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 -9,7 +9,7 @@
|| '''종교''' ||<(> [[불교]] ||
|| '''데뷔''' ||<(> [[1961년]] [[MBC]] [[라디오]] - 웃겨 보세요 ||
[목차]
|| '''데뷔''' ||<(> [[1961년]] [[MBC]] [[라디오]] - 웃겨 보세요 ||
||<-5><tablebordercolor=#ff2000><#FF2000><table width=100%><:><tablealign=center> {{{+1 MBC 방송연예대상{{{#ffffff 방송대상 코미디 부문}}} ''' {{{#ffffff ''' 최우수상 ''' }}} }}} [* [[1995년]]부터 [[2000년]]까지는 '''MBC 코미디대상''', [[2001년]]부터 '''[[MBC 방송연예대상]]'''으로 바뀌었다.] ||
||<-5><tablebordercolor=#ff2000><#FF2000><table width=100%><:><tablealign=center> {{{+1 MBC 방송연예대상{{{#ffffff 방송대상 코미디 부문}}} ''' {{{#ffffff ''' 최우수상 ''' }}} }}} [* [[1995년]]부터 [[2000년]]까지는 '''MBC 코미디대상''', [[2001년]]부터 '''MBC 방송연예대상'''으로 바뀌었다. ||
||<width=25%><:> -[* 첫 시상식] ||<:> {{{+1 → }}} ||<width=25%><#FFFFA1><:> '''서영춘[br](1984)'''||<:> {{{+1 → }}} ||<width=25%><:> [[김병조]][br](1985) ||[목차]
이름 | 서영춘(徐永春) |
출생 | 1928년 8월 25일, 전라북도 임실군 |
사망 | 1986년 11월 1일(만 58세) |
가족 | 11남매(7남 4녀)중 다섯째br자녀: 첫째 서현선, 둘째 서동균 |
종교 | 불교 |
데뷔 | 1961년 MBC 라디오 - 웃겨 보세요 |
MBC 방송연예대상{{{#ffffff 방송대상 코미디 부문}}} {{{#ffffff 최우수상 }}} [* 1995년부터 2000년까지는 MBC 코미디대상, 2001년부터 MBC 방송연예대상'''으로 바뀌었다. | ||||
-[1] | → | 서영춘br(1984) | → | 김병조br(1985) |
목차
개요 ¶
전설적인 한국 1세대 희극인으로 1960~1970년대 한국 코미디계의 1인자 중 한 명.
한국의 코미디언. 1세대 코미디 트로이카(서영춘, 구봉서, 배삼룡)중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린 전설적인 코미디언이다. 다만, 이들 중에서 가장 늦게 데뷔하고 가장 먼저 단명했다. 이주일을 시작으로 전성시대를 맞이한 1980년대 코미디계에서 다른 2명과 다르게 원로 코미디언으로 활약을 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원래는 극장가 화공 출신으로, 어느날 무대에 출연할 예정이었던 배우 한 명이 사정으로 불참하면서 악극단 단장의 제의를 받고 대타로 출연하게 되었는데 이 때부터 발군의 실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계기로 악극단 단원배우가 되었으며, 1950년대 악극 활동을 통해서 세간에 알려졌다.
1961년 MBC의 개국과 더불어 방송가에 입문하였다. '웃으면 복이와요' 등 에 출연하면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를 계기로 60년대에 스타덤에 오르며 당대 최고의 코미디언 구봉서를 능가하는 인기를 얻었다. 60년대를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까지 이어졌던 그의 극장식 패키지쇼. 이른바 서영춘쇼 또한 큰 히트를 치게 된다. 당시 별명은 살살이.
1970년대 중반 TBC로 자리를 옮기며 고전 유모어극장 등을 통해서 70년대 중후반 부터, 80년대 초반 이주일이 등장하기 전까지 한국 코미디계 부동의 1인자 자리를 유지하였다. 1960,70년대 구봉서, 배삼룡 등과 코미디 트로이카로서 인기를 나눠 가졌다고는 하나, 당시를 아는 사람들에게 그들 중 누가 1인자였냐고 묻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영춘을 첫 손가락으로 꼽을 것이 분명하다. 여담으로, 이주일의 재능을 가장 먼저 알아본 사람도 바로 서영춘이었다고 한다. 어느 날 방송국 대기실에 들어온 이주일을 본 서영춘은 속으로 '저 놈 방송에 나오면 무조건 뜬다!'라고 예상했는데, 약간의 곡절을 겪은 후 그의 예측은 적중했다.
다만 전성기 시절에 관한 부분은 더욱이 자세히 봐야 하는것이 서영춘이 구봉서, 배삼룡보다 데뷔 시기나 주목받은 시기가 확실히 눈에 띄게 늦은 편이다. TV 방송 이전 악극단, 영화 시절 그리고 웃으면 복이와요 초창기 시절만 보더라도 메인은 서영춘이 아닌 구봉서, 배삼룡이었다. 실제로 웃으면 복이와요 초기 오프닝을 보면 배삼룡, 구봉서의 이름이 맨 처음에 등장하고 이 두 명을 중심으로 오프닝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1969년 당시 웃으면 복이와요 오프닝 링크
사실상 말이 트로이카지 사실상 구봉서, 배삼룡의 인기가 조금 식어갈 시기에 서영춘이 원톱급으로 발돋움한 시기가 맞물렸으며 사실상 당시를 보면 완전한 트로이카 체제보다는 구봉서, 배삼룡 - 서영춘으로 이어진 세대교체로 봐도 좋을 정도였다.[2] 즉, 시대적으로 약간의 개인차가 있었을 뿐 누구 한 명이 어느 특정 시대에 완전히 압도했던 상황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 정확하다. 그리고 이들이 엎치락 뒤치락 하던 시기가 한동안 지속되던 때에 다들 알다시피 어느 얼굴천재가 홀연히 나타나 모든것을 뒤바꿔 버렸으니....
서영춘은 특히 무대 위 애드립에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희극인이었다. 변화무쌍한 얼굴 표정과 판타스틱한 특유의 슬랩스틱 코미디로 누구도 흉내내기 힘든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TV가 대중화되면서 실질적으로 1세대가 된 당시 악극단 출신 코미디언들 대부분이 그랬듯, 연기 패턴은 왜정 시대부터 내려온 악극, 만담에서 출발한 것이 많고 내용도 일본 것을 그대로 번안한 것이 꽤 있었다. 예를 들어, 서영춘이 공중파에서 선보였던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치치카포 사리사리센타 워리워리 세브리깡 무두셀라 구름이 허리케인에 담벼락 담벼락에 서생원 서생원에 고양이 고양이엔 바둑이 바둑이는 돌돌이" 어쩌고 하는 긴 이름 가진 아이 이야기도 일본 설화에 바탕을 둔 것이다.
사실 70년대까지는 우리 나라 문화 예술에서 6.25 동란 이후 일찌기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일본의 그림자가 짙던 시절이라, 웃으면 복이와요나 고전 유모어극장 같은 공중파 프로그램까지 일본 방송의 내용을 대놓고 똑같이 베껴 쓰던 때였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이 세운 극장에서 공연을 하던 배우들이 TV시대가 되면서 TV에 등장한 것도 중요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서영춘을 비롯한 당시 코미디언들이 독창성 면에서 부족한 개그를 하였더라도 폄하할 수만은 없다. 일단 악극도 연주와 노래 개그가 들어가는 뮤지컬 비슷한 형식이지만 분명히 순발력과 암기력이 필요한 연극이었기 때문에 연기력은 필수였고, 노래와 춤도 대충 해서는 안 되었던 분야였다.
서영춘은 바보 연기에 특화된 배삼룡, 노래와 신체 조건을 이용한 개그가 장기였던 이기동, 미남 역을 자주 담당했고 선역과 정극 연기도 능했던 구봉서와 달리 강한 개성으로 어필하였다. 특히 얼굴 표정 연기에 능하였고 연기도 두루 잘 하는 편이었으며 영화에서도 활약했다. 예외로 미국 물(미군 8군 무대)을 먹은 곽규석이 미국식 스탠딩 개그와 성대모사, 남보원 백남봉은 성대모사를 장기로 한 쪽이다.
슬랩스틱과 간신 수염 분장, 표정 연기를 장기로 해서 그렇지, 분장하지 않은 모습은 키도 큰 편에 얼굴이 희고 훤한 미남형이었다. 서영춘 사후 개그계의 미남 미녀로 꼽히던 아들 서동균과 딸 서현선을 보면 피는 못 속인다는 것을 알수 있다.
60년대 극장쇼 무대에서 콤비로 활약했던 백금녀[3]와 함께 한 음반. 이런 음반엔 주로 재미있는 가사의 노래가 들어갔는데, 노래만 들어 있는 것이 아니고, 꽁트, 개그가 들어가 있기도 했다. 서영춘의 대표작 "시골영감 서울 가는 기차..."노래가 이런 판에 들어간 종류.
그러나 사적으로 음주를 자주 하는 영향으로 간(肝) 건강이 나빠져 간암 발병으로 긴 시간 병고(病苦)를 치루었다.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의 유명한 일화가 있는데, 어느 날 단체로 문병 온 후배 코미디언 중 심형래[4]의 낯빛이 유독 어둡길래 서영춘이 "형래야, 요새 어떻게 지내냐?" 라고 안부를 물었는데 심형래가 무심코 "네 선생님, 죽지 못해 삽니다"라고 대답하자 "너는 죽지 못해 사냐? 이놈아! 나는 살지 못해 죽게 생겼다!"라며 일갈했고, 이 한마디에 병실에 있던 후배들은 울지도 웃지도 못한 채 꺽꺽댔다고 한다... 게다가 서영춘이 세상을 떠난 후 영결식에서 후배 개그맨 엄용수가 "살살이 고 서영춘 선생님께서는 생전 국민들의 웃음과 즐거움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셨고, 대표적인 유행어로 요건 몰랐지 가갈갈갈, 붑빠라밥빠 붑빱빠,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고뿌(컵)가 없으면 못마십니다,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찌개백반..." 이라는 내용의 고인 약력을 눈물을 삼키며 읽어 내려가는데, 정작 조문객들은 슬픈 분위기임에도 평소 서영춘의 우스꽝스러운 연기가 생각이 났는지 키득키득 거렸다고... 죽어서도 사람을 웃기는 역시 뼈그맨
결국 앞서 말했듯 서영춘은 병마를 이기지 못한 채 1986년 11월 1일 향년 59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본래 처음부터 배우를 꿈꾼 것이 아니다 보니 무대 체질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서 긴장을 풀 요량으로 늘 술을 한 잔 마신 후 공연에 임했는데 그게 지나치게 심해져서 결국 중독 수준에 이르렀다고.
게다가 사적으로 구봉서와는 호형호제 하는 사이였는데, 한때 주당으로 유명한 구봉서가 싫다는 서영춘을 억지로 술자리에 매번 데려갔다고 한다. 훗날 구봉서는 개신교에 귀의해 술을 끊었고, 뒤늦게서야 서영춘의 음주습관을 말리려 했으나 너무 늦은 뒤였다. 이 때문에 구봉서는 이를 두고두고 애통해하며 그때 서영춘을 억지로 술자리에 데리고 다녔던 것을 크게 후회했다고 한다.
한번은 구봉서가 서영춘의 건강을 걱정하며 술을 끊으라고 충고하자, 서영춘은 '형님이 나를 이렇게 만들어 놓고 무슨 소리를 하는 거요!'라 대들었다. 구봉서는 그 말을 듣고 너무 미안해서 아무 말도 못하고 뒤돌아 울었다고. 참고로 서영춘이 사망한 다음날(1986년 11월 2일)은 하필이면 구봉서의 환갑 날이었다. 구봉서는 이를 회고하는 언론 인터뷰에서 '자식들이 마련해준 환갑 잔치인데도 도무지 웃음이 나질 않았다'라고 회고하였다.
서현선 | 서동균 |
코미디언으로 활동하던 시절 크고 작은 스캔들도 있었는데 그 중에는 행사에 지각했다고 지명수배(...)가 내려진 일도 있었다. 이 행사가 다른 행사도 아니고, 경찰의 날(1965년 10월) 행사의 사회자로 참석해야 했는데 그걸 지각한 것. 21세기 현대에도 이런 대형 행사에서 지각하면 방송인으로서 보통 문제가 아닌데 하물며 살벌한 독재 정권 시대에 이랬으니...... 겨우 서영춘이 행사장에 도착하자 당시 참석했던 종로경찰서 서장이 너무 열받은 나머지 행사가 끝난 직후 서영춘을 직접 불구속 입건 조치해버렸다. 죄목(?)은 사기 혐의.
----
- [1] 첫 시상식
- [2] 정확히는 악극단 시절부터 70년대 초까진 구봉서, 배삼룡이 우위였고 70년대 중후반 경부터 서영춘의 우위라고 보는 것이 맞다. 다만 서영춘 역시 악극단 시절부터 최고의 톱스타였으며 구봉서, 배삼룡 역시 70년대 중후반에도 전성기를 구가했다. 이렇듯 전성기 시절 3명이 팽팽하게 인기를 가져갔으며 트로이카라는 말이 괜히 나온것이 아니다.
- [3] 악극단 출신의 코미디언. 드센 뚱녀 컨셉으로 1960-1970년대까지 큰 인기를 끌었고, 음반도 취입했다. 이국주와 흡사한 외모의 소유자이며 노래도 매우 잘 해 지금의 이국주보다 훨씬 인기가 높았다. 1995년 작고.
- [4] 그런데 이 일화를 얘기하는 사람마다 그 당사자가 다르다. 이경규이기도 하고 최병서가 되기도 하고... 결국 그 당사자만 아는 일일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