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산업"을(를) 전체 찾아보기

산업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33회 일치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0%, 비방 정책 성공률 +1%, 산업 연구 시간 -10%, 비밀 병기 연구 시간 -10%, 자원 비축량 +50%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0%, 보급품 생산량 +10%, 공장 생산 시간 -5%, 소비재 필요량 -15%, 비방 정책 당할 확률 -20%, 반군 지원 당할 확률 -20%, 산업 사보타주 당할 확률 -20%, 산업 스파이 당할 확률 -20%, 연구진 사보타주 당할 확률 -20%, 쿠데타 당할 확률 -50%, 핵무기 사보타주 당할 확률 -50%, 보병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민병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기병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산악병 사단 조직력 회복률 +5%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5%, 공업력 +5%, 자원 생산량 +5%, 공장 생산 시간 -5%, 산업기반 생산 시간 -10%, 소비재 필요량 -5%, 영향력 행사 성공률 +10%, 동맹 성공률 +10%, 협상 성공률 +10%, 영향력 행사 비용 -5, 동맹 제안 비용 -20, 동맹 초대 비용 -20, 동맹 참가 비용 -6, 모든 병력 조직력 회복률 +5%
          * 부정적인 효과: 보급품 생산량 -5%, 공장 생산 가격 +5%, 산업기반 생산 가격 +10%, 자금 생산량 -10%
          * 긍정적인 효과: 공업력 +3%, 에너지 생산량 +3%, 금속 생산량 +3%, 희귀 자원 생산량 +3%, 산업 연구 시간 -3%
          * 긍정적인 효과: 소비재 필요량 -5%, 자금 생산량 +5%, 보급품 생산량 +10%, 육군 첩보 +10%, 육군 첩보 정확도 +1, 산업 첩보 정확도 +1, 산업 스파이 행위 성공률 +1%, 반군 지원 성공률 +1%
          >건설왕은 건설 업계의 유명인사다. 그는 자신의 위치를 건설 산업의 생산성을 높히고 도로, 공항, 해군기지, 그외 산업기반의 건설을 촉진시키는데 사용한다.
          * 긍정적인 효과: 산업기반 생산 비용 및 시간 -15%, 공군기지 생산 비용 및 시간 -15%, 해군기지 생산 비용 및 시간 -15%, 레이더 기지 생산 비용 및 시간 -15%
          >석유왕은 석유 업계의 유력자다. 그는 여러 산업 및 회사에 연줄이 닿아 있다. 그는 석유 채굴과 정제 사업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인물이다.
          * Resource Industrialist(자원산업 전문가)
          >자원산업 전문가는 보통 중공업 분야에서 일하던 민간인으로, 국가 산업을 관리하기 위해 임명되었다. 그는 자신이 있던 석탄 광산을 확장하고 성장시키던 대로 국가를 경영하려 노력한다. 그를 훌륭한 조직자라고 부를 수는 있겠지만, 그는 군수산업의 세세한 부분을 놓치기도 한다.
          * 긍정적인 효과: 공업력 +3%, 에너지 생산량 +3%, 금속 생산량 +3%, 희귀 자원 생산량 +3%, 산업 연구 시간 -10%
          >철강왕은 철강 산업의 중요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위치를 철강 생산량과 판매량을 늘리는데 사용한다.
          >전략 공군 지지자는 유능한 관리자 겸 정치인일 뿐만 아니라 대전략에도 고개를 들이미는 인물이다. 그는 적의 산업을 폭격하는 것이 전쟁에서 이기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긍정적인 효과: 비밀 병기 연구 시간 -8%, 산업 연구 시간 -5%
          * 긍정적인 효과: 공업력 +5%, 에너지 생산량 +5%, 금속 생산량 +5%, 희귀 자원 생산량 +5%, 석유 생산량 +5%, 산업 연구 시간 -5%
          * 긍정적인 효과: 산업기반 생산 비용 및 시간 -15%, 지상 요새 생산 비용 및 시간 -15%, 해안 요새 생산 비용 및 시간 -25%
          * 긍정적인 효과: 불만율 증가량 -15%, 산업 사보타주 당할 확률 -5%, 산업 스파이 당할 확률 -15%, 쿠데타 당할 확률 -25%
          * Industrial Specialist(산업 전문가)
          >산업 전문가는 적의 산업과 경제력의 원천을 연구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인다. 가끔씩 적이 생산하는 물건을 분석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지 알아내기도 한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24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2|초기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을 연구하지 않았을 시 '''{{{#red -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4|반 자동화]]''' 기술 연구시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1.1|소화기 생산]]'''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1|트랙터]]'''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1|라이트 형제와 랭글리의 비행기]]'''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2|초기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3|철제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3|철제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4.1|크래킹]]'''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4.1|탄소 토지개량]]''' 발명 발견시 '''{{{#green +2%}}}'''
          * 동원령으로 인한 산업 충격 '''{{{#green -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1|라이트 형제와 랭글리의 비행기]]''' 발명을 발견하지 않았을 시 '''{{{#red -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17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2|정탄]]'''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5|진보한 야금학]]'''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5|조립 라인]]'''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교체 가능한 부품]]'''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3|Cheap Iron]]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1|정밀 작업]]'''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4|반 자동화]]'''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4|반 자동화]]'''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1%}}}'''
  • 이관섭 (1961년) . . . . 17회 일치
         |직책 =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 2000년 10월 ~ 2005년 1월 : [[산업자원부]] 디지털전자산업과장
         * 2003년 5월 ~ 2005년 1월 : [[산업자원부]] 방사성폐기물팀장
         * 2005년 1월 ~ 2006년 4월 :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정책팀장
         * 2006년 4월 ~ 2007년 4월 :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정책팀장(부이사관)
         * 2009년 9월 ~ 2010년 1월 : [[지식경제부]] 산업경제정책관
         * 2010년 1월 ~ 2011년 5월 : [[지식경제부]] 에너지산업정책관
         * 2013년 3월 ~ 2013년 4월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 2013년 4월 ~ 2014년 7월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 2014년 7월 ~ 2016년 8월 :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직책 =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정몽규 . . . . 11회 일치
         | 소속 = [[현대산업개발]] 회장(1999년 ~ )
         '''정몽규'''(鄭夢奎, [[1962년]] [[1월 14일]] ~ )는 [[현대산업개발|HDC]]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2013년]] 제52대 [[대한축구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2017년 [[국제축구연맹]] 평의회 위원에 당선됐다.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현대자동차]] 회장을 역임했고, 1999년 3월부터 [[HDC현대산업개발]] 회장, 2018년 5월부터 [[HDC]]그룹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설립된 [[종합부동산인프라기업]]이다. 압구정 [[현대아파트]]단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40만여 세대의 주택을 공급했고, 대표사업지로는 ‘[[삼성동 IPARK]]’, ‘[[수원 IPARK CITY]]’, ‘[[해운대 IPARK]]’ 등이 있다. [[주택사업]] 뿐 아니라 [[도시개발사업]]과 [[건축]], [[토목]], [[플랜트]], [[SOC개발사업]] 등 다양한 건설 분야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7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경험을 제공할 것을 목표로 ‘[[풍요로운 삶과 신뢰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든다’는 그룹 철학 선포했다. 현대산업개발은 2018년 5월 투자회사인 HDC와 사업회사인 HDC현대산업개발로 분할하고 정몽규 회장은 HDC 회장으로 취임했다. HDC는 자회사 관리와 부동산 임대사업 등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에 집중하고, HDC현대산업개발은 사업집중 회사로 주택, 건축, 인프라 부문에서 전문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정몽규 회장은 부동산인프라건설을 중심으로 [[제조]], [[유통]], [[IT]], [[레저]], [[서비스]] 등 HDC그룹의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계열사로는 [[HDC]], [[HDC현대EP]], [[HDC아이콘트롤스]], [[HDC아이서비스]], [[HDC현대아이파크몰]], [[HDC영창뮤직]], [[HDC아이앤콘스]], [[HDC호텔아이파크]], [[HDC현대PCE]], [[HDC아이파크스포츠]], [[HDC자산운용]], [[HDC신라면세점]] 등이 있다.
         또한 정몽규 회장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이파크 봉사단원으로 직접 활동하고, 2015년 사회공헌 재단인 [[포니정]]재단을 설립, 기부하며 나눔 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포니정재단]]은 출연금 571억원 규모의 장학재단으로 [[포니정 혁신상]], [[학술지원]], [[장학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1999.03 ~ 현재 : [[HDC현대산업개발]] 회장
         |직책 = [[HDC현대산업개발]](주) 대표이사 회장
  • Victoria II/개혁 . . . . 8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획득
          * 초기 산업
          * 산업 발전: 외국인 고문의 도움으로 기초적인 공장을 몇채 짓는다. 이게 산업 혁명의 시작이 될지도 모르지 않는가?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1|수차 동력]] 기술 획득
          * 산업 건설
          * 산업 건설 없음
          * 산업 건설: 더 진보된 공장을 짓는데 외국인 고문의 도움을 받는다.
  • Victoria II . . . . 6회 일치
         플레이어는 당시 존재했던 여러 국가 중 하나를 선택해 1936년까지 다스리게 된다. 게임의 목표는 산업화를 이루고, 강력한 군대를 구성하고, 국가의 위신을 쌓아 플레이어의 국가를 주요 열강으로 만드는 것이다.
          * Military-Industrial Complex(군산복합체): 육군 기술 연구 +15%, 해군 기술 연구 -5%,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10%
          * Business Schools & Tycoon Capitalism(경영대학과 재벌자본주의): 육군 기술 연구 -10%,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10%, 문화 기술 연구 -10%, 산업 기술 연구 +5%
          * Avantgarde Intelligentsia(아방가르드 지식계층): 해군 기술 연구 -25%, 문화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5%
          * Corporative Industrialism(법인 산업주의): 육군 기술 연구 -5%, 해군 기술 연구 -10%, 상업 기술 연구 +5%, 산업 기술 연구 +15%
  • Victoria II/디시전 . . . . 6회 일치
         ==== Corporative Industrialism(법인 산업주의)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2.1|말라리아 예방]]'''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김재홍 (1958년) . . . . 6회 일치
         * 지식경제부 국무조정실 산업심의관
         * 지식경제부 신산업정책관
         * 2013년 3월 ~ 2014년 7월 :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분류:중앙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위스콘신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정재학 (1856년) . . . . 6회 일치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다 .<ref name="ReferenceA">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7</ref><ref>매일경제 1982년 12월 8일~19일 9면 "재계산맥 대구은행 1~19편"</ref> 조선 말기부터 일제 치하에서는 [[은행]] 경영진들이 [[관료]]나 [[왕실]] 지방 토호 가운데에서 배출됐지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맨주먹으로 일군 자금으로 55세 무렵 [[은행장]]에 오른 경우는 그가 유일하다.<ref name="ReferenceB">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3</ref><ref>서광운, <<한국금융백년 >> (창조사, 1970) p667~670</ref>
         그는 1930년대 말 [[대구은행]] 주식을 대거 매집, 최대주주로 오른다. 그러나 총독부 당국은 그에게 경영권을 주지 않았다. 오구라 다케지스케는 1940년대 들어 은행 쪽에 발을 빼고 전력회사 경영에 몰두하게 된다. [[대구은행]]의 출범 시기는 1913년으로 선남은행 영업 개시후 1년 뒤였다. 대구 지역의 금융산업이 일본인들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경북 일대의 지주 등 민족 재력가들이 뭉쳐 [[대구은행]]을 설립하고 나선 것이다. [[대구은행]]의 설립계획서 제출 시기가 1912년 9월5일로 [[선남은행]] 설립일자인 1912년 9월1일에 비해 4일 뒤였다는 점은 대구 경북 지역 민족자본가들의 위기감을 고스란히 보여준다.<ref>매일경제 1982년 11월 26일 9면 재계산맥 [[대구은행]] 1편</ref>
         그러나 오구라는 행장에 오르지 못한 반면 정재학의 손자인 [[정운용]]은 1940년 4월 27일 열린 이사회에서 대표 이사 (대표취체역) 겸 행장에 선임됐다. 이듬해인 1941년 7월 총독부는 전시금융체제를 강화한다는 이유로 금융기관 정리통합 방침을 밝혔다. 예상과 달리 [[경상합동은행]]은 [[대구상공은행]]과의 합병대신 1941년 8월10일 서울 소재 [[한성은행]]에 흡수 합병됐다. 정운용은 한성은행 주식 1220주를 보유하면서 [[상무]] [[취체역]](상무이사)로 발탁됐다. 해방 후 한국인 최초의 은행장이 되는 계기였다. 오구라는 이에 상심한 듯 은행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본업인 전력산업에 집중한다.
         [[1911년]]에 [[경상농공은행]] 감사역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지역 금융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12년]] 선남은행 취체역, [[1913년]] 대구지주조합 설립위원과 대구전업주식회사 감사역 겸 취체역, [[1915년]] [[조선식산은행]] 상담역, [[1919년]] 계림농림주식회사 상담역, [[1921년]] [[대구은행]] 은행장과 대흥전기 감사, [[1929년]] 경상합동은행 이사 및 은행장과 조선미곡 대표이사, [[1929년]] 수성수리조합 조합장 등 경력이 화려하다.
         정재학은 이 같은 공을 인정받아 그해 일종의 민심 유화책으로 신설된 대구부 부협의회원에 임명되었고, [[1921년]]에는 산업 분야에 대한 자문을 목적으로 설립된 총독부 산업조사위원회 위원으로 발탁되었다. [[1924년]]에는 정7위에 서위되고 중추원 참의가 되었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건물 . . . . 6회 일치
         === 산업 계열 ===
          * 해당 지방의 산업 건물에서 발생되는 부 +560
          * 해당 지방의 산업 건물에서 발생되는 부 +1,250
          * 매 턴 해당 지방에서 산업 건물로 얻는 마을 성장 +1
          * 매 턴 해당 지방에서 산업 건물로 얻는 마을 성장 +1
          * 매 턴 해당 지방에서 산업 건물로 얻는 마을 성장 +2
  • 이희근 (1929년) . . . . 5회 일치
          | 기타 이력 = [[대한민국 국방부]] 촉탁위원 <br/>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br/> [[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보위원 <br/> [[자유민주연합]]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 1983년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 1988년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직위 퇴임.
         * [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11222000817460 Daum 데이터 사전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 [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print&GAL_IDX=111222000817460 네이버 데이터 -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장 이희근 前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 장세용 . . . . 5회 일치
         3. 산업구조 혁신
         - 5공단 한화 LG 국방 산업 공단화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에서는 구미 공단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이 먼저라고 하였으며, 대구는 당연히 폐수 무방류라도 결국 방류되기에 폐수가 완전히 처리되지 않는다고 취수원 이전을 고집한다. 하지만, 대구시의 주장에서 모순되는 점이 하나는 대구 성서 공단에서도 폐수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하려고 하며,[* 당연히 대구가 낙동강 삼각주 주변에 위치한 도시가 아니기에, 대구보다 하류인 부울경도 같은 논리로 취수원 이전을 시도할 수 있다.] 둘은 대구의 차세대 산업 중 하나가 물 산업(...)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성서공단에서 방류된 폐수의 유해물질 농도가 구미공단에서 방류된 폐수보다 높다는 조사가 나오면서 결정타를 먹었다.
         구미 5공단 분양 저조에서는 분양가를 내리고, 업종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분양에 제동 건 쪽인 산업자원부와 홍의락 의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대구취수원은 달성에 있지만, 지역구인 대구 북구 을은 낙동강 물을 이용한다.]이 들어줄지는...
  • 전상우 (1953년) . . . . 5회 일치
         * 1997.01 ~ 1998.03 : 통상산업부 전자부품과장
         * 1998.03 ~ 1998 : 산업자원부 반도체전기과장
         * 1998 ~ 1998.11 :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국 산업기술정책과장
  • 정몽헌 . . . . 5회 일치
         * 1984년 ~ 1991년 현대전자산업 대표이사 사장
         * 1992년 1월 ~ 2000년 5월 현대전자산업 대표이사회장
         * 1986년 철탑산업훈장
         * 1995년 무역의 날 금탑 산업 훈장, 신산업 경영원 올해의 정보통신인상
  • 현재현 . . . . 5회 일치
         * 2006년 금탑산업훈장
         현재현 회장은 1980년대 금융산업의 불모지나 다름없던 대한민국에 선물•벤처투자 등 선진금융기법을 도입해 21세기 국가기간산업인 금융산업의 선진화에 기여하며 제조업 중심의 동양그룹을 종합금융그룹으로 성장시켰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로 인해 종금, 보험, 투신업계에 무려 약 34조 9천억 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었지만, 동양그룹의 모든 금융계열사는 공적자금 지원 없이 스스로의 역량으로 어려움을 이겨냈다. 특히, 동양오리온투자신탁(현 동양증권)은 정부 정책에 적극 협조하여 대우채 등으로 인해 발생한 약 5,000억 원의 고객 손실을 전액 보전해주었다. 사회공헌차원에서 금융업을 제2의 국가기간산업으로 육성해온 현재현 회장의 경영철학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또한 동양생명은 부실한 태평양생명을 인수 합병하여 생명보험사 구조조정에 힘을 보탰다. 2007년 한일합섬 인수 이후 현재현 회장은 레저사업을 동양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기존의 골프장 사업에 리조트사업을 추가하고 강원도 삼척시와 연계한 레저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최근 현재현 회장은 시멘트사업 중심의 그룹 제조부문을 친환경 에너지•자원 개발 기업으로 변화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현 회장은 1989년 그룹 회장 취임 당시 매출 6,000억 원의 동양그룹을 제조•금융•서비스 부문 33개 계열사에 연 매출 9조 2,211억 원 규모로 성장시켰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4회 일치
          * Industrial R&D Investments(산업 R&D 투자)
          * Industrial Production Investments(산업 생산 투자)
          * Industrial Distribution Investments(산업 분배 투자)
          * Import-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수입 대체용 산업)
  • 나폴레옹: 토탈워/러시아 . . . . 4회 일치
          * 야로슬라블(Yaroslavl): 산업 중심지
          * 비쳅스크(Vitebsk): 산업 중심지
          * 로스토프나도누(Rostov-on-Don): 산업 중심지
          * 그로드노(Grodno): 산업 중심지
  • 박근혜 . . . . 4회 일치
         박근혜는 곧바로 조직 개편에 들어갔다. 우선 이명박 정부가 폐지했던 부총리직을 다시 만들었다. [[해양수산부]]를 신설하였고 교육과학기술부를 교육부와 [[미래창조과학부]]로 개편하고,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개편하였다. 또한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국토해양부를 국토교통부로 개편하였다. 그밖에 지식경제부를 산업통상자원부로, 농림수산식품부를 농림축산식품부로 개편하였다.
         박근혜는 연두 기자회견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 밝힌 이후 2014년 2월 25일 취임 1주년을 맞아 대국민담화 형식으로 이를 발표하였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은 고용, 규제, 산업구조 등에 대한 종합적인 구조개혁 방안이다.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으로서 초이노믹스와 더불어 추진되고 있다.
         |아프리카·프랑스 방문, ‘순방 과로’ 관련 보도, 홍기택 전 산업은행장의 ‘청와대·정부, 대우조선 지원 일방 결정’ 인터뷰
         * 2012년 3월 13일 "산업화 과정에서 본의 아니게 피해를 입은 분들에 대해 항상 죄송한 마음을 가져왔다. 그분들께 제가 사과를 드린다" <small>(부산 민방 초청 공동토론회에서)</small><ref name="아시아경제 이경호기자" />
  • 이영세 (1947년) . . . . 4회 일치
         * 1999.12~2000.08 산업기술정보원 원장
         * 1998.05~1999.12 산업연구원 산업정책센터 소장
         * 1991.12~1995.04 산업연구원 부원장
  • 이철우(1955) . . . . 4회 일치
         2018년 9월 4일 한 언론사와 한 인터뷰에서 하락하는 경북 경제의 해법으로 4차 산업혁명을 제시하였다.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 맞추어 포항, 울릉, 울진, 영덕을 중심으로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풍력, 수소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확장에 나서고 농어업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게 스마트팜 혁신 밸리와 스마트 양식장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http://www.etnews.com/20180903000231|[인터뷰]이철우 경북도지사...'동해안에너지클러스터와 4차 산업혁명 일자리 창출']]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3회 일치
          1933년 시나리오의 강대국들이 할 수 있는 정책. 보이지 않는 손이 해결하지 못하는 대공황의 여파를 정부가 해결한다. 자금을 500 쏟아부어 산업효율을 10% 올리고 불만도를 2% 떨어뜨린다. 정치 슬라이더가 중앙 계획으로 한 칸 이동한다.
          * National Industrial Recovery Act(전국산업부흥법)
          아이티의 반미 폭력 행동이 미국인의 사업에 위협이 되는데다가, 아이티 산업의 대부분을 독일인들이 좌지우지하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한 대처를 정하는 디시전이다. 도미니카 공화국과의 마찰을 감수하고 아이티를 괴뢰국화하는 선택지(간섭주의 +1)와 "우린 제국주의자가 아니다!"라고 하고 국민들에게 개까이는 선택지(고립주의 +1)이 있다.
  • 김상훈 (1963년) . . . . 3회 일치
         * 대구시청 섬유산업과장
         * [[2006년]] [[6월]] ~ [[2007년]] [[12월]] : 대구시청 경제산업국장
         * [[2013년]] [[4월]] ~ [[2016년]] [[5월]] : 제19대 국회 전,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김일엽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귀국 이후 수술을 반복하여 재활하였고 방위산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복무하던 중에 [[KBO 리그]] 복귀 유예 기간 규정이 지나 [[대한민국]]에서 활동이 가능해졌고 방위산업체 근무를 마친 후 [[2007년]] [[1월 4일]]에 [[롯데 자이언츠]]에 [[신고선수]]로 입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0278662 롯데, 마이너 리그 출신 김일엽과 계약] - 뉴시스</ref> 하였으며, 주로 중간계투로 등판했다. 1군에는 [[2008년]]부터 올라오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2승 1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 3.21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시즌에 들어서는 선발 투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한시적으로 선발 보직도 겸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아 [[2009년]]에는 승리 없이 5패, 평균자책 7.36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9년]] [[6월 21일]]에 있었던 [[KIA 타이거즈|KIA]]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장했음에도 단 1이닝도 버티지 못하고 5실점하여 강판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6210116 ‘데뷔 첫 그랜드 슬램’ 김현수 “만루포 처음이야!”], 《동아일보》 [[2009년]] [[6월 21일]]</ref> [[2012년]]에는 1군 1경기에 그쳤고 그마저도 대량 실점하여 평균자책 40.50을 기록한 후 방출되었다.
  • 나폴레옹: 토탈워/프로이센 . . . . 3회 일치
          * 우치(Łódź): 산업 중심지
          * 뮌스터(Münster): 산업 중심지 - 건물 없음
          * 글로가우(Glogau): 산업 중심지 - 건물 없음
  • 울릉군 . . . . 3회 일치
         2013년 기준 울릉군 산업별 비중은 기타서비스업이 86.3%, 농림어업 10.9%, 광업제조업 2.9% 으로 울릉군의 산업은 서비스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기타서비스업의 사업체 중 관광업과 연관된 사업체 수는 685개로 서비스업체수의 71.7%를 차지하며, 종사자수는 49.9%를 차지한다. 즉, 주민의 대부분은 관광업에 종사한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2013년 경상북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추계결과 및 분석자료]
         그 외에도 [[LPG]]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해 LPG 배관망을 오는 [[2020년]]까지 구축을 완료될 예정에 있다. 저 멀리 끝자락 남쪽 섬인 [[제주도|이 섬]]은 [[LNG]] 저장 탱크를 [[대림산업]]이 2019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하고 있어, 제주도의 LNG 도입, 울릉도의 LPG 구축을 연계하려는 의도가 있다. 울릉군에 LPG 배관망이 설치될 경우, 기존에는 지금과 같이 [[석유]]와 [[LPG]] 가스 용기를 구매해서 난방 및 취사를 해야 하는 현재와 같은 번거로움도 줄어들고 도시가스 공급을 원활하게 편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차라리 돈을 더 들여와서 전기 보일러, 전기 쿡탑을 설치해서 [[난방]]과 [[취사]]를 둘 다 [[전기]]로 떼우던가..~~
  • 윤진식(국회의원) . . . . 3회 일치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재경직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정부 후반기에는 [[관세청]]장,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차관]] 등을 역임하였다. [[노무현]] 정부 초기에는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한나라당]]에 입당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장관 역임 당시에는 대북송금 특검을 반대할 정도로 꽤 진보적이었다. 기회주의적 면모를 엿볼 수 있지 않을까? 이후 [[서울산업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
  • 이종희 (1942년) . . . . 3회 일치
          | 경력 = 前 [[대한항공]] 총괄담당 대표이사 사장 <br /> 前 대한항공 여객사업본부 사장 <br /> 前 [[인하대학교]] 겸임교수 <br /> 前 [[자유민주연합]] 특임행정위원 <br /> 금탑산업훈장, 프랑스 레종 도뇌르 슈발리에 훈장, 자랑스런 단국인상 등을 수상
         * [[2009년]] 제36회 상공의 날 금탑산업훈장
         * [[2002년]] 제29회 관광의 날 은탑산업훈장
  • 창원시 . . . . 3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가장 많은 5개의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고, [[수원시]]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의원 선거구도 18개로 가장 많다.[* 일반적으로 시의원 선거구는 '가'~'하' 순서로 선거구 기호를 매기는데, 통합되면서 '하'선거구까지 다 채우고도 모자라 '거'에서 '러'까지 매겼다. 참고로 거~러 선거구는 모두 진해구에 있다.] 전반적인 인구는 2010년대 들어 완만한 증가세를 보여 110만을 돌파했지만, 장기적으로 청년층의 인구 감소가 꽤나 심각하게 진행 중에 있다.[* 우선 조선과 기계, 자동차 등의 창원시 경제를 지탱하는 중후장대 산업 성장세가 규모 면에서 한계에 다다르고, 외곽 도로망이 확충되면서 집값이 비싼 창원을 떠나 시계 밖의 장유, 진영 등의 신도시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인구가 유출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마산합포구 지역은 면지구뿐만 아니라 옛 시가지의 노후화 때문에 인구유출이 가속화되고 있기도 하며, 그나마 월영마을에 형성된 학군이나 현동지구 등의 신규 아파트 택지공급이 감소세를 덜어주는 정도다.]
          * 단감 : 창원하면 국가산업단지의 정밀기계공업이 많이 알려져 있어 공업도시로 알고들 있는데 의외로 단감의 전국 최대생산지이다. 북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산하나만 넘어가면~~ 논과 밭이 펼쳐져있고 감나무 과수원과 산에 빼곡하게 심어진 감나무를 볼수 있다. 단감은 창원과 가까운 진영이 전국적으로는 더 많은 지명도를 가지고 있지만 의외로 생산량은 창원이 더 많다. 진영이 더 알려진 이유는 진영에도 단감이 많이 생산되는 이유도 있지만 폐쇄적인 지형의 창원은 유통이 불편해 창원에서 나는 단감을 진영에 가져가 팔아 전국적인 생산지로 진영이 더 알려졌다.
         창원기계공업단지에는 [[장갑차]] 등 무기를 직접 생산하는 [[현대로템]]을 필두로 국내에서 내로라하는 방산업체들이 몰려있어 전시에는 가장 중요한 군수물자 생산기지가 되는 도시다. 이 때문에 전쟁 발발시 서울 다음 폭격 지역으로 지목받기도 한다. ~~그래서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전쟁나면 일단 창원을 뜨라고들 말한다~~ 만약 전시에 이곳이 단기간에 박살나게 되면, [[스타크래프트]]에서 본진 군수공장이나 관문을 장악당했을 때와 똑같은 상황을 현실에서 겪게 될 확률이 높다. 게다가 한국은 땅이 좁은 까닭에, 2차 대전 때 [[소련]]이 [[독일]]한테 진창 두들겨 맞아 막장이 된 상황에서도 생산 시설을 저 머나먼 [[우랄 산맥]]으로 옮겨, [[독일]]군이 진군해 오는 동안 그 새로 만든 생산 시설에서 화기를 뽑아서 막아내는 그런 무리한 일을 하는 게 불가능하므로, 그 방어가 상당히 중요할 수 밖에 없는 도시이다.
  • 창작:바벨 코스트 . . . . 3회 일치
         항구를 바탕으로 성장했으나 공업은 발달하지 않아 도시 성장은 더딘 편이다. 주요 산업은 관광으로, 대공황 시절에 꽃핀 다다이즘과 유사한 성향의 문학과 미술, 연극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고 이러한 문화 수준에 맞게 교육 수준도 꽤 높은 편에 속한다. 인구 분포는 주로 동유럽계 이민자들과 유색인종의 비중이 많고, 서유럽·영국계 백인들과 북미 원주민들은 그에 비해 적은 편이다.
         미국의 국력이 커져가고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음에도 유색인종 비율이 많은 탓에 거점 도시로의 역할이 주어지지는 못했다. 공업이 발달하기는 커녕 해군 부대가 들어서는 일도 없었다. 그저 다른 도시로 가기 위한 경유지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제외하면 어업이나 소규모 상업 정도가 도시의 주요 산업으로 인식되었다. 이후 사람들의 재정 수준이 높아지자 고급 주택이 세워지고 경치 좋은 곳에 별장이 생겨나며 휴양도시로의 이미지가 잠시 생겨났다. 공해도 적고 교통도 그리 나쁘지 않은 곳에서 휴양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한지라 수많은 부유층들이 들어오면서 경기가 활성화되었다.
  • 채형석 . . . . 3회 일치
         1985년 애경산업 감사로 애경그룹에 입사한 후 애경유지공업 대표이사, 애경백화점 수원점 대표이사, 에이알디홀딩스 대표이사, 애경백화점 평택점 대표이사, AK면세점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 [[1985년]] 애경산업 감사, 애경유지공업 감사
         **** 장녀 : 채문선 - 미국 맨해튼음대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애경산업에서 근무했다. [[이운형]] [[세아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태성]] 세아홀딩스 전무와 2013년 결혼했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기술 . . . . 2회 일치
          해당 기술의 청사진이 있으면 연구 속도가 빨라진다. 청사진은 이벤트나 디시전으로 얻거나 산업 스파이 행위로 다른 나라에서 훔칠 수 있다.
          산업 테크에서 계산기를 연구하거나 비밀무기 테크에서 컴퓨터를 연구해 연구 속도를 몇% 단위로 늘릴 수 있다. 디시전이나 이벤트의 영향도 받는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2회 일치
          * Industrial Engineering(산업공학): 아이콘은 공장.
          * Oberschlesien Eisen Industrie AG(오버슐레이엔 강철산업 AG)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유닛 . . . . 2회 일치
          * Logical Strike(병참 타격): 1916년 연구인 "전술 폭격기 발상"을 연구하면 해금. 목표 지역의 적 산업기반을 폭격해 레벨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린다. 공격 대상은 목표 지역 내 제일 적은 적군이 주둔한 프로빈스다.
         >전략폭격기는 제일 큰 항공기 기종으로, 적 지역에 대량의 폭탄을 투하해 산업과 기반시설에 피해를 입히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전략폭격기의 넓은 행동반경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속도는 느립니다. 전투기의 공격에 취약합니다.
  • FN 에르스탈 . . . . 2회 일치
         1960년대에는 자동차 산업에서 완전히 손을 땠다. 대신 엔진 제작사들의 엔진을 조립하는 항공우주분야에 손을 뻗쳤다.
         이후 프랑스 회사인 GIAT(現 넥스터)에게 팔렸다가 왈롱 지역의 소유가 되었다. 이 당시부터 화기 산업을 중점으로 두게 되었다.
  • NEC 코퍼레이션 . . . . 2회 일치
         [[메인프레임]]과 산업용 미니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했다. 현재도 업무용 컴퓨터나 서버 분야에서 일본 최고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PC-9801]] 등 PC-9800 시리즈로 일세를 풍미했다. 개인용 컴퓨터 산업은 레노버에 매각하면서 사실상 접었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2회 일치
          * Industrialized Armament Industry(산업화된 무기 산업)
  • Victoria II/상품 . . . . 2회 일치
         농부에 의해 생산된다. 생산지는 인도에 많다.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4.1|합성 염료]] 발명을 발견했을 경우 염료 공장의 기능공이 석탄을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 산업재 ==
  • Victoria II/정당 . . . . 2회 일치
          정부의 통제 없는 자유시장 지지. 플레이어는 산업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정부가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모든 결정권을 가지길 원한다. 자본가 POP는 국내 산업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곽성문 . . . . 2회 일치
         * 서울시 벤처산업육성위원회 전문위원
         * 제17대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위원
  • 김기섭 (1939년) . . . . 2회 일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아남산업]]에서 근무하다가 삼성계열사로 이직, [[신라호텔]]과 삼성전관 등에서 이사, 상무, 전무 등으로 활동하였다. [[1990년]] [[김영삼]] [[민주자유당]]의 총재특보로 발탁되었으며, 대선 당시 총재특보와 이미지메이킹 등을 담당하였다. [[문민정부]] 출범 후 [[안기부]]의 기조실장과 운영차장을 역임했다.
         * 주식회사 [[아남산업]] 공장장
  • 김민기(가수) . . . . 2회 일치
         이미 중학교 시절에 미술에 뜻을 두고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었지만, 자신보다 일찍 [[서울대학교]] 음대에서 [[피아노]]를 전공하고 있던 셋째 누나의 영향을 받아 [[우쿨렐레]]나 [[기타]] 등을 독학으로 익히면서 음악에서도 재능을 보이기 시작했다. 미술과 음악 모두 포기하기 싫었는지, 대학에 입학한 뒤 고교/대학 동창인 [[김영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디자이너로 현 이노디자인 대표. 무한도전 디자이너 특집에도 나왔던 그분 맞다. [[MYK]]의 부친이기도 하다.]와 [[도깨비]] 두 마리의 약자인 '도비두'라는 포크 밴드를 결성해 본격적으로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김민기의 대학시절, 김민기가 만든 2인조 밴드 '도비두' 의 멤버였던 인물. 김민기와는 절친한 관계라고 한다. 현재는 산업 디자이너로 이노디자인의 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 김성주 (기업인) . . . . 2회 일치
         [[1990년]] ㈜성주그룹을 설립, 글로벌 명품 패션브랜드인 [[구찌|Gucci]], [[Sonia Rikyel]], [[이브생로랑|YSL]]과 영국내 최고 패션 유통회사인 [[막스앤스펜서|Marks & Spencer]]를 국내에 런칭 하며 한국 패션산업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킨 중견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현재 한국 및 이태리 공방에서 제작한 명품을 전 세계 35개국에 수출하며 한국 패션 산업의 글로벌화를 이끌고 있다.
  • 김종훈 (1952년) . . . . 2회 일치
         * 2014년 11월 ~ 2016년 5월 : 제19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2013년 10월 : 새누리당 창조경제특별위원회 의료산업활성화 TF 위원
  • 김현철(교수) . . . . 2회 일치
         || '''약력''' ||<(> 쓰쿠바 대학 부교수[br]일본 경제산업성 연구위원[br]한국자동차산업학회장[br]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br]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br]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장 ||
  • 나폴레옹: 토탈워/영국 . . . . 2회 일치
          * 맨체스터(Manchester): 산업 중심지
          * 버밍엄(Birmingham): 산업 중심지
  • 바나나 공화국 . . . . 2회 일치
         중남미의 소국 가운데 [[바나나]] 등 1차 산업 제품을 대국(주로 [[미국]])에 수출하여 경제가 성립되고 있는 국가를 뜻한다.
         20세기 초, 중남미 각국에 미국 자본에 의한 [[플랜테이션]] 농업이 시작되었으며, 이들 국가의 재정은 미국의 대규모 농업 기업이 좌지우지 하게 되며 정치적으로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바나나 수출을 위하여 [[농장]] 만이 아니라 [[철도]], [[항구]] 까지 미국 기업의 자본으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다른 산업이 변변치 않았기 때문에 미국 자본에 정권이 종속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유나이티드 플루츠(United Fruit) 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2회 일치
         과거부터 존재했던 비밀조직. 암살단과는 천년 전 부터 치고박는 사이였다. 현재는 "앱스테르고 산업"이라는 대기업을 내세우고있다. 조상의 기억을 체험하게 하는 기계인 애니머스를 개발, 암살단의 후예들을 납치해 기억을 탐색했다.
          앱스테르고 산업의 유전 연구 부서 우두머리. 유전학의 권위자 중 하나로 애니머스가 개발되는데 큰 공을 세웠다.
  • 오지철 . . . . 2회 일치
         * 1997.01 ~ 1999.06 : 문화관광부 문화산업국 국장
         * 2005 : 2010게임산업전략위원회 위원장
  • 유승옥 . . . . 2회 일치
         ||<:><#ffdae0>'''{{{#white 학력}}}'''||<#ffffff>[[공주대학교]] 생물산업공학과 학사(졸업)||
         [[1990년]] [[6월 21일]]에 태어났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출신이다. [[공주대학교]] 생물산업공학과를 졸업했으며, 교생으로 수업을 가르친 적이 있다.
  • 의성군 . . . . 2회 일치
         [[안동시|안동]] 생활권에 들어간다. 덕분에 과거에는 나름 교통의 요충지이며 농업이 주 산업이었던 1960~1970년대에는 지금보다 인구가 훨씬 많았기 때문에 의성군 내 탑리, 도리원, 안계같은 버스터미널은 의외로 규모가 있는 편이다.
         그러다가 [[7회 지방선거]]의 경북도의회 의성군 1선거구에서 오랜만에 민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됐는데 이 지역에서 한우축산업을 하다가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로 당선된 [[김현권]] 국회의원의 아내였다.
  • 이소선 . . . . 2회 일치
         * 1975년 11월 영등포도시산업선교회 창립 7주년 공로상<ref name="연표" />
         * 1975년 11월 23일 영등포도시산업선교회 창립 7주년을 맞이하여 공로상 받음.
  • 이시종 . . . . 2회 일치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산업자원위원회]] 위원
  • 이장섭 . . . . 2회 일치
         '''이장섭'''([[1963년]] ~ )은 [[대한민국]]의 시민사회 운동가 출신 정치인, 공무원이다. [[1986년]] [[민주화운동협의회]] 충북지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한 뒤 시민단체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국회의원 [[노영민]]의 보좌관, 국회의장 비서실 비서관 등을 역임했고, 18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자 캠프에서 활동하였다. [[2017년]] [[5월 11일]] [[문재인]]이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자 [[청와대]] 경제수석실 산하 산업정책비서관실 선임행정관(2급 [[이사관]]급 상당)에 임명되었다.
         * [[2017년]] [[6월 10일]]<ref>[http://news.joins.com/article/21653324 충북 출신 이장섭·유행렬 청와대 비서실 '입성'] 중앙일보 2017.06.10.</ref> ~ [[2017년]] [[11월]] [[문재인 정부]] [[청와대]] 경제수석실 산하 산업정책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사관]]급)
  • 이종배(국회의원) . . . . 2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소속위원회}}}'''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bgcolor=#C9151E> '''{{{#FFFFFF 현직}}}''' ||<(> [[제20대 국회의원]][br][[자유한국당]] 대외협력위원장[br]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간사 ||
  • 이효정(남배우) . . . . 2회 일치
         || '''소속''' ||<(> 대전문화산업진흥원 (원장) ||
         2006년부터는 연기 외에도 드라마 제작 사업에도 뛰어들며 SBS 드라마 내겐 너무 완벽한 그녀, [[식객(드라마)|식객]] 등의 작품들을 기획하였으며, 2010년에는 한국방송연기자협회 이사장을 역임한 바 있고, 2011년부터는 대전문화산업진흥원장을 역임 중이지만, 본업인 연기자로서도 각종 드라마에 출연하며 왕성하게 활동한다.
  • 장우석 . . . . 2회 일치
         *경북산업정보전문학교 웹멀티미디어과정 수료 (3기)
         [[1977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음력 [[1976년]] 11월 20일)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경북산업정보전문학교 웹멀티미디어과정 3기를 수료했다.
  • 전순옥 . . . . 2회 일치
         | 소속상임위 = [[산업통상자원위원회]]
         * 2013.04 ~ 2016.05 : 제19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
  • 전예용 . . . . 2회 일치
         }}</ref>)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이다.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총독부 사회과장, 황해도청 산업부 농업과장, 경성세무서 서무과속, 개성세무서속 등을 거쳐 경기도 광주군수를 지냈다. 해방 후에는 미군정 학무국장 보좌관으로 근무했으며 고려대 강사를 지내기도 했다. 정부 수립 이후에는 외무부 통상국장이 되었다가 [[서울특별시 부시장]]이었고 [[6.25 전쟁]] 중 [[서울특별시장]] 직무대리를 역임했다.
         [[일본]]에 유학하여 [[규슈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였다. 일제 강점기 동안 군수직과 [[조선총독부]] 사회과 과장, [[황해도]] 산업부 농업과장 등을 지냈다.<ref>{{뉴스 인용
  • 정몽근 . . . . 2회 일치
         * 1974.01 ~ 1974.04 금강개발산업 이사
         * 1987.01 ~ 2000.03 금강개발산업 대표
  • 정수성 (야구인) . . . . 2회 일치
         *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초당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
  • 정재안 . . . . 2회 일치
         [[성공회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전공을 하였다. 현재는 [[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당 직능위원회 부위원장]]이며, 또한 한국재활용산업 발전을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7072156435&code=990402</ref>,등 다수의 글을 게제 하였고, 여러 다른 언론 매체를 통해서도 재활용산업의 현 주소와 문제를 알리고 개선하는 노력에 앞장서고 있다.
  • 정칠성 . . . . 2회 일치
         [[1931년]] [[신간회]]가 해산된 뒤에는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에서 상업에 종사하였다. 이 기간 중 광산 산업 주변에서 사무원으로 일하는 등 사회운동과는 떠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ref>{{서적 인용
         [[1931년]] 경성, 평양, 대전, 전주, 대구, 통영의 공회당에 초빙되어 편물과 수자수 강습으로 받는 강사료로 생계를 유지했다. 잠시 광산업 사무원이 되었다가 그만두기도 했다. [[1931년]] [[신간회]]가 유야무야되자 신간회 해소론에 반대하였으나 묵살당했다.
  • 창작:왕국 . . . . 2회 일치
         대부분의 도시는 북쪽 해안에 몰려있으며, 남쪽의 사막 지역은 비교적 인구수가 적다. 남쪽과 북쪽은 다른 나라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기후, 주요 산업, 인종, 치안, 인프라 수준 등이 다르다.
         == 산업 ==
  • 청송군 . . . . 2회 일치
         == 산업 ==
         그리고 표고버섯, 고추, 약대추 등도 재배되며, 그 외에 [[수석#s-2|꽃돌]], 옹기, 한지, 농산물 가공품 등이 생산되며, [[주왕산]] [[국립공원]] 인근에서 [[관광]][[산업]]도 이루어진다.
  • 최공웅 . . . . 2회 일치
         * 2005년 ~ 2008년: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회장, 일본 데쯔까야마대학 외부평가 위원, 남북상사중재위원회 위원
         * 2007년 ~ 현재: 대한상사중재원 중재 CEO아카데미 원장,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초빙교수 (국제사법,지적재산권), 한국중재학회 고문,한국국제사법학회 명예회장, 국산업재산권법학회 명예회장, 대한중재인협회 고문
  • 추경호 . . . . 2회 일치
         * 2017년 12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4차 산업혁명특별위원회 위원
         * "선택과 집중으로 녹색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의 효과성을 제고해야 한다. 녹색금융의 저변이 확대됐음에도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확신 부족에 따라 민간참여가 아직까지 소극적이다. 정부와 민간의 적절한 역할배분이 중요하다.“(2012/09/21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2 글로벌 그린성장 포럼’에서)
  • 칼렉시트 . . . . 2회 일치
         캘리포니아는 전통적으로 [[리버럴]] 가치를 추종하며, [[민주당]]을 지지하는 성향이 강하다. 실리콘 밸리로 대표되는 IT 산업과, 헐리우드로 대표되는 문화 산업이 발전하여 세계적으로 대표할만한 지적, 경제적, 문화적 성과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또한 이민자가 많고 인종적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번 . . . . 2회 일치
          * 산업: 산업 건물로부터 얻는 성장 +20%
  • 트로피코 4 . . . . 2회 일치
         무력으로 대통령 각하를 끌어내리려고 하는 시민들. 각하를 지지하지 않는 시민 중 일부가 반란군이 된다. 어딘가에 숨어있다가 일정 주기마다 튀어나와 건물을 공격한다. 보통은 목장, 광산, 공장 같은 산업 건물을 노리지만 대통령 영묘 같은 체제 선전 건물도 노린다.
          * 1986-1989: 항공우주산업의 호황 - 보크사이트의 시장가격이 50% 하락
  • 트로피코 4/건물 . . . . 2회 일치
         == 산업시설 ==
         ||호텔은 대부분의 관광객이 좋아하는 장소입니다, 그러니 지금 몇몇 단골은 잠시 잊고 대규모 관광객에 주목하도록 합시다. 주변에 관광 명소들을 지어준다면 관광 산업의 기본은 깨우치신 겁니다.||
  • 한규식 . . . . 2회 일치
         * [[덕수고등학교|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서울장안초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한복 (1914년) . . . . 2회 일치
         [[1939년]] [[12월 4일]] 부산지방법원 예비판사, [[1940년]] [[5월 31일]] 부산지방법원 판사로 각각 임명되었으며 [[1942년]] [[3월 25일]] 경성지방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 [[1944년]] [[8월 17일]]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 때까지 평안남도 이사관 겸 평안남도 산업산업과장을 역임하면서 고등관 5등에 서위되었고 이러한 경력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사법 부문, 관료 부문에 포함되었다.
  • 한용덕 (시인) . . . . 2회 일치
         '''한용덕'''(韓龍德, [[1987년]] [[12월 18일]] ~) 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현대[[시인]]이다. [[한성대학교]] 학사를 거쳐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재학
  • 함영준 . . . . 2회 일치
         |상훈 = 2006 [[석탑산업훈장]]
         * [[2006년]] [[석탑산업훈장]]
  • 허일상 . . . . 2회 일치
         * [[덕수고등학교|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학동초등학교 동문]][[분류:휘문중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허씨]]
  • 허준 (1981년) . . . . 2회 일치
         * [[덕수고등학교|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서울미양초등학교 동문]][[분류:청량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황수현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제주산업대학교]]를 졸업하고 신고선수 신분으로 입단했다.
         * [[제주산업대학교]]
  • MC메타 . . . . 1회 일치
         ||<:> '''학력''' ||<(> [[홍익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 [[석사]] ||
  • NationTemplate . . . . 1회 일치
         ## == 산업 ==
  • RegionTemplate . . . . 1회 일치
         ## == 산업 ==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1회 일치
          에디슨의 연구소에서 나온 테슬라를 후원하는 사업가. J.P. 모건과 전기 산업을 두고 경쟁한다.
  • UR임대 . . . . 1회 일치
         주택이 부족했던 고도성장기에는 공단주택의 건설의미가 있었지만, 임대주택이 많은 현대에는 미분양도 많아 단순히 '적자산업'에 불과하며, 민간 아파트 경영자가 분양하는 소규모 아파트와 경쟁이 붙어 아파트 경영자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또 UR임대로 난개발이 이루어져서 환경을 파괴하는 사례에 대해서도 비판이 있다. 현대에는 주민들의 노령화 문제와, 유럽마냥 이민자들의 대량 유입으로 슬럼화 문제를 겪고 있는 단지들이 많다.
  • Victoria II/POP . . . . 1회 일치
         자신의 돈으로 재료를 사 상품을 제조한다. 아직 공장을 건설하지 않았다면 원자재 외 상품은 이들이 제조하게 된다. 뭘 어떻게 하는건지는 몰라도 전차와 항공기도 만들 수 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 공장과 기능공들에게 밀려나 쇠락한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 . . . 1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강타 . . . . 1회 일치
         * 2004년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 창립식' 수상 한국문화교류에 힘쓴 국내 연예인에게 주는 표창 수상
  • 경산시 . . . . 1회 일치
         * [[윤상직]] - 현 부산 기장군 국회의원,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권재진 . . . . 1회 일치
         2011년 8월 8일 오전 청문회에서 큰아들이 경기도 포천의 국제나이론이라는 공장에서 실제로 일했다는 명백한 증거라며 지난 2003년 8월 12일부터 2004년 12월 29일까지 포천 농협에서 이뤄진 38번의 입출금 내역을 공개했다. 하지만 아들의 산업기능요원 근무 시기가 2002년 9월부터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계좌 내역은 2003년 8월부터 제출한 것을 두고도 의혹이 증폭됐다.
  • 그랜드 펜윅 공국 . . . . 1회 일치
         == 산업 ==
  • 김경식 (1960년) . . . . 1회 일치
         * 2004.03 ~ 2005.07 : 대통령비서실 산업정책비서관실 행정관
  • 김미숙(1959) . . . . 1회 일치
         || '''학력''' ||<(> 순창고등학교 (졸업)[br][[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전문학사)[br][[경운대학교]] 경영학과 (학사)[br][[동신대학교|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문화산업학과 (석사) ||
  • 김상조 . . . . 1회 일치
         || '''약력''' ||<(> [[한성대학교]] 교수[br][[참여연대]] 재벌개혁감시단장[br]재정경제원 금융산업발전심의회 위원[br]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초빙연구원[br][[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br]경제개혁연대 소장[br]한국금융연구센터 소장 ||
  • 김선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이후 [[웨슬리안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에서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하다가 1969년 귀국하여 과학기술처(현 [[미래창조과학부]]) 연구조정관으로 임명되어 공무원 경력을 시작하였다. 과학기술처, 상공부(현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근무하면서 상공부 [[차관]], 중소[[기업은행]]장, 대한증권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 김성현 (1989년) . . . . 1회 일치
         그러나 대구고 1학년을 마치고 전격적으로 제주 관광 산업 고등학교(현 [[제주고등학교|제주 고등학교]])로 전학을 갔다. 당시 제주관산고의 감독인 [[성낙수]] 감독의 스카웃 및 설득으로 옮겨갔다고 하는데, 후에 고등학교 스승의 인터뷰에 따르면 집안 사정이 좋지 않아 [[제주특별자치도]]로 전학을 갔다고 한다. 이 때문에 전학생 출전 정지 규정에 묶여 1년을 쉬게 된다.<ref>[[빠른 생일]]이지만 다른 1989년생들과 같은 년도에 입단한 이유.</ref> 그리고 이때 [[경상남도]] [[김해시|김해]]에서 같이 제주관산고로 건너와 친하게 된 친구가 바로 전 [[두산 베어스]]의 투수 [[김수완 (야구 선수)|김수완]]. 그 뒤 2년 동안 제주관산고에서 공을 던지지만 특별히 대구고 1학년 시절처럼 주목받지는 못했다.
  •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 . . . 1회 일치
         이후,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1997년 무주·전주 동계 유니버시아드]] [[쇼트트랙]] 여자 1,000m에서 금메달을 딴 뒤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4153531 쇼트트랙 김소희 은퇴] - 연합뉴스</ref> [[계명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웨스턴일리노이대학(West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스포츠마케팅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2012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홍보위원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및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시아올림픽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현장 실사에도 나섰다.
  • 김쌍수 . . . . 1회 일치
          * 금탑산업훈장
  • 김준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신일산업 [[제습기]], [[선풍기]]
  • 김희철(1983) . . . . 1회 일치
         ||<#00239b> '''{{{#ffffff 학력}}}''' ||<(>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방송음악학 (석사) ||
  • 나뭇잎 마을 . . . . 1회 일치
         ## == 산업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4화 . . . . 1회 일치
          * 사건을 해결한 미나는 아무 일도 없던 듯 친구들과 어울리러 간다. 키리시마와 그 친구들은 좀 떨어진 위치에서 모든 장면을 목격했다. 친구들은 "저런 사람이 자연스럽게 되는 거다"라며, 그녀가 웅영고를 지망한다는 정보를 수군댄다. 그녀에 대한 평가는 상당이 높다. 운동신경이나 사교성, 게다가 "강렬한 개성"에 외견까지 눈에 띄는 그녀는 누가봐도 히어로가 될 만한 재목이다. 현재의 히어로 업계는 일종의 연예산업과도 같다. 대중의 인기를 무시할 수가 없는 것이다.
  • 나폴레옹: 토탈워/건물 . . . . 1회 일치
         ==== 산업 중심지 ====
  • 니트로글리세린 . . . . 1회 일치
         처음 발명한 사람은 폭발 사고를 당했고, 산업화를 시도했던 [[알프레드 노벨]]은 이 물건 위험하다는 소리가 돌아서 어디에도 공장을 세울 수 없어서 [[배]] 위에다가 세웠다고 한다. 그리고 니트로글리세린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는걸 알리려고 니트로글리세린에 뜨거운 쇠를 담그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했다고. 그러다가 결국 자기 동생이 니트로글리세린 공장에서 날아가는 변을 당했다(…). 결국 연구 끝에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서 다시 돈방석에 올랐다.
  • 대한민국 . . . . 1회 일치
         == 산업 ==
  • 동북중고등학교 . . . . 1회 일치
         조선소나 산업 단지를 연상시키는 컨테이너 박스들로 건설되었다.영국 사람이 영양사로 근무하는지 김밥볶음밥,떡볶이 스테이크 같은 기괴한 신메뉴들과 굽지 않은 장어구이를 내놓거나 누룽지 속에 김치 덩어리가 발견되는 등 강동구에서 악명높은 급식을 제공한다.
  • 듀폰 . . . . 1회 일치
          * 산업용 보호복
  • 라미란 . . . . 1회 일치
          * 신일산업
  • 릴가민 . . . . 1회 일치
         ## == 산업 ==
  • 마법병 . . . . 1회 일치
          * [[일본]]의 [[보온병]] 제조 업체는 [[오사카]]에 많이 있는데, 당시 오사카에서는 [[유리]] 산업이 발달하여 [[전구]] 제조 등이 활발했고, 이런 기업들이 [[진공]] 기술을 보온병에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메디나 . . . . 1회 일치
         ## == 산업 ==
  • 모레아 전제국 . . . . 1회 일치
         ## == 산업 ==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1회 일치
          라나의 고향으로 농업, 어업, 목축, 수공업등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전원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참사 이전에는 주민들이 농업을 비롯한 1차 산업에 종사하지 않았지만 대참사 이후에는 생존을 위해 농업, 어업, 목축, 수공업등을 시작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다만 국가의 형태를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오로와 같이 전원생활에 대해 불만이 있는 반항적인 청년들이 독자적으로 무리를 이룬 경우도 있다. 17화에서 하이하버를 점령하는 데 그치지 않고 라나를 잡아가려는 데 혈안이 된 인더스트리아 군인들에 의해 점령당하기도 했지만 20화에서는 점령군으로 왔었던 인더스트리아 군인들이 하이하버의 주민이 되어 일을 하며 정착한다. 라오박사의 반중력 비행정이 하이하버에 있었는 데 인더스트리아에서 파르코 비행정에 의해 격추된다.
  • 박보생 . . . . 1회 일치
         김천농림고등학교 졸업 후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김천시청에서 기획실장, 행정지원국장, 사회산업국장, [[경부고속철도]] 김천역 유치 행정지원단장, 예술단 부단장, 인사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 박상규(정치인) . . . . 1회 일치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박소연 (배우) . . . . 1회 일치
         * 청강문화산업대학 뮤지컬과 전임강사( 2007년 ~ 2008년 )
  • 박수영(연극배우) . . . . 1회 일치
         * 《[[개인주의자 지영씨]]》 (KBS2, 2017년) - 부동산업자 역
  • 박승효 . . . . 1회 일치
         * [[화신산업]] 근무<ref name="daeghanj"/>
  • 박연우 . . . . 1회 일치
         | 학력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졸업<br>[[중앙대학교]] 경영학 석사<br>[[중앙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 배상면 . . . . 1회 일치
         대구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농예화학과 졸업하고 1952년부터 대구에서 기린 주조장을 경영하며 1960년 기린 소주를 개발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303181 연합뉴스, 국순당 창업자 배상면씨 별세]</ref> 1983년 [[국순당]]의 전신이 된 배한산업을 설립하고, 1991년 [[백세주]]를 개발했다. 2002년에는 배상면 주류연구소 설립했다.
  • 백일섭 . . . . 1회 일치
         * [[1985년]] [[대선산업]] 맛고 찰고추장
  • 부산광역시 . . . . 1회 일치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있는 르노삼성자동차
  • 부산광역시/인물 . . . . 1회 일치
         * [[심혜진(1967)|심혜진]] - 기장군 기장읍 (기장대로413번길) 한국에너지산업충전소
  • 블랙기업 . . . . 1회 일치
         특히 IT업계에서 주로 쓰이는 단어이며, 트렌드가 엄청나게 빠르게 변하고 또 21세기형 노동집약 산업이 IT업계이다보니 노동환경에 대한 이슈가 많이 나온다. 애초에 이 단어가 현재의 의미로 쓰이게 된 업계가 IT업계다.
  • 빈스 맥마흔 . . . . 1회 일치
         사실 그는 [[게이]]였다. 특히 덩치크고 근육이 많은 근육맨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게이로서, 이것이 그가 레슬링 산업에 빠진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성향을 감추었는데 이는 그가 보수적인 [[공화당]]의 당원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빈스 자신도 모르는 무의식적인 진실이다.
  • 산리오 . . . . 1회 일치
         일본의 캐릭터 산업 기업. 대표적인 캐릭터로 [[헬로키티]]가 있다.
  • 서부개척시대 . . . . 1회 일치
         ## == 산업 ==
  • 서진 . . . . 1회 일치
         ## == 산업 ==
  • 서태식 . . . . 1회 일치
         * 2003년 3월 대통령 석탑산업 훈장
  • 슈퍼걸(드라마)/1시즌 9화 . . . . 1회 일치
         카라는 넌과 싸우지만 밀린다. 행크는 카라를 돕다가 넌에게 납치당한다. 알렉스는 맥스웰 로드에게 협력을 요청하지만 맥스웰 로드는 거절한다. 맥스웰 로드는 클립톤 인의 공격을 은폐하여 산업스파이의 공격으로 별다른 피해는 없었다고 주장한다.
  • 스틸오션/독일 . . . . 1회 일치
         >9C형(Type IXC)은 연료 저장량을 43톤 늘려 항속거리를 증가시킨 추가 개량형이다. 지휘실 잠망경이 사라졌다. 기뢰 부설 작전을 위해 기뢰실을 증설했다. 총 54척의 9C형이 생산되었다. U-505는 시카고 과학 산업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U-511은 전쟁 당시 일본에 넘겨져 RO-500이라는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시장경제지위 . . . . 1회 일치
         정부의 간섭으로 제품 가격을 조정하여 저렴한 가격에 수출할 경우, 수입국의 해당 산업은 큰 타격을 입기 때문에 가격 차별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시장경제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면 반덤핑 규제를 받기 쉽다.
  • 심학봉 . . . . 1회 일치
         이후 이공계에서 활동하였다. [[특허청]] 특허심사관으로 근무하다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실,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거쳤다.
  • 아이린(레드벨벳) . . . . 1회 일치
         위 보도들 이외의 [[http://www.sedaily.com/NewsView/1RX1X3DS3P/GL01|여러]] [[http://www.ziksir.com/ziksir/view/6092|기사들]]에서도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책을 읽었다는 아무런 문제될 것 없는 동일한 행동에 대해 다른 성별이나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유독 여성 아이돌에게만 과도한 비난이 쏟아졌음을 지적했다. 이는 여성 아이돌에게 있어 남성팬은 가장 큰 고객층이고 이들의 반응이 인기 및 수입과 직결되는 서브컬처 산업의 구조 상 [[갑을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 안효민 . . . . 1회 일치
         * 2017.09.18~2017.09.20 EBS 다큐프라임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대혁명> ([[EBS]])
  • 앙주 제국 . . . . 1회 일치
         ## == 산업 ==
  • 양시칠리아 왕국 . . . . 1회 일치
         == 산업 ==
  • 에릭 (가수) . . . . 1회 일치
         * [[2004년]] KT 메가패스, BON, 플러스 마이너스, 삼성 애니콜, [[일본담배산업|JT]], 롯데제과 빈츠, 도미노 피자
  • 역행 . . . . 1회 일치
         게임 산업의 발전과 함께, '게임을 보고 다시 플레이'하는 이미지가 창작물에서 나타난 형태이다. [[2차 창작]]에서 흔히 쓰이며, 판타지나 SF장르에서도 나타나게 된다.
  • 연정훈 . . . . 1회 일치
         * [[명지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 예천군 . . . . 1회 일치
         인구의 대다수가 1차 산업에 종사, 예천읍내 한정으로 상업, 공무원, 교원 종사자가 있다. 그 외에 [[제16전투비행단]]의 영향으로 [[군인]]도 제법 있다. 낙후한 [[군]] 지역이다 보니 상업지역이 빈약하기 때문에, 상당수 사람들은 문경, 안동, 영주 등으로 나가서 일을 해결한다. 풍양면, 용궁면 지역은 상주·문경권에 속해 있으며, 감천면 지역은 영주권에 속해있다. 나머지 지역은 대체로 안동 [[생활권]]에 속한다.
  • 오중기 . . . . 1회 일치
         [[경상북도]] [[포항시]]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인 [[죽도시장]]에서 과일, 해산물 도매상을 하던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형제자매는 2남4녀의 육남매로 가정형편이 어려워 아들 둘만 대학의 진학하고 누나들과 여동생은 일찍이 산업전선에 뛰어들었다. 그도 중학생 때부터 집안일을 돕기위해 과일배달 리어카를 끌면서 죽도시장에서 '''오씨 아들'''로 통했으며 지금도 상인들이 반겨준다고 한다.
  • 요시다 세이지 . . . . 1회 일치
         아사히 신문은 2014년 4~5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70대 후반에서 90대까지 약 40여명을 취재했다. 이 과정에서 요시다 증언의 문제점이 드러나게 되었는데, "건어물 제조 공장에서 수십명의 여성이 사라졌다"고 기록한 제주도 북서부의 마을에서는, 생선을 다루는 공장이 1개 박에 없었고 경영자의 아들은 "통조림 밖에 만들지 않았다. 여자 종업원이 사라진 일은 없다."고 증언했으며, 요시다 세이지가 '초가지붕'이라고 썻던 공장의 지붕은 한국에서 당시 수산산업을 연구했던 리츠메이칸대학 역사지리학 전공 가와하라 노리후마 교수에 따르면 함석판과 기와로 되어 있었다.[* 원래 제주도는 바람이 강하고, 벼농사가 되지 않아 초가집이 적었다.]
  • 윌밍턴 . . . . 1회 일치
         ## == 산업 ==
  • 윤석용 . . . . 1회 일치
         * 2006년 산업자원부 장관표창<ref>{{웹 인용|제목=네이버 인물검색 |url=http://people.naver.com/DetailView.nhn?frompage=nx_people&id=67393|저자=네이버|확인날짜=2008-07-30}}</ref>
  • 윤식 . . . . 1회 일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윤주상 . . . . 1회 일치
         * [[JTBC]] 《[[다큐 플러스]] 37회 : 표준, 4차 산업혁명 게임의 법칙》 (2018년) 내레이션
  • 이근직 . . . . 1회 일치
         [[8.15 광복]] 이후에도 1949년까지 강원도청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50년 [[서울특별시청]] 산업국장, 1952년 심계원(현 감사원) 심계 제2국장, 1952년 [[함태영]]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비서실 [[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1955년 2월부터 1957년 9월까지 [[경상북도지사]]를 지냈다. 경상북도지사 재임 중이던 1957년 8월 [[가짜 이강석 사건]]이 일어났다. 1957년 9월부터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장관|장관]]을 지내다가 1958년 6월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따른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자유당]] 당무위원으로 있다가 1959년 3월부터 1960년 5월까지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장관]]을 지냈다. 농림부 장관 재임 중 [[3.15 부정선거]]에 관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구속 기소되었다.
  • 이기택 . . . . 1회 일치
         고려대학교 졸업 후 자형 이임용이 경영하는 태광산업(현 [[태광그룹]] 산하)에 입사하여 근무하였다.
  • 이민호(1987) . . . . 1회 일치
         || 2015 SNS 산업대상 || 한국정보진흥원장상 || ||
  • 이성희(배구감독) . . . . 1회 일치
         || '''출신학교''' || 의림공고[* 현재의 제천산업고등학교.] - [[서울시립대학교|서울시립대]] ||
  • 이순재(1935년 10월) . . . . 1회 일치
         2009년에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 '''[[업(애니메이션)|업(Up)]]'''에서 '''주인공 할아버지(칼 프레드릭슨)'''의 목소리를 연기했다. '일반적인 [[비성우 더빙]]' 수준이 아니라 '역대 애니메이션 [[비성우 더빙]] 사상 최고의 목소리 연기', '원작 초월' 소리를 들을 정도의 평가를 받을 만큼 절륜한 연기력을 선보였다.[*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성우가 맥심 인터뷰에서 '대가는 어디를 가나 통하더라'며 칭찬을 했다.[[http://news.maxmovie.com/74030|#]]] --이것이 바로 이순재의 업(業, Karma, 카르마, 운명)이니라.-- 한 평론가는 "[[초콜렛]]"이 아닌 "쪼꼬렛"이라는 할아버지 캐릭터에 맞는 발음을 구사한 것을 극찬하기도 했다.[* 사실 이순재는 옛날의 후시녹음 체제 때부터 활동해온 배우라 발음과 발성이 좋은 편이고, 한국 드라마가 제대로 정착하기 전이었던 옛날 젊은 시절에는 성우로 일하면서 더빙을 해서 얻는 수입이 더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방송환경이 개선되면서 오래도록 목소리 연기를 하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그냥 이순재의 자기 관리와 연기력이 뛰어난 거다. 본인은 카메라 연기와는 방식이 달라서 쉽지 않았다는 겸손한 소감을 밝혔다. [[http://extmovie.maxmovie.com/xe/index.php?comment_srl=2358142&listStyle=gallery&mid=movietalk&page=997&sort_index=regdate&order_type=desc&document_srl=764826|#인터뷰]] 적당히 유명세 마케팅으로 투입된 배우, 아이돌, 개그맨들과는 내공이 다르다. 애초에 가벼운 마인드로 연기하시는 사람이 아니다.]이순재가 맡은 배역의 오리지널 목소리를 연기한 배우[* 에드워드 애스너.]도 연극활동은 1940년대[* 대학생이던 [[1947년]]도부터 활동했다.], 영화산업에서는 1950년대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활동하는 베테랑 명배우다.
  • 이신학 . . . . 1회 일치
         * 대구광역시 벤처산업육성발전협의회 위원
  • 이인 . . . . 1회 일치
         |경력 = 前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서울 광신상업고등학교]] 재단 이사장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 [[http://news1.kr/articles/?2694728|산업안전보건법 일부개정법률안]]
  • 이정훈(배우) . . . . 1회 일치
          | 학력 = [[아주대학교|아주대 산업공학과]] [[학사]]
  • 이카르부스 . . . . 1회 일치
         1954년에는 [[오스트리아]] 회사 [[자우러]][* 총기 회사 SIG 자우어와의 관련은 없다.]의 [[버스]]를 라이센스 생산한다. 이는 현재 이카르부스의 밥줄이 될 버스 제작의 시초가 되었다. 이카루스는 1961년 군사분야의 산업을 그만두고 본격적인 자동차 회사가 된다.
  • 이현우 (가수) . . . . 1회 일치
         * [[미국]] [[뉴욕]] [[파슨스 디자인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학사
  • 장강명 . . . . 1회 일치
         * 2002~2013년 : 동아일보 사회부, 정치부, 산업부 기자
  • 장기오 (공무원) . . . . 1회 일치
         *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석사
  • 장도 (1876년) . . . . 1회 일치
         광복 후에는 광산업에 뛰어들었으나 [[한국 전쟁]] 중 실종되었다.
  • 장성환 . . . . 1회 일치
         *1970년 일본 와세다 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석사
  • 장태영(야구선수) . . . . 1회 일치
         1929년 경상북도 선산에서 장인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5살이 되던 해에 부산으로 내려가 살았다. 1944년에 경남중학교에 입학해 [[유도(스포츠)|유도]]부에 입부해 유도를 배우던 그는 1945년 [[해방]]과 동시에 경남중학교에 야구부가 생기자 야구부에 입부하면서 그의 야구인생이 시작되었다. 축산업을 하던 그의 아버지는 경남중 야구부후원회장까지 맡을 정도로 재정적으로도 풍족한 사람이었고 이런 환경속에서 그는 야구 하나만 보고 성장할수 있었다.
  • 전락원 . . . . 1회 일치
         *1973년 6월 (주)파라다이스산업 설립
  • 전민제 . . . . 1회 일치
          | 수상 = 서울특별시 문화상 <br/> 국민훈장 동백장 <br/> 석탑산업훈장 <br/> 2006년 서울대 공대.한국공학한림원 공동 "한국을 일으킨 엔지니어 60인" 선정(화학분야)
  • 전용덕 . . . . 1회 일치
         *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 학사
  • 전혜진(1970) . . . . 1회 일치
         ||<:> '''학력''' || 김천중앙초등학교[br][[청담중학교(서울)|청담중학교]][br][[진선여자고등학교]][br][[한양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 학사 ||
  • 정건용 . . . . 1회 일치
         * 2001.04 ~ 2003.04 : 한국산업은행 총재
  • 정상희(정치인) . . . . 1회 일치
         [[일제강점기]] 말기인 1939년부터 협신산업상사 대표이사, 삼호방직 부사장, 대한방직협회 이사, 삼호무역 부사장, 동화통신사 부사장, 제일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사장, 삼호방직무역주식회사 회장, [[삼성그룹]]에서 [[삼성전자]] 사장, [[삼성물산]] 사장, [[삼성생명|동방생명보험]] 대표이사 등을 지냈다.
  • 정종원 . . . . 1회 일치
         정부가 조흥은행 등 시중은행의 주식을 모두 거둬들이면서 주요 은행의 지배주주는 정부가 차지하게 됐다. [[관치금융]]시대가 열린 것이다. 정부는 1960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면서 금융산업을 통제하기로 결정했다. 경제성장을 위해 자금공급은 은행 자율보다 정부의 정책적 판단에 의해 좌지우지됐다.
  • 정형돈 . . . . 1회 일치
         * [[Mnet]] 《M Super Concert - 진주산업대학교에서 (9월 11일) : MC》
  • 조성모(가수) . . . . 1회 일치
          * 한국 음반 산업 협회 공식 누적 앨범 판매량 역대 1위 가수 (1600만장)
  • 존 헨리 . . . . 1회 일치
         민담에서 비슷한 인물로 벌목꾼의 영웅적인 인물인 '폴 버니언' 같은 것이 있다. 다만 폴 버니언은 미국 서부 개척사를 대변하는 상징인 반면에 존 헨리는 산업화의 여파로 희생당하는 하층 노동자들을 대변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 존오그로츠 . . . . 1회 일치
         [[스코틀랜드]]에 위치한 작은 해안 마을. 주 산업은 [[농업]]과 [[관광업]]이다.
  • 주나라 . . . . 1회 일치
         ## == 산업 ==
  • 창작:좀비도시 . . . . 1회 일치
         ## == 산업 ==
  • 최민환 . . . . 1회 일치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은일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FNC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드럼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2007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FT아일랜드의 일원]]
  • 최서일 . . . . 1회 일치
         1906년 서울에서 출생하였다.<ref>통천최씨 족보에는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 관산리에서 출생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ref> [[도쿄 대학|동경제국대]] 수산대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이후 [[조선총독부]] 산업기사를 지냈다. 해방 이후 (주)조선수산개발 사장으로 사업을 펼치다 공직에 들어섰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 상공부|상공부]] 수산국장과 초대 해무국장을 지냈다. [[1960년]] 해무청 청장에 임명되었다. 1963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완도군]]에 국회의원으로 출마하여 제 6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을 지냈다. 1970년에 사망하였고, 묘는 양주군 모란공원에 위치하고 있다.
  • 최재연 . . . . 1회 일치
         * 1993 ~ 1997 [[서울대학교]] 산업디자인과 학사 졸업
  • 최종원(국회의원) . . . . 1회 일치
         [[강원도]] [[태백시]]에서 8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태백공업고등학교 광산과를 졸업하고 함태탄광에서 탄 분석 기사로 일했다. 1974년 서울연극학교(현 [[서울예술대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 정영애와 결혼했다. 서울예술대학교의 전신인 드라마센터 졸업. 1986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 1998년 고려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졸업. 경운대학교 학사라고도 한다. 과거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학창시절 하위권 성적이 공개되었는데 공부 안하고 놀기 좋아했던것을 인정하며 웃어 넘겼다.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3> 2009년 || 한국연예제작자협회 || 국제문화 산업교류 재단상 || ||
  • 카스미가세키 . . . . 1회 일치
         ## == 산업 ==
  • 카치구미 . . . . 1회 일치
         1946년 3월 7일, 산업조합 이사 키요베 이쿠타(清部幾太)가 상파울로에서 460킬로미터 떨어진 바스토스 마을에서 살해되었다. 키요베 이쿠타는 일본의 패배를 인정하는 '마케구미'였기 때문에 카치구미의 과격파에게 습격을 받아, 한밤중에 화장실을 갔다가 살해당했던 것이다. 키요베 이쿠타를 시작으로 하여 총 23명의 마케구미로 지목된 인사가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콩고(소설) . . . . 1회 일치
         배경은 1970년대, 장래 레이저 산업 분야나 반도체 분야에서 유망한 용도가 전망되는 블루 다이아몬드 광산을 찾아서, 미국의 지구자원개발연구소는 콩고의 정글로 탐사대의 파견하지만 목적지에 거의 도달한 상태에서 미지의 존재에게 기습당해 전멸된다. 단서라곤 연결되어 있던 영상 통신에 잠깐 잡힌 이상한 고릴라의 모습 뿐.
  • 트로피코 4/진영 . . . . 1회 일치
          * 새로운 산업시설 건설
  • 트로피코 4/칙령 . . . . 1회 일치
         === 산업 광고 캠페인 ===
  • 표현명 . . . . 1회 일치
         * [[2008년]] : 대한민국 산업포장
  • 풍계리 . . . . 1회 일치
         ## == 산업 ==
  • 하춘화 . . . . 1회 일치
         || 학력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br] [[경남대학교|경남대학교 병설 산업 전문대학]] 가정과 (졸업)[br][[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학사)[br][[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석사)[br][[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
  • 하현우 . . . . 1회 일치
         허나 남은 하현우, 이정길, 전규호는 밴드의 꿈을 놓지 못 했고 세 사람은 밴드명을 'the c.o.m(the compass of music)'으로 바꾸고 신디사이저를 연주하는 여성 멤버를 더해 밴드 활동을 이어갔다. 어려운 형편으로 생계를 위해 음악 학원에서 합주하고, 곡을 만들고, 공연을 하고, 현장 일을 하며 열심히 살았다. 이 무렵 '나침반'을 비롯한 자작곡을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했고 가사를 쓰게 되면서 책을 많이 읽게 됐다고 한다. 허나 이후로도 사정은 크게 변하지 않았고, 2004년 쌈지 락 페스티벌의 숨은 고수로 뽑혀 참가했던 것을 끝으로 the c.o.m마저 해산. 하현우는 군대[* 군대에서도 하현우는 부모님께 "제대 후에도 정신 안 차리고 계속 음악할 거니까 마음 다잡고 계세요"라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로, 이정길은 산업체로, 전규호는 고향인 강원도로 내려가게 된다.
  • 한승조 . . . . 1회 일치
         * 한승조, 한국정치의 지도자들 (대정진산업출판사업부, 1992)
  • 한요한 . . . . 1회 일치
         * [[아현산업정보학교]] 실용음악과 (졸업)
  • 허용 . . . . 1회 일치
         * [[선린인터넷고등학교|선린정보산업고등학교]] (2000년 졸업)
  • 허준영 . . . . 1회 일치
         * [[명지대학교]] 산업공학 박사
  • 허화평 . . . . 1회 일치
         '''그렇다면 왜 최태민을 잡아넣거나 재산을 몰수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의 반문에, 허화평은 [[박정희]] 대통령과 [[10월 유신]]의 결과물인 산업화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발언했다. 제5공화국의 첫 번째 과업이 박근혜와 최태민을 청산하는 일이었다는 말이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51768&iid=1140067&oid=449&aid=0000114843&ptype=052|#]] 파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박근혜]]와 [[최태민]]의 부적절한 관계를 제대로 수사해서 청산하지 않고 놔둔 것이다. 이것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박근혜와 최태민의 관계와 비리의 온상이 [[새마음봉사단]]이라고 보았으며, 그 결과 최태민과 박근혜의 관계를 제대로 드러내서 수습하지 못하고, 정치적 혼란기를 틈타 개인적인 관계를 끊어 달라는 수준에서 처리하고 묻어버린 것.
  • 헤이안 시대 . . . . 1회 일치
         == 산업 ==
  • 홍병선 . . . . 1회 일치
         |출판사=지식산업
  • 홍연아 . . . . 1회 일치
         * 전국학습지산업노동조합 교육선전국장
  • 홍준표 (1949년) . . . . 1회 일치
         * 일본의 항공기 부품 생산업체 아이신 타카오카사와 주조공정 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용역<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0110808 홍준표 연대교수, 日서 25만불 수주]</ref>
  • 홍학표(배우) . . . . 1회 일치
         이후 방산업체와 건설업체 등을 경영했던 그는 2006년에 족발, 보쌈, 순대 등 토속적인 먹을거리들을 주메뉴로 하는 음식체인 사업에 뛰어들어 돈을 좀 벌었고, 2008년에 씨푸드 레스토랑을 [[부산]] [[해운대]]에 열어 성공하고 서울에 입성하여 나름 사업가로서 성공가도를 달린다.
  • 화석연료 . . . . 1회 일치
         고대로부터 인류는 지표면에서 채집한 화석연료를 소규모로 사용해왔지만, 기술 부족으로 널리 쓰이지는 않고 채굴지 주변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불과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로 석탄과 석유가 본격적으로 대량으로 채굴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현대 문명 사회를 건설하게 된다.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1회 일치
         남원고등학교를 다니면서 [[고등학교]] 3학년 때 아현직업학교[* 현재는 아현산업정보학교로 [[개명]]했다. 특히 [[실용음악과]]가 매우 [[인지도]]가 높고 학생들의 실력도 매우 뛰어나다. [[비스트(아이돌)|비스트]]의 [[이기광]], [[양요섭]], [[K팝 스타]]의 백지웅, [[K팝 스타 시즌3]]의 [[남영주]], 허니핑거식스의 황예린 등 뛰어난 실력을 가진 [[학생]]들이 매우 많다.]라는 위탁고등학교 실용음악과를 다녔다.[* 직업학교라서 본교인 광문고등학교는 일주일에 한번 가는 식으로 가끔씩 방문하고, 나머지 일수에 아현직업학교에서 음악 수업을 듣는 식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거다. 사실 여느 [[인문계고등학교|인문계고]]의 직업반들도 이런 식으로 운영이 된다.] [[휘성]], [[박효신]], [[UV]]의 [[뮤지]][* 그런데 서로 같은 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잘 모르는 사이였다고 한다(…).] 등과 고등학교 동창이다. 휘성은 당시 A4라는 그룹으로 이미 가수 활동을 하는 중이었고, 박효신은 워낙에 학교에서 유명하던 터라 어린 마음에 '나보다 잘하나'하는 신경전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당시엔 과와 반이 달라서 그리 친하진 않았다고 한다. 오히려 데뷔 후에 방송에서 자주 만나며 친해졌다고. 휘성의 말에 따르면 당시 환희는 대형 기획사([[SM엔터테인먼트]])의 연습생으로 잘생긴데다 노래와 춤이 기가 막힌다는 소문이 돌았지만 학교에서는 보여주질 않아 더 전설 같은 존재였다고 한다. 현재의 터프하고 남성적인 이미지에 비해서는 말이 없고 조용한 ~~자발적 아싸~~ 모범생 타입이었다고.
  • 황치열 . . . . 1회 일치
         * 경북 구미 지역 유명 댄스팀 스윙 출신으로 댄서로 활동하다 군복무를 대체하여 산업기능요원으로 공장에서 2년간 일을 하다가 2005년 9월 24일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가수의 꿈을 안고 상경.
  • 황희두 . . . . 1회 일치
         *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한 이 시대에도 여전히 게임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 무척 아쉽다. 공부 외의 게임의 길에서도 충분히 인생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널리 알리고 싶으며, 선수 시절 게임에 더 미치지 못했던 점을 후회한다. 그래도 무언가에 미쳤던 경험 속에서 인생의 지혜를 배웠다고 생각하여 무척이나 행복하다." - 《Global Leaders Club 게임 관련 특강 中》<ref>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58096|프로게이머 출신 청년문화포럼 황희두 회장, Global Leaders Club 포럼에서 게임관련 특강 실시</ref>
11532의 페이지중에 202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