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아메리카 퍼니스트 홈 비디오"을(를) 전체 찾아보기

아메리카 퍼니스트 홈 비디오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대한민국 FA컵 . . . . 9회 일치
         대회운영에 있어 가장 희비가 갈리는 행사다. 추첨을 통해 조를 편성하고, 또 이 결과에 따라 팀이 에서 치루냐 원정에서 치루냐가 갈린다.
         원스타 시스템이란, 7라운드 대진을 만들면서 적용하는 일종의 특수한 룰이다. 이는 결승전을 중립지역에서 단판승부를 하던 기존의 FA컵이 흥행을 끌어오지 못하자 적용한 결승전 구장 결정방식으로 사용된다.
          1. 추첨을 통해 배정받은 번호로 7라운드는 1번팀과 3번팀은 1번팀의 에서 단판승부를 겨루고, 2번팀과 ★번팀은 2번팀의 에서 단판승부를 낸다.
          1. 결승전은 7라운드 진출시에 받은 번호가 낮은 팀의 에 열린다.
         가 된다. 따라서 7라운드 결과에 따라 경기가 어디에서 열리는 지는 7라운드가 끝나기 전까지 아무도 모른다.
         단, 이건 2015시즌까지의 이야기이며 2016시즌 FA컵부터는 8라운드에 한해 & 어웨이로 경기를 치루기로 하였기 때문에 원스타 시스템은 결승 1차전이 어디에서 열리는지 결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가령 1번과 ★번이 결승에 진출하면 ★번팀의 에서 1차전을 치루고, 3번과 ★번이 결승에 진출하면 3번팀 에서 결승 1차전이 열린다는 이야기.
  • 대한민국 FA컵/2016시즌 . . . . 7회 일치
          * 경기의 팀 배정은 추첨과 원스타(★) 배정방식을 통해 결정한다.
          * 기본적으로 단판식 토너먼트지만 결승전은 흥행을 고려하였는지 & 어웨이로 결정한다. 즉, 결승전만 딱 2번 치루게 되는 것.
         [[K리그 클래식]]에 속한 팀들은 본선 자동진출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K리그의 12개 팀과 예선을 통과한 20개팀이 합류하여 32강 대진으로 토너먼트가 이루어진다. 4라운드(32강)~6라운드(8강)까지는 예선전과 마찬가지로 추첨을 통해 대진과 팀을 결정하며, 7라운드 대진은 추첨제와 원스타 시스템을 통해 팀과 결승 1차전 경기장을 정하게 된다.
         || 경기번호 || 일시 || 팀 || vs || 원정팀 || 결과(승부차기) ||
         || 경기번호 || 일시 || 팀 || vs || 원정팀 || 결과(승부차기) ||
         || 경기번호 || 일시 || 팀 || vs || 원정팀 || 결과(승부차기) ||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7회 일치
          시퀀스1 부터 시퀀스3 까지의 주인공. 데스몬드 마일즈의 조상. 영국인 템플기사단원. 먼저 온 자들의 비밀공간을 열 수 있는 열쇠를 입수한 후 비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아메리카]]로 보내진다. 이후 아메리카 현지에서 먼저 온 자들의 유적을 찾아내기 위해 분투한다.
          [[런던]]의 [[상인]]. 템플기사단원으로 헤이덤의 상관이다. 헤이덤의 아버지인 에드워드 켄웨이와 알고 지내던 사이였으며, 헤이덤이 어렸을 때 그의 교육을 담당했다. 유물을 입수한 헤이덤을 아메리카로 보낸다.
          헤이덤이 아메리카로 가는 배 안에서 만난 인물. 전날 코벤트가든에서 있었던 살인사건을 언급하며 "[[런던]]이 갈수록 위험한 곳이 되가고 있다. 런던을 떠날 수 있는 우리는 운이 좋은거다,"라는 말을 한다.
          헤이덤이 아메리카로 가는 배의 선원. 다른 선원들과 시비가 붙어 치고박은 헤이덤을 감싸주었다. 항해 33일째 날, 헤이덤이 탄 선박이 암살단 선박에게 따라잡히자 자신이 암살단원임을 밝히며 헤이덤에게 항복을 제안한다. 헤이덤이 항복을 거부하자 결투를 벌이지만 패배해 사망한다.
          이후 프랑스군 요새로 원정을 떠나던 중 그에게서 위험을 느낀 아메리카 원주민과 원주민들을 돕던 헤이덤에 의해 살해된다.
         Kanien'kéhaka. 모호크(Mahawk)라고도 불리는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 핑커톤 . . . . 7회 일치
         [[https://www.pinkerton.com/|핑커톤 공식 페이지(영어)]]
         1892년, [[카네기 철강]] 소유 제철소인 스티드 제철소의 노조가 [[파업]]하자 진압에 참여하였다. 이로 인해 10여명의 노동자와 3명의 핑커톤 직원이 사망하였다. 핑커톤은 스티드 파업을 진압하는데 실패하였으며, [[주방위군]]이 동원되고나서야 스티드 파업을 진압할 수 있었다. 핑커톤은 스티드 파업 외에도 여러 파업을 진압하는데 참여하였다.
         [[https://www.pinkerton.com/about-us/history|핑커톤 공식 페이지의 역사 부분(영문)]] - 스테드 철강소 파업 같은 치부는 빠져있다. 솔직히 빼는게 당연하겠지만.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6회 일치
         || /원정 || [[수원 FC]] || vs || [[서울 이랜드]] ||
         2015시즌 양 팀의 상대전적은 2승 2패로 팽팽한 수준이었던데다가 무승부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팀에게 유리한 "무승부시에는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이라는 규정이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예측이 많았었다. 하지만 실제로 뚜껑을 열어보니 무승부가 나왔고, 이에 3위팀()인 수원 FC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김영광의 실책으로 발생한 자책골이 가장 큰 패인으로 지목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 김영광은 전후반 90분동안 21개의 슈팅중에 15개나 유효슈팅이었던 수원 FC의 날카로운 공격을 잘 막아냈을 정도로 활약은 준수했다. 자책골에 묻혀버렸을 뿐.
         || /원정 || [[대구 FC]] || vs || [[수원 FC]] ||
         대구는 [[K리그 챌린지]]에서 후반기 부진으로 [[K리그 클래식]] 자동진출권을 놓쳤기 때문에 사기가 상당히 저하된 부분이 있었다. 게다가 2015시즌 대구는 수원을 상대로 1승 1무 2패로 상성마저 최악이었는데다가 대구가 챌린지에 합류했던 2014년부터 수원 FC와의 경기는 '''단 1승도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반전을 믿을 수 있는건 무승부로 시합을 종료하여 승강 플레이오프로 가는 방법밖에 없었다고 봐도 무방했으나...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 . . 6회 일치
         [[마블 스튜디오]]의 [[영화]] 프랜차이즈.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등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영화만이 아니라 영화 기반 [[만화]], [[드라마]]를 포함하는 배경 세계 공유 프랜차이즈다. 케빈 파이기가 총지휘를 맡고 있다. 줄여서 MCU라 부르기도 한다.
          *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져]]
          *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스파이더맨: 커밍]]
          * 소니 픽처스의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는 MCU와 아무 관련 없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MCU판 스파이더맨이 등장했으나 이 스파이더맨과 소니의 기존 스파이더맨 영화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MCU 이전에 나온 마블 관련 영화나 드라마도 MCU와 관련없다.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5회 일치
         대회요강은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4시즌]]과 동일하였다. 이에 따라 1차전은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자인 수원 FC의 에서, 2차전은 클래식 11위 부산의 에서 경기를 가졌다.
         || /원정 || [[수원 FC]] || vs || [[부산 아이파크]] ||
         || /원정 || [[부산 아이파크]] || vs || [[수원 FC]] ||
         부산은 1차전의 패배 때문에 반드시 2골 이상을 넣어야지만 잔류를 확정지을 수 있는 반면에, 수원FC는 1차전()에서 1골을 넣었기 때문에 역으로 1골만 넣어도 3실점 이상 먹이지만 않는다면 승격이 눈앞에 있던 상황.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5회 일치
         || 경기번호 || 경기일자 || 팀 vs 원정팀 || 결과 ||
         || 55 || 2016.06.04 || 광주 FC vs 전북 현대[* 전북과 맨체스터 시티와의 친선전 때문에 본래 전북 에서 열기로 한 경기를 광주월드컵 경기장으로 바꿔서 치루게 되었다.] || 1:1 ||
         || 경기번호 || 경기일자 || 팀 vs 원정팀 || 결과 ||
         || 경기번호 || 경기일자 || 팀 vs 원정팀 || 결과 ||
         || 133 || 2016.07.28 || 전북 현대 vs 광주 FC[* 전북과 맨체스터 시티와의 친선전 때문에 이 133번 경기는 55번 경기와 구장을 바꿔 치루게 되었다. 또한 날짜도 30일에서 28일로 변경.] || 0 : 0 ||
  • 맥닐의 법칙 . . . . 5회 일치
         이러한 현상이 역사적으로 확실하게 드러난 것은 [[대항해시대]]이다. 수천년 동안 교류가 거의 없던 구대륙 유라시아에서 신대륙 아메리카로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생물학적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셈이다.
         1518년, 스페인 이주민이 퍼트린 [[천연두]]가 에스파뇰라 섬의 아라와크 원주민의 절반을 살해한다. 천연두는 아메리카 본토에도 상륙하여 1530년대부터 팜파스에서 [[오대호]]까지 아메리카 대륙을 초토화시킨다. 16세기 멕시코에서는 천연두로만 1800만명이 사망, 의학사가들은 이 시기에 천연두 사망자를 8천만명에서 1억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무렵 1999년 유엔의 발표에 따르면 1500년대의 인구는 약 5억명으로 추산되므로, 천연두가 세계 인구의 1/5을 죽인 것이다(…).
         1529년에는 [[홍역]]이 쿠바에서 들어왔으며, 천연두에서 생존한 주민의 2/3를 죽인다. 홍역은 온두라스와 멕시코를 거쳐, [[잉카 제국]]까지 전염된다. 볼거리, 장티푸스, 발진티푸스, 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성홍열 등의 질병이 뒤따랐다. 최악의 추측에 따르면, 아메리카 대륙의 인구는 90%가 소멸했으며 많은 공동체가 '전멸'하여 파괴된다.
         전염병 창궐은 아메리카 대륙 문명에 치명타를 입혔다. 기존 사회의 지도층 인사들이 질병으로 연이어 죽어버리면서 사회 체계가 흐트러졌고, 인구가 줄어들고 사회가 마비되어 유럽인들의 군사적 침공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없게 만들었다. 원주민들에게는 정신적으로도 큰 타격을 줬는데, 유럽인들은 면역으로 멀쩡했지만 원주민들은 면역력 없는 질병 때문에 큰 고통을 받았기 때문이다. 고대에 질병은 [[악마]]의 짓으로 여겨졌으며, [[신]]이나 [[종교]]의 중요한 역할이 질병 퇴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심각한 타격이었다.
  • 캡틴 아메리카:시빌워/스포일러 . . . . 5회 일치
         [[캡틴 아메리카:시빌워]] 스포일러 항목.
          * 캡틴 아메리카는 소코비아 협정에 반대하며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와 대립각을 세운다.
          * 캡틴팀은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저, 팔콘, 호크아이, 앤트맨, 스칼렛 위치.
          * 윈터솔저를 보호하며 배후세력을 색출하려는 캡틴 아메리카 팀과 윈터솔저를 구속하려는 아이언맨팀이 공항에서 격돌한다.
         [[분류:캡틴 아메리카:시빌워]]
  • FN 에르스탈 . . . . 4회 일치
         [[http://www.fnherstal.com/|FN 에르스탈 페이지(영문)]]
         [[https://fnamerica.com/|FN 아메리카 페이지(영문)]]
         [[http://www.herstalgroup.be/en/homepage|에르스탈 그룹 페이지(영문)]]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 . . 4회 일치
          1. 경기진행은 [[ & 어웨이]]를 골자로 한다. 1차전은 챌린지 팀의 에서 치루고, 2차전은 클래식 팀의 에서 치루게 된다.
         보면 알겠지만 마지막 두번째 경기까지 원정다득점까지 고려해도 무승부면 클래식 팀의 에서 연장전이 곧바로 이루어지는데다가 연장전은 원정 다득점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클래식팀이 다소나마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 K리그 챌린지 . . . . 4회 일치
         2013시즌은 8개 팀이 약 40주 일정에 가깝게 치뤄야 했으므로 [[ & 어웨이]] 방식을 쓰되 서로 5번씩 만나는 구조로 운영되었다. 우승팀은 2014시즌 K리그 클래식 승격을 위해 K리그 승강플레이오프 진출자격을 부여받았다. 상주가 여기에서 우승을 거뒀으며, 승강 플레이오프에서도 승리하면서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을 이루게 되었다.
         2014시즌은 상주가 승격하고 K리그 클래식에서 3개팀이 내려오면서 10개팀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10개팀이 되었기 때문에 2013시즌과 같이 5번씩 만나는 & 어웨이에서 4번씩 만나는 & 어웨이로 운영방식이 변경되었다.
         정규 라운드는 & 어웨이를 원칙으로 한다.
  • K리그 클래식 . . . . 4회 일치
         본래 16개팀으로 운영하던 대회가 장기적으로는 승강제를 도입함으로써 12개팀으로 축소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기존의 '''"[[ 앤 어웨이]] + 6강 플레이오프"''' 방식으론 2011시즌까지 유지되던 40주일정과는 괴리가 큰 이유로 [[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SPL)를 본따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 및 운영하게 된다.
         [[ & 어웨이]] 방식으로 정규 라운드를 30경기를 치뤄 스플릿을 구성하였다. 상위 8개팀이 상위 스플릿, 하위 8개 팀이 하위 스플릿으로 나뉜 뒤엔 스플릿끼리 다시 & 어웨이를 치뤄 14경기를 추가로 마치게 되었다.
         "(클래식12개팀 - 자기자신) * 3"이라는 형태로 앤 어웨이를 치루며, 정규라운드동안 상대팀을 세번씩 만나게 되는 구조다.
  • 맥스 페인/줄거리 . . . . 4회 일치
         맥스는 2층에서 캔디 던이라는 매춘부의 일기를 발견한다. 그 일기에는 그녀의 손님이었던 "외눈박이 알프레드" 몰래 찍은 비디오를 알 수 없는 여성에게 돈을 받고 팔았다는 내용이었다. 이를 본 맥스는 캔디가 발키리 중독으로 죽지 않는다면 그녀의 부업 때문에 죽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탈출을 감행하던 맥스는 혼이 우든을 협박하기 위해 보낸 비디오를 발견한다. 우든이 매춘부인 캔디 던과 성관계를 하는 비디오였다. 맥스는 이 정도는 우든이 저지른 최악의 범죄 축에도 못 낄거라고 생각했지만 모든 일이 끝나고나서의 담보로 쓰기 위해 비디오를 챙겼다.
  • 존 웨스트 . . . . 4회 일치
         페이지에서 요리 레시피를 알려주기도 하니 참고해보자. 한국인 입맛에 맞을지는 모르겠는데.
         [[https://www.john-west.co.uk/|존 웨스트 영국 페이지(영문)]]
         [[http://johnwest.com.au/|존 웨스트 호주 페이지(영문)]]
         [[http://www.john-west.ie/|존 웨스트 아일랜드 페이지(영문)]] - 솔직히 영국하고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 하이큐!! . . . . 4회 일치
          * 공식 페이지 하이큐!!.com [[http://www.j-haikyu.com/]]
          * 애니메이션 공식 페이지 [[http://www.j-haikyu.com/anime/index.html]]
          * 2014년 9월 22일부터 소년 점프+에서 れっつ!ハイキュー!?(렛츠! 하이큐!?)가 연재되고 있다. [http://plus.shonenjump.com/rensai_detail.html?item_cd=SHSA_JP01PLUS00000087_57 소년 점프+ 페이지]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카게야마가 대놓고 왕관을 쓰고 백마를 끌고 다니고 킨다이치는 진짜 머리에 락교를 쓰고 있는 등, 본편 내용을 개그로 바꾼 내용이다. 때문에 [[캐붕]]에 민감한 사람에게는 추천하지 않을뿐더러 애초에 정상적인 캐릭터가 하나도 없다(...). 사실 그것보다는 본편과 개그 코드가 상당히 달라서 안 맞는 사람들은 정말 안 맞다. --그러나 고양이인간 쿠로오와 켄마가 정말 귀여운 데는 이견이 없을 듯--
          * 애니메이션 2기와 극장판 모두 제작이 결정되었다!! [http://www.j-haikyu.com/project/index.html 공 부설 사이트]에 따르면 극장판은 1기 애니메이션의 총집합 편으로 제작될 예정이라고 한다. 2기 애니메이션과 극장판의 담당 제작사 및 감독은 1기 때와 같다.
  • A-10 선더볼트 . . . . 3회 일치
         [[http://www.boeing.com/defense/support/a-10-wing-replacement-program/index.page#/tech-spec|보잉 페이지의 A-10 날개 교체 프로그램 페이지]]
         [[http://www.northropgrumman.com/Capabilities/A10ThunderboltII/Pages/default.aspx|노스롭 그루먼 페이지의 A-10 선더볼트 II 소개 페이지]]
         [[http://www.af.mil/AboutUs/FactSheets/Display/tabid/224/Article/104490/a-10-thunderbolt-ii.aspx|미 공군 페이지의 A-10 선더볼트 II 소개 페이지]]
  • AC-130 . . . . 3회 일치
         [[http://www.af.mil/AboutUs/FactSheets/Display/tabid/224/Article/104486/ac-130u.aspx|미 공군 페이지의 AC-130U 데이터]]
         [[http://www.af.mil/AboutUs/FactSheets/Display/tabid/224/Article/104485/ac-130w-stinger-ii.aspx|미 공군 페이지의 AC-130W 스팅거 II 데이터]]
         [[http://www.af.mil/AboutUs/FactSheets/Display/tabid/224/Article/467756/ac-130j-ghostrider.aspx|미 공군 페이지의 AC-130J 고스트라이더 데이터]]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4시즌 . . . . 3회 일치
         2014 K리그 클래식 11위였던 경남과 동시즌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최종승자인 광주가 만나 승격이냐 잔류냐를 두고 [[ & 어웨이]]로 경기를 치뤘다.
         || /원정 || [[광주 FC]] || vs || [[경남FC]] ||
         || /원정 || [[경남FC]] || vs || [[광주 FC]] ||
  • Victoria II . . . . 3회 일치
          1861년 7월 1일부터 시작하는 캠페인. 이탈리아는 통일을 완수하여 열강의 자리에 올라갔으며, 한때 열강이었던 스페인은 이탈리아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탈락해버렸다. 아편 전쟁으로 홍콩을 강탈당한 중화제국은 천왕이 이끄는 태평천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멕시코에게서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를 강탈하고 현재의 국경선을 거의 완성했지만 독립을 선언한 아메리카 연합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 오스만 제국은 튀니스와 트리폴리를 자국 영토로 합병하고 이집트에게서 중동 지방을 빼앗았다. 프랑스 역시 알제리를 완전히 먹어치웠고. 한편 일본은 미국의 영향권 내에서 근대화를 끝마쳐가는 중이다. 중앙아메리카 합중국은 분열되어 여러개의 나라가 되었으며, 페루는 에콰도르가 지배하고 있는 파스타사를 해방시키기 위해 전쟁을 벌이고 있다.
          * American Civil War Spritepack : "남북전쟁 시기" 미합중국과 아메리카 연합국의 보병, 특수병, 기병, 포병, 공병, 근위대의 스프라이트를 고증에 따른 군복으로 바꿔주는 DLC. A House Divided DLC를 추가로 요구한다.
  • 네드 켈리 . . . . 3회 일치
         [[http://www.australia.gov.au/about-australia/australian-story/ned-kelly|호주 페이지 - 호주에 대해 - 호주 이야기 - 네드 켈리(영어)]]
         [[https://www.slv.vic.gov.au/search-discover/explore-collections-theme/australian-history/ned-kelly/ned-kelly-fact-sheet|빅토리아 주립 도서관 페이지- 네드 켈리 자료표(영어)]]
         [[http://www.nma.gov.au/exhibitions/irish_in_australia/bushrangers|호주 국립 박물관 페이지 - 호주의 아일랜드인 전시관 페이지(영어)]]
  • 리그컵(K리그) . . . . 3회 일치
         리그컵의 전신은 1986년에 열린 [[프로축구선수권대회]]로 본다. 이 당시는 [[수퍼리그]]가 발족되고 얼마 지나지 않았던 시점으로, K리그 구단의 수가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유럽과 같은 10개월 일정을 소화할 수가 없어 추가로 신설된 대회였다.[* 85년도 기준, 당시 8개 팀이 [[ & 어웨이]]로 3번씩 만나는 구조였기 때문에 21경기밖에 되지 않았다.]
         프로축구선구권대회가 흥행참패를 겪고나서 1992년에 와서야 리그컵이 열리게 된다. 당시 후원사가 아디다스를 한국에 판매하고 있던 제우교역이었기 때문에 통칭 아디다스컵으로 불린다.[* 잉글랜드의 칼링컵과 마찬가지로 스폰서가 원하는 타이틀을 달아주는 형식이다.] 이 시기에도 팀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했기에 단조로운 리그의 & 어웨이의 연속보다는 리그 외에 별도로 경기 수를 채울 이벤트를 기획하였고, 제우교역을 스폰서로 구해 첫 리그컵으로 볼 수 있는 "아디다스컵"이 열리게 된다.
         K리그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지만 어쨌거나 현재로써는 공식 기록을 찾기가 가장 어려운 대회가 되었다. 리뉴얼 이전 한국프로축구연맹 페이지에서도 이 대회에 대한 정보를 찾는건 상당히 어렵다. 비교적 협회보다 자료정리가 더 잘 되어 있고, 일반에 공개하는 자료양이 훨씬 많은 연맹임에도 그 자료를 찾기란 쉽지 않다.[* 협회쪽은 FA컵의 위상이 상당함에도 경기 관중 수나 카드 이력등을 별도로 공개하고 있지 않다. 협회가 비판받는 대표적인 부분.]
  • 발터 PPK . . . . 3회 일치
         그립이 긴 스포츠 모델인 PPK/S가 있으며 22LR 탄을 사용하는 PPK/S .22라는 파생형도 존재한다. 페이지 설명에 따르면 PPK의 상징적인 모양과 .22LR 탄의 재미, 그리고 비용 절감성의 혼합체라고. PPK/S .22는 10발의 .22LR 탄을 장전할 수 있으며 550g 정도의 무게를 지니고 있다.
         [[http://www.waltherarms.com/handguns/ppk/ppk-ppks/|발터 페이지의 PPK, PPK/S 페이지]]
         [[http://www.waltherarms.com/handguns/ppk/ppks-22/|발터 페이지의 PPK/S .22 페이지]]
  • 양키 . . . . 3회 일치
         영어 Yankee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지만, [[매사추세츠]]에 살고 있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영어 English나 프랑스어 Anglais에서 와전된 말로 영국계 식민지 사람들을 부르던 것이 퍼졌던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간사이에서는 1980년대 전반기에 이미 '양키'라고 부르는 사례가 나타났는데, 당시 오사카 남구(南区)(현재의 츄오구(中央区))에는 아메리카 마을(アメリカ村)이라는 지역이 있어서, 이 지역에서 화려한 알로하 셔츠나 폭넓은 바지들을 즐겨 입는 불량소년이 나타나 이들이 ‘양키’라고 불리고 있었다고 한다. 같은 무렵에 같은 남구(南区)의 유로파 마을(ヨーロッパ村)이라 불리는 곳에서는 약간 다른 패션을 가진 「유로피(ヨーロピィ)」라는 집단이 나타났지만 양키 족의 융성으로 동화되어 사라졌다고 한다.
          * 양키 고 (Yankee Go Home) : 미국인에게 집에 가라고 하는 말. 주로 [[반미]] 시위 현장에서 자주 볼 수 있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3회 일치
         >1775년의 아메리카 식민지. 시민 불안과 사회적 파동이 아메리카 곳곳에 깔려있던 시대입니다. 땅과 사람들을 위해 싸우는 아메리카 원주민 암살자로써, 그는 어린 국가의 혁명에 불을 지필 것입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3회 일치
         유물을 살펴본 버치는 유물이 먼저 온 자들의 창고를 열 열쇠라고 말하고는 창고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메리카로 헤이덤을 보낸다.
          * 아메리카 원주민 사상자 없음
         윌리엄 존슨은 죽고, 코너의 마을을 빼앗으려던 템플기사단의 계획도 저지되었다. 하지만 윌리엄 존슨의 시체에서 발견된 편지는 또다른 문제를 일으켰다. 존 핏케언에게 보내려고 했던 그 편지는 애국자들의 무기와 보급품을 싹 제거하라는 내용이었다. 핏케언이 성공한다면 애국자들은 패배할 것이고, 템플기사단이 아메리카 식민지를 장악하기 쉬워질 것이다. 코너는 핏케언을 제거하기로 마음먹었다.
  • K리그 관중 실 집계 정책 . . . . 2회 일치
         K리그는 2011시즌까지 상당한 잡음이 일어왔었는데, 그 잡음 중 하나가 바로 관중 수 집계에 관한 문제였다. 당시 K리그에서 성적은 좋지만 인기가 정말 없기로 유명했던 구단으로 성남 일화 천마를 꼽을 수 있었는데, 이 성남의 구장인 탄천종합운동장의 수용 가능 인원은 2만여명이 넘지만, 실제로 경기를 관람하러 들어온 관중은 2000여명이 채 되지도 않는 경우가 많았다. 헌데 경기장 전광판에서는 전반전이 끝나고 관중 수를 발표하는 걸 보면 4,000 ~ 5,000명을 발표하는데... 이건 경기장에 최소한 20~25%는 채워져야 가능한 이야기임에도 방문한 팬들조차 갸웃거릴 정도였다.[* 가령 2010시즌 경남과의 경기에서 당시 발표로는 5000명이 넘는 관중이 들어왔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결코 그 정도로는 아니었다.]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 . . . . 2회 일치
         준플레이오프는 K리그 챌린지 3위팀과 4위팀이 3위팀의 에서 경기를 갖는다. 리그 3위와 4위의 차별을 두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둔다.
         플레이오드도 준플레이오프와 마찬가지로 리그 2위팀과 준플레이오프 승자끼리 리그 2위팀의 에서 경기를 갖는다. 룰도 똑같이 적용된다.
  • K리그 챌린지 플레이오프/2014시즌 . . . . 2회 일치
         || /원정 || [[강원FC]] || vs || [[광주 FC]] ||
         || /원정 || [[안산 무궁화]] || vs || [[광주 FC]] ||
  • Q.E.D. 증명종료 . . . . 2회 일치
          * [[나가이에 코로쿠]] - 통칭 [[wiki:"셜록 즈" 즈]]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2회 일치
          * 캡틴아메리카[* 영화 "퍼스트 어벤저"에서 캡틴 아메리카가 타던 오토바이.]
  • head to head . . . . 2회 일치
         || 경기 || || vs || 원정 ||
         || 경기 || || vs || 원정 ||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2회 일치
         [[http://www.rockstargames.com/maxpayne2/|공식 페이지]]
          Dick Justice. 아내를 죽였다는 누명을 쓰고 쫓기게 된 형사 딕 저스티스의 이야기. 비디오 게임도 있는 것 같다.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2회 일치
          * 1층으로 내려가면 일도 안하고 하루종일 딕 저스티스 비디오 게임만 하는 남자친구를 신고하러 온 여자가 있다. 빡친 여자가 TV를 창문 밖으로 내던지니 여자를 죽이겠다고 위협했다나 뭐라나. 이 신고를 접수한 경찰에게 말을 걸면 "들었어? 총이 사람을 죽이는게 아냐. 비디오 게임이 사람을 죽이는거지. 맙소사, 여기가 뉴욕이야,"라는 말을 한다.
  • 빌리 블랭크스 . . . . 2회 일치
         트레이닝 비디오 '빌리의 부트 캠프'를 발매했으며, 이 비디오는 2006년에 특히 [[일본]]에서 히트하여 일본에서 빌리의 인지도를 크게 높여줬다.
  • 아메리카 퍼니스트 홈 비디오 . . . . 2회 일치
         America Funniest Home Video. 미국의 TV 프로. 시청자들이 보낸 비디오를 모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 . . . . 2회 일치
         데이비드 월스톤, 일명 빅 데이브는 싸움에 동의 하지도 않고, 아메리카를 사랑하기에 영국군에서 탈영했다. 그랬다가 영국군에게 붙잡혀 본보기로 교수형 당할 뻔한 것. 빅 데이브가 대장장이인것을 알게 된 코너는 은혜를 갚고싶어하는 그를 대번포트 농지에 정착하게 한다.
         1776년, 카리브해. 아퀼라는 라 벨라도나를 아메리카까지 호위하기 위해 출항한다. 라 벨라도나는 로드리고게 오르탈레스 회사(Roderigue Hortalez and Company) 소속으로 스페인 선박으로 위장한 프랑스 선박이었다. 프랑스가 대륙군에게 화약과 총포를 지원하기 위해 라 벨라도나를 보냈는데 이를 호위해야할 대륙군 함선들이 어디론가 가버린 것. 아퀼라에 승선한 라 벨라도나의 장교는 원래 호위를 맡았던 랜돌프가 아무런 말 없이 가버렸다며 불만을 표한다.
  • 원한해결사무소/4화 . . . . 2회 일치
         이번화 의뢰인은 사장 부인으로서, 불장난을 해다가 성관계 비디오를 찍혀서 지속적인 성관계와 금품을 뜯어내는 협박을 당하고 있는 여성. 원한해결사는 100만엔의 보수로서 사회적 말살 의뢰를 받는다.
         집에 간 마사토는 협박용 비디오와 주소록이 사라진 것을 발견한다. 경악한 마사토는 바로 도망치려 하지만 야쿠자들에게 다시 붙잡힌다. 야쿠자는 자신을 죽일 거냐는 마사토에게, 자신의 거래처 '스네이크 헤드'에게 팔아넘겨 남색가들의 파트너로 만들 것이라고 말해준다. '잃을 게 없는 인간'이므로 반대로 '증발해도 누구 하나 걱정하지 않는 인간'이므로 팔아넘길 수 있다는 것이다.
  • 윌밍턴 . . . . 2회 일치
         [[남북전쟁]]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이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던 항구였다. 이 도시가 함락되며 아메리카 연합국은 외부와 단절되게 된다.
  • 캡틴 아메리카 . . . . 2회 일치
         캡틴 아메리카의 주요 요소. 그의 주무기이며 단순히 [[방패]]만이 아니라 [[부메랑]]처럼 던지는 투척 무기이기도 하다. 이는 게임에서도 구현되었다.
          * 오해받기 쉬우나 서브컬처에서 나오는 비틀린 애국주의와는 거리가 먼 캐릭터. 다만 캡틴 아메리카에 모티브를 둔 캐릭터들 중에는 비틀린 애국자 캐릭터가 있다.
  • 파머보이즈 . . . . 2회 일치
         [[https://www.farmerboys.com/|공식 페이지(아마)]]
         [[https://www.farmerboys.com/|공식 페이지(아마)]]
  • 프리덤 파이터즈 . . . . 2회 일치
         [[저스티스 리그]], [[저스티스 소사이어티 오브 아메리카|저스티스 소사이어티]]와 크로스오버된 적이 있으며 [[크루세이더즈]]가 등장한 적도 있다.
          * [[미스 아메리카]](Miss America)
  • EZ2AC . . . . 1회 일치
         [[http://ez2ac.co.kr 페이지]][[http://twitter.com/ez2ac 공식트워터]]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1회 일치
         우선 전자야 어렵지 않다. 어찌됬든 전자의 경우도 브리튼 섬 통일은 무조건 하게 되있기에 스코틀랜드를 독립보장하는 프랑스와의 전쟁은 불가피한데(...) 그냥 해군으로 틀어막으면 된다. 시작시기든 어떤 시기든 프랑스 해군은 절대로 잉글랜드 해군을 이길 수 없다는걸 프랑스에게 상기시키면서 도버 해협을 틀어막자. 단 한번이라도 프랑스 육군의 상륙을 막으면 스코틀랜드는 간단하게 잉글랜드의 맛집으로 변한다. 아일랜드야 뭐 9개왕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다가 서로서로 사이도 나쁘니 각개격파시키면 되고... 그 이후에야 천천히 식민지 개척을 하면서 진행하면 된다. 식민지 개척에 상당히 유리한 위치에 있으므로 빠른속도로 북아메리카부근에 식민지를 건설하자. 굳이 구대륙으로 가면서 프랑스의 눈치를 보고 싶지 않다면 스웨덴 독립전쟁에 끼어들어 북유럽쪽으로 가면 된다.
  • FrontPage . . . . 1회 일치
          이는 이 위키에 등재함으로서 기여된 텍스트는 @Copyright NTX로 배포하게 된다는 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페이지 외부로는 배포되지 않습니다만.
  • HMMWV . . . . 1회 일치
         [[http://www.amgeneral.com/|AM 제너럴스 페이지]]
  • NEC 코퍼레이션 . . . . 1회 일치
         [[PC 엔진]] 시리즈를 가전제품을 출시하던 NEC 일렉트로닉스에서 출시했다. 다양한 PC엔진 바리에이션을 출시하면서 그런대로 시장을 유지하다가, [[PC FX]]로 멸망.
  • NII 스탈리 . . . . 1회 일치
         [[http://www.niistali.ru/en/about-nii-stali/|NII 스탈리 페이지의 설명(영어)]]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https://www.history.navy.mil/research/histories/ship-histories/danfs/b/buchanan-i.html|미해군역사유산사령부 페이지의 뷰캐넌 페이지(영어)]]
  • V-22 오스프리 . . . . 1회 일치
         [[http://www.boeing.com/defense/v-22-osprey/|보잉 페이지의 V-22 오스프리 페이지(영문)]]
  •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 . . . . 1회 일치
         워마드는 메갈리아가 SNS와 페이지에서 활동하던 것을 넘어 오프라인 시위와 추모행사를 주도하며 훨씬 행동력 있는 조직으로 부각되었고 이에 대항해 일베 등의 남초 사이트에서도 강남역 추모현장에서 행패를 부리고 추모 포스트잇을 훼손하는 등 민폐에 민폐로 대항하는 행동을 보였다.
  • 강원 FC . . . . 1회 일치
          * [[http://www.gangwon-fc.com/|강원FC 페이지]]
  • 거유 . . . . 1회 일치
         1985년 극장공개 된 미국 성인영화의 일본 타이틀이 최초라고 알려져 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성인잡지, 비디오의 자막에서 자주 쓰이게 되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AV여배우 마쓰자카 키미코(松坂季実子)의 등장으로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 건즈 고어 앤 카놀리 . . . . 1회 일치
         [[http://gunsgorecannoli.com/launch.html|페이지]]
  • 건포인트 . . . . 1회 일치
         [[http://www.gunpointgame.com/|페이지]]
  • 게임 소설 . . . . 1회 일치
         ‘게임’, 주로 ‘비디오 게임’을 배경이나 주된 소재로 하는 소설. 대부분의 사건은 게임 내에서 전개된다. ~~게임북하고는 다르다~~
  • 광주 FC . . . . 1회 일치
          * [[http://www.gwangjufc.com/|광주 FC 페이지]]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1회 일치
         [[http://www.rockstargames.com/sanandreas/|GTA 산 안드레아스 페이지(영문)]]
  • 네토라레 . . . . 1회 일치
         --이미 마음이 떠난 여친이나 친구가 섹스하고 비디오를 찍어서 자위하라고 보내주는 훈훈한 미담을 다룬 작품들--
  • 더 선 . . . . 1회 일치
         [[https://www.thesun.co.uk|페이지 링크(영문)]]
  • 데드맨 . . . . 1회 일치
         [[http://www.dccomics.com/characters/deadman|DC 코믹스 페이지의 데드맨 설명 페이지(영문)]]
  • 디아스포라 . . . . 1회 일치
         [https://diasporafoundation.org/ 디아스포라재단(페이지)]
  • 라마 . . . . 1회 일치
         아메리카에 사는 동물. 가축으로 사용된다.
  • 러시안 라이프 . . . . 1회 일치
         소비에트 라이프처럼 러시아 내 미국 관련 잡지인 "아메리카"(Amerika)가 있었다.
  • 리듬게임 . . . . 1회 일치
         비디오 게임의 일종. 재생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춰서 버튼을 누르는 식으로 진행되는 게임을 뜻한다.
  • 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아이언맨]], [[헐크]], [[엑스멘]] 등의 유명한 캐릭터들이 소속되어 있다.
  • 마터니티 마크 . . . . 1회 일치
         이 마터니티 마크의 디자인은 일본 후생노동성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맥스 페인 시리즈 . . . . 1회 일치
         [[http://www.rockstargames.com/maxpayne/index.html|공식 페이지]]
  • 맥시멈즈 . . . . 1회 일치
          * 솔저 - [캡틴 아메리카] 패러디. 맥시멈즈가 싸울때 "Maximums March!"라는 구호를 외친다. 방패는 없지만 총을 들었다. 아들의 이름은 럭키인데 당연하지만 [버키] 패러디.
  • 미스터 하이드 . . . . 1회 일치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데어데블]]과도 자주 싸웠으며 [[어벤저스]]의 적대 팀인 [[마스터즈 오브 이블]]에 가입하기도 했다.
  • 바키도/138화 . . . . 1회 일치
          * 이 문제를 놓고 수사팀은 비디오를 돌려보며 회의를 하고 있다. [[미나모토 무사시(그래플러 바키)|무사시]]가 아나운서를 베어버리는 그 순간. 세간의 말과는 달리 "투명한 칼" 같은건 찍히지 않았고 무사시는 아나운서에게 손끝하나 대지 않았다.
  • 브라우닝 하이파워 . . . . 1회 일치
         보통 "파라벨럼"이라 불리는 9mm 루거 탄을 사용한다. 복열탄창을 사용해 13발의 장탄수를 가지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장탄수가 10발을 넘는 탄창을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기에 10발짜리 탄창도 팔고 있다. 이외에 .40 S&W 탄을 사용하는 모델이 매뉴얼에서 언급되었지만 현재 브라우닝 페이지에서 없는걸로 보아 더이상 생산되지 않는 듯.
  • 블러드와인드 . . . . 1회 일치
         [[저스티스 리그]] 아메리카의 일원이었으며 이후 예비 멤버가 되었다. 그리고 마법 관련 캐릭터인지라 마법이나 오컬트에 관한 이야기에서 등장하기도 한다.
  • 서부개척시대 . . . . 1회 일치
         [[미국]]의 서부개척시대는 미국-멕시코 전쟁 등을 전후하여 미국인들이 아메리카 대륙 서부로 이주하고, 그 과정에서 원주민, 멕시코인 등과 충돌하며 미국의 영토로 확정해 나갔던 시기를 뜻한다. 현재의 초강대국 미국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며 미국인들에게는 꿈과 희망의 시대지만, 원주민에게는 백인들의 대침략이 벌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 스이츠 . . . . 1회 일치
         2005년 부터 일본의 여성 잡지들이 ‘스위츠(スイーツ)가 붐이다’라는 기사를 내놓에서 자주 사용하면서 널리 침투하게 되었다. 일본식 스위츠(和スイーツ), 메이드 스위츠 같은 표현도 나타났다.
  • 스쿨 카스트 . . . . 1회 일치
         이라는 가사에서도 잘 나오듯이 생각보다 이런 인식은 상당히 많은 퍼져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이런 현상은 일본 외 국가에서도 별반 다르진 않다. 몬스터메탈그룹 Lordi의 Hard Rock Hallelujah의 뮤직비디오에서도 서구권의 스쿨 카스트가 묘사되고 있다.
  • 스쿼키 청소회사 . . . . 1회 일치
         [[모나 색스]]가 맥스가 사는 아파트로 찾아오자 둘을 죽이기 위해 아파트를 습격하지만 실패한다. 맥스에게서 해당 사건을 보고받은 [[짐 브라부라]]는 "다음엔 뭔가? 가방엔 총을 가득 담고 머리는 비디오 게임으로 가득 찬 아이가 집을 사격장으로 바꿔놓는건가? 가슴이 아프군,"[* What next? A Kid with a bag full of guns and a head full of videogames turns the house into a shooting gallery, breaks my heart.]라는 반응을 보였다.
  • 스틸오션/사령관 . . . . 1회 일치
          * 런(Homerun) - 적함이 뇌격기나 급강하폭격기에 맞았을 시 10% 확률로 발동. 항공기 속도 8% 증가.
  • 스파이더맨 . . . . 1회 일치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스파이더맨의 영화 판권이 어벤져스 영화 시리즈를 만든 [[마블 스튜디오]]가 아니라 [[소니 픽쳐스]]에 있기 때문. 결국 마블과 소니의 합의로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에 출연할 수 있게 되었다,
  • 시그니처 웨폰 . . . . 1회 일치
          * [[마블 코믹스]] - [[캡틴 아메리카]]의 방패
  • 신년선물연하장엽서 . . . . 1회 일치
         연하장의 상품은 매년 조금씩 바뀌었는데, 제1회 신년선물연하장엽서의 상품은 특등상으로 [[재봉틀]], 1등으로는 순모옷감, 2등으로는 학생용 장갑, 3등으로는 학생용 우산이었다. 1966년에 특등상이 폐지되고 1등이 최고상으로 바뀌었으며, 1956년에는 전기세탁기, 1960년에는 발포 고무 매트리스, 1965년 이후로는 휴대용TV나 8밀리 촬영기, 영사기 세트, 1984년에는 전자레인지, 1986년에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 같이 서민들이 손에 넣기에 약간 어려운 상품들이 주류였다. [[헤이세이]] 이후로는 해외여행, 최신식 TV, PC 등 몇가지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 심판 . . . . 1회 일치
         비디오 같은 문명의 이기가 도입되면서 심판의 오심이 더욱 눈에 뛰게 되어 심판들이 받는 압박이 강해지고 있다.
  • 아데랑스 . . . . 1회 일치
          * 페이지 : www.aderans.co.kr
  • 아워맨 . . . . 1회 일치
         [[저스티스 소사이어티]] 오브 아메리카와 관련있다.
  • 안드로메다 스토리즈 . . . . 1회 일치
         애니메이션은 TV 스페셜로 방송된 바 있다. 한국에서는 "안드로메다 별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비디오 테이프로 발매되었다.
  • 알프레드 우든 . . . . 1회 일치
         첫 언급은 의외로 이르다. 매춘부 캔디 던의 일기에서 언급되는 인물인 "외눈박이 알프레드"[* One-eyed Alfred]가 이 인물. 캔디 던은 자신과 그의 성관계 장면을 비디오로 찍어 정체불명의 여성에게 팔아넘기고 있었다.
  • 오보카타 하루코 . . . . 1회 일치
         STAP세포를 응원하자는 페이지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https://stap-hope-page.com/ 참조]])
  • 와일드캣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히어로 중 한명. 첫등장은 Sensation Comics #1 (January 1942. 리붓 이전에는 [[저스티스 소사이어티 오브 아메리카]]의 일원으로서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제이 게릭과 [[그린 랜턴]] 앨런 스콧과 비슷한 연배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http://neworder.wolfenstein.com/en-gb/|울펜슈타인 : 뉴오더 페이지(영어)]]
  • 은혼/599화 . . . . 1회 일치
          * 게다가 해방군은 복리후생도 탁월해서 기지 안에 숙박시설과 츠타야[*일본의 비디오 대여점 프렌차이즈]까지 있엇다. 내친 김에 인디펜던스 데이와 스타워즈까지 빌린다.
  • 이카르부스 . . . . 1회 일치
         [[http://ikarbus.rs/index.php/o-nama/istorija-znacajni-datumi|이카르부스 페이지의 연혁(세르비아 문자)]]
  • 인터넷 카페 . . . . 1회 일치
          * 인터넷 만이 아니라, [[대본소]]처럼 [[만화]]를 갖춰놓아서 [[비디오 게임]]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경우도 많다.
  • 일곱개의 대죄/201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그로키시니아와 드롤의 을 가진 디안느와 킹은 십계 조차 압도한다.
  • 절연금 . . . . 1회 일치
         아이치미카와 법무사무소(あいち三河法務事務所) 페이지 참조
  • 제너럴 우 . . . . 1회 일치
         [[캡틴 아메리카]]와 싸운 빌런. 바트록의 협력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AIM과 관련이 있다.
  • 존오그로츠 . . . . 1회 일치
         [[코뿔바다오리]], [[회색물범]], [[범고래]]를 볼 수 있다. 코뿔바다오리는 번식기인 늦봄~초여름에 찾아온다. 이 세 동물이 페이지에서 볼드체로 밀어주는 동물이나 [[갈매기]] 같은 것도 살고있다고 한다.
  • 죽는다 죽는다 사기 . . . . 1회 일치
          * 「●●쨩을 구하는 모임(ちゃんを救う会)」이라는 페이지를 개설하고, [[난치병]]에 걸린 어린 아이의 정보를 게재하여 난치병 치료를 위한 치료비를 공개적으로 [[모금]]하는 행위에 대하여, 비판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활동을 칭하는 이름이다. [[난치병 모금사기]]를 참조.
  • 짚라인 . . . . 1회 일치
         [[http://www.ziplinekorea.co.kr/|짚라인코리아 페이지]]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남북전쟁을 기점으로 해방된 흑인 노예들이 바벨 코스트로 유입되며 성장세가 커졌다. 개중에는 아메리카 연합국 지역에 살던 일부 백인들이 신분을 속이고 들어오는 경우도 있었지만, 스스로 기득권을 내려놓아 이로 인한 분쟁이나 갈등은 원한 관계로 인한 것 외에는 거의 없었다. 이때부터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Babel이라는 이름을 Barbell로 바꾸게 되었다.
  • 창작:좀비탈출/4-1-1 . . . . 1회 일치
         토트넘. 그 허연 유니폼. 여긴 내 이지 멍청아. 넌 어웨이라고.
  • 창작:좀비탈출/4-1-2-2 . . . . 1회 일치
         토트넘. 그 허연 유니폼. 여긴 내 이지 멍청아. 넌 어웨이라고.
  • 창작:좀비탈출/요새편/1-1 . . . . 1회 일치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도 무기가 없이 돌아다닐 방법은 없다. 사실 무기가 있다고 해서 돌아다닐 맘이 나는건 아니지만, 안전면에서 차원이 달라져 버린다. 토트넘의 습격을 막을 수 있었던건 허접하게나마 무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사건으로 나는 두 가지를 배웠는데, 하나는 녀석들이 썩은 채로 걸어다니는 그냥 인간이지 캡틴 아메리카는 아니라는 것, 그리고 그런 놈들이라도 때려눕히려면 뭔가 손에 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무기는 녀석들 이빨이 내 목덜미에 닿기 전에 막을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 캡틴큐 . . . . 1회 일치
         제대로 된 럼이 아니라 "주정에 럼 향을 절묘하게 혼합하여 만든 제품"[*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154018|코리아데일리-추억의 술 캡틴큐…80년대 가난한 청춘의 양주, 이젠 이주 노동자의 술]]. 원 출처인 롯데주류 페이지는 캡틴큐가 단종과 함께 설명이 사라져 확인하지 못함.]이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1회 일치
         [[월드]], [[임파서블 크리쳐스]], [[워해머 40,000: 던 오브 워]]를 개발했던 [[렐릭 엔터테이먼트]]가 개발했으며, 렐릭 엔터테이먼트를 소유하고 있던 [[THQ]]가 배급하였다. THQ가 파산해 사라진 현재는 렐릭을 인수한 [[세가 게임즈]]가 배급하고 있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1회 일치
          아메리카 원주민. 의식을 치르던 중 미 육군의 습격을 당해 딸을 잃었다.
  • 콜트 M4 카빈 . . . . 1회 일치
         [[http://www.colt.com/|콜트 페이지]]
  • 콩고릴라 . . . . 1회 일치
         과거 [[포가튼 히어로즈]](Forgotten Heroes)에 가입했으며 [[뉴52]] 이전에는 [[저스티스 리그]] 오브 아메리카에 가입하기도 했다.
  • 트로피코 4 . . . . 1회 일치
          * 2006-2008: 라틴 아메리카 국채 위기 - 모든 관광지의 가격이 50% 상승
  • 퍼니셔 . . . . 1회 일치
         본명 프랭크 캐슬. 원래 [[군인]]이었던 캐슬은 가족과 함께 나들이를 나갔다가 갱단에 의해 가족들을 잃었고, 이후 퍼니셔가 되어 세상의 악인들과 싸우게 되었다. 그 방식은 살인. 통상 히어로가 악당과 싸우도 제압하고 끝내는 것이 보통이라면 퍼니셔는 그런 일 없이 아예 끝장을 낸다. 그러다보니 [[캡틴 아메리카]] 등 보편적인 히어로들과는 갈등을 만들기도 한다.
  • 하숙 . . . . 1회 일치
         주택의 빈 방을 빌려주고, 임차인이 집주인과 공동으로 생활하는 것. 영어로는 '쉐어'라고도 한다.
  • 핫라인 마이애미/등장인물 . . . . 1회 일치
         매 챕터가 끝날 때 마다 만나는 인물. 마트, 피자집, 비디오 대여점, 술집 같은 여러가지 사업을 하고있으며 자켓에게 여러가지 공짜 서비스를 해준다. 자켓과 친한 관계로 보인다.
  • 허쉬 . . . . 1회 일치
         [[http://www.hersheys.co.kr/v2/main.asp|허쉬 페이지]]
  • 호소키 카즈코 . . . . 1회 일치
         '육성점술에 따른 금성인의 운명', '화성인의 운명', '토성인의 운명' 등의 제목으로 되어 있는 육성점술 시리즈는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셀러이다. 총 9500만부 이상으로, 호소키 카즈코 페이지에 따르면 점술 책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판 사람이라고 한다.
11531의 페이지중에 11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16-06-28 22:06:52
Processing time 0.2082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