼 수 있단다. 늙은이에게 모든걸 잃지 않았다는 희망을 줘서 고맙다. 물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 위에 묻어줬으면 좋겠구나. 세상 다른곳 보다 그곳에 묻히고 싶어.
         >너를 만나서, 가 이 땅과 이 사람들을 더 나은 미래로 이끌거라는 걸 알아서 기쁘다.
         마서스비니어드 섬으로 가던 중, 코너와 폴크너는 애국자들인 비들이 영국 해군을 돕는 이유에 대해 대화한다. 코너는 비들이 이런 짓을 하는 이유가 대륙 해군의 첫번째 제독이 되기 위해서라고 추측한다. 이때, 선창으로 안 가고 포열갑판에서 지금까지 있던 일을 구경하던 베일리가 나타난다. 베일리는 코너에게 자신을 포함한 낸터킷 주민들이 고마워하고 있다고 한 후, 폴크너의 엉덩이를 치며 폴크너가 돌아와서 기쁘다고 말한다.
         아퀼라가 라 벨라도나의 호위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되어서 영국군 함대가 나타난다. 아퀼라와 라 벨라도나는 짙은 안개 속에서 영국군 함대에 맞서 싸운다. 라 벨라도나는 영국군의 두번째 공세까지 막아 내지만, 안개 속에서 나타난 전열함의 공격으로 돗대가 부러진다. 코너는 영국군이 어떻게 라 벨라도나에 대해 알고 있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영국군 전열함에 도선해 전투를 벌이기로 한다.
         >비들: 고통. 난 사람들을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했다. 반대자들을 제거하고 애국자들에게 힘을 주었지. 내가 제독의 자리에 올랐으면 어째서. 이 혁명은 사람이 필요했고 내가 거기 알맞는 사람이었다. 유일하게 알맞는 사람. 내가 아니었으면 대륙 해군은 땟목 한줌으로 남았을거다. 놈의 선견지명에도 불구하고, 너희 암살단이 진실을 가리는군.
          어느정도 해치웠다 싶으면 추가적으로 적 함대가 등장한다. 얘들도 포함되니 주의.
  • 은혼/613화 . . . . 24회 일치
          * 그의 별에는 "치당쿠스코", 줄여서 "칭코"라는 기관의 크기가 남성의 가치가 되는 사회. 그에겐 유능하지만 칭코가 작은 형이 있었다.
          * 지금도 하타 황태자를 따라다니는 영감, 그의 이름은 스로 젊은 시절 하타 황태자를 옹립하려는 파벌의 리더였다. 이 무렵은 제법 이지적인 이미지였으나 세월이 흐른 지금은 주책맞은 노인에 지나지 않는다. 스의 파벌은 오우고쿠왕이 하루라도 더 옥좌에 있길 바란다면서도 하타 황태자가 온갖 생물을 애호하는 상냥한 마음을 가지고 있고 그 점이 자신들을 이끌어준다며 은근히 하타 황태자를 앞세운다. 지금은 그 모양 그 꼴이지만 놀랍게도 이 시절의 하타 황태자는 꽃미남에 탈모도 없었다. 대체 그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세월--
          * 반대 파벌은 하타 황태자의 형 바루카스 황태자를 옹립하려 한다. 그들의 대표인 단이란 신하가 스의 발언을 비웃으며 "그런건 왕에 어울리는 소질이 아니다."라고 디스한다. 군략도 정치도 능한데다 장남이기까지 한 바루카스야 말로 후계자에 적합하다고 강변한다. 그 말대로지만 정작 오우고쿠왕은 바루카스에게 승계한다고 명언하지 않았다. 단은 이 점을 따지는데 스가 그를 비웃는다. 바루카스의 재능이야 스도 인정하는 바지만, 그에겐 단 한 가지 결점이 있다.
          * 그렇다. 오우고쿠 행성은 수컷의 상징인 이마의 외설물... 아니 "치당쿠스코"란 기관, 줄여서 "칭코"의 크기야 말로 남자의 가치이자 인격의 척도로 통했던 것이다. 다른게 다 별로여도 칭코만 크면 굉장한 사람이고 하다못해 택시라도 칭코가 큰 쪽이 잘 잡는다. 단도 작은 편이지만 황태자인 바루카스야 말로 정말 눈물나게 작은 칭코의 소유자였다. 이 점이 후계자로서 치명적인 단점이다.
          스는 이런 풍습을 무시하는 거냐고 압박하자 단은 바루카스도 "발기"하면 나름 훌륭하다는 논리를 펼친다. 이런 와중에도 왕은 "발기"라는 표현에만 신경스며 그런 표현을 쓰지 말라고 경고한다. 스는 하타 쪽이야 말로 "봘기"하면 더욱 대단하다고 반박한다. 역시 왕은 "봘기도 안 돼"라고 제지할 뿐 다른 부분엔 개입하지 않는다.
          단은 문화를 무시할 수가 없으니 그 자체에는 반박을 못하지만 칭코가 큰 것만으론 나라를 지킬 수 없다는 안보론으로 맞선다. 그러나 그 자신이 열폭해서인지 "칭코따위가 다 뭐냐"고 망가지기 시작한다. 그러자 스는 "지금 폐하도 칭코 큰 것만으로 왕위에 오르셨는데 무시하냐"고 따진다.--예송논쟁이-- 스는 은근슬쩍 "칭코 큰거 빼면 물만 남는 양반"이란 폭언도 끼워넣는데 단은 어떻게든 반박하기 위해 달리 좋은 점을 찾아내려 하지만 택시를 잘 잡는거 밖엔 떠오르지 않는다. 그리고 스는 그 조차도 칭코가 큰 덕이라며 논쟁의 승기를 잡아간다.
          * 잠자코 있던 영감, 스가 "당신 지시"라고 말하다 "멸종돼도 좋은 종이란 보호해야 하는 종도 구분 못하냐"고 욕을 먹는다. 빈정이 상한 스는 알겠다며 "거기 흰 돼지랑 상위비비를 함께 없애라"며 답지 않게 하드보일드한 자세로 명령한다. 그는 담배를 피워물며 한순간 생긴 권력에 취한다. 그는 지금 황태자의 목숨을 쥐고 있는건 자신이라고 과시한다. 그러면서 "대답 안 하냐 돼지"라고 갈구고 하타 황태자가 "꿀꿀"이라고 울며 겨자먹기로 대답하자 "저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돼지를 연기하며 자신과 상위비비를 쏘라는 의미"라고 갖다 붙인다. 이 양반 어떻게든 하타 황태자를 치워버릴 생각이다.
          * 스가 서있던 창살 쪽에서 누군가의 손이 뻗어나온다. 스는 황태자가 당한 것처럼 목을 조여진다. 마다오 하세가와 다이조의 부활. 생각지도 못한 역습이다.
          >마다오 : 아아. 기다리게 해버렸.
          * 상황이 완전히 꼬여버리자 스도 돼지처럼 소리지르며 아우성친다. 스는 황태자가 "복수"[* 하타 황태자가 첫 등장했을 때 마다오한테 쳐맞았다.]한답시고 이런 녀석을 주워오니까 이렇게 된 거라고 원망한다. 황태자는 황태자대로 꼴좋게 됐다고 서로 디스하고 쏴죽이라고 명령해댄다. 부하들은 가운데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가... '''갑자기 총에 맞는다.'''
          칭코가 작아 설움 당했던 신하 단은 이 방주에도 탑승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파벌을 이끌고 나타나 그 자리에 있던 모든 것에 사격을 가한다. 정말로 황태자까지 죽이려 들어서 가츠라와 마다오가 황태자완 스를 놓아준다. 총격은 당연히 가츠라 측에도 향하는데 엘리자베스가 몸을 날려 가츠라는 무사하다. 하지만 엘리자베스가 벽에 머리를 처박고 기절한다. 하세가와는 가까스로 총알을 피한다.
          무전으로만 상황을 듣던 사카모토는 총성을 듣고 다급히 무슨 일이냐고 묻지만, 지금 가츠라 측은 대답할 겨를이 없다. 함께 듣던 자작 제독은 심상치 않은 눈빛을 빛낸다. 완전히 꼬인 것 같았던 상황이 한 번 더 꼬인다. 단은 바루카스 황태자가 추방 당했을 때부터 반역을 계획하고 있었다. 하타 황태자가 인질로 잡힌 건 그야말로 호기. 단은 바보같이 칭코만 큰 녀석들을 구축하고 "작은 칭코국"을 세우겠다고 선언한다. 하타나 스 같은 무리에게 나라를 맡기면 당연히 망할 거라고 예상은 했지만, 지구와 동맹을 해버리면 나라는 커녕 행성이 망할 기세. 그는 시간에 맞춰 반역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한다. 그는 마지막만이라도 나라에 보탬이 되라며 쓸데없이 큰 칭코와 함께 사라지라 말한다.
  • 토리코/376화 . . . . 23회 일치
          * 팔왕 총집결. 오는 집중 공격 당한다.
          * 오는 낭왕 기스의 앞발 한 쪽을 뜯어먹지만 그 이상으로 반격 당한다.
          * 아카시아(오)는 팔왕의 집중 공격을 받고 정색한 표정을 짓는다.
          * 낭왕 기스가 앞발을 들어 오를 짓밟는다.
          * 기스는 오에게 남아 있는 냄새로 지로가 상대한 최후의 적이었음을 간파한다.
          * 구르메 펀치를 한 입에 물어 뜯고 그대로 오를 이리저리 패대기 쳐버린다.
          * 기스는 오를 높이 던져버린다.
          * 오가 상공으로 던져지자 하늘에서 기다리고 있던 용왕 데로우스가 "이차원 레이저"로 공격하려 한다.
          * 레이저는 오의 반족을 스치며 우주까지 날아가 몇 개나 되는 별을 부순다.
          * 이 위력은 오 조차 먹어치울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에너지.
          * 오는 손실된 부위를 재생하며 냉정을 되찾는 듯 보인다.
         || 랑왕 기스 || 경왕 문 || 마왕 헤라클래스 || 오왕 엠페러 크로우 ||원왕 밤비나 || 사왕 마더 스이크 || 록왕 스카이 디어 || 용왕 데로우스 ||
          * 오가 기스의 앞발을 뜯어먹은 걸로 봐서 팔왕에게 전혀 안 먹히는 정도의 전투력은 아닌 듯 하지만, 딱히 승리를 장담할 레벨도 아니다.
          * 기스는 지로를 기억하고 있고 오에게서 지로의 정보를 읽어내고 분노하는 걸로 봐선 그의 죽음도 알고 있다.
          * 기스는 아들의 원수가 되니 싸우러 온 게 당연하며 다른 팔왕들은 기스의 울음소리를 듣고 모였다. ( 토리코가 랑왕이 다른 일곱의 왕을 부른다 함)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22회 일치
         Call of Juarez: Gunslinger. [[서부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으로, [[콜 오브 후아레즈 시리즈]]의 번째이자 제일 최근 작품이다.
         플레이어는 한 노인이 들려주는 서부 이야기 속 [[총잡이]] "사일러스 그리브스"가 되어 [[무법자]]들을 상대로 총격전을 벌인다.
         === 죽음의 감각 ===
         오른쪽 위에 위치한 해골 모양 게이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오른다. 해골 모양 게이지가 다 찼을때, 플레이어는 죽음의 감각을 발동할 수 있다.
         죽음의 감각은 플레이어의 체력이 없어 최후의 한발로 죽을 상황일 때 강제적으로 발동된다. 죽음의 감각이 발동 되면 시간이 느려지는 동시에 몸을 좌우로 움직여 총알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총알을 피하는데 성공하면 모든 체력이 회복된다.
         사다리를 타다가 공격당했다던가, 개틀링에 공격당했다던가 하는 등, 상식적으로 총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발동되지 않는다. 또한 죽음의 감각을 발동한 후 죽어도 게이지가 다시 차있거나 하지도 않는다.
         1910년, [[아칸소]] 주 애빌린에 위치한 한 술집에 판초를 입은 노인이 들어온다. 그 노인은 자신이 전설적인 현상금 사냥꾼 "사일러스 그리브즈"라고 주장하며 사실인지 진짜인지 알 수 없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이 게임의 화자. 자신을 전설적인 현상금사냥꾼 사일러스 그리브스라 주장하는 노인. 자신이 겪었다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젊은이. 서부시대를 양산형 서부 소설로 배웠다. 자칭 사일러스의 이야기에 끼어들어 소설의 이야기를 말한다.
          자칭 사일러스의 이야기를 믿지 않는 남자. 그의 이야기를 술 한잔 얻어마시려는 수작으로 생각한다.
         === 자칭 그리브스의 이야기 ===
          실존인물. 풀임은 뉴먼 헤인즈 클랜턴. 갱단 "카우보이즈"의 리더로 멕시코에서 가축을 훔쳐 미국에서 파는 일을 했다. 이로인해 멕시코 루랄레스[* 가르디아 루랄(Guardia Rural). 1861년부터 1914년 까지 멕시코의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했던 기마부대.]의 추격 및 기습으로 사망했다.
          실존인물. 풀임은 존 피터스 링고.
          실존인물. 풀임은 윌리엄 헨리 핸디 플러머. 보안관인 동시에 갱단 "이노센츠"의 두목.
          실존인물. 풀임은 로버트 리로이 파커. 가명의 캐시디는 스승격 인물인 마이크 캐시디에게서, 부치는 와이오밍 주 락스프링스에서 도살자(Butcher)일을 했던 것에서 따왔다. 와일드 번치의 리더격 인물 중 하나였으며, 침착하고 합리적인 성격을 지녔기에 와일드 번치가 오랜시간 존속될 수 있게 하였다.
          실존인물. 풀임은 해리 알론조 롱가버그. 15살 때 와이오밍 주 선댄스에서 말 도둑질을 하다 잡혔기에 이런 별명이 붙었다.
          실존인물. 풀임은 조지 서더랜드 커리.
          실존인물. 풀임은 키드 커리. 와일드 번치 내에서 제일 거칠다고 알려진 멤버였다. 자비없고 냉혹한 행동으로 유명했다.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21회 일치
         계속 히그마에게 끌려서 근해로 간 다음 히그마가 바다에 던진 탓에 빠져 죽을 위험에 처했으나, 샹크스가 나타나 건져준다. 하지만 이 때 갑자기 나타난 후샤마을 근해의 주인--[[해신류 떡밥|해신류 후샤 D. 뉴에이지]]--에게 샹크스가 팔을 잃자, 크게 상심한다. 샹크스가 떠나기 전에 그의 [[밀짚모자]]를 받아서 자기 보물로 삼는다.
         현상금 사냥꾼들의 마을이었던 위스키 피크에서 Mr.5를 식후 운동삼아 때려눕힌다. [[알라바스타 왕국]]의 왕녀 [[펠타리 비비]]를 동료로 삼고 [[바로크 워크스]]의 음모를 파헤치기 위해 알라바스타 왕국으로 향한다. 도중에 [[드럼섬]]에 들러서 [[와포루]]를 물리치고 인간 순록 의사(…) [[토니토니 쵸파]]를 동료로 삼는다.
         약 2주일 뒤, 로의 치료로 간신히 목숨을 건지고 의식도 돌아왔지만 몸은 아직도 만신창이 상태이다. 하지만 눈앞에서 아끼던 형의 죽음을 보면서 처음으로 정신적인 데미지를 입은 탓인지 에이스를 잃은 충격을 받아들이기가 벅찬 듯 수시로 병상을 뛰쳐나가 에이스가 죽은 순간의 기억을 잊으려고 안간힘을 쓰며 여인섬의 속에서 닥치는 대로 파괴하는 행동을 보인다. 징베가 뒤따라와 루피를 제압하고, 에이스는 죽었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말한다. 그러자 루피는 이미 자신도 안다고 말하면서 흐느낀다.
         전세계에서 가장 강한 자들이 모인 거대한 전쟁 속에 단지 위대한 항로의 반을 돈 해적들 중 [[루키]] 취급을 받는 정도에 불과한 루피가, (원군은 있었지만) 동료는 아무도 없이[* 사실 루피가 동료들과 떨어져 단독으로 움직이는 일이야 자주 있는 일이지만 그런 경우는 동료들과 일정 거리 내에서 흩어져서 같은 목적을 위해 행동을 하는 것이다. 동료들과 어떠한 협력도 이룰 수 없는 상황에서 홀몸으로 싸운 것은 정상결전이 처음이었다.] 단신으로 뛰어 든 그야말로 태풍 속에 개미 한 마리와도 같은 에피소드였다. 그러나, 세계 최강의 남자인 흰 수염과 그의 해적단 2번 대대장인 [[포트거스 D. 에이스]]가 죽은 이 전투에서, 그것도 해군 3대장과 한 번씩은 근거리에서 전투를 벌이고 살아남았으니, 루피의 천운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게다가 참전 당시부터 루피는 임펠 다운의 연이은 싸움에 의한 데미지와 피로, 결정적으로 마젤란의 독에 죽다 살아나 며칠간의 회복기가 필요한 것을 이반코프의 텐션 호르몬으로 간신히 버티는. 즉 쓰러져야 정상인 몸을 반 근성으로 억지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봉에 서서 대장들과 겨루고 에이스 구출까지 하는 활약을 했으니 사실 '개미'로 치부될 전력은 아니었다. 또한, 스모커와 같은 자연계 능력자가 아닌 한, 루피가 그렇게 적에게 밀린 적은 없고 임드가 나서지 않는 한 꽤 날뛴 편이다. 그런 상황에서는 기어도 거의 쓰지 않았다. 적어도 당시의 루피는 거인족 중장인 호리모 중장을 기어3로 한방에 쓰러뜨렸기에 패기는 못썼지만 적어도 거인족 중장 수준은 되었다.[* 하지만 거인족 중장들 치고 좋은 꼴 본 놈은 아무도 없었다.] 거기에 이 전투가 전세계에 생중계되고, 비밀로 해야 했던 루피의 혈통까지 알려졌기에 차후 루피의 행보는 이전과는 다르게 될 것이다.
         이때, 서로의 꿈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사보의 꿈은 전 세계의 기록을 담은 책의 출판, 에이스의 꿈은 그 누구도 자신을 무시하지 못할 정도의 명성을 가지는 것. 헌데 '루피'의 꿈만이 비공개이다. 독자들은 '자유'에 관한 꿈일 거라는 추측을 하는 중.--해적왕인게 당연하잖아 해적왕이 바다에서 가장 자유로운 왕이라며--
         정상결전이 끝나고 정신을 차렸을 때, 자기보다 강한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깨닫는다. '''심지어는 뭐가 해적왕이냐고 스스로를 부정했다.''' 사실 에이스랑 동료들을 못 지키고, 봉쿠레를 자신 때문에 또 한 번 희생시켰다. 심지어 에이스는 마린포드에서 최후를 맞이했고, 친할아버지인 가프에게 주먹을 날렸다. 루피로서는 너무나 괴로운 사건들이 계속 일어났고, 언제나 자신만만한 루피가 정말 처절하게 절망했다. 이런 사실은 샤본디에서 동료를 모두 잃은 일이 첫 번째 좌절이다. 다만 샤본디에서 동료들과 흩어지고, 잠시도 못 쉬고 정상결전까지 겪었다. 결국 좌절을 곱씹을 겨를도 없지만, 이때는 모두가 살아남았으니까 본인이 겪는 부담은 전혀 다르다. 심지어는 에이스가 죽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게끔 하고 몸을 해치는 일을 말리려는 징베와 몸싸움을 벌일 정도로[* 사실 징베 입장에서도 어지간히 속이 상할 만한 상황이다. 흰수염 본인과 에이스 외에도 흰수염 해적단의 수많은 해적들이 루피 하나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는데 정작 그 본인은 상처가 벌어지는데도 날뛰어 대서 혼자 개죽음을 겪으려 하는 상황이니 징베까지 덩달아 격동해서 루피를 죽이려고 까지 했었다.] 불안정한 상태였다. 징베가 '''"잃은 것만 보지말고 남아 있는 것도 봐라! 너에게 아직 남아 있는 것도 있지 않느냐!"'''고 일갈하자 울며 날뛰던 루피도 '''[[밀짚모자 일당|사랑스런 동료들]]'''을 떠올리면서 어렵사리 마음을 다잡았다. 여기서 '자기 해적단'을 남아있는 것 한 가지로 세는 것이 아니라, 동료들 한 명을 떠올릴 때마다 손가락을 일일히 하나씩 꼽아가며 세고는 남아 있는 것이 잔뜩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모습이 참으로 루피다운 모습.
         그리고 마린 포드에서 일을 마치고 쿠쟈 해적단 배를 타고 돌아가는 모습을 보인다. 아직 상처가 남았는지, 누워있다. 행콕이 명령한 것 때문에/ 루피가 얌전히 있도록 쿠쟈해적단 여인들이 누워있는 루피를 뻔히 지켜보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실버즈 레일리와 같이 동물 하나하나가 굉장히 강한 섬[* 이 당시의 루피보다 더욱 강한 생물들이 어림잡아 500구 이상이나 살고 있는 섬.]에서 2년간 수행에 들어가기로 하고 그 섬에 가장 안전한 곳에 동료들의 비브르 카드를 꽂아 놓은 밀짚모자를 걸어놓으면서 수행에 들어간다. 여담으로 극장판 10기 특전인 0권에서 "이번 모험이 루피의 17세 마지막 모험이다."라는 발언도 있었고 4주 휴재를 선언하면서 2년후 이야기로 전개되었다.
         일단 현재 현상금은 4억 베리가 된 상황으로[* 여기서 의문스러운 점은 에니에스 로비를 함락시키고 2억이나 올랐는데 그 후에 [[칠무해]][겟코 모리아]를 쓰러뜨리고 천룡인을 때리더니 [[임펠 다운]]의 첫 침입자가 되어 사상 최악의 탈옥사건을 일으켰으며 에이스의 수갑까지 푸는 업적을 세우고도 1억밖에 오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스모커(원피스)|스모커]]가 했던 말처럼 현상금 기준이 정말 애매한 것 같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2년동안 비밀리에 수련하면서 아무런 활약이 없었던 루피가 위험도로 매기는 현상금이 갑자기 오를 리가 없다. 이제 다시 동료들과 합류해 활동 개시하면서 세계 정부(해군)와 신나게 치고 박는 상황이 전개될 테니 고로 현상금의 수직상승은 지금부터 시작인 셈이다.][* 628화에서 징베의 말에 따르면 3억을 넘어가면 현상금이 쉽게 오르지 않는다고 하니 단번에 1억이 오른 것만해도 대단한 일인 모습이다.], 여전히 바보라서 쵸파처럼 '''가짜 조로와 가짜 상디를 진짜 조로와 진짜 상디로 착각'''한다. 그래도 쵸파와는 달리 둘에게 변장한 게 아니냐고 묻기는 한다. 그러다가 그 가짜들의 안내에 또 다시 가짜 루피를 만나는데…
         612화에서 어인섬 류구 왕국의 왕 넵튠의 궁궐으로 가서 멋대로 음식 냄새에 일행들에게 이탈하여 먹을 걸 먹으러 가다가, 공주인 [[시라호시]]와 만나게 된다. 그런데… 이 공주도 [[거유]]에 미모가 [[보아 행콕]]에 대등할 수준의 [[미소녀]]인데, 또 연애플래그의 느낌이 든다… 일단 613화에서 [[반더 덱켄 9세]]가 날린 도끼로부터 시라호시 공주를 구해주었다. 그리고 자신이 덱켄의 도끼로부터 지켜주겠다고 하면서 경각탑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시라호시]]공주에게 산책을 하자고 말한다. 그리고 시라호시를 상어 입 안에(…) 숨기고 시라호시가 가고싶은 바다으로 향한다.
         시라호시와 바다 을 향하던 중에 시라호시가 상어 입 속에서 나오면서 납치범으로 오해를 받고 가뜩이나 예언 때문에 오해 받던 상황이 더 심각해지게 된다. 사람으로 치면 일반인이나 다름 없는 어인섬의 일반 어인과 인어들에게 힘을 쓰고 싶지는 않은지 저항 없이 그들에 의해 밧줄에 묶인 이후 [[반더 덱켄 9세]]이 나타나자 거치적 거리는 주변의 어인들을 패왕색 [[패기(원피스)|패기]]로 기절시킨 뒤에 덱켄을 상대해 가볍게 바닥에 쳐박아 버린 후 떠나려고 하지만, 덱켄의 명령에 의해 부하인 [[와다츠미(원피스)|와다츠미]]가 그걸 막으려고 한다. 하지만 와다츠미의 이빨을 가볍게 부러뜨려주며 [[시라호시]]공주와 함께 다시 바다 을 향해 나아간다.
         바다 에 도착하자 동료 몇명에 2년 만에 [[징베]]하고도 재회. 그리고 상황 돌아가는 것을 듣고, 징베를 통해 과거의 일을 듣게 된다. 그리고 호디의 얼굴을 보게 되고 마침내 징베로부터 호디와 싸우지 말라 했던 이유를 듣는다.
         루피가 먼저 [[호디 존스]]를 공격하면 인간과 어인들의 관계가 나빠질 것을 우려한 징베가 본인이 스스로 함정에 빠짐으로 루피를 영웅으로 만들자고 하지만 거절한다. 이때의 이유는 아주 가관으로, '''난 영웅을 좋아하지만 영웅이 되고 싶지는 않아! 영웅이 어떤 존재인지 알아? 예를 들어 눈앞에 고기가 있다고 치자. 해적이라면 당장에 고기를 먹겠지만 영웅은 고기를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줘야 하잖아! 난 고기가 먹고 싶다고!!'''(...) 결국 징베가 '''가 먹을 고기는 내가 마련해줄 테니까 말 좀 들어!''' 하니까 그제서야 수락한다(...)[* 조로의 영웅관 또한 걸작인데, 전투가 끝난 뒤 영웅대접 받기 싫어서 도망치자 시라호시 공주가 왜 도망쳤냐고 묻자 말하길 "그거 알고 있나! 영웅이란 건 술을 나눠주는 존재라고. 난 술이 마시고 싶어!" ~~이자식들이 하나같이~~]
         마젤란과의 전투 이후 독에 항체가 생겨 [[가스가스 열매]]의 능력자 [[시저 클라운]]의 [[독가스]]에도 타격을 입지 않았다. 이후 압도하는 듯했으나, 가스가스 열매는 '''공기 자체를 조종하는 열매'''였기에 산소부족으로 기절, 이후 트라팔가 로, 스모커와 같이 감금되었다. 그래도 로 덕분에 탈출해서 다시 시저와 맞붙게 되었는데 다행히 이번에는 잘 싸웠다. 그러나 하피 모가 시저를 도주시키는 데 성공하고 모의 능력도 시저처럼 순수 전투력만으로는 불리한 터라 다시 위기에 처하게 된다. 그래도 어떻게든 벗어나긴 했지만 하필 쓰레기장에 떨어진 터라 그곳에 발이 묶인 상황이 되었다. 그런데 그곳에서 작은 용과 만났다. 그런데 루피는 그 용을 장어라 불렀다.
         용과 대화를 나눈 루피는 그 용이 [[킨에몬]]의 아들인 [[모모노스케]]라는 것을 알게 되지만 특유의 머리로 "그 이름 어디서 들어본 이름인데" 정도로 넘어간다. 어쨌건 모모노스케에게서 시저가 아이들을 죽일 것이며 다른 아이들을 대려와 같은 실험을 반복할 것이라는 것을 들은 루피는 열받아 탈출하려 한다. 그런 루피의 모습에 모모노스케는 안심하다가 갑자기 도플라밍고의 모습을 떠올리면서 겁에 질려 하늘을 날아오르고 덕분에 루피도 탈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후 후지토라와 도플라밍고가 로를 끌고가고, 루피는 나미의 충고에 따라 오랜만에 날카로움을 발휘해 일행이 가진 3가지 카드[* 시저, 스마일 공장, 모모노스케(?)]를 이용하기 위해 일행을 세 팀으로 나눈다. 나미, 상디, 브룩, 쵸파+모모노스케는 시저를 데리고 조우로 향했고, 프랑키와 로빈, 우솝은 공장을 파괴하겠다며 이야기한다. 루피는 궁전으로 가서 도플라밍고를 박살내버리고 로를 되찾아오겠다고 선언했다.
         '''코리다 콜로세움의 임드들이 그에게 협력하게 된 것이다.''' 가장 먼저 루피 일행이 날아온 자리에 있던 [[캐번디시(원피스)|캐비지]]가 '갓' 우솝 덕분에 살았다며 루피 일행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했고 ~~그러면서 동맹인 로는 잘만 죽이려 든다~~ 칭자오도 사이, 부와 함께 등장해 조력자로 참가하겠다고 하고 하이루딘 또한 콜로세움에서의 일을 모두 잊고 도움을 주기로 한다. 엘리자베로 2세 역시 ~~상금에 눈이 멀었던 다가마를 쥐어패고~~ 협력을 가했고 ~~상금에 눈이 멀 줄 알았던~~ 압둘라&제트, 올럼버스, 이데오, 술레이만, 블루 길리까지 합세한다. 그러고서는 상금에 눈이 먼 나머지 참가자들을 때려패고, 루피는 자신이 루시로 활동할 때 친해졌던 브루탈 불(우시)도 끌어들인다. 그렇게 해서 캐번디시는 '''인기'''를 위해, 칭자오는 '''인의'''를 위해, 하이루딘은 '''명예'''를 위해, 엘리자베로 2세는 '''리쿠 왕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압둘라&제트는 '''참회'''를 위해, 이데오도, 올럼버스도, 술레이만도, 블루 길리도 각자의 목적을 위해, '''전원 도플라밍고 레이드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현장에 다시 돌아갔을 때 그들을 최초로 발견한 어떤 해병의 시선으로 설명을 하자면, '''서로 도플라밍고를 자신이 죽이겠다고 아가리 파이팅을 신나게 벌이는 흉악한 녀석들 떼거지가 밀짚모자를 선두로 다 때려부술 듯이 무섭게 들이닥치고 있는 중이다'''(...).
         먼저 막아서는 피카는 조로가 담당하기로 하고 루피는 로와 함께 우시를 타고 성으로 집단 돌격, 켈리 펑크도 합류하고 로빈과 전보벌레로 합류를 결정하고[* 로의 수갑을 풀 열쇠를 비올라가 찾아내 로빈, 바르톨로메오, 레베카가 찾아가기로 했다.] 접선 장소인 해바라기 밭으로의 지름길로 갔다가 물웅덩이에 막혀 전전긍긍하던 중 분신 도플라밍고와 조우, 우시가 당하는 사태가 일어난다. 루피는 기어 3를 이용해 3층으로 수직상승했고, 캐번디시의 말을 얻어타서 이동 중이다. 도중에 퀴로스도 합류. 그리고, 돈키호테 패밀리 간부들에게 고전하던 콜로세움 임드들이 제멋대로 움직이던 행동을 접고 '''루피에게 길을 내어주기로 한다.''' 그렇게 해서 이들의 엄호를 뒤로 하고 루피는 캐번디시, 퀴로스와 함께 해바라기 밭으로 질주하게 된다.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20회 일치
         오스만에 대한 반격도 한편으론 시행되었는데, [[헝가리]] 위주로 시행된 세번의 [[십자군]]이 그것이다. 특히 1444년에 마지막 십자군에서 십자군은 카라만의 족장인 이브라힘 베이가 반란을 일으킨 틈을 타, [[모레아 전제국]][* 현재의 펠로폰소스 반도] 친왕 콘스탄티노스[* 후의 비잔티움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와 연합해 나름대로의 성과를 내기도 했다. 그러나, 체사리니 추기경의 무리한 휴전협정 파기덕에 멋대로 나아갔던 헝가리-폴란드 연합군[* 당시 헝가리와 폴란드는 [[동군연합]]이었다.]은 패배. 왕이었던 울라슬로도 전사하면서 참혹하게 끝난다. 홀로남은 콘스탄티노스는 외로이 튀르크의 공세를 [[헥사밀리온]] 장벽에서 막았으나 결국 헥사밀리온은 무너지고, 친왕은 겨우 목숨을 건지고 도망치는데 성공한다.
         한편으론, 비잔티움은 황제 요안스 8세가 죽고, 그의 동생 콘스탄티노스가 콘스탄티노스 11세로 즉위한다. 그는 모레아의 친왕으로써 모레아를 비잔티움의 봉신인 모레아 전제국으로 일통하고, 바르나 십자군에서 그리스 지방 거의 전체를 일시적으로나마 탈환할 정도로 능력있는 자였으나... 바르나 십자군에 협력한거 때문에 초강대국이었던 오스만의 지도자였던 무라트 2세에게 찍혀서 재혼[* 당시 그는 두 번의 결혼을 치뤘으나 두 번 모두 자식이 없었다]도 못하고 있었다(...) 심지어 대관식도 콘스탄티노플이 아닌 모레아에서 치뤘고 콘스탄티노플에 올때도 카탈루나 배를 빌려타고 온 안습한 처지가 되었다.
         1451년 무라트 2세가 죽고 새로이 술탄으로 오른 이는 메흐메트 2세였다. 사실, 그는 1444년에 이미 즉위한바가 있으나 동쪽에서 카라만이 반란을 일으키고, 발칸에선 비잔티움의 사주를 받은 무라트의 동생 오르한이 폭동을 일으키고, 헝가리가 십자군을 선포하는 막장 상황이 벌어지자 재상 할랄 파샤의 주도로 무라트 2세가 복위돼 퇴위되버린(..) 굴욕을 간직한 이였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유럽군주들은 그를 애송이취급하면서 무시해버렸고, 이때문에 오스만이 실제로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할때도 느릿느릿 관망만 하고 있던 경우가 많았다.[* 사실 실제론 자기들 이권다툼이나 나라 내실다지기가 더중요했던게 크다. 바로옆에서 초거대세력상대로 외로운 투쟁을 하던 제국을 무시한 이탈리아 중견국들이야 변명의 여지가 없지만.] 그러나 그는 로저 크롤리의 표현대로 '동방의 알렉산드로스'를 노린 이였고, 이는 말년의 나폴리 침공에서도 잘 드러나는 일면이다. 아무튼, 그의 두번째 즉위당시 아무도 그의 야망을 모르거나 무시했고, 이는 유럽군주들의 가장 큰 실수로 남는다.
         사절의 요구를 들은 메흐메트는 생각해보겠다며 차갑게 대꾸한 이후, 보소포로스 해협의 가장 협소한 지역에 요새를 짓기 시작한다. 이소식을 들은 황제는 경악하면서 사절을 보내 외교적으로 해결을 하려하지만, 술탄은 그들을 쫓아내는것으로 대답을 해줬다. 황제는 그 대응으로 도시내의 튀르크인들을 투옥하는걸로 맞대응했으나, 별 소용없는 행위였고, 결국 모두 풀어주었다. 그렇게 당대에 '보코하즈 케센', 그리고 현재는 '루멜리 히사르'라고 불리는 요새가 완공되었고, 이로인해 이곳을 왕래하는 모든 함선들은 요새의 검문을 받아야 했다. 이는 이곳을 통해 무역을 하는 이탈리아 상업국가들에게 큰 위협을 줬는데, 단적인 예로 베치아인 안토니오 리초가 이끄는 함선이 요새의 검문요구를 무시했다가 포격을 받고 침몰했고, 살아남은 선원과 선장모두 사형을 당했다. [* 선장은 특별히 말뚝형에 처해졌다.] 더더욱 급해진 황제는 교회통합을 요청하며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돌아온건 겨우 200명정도의 병력뿐이었다.[* 별 수 없는게, 당시 교황령의 군사력은 제국보다 별볼일 없었다.(....) 차라리 모레아 전제국이 훨씬 더 국력이 탄탄했을거다.] 하기야 소피야 성당에선 교회통합을 선언하는 미사가 열렸지만, 해당 미사는 황제와 그 일부 측근들, 일부 통합파 사제들과 교황청에서 온 주교들 일부만 왔을뿐이었다.
         오히려 국가적인 지원보단 개인적인 지원이 더 줄을 이었다. 대표적인 경우가 카스티야의 귀족인 톨레도의 돈 프란시스코[* 자신을 콤소스 황가의 자손이라 칭하며 황제를 사촌이라 칭하기도 했다. 사실 이 당시 비잔티움 제국은 콤노스가 아닌 팔레올로고스 왕조였고, 오히려 [[트레비존드 제국]]이 콤노스 왕조의 후손이다. 팔레올로고스 왕조도 콤노스 왕조와 인척관계이긴 하지만.]와 제노바의 군인 주스티니아니 롱고였는데, 특히 주스티니아니는 공성전전문가로 상당히 이름난 군인이었기에 황제가 직접 방어를 성공해낸다면 림노스 섬의 통치권을 나눠준다고 하기도 했다.
         그나마 강성한 정교회국가였던 모스크바 대공국은 자신들의 라이벌이었던 노보고로드 공화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과 싸우느라 바빴고, 타타르의 멍에를 벗은지 얼마안되서 제국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모스크바 대공국과 비잔티움 사이에는 아직 몽골계 칸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무엇보다 그들에겐 요안스 8세때 잠시 진행된 동서교회 통합은 상당한 충격이었다[* 동유럽에서 정교회와 가톨릭의 감정적 대립은 매우 심각했다. 예를 들어, 이 무렵 노보고로드는 [[한자동맹]]의 독일계 상인들과 교역을 했으나, 이들이 가톨릭이라는 이유로 도시 내에 게토를 설치하고 독일계 상인들을 거의 격리수용(…) 하다시피 할 정도로 일반 시민들과 철저하게 분리했다.]는게 문제였다.
         전투가 주로 이루어질거라 예상됬던 곳은 육지 성벽이었는데, 왜냐하면 금각만쪽으로 진입하는건 4차십자군때 베치아처럼 제해권을 완벽히 장악하지 않는 이상은 무리였기때문이다.[* 둘레에 급류가 흘러 상륙용 배를 성벽밑에 대는게 쉽지 않았고 모래톱과 암초또한 있었기 때문.] 그중에서도 리쿠스 계곡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성벽인 메소테이키온쪽이 가장 취약한 곳이었기에, 황제와 주스티니아니 모두 튀르크 군의 공격이 여기에 집중될것이라 여겼다.
         그리고 외벽과 내벽중 어느쪽에 방어를 집중할것이냐를 놓고 논쟁이 펼쳐졌는데, 황제와 주스티니아니 모두 1422년에 무라트 2세가 도시를 공격했을때 외벽방어에 집중해 막아낸것처럼 이번에도 외벽에 방어하기로 결정하려 했으나, [* 내벽에도 병력을 배치하는게 좋긴 하겠으나, 그럴 여유가 없었다.] 스스로를 '전략가'라 자칭했던 교황청의 사절 레오나르도 대주교가 내벽을 방어하라고 우겨 잠깐동안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는 1422년 무라트 2세의 공격으로 인해 수리된 외벽이 제대로 수리되지 않았다면서, 이게 모두 수리비를 두명의 그리스인인 자가루스와 수도사 이피토스가 횡령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것은 굉장히 부당한 주장으로, 자가루스는 마누엘 팔레올로고스가 본명인 황제의 친족으로, 수리된 성벽에 이름까지 적힌, 당시에 굉장히 존경받는 정치인이었다. 또다른 횡령범으로 지목된 오피토스는 통합반대파였다만, 황제와 친한 수도사중 한명으로 공적인 일에 일체관여하지 않고 유유자적하게 살고 있던 중이었다. 레오나르도 대주교의 주장은 가톨릭교도들의 전형적인 반통합파와 그리스인들에 대한 적개심에서 비롯된 편견이었다.
         이후 오스만 전군이 모두 모였던 4월 5일에, 황제는 그의 정예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메소테이키온 성벽에 자리잡았고, 그의 오른쪽에 카리시오스 문과 미리안드리온 성벽엔 주스티니아니가 자리잡았다.[* 그러나 튀르크의 공격이 메소테이키온에 집중되자, 그의 병력을 이끌고 거기서 황제를 지원했다.] 그중 미리안드리온은 제노바에서 그들의 무기와 방어구를 직접 구입해 도달했던 보카아르디 삼형제가 이끌었다. 베치아 거류민 대표 미노토와 그의 휘하 병사들은 블라케르나에 황궁 구역에 자리를 잡으면서 해자를 비우고 다시 메우는 임무를 맡았고, 역시 베치아인인 테오도르 카리스토는 칼리가리아 문과 테오도시우스 성벽 사이 성벽 방어를 담당했다. 레오나르도 주교와 제노바에서 온 란가스코 형제는 금각만근처 해자뒤쪽에 자리잡았다. 한편으론 황제의 왼편에는 제노바병사들이 자리를 잡았고, 그 옆에는 황제의 친족인 테오필로스 팔레올로고스가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페가에문을 방어하고 있었다. 황금문은 마누엘이라는 제노바인이 담당했으며, 그의 옆 바다쪽에는 황제가 가장 신뢰하던 군인인 데메트리오스 칸타쿠제노스가 자리잡았다.
         그외에 후방에는 오르한 왕자가 이끄는 투르크군이 엘레우테리오스 항구에 자리잡았고, 마르마라 해안 동쪽 끝인 히포드롬과 옛 성궁 아래는 카탈루냐 거류민들이 담당했다. 이시도로스 추기경은 200명의 병사와 함께 아크로폴리스[* 아테에 있는 그곳이 아닌, 다른 아크로폴리스를 말한다. 애초에 콘스탄티노플은 본래 비잔티움이란 이름의 그리스인 거주지였단걸 명심하자]곶에 진을 쳤다. 금각만 연안은 베치아인들과 제노바인 선원들이 베치아인 가브리엘 트레비사노휘하에서 방비를 맡았으며, 항구의 선박들은 트레비사노의 동포였던 알비소 디에도가 지휘했다. 그외 성벽은 일부 수도사들이 경비를 서다가 위급해지면 지원을 요청했다.
         각부대는 그리스인,제노바인,베치아인들이 모두 섞여있었는데 이는 황제가 서로 국민감정이 좋지못했던 [* 라틴인들과 그리스인들의 반목이야 말할것도 없고(...) 제노바와 베치아역시 대대로 앙숙이었던 국가였다.]세 민족을 서로 부대끼게 하면서 자연스럽게 서로를 믿고 의지하게 만들생각으로 배치한것으로 보인다.
          * 그전부터 비잔티움의 그리스학자들이 튀르크의 침입이나 콘스탄티노플의 정치,종교적 보수성에 질려 모레아나 이탈리아로 떠난 경우가 많았는데,[* 르상스가 이로인해 일어났다.] 이사건으로 인해 이게 본격화되었다.
  • 토리코/358화 . . . . 20회 일치
         시공을 넘나드는 오와 블루 니트로의 진실.
          * '''"블루 니트로"는 다른 우주에서 오를 쫓아온 존재다. 지금 우주는 "레드 유니버스"다'''
          * 오는 이 우주에서 소멸과 재생을 반복해 왔다
          * 오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죽은 적도 있지만 "압도적인 적"에 의해 죽은 적도 있는데, '''이 중 돈 슬라임이나 사천왕의 구르메 악마로 보이는 존재'''도 있다.
          * 오는 소멸한 것처럼 보여도 결국은 되살아나 학살을 되풀이한다
          * 사천왕 일행은 이런 심각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별로 무서워하지도 않을 뿐더러 코마츠는 '''"오가 완전히 만족할만한 요리를 찾으면 행복해질 것이다"'''고 말한다.
          * 한편 죠아도 미도라에게 오의 진실을 알리며 '''"무한한 식의 낙원"을 추구'''하자고 한다. 그러나 미도라는 '''"내 앞에 있는 작은 밥상 하나 외엔 흥미가 없다"'''고 말한다.
          * 지로와 대치 중인 블루 니트로는 '''"질량 보존의 법칙처럼 구르메 세포가 형성된 생물은 구르메 에너지를 가지며 육신이 죽더라도 언젠가는 부활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러나 '''오에게 먹힐 경우엔 완전히 소멸하며 부활하지 못한다.''' 이것이 오의 진정한 두려움이라고 한다
          * 그러나 지로는 "오에게 진정한 공포를 가르쳐주겠다"며 변신을 멈추지 않는다
         2대륙, 기스와 대치 중인 토리코일행
          * 토리코는 "지구의 풀코스"는 상상도 못하게 맛있을 거라며 흥분한다. 그리고 '''"오" 그 자체도 엄청 맛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오와 돈슬라임이 대결중인 곳
          * 돈슬라임은 오를 공격하면서 '''"몇 십억년 만에 그때로 돌아간 기분이다"'''라고 말하며 오를 갈기갈기 찢어주겠다고 호언한다.
          * 오의 정체에 대해서 전모가 드러났다. 오에게 먹힌 구르메 세포가 완전히 소멸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 오는 사실 이 세계에 속한 존재가 아니라 "다른 우주"에서 온 존재였다. 블루 니트로들은 그 오를 추적해서 이 우주로 온 것이다.
          * 지금 우주의 이름은 "레드 유니버스". 따라서 블루 니트로와 오의 우주는 "블루 유니버스"일 것이다.
  • 하이큐/227화 . . . . 19회 일치
          * 시합 후반, 히나타 쇼요는 보다 능숙하게 "뒤섞이는" 플레이로 적진을 교란, 아즈마 아사히의 득점으로 연결한다.
          * 종반에 들어선 아즈마가 완전히 부활. 특유의 파워로 블록을 격파하며 자신감을 회복한다.
          * 아즈마 아사히는 그냥 격려가 아니라 진심일 거라고 말하며 심기일전한다.
          * 다테 측의 서브. 후쿠타치 켄지가 서브를 치지만 트에 걸린다.
          * 그러나 이번엔 다테 공고의 블록이 빨랐다. 코가가와 칸지와 아오 타카노부의 리드 블록에 가로막히는 공격.
          * 코가가와는 완전히 마이너스 템포라고 생각하고 먼저 뛰어오른다.
          * 하지만 페이크였다. 진짜는 아즈마. 코가가와는 뒤늦게 다시 뛰어오르지만 닿지 않는다.
          * 카게야마는 공격 성공 이후 히나타가 의도적으로 코가가와를 교란한게 아닌가 생각한다.
          * 아즈마에게 올리는 것 자체는 카게야마의 판단이었지만 히나타의 페이크는 자신의 계산에 없었던 것.
          * 스파이크를 때리는 아즈마. 그러나 아오의 벽에 막혀서 튕겨나온다. 공은 니시노야가 수습.
          * 그런데 아즈마는 공격에 실패하고도 무섭거나 위축되는 기분이 들지 않았다.
          * 카게야마는 다시 아즈마에게 공을 올리고 이번엔 다테의 코가가와, 아오, 후쿠타치 3인이 리드 블록으로 다가온다.
          * 아즈마의 파워풀한 스파이크.
          * 아즈마는 이 플레이로 두려움을 떨쳐내고 완전히 자신감을 되찾았다.
  • 은혼/609화 . . . . 17회 일치
          * 여전히 사카타 긴토키의 신경을 긁어대며 "세계의 절반 정도는 맡아줄 테니 나머지는 가 알아서 해라"는 투로 말한다.
          * '''비극의 병기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 부활'''
          * 그러나 이것은 에도성을 함락시킨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가 아니라 그걸 개량한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다.
          * 겐가이 영감은 킨토키 타마를 비롯 에도의 모든 기계의 힘을 모아 사람을 구하는 병기,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를 작동시킨다.
         그 답은 너와 가 만나게 해준 동료들이 가르쳐 주었어. 내 기계는 지금 이 순간을 위해서 있던 거야. ||
          * 그리하여 겐가이 영감이 찾아낸 답은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완성도 높은데 어이!--
          * 그 모습은 천인 도래 당시 천수각을 떨어뜨려 전쟁을 종결지었던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와 똑같았다.
          * 어쨌든 해방군은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의 파괴를 최우선으로 하게 된다.
          * 드디어 작동되는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
          * 타마과 킨토키의 힘을 받은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는 에도 전역의 기계들의 힘을 끌어모으기 시작한다.
          * 전에도의 전력이 집중되고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가이포가 발사된다.
         소라치의 빅픽쳐. 겐가이 영감 에피소드도,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 설정도, 킨토키와 타마의 이밍 조차도 이 한 화를 위한 큰 그림이었던 것이다.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가 에도성을 때려부순건 눈축제 에피소드에서 나왔던 내용인데 지나가는 드립이 아니라 정말로 은혼 세계관의 정사. 그래서 그런지 적들도 겐가이포가 나타나자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포라고 생각해서 긴장하는 장면이 연출된다. 그리고 긴토키는 실제로 완성도 높게 눈조각을 만들었던게 증명됐다.--완성도 높은데 어이!--
         === 두 번째 초중대발표 ===
  • 토리코/381화 . . . . 17회 일치
         [[토리코]] 381화. '''오와 아카시아'''
          * GOD를 먹은 오는 팔왕을 압도하는 힘을 과시한다. 마왕의 목을 떨어뜨리고 오왕의 반신을 뜯어먹는다.
          * 사왕 마더 스이크가 오를 삼키고 칭칭 감아버린다. 고농도의 소화액으로 녹이려 한다.
          * 실패해서 둘 다 오에게 먹힐 경우 둘 모두 부활할 수 없지만 센터라도 자신이 죽여놓으면 부활해 임무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
          * GOD의 힘으로 마침내 오가 각성하고 아카시아의 몸에서 분리된다.
          * 그러나 오는 여기에 대항해 발광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오왕이 만든 빛을 지워버릴 정도로 막대한 빛을 방출한다.
          * 오왕은 지지 않고 반격을 가하는데 모조리 오의 먹이가 된다.
          * 그때 오가 빛보다 빠른 속도로 사라진다.
          * 사왕 마더 스이크가 오를 한 입에 삼키고 오를 중심으로 몸을 감아 봉인한다.
          * "마더 락". 사왕은 최대치에 달한 소화액을 모아서 오를 녹이려 든다.
          * 페어는 이것이 "보험"이라고 설명한다. 만약 둘 다 오에게 죽게 되면 그대로 끝장이지만, 센터라도 자기 손에 죽으면 나중에 부활할 수 있기 때문.
          * 그는 센터를 먹고 다시 오와 합치라고 말한다. 그렇게 해서 오가 한층 완벽한 상태로 부활하는 것이다.
          * 거의 비등했던 팔왕과 오 간의 파워 밸런스가 완전히 깨졌다.
  • 모레아 전제국 . . . . 16회 일치
         현재의 그리스 남부의 펠로폰소스 반도 지역에 있었던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이다. 이 지역은 본래 전통적으로 비잔티움의 유럽 방면 영토였으나, 통치력이 잘 미치지 않아 독립성향이 강했고 [[제4차 십자군 전쟁]]을 계기로 이 지역에 세워진 '아카이아 공국'의 영향으로 비잔티움의 봉신국이 되었다.
         [[테오도시우스 2세]] 시절에 구축된 [[헥사밀리온]] 성벽으로 펠로폰소스 반도의 그리스 중부를 잇는 코린토스 지협을 방어하였고, 수도는 고대 [[스파르타]] 인근에 세워진 요새도시 미스토라스였다.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전후한 시기를 살펴보면, 모레아의 역사는 제국의 마지막 저력과 그 한계를 보여주고 있었다. 모레아 전제국은 '팔레올로고스 르상스'를 이룩하여 제국 최후의 영광을 빛냈으나,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에도 정치적, 종교적 대립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무너지고 말았다. 상대적으로 다민족화된 비잔티움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그리스 인]]의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했다. 그리고 비잔티움 멸망 이후 그리스 독립 전쟁의 시작도 이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제4차 십자군]] 시기 이 지역에서는 '아카이아 공국'이 세워졌다. 아카이아 공국은 [[니케아 제국]]과의 대결에서 패배하고, 포로로 붙잡힌 기욤 2세는 콘스탄티노플 탈환 이후 영토를 할양하고 풀려났다. 비잔티움 제국은 펠로포소스 영토에 케파리(군정관)을 두고 이들에게 펠로폰소스 방면의 전권을 위임했다. 케파리는 연단위 임명이었지만 이 지역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종신 임기가 되었고 팔레올로고스 황족이 부임하게 되었다. 영토가 확장되면서 지역을 다스리는 멜리키 케파리와 전역을 다스리는 카소리키 케파리로 분화된다.
         요하스 6 세 칸타코제노스가 둘째 아들 마누엘 칸타코제노스를 모레아의 전제공으로 임명하면서 '모레아 전제군주국'이 시작되었다. 이 때 요하스 6세의 다른 친족들도 전제공 등의 칭호를 받아 각지로 부임했으나, 대부분 일시적으로 그쳤고 장기적으로 살아남은 것은 모레아 뿐이었다.
         === 팔레올로고스 르상스 ===
         모레아의 전제공들은 코린토스 지협에 건설되었던 [[헥사밀리온]]을 수복하고, 내정을 보살폈으며 [[알바니아]] 인을 이 지역에 이주시키기도 했다. 모레아 지역은 인구가 늘어나 요새였던 미스토라스는 도시화 되었고,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룩했다. 1428년 취임한 전제공 콘스탄티누스(후의 [[콘스탄티누스 11세]])는 파트라를 점령하고 아카이아 공국을 완전히 축출했다. 콘스탄티누스 시대에 모레아는 '팔레올로고스 르상스'라고 불리는 문화적, 경제적 부흥이 일어났다.
         이러한 모레아의 국력을 바탕으로 콘스탄티누스 전제공은 [[헝가리]] 중심의 [[십자군]]에 호응하여 출병, 오스만에 복속되어 있던 아테 공국을 복속시켜 아티카를 지배 하에 넣고, 테살리아 남부까지 세력을 확대하는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1444년 바르나 전투에서 십자군이 패퇴하자 다시 반도로 철수할 수 밖에 없었고, 1446년 11월에는 오스만의 강렬한 반격을 받게 된다.
         1446 년 11월, [[무라트 2세]]의 침공으로 [[헥사밀리온]]이 파괴되어, 모레아는 오스만에 유린되었다. 제국 말기에 반짝했던 모레아의 발전과 팔레올로고스 르상스는 여기서 한계를 보이고 만다. 1448년 10월 황제 요하스 8세 파레올로고스가 사망하고, 콘스탄티누스 전제공은 비잔티움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로 선출되어, 1449년 1월 모레아의 수도 미스토라스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콘스탄티노플로 떠난다.
         이러한 상황을 놓치지 않고 메흐메트 2세는 모레아에 친정하여, 1460년 5월 29일 콘스탄티노플 함락 후 7년 만에 수도 미스토라스가 점령되고, 그 해 여름까지 반도의 거의 전역이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어 모레아 전제군주국은 멸망한다. 드미트리는 오스만 제국에 복속하였고, 토마스는 이탈리아로 망명하였다. 모레아의 그리스인은 산악 지역이나 해안 지역에서 저항하거나, 이 당시 모레아 각지에 거점을 가지고 있던 [[베치아 공화국]]에 투항하였고 베치아 공화국은 그리스 인 군단을 편성하여 오스만에 저항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 거점들 마저도 오스만-베치아 전쟁에서 궤멸하면서 그리스는 베치아의 마지막 거점이었던 코르푸를 제외한 모든 지방이 오스만의 지배하에 들어서게 됀다.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16회 일치
         이름의 어원은 겐페이 전쟁 당시 인물인 무사시노 벤케이. 다리를 건너는 사무라이들의 칼을 빼앗다가 미나모토노 요시츠에게 패한 후 그의 가신이 되었다는 이야기와 적의 습격을 받은 요시츠를 지키기 위해 싸우다가 선채로 죽었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 도키타카의 타가시마(Tokitaka's Tanegashima) =====
         이름의 유래는 타가시마 토키타카. 타가시마 섬의 도주였던 그는 포르투갈 상인이 소지하고 있던 화승총을 전해받아 장인들에게 복제하도록 시작했다. 그리고 이 일로 일본에 화승총이 전파되었다.
         적은 양의 선원이 탄 코바야. 컨트롤만 잘 한다면 세키부랑 맞다이 떠서 이길수도 있다.
         ==== 세키부(Medium Bune) ====
         ==== 야구라부(Siege Tower Bune) ====
         ==== 센고쿠부(Sengoku Bune) ====
         ==== 메쿠라부(Cannon Bune) ====
         ==== 아타케부(Heavy Bune) ====
         ==== 오-아타케부(O Ataka Bune) ====
         아타케부의 개조품. 아타케부보다도 많은 수의 선원들이 타고있다.
  • MoniWikiTutorial . . . . 15회 일치
         예: [[BR]] `== 두번째 레벨 ==`
         첫번째
          * 첫번째 단계
          * 두번째
          * 두번째 항목
          * 첫번째 레벨로
          1. 첫번째 항목
          1. 두번째
          * 첫번째 단계
          * 두번째
          * 두번째 항목
          * 첫번째 레벨로
          1. 첫번째 항목
          1. 두번째
         == 열번째 고개: 마치면서 ==
  • 블랙 클로버/70화 . . . . 15회 일치
          * 바사의 실 마법과 핀랄의 공간마법, 그리고 아스타의 반마법의 콤비이션으로 절망의 베토를 수세로 몰아간다.
          * 바사와 핀랄은 마력이 아예 없음에도 불구하고 용감히 싸우는 아스타를 보고 자신들의 삶이 틀리지 않았다는 확신을 얻는다.
          * 혼신의 콤비이션으로 마침내 절망의 베토의 몸을 꿰뚫는다.
          * 그러나 곧장 반격을 받는데 바사 에노테이커의 신속한 대처로 재빨리 회피한다.
          * 노엘 실버는 바사와 핀랄이 대단한 실력자임을 세삼 깨닫는다.
          * 그리고 바사와 핀랄이 기동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공간마법은 그렇다치고 바사의 실마법이 특히 성가시다.
          * 바사는 베토가 움직임을 따라잡을 듯 하자 한계 이상으로 스피드를 올린다.
          * 바사는 마력도 없는 아스타가 싸우는 모습을 보며 용기를 얻는다.
          * 사방팔방으로 공격하는 콤비이션.
          * 그러나 바사와 핀랄은 자신들을 철썩같이 믿고 있는 아스타를 절대로 배신할 수 없으니 최선을 다해 보조한다.
          * 바사의 내력이 간접적으로, 핀랄의 내력이 직접적으로 묘사되었다.
          * 바사는 "명가를 등진 마녀"라는 이명이 있었으므로 그저 고향을 등지기만 한게 아닐 것이다.
          * 아스타가 반마법 검으로 "관통"한 최초의 사례. 아스타가 죽인 첫 번째 적이 될지도?
  • 원피스/830화 . . . . 15회 일치
          * 빅맘은 징베가 떠나는건 좋지만 "뒷처리"를 해야 한다며 죽음의 룰렛을 강요한다.
          * 페드로는 과거 포그리프를 모으기 위해 해적생활을 했던 것을 털어놓으며 루피는 분명 해적왕의 자질이 있으니 장차 로드 포그리프를 모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 그리고 이번 기회에 빅맘의 로드 포그리프를 확보해야 한다며 자신에게 그 임무를 맡겨달라고 한다.
          * 선원들은 알라딘에게 "플라리랑 결혼해서 인척간이 됐는데 어쩔 거냐"라고 묻는다.
          * 샬롯사 29녀 "샬롯 플라리". 빅맘의 딸인 귀상어 반어인이다.
          * 플라리는 그 이야기를 듣더니 논의할 필요도 없다며 "알라딘을 따라간다"고 단언한다.
          * 떠나기 전 징베는 "역시 빅맘은 나를, 우리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플라리에게 의견을 묻는다.
          * 플라리는 "확실히 산하에서 빠지려던 녀석들은 전부 죽었다"라고 말하는데...
          * 페드로는 과거 포그리프를 찾아 해적생활을 했었다. 코마무시에게 힘이 되려는 생각에서 한 일인데, 결국 빅맘의 구역에 발을 들이고 처참하게 패했다. 그게 마지막 항해였다.
          * 사실 조우의 두 왕이 로드 포그리프를 루피에게 보여준 것이 큰 충격이었다고 한다.
          * 루피는 아직 그렇게 뒷일까지는 생각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페드로는 어차피 빅맘이 가진 로드 포그리프도 필요해질 거라며, 지금이야 말로 최고의 찬스라고 말한다.
          * 그래서 이번 작전은 상디의 탈환과 함께 "로드 포그리프의 탈취"로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리고 섬에 도착한 이후 잠시 시간을 준다면 자신이 반드시 가지고 오겠다고 말한다.
  • 일곱개의 대죄/198화 . . . . 15회 일치
          * 할리퀸은 디안느와 마트로나 가족들을 요정왕의 에서 보호해주고 있었는데 그로키시니아나 드롤의 움직임이 너무 없어 이상하게 생각한다.
          * 디안느와 마트로나를 중심으로 요정왕 의 모든 이가 춤을 추며 즐기는데 게라이드는 그로키시니아가 방문한 듯한 묘한 느낌을 받는다.
          * 잠시 뒤. 두 사람은 요정왕의 의 높은 나무에 걸터앉아 리오스 왕국과 멜리오다스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디안느가 리오스 왕국에 남은 이들을 걱정하자 할리퀸은 멜리오다스 사후 브리타니아에 만연한 마신족에 대해 언급한다. 그러면서 아마 리오스도 예외는 없을 거라고 말하는데. 디안느는 아직도 기억을 찾진 못했지만 멜리오다스는 착한 사람이었다며 그렇게 죽어선 안 됐다고 씁쓸해한다. 할리퀸은 여전히 그에 대해 의문이 남은 것 같지만 역시 살아있었으면 했다고 말한다.
          * 디안느는 요정왕의 에 자신과 마트로나의 가족들을 숨겨준 것을 감사하며 어째서 요정왕의 은 안전한 건지 묻는다. 할리퀸이 답하길 원래 요정왕의 전체는 침입자를 선별하는 결계를 치고 있는데 설사 십계라 해도 이걸 뚫는건 불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마신족은 그렇다쳐도 선선대 요정왕 그로키시니아, 거인의 왕 드롤도 아무런 접근이 없는걸 꺼림직하게 여긴다. 그들이라면 요정왕의 을 침입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인데, 멜리오다스의 죽음 이후 이상할 정도로 움직임이 없다.
          * 마트로나의 가족들은 요정왕의 에 잘 적응하고 있다. 아이들은 오슬로와 어울려 노는데 바깥 일 같은건 모르는 것 같다.
          * 그때 요정 게라이드가 할리퀸에게 "수상한 시선이 느껴진다"고 보고한다. 하지만 자세하게 설명할 수가 없어서 그냥 기분 탓일지도 모르겠다고 말하는데. 할리퀸은 깊이 생각하지 않는데, 마침 의 모든 이가 즐겁게 춤을 추며
          * 마트로나와 디안느를 중심으로 의 모든 이가 춤을 춘다. 게라이드는 그 시선을 경계해서인지 차분한 표정이었지만 차츰 분위기에 동화되어 어느새 춤을 추고 있다. 그런데 그들 사이로 익숙한 얼굴이 끼어드는데.
          * "눈을 떠", 어디론가 옮겨진 디안느와 할리퀸은 그 목소리에 의식을 되찾는다. 에서 춤을 추다가 기억이 끊겼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알 수 없는 곳이다. 그때 할리퀸의 투구에 깃든 헬브람이 "최악의 전개"라고 경고하는 목소리가 들린다. 할리퀸은 곧 엄청난 이변을 깨닫는데 바로 그로키시니아와 드롤의 등장이었다. 두 사람을 납치한 것이 바로 이들. 할리퀸은 둘 모두 도망치는건 불가능하다 여기고 자신이 막는 동안 디안느를 도피시치려 한다. 그러나 디안느는 함께 싸우자며 "마지막이 할리퀸과 함께여서 다행"이라 말한다.
  • 토리코/389화 . . . . 15회 일치
          * 페어는 오의 세포의 색은 검정색이며 오가 싫어하는 맛은 분노라며 분노의 힘만이 오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알려준다.
          * 블루 니트로 페어는 토리코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말하며 갑자기 꼬리를 찔러넣는다.
          * 하지만 페어가 알려주려 한건 오의 "포획레벨"이 아니라는데.
          * 진짜 알아야할 정보는 오의 "세포의 색"과 "기호"였다.
          * 오의 세포는 "검정". 검은 세포의 악마는 무엇이든 집어삼키는 극악한 식욕의 소유자이다.
          * 오에겐 그 무엇이 됐든 먹이에 지나지 않으며 자연재해는 물론 식운 조차도 포함된다.
          * 그리고 오의 기호. 알다시피 선호하는 맛은 "절망"이다.
          * 그 분노를 오에게 먹이는 거야 말로 오를 쓰러뜨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데.
          * 오의 세포는 "검정"으로 확인. 검은 세포 자체가 "무엇이든 삼키는 힘"이 있는 걸로 묘사됐다.
          * 오의 색이 밝혀지면서 토리코 내면의 제 3의 악마의 정체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해졌는데, 오와 같은 "검정"이라는 의견과 반대되는 "하양"이라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 플로제의 설명과 브란치가 왜 아카시아의 모습이 변했는지 미심쩍어하는걸 보면 아카시아는 사실 오에게 잠식 당하고 있는 걸로 보인다.
  • 토리코/395화 . . . . 15회 일치
          * 두 번째 요리는 "수프" 센츄리 스프. 아이스헬에서 죽을 고생을 해 손에 넣은 식재다. 당시 토리코와 동행했던 멤버들은 그때를 떠올리며 추억에 젖는다. 그때 구르메 쇼윈도의 붕괴를 막지 못하고 끝내 센츄리 스프는 실전되지만 마지막 한 방울을 마신 코마츠가 천부적인 재능으로 부활시킨 것이다. 미도라도 감탄했을 정도의 식재로 인간계의 재료지만 구르메계의 주민들도 만족스럽게 먹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요리. 바게트 대신 함께 나간 약선떡도 에코김을 더해 완성도를 높였다. 유다는 사수가 침공했을 당시 코마츠의 천부적인 재능에 놀랐던 일을 회상한다.
          * 세 번째 "생성요리", 오가이(먼 바다의 기억). 킹듀 소스를 곁들이고 복고래, 샤이밍 구라미, 마담피쉬, 어나더까지 함께 제공된다. 모두 토리코와 코마츠가 함께 포획했던 생선들. 특히 코마츠는 복고래를 포획하던 일을 떠올리며 눈물 짓는다. 술을 즐기는 맨섬 회장은 복고래 지느러미 술을 함께 마시며 취한다. 블루 그릴의 주민들과 치코도 와서 코마츠가 요리한 어나더를 먹고 감탄한다.
          * 번째 "고기요리", 엔드 매머드(완상)의 스테이크. 사실상 오의 고기라고도 할 수 있다. 놀랍게도 오도 이 자리에 참석하고 있었는데 사회자가 "최종보스인 오의 고기"라고 해설하자 제브라가 옆에 앉은 오에게 "너보고 최종보스랜다"라고 놀린다. 오는 쑥스러운 듯 웃는다. 스테이크엔 라이브베아라가 제공했던 메테오 갈릭이 토핑. 고명으로 고대의 식보 보석고기와 가라라 악어 고기가 올라갔다. 이 또한 토리코와 코마츠가 함께 포획한 고기요리의 총집성 같은 것. 코마츠는 특히 가라라 악어를 감명 깊게 기억하고 있다. 스타준은 보석고기를 맛보며 리갈 매머드 안에서 토리코에게 패하고 "나도 언젠간 먹고 싶었다"고 말하던 일을 떠올리고 미소짓는다.
          * 다섯 번째이자 모두가 기다리던 "메인 디쉬" GOD. 토리코는 이미 한 번 맛봤던 것이지만 새로운 감회에 젖는다. 그의 식욕 "적귀"와 이별하게 된 식재이며 그와 함께 먹고 싶었던 식재. 지금은 잘 다듬어져 마치 작은 지구를 잘라놓은 것처럼 보인다. 토리코는 GOD를 맛보며 감동에 겨워 눈물을 흘린다. 토리코만이 아니다. 토리코와 GOD를 놓고 경쟁하기로 했던 아이마루를 비롯한 모든 동료들이 기쁨의 눈물을 흘리며 GOD를 칭송하고 앞다퉈 추가 주문한다.
          * 여섯 번째 "샐러드" 에어. 야채의 왕 오존초 위에 올려져 제공됐다. 요식계의 인물들은 에어에 특히 감격하며 먹는데 코마츠는 개인적으론 처음 콤비 결성을 했던 오존초 쪽이 기억에 남아있다. 그때 토리코가 콤비를 짜자고 하던 말을 떠올리며 거의 통곡하는 코마츠.
          * 일곱 번째는 "디저트", 단맛의 백화점 무지개 열매다. 이거야 말로 코마츠와 토리코가 처음으로 포획한 "풀코스". 여기에 깜놀사과 레벨 100짜리, 식림사의 보물 샤봉 플루츠, 냄새 폭탄 두두리안 붐. 두두리안 붐의 악취 때문에 작은 소란이 일지만 토리코는 추억의 냄새고 익숙해지면 괜찮다고 웃어넘긴다. 존게는 두두리안 붐의 냄새를 전혀 느끼지 못하고 그냥 맛있게 잘 먹는다.
         오는 갱생된 탓인지 옷까지 한 벌 빼입고 일행 사이에 섞여 있다. 사회자가 "최종보스 오"라고 언급하는데 아무도 오가 참석한 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않는다.
  • 블랙 클로버/83화 . . . . 14회 일치
          * 마녀의 에 잠입한 아스타 일행은 판젤 크루거가 은신 망토까지 벗겨지는 실수를 하는 바람에 쫓기는 신세가 된다.
          * 도미넌트 코드의 안내로 여왕의 거처까지 도착하는데 성공하나, 그들 앞엔 여왕이 바사 에노테이커를 짓밟고 있는 모습이 펼쳐진다.
          * 바사는 자신이 노예가 되는 조건으로 아스타의 팔을 고치려 했으나 여왕의 노여움만 산 것이다.
          * 그때 여왕은 수상한 존재들이 바깥에 나타난걸 감지하는데, 이들은 마르스를 위시한 다이아몬드 왕국의 침략군이었다.
          * 마녀의 앞에 당도한 아스타 일행.
          * 도니먼트 코드, 도미나는 마녀의 전체는 여왕의 마력으로 감지되고 있으니 조금이라도 들키는 날엔 벌집이 된다고 경고한다.
          * 검은 폭우의 마녀 바사 에노테이커였다. 여왕에게 당해 의식을 잃은 상태.
          * 바사를 발견한 아스타와 노엘은 당장 그 발을 치우라며 격노한다.
          * 그러나 여왕은 음침한 살기를 드러내며 "침입자 주제에 의 여왕이며 모든 여왕의 어미된 존재인 자신에게 그따위 말버릇이라니"라고 대꾸한다.
          * 그녀는 일행 중 도미나도 마녀임을 알아보고 "너도 이 바사도 나의 아이이며 부모 말을 듣지 않으니 벌이 필요하다"고 위협한다.
          * 여왕은 아스타가 바사가 치료하고 싶어했던 아이임을 알아차리낟.
          * 그리고 아스타에게 바사는 자신이 노예가 되는 조건으로 아스타의 부상을 치유하려 했다고 폭로한다.
          * 마녀의 바깥에서 새까맣게 몰려오고 있는 그림자들.
          * 마도전사 마르스를 위시한 새로운 침략군들이 마녀의 으로 다가오고 있다.
  • 원피스/831화 . . . . 14회 일치
         [[원피스]] 831화. '''신기한 의 모험'''
         홀 케이크 아일랜드에 상륙한 밀집모자 일행은 이상한 에 가로막힌다.
          * 페드로와 브룩은 포그리프를 찾아 한발 먼저 빅맘의 성으로 향한다.
          * 일행은 거기에 이끌려 이상한 으로 진입하는데, 루피는 자신과 똑같은 모습의 적과 조우한다.
          * 나미, 캐럿, 쵸파는 속을 헤매다 반쯤 묻혀 있는 거인이 사과쥬스를 가져다 주면 상디의 정보를 준다고 한다.
          * 이들은 이상한 토끼의 습격을 받고, 나미는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돌아가자고 주장한다.
          * 이곳은 바로 유혹의 .
          * 페드로와 브룩은 따로 잠수함 "샤크 서브머지"를 타고 잠입, 로드 포그리프의 사본을 취하려 한다.
          * 그때 쪽에서 상디가 모습을 드러낸다.
          * 상디의 모습을 쫓아 가보니 그곳은 "과자로 된 "
          * 일행이 다리를 건너고 있는데 갑자기 거대한 악어가 다리째로 일행을 삼키려 한다.
          * 나미는 역시 이 은 이상하고 위험하다고 강변한다.
          * 이곳은 바로 "유혹의 "
          * 일행의 대화를 들은 전체가 출구를 막고 일행을 저지하려 든다.
  • 원피스/846화 . . . . 14회 일치
          * 타마고 남작은 스무디 등을 포그리프를 수집한 방에 불러놓고 경비에 협조를 부탁한다
          * 범인은 페드로. 페콥스의 간청에 의해 겨우 목숨만 부지해 달아났다. 타마고 남작은 페드로가 포그리프를 노리고 있다고 보고 경비를 강화하는 것.
          * 확률은 희박하지만 지금이 아니면 기회가 없다고 본 두 사람은 페드로를 미끼로 써 포그리프 강탈 작전을 개시한다.
          * 루피가 생크림을 뿌리치며 공격하려는데 갑자기 기이한 공간으로 바뀐다. 물리법칙을 무시한 듯 위도 아래도 없는 이상한 공간이다. 여기는 몬도르가 사용하는 "책의 세계" 나미가 조심하라고 소리치자 루피를 둘러싸고 있던 환영은 사라진다. 하지만 오페라의 생크림에 발이 묶인 상태였고 부하들이 "크림 펀치"로 양쪽에서 공격하자 그대로 맞고 쓰러진다.
          * 킹밤은 기어이 두 동강 나고 나미는 아망도에게 몸수색을 당한다. 아망도는 나미의 앞섬에서 로라의 비브르 카드를 찾아낸다. 가렛은 체스병들이 제대로 싸우지 못한 것과 유혹의 에서 도망칠 수 있었던 것이 이것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면서 이걸 어떻게 손에 넣었냐고 묻는다. 빅맘의 군사들은 그게 로라를 죽이고 빼앗은 거라고 여긴다. 여기서 로라는 가출소녀 취급. 그렇지만 가족이라는 의식은 있는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며 유언은 남긴게 없냐고 묻는다. 나미는 친구라서 받은 거라고 항변하지만 쉽게 믿어주지 않는다.
          * 홀케이크성 안의 "보물전"에선 타마고 남작이 간부들을 모아놓고 있다. 그는 이 방에 모아놓은 "포그리프"가 무엇인지 일장설명을 늘어놓는다. 전세계에 있는 30개의 돌비석의 문헌. 그 중에서 "정보"를 가진 것은 고작 9개. 세간에서 말하는 "리오 포그리프"다. 그것들을 최후의 섬 "라프텔"에 인도했을 때 돌은 세상의 "진실"을 말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라프텔에 가는 정보를 적은 문헌이 4개의 "로드 포그리프". 얼마 전 징베가 하나를 진상하면서 현재 빅맘 해적단이 소장하고 있는 건 "포그리프" 2개와 "로드 포그리프" 하나. 총 세개다.
          * 이런 설명을 하는 동안 샬롯 가의 14녀이자 스위트 3장성 중 하나, "주스 대신" 샬롯 스무디는 뭐가 마음에 들지 않는지 시녀 하나를 잡아서 "쥐어짜고" 있다. 문자 그대로 걸레짜듯이 짜는데 놀랍게도 시녀는 "주스"를 흘리며 미라처럼 쪼그라든다. 현상금은 9억 3200만 베리. 스무디는 상당한 거체의 여성으로 등에 커다란 칼을 차고 있다. 시녀를 짜낸 "주스"를 잔에 담으며 "포그리프가 중요한건 알겠지만 왜 이곳 경비를 강화해야 하냐"고 묻는다. 타마고 남작이 이들을 소집한건 보물전의 경비 강화 때문인 모양이다.
          타마고 남작은 5년 전 밍크족이 이 보물전에 침입하는 불상사가 있었다고 말한다. 포그리프를 노렸던 도둑은 당시 페콤즈의 탄원을 받아 간신히 목숨만 부지해 달아났다. 범인은 페드로. 그가 다시 이 곳에 나타났다. 타마고 남작은 로드 포그리프는 해적왕이 되는 길이며 빅맘을 위해 꼭 지켜야 하는 물건이라며 이번엔 절대로 같은 불상사를 되풀이하지 않으려 한다.
          * 듣고 있던 브룩은 지난번 페드로가 "루피가 해적왕이 되기 위해 로드 포그리프는 꼭 필요한 물건"이라고 했던 말에 감동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건 어려운 일이며 하물며 정면에서 부딪히면 더더욱 불가능한 일. 만약 지금 시기를 놓치면 두 번 다시 기회는 없다. 페드로는 들키면 그들은 죽음 목숨이라 말한다. 브룩은 다시 타마고 남작의 목표를 알겠냐고 하는데, 페드로는 자신이라고 말한다.
  • 토리코/380화 . . . . 14회 일치
          * 진화된 오는 GOD의 혀 공격을 쳐내고 팔왕을 백채널로 가두는 수준.
          * 토리코는 목을 뚫렸지만 죽지는 않는다. 오는 확인사살을 하려고 하는데, 토리코 안에 있는 흑귀의 존재를 느끼고 기겁한다.
          * GOD를 먹은 오에게 원왕 밤비나가 덤벼들지만 완전체가 된 오에게 오히려 먹힌다.
          * 완전체가 되어 오와 분리된 아카시아.
          * GOD가 오를 공격하지만 이전과 달리 가볍게 쳐낸다.
          * 아카시아는 진화된 오의 힘으로 한층 강력한 백채널을 생성한다.
          * 각성해서 아카시아와 분리된 오.
          * 하지만 오는 돈슬라임의 공격을 먹어치웠을 때처럼 전부 받아먹는다.
          * 오는 여유롭게 공격을 되받아치고 오히려 마왕의 상체를 날려버린다.
          * 오가 완전체가 되면서 아카시아와 분리되었는데, 토리코에 이어 두 번째로 구르메 세포의 악마를 체내로 완전히 분리시킨 사례
          * 완전체 오는 지금까지 보여준 부정형스런 모습을 완전히 탈피, 검은 거인의 모습이 되었다.
          * 오가 완전체가 된 이후에 밤비나의 공격을 먹을 수 있게 된 걸로 보아, 원래 공격 에너지 자체를 먹는건 어느 정도 수준이 차이가 나야 가능한 걸로 보인다.
  • 토리코/391화 . . . . 14회 일치
          * 아카시아는 스카이디어의 백채널과 데로우스의 이차원 레이저, 기스의 기스 서치와 페어, 사천왕들과 남은 팔왕들의 분노의 집중공격에 당한다.
          * 그러나 아카시아는 모든 공격을 먹어버리고 기스, 데로우스를 먹어버린다. 원왕 밤비나, 경왕 문도 먹히고 록왕 스카이디어는 기공파에 당해 리타이어.
          * 토리코는 오가 맛있게 익어감을 느끼며 희망을 놓치 않고 최후의 결판을 내자고 한다.
          * 낭왕 기스가 "기스 서치"로 아카시아의 혼을 뽑아낸 것. 잠시 동안이지만 아카시아의 움직임이 멈춘다.
          * 공격을 먹은 아카시아는 흉측한 모습으로 바뀌는데 오가 각성하기 전에 보였던 끔찍한 모습을 닮았다.
          * 아카시아는 놀라운 속도로 이동해 기스의 머리를 잡아먹는다.
         갑자기 토리코와 블루 니트로 페어를 제외한 일행 전원이 리타이어. 텟페이는 멀쩡해 보이긴 하지만 아무 도움도 될 거 같지 않다. 오 레이드 때 갑자기 모습을 감춘 용왕 데로우스와 낭왕 기스가 갑자기 등장했지만 별다른 설명도 없이 필살기 한 번씩 써주고 리타이어. 머리를 먹혀서 부활의 여지도 없다.
         이치류가 발견한 시체들과 식재의 산은 오가 먹어치웠던 것으로 보이는데 어디로 소멸된게 아니라 영혼세계에 봉인되어 버렸던 걸로 보인다. 플로제가 이곳에 있는 것은 의외라는 의견이 많은데, 원래 영혼세계에 플로제가 있었고 어나더를 조리할 때도 조력했으니 이상한 일은 아니다.
  • 페어리 테일/486화 . . . . 14회 일치
         [[페어리 테일]] 제 486화. ''' 번째 손님'''
          * 한편 아이린은 줄리엣, 하이에게 명해서 전선으로 향하게 한다.
          * 그녀가 대비하려는건 "세 번째 손님"
          * 첫 번째 손님은 천마와 호랑이(블루 페가수스와 세이버투스 연합군), 두 번째 손님은 요정(페어리 테일), 세 번째는 "성가신 손님"이라고 칭하는데.
          * 하지만 이보다도 더 성가신 " 번재 손님"이 온다고 하는데...
          * 아이린은 번째 손님을 맞이하기 전에 할 일이 있다며 또 한 번 대지의 성질을 바꾼다.
          * 번째 손님이란 아크놀로기아. 아이린은 하얀 천녀가 승리했던 땅에 검은 용이 나타나는 것을 검은 천녀의 원념 같다고 표현하면서 "그러나 마지막에 웃는 것은 바로 나 비색의 천녀"라고 말한다.
          * 그런 둘에게 "놈들에게 삶은 없다"며 본 모습을 드러내는 블러드맨.
          * 아이린이 언급한 천녀 이야기는 본편 스토리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13회 일치
         시작지점에서 폴란드와 역사적 라이벌이고, 리보니아 기사단과 역사적 친구관계이다. 이에 따라 폴란드는 거의 무조건 라이벌을 띄우고, 리보니아 기사단은 무조건 동맹을 해온다. 그런데 폴란드가 동군연합을 할경우에 튜튼이랑 리보니아 연합군이 뭔짓을 하든 이것들의 물량을 따라올 수가 없다(...)~~고증 제대로~~ 그러므로 폴-리투연합을 견제해줄 국가가 필요한데, 추천되는 국가는 헝가리,보헤미아,모스크바,오스트리아정도이다. 그리고 중요한건, 신롬 가입을 위해 오스트리아랑은 무조건 친해져서 신롬가입을 하자. 안그러면 북독일지방 확장이 봉인된다(....)
         플레이어의 국가의 주문화권이 이탈리아 지방 문화권에 속해있을경우, 필요 프로빈스를 다먹었을때 이탈리아를 형성할 수 있다.[* 단, 교황령은 불가능. 실제 역사에서 이탈리아 독립운동가들이 교황을 중심으로 한 이탈리아 독립을 추진한 적이 있었으나, 교황청은 세속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명분으로 거부하여 무산되고 사보이 왕국을 중심으로 독립을 추진한 것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을듯.] 추천되는 국가는 사보이, 밀라노, 피렌체, 베치아, 제노바, 나폴리 정도. 본래 나폴리나 교황령등의 비 신롬소속 이탈리아 국가들은 확장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1.12패치이후 그림자 왕국(shadow kingdom)이벤트로 1490년이 지나면 이탈리아지방 국가들은 신롬에서 탈퇴하니 조금 나아졌다.
         ==== 베치아 공화국 ====
         시작지점에서 덜란드를 형성하기 가장쉬운 국가기도 하다. 헬러랑 위트레흐트, 프리슬란드지방만 먹으면 된다.~~셋다 신롬 땅이라서 황제국이 오는건 넘어가자~~ 다만 이경우엔 프랑스에 속한 지방은 싹다 프랑스한테 넘어간다. 주의.
         프로빈스 3개[* 속국인 아테 프로빈스까지 합치면 4개] 짜리 제국(...)국가. 이게임에서 초반 최강국인 오스만의 바로 옆에 붙어있다는것과, 그 오스만한테 상대도 안된다는게 가장 문제인 국가다(...) ~~시기상 당연하긴 한데...~~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건 어떻게든 쓸만한 동맹을 얻는것. 우선 오스만을 라이벌 지정하고 헝가리가 오스만을 라이벌지정하길 빌자(...) 폴란드가 리투개발도 너프이후로 약화된 이후 비잔티움이 살기위해선 헝가리와 헝가리의 초반 장군인 ~~갓노슈~~ 야노슈 후냐디에게 모든걸 맡기는 수밖에 없다(...) 다만 헝가리만으론 아무래도 무리가 있으므로 그외에 발칸 소국들이 필요한데, 세르비아나 왈라키아를 끌어들이는걸 추천한다. [* 다만 왈라키아는 가끔 헝가리를 적국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뭔 깡인지는 불명(...)] 오스만과의 초반싸움에서는 어떻게든 그리스지방 코어를 얻어둬야 한다. 그외에 한개 땅정도는 추가로 얻어낼 수 있을텐데, 아나톨리아지방을 먹어서 이후 아나톨리아 탈환에 써먹든, 불가리아 코어가 있는곳을 먹어서 재정복 명분을 얻어내든, 어느쪽이든 크게 상관은 없다. 취향따라 뺏어라. 로마나 니코메디아, 알레포,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탈환 이벤트라던가 비잔티움 전용 이벤트가 상당히 많으므로 고생한 보람이 상당히 있는 국가. 참고로 로마제국 최대판도를 복원하면 로마제국 형성을 할 수 있는데, 이게 크킹 컨버터로 만드는 로마제국을 그냥 복사+붙여넣기 한거라(...) 정작 비잔티움관련 문화권은 전부 수용불가능 문화권이 되버린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그냥 비잔티움으로 하자. 애초에 비잔틴이 로마다.~~
         마더 러시아. 국가 전통에 맨파워 증가가 달려있고, 두번째 이념엔 육군 한계증가가 달려있으며, 자체 특성상 미친듯이 동진하며 개발하게 되있으므로 상당한 물량을 볼 수 있다. '''다만,''' 물량만 강력하지 국가 이념에 규율이나 군사기, 병종의 전투력 증가등은 전혀 없어서 질이나 공격적을 안찍으면 폴란드나 스웨덴한테 군대가 아이스크림 마냥 살살 녹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꼭 이념중에 질이나 공격적은 찍자.그나마 다행인건 리투아니아 개발도 너프가 상당히 뼈아파서, 헝가리정도만 끌여들여도 폴란드를 박살낼 수 있다는것.
         두번째로, 땅덩어리는 프랑스보다 살짝 작은수준으로 넓으면서 병력수는 카스티야보다 딸린다(...) 땅차이는 상당하지만 병력양은 헝가리랑 맞먹는 보헤미아나 오스트리아[* 황제국 버프를 제외하고. 버프까지 받으면 헝가리보다 더 쎄다.]를 보면 괜히 안습해진다...
         우선 시작지점에서 공위상태인데, 헝가리의 왕이 오스만과의 바르나전투에서 패배해서 그렇다.[* 같은 이유로 폴란드와 보헤미아도 공위상태다.] 오스트리아와 시작하자마자 동맹을 해두고 약간만 기다리면[* 앞에 오스트리아와 동맹해두고를 적었지만 꼭 오스트리아와 동맹안해둬도 일어난다. 어차피 역사적 친구보정덕에 냅둬도 동맹을 걸고] 000섭정의회로 갈지, 야노슈 후냐디를 섭정으로 세우는지[* 능력치 455]가 갈릴텐데 능력치도 후자가 더좋고 역사적이기까지 하므로 얌전히 야노슈를 섭정으로 올리자. 오스트리아와의 관계도가 깎이겠지만 역사적친구보너스 덕에 이거 가지고 동맹이 풀리거나 동맹을 못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그 이후 보헤미아와 튜튼기사단중 헝가리를 라이벌로 삼지않은 국가와 동맹하고 폴란드가 튜튼기사단을 치길 기대하자. 리투아니아 개발도 너프전엔 폴란드가 거의 프랑스급으로 쎘지만 너프이후론 야노슈가 이끄는 헝가리군정도에 기사단 둘정도면 해볼만해질정도다.[* 다만 한타한번 밀리면 끝장이긴하다(...)] [* 만약 튜튼이 헝가리를 라이벌로 삼았다면, 독립보장을 걸어두자. 방어전 한정으로 따라서 싸울수 있다.] 그리고 이걸 하기전에 가장 중요한건 일단 미리 외교탭으로 가서 폴란드가 들고 있는 지방중 일부를 관심지역으로 지정해두는것. 전쟁기여도가 높으면 관심지역중 일부를 주는(아니면 전부!) 경우가 있으므로 굉장히 유용하다. 이상태로 10년이 지나고 헝가리왕의 후계자가 없으면 [* 만약에 생겨버렸으면 1470년까지 어떻게든 후계자를 없애야 한다. 후계자가 좋을경우엔 그대로 합스부르크가로 유지하면 되지만.] 두가지 선택지가 생기는데, 첫번째는 야노슈의 아들인 마챠시 1세를 왕으로 세우는것이고, 두번째는 랜덤한 합스부르크국가에게 동군연합되는것이다.
         물론 두번째 선택지를 고를 사람은 없을것이므로(...) 얌전히 역사적인 선택지인 첫번째를 고르자. 마챠시 1세의 능력치로 455로 상당히 좋은편이므로 잘써먹을 수 있을것이다. [* 다만 오스트리아와의 역사적 친구보정이 사라지는게 조금 단점이긴 한데, 어차피 오스만과 폴리투를 제거하면 헝가리의 칼끝은 오스트리아쪽으로 가기때문에...] 만약 섭정이 끝나자마자 마챠시 1세를 선택했다면, 3년간의 섭정기간이 더추가된다. 알아두자. [* 섭정기간동안은 선전포고가 불가능해지기 때문.] 섭정이 끝나면, 모스크바랑 폴-리투랑 싸우는 때가 있을거다. 타이밍봐서 동맹들을 이끌고 폴란드를 치자. 폴란드를 패면서 동유럽의 패왕이 된 이후부터야 크게 문제없다. 베치아는 오스트리아를 끌어들이면 간단하게 처리가능하고, 오스만은 1600년대 중반부터 급격히 약해지기에 상대가 가능하다. [* 굳이 초반에 오스만땅을 먹고 싶다면 맘루크와 싸울때를 노리자. 맘루크가 육상에서야 박살나겠지만 해군은 오스만보다 우위이기에 보소포로스 해협이 막히게 되있는데, 이때 오스만 주력이 오기전에 콘스탄티노플과 에디르를 함락시키면 적절히 오스만의 발칸반도쪽 땅을 뜯어낼수 있다.]
  • 창작:무동군 . . . . 13회 일치
         NTX에서 제작되는 릴레이 소설 "담력시험(최초작성자: 함장)"[* 구NTX 시절, 나린위키를 통해 제작되었다가 잠정적으로 창작이 보류되었다. 향후 창작이 재기될 경우 이름이나 내용이 바뀔 수도 있다.]의 무대. '무역할 무(貿)' 자에 '오동나무 동(桐)' 자, 즉 해석하면 '''오동나무 사고파는 동'''란 뜻이다.
          '그림을 꾸미는 동'라는 뜻. 그래서인지 조선 후기 때부터 예술가들이 많이 살았고 그만큼 예술 작품들이 많이 제작 및 거래되었다.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대부분 이런저런 사건으로 사라졌지만, 남은 것들을 긁어모아 무동박물관을 경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옛날처럼 창작열을 불태우는 예술가들이 모여 사는 예술가촌이 있다.
          '모래를 쌓는 동'라는 뜻. 임진왜란 당시 모래를 자루에 넣어 군량미처럼 꾸며 왜군의 침략을 막아냈다는 전설을 따서 이름이 바뀌었다. 지역 안에는 감로호(甘露湖)라는 호수가 있다.
          가장 면적이 넓고 설악산에 가까운 지역으로, '은빛 대나무 동'라는 뜻이다. 가장 자연적이라서 그런지 인구가 거의 없다. 설악산에 오는 사람들이 쉬어가는 산장이나 음식점 등이 몇 군데 있을 뿐이다. 그 외에는 신라 말기에 세워진 걸로 추정되는 백선사(百禪寺)가 있다.
         >(전략) 강원도의 설악산 근방에 예로부터 오동나무를 팔았다는 무동군이라 하는 동가 있다. 사시 사철을 가리지 않고 안개가 자주 끼며, 여름이 되면 그 안개가 매우 짙어져 눈에 보이는 게 거의 없기 때문에 농담삼아 무동군(無動郡)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었다. 그렇게 안개가 자욱할 때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일들이 종종 벌어졌기에 사람들은 안개가 끼면 모두들 문을 닫아 걸고 돌아다니기를 삼갔다. 그러나 옅은 안개가 마을과 을 감싸는 모습이 어떤 면에선 도원경처럼 보였기 때문에 찾아오는 사람이 줄지를 않았다. 그리하여 마을 사람들이 수고치 않아도 저절로 재물이 모여드니 여러 모로 괴이하였다. 물론 사악한 자들도 안개를 틈타 마을 안으로 숨어들었기 때문에 요행과 불행이 함께 늘어났다. 동 사람들이 이를 두려워하여 덕망 있는 선비에게 부탁해 상소를 올리자 조정에서 사람을 보내 단속하였으나, 안개가 너무 심하기 때문에 실패하기가 일쑤였다.
         시골이라고 하기엔 큰 편이다. 인구는 10만여 명으로, 강원도에서는 가까운 시일 내에 시로 승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는 동'''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개가 자주 끼는 마을이다 보니 '도원경'과 '귀신들린 동'라는 극심하게 대비되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안개 때문에 무동군 안팎으로 종종 사고가 발생하는 것도 한몫했다. 무동군이 쇠락하면서 결국 평가는 나쁜 쪽으로 기울었지만, 그럼에도 무엇에 이끌리듯 사람들이 계속 찾아왔다. 그리고 그들이 올 때마다 이런저런 사건사고나 괴담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하지만 명확히 밝혀진 건 하나도 없었다. 그리고 이 '미스테리'가 입에 오르내리면서 기묘하게도 더욱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였다.
         {{{#green (선택지 소설로 쓸 만한 소재거리나 떡밥성 이야기 등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에 반전이 있거나 실제 사례에 근거했다든가 하는 식으로 내용이 길어질 경우, 별개의 항목으로 분류하셔도 됩니다. 역시 가나다 순으로 기재해 주세요.)}}}
          * 오병장 월북 추정 괴담 - 무동군 인근 군부대에서 근무하던 오정복 병장이 [[총기난사 사고]]를 벌이고 [[월북]]을 한 사건에 얽힌 이야기. '월북 괴담'이 아니라 '월북 추정 괴담'인 이유는 오병장이 실제로 북한에 도착했는지 여부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색대의 수색 결과 휴전선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도중에 흔적이 끊어졌으며, 북에서도 그런 인물은 월북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있다. 당시 부대원들 역시 오병장은 제대를 몇달 앞둔 [[말년병장]]으로서, 군생활도 특별히 문제없이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같은 사고를 벌인 이유를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다만 정확한 이유는 안개 때문에 길을 잃거나 실족하기 쉽기 때문에, 그저 '안전을 위해서 가만히 있으라'는 의미가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설이라기보단 하나의 캠페인처럼 받아들여져왔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외지인들이 위급한 상황에 빠졌을 경우 등을 대비해 마을 사람들이 가이드 역할을 하고 있고, 통신기기가 발달하면서 어느새 옛날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그렇기에 이 전설을 믿고 그대로 따르는 사람들은 얼마 없고 마을 사람들도 크게 귀담아듣지 않는다. 무엇보다 이 안개 전설의 출처가 찌라시에 가까운 동 잡지였기 때문에 더욱 무시당했다.
  • 타이라노 마사카도 . . . . 13회 일치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할아버지 타이라노 타카모치(平高望)는 간무 덴노(桓武天皇)의 손자로서, [[신적강하]]하여 카즈사 국(上総国)[* 지금의 치바현 중부]을 다스리는 쿠니시(国司)였다. 그는 카즈사 국에서 임기를 마친 뒤에도 교토에 귀환하지 않고, 아들들과 토착하여 히타치(常陸), 카즈사(上総), 시모우사(下総)에서 개간을 거듭하여 방대한 장원을 가지게 되었다. 이 방대한 장원은 자식들에게 상속되었는데, 장남 쿠니카(国香)는 히타치(常陸), 차남 요시카(良兼)는 카즈사(上総), 삼남 요시마사(良将)는 시모우사(下総)의 영지를 나눠받게 된다.
         마사카도는 삼남 요시마사의 아들로서, 소년 시절에는 교토에서 후지와라노 타다히라(藤原忠平, [[후지와라 요시후사]]의 손자)를 가신으로 모셨다. 그러다가 요시마사가 사망하자 시모우사로 귀환하였는데, 귀향한 마사카도는 쿠니카와 요시카가 요시마사가 남긴 장원을 마음대로 분배해서 나눠가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쿠니카의 동생 타이라노 요시마사(平良正)는 마사카도를 토벌하려 했으나 마사카도에게 격파당하여 패배, 타카모치의 차남 타이라노 요시카가 마사카도를 공격했으나 역시 마사카도에게 패배한다. 요시카 토벌은 조정에서 허가를 얻었으며, 934년에 요시카는 결국 병사하고 만다.
         이 무렵 [[세이와 겐지]]의 시조 미나모토노 츠모토가 무사시국에 부임한다. 무사시국(武蔵)을 다스리는 지방관 쿠니시로 부임하게 된 츠모토는 무사시 국에 도착하자마자 조속히 토착 호족들에게 검주(検注)[* 이 무렵 쿠니시가 호족들에게 받는 '''[[뇌물]]''']를 실시하려 했다. 하지만 호족 무사시노 타케시바(武蔵武芝)가 정식 임관도 하기 전에 검주를 하는 것은 전례가 없다고 반발하였는데, 격노한 츠모토는 타케시바를 공격하여 약탈을 실시한다. 도주한 타케시바는 이 무렵 무용을 떨치던 [[타이라노 마사카도]]에게 '중재'를 의뢰하고, 겁을 먹은 츠모토는 산으로 도주하여 틀어박혔다가 동행하였던 흥세왕(興世王)을 하산시켜 협상을 시작했는데 협상이 진행되던 도중에 타케시바의 군대가 츠모토의 거주지를 포위하자 마사카도에게 살해당할까봐 두려워진 츠모토는 그대로 교토로 도주하고, 흥세왕, 마사카도, 타케시바 등이 결탁하여 모반을 일으켰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마사카도는 주변의 히타치(常陸), 카즈사(上総), 시모우사(下総), 무사시(武蔵), 우에노(上野)의 국부(国府)[* 헤이안 시대 지방 행정구역으로서 '국'의 행정기구.]에서 연명으로 모반의 사실이 없다는 증명서를 작성하여 이미 인연이 있던 후지와라노 타다히라에게 보냈다. 이 탓에 오히려 츠모토가 무고죄로 투옥당하고 만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토리코/373화 . . . . 13회 일치
          * 2대륙 오의 기지에서는 텟페이가 나카우메가 세뇌가 풀린 제우스와 움직이고 있다.
          * 그것은 우주에 떠도는 매우 희소한 물질로 절대로 부패하지 않아 "골든 메테리얼"로도 불린다. 사실 오의 기지는 원래 우주선인데 이 우주선도 골든 메테리얼 제질.
          * 한편 오와 싸우고 있는 토리코는 무릎을 꿇고 만다.
          * 오는 "겨우 1초가 지났을 뿐이다"라고 빈정거리며 풀코스의 고기 요리 "뉴스"를 먹긴 한 것 같지만 백채널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 같다며 설명을 시작한다.--설명충 오--
          * 하지만 거기에도 세포의 능력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오는 바깥시간으로 단 1초가 그 안에서는 한 달에 달하는 백채널을 만들 수 있다.
          * 이런 시간의 압축에 따라올 능력이 없는 토리코는 그저 앉아서 오에게 잡아먹힐 뿐이며 "처음부터 넌 나에게 당할 운명"이었다고 비웃는다.
          * 그리고 한달 동안 자신도 성장했다며 갑자기 오를 물어 뜯는다.
          * 그의 행동을 감지한 적귀는 그만두라고 말리고 청귀는 오를 먹고 있다며 웃는다.
          * 그대로 오를 뜯어먹은 토리코는 "왜 상대도 안 되는 자신이 덤벼드는지 아냐며" 그것은 바로 "널 먹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 그는 오에게서 터져나오는 새로운 맛이 느껴진다며
          * 하지만 토리코는 코마츠와 함께 얻은 식재를 풀코스에 넣을 거라고 한 적이 있는데, 오는 어떻게 봐도 그렇지가 않다.--한 입으로 두 말하는 남자 토리코--
  • 토리코/377화 . . . . 13회 일치
          * 아카시아(오)는 GOD를 우선 취하려 하나 원왕 밤비나가 가로막는다.
          * 오는 밤비나를 눈알이 튀어 나올 정도로 후려갈기지만 밤비나는 껍질을 벗어버리고 훨씬 강한 힘으로 오를 날려버린다.
          * 오가 날아간 곳에느 경왕 문이 모든 것을 삼킬 기세로 바닷물을 빨아들이고 있다.
          * 블루 니트로 아톰은 탈출하라고 하지만 그 말에 자극받은 오는 전력을 다한 공격으로 문을 일시적으로 멈춘다.
          * 오의 신체가 급속도로 말라비틀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미 주변은 록왕 스카이디어가 친 백채널 안이다.
          * 바깥에 비하면 거의 1000년은 더 빠르게 시간이 흘러간다. 아무리 오의 신체라도 수천 수만년을 아무 것도 섭취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
          * 그때 오의 신체 조차 녹이는 독이 뿌려진다.
          * 아톰은 페어를 제지하며 오는 어차피 몇 분 안에 돌아올 거라며, 그 사이에 이놈들을 철저히 분쇄하다고 한다.
          * 밤비나가 눈알이 튀어나오도록 때려서 오의 주가가 다시 올라갈 뻔 했지만 한 페이지 만에 껍질을 벗은 밤비나에게 털려서 도로 제자리.
          * 게다가 오가 가는 곳마다 팔왕이 튀어나와서 인실좆의 쓴맛을 보여주고 있다.
          * 회수할 수 없을 줄 알았던 "성체 데빌구렁이" 떡밥 회수. 포획레벨은 5100. 랑왕 기스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배틀울프 평균치에 필적할 법한 수치다.
          * 이름값은 하는지 데빌구렁이의 독은 오의 몸에도 통한다.
  • USS 피닉스 (CL-46) . . . . 12회 일치
         USS Phoenix. [[제2차 세계 대전]]과 [[포클랜드 전쟁]]에서 활동했던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미해군 함정으로 활동하였으며 전후 [[아르헨티나]]에 넘겨져 ARA 헤랄 벨그라노(ARA General Belgrano)라는 이름으로 취역하였다. 1982년 5월 2일, 영국 원자력 잠수함 [[HMS 컨쿼러]]의 뇌격으로 격침. 323명의 사망자를 내며 가라앉았다.
         이렇게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피닉스는 미국 본토와 하와이 간의 수송 함대를 호위하는 임무나 호주 해역을 항해하는 병력수송선을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 1942년 2월에는 당시 덜란드 영토였던 [[자바]] 섬에 항공기를 수송하는 선박들[* USS 랭글리(USS Langley)와 MS 씨위치(MS Seawitch).]을 호위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인도양 초계, [[봄베이]]로 가는 수송선단 호위, 자바 섬에서 패배한 연합군 병력 구조 등의 임무에 참가하였다.
         === ARA 17 데 옥투브레, ARA 헤랄 벨그라노 ===
         1951년 4월 9일, 피닉스는 아르헨티나에 넘겨진다. 같은해 10월 17일. 아르헨티나는 피닉스를 ARA 17 데 옥투브레(ARA 17 de Octubre, 10월 17일)이라는 이름으로 취역시킨다.--이밍 센스 보소-- 하지만 1956년에 재명명, ARA 헤랄 벨그라노(ARA General Belgrano)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이름의 어원은 아르헨티나의 독립운동가였던 [[마누엘 벨그라노]](Manuel Belgrano)였다.
         당시 아르헨티나 해군이 소유한 군함 중 두번째로 컸던 헤랄 벨그라노는 영국 해군에 크나큰 위협이 되었다. 이에 당시 영국 총리였던 [[마가렛 대처]]에 의해 격침 명령이 내려진다.
         || 가라앉는 헤랄 벨그라노 ||
         1982년 5월 2일, 영국 해군 원자력 잠수함 HMS 컨쿼러가 헤랄 벨그라노에게 [[어뢰]]를 발사, 명중시킨다. 영국 국방부는 이에 대해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고 발표하였다. 벨그라노는 심각한 피해를 입는 수준을 넘어서 가라앉았고, 이로인해 1,042명 중 323명의 승무원이 사망한다.
         2012년 5월 2일, 아르헨티나 정부는 헤랄 벨그라노 침몰 30주년 행사를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개최했다.
         영국의 ~~찌라시~~황색 언론 [[더 선]]은 헤랄 벨그라노의 피격 사실을 전할때 1면 헤드라인에 "'''잡았다!''': 우리 친구들이 포함을 격침시키고 순양함을 구멍냄"[* GOTCHA!: Our lads sink gunboat and hole cruiser]라고 쓰는 패기를 보였다. 이외에도 더 선은 포클랜드 전쟁 동안 "'''뒈져라 군사정부놈들'''"[* STICK IT UP YOUR JUNTA] 등의 부적절한 헤드라인을 내걸기도 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5040032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5-04&officeId=00032&pageNo=1&printNo=11260&publishType=00020|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 피격 아르헨순양함 침몰 승무원 오백여명 사망(한국어)]
  • 원피스/818화 . . . . 12회 일치
         로드 포그리프는 최종 목적지 라프텔로 가는 길을 지시하는 것이었다.
         * 니코 로빈이 포그리프의 해석을 마치자 코마무시는 이 '''붉은 포그리프는 "로드 포그리프"이며 "라프텔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거'''라고 밝힌다.
         * '''로드 포그리프는 총 개'''가 있으며 '''사황 백수의 카이도와 빅맘 샬롯 링링이 각각 하나씩 가지고 있다.'''
         * 각 로드 포그리프에 적혀진 것은 라프텔의 위치는 아니고 어떤 '''"지점"'''. 지점을 모두 찾아내면 그 교차점에 '''진짜 라프텔의 위치'''가 나오는 것이다.
         * 코마무시는 '''"굳이 빼앗지 말고 탁본을 떠서 가져와라"'''고 권해주는데 몽키 D. 루피는 시큰둥해 한다.
         * 코즈키 일족은 원래 "석공" 일족이다. 800년 전 포그리프를 만든 일족도 바로 코즈키 일족
          * 코마무시는 탁본을 쓰면 된다고 했지만, 사실 그렇게 편하게 풀리지 않을게 뻔한 일이다.
  • 일곱개의 대죄/187화 . . . . 12회 일치
          * 덴젤이 목숨을 걸고 소환한 여신족 "신병장" 로바스타. 그러나 그녀는 십계와 싸우길 거부하더니 급기야 도주한다.
          * 리오스 방위전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가고 길선더 등은 국왕 바트라를 피신시키려 하나 그때 드레퓌스(프라우드린)이 나타난다.
          * 어쨌든 덴젤에게 빙의한 것은 여신족 "신병장" 로바스타.
          * 로바스타는 무슨 일로 자신을 부활시켰냐고 묻는데, 주위를 어슬렁거리는 마신족을 보고 과거 싸움의 잔당인줄로만 안다.
          * 데스피어스는 부디 이들을 물리쳐달라고 말하는데, 로바스타는 잔뜩 구겨진 표정으로 자기더러 십계와 싸우라는 거냐고 따진다.
          * 로바스타는 칼로 데리엘의 목을 치지만 상처는 커녕 칼만 부러진다.
          * 단박에 로바스타를 썰어버리는 데리엘. 상체가 그대로 지워져 버린다.
          * 로바스타를 죽이고 흥분이 조금 누그러지자 몬스피드가 그녀를 위로한다. 그리고 "신병장"급이라 망정이지 "사대천사"급이었다면 사정이 달랐을 거라고 주의를 준다.
          * 그녀의 짧아진 머리를 매만지며 나중에 정리해준다는 몬스피드. 이것으로 리오스는 함락된 것이나 다름 없다.
          * 국왕 바트라는 안색이 좋지 않다. 덴젤의 죽음과 로바스타의 패배를 직감한 듯하다.
          * 거창한 등장 과정에 비해서 제대로 싸우기는 커녕 도망이나 치는 등 한심한 모습만 보여주다 끔살 당했다. 특히 데리엘에게 상대가 안 될 것 같자 구대전을 운운하며 횡설수설하는 모습은 최악. 본체가 아니라 덴젤의 몸에 임한 것이지 로바스타 자체가 죽은 건 아니겠지만, 덴젤은 고작 이따위 여신을 부르자고 개죽음을 당했다.
          * 여신족이 흑막이고 최종보스라는 설이 강하게 대두되는데 로바스타가 졸렬한 짓만 한데다 전반적인 묘사가 썩 좋지 않다. 사실 이전에도 멜리오다스를 죽이겠다고 반에게 엘레인의 목숨을 담보로 암살을 사주하거나 구대전에서 마신족의 통수를 치고 나머지 세 종족을 규합, 마신족을 봉인해 버리는 등 비겁해 보이는 일을 마구 해댔던게 이미지가 좋지 않다.
  • 창작:티겔 왕국 . . . . 12회 일치
         상위항목:[[창작:세대륙 이야기]]
         과거, 현재 티겔의 강역은 거의 다 이었으며, 거기에 스스로를 '사냥꾼'이라 부르는[* 현재도 존재하며 티겔의 영토의 25%를 차지하는 미개척지에 알박으면서 살고 있다. 보통 티겔에서 용병으로 일하고 있다.] 자들이 존재했다. 이들은 수많은 분파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그들 분파중 가장 세가 컸던 무리의 족장의 장남이었던 '달구'란 자가 자기를 따르는 자들을 이끌고 [* 그과정에서 자기를 막으려던 자기 무리들을 싹다 죽이고 떠났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전부 죽이지는 못했다.]북쪽으로 올라가서[* 가는 와중에 지금의 메말사막 일대에 존재했던 늑대족 마을들을 전부다 약탈해버리고 거기를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렸다. 메말사막의 생성원인중 하나. 그것때문에 메말사막에 사는 늑대족 마적들은 호랑이족을 증오한다.] 중북부에 적당한 위치에 티겔이라는 도시를 세우고 거기서 자기가 왕노릇을 한게 시초.[* 이때부터 라이엘기스 대공국이 중북부를 통합하기전까지 유지됬던 때를 상티겔왕국이라 한다.]그렇지만 그의 통치는 오래되지 못했는데 10여년뒤, 그의 막내여동생인 '달순'이 그를 죽이고 자기가 직접 왕위에 올랐기 떄문. [* 이게 또 대단한게, 잠깐 행차를 나간사이 달순이 달구의 경호원 10여명을 혼자서 죽인뒤(....)살해했다. ~~리얼 소드마스터~~] 달순의 통치하에 상티겔왕국은 본격적으로 발전하는데, 그전까진 그냥 일개도시국가수준이던 상티겔왕국을 전제군주국가로 바꿔버렸다는 평을 받을정도이다. 그의 치세하에 상당한 량의 농지를 얻어내 이후 티겔이 본격적으로 중북부의 패자가 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었다. 달순여왕은 한편으론 음유시인들의 이야기로도 자주나오는데, 그녀의 모험을 모티브로 한 이야기만 십몇편은 될정도.
         상티겔 왕국은 달순이 죽고난뒤 한번의 혼란기를 거치는데, 이이유는 그녀의 강력한 전제통치가 사실 그녀의 카리스마가 없으면 불가능할 정도였기때문이다. 을 개간하고 에 살던 거인들이나 토착 하이에나족든을 격퇴하면서 형성된 군사귀족들을 자신의 절대적인 카리스마로 누르고 있던 상황이었으니 그녀가 죽고난뒤엔 당연히 그것이 붕괴될 수밖에 없었고, 그결과 그녀가 죽고 그녀의 세손자들인 달건, 달휴, 달준이[* 달순에게 외동아들이 한명있었긴 했지만 장성후 개척을 손수진행하다 거인들과의 전투에서 전사했고 그의 세쌍둥이들만이 계승자였다.] 각자 자기가 왕위를 물려받아야 된다면서 자기편을 선 귀족들을 이끌고 내전을 벌인것. 이를 티겔 왕위계승전쟁이라 부르는데, 달순때 상당수 올려놨던 인구수를 이때 확줄어버려서 이후 50년간은 내정에 힘써아했을정도로 참혹한 전쟁이었다. 아무래도 첫째인 달건이 여러가지면에서 유리했기에[* 단순 정통성뿐만 아니라 개인무력도 가장 강력했으며, 침입한 레잉 왕국(레이먼 제국의 전신인 라이엘기스 대공국의 전신)의 개척자들 50여명을 자기 부하 5명과 함께 격퇴한적도 있는 실력있는 전사이자 전략가였다.] 세가 가장 약했던 막내달준을 항복시키고 둘째 달휴를 공격하러 갔는데, 이때 달휴가 최악의 선택을 해버린것.'''바로 외부세력을 끌어들인것이었다'''. 달휴는 레잉왕국의 왕의 손녀와 결혼하고 그들의 세를 끌어들였으며, 이것때문에 전선이 밀려나 패배직전에 몰린 달건은 하이엔 왕국을 끌어들이게 되었다. 순식간에 대륙 중북부의 패자들이 모조리 몰린 개싸움에서 승리한건 첫째였지만, 그결과로 티겔의 거의 모든 도시는 폐허가 되버렸고, 지쳐버린 달건은 모든 통치를 그의 막내동생[* 그가 죽고난뒤엔 달건의 맏아들]에게 맏기고 궁정안에만 틀어박혀있었다. 그가 그나마 유일하다시피 추진한게 있는게 작위상속법을 장자상속제로 만든것(...)~~어지간히 한이 실렸나보다~~ 내전의 결과가 참혹했던 만큼 당사자들의 최후도 비참했는데, 첫째 달건은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내전이 종결되자마자 작위상속법을 바꾸고 히키코모리화, 둘째 달규는 황폐화된 국토에 충격받아 자살. 셋째 달준은 그나마 항복뒤에 정신차리고 형편에서 싸웠으며 전쟁후엔 형대신 나라를 이끌었지만 결국 과로사했다.
         달제의 사망이후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그의 차남 달휴가 즉위했다.[* 달제의 즉위시기는 조금 불분명하다. 확실한건 적어도 남부쪽에 개척사업을 시작할때까진 섭정을 맡고 있었단것과 북티겔회전에선 이미 즉위한 상태였단것 정도.] 달휴시기때 상티겔왕국은 최전성기를 맞는데, 레잉 왕국에 연속으로 어린 왕이 즉위하고, 대귀족 몇명이 그 사이 영지를 두고 다투는 일이 잦아 상태가 메롱할때였던게 매우 컸다. 그틈을 타 3차에 걸쳐 침공을 벌였고, 결국 3번째공격에서 수도 레잉을 함락시키고 레잉을 멸망시키는데에 성공했다. 한편으론, 남쪽의 개척사업도 순조롭게 진행되어 갔고, 그에 따라 남쪽의 영토와 본토를 연결하는 교통도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달휴는 넓은 영토를 연결하는 사업에 주력했으며, 그에 따라 전 국토를 있는 교통로인 '휴의 길'을 만들었다. 한편으론 메말사막근처에서 무역을 하는 상인들 일부가 몇몇 오아시스를 중점으로 정착해 마을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들또한 이때 복속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마을중 가장 커진 도시인 타이그만을 중점으로 마을들이 뭉친게 현재의 [[창작:상인연합|상인연합]]이다.]
         달유의 급사이후 왕위에 오른 그의 아들 달윤은 아직 어려 섭정자리를 두고 다툼이 생기게 되었는데, [* 평범한 경우라면 그의 어머니가 섭정직을 맞는게 정상이었으나, 남편이 죽기전에 먼저 병사 했다.] 우선 그의 새어머니였던 '에른 베트'를 중심으로 한 '북서부파'[* 레잉을 중심으로 모인 파벌로, 사자족이 많이 모여있는 지방을 지배하고 있었서 상당수가 이미 사자족의 문화를 받아들인 상황이었다. 사자족들과의 혼혈(후대의 라이거 일족)도 상당수 있음.]와 달제의 증손자이자 등퍼산맥 서쪽을 대부분 지배하고 있었으며 달유의 정변을 물심양면으로 도왔던 여쿨 공작 '달규'를 중심으로 한 '동부파'[* 단, 중심이 동부쪽 귀족들이란거지, 꼭 동부만 있던건 아니다. 실제로 라이엘기스와의 접경지대에 있었던 상당수의 귀족들은 라이엘기스를 싫어하는 만큼 사자족 역시 싫어했고, 그에따라 사자족을 학살하면서 거기에 호랑이족을 이주시키는짓도 서슴치 않은경우가 많다. 이러한 귀족들은 전부 동부파에 가담했다.]로 나뉘어 상당히 피튀기는 궁중 암투를 벌였다.[* 단적으로, 에른을 노린 암살사주만 해도 10여회정도 있었으며, 동부파쪽은 여쿨의 달규가 중간에 (아마도 에른이 사주한)암살자에게 암살당해 그의 아들이 우두머리를 맡기도 했다.] 이러한 궁중암투는 최종적으로 티겔의 사학자들이 '대내전'이라 부르는 내전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서 최종적으로 에른의 남동생 '용담공' 에른 보우드가 동부파의 본거지였던 여쿨을 함락시키면서 끝난다. 이 내전은 지금까지의 티겔에서 벌어진 내전중 가장 참혹한 전쟁으로 기록되며, 왕국의 인구중 절반이 이때 희생되었다. 이때 라이엘기스 대공국이 동부파에 가담했던 북부의 호랑이족 귀족들을 다수 굴복시키면서 다시한번 세를 키울 수 있었다. 그나마 이 내전의 의의가 있다면 북서부파가 권력을 잡으면서 티겔에도 레잉의 문화가 퍼졌다는것 정도? 이후 상티겔 왕국은 예전에 위세를 잃어버렸고, 하이엔 왕국과[* 그전까지 동맹관계였다만, '야심왕' 헤인켈이 동맹을 깨고 공격해 북동부쪽 땅을 상당수 빼앗아간 이후엔 적대관계로 돌아섰다.] 라이엘기스 대공국사이에 끼여 수많은 땅을 빼앗기는(...) 동북이 되었다.
         그리고 다르트 왕조는 계속해서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이어진 티겔 왕국을 라이엘기스 대공국의 후신인 레이먼 제국이 가만히 내버려둘리 없었고, 결국 첫번째 왕이었던 크테이가 전선지휘중 눈먼화살에 맞아 죽고만다. 크테이가 죽고난뒤, 티겔의 왕은 계형의 아들인 계로가 맡게 되지만, 왕국은 섭정 계형을 중심으로 한 남부파와 북쪽에서 내려온 상티겔 귀족들출신으로 이뤄진 북부파로 나눠지게 된다.
         이에 계로는 태겡이 티겔을 정복하면 단순히 을 개간해 정착지를 늘리는 수준이 아닌, 을 통채로 태워 농경지로 개간할것이라고 사냥꾼들에게 겁을 주어 끌어들였고, 결국 흑군과 사냥꾼들을 적재적소에 이용해 태겡군을 굴복시키는데 성공한다. 이후 계로는 레이먼제국과 태겡에 대항하기 위해 긴 장벽을 세우는데, 이를 '계 장벽'이라 한다. 계 장벽을 세워둔뒤, 계로는 적극적인 확장에 나서는데, 탈환지 북부에 대한 공세로 계형시기에 탈환했다가 빼앗긴 땅을 전부 되찾았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북부 원정을 감행해 한때는 태겡을 멸망직전에 몰아넣기도 했다. 라이엘기스대공이 직접 군대를 몰고 회전에서 그를 패배시키면서 그것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동부 대륙 남부에선 [거인족(창작: 세대륙 이야기)|거인족], 혹은 '야만인'이라고 흔히 부르는 종족들이살고 있었다.[* 사실 남부말고도 중동부 산맥, 북부산맥쪽에도 살고 있다.] 이들은 본래 대부분 남부쪽에서 수렵과 약간의 농경생활을 하며 조용히 지내고 있었으나, 같이 남부에 살고있던 '거수인'이란 종족들중 일부가 '불꽃의 여자'부족을 중심으로 뭉치게 되자 그들에게 밀려나 북쪽으로 올라오기 시작했던것이다.
  • 토리코/390화 . . . . 12회 일치
          * 토리코는 오로지 분노만이 오에게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하는데, 바로 그 점이 아카시아가 "노리고 있는 점"이라고 말하는데.
          * 오가 모습을 드러내기 훨씬 전으로 보이는데, 페어는 당시 아카시아의 "세포" 안에서 "동포들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하는데.
          * 미도라는 혀를 우주까지 뚫고 나갈 정도로 늘이는데 그 길이가 사왕 마더 스이크를 연상시킨다.
          * 아카시아는 승리를 확신했는지 느긋하게 이야기를 시작한다.
          * 이 거대한 우주의 먹이사슬도 결국은 그렇게 정리되고 그 정점에 있는 것이 오.
          * 그리고 그 꼬리를 뜯어먹으면서 "먹히는 건 쪽이다 아카시아."라고 선언한다.
          * 그 힌트는 미도라가 준 것인데, 방금 먹은 오의 고기에서 "강한 스트레스"를 감지한 것이다.
          * 미도라의 공포나 절망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분노로 가득한 공격만은 오가 질색해서 강한 스트레스를 받은 것이다.
          * 마치 불완전한 상태의 오를 연상시키는 덩어리. 거대할 뿐만 아니라 내부가 미궁과 같은 구조다.
         오랜만에 이치류의 재등장. 돈슬라임과 함께 봤던 거대한 덩어리를 조사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오가 먹어치운 것들이 뭉쳐 있는 것 같다. 블루 니트로의 시체가 잔뜩 있는걸 보면 이게 페어가 들었다는 "동포들의 목소리"의 정체일 듯.
         지금까지 오에게 먹혔던 식혼들이 모두 모여있는 거라면 오를 처치하는 것으로 이들을 해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 하이큐/225화 . . . . 12회 일치
          * 히나타 쇼요는 합숙에서 코가가와 칸지와 맞췄을 땐 저정도로 때렸다고 발언한다.
          * 원래 츠키시마는 스마트한 플레이를 지향하지만 코가가와는 살짝 빗나가게 올리는 경우가 많았고 결국 어쩔 수 없이 맞춰주게 된 건데 그게 높은 타점이 되었다.
          * 반대로 아즈마 아사히는 "나한테는 차라리 말해달라"는데,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공이 줄었다는걸 알면 충격을 받는 섬세한 타입이기 때문.
          * 다시 시합 중. 카게야마가 세트를 올리는데 살짝 트에 가깝게 올려버렸다.
          * 아즈마는 그것도 잘 받아서 힘껏 때리지만 다테의 블록에 막혀 실점한다.
          * 아즈마가 사과하자 타나카와 카게야마가 입을 모아서 "선배가 사과할 일이 아니다"라고 화내듯 말한다.
          * 그리고 왠지 아즈마도 "뭐 하나 실수할 때마다 세상 멸망한 듯한 표정 짓지마라"는 디스를 듣는다.
          * 기세대로 묵직하게 들어온 서브. 타나카가 받아서 아즈마가 히나타에게 올린다.
          * 공격이 성공한 후쿠타치는 아오 타카노부와 갑빠를 부딪히다 그 튼튼함 때문에 데미지를 입는다.
          * 게다가 아오의 강렬한 스파이크도 건재.
          * 그러나 이를 눈치챈 아오가 블록 위치를 급하게 변경, 사와무라의 스파이크를 차단한다.
          * 그런데 아오가 블록하다 후쿠타치에게 또 부딪혀서 데미지를 입힌다.
  • 하이큐/229화 . . . . 12회 일치
          * 사와무라는 꿈때문인지 긴장 때문인지 괜히 찜찜한 기분인데 아즈마 아사히와 스가와라 코시도 비슷한 상태다.
          * 사와무라는 부리나케 체육관으로 달린다. 가면서 휴대폰으로 스가와라 코시나 아즈마 아사히에게 연락하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연락처가 사라져 있다. 체육관에 도착해 보니 체육관은 농구부가 쓰고 있는데 어째서 농구를 하고 있냐고 하니까 "여기는 이제 농구부 것"이란 대답이 돌아온다. 괴이함을 느낀 사와무라가 다른 배구부 부원들은 어디로 갔냐고 물었더니 "배구부는 너 한 명이잖아"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 카라스노 3학년들은 함께 신사참배를 하기로 했다. 사와무라는 예정보다 30분이나 일찍 나와버리는데 때마침 아즈마 아사히와 스가와라 코시도 그 시간에 도착한다. 그로부터 20분 후. 시미즈 키요코가 도착하는데 분명 약속시간보다 일직 나온 거지만 다른 사람들이 더 빨리 나와 있어 혹시 자기가 시간을 잘못 알았냐고 묻는다.
          * 3학년들은 새해인사를 나누고 스가가 "다같이 첫참배 온 건 처음"이라면서 "진정한 첫참배"라고 말장난을 친다. 하지만 긴장 때문인지 농담을 받아주는 사람도 없고 특히 아즈마는 숨쉬는게 고작일 정도로 얼어붙은 상태다. 시미즈는 봄고 대회가 코앞으로 닥쳤으니 그럴만도 하다고 생각한다.
          * 3학년들은 참배를 마치고 사와무라와 스가는 운수제비를 뽑으러 간다. 아즈마는 "꽝이 나올거 같아서 망설여진다"며 미적거린다.
          * 시미즈는 부적을 사다달라고 부탁 받아서 잠시 일행과 떨어진다. 돌아오던 중 그녀를 노리는 헌팅족이 접근하는데 하필이면 아즈마와 사와무라가 그녀와 합류해서 헌팅족은 말도 붙여보지 못하고 도망친다.
          * 아즈마의 표정이 아주 심각한데 뽑기 결과가 무려 흉. 스가는 아예 대흉이면 "뽑기 어려운 거니 오히려 운이 좋다"고 해줄 수 있는게 그렇게도 못하게 미묘하다고 웃어댄다. 시미즈도 "아침운세 11위 같은 것"이라고 일침을 날린다.[* 일본의 아침운세는 1위부터 12위까지 있다.] 한편 스가와 사와무라는 미길이 나왔는데 아즈마는 그게 더 미묘하다고 길길이 날뛴다. 웃고 떠드는 사이 긴장도 조금 덜어진것 같다.
          * 신사를 나서면서, "원래 신사참배할 때는 소원이 아니라 감사를 하는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아즈마는 자기는 그걸 몰라서 시합 결과에 옆집 개의 건강가지 빌어버렸다고 "신령님이 뻔뻔하다고 생각하겠다"고 한탄한다. 이런 실없는 얘기나 하던 중에 시미즈가 "신령님한테 빈다고 시합에서 이기는게 아니다"는 독설을 날린다. 일순 굳어버린 남자들. 스가는 왜 하필 이 타이밍에 그런 이야기를 하냐고 묻는다.
          * 다시 집으로 향하는 사와무라. 그런데 우연찮게 토코나미 고교 3학년 이케지리 하야토와 마주친다. 오랜만에 만난 그들은 공원에서 잠시 이야기를 나눈다. 사와무라는 다른 팀이라 그런지 팀원들에게 털어놓지 못했던 긴장감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이야기한다. 이케지리는 "시라토리자와를 무찌르고 봄고에 가는거 자체가 대단하다"며 부담갖지 말고 편하게 다녀오라고 말하는 듯 했지만
  • 토리코/371화 . . . . 11회 일치
         드디어 아카시아(오)와 대면한 토리코와 사천왕
          * 토리코는 아카시아에게 "가 지로를 죽였나"라고 묻는다.
          * 지로가 싸우면서 생긴 거대한 진동이 갑자기 사라졌고 오가 나타난 이후 갑자기 지로의 냄새가 사라졌기 때문.
          * 아카시아는 이에 자신의 과거를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 그리고 남은 것은 공허. 바로 그때 내면의 괴물(오)이 말을 걸었다.
          * 훗날 풀코스를 모으고 빈사가 된 플로제를 데리고 돌아왔을 때 이치류를 따로 이야기한다.
          * "아니 어쩌면 GOD는..."이라고 말을 잇는데 갑자기 토리코가 멱살을 잡는다.
          * 아카시아가 놈은 대체 뭐냐고 하자, 코코가 끼어들어 "이 남자는 토리코"이고 "그리고 우리는 사천왕. 당신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한다.
          * 아카시아는 죠아를 "죠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일본판을 보면 죠아라고 부름. 번역 실수. 두번째 컷 번역도 '큰 놈 한마리'가 아니라 '큰 놈 두마리'임.)
  • 하이큐/221화 . . . . 11회 일치
          * 아즈마 아사이도 "그걸 믿었냐"는 식으로 디스한다.
          * 아즈마는 그 말을 듣고 "카게야마는 합숙 이후부터 복잡한 얼굴"이라고 걱정한다.
          * 그리고 츠키시마 케이의 플레이를 보고 "합숙에서 코가가와가 세터했을 땐 타점이 높았다"고 한 마디 한다.
          * 니시노야 유는 아즈마에게 "이젠 안 쫄죠"하고 말을 건다.
          * "최고의 상대"라는 아즈마.
          * 코가가와 칸지는 합숙에서 친해진 영향인지 츠키시마와 히나타를 유독 반가워한다.
          * 아즈마는 장담한 것과 달리 역시 조금 쫀다.
          * 카게야마는 히나타의 발언 때문에 코가가와를 엄청 의식한다.
          * 하지만 코가가와, 아오 타카노부, 후타쿠지 켄지의 삼중 리드 블록이 다가온다.
          * 코가가와는 츠키시마를 츳키라고 부른다. 츠키시마도 무시는 하지만 딱히 정정하지 않는 모습.
  • 블랙 클로버/69화 . . . . 10회 일치
          * 베토는 리타이어한 동료들을 먼저 처리하려고 하는데 바사가 나타나 제지한다.
          * 핀랄, 바사, 아스타 3인이 힘을 합친 콤비이션으로 베토에게 일격을 가한다.
          * 절망의 베토가 그 이야기 속 마족 그 자체로 보였기 때문.
          * 바사 에노테이커 등장.
          * 바사는 아스타에게 "가 포기하지 않아서 나도 왔다"고 말한다.
          * 바사는 베토에겐 어지간한 마법은 통하지 않을 거라며 작전을 세운다.
          * 아스타가 반격 당하기 직전 바사가 실을 조작해 공격을 피한다.
          * 바사는 베토의 마력을 보고 "술에 취해있는게 좋았으려나"라고 말하는데, 어쩌면 술에 취할 수록 강해지는 타입일지 모른다.
  • 블랙 클로버/86화 . . . . 10회 일치
          * 증오의 파나가 다루는 불의 정령 샐러맨더의 힘은 상식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샐러맨더의 갈퀴손이 지나간 자리는 울창했던 도 건물도 남아나지 않는다. 정령에 대해 잘하는 바사 에노테이커도 그 위력에는 경악한다. 원래 샐러맨더는 4대 정령 중에서 가장 공격력이 높고 일국의 군사력에 필적하는 전력으로 평가된다.
          * 하지만 아스타는 강화마법이 걸린 덕인지 공격의 빈틈을 파고 든다. 어느새 잘려나간 나무 줄기를 타고 접근하더니 샐러맨더에게 일격을 먹이는데 성공한다. 가볍게 베인 정도지만 샐러맨더에게 유효한 타격을 입힌다. 바사는 정령은 본래 마나의 결정체인 만큼 아스타의 반마법 검이라면 승산이 있다고 판단한다. 아스타도 스피드나 탐지능력이라면 절망의 베토 쪽이 위였다며 충분히 상대할 수 있다고 호언한다.
          * 파나는 아스타의 반마법 검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는지 어째서 샐러맨더가 타격을 입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바사는 이때를 노려 반격의 고삐를 죄려 하는데 아스타는 갑자기 칼을 내려놓고 대화를 청한다. 바사는 뭔 짓이냐고, 대화가 안 통하는 상대라고 꾸짖지만 아스타는 아랑곳 없이 말을 건다. 미워죽겠다고 계속 중얼거리는데 대체 뭐가 그리 밉고 클로버왕국을 미워할 이유가 뭔지 묻는다. 맨날 싸우기만 했지 왜 싸우는지, 뭐가 문제인지 서로 너무 모르지 않냐는 얘기.
          * 바사의 얘기대로 파나는 얘기가 통하는 상대가 아니었다. 문답무용으로 불세례를 끼얹어서 바사가 회수하지 않았다면 아스타가 당할 뻔 한다. 그래도 아스타는 핀랄 룰러케이터에게 청해서 파나의 배후로 접근한다. 파나도 그걸 감지하지만 아스타가 한 발 빨라서 파나의 화염 마법을 지워버리고 다시 한 번 대화를 요청한다.
          * 개안한 파나는 샐러맨더의 화염 마법에 더해 얼음마법과 바람의 마법까지 사용한다. 샐러맨더는 더욱 크고 강력하게 진화했고 열풍 공격으로 실이 타버려서 바사가 아스타의 움직임을 지원하지 못한다. 결국 핀랄의 공간마법으로 회수. 바사는 말도 안 되는 파워업이라고 작작 좀하라고 빈정댄다.
  • 세이와 겐지 . . . . 10회 일치
         일본의 씨족. 세이와 겐지는 제56대 [[세이와 덴노]](清和天皇,제56대,생몰 850~881,재위 858~876)를 조상으로 하는 겐지 일족이다. 세이와 덴노의 여섯번째 아들이 사다즈미 친왕(貞純親王)이고, 이 사다스미 친왕의 아들로서, 미나모토(源) 씨 성을 하사받아 신적강하(황족의 신분에서 성씨를 받아 신하의 신분이 되는 것, 일본 황족은 성씨가 없다.) 한 것이 미나모토노 츠모토(源経基)이며. 세이와 겐지의 시조이다.
         츠모토는 [[타이라노 마사카도]]의 난과 관련이 있다. 무사시국(武蔵)을 다스리는 지방관 쿠니시로 부임하게 된 츠모토는 무사시 국에 도착하자마자 조속히 토착 호족들에게 검주(検注)[* 이 무렵 쿠니시가 호족들에게 받는 '''[[뇌물]]''']를 실시하려 했다. 하지만 호족 무사시노 타케시바(武蔵武芝)가 정식 임관도 하기 전에 검주를 하는 것은 전례가 없다고 반발하였는데, 격노한 츠모토는 타케시바를 공격하여 약탈을 실시한다. 도주한 타케시바는 이 무렵 무용을 떨치던 [[타이라노 마사카도]]에게 '중재'를 의뢰하고, 겁을 먹은 츠모토는 산으로 도주하여 틀어박혔다가 동행하였던 흥세왕(興世王)을 하산시켜 협상을 시작했는데 협상이 진행되던 도중에 타케시바의 군대가 츠모토의 거주지를 포위하자 마사카도에게 살해당할까봐 두려워진 츠모토는 그대로 교토로 도주하고, 흥세왕, 마사카도, 타케시바 등이 결탁하여 모반을 일으켰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마사카도는 주변의 히타치(常陸), 카즈사(上総), 시모우사(下総), 무사시(武蔵), 우에노(上野)의 국부(国府)[* 헤이안 시대 지방 행정구역으로서 '국'의 행정기구.]에서 연명으로 모반의 사실이 없다는 증명서를 작성하여 이미 인연이 있던 후지와라노 타다히라에게 보냈다. 이 탓에 오히려 츠모토가 무고죄로 투옥당하고 만다.--이런 놈이 조상이다.-- 그러나 다행히 곧 마사카도가 모반을 일으켰기 때문에 허위 밀고가 현실이 되어 풀려나게 된다.
         츠모토의 아들이 미나모토노 미츠나가(源満仲), 미츠나가의 아들이 미나모토노 요리미츠(源頼光)이다. 미나모토노 요리미츠는 '라이코우'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오오에 산의 오니 [[슈텐동자]]를 퇴치하는 등. 다양한 요괴 퇴치담으로 유명하다.
  • 원피스/820화 . . . . 10회 일치
         이누아라시와 코마무시는 사실 해적왕의 선원이었음이 밝혀진다.
          * '''이누아라시와 코마무시도 사실 해적왕의 배에 탔었다.'''
          * 오뎅, 이누아라시, 코마무시 셋이 로저의 부하였으며 '''이누아라시와 코마무시는 라프텔에는 가지 못했다.''' 그러나 어인섬이나 하늘섬에는 갔었다.
          * 나미는 지금 자신들은 '''기록지침대로 항해하지 않고 있다'''며, 크로커스가 일러준 지식과 로드 포그리프의 지식이 다르다고 말한다.
          * 이누아라시는 '''크로커스가 일러준 대로 항해를 하다보면 로드 포그리프 등과 만나게 되는 거'''고, 그 '''로드 포그리프의 지식에 따라 다시 항해하는 것이 최종단계'''라 한다.
          * 킨에몬은 카이도 타도를 위해 계속 동료를 모은다 한다. 이누아라시와 코마무시는 '''흰 수염 해적단 1번대장 마르코'''를 추천한다
          * 출발 전 라이조의 인술을 보고 즐기고 있을 때 즈니샤가 크게 흔들리며 '''루피는 고래 쪽에서 어떤 목소리를 듣는다.'''
          * 크로커스를 연결고리로 해서 브룩과 코마무시, 이누아라시도 연결고리가 생겼다.
  • 은혼/579화 . . . . 10회 일치
         * 죽음의 행성이 된 황안의 진정한 주인은 코우카
         * 이 죽음의 행성에선 오로치 조차 소중한 생명이며 사실 오로치는 우미보즈가 나타나 흥분한 것 뿐이었다.
         * 우미보즈는 자신의 이름 칸코우를 밝히며 "다음에 행성의 주인이 허락한다면 이름을 들으러 오겠다"며 돌아선다. 코우카는 고작 그런 소리나 하려고 삼일이나 따라다녔다고 하는데 "원래 남의 집에 가면 문을 두드리고 이름을 밝히는게 예의였다. 소란을 피워 미안하고 가족(오로치)에게도 전해 주라"며 돌아선다.
         * 우미보즈는 여러 별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어느날 코우카는 이야기는 질렸다며 "다른 별"에 가보고 싶다고 말한다.
         * 우미보즈는 식음을 전폐하고 12일이나 찾아 나선다. 보다 못한 오로치가 속으로 인도하여 드디어 코우카를 찾아낸다
         * 우미보즈는 어디에 있어도 코우카가 없으면 견딜 수가 없다며 "가 없으면 외로워"라면서 프로포즈한다
         "가 없으면 외로워"
  • 은혼/610화 . . . . 10회 일치
          *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의 위력으로 해방군은 물론 전장 일대의 기계 장치가 봉인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다.
          * 이것을 사용한다는건 타마와 킨토키를 포함한 에도 전역의 기계가 정지(사망)한다는 이야기지만 히라가 겐카이는 눈물을 머금고 감행한다.
          *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 자체도 기계인 이상 나노머신에 저항하면서 시스템을 유지시켜야 하는데 그 역할을 할게 타마와 킨토키.
          *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가 발사된 직후부터 해방군의 모든 기계화 병력이 정지된다. 이는 지상군만이 아니라 상공의 함대까지 겪는 현상. 통신조차 차단되고 함선들은 고도를 유지할 수도 없게 돼서 서서히 추락한다. 이것이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의 진짜 목적. 이것은 포격을 위한 대포가 아니라 기계를 죽이는 바이러스를 살포하는 나노머신 병기였던 것이다.
          * 히라가 겐카이가 말한 "기계를 멈추는 병기"란 것은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 자체를 말하는게 아니었다. 거기에 탑재되는 작은 "탄두" 쪽. 이것은 최첨단 나노머신으로 겐카이는 이것을 "벌"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벌은 대포를 통해 대기중에 살포, 꽃가루처럼 퍼져나가 기계에 점착하면 탑재된 컴퓨터 바이러스를 심어서 시스템을 점거하고 자기자신을 "독침"으로 바꿔 회로를 파괴, 기계 자체를 말살해버리는 무서운 무기다.
          * 본래 천인의 기술을 해석해 만든 것으로 설사 해방군의 병기라도 예외는 없으며 겐카이 영감은 "전장은 죽창을 들고 다니던 시절로 회귀한다"고 자신있게 말할 정도다. 다만 일시적으로 벌을 살포하는 것만으론 의미가 없고 실질적으론 이 나라 전역을 커버할 정도의 규모로, 그것도 장시간 동안 유지해야 해방군을 무력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자연히 이 에도에서 활동했던 모든 기계들까지 파괴해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 겐카이 영감이 작전 시작 전에 타마에게 이야기하길 "인간이 살기 위해 너희를 버리는 것"이라 표현한다.
          * 게다가 이 벌들은 최소한 20분은 활동해야 유효할 텐데 그 막대한 에너지는 에도 전역에서 끌어모아도 부족할지 모른다. 발사대인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 자체도 기계이므로, 처리를 잘해봐야 버틸 수 있는 시간은 10분 가량. 대포가 먼저 정지되면 그 이후부터는 다른 기계의 힘으로 시스템을 유지해야한다. 물론 그 기계 또한 벌의 공격을 받을 테니 말도 안 되게 하드한 작업. 그렇게 할 수 있는 기계는 에도에는 단 둘 밖에는 없다. 바로 타마와 사카타 킨토키.
          *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의 정비 작업을 하던 사카타 킨토키는 주저없이 그 역할에 자원한다. 금혼 사건 이후로는 쭉 겐카이 공방 지하에서 정비업무만 맡고 있던 듯 하다. 이런데서 "나사"만 돌리던 일이 질력난다며 즐겁게 자원하는데 겐카이 영감은 무슨 임무인지 이해는 하는 거냐고 묻는다. 뜻밖에도 킨토키는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 않으면 세계가 끝나지". 킨토키는 어차피 끝나는 거라면 어떻게 끝내는게 나을지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가 싸우는 상대는 해방군이 아닌 사카타 긴토키. 그가 구하려는 세계를 한 발 앞서 구해낸다면 그거야말로 자신의 복수가 될 거라고 말한다.
          * 사카타 긴토키와 가구라, 시무라 신파치는 가부키쵸 일행과 합류하기 위해 이동하던 중 해방군 함선이 추락하는걸 발견한다. 긴토키는 무전으로 모든 기계를 다 파괴할 생각이냐고 따지는데 겐카이 영감은 무전을 꺼버린다. 이 포격으로 촉발된 사태를 누구보다 이해하는건 그 자신이다. 그는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유지하기 위해 버티다 하나씩 쓰러지는 기계들을 바라본다. 그는 차라리 원망이라도 해보라고 생각하지만 기계들은 묵묵히 할 일을 다할 뿐이다.
  • 키라키라 네임 . . . . 10회 일치
          * DQN임 : DQN임(DQNネーム, 도큥 임)이란, 2ch 용어이다. 「DQN인 부모가 아이에게 붙일 듯한 이름・DQN인 부모가 아이에게 붙이는 이름」을 뜻한다. 「DQN」이란 「상식을 일탈한 사람・비상식적인 사람」을 뜻하므로, DQN임은 상식에서 일탈한, 몰상식하고 기묘한 이름을 놀리는 의미로 쓰인다.
          * 키라키라 임 : 키라키라 임(キラキラネーム, 키라키라=반짝반짝)은 DQN임과 같은 뜻이다. DQN임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이름을 붙인 부모에 대한 비하적인 의미는 들어있지 않고, 특이한 이름이라는 뜻에 가깝지만 사실상 같은 의미로 쓰인다. 공공 보도에서 DQN임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이 같은 이름을 부모를 일률적으로 DQN으로 비하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대체 용어를 사용한다.
          * DQN임 정리 사이트(http://dqname.jp/)
  • 토리코/364화 . . . . 10회 일치
         돈슬라임은 오와 동귀어진을 시도한다.
          * 이것이 아사루디의 몸을 써서 낼 수 있는 최대 위력의 기술로, 돈슬라임 자신도 죽겠지만 오를 확실히 처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 '''오는 이것 조차 먹어치워 버린다.'''
          * 오는 폭발하는 초신성 자체를 먹어치워서 일대에는 아무 피해도 없다. 돈슬라임을 경악하며 "너의 그 어마어마한 식욕은 대체 어디서 온 거냐"고 묻는다
          * 이치류는 영혼세계에서 '''"무언가"를 관찰하고 있는데 마치 오와 닮아있다.''' 그는 "무언가가 태어나려 한다"면서 엄청난 식욕의 에너지를 감지한다.
          * 오는 무력해진 돈슬라임을 인정사정 없이 뜯어먹는다. 돈슬라임을 먹히면서도 "너는 대체 어디서 온 누구냐"고 묻기를 되풀이한다. 그는 "내 몸을 아무렇지 않게 먹을 수 있는 생물이라니"라고 놀라워하면서 그 순간 '''오의 "세포의 색"이 다르다는걸 깨닫는다.'''
          * 돈슬라임은 분함에 겨운 비명을 지르며 '''결국 오에게 먹히고 만다'''
          * 페어는 오가 소멸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기 위해 달려온 거지만 그럴 걱정은 없겠다며 "아카시아"에게 말을 건다.
          * 오는 아카시아의 얼굴을 드러내며 "아직 준비가 덜 됐다면 널 먹어치울 수도 있다"고 하는데, 페어는 '''뭔가 꿍꿍이'''가 있는 것 같지만 때가 되지 않았다고 참는다.
  • 토리코/396화 . . . . 10회 일치
          * 미지의 식재들을 쌓아놓고 청귀, 백귀와 둘러앉은 토리코.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토리코는 1화에서 처럼 낚시를 하며 코마츠에게 두 식욕의 악마와 나눈 이야기를 들려준다.
          * 현역 팔왕들은 오와의 싸움에서 생존했지만 은퇴, 테리는 새로운 팔왕을 뽑는 쟁탈전에 참가하러 갔다.
          * 모든 것이 끝난 후. 토리코는 식재를 쌓아놓고 청귀, 백귀와 둘러앉아 있다. 그는 두 식욕의 악마가 하는 이야기를 즐겁게 듣고 있는데.
          * 토리코는 괴물이 태양을 집어삼킨다는 동화의 내용을 언급하며 그게 허무맹랑한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고 말한다. 구루메 천문연구팀이 연구해본 결과 구르메 빅뱅 직후의 에너지파를 측정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걸 분석해 보니 놀라운 영상이 드러난다. 직경 10광년짜리 "은하"를 밥상처럼 놓고 둘러앉아 있는 가족의 모습이었다.
          이 가족들의 색이 각 우주의 색이 된 것으로 아버지가 흑, 어머니가 백, 장남이 적, 차남이 녹, 막내가 청색이다. 코마츠는 아카시아의 가족들가 닮았다고 말하는데 실제로 아버지인 아카시아의 구르메 세포의 악마 오는 "검정" 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플로제는 "백색"이었을 거라고 추론. 그런 코마츠의 말을 듣자 토리코도 그럼 이치류 회장은 적색이고 지로는 녹색이었을까 하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로에게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있었는지 어땠는지는 추측하지 못한다. 어쨌든 그의 손자인 텟페이의 머리는 녹색인데, 그게 격세유전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미도라가 청색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럴 듯하다고 말하고 참고로 자신의 세 번째 악마는 백색이라고 첨언한다.
          * 마침 그때 찌가 흔들린다. 낚아 올려보니 작은 사이즈의 자이언트 셸이었다. 6대륙의 그 녀석의 새끼. 토리코는 작으니까 미니멈 셸이라고 부르자고 한다. 이것은 구루메 천문학자들이 품종개량으로 우주에서도 활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 호수에서 양식 중이다. 토리코는 이걸 타고 곧 출발하자고 한다. 코마츠는 우주로 떠나면 어마어마한 시간이 소모될 텐데 린에게는 이야기 했냐고 하는데, 황당하게도 토리코는 "잠깐 사냥다녀 온다"고 밖에 하지 않았다.
         은하에서 밥을 먹던 가족이 아카시아 가족처럼 보인다. 어쩌면 아카시아 가족이 미식신의 가족의 환생일수도.
  • 트로피코 4/건물 . . . . 10회 일치
         ||"저 구두들 좀 봐! 어머머 이쁘기도 하지! 죄송해요. 예쁜 구두들에 그만 정신이 팔려버렸요. 어머 저 구두 반짝이는것 좀 봐! 내가 살 거야. 내가 먼저 찜 했다고, 이 뚱땡이 아줌마야!"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아도 됩니다.
          * 관세 횡령: 이 운영 계획에서는 세관원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됩니다. 화물이 갑자기 나타났다가 서류상에서도 말끔히 사라지기도 하고, 파파야가 금덩어리로 변했다가 또 금덩어리가 파파야로 변하기도 합니다. 수출품 하나당 스위스 은행 계좌에 2%가 입금됩니다. 세관원들의 입을 막기 위해서 최저 임금을 $25 이상으로 맞춰둘 필요가 있겠군요.
          * 폭풍 탐지기 - $7,500 소모. 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토이도와 허리케인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장비를 기상청에 설치합니다.
         ||우거진 이 있다면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해와 성난 여행객들 때문에 골치를 썩고 싶지 않으시다면 도가 지나쳐선 안 되겠지요. 이 유용한 건물은 제재소를 건설할 생각이시라면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예학 연구소는 주변에 을 조성합니다. 운영 계획에 따라 작물의 성장에도 좋은 영향을 줍니다.||
          * 산림 재생: 나무의 성장은 매우 느립니다. 하지만 화학의 힘을 빌린다면 훨씬 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지요. 아름다운 들이 빠르고 간단히 우거질 수 있답니다.
         ||울창한 과 이 건물이 있다면 각하의 초기 경제 기반은 아주 든든해질 것입니다. 그러나 나무를 자르는 일을 환경주의자와 생태 관광객들의 분노를 야기할 테지요.
         ||심리학자들은 비행선은 진보의 징조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비행선은 위에서 사람들을 내려보는 용도로나 쓰인다고 말하던데, 솔직히 이번만큼은 옳은 소릴 하요.||
         ||"누군가"는 식물원에 있는 희귀종들이 사실은 할머니 텃밭에서 자라나는 식물들이라는 걸 이미 눈치 챘을지언정, 웬만한 관광객들은 절대 눈치 채지 못할 것입니다. 그저 거대한 유리 건축물 안에서 자라나는 각양각색의 식물들을 보며 감탄이나 하고 있겠지요.||
         관저엔 명까지 병사를 들일 수 있으며 시민들을 다스리는 데에 필요한 가지각색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습니다.||
  • 하이큐/230화 . . . . 10회 일치
          * 좀 허름하지만 숙소도 잡았고 코마의 협조로 현지 체육관도 섭외해 막판 훈련에 매진한다.
          * 드디어 시작되는 첫시합. 도쿄 체육관에서 코마 고교가 카라스노를 마중한다.
          주장 사와무라 다이치는 숙소에 짐을 풀고 코마타 야스후미 감독의 협조로 얻은 체육관에서 현지 조정에 들어간다고 공지한다. 그러면서 특히 시끄러운 삼인조에게 "숙소에서 소란피우지 마라"고 경고한다. 조용히 대답하는 히나타, 타나카, 니시노야.
          * 잠시 뒤 카라스노는 현지의 체육관에서 마지막 연습에 돌입한다. 평범하게 적응하는 멤버도 있지만 히나타는 잔실수가 늘었고 아즈마 아사히는 평지인데도 산소가 부족하다며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소심이들이 제실력을 낼 수 있을지 의문을 표한다. 타케다 고문은 히나타는 긴장하는 편은 아니지만 첫 전국대회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사실 팀 전체가 경직된 분위기라 매니저인 야치 히토카 조차 호흡곤란을 호소할 지경이다.
          * 나머지 멤버들은 숙소에서 동영상을 보거나 공부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 야마구치 타다시는 런닝에 동행하지 않고 동영상을 본다. 스가와라는 공부를 하는데 키노시타 히사시가 대단하다고 말을 건다. 스가와라는 이건 평정심을 위한 거라며 아무렇지 않게 말한다. 아즈마는 아직도 우카이 코치의 동영상을 붙들고 있는데 멋진 영상에 홀려서 긴장은 잊어버린 모습이다.
          그때까진 얌전히 있던 타나카와 니시노야가 들썩거리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때부터 매니저들의 입욕시간이다. 타나카는 그런 판국에 어떻게 평정을 유지하냐며 절규한다. 자칫하면 이 망상이 NAE GAE JUZZ NUEN DONG-YEONG-SANG까지 덮어씌워버릴지 모르겠다고 한탄한다. 하지만 듣고 있던 나리타 카즈히토는 " 머리통엔 뭐가 들어있든 상관없다"고 뼈아픈 말을 날린다.
          * 여성 멤버 끼리 목욕 중인 시미즈 키요코와 야치 히토카. 히토카는 둘만 있으면 긴장돼서 아무 이야기나 꺼내보는데 시미즈가 항상 검정 스타킹을 신는것에 대해 묻는다. 사실 그건 다리에 남은 흉터를 가리기 위한 것. 육상을 했던 시미즈는 주종목이 허들이었는데 심하게 넘어지면서 다리에 흉터가 남아버린다.
          히토카는 "훈장"이라며 멋지다고 말해버리는데 곧 쓸데없는 말이라고 자책한다. 하지만 시미즈는 기쁜 말이라며 웃어넘긴다. 시미즈는 중학교 땐 사교적이지 못해 딱히 친한 후배도 없었고 카라스노에 들어온 이후에도 매니저가 안 생겨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는건 히토카가 처음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것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말하는데.
          * 3학년인 시미즈에겐 마지막 기회다. 히토카도 그 말을 이해하고 진지하게 대답한다. 선수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밤을 맞이한다. 히나타와 카게야마는 런닝 삼매경. 츠키시마의 생각과 달리 쉽게 돌아오지 못할 듯하다. 아즈마를 중심으로 동영상에 푹 빠진 파. 니시노야는 속편하게 자고 있다. 여관의 밤이 깊어간다.
          * 이렇게 투닥거리는 사이 카라스노의 숙적이자 악우 코마 고교 일동이 체육관에 도착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8화 . . . . 9회 일치
          * 걸물학원 신도 요우는 막무가로 보였지만 실은 책략가.
          * 그러나 자신을 감싸다 이이다까지 탈락되는걸 바라지 않았던 아오야마는 허공에 빌 레이저를 발사, 적들의 이목을 자신에게 모은다.
          * 이것이 전화위복이 되어 흩어져 있던 A반 생존자들을 집결시켰고, 빌 레이저를 보고 온 적들에게서 포인트를 따내 웅영고 전원이 합격하게 된다.
          * 그리고 허공을 향해 빌 레이저를 쏴올리는 아오야마.
          * 이이다는 갑자기 무슨 소리냐고 하는데, 아오야마는 갑작스럽게 들리겠지만 자신은 예전부터 "대등해지고 싶었다"라고 말한다.
          * 오지로 마시라오와 미타 미노루도 등장.
          * 미타가 머리카락을 뿌려서 적들을 묶고 오지로가 백병전으로 마무리.
          * 갑자기 시험장이 폭파 된다.
          * 잘 보면 미타 미노루가 머리카락을 던져댈 때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 데드 스페이스 . . . . 9회 일치
          * 키시스 모듈: F
          사용 대상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장비. 위험한 물건을 느리게 만들고 지나가거나 크로모프에 대처할 시간을 버는데 사용한다. 사용 가능한 양을 다 쓰면 충전 전까지는 사용 못하니 주의.
          * 키시스 모듈
         크로모프라는 정체 불명의 생명체들. 주로 환풍구를 통해 이동한다. 얘들에게 잡히면 [[QTE]]로 빠져나와야 한다.
          제일 처음 보게 될 크로모프. 팔을 만세 자세로 치켜올리고 있고 손 대신 칼날이 나 있다. 팔, 다리, 머리를 절단할 수 있다.
          기어다니는 크로모프. 벽이나 천장을 탈 수 있다. 팔, 꼬리, 머리를 절단할 수 있다.
          아기의 모양을 한 크로모프. 벽을 탈 수 있다. 등에 난 세개의 촉수를 절단할 수 있다.
          가오리 같은 모습을 한 크로모프. 주변 시체를 슬래셔로 만들 수 있다.
  • 라무네 . . . . 9회 일치
         [[탄산음료]]의 일종. [[일본]]에서 말하는 라무란 [[레모이드]](レモネード)가 원형이 된 음료이다.
         일본에서 라무라고 하는 음료는, 레모이드를 기반으로 한 탄산음료로, 유리구슬로 탄산이 나오지 않도록 막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리구슬병(ビー玉ビン)에 담는 것이 특징이다.
         1853년에 [[페리 제독]]이 [[일본]]에 내항했을 때, 일본인들은 페리 제독 함대를 통해서 [[레모이드]]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고 한다. 1865년 부터 [[나가사키]] 현에서 레모이드가 레몬 물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1872년에 [[영국]]에서 유리구슬로 막는 병이 발명되고, 1887년에 일본에서 이 병을 사용해서 레모이드를 담게 되어 이것이 '라무'로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팔리게 되었다.
         1953년에 라무는 일본 내에서 팔리는 탄산음료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널리 팔렸으나, 여기에서 생산 피크에 도달해서 이후로는 다른 음료에 쉐어를 빼앗겨 점차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 마니교 . . . . 9회 일치
         마니교 문헌에서는 전도지에서 권력자의 딸이 병에 걸리고 이교도는 고치지 못하는데 마니교 성직자가 의료나 기적으로 치료하며, 그로 인하여 부친이 개종하는 이야기가 빈번하게 나온다. 이는 마니교의 포교 전략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마니교라고 하면 비밀결사나 밀교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이는 탄압을 받아 숨어들어가게 된 중국 명교의 특수한 사례로서 오히려 중동의 마니교는 권력자와 지식인과 같은 사회 지도층을 중심으로 포교[* 나쁘게 말하면 권력에 아첨]하는 경향이 강했다.
         마니 일행은 아마도 왕족인 친척들의 지원을 얻으려 했던 모양으로, 파르티아의 수도(였던) 크테시폰으로 갔다. 하지만 이 때는 [[페르시아]]가 일어나서 파르티아는 멸망했다(…). 마니의 친척 와라가슈 왕 역시 전사했다. 지원을 받을 수는 없었지만 아무튼 마니는 포교를 계속하며, 간자크에서는 어느 유력자의 딸을 치료해주고 대신 그 딸들 가운데 가장 신중한 딸을 일행으로 받아들였다. 그 다음에는 갑자기 [[인도]]로 여행을 떠났다.
         마니는 사푸르 1세로부터 제국 내에서 포교 허가를 얻게 된다. 마니교 문헌에서는 사푸르 1세로부터 3번에 걸친 초빙을 받고, 황제는 마니의 [[후광]]에 압도되어 존경하게 되었다고 하거나, 병든 딸이 있고 마니가 의술로 완쾌시켰다는 이야기도 실려 있다. 다만 시대배경으로 보면 사푸르 1세는 이 무렵 여러 종교가 번창하던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통치하기 위하여 종교 관용 정책을 펼쳤던 것으로 보이며, 니시비스의 유대교 공동체의 지도자 사무엘을 불러들여 알현을 허락했다는 일화도 있는 것으로 보아 마니는 단순히 포교 허가를 얻었을 뿐. 특권적인 지위를 얻은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사푸르 1세는 조로아스터 교에 대한 신심이 깊었던 것으로 보이고.
         미프르 샤 덕분에 마니는 신하의 지위를 얻지만, 예언자로서가 아닌 '바빌로니아의 의사'로서 였다. 전해지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사푸르 1세의 가희에게 '배'를 바쳤는데 가희는 이를 증류하여 사푸르 1세에게 바쳤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무튼 30년 가량 궁정의사로 일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페르시아 내에서 포교를 하게 되었다.
         마니는 옥중에서도 포교를 멈추지 않았는데, 중앙아시아에서 찾아온 제자 마르 앙모에게 봉서를 맡기고 떠나도록 했다. 그리고 감금된 지 26일째의 277년 2월, 사망하게 된다. 옥중에서 사망했다고도 하고, 처형당했다고도 한다. 사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야기가 있는데, 참수되어 성문에 노출되었다거나, 야수에게 먹이로 줬다거나, 두동강이로 잘려서 두 개의 문에 못박혔다거나 --고어-- 가죽을 벗겨서 지을 채운 뒤 책형당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웃즈라는 제자가 남긴 중세 페르시아어 단편 자료에서는, 주 마니는 육체라는 옷을 벗고 빛의 세계로 귀환했다고 한다.
         이슬람교 세계에서 마니는 사교의 교조가 아니라 "화가의 선조"로 여겨졌다. 이슬람교 전승에서 마니는 천재 화가로서 사푸르 1세에게 기용되었으나, 신관단과 박해하여 중앙아시아로 떠나게 된다. 마니는 중앙아시아에서 문하생을 모으고 중국의 절에 벽화를 그리다가, 어느날 [[동굴]]에 들어가서 천국에 갔다가 1년 뒤에 돌아와 『아겐크』라는 화집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제자들을 거느리고 페르시아에 돌아가 오흐르마즈드 아르다흐시르에게 총애받아 궁전까지 얻었으나, [[바흐람 1세]] 치세에서는 소외 당하고 조로아스터 교 신관과 토론 끝에 산 채로 가죽을 벗겨진다. 제자들은 인도나 중국으로 도망치고, 머물렀던 사람들은 노예가 되었다고 여겨졌다.
         이슬람 세계에서 마니는 예술가, 화가로서 여겨졌는데, 오스만 제국의 무라트 3세에게 헌상된 예술가 열전 같은 예술가들의 이야기에서 마니는 빈번하게 등장하며, 티무르 제국에서 사파비 왕조까지 활동했던 화가 베흐자드는 "마니에 뒤이은 거장"으로 불리게 된다.
         1263년 남송의 황진(黃震)은 『숭수궁기(崇寿宮記)』를 저술하는데, 이는 도교사원 숭수궁을 중건할 때 일을 적은 것으로서, 이 기록에 따르면 숭수궁은 사실 위장한 마니교 사원이었다. 원나라 때는 당국이 무관심하여[* 몽골인들은 '텡그리 신앙'(하늘 숭배)과 유사한 개념만 들어있으면 어떤 종교이건 딱히 제재하지 않았다.] 4개의 마니교 사원이 추가로 건축된 것을 알 수 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따르면 복주에 들렸던 마르코폴로는 유래를 알 수 없는 종교를 만났는데, 이들은 조상에게 물려받은 경전과 시편, 그림을 가지고 있지만 교설을 듣지 못해 교의를 모르게 되었고, 그러나 성자를 모시는 가르침은 지키고 있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는 이들을 원나라 궁정에 데려가 예배를 공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허가를 얻었다고 한다. 마르코 폴로는 이들을 경교 신도(스토리우스 파 [[기독교]])로 보았지만, 마니교 신도였을 가능성도 제시된다. 다만 이들이 마니교도가 확실한지는 알 수 없고, 마르코 폴로의 기록 역시 실증성이 명확하지 않다.
  • 블랙 클로버/85화 . . . . 9회 일치
          * 마녀의 은 침략자를 상대로 여왕의 거대 골렘까지 꺼내며 항전하지만 증오의 파나는 가볍게 골렘을 날려버린다. 전력 차가 현격해서 마녀들 만으로는 전혀 상대가 되지 않는다.
          * 부관격으로 보이는 변태 같은 마도사가 있는데, 이 녀석은 파마의 힘과 미모를 칭송하며 "한 번 상대하고 싶다"고 섹드립이나 날리고 있다. 하지만 오늘은 마녀들을 끌고 가서 노예로 쓰겠다며 부하들을 출동시킨다. 부하들은 포박 계통의 마법으로 마녀들을 잡아간다. 어린 마녀 하나가 적에게 잡히는데 아스타가 바사 에노테이커, 핀랄 룰러케이트, 노엘 실버와 함께 현장에 도착, 마녀를 포박한 마법을 베어버리며 구출한다. 하지만 마녀의 의 마녀들을 남자를 싫어해서 구해준 아스타를 할퀴고 달아나 버린다. 바사 에노테이커는 원래 그런 나라라며 대신 사과한다.
          * 노엘은 파나가 지른 불을 마법으로 끄고 바사는 자기 고향을 망가뜨리는 다이아몬드 왕국에 적의를 드러낸다. 부관은 여러 마녀를 포획해서 성희롱을 남발하고 있는데 나름 페미니스트인 핀랄이 분노한다. 아스타는 곧바로 녀석을 향해 날려달라고 하는데 거리가 멀어서 다시 회수할 수 없다. 그런데도 아스타는 걱정말고 해달라고 하는데 바사는 그의 실력을 믿고 날려보낸다.
          * 아스타는 자신에게 날아오는 마법탄을 베어버리며 적들에게 날아간다. 이미 아스타는 절망의 베토를 쓰러뜨린 걸로 적들 사이에서 이름이 나있다. 적들이 경계하지만 아스타는 적들을 밟고 날아다니며 순식간에 쓸어버린다. 부관은 어떻게든 아스타를 저지해 보려 하지만 거침없이 달려드는 기세를 막을 수 없고 단 한 방에 박살이 나고 만다. 바사는 그 실력을 칭찬하며 일단 저렇게 기세를 타면 막을 수 없는 아이라고 말한다.
          * 파나는 급히 두 번째 불구슬을 토해서 막아낸다. 아스타는 그 폭발에 휘말려 날아가는데 핀랄과 바사가 보조해 무사히 착지한다. 파나도 폭발에 휘말리긴 마찬가지. 아스타를 반드시 죽이겠다고 선언한다. 아스타는 몇 번을 와도 몇 번이든 튕겨내주겠다고 호언한다.
  • 블리치/697화 . . . . 9회 일치
          * 마유리는 연구 끝에 무를 다시 깨운다. "무리 하치고"라고 부르는데. 무는 작아졌다.
          * 이사가 4번대 대장으로 취임. 남동생이 부대장으로 온다. 리사는 8번대 대장이 된 듯.
          * 갑자기 유하바하의 영압의 흔적이 발견되는데...
          * 무도 부활. 그런데 어린애로 부활해 버렸다. 마유리가 "무리 하치고"라 부르면서 딸처럼 대하고 있다.
          * 코테츠 이사가 4번대 대장으로 취임. 짬이 안 되는 대장이라 그런지 별 파워는 없다. 부대장인 동생이 굽실대지 말라고 할 정도.
          * 이번 화가 최종화라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다음회가 진짜 최종화였다.
  • 일곱개의 대죄/179화 . . . . 9회 일치
          * 나나시는 그 말을 듣고는 잠시 뜸을 들이다가 "그 고양이가 붙어 있는한 가 죽을 일은 없다"고 하는데, 자기 나라말로 한 말이라 아서가 알아듣지 못한다.
          * 어깨 위에 있던 고양이 "캬스"가 "냐도 아서가 강해지면 기뻐"라고 갑자기 말을 하기 시작한다.
          * 백몽의 남동쪽 마을에서도 사람들이 성기사를 사냥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 쫓기던 성기사는 벌써 백몽의 까지 달아나서 추적이 불가능해졌다. 에는 "엄청난 괴물이 나온다"는 소문이 돌아 주민들이 꺼려하는 곳.
          * 고르기우스는 운이 좋다고 웃다가도 "일곱개의 대죄에 패해 수도에서 쫓겨나고 다음은 마신족의 먹이. 호화로운 전개요"라고 몸을 떤다.
          * 이국의 검사 무명의 본명은 "나나시". 본인은 브리타니아의 언어를 알아듣나 본데 정작 자기 나라말만 한다.
          * 호크에 이어 두 번째로 말하는 축생이고 고양이라는 점 때문에 "장화신은 고양이"와 연관이 있는 캐릭터라는 설도 있다.
  • 일곱개의 대죄/197화 . . . . 9회 일치
          * 멀린은 하룻밤만에 엉망이 됐던 리오스 왕국을 복원한다. 그러나 상처입은 사람들의 마음은 아직도 치유되지 않았다.
          * 킹은 요정왕의 에 있는 강에서 씻고 있는데, 자신에겐 날개가 없는걸 한탄한다.
          * 리오스 왕국의 민가. 아버지가 늦잠자는 아들을 깨우고 있다. 어느 가정이나 비슷할 법한 아침풍경. 부지런한 아버지와 달리 아들은 겨우 아침잠을 쫓으며 세수를 한다. 아버지는 아들이 칠칠맞고 여자한테 인기도 없다고 디스하는데 아들은 아버지를 닮아서 그렇다고 한다. 이 아들은 바로 성기사 하우저. 평민출신 답게 서민적인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다. 하우저는 출근하기 전에 앞으로 수도 복구 때문에 늦게 올 거라고 말하는데 아버지는 그제서야 "그런거보다 왕궁에서 사자가 와서 중요한 얘기가 있으니 빨리 오라고 했다"고 전한 일을 말한다. 하우저는 "마신족 놈들 때문에 나라가 반붕괴했는데 그런거라니"하고 반발하는데 아버지는 하우저의 엉덩이를 걷어차며 출근이나 하라고 내보낸다.
          * 툴툴 거리며 거리로 나선 하우저. 그런데 그의 눈 앞엔 깨끗하게 복구된 리오스 왕국이 나타난다. 하우저는 눈을 의심해 보지만 틀림없이 원상복구되었다.
          * 반은 멜리오다스가 풀어지는 듯싶자 "그렇지. 단장은 언제나 그 멍청한 얼굴인데 괜히 걱정했다"고 드립을 치다 얻어맞고 벽에 처박힌다. 반이 피떡이 되자 에스카노르는 갑자기 자작시를 읊기 시작한다. 멜리오다스를 "긍지 높은 분노"라 칭하는 그 시는 어떤 저주가 걸리더라도 각자의 마음을 침범할 수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에스카노르는 주제넘게 단장의 마음을 다 이해한다고 말하는건 아니라면서도 같이 저주에 걸린 입장에서 그 괴로움만은 이해할 수 있다고 위로한다. 그런데 멜리오다스는 그 시에 "8점"을 붙이는데 몇 번 만점인지는 언급을 피한다. 게다가 시를 읊고 나서 주절주절 설명을 하고 있다고 까기도 하는데, 에스카노르는 "아름다운 장미란 나에겐 멀린씨고 단장에겐 엘리자베스"라고 쓸데없는 설명을 더 덧붙인다.
          * 왕국에서 덜어진 요정왕의 . 할리퀸은 그곳의 물가에서 목욕을 하고 있는데, 갑자기 수면을 때리며 "왜 나에겐 나지 않는 거지"라고 한탄한다. 날개가 나지 않는것 때문에 짜증을 부리는 듯 하다.
          * 그때 속에서 누군가 나타나는데 "왜 춤을 잘 추지 못하지"라고 투덜거리고 있다. 목소리의 주인공은 디안느. 디안느도 목욕을 하러 왔는지 알몸 상태다. 할리퀸과 디안느가 엉뚱한 곳에서 태어난 모습 그대로 만난 두 사람.
         고서는 그냥 있을 때도 상태가 이상한데 갑자기 무욕의 고서라고 십계의 이름을 댄다. 고서가 멜리오다스의 과거 시절 나오던 무욕의 십계라는건 팬덤에서도 추측하고 있던 내용인데, 이번 화로 거의 확실시 되었다. 다만 고서는 멀린이 조작하는 인형이었으며 멜리오다스의 십계 시절 동료인 "무욕의 고서" 그대로는 아닐 것으로 추측된다.
  • 창작:좀비탈출/5-1-1-1-1 . . . . 9회 일치
         그러니까 나는 좀비로 가득한 동에서 유일할지 모르는 생존자로서 집안에만 갖혀 있다가 오늘 하루만에 옆집 주인을 죽이고 그 집 차를 훔치려고 녀석들이 득실 거릴지도 모르는 집안으로 들어가 보는 거야. '''정말 완벽하군!'''
         그리고 나는 보았다. 장롱 밑에 무언가가 있었다. 거기에 깔려 있었던 것이다. 마치 망가진 마킹 같은…… '''하반신'''이었다.
         장롱이 무겁긴 하지만 쓰러진 것만으로 허리를 절단할 정도는 아닐 테니까. 깔려서 버둥대는 녀석을 놔두고 도망치거나 머리만 깨버리고 가버렸다면 얘기는 간단하다. 그런데 이건 누가 봐도 고의로 잘라낸 거다. 무슨 악취미일까? 갑자기 녀석을 구하고 싶어지기라도 했을까? 최악으로 그로테스크한 방법으로 말이다.
         나는 아주 짧은 시간 만에 이야기를 한 편 짜맞췄다. 어떤 남자가 정체불명의 병에 걸린 아내를 헌신적으로 간호했다는 얘기다. 너무 헌신적이었는지 침대를 떠나지도 못하게 묶어놨을 정도였다. 아직도 이 넝마같은 침대에는 '''가죽끈'''이 달려있다. 참 솜씨 좋게 붙여놨군. 그러던 끝에 결국 아내는 간호가 지겨웠는지 침대에서 빠져나왔고, 전쟁 같은 부부싸움을 치렀다. 장롱은 그 과정에서 넘어졌을 것이다. 아내는 거기에 깔렸고 살아남은 남편은 뭘로 했는지는 몰라도 아무튼 아내의 허리를…… 이하 자체검열.
         최악의 기분으로 수색을 이어나갔다. 논리적 오류와 헛점 투성이인 추론은 이성적 판단과 상관없이 강렬한 설득력으로 나를 괴롭혔다. 아무런 증거도 없이 짜맞춘 이야기다. 지금도 나의 이성은 이 바보같은 이야기를 끊임없이 빈정댄다.
         "좋아 그대로 문피아에 올리는 거야. 출판도 가능하겠 작가 양반. 계약은 '''좀비와 지성사'''랑 하면 어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떨쳐낼 수가 없다. 뭐니뭐니해도……. '''아저씨는 토트넘이 되었다.''' 살아있는 채로 되었다면 좋았겠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이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야기의 엉성한 부분이야 어쨌든 아저씨가 토트넘이 되어버린 결과로 보면 너무나 자연스러운 흐름이 된다. 그가 아줌마를 깔아뭉게고 잘라내는 과정에서 상처 하나 입지 않았을 거라고 볼 수는 없을 테니까. 그러면 이미 "아줌마"라고 무의식적으로 부르고 있는 저것은 왜 상반신이 사라진 걸까? 더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왜 말도 안 되는 소리가 점점 더 확인된 사실처럼 여겨지는 걸까?
         수색의 결과 주방에서 의외의 물건을 찾았다. '''검은 끈끈이가 묻은 도끼'''였다. 좋아, 흉기는 찾았. 이제 범인의 동기만 밝혀내면 되겠어 형사.
  • 키이치 보우겐 . . . . 9회 일치
         미나모토노 요시츠 관련 전설에 등장하는 전설상의 인물. '오니이치おにいち'라고도 읽는다.
         요시츠의 전설을 기록한 「의경기(義経記)」에 따르면, 키이치 보우겐은 교토 이치죠(都一条堀川)에 살고 있는 [[음양사]]이며, 문무를 겸비한 인물이었다. 그는 중국에서 들여온 전설적인 병법서 《육도삼략(六韜三略)》을 소지하고 있었다.
         요시츠는 키이치 보우겐에게 육도를 가르쳐달라고 했으나, 키이치 보우겐은 이를 들어주지 않았다. 이에 요시츠는 키이치 보우겐의 막내딸을 꼬드겨서 육도삼략을 훔쳐 손에 넣는다.--딸자식 키워봐야...--
         분노한 키이치 보우겐은 여동생의 남편 단카이(湛海)를 보내서 요시츠를 추격하게 하지만, 육도삼략의 무공을 습득한 요시츠는 단카이를 죽이고 만다. 요시츠에게 배반당한 보우겐의 막내딸은 실의에 빠져서 슬퍼하다 죽게 되고, 키이치 보우겐은 비탄에 빠졌다.
         키이치 보우겐의 이야기는 조루리, 가부키 등으로도 만들어진다. 가공인물이지만 요시츠가 유명하다보니, 그와 얽힌 키이치 보우겐도 음양사로 이름이 높아져서 각종 음양도 관련 문헌에 가공의 저자로서 언급되기도 한다.
  • 토리코/357화 . . . . 9회 일치
         [[토리코]] 357화. '''크리처, 오'''
         지지는 오의 기원과 풀코스의 조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 과거에는 압도적인 포식자를 만들어서 스트레스를 주는 방법을 썼는데, "오"도 그런 용도로 만든 맹수 중 하나
          * 니트로는 이용한 오를 버렸는데, 오는 살아남아서 계속 강해짐
          * 오는 성장하면서 생물은 죽음는 순간에 가장 맛있어 진다는 걸 깨닫는다
          * 오는 과거 목성 정도의 행성을 1개월 만에 완식한 적이 있다
          * 오 대 돈슬라임, 지로 대 블루 니트로, 미도라 대 죠아 등등 굵직한 빅매치를 놔두고 설마했던 설명편. 흐름을 다 짤라먹고 있다.--맥가위버--
          * 오의 정체 자체는 흥미롭지만 정작 디자인은 모든 팬이 한결같이 까고 있다.
  • 토리코/385화 . . . . 9회 일치
          * 존게가 명중시켰던 "리들챕터"는 원래 페어의 것. 그리고 그 안엔 "오"의 데이터도 들어있는데 그 포획레벨은 브란치를 경악시킨다.
          * 그는 리들챕터 안에 "오의 데이터"가 있었음을 밝힌다.
          * 그리고 이 우주에서 오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자는 "아카시아와 서로 잡아먹었던" 페어뿐일 거라고 말한다.
          * 부활한 토리코는 블루 니트로는 제압할 수 있지만 오의 힘을 사용하는 아카시아라면 무리라도 생각한다.
          * "오의 포획레벨은..."
          * 미도라는 플로제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정황으로 보면 리들챕터에 기록된 오의 정보는 기본적으론 페어가 아카시아와 처음 만났던 시점에서 기록된 것. 존게가 다시 측정을 했으니 갱신된 내용도 있을 것이다.
          * 이때문에 일각에선 아카시아가 제대로 오를 소화하지 못하고 내부에서 오가 아카시아를 역으로 이용하고 있는거 아니냐는 설도 나오고 있다.
  • 토리코/386화 . . . . 9회 일치
          * 현재 아카시아의 포획레벨은 3만. 원래 오가 2만 2천. 아카시아가 8천. 합쳐서 3만이다.
          * 아카시아에게 흡수되기 전의 오는 포획레벨 22000. 그리고 오를 흡수하려던 시점의 아카시아는 포획레벨 8000.
          * 팽팽한 공기 속에서 사람의 기술이 격돌한다.
          * 한 차례 폭발같은 공방이 오가고 두 번째 공방.
          * 팔왕은 커녕 GOD 조차 가뿐히 상화하는 오의 포획레벨.
          * 오와 아카시아의 강함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지만 이번 화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 우선 오를 먹는 시점의 아카시아가 8천이므로 GOD를 먹기 전 시점의 아카시아와 오는 이보다 포획레벨이 낮았을 것이다.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9회 일치
         일본의 명문 가문 중 하나였던 미나모토 가문에 뿌리를 둔 가문. 미나모토 가문 만큼은 아니었지만 시마즈 가문 또한 이름있는 가문이었다. 실제 역사에서는 센고쿠 시대에서 살아남아 임진왜란에도 참전하고, 메이지 유신이 벌어지기 전까지 본거지인 사츠마를 지배했다. 그러니까 사무라이의 몰락에 나오는 사츠마의 번주들이 얘 후손들이다.
         혼슈 최북단에 위치한 가문. 난이도 보통. 본거지는 겁나 넓은 이와테. 서쪽에 있는 모가미 가문과 전쟁 중이며 남쪽에 있는 하타케야마 가문과 무역 관계. 다테 타가 이끄는 반란군이 있다.
         다이묘는 다테 하루무. 후계자는 다테 테루무.
         불교의 한 분파인 일향종을 기반으로 한 농민 반란 세력. 에치젠을 본거지를 두며 카가도 다스리고 있다. 난이도 보통. 잇코라는 별개의 불교를 믿기 때문에 종교 차이로 인한 외교 패널티를 기본적으로 퍼먹는다. 그럼에도 아가코지와 무역 중.
          혼슈의 빈고를 차지하고 있는 가문. 게임 시작시 다이묘는 깃카와 오키츠.
          * 아가코지
          혼슈의 히다를 차지하고 있는 가문. 게임 시작시 다이묘는 아가코지 나오요리
  • 페어리 테일/508화 . . . . 9회 일치
          * 블러드맨, 윌을 상대하던 미르바 올랜드와 로그 체니도 목격한다.
          * 상처투성이가 된 로그 체니와 미르바 올랜드. 블러드맨과 윌이 쓰러져 있다. 미르바는 해치웠다고 표현하지만 사실 그들이 쓰러뜨린 건지 술자(나인하르트)가 쓰러져서 사라지는 건지는 불분명. 상태로 봐선 후자에 가까운 듯 하다.
          * 이들도 마카로프 드레아의 페어리 로의 발동을 목격했는데 로그는 처음 보는 건지 그 정체를 알지 못한다. 미르바가 그 정체를 설명해주면서 "페어리 테일과 화해하길 잘했다"고 농담한다. 미르바는 모든 적을 처리하진 못했어도 상당히 줄였을 거라고 추측하는데, 로그는 아군 측도 소모가 심각하다며 쉽게 우세를 점치지 못한다.
          * 유키노 아그리아, 소라노 아그리아(엔젤) 자매도 적과 싸우고 있었는데 페어리 로로 인해서 적들이 분쇄됐다. 프로시와 렉터도 갑자기 적들이 쓰러졌다고 좋아한다. 유키노도 로그처럼 페어리 로에 대해선 모르지만 일단 적들이 사라졌다고 한숨 돌린다. 소라노는 아직도 언니라 불릴 때마다 "언니가 아니다"라고 무의미한 부정을 하는 상태.--만담이냐-- 이들은 언덕 아래 쓰러진 적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절벽 위에서 "화려한 마법을 사용했다"고 중얼거리는 소리를 듣는다.
          * 같은 시각 미르바와 로그도 영향을 받는데 미르바가 먼저 심하게 영향을 받고 로그는 멀쩡해 보였지만 곧 영향을 받고 쓰러진다.
          * 페어리 테일도 하나둘 영향을 받으며 쓰러지는데 렉서스 드레아 조차도 견디지 못한다. 메이비스 버밀리온은 어른들만 걸리는 마법인가 생각하지만 모든 어른이 다 걸리는 것도 아닐 뿐더러 그 자신도 영향을 받는다. 메이비스는 "저항할 수 없다"고 말하며 쓰러지는데. 지금까지 무적의 포스를 자랑하던 길다트 클라이브 조차도 갑자기 쓰러져서 딸 카나 알베로나가 걱정하는데... 왠지 승천할 것 같이 기분 나쁜 표정을 짓고 있어서 한 대 맞는다.--가정폭력의 현장--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9화 . . . . 8회 일치
          * 카미나리 덴키나 미타 미노루 같은 낙제생들은 "바이스탠더"라는 말 자체를 못 알아 듣고 "파이스탠더"같은 말로 잘못 알아듣는다.
          * 세로 한타는 18등급 "엄청난 일"을 퍼뜨리고 다니는데 카미나리와 미타가 미끼를 문다.
          * 눈이 뒤집혀서 미도리야를 추궁하는 카미나리와 미타.
          * 미도리야는 영문을 모르겠다고 항변하는데 미타가 케미를 가리키며 "저 사람이랑 뭘하고 있었냐"고 추궁한다.
          * 왠지 상냥하게 눈인사를 건는데, 이것 때문에 빼도 박도 할 수 없게 된다.
          * 이야기를 듣던 미타나 미도리야는 달갑지 않아 하는데, 토도로키 쇼토는 유독 자신을 노려보던 요아라시 이나사의 일을 떠올리고 의문시한다.
          * 세로 한타가 소문을 퍼뜨리고 다닐 때 미타는 케미를 진작부터 시선 강간하고 있었다고 자랑스럽게 선언한다.--노답--
  • 떨어진 용왕과 멸망해가는 마녀의 나라 . . . . 8회 일치
         인간을 초월한 마력을 가졌으나 인간들의 탄압으로 인해 점점 그 수가 줄어들어 속으로 내몰리며 쇠퇴의 길을 걷던 마녀들. 그녀들의 본거지 한가운데에 이세계의 남자가 떨어져내린다. 과거의 기억을 잃어버린 이 호색한(...)은 마녀들에게 입은 은혜를 갚기 위해 마녀와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 린 리리카 하인드라 / 린나 리루카 하인드라 : [[쌍둥이]] 마녀. 오감을 민감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그로 인해 수집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 쿠우 쿠리아스 하인드라 : 몸에 칭칭 감고 있는 가죽 혁대를 조작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심해서, 혁대로는 자기보다 더 무거운 물체도 조작할 수 있지만, 맨손으로는 밥공기보다 무거운 건 들어본 적이 없을 정도.
          * 케이 카슈 하인드라 : 신체의 피부를 경화시켜 금속처럼 단단하게 만들 수 있다. 단, 신체 내부까지 강화시킬 순 없는 것으로 보인다. 붙임성 있는 성격.
          * 엘리시오 아니안 슬레이마야 : 슬레이마야 일족의 마녀. 만틸라에서 다른 만틸라로 공간이동을 하는 게 가능하며 자신 외에 다른 사람도 함께 이동하는 게 가능하다. 하지만 맨 육체만 이동시키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능력 사용을 위해선 알몸이 되어야 한다.
          * 라이바하 란티에스 : 검은 에 은둔중인 해리건 일족을 토벌하기 위해 편성된 카산드라 제국군의 일원. 노부나가의 책략으로 인해 원정군이 궤멸당하고 오히려 요새를 빼앗기는 참패를 겪은 뒤 후임 지휘관에 의해 최전방에 배치되었다가 우연한 기회로 마녀들에게 생포당했다. 마녀들이 이제껏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젊은 여자들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데다, 그녀들(특히 유우키)를 보고 과거 도적들에게 살해당한 딸이 생각나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결국 노부나가의 부하가 된다.
          * 귀스카르 : 마녀의 영역과 인접한 카산드라 왕국의 왕족으로 선왕의 아들이자 현왕의 조카. 자중하면서 왕위를 되찾을 기회를 노리고 있던 차에, 나가 일행의 활약으로 에인 요새가 탈취당하고 군대가 큰 타격을 입는 바람에 왕이 그를 국왕 전권 대리로 임명한다. 야심만만하면서도 자신의 한계 또한 파악하고 있지만, 갑자기 얻은 권력으로 인해 마녀 토벌을 종용하는 구교회에 대해 의심을 품어 대립하게 된다.
          * 교회 : 유일신을 섬기고 있는 세력으로, 그들의 신앙과 배치되고 이능력을 지닌 마녀들을 배척하고 말살하려 하고 있다. 자기들끼리도 구교회와 신교회로 갈라져 싸우기도 하는, 지극히 광신적이고 정치적인 종교조직.
  • 모리오리 족 . . . . 8회 일치
         모리오리 족은 농경민족인 폴리시아 이주민이지만, 채텀 제도는 기후가 추운 편이라 열대 농작물을 재배하는 폴리시아 전통 농업에 부적합하여 모리오리 족은 수렵, 채집으로 살아갔다. 이웃한 마오리 족이 농업을 사용하여 10만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게 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모리오리 족의 인구는 약 2,000명 정도였다.
         모리오리 족은 약 1천년 전에 [[뉴질랜드]]로 이주한 폴리시아 인의 후손이다. 뉴질랜드로 이주했던 [[마오리 족]]의 일부가 채텀 제도로 이주하여 모리오리 족이 되었다.
         채텀 제도는 폴리시아 전통 농업에 부적합하였기 떄문에 집약적인 농업과 전쟁 문화를 가지게 된 마오리 족과는 달리, 모리오리 족은 수렵과 채집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채텀 제도의 환경상 집약 농업이 어렵고 인구 조절이 필요했기 때문에, 인구 밀도가 높아 전쟁이 자주 벌어졌던 마오리 족 사회와는 달리 모리오리 족은 분쟁을 평화롭게 해결하는 전통을 가지게 되었다.
         모리오리 족이 수렵채집민으로 돌아가는 동안, 북부 뉴질랜드의 따듯한 기후에서 농경을 유지한 마오리 족은 폴리시아 전통 농업으로 10만이 넘는 인구를 가지게 되었고, 높은 인구 밀도 때문에 전쟁이 자주 벌어졌다. 성채를 세우고, 복잡한 문화, 사회를 갖춘 마오리 족은 서양인과의 교류로 [[총기]]까지 획득하였다.
         1835년 12월, 수백년간 평화롭게 살던 모리오리 족은 갑자기 뉴질랜드에서 나타난 [[마오리 족]]의 공격을 받고 '''[[멸망]]했다'''. 11월 19일, [[총기]]와 [[곤봉]], [[도끼]]로 무장한 500명의 마오리 족이 채텀 제도에 나타났으며, 12월 5일에는 400명이 추가로 나타났다. 채텀 제도를 공격한 약 900명의 마오리 족은 수적으로는 당시 모리오리 족(2000명으로 추정)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으나, 수렵과 채집으로 살아가던 모리오리 족은 단합된 정치 조직이 없었으며, [[무기]]를 비롯한 전쟁 기술도 갖추고 있지 않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마오리 족은 장기간의 전쟁으로 조직화된 전쟁 문화, 정밀하게 만들어진 원주민 무기를 가지고 있었고 심지어 서양인들과의 교류로 [[총기]]까지 가지고 있었다.
         >마오리 족은 우리를 양 떼처럼 죽이기 시작했다. 우리는 겁에 질려 적을 피하기 위해 으로 도망치거나 땅을 파고 숨었다. 그러나 소용없었다. 우리는 곧 발각되어 죽임을 당했다. 남자는 물론이고 여자, 아이들까지 무차별로 학살당했다. - 모리오리 족 생존자
         [[분류:폴리시아]]
  • 슈퍼걸(드라마)/1시즌 5화 . . . . 8회 일치
         캣 그랜트는 레슬리를 불러서 슈퍼걸에 대한 이야기를 그만두라고 경고한다. 사람들은 레슬리의 독설적인 이야기보다, 긍정적이고 행복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고 말하면서 그녀의 방송을 부정한다. 레슬리는 계약기간이 남아 있다고 반발하지만, 그랜트는 레슬리의 방송을 취소하고 교통방송 리포터로 보내버린다.
         그랜트는 카라를 불러내서 모든 전자기기가 망가지고 있다고 하며 어떻게 해보라고 한다. 그러자 갑자기 정전이 일어나며, 멀티스크린에서 레슬리 윌리스의 모습이 나타난다. 레슬리는 자신은 레슬리 2.0--낡은 표현--이 되었다며 [[라이브와이어]]를 자칭하며 나타난다.
         카라는 그랜트에게 가족과 다퉜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랜트는 카라에게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하고, 그 이야기를 들은 카라는 가족에게 가보겠다고 결심한다. 알렉스는 정전이 된 상황이라 엄마가 걱정되어 엄마를 찾아온다. 알렉스는 엄마와 이야기를 나누며 앙금을 풀어내는데, 곧 DEO의 호출이 와서 떠나게 된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8회 일치
         Ace Combat 5: The Unsung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다섯번째 작품.
          TAC 임 하트브레이크 원. 계급은 대위로 샌드 섬 비행대의 훈련 교관이다. 국적불명기와의 전투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훈련 교관. 유크토바니아에 애인이 있다.
          플레이어. 블레이즈는 TAC 임으로 본명은 나오지 않는다. 훈련생이지만 샌드 섬의 인원이 부족해지자 차출된다.
          TAC 임 엣지. 국적불명기와의 습격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훈련생. 쥬넷은 그녀의 비행 실력에 감탄하지만 바틀렛은 그렇게 날다간 죽는다며 못마땅해한다.
          TAC 임 초퍼. 훈련생이지만 샌드 섬의 인원이 부족해지자 차출된다.
          TAC 임 아처. 훈련생으로 다른 샌드 섬 비행대원보다 훈련을 덜 받은걸로 보인다. 다른 훈련생들이 샌드 섬 초계비행에 투입될 때 그림은 포함되지 않았었다.
          TAC 임 소드맨. 케스트럴 항공대 소속 조종사다.
         오시아에서 서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있는 국가. 오시아와는 15년 전 전쟁 때 동맹이었다. 갑자기 오시아에 선전포고를 해 환태평양 전쟁을 일으킨다.
  • 영창대군 . . . . 8회 일치
         >광해 74권, 6년(1614 갑인 / 명 만력(萬曆) 42년) 1월 13일(병인) 5번째기사 정항을 강화 부사로 삼다
         >광해 74권, 6년(1614 갑인 / 명 만력(萬曆) 42년) 1월 13일(병인) 5번째기사 정항을 강화 부사로 삼다
         >광해 75권, 6년(1614 갑인 / 명 만력(萬曆) 42년) 2월 10일(임진) 2번째기사
         >인조 1권, 1년(1623 계해 / 명 천계(天啓) 3년) 4월 5일(갑자) 1번째기사
         >>인조 1권, 1년(1623 계해 / 명 천계(天啓) 3년) 4월 6일(을축) 1번째기사
         >>인조 8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天啓) 5년) 3월 19일(정묘) 3번째기사
         >효종 6권, 2년(1651 신묘 / 청 순치(順治) 8년) 5월 16일(임진) 1번째기사
         >효종 11권, 4년(1653 계사 / 청 순치(順治) 10년) 8월 8일(경오) 2번째기사
  • 원피스/834화 . . . . 8회 일치
          * 한편 페콤즈를 잡아간 것은 "카포 갱 벳지". 그는 빅맘의 22녀 샬롯 시폰과 결혼해 "카포 갱 펫즈"를 낳았다.
          * 루피는 아직 유혹의 에 있는데, 어쩐지 동료들이 터무니없이 늘어나 있다?
          * 로드 포그리프를 위해 잠입해 있는 페드로와 브룩.
          * 잠시 병정들이 찾아와 타마고 남작과 따로 이야기하고 브룩과 페드로가 엿듣는다.
          * 그리고 유혹의 에 있는 루피, 나미, 캐럿, 쵸파에 대해서도 잡은 거나 다름 없다고 보고한다.
          * 그런데 잡아온 것은 빅맘의 부하들이 아닌 초신성 "카포 갱 벳지"
          * 그는 빅맘의 22녀 "샬롯 시폰"과 결혼애 아들 "카포 갱 펫즈"를 낳았다.
  • 원피스/842화 . . . . 8회 일치
          * 나미는 비브르 카드의 힘으로 유혹의 의 사물들이 크래커를 방해하게 시킨다.
          * 유혹의 의 나무들은 크래커를 방해하고 있는데, 나미가 가진 비브르 카드에 거스를 수 없기 때문.
          * 유혹의 의 나무들은 그 말을 듣고 "우리가 왜 병사냐"고 기가 막혀하는데 나미가 비브르 카드를 들고 눈 한 번만 흘겨도 꼼짝을 못한다.
          * 나미는 "가 사황의 간부 나부랭이라도 루피는 해적왕이 될 남자이며 식욕도 무한대!" 라고 소리치며 또 비를 만들어 뿌린다.
          * 그 말에 상디가 질색을 하는데 레이쥬는 "돌아온 건 책임."이라며 "두 번째"는 없다고 못을 박는다.
          * 유혹의 .
  • 창작:아멜리아 디아즈 . . . . 8회 일치
         [[창작:코스모폴리턴|코스모폴리턴]]의 조연 캐릭터. 직업은 마약상. 자매로 같은 나이대의 쌍둥이 [[창작:우다 디아즈|우다 디아즈]]와 동생 [[창작:필로메나 디아즈|필로메나 디아즈]]가 있다.
         주요 거래처로 [[창작:키메라 카르텔|키메라 카르텔]] 등을 두고 있지만, 본인은 해결사 팀을 제외하면 자신만의 트워크는 꾸리지 않고 있다. 움직이는 데에 방해가 되기도 하지만, 규모가 클수록 더 큰 이익을 내는 자본주의를 경계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공산주의자라는 건 절대 아니다.~~ 돈맛을 알면 초심을 잃기 쉬워지기 때문에, 배달부의 위치에 머무르면서 '제정신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창작:레스터 리|레스터 리]]의 표현에 의하면 '기계를 작동시키는 사람이 아닌 톱니바퀴로서 만족'한다고. 그러면서 여동생 [[창작:필로메나 디아즈|필로메나 디아즈]]를 부양하고 있지만, 여동생도 나이를 먹은 만큼 먹은터라 다 알고 있지만 얘기를 안 한다.
         본인은 적당한 시점까지만 돈을 모아 필로메나와 함께 남미로 돌아가 살 생각을 품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런 엿같은 세상에서 같은 나라 사람들이 미국에서 차별받고 살아가는데, 나만 잘 살아도 되는 걸까'하는 마음이 들었고, 또 카르텔 내부의 사람들에게 설득당해 결국 귀향할 생각을 접고 미국에 계속 남아 마약상 노릇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쌍둥이 언니이자 '''마약단속반'''인 [[창작:우다 디아즈|우다 디아즈]]는 위선자라며 신나게 까댔고, 동생 [[창작:필로메나 디아즈|필로메나 디아즈]]는 언니가 자신을 위해 고생한 걸 알기 때문에 쉽사리 자기 의견을 내지 못하고 있다. 반면 카르텔 내에서 사귀게 된 [[창작:크루즈 벨몬테|크루즈 벨몬테]]는 '여기서 멈추지 않으면 금방 망가진다'며 그만두자고 설득하고 있다.
         동생 [[창작:필로메나 디아즈|필로메나 디아즈]]와의 관계는 매우 좋지만, 쌍둥이 언니 [[창작:우다 디아즈|우다 디아즈]]와는 사이가 불구대천의 원수급이다. 물론 진짜로 원수는 아니지만, 마약에 관한 견해와 입장이 극과 극이기 때문이다. 아멜리아 본인은 마약상인데 언니 우다는 '''마약단속반'''이기 때문. ~~콩가루 자매?~~
  • 토리코/365화 . . . . 8회 일치
          * 지로는 자신이 '''"낭왕 기스"가 주워다 기른 아이'''임을 밝힌다. 어렸을 때부터 '''기스가 레드 니트로를 잡아다 먹여왔고 그 결과 지금의 지로'''가 되었다.
         attachment:기스펀치.png attachment:기스펀치2.png
          * 지금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스 펀치는 블루 니트로들이 '''"지구를 멸망시킬 작정이냐"'''고 물을 정도의 파괴력
          * '''세츠노는 기압돔이란 기술을 써서 지구레벨의 바리어를 생성'''한다. 이 바리어는 '''기스 펀치의 위력도 흘려보내는게 가능'''하다.
          * 지로가 낭왕 기스와 관련되었을 거란 떡밥이 완전히 회수됐다.
          * 블루 니트로는 팔왕이나 오에는 못 미쳐도 이 세계 정점에 달한 실력자들이란게 통설이었는데, 100% 상태도 아닌 지로에게 완전히 박살나면서 완전히 체면을 구겼다.
  • 토리코/366화 . . . . 8회 일치
          * 지로 앞에서 '''황금식기'''를 꺼낸 블루 니트로는 갑자기 자신들은 "구르메 세포의 악마"라며 설명을 시작한다.
          * 설명하는 사이 보이지 않는 실 같은 것이 갑자기 지로를 묶는다.
          * 오를 여기에 가두려는 것도 "죽지 않고 살려서 보존"하면 영원히 부활하지 않기 때문.
          * 그리고 지금은 오와 마찬가지로 "죽일 수가 없는 상대"를 조리해서 가두려고 꺼내왔다.
         attachment:오등장.jpg
          * '''그때 오가 갑자기 나타나 지로의 머리를 쳐날려 버리고 몸통은 멀리 떨어뜨려 버린다.'''
          * 오는 아카시아의 얼굴을 꺼내서 "오랜만이구나 지로"라고 인사하는데
  • 토리코/388화 . . . . 8회 일치
          * 풀코스에서 고기요리인 오만 남았다. 토리코는 아카시아 안에 있는 오가 살아있음을 암시한다.
          * 토리코는 모두에게 감사를 표하며 남은 것은 아카시아 안에 있는 "고기요리" 뿐이라며, 오에게 모습을 드러내라고 말한다.
          * 그때 나타난 것은 오가 아니라 죽은 줄 알았던 원왕 밤비나. 멀쩡해진 모습으로 나타난다.
          * 경왕 문도 회복하는 듯 하지만 다소 늦다. 사왕 마더 스이크와 오왕 앰페러 크로우는 회복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 "지금 음미하도록 하마. 놈들의 절망을"
          * 아카시아가 이야기를 하며 시간을 끈 것은 이 기술을 준비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서였다.
          * 토리코의 언급으로 보면 오는 아카시아 안에서 생존하고 있는 듯.
  • 하이큐!!/등장인물 . . . . 8회 일치
          기본적으로 진중한 성격이나, 말을 생각하고 하는 편이 아니라서 우시와카 본인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사람 속을 긁는 때가 있다.[* 봄 배구 선발전 직전 화장실에서 만난 오이카와에게 "너에겐 고교 마지막 대회겠 건투를 빈다."라고 말한다. 빈정이 상한 오이카와와 이와이즈미가 "전국대회 갈거니까 마지막이 아니다!"라고 받아치자. "? 전국에 갈 수 있는 건 한 팀인데.(우리 팀이 나가는데 너희가 어떻게...?)"라고 말하며 또 다시 속을 긁어댄다. 오이카와와 이와이즈미 왈 "비꼬려고 말하는게 아니라서 더 열받아...."] 쉽게 말해서 엘리트의 길만 걸어왔기 때문에 언더독의 기분을 이해 못하는 [[눈새]]다. 이런 성향은 우연히 만난 히나타와 카게야마에게 오이카와를 평가하며 은연 중에 드러나는데 '''"우수한 모종에는 그에 알맞은 토양이 있으며, 메마른 땅에서는 훌륭한 열매가 자라지 않는다."'''고 말하며 ~~농부?~~콘크리트 출신 두명을 자극했었다.
         == [[코마 고교]](音駒 高校) ==
         [[코마 고교]] 항목 참고.
         == 카라스노 동 배구팀 ==
         카라스노 동 사람들로 구성된 팀이다. 이름만 들어서는 아저씨들만 잔뜩 있을 것 같지만 젊은 사람도 꽤 있다. 대부분이 [[카라스노 고교]]의 졸업생. [wkik:"우카이 케이신" 우카이]가 만든 팀이기도 하다. 동 팀 치고는 실력이 좋다.
          본명 불명. 카라스노 고교의 교감이다. 카게야마의 서브를 히나타가 엉뚱하게 받아 그의 가발을 날려버린 적이 있다. 3권에서 아즈마의 과거 회상 장면에서도 등장했다.
          히나타의 여동생이다. 소설 1권, 만화책 9권, 애니 5화에서 각각 첫등장. 오빠와 헤어스타일이 비슷하다. 성격은 오빠처럼 활발하고 기운 넘치는데 작가가 그린 카운트타운 일러스트에서 다테 공고의 아오를 무서워하지 않으면서 말을 거는 등 오빠보다 용감한 일면도 있다.
  • 하이큐/222화 . . . . 8회 일치
          * 그러나 카게야마에겐 "스파이크 치기 쉬운 것보다 좋은 토스는 없다"는 할아버지의 입버릇을 이야기하며 "그점만은 망설일 필요가 없다"고 답해준다.
          * 반대로 블로커가 산개한 상태에서 트 전반을 지키는 것이 "스플렛 시프트".
          * 사와무라의 공격은 트를 넘지 못한다.
          * 코가가와 켄지의 스파이크를 받는데 살짝 어설펐다.
          * 하지만 카게야마는 나이스 리시브라 생각하며 그대로 아즈마 아사히에게 토스를 올린다.
          * 올릴 때 느낌은 좋았지만 막상 아즈마의 스파이크는 블록을 뚫지 못한다.
          * 게다가 아즈마 쪽도 방금 토스가 마음에 들지 않았던 듯 한데.
          * 코치카메 완결 기념 짤은 스파이크를 때리는 아즈마의 유니폼.
  • 하이큐/223화 . . . . 8회 일치
          * 니시노야가 플레이를 하다 아즈마 아사히의 동선을 방해한 것이다.
          * 코가가와 켄지는 적이지만 항상 이렇게 일정한 토스가 올라오는걸 보며 "얼마나 연습을 하는 거야"라고 감동한다.
          * 타나카가 스파이크를 때리지만 너무 블록을 의식한 탓에 트에 맞는다.
          * 아즈마에게 토스를 올리는데 완전히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 버린다.
          * 스가와라 코시가 "오늘 아즈마는 잘 안 된다"고 폭소할 정도로 컨디션이 좋지 않다.
          * 이 플레이도 아즈마 스스로 뭐가 문제였는지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미안하다고 사과하는데
          * 3학년 아즈마한테까지 이렇게 나오자 카라스노 진영은 얼어붙은 듯이 조용해진다.
          * 아즈마의 경우 역시 공격 중에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실수였는데 지나치게 몰아세운 경우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6화 . . . . 7회 일치
          * 대체로 간단하게 진행되지만 미도리야 집에서는 어머니가 미도리야를 더 위험하게 만들고 싶지 않다며 거부 의사를 밝힌다.
          * 웅영고 교장 즈는 그간 올마이트의 노고를 치하한다.
          * 그러나 올마이트가 교사로서 계속 활동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음을 전하며 "그렇기에 가 지킨 히어로에 대한 신뢰를 강화해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역설한다.
          * 다음 행선지는 미도리야인데, 올마이트는 방문할 가정이 많이 남았다는 핑계를 대고 혼자 미도리야로 향한다.
          * 올마이트가 기숙사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는데, 뜻밖에도 어머니는 "싫어요"라며 일언지하에 거절한다.
          * 어머니는 미도리야가 "무개성"인 시절부터 올마이트를 동경해온 이야기를 시작한다.
         - 미도리야의 어머니. 어머니로서 당연한 이야기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8화 . . . . 7회 일치
          * 이에 미타가 여자 방도 공개하라고 요구하고 의외로 선선히 승락을 받아낸다.
          * 즈는 학생들의 입소를 지켜보고 생각에 잠긴다.
          * 즈는 그런 문제는 어쨌든 지금의 학생들에겐 "밝은 미래"를 제공해야 한다고 독백하는데
          * 주동자였던 키리시마가 침울해있는 것을 보고 바쿠고가 갑자기 카미나리 덴키를 끌고 간다.
          * 미타는 욕탕과 빨래가 공동 구역에 있다는 것에 격하게 반응하다 아이자와에게 제지 당한다.
          * 미타는 어쩐지 보여주고 싶어서 안달하는데 외면 당한다.
          * 미타는 "남자만 공개하는건 이상하다"면서 여자방도 공개하기를 요구한다.
  • 브로포스/브로 . . . . 7회 일치
         == 브로미이터(Brominator) ==
         영화 [[터미이터 시리즈]]의 [[T-800]]을 패러디한 캐릭터.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의 [[오]]를 패러디한 캐릭터. 근접공격키를 누르면 워프를 시전한다.
         == 스이크 브로스킨(Snake Broskin) ==
         영화 [[커트 러셀의 코브라 22시]]와 [[LA 2013]]의 [[스이크 플리스킨]]을 패러디한 캐릭터. 점프를 하면 글라이더를 타고 활강한다.
         발매 초기에는 단발 소총과 화염병으로 무장한 캐릭터였고, 해금 시기도 브로인블랙 다음이었다. 하지만 캐릭터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 스팀 트레이딩 카드의 설명에 따르면]로 수정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원래 해금 시기도 브로티 해리에게 물려주고 한-참 뒤로 미뤄졌다. 하지만 수정 이전 스이크 브로스킨을 해금했던 플레이어들은 브로티 해리와 스이크 브로스킨 둘 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블랙 클로버/73화 . . . . 7회 일치
          * 보이지 않던 로가 어느새 마석을 찾아왔다.
          * 그때 날아오는 로. 한동안 보이지 않더니 마석을 물어왔다.
          * 야미는 그렇다면 약속대로 마석을 받아가겠다며 로가 가져온 마석을 보여주는데.
          * "넌 꿈만 쫓으면 되는 거야"
          * 첫번째 던전에 이어 또 로가 마석을 찾아왔다. 로의 정체는?
  • 블랙 클로버/81화 . . . . 7회 일치
          * 한편 가장 먼저 아지트를 떠난 바사 에노테이커는 수상한 문 앞에 있다.
          * 한편 바사 에노테이커는 아스타의 일을 알게 되고 제일 먼저 아지트를 나섰다.
          * 바사는 어느 속에 있는 기이한 문 앞에 서 있다.
          * 바사는 이 문 앞에서 "마녀의 나라 사상 최고의 천재 마녀가 돌아왔다!"고 볼일이 있다고 외친다.
          * 검은 새의 무리가 마사의 모습을 삼키는데 이것들이 사라지고 난 뒤엔 바사의 모습도 함께 사라진다.
  • 서울대공원 구미호 . . . . 7회 일치
         1984년 9월 무렵 국민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퍼진 귀신. 이 해 여름에 [[전설의 고향]]에서 구미호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에 여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소문 기사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였다.
          * 구미호는 할머니로 둔갑해서 다니고 있다. 같은 시기에 '할머니 귀신' 이야기도 나돈다는 기사가 있는데, 둔갑을 한다는 이야기로 보아 할머니 귀신도 서울대공원 구미호와 같은 것으로 보인다.
         1984년에 유행을 하고 이후로는 같은 이야기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야기는 부분적으로 1990년대에 유행한 [[홍콩할매귀신]]과 유사성이 보인다.
         1990년대에 유행한 홍콩할매귀신과는 달리, 서울대공원 구미호는 1984년이라는 오래전에 유행한 이야기라 인터넷에서는 기록을 찾아보기 어렵다.
  • 스네이크 . . . . 7회 일치
         행동을 뜻할 때는 "스이크 하다(スネークする)"라고 쓴다.
         어원은 코나미에서 발매한 《메탈기어 시리즈》의 주인공, 솔리드 스이크에서 따왔다.
         스이크를 하는 사람은 지금 스이크를 하는 중이라고 게시판에 사진을 올리는 등. 소위 "인증"을 하면서, 정보를 탐색하는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메탈기어 시리즈에서 솔리드 스이크는 무전을 하면서 긴박하게 잠입 활동을 하는데, 이 같은 정보 탐색 활동이 마치 솔리드 스이크 같다고 하여 스이크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7회 일치
         벤자민 프랭클린이 잃어버린 연감 페이지. 지도에서 종잇장으로 표시된다. 페이지는 보스턴과 뉴욕 양쪽에 널려있는데 페이지에 접근하면 플레이어의 반대 방향으로 날아간다. 이게 사라지기 전에 잡아야 한다. 잡지 못하고 사라진 페이지는 얼마 후에 리젠되니 그때 다시 도전하자. 연감은 장씩 세트로 존재한다. 한 세트를 모두 모으면 해당하는 프랭클린의 발명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연감을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해당 지역에 연감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찾아서 집는건 가 해야한다.
         깃털을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해당 지역의 깃털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집는건 가 해야한다.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가서 획득하는건 가 해야한다.
         해당 지역에 위치한 NPC 명에게 편지를 배달하는 서브미션. 지도에서는 편지봉투로 표시된다. 하나를 완수하면 500 파운드를 받는다.
         상자를 찾기 힘들면 잡화점에서 해당 지역의 상자 지도를 구매하면 된다. 물론 여는건 가 해야한다.
          * 코티컷 - 난이도 ★★☆
  • 요괴:냉장고 . . . . 7회 일치
         제가 혹을 달고 나타날 줄은 몰랐을 거예요. 저도 그애가 그런 드라마틱한 표정을 짓는 줄 몰랐고요. 내색하지 않으려고 필사적이었지만 삐진 티가 역력했죠. 제 동생도 그정도는 알 수 있었어요. "저 형 삐졌어?"하고 계속 물어보는게 얼마나 짜증나던지. 하지만 그 쫑알거리는 입도 그 애 집 햄스터한테 정신이 팔리면서 막혔죠. 정신없이 들여다 보는 꼴이 집에 가서 대판 조르게 생겼더라고요. 그 틈에 그 애는 옆에 슬쩍 오더니 이러는 거에요.
         대답은 없었어요. 인기척도 없었죠. 집안이 갑자기 텅 빈 것처럼 느껴졌어요. 그리고 느낌만이 아닐 거란 이상한 확신이 생기더군요. 동생은 여전히 햄스터에 빠져 있었어요. 나는 의식을 주방 쪽으로 집중했죠... 거기서는 아무 것도,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어요. 그곳에서만 온기가 쏙 빠져나가고 액자 속으로 박제되어 버린 것 같았죠.
         참 신기하죠? 그때 마침 엄마의 잔소리가 생각나다니. 나는 조용히 발을 돌렸어요. 갑자기 엄마말씀을 꼭 따르고 싶더라고요. 나는 동생한테 가서 같이 주방에 가보자고 했죠. 동생은 싫은 티를 팍팍 내면서 햄스터를 더 보고 싶다고 말했지만 한대 쥐어박으면 고분고분해지기 마련이에요. 그리고 나는 동생 손을 꼭 잡았어요. 그래야지만 "2인분"이 된다고 믿어버렸거든요.
         냉장고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었지만 나는 속지 않았어요. 내가 처음 냉장고를 보고 생각한 것, 그애가 화장실에 갔을 리가 없다고 생각한 건 근거가 있었어요. 미세하게, 아주 미세하게 들리는 소음이었죠. 누가 음악이라도 틀었더라면 들리지 않았을 소리에요. 누가 기침만 해도 들리지 않았을 거라구요. 영문을 몰라하는 동생을 데리고 나는 냉장고로 갔어요. 한 발짝 씩 다가갈 때마다 그 소리는 더 뚜렷하게 들려왔죠. 콩콩콩콩. 규칙적인 박자.
         냉장고 손잡이로 향하는 내 손이 독한 감기약에 취한 것만큼이나 비현실적이었어요. 그리고 현실을 비집어 넣는 싸늘한 플라스틱의 감촉. 머릿 속에서 안 된다고 되뇌이는데도 손은 멈추지 않았어요. 텅하고 열리는 문짝이 아주 서서히, 서서히. 그러는 사이에도 콩콩콩콩 규칙적인 박자는 멈출 줄을 몰랐죠. 냉장고 안에 주황색 등이 켜지고 나는 냉장고 안이 보이도록 문을 활짝 열어젖혔죠. 그리고...
         그리고 아무도 없었어요. 아무 것도. 그 애가 고르라던 두 가지 쥬스 조차도. 박자와 함께 사라져 버렸던 거에요. 나는 서둘러 문을 닫아버리고 동생의 손을 잡아 끌었어요.
         확실히 말해줄 수 있는 건 결국 햄스터는 사주지 않은 것과, 그 애를 다시는 보지 못했다는 거에요. 학교에서도 학원에서도 길에서도. 그 애가 잘 다니던 어디에도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죠. 걔 부모님들은 필사적으로 찾아다녔지만 소용없는 일이었죠. 나는 차라리 나타나지 않는게 나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만약 돌아온다면... 대체 어디에 있었던 걸까요? 무엇을 하다 온 걸까요? 그 애가 원래 살던 자리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이런건 물어볼 일이 없는 편이 나았죠.
  • 원피스/839화 . . . . 7회 일치
          * 살풍경한 이야기 뿐인 제르마 왕가의 아침식사.
          * 니디는 "설마 가 도움이 되는 날이 올 줄이야"라며 상디를 비꼰다.
          * 뜬금없이 상디가 막 가출했을 때의 얘길 꺼내며 "어디서 뭘 하다 객사하면 재미있을지" 같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도발한다.
          * 그러나 상디는 이야기에는 관심도 두지 않고 니디의 접시만 쳐다보고 있다.
          * 그는 "가 변변찮은 요리를 내서 동생이 기분을 망쳤다"고 트집을 잡고 코제트는 머리를 조아리며 사죄한다.
          * 잠자코 있던 이치디가 입을 열어 " 주장은 다수의 약자가 하는 헛소리"라고 폄하한다.
          * 그때 욘디가 나타가 " 탓"이라고 빈정댄다.
  • 유키히라 소마 . . . . 7회 일치
         번화가의 작은 정식점인 '유키히라'를 경영하며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었으며, 1화부터 아버지에게 요리대결로 489번째 패배를 맞이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본인은 아버지를 뛰어넘기 위해 중학교를 졸업하면 본격적으로 가게에서 연습을 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아버지인 유키히라 조이치로에 의하여 요리학원인 토오츠키로 가게 된다.
         시험이 끝나고, 쿄쿠세이 기숙사로 향하며, 기숙사 입사 테스트때해 남은 재료를 사용한 고등어 버그 정식을 만들어낸다. 당연히 합격하여 소마는 303호실을 배정받는다. 이때 목욕을 하기 위해 탕으로 갔다가 메구미와 서로 알몸을 보여주었다(…). 목욕 후 [[잇시키 사토시]]와 만나며 환영회에 초대받는다. 처음에는 괴짜들인 쿄쿠세이 기숙사 맴버에 당황하지만 얼마 안 가 익숙해져서는 같이 괴짜 짓을 한다(…).[* 요리를 선보인다면서 실패작 요리를 건주었다.]
         그러나 도지마는 메구미가 메인으로 요리할 것을 요구한다.[* 원래 식극은 1대1이지만 이번은 소마와 메구미 페어 vs 시노미야의 형태였다.] 소마는 반발하지만 도지마는 '유키히라.. 요리로 이겨서 타도코로가 살아남았다고 치면 거기에 무슨 의미가 있지? 남의 뒤나 쫓아다닌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아. 결국 다른 과제에서 떨어져 버리겠지. 그때도 녀석이나 다른 누군가가 도와줄건가? 토오츠키에선 자신의 가치는 그 팔로 증명하지 않으면 안돼. 타도로코가 토오츠키에 남아야 하는 인재인지 아닌지 그것을 입증하는 것은 그녀 자신.'이라고 일침을 가한다.
         소마는 '오늘 한정의 타도코로 정식점 개점이다!' 라며 투지를 보인다.--그리고 이누이는 시노미야에게 '음식점(쇼쿠지도코로)의 도코로와 타도코로의 도코로가 같아서 좋은 어감이요'라 말하고 묶여서 버려진다--
         고기를 전부 짓밞히게 만들어서 유키히라를 폐점시키려던 미가사키는 이 요리를 맛보고 소마가 요리를 빼앗자, '다시는 가게를 노리지 않는다'는 조건을 걸어 다시 요리를 맛 보게 된다. 여담으로 이때 부탁하는 표정이 ~~에로하다~~모에하다(…).
          3. 국물을 모난 그릇에 넣어 대충 열이 빠지면 냉장고에 넣어 식혀 굳힌다. 닭날개는 뼈를 발라내고 살을 잘게 썬다.
  • 은혼/590화 . . . . 7회 일치
         [[은혼]] 590훈. '''첫번째 제자'''
          * 다카스기가 나서서 "그럼 놈은 여기에 왜 있냐"면서, 벌레한테 싸움에 진 변명이라도 하러 왔냐고 빈정거린다.
          * 어느날 우츠로가 사라졌다.
          * 그는 임무를 방기하거나 표적을 도주시키는 등 행동을 해서 심문회가 있을 예정이었는데 갑자기 모습을 감춘 것이다.
          * 어린 오보로는 "사제입니까? 기대되요."라고 대답한다.
         || 사제인가요. 기대되요. ||
          * 소제목처럼 쇼요의 제자들 중 "첫번째 제자"는 바로 오보로였다.
  • 은혼/614화 . . . . 7회 일치
          * 이야기를 들은 모든 사람들은 그의 생존과 정체를 믿기지 않아 한다. 그를 보좌했던 가신 단 조차 의심을 거두지 못한다. 바루카스는 그를 설득하며 칭코의 크기 같은 걸로 싸우고 있을 때가 아니라고 말한다. 단은 바루카스는 이미 죽었고 작은 칭코파를 혼란시키려는 망령이나 다름 없다고 사격하라 명하지만 부하들은 이미 동요하고 있다. 단이 재차 사격을 가하라고 하니 부하들은 이렇게 말한다.
          하타 황태자는 그것에 대해 잘 모르지만 스는 그것이 무엇인지 분명히 알고 있다. 저거야 말로 용처럼 거대한 칭코. 틀림없이 오우고쿠 왕가의 장남이자 정통한 계승자. '''구룡공자 드라고니아'''.
          * 단은 여전히 현실을 인정하지 않고 엘리자베스, 아니 드라고니아를 쏴버리라고 명령한다. 그러나 정신을 차린 드라고니아는 구두룡섬이란 필살기를 사용해 이들을 쓸어버린다. 그야말로 아홉개의 귀두--결국 귀두했어 지금?--를 가진 구룡의 이름에 걸맞는 기술. 스의 이같은 해설에도 하타 황태자는 구룡이 아닌 다른 사람의 기술 아니냐고, 그냥 쓰레기 용섬이 아니냐고 의심한다.--귀두룡섬이겠지--
          스는 누구보다 먼저 그를 드라고니아로 인정한다. 분명 모습은 바뀌었지만 그 귀두, 아니 칭코는 분명히 기억하고 있다면서. 하타 황태자는 눈치도 없이 칭코라기 보단 가랑이에 달린 그거가 아니냐고 항변하지만 누구도 신경쓰지 않는다.
          * 가츠라에게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는 드라고니아. 엘리자베스인 부분의 팻말과 귀두에 생긴 입이 번갈아가며 이야기한다. 그는 과거의 기억을 잃어버린 채 살아왔다. 그가 기억하는 것은 머리를 세개 부딪혔던 순간. 그 이전의 기억은 사라졌다. 그대로 사지를 떠돌고 있다가 어떤 존재들과 접촉한다.
          방금 설명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던 하타 황태자는 대체 그 설명을 어떻게 해야 지금의 형태가 되냐고 따진다. 그러나 칭코만능주의자 스는 아무튼 칭코가 크고 드라고니아 본인이라니까 됐지 않냐며 콧방귀도 뀌지 않고 눈 앞의 엘리자베스를 차기 국왕으로 떠받든다. 뒤늦게 소동을 듣고 달려온 부하들. 하타 황태자는 이 개판을 보고 한 마디 해달라고 하지만 부하들은 사정도 모르는 주제에 칭코만 보고 그쪽에 붙어 버린다. 결국 이놈의 종족은 칭코만 있으면 아무래도 좋은 것이다.
          * 스를 앞세운 부하들은 오우고우 왕가의 오랜 공백기간과 바보황태자(하타황태자)가 망친 국정을 논하며 속히 돌아와 왕위를 이어달라고 말한다. 하지만 드라고니아는 고사한다.
  • 창작:세대륙 이야기 . . . . 7회 일치
         [[창작:드워프(세대륙 이야기)|드워프]]
         [[창작:인간(세대륙 이야기)|인간]]
         [[창작:엘프(세대륙 이야기)|엘프]]
         [[창작:용(세대륙 이야기)|용]]
         [[창작:마족(세대륙 이야기)|마족]]
         [[창작:뱀파이어(세대륙 이야기)|뱀파이어]]
         [[창작:오크(세대륙 이야기)|오크]]
  • 창작:좀비탈출/5-1-1-1 . . . . 7회 일치
         그럼 나는 지금 탄피를 주으러 가는 건가? 이웃집 마당에 내려서며 중얼거렸다. 마당은 우리집보다는 어수선했고 누군가의 손을 탄 흔적이 곳곳에서 보였다. 예상대로 이곳도 대문이 열려있다. 이 모양이니 온동에 도둑이 들끓었지. 부족한 방범의식 덕에 녀석들의 식사시간이 더 편리해졌겠군.
         "자 첫 번째 목표 달성."
         지금 와서 말이지만, 토트넘의 집은 우리집하고 같이 지었다. 우리집이 지어지던 시절만 해도 이런 단독주택이 유행이었고, 시공사에서는 '''같은 설계'''로 여러 번 지으면서 공정을 단축했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는 아버지가 해준 건데 한 귀로 흘려보낸 줄 알았던 것이 갑자기 되살아났다. 뭐 아주 모르는 집에 들어온 건 아니라는 위안거리일까?
         '''다이너스티'''. 옛날에 현대에서 내놨다는 고급형 차량이다. 토트넘이 이 차를 아끼는 것은 우리 아버지가 창밖의 풍경을 아끼는 것 만큼이나 각별했다. 내가 알기로 이건 90년대 말에 나온 골동품인데 이걸 아직까지도 좋아서 끌고 다니는 사람은 토트넘 뿐이다. 내가 아직 동에서 살던 시절엔 어쩌다 마주치면 곧 차 얘기로 넘어가고 차얘기는 곧 다이너스티에 대한 예찬으로 끝이 났는데 아직도 그 레퍼토리를 기억하고 있다.
         "똥싸는 소리하고 자빠졌."
         이건 아주 간단한 이야기다. 내가 토트넘을 쓰러뜨리고 시체를 잘라서 던져놓은 거에 비하면 쉬운 일일 것이다. 현관에서 살펴보고 위험이 있을 법하다면 바로 도망치면 된다. 아무렴 토트넘의 조기축구회 친구들이 여기서 뒷풀이를 하고 있진 않을 거야. 우선은 그저 보는 것, 그정도는 위험하지 않아. 이미 위험한 단계는 지나버린 거라고.
  • 토리코/379화 . . . . 7회 일치
          * 아카시아는 백채널의 힘을 역이용해서 오를 극적으로 진화시킨다.
          * 스카이디어의 백채널에서 오는 삐쩍 말라붙는다.
          * 그와 격전을 치른 맹수들도 상당히 타격을 입었지만 건재. 오의 몸이 소멸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무도 아카시아의 죽음을 의심하지 않는다.
          * 오는 훨씬 강한 모습으로 되살아나 맹수들을 일소하고 스카이디어의 백채널까지 벗어난다.
          * 그 말대로 아카시아는 오의 압도적인 적응력과 끝없는 진화를 설명하며 "수천, 수만년이 걸릴 진화를 시간을 가속하는 백채널 덕분에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 진화한 오는 몸을 날려 토리코의 목을 꿰뚫는다.
          * 오가 드디어 GOD에 도달한 셈이지만, 정작 그걸 요리해줄 죠아가 스타준하고 치고 받고 있어서 먹으려면 멀었다.
  • 하이큐/224화 . . . . 7회 일치
          * 충분히 좋은 흐름이라고 생각하던 시점에서 갑자기 끊어져 버린다.
          * 스파이크를 실패한 아즈마 아사히에게 폭언을 하는 카게야마.
          * 카게야마는 불만이 가득한 얼굴인데 아즈마가 뭐라고 말을 붙이려 하자 "나는 좋은 토스를 올리니까 좀 더 넣어달라"고 언성을 높인다.
          * 아즈마는 "상냥하게 말해줘"라고 한다.
          * 히나타는 팀원들의 이런 의사를 들면서 "가 임금님인건 아무래도 좋다"고 말한다.
          * 아즈마는 다테 공고의 블록 타이밍과 어긋나게 치려고하는데 아직 적응이 안 돼서 잘 되지 않는 상황. 아까의 미스도 그런 시도 중에 나온 것이다.
          * 갑자기 히나타가 "세터는 지배자 같아서 제일 멋지잖냐"라고 하는데, 예전 카게야마가 했던 말을 흉내낸 것.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6화 . . . . 6회 일치
          * 학부형 면담이 시작되는 우마루 학급.
          * 우마루 학급이 삼자면담(학부모면담) 개시.
          * 에비나 나나의 어머니 "에비나 " 여사. 아키타에서 곧바로 올라왔다.
          * 에비나는 우마루 학부모는 오지 않는 거냐고 묻는데, 우마루는 다소 난처한 듯 우물쭈물한다.
          * 우마루 가족사정이 밝혀질지도 모른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0화 . . . . 6회 일치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170화. '''오빠와 여동생의 이야기'''
          * 모토바 타케시(봄바), 타치바나 알렉스와 그런 이야기를 나누는데 콘고 카나우가 은근슬쩍 끼어든다.
          * 출근한 타이헤이는 점심 시간에 봄바와 알렉스에게 그런 이야기를 하며 푸념한다.
          * 봄바는 자기도 밤샘한 적이 있다며 심야 라디오를 듣던 시절 이야기를 한다.
          * 귀가한 타이헤이가 회사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는데 우마루가 질색한다.
          * 타이헤이는 여동생의 프라이버시를 생각해서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우마루는 오해 당하면 어쩌냐고 법석을 떤다.
  • 고대 그리스 . . . . 6회 일치
         고대 그리스 시기가 그리스 최초의 문명은 아니지만, 그리스 암흑시대로서 단절기가 있어 이전 시대는 미케 문명, 미케 그리스라고 한다.
         [[미케 문명]]이 대충 멸망하고, [[그리스 암흑시대]]가 끝난 다음, 폴리스(도시국가)들이 나타나는 초창기의 시기를 뜻한다.
         아테와 스파르타가 전성기를 맞이했을 무렵이다. 찬란한 발전을 이룩했으나 펠로폰소스 전쟁을 거치면서 아테와 스파르타가 서로 싸워대면서 쇠퇴하게 된다.
  • 리그컵(K리그) . . . . 6회 일치
         흥행은 엄청난 대참패라서 2016년에 리뉴얼한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연혁에서도 이 대회는 전혀 이야기가 없다.[*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도 '''"1992년, 정규리그 이외 최초로 별도 컵대회인 아디다스 “컵” 신설"'''이라고 밝히고 있을 정도로 당시 대회는 그 누구도 관심갖지 않는 대회였다.] 연맹에서 K리그의 역사를 논할 때 프로-세미프로로 합동 운영했던 수퍼리그를 K리그의 일부로 보는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이다.[* [http://www.kleague.com/kr/sub.asp?avan=1001124800|리뉴얼 이전 자료]에는 남아있다.]
         == 스폰서 임의 변천사 ==
         첫 대회부터 10만 달러라는 거액을 유치한 것 까지는 좋은데, 일정을 제대로 조정하지 못하여 리그가 진행되고 있던 6월부터 수요일에만 경기가 열렸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주중경기는 주말경기보다 사람이 모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흥행을 위해 진행한다는 취지는 처음부터 안드로메다로 향하고 있었던데다가 상금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주중경기 편성이라는 점 하나 때문에 거의 모든 팀이 이 대회를 처음에 엄청 싫어했다. 그리고 첫 단추를 잘못 끼운 댓가로 리그컵에 대한 위상이 점점 시간이 흐를수록 구단들의 반감을 사는 요소만 한가득 얻었다.
         두번째 대회에 좀 나아졌냐면 또 그것도 아니라서... 리그가 끝난 10월에 시작했기 때문에 시간상으론 제법 널널했을텐데도 각 팀은 1주일에 2번씩 경기를 치루는 하드코어한 일정을 보낸다. 이쯤되면 운영방식에 대해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을 지경이라 시간이 흐를수록 K리그의 상금과 위상이 리그컵을 명백히 넘고나서부턴 각 구단이 2군리그와 비슷하게 취급하게 된다.
         KFA가 구단들과의 의견조율이 실패하여 리그컵과 관련한 협조를 구하지 못했던 것도 리그컵에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구단들은 10만 달러를 전액 상금화를 생각하였는데, KFA는 이걸 일부만 상금으로 쓰고 나머지는 KFA에서 아마추어를 지원할 자금으로 돌릴 생각을 갖고 있어서 1회 아디다스컵은 "상금은 있는데 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되었다. 당초에 이는 아디다스컵이 열리게 된 이유가 구단들과 제우교역측과의 논의에서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3650363|스폰금액은 전액 상금으로 쓸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풀어갔는데 KFA가 이를 계약서를 찍을때 "협회에 일임함"으로 이야기를 바꿔버려서 협회와 구단사이에 골이 생기게 만들어버렸다. 해당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아디다스컵의 창설을 주도한 건 협회가 아니라 구단이며, 이는 구단의 수익을 위한 상금배분을 협회가 개입함으로써 제대로 수틀린 것. 제우교역측은 명백히 "프로구단을 위해 사용하길 바람"인데 KFA는 프로리그를 위한 돈을 멋대로 아마추어 사업에 쓰겠다고 나섰으니 구단들이 이 대회를 심정적으로나마 보이콧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어버린다.
  • 마기/311화 . . . . 6회 일치
         [[마기]] 311번째 밤. '''2년 만의 재전'''
          * 알라딘은 "연백영의 몸을 돌려주고 신드바드에게 수작 부리는 것도 관둬라"고 요청하고 아르바는 대답 대신 " 얼굴은 그 두사람(솔로몬과 시바)과 닮아서 싫다"고 디스한다.
          * 아르바는 알사멘의 병력을 총출동시켜서 개의 극대마법으로 알라딘을 공격한다.
          * 알라딘은 인사와 함께 "백영의 몸을 돌려주고 신드바드에게 찝적거리지 마라"고 요청하는데 아르바는 "많이 컸다. 얼굴은 솔로몬과 시바를 닮아서 싫다"고 동문서답한다.
          * 그 말대로 개의 극대마법이 동시에 시전된다.
          * 유난은 그 어떤 방어마법도 막을 수 없을 거라 하는데 알라딘은 뜻밖에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개의 마법을 맞는다.
  • 마기/314화 . . . . 6회 일치
         [[마기]] 314번째 밤. '''재회, 그리고'''
          *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알리바바가 갑자기 폭탄 발언을 하는데.
          * 술집에서 밀린 이야기를 나누는 알리비비, 알라딘 일행.
          * 알리바바도 현세로 돌아와서 황제국을 재건할 때까지 일을 이야기한다.
          * 츠메구사로 쥬다르를 찾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백룡.
  • 바실레이오스 1세 . . . . 6회 일치
         같은해 2월, 제국은 프랑크 황제 루트비히 2세의 서신을 가지고 왔다. 그는 2년전에 사라센이 장악하고 있던 남이탈리아의 바리를 공격했는데, 별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러자 바실레이오스는 그에게 해군함대를 보내 지원해주겠다고 하면서 그의 아들인 콘스탄티노스와 딸 헤르밍가르데의 결혼도 제의한다. 루트비히는 우호적인 답신을 보냈고, 869년에 니케타스 제독을 지휘관으로 한 제국의 함대가 바리를 향해 출항한다. 그러나 니케타스는 프랑크군이 군기가 형편없는 모습을 보고 경멸을 감추지 못했고, 루트비히에게 '프랑크 왕'이라고 한단계 낮춰부르기까지 했다. 결국 두사람사이에 싸움이 벌어졌고, 결국 니케타스는 함대를 이끌고 콘스탄티노플로 돌아가버린다. 이에 대해 항의하기 위해 사절을 보낸것이다. 자칫 전쟁이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으나, 루트비히가 베벤토를 공격하다가 그곳 공작의 포로가 되어 베벤토를 다시는 침략하지 않겠다고 복음서에 맹세를 한 굴욕을 당해 어느정도 조용해졌다.
         이후 그는 건축사업에 착수하는데, 우선은 성 소피아 성당과 성 바울 성당을 보강했고, 이후 '아 바실리카'라 불리는 그의 걸작품인 성당을 축조한다. 이 성당은 바실레이오스의 성 소피아 성당이라 할 수 있는데, 금을 입힌 돔은 도시밖에서도 보였고, 내부를 들여다보면 돔내부에는 예수의 모자이크가 그려져 있으며, 그외에 천사, 대천사, 순교자, 사도 등등이 묘사된 모자이크가 실내 곳곳을 장식했다. 성상 칸막에는 금은과 보석들이 장식도 있었고, 주제단은 '금보다 더 귀한 금속으로'장식되 있었다고 하며, 은을 입힌 닫집 기둥[* 중간을 오목하게 파서 장식한 기둥]이 성당주위를 둘렀다. 그외에도 그는 금고와 목욕탕, 트리클리니움[* 침상이 구비된 식당]을 많이 지었으며 칼케대문과 도시의 수많은 궁전들을 보수하고 일일이 장식했다. 말그대로 그의 치세에 도시는 전성기를 열었다.
         그의 레온에 대한 혐오는 그의 장남인 콘스탄티노스가 갑자기 요절하면서 더더욱 심해지는데, 아마도 이는 자신이 암살했던 미카엘의 아들이 자신의 후사를 잇는다는 두려움과, 자신이 그 누구보다 아꼈고 자신보다 더 위대한 황제가 될거라고 의심하지 않았던 콘스탄티노스의 사망으로 인한 우울증때문이었을것이다. 특히나, 한번은 레온은 황제에 의해 구금되어 눈을 뽑힐뻔하기까지 한다.[* 직전에 황제가 왜인지는 몰라도 마음을 바꾸어 그런일은 겪지 않았지만.] 거기다가, 레온이 명예를 회복하자 거리에서 시민들에게서 받은 갈채는 그를 더더욱 우울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그에게 있어서 남은건 사냥뿐이었다. 그의 죽음도 사냥사고라고 사서에 알려져있는데, 문제는 해당 사고에 대한 설명이 상당히 이해하기어렵다. 그의 죽음에 대해 설명한 사서에 따르면, 그는 수행원들이 '지쳐서'그를 따라가지 못할때 혼자 깊숙한 곳에서 사냥중이었으며, 그러던중 한 사슴을 만난다. 황제가 그 사슴을 잡으려 할때, 그 사슴이 황제에게 돌진해 뿔로 그의 허리띠를 걷어 그를 안장에서 내쳤다. 그리고 그사슴은 장장 25km를 황제를 건채로 다니다가(...) 황제를 찾은 경호병이 허리띠를 잘라버리고 수행원들이 모여들자 도망쳐버렸다.
         이야기는 황제가 왜 칼을 뽑지않았느냐, 거구의 체격이었던 황제를 사슴이 어떻게 끌고 25km나 갈 수 있었나, 황제는 왜 허리띠를 자르지 않았느냐 등등의 의혹을 낳는다. 무엇보다 능숙한 사냥꾼이기도 했던 황제가 왜 그런 사고를 당했느냐는 가장 큰 의혹을 낳는다. 그래서 구출대의 지휘자가 레온의 애인의 아버지인 스틸리아누스 자우체스였던것등을 물어, 해당 사고가 레온이 (양)아버지를 죽이고 황위에 오르려 했다는 의심을 하는 이도 있다.
  • 브로포스 . . . . 6회 일치
         해당 적들의 이름은 [[http://broforce.wikia.com/wiki/Broforce_Wiki|브로포스 위키]]를 참조함. 쟤 이름은 어디서 알아낸건지…….
          2번째 임무인 캄보디움의 보스. 폭탄 투하와 기관포 난사라는 두 종류의 패턴을 번갈아 사용한다.
          3번째 임무인 아스토츠카의 보스. 자살 무크 무리를 발사한다.
          5번째 임무의 보스. 말이 스텔스지 그냥 풀떼기로 위장한거다. 곡사포 발사, 기관포 난사, 근처에 수류탄 뿌리기라는 세 종류의 패턴을 번갈아 사용한다.
          6번째 임무의 보스. 영화 [[유니버설 솔져]]의 앤드류 스콧/GR13을 패러디한 캐릭터. 로켓 난사, 수류탄 던지기라는 두 종류의 패턴을 번갈아 사용하며, 가끔씩 공중으로 뛰어올라 플레이어를 내려찍으려고 한다. 체력을 전부 깎아도 잠시 쓰러져있다가 부활하므로 낙사시켜야만 한다.
          람보르/B.A. 브로라쿠스/브로 하드/스이크 브로스킨 중 한명을 이용하는 임무. 전력질주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클리어하면 비타민이 해금된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7화 . . . . 6회 일치
         카라는 힘의 근원이 되는 지구의 노란 태양 에너지 방사능을 레드 토이도와의 싸움에서 크게 소진하여, 힘을 잃어버린 상태가 되었다. 알렉스는 행크를 불신하고 조사해보려고 한다. 힘을 잃어버린 카라는 면역력이 떨어져서 감기에도 걸려버린다. 그랜트는 세균이 퍼진다고 호들갑을 떨며 카라를 휴직시킨다. 행크는 사이킥을 사용하는 외계인 젬을 심문하는데, 젬은 행크의 정체에 대해서 이야기 하며 가 사랑하는 자들을 죽이겠다는 말도 한다. 행크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이젠 없다는 말을 내뱉는다.
         카라와 제임스는 길을 걷고 있을 때, 갑자기 큰 지진이 일어난다. 제임스는 차에 치일 뻔한 카라를 구해주지만 카라는 땅에 부딪쳐서 팔이 부러지고 만다. 아픔을 느낀 카라는 굉장히 괴로워한다. DEO 기지는 젬이 탈출하여 봉쇄된다. 행크는 정신파 차단기를 가지고 젬을 막으려 하지만, 알렉스는 행크의 조치에 의구심을 느낀다.
         카라와 제임스는 맥스웰을 찾아가는데, 맥스는 슈퍼맨에 대해서 공부를 했다면서 레드 토이도와의 전투로 소모가 된 상태일 거라고 정확하게 추정한다. 그리고 능력을 살리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카라는 갑자기 나타난 아스트라와 클립토니안들에게 붙잡힌다.
  • 스틸오션/미국 . . . . 6회 일치
         >애틀랜타급 순양함은 원래 선도구축함으로 설계된 경순양함이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에서 효과적인 대공구축함이라는걸 증명해냈다. 애틀랜타급 순양함 총 척과 개선형인 오클랜드급 순양함(Oakland-class) 척이 발주되었다. 애틀랜타는 1942년 11월 13일에 일어난 과달카날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 격침되었다. 주노(Juneau)는 인디스펜서블 해협에서 후퇴하던 도중 일본 잠수함 I-19에게 격침되었다. 이때 사망자에는 설리반 오형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설리반 오형제의 죽음으로 미 전쟁성은 솔서바이버 정책[* Sole Survivor Policy. 형제들 중 전사자가 있을 경우 병역이나 전투병과에서 제외되는 정책.]을 채택한다.
         >15문의 6인치 함포로 무장한 브루클린급 순양함은 일본 모가미급의 대항마로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이들은 최전선 각지에서 활동했다. 헬레나(Helena)는 쿨라 만 해전에서 어뢰에 맞아 격침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몇몇 브루클린급이 다른 나라로 양도되었다. 그중 하나인 헤랄 벨그라노(General Belgrano)-예전 이름은 피닉스(Phoenix)-는 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 구축함에 의해 격침되었다.
         >독일 U보트로부터 항로를 지키기 위해 많은 C3형 화물선 선체가 호위항모로 만들어졌다. 그중 몇몇은 왕립 해군에게 공여되었다. 보그급 호위항모 중에는 두척의 잠수함(1943년에 U-220, 1944년에 U-1059)을 격침시킨 블록 아일랜드(Block Island)도 있었다. 이 함선은 척의 유보트를 구축함과 함께 격침시키기도 했다. 블록 아일랜드는 1944년 5월 29일, U-549의 뇌격으로 격침된다.
         >사우스 캐롤라이나급 전함은 "올-빅-건" 설계를 채용한 첫번째 미국 전함이다. 영국의 드레드노트급보다 먼저 설계되었지만, 드레드노트보다 늦게 완성되었다. 화력, 방호 능력, 항해 속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 오랜 시간 사용되었다. 총 두척의 사우스 캐롤라이나급 전함이 건조되었다. 1921년 말~1922년 초 퇴역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신형 증기기관을 탑재한 플로리다급 전함은 이전 함급인 델라웨어급(Delaware-class)보다 약간 큰 걸 빼고는 매우 유사하다. 플로리다급 전함은 개의 파슨즈 증기기관에 의해 가동된다. 1920년대, 두척의 플로리다급 전함이 개장되었다. 런던 해군 조약에 의해 플로리다는 해체되었다. 유타(Utah)는 진주만 공격 때 격침되었다.
  • 아이네이아스 . . . . 6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아이이아스와 같이, 트로이 전쟁의 영웅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비정하는 신화는 그리스 계 식민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아르고스]]에서 쫓겨난 [[디오메데스]]는 다우니아의 왕 다우누스의 딸과 결혼하여 그 땅을 이어받아 브린디시 등의 도시를 건설하였다고 하며[* 디오메데스는 똑같이 이탈리아에 표류한 아이이아스와 대적하던 에트루리아의 투르누스에게 동맹을 요구받지만, 디오메데스는 아이이아스 개인에게는 원한이 없다는 이유 혹은 아프로디테의 미움을 받는 것이 두려워 거절하였다고 한다.], 크레타의 지배자였던 이드메니우스 역시 크레타에서 쫓겨나 이탈리아 남부로 도망쳤고, 살라미스 섬의 테우크로스는 키프로스로 떠나[* 테우크로스는 살라미스의 영웅 [[아이아스]]의 가족이었지만, 아이아스의 자살을 말리지 않고 복수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이아스의 아버지 테라몬 왕에게 미움을 받았다.] 살라미스 시를 건설하였다고 전해진다. [[헤라클레스]]의 [[활]]을 가지고 있었던 필로크테이스 역시 이탈리아 남부에, [[트로이의 목마]]를 만든 에페이오스 역시 이탈리아 남부의 메타폰시온 시를 건설하였다고 전해진다. 이 무렵 이탈리아 그리스 계 도시에서 있었던 유행에 로마 역시 영향을 받게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이이아스 이전에는 라틴 족의 상징적인 조상으로서 '[[라티누스]]'가 그와 같은 역할을 맡고 있었다.
         한편, 카르타고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인 '디도 공주'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비중있게 실려 있는데, 이는 시기상 '포에니 전쟁'이라는 크나큰 전쟁을 치른 상대인 카르타고와의 관계를 운명론적으로 해석하려 시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6회 일치
         Ace Combat Zero: The Belkan War. 비행슈팅게임 [[에이스 컴뱃 시리즈]]의 6번째 작품.
          이 게임의 플레이어이자 주인공. 사이퍼는 TAC 임이며, 이름은 절대 나오지 않는다.
          TAC 임 픽시. 사이퍼의 윙맨으로 [[F-15|F-15C]]를 사용한다. 날개 하나를 잃은 채로 기지로 귀환한 전적이 있기에 "편익"(Solo Wing)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우스티오에 고용되어 벨카 공군을 상대로 싸우지만 폴크 자신은 벨카 출신.
          벨카 공군 제10항공사단 8전술전투비행대대 소속. [[F/A-18|F/A-18C]]로 이루어진 그룬 편대의 편대장. 전투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가졌기에 [[올빼미]]의 눈을 가졌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벨카 공군 제22항공사단 4전술전투비행대대 소속. [[F-14|F-14D]]와 [[EA-6B]]로 이루어진 슈에 편대의 편대장. 별다른 야망 없이 정규군 조종사로 싸우는 것만을 바랬다.
          벨카가 개발한 레이저포. 스윽 그었더니 비행 중이던 [[수송기]] 편대가 격추될 정도로 강력하다. 사정거리도 생각보다 짧지 않은 듯. 근처에 건설된 대의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수많은 양의 [[대공포]]와 EMP 포드, 레일건을 탑재한 [[열차포]]의 방어를 받고있다.
  • 원피스/817화 . . . . 6회 일치
          * 모모노스케는 이누아라시와 코마무시의 싸움을 말리는 등 어른스럽게 굴지만, 막상 루피가 자기 신분을 대우해주지 않자 삐져서 나미에게 응석부린다.
          * 코마무시, 이누아라시, 킨에몬, 칸주로, 라이조 등 모두 코즈키 일족의 가신이었다
          * 라이조는 나무 안의 "포그리프"에 묶여 있었다. 나라를 희생시키느니 자신을 넘기라고 아우성 쳐서 묶어놨다고 한다.
          * 이곳의 포그리프는 빨간 색이라 이누아라시, 코마무시도 의문시 하고 있었고 로빈에게 해독을 부탁한다.
          * 사실 코마무시와 이누아라시는 사이가 좋았는데 티격태격하는 것 같다.
  • 원피스/841화 . . . . 6회 일치
          * 한편 유혹의 에서 싸우고 있는 루피는 벌써 11시간 째 크래커를 상대 중.
          * 이후로 요리를 연구하면서 지내는데, 어느날 요리책에서 "오올 블루"를 알게 된다.
          * 그러던 어느날, 형제들이 상디가 있는 감옥을 알아차린다.
          * 레이쥬는 최창살을 휘게해서 상디가 도망칠 수 있게 해준다. 자신은 "두 번째는 없다"고 못 박고 서둘러 자리를 뜬다.
          * "내가 아비라는 사실은 절대 남들 앞에서 밝히지 말아다오. 그 누구에게도 알리고 싶지 않은 오점이다."
          * 한편 유혹의 에서 싸우고 있던 루피는 뒤룩뒤룩 살이 쪄버렸다.
  • 원피스/843화 . . . . 6회 일치
          * 유혹의 을 벗어나 도심지까지 날아가는 크래커.
          * 가렛은 크래커가 밀집모자 일행을 처리하기 위해 유혹의 에 갔던 걸 기억해낸다.
          * 유혹의 에선 도망쳤던 파운드가 돌아와 혼자 달아나서 미안했다고 사과하고 있다.
          * 그리고 나미에게 빅맘의 자식들 조차 가지지 못하는 비브르 카드를 어떻게 손에 넣었냐고 묻는데 나미는 "그만큼 중요한 물건인가 보"하며 입맛을 다신다.
          * 캐럿이 상디를 되찾으면 이 거울로 연락하라고 말하던 중 갑자기 거울조각이 깨져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게 된다.
          * 나미도 손을 흔들면서 반가워하는데, 빈스모크가의 형제들이 눈이 하트가 되며 정신을 못 차린다.--형제 맞.--
  • 은혼/580화 . . . . 6회 일치
         * 카무이는 시비를 걸던 동 양아치들을 매번 박살내줬는데, 우미보즈는 힘을 함부로 휘두르지 말라고 주의를 준다. 더불어 "엄마와 가구라를 지킬 정도로 강해져라"고 하는데...
         * 또 카무이를 괴롭히려는 동 양아치를 가구라가 막아서는데, 어렸던 가구라는 양아치들의 공격에 크게 다친다. 그때 그 지역에 볼 일이 있어 지나가던 하루사메의 일원이 남매를 구해준다. 이것이 젊은 시절의 아부토.
         * 그러나 그것은 우미보즈도 모르는 것이었다. 우미보즈는 다시 여행을 떠나며 코우카에게 "가 목숨 걸고 우리 곁에 있는걸 택했다면, 난 너희 곁을 떠나도 목숨을 잇는다"며 "그게 황안에 피었던 단 한 송이 꽃을 시들게 한 업"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것을 카무이가 모두 듣는다
         "가 목숨 걸고 우리 곁에 있는걸 택했다면, 난 너희 곁을 떠나도 목숨을 잇는다"
  • 일곱개의 대죄/188화 . . . . 6회 일치
          * 엘리자베스 일행이 리오스 왕국으로 돌아오고 있다. 호크 엄마의 놀라운 활약. 호크는 마신족의 고기를 먹더니 마신족 비슷하게 변한다.
          * 몬스피드와 데리엘은 엘리자베스 일행과 직접 대면하는데, 데리엘은 엘리자베스를 "가 왜 여기있냐"고 경계한다.
          * 사실상 리오스 왕국의 함락.
          * "가 왜 여기있지?"
          * 갑자기 떡밥 터지는게 많은 에피소드.
          * 호크는 갑자기 마신족화. 그런데 보통 트랜스 포크 상태에선 호크의 자아가 유지되는데, 마신족을 먹어서 그런지 정신줄을 놔버렸다.
  • 일곱개의 대죄/195화 . . . . 6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 제 195화. '''리오스 방위전 종결'''
          * 3000년 전 멜리오다스가 배신했던 때를 회상하는 프라우드린. 그는 사랑 때문에 종족을 배신했다는 이야기를 이해할 수 없었다.
          * "놈이 달콤한 꿈에 빠져 있는 사이 우린 여신족에게, 놈에게 복수할 것만을 기다려왔다."
          * 프라우드린은 그 표정이 얼마나 가겠냐고 비꼬며 그를 죽이진 못해도 리오스를 지도에서 지우는건 가능하다며, 멜리오다스 탓에 인간들이 죽을 거라고 말한다.
         프라우드린의 죽음. 이로써 리오스를 침공했던 십계는 전원 재기불능이나 생사불명에 처했다. 특히 프라우드린은 완전히 소멸된 것 같고 멀린에게 포획된 그레이로드도 해방될 일은 없을 듯. 현재 제대로 움직일 수 있는건 그로키시니아와 드롤 정도다. 당초 십계 측의 총전력이 우세하다는 평이 많았는데, 결과적으론 십계가 일방적으로 학살 당한 수준. 아군측 주전력이라 할 수 있는 십계나 성기사 측에선 대단히 경미한 희생만 치렀을 뿐이다. 특히 실질적으로 십계는 멜리오다스와 에스카노르 두 사람에게 철저하게 당한 셈인데 십계 중 누구도 1대1로 이들을 압도할 수 있는 인물이 없었다. 멜리오다스가 한 번 죽은 것 조차 2대1로 멜리오다스에게 지다가 십계 전원이 모여서 다구리를 놓은 것이니...
  • 카쿠스 . . . . 6회 일치
         [[로마 신화]]의 인물. [[헤라클레스]] 연관된 이야기가 있는 악당 혹은 괴물이다. 그 이름은 그리스어로 '나쁘다'는 뜻을 가진 카코스(Kakos)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 아이이아드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이아드에서는 초자연적인 이야기로 묘사된다.
         아이이아드에서 카쿠스는 인간이 아니며, 아벤티노 언덕있는 동굴에서 살아가는 [[볼카누스]]의 아들로 연기와 불꽃을 토하며 [[인육]]을 먹는 무서운 괴물 인간이다. 인간을 잡아 먹기 때문에 동굴 주변에는 피냄새가 가득하고, 동굴 입구에는 썩어가는 인간의 머리가 걸려 있었다. 그러나 겁쟁이였기 때문에 헤라클레스가 쫓아오자 동굴로 달아났다. 카쿠스는 쇠사슬을 잘라서 볼카누스가 설치해둔 거대한 바위를 떨어뜨려서 동굴을 막아버렸다.--그럼 자기는 어떻게 나오려고--
          * 베르길리우스의 아이이아드에서 [[볼카누스]]의 아들로 묘사된다.
  • 토리코/370화 . . . . 6회 일치
          * 바로 그때 배후에서 오가 나타난다.
          * 죽음의 순간에도 지지는 마지막 책무, GOD의 조리법을 전하는 걸 완수하고자 했으나 오의 마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삼켜지고 만다.
          * 오는 다시 아카시아의 얼굴을 드러낸다.
          * 내일은 온다, 태양이 뜬다 같은 말은 거짓이 될 것이며 모든 것은 오에게 먹혀 버릴 거라고 말한다.
          * 아카시아가 GOD를 얻고도 플로제를 잃고, 오의 완전한 각성도 이루지 못했던 이유도 알 수 있을 것.
  • 토리코/374화 . . . . 6회 일치
          * 그러나 한쪽 세포가 압도적으로 강하다면 먹는 것도 가능하긴 한데 오가 돈슬라임을 먹은 것과 같은 이치.
          * 그렇기에 블루 니트로 아톰은 토리코의 "오를 풀코스에 넣겠다"는 선언을 정신나간 소리 취급한다.
          * 토리코는 오히려 그것이 "경의"라고 하자 아카시아는 집어치우라며 "그 경의, 내가 게 보여주도록 하마"라고 한다.
          * 돈 슬라임의 무수한 공격도 받아냈던 오는 청귀의 공격에 다소 타격을 입는다.
          * 아카시아도 이 공격만큼은 어쩌지 못하고 얻어맞으며 피를 토하고 오로도 공격의 데미지를 먹을 수가 없다.
          * 스타준은 여유롭게 "보스에겐 마지막에 정신을 차렸다고 얘기해주마"고 말하는데, 갑자기 토미로드와 그린패치가 녹아내리듯 무너진다.
  • 토리코/375화 . . . . 6회 일치
          * 스타준은 "근거없는 자신감"이 아니라 자신의 힘의 원천이라며 "나는 생각만큼 젊진 않다"고 받아친다.
          * GOD는 오를 집요하게 공격하는데 공격을 피하던 아카시아는 열받게 하지 말라며 GOD의 혀를 삼키려 한다.
          * 오 앞에 나타난 것은 마왕 헤라클레스.
          * 원왕 밤비나 등장. 원왕은 다짜고짜 오를 쳐날린다.
          * 기존엔 오가 팔왕을 능가하거나 엇비슷할거라는 예측이 많았는데 실제론 팔왕급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
          * --팔왕이 죄다 오나 갓의 한끼 식사거리로 전락할 거라는 의견도--
  • 페어리 테일/492화 . . . . 6회 일치
          * 전장에 있던 하이와 줄리엣(아이린의 두 부하)는 미라젠에게 싸움을 걸고 미라젠은 동료들을 먼저 보내고 혼자 상대한다.
          * 하이와 줄리엣은 사실 두 자루의 검이었다. 아이린의 하이인첸터 능력으로 인간 모습을 하고 있던 것.
          * 하이는 강한 마력이 담긴 리본을 사용하고 줄리엣은 다양한 속성의 점액을 사용한다.
          * 이들의 목표는 미라젠. 점액과 리본의 콤비이션으로 미라젠을 묶는다.
          * 하이와 줄리엣은 미라젠의 생각보다 훨씬 강했다.
          * 그 마력은 바닷물이 마르고 하이가 괴물이라고 경악하는 수준.
  • 핑커톤 . . . . 6회 일치
         1892년, [[카기 철강]] 소유 제철소인 홈스티드 제철소의 노조가 [[파업]]하자 진압에 참여하였다. 이로 인해 10여명의 노동자와 3명의 핑커톤 직원이 사망하였다. 핑커톤은 홈스티드 파업을 진압하는데 실패하였으며, [[주방위군]]이 동원되고나서야 홈스티드 파업을 진압할 수 있었다. 핑커톤은 홈스티드 파업 외에도 여러 파업을 진압하는데 참여하였다.
         드라마 [[The Pinkertons]]는 핑커톤의 창립자인 앨런 핑커톤과 그의 아들인 윌리엄 핑커톤, 그리고 핑커톤 소속 탐정인 케이트 와르[* 밑에 있는 여담에 써진 걔.]를 다룬 드라마다.
         미국 최초의 여성 탐정인 케이트 와르(Kate Warne)가 고용된 탐정 회사이기도 하다. 1856년 고용되었다고.
         현재 핑커톤은 미국, [[멕시코]], [[브라질]], [[영국]], [[덜란드]], [[독일]], [[체코]], [[UAE]], [[인도]], [[싱가포르]], [[인도시아]], [[홍콩]], [[중화인민공화국|중국]], [[중화민국|대만]]에서 활동하고 있다. 많.
  • 하이큐!! . . . . 6회 일치
         기존의 배구 만화들이 에이스 스파이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던 반면, 하이큐!!는 세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배구에서는 흔히 하는 말로, '[[야구]]를 [[투수]] 놀음이라 한다면 [[배구]]는 세터 놀음' 이라 한다. 그만큼 배구에서 세터란 포지션이 중요하며, 이는 작중에서 [[코즈메 켄마]]가 '세터는 가장 능력이 좋은 사람이 하는 포지션' 이란 대사로도 언급된다. 이처럼 현실 배구에서는 가장 중요한 포지션임에도 그 특성상 화려함은 떨어지는 포지션[* 아예 [[히나타 쇼요]]는 세터에 대해서 '수수하고 어려운 포지션'이라고 말한다.]이라, (시각 매체인) 만화에서 세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려면 작가의 역량이 어느 정도 받쳐줘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이큐!!는 이 세터들을 중심으로 경기를 묘사한다. 그래서인지 작중 등장하는 세터들은 유독 [[사기캐]]와 [[먼치킨]]들이 많은데, 그 정점에 본작의 투탑 주인공 중 하나인 [[카게야마 토비오]]가 있다.
         본작의 원안이 되는 최초 단편에 그 흔적이 남아 있는데, 여기서는 세터인 [[카게야마 토비오]]가 사실상 주인공이었으며 비중도 [[히나타 쇼요]] 보다 더 컸다. 후에 연재된 두번째 단편에서 캐릭터의 성격이 정식 연재분과 가장 흡사해졌고 둘의 비중도 뒤바뀌었다(...). 그리고 정식 연재에 와서는 지금처럼 되었다.
         작중 배경은 작가의 전작 [[궤변학파 요츠야 선배의 괴담]]처럼 [[미야기]]현이다. 미야기는 우리나라로 치면 [[강원도]] 정도 되는 곳인데, 그 중에서도 [[카라스노 고교]]가 있는 곳은 시골이다. ~~괜히 얘들이 패스트푸드점 대신 [[만두]]를 사먹으러 가는 게 아니다~~ 카라스노 학생들이 촌사람이라는 걸 반영한 연출인지, 도쿄에 간 [[카라스노 고교]] 부원들이 눈에 보이는 철탑 마다 [[도쿄 타워]]냐고 묻거나, [[타나카 류노스케]]는 [[관동]]의 학교들을 가리켜 '시티보이 연합'(...)이라 부르거나 한다.
         2015년 2월 기준 13권까지 강동욱의 번역에 의해 정발되었는데, 그 사이에서 원어판과 비교해 오역이 많이 드러나 팬들 사이에서는 일어가 가능하다면 원서를 사서 보라고 할 만큼 퀄리티가 좋지 않다는 평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11권 신젠 고교에서의 합숙 줄거리 중 보쿠토와 쿠로오보다 한 살 어린 아카아시가 뜬금없이 반말을 하거나, 오이카와의 그 유명한 '이와짱은 우리 엄마에요?'[* 원어로는 「岩ちゃんは俺のお母ちゃんですか?」.] 대사는 '''가 내 엄마라도 되냐?'''라는 대사로 바뀌어 오이카와에게 일진카와(...)라는 별명이 붙여지기도 했다. 게다가 대화에서 자주 쓰여진다고 보기 어려운 '~예요' 체가 남발되는 경향이 있고, 당당하고 맹한 느낌을 주는 '[~슴다체]'가 번역되지 않고 나오기도 한다. 일단 번역이 등장인물의 성격을 너무도 다르게 표현하는 게 큰 문제. ('''츠키시마: 짜식 멋있는데.''') 당장 몇 년만 지나도 어색할 유행어 집어넣는것은 덤. (시합중의 멘탈은 '''갑 오브 갑'''이지만.) 번역가가 글자를 못 읽는 경우도. ('''코마 농구부''' ~~쿠로오의 농구?~~ '''호쿠토. 아카아시 케이시''') 더 많은 오역 사례가 있으면 [추가바람].
  • 하이큐/228화 . . . . 6회 일치
          * 다테공고와 카라스노고교의 연습시합 종료. 승패와 무관하게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는 시합이었다. 다테의 코가가와 칸지는 카게야마 토비오에게 테이핑에 대해서 묻는다. 보통 선수들은 손가락에 무리가 가는데다 손톱이 부러지는 사고도 있어서 테이핑을 하는데 카게야마는 하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비결이 있는지 궁금해하는 것. 하지만 카게야마는 특별한 건 하지 않고 철저한 단련과 손관리로 극복하고 있다. 테이핑을 감으면 공을 직접 느끼는 감각이 둔해지기 때문이다. 관점이 전혀 다르다는걸 깨닫고 코가가와도 오늘부터 손가락 관리를 시작하겠다고 다짐하는데 지나가던 후쿠타니 켄지는 "작심삼일"이란 뼈있는 한 마디를 던지고 지나간다.
          * 카게야마도 어색한대로 말을 붙이보려 하는데 이름을 "카코가와"라고 잘못 불러서 지나가던 츠키시마 케이에게 디스 당한다. 아무튼 카게야마는 코가가와의 점프 최고도달점을 묻는데 무려 340cm. 카게야마의 337cm보다 더 높다. 게다가 이건 작년 수치라 지금은 더 높이도 올라간다고 하는데. 센터의 이상적인 세트 업은 "높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최단거리로 올리는 세트. 당연히 높은 점프는 센터의 덕목이다. 카게야마 또한 개선할 점을 깨닫고 생각에 잠긴다.
          * 귀가 중 다테 공고 3학년 3인방과 마주치는 카라스노 3학년 3인방. 긴장된 분위기가 감돈다. 특히 아즈마 아사히는 엄청 굳은 표정. 저쪽도 카마사키 야스시가 만만치 않은 표정이다. 모니와 카나메는 봄고 대회 열심히 하라고 격려의 말을 한다. 카라스노 주장 사와무라 다이치가 점잖게 "감사합니다"하고 화답하고 돌아서는데 막상 갈라진 뒤에는 각자 일행끼리 실없는 대화나 주고 받는다.
          * 히나타 쇼요와 아오 타카노부는 말없는 경례로 서로를 전송한다.
  • 하이큐/231화 . . . . 6회 일치
          * 개막식을 앞두고 선수들이 대기실에 모여든다. 카라스노 고교의 사와무라 다이치와 코마 고교의 쿠로오 테츠로는 서로 긴장했냐고 디스하며 압박감을 떨치고 있다. 그런데 쿠로오가 "너 10번(히나타 쇼요) 미아같은 상태인데 괜찮냐"고 하는데 정말로 상태가 좋지 않다. 완전 길잃은 고양이 모드. 위축돼서 서성거리다 다른 선수에게 부딪혀서 비틀거린다.
          * 그러다 하필이면 옆에 있던 니시노야 유가 휘말린다. 히나타가 비틀거리다가 니시노야를 떠밀어 버린다. 그런데 정말로 우연하게도, 정말로 행운스럽게도 그 앞에는 여성 선수가 있었고 이대로면 가슴에 얼굴을 묻어버리는 행복한 해프닝이 벌어질 참이다. 니시노야는 모든 것을 불가항력이라 합리화하며 하나님과 히나타에게 감사하는데, 갑자기 "꽉"하고 잡히는 느낌이 든다.
          * 후쿠로다니 학원의 보쿠토 코타로도 나타났다. 성격대로 떠들썩하게 히나타를 찾아왔다. 커다란 목소리로 히나타를 "1번 제자"라고 불러대는데 보쿠토의 명성을 아는 주변에선 히나타에게 주목하게 된다. 보쿠토는 "트 너머로 만나면 안 봐준다"고 선전포고를 한다. 이어서 츠키시마 케이한테도 아는 척을 하는데 성격적으로 안 맞는 츠키시마는 떨떠름해한다.
          * 무사히 체육관에 도착한 카라스노. 사와무라는 평상심을 중얼거리고 있고 스가와라는 그걸 지적하며 놀린다. 시미즈는 아즈마 아사히가 출입증을 놓고 간걸 챙겨준다. 우카이 코치는 다들 딱딱해 보이지만 상정한 범위라며 오히려 자신이 긴장을 떨치려고 애쓴다. 그런데 히나타가 시합 직전 짐을 뒤적거리는데 뭔가 이상하다고 한다. 모양은 같지만 자기 가방이 아닌 것 같다고 하는데. 그러다 소름 돋는 사실을 알아차리는데.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지만 타나카가 "여왕"팀에 아는 사람이 있다던 복선이 회수됐다. 일단은 귀중한 신 여캐. 시미즈에 이어 작중 공식적으로 "미인"으로 지칭된 두 번째 여캐. 현역 배구선수여서 그런지 엄청난 장신을 자랑한다.
  • 현실문화사 . . . . 6회 일치
         1989년 11월 17일[* 출처: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문화공보부]]에 등록하였다.
         이후 "현실초점"이라는 이름의 계간지를 발간했다. 해당 잡지는 창간호에서 "우리 사회 내부의 무질서, 홍수처럼 쏟아지는 욕구 분출과 과격행동들이 빚어낸 민족의 재난을 경계하고 올바른 국가관·가치관을 뿌리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잡지 창간 목적을 밝혔다.[* 출처: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해당 잡지의 내용은 재야와 [[운동권]]의 논리를 반박하는게 주를 이루었다.
         현재 현실초점 1권을 국회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http://academic.naver.com/search.nhn?field=3&_id=1&query=%27%EA%B6%8C%ED%98%B8:%ED%98%84%EC%8B%A4%EC%B4%88%EC%A0%90%201%EA%B6%8C%27|이버 전문정보의 검색결과]]도 참조할 것.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329215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32&pageNo=15&printNo=13859&publishType=00020|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경향신문 1990년 10월 9일자 - 정보수집 위해 잡지사 도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09211007&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0&pageNo=11&printNo=21263&publishType=00020|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동아일보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 잡지사 운영]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100900289115001&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0-10-09&officeId=00028&pageNo=15&printNo=743&publishType=00010|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한겨례 1990년 10월 9일자 - 보안사서 잡지사도 경영]
  • 히나타 쇼요 . . . . 6회 일치
         || 3학년 || [사와무라 다이치] || [스가와라 코시] || [아즈마 아사히] ||
         경기가 시작되고, 카게야마는 히나타의 경기에 대한 집념과 미숙한 세터가 토스미스한 공을 쳐낼 정도의 뛰어난 반사신경에 감탄한다. 하지만 히나타 외엔 누구도 의욕도 실력도 없었던 유키가오카 중은 불과 31분만에 세트포인트 2-0로 키타가와 제1중학교에 참패. 이 때 카게야마는 중학교 3년 동안 무얼 했냐며 히나타를 질책한다. 히나타는 카게야마에게 설욕을 다짐하며 남은 중학교 시간을 여자 배구부, 동 아줌마 배구팀과 훈련한다. 그리고 그렇게 설욕을 다짐하며 오래전부터 가고 싶었던 카라스노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되는데.... 그러나 배구부가 있는 제2 체육관에 있던 건 바로 원수 카게야마였다.
         [[코마 고교]]와의 연습 시합에서 [[코즈메 켄마]]의 예측으로 위기를 맞게 된다. 코마 고교에서 가장 민첩한 [[이누오카 소우]]에 의해 [[wiki:"카게야마 토비오" 카게야마]]와의 속공이 점점 통하지 않게 된 것. 그러나 카게야마가 히나타를 믿고 계속 공을 올려 보내주나, 히나타가 평소와 달리 토스를 보고 스윙함으로써 공격은 실패한다. 그러나 카게야마가 다이렉트 딜리버리로 올려 주었던 공을 인 다이렉트 딜리버리[* 원래 카게야마는 히나타의 손바닥 핀 포인트에 맞춰서 바로 토스를 보내줬다. 왜냐하면 히나타가 제대로 스파이크 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 이걸 약간이나마 시간차가 생기도록 토스해서 히나타가 스스로 판단해서 스파이크 할 수 있도록 한 것. 이걸 계기로 히나타는 보통의 속공과 괴짜속공 두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로 주어 다른 공격 방법을 찾아내었다.
         이후 꾸준한 연습으로 신 속공의 성공률도 점점 높아져가고, [후쿠로다니 학원]의 에이스 보쿠토 코타로에게 페인트와 리바운드 플레이를 전수받아 다양한 플레이가 가능해져, 차차 최강의 미끼가 아닌 차기 에이스(작은거인)의 길을 밟게 될듯 하다. ~~허나 아직 [아즈마 아사히]에게 기싸움에서 밀린다.~~ ~~한 번은 아사히가 쫄았고, 한 번은 히나타가 쫄았으니 1대1이다.~~
          * 경기 시작 전에 화장실을 가면 꼭 화장실 앞에서 중요 인물을 만난다는 [[징크스]]가 있다. 여담으로 이 징크스가 시작된 것은, 중학생 때 대회날 [[카게야마 토비오]]를 만난 것이 시초이다. ~~그리고 시작되는 복통~~ 사실 히나타 본인도 화장실은 위험인물과 마주치는 장소라는 걸 알고 있다! 결국 봄고 미야기현 대표 결정전 대회 날, 화장실 앞에서 [[아오바죠사이 고교]]의 [wiki:"오이카와 토오루" 오이카와]와 [wiki:"이와이즈미 하지메" 이와이즈미], 시라토리자와학원의 우시와카, [[다테 공업 고교]]의 아오와 한꺼번에 ~~강제~~[[정모]]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트리플플레이~~ ~~올스타전 총출동~~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5회 일치
         2012년 방영한 미국의 다큐드라마. [[코넬리어스 밴더빌트]], [[존 D. 록펠러]], [[앤드류 카기]] 등 19세기 후반~20세기 중반 미국의 거물 사업가를 다룬 전기물이다.
          본명은 토마스 알렉산더 스콧(Thomas Alexander Scott).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사장. 밴더빌트의 라이벌이자 카기의 스승격 쯤 되는 사람.
          * [[앤드류 카기]](Andrew Carnegie)
          효율 향상을 위해 카기가 영입한 인물. 효율적이지만 냉혹한 정책을 벌인다. 그 결과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당할 뻔 하기도.
          [[공화당]] 정치인.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을 막고 백악관에 사람을 만들기 위해 록펠러-카기-모건이 후원한 정치인. 친 기업적인 성향의 인물이었다. 결국 대선에서 브라이언을 이기고 [[대통령]]이 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8화 . . . . 5회 일치
          * 저녁 메뉴를 정하다 히카리 집의 여름메뉴 얘기가 나온다.
          * 카나우가 요리를 잘못해서 "차갑고 얼음이 들어있는 라면"을 먹게된 이야기를 한다.
          * 우마루는 여름다운걸 먹고 싶다고 하고 히카리는 여름에 뭘 먹냐고 묻는다.
          * 이야기를 들은 타이헤이는 "오늘은 그걸 만들겠다"며 요리를 시작한다.
          * 카나우는 눈물이 핑 돌며 감동하는데 히카리는 사실 오빠(타이헤이) 집에 다녀왔다는 것, 그리고 언니를 위해 타이헤이가 요리를 가르쳐줄 거라는 것을 말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74화 . . . . 5회 일치
          * 정식으로 출판을 진행하고 있는 모토바 키리에는 어느새 키링링이란 펜임도 생겼다.
          * 출판사에서 미팅 중인 모토바 키리에. 어느덧 팬임 "키링링"도 생기고 어엿한 예비 작가다. 언제나처럼 스승님(코마루)와 논 이야기를 즐겁게 한다. 듣고 있던 아쿠타가와 편집장은 그 얘기를 중단시키며 진짜 미팅을 시작하자고 한다.
          * 아쿠타가와 편집장은 키리에가 지나치게 "스승님"에 집착하는게 아닌가 우려한다. 그냥 봐도 너무 좋아한다는걸 알 수 있는데다 다른 소재를 그리라고 해도 여전히 스승님을 그려 오질 않나, 편집자로선 속터지는 일 투성이다. 키리에는 편집장도 스승님의 귀여움을 이해하기 바란다면서 꼭 이 소재로 그림책을 그리고 싶다고 말한다. 편집장은 너무 몰아쳐도 창작의욕을 꺾을 수 있다 판단, 스승님에서 벗어나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고 한다.
          * 우마루는 고민하는 키리에보다 즐거워하고 키리에가 훨씬 생기넘친다며 그거야 말로 키리에의 좋은 점이라고 말한다. 키리에는 세삼 스승님과 처음 만났을 때를 떠올리며 " 스승님"이라고 대답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6화 . . . . 5회 일치
          * 올마이트는 그렇다면 어째서 후계자를 기른 거냐고 묻는다. 올 포 원은 어째서 가 그런걸 묻냐며 "가 모든걸 빼앗았기 때문"이라 답한다. 분명 그의 썩어가는 몸도, 갇힌 신세도 올마이트가 한 짓이다. 무한하다고 생각했던 올 포 원의 이상이 올마이트에 의해 저지되고 "유한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그는 깨달았다. 끝이 오면 사람은 누군가에게 그걸 맡긴다. 그러면서 발전한다. 올 포 원은 모두가 하려는건 자신도 하는 거라고 정리한다.
         놈이 그리는 미래는 오지 않는다. ||
          * 올 포 원은 "확실해 해두러 왔다"는건 그거였냐고 대수롭지 않게 받아친다. 때마침 퇴실 시간이 임박한다. 올마이트는 올 포 원의 미래는 몇 번이든 부술 거라며 "놈이야 말로 손가락이나 빨며 지켜보고 있어라"라고 경고한다. 그런 그가 나가는 길을, 그 닫히는 문을 바라보며 올 포 원은 기괴하게 웃는다.
         놈의 "개성" 얘기다.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9화 . . . . 5회 일치
          * 이야기가 확장돼서 "방의 왕"을 정하는 이상한 게임이 된다.
          * 그 모든 것을 뒤에서 조종한 흑막은 미타 미노루. 왠지 자존심 상해있는 남성진을 대변하는 척 민의를 핑계로 여자방을 들쑤실 작정이다.
          * 본인은 물욕이 없어서 그렇다는데 그 미타 조차 "이건 변태"라고 평한다.
          * 미타는 대놓고 속옷서랍으로 돌격. 제지 당한다.
          * 소년지라 그런지 미타는 흑막으로 움직인거 치곤 별로 활약을 못했다.
  • 돌턴 갱 . . . . 5회 일치
         이 사건으로 돌턴 갱 명과 커피빌 주민 명이 사망하였다. 강도에 참가한 돌턴 갱의 유일한 생존자는 에밋 돌턴으로, 감옥에서 14년간 복역하게 된다. 현재 이 사건은 돌턴갱이 벌인 강도 중 가장 유명한 강도가 되어있다.
          * 그래턴 "그랫" 돌턴(Gratton "Grat" Dalton) - 돌턴 가족의 7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사망.
          * 로버트 "밥" 돌턴(Robert "Bob" Dalton) - 돌턴 가족의 10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사망.
          * 에밋 돌턴(Emmett Dalton) - 돌턴 가족의 11번째 자식. 커피빌 은행강도에서 체포됨. 1937년 사망.
  • 로미오 메일 . . . . 5회 일치
         이혼, 이별 이야기를 하게 되었을 때, 애인, 남편, 아내(「전」도 포함)가 보내 오는 메일을 뜻한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스스로에게 도취하여, 마치 자신이 이야기의 주인공인이라도 되는 것 마냥 허세와 도취가 강하게 들어간 문장을 올리고 비웃으면서 노는 것이 이 보고 스레드의 취지로 보인다.
         주로 이전까지 갑자기 오만하게 굴고 상대를 얕보고 있던 반려자가 이별 이야기가 나오자 마자 갑자기 태도를 바꿔서 상냥하게 대하려는 모습을 보이면 웃음 평가가 높다. 스스로 곤란에 처해있는데도 허세를 부리면서 강한 척 하면 더욱 웃음 평가가 높다.
  • 마기/315화 . . . . 5회 일치
         [[마기]] 315번째 밤. '''인사'''
          * 백룡의 퇴위하면서 이상의 이야기와 알라딘과 신드바드 사이의 대립, 알라딘의 힘이 악용될지 모른다는 이야기를 홍옥에게 전했다.
          * 알라딘과 홍옥도 그 이야기를 나눈다.
          * 알라딘은 그런 이야기를 알리바바에게 했냐고 묻는데 자기는 친구들 앞에선 똑소리나 보이게 있고 싶다며 하지 않았다고 한다.
  • 마기/324화 . . . . 5회 일치
         [[마기]] 324번째 밤. '''신의 다중구조'''
          * 지금 우고라면 친구라도 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라며 "같은 신"끼리 대등하게 이야기해보자며 악수를 청한다.
          * 아르바는 그에게 "가 신이라도 되냐"고 따지는데, 우고는 무슨 세삼스런 말이나 들은 것처럼 "맞는데?"라고 말한다.
          * "가 있으니까."
          * "너는 잘하고 있어. 내가 고지에 오르기 위한 포석. 그것이 바로 역할이지."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5회 일치
          SNK가 제작한 휴대용 게임기인 [[오지오 포켓 컬러]]용으로 개발된 게임.
          SNK가 제작한 휴대용 게임기인 [[오지오 포켓 컬러]]용으로 개발된 게임.
          풀임은 마르쿠리우스 데니스 롯시. 미국 아이다호 주 출신으로 정부군 소령이다. 본래는 온화한 성격이지만 로널드 모덴 원수를 떠올리면 목숨을 잃은 친구들과 전우들이 떠올라 분노를 이기지 못한다고. 컴퓨터 과학이 취미로 장난삼아 만든 바이러스가 군대의 중앙컴퓨터 시스템에 침입, 핵미사일을 발사시킬뻔한 전적이 있다.
          풀임은 타미클 로빙 3세. 일본 홋카이도 출신으로 정부군 대위이다. 아버지는 우수한 군인이었으며, 타마 또한 중학교 졸업 즉시 군대에 들어갔다. 20대에 대통령을 구했으며, 군대에서 사귄 친구인 마르코와 함께 수많은 전장에서 살아남았다. 메탈슬러그 이후 은퇴해 바이크샵을 차리려고 했지만 그를 떠나보내고 싶지 않았던 상부의 요청으로 연기되었다.
          풀임은 피올리나 제르미.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으로 정부군 상사이다. 장남이 군인이 되는게 전통이었던 제르미 가문의 외동딸로, 어머니가 피오를 낳고 더이상 아이를 낳을 수 없게 되었기에 군인이 되었다. 부모님에게 사랑받으며 지냈기에 점잖은 성격. 대학에서 척추 지압법, 침술, 뜸질을 공부받았으며 스포츠 닥터가 되는게 꿈이다.
  • 미즈우치 타카시 살인사건 . . . . 5회 일치
         피해자 시라타 히카루는 야마가타 현 출신으로, 친가는 니시카와쵸(西川町内)에 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배구부]]로 활동하여, 중학교 졸업 이후에는 요자와 시(米沢市)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배구부]]로 활동하여 현 대회에서 우승한 적이 있다. 고교 졸업 이후 미야기 현에 있는 사립대학에 진학하여 사회복지론을 배웠으며, 2014년 4월 부터 오사카 시내의 병원에서 근무하였다. 평소 업무 시작 30분 전에 출근하고 무단 결근도 한 번 없었던 성실한 사원으로서, 동료와 환자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좋은 의료 사무원이었다.
         그런데 2014년 6월에 미즈우치는 갑자기 시라타의 아파트에 들이닥쳤다. 공판에서 진술에 따르면 "선배와 술을 마시다가 술에 취해서 막차를 놓쳤다. 돌아가는 것이 귀찮아져서, 시라타 씨를 기억해냈다."고 한다(…). 이후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미즈우치는 시라타와 단 3번 만나게 된다. 그리고 2014년 8월에 '''미즈우치 타카시는 한 여성과 [[결혼식]]을 올렸다.''' 오사카 경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성대한 결혼식이었다고 한다.
         >미즈우치 : 이 거 아내한테는 비밀이야. (부경을) 그만두면 웃기는 이야기지(このことは妻にも内緒な。(府警を)辞めたら笑い話にして)
         그리고 다음날 아침 1월 24일, 미즈우치는 시라타의 자택을 방문하였다. 미즈우치의 발언에 따르면, 시라타가 "제제를 하겠다"고 말한 것에 제정신을 잃고 '''마침 가방에 들어 있었던 벨트'''를 꺼내서 시라타의 목을 졸랐다. 「자기 맘대로 되어야 하는, 자신보다 낮은 위치의 여성」에게 궁지에 몰린 것에, 격노했던 것이라고 여겨진다. 미즈우치는 이후 이별 이야기를 꺼내자 시라타 히카루가 관계를 "부인이나 경찰에게 말한다."고 해서 울컥하여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 오사카 부경 현직 경찰관이 살인 혐의로 체포된 것은 이것이 통산 4번째. 이전의 사건은 1983년 순사부장이 교제 상대를 [[사살]]한 사건이다.
  • 블랙 클로버/88화 . . . . 5회 일치
          * 그러나 핀랄 룰러케이트와 바사 에노테이커의 조력으로 엄청난 추진력을 가진 기술로 재탄생, 샐러맨더가 회복하기 전에 완전히 분쇄한다.
          마지막 대화시도도 허투로 돌아가자 아스타는 "역시 회복하기 전에 필살기를 써야겠다"고 말한다. 핀랄이 대체 그 핀살기기 뭐냐고 묻자 "두 자루의 검을 찌르는 자세로 잡고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 꿰뚫는 기술"이라고 자랑스럽게 대답하는데 핀랄과 바사 에노테이커는 "그딴게 되겠냐고 갈군다.
          * 바사는 무식한 발상이라면서도 최대한 돕기로 한다. 자신의 실 마법을 두 빗자루에 걸쳐 팽팽하게 당긴 후 활처럼 아스타를 쏘아보낸다.
          * 마녀의 의 여왕은 검은 폭우 일행의 활약을 보고 입만 산건 아니었다고 인정한다. 그리고 의 반대편, 다이아몬드 왕국의 대군이 당도해 있는 곳으로 시선을 돌린다. 그곳은 무슨 생각인지 판젤 크루거(젤)가 홀로 대군을 맞서고 있다.
  • 블리치/682화 . . . . 5회 일치
          * 그런데 켄파치가 갑자기 뛰어올라 경계태세를 취한다.
          * 켄파치는 받아치려고 하지만 '''갑자기 팔이 부러지고 만다.'''
          * '''"얼음 꽃이 전부 지고난 다음, 그때야 말로 대홍련 빙륜환이 완성된다"'''며 갑자기 육체가 성장한다.
         -토시로. 대홍련 빙륜환의 꽃잎이 지고 갑자기 급성장하면서
          * 그래도 제라드를 썰어버리면서 올라갔던 켄파치의 주가가 이번화엔 다시 폭락.--더럽게 롤코타--
  • 스틸오션/영국 . . . . 5회 일치
         >A/B-클래스 구축함의 설계는 영국 구축함사(史)의 이정표다. 소해임무에 중점을 둔 A-클래스와 대잠임무에 중점을 둔 B-클래스의 가장 큰 개선점은 파슨즈 기어드 증기 터빈이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A/B-클래스 구축함은 활동적이었다. 1940년, 여섯척의 A/B-클래스가 노르웨이 전역에 참전해 훌룡한 성과를 거뒀다. 코드링턴(Codrington)은 됭케르크 철수작전에 참가해 덜란드 왕가를 구출했다. 아카스타(Acasta)와 아던트(Ardent)는 항공모함 글로리어스(Glorious)를 호위하던 중 독일 순양전함 샤른호르스트(Scharnhorst)와 그나이제나우(Gneisenau)를 격침시켰지만 독일군 어뢰에 피해를 입었다. 대서양 전역에서 불독(Bulldog)은 독일 잠수함 U-110을 나포해 처음으로 에니그마 암호 작성기를 확보하였다. A/B급에 의해 U-110외에도 7척의 주축군 잠수함이 최후를 맞았다.
         >알미란테 코치라(Almirante Cochrane)는 칠레 해군이 영국에게서 구매한 선박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이 함선은 영국왕립해군이 사용하게 되었다. 여러번의 재설계 끝에 항공모함 "이글"(Eagle)로 개장되었다. 1930년대에는 홍콩에 배치되어 해당 지역의 많은 해적을 소탕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지중해로 옮겨가 아드미랄 그라프 슈페(Admiral Graf Spee)를 쫓는 임무를 맡았다. 1940년 7월, 토브룩에서 세척의 이탈리아 구축함과 한척의 잠수함에 의해 함재기가 파괴되었다. 고장으로 타란토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1942년 8월, 몰타로 가는 번째 수송선단을 호위하던 중 독일 잠수함 U-73에 의해 스페인 마요르카 근처에서 격침되었다.
         >넵튠의 성능에 실망한 왕립해군은 오리온급 전함의 주포탑 전부를 중심선에 배치했다. 독일 전함을 상대하기 위해 더 큰 343mm 주포를 장비하였다. 훗날 이 특징은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특성이 되었다. 오리온급 전함 척 모두 1915년에 현대화 개수를 받았다. 유틀란트 해전 당시 제2전함전대에 배치되었다. 퇴역 후, 모나크(Monarch)는 표적함이 되어 리벤지(Revenge)에게 격침되었다. 썬더러(Thunderer)는 원양항해 훈련함으로 사용되다 1926년 매각, 해체되었다.
  • 식극의 소마/194화 . . . . 5회 일치
          * 드디어 밝혀지는 아버지 세대의 이야기.
          그것이 소마가 느낀 감상이었다. 죠이치로는 아들의 마음을 읽었는지 자리에 앉으라며 예전 이야기를 시작한다.
          * 타쿠미와 타도코로는 대체 그들의 학생 시절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건지 궁금해한다. 이미 그들을 말려들게 한 탓인지 도지마는 한 장의 사진을 꺼내며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 사진은 3학년일 때의 자신과 죠이치로, 그리고 1학년이던 아자미가 찍혀 있다. 도지마는 이 사진을 보이며 "우리 세대의 주역은 죠이치로"였다고 말한다. 하지만 당대의 십걸 1석은 도지마. 타쿠미는 그 점을 들어 도지마야 말로 그 세대의 정점이 아니었냐고 묻는다. 그런데 도지마가 놀라운 사실을 공개한다.
          * 그들이 아직 2학년 시절. 죠이치로가 또 바깥에서 일어난 분쟁 이야기를 끌고 온다. 죠이치로는 다른 연구회에서 일어난 분쟁에 은근슬쩍 끼어들어 식극에 참여, 최종적으론 자기들의 영역을 넓히는 괴팍한 취미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도지마는 그가 그런 결과적인 것 보단 승부에 끼어드는 거 자체를 즐긴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그 자신도 승부를 즐기는 편이어서 결국 또 식극이 일어나게 된다. 후배이자 같은 기숙사였던 [[시오미 준]]도 거절하는데도 얼렁뚱땅 끌어 들인다.
          * 소마와 죠이치로 사이에서도 그 시절의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 죠이치로는 그때가 가장 즐거웠던 나날이라 말하면서도, 결국 고3 시기에 스스로 중퇴하고 학교를 나오게 된다. 소마는 그 이유를 묻는다.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5회 일치
          땅투기꾼 겸 대 원주민 협상가로 템플기사단원. 헤이덤이 보스턴에서 만난 두번째 조력자. 헤이덤이 얻은 열쇠가 모호크의 것임을 알려준다.
          영국 군인. 헤이덤의 세번째 조력자로 템플기사단원. 존슨의 경호원으로 상당히 경박한 인물.
          의사. 헤이덤의 번째 조력자, 템플기사단원. 헤이덤과 찰스 리가 도움을 얻기위해 찾아갔을 때는 사일러스 대처에게 납치당한 상황이었다. 대처의 보호 따위는 필요 없다고 저항하다가 대처와 절단마의 대화[* 절단마 "의사일을 하지 못하게 손을 잘라버릴까요. 떠들지 못하게 혀를 잘라버릴까요. 아니면 우릴 엿먹이지 못하게 좆을 잘라버릴까요." - 대처 "고르기 어려운데. 그냥 다 해."]에 즉각 비굴해지는게 일품. 그렇게 어디 한구석이 잘리기 직전에 헤이덤과 찰스 리에게 구출된다.
          풀임은 프랑수아 조셉 폴 드 그라스. [[프랑스]]가 애국자를 돕기 위해 보낸 프랑스 해군 제독. 11장에서 등장한다.
  • 원피스/835화 . . . . 5회 일치
          * 빅맘의 열 번째 아들 "크래커" 등장. 사내는 그에게 쉬퐁이 결혼한 이야기를 들었다며 만나서 축하해주고 싶다고 하는데.
          * 유혹의 에선 루피가 불어난 동료들 때문에 골치를 썩고 있다.
          * 이어서 캐럿이 일렉클로로 공격하는데 갑자기 거울이 생겨나 막힌다.
          * 그런 설명을 하는데 갑자기 거구의 사내가 나타나 우누의 머리채를 잡아올린다.
  • 원피스/848화 . . . . 5회 일치
          브룩은 자신만만하게 기타를 꺼냈지만 튜닝을 마치기 전에 체스병들의 공격을 받는다. 그대로 집중공격 받아 끝장나나 싶었지만, 갑자기 체스병들이 쓰러진다.
          * 한편 죄수도서실은 뜻밖의 손님이 찾아온다. 푸딩이다. 푸딩은 루피의 감옥을 지키고 있던 형제들에게 루피와 이야기할 수 없겠냐고 청한다. 의외로 형제들은 순순히 루피의 감옥을 열어준다. "책갈피"를 감옥 사이에 끼우자 엿가락처럼 옆으로 휘어져 버린다. 그 사이로 들어가는 푸딩. 루피는 푸딩을 반가워하며 해안에 갔었다고 이야기한다. 나미는 다른 녀석들이 들으면 푸딩이 곤란해지니 그만하라고 진정시킨다.
          푸딩은 상디가 프로포즈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결혼하겠다는건 진심이었다, 루피와 나미는 충격을 받는다. 같은 시각 상디는 푸딩에게 주기 위해 꽃다발을 만들고 있다. 자신을 설득시키는 연기를 계속하며.
         "옥갑"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말이 있는데 고대병기와 연관됐거나 D의 일족과 관련있다는 설이 많다. 하지만 옛날부터 일본에서 "용궁에서 받아온 옥갑"은 우라시마 타로 이야기에 나오는 "나이를 먹게 하는 옥갑"으로 통했다. 그것과 관련된 아이템일지도?
  • 월하노인 . . . . 5회 일치
         두릉(杜陵)에 위고(韋固)가 살았다. 어려서 고아가 되었다. 빨리 아내를 맞이하고 싶다고 생각하여, 여러 갈래로 구혼을 해봤으나 이뤄지지 않았다. 정관(貞観, 당태종 때의 연호) 2년, 청하로 여행을 떠났을 때, 송성(宋城)의 남쪽에 있는 점(店, 여인숙)에서 묵게 되었다. 먼저와 있던 손님에게 청하사마(清河司馬) 반방(潘昉)의 딸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사람이 있었다. 다음날 아침, 점의 서쪽에 있는 용흥사(龍興寺)의 문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다. 위고는 그것을 간절하게 기다리며, 밤에 외출을 나갔다. 달이 밝을 때였다.
         노인이 웃으며 말하길, "이것은 세상의 책이 아니다. 그러니 가 읽기 어려울 것이다."
         노인이 말하길, "가 오는 것이 빨랐다. 와서는 안될 것은 아니다. 무릇 저승의 벼슬아치(幽吏)는 모두 사람이 사는 다루고 있는데, 어찌 이 세상에 와서는 안되겠는가. 지금 길을 가는 자는, 인귀(人鬼)가 반반. 나눌 수가 없다."
         위고가 기쁘게 말하길, "나는 어려서 고아가 되어, 빨리 장가들고, 후사를 잇기를 바랍니다. 그러기를 십년, 여러가지를 해보았습니다만, 뜻한 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사람과 만나기를 약속하였는데, 반사마(潘司馬)의 딸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로 했습니다. 성사가 되겠습니까."
         노인이 말하길, "아직 안된다. 가 맞을 아내는 지금 세살이로다. 열일곱이 되면 너에게 시집오게 되어있다."
  • 은혼/592화 . . . . 5회 일치
          * "돌아올 거라 믿었다"는 말과 함께 무츠가 나타나 "이번엔 어떨 얘길 들려줄지 기대되"라고 한다. --얜 벽에 붙지 않으면 등장을 못하나?--
          * 어쨌든 "안 어울린다"고 하면서 "전장이든 여동생 무릎이든 가 쓰러져 있는 건. 당한 채로 져버린 채로 쓰러져 있는 건" 이라 말한다.
          * 무츠는 카무이가 또 최강을 추구하며 싸워나갈 것 같다고 하는데, 정작 우미보즈는 "도달한 최강이 이꼴인데도"라 말하며 "대체 뭣이랑 싸우려는지"라고 노인 같은 소릴한다.
          * 하지만 긴토키는 "대체 어디서 태어나서 너같이 막돼먹은 꼬맹이가 되는지 궁금했는데 의문이 풀렸다"면서, "가 자란 고향과 가족을 볼 수 있어서 나쁘지 않은 휴가였다"고 말한다.
          * 그는 다카스기의 전언이라며 요시다 쇼요, 우츠로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 일곱개의 대죄/186화 . . . . 5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 제 186화. '''리오스 방위전'''
          * 몬스피드와 델리엘은 리오스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 데리엘은 자신들의 목표는 리오스 성 정복이니 딴짓을 하는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
          * 갑자기 튀어나와 미모치 1위를 달성한 여신님(...)--양덕놈들도 타에 거유 여신님이라고 적어놨다--
  • 일곱개의 대죄/191화 . . . . 5회 일치
          * 헨드릭슨이 당황하며 멀린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정작 멀린은 "오감을 차단 당한 듯하. 재미있어"라며 긴장감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
          * 하우저는 "미안해 하지마. 방패가 되는 정도 밖에 못해"라고 절절한 대사를 읊는데, 멀린은 "쓸데없이 나에게 걸린 마법을 뺏어가서 그런 거다"라고 갈군다.
          * 한 발 늦어버려서 멀린은 "섬멸의 빛"(익스터미이트 레이)으로 벌레떼를 날려버린다.
          * 특히 프라우드린은 "가 그 생존자란 말이냐"고 말도 안 된다고 소리친다.
          * 그야말로 폭풍이 휩쓴 것 같이 된 리오스 성.
  • 전국 BASARA . . . . 5회 일치
         [[전국무쌍 시리즈]]의 아류작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확인 바람.
          * 마
          * 다테 마사무
          창을 사용하는 노인. 아무리 봐도 싸울 수 있을만한 외양이 아닌데 잘 싸운다.
  • 절대가련 칠드런/457화 . . . . 5회 일치
          * 효부는 긴 옛이야기를 끝내며 조직의 2인자 "마기"로 있어도 좋지만 도움이 필요할 땐 "시로"로 돌아오라며 마기의 인격이 돌아오길 기도한다.
          * 다시 현재시점. 이야기는 조금 세어나갔지만 효부가 요약한 핵심은 이렇다. 효부가 제멋대로 살 수 있는건 마기가 있기 때문이고 그 마기가 없을 땐 자기가 집을 지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
         || 가 내게 손을 내어줄 땐 너는 "마기"지만
         가 도움이 필요할 땐 "마기"로 돌아와도 돼. ||
          * 효부는 "가 가족이기 원했던 망령이 원하는 단 하나"라며 돌아오라고 설득한다.
  • 창작:좀비탈출/0-1-2 . . . . 5회 일치
         우리 동는 단독 주택이 밀집된 골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거기엔 좀도둑들이 판을 치고 다녔다. 우리 집도 두세 번은 그런 일이 있었고 그 뒤로는 집을 무슨 요세처럼 꾸며놨다.
         저 커다란 유리창도 아버지의 연구의 산물이다. 처음엔 벽으로 막아버릴 생각이었지만 아버지는 도난에 대한 두려움 만큼 거실에서 바라다 보는 탁트인 전경 또한 사랑했다. 비록 별볼일 없는 동지만 식당에서 아침을 먹으면서 밝아 오는 아침해가 마을에 드리우면 잘 만든 드라마 세트처럼 사랑스러워 보였다.
         대신 낮술 취한 영감들처럼 돌아다니는 그놈들. 동 바보들처럼 콘크리트가 나올 때까지 땅이나 파고 앉은 그놈들.
         우선 나는 몇 가지 추론을 세웠다. 첫째, 이 동는 '''전멸'''하거나 '''거의 전멸'''했다. 아무튼 유의미한 수의 생존자는 없을 것이다. 둘째, 아직 이곳에는 "먹을 것"이 있다. 그게 내가 먹어도 좋을 정도로 신선할지는 모르겠지만. 셋째, 적어도 놈들과 접촉만 하지 않으면 안전할 거라는 점.
         첫번째는 구조 가능성을 더욱 희박하게 만들지만, 그렇게 생각해야 옳겠지. 일주일 넘게 살아서 돌아다니는 사람은 보질 못했다. 전화를 받는 사람도. 하긴 전화는 114 조차 안 받게 됐지만.
  • 창작:좀비탈출/5-1-2 . . . . 5회 일치
         나는 토트넘의 시체를 그대로 놔두고 장독대로 향했다. 커다란 돌덩이를 모자처럼 쓰고 있다. 분명 쌀은 첫번째, 야채는 두 번째였다. 나는 끙 소리를 내며 돌을 들어올린 뒤, 행여나 쿵 소리를 내면 안 되겠다 싶어서 살포시 내려놓았다. 토트넘을 그냥 둬야한다는 내 생각이 맞은 것 같다. 그 작업을 한 이후에 이것까지 하기란 정말 불가능했을 것이다.
         내가 치운 돌은 두 개째까지다. 기억이 맞다면 세 번째 부터는 된장, 고추장, 간장의 순서일 것이다. 물론 그것들도 필요하지만 이제 와서야 담아갈 수단이 없다는 걸 깨달았다. 망할 놈의 그릇을 챙겨왔어야 했다. 그래서 세 번째부터 포기하고 쌀과 야채만 가방에 담을 수 있는 만큼 담았다. 이정도만 해도 대략 일주일치는 된다. 이대로 집으로 돌아가 현관을 잠가 버리면 내 목숨은 적어도 일주일 연장되는 것이다.
         관찰 결과 하룻밤이 다 가도록 마당으로 침입하는 녀석은 없었다. 떠오르는 아침해를 보며 나는 묘한 행복감에 젖었고, 오래간만에 거실에서 보는 동 풍경은 아버지가 사랑했던 바로 그 세트장이었다. 어슬렁거리는 출연자들 따윈 없는 셈 쳐주지.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2 . . . . 5회 일치
         둔탁한 소리와 손에서 접시가 깨지는 듯한, 유리창을 부순 듯한 섬뜩한 촉감이 괴롭힌다. 정수리 한 복판. 언젠가 Tv에서 명인이 도자기를 깨뜨리던 장면이 떠올랐다. 갈라진 살갗 사이로 보이는 두개골이 도자기처럼 하얗다. 주의를 기울였지만 도자기 안의 검붉은 내용물이 튀기면서 손과 팔에, 그리고 얼굴까지 더럽혔다. 하나님 저게 입으로 들어가지 않아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를 비록 '''좀비가 득실대는 동에 처박아 버렸지만'''.
         어제의 경험이 예행연습이 된 탓인지 구토가 올라오진 않았다. 죄악감이 파도처럼 덤벼드는 일도 없었다. 녀석은 쓰러졌다. 토트넘 때보다 훨씬 깔끔한 솜씨다. 나름 뿌듯해지.
         나는 녀석을 오래 관찰하진 않았다. 그야 이 꼴이 되면 사람이든 녀석들이든 끝장이니까. 어쩌면 이게 녀석들에게 남은 유일한 '''인간성'''일지도 모르겠다. 죽어도 모가지는 조심해야 하다니. 갑자기 사방이 텅 빈 느낌이 들면서 녀석의 썩은내가 훅하고 올라왔다. 이게 긴장이 풀린 효과인지 아니면 코가 삐뚫어져서 그런 건지 모르겠다. 한 번 더 죽어버린 녀석은 강렬한 악취로 존재를 과시했다. 아니면 그 체액이 묻어서 더 역겹게 풍겨오는지도 모르겠다. 코를 틀어쥐고 싶었지만 그러기엔 양손이 지저분하다.
         다시 주변으로 눈을 돌렸다. 위험이 사라진 앞마당은 부담스러울 정도로 일상감이 넘쳤다. 한쪽에 줄지어 둔 작은 화분이 그대로 있다. 모종은 시들어 버렸지만, 저것만 봐서는 집주인이 게으르다는 생각만 들 것이다. 텅비어 있는 차고도 주인이 마트라도 가서 금방이라도 돌아올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어쩌면 지금이라도 현관문이 열리고 남의 집 마당에서 무슨 짓이냐고 외치는 토트넘 아줌마가 나올지도 모르겠다.
         이성이 마음대로 떠들도록 내버려 두고 나는 차고문을 닫았다. 토트넘 집은 담장이 낮고 창살도 없지만 이것만 해둬도 대부분의 좀비는 들어오지 못할 것이다. 시간만 벌이만 돼도 충분하다. 토트넘의 조기축구 친구들이 얼마나 팔팔할지 모르겠지만 아무리 그래도 '''살아 있는 친구'''에 비하면 느리겠지. 나는 담장 쪽을 수시로 돌아보며 앞마당을 한 번 돌았다. 언제든 우리집 쪽으로 뛰어갈 수 있도록.
  • 철인 28호 . . . . 5회 일치
         소년 [[탐정]] [[카다 쇼타로]]의 거대로봇 [[철인 28호(로봇)|철인 28호]]의 모험이 주요 내용이다.
         첫등장한 철인 28호는 사실 악당 로봇이었으며 최후에는 용광로에 녹아버리는 것이 끝이었으나 예정이 바뀌어 주인공인 쇼타로가 [[카다 박사]]에게 물려받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에는 비행능력이 없었으나 S국에서 로켓을 장착하게 되어 현재의 철인 28호가 되었다.
          * 첫번째 애니메이션
          50주년 기념으로 '철인 28호 가오!'가 방영. 국내에서도 [[카툰 트워크]]에서 방영했다고 한다.
          * [[카다 쇼타로]]
  • 츠츠모타세 . . . . 5회 일치
         1768년에 간행된 소화본(笑話本)[* 소화(笑話)는 우스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요즘으로 말하자면 유머 이야기 책이다.] 「카루구치하루노야마(軽口はるの山)」[* 카루구치는 우습고 재미있는 이야기라는 뜻이다.]의 제4권에 「츠츠모타세(筒もたせ)」라는 농담이 있다. 이는 짧은 이야기로서, 돈이 쪼들리는 남자가 친구들에게 잘 되면 돈을 벌 수 있으니 츠츠모타세를 해보라는 말을 듣고, 아내를 설득하여 근처에 사는 젊은이를 유혹하게 하여 마침내 결정적인 순간을 잡아 「간통남 봤다(間男見つけた)」고 외치며 벽장에서 뒤쳐나오려고 했으나, 그만 [[말실수]]를 하여 「츠츠모타세, 봤다(筒もたせ、見つけた)」고 소리쳐버렸다는 농담이다.
          애초에 여성은 경계심이 강하므로, 일반적으로 잘 모르는 사람과 만나거나 얼굴도 모르는 사람과 갑자기 만나서 성관계를 맺고자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남성의 욕망을 자극하는 내용을 의도적으로 전하는건 시간을 들이지 않고 빨리 만나서 돈을 뜯어내려는 속셈인 경우가 많다.
  • 토리코/359화 . . . . 5회 일치
         돈슬라임 vs 오.
          * 돈 슬라임은 오를 두들겨 패면서 이치류 안에 있던 시절을 회상한다
          * 돈 슬라임은 오에게 "가 최고의 숙주를 얻었다 믿냐"고 비아냥 거리며 이치류의 사상과 추억을 말한다. 그러자 오 안에 있던 아카시아가 나타나 "그런 부분은 나약함일 뿐이며, 자신은 이치류에게 운명을 부여했지만 나약해서 실패했고 신이 택한건 자신이다"며 조롱한다.
  • 토리코/367화 . . . . 5회 일치
          * 밀리언 노킹은 오에게 조차도 통하는 강력한 노킹.
          * 하지만 오의 힘은 행성의 자전도 멈추는 그랜드 노킹도 "먹어치워" 버린다.
          * 블루 니트로는 자기들의 전체 계획을 오, 아카시아와 공유하고 있는게 아니었다.
          * 아카시아는 오를 부활시켜 봉인한다는 계획을 모르거나, 적어도 니트로에게 듣지는 못한 것 같다.
          * 죠아는 미도라가 지구 최강이라고 인증해주는데 풀파워 지로나 각성한 오에 비교해도 그렇다는 건지는 알 수 없다.
  • 토리코/383화 . . . . 5회 일치
          * 오를 포식하는데 성공한 아카시아는 마침내 자신의 식욕을 손에 넣었다며 흥분에 떤다.
          * 하지만 아카시아는 비웃으며 오의 봉인 따윈 기대하지도 말라고 조롱한다.
          * 치치는 휘청거리는 상태에서도 존게가 오에게 측정빔을 맞추려고 무리한 걸 들며 오히려 그를 걱정한다.
          * 하지만 오를 봉인하는 목적에 협조시키려는 의도였던 걸로 보이며, 아카시아에게 다른 길은 없다고 설득했던 걸로 보인다.
          * 그런데 정작 오는 그가 넘겨준 정보로 "진짜 풀코스"를 찾고 생존할 길을 찾았으니 아이러니.
  • 토리코/387화 . . . . 5회 일치
          * 설사 그의 적합식재인 식운을 다시 먹는다 해도 더이상 회복은 불가능. 오에게 먹힌면서 세포가 패배를 받아들이고 말았다.
          * 그는 토리코에게 자신이 오랫동안 찾아온 식재란 바로 "가 나에게 줬던 것"이라고 알려준다.
          * 스타준은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며 이야기를 서두른다.
          * "가 내 식욕. 내가 했던 수 만번의 식사... 모든 것을 함께한게 바로 너였구나."
          * 하지만 적귀는 "그건 가 정한 것"이며 토리코의 식욕은 아직도 멈추지 않는다고 말한다.
  • 트로피코 4 . . . . 5회 일치
         >Tropico 4는 Facebook과 트위터 기능을 내장해 새로운 단계의 소셜 트워크를 선보입니다. 게임 내에서 즉시 트위터에 글을 남기고, 임무 및 도전 과제 완수 내역을 바로 알리십시오. 번성하는 섬의 풍경을 스크린샷으로 찍어 여러분만의 꿈의 도시를 Tropico 4의 Facebook 페이지에 올릴 수도 있으며, 온라인 순위표를 통해 독재자 순위를 겨룰 수도 있습니다.
          * 토이도
          토이도가 불어닥쳐 시민을 죽이고 건물을 파괴한다. 다수의 토이도가 군집해 피해를 뻥튀기 시키는 경우도 있다.
          * 건설업자 캐릭터 특성 추가 - 첫번째 시멘트 공장 무료, 건설인부의 숙련도 획득률 증가
  • 트로피코 4/인물 . . . . 5회 일치
         트로피코에 제안을 할 때 "비밀 임무가 있다," 혹은 "첫번째 공산국가가 될지도 모르는 일 아니냐,"라는 투의 대사를 하며 제안한다.
         Lord Chuffney. 영국인 노인. 겁나 고리짝같은 외양을 하고있다. 재수없는 언행이 특징.
         Nick Richard. 미합중국 브래스카 주 상원의원.
         첫번째 캠페인에서 대통령 각하를 지원하며 등장한다. 캠페인을 진행하다보면 미국 부통령이 되는데 미국 대통령이 암살당하며 대통령까지 올라간다. 이후 대통령 각하를 미국 대통령 암살의 배후로 지목해 몰락시킨다.
         대통령 각하의 사업 파트너였지만 대통령 각하가 몰락하자 "난 당신 모르오"라며 내쳐버린다. 결국 각하의 첫번째 복수 대상이 되어 프루타스 주식의 과반수를 빼앗기고 해고당한다. 마지막 발악으로 올림픽 개최지 후보 세곳을 후원했으나 트로피코가 올림픽 개최지가 되며 알거지가 된다.
  • 페어리 테일/484화 . . . . 5회 일치
          * 아이린은 조니아에 전해지는 전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옛날 검은 천녀와 하얀 천녀와 남자를 놓고 다퉜다는 이야기. 결국 하얀 천녀가 승리하여 영원히 눈이 내리는 땅이 되었다 한다.
          * 아이린의 부하 줄리엣 선(하얀쪽)과 아이 루나시(검은쪽)은 티격태격한다.
          * 아이린은 전설은 멋진 이야기지만 여기는 춥다며 마법을 시전하는데...
          * 스팅을 비롯한 포로들을 구하는데, 갑자기 내리던 눈이 그치는 기현상을 목격한다.
  • 페어리 테일/487화 . . . . 5회 일치
          * 첫 번째 인은 마장입자로 마력을 빼앗고, 두 번째 인은 시체의 밭에 황천의 문을 열고, 세 번째 인은 사신이 심판을 내린다.
          * 세 번째 인까지 간다면 이승으로는 돌아갈 수 없다며 본 모습을 드러낸다.
          * 타르타로스의 주법에는 잘 대처하나 블러드맨이 세 번째 인을 해방하고 고유의 주법 "오버 스켈터"를 사용하자 단숨에 상황이 악화된다.
  • Y2K 버그 . . . . 4회 일치
         연도를 두글자로 기억하는 컴퓨터들이 2000년이 되면 연도를 1900년으로 인식, 오작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버그. 당시 1990년대만 해도 컴퓨터가 상당히 많은 곳에 퍼져 있었기에 이 버그는 회사나 국가의 전산 시스템, 병원의 의료기기 등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것이라고 예상되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22900099118001&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8-12-29&officeId=00009&pageNo=18&printNo=10254&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8년 12월 29일 기사,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 연방준비의사회는 [[ATM]]이 작동하지 않을것을 우려하는 시민들이 99년 말에 대량으로 현금을 인출할 것이라 예상, 500억 달러를 추가 발행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112200209101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11-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4046&publishType=00010|동아일보 1998년 11월 22일 기사,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미국의 컴퓨터 관련 기업들은 Y2K에 대해 설명하는 사이트를 공동으로 개설하였으며[*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51000099107012&ed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9-05-10&officeId=00009&pageNo=7&printNo=10363&publishType=00010|매일경제 1999년 5월 10일 기사,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국내 컴퓨터 업계 또한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8060800329109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8-06-08&officeId=00032&pageNo=9&printNo=16453&publishType=00010|경향신문 1998년 6월 8일 기사,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8화 . . . . 4회 일치
          * 이야기로서 재미가 있으려면 안심하고 위험에 처하게 만들 줄도 알아야 하는 법.
          * 키리에는 "스승"이 물고기를 찾다 에서 미아가 되는 이야기를 써보려고 한다.
          * 그러나 몇 분 만에 굳어 버리는데, 키리에는 어두운 에 트라우마가 강해서 연상할 수가 없었던 것.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1화 . . . . 4회 일치
          * 더위를 피해 실핀 "전세수영장"에 놀러간 우마루(UMR모드)
          * 그렇게 해서 가게 된 실핀의 전세 수영장.
          * 갑자기 특훈 분위기가 나게 된다.
          * 우마루와 실핀은 쉬면서 어머니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8화 . . . . 4회 일치
          * 날씨 좋고 한가한 어느날 오후.
          * 그런데 채널을 돌리다 보니 "코롱 부스"라는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발견한다.
          * 코롱 부스는 우마루도 아는 캐릭터인데, 원조는 이 프로그램. 상당히 전통있는 프로그램이다.
          * 전에 출판사에서 편집자랑 스승님(코마루)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깬다는 반응만 돌아왔던 흑역사가 있는 탓에 키리에는 자중하기로 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6화 . . . . 4회 일치
          * 그때 벌써 58번째 통과자가 나왔다는 방송이 들린다.
          * 바쿠고는 "주절대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주시기 선배"라고 빈정거리자 그는 "특히 놈이다!"라고 외치며 달려든다.
          * Ms. 죠크는 "홀딱 반한 거"라며 기분 나쁘다고 디스한다.
          * 만일 개성이라면 미드나잇이 말한 "개성을 쓰기 위한 효율을 추구한 결과가 이 노출"이라는 설명에 딱 들어맞는 캐릭터.--미타 미노루가 이 개성을 좋아합니다.--
  • 니세코이/223화 . . . . 4회 일치
          * 그리고 언젠가 츠구미가 자신을 쓰러뜨렸을 때 이야기하려고 했다며
          * 한편 치토게를 찾고 있는 마이코와 루리는 치토게가 왜 사라졌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루리는 "처음으로 의표를 찔렀다"고 웃는다.
          * 마리카는 세 번도 모자라 번을 죽이고 있다.
  • 데미안(드라마) . . . . 4회 일치
         [[영화]] [[오멘 시리즈]]의 드라마 판. [[A&E]] 트워크에서 방송되고 있다.
         과거 스토리는 오멘 1편이 주로 인용되고, 2편 이후와는 거의 별개. 2편 이후 스토리에서는 부겐하겐의 죽음이나 므깃도의 단검의 행방 정도 밖에 인용되지 않는다. 영화 시리즈에서 데미안은 2편에서 이미 [[적 그리스도]]로 각성하고 3편에서는 신과의 대결을 벌이게 되지만, 이 시리즈에서는 30세에 겨우 각성하게 되므로 거의 완전히 별개의 이야기이다. 다만 바티칸에서 므깃도의 단검을 빼돌려서 보유하고 있는 것이나, 부겐하겐이 죽었다는 언급이 나온는 걸 보면 어느 정도 설정은 공유되는듯.
         [[적 그리스도]]라고는 하지만 본래 인격은 정의롭고 좋은 사람(…). 그래서 자신의 숙명을 알고 고뇌에 빠지게 된다. 기억이 없었을 때는 [[무신론자]]로서 기독교 교리에는 호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그야 그렇겠지.-- 어린 시절과 마찬가지로 본인은 별 생각이 없는데 주변에서 자꾸 초자연적인 힘으로 사고와 죽음이 일어나는 [[파이널 데스티이션]] 제조기(…). 적 그리스도로서의 운명에 따라서 죽어서는 안되는 몸이기 때문인지 주변에서 어지간한 사건이 일어나도 상처 하나 입지 않는다. 종군기자로서 온갖 전쟁터를 돌아다니는데도 상처하나 없는 것은 이 때문인듯.
          * 도미이트 : 상대를 자살시킨다. "데미안 이건 널 위해서 하는 거야~!"라면서 주로 투신자살을 벌인다. 오멘 1편에서 나온, 유모가 자살하는 장면에서 따온듯.
  • 마기/299화 . . . . 4회 일치
         [[마기]] 제 299번째 밤. '''뢰엠의 현황'''
          * 그 우두머리는 "르바 율리우스 칼루데아스". 전 황제의 아들로 자신을 황태자라 내세우며 국제연맹을 타도하고 왕정을 복고하자고 선동하고 있다.
          * 르바는 귀가 얇은 도련님으로 누군가에게 충동질 당하고 있다.
          * 르바가 봉기한 것도 누군가의 사주를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 마기/329화 . . . . 4회 일치
         [[마기]] 329번째 밤. '''탐욕스런 인간의 왕'''
          알리바바 덕에 고성이 오가던 분위기는 정돈된다. 알리바바는 다소 상관없는 이야기를 꺼내는데, 그가 암흑대륙에서 돌아와 신드바드와 벌인 상업대결이 즐거웠다는 얘기다. 그리고 그게 왜 즐거웠는지 생각해 봤다고 말한다. 그래서 어떤 대답에 도달했고, 그래서 전에 마스루르에게 "신씨를 너무 몰아세우지 마"라고 들었을 때 이해가 안 됐던 것도 지금은 깨달았다고 한다.
          * 어째서 그렇게하냐는 두 사람의 질문에 신드바드는 다시 평소의 표정으로 돌아온다. 단지 "내가 그러고 싶기 때문에". 그는 태연한 얼굴로 그 욕망을 위해서 이 세상의 루프를 완전히 새롭게 환원하겠다고 선언한다. 너무나 엄청난 이야기를 태연한 얼굴로 한 탓에 진짜 의미를 이해하기까진 시간이 걸린다.
         알리바바만은 루프에 손댈 수 없었던 걸로 나오는데, 이는 신드바드 이상의 특이점이란 의미가 된다. 아무리 신드바드라도 진들의 도움을 받아서야 루프에서 자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즉 신드바드도 그 자신은 루프 안에선 평범한 인간이란 이야기. 그런데 알리바바가 그 루프에서 벗어나있고 성궁의 힘으로도 어찌할 수 없다는건 유례가 없는 특이점이란 소리나 다름없다. 신드바드도 그저 신비하다고 생각하고 말고 알리바바는 자신이 한 번 죽어서 그런거 같다고 대충 넘어가는데, 중요한 복선이 될 수 있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 . . 4회 일치
          * 각 영화와 드라마들은 슈퍼히어로 장르라는 것을 전제로 각각 개성적인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아이언맨은 재수 없는 부자가 영웅이 되어가는 이야기.
          *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캐릭터]]
          *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설정]]
  • 무라하치부 . . . . 4회 일치
         전통적인 무라 사회에서 무라하치부를 당하면 가난하고 힘든 생활을 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기본적으로 에도 시대에는 산이나 을 무라의 공동 소유로 보았는데, 이런 공동 소유지인 산이나 에서 땔감, 비료(낙엽 퇴비 등)을 입수할 수 없게 되면 농업은 커녕 일반적인 생활도 어렵게 된다.
         이 긴 문단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무라하치부의 배경이 되는 향촌자치는 언듯 생각하듯이 아름답고 목가적인 것만은 아니며, 농촌 사회 지배층이 주도하는 ‘작은 사회’ 지배에 수반되는 무라의 폭력적인 처벌이 함께 뒤따랐다는 것이다. 무라하치부는 이러한 ‘처벌’의 형태 가운데 하나로서, 이 처벌 방식이 다른 것들과는 달리 비교적 오래 남게 된 것은 추방, 신체형, 재산몰수, 사형 등의 다른 처벌과는 달리 근대 형법 제도에 크게 배척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도쿄에서 모현에 이주한 T씨(34세) : 이주자는 1주일에 1번 마을 부흥의 선두 주자인 노부부의 집에 모여서 회식을 한다. 나와 아내는 이주 전까지 했던 디자인업을 계속하면서 자급자족용으로만 농업을 하겠다고 말하자, 갑자기 태도가 돌변하여 "농업을 하지 않을 거라면 도쿄에 돌아가."라고 주민들이 둘러싸고 협박하였다.
  • 보루토/7화 . . . . 4회 일치
          우즈마키 보루토는 아버지를 포박하고 있는 목둔의 줄기를 끊어버리고 사스케가 추락하는 나루토를 붙잡아 안전하게 착지한다. 뒤따라온 카게들은 각자 모모츠키와 킨츠키를 상대로 대치. 다루이와 카제카게 가아라가 모모츠키를, 쵸쥬로와 츠치카게 쿠로츠치가 킨츠키를 마크. 명의 카게는 자신만만하게 "우리들에게서 도망칠 수 있다 생각하지 마라"고 도발하고 모모츠키는 "까고 있다"는 원색적인 욕설로 대꾸한다.
          >단지 시간 있을 때 설교가 아니라 '''아빠의 옛날 이야기'''를 들려줘
          >근데 길다고? 아빠의 이야기
          * 모모츠키는 킨츠키가 구속된 것도 확인한다. 사스케는 동료도 저 모양이라며 단념하라 하지만 모모츠키는 쉽게 포기할 셈이 아닌 듯 하다. 그는 나루토 부자를 바라보더니 나루토에게 " 자식이냐"고 묻는다. 그리고 백안으로 보루토를 훑어 보더니 "재미있는 운명을 지녔다"는 뜻모를 말을 한다.
  • 북한의 역사왜곡 . . . . 4회 일치
         === 제럴 셔먼호 사건 ===
         [[제럴 셔먼호]]를 '미국의 군함'이라고 주장하며,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가 결사대를 이끌고 공격하여 공적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제럴 셔먼호는 [[무장상선]]이었으며, 김일성의 증조부 김응우는 당시 어떤 기록에서도 제럴 셔먼호 사건에 참여했음이 언급되지 않는다.[[http://www.rfa.org/korean/weekly_program/korean_history/sherman_ship-08032010161025.html (참조)]]
  • 블리치/694화 . . . . 4회 일치
          * 류겐은 이것이야 말로 "가 쏴야할 화살"이라고 말하는데.
          * 그래서 "가 나아가지 못하게 됐을 때는 내가 업어서라도 가겠다"고 정했다며 두 번 다시 남으라는 말따위 하지 말라고 한다.
          * 그러자 유하바하는 " 고뇌를 나에게 투영하지 마라. 이치고에게 패한것은 너"라고 꼬집는다.
          * 글스포 단계에선 다른 잡지에서 2부를 연재하는게 확정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확인되지 않았다.
  • 스위스 방공호 . . . . 4회 일치
         스위스의 대표적인 자하 방공호이다. 융프라우 길목의 관광도시 루세르 호수 옆의 소넨베르크 산에 건설되어 있다.
         소넨베르크 방공호는 직경 16미터, 깊이 37미터의 지하건물로서, 2만 1천개의 침대, 병원, 회의실, 오락실, 은행, 감옥, 공동묘지가 갖추어져 있으며, 4개의 입구에는 9기압의 압력을 버틸 수 있는 3백 50톤의 석문이 있다. 루세르 방공호는 2시간 이내에 2만 여명을 피난시킬 수 있으며, 이는 루세르의 7만 5천명의 시민들 가운데 30%에 해당한다.
          * 임대를 하여 비트코인 보관 트워크 장소로 활용하는 사례.[[http://m.asiae.co.kr/view.htm?no=2013110614540503056#hi (기사)]]
  • 스틸오션/일본 . . . . 4회 일치
         >척의 순잠1형(巡潛一形, Type J1)과 한척의 순잠1형개(巡潛一形改, Type J1 Mod.)가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전쟁이 발발할 때 순잠1형의 무장은 95식 어뢰로 강화되었다. 이들은 전쟁 초기 알류산, 인도양, 하와이 등에서 활동했다.
         >미카제급 구축함은 일본제국해군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이 대형 구축함들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해군의 8-4 함대 계획과 8-6 함대 계획에 의해 건조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낮은 내구력으로 인해 호위함이나 구조임무만을 수행했다. 몇몇 미카제급 구축함은 가이텐 모함으로 개장되기도 했다.
         >이세급, 후소급과 다를 바 없는 주포탑 개짜리 전함이었지만, A-110은 나가토급 전함의 토대였다. 뱃머리는 8-8 함대 계획의 "숟가락형" 뱃머리와 같은 형태였다. 배수량은 32,500 롱톤이었고, 60,000 마력으로 25 노트의 속도를 냈다. 유틀란트 해전 이후 A-102로 변경되었다.
  • 식극의 소마/191화 . . . . 4회 일치
          * 십걸 는 이상의 3인 퇴학을 확정한다.
          * 한편 다른 쪽에서도 시험은 진행되고 있었다. 미토 이쿠미, 이사미 알디니, 아라토 히사코 3인이 시험을 치르고 있는 곳. 그런데 시험관인 가 승부는 났다고 선언하고 있다.
  • 아이언맨(영화) . . . . 4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아이언맨]]이 주인공이며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의 첫 발이다.
          * [[아이언맨(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아이언맨]]/토니 스타크
          * [[워 머신(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제임스 로즈]]
         아이언맨의 함께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의 성공적인 데뷔.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 야규 쥬베에 미츠요시 . . . . 4회 일치
         [[에도 막부]]의 관료, 정치가, 검술가. 야규 무토시 세키슈사이(柳生宗厳 石舟斎)의 손자이며, [[야규 무노리]](柳生宗矩)의 장남. 야규 가문의 적자이다. 아명은 시치로우(七郎). [[도쿠가와 이에미츠]](徳川家光)를 모셧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귀무자 2 : [[귀무자]]가 되어 환마 일족과 싸우게 된다. 참고로 쥬베에 적으로 이것은 비교적 평범한 이야기(…).
  • 오츠보네 . . . . 4회 일치
         오츠보(お局さん,おつぼね)
         본래 궁중이나 에도 시대의 오오쿠(일본 쇼군을 위한 후궁)등에서 츠보(局, 개인실)이 주워진 여관(女官)을 부르는 호칭이었다. 오츠보는 당시 후궁에서 일하는 여성들을 지도하는 위치에 있는 상당히 지위 있는 계급이었다.
         1989년에 방송된 NHK 대하드라마 『카스가노 츠보(春日局)』에서 유행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때부터 고참 OL(여사원)을 대상으로 오츠보라는 호칭이 나타나게 되었다.
  • 원피스/823화 . . . . 4회 일치
          * 펠타리 왕가의 부녀는 "세계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출발한다.
          * 해군본부의 소장 히나가 인솔하고 펠타리가의 가신들이 모두 참석해 있다.
          * 펠타리 코브라는 급속히 노화했는지 휠체어를 타고 다닌다.
          * 부인의 이름은 "샐리 어쩌구트"
  • 원피스/829화 . . . . 4회 일치
          * 마침 그때 그들 앞에 해왕류로 보이는 거대 지가 나타난다.
          * 정상이 된 빅맘은 징베에게 "포그리프"를 줘서 고맙다고 치하하고 수도가 어수선한데 짓이냐고 묻는다.
          * 징베가 어인섬의 포그리프를 진상한 걸로 나오는데 빅맘은 "읽지는 못했다"면서도 고맙다고 만족해하는걸 보면 그 가치와 본질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는 모양이다.
  • 원피스/832화 . . . . 4회 일치
          * 유혹의 의 덫에 걸린 밀집모자 일행은 루피가 홀로 떨어지고 나미는 샬럿 브륄레에게 잡힌다.
          * 자기들끼리 속닥거리는 유혹의 의 나무들.
          * 자체가 이상하다고 느낀 나미 일행은 빨리 벗어나려고 안간힘쓴다.
          * 일명 "4국 베기" 사건을 묘사한 초상화. 노스 블루의 왕국을 제압한 일을 그린 것이다.
  • 원피스/836화 . . . . 4회 일치
          * 브륄레는 유혹의 의 주인은 거대한 얼굴 모습의 나무 "킹 바움"과 함께 재등장. 빅맘이 죽이지 말라고 명령하지 않았다면 진작 전원 죽였을 거라고 말한다.
          * 그런데 크래커가 멈추라고 호통을 치자 랜돌프가 꼼짝도 못하고 유혹의 의 말하는 나무들도 벌벌 떨며 말라버린다.
          * 이것은 패기는 아니고 "공포"로 한 것. 유혹의 의 나무들은 크래커를 두려워하며 어째서 3장성인 그가 이런 곳에 있냐고 패닉에 빠진다.
          * 이때 나타난 브륄레. 거대한 괴물 나무 "킹 바움"을 타고 나타난다. 킹 바움은 이 유혹의 의 주인.
  • 원피스/837화 . . . . 4회 일치
          * 카포는 그 과정에서 빅맘에게 복속, 가족이 되었으며 나머지는 빅맘의 얼굴 조차 보지 못했다.
          * 크래커는 "놈에게도" 신고식을 치뤄주겠다고 하는데.
          * 유혹의 의 나무들을 뚫고 반대편에 처박힌다.
          * 유혹의 의 사물들은 크래커를 피해 달아나지만 "출구가 있을 순 없다"며 여전히 포위를 풀지 않는다.
  • 은혼/577화 . . . . 4회 일치
         * 카무이를 막은 가구라는 "아직 돌아갈 수 있다"며 설득하지만 카무이는 이미 늦었다며 "가 알던 오빠는 없다"는 말과 함께 가구라는 공격한다
         * 하지만 가구라는 "가 알던 여동생도 없다"며 오히려 카무이의 걷어차 날려 버린다.
         "가 알던 여동생도 이미 없다해."
         - 가구라. "가 알던 오빠는 없다"는 카무이에게 받아치며.
  • 은혼/578화 . . . . 4회 일치
         * 우미보즈는 스승이 되길 거절하지만 무츠는 "당신의 제자가 되기엔 너무 분에 넘친다"면서도 새장 속의 새에게 세상에서 본 것을 이야기해달라고 청한다
         * 우미보즈는 어느날 나타나 그 모성의 지배자였던 "오로치"라는 존재를 처리해버렸다
         - 우미보즈. 과거 오로치와 싸울 때, 현재 우츠로와 싸울 때 죽음의 예감 때문에 갑자기 서버린 방울을 진정시키며.
  • 은혼/588화 . . . . 4회 일치
          * 가구라는 카무이가 아무 것도 빼앗게 두지 않을 거고 아무 것도 잃게 내버려 두지도 않겠다며, "내가, 해결사가 안에 남아있는 최후의 이름을, 바보오빠를 지킨다!"라고 외친다.
          * 가구라는 싸우면서 어머니 코우카와 이야기한 것을 회상한다.
          * 코우카는 생전에 "지구"에 대한 이야기를 해줬다. 우미보즈(바다돌이)가 "우주에는 아직 본 적 없는 정말로 아름다운 푸른 별이 있다"며 언젠가 같이 가보자고 했던 일을 이야기해준다.
  • 은혼/591화 . . . . 4회 일치
          * 오보로는 같은 스승을 가진 이상 이렇게 될 운명이었다며 "스승으로부터 받은 피가 말라비틀어질 때까지 앞을 막는다"고 한다.
          * 다카스기는 "그렇다면 놈도 싸워라. 스승으로부터 받은 그 혼이 썩어 없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맞서라."라고 말한다.
          * " 덕분에 나는 그 아이들과 만날 수 있었다. 덕분에 나는 요시다 쇼요가 될 수 있었다. 고맙다 그리고 미안했다. 될 수 있으면 만나게 해주고 싶었다. 그 아이들과... 내 자랑스러운 첫 제자를."
  • 은혼/599화 . . . . 4회 일치
          * 이러한 개판 속에서 해결사 일행만은 정신줄을 잡고 이야기를 돌리려하는데
          * 무츠는 일견 정상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결국 고로케에 대한 얘기다.'''
          * 그 사이 가구라는 그의 고로케에 타바스코와 마요즈 세례를 끼얹는데
          * 가구라가 노부노부 식판에 뿌린 타바스코와 마요즈도 진선조 복귀의 복선이라는 설이 있다.--사실 지금 아니면 나올 타이밍이 없어--
  • 이득을 준 배신자를 처단하기 . . . . 4회 일치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 자신과 대립하게 된 [[동생]] [[미나모토노 요시츠]]가 [[오슈 후지와라 씨]](히라이즈미 정권)[* 일본 동북부를 지배하고 있었다.]에 의탁하여 있을 때, 후지와라 씨에게 요시츠를 송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런데 후지와라 씨에서 요시츠를 살해하고 그 목을 보내자, 오히려 자신의 가인(家人)인 요시츠를 공격하였다는 명분으로 오슈 후지와라 씨를 공격한다.--어쩌라고--
  • 일곱개의 대죄/169화 . . . . 4회 일치
         * 어느 왕국의 둘째 왕자로 태어난 그는 형의 시기를 받으며 자라다 어느날부터 자신의 힘을 자각하게 된다.
         * 급기야 왕국에선 그를 죽이려 드는데, 어느날밤 로자라는 여자의 도움으로 겨우 도망칠 수 있었다.
         * 에스카노르는 멀린에게 자신이 두렵지 않냐고 묻는데, 오히려 "공포란 무지에서 오는 감정. 무엇보다 수수깨끼는 충분히 매력적이다."는 찬사를 듣는다.
         * 악몽 속의 멀린은 "내일이 없는 자와 함께 길을 걸을 순 없어. 왜냐면 저주는 절대 풀 수 없으니까. 강대한 저주는 이윽고 그 몸을 전부 침식하겠지. 너는 결국 내 실험 재료일 뿐인 존재. 평생 누군가에게 사랑 받는 일 없이 고독하게 죽어라 에스카노르."라고 독설을 퍼붓는다.
  • 일곱개의 대죄/182화 . . . . 4회 일치
          * 현재의 멜리오다스는 "연옥"에 있는데 수상한 목소리가 "천천히 이야기하자"고 말을 걸자 멜리오다스는 "싫다"고 거절한다.
          * "일곱 명의 대죄인이 리오스 왕국의 수호자가 된다."
          * 그때 과거의 멜리오다스는 어린 엘리자베스에게 "반드시 살아서 곁으로 돌아온다"고 말하고 있다.
          * 수상한 목소리가 "기분은 어떠냐? 느긋하게 이야기하자"고 말을 건다.
  • 일곱개의 대죄/183화 . . . . 4회 일치
          * 일곱개의 대죄와 리오스 왕국의 성기사들은 십계의 공세에 대항해 최선을 다하지만 검을 들 수조차 없게 된다.
          * 멜리오다스는 "난 가 건 저주 덕에 몇 번이든 되살아난다"고 희희낙락한다.
          * 폐허가 되어가는 리오스 왕국.
          * 선두에 있던 반은 단장을 죽인 가 무슨 얼어죽을 "자애"냐고 빈정댄다.
  • 일곱개의 대죄/185화 . . . . 4회 일치
          * 에스타롯사는 처음으로 죽음의 공포를 느끼고 구조하려는 젤드리스.
          * 에스카노르는 어쩔 수 없다는 듯 반에게 서쪽 문 밖에 페이스 호반이 있지 않냐고 묻는다.
          * 페이스 호반이 한순간에 증발해 버릴 정도로 강렬한 열기와 폭발.
          * 차회 제목은 "리오스 방위전"
  • 일곱개의 대죄/201화 . . . . 4회 일치
          엘리자베스와 [[멜리오다스]]는 두 사람의 변화를 눈치채지 못한다. 엘리자베스는 멜리오다스 곁으로 다가가더니 "저번에 한 이야기"를 꺼낸다. 엘리자베스는 약간 안달하는 것 같은데 멜리오다스는 지금은 일이 최우선이라며 나중에 이야기하자고 한다. 그리고 디안느와 킹에겐 아무런 설명도 없이 곧장 어디론가 출발해 버린다.
          을 빠져나오자 멜리오다스의 말처럼 참상이 나타난다. [[마신족]]의 습격이었다.
         전 회에 이어 디안느의 영향으로 소녀틱해진 드롤의 행동거지가 심하게 눈갱. 이곳은 3천년 전 브리타니아이며 이들은 아직 엘리자베스의 전생에 대한 이야기는 모르는 것 같다.
  • 절대가련 칠드런/456화 . . . . 4회 일치
          * 그러는 사이 마기일행은 차량으로 현장을 빠져나갔다. 효부는 헤어지기 전 " 덕에 내게 집이라 부를 곳이 남아있다"고 진솔한 이야기를 한다. 바로 마기 덕에 안심하고 마음껏 움직일 수 있게 됐으니 반대로 마기가 방황하는 순간이 되면 언제든 "시로"로 돌아오라고 이야기한다. 그 자신이 언제나 기다리고 있겠다며.
          * 마기는 쑥스러운지 "부끄러운 소릴 잘도 한다"고 혼잣말을 하는데, 머슬은 어쨌든 "내가 없는 동안은 가 대장이란 의미"라고 말해준다.
  • 절대가련 칠드런/458화 . . . . 4회 일치
          * [[야도리키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 [[우메가에 나오미]]가 비밀리에 접근했다.
          사카키 슈지는 미나모토와 타니자키 이치로가 외부에서 탈출 계획을 실행하는 사이 관측소에 남아 돌발 상황에 대처하고 있다. 그가 우회 시스템을 잘 유지하는 동안 미나모토와 타니자키가 인근 도시에 잠입해 두 번째 작전으로 넘어가는 계획인데.
          * 바보같은 동행 덕에 고생 중인 미나모토. 그런데 뜻밖에도 익숙한 목소리가 들린다. 어떻게 된 건지 더 하운드의 야도리키 아키라와 이누카미 하츠가 미나모토 일행을 발견한 것이다. 미나모토는 헛것을 보는게 아닌가 의심하는데 아키라는 분명 현실이고 자기들만 온게 아니라고 한다.
          * 상황은 진정되었지만 미나모토는 이들을 반가워하는 한편 은근히 경계한다. 바벨이 보낸 추격대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츠는 바벨에서 보낸게 아니라고 안심시킨다. 나오미는 자신들이 수뇌부 몰래 왔다고 밝힌다. 타니자키는 바벨을 배신해서라도 자길 구하러 온 거냐고 날뛰가 제재 당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9화 . . . . 4회 일치
          뒤이어 타니자키 이치로와 더 하운드의 야도리기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도 도착. 사카키는 미나모토나 다른 일행이 나타난걸 보고 어리둥절해한다.
          사카키 자신은 감시 영상을 교체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론 미나모토 일행의 탈출 사실을 전달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경악하는 사카키. 나오미와 하츠의 경계 아래 전에 블랙 팬텀의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왼팔을 조사하게 된다.
          * 미나모토는 ESP록을 사카키의 왼팔에 채운다. 이것으로 무의식 수준에서도 세뇌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 사카키의 세뇌는 이걸로 일단락된 셈이지만 본인은 큰 충격을 받는다. 사카키는 관리관 츠보미 후지코를 감염시키고 미나모토에게 뒷공작을 한 것도 자신이었던 거냐며 좌절한다. 미나모토는 다 적의 계략일 뿐이라며 자책하지 말라고 위로하고 "누군가의 정보"로 사태의 확산을 막았으니 제대로된 반격이 가능해졌다고 말한다. 그런데 아직 사정을 듣지 못했던 사카키는 그 "누군가"나 "정보"가 뭐냐고 묻는데 미나모토도 사실 그 이상은 잘 모른다. 이 문제를 정보를 아 모르 잠시 옥신 각신.
  • 진격의 거인/84화 . . . . 4회 일치
          * 분명 그 이야기는 리바이도 들었다. 그때로부터 불과 하루이틀만에 오늘과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
          * 아르민의 시체를 바라보며 잠시 망설이는 사이, 갑자기 엘빈이 팔을 휘둘러 약을 뿌리친다. 마치 의식이 있는 것처럼.
          * 조사병단 측에선 두 번째로 확보한 거인화 전력. 아르민의 거인은 체구가 작고 머리가 큰 타입이다. 유미르의 거인화와 유사.
          * 초대형 거인의 완전한 사망, 아군측 두 번째 거인화 확보로 인해 거의 망한 것 같았던 조사병단은 극적으로 성과를 거뒀다. 병력이 거의 전멸하고 지휘관 엘빈까지 사망했기 때문에 그대로 돌아갔다면 턱없는 패전으로 취급됐겠지만, 이로써 적어도 무승부라고 주장할 근거가 생겼다.
  • 진격의 거인/85화 . . . . 4회 일치
          * 엘런은 아버지에게 "언제 지하실을 보여줄 거냐"고 물은 적이 있는데, 그때 그리샤는 "가 가장 소중한 것을 깨달았을 때"라는 선문답 같은 답을 했다.
          * 엘런과 미카사는 굳은 각오를 하고 첫 번째 책을 연다.
          * 병단의 수뇌들은 엘빈이 남긴 "어떤 의문"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 아르민은 엘빈을 대신해 살아버렸다는 것, 베르톨트를 먹어버렸다는건, 갑자기 거인화가 생겼다는 것 등등 혼란스러워 한다.
  • 창작:좀비탈출/3-2 . . . . 4회 일치
         솔직히 학교가 어떻게 되었는지는 잘 모른다. 사실 사건이 이렇게 까지 커지진 않았을 때부터 이미 동 분위기는 상당히 어수선 했기 때문에 나는 일치감치 학교도 빼먹고 있었다. 좀비들의 출현은 처음에는 '한밤중에 아이를 습격해서 물어뜯는 괴한'이니, '길거리에서 습격해오는 취객'이 급격히 늘어났다는 소문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치안 사정에 불안감을 느끼던 사람이 많았던 것이다.
         생각해보면 갑자기 여기저기서 들려왔던 괴소문들은 대부분 좀비들이 원인이 되었던 것이 분명했다. 그리고 그 '피해자'들 역시, 집에 돌아갔다가 얼마 뒤에 '습격'을 시작하면서 동 곳곳에서 피해가 점점 확대되어 갔던 것이겠지. 경찰들이 이런 사태에 쫓기면서 동 치안은 급격히 나빠졌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마치 점점 높아지던 댐에서 물꼬가 터지듯이, 늘어나는 좀비들을 사람들이 감당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 타쿠마 마모루 . . . . 4회 일치
         1995년 11월 27일에는 같은 직장의 여성과 양자결연을 맺어 성이 바뀌었다가, 1997년 1월에 양자결연을 해소하고 타쿠마로 돌아왔다. 타쿠마는 여성에게 [[위자료]]로서 200만엔을 달라고 강요했다. 1997년 3월에는 39세 여성과 3번째로 결혼했다. 하지만 12월에는 이혼을 요구받고, 고베 지방 법원 히메지 지부에 이혼조정을 요청했다. 타쿠마는 이 여성과의 재결합에 집착하여 앙심을 품게 되었다. 1998년 6월에 이혼 조정이 성립되었은아, 타쿠마는 전처를 반복해서 스토킹 하고, 교제중이던 다른 여성을 폭행하여 체포되었으며, 전처에게도 유사 사건을 일으켜서 체포되었다. 10월 18일에는 교제중이던 여성과 4번째 결혼을 했다.
         1999년 3월 2일에 형이 마무루의 거듭되는 불화와 폭력으로 자살을 하게 된다. 그 직전에 아내와 이혼하였으며 아이를 혼자 놔두고 자살하였다. 3월 31일에 타쿠마 마무로는 4번째 이혼을 했다. 9월 7일에는 이전에 양자결연을 맺었던 여성의 집에 침입했다가 체포당했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토리코/362화 . . . . 4회 일치
          * 브란치는 이런 데서 기다리고만 있지 말고 '''"오오타케 가 가서 미도라에게 음식을 만들어 줘라"'''며 그를 데리고 구르메계로 향한다
          * 오가이의 냄새를 맡은 '''토리코의 내면에서 세 번째 구르메 세포의 악마, 날개 달린 귀신이 깨어난다.'''
          * 토리코 얼굴의 흉터는 바로 세 번째 구르메 악마의 얼굴에 난 흉터와 같은 것이다.
          * 금관두의 내용물은 GOD, 센터, 오의 일부 등등 여러가지 설이 있었지만 전혀 상관없는 물건이었다.
  • 토리코/363화 . . . . 4회 일치
         돈슬라임은 전력을 다해 공격을 퍼붓지만 오에게는 타격을 줄 수 없다.
          * 돈슬라임은 재생하지만 과거 싸웠던 때와 완전히 다르다고 느끼고 있으며 빨려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돈슬라임은 생전 처음으로 죽음의 공포를 느낀다'''
          * 돈슬라임은 양손으로 작은 에너지 덩어리 같은걸 만드는데 '''"죽는다면 놈과 함께 간다"'''고 말한다
          * 작중에서 재생능력이 뛰어난 존재는 몇몇 등장했지만 오처럼 자기 몸을 먹고 재생하는 타입은 처음 나온다.
  • 토리코/384화 . . . . 4회 일치
          * 미도라는 동요하지 않고 "처음부터 불가능한 임무를 떠맡기고 상처입은 날 최후의 힘으로 구하게 만든 것은 바로 놈"이라고 말한다.
          * 그리고 오에게 헝그리 블로우를 작렬. 다시 땅으로 처박는다.
          * 갑자기 아카시아의 아이의 존재가 나타나고 죠아가 거기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자연히 토리코와 스타준이 가능성이 높아진다.
          * 팬덤에서는 거의 확실시하는 분위기인데, 이 때문에 오를 풀코스로 선언한 토리코는 패륜아라고 욕을 먹고 있다.--아버지가 주신 고기 요리--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4회 일치
          * 해당 지역에서 세키부, 유미 코바야를 건조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무역선, 야구라부를 건조할 수 있게 됨
          * 해당 지역에서 야타케부, 센고쿠부, 호로쿠 코바야 를 건조할 수 있게 됨
  • 트로피코 4/칙령 . . . . 4회 일치
         과거 베수엘라 대통령이었던 우고 차베스가 출연했던 TV쇼 [[알로 프레지덴테|https://en.wikipedia.org/wiki/Al%C3%B3_Presidente]]가 모티브로 보인다.
         하루종일 채팅, 포럼, 트워크 등에 애국적인 댓글을 다는 경찰 댓글부대를 편성한다. 반란군의 공격을 예상할 수 있지만 자유도가 하락한다.
         === 소셜 트워크 차단 ===
         메신저, 블로그, 페이스북, 직장 내의 수다를 금지시킨다. 시민들이 소셜 트워크에 홀리지 않고 일에 집중하기에 생산력이 5% 상승한다. 게임 자체의 페이스북/트위터 연동 기능도 차단된다.
  • 페어리 테일/503화 . . . . 4회 일치
          * 하지만 디마리아는 "가 그 애를 망쳤다"며 오히려 루시 탓으로 돌린다.
          * 루시가 전혀 위축되지 않자 재미없어하는데 루시는 즐거움이 될바엔 눈알 같은건 없는게 낫다며 강하게 나간다.
          * 디마리아가 어디서 갑자기 마봉석을 꺼내왔는지는 불명. 구출될 때 챙겨온 건가?
          * 그녀 말에 따르면 제국엔 마봉석 같은 아이템은 없는 모양이다.--후진국이--
  • 페어리 테일/511화 . . . . 4회 일치
          * 미르바의 테리터리로 로그 체니가 유키노 아그리아와 자리를 바꾸며 나타난다.
          * 스팅은 너무 배가 고파서 고통도 느끼지 못한다. 그를 응원하는 동료들이 음식으로 보일 지경이다. 급기야 렉터를 닭다리인 줄 알고 물어 뜯는 지경에 이른다. 카구라 미카즈치는 눈을 뜨라고 호소하는데, 유키노가 갑자기 그녀를 깨문다. 유키노의 눈도 스팅처럼 공복에 허덕이고 있따. 곧이어 카구라도 전염된 것처럼 배고픔을 느끼며 유키노와 카구라는 서로를 물어 뜯는다. 스팅에게 물린 렉터도 공복을 느끼고 스팅을 깨물고 있다.
          * 그때 유키노의 모습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로그 체니가 나타난다. 미르바의 테리터리. 드디어 세이버투스의 쌍룡이 모였지만 로그도 싸우느라 힘을 소진한 상태. 그는 미르바의 배달이라며 "나를 먹어라"라고 말한다. 로그는 남은 마력을 그림자로 바꿔서 방출한다. 스팅은 처음엔 어떻게 다른 속성을 먹냐고 거부하지만 이런 상황이라 "먹을 수밖에 없다"며 무작정 그림자를 흡입한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하이스트 . . . . 4회 일치
          패닉룸을 가져가기 위해 떼어내야 한다. 톱 개를 사용해 떼어내려 하는데, 두개는 3층 바닥에 부착하고 두개는 2층 천장에 부착해야한다.
          이제 의뢰인의 아들을 찾을 시간. 죄수호송차 대에 톱을 설치하고 막아내자. 호송차 대가 넓게 널려있는데다가 경찰들이 헬기를 타고 오기 때문에 상당히 힘들다. 죄수 호송차가 열리면 다가가서 죄수에게 상호작용을 시도하자.
          회수를 위해 61번 컨테이너로 금을 옮겨야 한다. 개의 가방 중 최소 하나는 옮겨야 한다.
  • 포리(이노센트 투어) . . . . 4회 일치
         첫번째 시나리오 Elf's Dream(엘프의 꿈)편의 주인공. 관련 신화는 켈트신화다.
         에 살고 있던 엘프종족 포리는 어느 날 어떤 남자를 만나고, 그를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사랑에 눈이 먼 포리는 그에게 자신의 『노래』가 담긴 수정을 넘겨주게 되고 영원히 사랑하겠노라 맹세하게 된다. 하지만 엘프의 계율은 엘프와 인간과의 사랑을 용납치 않았기 때문에 그녀는 수옥(水獄)에 갖혀 "달이 세번 뜰때까지" 가둬지는 벌을 받게 된다.
         그리고 벌을 다 받을 때까지 기다린 포리는 세번째 달이 뜨고 수옥에서 나올때, 엘프 사회가 용납하지 못하는 사랑을 이루기 위해서 엘프마을을 나올 각오를 다지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 하이큐/220화 . . . . 4회 일치
          * 둘은 공을 주고 받으며 각자 합숙에서 있었던 일들, 참가선수들의 기량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괴짜콤비가 빠진 사이 카라스노에선 트를 9분할해서 서브를 넣는 "서브강화주간" 훈련을 했다.
          * 트에 표시된 테이프를 기준으로 "매번 코스를 노리고 확인하면서 친다"는 훈련이다.
          * " 점프는 '''총총'''이야. 하지만 굉장한 점프는 '''둥'''이야."
  • 헤소린 가스 . . . . 4회 일치
         여기서 진구가 헤소린 가스를 남용하는 것을 보고 퉁퉁이와 비실이는 헤소린 스탠드를 강탈해간다. 진구는 가스의 영향 때문에 별 신경 쓰지 않는다. 그리고 진구는 이렇게 좋은 가스는 모두가 나눠야 한다면서 동 사람들에게 가스를 주입해주고, 이걸 본 퉁퉁이와 비실이는 가스 스탠드를 가져다가 유료로 제공한다.
         그 결과, 동 아이들 전체가 헤소린 가스에 중독되어 상황이 상당히 심각해지는데, 서로 방망이로 때리면서 놀거나, 지갑을 훔쳐서 가스를 살 돈을 조달하려 하거나, 가스의 효력으로 아픔이 마비된 탓에 "신칸센 히카리 호에 치여도 괜찮아!" "도쿄 타워에서 점프해도 괜찮아!"라고 호언장담하거나, 여자아이가 가스를 주입받느라 [[팬티]]를 다 보여도 태연하게 구는 등(…) 도덕심까지 완전히 마비된 모습을 보인다.
         이 에피소드에서 도라에몽은 아픔이라는 감각이 사라지는건 큰일이며, 아픔은 인간에게 위험을 알리는 신호라고 한다. 그리고 더 무서운 것은 "마음의 고통"을 모르게 되어버리는 것으로, 아무리 꾸중을 들어도 괜찮으면 인간은 터무니 없는 짓을 하게 되어버린다고 설교한다.--좋은 이야기지만 애초에 가 가져온게 문제잖아--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6화 . . . . 3회 일치
          * 터미이터스러운 세계로 종말이 다가와 있고 거기에 나타난 히어로가 두 사람.
          * 우마루와 실핀이 신나게 떠들던 세계관은 이블데드나 매드맥스, 터미이터가 짬뽕된 해괴한 포스트 아포칼립스.--폴아웃이--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4화 . . . . 3회 일치
          * 포켓햄GO는 GPS를 사용해 돌아다니면서 포켓햄을 잡는 게임.--대놓고 포켓몬GO--
          * 우마루는 그런 이야기를 들으며 "지금하고 다를게 없다"고 한다.
          * "어른이 된다는건 굉장히 행복한 거"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7화 . . . . 3회 일치
          * 어머니 에비나 는 요리에 흥미가 생긴 것은 몰랐는지 놀라며 "먹는걸 좋아하니까"라고 말하는데 딸이 관심있는건 만드는 쪽이었다.
          * 상담이 끝나고 타이헤이가 그런 점에 대해서 이야기하니, 이번엔 "아무 생각없다"고 대답한다.
  • 계림 . . . . 3회 일치
         [[대한민국]] [[경주시]]에 있는 . [[사적]] 19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국 [[광시성]] 동북부에 있는 [[계수나무]] 이다. 카르스트 지형과 기암괴석 등이 , 강과 조화되어 독특하고 아름다운 풍광을 보여주고 있다. [[관광지]]로서 이름이 높다.
  • 광주 FC . . . . 3회 일치
         2010년 12월 16일에 창단한 구단[* 창단식 기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승인은 10월에 이미 나 있던 상태였다.]으로 2011시즌부터 [[K리그]]에 참가하고 있는 프로구단이다. K리그의 16번째 구단이며, 순서상 6번째 [[시민구단]]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광주광역시]]를 연고로 두고 활동한다. 정식명칭은 "광주시민프로축구단".
         광주는 지금까지 플레이오프나 상위스플릿, FA컵 결승 등, 상위권 성적 경험이 단 한번도 없다. 전통적으로 하위권을 맴돌았던 팀이며 아예 2012시즌에는 K리그 참가 2년차에 강등이라는 불명예딱지도 붙었을 정도. 제대로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은 셈이다. 그러나 딱 하나 주목할 만한 성적을 보자면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4시즌|초대 챌린지 플레이오프]]와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4시즌|두번째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드라마를 씀으로써 시민구단의 저력을 확인시켜주었다. 또한 2015시즌에는 승격하자마자 강등당했던 2014시즌의 상주 상무와는 달리, 승격팀이 강등당하지 않는 사례를 처음으로 보여줌으로써 챌린지에 있는 팀들도 충분히 클래식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 김굉필 . . . . 3회 일치
         '''김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 [[10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 화가로 [[호 (이름)|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ref>[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ref>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ref>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1월 4일 기유 8번째기사 1543년 명 가정(嘉靖) 22년 판중추부사 김안국의 졸기</ref>)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김일손]], [[김전]], [[남곤]], [[정여창]] 등과 동문이었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영남의 유학자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던 중 어느날 《소학》의 어느 글귀를 읽고 깊이 감동한다. 이후 [[소학]]을 읽고 스스로 "소학동자 (小學童子)"라 일컬었고 평소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길재]], [[김숙자 (1389년)|김숙자]], [[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학문 전통을 이어, 성리학에 능하였으며 실천 궁행을 위주로 하는 학자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 서울 김굉필"> 《[[글로벌 세계대백과]]》〈[[: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김굉필|김굉필]]〉 </ref> 그는《소학》을 행동의 근간으로 삼아 《소학》을 알지 못하고는 학문을 할 수 없고, 사서육경을 알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소학]]에 나온대로 실천궁행에 힘썼다.
         {{인용문|분수에 맞지 않게 공경대부 높은 관직에 올랐지만 / <br/>내가 어찌 임금을 보필하고 세상을 바로잡는 일을 해낼 수 있을까? / <br/>그대 같은 후학(後學)들이 나의 허물과 어리석음 조롱하지만 / <br/>구차하게 권세와 이익을 따르지는 않.<ref name=""hahao"/>}}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3회 일치
          * 과거엔 사무소가 가까워서 자주 만나다가 인연이 생긴 듯한데, 그녀가 설명하면서 "기정사실"인 관계처럼 말하려고 할 때마다 아이자와가 커트한다.--죽이 척척 맞--
          * 뭔가 모범생 같은 이야기만 줄줄 늘어놓는다.
          * 웅영고 입학 시험과 비슷하지만 대인전이란 점에서 전혀 다르며 다른 사람이 공략하던 수험자의 세 번째 타깃만 스틸하는 책략을 권장하는 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0화 . . . . 3회 일치
          * 제일 먼저 아오야마 유가가 빌 레이저로 어두운 곳에서 조명 역할을 하며 점수를 딴다.
          * 주최측에선 "예상보다 HUC의 감점이 적다"는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
          * 미타 미노루는 너무 허들이 높다며 패닉.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4화 . . . . 3회 일치
          * 고대하던 결과발표. 웅영고 A반 인원들도 하나둘 합격이 확인된다. 미타 미노루 조차도 명단에 들어가 있어 거진 다 합격한 듯 한데, 정작 A반 투탑 중 하나인 바쿠고 카즈키는 탈락의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
          * A반 사이에서 토도로키의 탈락 소식도 전파된다. 하필이면 A반 투톱이 전부 떨어지는 아이러니한 상황. 카미나리 덴키는 바쿠고에게 폭언 때문이라며 깐죽거려서 화를 돋군다. 미타는 둘다 "자기 본위의 플레이가 발목을 잡았다"는, 밥맛없지만 정확한 팩트폭력을 시전하다 이이다 텐야에게 치워진다. 야오요로즈 모모와 미도리야는 토도로키의 마음을 신경써 주지만 쉽게 말을 붙이지 못한다.
          * 곧 주최측은 새로운 발표를 한다. 합격자들에게 이제 위급시 히어로의 자격이 부여되는데 이것은 보다 큰 사회적 책임이 뒤따른다는 이야기다. 올마이트가 은퇴하고 억제력이 감소된 지금 사회는 변화할 것이며 그것을 지금의 젊은이들이 지탱해야 한다. 합격자들은 히어로가 도리 사람들로서 보다 정진해달라고 당부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5화 . . . . 3회 일치
          * 그와 통화하는 아저씨의 상태가 이상하다. 기란의 말에 동의하는가 싶더니 곧 부정하고 바쁘다고 하다가 갑자기 한가하다고 대답한다. 기란은 아랑곳 없이 "다비"의 행적을 묻는다. 곧 "시가라키 토무라"가 모이고 싶어한다며 조만간 호출이 있을 거라 알려준다. 아저씨의 상태는 점점 나빠져서 정상적인 대화가 불가능하다. 기란은 무리하지 말라는 말을 끝으로 전화를 끊는다. 아저씨는 머리를 부여잡고 "나는 나"라고 힘겹게 중얼거린다.
          * 새로운 소음이 들린다. 또다른 사건이다. 트와이스는 그 방향으로 걸음을 옮긴다. 본래는 그도 평범한 빌런의 하나였다. 그의 개성은 "두 배". 하나를 둘로 늘리는 능력이다. 처음엔 자기 자신에게 사용했다. 자신을 둘로 늘리고 늘어난 쪽이 다시 자기를 늘리는 식으로 자신을 잔뜩 만들어서 부려먹었다. "본체"는 그들의 왕으로 편하게 지냈지만, 어느날 평화가 깨졌다. 분신이 그가 왕인 것에 불만을 품은 것이다.
          * 그는 자신이 처리한 빌런들을 "병"이라고 비하하며 고쳐야 하는 대상이라고 말한다. 새의 부리같이 생긴 묘한 가면을 쓰고 있다. 신호등 위에는 번재 동료도 있는데, 역시 비슷한 가면을 쓰고 있다. 녀석은 리더를 "오버홀"이라 부르며 돈은 받았으니 히어로가 오기 전에 튀자고 한다. 부하의 말에 대답도 없이 타오르는 잔해를 바라보며 "환자들 뿐"이라 중얼거리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7화 . . . . 3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No. 117. '''놈의 개성 얘기다'''
          * 바쿠고는 무개성이었던 미도리야가 갑자기 웅영고에 입학하고 개성이 발현된 것이 "기분 나쁘다"고 한다. 게다가 그 미도리야는 "남에게 물려받았다", "언젠가는 내 힘으로 만들어서 내 힘으로 너를 뛰어넘겠다"같은 뜻모를 말을 했었다. 그러고도 미도리야는 계속 활약해서 위로 올라갔다. 기어코 바쿠고를 앞질러 임시면허까지 손에넣기에 이르렀다.
          * 생각지 못한 결론이 나오지 미도리야가 크게 당황한다. 그는 지금 싸워야할 이유가 없다고 항변하는데 바쿠고는 "놈의 뭐가 올마이트를 움직였는지 확인해주겠다"며 결정을 바꾸지 않는다. 만약 그의 동경이 더 올바른 거라면, 자신의 동경은 잘못됐던 거냐면서.
  • 날조트랩 -NTR- . . . . 3회 일치
         코다마 나오코(コダマナオコ)가 「코믹 유리히메(コミック百合姫)」에 연재중인 --[[토라레]] 백합만화.
         소꿉친구 관계에 있는 여고생 오카자키 유마(岡崎由真)와 미즈시나 호타루(水科蛍)가, 서로 남자친구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관계가 깊어지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1화에서 타케다와의 데이트를 앞둔 유마에게 '장난'을 하고, 데이트를 마치고 온 뒤에는 '키스'를 하면서 둘 만의 '비밀'을 만들게 된다. 유마에게 자주 장난을 걸지만 유마는 일선을 넘지 못하고, 호타루는 질투심에 유마에게서 멀어지려 한다. 3학년 때는 돈을 벌어서 집을 나가겠다며 코미미 메이드카페에서 수상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 네타바라시 . . . . 3회 일치
         [[타]]를 폭로하는 행위. [[타바레]]와는 비슷하면서도 또 다르다.
         타바레보다 좀 더 능동적인 의미가 있다.
  • 니세코이/214화 . . . . 3회 일치
          * 오노데라는 지금 아니면 단둘이 이야기할 기회가 없을 것 같다고 말해서 의미심장한 분위기를 만드는데
          * 그냥 치토게에 대한 이야기였다.
          * 아무리 그래도 갑자기 대기업 사장 비서부터 사회생활을 시작하다니(...)--과연 금수저--
  • 동군연합 . . . . 3회 일치
          * 중세 유럽 문화에서 왕위나 귀족의 작위는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지위로서 인식되었다. 동양에서는 한 명의 군주에게 보통 1개의 왕위나 작위 칭호만이 있지만, 중세에는 군주가 가지는 왕위나 작위가 2개 이상에서 수십개에 달하는 경우도 흔히 있었다.[* [[충렬왕]]이 고려왕과 심양왕을 겸하였던 사례가 있기는 한데, 이는 정말 특수한 사례이다. 픽션에서는 [[초한지]]에서 [[한신]]이 삼제(三齊)의 왕을 겸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실에서 있었던 사례는 아니다.]
         ''' 근세 유럽국가들의 동군연합중 최강의 동군연합 ''' 스페인의 왕위계승자였던 카를로스1세가 오스트리아 대공에 오르면서 생겨난 동군연합. 당시 스페인은 신대륙의 금광+저지대의 미친 생산력에서 나오는 자금과 스페인+보헤미아+오스트리아라는 거대한 땅덩어리에서 나오던 국력을 통해 당시 유럽 최강국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이는 통치면적으로 보자면 '합스부르크 제국'의 최전성기였다. 다만, 당시 스페인의 왕이던 카를로스가 독일 쪽에 영 관심이 없어서(...) 연합은 1대만에 해체.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은 스페인계와 오스트리아계로 나뉘어진다.[* 다만, 플랑드르 지방은 스페인에게 갔다. 그리고 이후 덜란드, 벨기에로 독립하게 된다.]
         [[영국]]의 [[스튜어트 왕조]]가 단절되면서, 당시 하노버 선제후였던 게오르그가 영국의 조지 1세로 즉위하면서 생겨난 연합. [[덜란드]]-[[영국]] 연합이 단절되고 대신 하노버-영국 연합이 생겨났다. 하노버 선제후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일시 멸망했으나, 하노버의 신하들과 군인들은 영국으로 --됭케르그 후퇴-- 피신하여 '독일인 군단'을 결성하여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했고, 나폴레옹 몰락 이후 [[빈 회의]]에서 하노버 왕국으로 복귀한다.
  • 드라콘 . . . . 3회 일치
         [[아테]]의 정치가. 기원전 621년에 법률을 만들고 포고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받았다.
         드라콘 법은 가해자의 의도에 따라서 구별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에페타이(Ephetai)라는 [[배심원]] 법정을 설치했다. 이 법정에서는 피살자의 모든 '유족'(부모 형제가 살아 있을 경우에는 부모나 형제, 그렇지 않을 경우는 사촌이나 친척)이 용서해줄 경우 사면을 내릴 수 있으며, 유족이 없고 우발적인 살인이라고 판단되면 프라트리아(Phratria)라는 기관[* 씨족과 부족의 중간 단계. 민주정치 이전에 시민의 명단을 관리했다.]에서 사면 여부를 결정한다. 우발적인 살인의 경우, 국가는 살인자가 아테를 떠나서 국외로 망명할 수 있도록 안전한 이동을 보장해야 했던 것으로 보인다.
         벨로흐(K.J.Beloch)는 드라콘이란 그리스어로 [[뱀]]을 뜻하는 말이며, 그의 주장에 따르면 아테인들은 아크로폴리스에서 본래 [[뱀]]을 숭배하였으므로 드라콘법이란 이 뱀신을 모시던 사제들이 뱀신의 종교적 권위에 따라서 반포한 법이라고 한다.
  • 뜨거운 것이 좋아 . . . . 3회 일치
          * 제리/다프(잭 레몬)
          재벌. 다프와 사랑에 빠지지만 다프가 여장남자라는건 모른다.
  • 롬니아 제국 흥망기 . . . . 3회 일치
          * 모 : 산악민족 출신으로 사이파카르를 그 언행 하나하나까지 전부 경애하고 있다.
          * 자티 : 변경주의 집정관. 매사에 소극적이고 보신주의가 강한 소시민 타입. 기억력이 좋다.
  • 마기/316화 . . . . 3회 일치
         [[마기]] 316번째 밤. '''다윗의 속삭임'''
          * 그런데 갑자기 다윗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는데...
          * 그 목소리는 말이 너무 많다며 "최근엔 나하고만 이야기하는거 아니냐"고 빈정댄다.
  • 마기/317화 . . . . 3회 일치
         [[마기]] 317번째 밤. '''신드바드의 유대'''
          * 히나호호의 동생 피피리카는 그건 "가 그 자리에 없었기 때문"이라며 자신은 그날 풍기던 "사람이 불타는 냄새"나 "그 사람"[* 비델로 보인다]이 죽어가던 무참한 표정을 잊을 수가 없다고 말한다.
          * 직접 언급되진 않았지만 세렌디도 이때 사망한 걸로 보인다. 제파르가 현재 신드바드 소유인 것도 이때문으로 보인다.
  • 마기/321화 . . . . 3회 일치
         [[마기]] 321번째 밤. '''신드바드의 미소'''
          * 그러나 신드바드는 첫 번째 던전을 공략하고 바알을 얻던 때는 만 명 중 하나의 확률을 돌파했다고 회상한다.
          * 신드바드는 첫 번째 던전을 공략하던 때랑 똑같다고 느낀다.
  • 마기/325화 . . . . 3회 일치
         [[마기]] 325번째 밤. '''왕좌의 현자'''
          * 다윗의 풀임은 다윗 요아즈 아브라함. 알마트란 시절 일 일라가 최초로 마법을 부여한 인간 중 한 명이었다. 겉으론 평범한 소년에 지나지 않았던 그는 마법과 함께 또다른 특이한 재능을 부여받았는데, 그것은 "운명을 보는 힘". 즉 특이점이다. 그는 운명을 통찰하며 마법이란, 마법사란 무엇이며 신이 어째서 그를 선택했는지 의문을 가진다.
          * 그때 익숙한 목소리가 "글씨가 더럽다"고 팩트를 던지는데. 행방불명됐던 쥬다르다. 갑자기 돌아왔다 싶었는데 홍옥을 보자마자 할망구라고 부르질 않나 화장이 옅어졌다고 하지 않나 실례되는 소리만 늘어놓는다. 알리바바가 반가움 반 황당함 반으로 언제 돌아왔냐고 묻는데, 사실 돌아오긴 백룡하고 같이 전날밤에 돌아왔다. 그런데도 어디 처박혀있었는지 얼굴도 비치지 않았던 것이다.
  • 마기/328화 . . . . 3회 일치
         [[마기]] 328번째 밤. '''공통된 희망'''
         || 가 앞으로 성궁으로 가서 다시금 루프를 덮어 씌울 수야 있겠지.
          * 알라딘은 반박은 하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신드바드의 의견을 인정하지도 않는다. 둘 사이의 평행선이 계속되고 알리바바는 그 사이에서 어쩌지 못한다. 신드바드는 주저하는 그에게 의견을 묻는다. 알라딘도 말은 하지 않지만 그의 입을 주시한다. 갑자기 의견을 요구받은 알리바바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 마기/330화 . . . . 3회 일치
         [[마기]] 330번째 밤. '''함께 루프로'''
          * 세상을 재창조하기 위해 루프를 완전히 재창조하겠다는 [[신드바드(마기)|신드바드]]. 그러나 그 말은 결국 지금 세상을 완전히 멸망시킨다는 이야기다. [[알리바바 사르쟈]]와 [[알라딘(마기)|알라딘]]은 그런 폭거에 도저히 동조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자 신드바드는 자기 혼자의 의견이 아니라며 전 [[팔인장]]을 소환한다. 그들은 이미 준비하고 있었던 듯 방문이 열리자 그들이 기다리고 있다.
         한편 커플링에 민감한 팬덤에선 나름 만족하는 부분도 있는데 샤를르칸X야무라이하가 실현, 스파르토스X피스티도 실현. 신드바드가 루프를 조작한 영향인지 갑자기 커플이 탄생했다.
  • 메일빙 . . . . 3회 일치
         일반 [[택배]]와는 달리, 택배 물품을 수취인의 우편함에 그냥 집어넣고 신경끄는 서비스(…). 배달 일시 지정이나 수취인에게 제대로 갔는지 확인하는 것을 하지 않는다. 대신 요금이 싸다. 주로 [[책]], [[잡지]], [[상품 카탈로그]] 등 경량 소형 화물을 대상으로 하며, 메일빙으로 보낼 수 있는 물건은 크기나 무게가 제한되어 있다. 쿠로코 메일빙의 경우 최대 크기 B4, 두께 2센티미터, 무게 1 킬로로 제한되어 있다.
         [[야마토 운수]]가 1997년에 우편 사업 민영화를 예상하여, 「쿠로코 메일빙(クロネコメール便)」을 시작한 것이 첫번째 사례이다. 일본 우정은 2007년 [[민영화]] 되면서 기존의 책자 소포(冊子小包)를 「유우 메일(ゆうメール)」로 이름을 바꿔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 미니게임기 . . . . 3회 일치
         주로 [[문방구]] 앞에 설치되어있어서 "문방구 게임기"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하지만 문방구 앞에만 설치되어 있었던 건 아니고, [[도서대여점]], 동 [[마트]], 좀 큰 [[식당]]의 애들 놀이방 등지에도 설치되어 있었다.
         흔히 그 작은 게임기를 생각하겠지만, 여러 희귀종이 있었다. [[플레이 스테이션 2]] 게임을 기간제로 하게 하는 게임기라거나, 조금 큰 게임기라거나. 게임기 2개를 이어서 명이 동시에 할 수 있게 한 버전도 있었다.
         2002년 제정된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35484.html|싱글 로케이션]]" 제도에 따르면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전제 하에 한 가게 당 게임기를 두 대 까지 설치할 수 있게 되어있었다. 여러분들 기억상의 가게 대부분은 이걸 어겼다는 이야기.
  • 바키도/108화 . . . . 3회 일치
          * 바키는 유지로에게, 무사시가 공명심을 숨김없이 피력하며 "(무를 통해)칭찬받고 싶고 황금을 받고 싶고 출세하고 싶다"고 말한 일을 이야기한다.
          * 한편 도쿠가와의 자택에서는 무사시의 칼 카시게가 무사시에게 전달된다.
          * 아직 손도 대지 않았는데, 무사시가 나타나니 카시게에 묶힌 끈이 저절로 풀린다.
  • 바키도/110화 . . . . 3회 일치
          * 빌딩이 엄청나게 크다고하면서도, 그저 세로로 클 뿐이라서 모서리의 기둥을 베어 버리면 자기 무게도 버티지 못하고 붕괴해 버릴 거라고 짐작한다.
          * 다시 가이아는 "당신은 등 뒤를 잡혔다"고 말하는데, 무사시는 웃음을 터뜨리며 "게 위험이 없어서 그렇다."고 도발한다.
          * 무사시도 벨 수 있다고 했지 쉽다고는 하지 않았는데, 아무리 애도 카시게를 동원해도 날이 빠지는건 피할 수 없다고 한다.
  • 블랙 클로버/68화 . . . . 3회 일치
          * 그는 과거를 단편적으로 회상하는데, 리히트는 그에게 "절망해야 할 것은 가 아니라 클로버 왕국의 인간"이라고 말한다.
          * 베토는 "죽여주마"는 말과 함께 세 번째 눈을 뜬다.
          * 첫번째 던전에서 썼던 노엘과 아스타의 합체 마법이 재현될지도?
  • 블랙 클로버/76화 . . . . 3회 일치
          * 유노는 "너야 말로 지킬 수 있으면 너와 동료들을 지켜봐라"라고 되받아친다.
          * 다른 방향에서 공격 중인 팔휘장 라고스. 웃음소리가 "엣엣엣"인 기분 나쁜 노인다.
          * 점액 창성 마법 "뮤커스 일". 점액을 둘러 슬라임 같은 외피를 생성.
  • 블랙 클로버/77화 . . . . 3회 일치
          * 벤전스는 영광으로 알라며 " 마력은 클로버 왕국의 양식이 된다"고 말한다.
          * 오히려 이걸 기다렸다는 듯 "둘이 남았으니 얘기 좀 하자"고 어떤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 하지만 유노는 "그만큼 다쳤다는건 가 그만큼 강해졌다는 것. 지지 않을 거야"라고 말한다.
  • 블랙 클로버/78화 . . . . 3회 일치
          * 그런데 지붕 위에서 핀랄에게 인사를 건는 이가 있었다.
          * 그런데 기세좋게 말해놓고 갑자기 뒤로 떠어드는 아스타.
          * 그러다 야미가 "그래 마법은 세계수 마법"이라고 의미심장하게 뜸을 들인다.
  • 블랙 클로버/87화 . . . . 3회 일치
          * 에서 화재를 진압하던 노엘 실버가 합류. 그녀의 물마법은 샐러맨더의 불이라도 끌 수 있었다.
          * 필살기를 쓰겠다고 벼르던 아스타지만 증오의 파나가 퍼붓는 맹공에는 한 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공격에 명중한 것도 아니지만 열기에서 오는 압력만으로 몸이 밀려날 정도다. 혼자서는 접근이 불가능한데 너무 강한 마력 탓에 마나 역장이 형성되어 핀랄 룰러케이트의 공간 마법이 제대로 형성되질 않는다. 바사 에노테이커의 실마법도 실을 내놓는 족족 열기에 타들어가서 무용지물이 된 상태.
          * 물 창성마법 "해룡의 둥지". 물의 방어마법이 펼쳐지며 샐러맨더의 열기를 식힌다. 에서 화재를 진압하던 노엘 실버가 아무리 불길을 잡아도 끝이 나질 않아 전투현장까지 온 것이다. 노엘은 샐러맨더를 보고 겁을 먹지만 겉으론 내색하지 않는다. 동료들은 물마법을 구사하는 노엘이라면 화염의 샐러맨더를 제압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블리치/692화 . . . . 3회 일치
          * 제라드는 초거대화된 상태에서 갑자기 힘을 잃고 뼈만 남긴채 쓰러진다.
          * 그는 지금까지는 "만사를 가 말하는 천칭에 달아보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 이치고가 모든 힘을 상실한건 이것으로 3번째.--그만해--
  • 블리치/698화 . . . . 3회 일치
          * 렌지와 루키아도 결혼. 아이도 생겼는데 이치고 집에 놀러오다 잠깐 잃어 버린다.
          * 묘한 꼬맹이가 히요리 공방에 들어갔다가 후다닥 도망친다.
          * 삶과 죽음 조차도 경계를 없애서 필멸자도 죽음의 공포에 시달리지 않는 세상을 만들려 한 것이다.
  • 스틸오션/사령관 . . . . 3회 일치
          영국 제독. 미들임이 브라운(Browne)이라 ABC라는 별명을 가졌던 그 양반이다.
         attachment:니콜라이_쿠즈초프.png
          * 니콜라이 쿠즈초프(Nikolay Kuznetsov)
  • 식극의 소마/168화 . . . . 3회 일치
          * 정작 에리나는 소마의 방에 왔는데, 뜬금없이 츠카사와 식극에서 진 일을 끄집어내서 "내가 선택해주지 않았다고 불평을 들을 이유는 없다. 무모한 싸움을 건 잘못"이라며 비난한다.
          * 에리나는 어린시절 요리에 아무런 정열도 없던 시절 이야기를 꺼낸다.
          * 어느날 사이바가 나키리의 할아버지 센자에몬에게 음식을 대접하러 왔는데, 난생 처음으로 "맛있는 냄새"라고 느끼고 식욕이 생겨서 꼬르륵 거린다.
  • 식극의 소마/181화 . . . . 3회 일치
          * 갑자기 나타나 조리실을 점거한 쿠가 일당.
          * 아무튼 진짜로 도와주겠다고 하자 고맙게 받겠다고 하는데, 갑자기 쿠가가 조건을 건다.
          * 은근슬쩍 "가 하야마를 쓰러뜨리고 십걸에 들어가고 내가 십걸인 너한테 식극을 걸면 압승할게 뻔하니 손쉽게 십걸로 복귀할 수 있다"는 사심을 드러낸다.
  • 식극의 소마/182화 . . . . 3회 일치
          * 추위에 굴복한 쿠가는 커피를 마시며 그때 이야기를 한다.
          * 패자는 실려나가면서 "신의 영역에 들어섰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위험한 향"이라고 말하는데.--역시 약을 탔. 식약청 불러와--
          * 그러면서 "가 한 말(곰고기의 냄새를 살리고 싶다) 자체는 맞다"며 "냄새를 지운다"는 사고방식은 잘못됐다고 말한다.
  • 식극의 소마/185화 . . . . 3회 일치
          * 이번 심사의원은 "나키리 인터셔널"을 일으켜 세운 당사자이자 나키리 센자에몬의 아들, 그리고 나키리 아리스의 아버지인 "나키리 소우에"
          * 그리고 함께 심사의원을 맡은 베르타와 실라. 이들도 나키리 인터셔널의 연구 스탭으로 일하고 있다.
          * 마리로 만들어서 연하게 만드는 모양인데.
  • 식극의 소마/192화 . . . . 3회 일치
          소마는 하야마와 하던 이야기를 계속하는데 "그것만으로 충분하다"던 게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 하야마는 대답이 없는데 그때 센트럴의 하수인인 "아이다 션"이란 남자가 자신이 설명하겠다며 등장한다.
          * 그런데 소마는 뭔가 어정쩡하게 분노하고 있다. 타쿠미가 왜 그리 태평하냐고 갈구니 "어쨌든 요리승부로 진 것"이라며 적을 욕할 일은 아니라고 대답한다. 타쿠미도 그 점에는 반박을 못하지만 이 판국에 누구 편이냐며 까댄다. 그러자 소마는 또 엉뚱한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다. 십걸은 학교를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지 않냐는 것.
          소마는 여기 명이 있다며 "하야마가 떠났으니 한 자리가 빈다", "에리나는 원래 있었고"라고 묘한 계산을 시작한다.
  • 식극의 소마/193화 . . . . 3회 일치
          * 황당하기까지한 유키히라 소마의 제안. 소마는 하야마 아키라가 퇴학됐으니 남은 십걸 자리는 9. 나키리 에리나가 이미 한 자리 차지하고 있으니 앞으로 자리만 차지하면 십걸의 과반 이상을 점거하는 거라고 설명한다. 살아남은 자신들이 말이다.
          * 소마는 "나카무라 선배"[* 아자미의 원래 성]라 부르며 "내가 여기 살아 남은 시점에서 선배가 옳다는건 증명이 안 된 것"이라 도발한다. 헬기에 오르던 아자미가 멈칫한다. 소마는 자기를 없애고 싶은 거면 회장마다 돌아보는 수고하지 말고 "우리 군대랑 댁 군대로 십걸 자리를 걸고 전면대결하자"고 제안한다.
  • 안드로메다 스토리즈 . . . . 3회 일치
         애니메이션은 TV 스페셜로 방송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안드로메다 별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비디오 테이프로 발매되었다.
         --안드로메다로 가는 이야기--[* 정확히는 안드로메다에서 지구로 오는 이야기.]
  • 야규 슈메 . . . . 3회 일치
         그런데, 이 결혼은 [[야규 무노리]]가 이끄는 에도 야규 가문과 야규 토시요시가 이끄는 오와리 야규 가문이 불화의 씨앗이 되었다. 토시요시는 여동생을 가문과 출신을 알 수 없는 타국 사람에게 시집 보낸 데다가, 게다가 사전에 오빠인 자신에게 상담없이 숙부 무노리가 마음대로 결혼을 결정했다는 이유로 분노하였다. 그리하여 토시요시는 무노리와 [[절교]]를 선언하였다고 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3회 일치
         >어쌔신 크리드 III는 당신을 미국 독립전쟁으로 데려다 줄 겁니다. 역사책에서 본 적 읽은적 없는 이야기로…….
         2012년 발매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5번째 작품. [[미국 독립 전쟁]]시기를 배경으로 했다.
          검과 권총으로 무장한 병사들. 수배레벨이 3이 되면 코너를 찾아 다닌다. 말 탄채로 나타나기도 한다. 평타를 막으며 카운터도 막는다. 방어파쇄도 막는다. 요새의 지휘관은 모두 얘들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3회 일치
          대번포트 농지에서 제작 가능. 가비타스라는 스페인인 총기 제작사가 만든 .71 구경 권총. E.B.라는 이니셜이 새겨져 있어서 에드워드 브래독의 소유물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Trip Mines. 독일제 플라더미(Fladdermine)에 영감을 받은 감압식 지뢰. 플라더미보다 작고 쓸만하다. 적이 일정 범위 안으로 들어오면 폭발한다. 설치에 시간이 걸린다. 카운터킬에 사용하면 폭발한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 . . . 3회 일치
         == (Forest) ==
          * 스이크루트(Snakeroot)
          패카낙의 경비병이 지키고 있는 야영지 상자에서 획득 가능. 라일 레벨2 부터 제작 가능. 유리병+스이크루트.
  • 우츠미 사토루 . . . . 3회 일치
         [[일본]]의 [[의사]]. 내과의사, 한방의사이며, [[음모론자]](…). 인터넷 상에서 쓰는 닉임은 미치광이 의사(キチガイ医).
          * 카시오 로지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원피스/819화 . . . . 3회 일치
         * 루피는 모모타로에게 '''"가 이들의 대장이 맞다면 가 직접 청해라"'''고 일갈한다
         * 동맹이 성사되고 밍크족의 두 왕도 드디어 화해를 한다. 고래은 오랜만에 축제를 연다
  • 원피스/822화 . . . . 3회 일치
         * 코마무시의 집이 무너졌기 때문에 그 안에 있던 페콤즈는 잔해에 깔려버렸다. 하지만 "거북거북 열매" 능력자인 탓에 죽지 않고 살아있다.
         * 코마무시는 마르코를 찾으러 가고 조로, 로우, 킨에몬은 와노쿠니로 향한다.
         * 코마무시는 페콤즈를 막을 수 있는게 페드로 뿐이라고 말했다.
  • 원피스/838화 . . . . 3회 일치
          * 조금 떨어진 곳에서는 나미가 로라의 비브르 카드를 사용해 유혹의 의 나무들을 수족처럼 부려먹고 있다.
          * 조금 떨어진 곳에선 나미가 로라의 비브르 카드를 가지고 유혹의 나무들을 부려먹고 있다.
          * 하지만 나미는 "너가 아프거나 말거나 조금도 신경 안 쓴다"며 해적다운 소릴 해댄다.
  • 원피스/840화 . . . . 3회 일치
          * 니디는 "그런줄 알았으면 얼굴은 봐줬을 것"이라 조롱하고 이치디는 "중상이라도 괜찮다면 시종으로 주겠다"고 거든다.
          * 어느날은 잠수 훈련을 하다 상디만 낙오, 병사들에게 구조 받는다.
          * 저지는 생쥐를 기르는 것이나 요리를 하는 것 모두 못마땅해하며 " 어미는 죽었고 죽은 자의 그림자를 쫓지 마라"고 야단친다.
  • 원피스/847화 . . . . 3회 일치
          * 미러월드 안에 있는 샬롯 브륄레의 집. 캐럿과 쵸파는 결국 잡혔다. 브륄레는 캐럿을 토끼 수프로 만들려고 한다. 언제 들어온 건지 학기사 랜돌프와 유혹의 에 있던 악어도 동석. 악어는 본래 자신은 인간은 먹지 않지만 밍크족은 어찌어찌 될 거 같다며 식사를 고대하고 있다. 쵸파가 진자 토끼가 아니라 인간이라고 항변하자 악어가 망설이는데, 브륄레는 쵸파더러 빅맘의 "컬랙션"에 들어갈 거라며 입다물고 있으라고 조롱한다.
          * 빅맘은 뜬금없이 루피가 어인섬에서 가로챈 과자값으로 준 어인섬의 보물 이야기를 꺼낸다. 그때 루피가 줬던 보물 중에는 어인섬의 국보인 "옥갑"이 섞여 있었다. 넵튠이 왜 이런 것까지 루피한테 줬는지 모르겠다며 웃으며 내일 다과회에서 개봉하겠다고 선언한다. 이 이야기는 루피를 도발하기 위해서 한 말 같지만, 정작 루피는 거기에는 관심이 없었다. 여전히 상디의 결혼 문제에 화를 내는데, 급기야 샬롯 푸딩을 언급하며 그녀가 자신들의 친구니 만나게 해달라고 발언한다. 나미는 그 발언을 막으려 하는데 빅맘은 그저 둘러대는 말이려니 하고 귀담아 듣지 않는다.
  • 은혼/584화 . . . . 3회 일치
          * '''갑자기 우미보즈에게 박치기 한다.'''
          * 카무이에게 "가 찾던 최강은 여기에 있다"며 '''"대머리(바다돌이)를 쓰러뜨리기 위해 얻은 것 전부를 꺼내봐라"'''라고 말한다.
          * '''"가 원하던 것은 그런 거다"'''라고 쏘아붙인다.
  • 은혼/593화 . . . . 3회 일치
          * 어느날 속박에서 풀려난 우츠로는 복수하듯 살육을 반복해온 끝에 그 실력을 높이산 텐쇼인 나락으로 거두어지게 된다.
          * 우츠로는 자신의 정체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는 요시다 쇼요인 동시에 우츠로이기도 하며 둘 다 아니기도 하다고 말한다.
          * 헨페이타를 통해 "괴물"로 취급되던 우츠로의 이야기를 들은 긴토키는 처음 쇼요를 만났을 때 "귀여운 괴물"이라 불린 일을 회상한다.
  • 은혼/602화 . . . . 3회 일치
          * 원상은 그런 건 약해 빠진 너 나라의 얘기라며, 자신의 나라에선 전장을 포기하고 돌아가는 남자 따윈 아내에게 엉덩이를 걷어차이고 돌려보내진다고 말한다.
          * 아내의 무덤 앞에서 그를 뒤따라온 자작과 이야기하는 원상.
          * 그게 누구냐고 묻는 자작에게, 원상은 갑자기 아르타나가 폭주한 그 날, 자신의 처자가 죽은 그 날의 일을 거론한다.
  • 은혼/606화 . . . . 3회 일치
          * '''마요즈 폭산'''
          * 금연 중 마요즈 말고는 기댈 곳이 없어진 히지카타 앞에서 마요즈를 버리는 오키타의 딱히 새롭지 않은 힘이다.
  • 은혼/607화 . . . . 3회 일치
          * 해결사 일행은 야마자키 엉덩이에 야마자키가 달려 있다고 경악--너도 이런걸 단 적이 있잖아--
          * 이제는 너무 몸이 가벼워서 하늘로 날아갈 지경이라는데.--성불하겠--
          * 갑자기 연막에 휩쌓이는 해방군 함대.
  • 은혼/612화 . . . . 3회 일치
          * 지상에선 다키니 군단을 앞세운 해방군 지상병력이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향해 진군 중
          * 다키니의 리더 오우가이는 지상군의 지휘권을 장악하고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향해 진군한다. 겐카이 포를 파괴하면 망가진 기계들과 후방과의 통신이 부활할 거라고 여기고 있다.
          * 황태자는 새로운 종을 발견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상위비비"라는 녀석들이다. 그런데 우리에 가보니 상위비비는 보이지 않고 똥만 보인다. 할아범은 "동물원에선 흔한 일"이라며 어느 동물원이든 가보면 똥만 있고 동물은 없더란 상황이 있다고 얼버무린다. 황태자는 그런건 됐고 상위비비는 어디있냐고 찾아 이번엔 "똥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똬리를 튼 상위비비"라는 상황이 동물원에선 흔하다고 얼버무린다. 하타 황태자도 안 속는 무성의한 개드립이다.
  • 일곱개의 대죄/175화 . . . . 3회 일치
          * 그러나 길 프로스트는 개봐야 개죽음이고 "가 죽으면 곤란하다"며 거절한다.
          * 드래퓌스(프라우드린)은 다니폴의 굴욕을 운운하며 "그때 나를 죽이지 않아서 목이 떨어지게 된 것"이라고 도발한다.
          * 그로키시니아는 "가 인간편을 든 것이 잘못"이라며 영창 바스키어스를 멜리오다스에게 던진다.
  • 일곱개의 대죄/180화 . . . . 3회 일치
          * 손님들도 슬슬 돌아가고 고르기우스도 그런 분위기를 타고 돌아가려고 하는데, 갑자기 배에서 꼬르륵 소리가 난다.
          * 고르기우스가 다녀간 일이나, 주민들이 불안을 느끼면서도 필사적으로 살고 있는 이야기들.
          * 죽은 걸로 알려져 있던 자라트라스가 갑자기 갑툭튀했다.
  • 일곱개의 대죄/189화 . . . . 3회 일치
          * 호크가 멜리오다스의 신기를 갖다주고 일행은 한시라도 빨리 리오스 왕국으로 향하기로 한다.
          * 그녀가 말한 "걸 박아줘"는 협공을 뜻하는 거였다.
          * 자신이 멜리오다스의 주위를 끌고 있는 사이 자신과 멜리오다스 위로 "걸(공격)"을 때려박으라는 얘기. 자신은 멜리오다스보다 튼튼하니 충분히 견딜 수 있다고 장담한다.
  • 일곱개의 대죄/193화 . . . . 3회 일치
          * 자라트라스가 끊는다던 목숨은 자기 자신의 것. 그는 "죽음의 정화"(데스퍼지)라는 기술로 프라우드린과 드레퓌스를 분리시키는데 성공한다.
          * 하지만 프라우드린은 당황하긴 커녕 " 따위 마력으론 날 죽일 수 없다"고 가소로워한다.
          * 자신의 목숨을 걸고 "죽음의 정화"(데스퍼지)를 걸려고 접근한 것.
  • 일곱개의 대죄/194화 . . . . 3회 일치
          * 하우저는 갑자기 나타난 거대 괴수를 보고 경악하고 멀린은 저것이 프라우드린의 본체라고 설명해준다.
          * 프라우드린은 이대로 한 꺼번에 짓뭉개주겠다고 위협하는데 갑자기 날아온 공격에 얼굴을 맞는다.
         다음회 제목은 "리오스 방위전 종결"
  • 잘츠부르크 . . . . 3회 일치
         [[모차르트]]의 고향으로 유명하다. 랄까 모차르트 말고 유명한 사람도 없다.(…) --우리 동에서 모차르트가 태어났다는게 자랑--
         하지만 정작 모차르트 자신은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나기만 했지 별로 오래 머물지 않았고, 주로 [[빈]]에서 활동했다.--모차르트가 우리 동 별로 온 적 없는건 안 자랑--
         이버 캐스트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00&contents_id=4221&path=%7C184%7C197%7C&leafId=242
  • 쟈이안 . . . . 3회 일치
         주인공 [[노비 노비타]]가 거주하는 동를 주름잡는 --일진-- [[골목대장]]. 이기적이고 사악(!)한 성격으로서, 노비타 군이 도라에몽에게 울며 매달리는 사례의 약 30% 가량은 "쟈이안이 괴롭혀서". 동에서 노비타의 고통 요인 원탑이다.
         [[전투력]]이 높아서 동 아이들 가운데 가장 싸움을 잘하며, 음치라서 [[노래]]도 [[음파무기]] 수준.
  • 진격의 거인/86화 . . . . 3회 일치
          * 그리샤는 진실을 이야기 하기 위해 자신의 어린시절부터 언급해야 했다고 쓰고 있는데, 그의 어린시절은 평범해 보이지만 어딘지 부자연스럽다.
          * 그리샤는 그 남자가 거짓말을 했고 분명 뭔가 한게 틀림없다고 말하지만 이야기가 마레 당국 귀에 들어갈 것을 우려한 아버지는 거칠게 그리샤를 비난한다.
          * 어느날 올빼미가 보냈다는 여자가 아지트를 방문한다.
  • 창작:레스터 리 . . . . 3회 일치
         >솔직히 말하자면, 또 다른 세상을 보고 싶어. 이런 세상도 괜찮구나, 하고 느껴보는 거지. 말대로 여러가지 험한 꼴을 당하겠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재밌을 거라고 생각해. '''아마도.'''
         하지만 존이 "일" 때문에 아침 일찍 나가느라 마주치는 일이 거의 없고, 또한 가만히 있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아파트 주민들을 비롯해 동 사람들과 어울리며 점차 적응해 나간다. 그리고 몇몇 에피소드를 통해 자신만의 인맥을 쌓아 나간다. 하지만 긍정적인 인맥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쪽으로도 인간관계를 쌓아 나가게 된다. 급기야 "The Street Sweeper: Act 2" 에피소드에서는 연쇄살인범으로 몰려 구치소에 가기도 하지만, 존이 와서 상황을 설명하고 처리해 준 덕분에 무사히 풀려난다.
          * 제작자 Lester의 오너캐이기도 하다. 애초에 미국식 이름이 닉임과 같다.
  • 창작:세정종합병원 . . . . 3회 일치
         과거에는 동 곳곳에 작은 진료소가 있었기 때문에 수술 등의 대규모 시술은 대도시로 가야만 가능했다. 그러나 무동군이 대기업들의 투자로 고도의 발전을 이루어 인구가 급증하자, 사회적 인프라의 확충을 위해 순식간에 건립되었다. 그러나 너무 장기적 관점에 치중하느라 기본적인 수요를 훨씬 웃도는 규모의 시설을 마련했고, 결국 개원한 지 몇 년만에 관리비 과다 지출로 인해 적자를 보게 되었다. 비용절감을 위해서는 시설과 인력을 점점 줄여나갈 수밖에 없었고, 덩달아 수요층까지 점점 줄어들게 되면서 본래 시설의 1/3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전부 방치되었다.
         황청읍에 본관이 있고 산과 이 가까운 은죽면에 기본적인 분야들을 중복으로 운영하는 A별관과 장기입원 및 요양을 위한 B별관이 있다. 또한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관리비가 과도하게 지출되었기 때문에 A별과 B별관은 거의 방치되었다.
         (선택지 소설로 쓸 만한 소재거리나 떡밥성 이야기 등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나다 순으로 기재해 주세요.)
  • 창작:좀비탈출/5-1-1-1-1-1 . . . . 3회 일치
         호기심이라지만 나는 무엇이 있을지 뻔히 알고 있으면서 열고 있다. 영화로 치면 어떻게 끝날지 다 알면서 굳이 보는 거랑 비슷하려나? 젠장 비유가 마음에 안 드.
         아줌마는 그렇게 기억에 남는 타입이 아니다. 어느 동에나 있는 아줌마니까. 내가 어디에서 살든 어떤 거리를 걷든 한 명 정도를 보일 정도로 흔한 얼굴이었다. 그런 얼굴도 냉동실에서 보기에되면 꽤나 인상적이군.
         나는 잠시 동안 복잡한 기분에 휩싸였다. 이 부질없는 퍼즐 맞추기를 계속한 결과, 한때나마 원래는 인간이었고 이웃이었고, 내가 말을 주고 받던 대상이었음이 떠오르고 말았다. 한 명은 내가 마무리를 지어줬는데 어떤 면으론 장례식을 치뤄준 셈이었다. 그리고 그 사람의 아내는 지금 냉동실에서 썩은 고기가 되어 있는걸 발굴해냈다. 그러니까…… 말 그대로 '''썩어빠진 인간관계'''가 돼버렸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 . . . . 3회 일치
         나는 한 발을 옮길 때마다 부정적인 전제를 깔며 움직였다. 최악의 상황을 미리 상상하는 걸로 경계심을 다잡고 언제든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솔직히 바보같다는 것 안다. 누가 보면 클래식 시트콤 매니아인줄 알겠. 와트니와 다르게 나는 시트콤에 빠질 기회가 없었다. 전기가 끝장난 이래 내게 주어진 오락거리라곤 초라한 소장도서 몇 권과 잠 밖에 없었다.
         그리고 어쩌면이 역시나가 되는 상황은 결국 오고야 말았다. 토트넘 앞마당으로 넘어가는 때였다. 그르릉 소리와 함께 나는 발을 멈췄다. 한 마리…… 있다.
         토트넘의 집은 우리 집하고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고 구조나 면적도 거의 비슷하다. 그렇게 들은 기억이 난다. 하지만 앞마당이 이쪽이 좀 넓었는데 그건 차고를 끼고 있기 때문이다. 뒷문이 따로 있는 것도 그런 이유다. 문제의 차고는 차고문이 활짝 열려 있고 차는 보이지 않는다. 가만 토트넘 차는 분명…… 그래 '''다이너스티'''. 분명 그런 차였다. 토트넘이 생전에 애지중지하면서 끼고 살았다. 이 불쌍한 양반은 죽어서도 편히 눕질 못하더니 아끼던 차까지 털린 것이다.
  • 콩고(소설) . . . . 3회 일치
         정글에 투입시 지대공 미사일의 공격을 시작으로 식인종의 식인 행위를 목격하고[* 창칼로 무장한 원시인 수준이긴 했지만 너무 호전적이라 닳고닳은 용병인 먼로도 경계할 정도였다. 그렇다고 정부군이 멀쩡한 건 아니라 수틀리면 간빼먹는 건 일도 아니게 생각할 병사들이 그득하다고.] 하마의 공격에 혼쭐나기도 하고 피그미족에게 구출된 1차 탐사대원도 만난다.[* 너무 큰 충격을 받아 한마디도 못하는 폐인이 된 상태였지만 에이미의 냄새를 맡자 극도로 흥분한다. 이들이 당했던 일과 앞으로 벌어질 일에 대한 복선.] 일본, 독일, 덜란드의 합작 기업을 추격하지만 결국 그들이 먼저 도착했다는 연구소의 소식에 좌절하고 일단 가는데까지 가보자며 털레털레 가지만 정작 추락한 합작 기업의 수송기에 실린 물자는 그대로고 곧이어 찾은 합작 기업의 탐사대 캠프 역시 전멸당한 상태였다.
         영장류 연구가. 동물학자. 에이미에게 [[수화]]를 가르쳤다. 에이미가 그린 꿈 속의 도시와, 아랍인들의 그림으로 그려진 진즈가 기묘하게 일치하는 것을 보고 흥미를 느껴, 에이미를 고향에 데려가보는 것을 목적으로 탐험에 나서게 된다. 진즈에서 회색 고릴라들과 만나게 되자 본래 목적을 잃고 회색 고릴라를 고릴라 엘리어트스라고 이름 붙이고 신종임을 입증하는데 열중하기도 한다.
         영화는 골든 라즈베리에서 7개나 노미이트 됐다. 당시에는 그래도 흥행 성적은 좋았던 듯. 또 다른 마이클 클라이튼 원작의 [[쥐라기 공원]]이 엄청난 특수효과로 이목을 끌었던 것과는 달리, 콩고는 특수효과나 줄거리 면에서 별로 평가가 좋지 않았다.
  • 태영호 . . . . 3회 일치
         2016년 8월 17일, 갑자기 영국에서 고위급 북한 외교관이 탈북했다는 소식이 퍼졌으며 곧 그가 태영호 영사라는 것이 밝혀졌다. 가족과 함께 탈북한 태영호는 한국 [[망명]]행을 택했는데, 1997년 이집트 주재 북한 대사 장승길이 망명한 이래 최고위급 외교관의 탈북이었다.
         태영호의 큰 아들은 26세로 영국에 거주하며 현지 대학에서 공중보건경제학 학위를 받았다. [[덴마크]]에서 태어난 작은 아들은 2016년 망명 당시 19세로, 영국 가디언 지의 보도에 따르면 [[수학]]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성적을 보였으며, 명문대학 임페리얼 칼리지 진학을 앞두고 있었다고 한다. 가디언지 보도에 따르면 이름은 'Kum Tae'. 둘째 아들에게는 [[영국인]] 친구들도 많아서 갑자기 페이스북에서 소식이 끊겨서 다들 걱정했는데 망명했다는 것이 알려지자 모두 안심했다고.--너 숙청당한줄 알았어--
         북한-중국 경계에서 영업하는 북한쪽 식당의 경우 한국인을 극도로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전에는 중·고교 수학여행시 종종 여행경로중 하나이기도 했지만, ~~그리고 국정원에서 담당 선생님에게 전화가 오고 그러지만~~ 북한이 테러를 벌일 가능성이 있어 아예 수학여행도 취소될 가능성이 생겼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8631654&date=20160821&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이버 뉴스]]
  • 토리코/368화 . . . . 3회 일치
          * 낭왕 기스가 다른 팔왕들을 부르는 울음소리가 울려퍼진다.
          * 마침내 GOD가 나타난다고 말하려는데, 갑자기 구르메 세포의 악마가 얼굴을 드러낸다.
          * 갑자기 미도라의 몸이 녹아내리는데, 그건 먹어치운 균이 내부에서 부터 몸을 "발효"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 토리코/372화 . . . . 3회 일치
         * GOD는 움찔거리다가 갑자기 혀를 엄청난 속도로 휘두르더니 스타준이 만들었던 화염돔을 싹 치워버렸다.
         * 그러나 이것은 아카시아의 계략이었고 토리코의 일격은 오의 입으로 빨려들어간다.
         * 마지막으로 오의 맛과 향을 맡아두라고 하며 "몇 초 뒤에 넌 절망 속에 죽는다"고 단언한다.
  • 토탈워: 쇼군 2 . . . . 3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블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이다.
         적 군대와 아군 군대가 조우하면 전투가 벌어진다. 전투 전 양측의 병력 구성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자동 전투를 벌일 것인지, 수동 전투를 벌일 것인지, 아니면 그대로 후퇴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다. 후퇴한 직후 적이 추격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 이렇게되면 꼼짝없이 싸워야한다. 특이한 케이스로 매복이 있는데 보통 속에 숨은 적군을 발견하지 못하고 이동하다가 만나는 경우 벌어진다. 이 경우 처음부터 후퇴가 불가능하다.
         보병들은 과 수풀에 숨을 수 있다. 이렇게 숨은 부대는 사격을 하거나 적 부대가 일정 거리 이상 접근하면 노출된다.
  • 페어리 테일/485화 . . . . 3회 일치
          * 가질은 블러드맨을 철근을 박아서 벽에 매달아 버리며 "가 책형을 당하니 기분이 어떻냐"고 도발한다.
          * 하지만 블러드맨은 여유롭게 "놈이 닿은 것은 '죽음'"이라며 웃는다.
         || 가 책형을 당한 기분은 어때? 나는 최악의 과거가 떠오르는데? ||
  • 페어리 테일/488화 . . . . 3회 일치
          * 브랜디쉬는 이야기만이라도 해보라고 설득하고 오거스트도 "체면 정도는 세워주마"라며 응하는 듯한 분위기가 되는데
          * 갑자기 오거스트를 찌르는 브랜디쉬
         || 덕분에 상상할 수 없던 것들을 상상하기 시작했어.
  • 페어리 테일/510화 . . . . 3회 일치
          * 갑자기 나츠의 몸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폴류시카는 그 안의 "덩어리"가 이런 현상을 일으킨다고 본다. 루시가 확인해 보니 연기가 나는데도 몸은 차갑다. 루시는 나츠를 깨우기 위해 노력하지만 정신이 돌아오지 않는다.
          나츠는 갑자기 제레프가 사라져서 어리둥절해한다. 스팅은 이곳이 그의 마음 속이기 때문에 그 스스로 제레프를 지워버렸기 때문이라 말한다. 나츠는 여전히 이해가 안 된다고 하지만 스팅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일단 따라오라고 말한다. 분명 "대답"에 다다를 수 있다면서.
          그 대답이란 " 몸 속에 있는 것의 정체".
  • 폴리스 . . . . 3회 일치
         폴리스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중장보병과 자산 시민 계급은 동일시 되었다. [[스파르타]]는 이러한 체계에 극단적으로 집중하였으며, [[아테]]는 [[해군]]의 발달과 영향력의 확대로 해군의 노잡이로 복무하는 무산 계급의 영향력이 커졌다.
         폴리스는 기원전 1000년경에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여겨진다. 아티카(Attica, [[아테]] 주변 지방)와 에우보이아(Euboea)에서 나타났으며, 그리스 본토와 에게해 도서 지역, 소아시아의 해안 지역에 폴리스 체계가 퍼져나갔다. 기원전 750년 이후에는 그리스 식민도시(Apoikia)가 각지에 건설되었는데 이들 역시 폴리스형 국가체계를 갖추었다.
         폴리스의 형성은 각지의 사정에 따라서 달랐다. 아테는 신오이키스모스(Synoikismos)라는 현상에 따라서 폴리스가 형성되었다고 여겨졌는데, 신오이키스모스는 집주(集住)라고 번역된다. 가문 단위로 분산되어 살던 그리스 인들이 제사 공동체를 만들면서 요새나 성채 중심으로 결속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토지를 가진 --[[금수저]]-- 고위 귀족, --[[은수저]]-- 중간계급의 자영농, --[[흙수저]]-- 토지를 가지지 못한 무산자들이 계층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 하이큐/209화 . . . . 3회 일치
          * 한편 체육관에선 갑자기 등장한 히나타를 놓고 설왕설래 중.
          * 결국 히나타는 합숙에 잔류하는 방향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 카게야마란 세터가 없는 겐 나는 가치를 못 느끼겠다. ||
  • 하이큐/215화 . . . . 3회 일치
          * 치카야는 카라스노의 우승을 부러워하며 자기 팀은 결승에서 풀세트로 깨졌다고 털어놓는다.
          * 갑자기 말을 거는 사쿠사.
          * 사쿠사는 거티브해서 위협이 될만한 선수를 미리 조사해놓는 경향이 있었다.
  • 하이큐/226화 . . . . 3회 일치
          * 아즈마 아사히의 공격으로 겨우 한 세트를 따내는 카라스노.
          * 우카이 코치는 히나타가 이런 점을 눈치채고 먼저 이야기를 꺼낸 것에 감탄한다. 지금껏 속공을 무기로 삼았기 때문에 설사 이런 상황을 파악해도 쉽게 속공 외의 대안을 내놓을 생각을 하기 어렵기 때문.
          * 앞에 있던 코가가와 칸지는 눈뜨고 당해 버린다.
  • 하이큐/233화 . . . . 3회 일치
         [[하이큐]] 233화. '''첫번째 적'''
          * 테라도마리는 190cm에 이르는 장신. 다소 흐트러진 상황에서도 칠 수 있고 후위에서도 공격적이다. 우카이 코치는 사전에 "블록 위로 맞는 상황을 피하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첫 공격부터 블록 위로 쳐대는 테라도마리. [[니시노야 유]]가 아슬아슬하게 막아낸다. [[아즈마 아사히]]가 타나카에게 토스를 올리지만 평소보다 길게 올라갔다. 공은 츠바키하라에게 넘어가고 반격이 스파이크를 막아내지 못한다. 츠바키하라의 연속득점. 스코어는 0대2.
          그때 이와무로의 두 번째 서브. 타나카가 받아서 카게야마에게 연결한다. 카게야마는 히나타에게 세트를 올리는데 평소와 달리 타점을 한참 빗나간다. 공은 라인을 벗어나며 그대로 츠바키하라의 3연속 득점. 스코어가 0대 3으로 벌어진다. 오오사도 감독은 이대로 "삼켜라"고 되뇌인다.
  • 2013 K리그 심판매수 . . . . 2회 일치
         2013시즌은 K리그에서 승강제가 도입된지 두번째 시즌이었고, 경남 FC는 강등될 가능성이 아주 유력했던 팀 중 하나였다. 당시 경남의 사장이었던 안종복은 팀의 강등을 모면하고자 하지 말았어야 할 짓을 저지르고야 마는데, 바로 심판매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http://sports.news.naver.com/k_league/news/read.nhn?oid=015&aid=0003436896|외국인 선수의 몸값과 관련한 횡령혐의로만 알려져 있었지만]] 차후 발표결과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241&aid=0002495741|심판매수]]로 알려져 K리그 팬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게 되었다.
         이 사실을 접한 전북팬들은 2015년 경남팬들이 겪었던 멘붕을 그대로 겪게 되었으며, K리그 팬들은 약팀이었던 경남부터 강팀인 전북에 이르기까지 심판 매수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에 충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또한 전북의 스카우터 C모씨는 직위로만 보면 일개 직원처럼 보여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311&aid=0000611035|전북의 발표처럼 개인의 잘못으로만 비춰질 수 있으나] 각종 커뮤니티에서 언급되고 있는 저 C모씨는 전북 프론트 유일 15년 경력 최고참으로 전북 내부에서도 상당한 위치에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만약 그렇다면 경남과 마찬가지로 전북도 고위급 인사가 저지른 범죄인데다가 전북 역시 "단순한 도의적 책임"만이 있다고 보기엔 어렵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3월의 라이온/123화 . . . . 2회 일치
          * 그런데 화장실에 간다던 나메리카와는 장지문 사이로 키리야마를 지켜보고 있었고, 그걸 눈치챈 키리야마는 자기도 모르게 비명을 질러서 주의를 당한다.--결국 어린애--
          * 키리야마는 냉정을 되찾으려고 노력하지만, 또 소리도 없이 불쑥 나타난 나메리카와 때문에 비명을 지르고 두 번째 비명을 지르고 만다.
  • AFC 회원 랭킹 . . . . 2회 일치
         여기에 대해 동아시아쪽이 서아시아보다 불만이 많을 수 밖에 없는게, 2016년 시점에서 바라보면 명백히 서아시아는 동아시아보다 ACL 우승횟수가 떨어진다.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ACC)이 ACL로 개편된 이후의 역사를 통틀어 살펴보면 서아시아는 2015년까지 4번 우승, 동아시아는 9번 우승이다. 누가봐도 명백히 클럽 성과가 동아시아쪽이 더 치열하고 강한데다가 2013시즌부터는 자꾸 서아시아가 우승을 못해 흥행이 저하될 우려가 보이는지 토너먼트전에서 동서의 대결이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을 결승전에서만 동서끼리 교류가 가능한 구조로 바꿔버린다. 이러다보니 2015시즌 AFC 회원 순위를 보면 1위가 대한민국인 건 그간의 성적을 미뤄 봤을 때 논란이 적을 수 있으나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이 사우디, 이란, 아랍에미레이트보다 점수가 낮게 나오는 상황은 도무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UEFA에서는 클럽의 성과를 측정하여 협회의 성과를 측정하고, 또 이로 인해 순위에 변동이 생기면 협회가 획득한 순위에 맞는 티켓을 다음 시즌에 부여함이 명료하게 적시되어 있다. 만약 잉글랜드가 뻘짓을 해서 UEFA 계수가 10위에 떨어지면 차기 시즌은 10위에 해당하는 UCL 티켓과 UL티켓을 받게 된다. 만약 리히텐슈타인이 갑자기 엄청 잘해서 UEFA 계수 1위에 올라오면 UL에만 참가가능한 대우가 UCL 4장, UL 3장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엔 별도의 의결이 필요없다.
  • AliasPageNames . . . . 2회 일치
         WikiName,위키임,위키이름
         ExtendedWikiName,확장위키임,확장위키이름
  • F-15 . . . . 2회 일치
          2,000 파운드의 추가 연료 탱크와 외부 연료 탱크 장착 기능을 추가하고 최대 이륙 중량을 68,000 파운드로 늘린 모델. 1979년 도입되었으며 일본에 있는 가다 공군기지에 처음 배치되었다.
          F-15C와 같으나 복좌형. 1979년 도입되었으며 일본에 있는 가다 공군기지에 처음 배치되었다.
  • IncludeMacro . . . . 2회 일치
          * 두번째 인자는 문서가 삽입되는 위치에 제목줄을 추가해주며, 세번째 인자는 추가될 제목줄의 레벨을 지정해줍니다.
  • MoniWiki/HotKeys . . . . 2회 일치
         적수에 있던 기능을 GnomeKorea, KLE에서 쓰도록 개선시킨 것을 내장시켰다.
  • Victoria II . . . . 2회 일치
          * A House Divided : 첫번째 확장팩 DLC. 제목은 [[남북전쟁]] 당시 [[에이브러햄 링컨]]의 발언인 "분열된 집안은 살아남을 수 없다,"에서 따왔다.
          * Heart of Darkness : 두번째 확장팩 DLC. 제목은 서구의 제국주의를 비판한 소설 "암흑의 핵심"에서 따왔다.
  • head to head . . . . 2회 일치
          1. 특정 시점[* 여기에서 말하는 특정 시점은 순위를 측정할 때를 이야기한다.]승점이 같을 시에 헤드 투 헤드를 적용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승자승이라는 번역은 좋은 번역이 아니다. 단순히 승부가 가려지지 않은 상황까지도 고려해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번역 자체가 난감한 경우이기도 하다. 상대전적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면 번역하기 까다로우므로 오히려 마케팅이나 라디오처럼 발음 그대로 쓰는 편이 나은 용어로 보인다. 상대전적을 가리키는 헤드 투 헤드일 때는 "상대전적"으로 번역하고, 다음 라운드 진출을 위한 우위비교일 때는 헤드 투 헤드로 부르는 게 낫다는 이야기.
  • くぁwせdrftgyふじこlp . . . . 2회 일치
         정확하게 qwert 자판의 2번째 줄과 3번째 줄을 차례차례 치는 것으로 완성할 수 있다.
  • 강원 FC . . . . 2회 일치
         원래 강원도는 축구 열기가 정말로 높은 지역으로 이름이 높았다. 강릉시에 위치한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와의 대결인 [[강릉 축구 정기전]]이 고등학교 축구경기임에도 강릉시의 단오제 행사 중,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366890|가장 뜨거운 호응을 받는 이야기]]는 전국적으로도 유명하고, [[K3리그]]에 참가하는 [[춘천시민구단]]의 개막전 3000명 관중 사례만 봐도 강원도의 축구열기는 분명 전국적으로도 대단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강원도는 지역적으로 산세가 험해 원정을 가기 교통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어 팀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과거 천안 일화가 천안시의 미온적인 지원 때문에 강릉으로 연고를 옮기려고 했는데, 당시 타 팀들이 "연고 이전은 상관 없는데, 강원도는 불편해서 안된다. 다시 생각해 봐라"는 요청이 들어왔었던 사실은 제법 유명하다. 결국 일화가 강릉이 아닌 성남으로 옮기자 이를 반기는 타 구단들의 입장이 신문에 나왔을 정도.]
         강원의 초기 돌풍을 일으켰던 공격수 [[김영후]]는 [[MBC]]에서 방영했던 [[맨땅에 헤딩]]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내셔널 리그의 공격수에서 K리그의 득점왕 후보에 이르기까지 그 활약이 상당히 인상깊었기에 그 이야기가 모티브를 제공했던 건 유명하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드라마의 흥행은 망했다고 전해진다.
  • 검은 조직 . . . . 2회 일치
         오히려 검은 조직은 상당히 신중하게 처신&보기에도 수상한 분위기가 감돌지만, 이 동의 일반 살인범은 아무리 봐도 멀쩡해보이던 인간이 갑자기 분노하면 트릭을 써서 사람을 쓱싹 해치우기 때문에 더욱 무섭다.
  • 고양이를 덮어쓰다 . . . . 2회 일치
         코오 카부루
         코는 일본어로 [[고양이]]를 뜻하며, 카부루는 덮어쓰다는 뜻이다. 고양이 가죽을 덮어쓰거나 하는건 아니고, 본성을 숨기면서 얌전하고 조용한 척 하는 모습을 뜻한다. [[고양이]]는 평소 얌전해보이기 때문이다. '양의 탈을 쓰다'는 말로 흔히 번역된다.
  • 괴인 통카라통 . . . . 2회 일치
          * 사람을 만나면 갑자기 "통카라통이라고 말해라(トンカラトンと言え)"고 시킨다. 그대로 통카라통이라고 하면 떠나지만, 말하지 않으면 칼에 베어서 살해당한다.
         학교의 무서운 이야기 하나코씨가 왔다 에서 등장했다. 주제가에서 아이들을 괴이에서 지켜준다고 하는 하나코씨는 이 에피소드에서는 특별히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무기 . . . . 2회 일치
          가 추돌사고를 냈을 때 상대방 차주가 이걸 들고 나오는 경우가 있다. 총 한번 겨눠서 주제를 가르쳐주자.
          갱 전쟁 한번 뛰면 엄청난 총알을 얻을 수 있다. 아, 물론 가 살아남아야 얻는거다.
  • 나가 . . . . 2회 일치
         인간형의 비늘을 가진 냉혈동물로, 선민종족중 하나. 신중 '물'을 상징하는 '발자국없는 여신'이란 신을 섬기며, 말을 할 수 도 있지만, 대부분 '니름'[* 마음속으로 말하는것. 프로토스의 소통방식을 생각해보면 쉽다.]으로 서로 소통하며,[* 물론 나가가 아닌 다른 종족과는 평범하게 말로 소통한다.] 이때문에 청력이 그리 좋지는 못한 편이다.[* 이때문에 음악을 즐기지 못한다.] 특이하게도 열을 볼 수 있지만 그때문에 그림을 즐기지 못한다. 그외에 냉혈동물이라 그런지 허물을 벗기기도 하고, 일정 수준이상의 온도가 제공되지 않으면 활동할 수 없다.[* 이들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의 한계를 '한계선'이라고 하는데, 가장 짧은 간격이 200km라는듯(...)] '소드락'이란 약물을 투여하는것으로 일정시간동안 엄청난 속력과 민첩성을 보여줄 수 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1화 . . . . 2회 일치
          * 그런데 뜬금없이 몸을 더듬는 하츠메.--성희롱이--
          * 소제목은 루팡 시리즈인 "미 후지코라는 여자"의 패러디로 보인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5화 . . . . 2회 일치
          * 이 여학생은 "웅영고는 노리는 사람이 많으니 빨리 떨어질지도 모른다. 모처럼 강호와 겨룰 찬스니까 웅영고가 탈락하기 전에 웅영고생에 대해 알고 싶다"는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보기보다 말이 많고 설명충 타입.
          * "그게 이유구나"라면서 모습이 드러나는 사걸고교의 여학생.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7화 . . . . 2회 일치
          * 그리고 선심 쓰듯 "덩어리가 돼도 감각은 그대로라 방전으로 다친다."고 경고한다.
          * 코치카메 완결 헌정짤은 미타 미노루.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1화 . . . . 2회 일치
          * 두 사람은 서로 공적을 날로 먹 티격태격하기 시작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1화 . . . . 2회 일치
          * [[빌런 연합]]은 [[마그]]의 [[개성(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개성]] "자력"을 발동, 자기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의 남성에겐 S극을, 여자에겐 N극을 부여해 자석처럼 붙이거나 반발시키는 개성이다.
          * 그러면서 마구의 개성을 강제 발동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2화 . . . . 2회 일치
          * 그러면서 올마이트에 말하길 "내가 스승을 죽였듯 너도 내가 쌓아올린 걸 무너뜨렸다"며 "가능한한 가장 비참하고 추하게 죽었으면 좋겠다"고 폭언한다.
          * 올 포 원은 "가 싫어할 일을 쭉 생각해 왔다"며 처음부터 이걸 노리고 토무라에게 접근했음을 암시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5화 . . . . 2회 일치
          * 그랜토리노는 그녀의 가족사를 간략하게 이야기하는데, 그녀의 남편은 살해당했다 한다.
          * 그는 "가 처음으로 다치지 않고 궁지를 벗어난게 매우 기쁘다"고 칭찬한다.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2회 일치
         어떤 계기가 있어서, 갑자기 시야가 트이고, 사안의 실태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뜻한다. 본래는, 잘못을 깨닫고 미혹에서 벗어난다는 의미로 쓰였다고 한다.
         이 관용구는 [[신약성서]] 『[[사도행전]]』 제9장에서 유래하였다. [[기독교]]를 박해하던 [[사도 바울|사울]]이 어느날 예수의 음성을 듣고 [[눈]]이 보이지 않게 되었는데, [[사도]] [[아나니야]]가 예수의 지시를 받아 사울을 도우러 찾아간다. 아나니야는 사울을 위해서 기도를 올렸는데, 그러자 사울의 눈이 보이게 되었다. 기적을 겪은 사울은 박해에 앞장섯던 것을 회개하고 열성적인 기독교 신자가 되어 [[사도 바울]]이 된다.
  • 니나(이노센트 투어) . . . . 2회 일치
         두번째 시나리오 Asgardian Wars(아스가르드의 전쟁)편의 주인공. 관련 신화는 [[북유럽 신화]]다.
         그러나 만약 적이 실수로라도 니나에게 공격을 성공하게 되는 순간 입장을 180도 바꿔서 갑자기 적을 쓸어버리기도 한다. 이런 니나의 특성을 이용해서 배틀을 유리하게 이끌어 나가는 방법이 필요하다.
  • 니세코이/213화 . . . . 2회 일치
         * 츠구미는 치토게가 갑자기 사라졌다는 소식을 가져온다.
         * 라쿠는 복잡한 기분으로 치토게 집으로 가보는데 조직원들이 우왕좌왕하며 찾아 다니고 있지만 아는 것이 없다.
  • 니세코이/220화 . . . . 2회 일치
          * 그날 치토게, 오노데라, 유이, 마리카가 모여있을 때 여름이 끝나면 모두 뿔뿔히 흩어진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 그렇게 길고 긴 의혹이 추억의 장소에 갔다고 갑자기 다 떠올라 버린다.--죄다 치매냐--
  • 니세코이/224화 . . . . 2회 일치
          * 자기 하나만 사라지면 둘이서 행복해질 거라고 생각하냐며, 정말로 그럴 작성이라면 아무렇지 않은 얼굴로 학교를 다니던가 모든 것을 이야기한 후 양보해야 했다고 지적한다.
          * 작가에 의해 번이나 능욕을 당한 마리카는 마지막까지 발암의 구렁텅이로 떨어지는 스토리를 캐리하며 사명을 다했다.--작가는 마리카 외전이라도 그려서 공양해야 마땅하다.--
  • 니세코이/228화 . . . . 2회 일치
          * 이야기의 마지막은 몇 년 후로 넘어간다.
          * 남은 사람의 일상은 빠르게 흘러간다.
  • 대한민국 FA컵 . . . . 2회 일치
         단, 이건 2015시즌까지의 이야기이며 2016시즌 FA컵부터는 8라운드에 한해 홈 & 어웨이로 경기를 치루기로 하였기 때문에 원스타 시스템은 결승 1차전이 어디에서 열리는지 결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가령 1번과 ★번이 결승에 진출하면 ★번팀의 홈에서 1차전을 치루고, 3번과 ★번이 결승에 진출하면 3번팀 홈에서 결승 1차전이 열린다는 이야기.
  • 도나우 강 . . . . 2회 일치
         유럽에서 [[볼가 강]]에 이어서 두 번째로 긴 강이다. 하천연장 길이는 2,850km, 유역 면적은 817,000km이다.
         1992년에 [[마인 도나우 운하]](171km)가 계통되어 북해에서 덜란드 로테르담을 지나 흑해까지 가는 유럽 횡단이 가능해졌다.
  • 디아스포라 . . . . 2회 일치
         분산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오픈소스]]로 개발되는 [[비영리]] [[소셜 트워크 서비스]]. 디아스포라 재단이라는 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다.
         좋은 뜻으로 시작한 서비스이지만, [[트위터]]에서 퇴출당한 [[이슬람 국가]]가 디아스포라를 조직원에게 지령을 전달하는 정보 소통 통로로 악용하고 있는 문제가 생겨났다. 디아스포라는 보안 수준이 높기 때문에 그룹에 참여한 사람들 끼리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트워크 관리자도 이에 접근하는 것에 쉽지 않아 테러 단체가 악용하여도 추적이 어렵다고 한다. 디아스포라 개발자들은 이에 우려하고 있으나 통제가 어렵다.[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H11&newsid=01161126606190272&DCD=A00801&OutLnkChk=Y 참조기사] 뭐든지 좋은 뜻으로 만들면 나쁘게 써먹는 놈들이 있는 것 같다.
  • 딴따라 . . . . 2회 일치
         과거 유교적 관습이 남아있던 시대에는 연예인이 그리 좋은 직업으로 여겨지지 않았고 음악을 팔고 웃음을 파는 직업 정도로 취급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비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수들의 이야기를 보면 노래를 연습하고 있으니 "너 딴따라 될거야?"라면서 부모에게 맞았다는 이야기를 자주 찾아볼 수 있다.
  • 마기/297화 . . . . 2회 일치
         [[마기]] 제 297번째 밤. '''계획의 승산'''
         || '''뱀 겁나 크''' ||
  • 마기/298화 . . . . 2회 일치
         [[마기]] 제 298번째 밤. '''위에 서는 자로서'''
          * 마스루드의 '''아내 2명''' 드립은 전회의 '''뱀 겁나 크''' 못지 않은 임팩트.
  • 마기/302화 . . . . 2회 일치
         [[마기]] 제 302번째 밤. '''라이벌'''
         * 왜 갑자기 저런 공포가 퍼졌는지 알 수 없다는 말이 나온다.
  • 마기/304화 . . . . 2회 일치
         [[마기]] 304번째 밤. '''저 멀리서 들리는 목소리'''
          * 알라딘은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고 말하지만 갑자기 연결이 두절돼 버린다.
  • 마기/309화 . . . . 2회 일치
         [[마기]] 309번째 밤. '''유난 대 아르바'''
          * 유난은 그것을 보고 미안하다면서 "가 신드바드를 알마트란 시절의 인과로 끌어들이려 한다면 막을 의무가 있다"고 말한다.
  • 마기/312화 . . . . 2회 일치
         [[마기]] 312번째 밤. '''조직과의 결전'''
          * 그 정체는 아르바. 아르바는 "아직 가 있다"며 백룡의 몸을 빼앗으려 하는데...
  • 마기/313화 . . . . 2회 일치
         [[마기]] 313번째 밤. '''아르바의 집념'''
          * 백룡은 이제 자신은 순수하게 연가의 사내이지 홍염과는 무관한 자가 되었다고 말하며 "더이상 가 갈아탈 몸은 없다"고 한다.
  • 마기/318화 . . . . 2회 일치
         [[마기]] 318번째 밤. '''이사회의 응수'''
          * 연백룡이 이야기까지 올라오자 동맹국들은 "두 사람은 금속기를 탈취한 범죄자"라며 체포를 건의한다.
  • 마기/327화 . . . . 2회 일치
         [[마기]] 327번째 밤. '''차였다'''
          * 국제동맹 탈퇴를 선언했던 홍옥이 불현듯 번복을 결정한다. 이야기를 들은 알라딘과 알라비바는 한참이나 이해를 못하다가 귀를 의심하게 된다. 알라딘은 그렇게 숙고해서 결정했던걸 뒤집어도 되겠냐고 묻는데 홍옥은 모두가 상의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강조한다. 이번엔 연홍명이 나서서 말하는데 동맹을 탈퇴하면 당장은 좋을 수 있지만 장기적, 백 년 천 년 뒤의 세계는 그렇지 않다. 자기들 사후의 먼 미래, "백 년 뒤 천 년 뒤의 평화"까지 지키기 위해 용단을 내려야 한다는 홍명. 홍옥도 거기에 동의하며 황의 내전과 같은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선 "누군가 한 명"이 힘을 장악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알리바바는 그게 신드바드냐고 반문한다.
  • 마더콘 . . . . 2회 일치
         일본에서는 한국 남자는 마더콘이라는 이야기도 널리 퍼진 모양이다.[참조]
         1화에서 길에 넘어져서 손가락을 다친 후유히코를 보고 (시)어머니 역인 에츠코(悦子, 배역 노기와 요우코野際陽子)가 '다친 손가락을 순간적으로 입에 물고 빨아주는 애드립'을 실행. 그것이 반응이 좋아서 계속 마더콘 전개가 증폭되었다고 하는 뒷 이야기가 있다.(...)
  • 마리네 . . . . 2회 일치
         마리는 [[식초]], [[소금]], 샐러드용 [[기름]], [[와인]]을 섞고 [[향신료]]를 첨가하여 향을 낸 즙에다가, [[생선]], [[고기]], [[야채]] 같은 재료를 재워서 만들어내는 요리법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요리 역시 마리라고 부른다.
  • 마블 코믹스 . . . . 2회 일치
         국내에서도 [[캡콤]] 등의 게임을 통해 이전부터 인지도가 있었으며 스파이더맨과 아이언맨 등 캐릭터들이 실사영화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가 만들어지면서 더 큰 인지도를 지니게 되었다.
          영화 세계인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에도 등장하나 이쪽은 차이점이 있으며 이름도 [[인피니티 스톤]]이 되었다.
  • 맥스 페인 . . . . 2회 일치
          Rico Muerte. 펀치넬로 패밀리의 구성원. 맥스의 말을 인용하자면 "일반적인 [[유주얼 서스펙트|카이저 소제]]"[* a regular Keyser Soze]. 시카고에서 일을 망친 후에도 펀치넬로 패밀리가 빼낸 걸 보면 나름 중요 인물로 보인다. 유사성행위 상대에게 웃으면서 사람 죽인 이야기를 하는걸 보면 제정신은 아니다. 바에서 캔디 던에게 [[펠라치오]]를 받던 중 맥스가 난입하자 바지를 올리지도 못하고 도망가다 죽는다. 잉그램을 쏴갈기며 도망가기 때문에 무섭다.
          Candy Dawn. 펀치넬로 패밀리의 매춘부. 고객과의 행위를 비밀리에 찍어 최고입찰자에게 파는걸 부업삼아 하고있다. 실제로 캔디 돈 방의 옷장을 열면 카메라가 숨겨진 방이 나온다. 바에서 무에르테에게 펠라치오를 해주던 중, 바에 들어온 맥스를 보고 맞서 싸우지만 맥스에게 죽는다. 맥스가 들어오기 전 무에르테의 살인 자랑에 웃으며 맞장구를 치는걸 보면 제정신은 아니다. 임드인지라 체력이 높은 편. 주 무장은 듀얼 베레타.
  • 몬스터 페어런트 . . . . 2회 일치
         예를 들어 집단 괴롭힘 문제를 상담하는 변호사의 이야기에 따르면, 아이가 집단괴롭힘을 당해서 학교에 상담을 했는데, 제대로 들어주지 않고 몬스터 페어런트 취급을 당했다는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기사]
         이 건으로 불만을 품은 부모는 딸에게 IC레코더를 항상 소지하고 있도록 지시하고, 10월에는 교사가 갑자기 반 아이들 전원을 기립시켜서 "거짓말을 인정하고 사과할 때까지 전원이 선 채로 수업을 받도록!" 지시하고 사과를 강요하는 사건까지 있었으며, 이후로 딸은 신발을 버려지는 등의 괴롭힘을 받게 되었다고 주장하고 언론의 취재에 녹취록을 공개하였다.
  • 무용전 . . . . 2회 일치
         무용(武勇)이 뛰어난 사람의 전기. 혹은 용맹하게 공훈을 세운 이야기를 뜻한다. 후자는 '무용담'과 비슷한 뜻이다.
         혹은 완력을 가지고 폭력적인 사건을 일으킨 이야기를 뜻하기도 한다.
  • 바키도/118화 . . . . 2회 일치
          * 여기서 작가는 이야기를 끊고 자기가 무도가를 인터뷰한 이야기를 말하는데.
  • 박치기 . . . . 2회 일치
         이걸 할 때는 시전자의 [[뇌]]가 머리통에서 이리저리 흔들린다. 두뇌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
         2006년 독일 월드컵 결승전 중 프랑스 축구선수 [[지딘 지단]]이 이탈리아 축구선수 [[마르코 마테라치]]에게 박치기를 가해 쓰러트린 사건이 유명하다. 이 일로 지단은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되었다. 이 장면은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785144|카타르에서 동상으로 만들어졌다고.]]
  • 벤 존슨 . . . . 2회 일치
         두번째로뒤이어서취임식이또개최가된다!! 벤존슨이 제1대 대통령으로취임식을개최가된다 이때 멜라니아여사가참석을한다 멜라니아여사는벤존슨의영부인이된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벼랑개 링링 . . . . 2회 일치
         2007년 11월, 링링은 첫번째 탈주. 2008년 4월 18일에는 산책을 시키다가 목걸이가 빠져서 두번째 탈주 사건이 일어났다. 링링은 인근을 배회하는 모습이 여러 번 발견되었다.
  • 보루토/1화 . . . . 2회 일치
          * 잠깐 서로의 부모님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데, 사라다는 나루토를 동경하지만 보루토는 "너희 아버지 사스케는 또 하나의 호카게라고 불린다"며 추켜세운다.
          * 그런데 케이크를 나르던 나루토가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
  • 보루토/2화 . . . . 2회 일치
          * 저녁에 보루토는 "아버지에 대해 이것저것 알려달라"고 하는데, 사스케는 그의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꺼낸다.
          * 그때 미츠키도 부모님(오로치마루)에게 사인을 받은 신청서를 들고 나타난다.--잘도 받아왔--
  • 보루토/6화 . . . . 2회 일치
          * 사스케가 "가 알아야 하는건 지금의 나루토가 아니라 지금까지의 나루토"라고 한 말을 곱씹는다.
          * "... 꼴사납... 나."
  • 보스턴 당밀 홍수 사건 . . . . 2회 일치
         보스턴 북부에 위치한 '퓨리티 디스틸링'이라는 당밀 판매 회사에는 수만 톤의 당밀(사탕수수에서 설탕을 추출할 때 나오는 시럽 같은 부산물)을 저장하는 거대한 저장 탱크가 있었는데, 1919년 1월 15일 오후 12시 40분경에 이 탱크가 갑자기 붕괴하여 약 1만 4천 톤 가량의 당밀이 쏟아져 보스턴 시내를 덮쳤다.
         조사 결과, 사고 원인은 전형적인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인재(人災)였음이 드러났다. 요약하면, '탱크 부실 시공 + 관리 소홀 + 부실 은폐 시도'. 여기에, 사건 당일에 갑자기 영상으로 상승한 기온으로 인해 부피가 늘어난 당밀 시럽이 가뜩이나 부실한 저장 탱크에 부담을 가중시켜 이와 같은 참사가 벌어진 것이었다.
  • 블랙 클로버/51화 . . . . 2회 일치
          * 야미 스케히로가 리히트를 구속하려 할 때 갑자기 새로운 적들이 나타난다.
          * 새로운 정령 마법 구사자의 등장. 그러나 잎 클로버의 마도서의 소유자일지는 미지수.
  • 블랙 클로버/57화 . . . . 2회 일치
         [[블랙 클로버]] 페이지 57. '''검은 해안 이야기'''
         * 바사는 술 먹고 일광욕 중.
  • 블랙 클로버/59화 . . . . 2회 일치
          * 주민들만큼이나 유쾌하게 구는 노인다.
          * 바사와 핀랄은 이만한 크기의 괴물을 마법으로 만들었다는 사실에 놀란다.
  • 블랙 클로버/62화 . . . . 2회 일치
          * 맨날 술에 쩔어서 실력 발휘를 안 하던 바사가 무슨 일인지 제정신으로 적을 처리했다.
          * 갑자기 천정을 뚫고 고래형상의 무언가가 그를 덮친다.
  • 블랙 클로버/63화 . . . . 2회 일치
          * 베토는 야미에게 "동료가 전부 죽는다는 절망을 맛 본 가 메인 디쉬"라며 도발한다.
          * 핀랄을 여전히 의욕이 없고 도망칠 궁리나 하는 듯 하며 바사는 그 사이에 술을 더 마셨는지 상태가 좋지 않다. 챠미는 여전히 자는 중. 그레이는 마법의 속성 상 전투에 유리하지 않을 거 같다.
  • 블랙 클로버/79화 . . . . 2회 일치
          * 흉터로 인해 격리된 삶을 살았으나 마법제의 부름을 받고 구원받게 된다. 이 이야기로 야미 스케히로의 의심은 풀린다.
          * 야미는 10년 전 전장에서 만나, 이후로도 함께 싸우고 비슷한 시기에 단장이 된 이야기를 한다.
  • 블랙 클로버/80화 . . . . 2회 일치
          * 바스 에노테이커는 "그 나라"의 마법이라면 아스타를 고칠 수도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 다음 에피소드는 바스의 고향인 마녀들의 나라인 걸로 보인다.
  • 블리치/674화 . . . . 2회 일치
         || 확실히 치명적인 엉덩이 먹음이요. 요루이치씨. ||
         -우라하라. 아스킨과의 전투에서 궁지에 몰린 요루이치의 엉덩이를 쳐다보며.--어이 그런 드립은 [["은혼"옆동]]에서 쳐야지--
  • 블리치/683화 . . . . 2회 일치
          * 토시로는 " 발짝 사이" 안에 모든 것을 얼린다고 해설하며 조금 더 일찍 꺼냈다면 유효했을 거라고 말하는데.
          * 신의 전사는 얼지 않는다며 그대로 으깨주겠다고 장담하지만 갑자기 쓰러져 버리고
  • 블리치/687화 . . . . 2회 일치
          * 우류는 "하지만 가 본 미래는 변하지 않냐"고 비꼬는데, 하쉬발트는 유하바하의 올마이티는 자신과 차원이 다르며
          * 유하바하는 "가 죽으면 소울 소사이어티는 끝인데 그래도 되겠냐"고 조롱한다.
  • 블리치/691화 . . . . 2회 일치
          * 그러한 상황에서도 우류는 이치고에게 향하려 필사적이고, 하쉬발트는 그걸 비웃으며 "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는 말은 철회한다"고 말한다.
          * 유하바하는 재미가 없다며 "가 주었던 힘, 받아가마"라는 말과 함께 이치고의 퀸시의 힘을 빼앗아간다.
  • 블리치/695화 . . . . 2회 일치
          * 그러나 아이젠은 그가 "보이는 것"이라 말하는데, 갑자기 완전히 회복된 이치고와 천쇄참월이 유하바하의 목을 날린다.
          * 유하바하는 렌지를 감싸는걸 보고 "공통의 적을 상대하기 위해 힘을 합치는건 가 싫어하는 패자의 습성"이라고 조롱한다.
  • 블리치/696화 . . . . 2회 일치
          * 아이젠은 좀 더 이야기를 하려 하나 갑자기 검은 물질이 덮쳐온다.
  • 세이와 덴노 . . . . 2회 일치
          * 손자 츠모토 왕(経基王)을 신적강하하여, 미나모토(源) 성을 내린다. 이 미나모토 츠모토(源経基)의 자손이 [[세이와 겐지]]이며, 일본 무가정권의 시조가 된다.
  • 스이츠 . . . . 2회 일치
         >여자아이 끼리는 이런 것도 있으니까 스트레스가 쌓이☆그럴 때 나는 혼자서 번화가를 걷기로 한다.
         >「거기 여자ー、잠깐 이야기 할 수 있을까?」하고 언제나 똑같은 대사 밖에 말하지 않는다.
  • 스틸오션/독일 . . . . 2회 일치
         >엠덴은 바이마르 시기 건조된 첫 경순양함이다. 전체적으로는 쾰른(Köln)급과 닮았지만, 배수량을 줄이기 위해 많은 부분을 제거했다. 계획되었던 어뢰발사관 문은 연합국의 반대에 부딫혔다. 엠덴만이 건조가 완료된 엠덴급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 훈련함으로 개장되어 사용되었다. 1940년 4월의 노르웨이 침공에 동원되었으며 그후 어느 전투에도 사용되지 않았다. 독일이 항복한지 2틀 후에 킬에서 자침되었다.
         >P급 장갑함은 D급 장갑함의 후계자로써 도이칠란트급과 같은 설계와 전술을 사용했다. P급은 독일 해군의 Z 계획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1937년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타국의 8인치 순양함포를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2척이 계획될 예정이었으며, 1940년에 첫번째 P급 장갑함이 건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Z 계획의 변경으로 P급은 O급으로 교체되었고, P급은 마지막까지 완공되지 못했다.
  • 식극의 소마/154화 . . . . 2회 일치
          * 새로 등장한 십걸은 키노쿠니 , 쿠스노키 렌타로, 야나이 메아, 코후루 루이, 쿠마이 시게미치.
  • 식극의 소마/163화 . . . . 2회 일치
          * 그 과정에서 동 밥집이나 소규모 레스토랑 같은 존재들은 어쩔 수 없이 사라져야 하는 존재라는 것.
          * 밝혀진 아자미의 야망은 묘하게 쪼잔하고 중2스럽다.--[["소년 점프"같은 잡지]]의 [["토리코"옆동]]에서 지구를 조리하는 스케일 좀 본받아라.--
  • 식극의 소마/167화 . . . . 2회 일치
          * 그는 바뀐 진급 제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본래 이 제도는 대상자의 절반가량이 퇴학당할 정도로 가혹한 제도.
          * 작가가 음지 출신이라 그런지 마지막 장면이 동인지루트가 아니냐고 타화되고 있다.
  • 식극의 소마/172화 . . . . 2회 일치
          * 소마는 이런게 정말 도움이 될지 의문시하는데 에리나는 과제가 나오는 이상 답은 있다며 "가 그랬던 것처럼" 이라 답한다.
          * 소마는 "가 그런 말을 할 줄은 몰랐다"고 너스레를 떠는데 에리나는 장난치지 말고 대답하라며 "여기 있는 모두가 학원을 떠나는건 용납 못한다"고 말한다.
  • 식극의 소마/175화 . . . . 2회 일치
          * 이사미 알디니가 그녀를 방문한다. 라운지에서 본 밤하늘이 예쁘다며 한숨 돌릴 때 꼭 보라고 이야기하는데.
          * 에리나는 말이 나온 김에 모두가 한 번씩 찾아온 일을 이야기한다.
  • 식극의 소마/184화 . . . . 2회 일치
          * 하야마는 뜻밖의 제안에 놀라고 아자미는 "십걸 자리를 건 배틀로얄이 있으니 자의 참가를 기대한다"는 말을 남기고 자리를 뜬다.
          * 이야기를 들은 쿠가는 자기가 당한 것처럼 하야마도 당한 거라며 아자미를 욕하고 하야마를 동정한다.
  • 심판 토토하지 말라고 . . . . 2회 일치
         당시 상황을 설명하자면 처음 판정은 공이 터치라인 아웃 상황이었을 때, 주심은 성남의 스로인을 선언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부심의 판정을 보고 광주의 스로인으로 번복한 것. 문제는 번복해서 잘못을 바로잡았으면 모를까 번복한게 오심이 되었고, 한 성남팬[* 음성이 켜져있는 중계카메라는 중앙쪽 중계본부석과 1층 및 2층 서포터석에만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성남 쪽으로 예상된다.]의 비난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이 발언 이후 9월에 지난 2013시즌에 경남FC에서 심판을 매수했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 발언이 '''근거없는 비난이 아니었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2013 K리그 심판매수]] 항목으로.--축구장에 나타난 [[예언자]]--
  • 아기발도 우투리 관련설 . . . . 2회 일치
         [[고려]] 말기에 한반도 남부를 침공하였던 [[왜구]]의 장군 [[아기발도]]가 대표적인 아기장수 설화의 하나인 [[아기장수 우투리]]와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다. 이전에는 [[인터넷]] 상에서 간간히 주장되던 이야기였으나, 2016년 1월에 이를 다룬 논문이 나온 바 있다.
         아기발도 자체는 조선시대 초기에 사대부 계층에서 매우 유명한 인물이었는데, 이는 조선의 개창자인 태조 이성계의 대적자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기발도 이야기는 "왜군 장수 아기발도는 강했다. 하지만 장군 이성계가 물리쳤다. 따라서 이성계의 권력에 정당성이 있다."는 줄거리로서, 전형적인 '외부의 위협'(아기발도)에 대항하는 '내부의 영웅'(이성계)을 강조하여 국가의 수호자로서 왕조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정치적 바탕이 되었다.
  • 아니키 . . . . 2회 일치
          * 야구계에서는 [[한신 타이거즈]]의 카모토 토모아키(金本知憲)의 별명이다.
          * 니키(ニキ) : 파생 용어. [[2채널]]의 뭐든지 실황(なんJ)판에서 사용한 용어로서, 카모토 토모아키에서 따와서 한신에 입단한 선수들 가운데 실력파 선수에게 썻다. 여기에서 파생되어 존재감 있는 인물에게 경의, 애착 등을 담아 「○○니키(ニキ)」라고 부르게 되었다.
  • 안가르즈 . . . . 2회 일치
         야마 요시아키(山根良顕)와 다나카 타쿠시(田中卓志)의 콤비이다. 둘 다 [[히로시마 현]] 출신.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암살교실/번외편 1화 . . . . 2회 일치
         * 겨울 방학 때의 이야기.
         * 이 일을 어느 식당에서 동료 암살자들과 이야기한다
  • 암살교실/번외편 2화 . . . . 2회 일치
         의외로 지난 화에서 이어지는 이야기.
         * 어느날 센고쿠라는 사채업자가 아즈키씨를 납치해간다.
  • 암살교실/번외편 3화 . . . . 2회 일치
          * 그때까지 코나 파고 있던 후토시는 갑자기 대부업법을 줄줄 읊어대며 사채업자를 관광태워 버린다.
          * 한편 둘이 남은 살생님과 아즈사씨는 이야기를 나눈다.
  • 야규 신지로 요시카츠 . . . . 2회 일치
         [[야규 무토시]]((柳生 宗厳 石舟斎)의 아들. [[야규 무노리]]의 형. 세키슈사이의 적남이지만, 젊은 시절 전장에 나갔다가 총상을 입어 반신불수가 되었으며 생애 불구의 몸이 된다.
  • 어머니의 날 . . . . 2회 일치
         일본에서는 1949년 부터 미국의 Mother's Day를 모방하여, 5월의 두번째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로 삼는다. 아버지 날(父の日)은 6월의 세번째 일요일이다.
  • 요괴:가면라이더 . . . . 2회 일치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으나 다양한 요술을 쓰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높이 뛰어올라 하늘에서 떨어지며 날아차기를 날리는걸 봤다는 목격담이 많아, 대체로 점프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불을 내뿜거나, 전기를 내뿜는 등. 어린아이들에게 인기가 있을 법한 능력 이야기도 있는 편이다.
  • 요괴:선풍기 . . . . 2회 일치
         그래요 자포자기였던 거죠. 별짓을 다 해봤으니까 이짓도 못할건 없겠다, 차라리 이쪽이 "재미"는 있겠다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 왜 일부러 폐가 같은데 뒤지고 다니는 사람들도 있잖아요. 종종 민원이 들어가서 잡으러 갈 때가 있죠. 남의 사유지를 멋대로 들쑤시면서 심령어쩌구 저쩌구하는 또라이들. 어쩌다 보니 나도 그 짝이 됐요.
         그때까지도 나는 그게 문제를 일으킨거라고는 생각지도 않았어요. 그저 이 답답한 공간에서 벗어나야겠다는 일념으로 침대에서 기어나왔습니다. 문까지 불과 한 평도 안 되는 거리를 기어가는데 왜 그리 멀게만 느껴지는지. 그러다 문득 깨달았어요. 그 바람. 뜨거운 바람이 계속 얼굴에 닿고 있는 거에요. 나는 침대에서 반대방향으로 기어가고 있었는데. 그리고 번쩍 생각이 났어요. 잠들기 전까지는 회전시켜 놨다, 그리고 방금 전까지는 침대를 향해 고정돼 있었다. 그 생각이 드는 순간 벼락에 맞은 것 같았어요. 탈출도 잊어버리고 고개를 들었죠. 그래요 그놈은 또 거기에 있었어요. 마치 지키고 있는 것처럼 문 앞에요. 시야에는 돌아가는 날개만 보였지만, 나는 그걸 눈이 마주쳤다고 느꼈어요. 이쪽을 똑바로 마주보고 있는게 가물거리는 시야에서는 마치 커다란 눈알처럼 보이더군요. 숨이 점점 막혀오는 데도 눈을 뗄 수 없더군요. 못으로 박아놓은 것처럼 멈춰서 이게 어떻게 돌아가는 상황인지 짜맞춰보려고 별별 가정을 다해봤어요. 하지만 침대 앞에 있던 선풍기가 문으로 가있는 이유에 대해서, 그리고 나를 저렇게 노려보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이 될 리가 없었죠. 바로 그때였습니다. 그놈이 "행동"을 보여준 것은. 지금 생각해 보면 그건 "산통 다 깨졌다"고 본게 아니었을지 모르겠요. 내가 깨어났다는걸 좀 늦게 알아차린 거에요. 그러고선 아무 일 없다는 듯이 평범한 기계로 돌아간 척 했던 거죠.
  • 우메즈 카즈오 . . . . 2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기괴하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남기는 인상적인 작풍이 특징. 특히 등장인물이 공포스러울 때를 묘사하는 특이한 표정으로 지금도 타 거리가 된다.
  • 원피스/821화 . . . . 2회 일치
         * 목소리는 '''"거기에 있다면 명령해 달라"'''고 끊임없이 속삭이고 모모노스케는 그 목소리를 듣고 괴로워한다. 루피는 "가 누구냐"고 묻지만 다른 사람들에겐 목소리 따윈 들리지 않아 영문을 알 수 없다
         * 한편 누군가 전보 벌레로 통화하는데, 상대방은 "잭의 통신이 바다에서 갑자기 단절됐다"며 그를 카이도라고 부른다
  • 원피스/845화 . . . . 2회 일치
          * 마침내 한 테이블에 모인 제르마 왕가와 샬롯 링링. 빅맘은 푸딩의 결혼식을 기대한 것과는 달리 "정략결혼이니 나와 빈스모크 저지만 만족하면 된다"는 식으로 떠들어댄다. 오히려 저지 쪽에서 "그래도 애들이 행복하면 나쁠 건 없다"고 자식을 생각하는 듯한 발언을 한다. 화기애애한 이들과 달리 푸딩과 상디는 표정이 무겁다. 특히 상디는 심란한 와중에 음식들이 노래하고 춤추고 난리를 쳐서 더욱 짜증이 난다. 그러던 중 푸딩은 살짝 쪽지를 전해 나중에 단둘이 이야기하자고 전하는데.
         루피는 빅맘의 대군을 상대로 싸우고 있는데 군단의 임드들은 크래커 수준은 되는 인물들로 보이므로 전황이 매우 어둡다.
  • 위키 작성 참고 자료 . . . . 2회 일치
          * 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이버 마토메
  • 유태공 . . . . 2회 일치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은 황제가 되고 나서도 5일에 한 번은 태공을 방문하였다. 이야기를 주고 받는 모습은 서민과 같았기 때문에, 유태공의 가령(家令, 집사)이 아무리 부모 자식이라고 해도 유방은 황제, 태공은 신하이니 이런 태도로는 황제의 위엄이 손상된다고 의견을 냈다.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은혼/575화 . . . . 2회 일치
         * 사단장 시시가 직접 상대하러 나오지만, 갑자기 난입한 누군가에게 어이없이 당한다
         "꼬맹이, 난 그런걸 위해 목숨을 구한게 아니다. 그 녀석의 목을 누구에게도 넘기지 마라."
  • 은혼/581화 . . . . 2회 일치
         * [[용맥]]에서 태어나 아르타나 없이 살 수 없는 코우카를 [[황안]]에서 데리고 나온건 우미보즈이며 "죽음의 별에 핀 한 송이 꽃을 뿌리부터 잡아 뜯어 시들게 했다"고 단언한다.
         * 이후 카무이는 매일 같이 나타나 호우센에게 덤비고 반죽임당하길 반복한다. 어느날인가 드디어 호우센에게 한 번 반격하는데 성공한다
  • 은혼/582화 . . . . 2회 일치
         * 용맥의 불사신들은 별과 함께 태어나 그 별의 아르타나만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체내의 아르타나가 다하면 사라지고 만다. 비록 황안은 이미 죽음의 별이라 아주 적은 결정석만을 구할 수 있었고, 이것 조차 잠시 생명을 연장하는 정도 밖엔 되지 않았다.
         * 우미보즈는 다른 사용법이 있을줄 몰랐다며, " 심장과 다른 별의 결정석을 함께 부숴 아르타나를 해방시키면 어떻게 될까?"라고 묻는다.
  • 은혼/604화 . . . . 2회 일치
          * "나로서도 선택해야겠요. 제자를 베어야 하는 괴로움을"
          * " 앞에 있는 건 평범한 해결사다!"
  • 은혼/611화 . . . . 2회 일치
          * 해방군은 가부키쵸에 나타난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의 파괴를 목표로 진군을 시작한다.
          * 오우가이는 병사들을 모아서 병기는 못 쓰게 됐지만 적도 마찬가지며 병력 자체는 자신들이 압도적이라고 교시한다. 그리고 오암스트롱사이클론제트암스트롱 겐카이포를 파괴하고 본대와 통신을 복구하는걸 목표로 하여 진격을 명령한다. 따라서 이들은 가부키쵸를 향해 진격하게 되는 셈. 해결사 일행은 이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가구라와 신파치는 가부키쵸의 동료들을 걱정하는데 긴토키와 히지카타 토시로는 그정도는 가부키쵸에서도 알고 있다고 말한다. 본진과 단절된 이상 해방군의 행동은 정해져 있던 셈이고 가부키쵸에서는 그걸 감안해서 미끼역을 자처한 것이다. 핫토리는 전쟁에서 중요한 점은 적의 행동을 먼저 아는 것이라 강조하고 곤도 이사오는 에도 전체를 상대로 무차별 파괴를 하던 해방군이 뚜렷한 목표로 일정한 작전을 수행하게 됐으니 오히려 무엇을 할지 예측할 수 있고 기적을 일으킬 수 있는 때라고 말한다.
  • 의식 높은 계 . . . . 2회 일치
          * 출처 불확실한 자기개발서에서 읽은 이야기 같은 것을 자주 이야기 한다. 마치 자기 자신에게 있었던 일처럼 말하기도 한다.
  • 이노센트 투어 . . . . 2회 일치
         한때 [[무인도 이야기]]로 유명세를 떨쳤던 [[KSS]]에서 제작한 [[보드 게임]]이다.[* T-RPG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다이스 때문에 운이라는 특성이 반 이상 작용하는 걸 고려하면 순수한 전략과는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다.] [[1996년]]작.
         주인공은 [[엘프(포리)]], [[발키리(니나)]], [[흑기사(아니에스)]]로 이 세 주인공들은 각자의 사정으로 여행을 떠나게 된다. 엘프는 자신이 사랑하는 연인을 만나기 위해, 발키리는 "재미있는 일"을 위해 아스가르드로 돌아가고자, 흑기사는 본의가 아니지만 세계를 멸망시키기 위해 엘프의 에서 각자의 여행을 시작하게 된다. 상세 스토리는 각 등장인물들의 개별항목을 참고.
  • 이케다 초등학교 사건 . . . . 2회 일치
         사건 전날 밤, 타쿠마 마모루는 전화번호안내로 알아낸 이케다 초등학교의 전화번호를 비게이션에 셋트하였으며, 8일 아침에 이케다 시내의 칼가게에서 부엌칼을 2개 구입하고, 이케다 초등학교에 간다. 남쪽정문이 닫혀 있엇기 때문에 계속 나아가서, 자동차 전용 게이트가 열려 있는 것을 보고 차에서 내려왔다. 동쪽 문 앞에 정차된 차에서는 나중에 [[아이스픽]] 2개, 녹슨 식칼이나 손도끼도 발견되었다.
         2003년 12월에 타쿠마는 와카야마 출신의 여성과 5번째 결혼을 했다. 여성은 사형 폐지를 호소하는 국제사면위원회 활동에 참가하고 있었다. 지원자 가운데 1명으로 변호사를 통하여 타쿠마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 결혼은 타쿠마에게 접견, 서신 권리를 얻으며, 타쿠마에게 유족에게 사과하라고 설득하려는 의도도 있었다고 한다. 여성은 가족에게 맹렬한 반대를 받아, 피해가 가지 않도록 자신의 성을 바꾸고 타쿠마도 이 성을 쓰게 되었다.
  • 일곱개의 대죄/177화 . . . . 2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 제 177화. '''내가 게 해줄 수 있는 것'''
          * 오히려 반에게 "가 처리하지 않았으면 내가 했을 것"이라며 감사해 한다.
  • 일곱개의 대죄/181화 . . . . 2회 일치
          * 과거 멜리오다스는 뜬구름 잡는 소리를 늘어놓곤 했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다 납득이 되는 이야기였다.
          * 그리고 자라트라스는 주문을 외우기 시작하는데, 엘리자베스는 그것이 드루이드 마을에서 자리가 멜리오다스에게 걸었던 것임을 알아차린다.
  • 일곱개의 대죄/184화 . . . . 2회 일치
          * 젤드리스와 드레퓌스(프라우드린)는 다른 곳에서 리오스 왕국의 성기사들을 상대하고 있다.
          * "아쉽게 됐다"며 여유롭게 도발하는데, 갑자기 시야가 흔들린다.
  • 일곱개의 대죄/190화 . . . . 2회 일치
          * 리오스 왕국에서 관측될 정도로 거대하게 강화된 회신룡.
          * 기라는 베로니카 왕녀를 피신시키려 하나 베로니카는 " 동생 질을 반드시 지켜야 하고 너도 무사해야 한다"며 가지않는다.
  • 일곱개의 대죄/196화 . . . . 2회 일치
         [[일곱개의 대죄]] 제 196화. '''가 있는 것만으로'''
          * 리오스 왕국에선 마루마스, 도게드, 구스타프, 덴젤이 사망. 청천의 육연성의 델드레는 이들이 죽고 드레퓌스, 핸드릭슨이 살아있다고 원망한다.
  • 일곱개의 대죄/200화 . . . . 2회 일치
          * 갑자기 달라진 시대, 달라진 육체에 허둥대던 두 사람 앞에 멜리오다스와 엘리자베스가 나타나는데.
          * 아직도 모를 일 투성인데 또 한 사람이 나타난다. 멜리오다스는 드디어 넷이 모였다고 "작전개시"하자고 한다. 그것도 분명 뜻모를 얘기지만 두 사람의 눈은 새로 나타난 사람한테서 떨어질 줄 모른다. 나타난 사람은 엘리자베스. 디안느가 어째서 가 여기있냐고 묻는데 "넷이서 합류하자는 약속"이냐며 무슨 소리하냐는 식으로 답한다. 디안느와 할리퀸은 그녀의 등장도 그렇지만 또 하나,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변화에 정신이 팔려있다. 엘리자베스의 등에 무언가 달려 있는 것이다. 요정족의 날개와도 다른 "그것"이. 멜리오다스는 무슨 당연한 소리를 하냐고 하는데.
  • 일곱개의 대죄/에피소드 . . . . 2회 일치
         == 리오스 방위전 ==
         == 요정왕의 의 이변 ==
  • 절대가련 칠드런/455화 . . . . 2회 일치
          * 효부는 근처에 있던 화물차를 들어올려 공격하려 하는데 갑자기 염동력의 출력이 약해지면서 자기 위로 떨어뜨리고 만다.
          * 시가는 "그게 가 살아갈 이유가 되어주는 것처럼 들린다"며 뼈있는 말을 한다.
  • 진격의 거인/82화 . . . . 2회 일치
          * 작전을 결행하기 직전 그가 한 말을 곱씹으며 "알고 있었는데. 가 누구보다 용감하다는 것 정도."이라고 씁쓸하게 중얼거린다.
         || 제길 알고 있었는데. 가 누구보다도 용감하다는 걸 ||
  • 창작:Project NA . . . . 2회 일치
         > 베키입니다. 굳이 글로 쓸 필요없이 간단히 일러두는 이야기는 이쪽에 쓰려고 합니다.
         NTX(가칭)이라는 이름의 골동품 가게에서 벌어지는 일상, 그리고 그곳에 있는 골동품들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다루는 다소 가벼운 느낌의 설정. 자유로운 참가와 창작 활동, 최대한의 적은 제약을 지향한다.
  • 창작:제러마이어 쿨리지 . . . . 2회 일치
         >이 늙은이도 귀가 있고 입이 있다. 내 귀에는 안 들어올 줄 알았나?
         시즌 1에서는 사는 동가 달라서 그런지 자주 등장하진 않는다.
  • 창작:존 휘태커 . . . . 2회 일치
         >그럼 회색분자란 얘기. 적당히 때묻고 적당히 더럽고. 욕하는 게 아니야. 어느 한 쪽에 쏠려서 돌머리가 되는 것보단 낫거든. 이 세상에선 바람직한 자세이기도 하고. 믿을 놈은 못 되겠지만.
         이후 "(추가예정)" 에피소드에서는 레스터가 [[창작:블루클레이 자경단|블루클레이 자경단]]의 정체를 밝히는 공을 세우자 다 자기가 키워서 그런 거라고(…) 동 사람들에게 알리고 다닌다.
  • 창작:좀비탈출/0 . . . . 2회 일치
         전기와 통신이 살아있을 무렵 두 사람이 있는, 그렇게 추정하는 지역이 '''위험구역'''으로 선포되는 뉴스를 봤다. 정부는 이 일대를 통제할 것이고 더이상의 '''사태 확산은 없을 거'''라고 말했다. 그러는 동안 녀석들은 착실하게 진군해서 그날 저녁 때쯤부터 우리 동에도 보이기 시작했다. 나는 문을 잠그고 커튼도 쳤고 음악을 크게 틀었다. 주로 체리필터였고 며칠 동안 단 한 번도 끄지 않았다. 나는 조명도 끈 상태에서 혼자 지냈다. 공복과 수면의 사이클이 몇 차례 지나가고 가끔 문을 두드리는 것 같은 소리나 비명소리를 들은 것도 같았지만, 그게 내가 열어줘야 했을 사람들이 아니었기만을 빈다.
         이후로 그 소리가 사라진 적은 없다. 우리집의 튼튼한 담벼락이 무색하게 녀석들은 열려진 대문으로 들어와서 산책했다. 방송이 끊어졌지만 우리 동도 '''위험구역'''에 들어갔다는걸 알 수 있었다. 물론 그건 이 반도 어딘가에 위험구역이 아닌 곳이 남아있을 때 얘기겠지만.
  • 창작:좀비탈출/4-1-1 . . . . 2회 일치
         나는 무기를 단단히 쥐어서 앞으로 내밀었다. 그리고 발을 천천히 옮겼는데 갑자기 닌자 흉내를 내는 기분이 들어서 웃음이 나올 뻔 했다. 좀비 소굴에 갇힌 닌자.
         허리쪽에서 엉덩이와 등 양쪽으로 바늘 천개가 돌아가며 찌르는 듯한 통증이 퍼져나왔다. 그 통증을 수습할 새도 없이 토트넘이 달려든다. 난 옆으로 누운 자세이고 놈을 뿌리칠 힘이 도저히 나오지 않는다. 두꺼운 겉옷이 녀석의 이빨을 한 번은 막아줬다. 두 번도 막아줄 수 있을까? 세 번이나 번은? 알 수 없다. 얼른 뿌리치고 일어나야 하는데, 이놈의 허리가 말썽이다.
  • 창작:좀비탈출/4-1-2-1 . . . . 2회 일치
         초조함은 나의 모든 선택에 회의감을 던졌다. 뒷마당으로 이어지는 단 다섯걸음이 이렇게 길고 고통스러울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한 발씩 옮길 때마다 모퉁이에서 튀어나오는 손톱과 이빨이 3D 입체영상처럼 생생하게 재생됐다. 아직가지 들린 적이 없는 그르렁대는 소리도, 내 머릿 속에서는 정지버튼 없이 자동재생 된다. 모퉁이에 다 도달해서는 갑자기 현관문 쪽에서 그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쿵 쿵……'''
         토트넘의 열광적인 팬이었던 아저씨. 토트넘 유니폼을 열 벌이나 사놓고 매일 같이 입고 다녔던 토트넘에 미친 아저씨. 왜 이제야 생각이 났을까?
  • 창작:좀비탈출/4-1-2-2 . . . . 2회 일치
         나는 무기를 단단히 쥐어서 앞으로 내밀었다. 그리고 발을 천천히 옮겼는데 갑자기 닌자 흉내를 내는 기분이 들어서 웃음이 나올 뻔 했다. 좀비 소굴에 갇힌 닌자.
         허리쪽에서 엉덩이와 등 양쪽으로 바늘 천개가 돌아가며 찌르는 듯한 통증이 퍼져나왔다. 그 통증을 수습할 새도 없이 토트넘이 달려든다. 난 옆으로 누운 자세이고 놈을 뿌리칠 힘이 도저히 나오지 않는다. 두꺼운 겉옷이 녀석의 이빨을 한 번은 막아줬다. 두 번도 막아줄 수 있을까? 세 번이나 번은? 알 수 없다. 얼른 뿌리치고 일어나야 하는데, 이놈의 허리가 말썽이다.
  • 창작:좀비탈출/5-1 . . . . 2회 일치
         갑자기 선명하게 떠오르는 사실. '''골프채는 후방 좌측 1m 거리에 눕혀져 있다!'''
         하지만 바지에도 티셔츠 일부에도 녀석의 체액으로 추정되는 검고 진득한 무언가가 튀어 있었다. 언뜻 보기에는 짜장 먹다 튄 자국으로 보인다. 그런 생각을 하자 갑자기 짜장면이 먹고 싶다는 실없는 생각이 떠올랐다. 공복감. 그렇다, 여기 온 이유는 그것 때문이다. 뭉쳐있던 뱃속이 풀어지듯 꼬르륵 소리를 냈다. 나는 잠시 토트넘을 쳐다보고 그 앞의 독을 쳐다보았다. 이제 할 일이 두 가지나 생겼다..
  • 창작:좀비탈출/5-1-1 . . . . 2회 일치
         "안녕하셨어요 아저씨? 건강해 보이요."
         내가 한 일에 대해 후회는 하지 않는다. 감상에 젖어있기엔 처해진 상황은 급박하다. 토트넘은 담을 넘었다. 이 동에 내가 보지 못한 녀석들 중에 토트넘만큼 신선하고 하체가 발달한 녀석은 몇이나 더 있을까? 토트넘의 조기축구 동료는 적어도 10명은 있겠지. 그리고 경기할 상대팀도 11명은 있겠지. 그럼 적어도 20명 안팎의 신선하고 하체가 튼튼한 녀석들이 있는 걸까?
  • 창작:좀비탈출/5-1-1-1-2 . . . . 2회 일치
         하지만 그림자가 길어지고 있다. 어느덧 태양이 넘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시체가 누워있던 자리를 정리하고 원래 목적대로 식량을 챙겨야 한다. 이제 공복과 피로를 버티는 것도 지겹다. 어제까지만 해도 집안에서 숨죽이고 있던 내가, 갑자기 좀비버스터 노릇을 한 것이다. 터무니없는 과로로군.
         나는 그대로 하던 일을 정리하고 우리 집으로 돌아갔다. 돌아가기 전에 그 계단을 처리해 버리는걸 잊지 않았다. 어차피 토트넘 뒷문도 닫혀있고, 이정도만 해도 당장 뒷마당을 침범할 놈은 없을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성과로 치자. 다이너스티는…… 나중이라도 기회가 있어. 누가 차키를 집어갈 것도 아니잖아?
  • 창작:헤이즈 . . . . 2회 일치
         무동고등학교의 영화동아리인 RECORD의 일원들은 여름방학을 이용해 엄두를 내지 못했던 정식 영화 촬영에 도전해 보기로 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전원일기처럼 동 소개 영상에 불과했지만, 시나리오에 살이 점점 붙어가자 아예 스릴러 영화를 찍자는 쪽으로 계획을 고치게 된다. 그리하여 그들은 거의 버려진 거나 마찬가지인 [[창작:세정종합병원|세정종합병원]]의 별관에 숨어들어 촬영을 하기로 한다. 촬영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어떤 일'을 계기로 갑자기 계획이 이상해진다...
  • 카자미노 시 . . . . 2회 일치
         [[사쿠라 쿄코]]의 본래 주거지로서, 작중에서 [[미타키하라 시]] 부근애 위치한 도시로 언급된다. 드라마 CD인 《farewell story》와 극장판 《반역의 이야기》에서 언급되었다. 《TDS》에서도 등장.
         [[드라마 CD]]를 몰랐던 사람은 극장판에서 갑자기 쿄코가 사는 도시의 이름이 당연한 듯이 나와서 조금 당황한 모양.[http://detail.chiebukuro.yahoo.co.jp/qa/question_detail/q10116774515 참조]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연합군 . . . . 2회 일치
          해리어(혹은 보라매)가 주둔하는 건물. 미니맵을 볼 수 있게하는 레이더의 기능도 한다. 공군사령부 하나가 수용할 수 있는 해리어(혹은 보라매)의 양은 대이다. 해리어(혹은 보라매)가 비행중일 때 공군사령부가 사라지면 착륙할 수 없는 해리어(혹은 보라매)는 추락한다.
          * 이비실
  • 콘도 마코토 . . . . 2회 일치
         1994년 『환자와 이야기하는 암의 재발, 전이(患者と語るガンの再発・転移)』출판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토리코/360화 . . . . 2회 일치
          * 한편 오와 싸우는 돈 슬라임은 "천재지변이나 운석에 악의가 있는 것 같냐"고 묻고 "답은 그렇다. 이것이 내 악의다"라며 운석을 떨어뜨린다.
          * 이들이 싸우는 여파는 낭왕 기스와 대치하고 았는 토리코, 스타쥰도 볼 수 있을 정도다.
  • 페어리 테일/496화 . . . . 2회 일치
          * 블러드맨, 월 vs 로그, 미르바. 스팅은 유니버스 원 발동 당시 어디론가 날아간 듯?
          * 블러드맨과 월은 로그, 미르바가 상대한다.
  • 페어리 테일/497화 . . . . 2회 일치
          * 그러자 아이린은 "가 직접 싸워라"라고 지시한다.
          * 나츠가 화룡의 포효를 쏘는데 갑자기 발생한 냉기 때문에 불꽃 그 자체가 얼어버리는 황당한 일이 발생한다.
  • 페어리 테일/501화 . . . . 2회 일치
          * 그리고 루시에게 적의를 드러내며 "나의 브랜디쉬를 망가뜨렸다"고 원망한다.--백합이--
          * "나의 랜디"라고 말하는걸 보면 브랜디쉬에게 친구 이상의 감정을 가지고 있는게 분명하다.--백합 돋--
  • 페어리 테일/502화 . . . . 2회 일치
          * 그는 이제와서 3분 정도만 메이비스와 단둘이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한다.
          * 팬서 릴리는 승리한 뒤 즐길거리가 늘었다며 초대에게 제라와 모험한 이야기를 듣자고 한다.
  • 페어리 테일/512화 . . . . 2회 일치
          * 그때 로그가 그림자로 들어가라고 조언한다. 그림자 안에선 모든 감각이 곤두서며 일시적으로 잠기운도 떨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막 그림자의 힘을 얻은 스팅에겐 무리한 주문이었다. 로그는 중력을 느끼고 대지와 일체가 되는 요령이라고 설명해주지만 잘되지 않는다. 그때 갑자기 강력한 중력이 스팅을 덮친다.
          * 나츠 드래그닐은 아직도 자신의 정신세계를 헤매고 있다. 그를 인도하던 스팅은 어느 새 사라지고 그 모습이 로그 체니로 바뀌었다. 나츠는 아무리 마음 속이라도 멋대로 안내역을 바꾸지 말라고 투덜거리지만 로그는 "그만큼 정신이 산만한 것"이라 디스한다.
  • 하이큐/208화 . . . . 2회 일치
          * 역시 12월 초 미야기현의 유망한 1학년들을 모아 합숙시키자는 이야기가 죠젠지 고교 아나바라 선생에게서 온 것.
          * 바쁜 나날이 지나가고, 첫눈이 내리는 겨울의 어느날 히나타는 한 밤 중에 자전거를 타고 어디론가 달려가고 있다.
  • 하이큐/214화 . . . . 2회 일치
          * 이번에 올린 서브도 트에 걸린다.
          * 그리고 감독은 이 상황을 "괜찮"라고 한다.
  • 하이큐/216화 . . . . 2회 일치
          * 저녁 식사 중인 코치들은 와시죠 감독의 심경변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 어쨌든 그의 스파이크가 인상적이었는지 "가 친다면 나도 블록하겠다"고 나서는 선수들이 속출.
  • 한방의학 . . . . 2회 일치
         [[일본]]에서 [[한의학]], [[중의학]]을 부르는 명칭이다. 일본에서는 자국의 한방의학이 전래된 중의학과는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별개의 요소가 많다고 주장한다. 한방(漢方)이라는 명칭은 [[에도 시대]] 중엽에 [[덜란드]]의 의학이 전래되어 이를 란방(蘭方) 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이와 대조하여 기존의 중국에서 전래된 의학을 '한방'이라고 부른데서 비롯되었다.
         에도 시대 말기에는 덜란드 의학이 전파되어 이를 란방의학(蘭方医学)이라고 부르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의학은 한방의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헥사밀리온 . . . . 2회 일치
         중세 그리스의 성벽. 펠로폰소스 반도와 그리스 중부를 연결하는 비좁은 코린토스 지협에 세워진 성벽으로서, 헥사밀리온이란 '6마일의 성벽'이라는 뜻이다. 이 지협은 좁아지는 구간이므로 방어에 유리하여 성벽을 건설하려는 시도는 오래 전부터 있었으나, 최초로 건설한 것은 비잔티움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2세]]로 여겨진다. 그는 야만족에서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헥사밀리온을 건설했다. 헥사밀리온은 여러 차례 파괴, 수복을 반복하며 오랫동안 펠로폰소스의 방어 거점이 되었다.
  • 화표 . . . . 2회 일치
         천안문 화표는 수미좌 형태의 대좌에 세워져 있으며, 대좌 주변에는 모퉁이에 각각 작은 사자가 새겨져 있는 돌난간으로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화표는 결국 2012년 보시라이가 실각하고 체포되어, 부패와 범죄로 감옥에 갇히는 몸이 되면서 [[설레발]]로 끝나고 말았다. 게다가 2016년 8월 5일, 베이징 신경보(新京報)에서는 티즌들의 소식을 인용하여 보시라이가 건설한 화표가 밤새 철거당했다는 소식을 알려, 보시라이의 꿈처럼 그가 세운 --설레발-- 화표 역시 소멸하여 보시라이의 야망이 일장춘몽으로 끝나버렸음을 드러내고 말았다.
  • 1만 시간의 법칙 . . . . 1회 일치
         2009년에 발표된 책, '아웃라이어'에서 나온 이야기.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선천적 재능보다 1만 시간이 노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 2016 K리그 다득점 우선적용 논란 . . . . 1회 일치
         한국프로축구연맹의 발표에 따르면 "공격축구"가 관중을 끌어모은다는 판단 하에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22&aid=0000168424|"타 리그와 비교해도 골 수가 적으니 관중이 잘 안 모이고 흥행이 되지 않는다"]며 이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웃긴 이야기는 여기에서 예시로 든 분데스리가와 J리그를 보면 골 수와 관중 사이에는 의미있는 데이터가 성립하지 않는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주장대로, 공격축구를 통해 골이 많이 터질수록 흥행이 이루어진다면 골이 많이 나온 시즌은 관중이 많아야 정상일 것이다. 그러나,
  • 3월의 라이온/121화 . . . . 1회 일치
          * 카와모토 자매와 할아버지는 풋콩을 먹으며 여행지에서 모래찜질한 이야기를 나눈다.
  • 3월의 라이온/126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천둥번개가 몰아치고 소나기가 내린다.
  • 3월의 라이온/127화 . . . . 1회 일치
          * "이 사람 혼자만 문을 열고 내가 모르는 이야기가 시작되는 것 보단 훨씬 다행이야."
  • 3월의 라이온/128화 . . . . 1회 일치
          * 가게는 순식간에 그때 일로 이야기꽃이 핀다.
  • CharacterTemplate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Crusader Kings 2 . . . . 1회 일치
         샤를마뉴와 그의 동생 카를로만이 주요 인물인데, 이게임에서 샤를마뉴는 미친듯한 사기능력치와 함께 12기사들이 속속들이 합류하는 이벤트, 카를로만의 아들이 망명하는 곳[* 보통 롬바르디아, 가끔 아스투리아(...)]에 클레임이 생기는 이벤트, 작센을 정복하는 이벤트까지 겹쳐 사기라는 말이 아깝지 않을 정도의 힘을 보여준다. 반면 그의 동생인 카를로만은 어머니가 찾아와 독약을 건주는 이벤트등 온갖 디버프가 쏟아지는 안습인물. 그래도 가~끔 샤를마뉴가 전쟁에 선봉으로 나섰다가 전사하거나(...) 수행불능이 되버리거나 해서 카를로만이 실권을 잡는경우가 있기는 하다.
  • DQN . . . . 1회 일치
          * DQN 임 : 비정상적이고 특이한 이름을 뜻한다.
  • Europa Universalis 4 . . . . 1회 일치
         [[스웨덴]]의 게임 제작사인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에서 만든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인 Europa Universalis 시리즈의 4번째 게임. 보통 같은 제작사에서 만든 [[Crusader Kings 2]]와 비교되는 편이 많으며, 실제로도 [[인터페이스]]가 상당히 유사하다~~당연하지 둘다 같은 제작사니깐.~~[* 엔진이 클라슈비츠로 같은게 가장크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크킹은 유저가 '''통치자'''에 입장에서서 자기 가문원을 늘리면서 확장해가는 방식이라면 유파는 유저가 말그대로 나라하나를 통째로 경영해가는 느낌이라는 것정도...?~~그러니깐 크킹이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면 유파는 전지적 작가시점이라는 것이다~~
  • FrontPage . . . . 1회 일치
         3) 임스페이스로 '창작:' 을 항목명 앞에 붙여야 한다.
  • GLA . . . . 1회 일치
          정의 기관포를 단 트럭. 대공 사격이 가능하다. 잔해를 먹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 IsbnMap . . . . 1회 일치
         만들어놓고 정작 테스트는 안했습니다 :p 잘 되요. :)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1회 일치
         K리그는 2011시즌까지 상당한 잡음이 일어왔었는데, 그 잡음 중 하나가 바로 관중 수 집계에 관한 문제였다. 당시 K리그에서 성적은 좋지만 인기가 정말 없기로 유명했던 구단으로 성남 일화 천마를 꼽을 수 있었는데, 이 성남의 홈 구장인 탄천종합운동장의 수용 가능 인원은 2만여명이 넘지만, 실제로 경기를 관람하러 들어온 관중은 2000여명이 채 되지도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헌데 경기장 전광판에서는 전반전이 끝나고 관중 수를 발표하는 걸 보면 4,000 ~ 5,000명을 발표하는데... 이건 경기장에 최소한 20~25%는 채워져야 가능한 이야기임에도 방문한 팬들조차 갸웃거릴 정도였다.[* 가령 2010시즌 경남과의 홈 경기에서 당시 발표로는 5000명이 넘는 관중이 들어왔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결코 그 정도로는 아니었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 . . 1회 일치
         보면 알겠지만 마지막 두번째 경기까지 원정다득점까지 고려해도 무승부면 클래식 팀의 홈에서 연장전이 곧바로 이루어지는데다가 연장전은 원정 다득점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클래식팀이 다소나마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4시즌 . . . . 1회 일치
         역사상 두번째로 치룬 승강 플레이오프이며,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최종승자가 승격 도전권을 가진 최초의 대회였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1회 일치
         세번째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이며, 2015 [[K리그 클래식]] 최종 11위였던 [[부산 아이파크]]와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5시즌]]의 최종승자였던 [[수원 FC]]가 K리그 클래식 마지막 티켓을 두고 벌인 대회였다.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1회 일치
         역사상 두번째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이며, 사상 최초로 [[K리그 클래식]]에서 시즌을 보낸 적이 없는 팀이 최종 승자가 된 대회이다.
  • K리그 클래식 . . . . 1회 일치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IFFHS)의 평가에서 K리그는 세계적으로 30위 내에는 꾸준히 들어가는 리그다. [[http://iffhs.de/the-strongest-league-in-the-world-2015/|2015년 발표만 봐도]] [[그리스]], [[덜란드]]와 비슷한 점수를 받는 상황. 그리고 [[스코틀랜드]]보다 순위가 더 높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봐도 결코 무시할 리그는 아니다.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축구리그 중 최상위 리그로써 34번째 대회로 정식 명칭은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이다. 후원사는 현대오일뱅크.
  • NTX . . . . 1회 일치
          * 게임 : 커뮤니티 소속으로 게임 관련 글을 올리던 게시판. 게임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현재는 자유게시판과 통합되었다.
  • NavigationMacro . . . . 1회 일치
         문서를 하나 만들어서, 총알 리스트를 만들고, 총알리스트 각 아이템 맨 앞에 링크와 함께 설명을 쓰면, 해당 문서의 총알리스트에 나열된 링크를 바탕으로 비게이션 링크를 만들어줍니다.
  • PageListMacro . . . . 1회 일치
          옵션을 metawiki 혹은 m으로 넣었습니다. 그런데, 서치 속도가 느립니다. metadb가 5메가 이상인데 약 2초 가까이 걸리요. 페이지이 이 매크로를 넣으면 페이지 로딩속도가 느려지므로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고, metadb를 다 서치하려면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게 되어 멎는 경우도 생기므로, 100여개정도를 찾으면 끝내도록 되어있습니다.
  • PeopleTemplate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QTE . . . . 1회 일치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는 메인 스토리 중간중간에 QTE가 들어있다. 실패할 경우 위험한 경우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해주는 "죽음의 감각"을 강제로 발동시킨다.
  • RandomQuoteMacro . . . . 1회 일치
         이 내용을 좀 바꿔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가 없요. -- lordmiss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취역한지 1년도 안 된 뷰캐넌은 대서양을 떠나 태평양에서 활동한다. 이후 뷰캐넌은 퇴역과 재취역을 반복했다. 1922년 7월 7일 퇴역했지만 1930년 4월 10일 USS 소머즈(USS Somers)가 퇴역하며 재취역했다. 이렇게 태평양에서 활동하던 뷰캐넌은 1937년 4월 9일 다시 퇴역한다. 1939년 9월 1일,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미 해군은 해군력을 불리기 시작한다. 1939년 9월 9일, 뷰캐넌은 3번째 취역을 맞는다. 이후 뷰캐넌은 대서양에서 활동하다 1940년 9월 9일, 미국과 영국이 맺은 조약[* Destroyer for Bases Deal. 영국이 미국에게 기지를 대여해주는 대신 미국은 영국에게 구축함을 지원하는 조약.]에 의해 영국 해군에게 넘겨진다.
  • mixi . . . . 1회 일치
         [[일본]]의 [[소셜 트워크 서비스]]. 2004년에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일본 국내 한정으로 최대급의 SNS이다
  • 野良 . . . . 1회 일치
         [[일본어]]로 '들' 이라는 뜻이다. 동물을 뜻하는 말 앞에 붙으면 들짐승이라는 의미가 된다. 노라이누(野良犬)는 들개, 노라코(野良猫)는 길고양이라는 뜻이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1화 . . . . 1회 일치
          * 봄바의 게임임은 BOM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0화 . . . . 1회 일치
          * 키리에는 우마루가 가져온 딸기 쇼트 케이크를 보고 우마루 집에서 코마루와 케이크를 먹던 걸 회상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1화 . . . . 1회 일치
          * 고전게임의 달인이었던 봄바--고갤러--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3화 . . . . 1회 일치
          * 에비나는 손수 만든 장갑을 꺼내서 건기만 하면 좋겠다며 부끄러워하는데, 우마루는 그제서야 실수한 것을 깨닫는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7화 . . . . 1회 일치
          * 키리에는 예전에는 사이좋은 남매였지만 자라면서 사이가 틀어졌다고 씁쓸하게 이야기한다.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2화 . . . . 1회 일치
          * 타이헤이와 일상 이야기를 하면서 상사가 된 이후엔 일 얘기만 한 것 같다고 생각하는 카나우.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65화 . . . . 1회 일치
          * 우마루는 오라버니라고 부르거나 "이런 데서 만나"하면서 자연스럽게 말을 걸어 보라고 하는데, 실핀은 그 조차도 "그 다음엔 뭐라고 해야 하나요"라고 물을 정도로 감을 잡지 못한다.
  • 고다이고 덴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고종(조선) . . . . 1회 일치
         친정 초기에는 박규수 같은 통상개화파를 주로 중용하는 모습을 보여왔으며 한편으로는, 대원군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외척들을 중용하기도 했다.[* 흔히 중전 민씨([[명성황후]])덕에 여흥 민씨가 임드화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대원군파를 견제하기 위해 고종이 직접 중용했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이다.] 이 때는 딱히 잘못한 것도 없었고 박규수 등의 개화파를 중용해 개방을 서두른 걸 보면 기본적으로 전근대 군주로서의 능력은 있었던 듯.
  • 공기교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주변의 상황이나 분위기를 파악해서 행동하는 것을 「공기를 읽는다(空気を読む)」고 표현한다. 일본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같이 '공기를 읽는'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지만, 이것이 지나쳐서 마치 [[종교]]나 신념 같이 이야기하고 [[동조압력]]을 격렬하게 발산하는 사람들을 비꼬는 말로 공기교라는 말이 태어나게 되었다.
  • 그랜드 테프트 오토 2/무기 . . . . 1회 일치
          불길을 발사하는 화염방사기. 여기 맞은 사람들은 불 붙은채로 으악악악하고 뛰어다니다 해골이 되어 죽는다. 의사들은 이렇게 죽은 뼈다귀도 살려낸다. 크로맨서인가 보다.
  • 까마귀 . . . . 1회 일치
          * 어니스트 톰슨 시튼, <<아름답고 슬픈 야생 동물 이야기>>, ISBN 8971842776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1회 일치
         실상은 이미 독일은 11월 혁명으로 거의 국가 체계가 붕괴할 지경이었다. 이 와중에 [[빌헬름 2세]]는 방금 전까지 전쟁하던 [[덜란드]]로 망명해서 내빼버리고(…), 독일 사회민주당은 이 무렵 독일 내의 정당들 가운데 많은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군부에 의하여 패전과 혁명이 겹쳐 거의 다 망하게 생긴 나라에 등떠밀리듯이 올려가서 수습하게 된 거나 다름 없는 상황(…)[* 물론 독일 사회민주당 역시 애국주의에 따라서 1차 대전을 지지하였기 때문에 완전히 책임이 없는건 아니다.]이었다. 사실상 '''군부가 싸놓은 똥을 치우는 상황'''이라고 표현해야 할 것인데, 오히려 군부는 자신들이 주도적으로 만들어낸 이 국가적 위기를 사민당과 좌파 세력이 만든 것이라고 책임을 떠넘기려 한 것이다.
  • 나고야 대학 여학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모리 토모코는 [[기독교]] 계열 종교의 신자로서, 종교 권유에 열성적이었다고 한다. 본래 모리 토모코와 오오우치 마리아가 만나게 된 계기는 모리 토모코가 종교 권유를 위하여 오오우치 마리아의 집을 방문한 것이 계기였다. 문조차 열어주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 오오우치 마리아는 문을 열어줬을 뿐만 아니라 이야기도 들어주고, 살해되기 얼마 전에는 휴대폰 번호도 가르쳐줄 만큼 가까이 끌어들였다고 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1회 일치
          외전 만화. 4컷 개그 만화이며 본편과 스토리가 동일하기는 한데 개그가 포함되어 있다. 점프 플러스에 연재 중이며 작가는 다 히로후미.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0화 . . . . 1회 일치
          * 아이자와 쇼타는 실연을 하며 이야기를 계속하겠다며 체육관 감마로 이동할 것을 지시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2화 . . . . 1회 일치
          * 훈련이 끝나고 여학생들의 휴식시간. 훈련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4화 . . . . 1회 일치
          * 공들이 멈추지 않고 미타 미노루를 노리는데, 이때 아시도 미나가 미끌미끌하고 점성이 높은 점액으로 벽을 만들어 막는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78화 . . . . 1회 일치
          * 빌런연합의 [[마그]]는 미도리야가 [[머스큘러]]를 쓰러뜨렸다는 것을 판단해내고는 죽이려 들지만 그 중 "[[스피너]]"라는 [[도마뱀]] 같은 빌런은 "[[스테인]]이 인정한 자"라며 진정한 히어로이므로 처리하지 않겠다고 나온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79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갑자기 나타난 토코야미가 빌런을 순식간에 박살낸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2화 . . . . 1회 일치
          * 이때 다비가 토도로키 눈 앞에서 구슬을 가져가며 "슬프, 토도로키 쇼토"라고 말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4화 . . . . 1회 일치
          * 이이다는 왜 자신이 폭주할 때 말려준 두 사람이 똑같은 실수를 하려는 거냐며 힐난하는데 미도리야가 반박하려 하자 그를 때리며 "가 쓰러져 있는 모습에서 형이 떠올랐다"며 돌이킬 수 없는 사태가 어떻게 되겠냐며, 자신의 걱정은 아무 의미도 없는 거냐고 묻는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5화 . . . . 1회 일치
          * 근처의 잡화점에서 급하게 옷을 공수해 변장을 하는데, 토도로키는 "그냥 가 만들었음 되지 않냐"고 지적하나 야오요로즈는 어물어물 넘어간다. 키리시마는 "그냥 쇼핑이 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7화 . . . . 1회 일치
          * 뇌무의 생산 공장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는 이야기가 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8화 . . . . 1회 일치
          * 래그돌의 개성을 빼앗은 걸 보면 올 포 원의 능력은 개성의 강탈.--어라 옆 동에 비슷한 캐릭터가?--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89화 . . . . 1회 일치
         이 애도... 가 "소중한 장기말"이라고 생각한다 판단해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0화 . . . . 1회 일치
          * 공기를 밀어낸다+근골의 용수철화+순발력 배, 여력증강 세 배를 건 합성물.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93화 . . . . 1회 일치
          * 미도리야가 전혀 제어도 못한다며 "선생으로서도 패배"라고 비웃는다.
  • 남효온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니세코이/216화 . . . . 1회 일치
          * 이치죠 어머니는 "혹시 실망했느냐"고 묻는데, 치토게는 오히려 멋진 이야기였다고 기뻐한다.
  • 니세코이/217화 . . . . 1회 일치
          * 이치죠는 사실 그때 약속에 대해서 이야기 했던 것.
  • 니세코이/219화 . . . . 1회 일치
          * 을 헤매던 이치죠는 우연히 과거 마리카가 요양했던 건물을 발견한다.
  • 니세코이/221화 . . . . 1회 일치
          * 유이는 이들을 말리기 위해 그림책 내용 대로 열쇠를 벌을 만들기로 한다.--그러니까 얘가 원흉이었습니다.--
  • 니세코이/226화 . . . . 1회 일치
          * 오노데라는 가지고 있던 열쇠를 건고 이치죠는 오노데라가 약속의 아이임을 깨닫지만 마음은 흔들리지 않는다.
  • 니세코이/227화 . . . . 1회 일치
          * 이치죠는 "가 좋아"라고 답한다.
  • 니세코이/229화 . . . . 1회 일치
          * 사실 이치죠 파벌은 딱히 나쁜 짓은 하지 않고 자경단 수준의 활동만 하고 있었다.
  • 니시노 카나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니쿠쟈가 . . . . 1회 일치
         일본의 해군 제독 도고 헤이이치로(東郷平八郎)가 영국에 유학을 하였을 때, 비프 스튜의 맛을 잊을 수 없어 부하에게 비프 스튜를 만들라고 했다. 하지만 비프 스튜에 사용할 데미글라스 소스도 와인도 없었기 때문에, 그 대신에 간장, 설탕, 미림 등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니쿠쟈가라는 이야기가 있다.
  • 닌자 거북이 . . . . 1회 일치
         [[방사능]]에 의해 마리 [[거북이]]들이 돌연변이화해 사람과 유사한 모습이 되고, [[닌자]]가 되어 악당들과 싸운다는 내용. 세계적인 인기를 가진 시리즈이며 국내에도 80년대의 애니메이션이 방영해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에도 애니메이션과 게임, 영화가 만들어졌다.
  • 다운증후군 . . . . 1회 일치
         유전적, 환경적 이유로 21번째 염색체가 3개가 되는 탓에 생겨난다.
  • 단축 도메인 . . . . 1회 일치
         http://me2.do/ - [[이버]] 운영, 원래 [[미투데이]]를 위해 제작되었으나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본섭(미투데이)가 폐쇄되면서 단축도메인만 달랑 남았다.
  • 대한민국 FA컵/2016시즌 . . . . 1회 일치
         21번째 [[대한민국 FA컵]] 대회로 정식 명칭은 '''2016 KEB 하나은행 FA CUP'''이다. 후원사는 명칭을 보면 알겠지만 KEB 하나은행.
  • 도게자 . . . . 1회 일치
         [[도박묵시록 카이지]]에서 나온 '달군 철판 위의 사죄'가 도게자로 유명하다. 일명 철판 도게자. 작중에서 효우도 회장이 카이지와의 승부에서 패배한 [[토가와 유키오]]에게 '사죄'로서 강요한 것이다. "진정 사죄하려는 마음이 있다면 살을 녹이고 뼈를 태우는 달군 철판 위에서도 사죄를 할 수 있다."는 터무니 없는 이론에서 나온 벌칙으로, 자신에게 도게자를 하면서 돈 갚는 것을 미뤄주거나 떼어먹으려고 하는 사람에게 대처하는 회장의 취미로서 언급된다. 벌칙은 이 철판 위에서 30초 이상 도게자를 하고 손바닥과 이마가 타는데도 버텨야 하며, 대체로 저항하며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게자 강요기' 같은 굴욕적인 기계까지 있다.
  • 드래곤볼 . . . . 1회 일치
         내퍼는 베지터에게 프리더가 베지터왕을 죽이고 혹성 베지터를 멸망시켰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하지만, 베지터는 그런 것은 자신에게 관계 없다면서 강한 자가 세상을 지배하는 것이 진리라고 말한다.[* 라데츠는 몰랐던 듯. 놀란다.(…)] 그리고 언젠가 강해져서 프리더를 대신하여 우주를 지배하겠다는 야망을 드러낸다.
  • 떠있는 섬 . . . . 1회 일치
         신화, 전설 상에서는 물 위에 떠 다니는 섬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개 [[암초]]를 비유한 것으로 여겨진다.
  • 러브라이브! . . . . 1회 일치
          "타락천사 요하"라고 자칭하는 중2병.
  • 로손 . . . . 1회 일치
         오사카부 토요나가시(大阪府豊中市)에 일본 1호점을 오픈했으며, [[중국]], [[인도시아]]에도 가게를 열고 있다.
  • 마기/294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294번째 밤. '''남은 재원'''
  • 마기/295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295번째 밤. '''군사의 비책'''
  • 마기/296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296번째 밤. '''고향으로'''
  • 마기/300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300번째 밤. '''서로의 길'''
  • 마기/301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301번째 밤. '''대표로서'''
  • 마기/303화 . . . . 1회 일치
         [[마기]] 제 303번째 밤. '''새로운 시대의 전쟁'''
  • 마기/305화 . . . . 1회 일치
         [[마기]] 305번째 밤. '''교차하는 의지'''
  • 마기/306화 . . . . 1회 일치
         [[마기]] 306번째 밤. '''아르바의 의혹'''
  • 마기/307화 . . . . 1회 일치
         [[마기]] 307번째 밤. '''준비완료'''
  • 마기/308화 . . . . 1회 일치
         [[마기]] 308번째 밤. '''수호자'''
  • 마기/310화 . . . . 1회 일치
         [[마기]] 310번째 밤. '''수행의 성과'''
  • 마기/319화 . . . . 1회 일치
         [[마기]] 319번째 밤. '''홍옥의 감사'''
  • 마기/320화 . . . . 1회 일치
         [[마기]] 320번째 밤. '''아르바의 제안'''
  • 마기/322화 . . . . 1회 일치
         [[마기]] 322번째 밤. '''고지로'''
  • 마기/323화 . . . . 1회 일치
         [[마기]] 323번째 밤. '''끝나지 않는 모험'''
  • 마기/326화 . . . . 1회 일치
         [[마기]] 326번째 밤. '''강렬한 위화감'''
  • 마누엘 고도이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마리아 루이사 테레사 드 파르마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마법병 . . . . 1회 일치
         이 이름을 명명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로서, 동물학자이자 어류학자였던 이이지마 하지메(飯島 魁)로 알려져 있다. 다만 명명 과정에서 약간의 착각(!)이 있었는데, 1907년 10월 22일자 도쿄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이지마 하지메는 "[[이솝 우화]]에 나오는, 뭐든지 바라는 대로 나오는 마법의 병(매직 보틀)"에서 따와서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그런 이야기가 이솝 우화에는 없다(…). 아마 다른 동화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착각'한 동화는 아마도 [[로버트 스티븐슨]]의 '[[병 속의 악마]](The Bottle Imp)'로 추측된다..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시리즈 . . . . 1회 일치
         애니메이션으로는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A's',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StrikerS',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Vivid'가 있으며, 뒷 시기의 이야기를 다룬 '마법전기 리리컬 나노하 Force'도 있다.
  • 마토메 사이트 . . . . 1회 일치
         마토메는 정리한다, 모아둔다는 뜻이 있으며, 마토메 사이트는 특정 주제에 대하여 정보를 코디이트, 재정리해두는 사이트를 뜻한다. 주로 2채널의 스레드나 [[트위터]]를 출처로 삼는 경우가 많다.
  • 메데타시메데타시 . . . . 1회 일치
         옛날 이야기 같은데서, 일이 무사히 잘 풀리고 좋게 끝난 결말에서 하는 관용구.
  • 메시마즈 . . . . 1회 일치
         요리치를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이런 표현을 주도한 스레드는 가정판의 아내의 밥이 맛이 없다(嫁のメシがまずい) 스레드이다. 이 스레드에서는 단순히 요리를 잘 하거나 못하는 수준이 아니라 기상천외한 엽기적인 음식의 이야기가 투고되고 있다.
  • 명탐정 코난 에피소드 "ONE" 작아진 명탐정 . . . . 1회 일치
          * 트로피컬 랜드에 가기 전의 이야기
  • 미저리 . . . . 1회 일치
         [[미국]]의 [[소설가]] [[스티븐 킹]]이 쓴 소설. 한 소설가의 작품을 추종하는 광신도에게 감금된 그 소설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바닷마을 다이어리 . . . . 1회 일치
         믿음직하지 못한 양어머니를 떠받치며, 다부지게 행동하는 중학생 스즈를 보고 자매들은 함께 살지 않겠느냐고 카마쿠라의 집에 스즈를 초대한다. 자매의 새로운 생활이 시작되는데, 할머니의 칠주기에 소식불통이었던 어머니가 나타난다.
  • 바르나바 복음서 . . . . 1회 일치
         [[바르나바]]([[바나바]])가 썻다고 하는 [[복음서]]. 초창기 기독교의 [[위경]] 목록에 바르나바 복음서라는 목록이 발견되며,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로 된 사본이 현존하며, [[아람어]]로 된 사본이 2010년대에 [[터키]]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사본과 고대 목록에 언급되는 바르나바 복음서가 같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을 알 수 없는 바르나바 복음서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바르나바 복음서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 바키도/109화 . . . . 1회 일치
          * 무사시는 마킹도 단숨에 베어버리면서 실력을 과시한다.
  • 바키도/115화 . . . . 1회 일치
          * 식사를 마친 후, 무사시는 피클이 그를 먹으려 한다는 이야기를 전해듣는다.
  • 바키도/123화 . . . . 1회 일치
          * 돌연 괴성을 지르고 발로 뛰어서 달아난다.
  • 바키도/124화 . . . . 1회 일치
          * 시부카와는 날마다 빼먹는건 아니냐고 농담을 건는데, 모토베는 "하루에 몇 번"이라고 답한다. 그렇게 훈련을 열심히 하냐고 시부카와가 놀란다.
  • 바키도/131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무사시는 분명 투구는 벨 수 없겠으나 "목숨의 양단은 어렵지 않다"는 섬뜩한 이야기를 한다.
  • 바키도/135화 . . . . 1회 일치
          * 트럼프는 단 한 명의 남자와 미국이 불가침 조약을 채결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믿지 않는다.
  • 바키도/136화 . . . . 1회 일치
          >놈의 무례함은 아까부터 도를 넘더군.
  • 반지닦이 . . . . 1회 일치
         참고로 이 망작 영화 때문에 그린랜턴 : 리버스, 시스트로 군단의 역습 등, 코믹스 명작 시리즈의 흥행으로 인기가 치솟던 그린랜턴 프랜차일즈의 인기는 찬물을 뒤집어 썻으며, 영화 폭망의 악영향으로 잘 만들어서 평가도 좋던 그린랜턴 The Animated Series 마저 1시즌으로 취소 당하는 등 악재를 거듭 겪게 되었다..(…)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아무튼 본인은 딱히 화염병을 만들었는지 불확실하지만, 화염병 이야기만 나오면 몰로토프가 언급되면서 화염병의 대명사(…)로 살아가는 인물이다. 우리 문명이 멸망한 뒤에는 화염병의 신으로 추앙될지도 모른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지킬박사와 하이드로 유명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Robert Louis Stevenson)의 소설. 안에 악마(Imp)가 들어있는 마법의 병을 소재로 한 이야기이다.
  • 보루토/3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양쪽 바닥이 꺼지면서 먹물풀이 나타난다.
  • 보육원 떨어졌다 일본 죽어라!!! . . . . 1회 일치
         >보육원도 늘리지 않고 아동수당도 수천엔 밖에 주지 않지만 소자화 어떻게 하고 싶어요- 그렇게 좋은 이야기 있을 리가 없어 바보.
  • 보증 . . . . 1회 일치
         보증에 관련된 문학 가운데 하나로 [[다자이 오사무]]의 [[달려라 메로스]]가 있다. 이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와 또한 다자이 오사무가 친구에게 술값을 보증서게 해놓고 술집에 친구를 맡겨놓은 다음 자신이 나중에 술값을 가져왔다는 훈훈한 일화에서 따왔다.
  • 보쿠걸/102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스토리가 급물쌀을 타고 있다.
  • 보쿠걸/106화 . . . . 1회 일치
          * 미즈키는 타케루를 동경했던 과거를 이야기하며 지금은 "너처럼은 될 수 없다"는 걸 이해했다고 말한다.
  • 보쿠걸/96화 . . . . 1회 일치
          * 타케루 아버지가 돌아오는데 대단한 기인이다
  • 보통국가 . . . . 1회 일치
         즉,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세계의 '[[전쟁]]에 대한 [[상식]]'이 완전히 바뀌었다는걸 무시하고, 1차대전 이전 기준으로 마음대로 다른 나라에 '침략'(그들 말로는 '출병')할 수 있는 권리를 달라고 하는 것이 일본 우익들의 주장인 것이다. 양차대전을 거치면서 '''세상이 바뀌었다'''는걸 의도적으로 국민들에게 감추고, 1차대전 이전의 질서가 올바르다고 주장하고 있는 어이없는 모습이다.
  • 부모교실 . . . . 1회 일치
         본래 과거에 이 같은 교육은 윗 세대에서 아래 세대로 가정에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화, 개인주의화를 거치면서 부모에게 의존하는 것을 꺼리거나 할 수 없는 경우가 늘었으며, 단순히 부모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 것 만이 아니라 올바르고 과학적인 정보를 장래 부모가 될 사람들에게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21세기 초엽 부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 북유럽 신화 . . . . 1회 일치
         일반적으로는 가장 체계적으로 남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지역의 [[에다]], [[사가]] 등의 문헌을 바탕으로 신화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고대 로마 시대에 게르만 민족에 대한 기록에서 부분적으로 그들이 믿는 종교와 함께 언급이 등장하며, 단편적인 기록이나 유럽의 민속에서 신화의 흔적을 찾기도 한다.
  • 불단 . . . . 1회 일치
         모난 직육면체 상자 같은 형태로 제작되며,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문이 달려 있다. 크기는 장롱 만한 커다란 것에서, 벽에 걸 수 있는 작은 상자 만한 비교적 컴팩트한 사이즈까지 다양하다. 주로 나무로 제작된다. 소박한 모양도 있지만, 비싼 불단은 금박으로 장식하거나 옻칠을 하기도 한다.
  • 불쑥 표주박 섬 . . . . 1회 일치
         [[NHK]]의 [[인형극]] 프로그램.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등대가 있는 작은 섬이었던 표주박 섬(ひょうたん島)이, 어느날 화산 폭발로 바다를 정처없이 방황하는 처지가 되어, 선데이 선생님과 그 제자들, 국제경찰이 비행기로 호송중이던 암살자 댄디, 뗏목으로 표류해온 해적 토라히게, 자칭 표주박 섬의 대통령 돈 가바쵸 등의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 블랙 클로버/50화 . . . . 1회 일치
          * 한편 고슈는 산드라 수녀의 곁을 지키고 있었지만 그녀의 마력과 마리, 고아원 아이들, 주의 마력을 받고 동굴로 돌아온다
  • 블랙 클로버/53화 . . . . 1회 일치
         [[블랙 클로버]] 페이지 53. '''놈의 것이 아니다'''
  • 블랙 클로버/54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야미가 심사가 뒤틀리는지 보이는 사람한테는 다 시비를 걸기 시작한다
  • 블랙 클로버/55화 . . . . 1회 일치
          * 마르크스는 자신의 기억마법이 틀렸을 리가 없다고 단언하는데, 야미 스케히로는 "가 결백하다면 너도 기억을 공개해라"고 말한다.
  • 블랙 클로버/60화 . . . . 1회 일치
          * 야미도 "그게 진짜라면 위험하겠"라고 맞장구치는데
  • 블랙 클로버/64화 . . . . 1회 일치
          * 아스타는 뛰어가는 도중에도 " 기는 읽히 힘든데 무슨 비결이냐"고 묻는다.
  • 블랙 클로버/66화 . . . . 1회 일치
          * 그리고 "누가 밥을 가로채려 한다!"고 큰 소리로 외치는데, 지금까지 죽은 듯이 자고 있던 챠미가 드디어 깨어난다.
  • 블랙 클로버/67화 . . . . 1회 일치
          * 베토는 일격으로 키아토의 다리를 잘라 버리고 두 번째 공격으로 카호노의 목을 망가뜨린다.
  • 블랙 클로버/71화 . . . . 1회 일치
          * 세 번째 검이 나오지 않겠냐는 예상은 빗나갔다.
  • 블랙 클로버/72화 . . . . 1회 일치
          * 야미는 마력이 얼마나 대단하든 상관없고, 이 마법은 "차원 째로 벤다"고 말하는데.
  • 블랙 클로버/75화 . . . . 1회 일치
          * 특히 성격이 나쁘고 친구가 없다고 까는데 그러다 "하지만 안심해. 내가 늘 함께 있을 테니까. 이거 빨리 끝내고 데이트 가자"라고 멋대로 이야길 진행시킨다.--츤데레--
  • 블랙 클로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 마녀의 ==
  • 블리치/679화 . . . . 1회 일치
          * 켄파치는 호프눙의 일격을 받아쳐내는데, 그 순간 호프눙의 날이 빠지고 갑자기 켄파치의 배가 갈라진다.
  • 블리치/686화 . . . . 1회 일치
          * 그는 인간의 삶을 천칭으로 비유하며, "옳고 그름을 재보고 그 결과가 모여 인간이 된다"며 "너(우류)도 그래왔을 터인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한다.
  • 블리치/689화 . . . . 1회 일치
          * 참백도가 두 자루고 호로화와 만해가 따로 각성했듯 "퀸시로서의 힘"인 두 번째 만해 또한 따로 해방한다는 설이 나왔다.
  • 블리치/693화 . . . . 1회 일치
          * 츠키시마는 긴죠가 " 편"을 들라고 해서 어쩔 수 없이 했다고 틱틱거린다.
  • 사혈 . . . . 1회 일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3&contents_id=2401 이버캐스트]
  • 생일파티 . . . . 1회 일치
         서양의 생일파티는 본래 [[이교도]]의 관습으로서, 1년 간을 다이몬(Daemon)에게 가호를 비는 행사였다고 한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4세기까지 이교도의 관습으로 보고 생일파티를 금기시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샬롯 링링 . . . . 1회 일치
         5번째 설정집인 블루 딥에 따르면 [wiki:"샹크스(원피스)" 샹크스]를 비롯한 다른 [[사황]]과는 적대 관계,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와는 대립 관계라고 한다.
  • 섀도우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1회 일치
         그녀와 한 전장에 설 수 있다면 아무리 위험한 일이라도 기꺼이 맡겠다고 단언하는 과격한 용병 팬도 많다고 전해지며, 심지어 유명 용병 그룹 개가 제각각 그녀의 팬클럽을 자처, 누가 공식 팬클럽인지를 정하자며 소규모 전투를 치렀다는 소문마저 있다.
  • 선문답 . . . . 1회 일치
          * (한국어) 주어진 문제와 상관없이, 한가롭게 주고받는 불필요한 이야기.
  • 세컨드 오피니언 . . . . 1회 일치
         세컨드 오피니언이라고 하여도 완전히 반대 되는 말을 하거나, 환자가 오히려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의 선택을 지원하는 직업으로 '의료 코디이터'가 있다.
  • 소학 . . . . 1회 일치
         1587년(선조 20년)에 언문([[한글]])로 풀이한 소학언해가 나왔다.--가 [[한문]]을 모른다고 소학을 피해갈 수 있을 것 같으냐.--
  • 슈퍼걸(드라마)/1시즌 10화 . . . . 1회 일치
         알렉스는 행크와 함께 맥스웰 로드를 조사하려 한다. 알렉스는 맥스와 데이트를 하면서 시간을 끈다. 행크는 맥스웰 로드의 실험실에서 레드 토이도의 일부와, 코드 피닉스라고 불리는 소녀를 찾게 된다. 그리고 경비원과 마주쳐서 그의 기억을 완전히 제거해버린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1화 . . . . 1회 일치
         저녁에 카라는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과 데이트 하지만 별로 맞지 않는다. 그러다가 제바로 출장을 떠났던 알렉스가 탄 비행기가 추락하고 있다는 뉴스를 보고, 한동안 사용하지 않던 힘을 발휘하여 비행기를 구해낸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3화 . . . . 1회 일치
         맥스웰 로드는 자기 소유의 연구소에서 시속 500km까지 나올 수 있는 새로운 자기부상열차 개발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리액트론이 연구소에 난입해와서 핵분열 기술자를 찾는다. 리액트론은 기술자를 한 명 납치가려고 하는데, 맥스웰 로드는 자신이 나서서 잡혀간다.
  • 슈퍼맨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스트리트 파이터 2 . . . . 1회 일치
         [[캡콤]]이 제작한 대전액션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으로 엄청난 인기를 불러모았다.
  • 스틸오션 . . . . 1회 일치
          구축함과 경순양함의 보조 무장. [[이비필드]]와 달리 사용자가 폭발 범위 내에 있어도 데미지를 받지는 않는다. 깊이 잠항한 잠수함을 공격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 스파이더맨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스파이더맨의 영화 판권이 어벤져스 영화 시리즈를 만든 [[마블 스튜디오]]가 아니라 [[소니 픽쳐스]]에 있기 때문. 결국 마블과 소니의 합의로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에 출연할 수 있게 되었다,
  • 식극의 소마 . . . . 1회 일치
         어느날 아버지 [[유키히라 죠이치로]]가 토오츠키 학원에 입학할 것을 명령하면서 그의 생활은 크게 바뀐다.
  • 식극의 소마/152화 . . . . 1회 일치
          * 이사장파의 "잔당사냥"은 개의 조로 나눠서 진행
  • 식극의 소마/153화 . . . . 1회 일치
         [[식극의 소마]] 153화. '''죽음의 회장'''
  • 식극의 소마/158화 . . . . 1회 일치
          * 대망의 리액션 파트지만 평소와는 달리 심사의원 중 여자가 한 명도 없는 데다 리액션으로 벗은 쪽은 어째선지 쿠스노기.--초심을 잃었--
  • 식극의 소마/162화 . . . . 1회 일치
         * 여기에 자극받은 츠카사가 "그렇다면 시험해 보자"라며 "십걸의 1석 자리를 걸 테니 가 지면 내 밑으로 와라."고 제안한다.
  • 식극의 소마/164화 . . . . 1회 일치
          * 힘줄을 정리한 허벅지살을 잘게 다진 양파와 마늘에 묻혀 마리한다.
  • 식극의 소마/166화 . . . . 1회 일치
          * 니쿠미는 승리 후 소마의 축하를 받는데, 이때 "가 덮밥연에 들어가라고 했기 때문"이라고 어필하지만 패배감에 찌든 소마는 시큰둥한 반응.
  • 식극의 소마/170화 . . . . 1회 일치
          * 에리나는 왜 굳이 달걀을 선택했냐고 하는데, 소마는 "가 처음 제시한 재료가 달걀"이었다며, 자신들의 인연을 매듭 짓기에 딱 맞는 요리가 아니냐고 답한다.
  • 식극의 소마/180화 . . . . 1회 일치
          * 소마는 갑자기 바뀐 세력 구도 때문에 갈팡질팡한다. 에이잔이나 나키리가 여전히 십걸 자리를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아우성.
  • 식극의 소마/186화 . . . . 1회 일치
          * 에리나는 잠시 야간열차에서 소마와 나눈 이야기를 떠올린다.
  • 식극의 소마/187화 . . . . 1회 일치
          * 소마는 음식을 먼저 제출하며 하야마 아키라에게 "가 먹을 건 먹기 직전에 튀겨주마. 여유 생기면 말해라."라고 놀린다.
  • 심령 스팟 . . . . 1회 일치
         대표적인 심령 스팟으로는 [[런던탑]], [[후지산]]의 [[주카이 ]]이 있다. [[폐가]], [[흉가]] 등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폐병원, 폐학교, 폐터널, 폐탄광 등도 심령 스팟에 자주 들어간다.
  • 심판 . . . . 1회 일치
         어린애들이 하는 동 스포츠에서는 심판은 두지 않고 대충 선수들의 합의(…)로 결정하거나, [[선생님]]이나 [[어른]], 아니면 [[깍두기]] 격인 아이가 맡게 된다.
  • 아귀 . . . . 1회 일치
          * 억이(億耳)라는 승려가 만난 아귀는, 아귀지만 특이하게 향락을 누렸다고 한다. 그는 생전에 [[불륜]]을 즐겨 유부녀들과 동침을 가졌으나, 스님에게 감화를 받아 낮에는 [[오계]]를 지키면서 살았기 때문에, 아귀가 되고 나서는 낮에는 여성들과 향락을 누리고 밤에는 [[지]]에게 뜯어먹히는 삶을 살게 되었다고 한다.--뭐야 이게--
  • 아돌프 히틀러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아멜리아 윌 테슬라 세일룬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아이언맨 . . . . 1회 일치
         21세기 초반 최고의 인기 히어로 가운데 하나로, 국내에서도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의 아이언맨 실사 영화 시리즈 등이 흥행하면서 인지도를 얻었다.
  • 안전벨트 . . . . 1회 일치
         안전벨트가 그려진 티셔츠로 단속을 약간이나마 피할 수 있다.[* 여담으로, [[이탈리아]]에서 불티나게 팔린 적이 있다(...). 거기도 난폭운전으로 유명한 동라서 그런지...] 그냥 안전벨트 하고 다녀라.
  • 야규 무네노리 . . . . 1회 일치
         전국시대 말기, 에도 시대 초기의 인물. [[에도 막부]]의 관료, 정치가, 검술가. 야규 무토시 세키슈사이(柳生宗厳 石舟斎)의 아들.
  • 야마우바 . . . . 1회 일치
         일본에서는 옛날 이야기나 노오, 가부키 같은 민속 문학에 자주 등장했다. 하지만 현대에는 무서운 할머니라는 외모 때문인지 별로 등장하는 매체가 없다.
  • 야마토 운수 . . . . 1회 일치
         [[일본]]의 택배업체. 아기 고양이를 데리고 가는 부모 고양이를 디자인한 마크로 유명하여, 쿠로코 택배(クロネコ宅配)라고도 불린다. 1919년에 창립되어 2019년이면 역사가 100년이 되는 장수 기업.
  • 양시칠리아 왕국 . . . . 1회 일치
         죠죠의 기묘한 모험 6부 [[스틸 볼 런]]에 등장하는 아폴리스 왕국(ネアポリス王国)은 명칭이나 통치 지역 면에서 양시칠리아 왕국에 해당하는 듯 하지만, 작중 시기인 1890년 시점에서 양시칠리아 왕국은 이미 멸망하고 이탈리아 통일이 완료된지 오래되었으므로 현실과는 다르다. 하지만 상당히 구시대적이고 불합리하게 보이는 국가 정세나, 결국 혁명으로 왕정이 전복되버린 것은 양시칠리아 왕국과 유사점이 있을지도?
  • 역행 . . . . 1회 일치
         대개 미래의 지식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최적의 행동을 취하게 되며, 이러한 어드벤티지로 주인공은 대활약을 하거나 괴로워하는 누군가를 구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게 된다. 하지만 역행의 결과가 언제나 순풍만범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작품에서는 역행 탓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 영국 요리 . . . . 1회 일치
         [[영국]] 요리는 켈트족의 전통에 기반하여, 각종 [[유럽]] 요리를 섭렵하고 동시에 [[대영제국]] 시기에 세계 각국의 요리의 전통을 흡수하여 만들어낸 지고의 요리이다. 영국 요리는 인류사의 보물로 기록되어, 요리 가운데서는 유일하게 유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일본에서 세계 X대 요리 등의 랭킹을 만들지만 영국 요리는 절대로 포함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 오오모노노누시노카미 . . . . 1회 일치
         이 때, 삼실이 세 바퀴 남아 있어 이 땅을 미와(三輪)라고 이름붙였다. 딸의 자손인 오오타타코(意富多多泥古), 오오모노누시노카미를 모시는, 오오미와신사(大神神社)의 제주가 되었다.
  • 오프라인 . . . . 1회 일치
         컴퓨터, 혹은 주변 장치들이 [[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 옥중결혼 . . . . 1회 일치
          * 인도시아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마약 사범이 옥중 결혼을 올렸다.[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04/28/20150428001706.html 기사]
  • 와타나베 나오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왝더독/줄거리 . . . . 1회 일치
         선거 직전, 일행은 "알바니아의 속에서 찾아낸" 슈만 상사의 귀환식을 열기 위해 군대에서 슈만 상사를 인수받는다. 슈만 상사는 [[수녀]]를 [[강간]]하는 등의 범죄를 저질러 육군 교도소에 수감된 정신 이상자였다. 귀환식 시간에 맞추기 위해 악천후를 뚫고 비행하던 비행기는 슈만의 난동으로 추락하고, 일행은 멕시코인 [[불법체류자]]가 모는 콤바인을 타고 귀환식장으로 향한다. 이 와중에 슈만은 중간에 들른 상점 주인의 딸을 강간하려다 상점 주인의 [[총기|총]]에 맞아 죽는다.
  • 요괴:닭둘기 . . . . 1회 일치
         갑자기 나타나 사람을 놀라게 하며, 주변을 지나가면 온갖 먼지를 흩뿌려 사람들을 괴롭게 한다. 또 몸에 붙어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로 각종 질병을 퍼트리기도 하여, 요사하고 무서운 흉조(凶鳥)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요괴:에어컨 . . . . 1회 일치
         모난 벽장 모양으로서, 집의 벽에 붙어서 살아간다. 입에서는 찬 바람을 뿜어낸다. 찬 바람으로 방을 덮어 더위에 지친 사람을 시원하게 만들어 준다. 사람들은 기뻐하며 에어컨을 집에 들인다.
  • 요괴:조카몬 . . . . 1회 일치
         명절에 쉬고 있으면 집에 갑자기 나타난다. 어린아이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괴성을 지르고 뛰어다니거나 욕설을 퍼붓고 사람을 때린다. 사람의 광을 뒤져서 귀중한 물건이나 도서를 찾고, 찾아낸 물건을 제 것으로 삼아 가져가려 한다. 조카몬이 물건을 부수거나 훔쳐가도, 집안 어른들은 허허 웃으면서 허락한다. 물건의 주인이 화를 내면 오히려 조카몬을 소중히 섬기지 않는 불경죄를 묻는다. 그리하여 조카몬이 나타나면 모든 보물을 한 순간에 잃어버리게 되고 크게 후회하게 된다.
  • 우라 게시판 . . . . 1회 일치
         한국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DC 인사이드의 학교 갤러리나, [[대나무]]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
  • 우미나리 시 . . . . 1회 일치
         주인공 타카마치 나노하가 사는 고장으로, 우선 나노하의 가문부터가 무력적으로 범상치 않은데다(나노하의 부친과 오빠가 익힌 '미카미류'가 먼치킨성 고류 무술) 온갖 종류의 괴기 및 초자연적 존재들이 존재하고~~(이 쪽은 원작 '트라이앵글 하트 3'의 설정까지 포함시킨 경우가 많지만)~~, 나노하 시리즈에 이르면 지구와 우주, 차원의 운명까지 좌지우지하는 중대한 전투들(1편 - 페이트와의 항쟁 / 2편 - 어둠의 서와의 전투)이 벌어지는 살벌한 동이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첫번째 챕터에서만 등장하는 무기. 미 육군의 제식 기관단총이다. 권총과 같은 탄약을 사용한다. 단거리에서 다수의 적을 상대하는데 적합하다……고 한다.
  • 원피스/824화 . . . . 1회 일치
          * 게다가 루피가 대량으로 조리한답시고 일주일치 싹 써없애서 갑자기 식량난에 시달리게 됐다.
  • 원피스/826화 . . . . 1회 일치
          * 제르마66의 코드임은 색깔에 기반하는 듯.
  • 원피스/833화 . . . . 1회 일치
          * 제르마1, 2와 욘디, 상디는 모두 쌍둥이. 상디는 삼남이다.
  • 원피스/844화 . . . . 1회 일치
         || 반드시 돌아와 상디! 가 없으면
  • 위의공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위저드리 6 . . . . 1회 일치
         위저드리 시리즈의 6번째 작품. 부제는 Bane of Cosmic Forge. 일본어판의 부제는 '금단의 마필'.
  • 유니콘남 . . . . 1회 일치
         이 글에 대한 일본 넷 상(주로 트위터)의 반응은 그냥 '그런 것도 있냐? 웃기' 수준이었다.
  • 은혼 . . . . 1회 일치
         무사 시대에 천인(=외계인)이 등장해 무사 계급이 끝나고, 그런 시대에서 사카타 긴토키가 동료들과 함께 좌충우돌하는 이야기이다. 막장스러운 개그가 나오면서도 진지할 때는 어색하지 않은 진지함을 발휘하는 만화.
  • 은혼/583화 . . . . 1회 일치
         || 아무래도 간 것... 같군. 너들 사냥감을 내버려둔 채.
  • 은혼/586화 . . . . 1회 일치
          * 그 자아는 "가 하지 못하겠다면 내가 해주겠다" 며 "너였던 모든 것도 내가 지워줄게"라고 독백하는데...
  • 은혼/587화 . . . . 1회 일치
          * 아부토는 가구라 집안 문제엔 관심이 없다면서도 "(가족을 죽일 거라면)가 직접 하라고 단장"이라며 카무이를 힐난한다.
  • 은혼/589화 . . . . 1회 일치
          * 눈을 감기 직전 그녀는 카무이를 보고, "드디어 가족 사람이 다 모였다"며
  • 은혼/597화 . . . . 1회 일치
          * "희귀한 생물"을 손에 넣고 싶다는 둥의 이야기를 한다.
  • 은혼/601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신파치는 "가 점프에 존재하는게 제일 위험"이라고 적절한 츳코미를 날린다.
  • 은혼/603화 . . . . 1회 일치
          * "그럼 이 칼로 놈이랑 해방군을 쓸어버려주마."
  • 의심암귀 . . . . 1회 일치
         『열자 설부(列子・説符)』에서 어떤 남자가 [[도끼]]를 잃어버렸는데, 그는 이웃집의 아들을 의심하였다. 그러자 그 아들이 하는 행동이 모두 수상하게 보였다. 그런데 어느날 계곡에서 자신의 도끼를 찾자, 수상하게 보이던 것이 모두 평범하게 느껴지게 되었다. 이를 주석하여 "의심, 암귀를 낳는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의심암귀"라는 사자성어 같은 표현이 나오게 되었다.
  • 이토 시로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인터넷 카페 . . . . 1회 일치
         인터넷 카페(インターネットカフェ). [[일본]]의 [[PC방]]. 줄여서 넷카페(ネットカフェ) 혹은 카페(ネカフェ)라고 불린다.
  • 일곱개의 대죄/172화 . . . . 1회 일치
          * 한편 일행들은 리오스성까지 이동했는데, 거기에서도 멜리오다스가 싸우는 여파가 느껴질 정도다.
  • 일곱개의 대죄/174화 . . . . 1회 일치
          * 몬스피드는 "데리엘의 콤보를 50격 이상 버틴건 두 번째"라며 멜리오다스를 칭찬한다.
  • 일곱개의 대죄/178화 . . . . 1회 일치
          * 리오스에서 사절로 온 루인과 프리지아는 변해버린 브리타니아의 분위기에 당황한다.
  • 일곱개의 대죄/192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내리꽂히는 벼락.
  • 일곱개의 대죄/199화 . . . . 1회 일치
          * 할리퀸이 벽에 정신이 팔린 사이 그로키시니아의 두 번째 공격이 다가온다. 그도 영창을 2형태 가디안으로 변화시키는데 거대한 말벌 같은 형태다.
  • 일장청 호삼랑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자시키로우 . . . . 1회 일치
         문학, 괴담이나 무서운 이야기에서는 오래된 주택에 남아 있던 자시키로우 등이 소재가 되는 일이 흔히 있다. 성적인 풍습과 결합하여 소개하는 경우도 있는데, 테츠카 오사무의 『아야코(奇子)』가 대표적인 것이다.
  • 전가의 보도 . . . . 1회 일치
         한국 인터넷에서는 "'전가의 보도는 옛날에 '양반가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보검'을 뜻하는 말이다. 아들이나 아내가 불미스러운 일로 집안에 누가 되는 행동을 범했을 때 이를 처단하는 도구로도 사용됐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근거는 낮은 것 같다. 애초에 이 말은 한국 문화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http://www.vop.co.kr/A00000768894.html (민중의 소리)]]
  • 전국 BASARA(애니메이션) . . . . 1회 일치
          * 다테 마사무
  • 절대가련 칠드런/433화 . . . . 1회 일치
          * 효부는 이 타이밍이 "우연이 아니다"고 생각하는데 마츠카제 본인은 "마려운게 죄는 아니다"라고 항변하지만 "그건 가 결백할 때 얘기"라고 응수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36화 . . . . 1회 일치
          * 후지코는 자신이 깨어난 이유를 말하기 시작하는데 이 8호가 예지한 미래가 뒤집혔다고 보는 견해를 "허술하다"고 보고 "하나를 처리하면 또다른 멍청이가 나오는 일에 질렸다"면서 갑자기 미나모토 코이치와 사카키를 더 칠드런 임무에서 배제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0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일주일 전부터는 갑자기 모든 통신회선이 두절되는 고장이 일어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9화 . . . . 1회 일치
          * 효부는 "가 너인 채로 우리의 적이 될리 없다"고 독백하며 마기의 정신에 진입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1화 . . . . 1회 일치
          * 마기는 "가 약해지면 우리가 돌봐주겠다"고 하는데, 효부는 그 머리를 쓰다듬으며 "망령을 너무 뒤쫓지 마라"고 말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4화 . . . . 1회 일치
          * 심지어는 생면부지일 기사에게 "어쨌든 가 좋아하는 곳으로 가달라"는 황당한 요구도 한다.
  • 절연금 . . . . 1회 일치
          * [[도박 묵시록 카이지]]에서 [[이토 카이지]]가 [[사카자키 코타로]] 집에 얹혀 살다가, 도박중독자 인간말종 카이지를 보다 못한 사카자키가 돈을 내주며 다시는 오지 말라고 하는데 이런 것이 절연금에 해당한다. 그리고 카이지는 이 돈을 가ㅈ고 또 도박하러 간다.--구제불능--
  • 존오그로츠 . . . . 1회 일치
         [[http://johnogroats.scot|존오그로츠 사이트(영어)]] - 워낙 작은 동라 그런지 상점 같은 것도 다 알려준다.
  • 지도 . . . . 1회 일치
          * 평생 한 번 밟아볼까 말까한 땅을, 지도에 자기 동랑 같은 색으로 칠해져 있다는 이유로 자신의 것으로 여기고 만족감을 가지게 하며, 딱히 본인의 인생과는 아무 관계도 없는데 지도에 같은 색을 칠하려는 목적 하나로 전쟁을 벌여서라도 빼앗거나 가지고 싶어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만든 사악한 발명품이다.
  • 진격의 거인/78화 . . . . 1회 일치
          * 베르톨트는 지금까지 "나약한 자신"을 버리기 위해 일부러 아르민과 이야기에 응하는 걸로 나온다.
  • 진격의 거인/81화 . . . . 1회 일치
          * 갑자기 늘어난 아르민 사망 플래그
  • 진격의 거인/83화 . . . . 1회 일치
          * 유년 시절. 아르민은 동 아이들에게 괴롭힘 당한다.
  • 진격의 거인/87화 . . . . 1회 일치
          * 말문이 막혔던 그리샤는 모든 것이 거짓말이라고 말한다. 마레의 역사는 날조이며 엘디아인이 인류에게 번영을 주었다는 자신의 믿음을 말한다. 하지만 글로스는 무관심하다. 아무래도 좋으니 "밑에 있는 친구"랑 이야기하라며 그리샤를 떨어뜨리려 한다. 그리샤는 필사적으로 저항하지만 묶여있는 상태에선 어쩔 수가 없다. 글로스는 참신하게 먹히라는 둥, 여동생이 부르고 있다는 둥 개소리를 지껄이지만 그리샤는 절규할 뿐, 아무런 방법도 없다. 그런데...
  • 집단연구 . . . . 1회 일치
         최초 작성자의 주장에 따르면 함장이 어느날 "독자연구"에 대한 삭제 요구를 어떻게 둘러치기 하려고 대충 지어내서 주장한 말인데 규정화 되어서 등재되었다고 하는 단어.
  • 창작:IDF . . . . 1회 일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34&contents_id=113117]] - 유엔 평화유지군 : 이버캐스트
  • 창작:RECORD . . . . 1회 일치
         분장 및 의상 담당. 시골 동다 보니 의상은 거기서 거기고, 분장 쪽에 치중하고 있다.
  • 창작:리넷 블랙번 . . . . 1회 일치
         단순하고 직관적인 것을 좋아하는 삼촌 클린트와 달리 사건을 파고드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다 보니 장래희망을 '탐정'으로 정할 정도. 그리고 꼭 "아, 형사 아니고 탐정이라고!"라는 소리를 덧붙인다.[* 영어로 쓰면 둘 다 Detective가 된다. 이것은 Private Detective가 일본어를 거쳐 중역될 때 '사립 탐정'으로 잘못 번역된 영향이다. 정확히 번역하면 '민간수사관' 정도가 된다.] 어쨌든 사건을 수사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내에서 탐정 동아리에 가입했고 거기서 최고로 활약하고 있다. 동아리 내에서는 의외의 강적들[* 다들 예상했던 대로(?) 쿠도 신이치(에도가와 코난)와 김전일의 패러디. 그러나 얘들까지 수입하면 밸런스 붕괴인 것 같아서 제외할 생각이다.]과 추리 대결을 벌여서 이길 정도이나, 동아리 구성원들이 학교에만 안주하여 현실엔 관심이 없는지라 동아리 No.1 '따위'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 창작:릴리퍼트 아파트 . . . . 1회 일치
         [[창작:프라임 시티|프라임 시티]]의 [[창작:블루클레이|블루클레이]]에 있는 건물. [[창작:존 휘태커|존 휘태커]]와 [[창작:레스터 리|레스터 리]]의 집이다. 레스터에겐 첫 번째 집이지만, 존에겐 수많은 은신처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 흔히 오픈월드 게임에서 숱하게 등장하는 세이브 포인트를 연상하면 쉬울 것이다. 물론 소설에서는 그 모든 걸 묘사할 수 없으므로 생략될 수밖에 없지만. ~~사실 묘사할 수는 있는데 분량이 문제라더라~~]
  • 창작:말퓨스 스토리 . . . . 1회 일치
         말퓨스 스토리는 여러개의 에피소드가 하나의 근간을 이루는 작품이며, 첫번째 에피소드로 츠키노 아스카가 주인공인 월야편(月野編)이 준비되어있다.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 베키입니다. 굳이 글로 쓸 필요없이 간단히 일러두는 이야기는 이쪽에 쓰려고 합니다.
  • 창작:요괴위키 . . . . 1회 일치
          * 항목에는 임스페이스 {{{[[요괴:}}}를 쓴다.
  • 창작:좀비탈출/1-1 . . . . 1회 일치
          * 없요.
  • 창작:좀비탈출/1-2 . . . . 1회 일치
          * 없요.
  • 창작:좀비탈출/3-1 . . . . 1회 일치
         눈이 돌아갈 정도로 많은 수의 좀비가 번화가에서 어슬렁 거리고 있었다. 골목길에서 봤던 것보다 훨씬 많은 수였다. 아마 동의 좀비들 대부분은 번화가에 몰려 있는 것 같았다. 완전히 잘못 들어왔다. 이 정도로 밀집되어 있으면 골목과는 달리 자전거를 달려서 빠져나가는 것도 무리였다.
  • 창작:좀비탈출/4-0 . . . . 1회 일치
         비현실적으로 리얼한 죽음의 예감.
  • 창작:좀비탈출/5-1-1-1-1-2 . . . . 1회 일치
         "너 얼라가 우리집 들쑤시고 다닌거 모를거 같덩가? 한 번만 더 그러면 '''요절을 내버릴겨!'''"
  • 창작:좀비탈출/5-1-1-2 . . . . 1회 일치
         하지만 그림자가 길어지고 있다. 어느덧 태양이 넘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시체가 누워있던 자리를 정리하고 원래 목적대로 식량을 챙겨야 한다. 이제 공복과 피로를 버티는 것도 지겹다. 어제까지만 해도 집안에서 숨죽이고 있던 내가, 갑자기 좀비버스터 노릇을 한 것이다. 터무니없는 과로로군.
  • 창작:좀비탈출/5-2 . . . . 1회 일치
         녀석들이 모두 자연채광으로 터져 죽기를 기다리려면 얼마나 버텨야 할까? 한 달? 두 달? 기스 도전이로군. 누가 측정해줄지는 모르겠지만.
  • 창작:좀비탈출/요새편 . . . . 1회 일치
         그때 푹 자지 않았더라면 와트니가 하던 일들을 좀 더 자세히 봐둘 수 있었을 텐데. 물론 그가 무슨 일을 했는지는 나도 안다. 별점 테러를 하려다 보면 영화 내용이 뭔지 정도는 알아야 하고 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스토리보드 정도는 읽어봐야 하니까. 그때는, 예를 들어서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는 이야기를 "무슨 화성에서 농사나 짓고 있어? 전원일기냐?"같은 멘트를(물론 실제로는 이것보단 상스러웠다) 쓰기 위해 읽어야 했다. 그러니까 대충 마션의 스토리와 와트니의 업적은 숙지하고 있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 . . . . 1회 일치
         비닐 시트는 일반적으로 하우스에 치는 것만큼 얇고 약한 소재가 아니었다. 다루면서 보니 그보다는 방수포에 가까운 두꺼운 물건이었다. 실험 삼아서 손으로 당겨서 찢어보려고 했는데 불가능했다. 그래서 이 녀석을 다듬는 역할은 방금 찾은 전지가위에 맡겼다. 하지만 재활용도 염두해야 하고 나는 재단 일에도 문외한이다. 최대한 길고 모낳게 잘라냈다. 잘라낸 비닐을 팔다리에 둘둘 감고 그 위에 철사를 감아서 고정시켰다. 몸통도 비슷한 방식으로 처리했고 그 외에 비닐로 감을 수 있는 곳은 전부 감았다. 제일 얼려운건 머리였다. 클로버필드 10번지에서는 적당한 크기의 패트병이 있었고 주인공은 디자이너였다. 어떻게 해도 방도면같은 형태는 되지 못했고 그냥 머리에 둘둘 감은 후 눈구멍과 숨구멍만 뚫었다. 숨쉬는게 다소 불편했지만 어쨌든 호흡이 가능하고 앞도 보였다.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2-1 . . . . 1회 일치
         작은 성공을 자축할 겨를도 없이 내가 얼마나 멍청했는지를 깨달았다. '''어쩌면 모험'''. 금방도 까먹었! 등 뒤에서 그르릉 소리가 날 때까지 까맣게 모르고 있었어!
  • 창작:좀비탈출/학교 . . . . 1회 일치
         민구의 이야기에 따르면, 본의 아니게 여기에 살게 된 이유는 이러했다.
  • 창작:츠키노 아스카 . . . . 1회 일치
         작중 기억을 절반이나 잃어버리고 눈을 뜨니 이상한 동굴에서 눈을 뜬 탓에 공허함을 느끼며, 자칭 동굴의 130대 수호용이라는 타츠카치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동료로 맞이했다. 이후 자신의 기억을 찾기로 맹세하며 모험의 길에 오른다. 또한 여러 모험과 고난을 겪으며 성장하게 된다.
  • 창작:치킨교 . . . . 1회 일치
         양념치킨교가 후라이드 종파의 내부 세력중 "소스 총대주교"의 성향에서 출발하여 "가장 완벽한 치킨은 양념을 두른 치느님"이라는 교리를 제시하였고, 이는 후라이드 치킨의 강력한 내부 분파중 하나였었다는 건 유명한 이야기이다. 즉, "치느님은 강력하시나 무기를 든 치느님은 더욱 강력하시다"는 걸 바탕으로 "치느님은 강력하시나 양념이란 무기를 온몸에 두른 치느님은 더욱 강력하시다"는 기존의 교리를 재해석하였기에 사실 큰 반발 없이 치킨교도로 인정받는 것이 가능했었다.
  • 치킨 . . . . 1회 일치
          오븐 같은데 구워서 만들어진 치킨. 굽치킨의 간판 메뉴다.
  • 카를로스 4세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카맛테쨩 . . . . 1회 일치
         부정적인 감정이나 힘든 감정을 적극적으로 발신한다. "이젠 싫다.","죽고 싶다."라면서 사람을 걱정하게 하는 말을 쓰며, "무슨 일이야?", "큰일이"라고 말해주는 것을 기대한다. 주위에 자신에게 연민을 느끼게 할 스토리를 만들기도 한다. [[리스트 컷]] 등의 상처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 카치구미 . . . . 1회 일치
         이 같은 카치구미의 연속 테러 활동은 브라질 국민들이 보기에는 '일본인끼리 서로 죽이?'에 불과했고, 일본인들의 인상은 매우 나빠졌다. 브라질 신문은 일본인 간의 항쟁을 크게 보도했으며, 경찰에서 개입해왔지만 카치구미는 수습되지 않았다.
  • 카쿄인 노리아키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칼리파 하프타르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캡틴 아메리카 . . . . 1회 일치
         어벤저스의 리더하면 떠오르는 캐릭터이기도 하며 영화 시리즈인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에서도 주요 캐릭터가 되었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 . . . . 1회 일치
         그러던 어느날, 북미방공사령부가 소련군의 대부대를 감지한다. 소련군 함대가 태평양과 대서양에서 오고 있었으며 소련의 지상군은 멕시코를 통해 북상하고 있었다. 미국은 이에대한 보복 핵미사일을 발사하려고 했지만 유리가 미사일 사일로 장교를 세뇌시키며 실패한다. 그뒤 얼마 되지 않아 뉴욕, 샌프란시스코, 텍사스와 같은 미국 땅에 소련군이 상륙하기 시작한다.
  • 코스트코 . . . . 1회 일치
         1976년에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비행기 격납고를 개조하여 창고형 판매점을 세운 '프라이스 클럽'이라는 회사가 시작되었다. '코스트코'는 1983년에 시애틀에서 첫번째 창고점을 오픈했다. 창업 후 6년 이내에 매출을 30억 달러까지 늘렸다.
  • 쿠와바라 쿠와바라 . . . . 1회 일치
          * [[스가와라노 미치자]](菅原道真)가 [[다자이후]]에 좌천되고 실의에 빠져 죽었을 때, 각지에서 낙뢰가 있었는데 그의 영지에 있는 쿠와바라라는 마을에는 한 번도 번개가 떨어지지 않았다는 전설이 있어 이를 낙뢰를 피하는 주문으로 쓰게 되었다는 것이다.
  • 쿠죠 죠린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킹덤/497화 . . . . 1회 일치
          이렇게 설명을 듣고 나서야 돌아가는 이야기를 알게 된 신은 뒤늦게 경악한다. 하료초는 무슨 잠꼬대 같은 말이냐고 몽의에게 묻는데 몽의는 몽념과 왕분이 숙고하고 있으니 조용히 하라고 자중시킨다.
  • 타르콘 . . . . 1회 일치
         어느날 한 농부가 밭을 갈고 있었는데, 회색 머리와 아이 얼굴을 한 사람이 쟁기에 걸려 솟아났다. 그의 이름은 타게스(Tages)로서, 타르콘과 에트루리아의 다른 왕들에게 새와 동물의 창자로 점을 치는 기술을 알려주었다.
  • 타카하타 유우타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텐프레 . . . . 1회 일치
          * 애니나 만화에서 상투적인 전개를 뜻한다. 예를 들면 "평범한 남자 앞에 어느날 미소녀가 찾아온다."라든가 [[아침 드라마]]에서 고부간의 갈등을 보여줄 때 "이 도둑고양이 같은 년이!"등이 포함된다.[* 특히 도둑고양이 표현은 일본에서 주로 쓰인다.]
  • 토리코/361화 . . . . 1회 일치
          * 통조림의 내용물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이 충돌하고 있다. GOD라는 설부터, 이전 오의 일부를 봉인한 것, 센터 등등.
  • 토리코/369화 . . . . 1회 일치
          * 죠아는 GOD의 출연을 느끼고 아카시아(오)는 블루 니트로 페어와 함께 현장으로 날아올 준비를 한다.
  • 퇴계 이황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파머보이즈 . . . . 1회 일치
         현재는 [[캘리포니아]]와 [[바다]] 일대에 90여개의 체인을 운영하고 있다.
  • 페어리 테일/489화 . . . . 1회 일치
          * 아이린은 자신의 이름을 밝히며 "다시 만날 수 있으면 좋겠요 아크놀로기아님."이라 말하고, 빛은 전대륙으로 뻗어나간다.
  • 페어리 테일/491화 . . . . 1회 일치
          * 잘 싸우던 제트, 드로이 등이 갑자기 능력을 봉쇄당하고 쓰러지는데 아이린의 두 부하가 한 짓.
  • 페어리 테일/493화 . . . . 1회 일치
          * 그러나 엔젤은 게 죄인인 언니는 없다며 언젠가 자기 죄를 용서받을 수 있게 되면 여동생을 안아주겠다고 말하며 눈물 흘린다.
  • 페어리 테일/494화 . . . . 1회 일치
          * 그때 갑자기 메이비스의 몸이 얼어붙는다.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1회 일치
          17곡의 게임 BGM mp3 파일을 주는 DLC. 베치아풍 마스크도 해금시켜 준다.
  • 평론을 쉽게 쓰는 법 . . . . 1회 일치
         작가가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무작정 가정하고 이야기 한다. 사실 많은 작가는 영향을 받아서 썼다고 말하지 않으므로, 딱히 영향을 받았는지 안 받았는지 입증할 수는 없지만, 솔직히 딱히 영향 안 받았다고 해도 입증하기는 어려우므로,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다.
  • 푸 파이터즈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핑거 포 . . . . 1회 일치
         비행 대형의 일종.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개를 쫙 피고, 각 손가락 끝의 위치에 전투기를 놓은 것 같은 대형이다.
  • 하이브리스토필리아 . . . . 1회 일치
         여담으로 은근히 '필리아' 류가 '포비아' 류보다 더 악질이다.(…)--페도, 크로, 하이브리스토, 필리아 3대장-- 물론 '포비아'류 또한 '차별'을 조장한다는 부분에서 역시 질나쁠 때가 많지만.
  • 하이큐/210화 . . . . 1회 일치
          * 히나타는 츠키시마에게 사과하려고 하는데, 츠키시마는 " 바보짓은 어제오늘일이 아니니까 사과하지 마라"고 받아친다.
  • 하이큐/211화 . . . . 1회 일치
          * 우카이 코치는 "가 하겠다고 한 것"이라 못박으며 "볼보이를 우습게 보지 마라"는 충고를 한다.
  • 하이큐/217화 . . . . 1회 일치
          * 무심코 "(나 대신)가 뽑혔으면 좋았을 걸"이라고 싫은 소릴 해버린다.
  • 하이큐/218화 . . . . 1회 일치
          * 츠키시마의 커버를 받아 고시키가 원터치, 다시 츠키시마에게 돌아온 공을 토스를 올리는데, 조금 무너져 버린다.[* 토스가 의도치 않게 트에서 멀리 떨어지게 되는걸 "토스가 무너졌다"고 한다.]
  • 핫라인 마이애미/등장인물 . . . . 1회 일치
         정치인을 호위하거나 하는걸 보면 동 깡패 수준은 아닌 것 같다.
  • 헐크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진 캐릭터이며 국내에도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후 영화화도 되었으며 [[마블 시마틱 유니버스]]에서 주요 캐릭터들 중 하나가 되었다.
  • 후지와라 노리카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후지와라 요시후사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후카다 쿄코 . . . . 1회 일치
         ## 가족에 대한 이야기
  • 후쿠오카 예비교생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범인 소년은 키타카와 히카루와는 같은 구마모토 현 출신으로 다른 학교를 나왔다. 평소 친구에게는 "키타카와 씨를 좋아했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었다고 한다. "(키타카와 씨에게) 바보취급 당했다."고 경찰에 설명하기도 했다. 피해자의 오빠도 "교제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라고 부정하였다.
  • 흑초 . . . . 1회 일치
          * [[비타민 B]]와 [[미랄]]이 들어 있어, 필수 영양소이다.
  • 히게키리 . . . . 1회 일치
         전설에 따르면 오오에산에 살던 오니 [[슈텐동자]]의 목을 베었다고 한다. 헤이케 이야기에 따르면, 와타나베노 츠나가 미나모토노 요리미츠의 명을 받아 이 칼을 옮기다가 다리에서 오니를 만나 팔을 베었고, 그 이래로 '오니키리'라는 별명도 붙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계속 히게키리로 불린다.
11830의 페이지중에 73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201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