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성리학자"에 대한 역링크 찾기

성리학자의 역링크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김굉필
         '''김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 [[10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 화가로 [[호 (이름)|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ref>[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ref>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ref>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1월 4일 기유 8번째기사 1543년 명 가정(嘉靖) 22년 판중추부사 김안국의 졸기</ref>)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김일손]], [[김전]], [[남곤]], [[정여창]] 등과 동문이었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분류:1454년 태어남]][[분류:1504년 죽음]][[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유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조선의 화가]][[분류:조선의 시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갑자사화 관련자]][[분류:무오사화 관련자]][[분류:연좌제]]
  • 김성수 (1891년)
         '''김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다. [[전라북도]] [[고창군|고창]]출신이며에서 자랐다. 본관은 [[울산 김씨|울산]]이며 조선조 [[성리학자]] 하서 [[김인후]](金麟厚)의 13대손이다. 자(字)는 판석(判錫), [[호 (이름)|아호]]는 인촌(仁村)이다.<ref name="in680">인촌기념회, 인촌김성수전(인촌기념회, 1976) 680페이지</ref>
  • 류순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다. [[사림파]] 출신으로 처음 공신에 책록된 정치인이었다.
         [[분류:1459년 태어남]][[분류:1512년 죽음]][[분류:사상가]][[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조선의 군인]][[분류:과거 급제자]][[분류:한국의 섭정]][[분류:영의정]][[분류:정국공신]][[분류:정난공신 (중종)]][[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분류:조선의 교육인]][[분류:한국의 장군]][[분류:진주 류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훈구파]]
  • 류형원
         |직업=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
         '''류형원'''(柳馨遠, [[1622년]] [[음력 1월 21일]] ~ [[1673년]] [[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다. 본관은 [[문화 류씨|문화]],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이다.<ref>[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622_1_0008347&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2Ffront%2Fdirservice%2Fppl%2FviewDocumentPpl.jsp%3FpLevel2Name%3D&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622_1_0008347&pPplCount=&pOrderByType= }}</ref> [[한성부|한성]] 태생으로 벼슬을 하지 않고 전국의 명승지를 유람하며 학문에 일생을 바쳤다.<ref name="글로벌 유형원"> 《[[글로벌 세계대백과]]》〈[[: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유형원|유형원]]〉 </ref>
         [[분류:1622년 태어남]][[분류:1673년 죽음]][[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조선의 실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군사학자]]
  • 유형원
         |직업=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
         '''유형원'''(柳馨遠, [[1622년]] [[음력 1월 21일]] ~ [[1673년]] [[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다. 본관은 [[문화 류씨|문화]],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이다.<ref>[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front/dirservice/ppl/viewDocumentPpl.jsp?pLevel2Name=&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622_1_0008347&pPplCount=&pOrderByType=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dirservice/dirFrameSet.jsp?pUrl=%2Ffront%2Fdirservice%2Fppl%2FviewDocumentPpl.jsp%3FpLevel2Name%3D&pLevel3Name=&pAgeCode=&pAgeName=&pGanadaFrom=&pRecordID=PPL_6JOb_A1622_1_0008347&pPplCount=&pOrderByType= }}</ref> [[한성부|한성]] 태생으로 벼슬을 하지 않고 전국의 명승지를 유람하며 학문에 일생을 바쳤다.<ref name="글로벌 유형원"> 《[[글로벌 세계대백과]]》〈[[: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유형원|유형원]]〉 </ref>
         [[분류:1622년 태어남]][[분류:1673년 죽음]][[분류:조선의 철학자]][[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조선의 실학자]][[분류:조선의 성리학자]][[분류:군사학자]]
  • 이제현 (1288년)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다. 초명은 지공(之公), [[자 (이름)|자]]는 중사(仲思), [[호 (이름)|호]]는 익재(益齋), 역옹(櫟翁), 실재(實齋)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 (고려)|이진]](李瑱)의 아들이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派祖)이다.
         고려 말의 [[유학자]]이자 [[성리학자]]이며, [[공민왕]]의 후궁 [[혜비 이씨]]의 친정아버지였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와 [[조선]]의 [[사림파]]의 학문적 선조로서, 성리학을 들여와 발전시켰으며, 그의 문하생 목은 [[이색]]은 후일 [[정도전]], [[조준]], [[남은]], [[정몽주]], [[길재]]로 학파가 나뉘게 된다. 그림과 서예에도 능하여 그림과 서예작도 남겼고, 평론서인 [[역옹패설]] 등과 많은 산문, 시문 등을 남겼다. [[백이정]], [[권부]]의 문인이다.
         [[분류:1287년 태어남]][[분류:1367년 죽음]][[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문하시중]][[분류:고려의 성리학자]][[분류:고려의 철학자]][[분류:고려의 외교관]][[분류:고려의 시인]][[분류:고려의 역사가]][[분류:고려의 서예가]][[분류:고려의 부원군]][[분류:고려의 화가]][[분류:고려의 저술가]][[분류:고려의 공신]][[분류:한국의 사상가]][[분류:과거 급제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14세기 한국 사람]][[분류:경주 이씨]][[분류:14세기 시인]]
11830의 페이지중에 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