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신안군"에 대한 역링크 찾기

신안군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대중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신안군]] 에서 태어났고, 제6·7·8·13·14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군부 정권의 위협으로 여러 번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김영삼]]과 함께 오랫동안 민주 진영의 지도자로 활동하며 군사 정권에 항거하였다.<ref>「지식충전, 우리 현대사 노트」본문 中 2. 민주주의를 향한 움직임</ref> 김대중은 군부 정권으로부터 [[김대중 납치 사건|납치]]와 가택연금, 투옥 등의 여러 탄압을 받았다.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에는 [[통일민주당]]의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며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구성해 이른바 민주 진영을 구축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2822119 독일 신문 "DJ는 동아시아 민주화 상징"] 연합뉴스 2009년 8월 20일</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2824635 "아시아의 넬슨 만델라" 서거-NYT] 뉴시스 2009년 9월 18일</ref><ref>고지희 기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112&aid=0002028923 (DJ서거) 만델라 재단 "'아시아의 만델라' DJ서거에 깊은 애도"] 헤럴드 경제 2009년 8월 18일 작성</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441657 호주 언론 김대통령 방문 보도] 연합뉴스 1999-09-16</ref> 인권 향상과 남북 관계의 진전에 기여한 공로로 [[2000년]] 임기 중에 한국인 역사상 최초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823669 김전대통령 빈소 국회 마련..조문객 발길] 연합뉴스 2009.08.20</ref> 2000년 노르웨이 라프토(Rafto) 인권상, 1998년 무궁화 대훈장, 1998년 국제인권연맹 인권상, 1999년 미국 [[필라델피아 자유의 메달]] <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9557 두산백과</ref>, 북미주 한국인권연합 인권상, 미국 조지 미니(George Meany) 인권상, 브루노 크라이스키(Bruno Kreisky) 인권상을 수상하였다.<ref>http://15cwd.pa.go.kr/korean/president/bio/bio4.php</ref> 연설에 능하였으며,<ref>[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113343 DJ "서생적 문제인식+상인적 현실감각"] 브레이크뉴스 2009.11.01</ref><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pol&arcid=0921390861&code=41111111&cp=nv1 그는 타고난 정치인이었다] 국민일보 2009.08.18</ref><ref>[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236500 수행비서가 4년간 지켜본 DJ…"그는 위대한 지도자"] 노컷뉴스 2009.08.19</ref> [[대한민국 국회|국회]]에서 가장 오래 연설한 기록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기네스북]] 증서를 받았다.<ref name="기네스 증서">[http://www.kdjlibrary.org/common/museum/main.html 기네스 증서 1964 - 김대중 도서관 전시물 (민주화를 향한 김대중-야당의 정책이론가로서의 활동)]</ref><ref>이 기록은 2016년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 과정에서 [[김광진 (정치인)|김광진]] 의원에 의해 갱신되었다.</ref> 추운 겨울에도 온갖 풍상(風霜)을 참고 이겨내는 [[인동덩굴|인동초]](忍冬草)로 비유되어 불리기도 하였다.
         김대중은 [[1924년]] [[1월 6일]]에 [[전라남도]] [[신안군|신안]]에서 아버지 김운식과 어머니 장수금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김운식에게는 본부인이 있어서 장수금은 첩이 된다. 후에 김대중의 호인 후광은 [[후광리]] 마을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한편 김대중의 출생에 대하여 의혹이 제기되는 경우도 있다. 어머니 장노도(張齒島-후에 장수금으로 개명)의 첫 남편인 제갈성조(諸葛成祚)의 형인 제갈성복(諸葛成福)이 친부라는 설,<ref>1990년 9월 29일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장 김광홍 발행 호적초본</ref> 두 번째 남편인 뻐리섬의 윤창언(尹昌彦)이 친부라는 설이 있다. [[1988년]] [[7월 18일]]에 [[하의면]]장인 장명우가 발행한 호적등본에 의하면 김대중은 7살 때 윤창언(尹昌彦)의 서자 윤대만(尹大萬)에서 김운식의 서자 김대중(金大仲)으로 개명 등재되어 있다. 이 때 개명한 김대중의 한자명 金大仲이 오늘날의 金大中으로 개명된 시점은 밝혀진 바가 없다.
         장지는 [[국립서울현충원]]으로 결정되었다. 장지 후보로는 [[국립대전현충원]], [[국립 5∙18민주묘지]], 고향인 [[신안군]] 하의도, 용인의 가족묘 등이 거론되었고 유족들의 뜻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에 매장되었다.<ref>{{뉴스 인용
         [[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테러 피해자]][[분류:민주당 (대한민국)]][[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명동 3·1 민주 구국선언]][[분류:햇볕정책]][[분류:노벨 평화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노벨상 수상자]][[분류:암살 미수 생존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하의초등학교 동문]][[분류:목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신안군 출신]][[분류:폐렴으로 죽은 사람]][[분류:무궁화대훈장 수훈자]][[분류:목포북교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자유주의]][[분류:김대중 가]][[분류:동교동계]][[분류:대한민국의 자서전 작가]][[분류:대한민국의 유괴된 사람]][[분류:보스정치인]][[분류:경희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분류:올림픽 훈장 수훈자]][[분류: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운동가]]
  • 김민기(가수)
         [[분류:싱어송라이터]][[분류:한국 남가수]][[분류:1951년 출생]][[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1971년 데뷔]]
         ||<#9FC93C> {{{#white '''출생'''}}} ||<#FFFFFF> [[1951년]] [[3월 31일]] ([age(1951-03-31)]세) [br] [[전라남도]] [[신안군|신안]] ||
         [[전라남도]] [[신안군|신안]] 태생으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의사]]였는데, [[6.25 전쟁]] 중 북으로 퇴각하던 [[조선인민군]]에 의해 살해당해 산파였던 어머니 혼자 자식들을 키워야 했다고 한다. 휴전 후 가족들과 [[대구광역시|대구]]로 이주했고, 흑산초등학교와 자은중학교, 도초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했다.
  • 김진우(WINNER)
         [[분류:WINNER]] [[분류:신안군 출신 인물]] [[분류:1991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
         ||<:>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10px #ffffff;color:#d0d0d0"> 출생}}}''' ||<(> [[1991년]] [[9월 26일]] ([age(1991-09-26)]세), [[전라남도]] [[신안군]] [* [[OUR TWENTY FOR]] 컴백 기념 V앱에서 본인이 언급한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출생했으며 기억도 안날 정도로 어린시절에 임자도로 이사간 후 7살때 [[전라남도]] [[목포시]]로 이사갔다고 한다.] ||
          * [[전라남도]] [[신안군]] 천사의 섬 임자도 출신이다.[* 시골 출신답게 좋은 구름 나쁜 구름을 구분할 줄 알며, 어르신 용어를 쓸 때가 있다. 장롱을 농장으로 발음한다던가..] 왕자님처럼 자랐을 것 같다는 얼굴과 다르게, 섬소년으로 순박하게 자란 탓인지 [[천연]] 속성을 가지고 있다.[* 김구워더도 이런 성격에서 나온 것. 송민호의 진우형은 그냥 말하는데 빵빵 터져요도 같은 맥락][* [[전라도 사투리]]를 구사할 줄 안다. 잘생긴 얼굴에 사투리는 일종의 갭모에?] 말할 때 자세히 들어보면 [[전라도 사투리]]가 들린다! 상당히 귀엽다.
  • 박명언(독립운동가)
         * 前 대한제국 전라남도 [[신안군]] 부군수(1905년 ~ 1906년)
  • 이준석(선장)
         2014년 9월 30일 [[신안군]] 홍도 유람선이 좌초되는 일이 있었는데, 본 사건에서는 빠른 구조 지시로 30분 만에 선내 인원 전원이 구출되었다. 그리고 이게 일반적이다. 대부분의 침몰사고는 우선 승객들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한 후 승무원들이 끝까지 수습을 하다가 배와 함께하거나 결국 수습할 방법이 없음이 확실해진 뒤에 승무원 퇴선명령을 내리고 탈출한다는 점에서 당시 세월호 선원들이 제정신이 아니었다는 걸 체감할 수 있다. 그리고 역으로 세월호 사건 이전에 이런 사례가 일반적이었다는 점에서, 굳이 엄벌주의로 가지 않아도 승객을 버릴 승무원은 거의 없다는 것도 확인가능하다.
  • 이황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신안군]] 에서 태어났으며, 7남매중 장으로 태어났다. [[1980년]]대에 《'''돌아온 용쟁호투'''》, 1987년에 《'''우뢰매'''》 등으로 배우로 활약을 펼쳤다.
         [[분류:1980년 데뷔]][[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영화인]]
  • 임창모
         체포된 두 사람은 [[광주감옥]]에 갇혔다. 양회일은 단식투쟁을 하다가 곧 옥사하였고, 임창모는 [[신안군]] 로 유배되었다. 이듬해인 [[1908년]]에 유배가 해제되어 풀렸났다.
  • 전라남도
         [[신안군]]''' || 新安郡 || 22,300 || 43,521 || 655.44
  • 최진희(가수)
         || '''출생지''' ||[[전라남도]] [[신안군]][br](현 [[전라남도]] [[신안군]]) ||
         [[분류:한국 가수]][[분류:1957년 출생]][[분류:신안군 출신 인물]][[분류:1983년 데뷔]][[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1대 100 역대 1인]]
  • 퓨어킴
         ||'''출생'''||[[1986년]] [[3월 3일]]([age(1986-03-03)]세), ([[전라남도]] [[신안군]])||
         [[분류:1986년 출생]][[분류:한국 여가수]][[분류:2012년 데뷔]][[분류:신안군 출신 인물]]
11830의 페이지중에 1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