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 KY . . . . 3회 일치
일본의 속어.
"분위기를 읽어라."는 의미. 속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속어인 '눈새'('''눈'''치없는 '''새'''끼)와 유사한 데가 있다.
- 박주영 . . . . 3회 일치
* 박XX : 일부 입이 거친 사람들이 지나친 비속어를 사용하여 이렇게 잠시잠깐 불렀다. 당연히 평소에는 한국 축구에 관심 없고 앞으로도 없을 월드컵 냄비들이다. 왜냐면 2014년 발효된 별명인데 그 전까지의 행보를 고려해 볼 때 월드컵에서 똥 쌀 것은 이미 예정되어 있었고 병역기피 등등의 행적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사실 어찌 보면 일반명사에 가까운 비속어들로 특정인물을 호칭하기에는 대한민국에 박씨가 너무 많다.
* 주멘: 박주영의 주요 별명 중 하나. 주님 또는 박주영 + [[아멘]] 또 다른 뜻은 아무 것도 보이지 않을 때 주영 또는 주멘으로도 불린다. 보이지 않는 무언가라는 뜻으로도 쓰이며 야구의 [[종범(인터넷 속어)|종범]]과 비슷한 의미.
- 일본어 단어를 찾아보기 좋은 사이트 . . . . 3회 일치
* 속어어원사전 http://zokugo-dict.com/
속어의 의미 뿐만 아니라 어원과 변천사에 대해서도 알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2채널 등에서 쓰이는 속어를 정리하고 있다.
- 저변교 . . . . 3회 일치
번역하자면, 조금 옛날 속어로 하자면 ‘똥통 학교’. 요즘 인터넷 속어로 하자면 ‘막장 학교’ 정도가 될 것이다.
저변교(底辺校,ていへんこう)란, 밑바닥(底辺,저변)에 있는 학교라는 뜻이다. 본래 저변은 수학용어이지만, 속어로서 저변은 사회의 하층을 뜻한다.
- 가치제이 . . . . 2회 일치
가치(ガチ)는 속어로 진심, 진지함을 뜻한다. 세이(勢)는 '세력'이라는 뜻인데, 일본어에서는 무리, 군단을 뜻한다. '진심 군단'이라고 볼 수 있다.
[[분류:인터넷 속어]]
- 갸루 . . . . 2회 일치
[[일본어]]에서 1970년대~2000년대 전후하여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패션 경향. [[영어]]에서 젊은 여성을 뜻하는 girl(이건 가루ガール)의 속어인 gal(이게 갸루ギャル)에서 온 외래어. 일종의 문화 코드로 여겨져서, 'Gyaru'라는 표현이 영어에서도도 쓰이게 되었다.
속어류가 다 그렇지만 참 분류하기가 애매한 단어이다. 좁게는 야만바 계열의 패션을 뜻하지만 넓게는 그냥 197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젊은 여성들 사이에 유행했던 거의 모든 패션이 갸루라고 불린다.
- 딴따라 . . . . 2회 일치
[[연예인]]을 뜻하는 비속어. 주로 가수나 코미디언처럼 무대 공연을 하던 예능인들에게 쓰던 말인데 TV시대가 되면서 Tv에서 활동하는 연예인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분류:비속어]]
- 박명수(MC) . . . . 2회 일치
이에 대한 이야기는 2012년 MBC 연예대상에서 강호동이 박명수와 인터뷰를 하면서 한번 더 나왔는데 박명수 말로는 그날 이후로 트라우마가 쌓였다고 한다. 참고로 박명수의 이날 증언에 의하면 '오늘은 좋은날' 하던 시절에 그랬고, [[이경규]]도 그 사건을 목격했다. 강호동은 박명수가 계속 이 이야기를 떠들고 다닌게 부담스러웠던 터라, ~~억지미소~~ 과하게 웃으면서, "역시 개그맨은 틀리다. 없는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 만든다."라고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실제로 당황한 모습을 애써서 감추려는 강호동 뒤에서 유재석이 식은 땀을 닦아주는 모습이 계속해서 비쳤다.[* 당연하지만, 강호동이 박명수의 멱살을 잡는 일은 없었다. 2012년 MBC 연예대상 중에 생방송 인터뷰였는데, 멱살을 잡거나 비속어를 쓰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사실 욕설 구설수는 무한도전 초기에도 있었다. 서울구경특집 촬영 당시 멤버들 집에 방문했는데 이때 사전 연락같은게 없었던 모양인지 너무나 이른 아침 일찍 벨을 누른 제작진에게 박명수가 욕을 했고, 당연히 편집되었다. 편집되고 재촬영 때는 박명수가 너무나 어색하게 제작진을 반겨 누가봐도 재촬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을 정도[* 이후 2007년 12월 22일 방영된 크리스마스 특집에서 유재석이 그거 박명수가 욕을 해서 재촬영 한거라고 언급했다.]였으나, 해당 원본 동영상이 공개되지는 않아서 구설수에 휘말리지는 않았다. 멤버들도 종종 '엄청 웃긴 상황이 나왔는데 명수형이 욕을 하는 바람에 그냥 버린게 좀 많다'고 증언하고,[* 예전에도 김태호PD가 자막으로 욕한거모았으면 어마어마한 양이 됐을 거라며 까는 자막을 깔기도했다.] 해당 유출본에서도 욕하는 박명수에게 멤버들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것을 보면 평소에도 자연스럽게 욕이 터지는 것으로 보인다. 돈가방 100빡빡이 특집 때도 자신이 궁지에 몰리니 대뜸 "야 이 미X놈아!"라고 하질 않나, 한글 특집 관찰 카메라에서 비속어를 '''26개'''나 쓰지 않나[* 다른 멤버들은 10개 이하였고 그나마 많은 하하는 17개. --그 때 하하는 열받아서 욕이 많이 나온 건데 박명수보다 적으니--]...~~유재석 : 이 형은 욕이 기본 소프트웨어에요~~
- 사고물건 . . . . 2회 일치
일본의 부동산 속어.
[[분류:일본 속어]]
- 삼고 . . . . 2회 일치
[[일본]]의 속어.
[[분류:일본 속어]]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믹스테이프의 경우 사용되는 어휘가 대체로 수위가 높은 편. 정규곡에선 자유롭지 못한 약간의 욕설, 비속어나 은어 등의 사용이 많은 편이며 일부 팬들은 이를 조각 모음하여 영상으로도 만들기도 한다. 다만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비속어의 사용으로 가사 전달이 훨씬 솔직하면서도 강렬하게 느껴진다.
- 스네이크 . . . . 2회 일치
== 일본의 인터넷 속어 ==
일본속어사전
- 오카마 . . . . 2회 일치
남성 동성애자, 여장 남자 등을 뜻하는 속어이다.
* 에도 시대에 오카마는 항문을 의미하는 속어였다. 이것이 변하여 항문성교를 하는 여장 남창을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
- 이센고린 . . . . 2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징집병을 칭하던 속어. "니센고린"라고도 한다.
당시 [[일본군]]이 징집 통지서를 보낼 때 가격이 2센 5린이었기 때문에 붙은 속어다. [[태평양 전쟁]] 관련 서적들[* 제임스 브래들리의 "플라이보이스", "아버지의 깃발", 이에나가 사부로의 "Pacific War, 1931-1945" 등등]에서는 이 금액에 "1페니 보다 적다,"라는 프레스기로 찍어낸 듯한 설명을 붙여준다.
- 지소 . . . . 2회 일치
비하적인 의미가 강하며, 한국의 인터넷 속어로는 '애자'와 비슷한 뜻이다. 물론 이런 속어들이 그렇듯이, 멍청한 행동을 하는 사람에게도 쓰이는 말이 되었다.
- 진학교 . . . . 2회 일치
속어이므로 정의가 엄격한 말은 아니다. 인터넷 상에는 실적을 근거로 만든 랭킹 사이트 같은 것이 운영되기도 했다.
2ch의 속어로는 ‘자칭 진학교(自称進学校)’ 라는 것이 있다. 진학교를 자칭하고 엄격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정작 그 실적은 진학교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학교를 조롱하는 말이다.
- 키프 . . . . 2회 일치
일본 속어.
키프 군이란 여러 남자와 사귈 정도로 인기있는 여성의 관점에서, 진심을 내고 있는 남성 이외에 연인 미만의 교제를 하고 있는 남자를 뜻하는 말이다. 국내속어로 하자면 어장관리의 물고기. 남자친구 예비군 같은 취급.
- 타히 . . . . 2회 일치
[[일본어]] 속어의 하나. 죽을 사(死)를 [[가타카나]]의 타(タ)와 히(ヒ)로 나눠서 쓴 것이다. 죽을 사 자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2008년 무렵 젊은층에서 속어로 나타났다.
- 텐프레 . . . . 2회 일치
[[일본어]]의 템플릿(テンプレート)의 약자. 인터넷 속어.
사전적 의미로 볼 때 영어에서의 템플릿(Templet, Templete)은 어떠한 판형을 의미하며, IT쪽에서는 좁게는 플로우차트에서 넓게보면 프로젝트 관리상까지 포함해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행해지는 관습 및 서식화된 표준을, 디자인에서는 일반화된 패턴과 믹스[* 글렌체크라든가 스프라이트와 같은 것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등을 가리킨다. 하지만 일본의 속어로는 이런 것과는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JK . . . . 1회 일치
여고생(女子高生)을 뜻하는 속어이다.
- くぁwせdrftgyふじこlp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속어]]
- 농가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 뇌피셜 . . . . 1회 일치
[[분류:인터넷 속어]]
- 데부센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일본 속어]]
- 데키콘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일본 속어]]
- 마루코메 . . . . 1회 일치
== 위의 기업 CF에서 유래한 속어 ==
- 메시우마 . . . . 1회 일치
2채널에서 타인의 불행을 다룬 뉴스에 사용되는 인터넷 속어. 반댓말은 "메시마즈(メシマズ)"이다.
- 메타보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바코드 머리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 불임님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빗치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비속어]]
- 사축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사원과 가축의 [[혼종]]-- 사원+가축을 합친 조어로서, '회사에 길들여진 가축 같은 사원'이라는 뜻이다.
- 소금대응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스베리토메 . . . . 1회 일치
"미끄럼방지"라는 뜻. 속어로는 지망 대학에서 떨어질 때를 대비하여, 안전권으로 쳐두는 대학을 뜻함.
- 스이츠 . . . . 1회 일치
일본속어 사전
- 스피커 아줌마 . . . . 1회 일치
[[일본]] 속어. 딱히 특정 인물은 아니다.
- 시로우토 동정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아라포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40대 전후의 여성을 뜻한다. 40세 전후 35~44세의 여성을 의미하며, 이를 '아라포 세대'라고 부른다.
- 아바즈레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비속어]]
- 아웃 오브 안중 . . . . 1회 일치
기원을 따져보면 원래는 1980년대 일본에서 쓰던 대학생들의 속어에서 비롯된다. 논할 가치가 없다는 ろんがい(=논외)를 보다 강조해서 말하기 위해 영어와 섞어 쓴 게 그 시초다. 하지만 워낙에 일부에서만 사용하던 용어였기 때문에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사실상 사어가 되었는데... 이걸 [[시게노 슈이치]]가 연재했던 [[만화]] [[이니셜 D]]의 애니메이션 판에서 등장인물인 [[이와키 세이지]]가 쓰면서 재조명 된다.
- 야리만 . . . . 1회 일치
한국 속어에서 비슷한걸 찾자면 '걸레'와 비슷한 등급의 단어이다.
- 얀챠 . . . . 1회 일치
* 속어에서 젊은 청소년이나 청년들이 불량하게 구는 것.
- 연령=동정 . . . . 1회 일치
[[분류:속어]]
- 오치 . . . . 1회 일치
[[일본]]의 인터넷 속어. 뭔가를 흥미롭게 관찰한다는 의미.
- 오토메 . . . . 1회 일치
* 일본어속어사전 : http://zokugo-dict.com/27hi/hiotome.htm
- 유토리 . . . . 1회 일치
* 한국에서는 '유두리', '유두리가 있게'라는 속어로 쓰인다.
- 윤종신 . . . . 1회 일치
* 팥빙수 노래 가사 중에 '팥빙수 팥빙수 난 좋아 열라 좋아'라는 소절이 있는데 뒤의 '[[좆나|열라]]'가 비속어라는 이유로 방송 금지 판정을 받아서 방송용으로 '열라 좋아'를 '진짜 좋아'로 수정한 버전도 만들었다.
- 이병후 . . . . 1회 일치
부산민사지방법원에서 재직하던 1972년 5월 17일 부산은행 대표가 청구한 약속어음금 반환소송에서 이자에 대한 이자 청구는 이자제한법에 따라서 무효라고 하면서 원금에 대한 이자만 더해 지급하도록 했으며<ref>경향신문 1972년 5월 18일자</ref> 서울민사지방법원에서 재직하던 1973년 5월 31일 혼인 당사자가 동성동본이라고 하더라도 신고서에 '혼인 당사자는 각각 시조를 달리함'이란 사실만 기재하면 구체적인 입증 소명자료가 없더라도 혼인신고를 받아줘야 한다"고 하여 동성동본 금혼을 규정한 민법을 무력화했다.<ref>동아일보 1973년 6월1일자</ref>
- 이승현(농구선수) . . . . 1회 일치
헌데 오세근이 11-12시즌에 가장 근접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다시 커리어 하이를 갱신할 조짐을 보이고 있고, 15-16시즌부터 시작된 기자들의 과도한 언플때문에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안티팬들이 대거 양산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와중에 아버지의 암투병 소식을 접한 이후 오리온의 경기가 있을때마다 매번 아버지 관련 기사를 쏟아내기 때문에 팬들의 시각도 영 좋지는 못하다. 이런 와중에 동료 포워드들의 활약으로 이승현이 없이도 승수를 착실하게 쌓는 장면이 연출되자 안티팬들은 '''스탯도 오세근보다 낮으면서 고평가를 하는데 [[종범(인터넷 속어)|이승현한테는 보이지 않는 무언가라도 있냐?]]''' 라면서 거품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 지뢰녀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지뢰]] 같은 여자를 뜻하는 말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했거나 별다른 문제를 느끼지 못했지만, 깊이 사귀게 되자 괴상한 성격이나 집착을 드러내며 상대방에게 피해를 입히는 경우이다. [[스토커]] 같은 사례가 포함된다.
- 체육회계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취활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취직활동(就職活動)의 줄임말. 우리말의 취준과 비슷하다. 다만 국내에 국한되는 취준과는 달리, 재취업 등 사회 전반의 취업 활동에 있어서 폭넓게 쓰이는 경향이 있다.[[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81273.html (참조)]]
- 츠츠모타세 . . . . 1회 일치
* 일본속어사전 : http://zokugo-dict.com/18tu/tutumotase.htm
- 카마세이누 . . . . 1회 일치
* 국내의 격투기 속어로서는 [[떡밥]]이라는 용어가 가장 비슷하다.
- 카모 . . . . 1회 일치
[[일본어]]로 [[오리]]라는 뜻. [[속어]]로 [[호구]], [[봉]]을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 카타테 . . . . 1회 일치
본래 한 손을 듯하는 말이다. 한쪽 상대나, 여가나 짬, 혹은 '다섯'이 붙는 숫자의 돈에 대한 속어로 쓰이기도 한다.
- 쿄로충 . . . . 1회 일치
[[분류:일본 속어]]
- 키라키라 네임 . . . . 1회 일치
비상식적이고 특이한 이름을 뜻하는 일본의 속어.
- 타오팡파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타월, 팬츠, 파자마('''タオ'''ル・'''パン'''ツ・'''パ'''ジャマ)를 합쳐서 줄인 말이다.
- 한냐 가면 . . . . 1회 일치
속어로 단순히 한냐(般若)라고 하여, 한냐 가면에 빗대어 [[질투]]와 [[분노]]에 불타는 여자의 모습을 나타내는 뜻으로도 쓰인다.
- 혐저 . . . . 1회 일치
[[일본]]의 속어. 돈벌이는 나쁘다고 하는 사고방식, 혹은 [[부자]]를 증오하고 질투하는 사고방식을 뜻한다. 읽는 방식은 「이야쵸(いやちょ)」「이야모우(いやもう)」「켄모우(けんもう)」등 다양하다.
- 홍명희 . . . . 1회 일치
[[1928년]] [[11월 21일]] 연재되기 시작된 <[[임꺽정]]>은 홍명희의 투옥과 개인 사정 등으로 연재가 4차례 중단됐으며, [[19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된 뒤에는 ‘[[조광]]’에 발표됐다. 이 소설은 토속어 구사가 뛰어나서 ‘살아 있는 최고의 우리말사전’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 소설에 대해 만해 [[한용운]]은 “연재기간의 연장으로는 세계적으로 최고 기록일지도 모른다.”고 말한 바 있다. 훗날 손자 홍석중이 이야기를 마무리지었으므로 대를 이어서 창작한 셈이다. 홍석중 씨가 완결을 발표하기 전에는 미완성 작품이라서, 홍명희가 북한에서 소설을 완성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있었는데, 홍석중의 발언에 따르면 홍명희는 '소설의 결말은 독자들의 생각에 맡겨야 한다'는 생각에 따라 임꺽정을 완성하지 않았다고 한다.
- 흑역사 . . . . 1회 일치
[[분류:인터넷 속어]]
- 히토모도키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비속어]]
11532의 페이지중에 6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