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안평대군"을(를) 전체 찾아보기

안평대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서태화 . . . . 2회 일치
         * 《세종대왕》 ... [[안평대군|안평대군 이용]] 역(주연)
  • 한명회 . . . . 2회 일치
         {{인용문2|시국이 이 지경에 이르니 [[안평대군|안평 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이 왕위를 넘보고 은밀히 대신과 결탁하여 후원자를 삼고, 많은 불령한 무리들이 그들의 그림자처럼 따라 붙고 나무뿌리 얽히듯 얽히니 [[쿠데타|화란]](禍亂) 발생의 조짐이 조석간에 있는데, 그대는 이런 데에 추호도 생각이 미치지 않는가?}}
         [[1453년]](단종 1년) [[군기감]]녹사(軍器監錄事)가 되고, [[1453년]]초 [[조선 세조|수양대군]]의 심복 참모로서 비밀리에 사람과 재물을 동원, [[계유정난]]을 일으켜 [[한성부]]를 점령한다. 이어 [[김종서 (1383년)|김종서]], [[황보인]], [[안평대군]] 등을 제거하고 수양대군의 집권에 큰 공을 세웠다.
  • 김규철(배우) . . . . 1회 일치
          * 2011년 [[JTBC]] [[인수대비(드라마)|인수대비]] - [[이현로]]([[안평대군]]의 책사) --역시 얼마 못가 [[끔살]].--
  • 단종 . . . . 1회 일치
         그러나 즉위한 이듬해에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와 황보인, [[안평대군]] 등을 비롯한 정치적 반대파들을 숙청하고 실권을 잡으면서 사실상 허수아비 신세가 되었고, 그 후 금성대군과 손잡고 수양대군을 견제하려다 실패하고 나머지 친위세력이 모조리 거세된 뒤 이 일을 빌미삼은 수양대군 일파의 압력에 밀려 결국 즉위 3년만에 수양대군에게 양위하고 상왕으로 밀려난다.
  • 세조 . . . . 1회 일치
         단종이 즉위한 뒤에는 [[한명회]] 등을 비롯한 모사나 왈패들을 모으며 정국 불안을 주시하다 동생 [[안평대군]] 일파가 정변을 꾀한다는 소식을 듣고 선수를 쳐 황보인과 김종서 등을 참살하고 궁을 장악하여 실권을 잡는다(계유정난). 그 후 반 수양대군 세력의 도전을 물리치고 단종을 협박하여 양위를 받아 즉위한다.
  • 세종 . . . . 1회 일치
         자식으로는 [[문종]], [[세조]], [[안평대군]] 등이 있다. 그 아비에 그 자식인지 다들 능력은 걸출했다. ~~(세조의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후레자식이지만)~~
  • 현진건 . . . . 1회 일치
         생가는 주소만 남아있을 뿐 어디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그가 살았던 [[인왕산]] 밑의 부암동 자택은 종로구에서 공용주차장을 짓기 위해 2003년에 헐어버려서 지금은 터와 '현진건 집터'라는 표석만이 남아 있다. 당시 그 생가의 철거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자 행정당국은 '민간인 소유자와 부지 매입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는데<ref>[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711/h2007110618342324420.htm#none 편집국에서-사라지는 문학의 고향, 한국일보 2007년 11월 6일자 기사]</ref> 2012년 10월 4일에 [[안평대군]]의 사저와 함께 법원경매에 부쳐졌다. 유언에 따라<ref name="cho"/> 화장되고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서장리에 매장됐었으나 그 후 남서울 개발관계로 묘소가 사라져 유해는 한강에 뿌려졌다.
11531의 페이지중에 7개가 발견되었습니다 (500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6-28 22:13:20
Processing time 1.231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