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블"을(를) 전체 찾아보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줄거리 . . . . 102회 일치
         전날 밤, 맥스는 한 창고에서 총성이 들렸다는 보고를 받는다. 그건 강력반이 맡을 일이 아니었지만, 그 창고는 전의 사건으로 알게 된 [[라디미르 렘]]의 소유였다. 맥스는 보고를 접수한 후 차를 몰아 창고로 향한다.
         맥스는 [[라디미르 렘]]에게 간다. 애니 핀의 애인이었던 그의 생각을 들어보려는 것이었다. 라드는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보드카"라는 멋진 레스토랑을 열 생각이었다. 맥스는 [[맥스 페인]]에서 죽은 줄 알았던 모나가 살아있었다는 것에 기쁨을 느끼지만 한편으로는 과거의 악이 계속 따라오는 듯한 불안함을 느낀다.
         보드카에 도착한 맥스. 하지만 보드카는 중무장한 괴한들의 습격을 받았고 라드는 입구에서 포위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라드가 도움을 요청하자 맥스는 지원을 요청할 새도 없이 보드카 뒷문으로 뛰어들어간다.
         라드가 "뉴욕 최고, 최대의 폭력배 바디카운트를 달성한 맥스 페인이 온다"며 책상 밑에 숨어 도발하는 동안, 맥스는 보드카를 습격한 마피아들을 처리하며 라드에게로 향한다.
         이 와중 라드의 방에 있는 자동응답기에는 애니 핀이 아닌 다른 여자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있다. 맥스는 그 메시지를 듣고 라드가 "애니가 아닌 다른 여자를 안심시키는 진짜 신사"라며 조롱한다. 한편, 라드 방에 있는 화이트보드에는 만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주인공 모습을 한 인형탈이 그러져있다.
         라드를 찾던 맥스는 라드의 동료인 카우보이 마이크가 단신으로 마피아 네명을 해치우는걸 목격한다. 마이크는 맥스는 보안관이니 부보안관이 필요하지 않냐면서 맥스와 동행한다.
         맥스와 라드가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접근하자 마피아 언더보스인 [[비니 고그니티]]는 초조해 한다. 비니는 맥스 페인에서 맥스에게 당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부하들에게 맥스를 포위해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부하들이 역으로 죽자 라드를 욕하며 도망친다. 라드는 맥스를 자신의 영웅이라고 부르며, 키스라도 해줄 수 있다는 농담을 한다.
         >라드: 놈은 암시장 총기 판매의 경쟁자라고 보이는 이들은 전부 쓸어버리고 있어. 마피아 언더보스가 강력한 누군가랑 손을 잡은거지.
         경찰들이 보드카에 도착해 상황을 정리하고 있을 무렵, 라드는 비니 고그니티가 주모자일거라고 추정한다. 비니가 무기 밀매 사업을 하는데 경쟁자라고 생각한 모두를 쓸어버리기 시작했다는 것. 라드는 자신은 행동을 고치고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갔다며, 보드카는 뉴욕에서 제일 유명한 식당이 될 것이며 자기는 부유해지고 유명해질거라고 자신한다. 한편, 핀의 죽음에 분노를 표하기도 한다. 맥스는 라드가 왼손을 다친 것을 보고는 아까전 총격전에 다친건지 물어본다. 라드는 어제 뜨거운 데이트가 있었다고 대답한다.
         계단 끝의 문 너머에는 검시실이 있었다. 모나 색스가 나타나 비밀을 말해주겠다고 하는 순간, 전화벨이 울린다. 전화기에서 들리는 소리는 [[라디미르 렘]]이 그의 애인에게 남긴 메시지였다. 순간 사이렌이 울린다. 윈터슨과 모나의 목소리가 들린다.
         맥스는 경찰서로 가서 집이 습격당했다고 보고한다. 이 상황에 [[짐 브라부라]]는 어이없어 한다. 맥스는 브라부라에게 [[라디미르 렘]]의 주장 - [[비니 고그니티]]가 스쿼키 청소회사와 손을 잡았다, 라는걸 말한다.
         전화를 걸고 난 후, 유치장에서 폭발이 일어난다. 청소부들이 모나를 죽이기 위해 습격한 것이었다. 모나는 침대 밑에 숨어있다가 죽은 경관의 열쇠를 훔쳐 철장문을 열고 도망간다. 이를 CCTV 화면으로 본 맥스는 캐비넷에서 총을 꺼내들고 모나를 쫓아간다. 그는 청소부들을 해치우며 주차장 밖으로 나갔지만 모나는 사라진 뒤였다. 이때, [[라디미르 렘]]이 차를 몰고 나타난다.
         라드는 맥스에게 코니 아일랜드까지 차를 태워다준다. 라드의 차 뒷자석에는 머리가 큰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 인형탈이 놓여있었다. 고그니티와의 전쟁에서 쓸 트로이 목마라나 뭐라나. 맥스는 라드에게 이너 서클과 모나 색스에 대해 들어본 적 없냐고 한다. 라드는 둘 다 알고있었다. 그는 이너 서클에 대해서는 범죄조직에 가깝다고 말하며 이들이 고그니티와 계약을 맺은 것 같다고 하고, 모나에 대해서는 유명한 살인청부업자라고 말하며 여우 같으면서도 굳세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한다. 헤어지기 전, 라드는 맥스에게 선택지가 잘못된 방법밖에 없으면 그건 진짜로 잘못된게 아니라 운명에 가깝다는 이야기를 한다.
          * 취조실에서 나와 윈터슨과 대화한 후 경찰 테이을 살펴보면 발키리에 중독된 상태에서 자신의 아내와 불륜관계의 우편배달부를 총으로 쏘고 그 중 하나는 전기톱으로 토막내 욕조에 담아둔 혐의로 구속된 남자가 있다. 자기가 너무 알았기에 그들이 날 제거하려고 모함한거다, 그들이 날 죽이려고 했기에 정당방위였다, 이 일 뒤에는 뭔가 커다란게 있다라고 횡설수설.
         우든은 휠체어에 탄 채로 맥스를 기다리고 있었다. 맥스는 우든의 휠체어를 밀어주며 이너 서클에 대해 질문한다. 우든은 자신이 암으로 시한부 인생이 되며 내분이 발발했고, 내분을 벌인 무리들이 저항하는 회원들을 암살하고 있다고 말해준다. 맥스는 그 일의 주동자가 [[비니 고그니티]]냐고 물어보지만, 우든은 비니가 아니라 [[라디미르 렘]]이 주동자라고 말한다. 오랜 기간을 이너 서클의 회원으로 있었던 라드가 반기를 든 것이었다. 우든은 라드가 비니를 죽이고 나면 자신을 죽이러 올 것이라고 말한다.
         맥스는 [[라드미르 렘]]을 잡기 위해 또다시 보드카로 향한다. 정문을 지키던 러시아 갱들은 영장 없이는 못 들어가니까 꺼지라며 맥스를 위협하지만 결국 맥스에게 몰살당한다. 이후 총성을 들은 라디오 오퍼레이터(?)[* 파트 1에서 마이크가 살았다면 마이크가 나오고 죽었다면 그냥 잡졸 A.]나머지 러시아 갱들이 방어 태세에 돌입한다.
         맥스는 라드의 부하들을 해치우며 라드를 찾아 보드카 이곳 저곳을 누빈다. 맥스에게 덤비는 이들 가운데에는 [[스쿼키 청소회사]] 청소부들도 있었다. 제일 결정적인 증거는 지하주차장에서 발견된 스쿼키 청소회사 점프슈트와 스쿼키 청소회사 밴이었다.
         맥스는 라드의 방까지 쳐들어가 라디오 오퍼레이터(?)까지 죽이지만 그곳에 라드는 없었다. 대신 맥스는 라드가 어디로 갔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 라드의 방 벽에 걸린 화이트보드에는 한 건물의 도면과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인형탈이 그려져 있었다.
         맥스는 라드의 책상 위 자동응답기를 작동시켰다. 한 여성으로 부터 온 메시지가 있었다. 지금 공사장으로 가고 있고, 두 사람 모두 라드를 위해 처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맥스는 윈터슨의 목소리라는걸 알아챈다.
         전화 메시지를 통해 남겨진 윈터슨의 말은 맥스의 죄책감을 씻어내지 못했다. 오히려 심화시킬 뿐이었다. 맥스는 라드를 만나기 위해 [[비니 고그니티]]의 집으로 향했다.
  • 정용화 . . . . 102회 일치
         | 소속그룹 = [[씨엔루]]
         '''정용화'''([[1989년]] [[6월 22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남성 4인조 [[음악 그룹|밴드]] [[씨엔루]]의 리더이며 메인보컬, 랩, 기타, 건반을 맡고 있다.
         === 2009년 ~ 2011년: 씨엔루 데뷔와 배우 활동 ===
         [[2009년]] [[8월 19일]] [[Now or Never (씨엔루의 음반)|Now or Never]]을 발매하고 일본에서 인디즈활동을 시작하였다. [[2009년]] [[10월 7일]] [[SBS 드라마 스페셜]] 《[[미남이시네요]]》를 통해 연예계에 데뷔하였고, 당시 '수건남,' '밀크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ref name="milk">[http://artsnews.mk.co.kr/news/43637 '미남' 정용화, 수건남에서 이번엔 밀크남?], 《아츠뉴스》, 2009년 10월 15일 작성.</ref>
         * [[2010년]] [[1월 14일]] 락밴드 씨엔루(CNBLUE)의 리더로 팀 안에서 보컬과 기타와 랩을 맡아, [[bluetory]]<ref name="album1">[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315286592871176&DCD=A10102 씨엔루, '씨엔루토리'서 1집 전곡 첫 라이브 연주]{{깨진 링크|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3DEA31%26newsid%3D01315286592871176%26DCD%3DA10102 }}《이데일리스타in》, 2010년 2월 16일 작성.</ref> 음반 발매와 함께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다. 수건남 효과에 힘입어 첫 방송후 각종 차트를 올킬하였으며,<ref name="all">[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17/6857237.htm “루돌풍” CNBLUE, 첫 방송후 각종 차트 ‘올킬’]《재경일보》2010.01.17 작성.</ref> 한국 가요계에서 신인이 데뷔 후 14일만에 1위를 하는 기록을 세웠다.<ref name="chleks">[http://news.jkn.co.kr/article/news/20100129/7708991.htm 씨엔루, 최단기간 1위 기록 세우며 정상 등극! ]《재경일보》2010.01.29 작성.</ref> 이는 지상파 데뷔 최단 기간 1위 기록이었지만 위너 이후에 기록이 깨졌다.* [[2010년]] [[5월 19일]], 씨엔루는 두 번째 미니 앨범 《[[Bluelove]]》를 발매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씨엔루, 미니앨범 '루러브'발매
         |url=http://www.todaykorea.co.kr/news/contents.php?idxno=109805|출판사 = 투데이코리아 |날짜 = [[2010년]] [[5월 19일]]}}</ref> [[5월 20일]], [[Mnet]]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하였는데,역시 큰 인기를 얻으며 각종 음원차트에서 1위는 물론, 음악프로그램에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Love’, 포털사이트 점령… ‘올킬’ 시동|url=http://breaknews.com/sub_read.html?uid=133629§ion=sc4|출판사 = 프레이크뉴스 |날짜 = [[2010년]] [[5월 19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LOVE’ M카운트다운 1위 수상!
         * [[2010년]] [[6월 23일]] 일본에서 발매한 《The Way》앨범 타이틀 One Time 을[[작사]], [[작곡]] 하였고 이 곡으로 씨엔루로는 오리콘 싱글차트 11위에 진입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日 싱글 'The Way' 오리콘 데일리 11위|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500570|출판사 = 조이뉴스24 |날짜 = [[2010년]] [[6월 24일]]}}</ref>
         * [[2010년]] [[7월 31일]]에는 서울에서 「Listen to the CNBLUE」이란 타이틀로 한국에서의 첫 단독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씨엔루, 데뷔 첫 단독 콘서트 `Listen to the CNBLUE` 개최|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61670037|출판사=한국경제|날짜=[[2010년]] [[6월 16일]]}}</ref>
         * [[2010년]] [[9월 15일]]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 싱글 ''[[I don't know why]]''를 발매하였는데, 정용화의 자작곡 "I don't know why"는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8위,<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정용화 자작곡 싱글 日 오리콘 8위 진입 ‘쾌거’|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917094222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0년]] [[9월 17일]]}}</ref> [[오리콘]] 인디즈 차트 주간 1위를 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새 싱글 'I don't know why'로 오리콘 차트 1위|url=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81&nkey=90590|출판사 = 오토타임즈 |날짜 = [[2010년]] [[9월 30일]]}}</ref>
         * [[2011년]] [[1월 9일]], 일본에서 세 번째 싱글 ''[[RE-MAINTENANCE]]''를 발매하였다. 타이틀 "Try again, Smile again"을 작곡 및 작사하였고 오리콘 싱글차트 데일리 2위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제목 = '씨엔루' 日 투어 전석 매진 신기록…오리콘 챠트 2위 겹경사 |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출판사 = 마이스타뉴스 |날짜 = [[2011년]] [[1월 10일]] |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30111191550/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26803 |보존날짜 = 2013년 1월 11일 |깨진링크 = 예 }}</ref>
         * [[2011년]] [[3월 21일]], 첫 정규 음반 발매 및 게릴라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컴백 씨엔루 오늘(21일) 앨범발매→쇼케이스→게릴라콘서트 3단콤보|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3211126181002|출판사 = 뉴스엔 |날짜 = [[2011년]] [[3월 2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컴백과 함께 게릴라 콘서트…팬들 “역시 실력파 밴드는 달라”|url = 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출판사 = 마이스타뉴스|날짜 = [[2011년]] [[3월 21일]]}}{{깨진 링크|url=http://mystar.mdtoday.co.kr/mystar/index.html?no=479272 }}</ref> 선주문 10만장이 넘은 이 앨범은 발매 직 후 실시간차트와 일간차트 등에서 1위를 하였고, 컴백 일주일 후 [[3월 31일]] [[Mnet]] 《[[엠카운트다운]]》에서 1위를 시작으로 하여 공중파인 [[KBS]] 《[[뮤직뱅크]]》, [[SBS]] 《[[인기가요]]》에서 1위를 하였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컴백 1주 만에 '엠카' 1위··"초심 잃지 않겠다"|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33115421314776|출판사 = 아시아경제 |날짜 = [[2011년]] [[3월 31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직감' 잇따른 1위, 'FIRST STEP'의 놀라운 '직감'|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4021400073&mode=sub_view|출판사 = 한경닷컴 |날짜 = [[2011년]] [[4월 2일]]}}</ref> 데뷔 후 처음으로 [[Mnet]] 《[[엠카운트다운]]》과 [[KBS]]《[[뮤직뱅크]]》에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였다.
         * [[2011년]] [[9월 1일]]에 일본에서 인디즈 마지막 앨범인 《[[392(Thank you too(much))]]》를 발매하여 오리콘 데일리 앨범 3위와 인디즈 위클리 1위를 차지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日 앨범 ‘392’,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3위 |url=http://www.maxmovie.com/movie_info/ent_news_view.asp?mi_id=MI0093705691|출판사 = 맥스뉴스 |날짜 = [[2011년]] [[9월 2일]]}}</ref> 또한, [[2011년]][[9월 10일]]에 일본에서 열린 일본 마쿠하리 멧세(MAKUHARI MESSE)에서 열리는 [[린킨파크]](Linkin Park) 단독 공연의 오프닝 무대에 서게 됐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CNBLUE), 린킨파크(Linkin Park)와 '오프닝 무대' 가져|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출판사= 톱스타뉴스|날짜= [[2011년]] [[9월 9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518/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3065|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깨진링크= 예}}</ref>[[9월 17일]]~[[9월 18일]]에는 서울에서 열린 콘서트 "BLUE STORM"을 이틀에 걸쳐 진행하고,<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아시아투어 콘서트…9월 제주에서 출발한다.|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0801001713&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 |날짜 = [[2011년]] [[8월 1일]]}}</ref> [[9월 25일]]에는 인디즈그룹으로는 유례없이 1만 5천석의 Yokohama Arena에서 인디즈 마지막 콘서트를 진행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단독 콘서트, 요코하마의 밤을 불태운 ‘열정의 무대’|url=http://sstv.tvreport.co.kr/index.html?page=news/flypage&cid=24&nid=119144|출판사 = SSTV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ref>{{뉴스 인용|제목 = 이것이 밴드다…'씨엔루' 日콘서트,1만 5천 팬 열광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27290|출판사 = 노컷뉴스 |날짜 = [[2011년]] [[9월 26일]]}}</ref>
         * [[2011년]] [[10월 19일]]에 2년여 시간의 인디즈 생활을 마감하고 《[[In My Head]]》로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워너 뮤직 재팬과 계약 체결…日 메이저 사냥 나선다|url =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출판사 = 티브이데일리|날짜 = [[2011년]] [[9월 1일]]|확인날짜 = 2012년 8월 19일|보존url = https://archive.today/20120720005549/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4836363197901011|보존날짜 = 2012년 7월 20일|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씨엔루, 10월19일 'In my head' 발매 日정식데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90609394071723&type=1&outlink=1|출판사 = 스타뉴스 |날짜 = [[2011년]] [[9월 6일]]}}</ref>《[[In My Head]]》의 타이틀 "In My Head" 를 작곡 하였고 "Mr.K.I.A(Know It All)" 작사 및 작곡, "In My Head(Inst.)" 작곡하였다. 이 앨범은 첫 날 오리콘 싱글 데일리 차트 3위를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日메이저 데뷔곡 '인 마이 헤드' 오리콘 3위 '쾌거' |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110200945231137&ext=na|출판사 = 마이데일리|날짜 = [[2011년]] [[10월 20일]]}}</ref> 메이저 음반 발매 기념으로 한 이벤트에 1만4000여명이 참가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이벤트 1만4000명 동원 ‘日 메이저 데뷔 성공적’|url= 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출판사= 스포츠동아|날짜= [[2011년]] [[10월 25일]]}}{{깨진 링크|url=http://news.donga.com/Culture/Music/3/0710/20111025/41382723/1 }}</ref>
         * 오리콘 싱글 위클리 차트에 일주일 만에 7만 1200장을 팔아 치우고 일본 메이저 데뷔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日 데뷔싱글 일주일 만에 7만장 판매|url=http://sports.chosun.com/news/utype.htm?id=201110270100197960017298&ServiceDate=20111026|출판사 = 스포츠조선|날짜 = [[2011년]] [[10월 26일]]}}</ref><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루 '인 마이 헤드', 日 오리콘 주간 차트 4위 랭크 |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출판사= 티브이데일리 |날짜= [[2011년]] [[10월 26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20715225340/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19589921221164011 |보존날짜= 2012년 7월 15일 |깨진링크= 예 }}</ref> 《[[In My Head]]》는 [[2011년]][[11월 10일]]에 일본 레코드 협회에서 선정하는 골드 레코드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일본 데뷔싱글 10만장 넘겨, 日 '골드 레코드' 선정|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1년]] [[11월 12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archive.today/20130112003527/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1064770229443011|보존날짜= 2013년 1월 12일|깨진링크= 예}}</ref>
         * [[2011년]] [[12월 4일]]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겨울투어를 실시하여, [[12월 4일]] 센다이, [[12월 6일]] 나고야, [[12월 14일]] 오사카, 그리고 [[12월 16일]] 도쿄에서 일본 전국 투어를 실시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日 전국투어 마지막 공연 13000명 동원 ‘1분 만에 티켓 매진'|url=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1&c1=01&c2=01&c3=00&nkey=201112191637321&mode=sub_view|출판사 = 한국경제연예|날짜 = [[2011년]] [[12월 19일]]}}</ref>
         * [[2011년]][[12월 28일]]에 일본에서 매년 연말 개최되는 Music Festival 'COUNTDOWN JAPAN'에 외국인 최초로 출연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씨엔루(CNBLUE), 일본 락 페스티벌 'COUNTDOWN JAPAN' 외국인 최초 출연 |url= http://www.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출판사= TOP스타 뉴스 |날짜= [[2011년]] [[11월 18일]] |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30120220609/http://topstarnews.net/n_news/news/view.html?no=4208 |보존날짜= 2013년 1월 20일 |깨진링크= 예 }}</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日 연말 최대 록축제 외국인 최초 출연|url=http://sports.hankooki.com/lpage/music/201111/sp2011111809264695510.htm|출판사 = 스포츠한국|날짜 = [[2011년]] [[11월 18일]]}}</ref>
         * [[2012년]]은 첫 주부터 아시아투어를 하였다. [[2012년]] [[1월 7일]]~[[1월 8일]]을 시작으로 홍콩에서 씨엔루의 아시아투어 첫 콘서트가 열렸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일본 이어 홍콩도 녹였다 '8000 구름팬 운집'|url= 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6249160257638011|출판사= 티브이데일리|날짜= [[2012년]] [[1월 11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20119163458/http://tvdaily.mk.co.kr/read.php3?aid=1326249160257638011|보존날짜= 2012년 1월 19일|깨진링크=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홍콩에서 아시아투어 화려한 출발|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20111001281&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날짜 = [[2012년]] [[1월 11일]]}}</ref> 이번 홍콩콘서트는 1회를 추가하여 총 이틀에 걸쳐 콘서트가 진행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홍콩콘서트, 1시간만에 매진|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111021001089&subctg1=10&subctg2=00|출판사 = 스포츠월드|날짜 = [[2011년]] [[10월 21일]]}}</ref>
         * [[2012년]] [[1월 13일]] 《제26회 [[골든디스크]]》에서 음반부문 본상, 음원부문 본상, 비비드림상, 아시아최고그룹상을 수상하며 4관왕을 달성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골든디스크 4관왕 달성하며 최다 수상! 아시아 대세로 떠오르다!|url=http://www.stv.or.kr/ez/bbs.php?table=health&query=view&uid=5346&p=1|출판사 = STV24|날짜 = [[2012년]] [[1월 13일]]}}</ref>
         * [[2012년]] [[1월 31일]] 일본 MTV '언플러그드' 출연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어쿠스틱한 연주와 청중과의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 무대 등 라이브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韓 가수 최초로 日 MTV '언플러그드' 출연|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300&g_serial=634129&rrf=nv|출판사 = 조이뉴스24|날짜 = [[2012년]] [[2월 1일]]}}</ref> 또한, 수용인원 150명에 응모인원만 1만 5천여명이 응모하여 100배의 응모 수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씨엔루, 日MTV ‘언플러그드’ 출연…티켓 응모 ‘정원의 100배’ 기염|url=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출판사= 경제투데이|날짜= [[2012년]] [[2월 1일]]|확인날짜= 2012년 8월 19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0/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20201170502960&ts=95729|보존날짜= 2016년 3월 4일|깨진링크= 예}}</ref>
  • 블랙 클로버/에피소드 . . . . 87회 일치
         [[랙 클로버]]의 에피소드 일람.
         [[랙 클로버/50화]]
         [[랙 클로버/51화]]
         [[랙 클로버/52화]]
         [[랙 클로버/53화]]
         [[랙 클로버/54화]]
         [[랙 클로버/55화]]
         [[랙 클로버/56화]]
         [[랙 클로버/57화]]
         [[랙 클로버/58화]]
         [[랙 클로버/59화]]
         [[랙 클로버/60화]]
         [[랙 클로버/61화]]
         [[랙 클로버/62화]]
         [[랙 클로버/63화]]
         [[랙 클로버/64화]]
         [[랙 클로버/65화]]
         [[랙 클로버/66화]]
         [[랙 클로버/67화]]
         [[랙 클로버/68화]]
  • 블리치/에피소드 . . . . 29회 일치
         [[리치]]의 에피소드 목록
         [[리치/673화]]
         [[리치/674화]]
         [[리치/675화]]
         [[리치/676화]]
         [[리치/677화]]
         [[리치/678화]]
         [[리치/679화]]
         [[리치/680화]]
         [[리치/681화]]
         [[리치/682화]]
         [[리치/683화]]
         [[리치/684화]]
         [[리치/685화]]
         [[리치/686화]]
         [[리치/687화]]
         [[리치/688화]]
         [[리치/689화]]
         [[리치/690화]]
         [[리치/691화]]
  • 판타스틱 포 . . . . 27회 일치
         '''진정한 마 코믹스의 시작'''
         '''Marvel's First Family'''[* 마에서 밀어주는 공식 별명으로 마에서 가장 대우받는 가족(퍼스트 패밀리는 주로 대통령의 가족등, 사회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가족들에게 붙여주는 별칭이다)이자 마 최초로 가족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이중의 의미가 있다]
         [[마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마의 원로급 팀이며 [[한국]]에서는 유명한 편은 아니지만 마 세계에서는 매우 비중이 높고 유명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로봇애니로 치면 [[캡틴 아메리카]]는 [[철인 28호]], [[네이머 더 서브마리너]]는 [[철완 아톰]]이라면, 판타스틱 포는 [[마징가Z]] 정도의 존재인 오랜 역사의 작품. 한국에서는 주로 줄여서 '판포'라고 불린다.
         557호에서 휴먼 토치가 사망하고 2월 23일[* 이 날짜는 이슈 558의 발표일. 실제로 발매된 건 4월이다.] 588호로 시리즈가 마감되고 후속작인 FF(퓨처 파운데이션)이라는 이름으로 3월부터 새롭게 시작하였다가, 휴먼 토치가 다시 복귀하고 2013년 마 나우부터 다시 판타스픽 포 시리즈의 연재가 시작됬다.
         때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4명의 후천적 초인- 리드 리처즈([[미스터 판타스틱]]), 수전 스톰([[인비저 우먼]], 후에 리드와 결혼하여 수전 리처즈가 된다.), 조니 스톰([[휴먼 토치]] II), 벤 그림([[씽(마 코믹스)|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가족과도 같은 4명의 인물들의 인간 군상과 가족 드라마를 주제로 한다.
         사실 판타스틱 포의 탄생 배경(당시 1961년)이 다소 엉뚱한데, 모든 것은 당시 타임리 코믹스([[마 코믹스]]의 전신)의 출판인이었던 마틴 굿맨이 경쟁사인 [[DC 코믹스]]의 대표 잭 리보위츠와 골프를 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리는 코믹스 업계가 너무 갑갑하다고 느낀 나머지 전직을 생각하던 중이었고, 결국 이 작품 하나만 마무리짓고 마을 떠나기로 마음 먹은 상태였다. 리는 [[잭 커비]]와 함께 머리를 짜낸 끝에, '진짜 가족은 아니지만 가족이나 다름없는 4명의 평범한 인간들이 우연히 [[초능력]]을 얻은 뒤 한 팀을 이루어 적과 싸운다'는 취지의 신작을 창안했다. 이 작품의 주인공들은 이전의 코믹스에서 활약하던 히어로들과는 달리 매우 세속적이고 약점투성이라서 오히려 인간적인 매력을 느끼게 했다. 당시 어린 독자들은 그런 모습을 보고 [[현실적]]이라고 느꼈다고 한다. 그 뒤 《판타스틱 포》라는 제목으로 발표된 이 시리즈는 예상치 못한 대성공을 거두고 마 코믹스의 전성기를 열어젖히기까지 했을 뿐만 아니라, 스탠 리가 그 뒤로도 이 업계에 남아 [[스파이더맨]]을 비롯한 수많은 캐릭터들을 배출하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단순 마 코믹스뿐 아니라 다른 코믹스에서도 세속적이고 인간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데 집중하였다.
         == 마 코믹스의 진정한 탄생 ==
         그 전에도 [[네이머]]나 [[캡틴 아메리카]] 등의 [[슈퍼히어로]] 캐릭터들이 마 코믹스에 있었지만, 《판타스틱 포》는 마 코믹스의 고유의 특징을 처음으로 보인 작품이었다. 바로 '''완벽하지 않은 영웅들'''이라는 요소였다. 늘상 서로 다투기도 하고 협력도 잘 안되지만 결국 서로를 [[가족]]처럼 사랑한다는 구성은 그 당시 혁명적인 요소였다. 판타스틱 포의 구성원들은 별거 아닌 이유로 싸우고 원한을 품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결국 화해하는 인간 드라마를 보여준다.
         판타스틱 포는 마 최초의 히어로 팀이기도 했으며 스탠 리와 작화 담당의 공동협력 방식이 사용된 최초의 시리즈였다. 그리고 마 코믹스를 조그마한 만화 출판사에서 메이저로 올린 장본인이다. 한마디로 '''판타스틱 포 없이는 오늘날의 마 코믹스도 없다.'''
          * 연재 시작할 때만 해도 마의 슈퍼히어로물이 성공할지 회의적이었기에 [[스탠 리]]는 [[잭 커비]]에게 부탁해서 판타스틱 포를 슈퍼히어로물처럼 보이지 않게 해달라고 했다. 실제로 판타스틱 포 1, 2화의 표지를 보면 주인공들은 다 평상복을 입고 있으며 표지의 중심은 괴물들이기에 슈퍼 히어로보단 호러/괴수물처럼 보이게 디자인되어 있다. 3화쯤 돼서 판타스틱 포가 인기있다는 걸 알게 되자 그제서야 코스튬을 입히게 된다.
          * [[인비저 우먼]]
          * [[씽(마 코믹스)|씽]]
          * 쉬씽(과거에 미즈 마 II)
          * [[랙팬서]]
         === 마 나우 이후의 퓨처 파운데이션 ===
         이외에 마 코믹스 애니메이션에 게스트 출연하기도 했다. 예시가 국내에서도 방영한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26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라드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라드가 돌아왔지만 러시아 갱단을 위해 일하던 점주들을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라드가 충성스럽지 않은 동포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보여주자.
         경찰에게 잡혔던 라드가 경찰의 감시에서 벗어났지만, 라드의 세력권에 들어온 점주들은 라드에게 복종하지 않는 상황. 라드는 복종하지 않는 점주들에게 본때를 보여주고자 한다.
         베인은 라드를 미친놈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라드에게 잘 보이면 연줄을 통해 좋은 계약을 물어다 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에 이 일을 받아들인다.
         >라드가 자신을 밀고한 놈의 결혼식을 망치려한다. 도와주자.
         라드를 밀고해 경찰에 잡히게 했던 동료 디미트리의 결혼식을 망치는 의뢰. 보석상을 습격해 결혼식에 쓸 티아라를 훔치는게 목적이다.
         >라드는 스톤으로부터 보호비를 받길 바란다. 라드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당신이 스톤이 경영하는 쇼핑몰을 파괴하길 원한다.
         쇼핑몰의 사장으로부터 보호비를 받길 원하는 라드. 그는 보호비를 낼만한 이유를 만들어주기 위해 Crime.Net을 끌어들인다.
         라드가 머키워터 창고 안에 숨겨진 정체 불명의 물품을 가져와 달라고 의뢰했다.
         금고가 긴급 개방되면 금고 안의 케이스를 열고 핵탄두를 꺼내자. 베인은 라드가 가져오라고 한 물건이 핵탄두였다는 것을 알고 기겁한다. 이제 핵탄두를 확보해야 하는데,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매우 먼 데다가 핵탄두는 겁나게 무거워서 걸어서 옮기는건 미친 짓에 가깝다. 전리품 세개를 한번에 수송할 수 있는 지게차나 전리품 네개를 한번에 수송할 수 있고 빠르기까지 한 롱펠로(머슬카)를 이용하자. 가는 길은 SWAT 저격수와 난간과 컨테이너 위에 올라간 경찰들, SWAT 터렛이 기다리고 있으니 주의하자. 할당량 만큼의 핵탄두를 옮긴 후 탈출하면 클리어.
         서해안에서 금고를 들여오려는 라드. 하지만 LA에 발생한 지진 때문에 수송대가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에 라드는 Crime.Net.에 연락을 걸어 금고를 회수해 올 것을 의뢰한다.
         시작하면 무너진 고속도로 어딘가에 있는 수송 트럭 두대를 찾아내야 한다. 수송 트럭 한 대마다 갱단원 두명이 있는데, 이들은 라드가 금고를 지키기 위해 딸려보냈던 경비들이므로 죽이지 않아도 된다. 가만히 있으면 함께 경찰을 상대해준다.
         라드의 매형이 코카인 운송 도중 경찰에게 걸리고 말았다. 라드의 매형은 쇼핑몰 창고로 도망쳐 아무 상자에나 코카인을 숨긴 후 산타옷을 훔쳐 산타로 위장했지만 잡히고 말았다. 이에 라드는 베인에게 라드의 매형과 코카인의 확보를 의뢰한다.
         라드의 매형은 쇼핑물 1층 중앙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 묶여있다. 라드의 매형을 두고 대화를 나누던 경찰들을 처리하고 매형을 풀어준 다음, 죽빵을 한방 먹여 어디다가 코카인을 숨겼는지를 말하게 해야 한다. 이후 코카인을 숨긴 상자에 따라 해당 물품이 진열된 상자를 털어 크리스마스 트리에다가 던져 넣는 일을 세번 하면 된다.
         이중 세개를 완수하면 라드가 크리스마스 트리가 마음에 든다면서 이걸로 탈출하자는 이야기를 한다. 옥상에 올라가서 조명탄을 터뜨린 후 기다리면 바일이 C4를 공수해 온다. C4로 트리 윗쪽 천장의 채광창을 폭파시킨 후, 헬리콥터에 트리를 연결한 후 그곳을 통해 산타와 함께 탈출하면 클리어.
  • 김연경(배구선수) . . . . 25회 일치
         || '''점프 높이''' || 스파이크 높이 335cm, 로킹 높이 317cm ||
         || '''소속팀'''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대한민국) (2005~2009) [br] [[JT 마러스]] (일본) (2009~2011) [br] [[페네르바흐체 SK]] (터키) (2011~2017)[* 2007년 이후 스폰서명을 팀명으로 붙인다. (아즈바뎀 보건 그룹(2007년~2011년)-유니버셜(2011년)-그룬디히(2014년~2015년))] [br] 상하이 브라이트 유베스트 (중국) (2017~2018) [br] 엑자시바시 비트라 (터키) (2018~) ||
         192cm의 큰 키를 가진 [[대한민국]] 대표 여자 배구선수.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인천 흥국생명]]과 [[JT 마러스]]를 거쳐 [[페네르바체 여자 배구|페네르바흐체]], 그후 2017년, 상하이 브라이트 유베스트로.. 2018년, 현재 터키 '엑자시바시 비트라.--미녀구단--'로 이적했다.
         === [[일본]] JT 마러스 시절 ===
         || JT 마러스 시절 ~~욘굥 히메 시절~~ ||
         이후 2009-10시즌에 [[일본]] JT 마러스로 임대 이적[* 첫 해에 좋은 성적을 거두면 옵션으로 그 다음 해에도 뛸 수 있는 1+1계약을 맺었다. 그래서 2010년 9월 국내 컵대회에 출전했다. 일본 리그가 오프 시즌인 때에는 9월에는 국내 컵 대회 출전이 가능했다.], 일본 여자배구계 외국인 선수 중 최고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김연경이 빠져나간 흥국생명은 2009-10 시즌 10연패라는 기록을 세우고 말았다(...) 사실은 2008-09 시즌에도 흥국생명은 정규 시즌을 겨우 3위를 해 플레이오프부터 봄배구를 시작했지만 김연경과 카리나 오카시오의 크레이지 모드로 우승을 차지했던 것. 어쨌든 흥국생명의 [[리즈 시절]]을 이끌고, 게다가 국가대표팀에서도 [[사기 캐릭터|캐사기 유닛]] 소리를 듣게되자 '국내 리그에서 뛰면 안 된다'라는 여론과 김연경 본인의 외국 리그 진출 의지가 합쳐져 결국 2009 오프시즌에 외국 리그 진출을 추진하게 된다. 사실 김연경은 완전 이적을 바랐겠지만, 흥국생명이 선수 임대 방식을 이용, '''당시 V-리그 선수 이동 규정에 없던 방식'''으로 제대로 신분 정리도 안 한 채 이적을 진행했고, 이것이 3년 후에 이적 파동의 도화선이 된다.
         어쨌든 이런 사정을 접어두고라도, 김연경은 일본 프리미어리그에서까지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의 활약을 펼쳤으니 일본 리그의 감독들까지 '''일본에서조차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선수'''라며 혀를 내두를 정도로 만들었다.[* 물론 당시 일본 여자배구에는 오야마 카나(大山加奈), 구리하라 메구미(栗原惠), 기무라 사오리(木村沙織) 등 대형 거포들이 활동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야마는 전성기가 너무 짧았고, 구리하라는 이탈리아에서 돌아온 이후에 폼이 급격히 무너졌으며, 기무라는 이 둘보다는 기량이 서서히 떨어지기는 했지만, 2010년대 초반 들어서는 예전만도 못한 기량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 여자 배구에 한류 열풍을 몰고 온 좋은 케이스. 2009-10 시즌 초에 신종 독감으로 고생하더니 2010-11 시즌 초에 역시 독감으로 몇 경기 결장한 바 있다. 그래서 팬들의 가슴을 졸이기도. 하지만 결국 천천히 컨디션을 끌어올려 JT 마러스의 시즌 우승을 또 한 번 이끌어 냈다.[* 2011 [[도호쿠 대지진]]으로 일본 V리그는 잔여경기에 상관없이 시즌을 강제 종료했다. 이로인해 정규 리그 최종 성적이 시즌 통합 성적으로 인정되어 정규 시즌 1위였던 JT 마러스와 사카이 레이저스가 2010-11 시즌 우승팀이 됐다.]
         임대 이적이라는 신분 때문에 2009-10시즌 종료 후 비시즌인 9월 KOVO컵 때 흥국생명 소속으로 뛰기도 했고 2010-11 일본 V리그 가 포스트 시즌을 앞두고 [[도호쿠 대지진]]이 터져 시즌이 조기 종료되어 한국으로 일찍 귀국했다. 마침 그 시기가 국내 V-리그 포스트시즌과 맞물리는 바람에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으로서는 ''''김연경 룰''''[* 김연경이 JT 마러스로 (임대)이적할 때 생긴 규정. 시즌 전(全) 경기의 25%를 뛰면 한 시즌 뛴 것으로 간주.]을 적용해 김연경을 포스트 시즌에 반짝 출장시키고 싶었으나 여론의 뭇매로 김연경은 한 달여 간의 휴식을 취하고 컵대회인 흑취기에 참가하기 위에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
         여담으로, 팬들이 김연경이 뛰었던 팀중 선호도가 꽤나 높은 팀이기도 하다. 다케시타 요시에라는 일본의 명세터와 손발을 맞출 수 있는 기회였고, 김연경 본인또한 JT 마러스에서 뛰며 배구 외적으로 문화, 음식, 예절 등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었다고 언급했기 때문. 팬들 입장에서는 초록색, 흰색의 유니폼과 아주 잘 어울려 좋아하기도 했다. 2년간 JT 소속으로 뛰어서 그런지 전세계적으로 배구 팬들 사이에선 인기가 많은 김연경이지만 유독 일본에 열렬한 팬들이 정말 많다.
         JT 마러스의 흑취기 우승에도 큰 공을 세운 뒤 JT 마러스와의 임대계약이 종료된 결국 2011년 5월 [[터키]] 명문 [[페네르바흐체 SK]]에 입단하게 된다. 역시 JT 때와 같은 임대계약. 여자배구에 있어서 터키 아로마 리그는 유럽 최대의 빅리그 중 하나인지라 얼마나 적응에 성공할 지는 미지수였던지라 페네르바흐체와도 1+1 계약을 맺었다. 그래도 일본에서도 ''''100년에 나올까 말까한 거포''''라고 칭송했으니.
         게다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은 김연경을 [[JT 마러스]]와 [[페네르바체 여자 배구|페네르바체]]에 임대했을 당시 기부금 명목으로 매년 선수 연봉 중 6천만 원을 갈취했다는 의혹이 있다.[* 원래는 1억이었는데 선수가 항의를 하니 무려 6천만원으로 깎아줬다. ~~대인배 코스프레~~] [[터키]] 아로마리그에 참가하는 배구팀인 [[페네르바체]]에 김연경을 임대하면서 김연경이 받아야 할 연봉인 100만 유로 중 20만 유로를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흥국생명]]이 착복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선수의 신분을 두고 대립했던 문제가 구단의 금액 착복 문제까지 겹치자 결국 이 사건은 시궁창 싸움으로 변하고 말았다
         2014 FIVB 월드 그랑프리에서도 역시 그룹1 득점부문 1위를 달렸다(조별예선 종료 기준 242점-평균 26.89점). 2위와는 무려 60점 가까이 차이났다. 공격 1위, 서브 1위를 기록했다. 로킹을 빼더라도 공격만큼은 김연경이 쌈싸먹고도 남았다. ~~뭔가 데자뷰같아 보이지만 아무래도 상관 없어!~~ 대표팀의 확실한 제2 옵션인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과 충격적인 성인대표팀 데뷔를 한 신성 [[이재영(배구선수)|이재영]], 국가대표팀에서도 가능성을 보여주기 시작한 [[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 등도 도움을 줬지만, 역시 어려운 볼이나 결정적인 상황은 김연경이 주로 처리하였다. 이 때문에 록 높이가 좋은 팀들에게 집중 마크가 되었다. 한편, 8월 10일(현지시각)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러시아전에서 '''무려 42점'''을 올리는 맹활약으로 종전의 '''한 경기 최다득점 기록을 갈아치웠다'''.
         190cm의 장신이지만 단신 공격수들의 주공격 방법인 왼쪽 측면 C속공과 중앙 시간차 공격 등 스피드 배구가 가능하다. 물론 압도적인 신장과 스파이크 높이가 있어 상대편 전위의 로커가 투 록 내지는 쓰리 록을 떠도 상대 로킹 위를 넘어 코트 먼쪽의 대각으로 넣는 공격도 가능하다. 백어택 능력 또한 뛰어난데, 국가대표팀에서 [[정대영]]이 A퀵을, 김희진이 이동B퀵을 뛰는 척 상대편을 속이면 김연경이 백어택을 해 주는, 남자부 경기에서나 볼 듯한 파이프(PIPE) 공격과 같은 고난도 플레이도 가능하다.
         수비 면에서도 최고의 선수. 앞서 언급했듯, 한일전산 신입 시절에 리베로를 본 적이 있어 상대 서브 캐치를 잘 해낸다. 김연경이 '''만능플레이어'''인 이유. 그런데 이런 능력 때문에 김연경의 대각에 서는 윙리시버들은 종종 김연경과 비교를 많이 당한다. ~~이를테면 [[한송이(배구)|한송이]]라든가...~~ 그리고 전위에 있을 때 [[양효진]]과 함께 같이 투 럭을 이뤄 '통곡의 벽'을 만들기도 한다.[* 김희진은 키가 185cm라 로킹은 다소 약한 편] 다만, 김연경이 날개공격수를 전담해서이기도 하고, 흥국생명에서 뛰던 시절보다 수직점프 부분은 살짝 낮아졌기 때문에 로킹을 전담하는 센터에 비해서는 로킹 부분이 조금 약해지긴 했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신장이 비슷하거나 작은 나라를 상대로 해서는 김연경 자체의 키로도 충분히 커버 가능.
          * 그런데 왜 2012년 8월 19일 [[한화 이글스]]와 [[LG 트윈스]]와의 [[한밭 종합운동장 야구장|대전]] 경기에 시구자로 나온 거냐고? 다름아닌 [[박찬호]]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고. 2011년에 [[박찬호]]는 [[오릭스 버팔로즈]] 소속으로, 김연경은 JT 마러스 소속으로 활약했다. 두 팀 연고지가 모두 [[오사카]]여서 자연스럽게 인연을 맺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 샤잠 . . . . 25회 일치
         [[DC 코믹스]]의 캐릭터. 원래 포셋 코믹스의 캡틴 마이었다.
         관련 캐릭터는 [[위저드 샤잠]]과 [[메리 마]], [[캡틴 마 주니어]], [[엉클 마]], [[루테넌트 마스]]
         주력 빌런은 [[닥터 시바나]]와 [[랙 아담]].
         원래 캡틴 마이란 이름의 캐릭터였으며 만든 곳도 DC가 아닌 포셋 코믹스였다. 당시 캡틴 마의 인기는 엄청나서 슈퍼맨을 위협할 정도였는데 이때 DC가 캡틴 마은 슈퍼맨의 표절이라며 소송을 걸었고, 부담을 견디지 못한 포셋이 캡틴 마을 포기했다. 이후 캡틴 마은 DC 코믹스 소속이 되었다.
         캡틴의 정체인 빌리 뱃슨은 착한 마음씨를 가진 소년이며 위저드 샤잠에게 힘을 받아 캡틴 마이 된다.
         캡틴 마은 솔로몬의 지혜, 헤라클레스의 힘, 아틀라스의 체력, 제우스의 권위, 아킬레스의 용기, 머큐리의 스피드를 가지고 있다. 힘의 키워드는 마법 주문인 샤잠. 샤잠이란 단어를 말하면 빌리에게 벼락이 떨어지고, 캡틴 마이 된다.
         드라마화되었다. 다만 통상적인 히어로물은 아니고 캡틴 마이 젊은이들을 돕는 내용.
          * 해당 캐릭터의 이름은 본래 '캡틴 마'이었으나 마 코믹스 소속이 아니라 포셋에서 DC에 옮겨진 캐릭터다. 마의 캡틴 마은 따로 있다. 한편 이름과 관련해서 에피소드가 있는데 사정 탓에 코믹스아 못나오다 나중에 연재개 재개되었을 시기에는 이미 마에서 캡틴 마을 내와 DC는 '파워 오브 샤잠'이란 제목을 써야 했다.
          * DC와 포셋의 법정공방 탓에 캡틴 마 연재에 지장이 오자 영국에선 대체 캐릭터인 마맨이 나왔다. 이 마맨은 후에 미라클맨이 되었으며 소속은 마 코믹스.
  • 하이큐/258화 . . . . 25회 일치
          * 히나타는 오사무가 자신의 록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 그동안 겪었던 "꺼림직한 록"을 돌이켜보며 실마리를 찾는다.
          * 마침내 떠오른 "1 대 1에서 가장 꺼림직한 록", [[아오바죠사이 고교]]의 [[마츠카와 잇세이]]의 록이었다는 해답을 얻는다.
          * 마츠카와의 록을 모방한 히나타의 록이 처음으로 오사무의 공격을 직선으로 유도, [[니시노야 유]]가 받아내면서 싱크로 어택으로 다시금 동점을 이룬다.
          * [[이나리자키 고교]]의 [[미야 아츠무]], [[미야 오사무]] 형제가 뺏아간 괴짜 속공.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히나타 쇼요]]를 록에 적극 기용하는 것으로 대항해 보려 하나 아직 소득이 없다. 번번히 농락 당하는 히나타의 록. 히나타는 뛰어난 통찰력으로 오사무의 볼을 저지하는데까지는 갔으나 힘에서 밀려 "밀어넣기"에 당해버린다. 그래서 더 열불이 터진다. [[야마구치 타다시]]가 옆에서 보기에도 확연할 정도. [[츠키시마 케이]]가 그 심정은 정확히 안다. "경험치"가 너무 다르다. 방금 전 밀어넣기는 그렇다쳐도 계속 1 대 1 상황에서 록이 뚫리면 스트레스를 감당할 수 없다.
          * [[카라스노 고교]]의 두 번째 TO. 전황이 좋지 않다. 우카이 코치는 이나리자키의 록이 자군이 괴짜 속공에 적응해 가는 상황을 우려했다. 그 대안으로 "섞음"을 해금한다. 근데 잠깐 어리둥절해하는 히나타. 알아들은 척 하지만 츠키시마의 눈썰미를 벗어나지 못했다.
          정곡이다. 우카이 코치는 오늘로 두 번째로 "열받지 마라"고 경고한다. 그게 "스파이크든 록이든".
          * 다시 이나리자키의 공격 기회. 아츠무는 세트를 올리려다 한 가지가 눈에 마음에 들지 않았다. 일단 공은 오미미에게. [[카게야마 토비오]]가 원터치로 록한다. 라인 밖으로 빠지는 공을 사와무라가 살리지만 네트에서 너무 가까웠다. 타나카의 스파이크도 오미미, [[마지로 알렝]]에게 차단되나 싶었는데, 마지로의 팔이 네트에 걸렸다. 터치넷으로 카라스노의 득점 인정. 무안해하며 사과하는 마지로. 일단은 한숨 돌린 카라스노.
          * 스코어는 20 대 19. 1점 차를 유지했지만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두 번째 TO를 전후로 명백히 기세가 꺾였다. 이런데다 이나리자키의 사령탑은 채찍질을 그치지 않았다. 아츠무가 오사무의 플레이에 트집을 잡았다. "꾀를 부린다"는 것. 방금 전 아츠무의 눈에 걸린게 그거였다. 오사무가 "일단 미끼할게요" 식의 불성실하게 들어왔다. 오사무도 그걸 부정하진 못하고 "전력으로 뛰면 어떻게 끝까지 뛰냐"고 투덜댄다. 그러다 아츠무는 "치면 들어간다"며 일단 전력을 다하라고 질책했다. 그렇지 않으면 "저 작은 록"이 두렵냐는 것. 당연히 그렇지 않다고 항변하는 오사무. 그런데 이 논쟁은 뜻밖의 상대에게 상처를 준다.
          "저 작은 록"이 충격을 받는다.
          * 히나타가 충격을 받은 부분은 "무섭지 않다"는 부분. 이젠 작다는 데는 이골이 난 모양이다. 어쨌거나 록을 뛰어도 스파이커가 "무섭지 않다"고 하는건 충격이었다. 히나타는 자신의 록이 어디가 잘못됐나 돌아본다. 혹시 혼자서 뛰어서 그렇진 않을까? 고민이 이어지는 동안 카게야마의 서브다.
          * 플레이가 시작됐건만 고민이 멈추지 않는다. "혼자니까 무섭지 않다"는 건 말이 안 된다. 록이 한 장만 있어도 무서운 놈은 무섭다. 예를 들면 저 [[다테 공업 고교]]. 이쪽은 전원이 무서웠다. [[아오네 타카노부]], [[후타쿠지 켄지]], [[코가네가와 칸지]]. 너무 철통 같아서 한 명이 붙는 경우는 고사하고 보통은 두 명씩 따라왔다.
          * 아니다. 그쪽이 아니다. 이건 1 대 1에서 무서운 쪽을 떠올려야 한다. 다시 한 번 그동안 "경험"했던 얼굴들을 떠올린다. 하나하나. 자신을 막으러 왔던 록 중 누가 가장 꺼림직했나? 대체 누가? 날아오르는 자신 앞으로 수없이 뻗혀왔던 팔들, 얼굴들. 되살아나라 "경험치"
          * 히나타가 생각에 잠긴 동안 공은 다시금 아츠무에게. 거의 염파에 가까운 눈빛으로 오사무를 쏘아본다. "꾀부리지마". 그 구박에 떠밀려 오사무가 뛰어오른다. 그때였다. 오사무가 뛰는 것과 동시에 히나타도 뛰었다. 뛰는 거야 벌써 여러번째지만, 이번엔 달랐다. 히나타가 1 대 1에서 가장 꺼림직해했던 록. 그 차이를 눈치챌 만큼 예리한 사람은 [[니시노야 유]] 뿐이었다.
          * 기회가 왔다. 히나타는 곧바로 코트 중앙까지 와서 반전한다. 공은 카게야마에게. 이나리자키 록은 당황한다. 속공 타이밍이라고 생각했지만 10번, 히나타가 나오지 않는다. 여기서 섞인다. 싱크로 어택. 타나카, 히나타, 사와무라가 같은 타이밍에 날아오른다. 이들 중 진짜는 사와무라. 우측을 찌르는 스파이크. 산지마의 리시브를 뚫고 나간다. 카라스노 고교의 브레이크 선언. 20 대 20, 다시 동점으로 올라선다.
          * 니시노야는 방금 전의 "꺼림직한 록"을 일부러 한 거냐고 물었다. 히나타는 그렇다며 "엄청 꺼림직한 록"이었다고 말한다. 이 록의 주인공은 [[아오바죠사이 고교]]의 3학년 [[마츠카와 잇세이]]. 그 또한 어지간히 히나타를 괴롭혔던 로커다. 마침 전철에 타고 있었는데 히나타의 말을 듣기라도 한 것처럼 재채기를 한다.
          히나타의 이 "꺼림직한" 록은 같은 편의 츠키시마도 다시 보게했다. 그리고 킨다이치도. 동년배의 급성장이 놀랍기만 하다.
  • 김형준(배우,가수) . . . . 24회 일치
          * 그 외에도 [[엠랙]] [[지오(엠랙)|지오]], [[간미연]], [[K.WILL|케이윌]]까지 폭풍 인맥을 자랑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1&aid=0000228363|#]]
          * 2월 16일, 23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THE SHOW WARM-UP TIME에 출연했다.
          * 2월 22일, 27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쇼 챔피언|쇼 챔피언 백스테이지]]에 출연했다.
          * 2월 24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뮤비뱅크 스타더스트]]에 출연했다.
          * 3월 11일, 18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쇼비즈 코리아에 출연했다.
          * 3월 28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Mett&Greet에 출연했다.
          * 4월 21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대만의 我愛偶像(아애우상)에 출연했다.
          * 4월 21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일본 니코동 생방송에 출연했다.
          * 6월 14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쇼 챔피언|쇼 챔피언 백스테이지]]에 출연했다. 평소에 겁이 많아서 허영생이 귀신 이야기를 하던중 제작진의 장난으로 화들짝 놀라 소리지르고 난리가났다.
          * 6월 14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THE SHOW WARM-UP TINE에 출연했다.
          * 6월 18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쇼! 음악중심]] 대기실 라인업 live에 출연했다.
          * 6월 20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Mett&Greet에 출연했다.
          * 6월 21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생방송 해요TV에 출연해 라이브를 부르고 춤도추고 미션도 수행했다.
          * 7월 5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쇼 챔피언 비하인드에 출연했다.
          * 7월 10일, 17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판타스틱 듀오]]에 패널로 출연했다.
          * 12월 10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출연했다. 오프닝 멘트에서 자기 목소리가 저음 이라고 하자 어떨결에 성악가랑 바이톤 대결을 했는데 성악가도 김형준의 실력을 인정했다. 허영생이 [[김현성(가수)|김현성]]과 [[김경호]]의 성대모사를 보여주자 뒤이여 자신도 [[이정재]]가 출연한 영화 [[암살(영화)|암살]] 명대사 재판장님 성대모사로 출연진 들에게 웃음을 자아냈다. 이어서 [[하동균]] 성대모사도 할줄 안다고 하자 했는데 [[문희준]]한테 이정재씨 잖아요 하고 디스 당했다. [[http://tvcast.naver.com/v/1298762|영상]]
          * 12월 12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해요TV K-COOK STAR에 출연했다. 삼행시도 짓고 철가방속에 있는 글씨를 맞춰야 요리을 먹을수 있는데 철가방을 순식간에 열고 닫아서 맞추기도 어러웠는데 찜닭 이라고 외쳐 정답을 맞춰서 맛있는 찜닭을 먹었다. 닭 CF도 찍고 김규종이랑 막춤까지 추며 요리 대회에서 [[모일봉]]이랑 닭갈비랑 치즈 과일꼬치 요리를 했는데 팬들은 김형준의 [[요리치|요리실력]]을 잘 알기 때문에 당연하듯 허영생, 김규종 팀에게 압도적으로 표를 주었고 김형준은 요리 대회에서 져서 벌을 받았는데 허영생이 싸이팬으로 김형준 얼굴에 그림(...)을 그렸고 김형준은 해요TV 시청자 들에게 웃음을 안겨 주었다.
          * 12월 14일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랙박스 라이브에 출연했다.
          더에스301이 2016년 3월 19, 20일날 열린 콘서트에서 여장을하고 [[PICK ME]] 안무를 췄다고 MC들이 언급하자 김형준은 출연진들과 픽미 노래에 맞쳐 센터에서 춤을 추었다. 그러다 몸매 이야기가 나왔는데 [[어른의 사정]]으로 방송 심의상 보여줄수 없는 [[검열삭제|뭔가]]를 보여주자 출연진들은 놀라움을 자아냈다. [[B.A.P]]의 [[대현]]이랑 허벅지를 맞대고 대결을 펼쳤는데 1초도 안되서 허벅지가 벌어져서 대현에게 대굴욕을 당했다.--대결을 하기전 자기가 무조건 이긴다고 자신만만 하더니 결국에는... 안습-- [[http://m.tvcast.naver.com/v/1364540|영상1]][[http://m.tv.naver.com/v/1367207|영낭2]][[http://m.tv.naver.com/v/1367194|영상3]]
          * 2016년 3월 6일 [[KBS Cool FM]] 케이팝 플래닛에서 더에스301 멤버들과 함께 일일 DJ를 맡았다.
  • 고유민 . . . . 20회 일치
         지명한 [[황현주(배구)|황현주]] 전 감독은 최대한 많은 경기를 출장시켜주려고 레프트-라이트-원포인트 로커 등으로 이러지러 포지션을 변경해가며 팀의 상황에 맞추어 기용했다. 이런 방침을 따른 결과 그해 지명된 신인들 중에서는 신인왕을 탔던 도로공사의 [[고예림]] 다음으로 많은 세트를 소화했다. 시즌 중반까지 고예림의 출장보다 출장경기 수가 더 많았지만, 고예림이 시즌 후반 자리를 잡고 좋은 활약을 선보이면서 신인왕 경쟁에서 리타이어 되고 말았다.
         첫 시즌 최종 개인기록은 19경기 출장 40세트 14득점 공격성공률 28.21% 로킹 24번 시도 2번 성공 디그 27번 시도 20번 성공 리시브 성공률 23.19% 딱 '신인인데 그만하면 수고했다.' 라는 말을 받을 만한 성적을 기록했다. 키는 공격수로서 어중간하지만 같은 키를 가진 보통 선수에 비해 팔 다리가 길어 배구선수로 유리한 신체 조건을 가지고 탄력이 뛰어난 편이며, 수비에서는 리시브는 별로 신통치 않지만 디그 능력이 괜찮은 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제주도 전지훈련에서 오래달리기 3등을 하는 등 열심히 노력했으나 결국 선발은 되지 못하고 [[김주하]]-[[정미선(배구선수)|정미선]]-[[한유미]]-김진희에 이은 5옵션이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꽤 낙심했으나 간간히 전위에 정미선[* 키는 현대건설 레프트 중에 제일 크지만 키에 비해 점프력이 좋질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신에 수비나 공격이 밸런스 하니까. 이런 레프트가 전체 5순위까지 밀려?--]이 올때 원포인트 로커로 기용되거나 한유미의 리시브가 불안할때 대체요원으로 기용되었다.
         GS 칼텍스 와의 결승전에는 선발출장을 하여 --물론 후위에 [[한유미]]와 같이 있으면 안믿던 예수님 찾을 정도로 아슬아슬하긴 했다.-- 끝까지 무너지지 않고 잘버텼고 3세트 듀스상태에서 마지막 끝내기 오픈을 성공시키는 등 최고의 활약을 펼치면서 13득점 공격점유율 35.17%, 경기 최다로킹 (3개),디그 14번 시도 중 10번 성공, 리시브 성공률 37%를 기록하며 정미선의 빈자리를 완벽하게 메워내 팀의 8년만에 컵대회 우승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작년 기업은행에게 학살당한 결승전엔 최다득점자가 8점인가 그랬지...--
         교체선수로 시즌을 시작했다. 2014년 10월 30일 시즌 두번째 경기에 시즌 첫 출장을 했다. [[황연주]]의 공격성공률이 떨어지자 교체로 3,4,5세트를 뛰고 4득점을 하면서 64.29%의 리시브 성공률을 기록하며 팀의 풀세트 승리에 기여, 기분좋게 시즌을 시작했다. 이후 [[김주하(배구선수)|김주하]]의 전위에서 원포인트 로커로 교체되거나 [[황연주]]가 부진할때 간간히 교체되어 나왔다. 다만 전자의 역할은 선배 [[한유미]]가 주로 맡게 되었고 후자의 역할은 코칭스테프가 황연주를 교체하는 것에 별로 마뜩치 않아 했기 때문에[* 경기가 완전히 기울어버린 때에도 코트에 황연주를 남겨놓을때가 많았다. --차라리 폴리를 뺀다는 마음가짐--] 출장시간이 점점 뜸해졌다. --그것보다는 보통 지는 경기에 교체출장하는데 리시브 범실, 공격범실로 감독 화돋구고 나가는 때가 많았다.-- 19경기, 39세트 출장 13득점 공격성공률 28.26% 리시브 성공률 22.5%을 기록했다. 좋게말하면 작년과 비슷한 기록을 냈고 나쁘게 말하면 성장세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고 볼수 있었다. --그러나 더 웃긴건 [[고예림|전 시즌 신인왕]]은 폭망했고 나머지들도 그닥이었다.--
         도로공사 감독 이호는 주포로 예상 되었던 황연주와 양효진(김세영)의 공격을 임명옥[* 전 인삼공사 주전 리베로. 국가대표 리베로 김해란과의 1:1 트레이드로 데려왔다.]을 앞세워 그런대로 방어[* 황연주-공격점유율 30.29% 성공률 27.91%, 양효진- 공격점유율 17.61% 성공률 32%]했지만 계산밖이었던 고유민의 공격에는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1세트에서는 로커가 아얘 붙지 않거나 있어도 하나만 있는 상태가 많았다.] 이날 공격점유율 20.42% (팀내 2위), 성공률 '''41.38%'(팀내 1위)''', 13득점(팀내 2위), 서브에이스 1개--근데 2개 날렸다--,[* 그것도 리시브의 달인이라고 평가 받는 도공 리베로 임명옥을 상대로 기록하였다.] 9디그를 기록하며 자신의 기량향상을 제대로 선보였다. 황연주가 아직 제 컨디션이 아니고 컵대회 초반 양효진이 감을 못잡은 상태에서 현대건설의 주요한 공격옵션으로 자리잡았다. 낮고 빠르게 세터가 쏘아주는 C토스를 바탕으로 힘으로 몰아붙이거나 로커가 붙었을 경우 피해서 코트 이곳 저곳 꽂아 넣는 정확성에 다시 봤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다만 리시브 성공률 9%는 옥의 티.
         2차전 인삼공사 전에서도 선발 출장했다. 이날도 현대건설은 기복이 있는 경기력을 보여줬지만 컵대회 직전까지만 해도 예상하지 못했던 황연주-양효진-고유민의 삼각편대를 다시 한번 보여주면서 승리했다. --그것보다도 [[이다영]]이 잠시나마 경기감각을 되찾고, [[한유미]]의 정밀서브, [[염혜선]]의 닭장거부서브가 인상적인 경기였지만-- 13득점(팀내 2위, 12공격득점), 공격점유율 17.52%(팀내 3위), 공격성공률 '''50%(팀내 1위)''' 백어택(후위공격) 1[* 프로데뷔 첫 백어택], 1로킹, 6디그, 리시브 성공률 28.57%--1차전 보다 3배 더 잘받았는데 그냥 그날그날 로또다--를 기록하면서 컵대회 아무도 예상하지 않았던 현대건설 돌풍의 주역이 되었다. 주로 황연주와 양효진이 상대 록커를 몰고 다니면 어디선가 나타나 그 빈틈으로 공격을 성공시켜 상대팀의 록 포지션을 찢어놓거나 뒤에서 왔다갔다 하는 스크린성 플레이로 혼란을 주는 역할이 주효했다.
         준결승전 흥국생명 전에도 선발 출장했다. 1,2세트는 말 그대로 하드캐리를 했는데 --초반엔 잘 보이지 않다가 1세트 중반 부터-- 공격성공률 60%에 이르는 활약을 하면서 끈질기게 추격하는 흥국생명의 기를 꺾는 역할을 했다. 팀이 뒤지고 있을때 차분히 공격을 성공시키면서 공격의 발판을 만들어 놓고 황연주와 양효진이 역전의 순간 킬러본능을 발휘하며 매조지하는 패턴이 나온 경기였다. --사실 1,2세트는 정상적인 경기 운영이었다면 3세트는 팀컬러인 자멸 4세트는 센터로 뚜껑따는 패턴의 경기였다.-- 당연히 예선전 분석을 했을 흥국생명은 이전 팀들과는 다르게 성실하게 로킹 포지션을 잡으며 꾸준하게 2인 로킹을 시도하였으나 그것을 '''힘으로''' 뚫어내는 놀라운 펀치력을 보이면서 컵대회 루칩의 역할을 했다. --공격 성공률은 악몽의 3세트에서 다까먹긴 했다.-- --4세트 21-22 접전 상황에서 로킹 터치아웃 오심을 이끌어내며 뻔뻔하게 뒤돌아 서는 모습이 백미. 역시 [[양효진|올림픽 월드클래스 사기꾼]], [[염혜선|별명이 그냥 사기꾼인 선수]], [[김주하|셀카를 사기로 찍는 선수]]의 팀 답게 새로운 신예 사기꾼의 등장을 알리기도 했다.-- 공격점유율 18.24% (팀내 3위), 성공률 37.93%(팀내 2위), 14득점(팀내 3위)[* 개인 한경기 최다득점], 공격득점 11점, 서브 에이스 2개, 디그 14개, 리시브성공률 20%--오늘은 5등이네--를 기록했다. 이날 경기가 끝나고 배구팬들은 "쟤 어디있다가 지금 나타난거냐?"고 의아해 할정도의 활약을 보여줬다.
         결승전에서도 선발 출장하였으나 기업은행의 높은 로킹과 까다로운 서브에 고전하며 교체되었다가 팀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하던 5세트 6-7상황에서 다시 등장했다. 이때 로킹득점과 절묘한 앵글샷으로 연속 3공격득점을 하면서 10-7까지 벌려놓았으나[* 재밌는 점은 이때 기업은횅 이정철 감독은 9-7상황까지는 기업은행 선수들에게 화를 내다가 10-7이 되자 잠깐 벙쩌서 선수를 가리키며 '쟤 뭐지?'하는 표정을 지었다. --국가대표도 아주 꿈은 아니다.-- --꿈 깨고 내년 U23 국가대표에는 나갈수 있을듯--] 이후 부진하던 [[박정아(배구선수)|박정아]]가 폭발하고 공격이 록당했으며[* 5세트 이정철 감독은 고유민의 담당 로커로 박정아(188cm)를 세워두는 초강수를 뒀다.], [[이정철]] 감독의 적시 비디오 판독이 나오면서 그대로 기업은행 기세에 팀이 밀리며 패배하게 되었다. 기록은 8득점, 공격점유율 14.36%, 성공율 25%, 디그 9, 록 1, --리시브성공률 0%을 빼면 쓰나-- --그날은 꽝--.
         고질적인 문제를 이겨내지 못해서 시즌 후반엔 내내 닭장에 있었고, 2016년 3월 13일 흥국생명과의 플레이 오프 2차전에서 [[한유미]]와 [[정미선(배구선수)|정미선]]이 수비라인이 동시에 붕괴되는 초유의 사태에 양철호 감독이 2세트부터 선발 출장을 시키는 강수를 뒀고 4세트엔 여지없이 붕괴되어 한유미와 교체되었지만, 그런대로 근근히 3세트까지 버텨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특]][[대전 KGC인삼공사|정]]팀들에 강한 면모를 유감없이 보였다. 정시영의 공격을 로킹하여 포스트 시즌 첫 득점을 기록하였다. 챔피언 결정전에 교체멤버로 분류되었으나 2차전에 교체출장으로 생애 첫 챔피언 결정전에 무리없이 출장했고, 3차전 마지막 세트에 출장하면서 팀의 우승에 한몫 거들었다.
  • 맥스 페인/줄거리 . . . . 20회 일치
         호텔 밖으로 나간 맥스는 잭 루피노를 잡기 위해 그의 본거지로 향한다. 그러던 중 본거지 앞 자동차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메르세데스 벤츠 한대가 그 자리를 벗어나는걸 목격한다. 그 벤츠의 조수석에는 펀치넬로 마피아의 눈엣가시였던 러시아계 범죄조직의 두목, [[라디미르 렘]]이 타고있었다. 라드가 탄 벤츠는 루피노의 본거지에서 달아나던 중 유조차 한대를 엎어지게 해 큰 화재를 일으킨다. 이후 라드가 루피노의 본거지에 설치한 폭탄이 폭발한다.
         [[라디미르 렘]]이 터뜨린 폭탄은 위로 올라가는 비상계단까지 박살내버렸다. 맥스는 옆 건물에서 잭 루피노의 본거지로 넘어가는 방법을 생각해낸다.
         이후 맥스는 5층으로 올라가 파이프를 타고 옆 건물로 건너간 후, 또다시 파이프를 타고 루피노의 본거지로 건너간다. 라드의 폭탄 테러가 끝나지 않았는지 아직도 폭탄이 터지고 있었다. 맥스는 마피아들을 처리하며 루피노의 사무실에 도착한다.
         기절한 맥스는 가족들이 몰살당한 날의 악몽을 꾼다. 언제나 그렇듯이. 맥스는 뉴저지에 있던 집에 들어왔다. 딸의 울음과 아내의 애원이 들리지만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은 복잡한 미로로 되어있었다. 맥스가 2층으로 올라가 아기 방 문을 열었을 때, 오르골 소리와 울음 소리만 들릴 뿐 아기는 없었다. 아무것도 없는 곳으로 뻗어나간 핏줄기가 있을 뿐이었다. 맥스는 핏줄기를 타고 아기한테 갔을때, 아기는 핏투성이가 되어서 움직이고 있었다. 하지만 순식간에 아기는 사라지고, 옆에 놓인 알파벳 록 장난감이 스스로 움직여 D3AD(죽었음)라는 글자를 만들어낸다. 맥스는 아내의 울음소리를 듣고 침실로 향한다. 침실 문을 열고 권총을 쏜다.
         맥스는 자동차를 몰고 호텔을 떠난다. 하지만 그를 미행하는 검은색 메르세데스 벤츠 한대가 있었다. [[라디미르 렘]]은 맥스의 차를 세우고는 그에게 손가락총으로 장난을 친다. 라드는 맥스에게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을 하겠다며 말을 시작한다.
         [[라디미르 렘]]은 보리스 다임이라는 부하를 두고 있었다. 다임은 화물선 "카론"의 선장으로, 무기를 포함한 라드의 물건들을 수송하고 있었다. 하지만 다임은 라드를 배신하고 펀치넬로 패밀리에 붙어버렸다. 라드는 맥스에게 다임을 죽이고 카론을 탈환하면 무기를 지원해 주겠다는 제안을 한다. 맥스는 이를 수락한다. 그는 라드에게 그나마 좋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다임은 최하층 화물칸에 있었다. 그는 부하들과 함께 맥스를 공격하지만 결국 맥스에게 죽고만다. 맥스가 화물칸에 있는 무기들을 발견하자, 라디미르 렘은 원하는대로 챙기라고 무전을 날린다.
         맥스는 필요한 무기를 모두 챙기고 화물칸에서 나간다. 라드는 이제 자기 혼자 할 수 있다는 맥스를 떠나보낸다.
         >라드: 보드카처럼 투명하군. 하지만 힘든 상황에 처하면 언제든지 부르라고. 이게 좋은 우정의 시작이 될지도 모르겠군.
         라디미르 렘과의 거래로 엄청난 무기를 얻은 맥스였지만 안젤로 펀치넬로의 저택으로 가는건 쉽지 않았다. 펀치넬로가 자신에게 비는 모습을 보고 싶었던 맥스는 공중전화를 통해 펀치넬로에게 전화를 건다. 펀치넬로는 전화를 받자 마자 죽일거라며 방방 뛰지만 맥스와 협상을 하기로 한다. 둘은 펀치넬로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카사 디 안젤로에서 만나기로 한다.
         하수구 밖으로 나온 맥스는 라드의 메르세데스 벤츠와 만나게 된다. 불타는 카사 디 안젤로를 본 라드가 다시 돌아온 것이었다. 라드는 맥스를 펀치넬로 저택까지 태워다준다.
  • 김보름 . . . . 19회 일치
         2011년 제66회 전국남녀 종합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2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blog.naver.com/woorikangsan/20201685972|제목=한국 빙상 유망주 - 김보름 선수,한국, 토렌티노 동계 U대회 종합 3위…빙속 김보름 최다 메달 획득,|뉴스=네이버 로그 {{!}} 사진과 여행하기|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2012년 11월 16일 네덜란드 히렌빈에서 열린 2012-2013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4분10초81로 1위를 차지했다. 17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8초41로 1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매스스타트 부문에서는 김보름이 4위를 차지했다.<ref name=":8" /> 18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박도영이 3분03초13으로 5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2년 11월 24일 러시아 콜롬나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매스스타트에 출전한 김보름은 8분40초77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따냈다. 박도영(20-한국체대)은 8분41초26으로 5위, 노선영은 8분41초82로 10위를 차지했다.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1분57초05로 전체 선수 20명 중 5위를 기록하며 한국 여자 장거리의 스타 탄생을 예고했다. 1500m 디비전B에서는 노선영이 2분00초74로 5위, 박도영이 2분02초34로 15위를 차지했다. 25일 열린 3000m 디비전A에서도 김보름은 4분06초13의 기록으로 7위에 오르는 등 장거리에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였다. 박도영은 4분12초31의 기록으로 16명의 출전선수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3000m 디비전B에서는 노선영이 4분13초51로 16위를 차지했다.<ref name=":9">{{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EA%B9%80%EB%B3%B4%EB%A6%84-%EC%8A%A4%ED%94%BC%EB%93%9C%EC%8A%A4%EC%BC%80%EC%9D%B4%ED%8C%85%EC%9B%94%EB%93%9C%EC%BB%B5-%EB%A7%A4%EC%8A%A4%EC%8A%A4%ED%83%80%ED%8A%B8-1%EC%9C%84|제목=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매스스타트 1위|날짜=2012-11-26|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2}}</ref> 2012년 12월 1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 5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7분11초19의 기록으로 전체 12명의 선수 중 5위를 기록, 메달권 진입에 실패했다. 5000m 디비전B에서는 박도영이 7분30초18로 16위, 노선영(23, 한국체대)이 7분35초47로 19위, 임정수가 7분39초23으로 21위를 차지했다. 2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0초38의 기록으로 17위를 차지했다. 1500m 디비전B에서는 노선영이 2분02초47로 9위, 박도영이 2분03초10으로 11위를 차지했다. 팀추월 경기에 출전한 김보름, 노선영, 박도영은 3분00초55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ref name=":14">{{뉴스 인용|url=http://www.icenews.co.kr/entry/%EC%9D%B4%EC%8A%B9%ED%9B%88-%EC%9B%94%EB%93%9C%EC%BB%B5-10000m%EC%84%9C-%E9%8A%85|제목=이승훈, 월드컵 10,000m서 銅|날짜=2012-12-03|뉴스=아이스뉴스|확인날짜=2017-03-13}}</ref> 2013년 2월 9일 독일 인첼에서 열린 월드컵 7차 대회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8분13초80만에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 대회에서 김보름은 월드컵 포인트 100점을 추가, 총점 260점으로 네덜란드의 마리스카 휘스먼(240점)을 제치고 여자 매스스타트 월드컵 랭킹 1위로 올라섰다. 함께 레이스를 펼친 박도영(8분16초82)과 노선영(8분17초64)은 각각 10위, 15위에 그쳤다. 1500m 디비전A에도 김보름은 출전했으나 1분58초43의 기록으로 10위에 머물렀다.<ref name=":10">{{웹 인용|url=http://sbssports.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S10002306875|제목=김보름, 빙속월드컵 매스스타트서 두 번째 金... 이승훈 부진|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10일 열린 30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4분13초04로 13위에 머물렀다. 2013년 3월 1일 독일 에르푸르트에서 열린 월드컵 8차 대회 5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7분41초22로 11위를 차지했다. 2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2초80으로 18위를 차지했다. 2013년 3월 9일 네덜란드 히렌빈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08초51로 8위를 차지하며 185점 10위로 시즌을 마쳤다. 10일 열린 1500m에서는 김보름이 2분00초58로 16위를 차지하며 133점 13위로 시즌을 마쳤다.<ref name=":24" />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3위로 골인했지만 앞서 치른 2차와 7차 월드컵에서 1위를 한 바 있어 총점 365점으로, 330점에 그친 마리스카 후이스만(네덜란드)을 제치고 종합우승의 쾌거를 달성했다.<ref name=":12">{{뉴스 인용|url=http://m.blog.naver.com/woorikangsan/20201685972|제목=한국 빙상 유망주 - 김보름 선수,한국, 토렌티노 동계 U대회 종합 3위…빙속 김보름 최다 메달 획득,|뉴스=네이버 로그 {{!}} 사진과 여행하기|언어=ko|확인날짜=2017-03-13}}</ref>
         2014년 2월 9일 러시아 소치 아들레르 아레나서 열린 소치 동계올림픽 3000m 부문에서 김보름(21)은 4분12초08의 기록으로로 13위를 차지했다. 이날 3조로 경기를 치른 김보름은 21초05로 200m 구간을 통과한 후 2분31초34로 1800m 구간을 지났다. 이후 2200m 구간 통과 순간부터 스피드를 올리며 후반 들어 스퍼트를 올렸고, 결국 하위권이 아닌 중위권 기록을 남겼다. 김보름의 순위인 13위는 지난 2006 토리노 올림픽, 2010 밴쿠버 올림픽 당시 노선영(25-강원도청)이 기록한 19위를 넘어 한국 여자 3000m 부문의 가장 높은 순위다. 5조의 노선영은 4분19초02를 기록했다. 노선영은 200m 구간에서 21초32의 기록으로 지난 이후 속도를 올리지 못한 채로 결승점을 통과했다. 결국 노선영은 전체 26위의 성적을 남기며 경기를 마쳤다. 6조에서 경기를 소화한 양신영(24-전북도청)은 4분23초67을 기록해 이날 대회를 뛴 28명 중 최저의 기록을 남겼다. 한편 이날 대회는 4분00초34의 이레네 부스트(네덜란드)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 이후 8년 만에 금메달을 다시 가져갔다. 대회 2연패를 노린 2위 마르티나 사리코바(체코-4분01초95)와 3위 올가 그라프(러시아-4분03초47)에 앞선 기록이다.<ref>{{웹 인용|url=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441654|제목=(소치올림픽)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3000m 13위..금메달 부스트|확인날짜=2017-03-21}}</ref> 16일 열린 1500m에서는 네덜란드의 요리엔 테르모르스가 1분53초51의 올림픽 기록으로 금메달을 차지했다. 은메달과 동메달도 네덜란드 선수들이 휩쓸었다. 은메달은 이레인 뷔스트(1분54초09)에게 돌아갔고 동메달은 하를로터 판바이크(1분54초54)가 주인이 됐다. 심지어 4위도 네덜란드 선수인 마리트 리엔스트라(1분56초40)가 차지했다. 김보름은 1분59초78로 21위에 올랐다. 노선영(25-강원도청)은 2분01초07로 29위, 양신영(24-전북도청)은 2분04초13으로 최하위인 36위에 그쳤다.<ref>{{웹 인용|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B33&newsid=01079126605991504&DCD=A20402|제목=[소치올림픽]테르모르스, 전날 쇼트트랙 뛰고 빙속1500m 올림픽新 금|성=포털|이름=Ⓒ 함께 만들고 함께 즐기는 엔터테인먼트|성2=무단전재|이름2=‘이데일리 스타in’-|날짜=2014-02-17|확인날짜=2017-03-21|성3=금지|이름3=재배포}}</ref> 김보름은 무릎 통증이 있어 5000m를 기권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2/19/20140219004640.html|제목=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성=세계일보|날짜=2014-02-19|뉴스=빙속 김보름, 女 5000m 기권…팀추월 집중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 세계닷컴 -|확인날짜=2017-03-13}}</ref> 22일 열린 팀추월 파이널D(7-8위 결정전)에서 김보름, 노선영(25, 강원도청), 양신영(24, 전북도청)이 나란히 달린 여자 팀추월 대표팀은 노르웨이에 져 8위로 대회를 마쳤다. 전날 8강전에서 일본에 져 준결승 진출에 실패한 여자 대표팀은 이날 3분11초54만에 마지막 주자가 결승선을 통과해 3분8초35를 기록한 노르웨이에 패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way.co.kr/view.php?tp=1&ud=2014022223322278172|제목=김보름·노선영·양신영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팀추월 8위에 그쳐|뉴스=뉴스웨이|확인날짜=2017-03-13}}</ref>
         2014년 11월 14일 일본 오비히로에서 열린 2014-2015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 디비전B에서 4분14초43으로 3위를 차지했다. 15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전예진, 노선영, 박초원으로 구성된 대표팀이 3분15초39로 9위를 차지했다. 16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2분03분39로 6위를 차지했다.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8분35초05 6위로 마쳤으나<ref name=":26">{{웹 인용|url=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general/111788/112286|제목=[스피드 스케이팅] 김보름, 전예진 여자 매스 스타트|성=daum.net|이름=|날짜=11/16/2014|웹사이트=Daum|출판사=|확인날짜=3/16/2017}}</ref> 포인트에서 10위로 밀렸다.<ref name=":24" /> 2014년 11월 21일 서울 태릉 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5000m에서 김보름은 7분26초63을 기록, 9위에 머물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260|제목=[포토Q]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김보름 '아쉬운 9위' - 스포츠Q(큐)|날짜=2014-11-21|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22일 열린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2분 04초01로 3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3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전예진이 8위로 경기를 마무리했고 김보름은 9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ref>{{웹 인용|url=http://sbssports.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S10005984206|제목=[영상] '전예진, 김보름 출전' 스피드 스케이팅 월드컵 2차 여자 매스스타트|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2014년 12월 5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 출전한 김보름은 4분13초78로 10위에 기록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6/2014120600407.html|제목='질주 재가동' 이상화, 빙속WC 3차대회 500m 1차레이스 金|언어=ko|확인날짜=2017-03-14}}</ref> 6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전예진이 3분08초49로 7위를 차지했다. 7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3초24로 20위를 차지했다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8분33초56 4위로 마쳤으나 포인트에서 10위로 밀렸다. 2014년 12월 12일 네덜란드 헤이렌베인 티알프 실내빙상장서 열린 월드컵 4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이 4분13초61로 13위에 올랐다.<ref>{{웹 인용|url=http://m.nocutnews.co.kr/news/4340083|제목=이상화, WC 4연속 金…男 팀추월, 사상 첫 金 - 노컷뉴스|확인날짜=2017-03-22}}</ref> 13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전예진, 김보름, 노선영, 박초원으로 구성된 대표팀이 3분08초33으로 6위를 차지했다. 14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1초43으로 18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이바니 론딘(캐나다, 8분24초01)과 불과 0.02 차이나는 8분24초03의 기록으로<ref name=":27">{{웹 인용|url=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general/111792/112387|제목=[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매스스타트(전예진, 김보름 출전)|성=daum.net|이름=|날짜=12/14/2014|웹사이트=Daum|출판사=|확인날짜=3/16/2017}}</ref>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ref name=":28">{{웹 인용|url=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general/111792/112392|제목=[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매스스타트 시상식(김보름 은)|성=daum.net|이름=|날짜=12/14/2014|웹사이트=Daum|출판사=|확인날짜=3/16/2017}}</ref> 김보름은 이날 월드컵포인트 80점을 추가, 총점 168점으로 클라우디아 페흐스타인(독일), 다카기 미호(일본) 등을 제치고 론딘(350점), 이리네 슈텐(네덜란드, 320점), 마르티나 사리코바(체코, 255점), 다카기 나나(일본, 200점)에 이어 5위로 뛰어올랐다.<ref name=":16">{{뉴스 인용|url=http://www.newsway.co.kr/view.php?tp=1&ud=2014121509490760404|제목=이승훈-김보름, 간발의 차로 은메달 거둬…“외모만큼 실력도 훈훈”|뉴스=뉴스웨이|확인날짜=2017-03-14}}</ref> 2015년 1월 31일 노르웨이 하마르에서 열린 월드컵 5차 대회 15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이 2분00초99의 기록으로 13위에 올랐다. 함께 출전한 노선영(강원도청)은 2분01초39로 16위에 올랐다. 우승은 헤더 리처더슨(미국-1분56초30)이 차지했다.<ref>{{웹 인용|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9099237&code=61161111&cp=nv|제목=[빙상 월드컵] 이승훈 부진한 출발… 스피드스케이팅 5차 월드컵 5000m 9위|확인날짜=2017-03-17}}</ref> 2월 1일 열린 30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4분12초38로 11위를 차지했다.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25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6년 2월 11일 러시아 콜롬나에서 열린 2016 국제빙상경기연맹 종목별스피드스케이팅세계선수권대회 3000m에서 김보름은 4분08초14로 7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4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강원도청)이 8분17초66을 기록, 우승을 차지한 캐나다의 이바니 롱댕(8분17초53)에 0.13초 차로 뒤져 금메달을 내주고 은메달을 차지했다. 김보름은 레이스 중반까지 치고 나가지 않고 기회를 엿봤다. 마지막 1바퀴를 남기고 스피드를 낸 김보름은 5위에 올랐다. 마지막 코너에서 막판 스퍼트에 나선 김보름은 앞선 세 명의 선수를 제치고 롱댕에 이어 2위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은메달을 확정했다. 함께 나선 박도영(동두천시청)은 12위를 기록했다.<ref name=":21" />
         김보름은 세계선수권대회와 월드컵 매스스타트 종합에서 우승하며 여제의 귀환을 알렸다. 상징적인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1대 이리네 샤우턴(네덜란드), 2대 이바니 롱댕(캐나다)에 이어 3대 챔피언으로 김보름이 등극했다. 진정한 강자가 살아남는 시즌 월드컵에서는 1대 마리스카 후이스만(네덜란드), 2대 김보름, 3대 프란체스카 롤로브리기다(이탈리아), 4대 롱댕, 5대 샤우턴에 이어 6대 챔피언으로 김보름이 등극했다. 2011-2012 시즌 월드컵에 첫 선을 보이며 매스스타트가 세계대회에 등장한 이후 2011-2012 시즌은 월드컵 챔피언 후이스만이 압도했다. 2012-2013 시즌은 월드컵 챔피언 김보름이 압도했다. 2013-2014 시즌은 월드컵 챔피언 롤로브리기다가 압도했다. 2014-2015 시즌은 월드컵 챔피언 롱댕과 선수권 챔피언 샤우턴이 양분했다. 2015-2016 시즌도 월드컵 챔피언 샤우턴과 선수권 챔피언 롱댕이 양분했다. 2016-2017 시즌은 김보름이 최초로 월드컵과 선수권 2관왕을 차지하며 압도했다. 김보름은 또한 최초로 월드컵 종합 챔피언 2회에 오르는 위업도 달성했다. 깊은 내상을 입고 은거자중하는 동안 잃어버렸던 영토를 여제가 돌아와 되찾으니 뭇 제후들이 한 발 물러서며 고개를 숙였다.<ref name=":24" />
         2016년 11월 11일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2016-2017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4분12초21로 3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2일 열린 팀추월에서 이승훈과 김보름이 힘을 보탠 남녀 팀추월 대표팀이 동메달을 나란히 수확했다. 13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이승훈이 남자부 금메달, 김보름이 여자부 동메달을 목에 걸며 메달 사냥의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ref>{{뉴스 인용|url=http://d.kbs.co.kr/news/view.do?ncd=3380743|제목=이승훈·김보름, 매스스타트서 ‘맹활약’|뉴스=KBS 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1월 18일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05초91로 16명 가운데 6위에 올랐다. 자신의 최고 기록(4분04초62)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16년 11월 11일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월드컵 1차 대회 디비전B에서 세운 4분12초21보다 6초30 빨랐다. 우승은 체코의 마르티나 사리코바가 4분03초56으로 차지했다. 그 뒤는 안토이네트 데 용(네덜란드-4분04초53), 안나 유라코바(러시아-4분05초24)가 이었다. 3000m 디비전B의 박지우(의정부여고)는 4분18초88로 20명 가운데 16위에 자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sn.com/ko-kr/news/sports/%EB%B9%99%EC%83%81-%EA%B9%80%EB%B3%B4%EB%A6%84-%EC%8A%A4%ED%94%BC%EB%93%9C%EC%8A%A4%EC%BC%80%EC%9D%B4%ED%8C%85-2%EC%B0%A8-%EC%9B%94%EB%93%9C%EC%BB%B5-%EF%A6%81-3000m-6%EC%9C%84/ar-AAkrY2E|제목=[빙상] 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2차 월드컵 女 3000m 6위|확인날짜=2017-03-27}}</ref> 19일 열린 팀추월 결승에서는 대한민국(노선영, 김보름, 박지우)이 3분05초01로 5위를 차지했다. 20일 김보름은 박지우와 함께 23명이 출전한 매스스타트 결승에서 8분15초02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골인하면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박지우는 8분22초85로 18위를 기록했다.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9초65로 2위에 올랐고 박지우는 2분01초89로 16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blog.naver.com/ufo5405/220866296406|제목=김보름 매스스타트 금메달(2016~2017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뉴스=네이버 로그 {{!}} 자유 평화 사랑|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2월 2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10초61로 14위를 차지했다. 3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박지우, 노선영, 김보름이 3분04초62로 6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5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8분29초51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2차 대회 우승자인 캐나다의 이바니 롱댕(8분29초28)과 일본의 다카기 나나(8분29초46)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서 랭킹 포인트 70점을 획득한 김보름은 총점 240점으로 롱댕(랭킹포인트 280점)에 이어 월드컵 랭킹 2위를 유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n.kbs.co.kr/news/view.do?ncd=3388523|제목=이승훈·김보름, 3차 대회 매스스타트 동메달|뉴스=KBS 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2월 9일 네덜란드 헤렌벤에서 벌어진 월드컵 4차 대회 팀추월에서 박지우, 노선영, 김보름은 3분06초42로 7위를 차지했다. 10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0초71로 19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0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8분31초73의 기록으로 이린 쇼우텐(네덜란드)을 0.09초 차로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김보름은 일본 나가노에서 열렸던 2차 대회에 이어 시즌 월드컵 시리즈에서 두번째 금메달을 차지하며 월드컵 랭킹 점수에서도 340점을 확보, 이바니 롱댕(캐나다, 308점)을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1차 대회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3차 대회에서 금메달, 2차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던 롱댕은 8분33초59로 10위로 밀려나면서 4회 연속 메달 사냥에 실패하고 김보름에게 월드컵 랭킹 선두 자리를 내줬다. 함께 김보름과 매스스타트에 출전한 박지우(의정부여고)는 8분41초67의 기록으로 14위에 올랐다. 박지우는 3차 대회 13위에 이어 4차 대회에서도 줄곧 중위권을 유지하며 월드컵랭킹 52점으로 18위로 올라섰다.<ref>{{뉴스 인용|url=http://m.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576|제목=김보름 매스스타트 '동-금-동-금 행진', 이젠 당당한 평창 우승 후보|날짜=2016-12-11|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11일 열린 5000m 디비전A에서 7분17초89로 12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7년 3월 12일 노르웨이 스타방에르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8분45초75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네덜란드의 이린 쇼우턴(8분45초69)에 단 0.06초 뒤지는 2위에 그쳤다. 3위는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카 롤로브리기다(8분45초78)가 차지했다. 매스스타트 랭킹 포인트 120점을 획득한 김보름은 합계 460점으로 364점의 롤로브리기다를 여유 있게 제치고 시즌 1위 자리를 지켜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1.kr/articles/?2934262|제목=[빙속] ISU 월드컵 파이널 매스스타트 이승훈金-김보름銀|날짜=2017-03-13|뉴스=뉴스1|언어=ko|확인날짜=2017-03-31}}</ref>
         우상 인물은 [[체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마르티나 사리코바]](Martina Sáblíková)라고 밝혔다.<ref name=":0">{{웹 인용|url=http://www.isu.org/en/speed-skating/statistics-and-biographies#PageID=103037&SportID=103&Personid=914721&TaalCode=2&StyleID=0&Cache=2.html?35610|제목=Statistics and biographies|언어=en|확인날짜=2017-03-01}}</ref>
  • 도영(1996) . . . . 19회 일치
         2017년 2월 5일부터 [[SBS 인기가요]] MC를 맡아 약 1년 간 매주 일요일 생방송을 진행했다. 공동 엠씨는 갓세븐 [[진영(GOT7)|진영]], 랙핑크 [[지수(랙핑크)|지수]]로 셋의 이름 첫 글자를 따 진지도라고 불렸다.[* 출생년도는 진영 94 지수 95 도영 96으로 셋 중 막내 포지션.] 엔딩 멘트는 '''우리랑 함께 가요~'''[* 손목이나 모자, 선글라스, 마이크 등에 '인기가요'라는 글자를 붙이고 숨겨줬다 보여준 후 '인기가요~ 우리랑 함께 가요~'를 외치는 방식.] 진영의 증언에 따르면 3MC 중 제일 대본을 틀리지 않는 멤버라고 한다.[* 딱 한 번 틀린적이 있는데 928회에서 엔딩 멘트인 '우리랑 함께가요~' 타이밍을 놓친 것. 실수를 눈치채고는 그 회차 1위였던 선미의 '가시나'를 패러디해 '인기가요 함께 가시나~' 로 마무리했다. 앵콜 무대에서 웃으며 팔을 툭 치는 진영과 아쉬워하는 도영의 모습이 카메라에 잡힌 것은 덤.] 2018년 2월 [[마크(NCT)|마크]]가 [[쇼! 음악중심]]의 새 MC가 되자 마크에게 음악프로 진행을 알려주는 V live를 기획하려고도 했다는데 그즈음 갑자기 인기가요 MC를 그만두게 되며 무산. 마지막 방송에서 인사를 하며 눈물이 살짝 맺히기도 했는데 방송 후 열린 막방 기념 V live에서는 울지 않았다고 변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m47M3qOhp8|또잉가요 모음1]] [[https://www.youtube.com/watch?v=PZi7_MLGYn8|또잉가요 모음2]]
         || 2015년 1월 21일 ~ 2015년 7월 1일 || [[MBC뮤직]] || 쇼!챔피언 || 4대 고정 MC[* 같은 팀 NCT 재현과 SM루키즈 SR15B시절 더MC] ||
         || 2017년 2월 5일 ~ 2018년 2월 4일 || [[SBS]] || [[인기가요]] || 고정 MC[* 갓세븐 진영, 랙핑크 지수와 공동] ||
          * 쟈니, 재현과 함께 대식가인 멤버 중 한 명이다. 쟈니의 표현으로는 We eat a lot 클럽. 단체 식사에서 많이 먹는 테이의 고정 멤버가 이 셋이고 여기에 가끔 해찬이가 끼기도 한다고.[* 최근에는 [[루카스(NCT)|루카스]]가 대식가 1위로 올라선 것 같다.] 음식 종류는 중요하지 않고 어떤 음식이든 그냥 많이 먹는 타입이라고 한다.[* 다음 날 땀 흘릴 일이 많다 싶으면 그 전날 엄청 많이 먹어둔다고.] 많이 먹고 운동도 안 좋아하고 취미는 침대에 누워있기인데 마른 몸을 유지하는 것이 미스테리. 그런데 사실 모태 마름이 아니라 SM에 입사하고 나서 견과류만 먹으며 독하게 살을 뺀 것이라고 한다. 재현은 이를 보고 목표한 것은 반드시 이루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태용이 본 도영의 첫인상:땅콩을 되게 좋아하는구나.--[* 그런데 우도 땅콩크림 프라푸치노를 추천하거나 월남쌈에는 땅콩소스지라는 발언을 한 것을 보면 실제로 땅콩을 좋아하는 것도 맞는 듯하다.]
          * 먹는 그 순간보다 먹을 걸 생각하는 순간이 더 좋을 때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며칠 전부터 뭘 먹을지 미리 생각해놓는 타입이라고. 본인이 뭘 먹고 싶은지 확실하게 알고 있다는 점을 멤버들이 신기해하기도 한다. 먹고 싶은 게 생기면 1주일 안에 꼭 먹어야 하는 타입이라고.[* 라디오 생방 중에 마라탕이 먹고 싶어져서 중간 광고 타임에 '마라탕 먹을 사람?'이라며 마라탕 팟을 구한 적도 있다. 이 방송이 나간 후 있었던 팬싸인회에서 마라탕 먹었냐는 질문을 20번 넘게 들었다고.] 하고 싶은 취미 활동으로 맛집 투어를 여러번 이야기하기도 했다. 맛집 로그도 해보고 싶다고. 다만 도영의 음식 취향이 좀 독특해서 멤버들은 늘 안 맞는다고 하는 것 같다. 쟈니는 도영의 맛집 로그가 신뢰감은 별로 없을 거 같다고.
          * [[https://www.youtube.com/watch?v=GmFJ4fu-BdE|버티 취향]]은 카라멜밀크티에 펄과 코코넛을 추가하는 것. 음료의 반이 토핑일 정도로 든든하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 영화 취향은 가족 영화라고 하며 엑스맨:데이즈 오브 퓨쳐패스트를 재미있게 보았다고 한다. 명절에 다시 보면 좋을 영화로 해리포터 시리즈를 추천한 적도 있다. [* 팬싸인회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해리포터에서 가장 좋아하는 배역은 헤르미온느.] 어벤져스:인피니티 워를 본 이후로 [[https://www.youtube.com/watch?v=9BlLLxzdEQM|마 시리즈를 정주행]]하고 있다고 한다. 어벤져스 4가 1년 후에 나온다는 것을 [[공명(배우)|친형]]에게 듣고 열심히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참고로 도영의 마 최애는 닥터 스트레인지. 루키즈 시절 문답에 따르면 어릴 적 좋아했던 히어로는 스파이더맨이라고.]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애니메이션 영화는 벅스 라이프.[[https://www.youtube.com/watch?v=42086v2MrNI|영상]] [* 그 중 모 애벌레 캐릭터를 특히 좋아했던 것 같다.]
          * [[태용]]과는 칠감 활동 당시 룸메이트였으며 체리밤 뮤비욘드 1편에서 머리색 때문에 도영이 본인은 루베리, 태용은 스트로베리라고 이야기해서 베리즈라고 불린 적도 있다. 리얼리티나 브이앱 등에서 같은 팀이 되면 서로 싫어하는 척을 한다든가 투닥대는 장난을 많이 쳐서 톰과 제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영이 태용에게 '그래도 10년 뒤에는 절친일거'라는 얘기를 많이 한다고.
          * 멤버들의 생일마다 멤버 각자에게 필요하거나 그들이 원하는 선물을 잘 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피를 좋아하는 쟈니에게는 커피머신, 에어팟을 원하는 정우에게는 에어팟, 뉴욕에서 LP를 많이 사왔는데 플레이어가 없어서 듣지 못하던 해찬에게는 턴테이을 선물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jSXsv2O1yY|태용의 2018년 생일]]에는 태용이 뉴욕에서 잃어버린[* 정확히는 호텔방에 도둑이 들어서 없어졌다고 한다.] 펜과 노트들을 쟈니와 함께 새로 사서 주었고 편지도 직접 써주었다고. --도영:가식을 잔뜩 담아 편지를 드려봤습니다.-- 시즈니가 이런거 또 좋아하지 EP.3에서 윈윈의 2018년 생일 선물로는 '진짜' 비싼 코트를 사줬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비슷한 시기였던 유타의 생일선물로도 무언가를 주문했지만 너무 안 온다고.
          * 본인의 퍼스널 컬러를 연구 끝에 찾아냈다고 한다. 주황색, 낙엽색 등의 따뜻한 계열의 색이 안 어울리고 검정이어도 브라운이 섞인 검정보다는 생랙, 파란색도 쨍한 파란색, 노란색도 샛노란색 등이 잘 어울린다고.
          * 그렇게 흑발을 1년 넘게 고수하다가 2018년 10월 말 갈색으로 염색하였다. 할로윈 파티 사진에서 염색한 것이 처음으로 알려졌는데 이때는 임금 분장을 하느라 익선관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뒷머리와 구레나룻 색만 보였었고 2일 후인 11월 2일 있었던 행사에서 바뀐 헤어스타일이 갈색 투럭컷임이 밝혀졌다. 갈색으로 염색한 도영을 보고 쟈니는 '제임스'라는 영어 이름을 지어주었다. 계속 쳐다보는데 느낌이 제임스였다고. 그런데 도영은 이미 어린 시절 영어학원을 다닐 때 지은 영어 이름이 있었는데 바로 '찰리'.
          * [[태용]]과 함께 NCT의 소비요정으로 알려져 있다. 동생들에게 밥도 잘 사고 본인을 위한 소비도 많이 하는 것 같다. 소비 방법은 주로 인터넷 쇼핑. 걸어서 하는 쇼핑은 금방 지치고 빨리 집에 가고 싶어진다고. 충동구매를 종종한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미 루투스 스피커를 가지고 있는데 비행기에서 휴대용 루투스 스피커를 보고 충동구매했다가 생각보다 크기가 커서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후회했다는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 농담이겠지만 마크의 생일 때에는 전재산을 써서 아티움을 빌리겠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 2018 평창 SM 워크샵에서 직원과 함께하는 듀엣가요제 코너에 참가해 최우수상을 탔다. 곡명은 [[이지훈(가수)|이지훈]]&[[신혜성]]의 인형.[* 후에 듀엣이 가능한 버전으로 에브리싱에 영상이 올라왔다.] 결과가 발표되자마자 NCT 전 멤버가 일어나서 환호하는 것을 무대 위에서 보고는 월드컵인 줄 알았다고 한다. 상금은 직원분의 몫과 합쳐서 1000만원이었는데 NCT 18인이 지금까지 전원 모여서 회식을 한 적이 한 번도 없어서 상금으로 회식을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결국 2018년 7월 NCT가 [[엘리트(교복 브랜드)|엘리트]] 교복 모델이 되어 촬영을 위해 18명 모두 모이게 되었는데 그 날 저녁 회식을 쐈다고. --윈윈:멋있어요 도영형 역시 본부장ㅎㅎ-- [* 엔나나에서 밝혀진 바로는 테이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1인당 3~4인분 정도는 먹었다고 한다. 가장 많이 먹은 것은 루카스로 지성의 증언에 의하면 약 10인분 정도 먹은 것 같다고.] 또 동 워크샵에서 EDM 파티도 즐기고 온 것 같다. 원래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고 조금만 움직여도 피곤해하는 사람인데 조명이 반짝반짝하고 음악이 울려서 그 순간 음악에 취해 처음으로 신남을 느꼈다고 밝혔다.
          * 별빛이 피면 뮤직비디오 촬영 당시 상대인 구구단 [[세정]]과의 어색한 스킨십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NaIv6lSi1DA|멤버들에게 놀림을 받은 적이 있다.]] --재현:여보세요 공명이 형이에요? 유타:화장실에서 진짜 이거 연습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의외로 도영은 여성 가수와의 콜라보가 멤버들 중 가장 많은 편이다. [* 트와이스 지효, 레드벨벳 조이, 구구단 세정, 랙핑크 지수, 악동뮤지션 수현 등]
          * 대부분의 멤버가 에어팟을 가지고 있어 에어팟시티라고 불리기도 하는 NCT에서 드물게 에어팟을 사용하지 않는 멤버이다. 하이터치회에서 팬의 에어팟은 안쓰냐는 질문에 아직 살 생각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가끔 에어팟을 낀 모습이 보일 때도 있는데 이는 멤버들의 것을 빌려쓴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뱅앤울룹슨 E8 루투스 이어폰을 쓴 모습이 목격된 적이 있다. [* 태일의 생일 직후 둘이 같은 이어폰을 끼고 있었고 태일이 멤버들에게 선물받은 목록 중 고급 이어폰이 있었기 때문에 도영이 선물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도영, 태일 외에 해찬도 이 이어폰을 가지고 있는데 이건 해찬이 직접 샀다고 한다.]
  • 블라디미르 렘 . . . . 19회 일치
         |||| 그래픽 노에서의 모습 ||
         Vladimir Lem. 게임 [[맥스 페인 시리즈]]의 등장 인물. 줄여서 "라드"(Vlad)라고도 부른다. 1편인 [[맥스 페인]]에서는 이름인 "라디미르"만 나왔으나, 2편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맥스 페인 2: 맥스 페인의 몰락]]에서는 풀네임이 드러난다.
         맥스와 처음 만난 순간은 맥스가 프랭키 나이아가라를 죽이고 난 후였다. 라드는 맥스의 차 앞을 자신의 벤츠로 가로막은 후 "[[대부|거부할 수 없는 제안]]"[* an offer you can't refuse]을 한다. 자신의 무기를 운송하다가 펀치넬로 쪽에 붙은 화물선 선장 보리스 다임을 죽이고 화물선을 탈환하면 운송하던 무기를 필요한 대로 가져갈 수 있게 해준다는 제안이었다.
         잭 루피노 소유였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사들여 고급 레스토랑 "보드카"로 개조 중. 자신은 보드카가 뉴욕 최고의 레스토랑이 되고, 자신은 부유한 유명인이 될거라며 자신한다. 여전히 범죄조직의 관련자기에 형사인 페인과는 아름다운 우정을 나눌수는 없는 관계. 라드 曰 "내전의 양편에 선 형제와도 같군,"[* Like brothers caught on the opposite side in a civil war.]
         라드가 소유하던 창고를 [[스쿼키 청소회사]]의 청소부들이 습격해 라드의 애인인 애니 핀을 살해한 일 때문에 맥스가 찾아간다. 하필 보드카는 [[비니 고그니티]]가 이끄는 펀치넬로 마피아들의 습격을 받은 때였다. 맥스는 러시아 범죄조직과 함께 라드를 구해낸다. 그는 스퀴키 청소 회사를 조종하는 것이 비니일거라고 주장한다.
         맥스가 사건의 답을 알기 위해 [[알프레드 우든]]을 찾아갔을 때, 라드의 정체가 드러난다. 그는 오랜 기간 이너 서클에 소속되어 있었다. 하지만 우든이 암에 걸려 권력을 잃기 시작하자 이너 서클 내에서 반란을 일으킨 것. 스퀴키 청소 회사 또한 그가 부리던 자들이었다. 맥스는 라드를 쫓아 보드카를 뒤집어 엎고, 라드가 노리던 비니의 집에도 찾아가보지만 라드는 없었다. 단지 라드의 함정에 빠져 폭탄이 설치된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인형탈을 입은 비니가 있었다.
         맥스와 비니가 폭탄을 해체하기 위해 폐 놀이공원에 찾아갔을 때, 그곳에는 라드가 기다리고 있었다. 라드는 우든이 맥스의 가족이 몰살당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과 모나가 우든을 위해 일한다는걸 말해 준 후 자신의 애인인 윈터슨을 죽은 맥스에게 권총을 쏜다. 그러고는 우든을 죽이기 위해 그의 저택으로 향한다.
         그럼에도 맥스는 살아남아 모나와 함께 쫓아온다. 라드는 모나가 본색을 드러내고 둘이 서로를 죽일걸 기대했지만 일이 예상되로 되지 않자 모나를 쏴죽인다. 그러고는 자신을 목졸라 죽이려고 하는 우든을 쏴죽인후, 마지막으로 달려드는 맥스와 몸싸움을 벌이다가 폭탄 스위치를 눌러 지하로 떨어진다. 라드는 맥스에게 저주를 퍼부으며 도망친다.
         맥스가 저택 옥상까지 쫓아오자 라디미르는 옥상 구조물에 올라가 맥스에게 다이너마이트를 던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맥스는 구조물의 지지대를 무너뜨린다. 라드는 그에게 화염병을 던지고 돌격소총을 쏴갈기지만 맥스의 총에 맞아 쓰러진다.
  • 섀도우문 . . . . 19회 일치
         [[가면라이더 랙]]과 [[가면라이더 랙 RX]]의 등장인물. 주인공 가면라이더 랙&랙 RX의 라이벌 캐릭터로서, [[고르곰]]에 납치된 주인공의 소꿉친구 노부히코가 개조되어 만들어진 괴인이다. 은빛 갑옷 같은 보디가 특징.
         가면라이더 랙 후반부에서 악역으로 활약하며 최종화 직전까지 라이벌로서 싸운다. 최종화에서 가면라이더 랙에게 패배하여 쓰러지지만, 가면라이더 랙이 고르곰의 수령 최종보스 창세왕과 랙이 대결할 때, 무기 사탄샤벨을 던져서 창세왕을 처치하고 랙을 도운 다음 무너지는 기지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죽게 된다.
         가면라이더 랙 RX에서는 죽은 줄 알았던 섀도우문이 "지옥에서 돌아왔다!"면서 다시 등장. 바위에 깔려 있다가 어떻게 빠져 나왔으나, [[기억상실]]이 되어 노부히코로서의 기억을 잃고 랙 RX를 가로막는 강적으로 활약한다.
         가면라이더 랙에서는 전투 시에 사탄샤벨을 주로 사용하여 검술로 격전을 벌이는 검사 캐릭터였다. 하지만 랙 RX에서는 돌아오고 나서는 왠지 손에서 포스 라이트닝 같은 전격 광선을 발사하여 랙 RX를 위협하게 된다. …그런 능력이 있으면 왜 진작 쓰지 않았나.
         게다가 원래 랙과 동격이었던 섀도우문이 랙 RX에서는 랙 RX를 거의 압도하는데, 랙 RX가 랙보다 몇배나 더 강해졌다는걸 생각하면 바위에 깔려 있기만 했던 주제에 터무니 없는 파워업.
  • 하이큐/257화 . . . . 19회 일치
          * 승부의 관건은 미야 형제가 후위로 내려갈 때까지 얼마나 실점을 막는다. 여기서 히나타가 적극적인 리드 록 가담을 승부수로 삼는다.
          * 투입된 히나타는 시작하자마자 미야 형제의 괴짜 속공을 막으며 로커로 각성하는 듯 했으나 이후로는 번번히 타이밍을 잡지 못하고 득점을 허용한다.
          * 가까스로 히나타가 록에 성공하나 이번엔 오사무가 힘으로 찍어눌러서 득점에 성공, 히나타를 도발하기까지 한다.
          * 히나타를 따로 불렸던 우카이 코치는 그에게 "쌍둥이 하나를 맡기마"라는 말을 건냈다. 즉 미야 오사무를 전담마크하라는 얘기. 솔직히 히나타에게 츠키시마 수준의 록을 요구하는건 완전 무리. 반사신경이 좋긴 하지만 상대의 페이크에 화려하게 걸리는게 단점. 리드록에 열심히 참가하는 건 좋지만 그것만으론 부족하다. 팩트폭력 앞에서 할 말이 없어지는 히나타. 하지만 그렇기에 기대할 수 있는 역할도 있다.
          [[네코마 고교]]의 [[이누오카 소우]]는 히나타, [[카게야마 토비오]]의 괴짜 속공을 집요하게 추격, 번번히 뚫리면서도 록을 한 쪽으로 몰아 히나타의 공격 루트를 제한했다. 이 전술로 괴짜 속공을 제대로 막아냈는데, 같은 역할을 이번엔 히나타가 해야 한다.
          * 이나리자키의 첫 TO에서 코치가 이런 방침을 전원에게 전달한다. 카라스노의 괴짜 속공은 히나타의 기동력을 전제로 언제 어디서 어떤 각도로든 때려넣는게 장점. 하지만 미야 형제는 오사무의 원래 포지션인 우익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히나타가 아츠무를 전담마크하고 카게야마와 [[타나카 류노스케]]가 좌익과 센터를 리드 록으로 막는 걸로 대응해본다. 히나타가 오사무를 얼마나 틀어막느냐가 관건인데, 히나타가 제대로 도움닫기만 하면 도달점이 팀내에서 가장 높고 반응도 빠르니 기대해볼만하다.
          어쩔 수 없이 록에서 빠져야 하는 츠키시마는 "어찌어찌 해볼만"이라고 애매하게 평하는데 이상할 정도로 텐션이 높은 히나타가 "나를 질투하는 거냐"고 으스댄다. 츠키시마는 귀찮아서 태클도 안 걸자 보다못한 타나카가 "태클을 제대로 걸라"고 갈군다.
          츠키시마의 지적처럼 우카이 코치도 큰 기대를 걸지는 않는다. 이상적인 록은 [[다테 공업 고교]]의 그것처럼 어떤 공격이든 두 장 이상의 리드 록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카라스노는 그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치명적인 것은 미야 형제의 속공에 휘말려 록이 분산되는 것. 즉 이 작전은 미야 아츠무가 후위로 내려갈 때까지 최대한 실점을 줄이는데 역점을 두었다.
          * 그리고 이 작전의 첫 시험대. 아츠무는 이번에도 당연하다는 듯이 괴짜 속공으로 나온다. 카라스노 진영의 수상한 움직임. 오사무가 뒤에서 달려나오자 마자 히나타도 뛴다. 커밋 록.[* 로커가 스파이커의 움직임에 맞춰서 뛰는 록을 뜻한다.] 이 예상 외의 움직임이 먹힌다. 정확하게 괴짜 속공을 셧아웃. 공을 이나리자키 진영으로 돌려보낸다. 그대로 카라스노의 득점 인정. 의외의 실적에 카게야마, 츠키시마, 우카이 코치의 눈이 번쩍 뜨인다. 하지만 가장 놀란건 성공한 히나타 자신.
          >164cm가 183cm를 록!
          이 록으로 18 대 18. 개시 이래 최초로 동률을 이룬다. 히나타는 곧장 카게야마에게 과시하나 카게야마는 담담하게 "니가 제일 놀라워하는 우연"이라며 외면한다. 한편 한 방 먹은 미야 형제는 새삼 히나타의 점프에 놀라워한다. 이렇게 작전은 대성공 같지만... 그게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 응원석의 시마다가 우카이 코치가 마음을 독하게 먹고 쓴 전술이라 평하면서도 "연습시합도 아닌데 잘 될지" 의심스러워 한다. 타키노우에는 오히려 그래서 써먹는 거고 머뭇거리가 2, 3점 더 잃으면 돌이킬 방법이 없다. 하는 수밖에 없는 것. 우카이 코치의 입장도 딱히 다른건 아니다. [[타케다 잇테츠]] 고문은 그저 해냈다고 즐거워하지만 그는 썩 마음이 편하지 않은데 방금 전 성공은 기습이나 다를게 없고 계속 통할지는 지켜봐야 하기 때문. 그저 히나타에게 끈질기게 버텨주길 만을 기원할 뿐이다.
          * 이나리자키의 서브. 공이 히나타에게 연결되지만 이번 스파이크는 실패. 록에 막힌다. 다시 공을 가져간 아츠무가 또 괴짜 속공. 이번에는 히나타의 록이 근처에도 가지 못했다. 다행히 [[사와무라 다이치]]가 리시브.
          공중 볼 경합은 힘에서 밀렸다. 히나타의 록은 거추장스럽지도 않다는 듯 가볍게 밀어넣는 오사무. 기대를 걸었던 키노시타에게도 씁쓸한 일이다.
  • 마재윤 . . . . 18회 일치
         하지만 그들도 테란의 원배럭 더 빌드에 밀렸다. 앞마당만 먹으면 힘을 뽑아냈던 저그 암살자인 [[최연성]],[[이윤열]]이 있었다.
         그 후에도 리즈컨 2007에서 강민을 2:0으로 꺾고 우승하는 등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WWI2007, IEF2007 결승에서 김택용에게 각각 1:2, 0:2로 패하면서 천적 관계를 유지하였다. WCG 2007에서는 한국대표선발전 3위로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중국의 샤쥔춘에게 1:2로 역전패당했으며, 2007년 말부터는 천적 이성은의 등장으로 마재윤의 부진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후에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에 이어 [[BATOO 스타리그 08~09]]에서도 예선전에서 떨어졌고, [[클럽데이 온라인 MSL 2008]]에서는 [[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신예 [[임원기]]를 잡고 복귀했지만, 32강 최종전에서 이윤열에게 또다시 패배하면서 16강 진출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하지만 이후 [[로스트사가 MSL 2009]]에서 다시 32강에 진출, 사상 유례없는 MSL 11연속 진출을 달성했다<ref>[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90893&db=news [[포모스]], 2008년 12월 18일]</ref>(KPGA시절까지 포함하면 이윤열, 조용호등이 있으나 순수 MSL만 따질 경우 마재윤이 최초이다). 2008년 10월 11일에 펼쳐진 리즈컨 2008에서는 [[박지수]]와 [[허영무]]를 잡고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12일에 치러진 결승전에서 이윤열을 만나 2:0으로 승리를 거두고 리즈컨 2연속 제패에 성공했다.
         마재윤의 재기는 2008년 하반기에 시작된다. 2008년 리즈컨 2연패를 달성함으로써, 부활의 전조를 알렸고, 프로리그에서도 3연승를 거두면서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천적 이성은에게 완패를 당하고 난 뒤, 계속 아쉬운 플레이를 보여주면서 6승 6패의 성적을 냈다.
         이후 08-09 신한은행 프로리그 5R에서 다시 만나 김명운이 마재윤을 완파했고, 리즈컨 2009에선 김명운이 마재윤을 2R A조, 패자 결승에서 모두 2 : 0으로 잡아내고, 최근 09-10 신한은행 프로리그에서 김명운이 승리를 거두어 상대전적을 9 : 2까지 벌어졌다.
         ** 2009년 08월 22일 김명운 승 vs 마재윤 패 - 리즈컨 2009 2R A조 1Set In Neo Medusa 2.2
         ** 2009년 08월 22일 김명운 승 vs 마재윤 패 - 리즈컨 2009 2R A조 2Set In Outsider 1.0
         ** 2009년 08월 23일 김명운 승 vs 마재윤 패 - 리즈컨 2009 패자 결승 1Set In Neo Medusa 2.2
         ** 2009년 08월 23일 김명운 승 vs 마재윤 패 - 리즈컨 2009 패자 결승 2Set In Destination 1.1
         [[송병구]]와의 첫만남은 비공식전인 [[CYON MSL 2005]] 3차 챌린지 예선 D조 결승으로 이때 1:2로 패배, [[WCG 2005]] 1차예선 9조 4강에서도 0:2 셧아웃, 이어 공식전에서의 첫만남은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플레이오프 삼성전자전 7세트였는데 여기선 송병구에게 패했다. 하지만,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삼성전자전 5세트에선 승리했다. 이어 이듬해 [[곰TV MSL 시즌2]] 16강 D조 경기에서 다시 만났는데, 마재윤이 2:0으로 승리하고 8강에 진출했다. 이어 비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올스타전 열정팀전 7세트에서 다시 마재윤 승리, [[곰TV MSL 시즌3]] 16강 D조에서 다시 만났는데, 이때는 두 번째 세트를 내주긴 했지만, 끝내 마재윤이 2:1로 승리하면서 8강 진출에 성공했다. 이듬해 여름 비공식전인 2008 [[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승자조 결승에서는 1:2 패배, 그해 겨울 역시 비공식전인 [[IEF 2008]] 8강 A조에서는 0:3 셧아웃 패배, 역시 비공식전인 올스타 종족 최강전 프로토스전 6세트에서는 마재윤이 승리했다.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5:2로 우세,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12:8로 더 강세.
         [[염보성]]과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1라운드 MBC게임전 1세트와 [[박카스 스타리그 2008]] 16강 A조 6경기에서 패했으며, 2008년 3월에 열린 비공식전인 올스타 스킨스 매치 염보성전에서 2:5 패배. 그 해 6월, [[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승자조 4강에선 2:0으로 승리했으나, 패자조 결승에서는 2:1로 패했다. 이어 다시 공식전인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MBC게임전 1세트에서 패했다.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0:3 무승,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5:10으로 약세.
         이전 팀 동료였던 [[변형태]]와는 8차례나 만났었는데, 모두 팽팽했다. 개인리그와 비공식전에서만 만난 기록들로,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 4강 B조 경기에서 마재윤이 접전 끝에 3:2로 승리하고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다음 스타리그 2007]] 8강 A조 경기에서 다시 만나서 2:1로 패하며 4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어 비공식전인 2007년 [[리즈컨]] 인비테이셔널 승자조 결승에서는 2:1 승리.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4:4로 무승부이나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6:5로 앞선다.
         [[박정석 (프로게이머)|박정석]]과는 [[우주 MSL 2005]] 승자조 4강 2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으며, 결승전에서도 마재윤이 3:1로 승리했다. 이어 비공식전인 [[WEF 2005]] 4강에서 2:0 승리,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1라운드 KTF전 1세트에서도 마재윤이 승리했으며, 2라운드 KTF전 1세트에서도 마재윤이 승리했다. 다시 비공식전인 [[엘리트 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부산투어 2경기도 마재윤이 승리, 다시 공식전인 [[프링글스 MSL 시즌1]] 16강 승자전 2경기에서도 마재윤이 승리, 그러나 [[SKY 프로리그 2006 전기리그]] KTF전 1세트에서는 패했다. 그러나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KTF전 4세트에도 패했다. 이어 다시 비공식전인 제4회 슈퍼바이트 e스포츠 8강 A조에서 마재윤 승리, 다시 비공식전인 2007 [[리즈컨]] 인비테이셔널 승자조 4강에서도 2:0으로 승리하면서 상대전적 공식전만으로는 8:3, 비공식전까지 합치면 14:3으로 마재윤이 초강세.
         [[강민 (프로게이머)|강민]]과의 첫만남인 MBC Movies배 팀리그 KTF전 3경기에서는 강민이 승리, 구룡쟁배 듀얼토너먼트 1라운드 F조 4경기에서도 강민이 승리했다. 그러나 [[CYON MSL 2005]] 16강 1경기에서는 마재윤이 승리, 비공식전인 [[엘리트 학생복 MSL 올스타리그]] 대구투어 결승에서는 1:2 패배 준우승, 다시 공식전인 [[프링글스 MSL 시즌1]] 결승전에서 만났는데, 마재윤이 3:1로 승리하고 우승했다. 그해 8월 [[WEF 2006]] 4강에서 마재윤이 2:0 승리, 다시 공식전인 [[프링글스 MSL 시즌2]] 4강 B조 경기에서 다시 만나 또 마재윤이 3:1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이어 [[곰TV MSL 시즌1]] 8강 B조 2경기에서도 마재윤이 승리했다. 하지만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1라운드 KTF전 2세트에서는 강민에 패했다. 비공식전인 2007 [[리즈컨]] 월드와이드 4강 8강에서 2:1 승리, 다음날 최종 결승전에서 2:0 승리, 2년 뒤 7월, [[헤리티지]] 10강 B조 5경기도 마재윤이 승리하였다. 상대전적은 공식전만으로는 8:5, 비공식전까지 포함하여 18:8로 마재윤이 강세.
         * [[2007년]] 리즈컨 2007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 [[강민 (프로게이머)|강민]])
         * [[2008년]] 리즈컨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 [[이윤열]])
         * [[2009년]] 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 . . 17회 일치
         [[마 스튜디오]]의 [[영화]] 프랜차이즈.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등 [[마 코믹스]]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영화만이 아니라 영화 기반 [[만화]], [[드라마]]를 포함하는 배경 세계 공유 프랜차이즈다. 케빈 파이기가 총지휘를 맡고 있다. 줄여서 MCU라 부르기도 한다.
          * 마 코믹스의 영화들이기에 마의 캐릭터와 세력, 설정이 등장하며, 내용 중에는 코믹스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으나 그렇다 해서 코믹스를 100% 반영하지는 않고, 그렇기에 호불호가 발생하기도 한다. 물론 코믹스에서 아이디어를 얻기에 전혀 상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코믹스에 나온 것을 기본 소재로 두면서 MCU에서 독자적인 전개를 하는 것이라 보면 된다.
          * [[인크레더 헐크]]
          * [[랙 팬서(영화)|랙 팬서]]
          * [[캡틴 마(영화)|캡틴 마]]
          * [[데어데(드라마)|데어데]]
          * [[마 원샷]]
         마 코믹스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해도 판권의 문제 탓에 모든 캐릭터의 등장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예를 들어 엑스멘 시리즈의 경우가 그런 경우. 판타스틱 포도 마의 전통 캐릭터들임에도 영화 판권 문제 탓에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퀵실버와 스칼렛 위치의 경우에는 설정을 각색했고, 스파이더맨의 경우 영화 판건이 소니에 있으나 협상 덕에 등장이 가능해졌다.
          *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캐릭터]]
          *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설정]]
          * 소니 픽처스의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는 MCU와 아무 관련 없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MCU판 스파이더맨이 등장했으나 이 스파이더맨과 소니의 기존 스파이더맨 영화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MCU 이전에 나온 마 관련 영화나 드라마도 MCU와 관련없다.
  • 박철우(배구) . . . . 17회 일치
         || 점프 높이 || 스파이크 높이 332cm, 로킹 높이 319cm ||
         || 소속팀 ||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2003~2010) [br]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 (2010~현재) ||
         || [[안젤코 추크]] [br]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 || → || '''박철우 [br]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 → || [[가빈 슈미트]] [br]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 ||
         || [[장광균]][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 → || '''박철우 [br]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 → || [[장병철]] [br]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 ||
         '''루팡스의 정신적 지주 그리고 심장'''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의 라이트윙. --배구판 [[트리플 H]] 1호기-- 2014-15 시즌 중 팀을 떠나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하다 2016년 11월 27일 소집해제되어 삼성화재에 복귀했다.
         이런 극단적 오버핸드 스파이크 타법때문에 약점도 있는데 토스가 낮거나 너무 빨리와서 타점에서 좌우로 흔들리면 되려 처리하기 어렵게 되는 자세문제와 함께, 극단적 오버 핸드 특성상 좌우로 비틀어서 터치아웃을 노리는 손목 스킬이 떨어지기 때문에 스파이크 코스를 읽히거나 토스가 낮으면 그대로 로킹에다 벽치기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의 대표적 별명인 벽철우가 이것때문에 붙은 것. 또한 스파이크 서브 올리는 토스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뻘미스나 똥볼서브가 자주 나오는 편이다.
         국가대표 선배인 [[김세진]]에 비하면 세세한 테크닉이 부족하고 건강문제로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점이 조금 아쉽지만, 여전히 대한민국 최고의 토종 공격수중 1명이다. 특히 국내 공격수중 최고수준의 사이드로킹 높이덕에 중요한 순간 로킹으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점은 보너스.
         '''2010 오프 시즌 때 FA를 선언하여 [[대전 삼성화재 루팡스|삼성화재]]로 이적했다.--아버님!!!--''' 현대캐피탈은 세터 [[최태웅]]을 박철우의 보상 선수로 지명했고, [[최태웅]]은 5년 후 선수 생활을 마무리한 뒤 현대캐피탈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3-2014 시즌 챔피언 결정전에서 현대캐피탈을 상대로 올린 점수에 비해 인상적인 장면들을 많이 보여줬다. 특히 4차전에서 1세트에 팀 동료 [[이선규]]와의 충돌을 가지고 신경질을 내던 아가메즈와 언쟁을 벌인 다음 아가메즈의 스파이크를 단독 로킹으로 깨끗하게 막아낸 장면과, 3세트 23:22로 앞서는 상황에서 아가메즈의 공격을 두 번 연속 로킹해 내 결승점을 딴 장면은 백미.
         한편 박철우가 입대한 후에도 삼성화재의 2014-2015 시즌은 그럭저럭 굴러갔다. 김명진, 황동일 등이 돌아가면서 공격 부분을 메워주고는 있다.[* 다만, 김명진은 시즌 중 부상으로, 그리고 황동일은 변칙적인 더 세터 시스템이란 옵션으로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챔피언 결정전에서 삼성화재가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OK저축은행]]에게 속절없이 시리즈 스윕 패배를 당하면서 박철우의 능력이 재평가되었다. --이제는 벽철우, 사위라고 놀리지 않겠습니다. 제발 돌아와 주세요. ㅠㅠ-- --국방부 시계가 빨리 돌아갈거라고 생각하냐?-- 리그 상위권의 사이드 락 능력에, 많이 죽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좋은 박철우의 공격력은 그가 사라지자 그 공백을 충분히 느끼게 만드는 것이었다.
         우리나라에 몇 없는 왼손잡이 라이트다. 공격시 직선이나 로커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가 잦다. 국내 선수중 손꼽히는 득점력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그 분이 오신날엔 아무도 못 막는다고 할 정도. 임팩트 있는 [[벽치기]]덕에 벽철우라는 별명이 붙었지만, 기록상으로 크게 차이 날 정도는 아니다. 오픈과 퀵오픈, 후위공격에서 모두 준수한 성공률을 보이는 윙스파이커다. 심지어 최근에는 시간차 공격도 보여주고 있다. 왼손잡이 세터와 궁합이 잘맞는다는 말이 있다. 199의 우월한 신장을 바탕으로 사이드 로킹도 단단히 세워준다. 스파이크 서브도 좋은 편이지만 서브 토스가 불안해 범실이 '''매우''' 많다.
  • 하이큐/222화 . . . . 17회 일치
          * 다테 공고의 록은 모든 면에서 전보다 성장해서 카라스노의 공격이 거의 차단된다.
          * 카게야마 토비오는 다테 공고의 록을 뚫기 위한 전술을 구상한다.
          * 모두 다테 측의 뛰어난 록에 주목하지만, 사실 카게야마는 "처음부터 그걸 뚫으려고" 했었다.
          * 타케다 잇테츠는 다테의 록을 번치 시프트가 적용된 리드 록이 아니냐고 확인한다.
          * 번치 시프트의 "번치"란 "다발"이란 의미로, 어떤 공격이든 마크하기 위해 로커가 뭉치는걸 말한다.
          * 반대로 로커가 산개한 상태에서 네트 전반을 지키는 것이 "스플렛 시프트".
          * 히나타가 중앙돌파를 노리고 뛰어 오르는데, 이번에도 어김없이 번치 리드 록이 따라온다.
          * 공은 아슬아슬하게 넘기지만 순식간에 둘이나 따라붙은 데다 확실히 록의 손에 닿는다.
          * 그러나 카게야마가 준비를 하는 시점에서 이미 리드 록이 따라와 있다.
          * 이정도르는 다테를 떨쳐낼 수 없었다. 역시 능동적으로 따라붙는 록,
          * 우카이 코치는 세터와 로커의 공방은 공격 순간 외에도 계속된다고 말하다.
          * 그말처럼 카게야마와 다테의 로커 사이에는 팽팽한 긴장이 돈다.
          * 카라스노는 상대적으로 록이 잘 뚫리고 니시노야 유가 받아내고 있다.
          * 올릴 때 느낌은 좋았지만 막상 아즈마네의 스파이크는 록을 뚫지 못한다.
          * 츠키시마를 위시한 카라스노의 로커들도 분발하지만 여전히 다테 측의 공격을 따라가지 못한다.
          * 후타쿠지로 페인트로 록을 넘기자 니시노야가 쏜살같이 달려와 리시브한다.
  • 블랙 클로버/103화 . . . . 16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2화]] |||| '''랙 클로버/103화''' |||| [[랙 클로버/10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3. '''즐거운 축제 더 데이트'''
          * [[카호노]]는 [[노엘 실버]]를 부추기기 위해 더데이트를 제안,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친밀한 모습을 보여준다.
          * 난데없이 더 데이트가 시작되었다. [[키아토]]는 멋대로 동생 [[카호노]]가 오빠를 위해 벌이는 이벤트라고 생각하지만 그녀의 복심은 따로 있었다. 척봐도 관계 진전이 미적지겋나 [[노엘 실버]]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를 자극하기 위한 이벤트다. 의도대로 노엘은 카호노가 아스타에게 마음이 있다고 생각해 안절부절하지 못한다. 하지만 아스타는 더 데이트가 뭔지 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서 그냥 분위기에 편승하고 있다.
          * 거의 반대편으로 날아가 일행과 동떨어진 아스타. 투덜거리며 돌아오는데 야외 테이 근처에서 웅성거리는 소리를 듣는다. 테이에 대단한 미인이 홀로 있었기 때문이다. 남자들이 그녀를 힐끔거리며 말을 걸어볼 타이밍만 노리고 있었다. 어지간히 둔감한 아스타도 대단한 미인이라고 생각하며 [[핀랄 룰러케이트]]의 취향이라고 중얼거린다.
          그리고 미인의 일행으로 보이는 여자가 도착하는데 산상수훈에서 잠시 본 적이 있는 들장미단의 [[솔 마론]]이었다. 어딜 다녀오느라 테이에게 일어난 작은 사건에 대해선 모르고 있었다. 그녀는 미인을 "언니"라 부르며 뭘하는 거냐고 묻는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하이큐/271화 . . . . 16회 일치
          * [[스나 린타로]]의 비기, 록을 통과하는 듯한 스파이크의 비결은 상대 록을 "조종"하는 특기 덕이었다. 린타로는 스파이크 시 타점의 가로 폭이 넓어 보통 선수의 약 두 배 정도가 된다. 이는 스파이크를 상반신 전체를 활용해 때리는 기술 덕. 팔의 움직임만 보고 로킹을 하면 로커가 "분명 맞게 록했는데 통과해버렸다"고 착각하게 된다. 오래전부터 [[이나리자키 고교]]의 팬이었고, 스나 린타로 개인의 팬이었던 노인 관객은 일행에게 그 사실을 자랑스럽게 설명했다.
          * 린타로가 날아오르는 순간, 츠키시마와 카게야마는 정확한 위치에 록을 펼쳤다. 일반적인 선수의 경우라면 그랬다. 하지만 린타로의 상체 전반을 쓰는 스파이크는 타점이 보통과 다르다. 린타로의 스파이크가 카게야마의 우측을 크게 빗겨 떨어진다. 그 위치에서 [[사와무라 다이치]]가 손을 뻗었지만 팔에 맞고 아웃. [[이나리자키 고교]]의 득점. 아츠무는 수준이 높은 로커일 수록 린타로에게 유도되기 쉽다고 생각한다. 스코어는 다시 18 대 9로 더 스코어.
          * 관전 중인 [[네코마 고교]]의 [[코즈메 켄마]]와 [[쿠로오 테츠로]]도 린타로의 스파이크에 혀를 내둘렀다. 특히 쿠로오는 상황을 정확히 봤는데 로커들이 딱히 문제를 범한 건 없었다. 그의 위치에서는 린타로의 "유도"가 좀 더 자세하게 보였다. 그 원리는 납득하면서도 스파이크의 위력을 전혀 떨어뜨리지 않고 구사하는 것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 무렵 린타로의 팬인 노인도 같은 설명을 일행에게 하고 있었다. 게다가 보통 MB의 속공은 다른 공격보다 콤팩트하기 마기 마련인데, 린타로는 제대로 토스만 올라오면 언제든 정면승부가 가능하다고 격찬했다.
          * 이제 카라스노에겐 미야 아츠무에 더해 린타로의 속공을 봉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추가됐다. 이나리자키의 긴지마 서브. 이번에도 니시노야에게. 이번엔 놓치지 않았다. 공은 츠키시마에게 이어져 스파이크. 린타로가 록했다. 공은 이나리자키 진영 위로 뜨고 아츠무가 우측으로 빠지는 공을 달려가 살린다. 위치는 레프트. 마지로가 뛰어오른다. 그 앞으로 카게야마, 츠키시마, [[타나카 류노스케]]가 나란히 록을 깐다. 마지로의 대포같은 스파이크도 세 장의 록을 뚫진 못한다. 크게 떠오르는 공. 네트 위로 떨어지던 것을 카게야마가 밀어넣는다. 아카기가 네트 바로 아래로 떨어지는 공을 커버. 다시 스파이크를 준비하는 마지로. 카라스노는 다시 록 세 장으로 막는다. 그러나 더 높게 뛰어오른 마지로가 록을 넘긴 스파이크로 후방을 노린다. 아즈마네가 가까스로 리시브했으나 공은 튕겨나가 네트 앞으로. 놀랍게도 마지로가 세 번째 점프를 뛴다. 그리고 우겨넣는 듯한 스파이크. 카라스노의 록도 이 세 번째 만은 대응하지 못했다. 카게야마 혼자 뛴 록 위로 내리 꽂히는 공격. 마지로가 세 번의 스파이크 끝에 1점을 강탈해 간다.
  • 블랙 클로버/101화 . . . . 15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0화]] |||| '''랙 클로버/101화''' |||| [[랙 클로버/10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1. '''다녀왔어'''
          * [[노엘 실버]]와 [[핀랄 룰러케이트]]가 무사히 풀려나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도 조종에서 벗어난다.
          *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 [[파나(랙 클로버)|파나]] 생존. [[라드로스]]는 세뇌가 제거된 탓인지 인간성을 되찾는다.
          * 한동안 모습이 보이지 않던 [[네로(랙 클로버)|네로]]가 나타나는데, 어째선지 마녀왕의 어깨에 내려앉아 뭔가 소근거린다.
          그녀가 바네사에게 달려가 안기는 동안 [[핀랄 룰러케이트]]도 끙끙대며 의식을 차리기 시작했다.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조종이 덜 풀린 건지 아직 얼떨떨한 얼굴이다. [[파나(랙 클로버)|파나]]는 먼저 정신을 차리고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를 회복시킨다. [[라드로스]]는 앙상해진 몰골인 채 그런 둘을 보며 휘파람을 분다. [[판젤 크루거]]는 안도의 눈물을 흘린다.
          * 궁전으로 돌아가려는 마녀왕은 까마귀들을 불러모은다. 그런데 그 사이엔 한동안 보이지 않던 [[네로(랙 클로버)|네로]]가 섞여 있다. 대담하게도 마녀왕의 어깨에 내려앉았을 뿐 아니라 그녀에게 무언가 속삭이기까지 하는데. 그걸 들은 마녀왕은 그 속삭인 내용이나 네로 자체에 대해서도 심상치 않은 듯이 바라본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전효성 . . . . 15회 일치
         언터쳐의 미니앨범 수록곡 <마이 부(My Boo)> 의 피처링 작업에 [[한선화]]와 함께 참여하면서 처음 노래할 기회를 잡았으며, 오랜 좌절을 딛고 마침내 2009년에 시크릿으로 데뷔하게 된다.
         2015년 3월 27일 KBS W의 <뷰티바이 2015>에 [[제국의아이들]]의 [[황광희]]와 [[모델]] [[강승현(모델)|강승현]]과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200&g_serial=889987&rrf=nv|공동 MC로 낙점되었다.]] 뷰티바이 MC 발탁 후 시크릿 멤버들이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429583547890170019|개천에서 용났다고(...) 축하해줬다고 한다.]] 뷰티바이 2015가 S/S 시즌(봄/여름)과 F/W 시즌(가을/겨울)으로 나누어지는데 F/W 시즌에 진행자가 변동되지 않음에 따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47452| F/W 시즌에도 MC로 출연하게 되었다.]]
         2015년 4월 10부터 스타캐스트의 <아이엠 효성>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한다. 매주 금요일마다 올라올 예정이다. 총 8회로 구성되어있다. [[http://m.star.naver.com/SECRET/special/1037/news/end?id=4875047|1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085|2편]][* 왁스타렛을 만드는 과정이 담겨져 있다. 전효성이 왁스타렛을 만든 곳에서 직접 [[http://blog.naver.com/maeryoc/220335786716|후기]]도 써서 올려줬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34|3편]][* 새 솔로앨범 작업 과정이 담겨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42|4편]][* 다른 회와 다르게 수요일에 업로드되었다.] [[http://m.star.naver.com/SECRET/news/end?id=5054150&langCode=ko|5편]][* 새 솔로앨범 판타지아의 수록곡 하이라이트 메들리, 뮤비 촬영 과정 등이 담겨있다.] [[http://m.star.naver.com/SECRET/news/end?id=5075799|6편]][* 컴백 당일날 활동 과정이 담겨있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193|7편]]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20&aid=0000002204|8편]]
         2015년 6월 6일 [[SNL 코리아]]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694678|단독 호스트로 출연하였다.]][* 같은 소속사인 ~~힙합좀비~~언터처의 슬리피가 특별출연 하기도 하였다.] 콩트에 초점을 맞춰서 작년 만큼의 활약상(...)은 아니었던듯...
         [[락비]]랑 [[BTOB]]와 발표 시기가 곂쳐진 불운을 감안 하더라도 심각한 수준.
         7월 17일 OCN 로그에 오지호와 전효성 캐릭터 영상이 업로드되었으며 처용 2는 8월 23일 11시에 두편 연속으로 방영될 예정이다. [[http://blog.naver.com/ocnblog/220423067305|#]]
         OCN에서 전효성의 캐릭터를 응용한 <나영이 왔처용~> 이라는 프로그램도 제작되었다.[* 처용2의 번외판이며 목요일에 OCN 로그와 네이버TV를 통해 선공개되며 본방 후에도 방영된다. 처용2와 마찬가지로 10회까지 제작될 예정.] 매주 목요일 오전 11시에 ~~약빨고 만든 게시물이~~업로드 될 예정이다.[[http://blog.naver.com/ocnblog/220450928415|예고]] [[http://blog.naver.com/ocnblog/220456462003|1,2화]] [[http://tvcast.naver.com/v/505793|3화]] [[http://tvcast.naver.com/v/514154|4화]]~~미필들 클릭 금지~~ [[http://tvcast.naver.com/v/522751|5화]] [[http://blog.naver.com/ocnblog/220484193467|6화]] [[http://blog.naver.com/ocnblog/220490628523|7화]] [[http://blog.naver.com/ocnblog/220496182997|8화]] [[http://blog.naver.com/ocnblog/220503033835|9화]] [[http://blog.naver.com/ocnblog/220509341159|10화]]
         <Madonna> 활동 즈음 해서 머리를 애쉬론드에 라이트바이올렛을 섞어 염색했는데 남성팬들에겐 그 색만으로도 눈에 띈다는 평을, 여성팬들에겐 머리색을 따라하고 싶다는 평을 들으면서 꽤 많은 주목을 많이 받게 되었다. --그래봤자 저 머리 하는 데 들어가는 돈만 '''40만 원.'''--
         그러다가 <사랑은 Move> 활동 때 다시 애쉬론드 + 라이트바이올렛 염색을 하고 등장했다.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988187.htm|2011년 11월 23일에 숙소에서 내려오다가 계단에서 미끄러져 전치 4주의 부상을 당하여 무릎 연골이 파열되고 발등이 골절되는 사고를 당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잔여 활동은 전효성을 제외한 3인이 활동하였다.[* 2012년 9월 24일 [[비틀즈코드]]에 시크릿 멤버들과 출연한 전효성은 지난해 사고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http://ent.joseilbo.com/htmls/154812.html|자신이 평발이라 잘 넘어진다고 밝혔고]] 테이 위에 본인의 발을 올려놓으며(...) 평발 인증을 하기도 했다.]
          * KBS W - 뷰티바이 2015 - S/S
          * KBS W - 뷰티바이 2015 - F/W
  • 몽키 D. 루피/작중행적 . . . . 14회 일치
         [[이스트 루]] 고아 왕국의 후샤 마을 출신. [[해적]] [[샹크스(원피스)|샹크스]]에게 모험에 데려가 달라고 조르고 있었으나 샹크스는 루피 부탁을 언제나 거절하고 있었다. 우연히 샹크스가 가지고 있던 [[고무고무 열매]]를 먹어서 고무인간이 된다. 하지만 아직 애라서 고무 능력만 있을 뿐 매우 약했다. 샹크스를 모욕한 --산적왕-- [[히그마]]에게 덤비다가 납치되었는데, 샹크스는 루피를 돕기 위해 나타나 산적단을 몰살시킨다.
         === 이스트 루 편 ===
         자야에서 [[하늘섬]]에 흥미를 느끼고 [몽랑 크리켓]의 도움을 받아 [[스카이피아]]로 간다. 스카이피아 신으로 군림하는 [[갓 에넬]]과 대결하게 되며, [[번개번개 열매]]의 능력을 고무고무 열매의 특성으로 씹어버린다. 그리고 4백년 전 카르가라와 [[몽랑 노랜드]]의 약속의 징표인 황금종을 울린다. 마지막에 스카이피아의 거대한 뱀 노라의 뱃속에서 보물을 들고 튄다.
         그리고 상황을 디테일하게 보면 비눗방울이 있어서 전투가 가능했다는 건 사실이지만 전투가 '가능했다' 뿐이지 지상과 같은 컨디션으로 싸울 수 있었던 상황은 절대로 아니다. 작중 묘사를 보면 비눗방울 속에서 짱박혀있으면 몰라도 밖으로 팔을 빼서 공격할 때마다 물에 빠졌을때와 같이 힘이 빠져나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호디가 비눗방울 속으로 얌전히 머리를 넣어주지 않는 한 루피는 공격할 때마다 지속적인 체력감소를 감당해야 한다. 더불어 수중이기 때문에 당연히 뜻대로 움직일 수가 없다. 체는 물론이고 제대로 공격을 회피하는 동작마저 취하기 어려운데 상디같은 경우 루 워크[* 물속에서 사용하는 월보]를 사용하기 위해 비눗방울 속에서 튀어나오는 장면이 있다. 그렇다. 어찌어찌 빨리 움직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너무 빨리 움직이면 비눗방울이 제대로 못 따라온다.(…) 게다가 큰 공격을 할 때마다 비눗방울 내부의 공기도 감소하고, 루피 피통이 아무리 커도 비눗방울이 터지면 게임 끝이라는 간접적인 패널티까지 있어 심리적 압박도 상당하다.
         이후 선수관람석에서 베라미의 B록의 경기를 잠시 동행하게 된 캐번디시와 지켜보는 도중 콜로세움에 참가한 [[돈 칭자오]]가 나타나 '''"[[몽키 D. 가프|가프]]는 잘 계시는가? 루피 아우"''' 하고 물어보자 생각없이 바로 아저씨는 어떻게 할아버지를 아냐고 대답하는 바람에 또다시 정체를 발각당한다. 그리고는 옆에서 이를 들은 캐번디시가 루피가 맞냐며 추궁하자 당황하며 루피가 아니고 루시라며 발뺌하고,[* 이 와중에도 돈 칭자오의 계속되는 도발에 꼬박꼬박 반응하며 자기가 루피인 것을 계속 [[인증]]한다.~~역시 바보~~ 캐번디시도 그렇고 칭자오도 그렇고 애먼 데다 원한을 품은 인물들 때문에 보통 보케 담당인 루피가 츳코미를 해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캐번디시 曰 "남의 인기나 뺏질 않나 귀신의 손자로 태어나질 않나… 순 원망만 사는 쓰레기 자식." 이에 루피 曰 '''"그거 다 내 알바 아니라니까?"'''] 돈 칭자오는 가프에게 수없이 살해당할 뻔 했다며 루피의 할아버지인 '''악마 가프'''[* 돈 칭자오가 활동하던 당시의 해적들에게 있어 가프는 악마로 통했다고 한다.]에게의 빚을 손자에게 갚겠다며 루피?를 공격하고, 이에 루피는 전력으로 머리통을 후려갈기지만 전혀 통하지 않고 흥분한 돈 칭자오는 계속 루피를 공격하려 하나 주변의 만류로 일단 와해된다. 이후 '''경기고 뭐고 일단 밀짚모자를 잡겠다는 캐번디시를 피해''' 관람석 외벽에 매달려 [[바르톨로메오(원피스)|바르톨로메오]]와 싸우던 [[베라미]]를 응원하지만, 결국 베라미는 엘리자벨로 2세의 왕의 펀치에 휘말려 탈락한다.
         루피는 B록 경기가 끝나고 이어진 C록의 경기에 출전, 통칭 '''"콜로세움의 사신"'''이라고 불리우는 "브루탈 불(무자비한 소)"와 친해져서 우시라고 이름짓고 타고 다닌다... 이 때문에 콜로세움에서 인기인이 된다. 그렇게 우시와 함께 경기장을 휘젓고 다니던 도중 거인족 하이루딘의 발과 충돌하게 되고, 이에 자신에게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한 하이루딘의 펀치 한방에 우시는 리타이어, 그에 열받은 루피는 하이루딘을 무장색 제트 피스톨로 한방에 때려눕힌다.
         하이루딘을 쓰러트린 후, 떨어진 무기를 수집해 총알처럼 사용하는 참가자 "강도 쟝"[* 현상금 사냥꾼으로 현재 목표가 루피의 임펠다운 사건 당시 탈옥했던 죄수 전원을 잡아서 현상금을 받아내는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그 중 ~~쩌리들~~몇십 명은 잡아서 현상금을 받은 듯.] 이 루피의 정체를 눈치채고 투구를 빼앗은 뒤 공격하지만 루피는 견문색으로 날아오는 무기들을 여유있게 피하며 접근해 투구를 되찾는다.[* 그리고 강도 쟝은 루피를 발견하고 뒤쫒아온 돈 칭자오가, '''하필 루피가 피한 무기들을 죄다 배에 맞는 바람에''' 아프다며 날린 박치기를 맞고 그대로 리타이어.] 뒤이어 계속 루피를 노려온 돈 칭자오와 서로 무장색 주먹을 부딪히며 마침내 맞붙는다. 둘은 실로 대등한 결투를 펼치나 늙은 돈 칭자오가 조금 밀리기 시작한다. 이후 돈 칭자오에게 '''늙은 자신과 호각을 이루는 정도라면 가망이 없다'''는 소리를 듣고, 겨우 이런 수준의 인간을 레일리가 선택했다면 레일리도 눈이 썩었다, 오히려 에이스를 죽인 해군의 판단이 옳았다 등등 여러가지로 화나게하는 말을 듣고 하늘높이 날아올라 칭자오에게 '''핵꿀밤'''(정확히는 고무고무 토르 엘리펀트 건)을 날려준다. 루피의 공격을 머리통에 직격으로 맞은 칭자오는 과거 가프에게 얻어맞아 찌그러졌던 두상이 다시 솟아오른다. [* 원피스 세계관의 골격변화는 참 경이롭다. 한데 젊은 시절의 가프가 특훈까지 해서 주저앉힌 두개골이 고작 루피의 펀치 정도로(?) 복구시킨 걸 보면 칭자오도 노화로 뼈가 약해진 것이 아닐까….] 그와 동시에 칭자오는 정신을 잃은 건지 경기장으로 곤두박질 치는데 뾰족해진 두개골에 경기장 바닥이 말 그대로 '''두동강'''나고 칭자오는 물에 빠져 장외 판정을 받는다. 이로써 루피는 C록의 우승자가 된다.
         머리 모양이 돌아온 돈 칭자오는 루피에게 큰 고마움을 느끼며 자기 휘하의 팔보수군을 루피 산하에 넣어줄 생각까지 하게 되지만 피로 탓에 감사 인사를 한다고 고개 숙인 게 땅을 갈라버려 공격으로 오인한 루피가 도주해 버린다. 이 때 슬그머니 B록의 우승자인 바르톨로메오가 루피의 극렬한 추종자라는 사실이 밝혀지는데 일이 잘 풀리면 루피는 이 드레스 로자 편에서 산하에 팔보수군과 바르톨로메오의 바르토 클럽 해적단을 얻게 될 수도 있다. 징베나 보아 행콕과의 관계로 인해 어인 해적단과 구사 해적단과는 암묵적인 동맹 관계라는 걸 생각해 보면 이는 큰 플러스.
         '''코리다 콜로세움의 네임드들이 그에게 협력하게 된 것이다.''' 가장 먼저 루피 일행이 날아온 자리에 있던 [[캐번디시(원피스)|캐비지]]가 '갓' 우솝 덕분에 살았다며 루피 일행을 공격하지 않는다고 했고 ~~그러면서 동맹인 로는 잘만 죽이려 든다~~ 칭자오도 사이, 부와 함께 등장해 조력자로 참가하겠다고 하고 하이루딘 또한 콜로세움에서의 일을 모두 잊고 도움을 주기로 한다. 엘리자베로 2세 역시 ~~상금에 눈이 멀었던 다가마를 쥐어패고~~ 협력을 가했고 ~~상금에 눈이 멀 줄 알았던~~ 압둘라&제트, 올럼버스, 이데오, 술레이만, 루 길리까지 합세한다. 그러고서는 상금에 눈이 먼 나머지 참가자들을 때려패고, 루피는 자신이 루시로 활동할 때 친해졌던 브루탈 불(우시)도 끌어들인다. 그렇게 해서 캐번디시는 '''인기'''를 위해, 칭자오는 '''인의'''를 위해, 하이루딘은 '''명예'''를 위해, 엘리자베로 2세는 '''리쿠 왕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압둘라&제트는 '''참회'''를 위해, 이데오도, 올럼버스도, 술레이만도, 루 길리도 각자의 목적을 위해, '''전원 도플라밍고 레이드에 참가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현장에 다시 돌아갔을 때 그들을 최초로 발견한 어떤 해병의 시선으로 설명을 하자면, '''서로 도플라밍고를 자신이 죽이겠다고 아가리 파이팅을 신나게 벌이는 흉악한 녀석들 떼거지가 밀짚모자를 선두로 다 때려부술 듯이 무섭게 들이닥치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781화에서 새장의 크기를 줄이며 시민 모두를 죽이려 하는 도플라밍고에게 격노하여 문답무용으로 정면 돌진...하는가 했더니 사실은 거기까지가 이미 죽은 줄 알았던 로의 작전이었다. 공격하려던 순간 샴즈로 뒤쪽에 있던 로와 위치를 교체, 방심하고 있던 도플라밍고에게 로가 능력으로 치명상을 입히는 데에 성공한다. 도플라밍고는 깡으로 버티며 로를 공격하려 하지만 이어서 루피가 도플라밍고를 공격하고, 그로기 상태가 된 도플라밍고에게 로가 혼신의 카운터 쇼크를 날린다. 그 동안 로를 막으려던 트레볼은 루피가 발차기 한 방으로 날려버린다. 하지만 정작 치명상을 입었던 도플라밍고가 자신의 실실 능력으로 부상을 치료하고 로를 짓밟으려 하는 순간 루피가 뻗은 발이 도플라밍고의 발을 받아내고, 서로 발을 맞댄 채로 노려보는 장면으로 781화 종료.
         팬덤에서는 2년 후 시점의 루피가 그렇게 강한 것 같지 않다는 논란이 있었고 지금도 논란이 크다. 도플라밍고와 싸우고 있지만 엇비슷하게 싸우는 것 같아 보여도 당장 지금의 도플라밍고는 로우의 감마 나이프에 맞아서 내장 자체가 파열된 것을 억지로 실로 급히 '''응급조치'''만을 해둔 상태이기 때문에 회복이 천천히 되어가는 중이지 회복이 된 것이 아니라 '''몸 상태가 정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멀쩡한 몸 상태에서는 루피를 여러번이나 간단히 농락하고 제압했던 도플라밍고였기 때문에[* 실인형이 처음 드러났을때도 그렇고, 루피와 로우의 샴즈 + 레드호크에 당했을때도 맞으면 맞아주면 그만이라며 간단히 루피의 손을 실로 묶어버리고 제압한 등.] 루피의 실력으로는 도저히 도플라밍고에게 제대로 상대가 안되기에 도플라밍고에게 그만한 너프를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루피도 콜로세움에서부터 계속해서 체력을 소진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루피가 패밀리의 일반간부 수준인 돈 친자오 정도와 싸울 때 도플라밍고는 최고간부보다 훨씬 윗줄의 로우와 싸우고 있었다.(...)
  • 배경 세계 공유 . . . . 14회 일치
         다양한 창작물이 하나의 세계를 배경으로 공유하는 방식. 어느 한쪽에서 일어난 일이 다른 쪽에 영향을 주는 식의 묘사를 볼 수 있다. [[마 코믹스]], [[DC 코믹스]] 등의 미국 만화가 대표적이며 영상화는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스타일은 상당한 역사을 지니고 있으며 영상화쪽도 MCU 이전부터 존재해왔다.
         미국 만화와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영향 탓에 서양권의 주류라 생각하기 쉬우나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아서 동양권에서도 이러한 스타일이 있다. 만화가 [[미나기 토쿠이치]]의 만화 '[[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이 그런 경우.
         상단의 정보처럼 본 문서명은 가칭이다. 이러한 스타일에 관해 'shared universe', 'shared world' 등의 단어가 있으며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영향을 받아 영화계열는 '시네마틱 유니버스'라고도 한다. 공통 세계관, 동일 세계관, 세계관 공유 등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
          마 코믹스 기반 영화 세계. 배경 세계 공유 영화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큰 인지도를 지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의 엑스멘 기반 영화 세계. 현재 종료된 시리즈다.
          * [[소니 마 유니버스]]
          스파이더맨을 비롯한 마의 몇몇 캐릭터의 판권을 가진 소니측에서 진행하는 세계.
          밸리언트 코믹스의 캐릭터들을 활용한 영화 세계를 만들겠다고 한다. 현재 소속 캐릭터인 '러드샷'이 영화화된 상황.
          * 언브레이커 관련
          영화 <[[언브레이커]]>과 배경 세계를 공유하는 영화 세계가 진행되고 있다. <[[23 아이덴티티]]>가 그런 경우이며 이후 나올 <[[글래스]]>도 포함된다.
          * [[마 유니버스]]
          [[마 코믹스]]의 세계.
  • 블랙 클로버/129화 . . . . 14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8화]] |||| '''랙 클로버/129화''' |||| [[랙 클로버/13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9. '''어느 한 사내의 삶의 방식'''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두 번에 걸친 랙 상태 발동과 부상 덕에 [[미모사 버밀리온]]의 백업을 감안해도 오래 싸울 수 없는 상태였다. [[랜길스 보드]]의 맹공이 끝날 줄을 모르고 크리스탈도 점점 파괴되면서 패색이 짙어진다. 항상 아스타를 신뢰하던 [[유노(랙 클로버)|유노]]도 우려를 금하지 못한다. 아스타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세 번째 랙 모드를 쓰려했다. 원래 하루에 발동할 수 있는 한계는 두 번. 세 번째는 유노와 결승전에서 쓰려고 했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그마저도 한숨 돌릴 타이밍이 필요해 지금처럼 숨도 쉴 수없는 상황에선 도저히 기회가 없다. 그때 아스타는 다름 아닌 [[잭스 류그너]]에게 도움을 청하며 발동 자세로 들어간다. 아스타의 요청이라면 들은 척도 안 하던 잭스였으나 "저 자식(랜길스)이 마음에 들지 않으니 응해준다"며 아스타의 앞을 막아준다. 하지만 그가 도와준다는걸 한 치의 의심도 하지 않는 아스타의 태도를 보며 먼 옛날의 기억이 떠올라 입맛이 쓰다.
          멀쩡해 보였지만 원래 랙 상태는 하루에 두 번이 한계인데다 부상도 입어서 정상 상태가 아니었다. 세 번째 랙 모드는 유노를 위해서 아껴놨다고 하는데 원래도 두 번밖에 못 쓰는 거였으니 엄청 무모한 생각이었다. 랜길스의 맹공을 막을 수 없어 결국 세 번재 랙 모드를 쓰려고 하는데 타이밍이 나지 않아 잭스에게 도움을 청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상디 . . . . 14회 일치
         [[노스 루]][* 노스 루 출신이라면 알고 있는 [[몽랑 노랜드]] 이야기를 알고 있었다.] 출신이지만 어릴 무렵 여객선 오빗 호의 견습 요리사로 이스트 루에 넘어와 있었던 듯하다. 한가지 의문인 건 어떻게 노스루에서 이스트 루로 넘어왔냐는 점. 본인의 말로는 이사왔다는데 자세한 건 아직 나오진 않았다.
         노스 루 출신인 돈키호테 로시난테가 상디의 아버지라는 설이 있다. 작중에서 해상 레스토랑 동료들이 '붉은 눈을 한 사나이가 왔었다. 와인을 들고' 라는 식으로 말한 적이 있다. 실제로 로시난테는 붉은 눈에 와인을 들고 다닌다. 또한 로시난테는 천룡인으로 현상금이 1억 7700만베리가 된 상디가 생포 한정인 이유도 설명이 된다는 설이다. 동료 요리사에게 [[오올 루]]의 전설을 듣고 [[위대한 항로]]에서 오올 루를 찾겠다는 꿈을 가지고 있던 10살 무렵, 여객선이 붉은 다리 [[제프(원피스)|제프]]가 이끄는 해적단의 습격을 받았을 때 바다에 빠졌으나 제프가 그를 구하기 위해 뛰어들어 일단 목숨을 건졌다. 하지만 그 때 풍랑으로 제프의 배도, 상디가 있던 여객선도 침몰하고 외딴 바위섬에 표류했는데, 겨우 건진 몇 일 분의 식량을 상디에게 전부 내주고 제프 본인은 '''자신의 다리를 먹어가며''' 배가 오기를 기다린다. 후에 식량이 모두 떨어진 상디가 제프의 식량을 빼앗으려 덤벼들었다가 사실을 알게되고 둘이 나란히 굶어 죽을 뻔한 상태로 빗물만 마셔 수 십 일을 버티다가 지나가던 배가 발견해서 간신히 구조.[* 애니메이션에서는 물에 빠진 상디를 구하려다 다리를 잃었다는 내용으로 변경. 애니메이션은 전 연령층이 다 보기 때문에 자신의 다리를 먹는다는 내용이 수위가 너무 높아 수정되었다.]그런데 이 동안 무려 25일간은 한 끼를 먹었다고 쳐도 나머지 '''55일간'''을 굶었는데 '333 법칙'을 따르면 비가 3일에 한 번씩 오고 3주에 한 끼씩 먹는다면 살아남을 수 있긴 하겠지만 어느 쪽이든 인간의 생활은 아니다. 하여튼 이 때의 경험으로 상디는 굶주린 인간을 그냥 두고 보지 못 하는 성향도 생겼으며, 동시에 음식을 함부로 다루는 사람에게는 극도로 분노하며 철저하게 응징하는 성향도 생겼다. 어린아이라 할지라도 절대 넘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모모노스케가 쓸데없이 자존심을 부리며 요리를 내팽개치려 했다가 상디의 분노를 샀다.] 그런데 여자가 음식을 함부로 다루면 어떻게 대하는지는 밝혀진 적이 없다.(...) ~~때리진 못할 테고 그냥 죽일 듯한 기세로 화내지않을까~~
         이후 제프를 따라가 함께 해상 레스토랑 [[발라티에]]를 열고 요리사가 되어 부주방장까지 되었다. 그러다 [wiki:"몽키 D. 루피" 루피]와 만나고, 클리크 해적단을 상대로 공투해서 승리한다. 그 뒤 루피의 동료가 되어달라는 제안을 받고, 오올 루를 찾고 싶은 마음에 따라가고 싶긴 한데 제프 때문에 미적거리다가 제프 본인과 여타 동료 요리사들의 배려로[* 상디의 요리를 모욕해서 어그로를 끌어서 빡친 상디가 스스로 나가도록 하는 것. 물론 상디는 처음엔 낚였지만 곧 알아채버렸다. 만화판에서는 수프를 바닥에 뿌려버렸는데 애니에서는 맛 없다고 비난하는 것으로 변경.] 루피를 따라나서서 [[밀짚모자 일당|밀짚모자 해적단]]의 일원이 되었다.[* 이때 제프와 레스토랑 동료들과 헤어지는 씬이 정말 명장면이다.]
          * [[재브라]] - 칼리파한테 지고서 거품인간으로 있다가 욕조 덕분에 원상복귀 후 재브라에게 죽을 뻔한 저격왕(우솝)을 구하면서 대결 시작. 재브라의 거짓말에도 안 속아 넘어가고 여러모로 대등하게 맞붙은 끝에 디아 잠브를 발동시켜 화룡점정 슈트로 면상을 불태워 땅에 쳐박아버린다.
          * [[스칼렛 대장]] - 극장판 10기 한정.[* 극장판 8, 9기는 각각 알라바스타, 드럼 왕국 재탕이니 생략한다.] 로빈을 두고 대결하는데 초고속으로 건물을 타고 올라가 디아 잠브 시전, 가볍게 끝내버린다. ~~그리고 로빈은 브룩이 차지~~[* 이는 상디의 [자업자득]인데, 로빈이 붙잡혔음에도 상디는 로빈의 구출보다 고릴라를 패는 것을 우선했다가 로빈을 깜빡했다.(...) 어떤 의미로는 가장 상디답지 않은 행동.]
          * [[빈즈]] - 극장판 12기 한정.[* 극장판 11기는 실력자 전무. 그냥 생략한다.] 덩굴덩굴능력을 스카이 워크로 피한뒤 디아 잠브로 표창과 칼을 받아 쳐내고 역시 나미씨는 섹시한게 좋다며(...) 불타올라라 섹시 파이어!로 온몸을 불로 뒤덮은 뒤 사랑의 메테오 스트라이크로 마무리. 그리고 끝난뒤에 "우리 나미씨, 반할만 하지?"라고 한다. ~~나미는 몰라도 여성팬들은 확실히 반한 것 같다.~~
          * 애니판이 KBS에서 방영되었을 때에는 아이들 정서상 부적절하다는 태클 때문에 '''담배가 츄파츕스로 바뀌는 굴욕'''을 겪었다. 근데 케이 심의가 강화되어서 극장판을 제외한 TVA판 한정으로 [[투니버스]]에서도 츄파츕스로 바뀌었다.[* 항상 오렌지맛 사탕인 듯? 1기 오프닝과 초반부의 장면에서는 딸기맛 사탕을 연상시키는 빨간색 사탕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에는 계속 오렌지맛 사탕으로 고정. 그런데 의외로 사탕이 오리지널인 줄 알고 있었던 사람이 많은 듯하다. 원작을 보고서야 담배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고 '상디가 무인도 표류 이후 항상 먹을 걸 가지고 다니는 줄 알고 있었다'라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사탕을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도 있다(...)] KBS판에서는 주석에서도 달려있듯이 라이터에 지지는 장면 등에서 부싯돌 튕기는 소리가 그대로 나온 반면에 이후에 방영된 투니버스판에서는 음향쪽도 완벽히 수정하여 완벽하게 사탕으로 만들었다. 북미판의 경우 [4kids] 더빙판에서는 무자비한 편집으로 악명높은 4kids답게 KBS판과 같은 츄파츕스로 만들어버렸다. 다행이게도 이후에 [퍼니메이션]에서 재발매한 DVD판의 경우 무삭제로 나왔다. 대원판은 영상 수정을 별로 하지 않아서 그냥 모자이크 처리로 때운다. 때문에 상디의 입이나 손은 항상 모자이크로 나온다. 음향쪽에서는 라이터 소리가 나는등 옥의 티가 있었지만 최소한 사탕으로 수정을 하려고 했던 KBS만큼의 성의도 보여주지 않는 대원판 원피스의 무성의함을 드러내는 증거이기도 하다.~~[동강동강 열매]도 변역기돌려서 뿔뿔이 열매로 만든 놈들이니까~~ 카툰네트워크에서 방영한 토리코와의 콜라보편에서는 화면을 수정하여 '''아예 삭제됐다.''' 덕분에 손가락 모양은 담배를 쥐고 있는 손가락 모양이지만 정작 손가락에는 아무것도 끼워져있지 않다.
  • 하이큐/262화 . . . . 14회 일치
          * 히나타가 보여준 것만큼은 아니지만 린타로의 반응도 뛰어났다. 세트업은 [[츠키시마 케이]]를 페이크로 쓰고 좌측의 타나카에게 전해진다. 아직 츠키시마의 페인트 모션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린타로는 벌써 타나카 앞으로 뛰고 있었다. 츠키시마가 빠르다고 감탄하는 스피드. 타나카가 스파이크를 쳤을 땐 오사무의 바로 옆에서 록을 뛰고 있었다. 그 린타로의 록에 맞고 튀어나오는 공. 타나카는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지금까지는 이 타이밍으로 뚫어왔다. 그러지 못했다는건, 록의 완성이 그만큼 빨라지고 있다는 신호였다. 카라스노 코트로 떨어지는 공은 니시노야가 수습. 카라스노 응원단은 갈 수록 강화되는 록을 보며 이를 갈았다. 하지만 [[타나카 사에코]]가 "류는 이정도로 무너지지 않는다!"고 외치며 분위기를 다잡는다.
          * 공이 크게 떠서 다시 이나리자키 진영으로. 아츠무가 다시 세트업. 이번엔 실수하지 않는다. 공은 린타로에게. C속공. 이번에는 카라스노의 록도 빨랐다. 타나카가 일찌감치 달려온다. 적절한 리드록. 츠키시마도 코트 밖의 히나타도 직감할 수 있었다. 막는다. 록 두 장이 여유롭게 뛰어오른다. 결과는 실패. 공에 스치지도 못했다. 타나카와 함께 록을 뛴 츠키시마 케이도 이해할 수 없었다. 분명 코스를 틀어막았다. 공이 록을 통과한 것처럼 뻗아나가 우측 후방의 [[사와무라 다이치]]를 노렸다. 사실 스나 린타로가 노린 건 정확히 그 위치는 아니었다. "힘이 너무 들어가 버렷다"고 고개를 갸웃거렸다. 어쨌든 공은 록을 돌파했고 카라스노 진영으로 돌아왔다. 사와무라가 엉겁결에 리시브한 바람에 공이 불안하게 떠올랐다. 아즈마네가 사이드라인 밖에서 걷어올리면서 타나카에게 잇는다.
          * 이나리자키의 록은 세 장. 역시나 더욱 빠르고 견고해지고 있다. 좌측을 꽉 채우는 록. 열린 길은 둘 중 하나. 극좌익인가, 아니면 우측으로 열린 중앙인가. 타나카는 뛰면서 정말 많은 생각을 했다. 좌냐 우냐, 그것보다 과하게 많은 생각. 갓 입부했던 1학년 때부터, 어젯밤 선배들이 베란다에서 나눈 이야기들, 그들의 중압감, 웃음기로 감추던 긴장과 투지, 후배들, 그리고 적. 우카이 코치의 걱정대로 너무 많은 것들과 함께 뛰어오른 타나카.
          * 스파이크. 록을 피했다. 극히 좌측. [[미야 오사무]]의 우측으로 꽂히는 공. 그러나, 라인을 넘겼다. 아웃 판정. 동료 선수들도 관중석도, 탄식이 꼬리를 문다. 이나리자키의 득점. 스코어는 25 대 25. 듀스. 다시 피말리는 시소게임으로. 아츠무가 안도의 한숨을 쉰다. 이번 플레이가 실점으로 이어졌다면 역전이 될 뻔했다. 사실 오사무는 이미 그렇게 취급하고 있다. 이번엔 꼭 세 개 들이 한 세트가 아닌 하나짜리 고급 푸딩을 뜯어낼 작정이다.
          * 아츠무가 역전을 면한 대가로, 타나카가 독박을 쓴다. 그의 심정이 누구보다 공감되는지 [[보쿠토 코타로]]가 얼굴을 감싸며 탄식했다. [[아카아시 케이지]]도 모르지 않았다. 방금 플레이는 딱히 무리한 것도 아니었다. 사실 오늘 타나카는 실수를 많이 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이나리자키의 집요한 록과 점수를 벌어야 한다는 부담은 어태커에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게다가 자신을 노리는 서브를 계속 받아왔으니 그 스트레스는 상상을 초월할 것. 아카아시가 짐작하는 바를, 보쿠토가 한 줄로 요약했다.
  • 하이큐/267화 . . . . 14회 일치
          * 사루카와 주장 "시라미네"는 승부를 낙관하며 짐작하게 플레이에 나서나 어느 순간 코즈메가 록을 유도하고 있는걸 직감한다.
          * 하지만 깨닫는게 늦어 코즈메는 사루카와의 록을 농락하며 득점을 성공. 사루카와 측은 어쩌면 네코마의 실책까지 함정일 가능성이 제시되며 동요한다.
          * 코즈메가 [[야마모토 타케토라]]에게 세트업, 야마모토의 스파이크는 사루카와의 록에 막혔다. 튕겨나온 공은 네코마 진영을 가르며 코트 중앙으로 떨어졌다. 리에프와 코즈메의 가운데. 리에프가 달려나오지만 닿을 것 같지 않다. 코즈메 쪽이 조금 더 가까웠다. 후방으로 달려가는 코즈메. 그리고 거기서 한계가 왔다. 휘청거리는 코즈메. 경기장에 있던 모두가 그가 쓰러지는 모습에 주목했다. 공에서 한 발짝 거리. [[카이 노부유키]]가 가까스로 몸을 날려 리시브해 보지만 공은 높이 뜨지 않았다. 네트에 맞은 공, 기어이 네코마 진영에 떨어진다. 스코어 23 대 21. 중계진도 코즈메의 체력 저하를 거론하기 시작했다.
          * "후카타니"의 서브. 사루카와 측은 이 여세를 몰아갈 생각이었다. 그러나 서브가 좌측으로 너무 빠지면서 아웃라인을 벗어났다. 네코마의 득점. 아슬아슬한 고비에서 한숨 돌린 네코마. 하지만 안심하긴 일렀다. 여전히 흐름은 사루카와 측에 있었고 이번 세트를 확실하게 받아갈 작정이었다. 다시 이어지는 공방. 사루카와어ㅢ "시라미네"가 때린 스파이크가 록을 뚫는다. 후방에서 야쿠가 정면에서 받는다. 높이 뜨는 공. 시시오 감독은 그 순간에 무슨 불안을 느낀 걸까? 문득 서두르지 말라고 당부했다.
          코즈메를 거쳐 쿠로오의 스파이크. 시시오 감독의 불안과 달리 사루카와는 빈틈이 없었다. "와쿠라"의 록에 원터치로 걸린다. "카나자와"와 "후카타니"가 차례로 살려서 다시 떠오른 공. 좌측에서 "시라미네"가 뛰어오른다. 카이, 쿠로오과 록을 뛰었지만 우측에 치우친 탓에 중앙이 텅 비었다. 놓치지 않고 그 위치로 밀어넣는 시라미네. 후쿠나가가 눈치 빠르게 달려나왔지만 리시브가 불안정했다. 짧고 흔들거리게 떠오르는 공.
          중계진의 평은 썩 정확한 것 같았다. 그러나 네콰는 악착같이 달려들었고 코즈메도 그랬다. 공은 중앙으로 떠오르고 코즈메의 세트업, 사루카와의 록은 중앙에서 함께 뛴 쿠로오에게 집중됐다. 그러나 이번엔 쿠로오가 아니었다. 우측의 카이에게 날아가는 패스. 카이가 록을 따돌리고 득점에 성공한다. 드디어 동점. 마침내 따라잡았다.
          불안요소의 정체. 코즈메는 세트업을 위해 네트의 우중간으로 이동하는 것 같았다. 쿠로오가 뒤따라오며 뛸 준비를 했다. 하지만 시라미네는 위화감을 느꼈다. 시시오감독 보다 조금 늦게. 아군의 록이 쿠로오를 따라 중앙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네코마의 좌측이 넓게 열렸고 그 뒤에서 후쿠나가가 뛰어나오는게 보였다. 함정. 록을 중앙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연막작전. 그 리시브도 계산이었을까?
          시라미네가 로커의 위치를 정위치로 돌렸다.
          * 시라미네의 조치는 재빠르긴 했지만 적절하진 않았다. 코즈메는 들켰다걸 알았지만 작전엔 아무 문제도 없었다. 오른쪽이었다. 중앙에 멈췄던 시가는 공이 카이에게 넘어가고 나서야 움직였다. 카이가 짐착하게 스파이크. 뒤늦게 시가가 록에 참가했지만 그의 팔에 맞고 텅빈 사루카와의 좌측에 내리꽂혔다. 완전히 속았다. 중계진은 넓은 레프트를 버리고 좁혀진 라이트를 공략한 의외성에 놀랐다. 그리고 사루카와의 록도 그럴 거라고 말했다. 이런 플레이를 감행한 코즈메는 수수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번 대회에서 손꼽히는 세터일지 모른다고 호평했다. 정작 당사자는 방금 조금 짧게 올라갔다고 자책하고 있었다.
          * 24 대 24. 첫 번째 동점은 그럴 수 있었지만 두 번째는 아니었다. 사루카와의 계산이 복잡해졌다. 시라미네가 방금 전 리시브부터 모든게 위장일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모든게 흔들리고 있었다. 모든 점을 고려할 때 록을 유도하고 있다는건 그럴 듯한 결론이었다. 그러자 또다른, 무서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현아 . . . . 14회 일치
         |관련활동 = [[원더걸스]], [[트러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 메이커]], [[포미닛]], [[트리플 H (음악 그룹)|트리플 H]]
         이후 2009년 [[큐브 엔터테인먼트]]로 소속사를 옮겨 [[포미닛]]의 멤버로 합류해 다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2010년 1월에는 첫 솔로 싱글 〈[[Change (현아)|Change]]〉를 발매했고, 골반춤이라는 안무를 유행시키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했다. 이어 2011년 7월에는 첫 번째 EP 음반 《[[Bubble Pop!]]》을 발매했고, 동명의 타이틀곡인 〈Bubble Pop!〉은 차트에서 상위권을 유지했다. 그리고 같은 해 12월에는 [[장현승]]과 유닛 그룹 [[트러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 메이커]]를 결성해 2014년까지 활동하였다. 2012년 10월 두 번째 EP 음반 《[[MELTING]]》을 발매해 타이틀곡 〈Ice Cream〉으로 활동했고, 2014년 7월 세 번째 EP 음반 《[[A Talk]]》를 발매해 타이틀곡 〈빨개요〉로 활동했다. 2015년 8월 네 번째 EP 음반 《[[A+]]》을 발매했다. 2016년 그룹 [[포미닛]] 해체 후 8월 1일 다섯 번째 EP 음반 《[[A`wesome]]》을 발매했다. 2017년 5월 [[펜타곤 (음악 그룹)|펜타곤]] 멤버 후이, 이던과 함께 [[트리플 H (음악 그룹)|트리플 H]]로 활동 하였다. 8월 29일 여섯 번째 EP 음반 《[[Following]]》을 발매했다. 12월 4일 두 번째 싱글 앨범 《[[Lip & Hip]]》을 발매했다.
         === 2011–13: ''Bubble Pop!'', ''MELTING''과 트러 메이커 ===
         2011년 4월 5일 [[포미닛]]은 [[한국]]에서의 첫 번째 정규 앨범 《[[4Minutes Left]]》를 발매해 타이틀 곡 〈거울아 거울아〉로 활동했다.<ref name="아시아경제"/> 또한 비슷한 시기 [[임정희]]의 〈[[Golden Lady]]〉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ref>{{뉴스 인용|제목=임정희 ‘골든 레이디’ [[포미닛]] [[김현아]] 랩 피처링 지원사격 |확인날짜=2011-07-24|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05030905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박영주|날짜=2011-05-03}}</ref> 2011년 6월부터는 [[MBC]] 《[[댄싱 위드 더 스타]]》에 출연했지만,<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6월 솔로컴백 동시 '댄싱위드더스타' 출연|확인날짜=2011-06-04|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52209433305110&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박영웅|날짜=2011-05-22}}</ref> 심사위원들에게 혹평을 받으며 다섯 번째 탈락자로 결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댄싱 위드 더 스타’ 탈락..심사위원 “심사할 수 없는 지경”|확인날짜=2011-07-24|url=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78679§ion=sc4|출판사=브레이크뉴스|저자=한누리|날짜=2011-07-16}}</ref> 현아는 2011년 7월 5일 첫 번째 EP 음반 《[[Bubble Pop!]]》을 발매했다. 이에 앞서 2011년 6월 30일 발라드풍의 수록곡 〈[[A Bitter Day]]〉를 공개했다.<ref name="Pop!">{{뉴스 인용|제목=김현아, 30일 발라드 ‘A Bitter day’ 선공개…‘솔로 출격’ 신호탄|확인날짜=2011-06-29|url=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20110629111326420&ts=130703|출판사=경제투데이|저자=곽민구|날짜=2011-06-29}}</ref> 이번 앨범의 동명 타이틀곡인 〈Bubble Pop!〉은 [[가온 디지털 차트]] 2위까지 올랐다.<ref name="가온">{{웹 인용|url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search/list.gaon?Search_str=Bubble+Pop%21&x=43&y=19|제목 =가온 차트 > Bubble Pop! |출판사 =[[가온 차트]]|확인날짜 =2011-07-19}}</ref> 그러나, 2011년 8월 [[방송통신위원회]]에서 "Bubble Pop!"의 안무 중 일부가 청소년들에게 선정적으로 보인다며 안무를 수정할 것을 요정했지만, 소속사측은 안무를 수정하면 무대에 오르는 것이 의미가 없다며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팝 활동중단 '또 선정성 논란, [[김현아]]가 추면 다 야해' |확인날짜=2011-08-05|url=http://artsnews.mk.co.kr/news/163166|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하얀|날짜=2011-08-05}}</ref> "Bubble Pop!"은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는데, 《이즘》에서 "캔디 팝의 요소가 잘 녹아들었음에도 제대로 방점을 찍지 못해 솜사탕같은 트랙이 되었다"고 평가했다.<ref>황선업.[http://www.izm.co.kr/contentRead.asp?idx=23086&bigcateidx=8&subcateidx=10&cTp=4 이즘 - Bubble pop!] 《이즘》. 2011-07 작성. 2011-12-16 확인.</ref> 영국의 《팝저스티스》는 "오늘의 노래"에 선정했고,<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팝', 英 팝사이트 '오늘의 노래' 선정… "가장 섹시" 찬사 |확인날짜=2011-07-22|url=http://sports.hankooki.com/lpage/music/201107/sp2011072010252095510.htm|출판사=스포츠한국|저자=김성한|날짜=2011-07-20}}</ref> 미국의 《스핀 매거진》은 "2011년 올해의 베스트 노래 20" 순위 중 〈Bubble Pop!〉을 9위에 선정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버팝', 美스핀 선정 '2011 베스트송20'|확인날짜=2011-12-16|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121209445192085&type=1&outlink=1|출판사=스타뉴스|저자=박영웅|날짜=2011-12-12}}</ref> 이후 2011년 8월부터 [[도끼 (가수)|도끼]]가 피처링한 노래 "[[Just Follow]]"로 후속곡 활동을 잠깐 했다.<ref>{{뉴스 인용|제목=뮤직뱅크 김현아 just follow 무대 공개, 선정성 '제로' 카리스마 '폭발' |확인날짜=2011-08-13|url=http://artsnews.mk.co.kr/news/164401|출판사=아츠뉴스|저자=김풀잎|날짜=2011-08-13}}</ref>
         2011년 12월에 [[현아]]는 같은 소속사의 가수이자 [[비스트 (음악 그룹)|비스트]]의 멤버 [[장현승]]과 함께 유닛 그룹 [[트러 메이커 (음악 그룹)|트러 메이커]]를 결성했다.<ref>{{뉴스 인용|제목='뮤직뱅크' 장현승-김현아 '트러메이커' 컴백 예고|확인날짜=2011-11-26|url=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013323|출판사=리뷰스타|저자=김혜정|날짜=2011-11-25}}</ref> 트러 메이커는 12월 1일 첫 미니 앨범 《[[Trouble Maker (EP)|Trouble Maker]]》를 발매했고, 동명의 타이틀곡 〈Trouble Maker〉로 활동을 시작했다. 〈Trouble Maker〉는 좋은 반응을 얻으며 [[K-Pop 빌보드 핫 100]] 최고 2위까지 올라갔고,<ref>{{웹 인용|제목=BILLBOARD K-POP HOT100 12월 3주차|출판사=[[빌보드]]|url=http://www.billboard.co.kr/v1/chart.php?t=3&query=&pubdate=2011-12-14|확인날짜=2011-12-12}}</ref> [[가온 디지털 차트]]에서는 1위를 했다.<ref>{{웹 인용|제목= 2011년 12월 다섯째주 디지털 종합차트|출판사=가온 차트|url=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total/list.gaon |확인날짜=2011-12-12}}</ref> 그러나, 〈Bubble Pop!〉과 똑같이 공연 중 안무 선정성 문제가 일어나 결국 안무를 수정했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11120913181888325&type=1&outlink=1</ref> 2012년 3월 현아는 [[스파이시칼라]]와 손을잡고 현아 위드 스파이시칼라라는 브랜드를 론칭했고, 50년대 낙관주의와 60년대 레트로 빈티지 무드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자신의 이름 내건 브랜드 론칭|확인날짜=2012-03-15|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203141127323&mode=sub_view|출판사=bntnews|저자=이형준|날짜=2012-03-14}}</ref> 2012년 여름에는 [[싸이]]의 노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 강남스타일, 유재석 노홍철 김현아 ‘3인 3색 댄스 화제|url=http://www.interview365.com/news/27962|출판사=인터뷰365|저자=장민혜|날짜=2012-07-13|확인날짜=2012-08-07}}</ref> 2012년 8월 15일에는 〈강남스타일〉을 여자의 입장에서 재해석한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ref>{{뉴스 인용|제목=싸이·김현아, '오빤딱내스타일' 뮤비공개..섹시·상큼↑|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081512060525950&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길혜성|날짜=2012-08-15|확인날짜=2012-08-05}}</ref> 〈오빤 딱 내 스타일〉 뮤직비디오는 [[유투브]] 조회수 1억 건을 넘기며 [[소녀시대]]의 〈[[Gee (노래)|Gee]]〉를 제치고 〈강남스타일〉에 이어 유튜브 역대 가장 많이 본 동영상 한국 순위 2위를 차지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 '오빤 딱 내 스타일' 1억뷰 돌파..싸이 효과!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2102111121506368&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윤성열|날짜=2012-10-21|확인날짜=2012-10-21}}</ref> 2012년 10월 21일에는 두 번째 솔로 미니 앨범 《[[MELTING]]》을 발매했다. 타이틀곡 〈Ice Cream〉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에 올랐고, [[코리아 K-Pop 핫 100]]에서는 최고 6위에 올랐다. 2012년 12월 29일 SBS 《[[SBS 가요대전|가요대전]]》을 앞두고 현아는 [[효린]], [[전효성]], [[니콜 (1991년)|니콜]], [[나나 (가수)|나나]]와 함께 대즐링 레드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결성해 27일 [[용감한 형제]]와 똘아이박이 작곡한 〈이사람〉을 발매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현아·[[효린]]·[[전효성]]·[[니콜 (1991년)|니콜]]·[[나나 (가수)|나나]], SBS '가요대전'서 대즐링 레드 결성|url=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12280748241118|출판사=[[마이데일리]]|저자=최두선|날짜=2012-12-28|확인날짜=2014-01-08}}</ref>
         2013년 10월 28일에는 트러 메이커로 돌아와 두 번째 미니 앨범 《[[Chemistry (EP)|Chemistry]]》를 발매했다.
         [[현아]]의 댄스 실력은 이미 [[원더걸스]] 시절부터 인정받았는데, 비걸 출신 여가수 [[김소리]]는 "[[김현아]]는 어린데도 느낌 있게 춤을 춰요. 나이가 많은 사람도 내기 힘든 섹시한 느낌이 잘 살죠"라며 춤을 잘추는 아이돌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김소리 “포미닛 김현아-2NE1 공민지 춤실력 인정”(인터뷰)|url=http://mhj21.com/sub_read.html?uid=11141§ion=section3|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 기자|날짜=2010-09-16|확인날짜=2010-11-25}}</ref> 또한 [[이준 (배우)|이준]]역시 현아를 걸 그룹 중 최고의 춤실력이라고 극찬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엠랙 이준 “김현아, 걸그룹 최고 춤실력…섹시하고 뇌쇄적”|url=http://sstv.freechal.com/index.html?page=news/flypage&nid=88656&cid=24|출판사=SSTV|저자=황예린|날짜=2010-07-23|확인날짜=2010-11-25}}</ref> 가수 [[이주노]]도 “솔로곡 "Change"에서 춤추는 모습을 봤는데 춤이 아무 맛깔스럽게 추더라”며 “그 노래에서 그 표정, 동작, 노래가 나오는 것은 아주 연습을 많이 했거나 선천적으로 재능이 있는 것이다”라고 [[현아]]를 최고의 춤꾼으로 꼽았다.<ref>{{뉴스 인용|제목=‘선견지명’ 이주노 “현재 최고의 춤꾼은 포미닛 김현아” 극찬|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110120180131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but뉴스|저자=이정현 기자|날짜=2011-01-20|확인날짜=2011-01-22}}</ref> 하지만, 주로 섹시하고 파워풀한 춤을 추는 [[현아]]는 어린 나이에 너무 선정적인 춤을 춘다는 이유로 방송이 금지되는 등 비판을 받기도 했다.<ref name="아시아경제">{{뉴스 인용|제목=포미닛 "연습생의 마음으로 준비한 첫 정규, 설레고 신기해"(인터뷰)|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41309374724881|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강경록|날짜=2011-04-15|확인날짜=2011-04-15}}</ref>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3회 일치
         과거 맥스 페인은 "V"라는 마약에 중독된 자들에 의해 아내와 딸을 잃고, 살인 용의자로 몰리게 된다. 그는 진범을 찾아 헤매며 여러가지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비니 고그니티, 모나 색스, 라디미르 렘, 알프레드 우든. 맥스는 진범을 찾아 죽이는데는 성공했지만 끝난것은 없었다. 맥스의 가족이 이미 죽어버렸지만, 맥스는 아직 살아있었다.
          이후 밝혀진 것에 따르면 라드의 애인으로, 라드를 위해 움직이고 있었다..
          * [[라디미르 렘]]
          Annie Finn. 총기제작자 겸 총포상으로 라드의 애인. 맥스가 발견 했을 때에는 [[스쿼키 청소회사]] 직원들에게 붙잡혀 살해당하기 직전이었다. 맥스는 그녀를 구하려고 했지만 결국 청소부들에게 살해당한다. 그런데 라드는 윈터슨이라는 또다른 애인이 있었다.
          Mike the Cowboy. 러시아 갱단의 일원. 맥스가 마피아들에게 습격당한 라드의 식당을 찾아갔을 때 처음 만났다. 첫 등장부터 AK-47 한 자루로 네명의 펀치넬로 마피아를 처치하며 나타난다. 이후 맥스와 함께 마피아를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죽을수도 있다.
          살아있다면 청소부들을 부리는게 라드라는 걸 알아낸 맥스가 그의 식당을 습격했을 때 재등장한다. 방송으로 러시아 갱단원들에게 맥스를 처리하라 지시하는 역할. 러시아 갱단원들이 역으로 발리자 자신이 라드의 방에서 방송을 하고 있으니 와서 끝장을 보자고 한다. 결국 라드의 방에서 맥스에 의해 죽는다.
          Punchnello Family. 뉴욕의 마피아 집단. 전편에서 맥스가 잠복수사를 했고, 무수히 쏴죽였던 그 놈들. 그 꼴이 났는데도 살아있다. 라드의 러시아 갱단과는 적대관계.
          Vodka. 라드가 개업 준비 중인 레스토랑. 전작에 등장했던 나이트클럽 "라그나 록"을 개조한 것이다. 맥스는 라드에게서 정보를 얻기 위해 이곳으로 향하지만 하필 펀치넬로 패밀리의 습격을 받고 있었다.
  • 블랙 클로버/107화 . . . . 13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6화]] |||| '''랙 클로버/107화''' |||| [[랙 클로버/10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7. '''클로버 왕국 국왕'''
          * 눈치없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국왕 면전에서 "딱히 대단할 거 없는 아저씨"라 해 처형될 위기에 처한다.
          * 성공적인 공적 발표가 끝났다. 절정으로 달한 분위기를 클로버 왕국의 국왕 등장으로 몰아간다. 그러고 보니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왕도에 온지 꽤 됐지만 국왕을 본 적이 없다. 그건 [[유노(랙 클로버)|유노]]도 마찬가지. [[마법제]] 율리우스의 소개와 함께 마침내 국왕이 민중 앞으로 걸어나온다.
          새파란 신입들이 국왕을 물고 뜯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지만, 단장들 조차 아무 말참견을 안 하는데다 [[잭 더 리퍼(랙 클로버)|잭 더 리퍼]] 같은 경우는 재밌다고 부추기기까지 한다.
          * 마법제의 격려까지 받고 사기가 하늘을 찌를 것 같이 높아진 아스타. 그는 벌써부터 전부 해치워버리겠다고 방방 뛴다. 유노가 "나만 붙어도 울지마라"고 디스해도 흥분하지 않고 꼭 합격해서 백야의 마안을 무찌르겠다고 다짐한다. 그리고 이전에 경험했던 [[랙 클로버/97화|그 이상한 힘]], 그것을 꼭 완벽하게 다룰 수 있게 되야겠다는 생각도 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1화 . . . . 13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0화]] |||| '''랙 클로버/111화''' |||| [[랙 클로버/11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1. '''지금 입욕'''
          * [[레오폴트 버밀리온]], [[유노(랙 클로버)|유노]],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저 레벨의 경쟁을 하며 신경전을 벌인다.
          * 마론은 염원하던 [[샬롯 로즈레이]]의 나체를 보고 대감동. 메레오레오나는 일단 술부터 한 잔 꺾는데 옆에 샬롯한테까지 마시라고 강권한다. 최근 술로 [[랙 클로버/104화|좋지 않은 추억]]이 생긴 샬롯이 거절하자 "내 술을 못 마시겠다는 거냐"고 압박을 가한다.
          * 샬롯이 메레오레오나에게 잡힌 사이 마론은 [[노엘 실버]]의 머리를 감겨주며 포교활동에 들어갔다. 노엘의 근성을 높이 사면서 푸른 들장미단으로 이적하기를 권하는데 푸른 들장미단은 성비가 좀 비정상이라 대부분 여성 단원이고 남자는 극소수. 대체로 비실거리는 놈들이라 잡일꾼이다. 마론은 [[유노(랙 클로버)|유노]]도 끌어들여 잡일꾼으로 써먹으려고 했는데 생각외로 강해졌다고 아쉬워한다. 노엘은 자기는 검은 폭우단이라고 사양하지만 그래도 남자들이 잡일꾼이란 말에 "나쁘지 않겠다"고 솔깃해한다.
          * 남탕 쪽에서 쓸데없는 짓을 하고 있었다. [[레오폴트 버밀리온]]이 [[유노(랙 클로버)|유노]]를 상대로 시시한 경쟁심을 발동했다. 그의 쿨한 태도를 무너뜨려 주겠다고 물온도를 올려대기 시작한 것. 레오폴트가 나름대로 용을 쓰는데 유노는 빰을 뻘뻘 흘리면서도 "완전 괜찮다"고 허세를 부린다. 그때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끼어들어서 그 허세를 폭로한다. 쿨한게 아니라 단순히 지는게 싫은 성격. 그렇게 까발린 주제에 자기도 지고 싶지 않다며 참기 대결에 끼어든다. 정작 유노는 바람 마법으로 물을 식히다가 적발, 자기도 마법의 힘을 쓰는 건데 뭐가 잘못됐냐고 뻔뻔하게 나온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5화 . . . . 13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4화]] |||| '''랙 클로버/95화''' |||| [[랙 클로버/9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5. '''향상시키는 존재'''
          * [[라드로스]]의 급습으로 허를 찔른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일행.
          *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는 [[파나(랙 클로버)|파나]]를 지키다 부상, 아스타가 라드로스에 대항할 유일한 전력이 된다.
          * [[라드로스]]의 급습으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일행은 전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는다. 중요한 전력인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도 [[파나(랙 클로버)|파나]]를 지키다 치명타를 맞고 쓰러진다. 아스타는 마르스의 숨통을 끊으려는 라드로스의 공격을 베어내며 나타난다. 마르스는 결국 의식을 잃고 파나는 마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빠르게 회복시켜주지 못한다. 현재 아스타 일행의 전력은 아스타 뿐.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6화 . . . . 13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5화]] |||| '''랙 클로버/96화''' |||| [[랙 클로버/9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6. '''변모'''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패배한 [[라드로스]]는 목숨을 구걸하지만 그를 의심한 아스타는 쉽게 믿지 않는다.
          * 라드로스는 [[파나(랙 클로버)|파나]]에게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를 죽이겠다고 협박해 샐러맨더의 힘을 꺼내게 한다.
          * 패배를 예감한 [[라드로스]]는 태도를 일변해서 "다시는 사람들을 상처입히지 않겠다"며 목숨을 구걸한다. 그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제발 검을 빼달라고 애원한다.
          *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의 치료에 전력하고 있던 [[파나(랙 클로버)|파나]]는 무방비한 상태에서 라드로스에게 사로잡힌다. 그는 파나를 아직 기억하고 있었다. 그는 파나의 샐러맨더의 힘을 빼앗을 작정이었다. 파나를 위협해서 아까와 같은 강력한 마력을 뿜어내 보라고 강요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비니 고그니티 . . . . 13회 일치
         |||| 그래픽 노에서의 모습 ||
         펀치넬로 패밀리의 언더보스로 승진. 라디미르 렘의 러시아 갱단에 대해 갱 전쟁을 일으켰다.
         [[라디미르 렘]]이 개장을 준비하던 식당 "보드카"를 습격하며 등장. [[스쿼키 청소회사]] 사건으로 라드를 찾아왔다가 총격전에 휘말린 맥스를 보고 기겁하며 부하를 보낸다. 부하들이 전부 당하자 라드를 죽이는걸 포기하고 도망친다. 라드는 비니가 불법 총기매매사업에 방해가 되는 모든 것을 처리하고 있다며 그가 스퀴키 청소 회사를 부리는 흑막이라고 주장한다.
         라드가 진정한 흑막이라는걸 알아낸 맥스가 라드를 뒤쫓았을 때 재등장. 이미 라드의 계략에 속아 폭탄이 설치된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인형탈을 쓰고 있었다. 걸을 때 마다 뾱뾱소리가 나는게 매력 포인트지만 벗으면 터진다고. 맥스에게 러시아 갱단의 습격으로부터 살아남게 해준다면 라드를 잡는걸 도와주겠다고 애원해 맥스의 호위를 받으며 밴을 타고 도망친다. 맥스는 [[모나 색스]]가 폭탄을 해체할 수 있을거라며 모나가 숨어 사는 폐 놀이공원으로 차를 몬다.
         하지만 그곳에는 라드가 기다리고 있었다. 결국 라드의 손의 의해 폭☆발, 놀이공원 전체를 화재에 휩싸이게 한다.
         이후 맥스의 악몽에 나오는 TV 속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다. 라드에게 살려달라고 애원해 기회를 얻는다.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에 관한 문제들을 맞추면 인형탈에 설치된 폭탄을 제거해주겠다는 것. 비니는 첫번째 문제인 "캡틴 베이스볼배트 보이의 덩치 큰 악역은 누구인가?"의 답인 "맥스웰의 악마"를 맞춰 폭탄 반쪽을 해체받지만, 두번째 문제인 "현실에서 맥스웰의 악마를 만들어낸 사람은 누구인가?"를 틀려 폭발한다. 비니는 캡틴 베이스볼배트보이의 작가인 새미 워터스라고 대답했지만 정답은 "맥스웰의 악마"라는 사고실험을 만들어낸 스코틀랜드 물리학자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이었다.
  • 세정(구구단) . . . . 13회 일치
          * 2017년 1월 20일 자 [[http://www.sedaily.com/NewsView/1OAW3RCG0X/|보도자료를 통해]] [[온스타일]]의 [[Get it beauty|겟 잇 뷰티]] 2017을 통해 케이 뷰티쇼 고정 진행자로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첫 방송은 2월 19일 예정이며, 해당 시즌 MC진([[이하늬]], [[이세영(배우)|이세영]], [[박산다라]]와 공동 진행)의 일원으로 합류하게 된다. 바쁜 스케줄 때문에 3회부터 출연하게 되었으며 학교 2017 드라마 촬영 등의 일정이 겹쳐지며 먼저 하차하게 되었다. 세정이 [[겟 잇 뷰티]]에서 빠진 뒤 [[박나래]]가 투입되었다. 2017년 4월에는 TVING live 겟잇뷰티 치킨먹방을 선보이기도 했다.
          * 2017년 6월 5일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26996|기사]]를 통해 6월 12일에 공개되는 [[락비]] [[태일(락비)|이태일]]의 솔로곡에 피처링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 2017년 9월 30일 [[SBS]] [[추리네가 떴다]]의 내레이션을 진행했다.
         ==== Jelly Box 꽃길 (Prod. by [[지코(락비)|지코]] (ZICO)) ====
         ||<#dddddd> '''1''' || '''꽃길 (Prod. by ZICO)''' ||<-2><:> [[지코(락비)|지코(ZICO)]] ||<:>[[지코(락비)|지코(ZICO)]], 박지용||
         ||<#dddddd> '''2''' || '''꽃길 (inst.) (Prod. by ZICO)''' ||<-2><:> [[지코(락비)|지코(ZICO)]] ||<:>[[지코(락비)|지코(ZICO)]], 박지용||
          * [[2016년]] [[11월 17일]]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공식 [[SNS]]에 JELLY BOX의 일환으로 [[어서옵SHOW]]에서 선보였던 "꽃길"을 공개한다고 전했다.[* [[https://twitter.com/jellyfish_ent/status/798904253729251329]]] [[지코(락비)|지코]]가 프로듀싱했으며, 음원 발표는 [[11월 23일]] 0시에 공개되었다.
         ==== [[태일(락비)|태일]] × 세정 "좋아한다 안 한다" ====
          * [[락비]] [[태일(락비)|태일]]의 2번째 솔로곡에 듀엣으로 참여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 오후 6시에 공개되었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3회 일치
         1946년, 나치 독일은 우월한 과학 기술로 연합군을 찍어누르고 있었다. 이는 나치 독일의 과학자이자 장군인 빌헬름 슈트라세, 일명 데스헤드의 업적이었다. 이에 연합군은 데스헤드를 제거하기 위한 특공대를 조직해 데스헤드의 본거지를 습격하지만 실패한다. 특공대원이었던 B. J. 라즈코윅즈는 두명의 동료를 데리고 데스헤드의 본거지에 탈출하지만, 탈출 중 머리에 부상을 입고 정신을 잃는다.
         1960년, 라즈코윅즈는 폴란드의 정신병원에서 눈을 뜬다. 나치에 의해 학살의 장이 된 정신병원에서 탈출한 라즈코윅즈는 나치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해 세상을 지배한다는걸 깨닫는다. 라즈코윅즈는 나치에 대항하기위해 레지스탕스 조직을 찾아 나선다.
          * B. J. 라즈코윅즈(B. J. Blazkowicz)
          라즈코윅즈의 동료. 스코틀랜드 고지대 출신으로 어린 시절을 어렵게 살아와서 냉소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16세 때 부터 글래스고 조선소에서 일했으나 30년대 일어난 경제 공황으로 정리해고 당했다고. 전쟁이 발발한 후 항공 기술자로써의 훈련을 받았다.
          라즈코윅즈를 보살피던 정신병원의 수간호사. 라즈코윅즈와 함께 정신병원을 탈출한다. 폴란드 출신으로, 의사와 지식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고학 박사 학위를 가지고 있지만 전쟁 때문에 고고학을 배우는걸 그만두고 가업인 정신병원 운영을 돕게 되었다.
          크라이슬라우 서클의 단원. 독일인. 어깨에 하켄크로이츠 문신이 있어 라즈코윅즈와 만나는 즉시 공격당했다. 한때는 골수 나치로, 독일 육군 장교였지만 아들이 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는 바람에 가족이 비밀 경찰에게 몰살당했다.
          * 더배럴 산탄총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라즈코윅즈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퍽이 해금된다.
          챕터에 따라 여러 버전이 있는 장교들. 라즈코윅즈를 발견하면 무전을 때려 지원군을 불러온다.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화학 약품을 주입받고 철제 방호복을 입은 저먼 셰퍼드. 강한 공격성을 가지고있다. 다른 병사들보다 민감하며 라즈코윅즈를 발견하면 달려들어 물어뜯는다. 이때 LMB를 연타해 목에 칼을 박아주면 된다. 죽인 후 방호복을 방어력 회복 수단으로 쓸 수 있다.
  • 이준(배우) . . . . 13회 일치
         ||<#878787> '''{{{#EEE156 데뷔}}}''' ||<(> [[2009년]] [[엠랙]] 싱글 앨범 [JUST BLAQ] ||
         엠랙이 데뷔했을 때 가장 인지도가 높은 멤버였다. 예능이나 드라마에 주로 출연한다. 인지도 뿐 아니라 팬덤내에서도 코어가 가장 많다. 순수하고 감성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줘서 팬들사이에서 '창선소녀'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
         빠른 88년생이지만 출생년도에 맞게 1988년생들과 학교를 같이 다녔기 때문에 팀내 87년생 멤버인 [[승호]]와 [[지오(엠랙)|지오]]를 형으로 부른다.[* 출생년도만 봤을때 정상적으로 학교를 간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이준이 초등학교를 입학했던 당시에는 3월 1일을 기점으로 만6세가 되는 친구들을 함께 입학시킨 것이다. 만일 이준이 정상적으로 학교를 입학했다면 만6세가 되는 1994년에 승호와 지오와 함께 초등학교를 입학했어야 맞다. 즉, 고등학교는 2003년 입학, 2006년 졸업했어야 정상이다. 따라서, 그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시기는 1995년이었다.] 엠랙 데뷔전에도 가발피팅, 홈쇼핑, 숙취해소음료 광고등 다양한 부분의 깨알같은 경력을 자랑한다.
         [[아이돌]] 그룹 [[엠랙]]의 멤버가 되었고 2009년 데뷔했다.
         엠랙 탈퇴한 후 음악 활동을 안했지만 입대하기 전 솔로곡을 낸다고 한다. 전체 프로듀싱은 같은 멤버였던 천둥이 담당한다.
         2010년 8월 29일 런닝맨에 첫 출연했다. 당시 경복궁에서 촬영한 방송분에서는 그냥저냥한 무난한 활약상을 보였으나, 2012년 5월 20일 박지성 특집에서는 그룹 엠랙 멤버들과 함께 송지효를 제거하는 킬러로 파견되었다. 높은 자리에서 정탐하고 저격을 시도하는 등 그럭저럭 멋진 모습들을 보여주었으나, 런닝맨 멤버들이 반격을 해올것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고 방심하다가 등짝을 내주며 허무하게 탈락. 이 때 내지른 '''"오와아아아아악!"''' 이란 비명소리는 건물 옥상에서 내질렀으나 지상에서도 똑똑히 들릴 정도로 컸다(…).
         [[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코리아|snl]]에도 출연했다. 무용과 출신답게 콩트 랙스완에서 그만의 변태스럽고 똘끼있는 예능감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연기자 활동을 위해 엠랙을 탈퇴한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2347674|기사참조]]
         웃을 때 팔자주름이 생기는 것이 특징. 사막여우를 닮았다 아이돌의 이미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듯한 솔직한 발언과 백치미스러움, [[정신줄|정줄]] 놓고 망가지는 모습때문에 오해하기 쉽지만 성격은 매우 소심하다. 막내인 [[미르(엠랙)|미르]]가 [[천둥(가수)|천둥]]과만 논다고 삐져있다던지... 방송에서는 밝고 명랑한 천연 & 백치 캐릭터이지만 동시에 면면을 살펴보면 속이 깊고 생각도 많으며 얌전하고 섬세한 성격을 지녔음을 간파할 수 있다. 방송에선 [[비글]]처럼 비춰지지만 실제로는 말이 별로 없는 스타일. 하지만 의외로 애교도 많다 ~~반오십이후로는 애교부리는것이 민망해졌다고 한다~~ 쉴 때면 거의 잠만 자고 조용해서 멤버들 사이에서 별명이 식물이다.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은 듯하다. ~~멤버들이 예민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2011년 백점만점에서 '이준씨 러리'라는 애칭을 얻었다
         엠랙 탈퇴하자마자 일반인 동창과 연애설이 났으나, 사진한장없는 사실무근으로 밝혀졌다. ~~제레기짓이 아닌가 싶다.~~
         [[분류:한국 남배우]][[분류:엠랙]][[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1988년 출생]][[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2009년 데뷔]][[분류:1대 100 역대 1인]]
  • 절대가련 칠드런/472화 . . . . 13회 일치
          * [[랙 팬텀]]의 정신 오염으로 적이 되어 돌아온 [[우메가에 나오미 ]]와 [[바렛 실버]], [[팀 토이]].
          * 나오미는 [[타니자키 이치로]]에게 입은 피해로 인해 "이 세계에서 아저씨를 말살한다"는 무시무시한 야망을 위해 랙 팬텀의 수하가 되었다.
          * 아키라가 카가리의 몸을 빼앗아 발을 묶고 랙팬텀은 "더 큰 사냥감"이 도착하길 기다리고 있다.
          * [[미나모토 코이치]]가 에스퍼 형무소에 수감됐다는 소식은 함정이었다. 그 대신 일행의 앞을 막아선 자들은 동료였던 [[팀 토이]], [[바렛 실버]]와 [[우메가에 나오미]]였다. 모두 [[랙 팬텀]]의 정신오염에 당했다.
          * 팀, 바렛과 대치하게 된 [[츠쿠시 미오]]는 한 번 구원 받은 그들이 다시 적으로 나타나자 당혹해 한다. 이들은 트리플 부스터의 여파로 세뇌에도 내성이 생겼기 때문. 그렇다는건 현재 랙 팬텀의 정신 오염은 부스트도 파훼한다는게 된다.
          * 미오는 "여왕을 위해 미나모토 일행을 정찰하러 왔다"고 하자 두 사람의 마음에 빈틈이 생긴다. 망각에서 깨어난 것처럼 미나모토 일행이 억류된 직후의 일들을 떠올리는데, 직후 두 사람이 대기하던 장소에도 특수부대가 덮쳤으며 인질들을 죽인다는 협박 때문에 저항하지 못했던 것 같다. 미오는 이들이 정신을 차리는 듯 보이자 더욱 강하게 나간다. 다시 랙 팬텀의 부하가 되어선 안 된다고. 효과가 있는 건지 팀은 미나모토가 대기하라고 직접 지시했던 사실도 떠올린다. 미오는 그게 둘을 랙 팬텀에 접촉시키고 싶지 않아서 그랬을 거라 참견하는데, 역효과를 내고 만다.
          둘은 칠드런을 지켜야 한다는 사명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그들이 칠드런에게 구해지는 일이 빈번하다. 이것이 둘의 강박관념을 자극해서 "칠드런을 지켜야 한다", "반대로 지켜지는건 싫다", "모두를 지킬 힘을 얻기 위해선 랙 팬텀에 의탁하는게 최고다"라는 비약적인 사고로 돌아간다. 평소 바보로 일가견 있는 미오가 보기에도 앞뒤가 엉망진창인 전개. [[모모타로(절대가련 칠드런)|모모타로]] 랙 팬텀이 그들의 "마음의 틈"에 세뇌를 집어넣은 거라고 본다. 미오는 떨어져 버린 카즈라 일행도 염려하는데 모모타로는 텔레파시로 그들도 교전 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나오미는 자신이 랙 팬텀에 정신오염된, 그녀의 마음의 틈새를 아주 당당하게 폭로한다.
          [[타니자키 이치로]]가 입힌 심각한 트라우마는 그녀가 아저씨라는 인종 자체를 증오하게 만들었다. 지금 그녀는 아재개그도, 성희롱도, 아재냄새도 없는 크린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싸우고 있다. 그 진지하고 격렬한 반응으로 보아 정말로 랙 팬텀에 세뇌된 건지, 평소 상태랑 어떻게 다른 건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그러고 보면 그녀만 의상이 바뀌지 않은건 본질이 드러났다는 표시일지도 모른다.
          * 나오미는 아재타도를 위해 카가리와 카즈라도 랙 팬텀의 일원으로 끌어들이려 한다. 하지만 그녀의 스턴 서브젝션에 뭔가가 간섭한다. [[파티 크루]]의 입자 조작이었다. 일행이 너무 늦어지자 와본 건데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파티는 나오미의 공격을 막고 빨리 이탈하다고 재촉한다. 하지만 미오와 모모타로는 아직도 다른 위치에 있다. 파티는 모모타로의 텔레파시로 파악해 보니 상대는 자신의 동류들이었다.
          * 당연했던 걸지도 모르지만 랙 팬텀의 복병은 저들만이 아니었다. 더 하운드의 [[야도리기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네]] 페어도 대기 중이었다. 역시 정신 오염이 완료. 아키라 카가리의 몸과 바꿔치기를 해서 발화, 파티의 입자로 분진폭발을 유발한 것이다. 하츠네는 밖에서 아키라의 몸에 들어온 카가리를 제압. 하츠네는 정신오염에 덤으로 팀과 바렛의 중2 취미까지 옮은 건지 "위기에 몰린 주인공이 역전할 땐 분진 폭발이 단골소재"라며 실없는 소릴한다.
  • 하이큐/226화 . . . . 13회 일치
          * 간신히 한 세트를 따내며 한숨 돌리는 카라스노. 그러나 다테 공고의 록은 아직도 견고하다.
          * 카게야마는 다양한 상황과 패턴으로 히나타를 활용, 상대측 록이 히나타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 카라스노는 변화된 괴짜속공을 조합해 다테의 록을 붕괴시키려 한다.
          * 타케다 잇테츠 고문은 방금 전 플레이에서 다테의 록이 망설인 것을 파악한다.
          * 이는 초속공을 위한 배치지만 초속공에도 휘말리지 않는 다테의 록을 상대론 효율적이지 못하다.
          * 그것 자체로 상대 록을 희롱하는 무기지만 아주 능숙한 리드 록이 상대라면 단지 "가능성에서 가장 빨리 배제될 뿐"이라 평한다.
          * 숙련된 리드 록은 속공에서 파생되는 페이크에 속지 않으므로 필연적으로 단조로운 공격이 되고 말기 때문.
          * 히나타는 록에게 무시 당하는건 더 못 참겠다며 반드시 돌아보게 만든다고 투지를 불사른다.
          * 다테 측은 다시 분위기를 다잡으려 하지만 이번엔 전혀 뜬금없는 타이밍에 초속공을 재활용, 마이너스 템포로 다테의 록을 깨부순다.
          * 리드 록은 공만 쫓는게 아닌데 코트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행동들을 전반적으로 서치한다.
          * 이런 역학관계가 쌓이다 보면 상대의 록은 망설이기 시작하고 엉뚱한데로 뛰기 마련이다.
          * 이렇게 되면 다테의 록은 붕괴. 카라스노의 초이상적인 스토리 성립이다.
  • 하이큐/263화 . . . . 13회 일치
          * 로테이션이 한 바퀴 돌면서 코트로 돌아온 [[히나타 쇼요]]는 [[스나 린타로]]를 압박했던 록을 예로 들며 멋진 플레이였다고 호들갑을 떤다.
          * 히나타의 응원 덕이었는지는 모르지만 다음 플레이에서 [[미야 오사무]]의 스파이크를 록하던 히나타에 힘을 보태며 실점을 막는 타나카.
          * 꼭 넣어야 했던 1점. [[타나카 류노스케]]가 혼신을 담은 스파이크는 [[이나리자키 고교]]의 빈틈없는 록을 넘지 못하고 사이드 라인을 넘긴다. 이나리자키의 득점. 스코어는 25 대 25 듀스. 흐름이 끊기는 듯한 실점. 동료 선수들의 얼굴도 관중들도 타나카를 응원하는 [[아마나이 카노카]]도 낭패한 빛이 떠오른다. 노헤비 학원의 [[다이쇼 스구루]]는 방금 플레이가 단지 동점을 허용한게 아니라 더 위험한게 있다고 봤다. 그것은 "이나리자키의 록이 순조롭게 압박을 쌓고 있다"는 것. 그점이 노출된 것이다. 이는 양팀 모두에게 큰 영향을 준다.
          * 아즈마네의 백어택은 정석을 무시했지만 한 점을 벌어들인다. 이번에도 오사무, 린타로, 긴지마의 3중 록. 스파이크는 오사무의 팔에 맞으면서 그대로 뚝 떨어졌다. 록과 네트 사이로 떨어지는 공. 카라스노의 득점, 26 대 25로 카라스노가 달아난다. 타나카는 이 공격에서 들러리 밖에 서지 못했다. 그래도 아즈마네의 득점을 기뻐하며 적어도 팀원들 앞에서 실망을 내색하진 않는다.
          * 그런 쓰라림을 아는건 역시 선수들. 아까까지 타나카의 플레이를 비웃던 선수들이 누구보다 절박하게 그를 응원했다. 물론 개인적로서도, 선수로서도 응원하는 카노카의 절심함에 비할 수는 없었다. 카노카의 동료는 방금 전 플레이가 "류 쨩"에겐 아쉽지만 잘못된 판단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타나카는 계속 록에 잡히기도 했고 잔실수도 있었다. 나쁜 흐름을 끊는다는 측면에서 보면 "안경"의 판단은 잘못된게 아니었다. 하지만 그래서 더 "류 쨩"에게 괴로운 것이다.
          * 한 바퀴 돈 로테이션. 니시노야가 나가고 [[히나타 쇼요]]가 들어온다. 츠키시마는 서브 위치로. 히나타는 들어오자 마자 타나카를 찾는다. 히나타는 "방금 그" 플레이에 할 말이 있었다. 하지만 그건 실패한 스파이크나 기회도 주어지지 않은 스파이크를 말하는게 아니었다. 그가 "이나리자키의 10번"을 압박한 록을 말하는 거였다. 린타로가 중앙에서 솟아올랐을 때 히나타 혼자 록을 뛰었던 상황. 그때 잽싸게 타나카가 따라붙었다. 히나타가 그게 엄청 멋진 플레이였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한 가운데에서 하는 록은 혼자 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히나타는 그걸 다테 공고의 록 같았다고 말하며 입에 침이 마르게 칭찬한다. 그게 잠시지만 타나카의 저조한 텐션을 끊어줬다. 서브 위치로 가다 그 대화를 들은 츠키시마는 "바보" 주제에 웬일로 "제대로 된 말"을 한다며 칭찬인지 비꼬기인지 모를 생각을 했다. 우카이 코치도 그걸 긍정적으로 본 것 같다. 그리고 츠키시마의 서브. 리시브는 [[오지로 아란]]. 자세는 좋지 않았다. 불안정하게 중앙으로 향하는 공. [[미야 아츠무]]가 세트업하며 오사무가 뛰어오른다. 좋은 조건은 아니지만 어차피 록은 한 장이라 생각하며 뛰어오르는데, 한 장이 아니다. 정면을 막은건 히나타. 거기까지는 히나타도 오사무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라이트에서 타나카가 받쳐주러 올 줄은 몰랐다. 그 압박에 급하게 루트를 바꾸는 오사무. 오른쪽. 그 위치에는 사와무라가 대기하고 있었다. 정확한 리시브. 니시노야는 히나타와 타나카의 록의 진가를 알아본다.
  • 박진성(시인) . . . . 12회 일치
          * [[http://blog.naver.com/poetone|로그]], [[https://twitter.com/poetone78|트위터]], [[https://www.facebook.com/poetone78?fref=nf|페이스북]]
         2016년 10월 22일, 해당 이슈가 불거지자, 박진성 시인은 본인의 로그를 통해서 사죄하는 글을 올린다. [[https://blog.naver.com/poetone/220842819223|해당 로그 글 링크]] 박진성 시인의 이 사과문에는 성폭력 가해를 시인하는 내용이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의혹을 초래했던 것 자체에 대한 "도의적 사과"로 보인다. 이 사과문의 작성 경위를 박진성 시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2017년 11월 22일 밝힌다.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3300631741243392|해당 트위터 링크]]
         이후 박진성 시인은 2016년에 나온 기사들에 대해 정정보도를 요청했는데 한국일보만 받아들이지 않아, 자신의 [[https://blog.naver.com/poetone/221149485970|로그]]와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89378037782216704|트위터]]를 통해 황수현 기자를 허위사실유포로 고소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2017년 12월 2일, 오전 1시 29분 '''자살을 암시하는''' [[https://twitter.com/poetone78/status/936633260062285824|트윗]]을 작성하여 우려가 이어졌다. 오전 1시 31분에 박진성 시인의 로그에 '굿바이'라는 한 마디를 남기고, 이후 로그 갱신은 멈춘다. [[http://blog.naver.com/poetone/221153390296|해당 로그 링크]] 이후 약을 먹고 쓰러진 박진성 시인을 박 시인의 어머니가 발견하여 119를 불러 병원에 실려가 14시간 만에 의식이 돌아왔다는 내용을 박진성 시인의 아버지라고 밝힌 사람이 트위터에 올린다. [[https://twitter.com/home_awaytwo/status/936878516280311809|해당 트위터 내용]] [[http://www.huffingtonpost.kr/2017/12/03/story_n_18712984.html|해당 기사 자료]]
          * 2017년 12월 7일, 오전 00시 47분에 의식을 회복하고 로그에 첫 글을 남긴다. 그 이후에는 언론들에게서 받은 심적 피해가 심대했는 듯, 한국일보 황수현 기자를 고발하는 글 등 언론들의 무고 관련 보도 태도에 관하여 문제를 제기하는 내용들을 남기기 시작한다. 또한 로그의 내용을 보면 박시인의 아버지 분도 거기에 적극 협력하고 있는 듯하다. [[https://blog.naver.com/poetone/221157223698|해당 게시글 링크]]
         페이스북과 로그, 자신이 활동 중인 [[웃긴대학]]에 [[고은(시인)|고En]] 시인의 성폭력에 대해 증언하며 [[최영미]] 시인을 응원했다.
          * 자살 시도 이후 박진성 시인은 [[웃긴대학]] 커뮤니티를 시작, [[http://web.humoruniv.com/search/search.html?section=humoruniv&search_type=nick&search_text=%B9%DA%C1%F8%BC%BAx&page=1|박진성x]]라는 닉네임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여기서 활동하는 게 피폐해졌던 정신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 로그나 트위터에 올린 것과 같은 내용의 글 외에 개인적인 글도 올라온다. 개인적인 글 중엔 성적인 표현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웃대에서는 박진성 시인의 그런 과거를 상처로 포용하면서 받아주고 있는 분위기다.
          * 2018년 2월 새벽을 기점으로 [[https://namu.wiki/history/%EB%B0%95%EC%A7%84%EC%84%B1(%EC%8B%9C%EC%9D%B8)|r143 버전]]부터 박진성 시인의 [[로그]], [[트위터]] 계정명과 동일한 아이디의 [[위키러]]가 이 항목을 수정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 [[나무위키]]에도 출연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같은 날 새벽 박진성 시인이 자신이 활동하고 있는 [[웃긴대학]] 커뮤니티에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743737|이러한 글]]을 올렸는데, '''[[이파리]]가 떨어진다'''는 표현이 이 [[나무위키|'''나무'''위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이후 박진성 시인의 [[나무위키]] 가입 여부를 언급했던 위키러가 정말 박진성 시인 본인이 위키에 가입한 것인지를 알고 싶었던 것인지 이 항목에 토론을 올렸다. [[https://namu.wiki/thread/RBRLvDusL3QxF9GCGwhXK5|#]] 본인의 답이 없어 토론이 닫혔으나, 이후 웃대에 박진성 시인이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744267|나무위키에 대한 글]]을 올렸고, 3월 21일 [[리얼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이 문서의 혐의와 핍박 항목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 문서를 주시하고 있는 것은 분명해졌다.
  • 블랙 클로버/102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1화]] |||| '''랙 클로버/102화''' |||| [[랙 클로버/10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2. '''아스타의 휴일'''
          * 웬일로 [[야미 스케히로]]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휴식을 명령한다.
          * 다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 카호노는 즐겁게 노래를 부르고 아스타와 [[노엘 실버]], 자기 오빠랑 합쳐서 더 데이트를 하자고 제안한다.
          * 언제나 사람을 개처럼 굴리는 [[야미 스케히로]]지만 최소한의 양심은 남아있었는지 막 부상에서 완쾌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겐 당분간 임무를 맡지 말라고 휴식을 명령한다. 하지만 임무가 없으면 딱히 하는 것도 없는 아스타에겐 오히려 고역이었다. 임무를 빼면 자신에게 뭐가 남냐는 아스타에게 야미는 근육이 남는다고 냉정히 말한다. [[핀랄 룰러케이트]]가 시간 때우기 적당한게 있다고 말하려는데, 마침 아스타의 치료법을 찾아 던전으로 떠났던 [[매그너 스윙]]과 [[락 볼티어]]가 돌아오는 소리가 들린다. 아스타는 고마웠다고 말하려고 하는데.
          그리고 또 누군가가 귀가한다. 이번엔 분명 [[챠미 퍼밋슨]]과 [[그레이(랙 클로버)|그레이]]일 텐데...
          최고의 기분이 된 카호노는 1년에 한 번 뿐인 축제를 즐기자며 노엘과 아스타, 오빠 키아토에게 더 데이트를 제안한다. 경악하는 노엘과 사실 그게 뭔지도 모르는 아스타.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06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5화]] |||| '''랙 클로버/106화''' |||| [[랙 클로버/10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6. '''여기까지 왔어'''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마법제]]가 몸소 "올해 최고의 루키"들이라고 소개한다.
          * 마법기사단의 실적을 발표하는 현장. 올해 1위 금색의 여명단과 2위 검은 폭우단을 대표하는 신인으로 각각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단상에 올라와 있다. 큰 무대지만 둘은 언제나 그러는 것처럼 서로 자신이야 말로 마법제가 될 자라고 티격태격한다. 유노의 경우는 그러는 동안에도 성장폭자체는 검은 폭우 쪽이 높다고 의식하고 있다.
          * 분위기가 무르익자 남은 실적 순위도 발표된다. 3위는 [[노젤 실버]]의 은익의 참수리. 별은 95개. 4위는 [[샬롯 로즈레이]]의 푸른 들장미. 별 83개. 작년보다 한 계단 순위가 올라갔지만 단장이 술에 꼴아서 현장에 없다. 5위는 새로운 여성단장이 취임한 홍련의 사자단. 별 76개. 6위 [[잭 더 리퍼(랙 클로버)|잭 더 리퍼]]의 취록의 당랑. 별 69개. 작년과 같은 순위이며 잭은 [[야미 스케히로]]의 검은 폭우만 순위가 올랐다고 분통해한다. 7위 [[도로시 앤즈워스]]의 산호의 공작. 별 67개. 8위는 역시 새 단장이 취임한 [[자줏빛 범고래]]. 별 51개. 최하위는 [[릴 부아모르티에]]의 물빛의 환록. 별은 49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08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7화]] |||| '''랙 클로버/108화''' |||| [[랙 클로버/10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8. '''무관무패의 여사자'''
          * 그런데 지나가다 우연히 그걸 들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유노(랙 클로버)|유노]]도 그 자리에서 포획, 합숙에 강제참가 당한다.
          * [[마법제]] 율리우스의 격려와 당부를 받고 돌아가던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유노(랙 클로버)|유노]]. 껄끄러운 장면과 마주친다. 홍련의 사자단의 새로운 단장이 군기를 잡고 있는 현장이다. 새로 단장에 취임한 여성은 단원 전원을 무릎 꿇려놓고 있다. 맨 앞에 있던 [[레오폴트 버밀리온]]은 대표격으로 깔끔한 안면 스트레이트를 쳐맞고 쓰러졌다.
          야미는 들어오자마자 "검은 폭우보다 밑에 있는 단장들"이라고 어그로를 시전한다. 올해는 검은 폭우가 2위를 했으니 사실상 금색의 여명의 [[윌리엄 벤전스]] 외에는 전원이 대상. 은익의 참수리의 [[노젤 실버]], 자줏빛 범고래의 새 단장, 취록의 당랑의 [[잭 더 리퍼(랙 클로버)|잭 더 리퍼]]는 유독 아니꼬와한다. 잭이 "만년 꼴찌 주제에"라고 받아쳐보지만 "그 꼴찌한테 졌다"는 반격엔 할 말이 없다. 자줏빛 범고래의 단장은 그보단 지각한 것을 지적해 보지만 딱히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0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9화]] |||| '''랙 클로버/110화''' |||| [[랙 클로버/11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0. '''센트 엘모의 불꽃'''
          * "올라가주겠다"고 외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지만 사실 마땅히 방법이 없어 전전긍긍한 상태.
          * 결국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근소한 차이로 정상에 도착하는데 성공하나, 컨트롤이 안 돼서 마그마에 처박힐 뻔한다.
          * "돌아가도 좋다"는 [[메레오레오나 버밀리온]]의 포기선언.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의 활약도 반마법의 검에 의존한 "운"에 불과하다고 깎아내린다. 여기에 자극 받은 아스타는 거의 포기할 뻔 했던 마음을 다잡고 "절대로 정상에 오르겠다"고 선언한다. 문제는 그 다음. 큰소릴 친 건 좋았지만 마땅한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이대로 근성만으로 올라갈 수 없는건 자명. 아스타는 [[라드로스]]와 싸울 때 발동했던 반마법 상태말고는 수단이 안 남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걸 어떻게 끌어내지?
          * 바로 그 순간 그저 날아가던 아스타가 마법생물을 뺑소니치고 지나간다. 아스타가 다시금 그 상태를 하자 노엘이 경악한다. 레오폴드는 아스타가 익힌 신필살기라고 생각하고 "랙 아스타"라는 센스없는 이름을 지어주지만 아스타는 폭주자동차 같은 상태가 돼서 날아가는 중이라 듣지도 못한다.
          * 엄청난 속도로 날아가던 아스타는 정상에 가까워진 [[유노(랙 클로버)|유노]]까지 따라잡는다. 아스타의 접근을 느끼고 뒤돌아보는 유노. 아스타는 따라잡은 걸 좋아하는 것까지는 괜찮았는데...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2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1화]] |||| '''랙 클로버/122화''' |||| [[랙 클로버/12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2. '''나의 방식'''
          * [[알렉드라 산드라]]와 [[솔리드 실버]]는 패배에 충격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유노(랙 클로버)|유노]]에게 "엘리트는 막다른 길에 약하다"는 독설을 듣는다.
          * 2회전 첫 시합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미모사 버밀리온]], [[잭스 류그너]]가 나갈 차례.
          * 로얄나이트 선발시험 1회전 마지막 경기가 끝났다. [[알렉드라 산드라]]와 [[솔리드 실버]]는 각각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노엘 실버]]에게 당한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솔리드 쪽은 문자 그대로 몸과 마음 양쪽이 격파, 진행요원들에게 회수 돼 치료 받는 중이다. 여전히 노엘에게 질리가 없다고 중얼거리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그에 비하면 알렉드라는 몸쪽은 무사했지만 정신은 철저하게 무너졌다. 그는 고작 하층민에게 완패했다. 단지 정령 마법에 선택받은 운좋은 애송이. 그러나 그 운좋은 애송이가 정령 마법도 쓰지 않은 채 알렉드라의 최강마법을 가볍게 분쇄했고 [[윌리엄 벤전스]]의 꿈을 이뤄준다는 그의 바람까지 꼴사나운 것으로 전락시켰다. 패배한 그 자리에서 떠나지 조차 못하는 알렉드라.
          친구가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잘 이기고 올라왔다는 말을 건네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유노는 "너도야 잡초"라는 답례를 건넸다.
          * 아스타는 반마법의 힘을 전신에 휘감고 벚꽃의 홍수 속으로 뛰어들었다. 이 벚꽃도 결국은 마력. 마력을 추격하는 반마법 모드라면 결과는 한 가지 뿐이었다. "랙 허리케인". 작은 폭풍이 된 아스타가 벚꽃 마법 사이를 종횡무진했다. 그가 지나갈 때마다 벚꽃이 바람에 날려가듯 벚꽃마법의 흔적이 사라져갔다. 그런데 지워지는건 벚꽃마법 만이 아니다. 잭스는 성가신 벚꽃마법이 사라지는데도 조금도 웃을 수가 없었다. 그가 설치한 함정마법까지 한꺼번에 지워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네르슈는 자신이 아름다운 마법이 시커먼 덩어리에 무력화되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4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3화]] |||| '''랙 클로버/124화''' |||| [[랙 클로버/12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4. '''양아치 선배 vs 근육뇌 꼬맹이'''
          * 외곽에서 [[미모사 버밀리온]]과 싸우던 [[솔 마론]]은 그녀의 움직임을 묶어두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있는 방향으로 향한다.
          * 매그너는 아스타가 있어 강해졌다 감사하면서도 결승전에 가는건 그와 [[유노(랙 클로버)|유노]]가 아닌 자신과 [[락 볼티어]]라며 승부욕을 불사른다.
          * [[잭스 류그너]]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네르슈 버밀리온]]을 처리하는 동안 양팀 여성진의 격돌이 있었다. [[미모사 버밀리온]] 대 [[솔 마론]]. 마론이 골렘을 앞세워 그녀를 덮쳐왔으나 미모사는 식물마법 "마포의 꽃"으로 골렘을 분쇄한다. 마론은 그녀가 예상이상으로 강적이란걸 인정했지만 그녀를 오래 상대할 생각은 없었다. 마포의 꽃의 레이저를 맞고 날아간 골렘의 오른팔이 공중에서 형태를 바꿨다. 흙마법 "흙덩이 봉인". 하늘에서 거대한 토사가 미모사를 덮쳤다. 거기에 파묻힌 미모사는 당분간 움직임을 봉쇄 당했다.
          지금의 매그너는 정말 까다로운 상대. 아스타는 마땅한 공략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접근하려고 하면 "폭주소울"로 단숨에 달아날 테고 크리스탈이 노출된다. 단숨에 거리를 좁히는 방법은 "랙" 상태가 되는 것 밖에 없는데 그걸 시전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아스타는 급기야 미모사에게 빨리 돌아와달라고 절규했다. 그때 잭스가 돌파구를 마련했다.
          >하지만 아스타... 결승전에서 싸우는 건 너랑 [[유노(랙 클로버)|유노]]라는 놈이 아냐...!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2화 . . . . 12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1화]] |||| '''랙 클로버/92화''' |||| [[랙 클로버/9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2. '''죽게 놔두지 않아'''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판젤 크루거]]가 무사한걸 다행으로 여기지만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는 경계한다.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튕겨낸 샐러맨더의 마법탄이 [[라드로스]]에게 클린 히트. 너덜너덜해진 라드로스느 숲으로 추락한다. [[판젤 크루거]]는 그의 마력이 사라지는걸 느낀다. 아스타는 어리둥절해하며 무슨 일이냐고 소리친다. 젤은 설명보다도 아스타가 전보다 강해졌다고 칭찬을 한다. 아스타는 잠시 우쭐하지만 곧 화제로 돌아와 옆에 있는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는 적인데 왜 같이 있냐고 따진다.
          아스타는 사정은 모르겠지만 저 증오의 파나는 "백야의 마안"이란 테러리스트 집단의 간부라고, 잘못 본게 아니냐고 따진다. 마르스는 발끈해서 "소중한 친구를 잘못 봤을리가 있냐"고 멱살을 잡는다. 그 단호한 태도를 보고 아스타는 자신의 고향 친구들, [[유노(랙 클로버)]]를 떠올린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하이큐/259화 . . . . 12회 일치
          * [[히나타 쇼요]]의 괴짜 속공 록으로 [[카라스노 고교]]의 추격세는 어느 때보다 불붙는다.
          * 자신의 "경험치" 속에서 "가장 꺼림직한 록"을 발견한 [[히나타 쇼요]]. [[미야 오사무]]의 공격 루트를 차단하면서 [[미야 아츠무]], 오사무 형제의 괴짜 속공을 저지하는데 일조한다. 공은 [[사와무라 다이치]]에게 전해져 득점으로 연결, 스코어는 20 대 20으로 동점을 이룬다. 주춤했던 추격세는 부활, 고조된다. 히나타는 자기 자신이 뿌듯해 어쩔 줄을 모른다. [[카게야마 토비오]]가 "니가 득점한 것도 아닌데 왜 그러냐"고 트집잡자 "나는 공격에만 재주가 있는게 아니다"는 말로 되갚아 주려 했지만 카게야마 측에서 무시.
          경기 시작 후 처음으로 제대로 록 당한 오사무는 "배가 꺼지는 기분"이라 투덜댄다. 여기서 [[이나리자키 고교]]의 두 번째 TO.
          * 카게야마의 2회차 서브로 경기 재개. 서브는 잘 쳤지만 오사무가 막아낸다. 흔들리며 떠오른 공. 좌익의 [[마지로 알랭]]에게 이어진다. 카라스노는 사와무라, [[타나카 류노스케]], 히나타까지 합쳐 총 세 장의 록으로 대항하나 마지로는 그 셋의 록 위에서 때리는 스파이크로 간단히 록을 뚫는다. 이거야말로 할 말이 없어지는 공격. 카라스노 벤치와 관중석이 입을 다물지 못한다.
          * 아즈마네가 달려나온다. 이나자키는 기다렸다는 듯 록 세 장이 올라온다. 그런데 아즈마네가 유독 힘차게 뛰어오른다. 그 차이는 관중석의 [[보쿠토 코타로]] 정도가 눈치챈다. 아즈마네가 노리는건 명백했다. 록 위에서 치는 스파이크. 하지만 그 의욕이 독이 됐을까? 타점이 빗나갔다. 공에 겨우겨우 스친 손. 공은 공중에서 튀어올라서 간신히 록을 넘기고 떨어진다. 스파이크라고만 생각했던 이나자키의 후위가 황당해하며 달려온다. 하지만 공이 코트에 닿는게 먼저다. 어이없지만 득점 성공. 공격에 성공한 카라스노 측 조차 헛웃음을 터뜨리고 만다. 아즈마네는 속으로 왠지 미안하다고 씁슬해한다. 어이없어하는 이나리자키 진영.
          * [[보쿠토 코타로]]는 방금 전 플레이에서 꽤 깊은 인상을 받았다.아즈마네는 평소에 시도하지 않던 "록 위에서 때리는 스파이크"를 시도했다. 이런 국면인데도 말이다. 그는 그런 점을 높이 평가하며 아즈마네 뿐만 아니라 카라스노라는 팀 자체가 마음에 든 것 같다.
          * 로테이션이 돌아 다시 [[츠키시마 케이]]가 들어오고 니시노야가 나간다. 히나타의 서브 차례. 지금 히나타는 의욕이 최고일 뿐 아니라 묘한 자신감이 넘친다. 사실 록이나 리시브에 비해서 서브는 훨씬 별로다. [[스가와라 코시]]는 그저 서브를 치려고 기합이 들어간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딱부러지게 말할 순 없지만 1학년 선발 합숙 이후 히나타의 리시브는 뭔가 변했다. 거기에 방금 전 록과 리시브 성공이 히나타의 기세를 올린 원동력일 것이다.
  • 하이큐/268화 . . . . 12회 일치
          리에프는 어느 시점부터는 역시 못 알아들었는지 아무튼 록을 열심히 하겠다고 했고 그 이상을 바라는 사람도 없었다. 이렇게 첫 번째 TO 종료.
          * 이후는 코즈메가 생각한 대로였다. 사루카와의 움직임은 그의 손바닥 위에 있었다. 쿠로오와 리에프의 존재 때문에 상대측은 센터선을 경계하고 있으므로 록은 MB 쪽에 집중될 것이다. 그들은 코즈메를 무너뜨리는게 목적이므로 적당한 신호를 준다면 "흔들린 리시브"라고 철썩 같이 믿을 것이다. 그때가 기회. 록을 공과 MB 위치로 끌어들은 뒤에 멀리 돌리는 토스. 혹시 사루카와가 눈치를 챈다면 "반대편"을 활용한다. 그렇게 그려져 있던 그림이 2세트 후반, 지금 작렬했다.
          사루카와의 록은 기만한 [[카이 노부유키]]의 스파이크. 2세트 들어 두 번째 동점을 허용한 사루카와가 술렁인다. 방금 전 플레이는 얼마나 많은 것을 암시하는가? "의도적으로 흔들린 리시브"라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처음부터 록을 유인하고 있던 건가? 그것이 맞다면 대체 언제부터? 의문이 꼬리를 문다. 물론 우연일 수도 있다. 괜한 짐작에 불과할지 모른다. 우선 생각해야 할 건 추격을 떨쳐내는 것. 이 세트를 가져가고 역전의 발판을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깨어진 그릇을 되돌릴 수 없듯 흔들린 확신은 되돌릴 수 없었다. 대체 언제부터? 끈질긴 물음표. 적을 조종하고 있다고 믿었기에 적에게 조종 당하고 있다는 의심을 떨칠 수가 없었다. 그런 선수들의 머릿속을 감독 [[시시오 아리타카]]는 정확히 읽고 있었다.
          와쿠라의 스파이크. 쿠로오의 록에 원터치로 걸렸다. 공은 짧게 네코마의 코트 위로. 야마모토가 한 걸음 앞서 나간다.
          * 쿠로오와 카이의 록을 뚫고 시가의 스파이크가 꽂혔다. 야마모토의 리시브. 흔들렸다. 하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공은 정확히 네트 앞으로, 코즈메에게 날아갔다. 코즈메가 그 공을 보며 레프트에 있는 [[후쿠나가 쇼헤이]]를 바라봤다. 재주가 많은 데다 록이 있는 상황에서도 좋은 위치로 때리는 녀석. 언제나 [[히나타 쇼요]]는 이렇게 물었다.
          * 코즈메는 그날 시합에서 가장 완벽한 세트업을 했다. A패스가 들어올 때만 보여주던 극소 모션의 세트업. 자신에게 없다고 생각했던 필살기. 사루카와의 록은 한 박자 늦었다. 공은 레프트로. 재주가 많은 후쿠나가에게.
          * 록이 있어도 좋은 위치로 때리는 후쿠나가. 록은 없었다. 공이 떨어지고 난 뒤에 뻗어오는 록. 그 뒤에서 공이 사루카와의 코트를 때렸다.
  • 김희철(1983) . . . . 11회 일치
         한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안그래도 사건 사고가 많았던 그룹이고 그중에서도 유독 트러 메이커가 되기 쉬워보이는 성격과 캐릭터덕에 오해를 받기 쉽지만 의외로 희철은 사생활 관리도 매우 철저하고 '''사건 사고가 전무하다.''' 음주운전이라던가 팬들을 속상하게 할만한 열애설이 거의 없었단 게 그 증거. 최근 [[강인]], [[성민]] 등의 멤버들이 잇따라 보이콧을 당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재평가]]되고 있는 부분 가운데 하나이지만 희철은 슈주 멤버들 중에선 의외로 모범적인 태도를 가진 멤버 축에 속한다. 그외에, 팬들과의 소통도 활발하고, 까칠해 보이지만 멤버들을 상당히 잘 챙겨주고, 멤버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모습을 본인 SNS에 많이 올려서 팬들을 즐겁게 해주기도.[* 탈퇴한 중국 멤버 한경과 친하게 지내서 미니홈피에도 글을 자주 올리곤 했는데 한경이 탈퇴하자 충격에 우울증까지 겪었다고 한다. 최근 한경이 매니저없이 한국 여행을 와서 희철과 찍었단 사진을 게재하는 걸 보면 여전히 교류는 이어가고 있는 듯.] 또한 스스로 '''꽃은 꽃잎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팬들을 자신의 꽃잎이라고 부르는등 자기 사람, 자기 팬은 확실히 챙기고 아이돌로서의 태도도 상당히 프로페셔널하다. 교통사고로 부상 당했을 당시 팀에게 피해를 끼치기 싫어서 자기 빼고 활동하라며 탈퇴를 고민하기도 했고[* 최근에도 다리 부상때문에 팀에 차질을 주고 짐이되는것 같다고 미안함을 표시했다.] 자신의 아픔은 자신만 알면 된다는 생각에 방송에서 이 얘기를 섣불리 꺼내지 않았던 일화도 있다. 자신은 다리가 아파 활동을 덜 하는 만큼 예능에서 슈퍼주니어를 더 알려야겠다는 다짐을 했다고. 누구나 인정하는 대중성 있는 꽃미남 비주얼에, 호불호가 갈리는 마니아적인 캐릭터라는 특이한 조합 외에도, 기본적으로 성실한 태도와 팬들에 대한 예의를 갖추었기에 인기를 끄는 것. 슈퍼주니어 내에서도 충성도가 높은 세계 단위 개인 팬덤[* '꽃잎'이라고 한다. 영어권 팬덤은 'Petal', 중화권 팬덤은 '花瓣', 일본 팬덤은 '花びら'라고 한다. 모두 꽃잎이라는 뜻이다.]을 거느리는 이유가 있다. 팬들을 내새끼들 이라 부르며 친근하게 대하기도. 활동도 멤버들 중에서도 가장 많아서 사실상 지금까지 10년이 넘게 활동한 슈퍼주니어를 알리며 잊히지 않게 하는 멤버.
         네이버 로그도 시작했지만 지금은 트위터와 함께 찬밥이 되었다.
         상당한 게임광이라 휴일엔 집에 틀어박혀 게임밖에 안 하고 온라인게임도 그럭저럭 손을 대는 중이라고 한다. [[와우]] 모 서버의 [[호드]](러드엘프)였다가 [[얼음왕관 성채]]가 나왔을 때 즈음 [[얼라이언스]]로 전향했다. 소집해제 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를 하고 있는지, 2013년 11월 27일에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나는 캐리다]]에 출연했다. '김희철 동호회'라 하여 [[강민]], [[박정석]], [[이현우(게임 해설가)|이현우]], 오기종과 함께 나왔는데 결국 [[김캐리]]급 멘탈 인증(...) 그리고 방송 후 [[롤갤]] 하는 거 아니냐는 의심도 받게 된다(...) 이때 공개된 김희철의 티어는 플5. 이즈리얼, 베인, 케이틀린이 모스트인 원딜러인 듯. 아프리카TV BJ들과 게임을 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해킹당한 이후 게임을 접겠다고 했으나 아무도 믿지 않았다. 물론 게임은 계속한다. 최애캐는 리신. 참고로 같은 팀 멤버인 규현도 상당히 겜덕이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타 연예 기획사 수뇌부들과도 친분이 많은데 주간아이돌 크리스마스 특집 때는 우연인지 필연인지 게스트로 출연한 [[걸스데이]], [[TWICE]],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러리즈]]의 기획사 임원들과 깊은 친분이 있음을 인증했다. [[울림 엔터테인먼트]] 실장, [[JYP 엔터테인먼트]] 정욱 사장, [[쏘스뮤직]] 소성진 대표와 절친이라고 한다.[* 소성진 대표의 경우는 SM에서 매니저 생활을 했었는데 이때 친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김희철&김정모]]가 출연한 슈키라에서 박진영, [[MBK 엔터테인먼트]] 김광수 대표, 쏘스뮤직 소성진 대표, [[스타쉽엔터테인먼트]] 김시대 대표 등 유력 굴지의 기획사 대표들과 형동생으로 지낸다고 언급했다. 예전에 [[플레디스]] 한성수 대표와도 친하다고 했었다. 그 친분 덕에 [[오렌지캬라멜]]의 샹하이 로맨스 작사를 '''우주대스타'''라는 필명으로 맡기도 했다.
         심지어, [[아는 형님]]에서 예능 루칩으로 주목 받은 이후로도 그 흔한 논란 한 번 없고, 이성 문제도 깨끗하다. 특유의 붙임성을 포함해, 친분을 쌓고 있는 여자 연예인들이 꽤 많음에도 불구하고, 가볍게 친한 게 아닌 지, 어지간한 연예인들 별명을 다 안다. 연예인을 하면서 덕질을 하는 흔치 않은 케이스. 걸스데이가 나왔을 땐 [[소진(걸스데이)|소진]]의 별명인 '''이모'''를 알질 않나, [[사나(TWICE)|사나]]가 나왔을 땐 '''사또떨'''[* 걸핏하면, 뭔가를 떨어트리는 '사'나가 '또' '떨'어트렸다.]을 알질 않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친분있는 여자 연예인들과 관련된 논란은 한 번도 나온 적이 없다.
          * [[나는 캐리다]] 시즌4 기념 특별 편에 나와서 오덕 인증, 디씨 갤러리 인증을 해주면서 3시간 내내 하드[[캐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박정석에겐 애니비아밴 공격, 강민이 냉정하게 게임을 해라고 핀잔을 주자 "형 왜 롤 챔스 해설은 냉정하게 안 하는 거야?"라고 디스하고 강민과 해설을 할때 강민이 아무거나 보여주라고 압박을 주자 "나 룬 다 털린 거?"라는 등(...) 여담으로 롤을 시작하게 된 계기도 밝혔는데 [[더리프트]] 선수의 베인 때문이라고 밝혔다.
          * [[러리즈]] 정규 2집 앨범을 위해 처음으로 아이돌 쇼케이스 MC를 맡았다. 울림 소속 팀장이 친한 지인이라 부탁 받았다고 한다. 러리즈 팬들의 평가는 '쇼케이스를 하라니까 주간아이돌을 만들어놈', '역대급 쇼케이스'. 러리즈 팬들도 김희철의 진행을 잘 받아주기도 하여 아주 재밌는 쇼케이스가 되었다. 관련 행사 MC 고정을 해야하는거 아니냐는 이야기도. 첫 MC라 시간배분에 실패하여 예정된 시간보다 쇼케이스가 길어졌는데 이에 대해 마지막에 팬들에게 사과했으나 팬들은 바라던 바인지라 모두들 괜찮다고 할 정도.
          * 공중파, 케이을 막론하고 심심하면 노메이크업으로 방송에 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유희낙락 미방영분에서 [[김소혜]]의 '나하고 방송할 땐 옷도 대충입고, 메이크업도 안하고!' 라는 멘트를 들을 수 있다. ~~덕분에 게임 중 열 받거나 당황할 때마다 얼굴이 무척 빨개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노메이크업과는 별개로 그의 미모는 계속 빛난다.
          * 동물을 매우 좋아한다. 교통사고 당시 병원에 입원해 있던 희철을 위해 팬들이 선물한 러시안루 고양이 '희범'[* 원래 이름은 '한제희범'이다. 그 당시 숙소 생활을 같이 하던 동료들(한경, 제이, 희철, 기범)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이름. 너무 길어서 희범이라 부르고 있다]을 여태까지 반려묘로서 아끼고 있다. 미용을 할 때 마취하는 희범이가 안쓰러워 털을 직접 미용해 줄 정도. ~~그런데 땜빵을 내버렸다..~~ 성동카페에서 희범이는 희철에게 꼭 붙어 자야 하는[* 주로 겨드랑이 사이와 허벅지 사이를 선호한다고 한다(....). 희철 왈,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거기서 잠이 드는건지...'] [[개냥이]]라 밝혔다. [[https://youtu.be/nAZwJmkzdrA|영상]] 현재 고양이 희범, 강아지 복이(기복이)를 키우고 있다.
  • 블랙 클로버/105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4화]] |||| '''랙 클로버/105화''' |||| [[랙 클로버/10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5. '''두 개의 신성'''
          *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금색의 여명에서도 가장 공헌도가 높은 단원으로 뽑혀 찬사를 받는다.
          * 단원들은 당연히 이 녀석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야미가 냉큼 당사자를 단상까지 집어던진다. 그렇게 해서 단상에 올라간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 성과제가 클라이맥스를 향해간다. 성과제의 존재 이유인 "마법 기사단 공적 발표" 시간이 돌아온다. 축제를 즐기던 사람들의 이목이 왕궁 앞으로 모인다. 물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도 기대를 안고 참석한다.
          * 마법제는 여기서 실적에 기여한 MVP도 발표한다. 다름아닌 [[유노(랙 클로버)|유노]]다. 바람의 정령 실프를 다룰 수 있게 된 그는 금색의 여명 안에서도 독보적인 신인으로 부각됐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09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8화]] |||| '''랙 클로버/109화''' |||| [[랙 클로버/11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9. '''유르팀 화산 등산로'''
          * 팔자에도 없는 살벌한 온천합숙에 참여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일행. [[샬롯 로즈레이]]를 따라서 [[솔 마론]]까지 따라와 있다.
          *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마론은 어렵지 않게 이 기술을 따라하고 [[노엘 실버]]도 서툰대로 따라해서 메레오레오나의 인정을 받는다.
          사람 조지는게 즐거워만 보이는 그녀와 달리 끌려온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일행과 홍련의 사자단은 사색이 된다.
          * 원래 사자단 외에 끌려온 사람은 아스타와 [[유노(랙 클로버)|유노]], [[노엘 실버]], [[샬롯 로즈레이]], [[야미 스케히로]] 등 근처에서 얼쩡거리고 있던 운 없는 사람들 뿐이지만, 왠지 [[솔 마론]]도 얼굴을 비춘다. 샬롯이 간다길래 그냥 따라왔는데 도착해 보니 말도 안 되는 환경이었다. 하지만 어찌됐든 최종적으로 샬롯과 온천을 할 수 있으면 다 좋다고 나름대로 의욕을 불태운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2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1화]] |||| '''랙 클로버/112화''' |||| [[랙 클로버/11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2. '''로열 나이츠 선발시험'''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미모사 버밀리온]]과 "잭스 류그너"와 한 팀이 되는데, 공교롭게도 그 사람은 괴한에게 당해 빈사 상태.
          * 같은 금색의 여명단의 선배 [[클라우스 류넷]]도 자리에 있었다. 그는 미모사가 쓸데없이 다른 참가자와 트러을 만든다고 지적하는데 괜한 지적질을 했다가 "괜히 진지하고 걱정많고 안경이다"는 반격을 당한다. 그 역시 최근 실력이 급상승한데다 무슨 이유인지 근육단련까지 해서 인지도를 쌓았다.
          * 그러나 이들의 인지도는 올해 넘버 1 루키 [[유노(랙 클로버)|유노]]에 비하면 약소했다. 설명이 필요없는 유망주로 경계의 대상. 그 외에도 금색의 여명 출신의 강자들이 눈에 띈다.
          * 미모사가 다들 너무 긴장했다고 한소리 하는데, 마침 유노를 보러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나타난다. 클라우스가 그를 반갑게 맞이하는데 그에게 반한 미모사는 당황해서 허둥지둥거린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3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2화]] |||| '''랙 클로버/113화''' |||| [[랙 클로버/11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3. '''크리스탈 파괴 배틀 토너먼트'''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너도 로열 나이츠에 선발되러 온거 아니냐"고 따지나 그는 "너희를 놀리러 왔을 뿐"이라며 빈정거린다.
          * 마법제의 중재로 경기가 속행되는데 아스타의 팀이 맨 처음. [[유노(랙 클로버)|유노]]네는 맨 마지막으로 둘이 싸우기 위해성 결승까지 가야한다.
          * [[솔 마론]]을 비롯한 마법기사들이 그의 불손한 태도를 비난했다.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도 마법제에게 무슨 짓이냐고 언성을 높였는데, 공분을 산 잭스는 적반하장으로 "너네나 마법제를 존경하지 나는 아니다. 너네 가치관을 나에게 강요하지 마라!"고 꾸짖는다. 그로인해 대회장의 분노지수는 최고조.
          이어서 발표된 팀 별로 인원이 나눠진다.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노엘 실버]]가 P팀으로 묶였다. 헌데 피차 첫인상이 좋지 않은 입장이다. 유노는 노엘을 "아스타를 따라다니는 촐랑대는 여자"로 생각하고, 노엘은 유노를 "아스타의 소꿉친구라는 점잔떠는 인간" 정도로 치부한다. 이외에 "엔 린가드"라는 인물이 한 팀.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8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7화]] |||| '''랙 클로버/118화''' |||| [[랙 클로버/11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8. '''마도사X'''
          * 로얄 나이츠 시험엔 관심이 없었던 [[챠미 퍼밋슨]]이 방문. 후배들도 재쳐놓고 [[유노(랙 클로버)|유노]]를 응원하러 온 것이다.
          * 그때 [[노엘 실버]]가 익숙한 솜뭉치가 떠다니는걸 발견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식탐이라면 빠지지 않는 [[챠미 퍼밋슨]]이 등장한다. 왠지 [[네로(랙 클로버)|네로]]까지 끼어왔다. 나오자마자 넉살좋게 하몬에게 음식을 요구하는 챠미. 하몬은 의외로 쉽게 음식을 나눠준다. 노엘이 여긴 왜 왔냐고 묻자 우물쭈물 대면서 "좋아하는 사람을 응원하러 왔다"고 하는데 그 대상인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무슨 말인지 눈치채지 못한다.
          * 이제 시합은 5시합으로 접어들었다. 그런데 이번에 싸워야할 마도사 중에 "X"라는 묘한 이름이 있다. 문자 익숙하지 않아서 인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그걸 "가위표"라고 읽어서 옆의 [[미모사 버밀리온]]이 "엑스"라고 읽어야 한다고 정정해준다. 그녀는 아마도 본명을 숨기고 싶어하는 사람일거라고 추측한다. 문제는 그의 팀원들 마저도 그가 누구인지 모른다는 것. 정체는 고사하고 시합장에 있는걸 본 적도 없다. 대체 어떤 인물일까? 의문은 금방 풀린다. 이름이 거명되자 그때까지 본 적이 없는 수상한 인물, 묘한 가면을 쓴 자가 불쑥 나타난다. 척보기에도 수상한 놈. 그 수상한 놈이 가면 속에서 "X란 접니다"라고 밝힌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1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0화]] |||| '''랙 클로버/91화''' |||| [[랙 클로버/9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1. '''광열폭발'''
          * 다이아몬드 왕국을 배신한다고 선언한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
          * 한편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일행은 [[증오의 파나]]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있다.
          *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는 자신들의 목표는 마녀의 숲이지 쓸데없는 살상이 아니라고 말한다. [[라드로스]]는 다이아몬드 왕국을 배신한 배신자들인데 어째서 그걸 못 본척 한다는건 왕국을 배신하는 짓이라고 반박한다.
          라드로스는 마르스의 힘까지 흡수한 이후 더욱 기세등등해서 마법을 난사한다. 하지만 그의 방심을 이용해 접근한 마르스와 젤은 강화마법이 달린 펀치로 라드로스를 떨쳐내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을 찾아 속도를 낸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3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2화]] |||| '''랙 클로버/93화''' |||| [[랙 클로버/9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3. '''약속의 세계'''
          * [[증오의 파나]]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의 접근을 맹렬히 거부한다.
          * 자폭 모드로 들어간 [[증오의 파나]]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의 접근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자폭 주문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파나를 둘러싼 샐러맨더의 마력은 파염구를 토해내며 두 사람의 접근을 방해한다. 아스타와 마르스를 각자 화염구를 베어내며 돌진한다. [[판젤 크루거]]는 저정도 위력의 공격을 능숙하게 베어내는 것을 보며 감탄하면서도 과연 시간에 맞출 수 있을지는 의문스러워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4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3화]] |||| '''랙 클로버/94화''' |||| [[랙 클로버/9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4. '''일변'''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의 노력으로 무사히 구조된 [[증오의 파나]].
          * [[증오의 파나]]의 자폭도 막고 "파나"의 인격도 되살리는데 성공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 마르스는 아스타에게 "너의 덕"이라며 악수를 청한다. 아스타는 던전에선 그토록 무감정하고 차가웠던 인물이 많이 변했다고 느낀다. 아스타도 그의 힘이었다며 소꿉친구를 구한걸 축하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7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6화]] |||| '''랙 클로버/97화''' |||| [[랙 클로버/9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7. '''아무 것도 아니야'''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자신의 의식 속에서 랙 클로버의 마도서에 깃든 반마법의 악마와 만난다.
          * 아스타는 아무 것도 없는 무의 공간에 던져져 있다. 그것은 자신의 정신세계 같은 것이지만 아스타는 이 위도 아래도 없는 공간에 당황해서 자신이 죽은게 아닌가 의심한다. 아직 시스터와 결혼도 못했고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약속을 지키지도 못했다고 허둥대는데, 그때 거대한 그림자와 같은 악마의 형상이 나타난다. 당황한 아스타는 해괴한 비명을 지르며 누구냐고 묻는다.
          '''랙 메테오라이트'''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8화 . . . . 11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7화]] |||| '''랙 클로버/98화''' |||| [[랙 클로버/9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8. '''저 녀석은 저 녀석'''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격파 당한 [[라드로스]]는 마력이 고갈되고 무리하게 샐러맨더의 마력을 흡수한 반동으로 쪼글쪼글해진다.
          * [[라드로스]]는 반마법에 빙의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 의해 쓰러졌다.
          그런데 그런 생각을 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빙의가 풀리자 전투로 입은 상처가 일제히 고통을 호소한다. 아스타는 급히 회복을 요청하지만 동료들도 널부러져 있기는 마찬가지다.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나 [[파나(랙 클로버)|파나]]도 살아는 있지만 아직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아스타는 어쩔 수 없이 마녀의 숲으로 모두 데려가는 수밖에 없겠다고 생각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페어리 테일/487화 . . . . 11회 일치
          * 러드맨과 대치 중인 레비와 가질.
          * 러드맨은 자신에겐 세 가지 인이 있다고 설명해준다.--설명충 러드맨--
          * 러드맨이 다루는 힘의 본질은 "주력". 주법을 다룬다. 즉 제레프서의 악마.
          * 러드맨은 전 타르타로스 멤버들의 모든 주법을 사용하며 가질과 레비를 공격한다.
          * 러드맨의 파상공세 앞에 가질과 레비도 수세에 처한다.
          * 타르타로스의 주법에는 잘 대처하나 러드맨이 세 번째 인을 해방하고 고유의 주법 "오버 스켈터"를 사용하자 단숨에 상황이 악화된다.
          * 가질은 무모하게 러드맨을 공격하다 실패한다.
          * 마장입자를 흡수한 가질은 새로운 형태로 변하고 드디어 러드맨에게 공격이 먹히게 된다.
          * 러드맨도 이 공격에만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결국 쓰러지는 것처럼 보였다.
          * 하지만 러드맨은 완전히 소멸하지 않았다.
  • 하이큐/256화 . . . . 11회 일치
          * [[카게야마 토비오]]는 츠키시마의 잠재력을 끌어내 상대편 록 위에서 내리꽂는 스파이크를 세트업, 아츠무의 감탄을 받는다.
          * 숨겨진 "괴짜 속공 킬러"로 [[미야 아츠무]], [[미야 오사무]] 형제의 괴짜 속공을 칼같이 차단한 [[츠키시마 케이]]. 중계진은 그를 [[카라스노 고교]] 최장신이라 소개하며 상대 코트를 끝까지 잘 살핀 냉정한 플레이를 칭찬한다. 관중석에서 보고 있던 노헤비 학원의 [[다이쇼 스구루]]도 방금 전 록을 호평하며 자신이었으면 놓쳤을 거라고 말한다. 그런데 그의 여친은 어떻게 된 상황인지 알아채지 못한다. 다이쇼의 설명이 이어진다.
          정확한 리드 록. 손에 걸린다. 떨어지는 공은 [[카게야마 토비오]]가 처리. 그야말로 물이 오른 츠키시마.
          * "활발"한 타나카의 플레이. 좌측에서 스파이크를 때리지만 오사무와 [[스나 린타로]]의 벽에 막힌다. 록에 맞고 튀어오르는 공. 그대로 타나카의 안면으로 향한다. 꼼짝없이 한 점을 내주게 생겼는데, 타나카가 필사적으로 목을 틀어서 공을 피하고 그 공은 아웃라인을 넘는다. 구사일생. 카라스노의 득점으로 인정되면서 타나카가 쾌재를 부른다. 어쨌든 득점은 득점. 비록 관중석의 평가는 달라지지 않지만 말이다.
          츠키시마가 짜증내기 딱 좋은 높이까지 올라가는 공. 그래도 기어이 거기에 닿는다. 록하러 온 스나가 "시라토리자와 때 보다 완전 높다"가 실감한다. 록을 위에서 뚫어버리는 스파이크. 카라스노의 깔끔한 득점.
          * 18 대 17. 다시 1점차. 우카이 코치가 여기서 승부수를 띄운다. 로테이션이 돌아 니시노야가 들어가고 히나타가 들어온다. 간만에 얼굴을 비춘 바보 커플이 "록 잘하는 애", 츠키시마가 후위로 내려가고 히나타가 올라온 상황을 "10번이 다시 필살기를 날릴 수 있게 된 상황"이라고 간략하게 요약한다.
          * 그 말대로 히나타가 기회를 잡은게 맞았다. 히나타가 전열에 나오자 아츠무가 "카라스노 록 허름하다~ 쉽게쉽게 단숨에 따자~"는 즉흥곡을 불러 도발한다. 히나타가 도끼눈을 뜨는데 사와무라는 도발에 넘어가지 말라고만 하지 틀린 말이라고 부정해주지 않는다. 물론 카게야마는 "맞는 말이긴 하다"고 확인사살. 심지어 응원단의 시마다 조차 "록보단 득점꾼"이라며 애초에 록을 포기한 말만 늘어놓는다. 도대체 아군이 없다.
          하지만 이런 일에 기죽을 히나타가 아니다. 오히려 카게야마와, 자신의 록을 형편없다 한 야마구치에게 "두고 보라"고 장담한다. 그의 자신감에는 이런 배경이 있었다.
  • 몽키 D. 루피 . . . . 10회 일치
         별명 '밀짚모자 루피'는 항상 밀짚모자를 쓰고 다녀서 붙었다. 샹크스가 선물한 이 밀짚모자는 루피의 보물 1호. [[버기(원피스)|버기]]가 모자를 망가뜨렸을 때 크게 분노했으며, 전투 후 의식을 잃었다 깨어날 때마다 모자부터 찾는다. 또한 에이스에게서 받은 비 카드를 밀짚모자에 붙이면서, '여기라면 안심이야'라고 말하기도 했다.
         모두가 끈끈한 동료애를 발휘하고, 일단 루피부터가 동료를 소중히 여기는 타입인 만큼 안 친한 멤버가 어디 있겠냐만은, 그 중에서도 해적단 내에서는 [[우솝]]과 가장 친한 편이다. 우솝이 좀 심한 겁쟁이에 평범한 인체스펙과 힘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루피는 무모한 성격과 악마의 열매로 인한 특이체질과 엄청난 힘 정도만 차이가 날 뿐, 기본적인 정신세계와 개그코드는 그야말로 [[소울메이트]]급으로 죽이 잘맞는다. [[남자의 로망]]을 동경하는 것도 그렇고, 둘다 [[빨간 머리 해적단]]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알다시피 [[샹크스(원피스)|샹크스]]는 루피의 '''인생 나침반''' 같은 존재이고, 동료인 [[야솝]]은 우솝의 '''아버지'''이다.] 그와 연령까지 똑같다. 이래저래 닮은 구석이 참 많은 콤비. 그래서인지 우솝이 루피의 바보짓에 태클을 많이 거는 만큼 루피의 장난에 가장 많이 받아주고 같이 행동하는 것도 우솝이다. 해적단에 별일 없으면 항상 루피 옆에는 우솝이 붙어 있다. [[토니토니 쵸파|쵸파]]가 합류한 이후로는 이 셋이 늘상 붙어다닌다. 일명 '''막내라인.''' 그렇기에 이 둘이 다투는 모습은 [[워터 세븐]]에서 [[고잉 메리호]]를 놓고 싸운 것이 유일했을 정도로, 이 때문에 당시에는 가장 친했던 멤버와의 처절한 결투를 비극적으로 그려내었다. 물론 [[에니에스 로비]]편 이후 [[프랑키|새로운 동료]]와 [[사우전드 써니 호|새로운 배]]가 생겼고, 배에 대한 트러로 잠시 해적단을 이탈했던 우솝도 다시 돌아왔지만. 추가로 우솝이 루피에게 해적단에 멋대로 나간 점을 사과하고, 자신을 다시 넣어달라고 울고불고 하는 장면과 마찬가지로 그런 우솝에게 다시 손을 내밀고 눈물콧물범벅이 된 루피의 모습은 참 웃기면서도 한편으로는 감동적인 장면이다. 우솝의 재합류 이후로는 역시나 쵸파랑 항상 셋이서 붙어다닌다.
         가족 인맥 덕을 본 사례는 쿠잔에게 패배하고도 살해당하지 않은 것과 반란군의 간부인 쿠마와 이완코브에게 받은 도움. 아오키지의 경우는 첫 싸움에서는 확실히 가프 덕에 살려준 것이 맞지만 최종적으로 에니에스 로비 전이 끝난 이후에 밀짚모자 일당을 내버려두고 떠난 것은 루피가 수틀리면 세계를 멸망시킬 수도 있는 로빈을 맡겨둬도 될 만한 인물이라고 인정했기 때문이다. 이반코프의 경우도 드래곤의 아들이라는 말을 듣고 도와주기는 했지만 사실상 루피가 보여줄 수 있는 증거는 자신이 이스트루 출신이라는 사실 하나밖에 없었으며 나머지는 이완코브가 임펠다운에서 루피가 벌인 행적을 보아 루피가 드래곤의 아들이라고 스스로 납득한 것이다.[* 게다가 버기와 루피 탓에 서내 시스템이 어느 정도 마비된 상태에서 징베나 크로커다일 같은 거물까지 섭외했는 데도 똥줄타면서 아슬아슬하게 빠져나갔다는 점에서 생각해보면 루피와 함께 탈옥한 것은 이반코브에게 있어서도 좀처럼 오지 않을 좋은 기회였다.] 결국 아버지 이름만으로 일방적으로 도움을 받은 것은 샤본디 제도에서 쿠마의 도움을 받아 탈출한 일밖에 없다.
         일단 기본적인 상식에 대해 모르는 것이 상당히 많다. 대표적으로 혁명군과 [[몽키 D. 드래곤|그 리더]]가 누군지 모른다거나[* 다른 사람들은 듣자마자 놀랐고, 나미는 너희 아버지가 굉장히 유명한 인물이라며 루피에게 말했다.] 그 외에도 해적왕을 노린다는 녀석이 사황과 칠무해도 몰랐다.[* 사황은 몰라도 칠무해는 이스트 루의 요삭도 알고 있었다.] 심지어 [[크로커다일|칠무해]]앞에서 '''"그럼 난 팔무해다!(...)"'''드립을 친다거나... '''상대하는 적의 명성을 전혀 모른다.'''라고 봐도 좋다. 다만 이 점은 오히려 장점이 되기도 하는데 동료를 지키기 위해서 [[크로커다일|칠무해]]와 [[아오키지|해군 대장]]을 상대로 '''진심으로 이기겠다.'''는 생각으로 덤빌 수 있었기 때문. 이 덕에 다른 일행들은 두 번 모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 [[루노(원피스)|루노]] - 처음으로 기어 2가 나온 배틀. 고무고무 JET 바주카로 마무리.
          * 리드 - 애니판 한정
          * [[돈키호테 도플라밍고]] 밑에서 설명하겠지만 그로기 상태에서 신 기술인 기어 4를 두 번이나~~몇 달의 연재분도~~ 사용한 혈투 끝에 최강기술 킹콩건으로 끝내 버렸다~~부서진 선글라스는 덤~~ 보면 알겠지만 주인공 보정과 주변인물들의 도움이 굉장히 많이 작용되어 이긴 전투다.[* 일단 도플라밍고는 로우의 '감마 나이프'로 치명상을 입은 상태였고 , 전투 내내 로우의 능력인 '샴즈'의 도움을 수차례받는다. 기어4의 휴우증으로 10분간 아무것도 못하는 상황에 쳐했을때 콜로세움 아나운서 '가츠'와 여러 콜로세움 자코들의 도움으로 어찌어찌 10분을 때운다. 원피스에서 루피가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받아 최종보스를 이긴 흔치않은 사례. 루치와 싸울당시엔 우솝이 시간을 끌어주고 크로커다일과 싸울 당시엔 로빈이 해독제를 주는 등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은 적은 많지만 이들과의 싸움은 결국 루피 개인의 무력으로 1:1로 겨뤄내서 승리라는 점에서 도플라밍고와의 결전과는 사례가 다르다.] 둘다 풀피 상태에서 1:1 클린 매치로 붙었다면 '''루피는 질, 아니 사망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칠무해를 주인공 보정으로 겨우 이기는데 다음 적인 '''사황'''은 우째 이길라나.--
         > (베라미가 몽랑의 황금을 빼앗고 그의 꿈인 하늘섬까지 조롱하자 일격 K.O 시키기 직전) ''' 펀치 치는 법을 알고있냐고...?'''
         >[루노] : 언제까지 날뛸 생각이냐?!
  • 박명수(MC) . . . . 10회 일치
         하여튼 조연으로서의 입지는 확실히 다져놓아 당시 가장 잘 나가던 꽁트 코미디 프로였던 <오늘은 좋은 날>의 '풍운의 별' 코너에도 등장하였다. '''프로메토 칸투라스 히드라 리바이탄 리자드 자스카리투스 해저드 디아로 레피쿠리우스 마젠드 하인리히 4세'''라는 이름의 악마 기믹 역할[* 여담으로, 이 악마 기믹이 [[성검전설 3]]에 등장하는 호크아이의 숙적 사안의 백작과 매우 닮았다. 그래서 성검전설 3을 하는 사람들은 사안의 백작을 그냥 박명수라고 부르기도 했다.]이 바로 그것이었는데, 소환자인 이경실이 그의 이름을 쉽게 외우는 것과 달리 정작 본인의 이름을 외우지 못해 갈굼 당하는 역할이었다.
         이를 역이용해 박명수가 드디어 이름을 다 외웠지만 이름이 '프로메토 칸두라스 히드라 리바이탄 리자드 자스카리투스 해저드 디아로 레피쿠리우스 네메시스'처럼 더 긴 것으로 바뀌어 버려 다시 당하는 패턴도 있었다. <풍운의 별>에서 박명수의 역할은 선배 개그맨들이 짜놓은 틀에 맞춰서 개그를 적극적으로 살리는 역할로 이는 온전히 박명수의 캐릭터와 역량에 기대는 것이었다. 물론, 풍운의 별에 등장하는 홍기훈과 김효진, 이경실이 진 주인공이었지만 그에 못지않게 박명수의 존재감은 매우 컸다. 그래서, 당시 신문에서 '앞으로 코미디계를 이끌 유망주' 비슷한 제목으로 박명수의 인터뷰가 크게 실리기도 했다.
         개그콘서트의 부흥과 함께 콩트 프로그램의 몰락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MBC소속 개그맨들은 MBC라는 둥지를 떠나 다방면에서 활동하게 된다. 박명수는 놀러와 등에 출연하며 MBC와 연을 잇는 한 편, KBS와 SBS에도 게스트 출연을 이어갔지만 후술할 리얼버라이어티 붐 이전까지 상당한 침체기를 보내게 된다. 패널 역할로 많이 뛰긴 했지만 비슷하게 패널 역할로 많이 뛰었고 이따금씩 케이 MC나 공중파 꼽사리를 끼는 김태현을 보고 인기가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 것처럼, 역시 박명수의 이 당시 인기란 것은 미묘한 부분이 있다. 흔히 박명수가 방송에서 이야기하던 사업의 집중기가 바로 이 때다.
         그래서 그런지 방송에서 악역 캐릭터를 맡고 있음에도 악성 루머를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박명수 본인은 방송에서 자꾸 자신의 선행을 언급하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부끄러워서 그런 것도 있겠으나, 컨셉이 독설, 호통인데 너무 '착한 사람' 이미지가 강해지면 웃길 수가 없어서인 듯하다. 실제로 캐릭터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미담이 밝혀지는 걸 꺼린다고 하하가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9802012&ctg=1502|인터뷰]] 했다. 무한도전에서 만들어준 컨셉인 '''억지기부'''도 엄청 껄끄러워하는 반응을 보이지만 이런 류의 잘 알려지지 않는 미담이나 방송상에서는 펄쩍 뛰면서도 잊을 만하면 억지기부 컨셉을 반복하는 걸 보면 그냥 개그를 위해 그런 반응을 보이는 듯하다. 가장 압권은 춘향전편에서 그네를 타면서 외친 '이제 더 이상 기부할 수 없다'[*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유재석한테 꼬투리 잡혀서 에어컨과 햄버거 100개를 기부하게 된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다. 다른 사람이었으면 경악할만한 발언인데, 박명수가 하다보니 다들 빵 터졌을 뿐 누구도 논란으로 삼지 않았다.]. 알바생이나 택시 기사의 실수로 인한 사고도 자신이 수리비를 부담한 것도 무한도전에서 얘기가 나오니 "보는 눈이 많아 이미지 관리하려고 그랬다."[* 택시의 경우 랙박스도 있는데다가 여자 승객들이 스마트 폰을 들고 있어서 겁 먹었다고 드립을 쳤다. 물론 이것도 어디까지나 드립이고, 실상 그렇게 보는 눈이 많다면 더더욱 본인 실수가 아닌데 수리비를 부담할 이유가 없다. 그런데도 택시측 수리비까지 내줬으니 선의를 의심할 여지는 별로 없다.], "스트레스 풀려면 제 차를 받아라." 라고 말하고, 이 순간 생긴 '도로 위의 성자'란 별명도 멤버들이 줄여서 '도성'이라 하는 등 개그로 승화시켰다. 무한도전 300회 특집에서 나온 노홍철의 말에 따르면 일부러 실생활에서도 캐릭터를 연기해서 어떤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캐릭터가 나오게 유도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 형은 그게 진짜 같은데...~~ 노홍철도 그 가르침을 받아 사기꾼 캐릭터를 유지하기 위해 실생활에서도 평소 선행과는 별도로 생활하는 습관을 고수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2012년 대선 때 [[문재인]]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문화예술계 랙리스트]] 명단에 이름이 올라갔다.[* 실제로 성향이 진보적인지는 알수없다. 과거 무한도전에서 [[김종필]]을 존경한다는 투의 애드립을 쳤다가 뭇매를 맞은 적이 있었으며 2017년 북한의 ICBM 개발을 두고 [[개성공단]]으로 들어간 자금이 핵개발에 쓰였을 것이라는 발언을 라디오에서 한 적이 있었다.]
          * 2010년 제5회 에이어워즈 최고의 랙칼라 워커
          * '''[[청와대 랙리스트]]'''[* 거성답게(...)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셨다. 애초에 안 들어가 있는 사람을 찾기 힘든 랙리스트지만, 무한도전 멤버들 중에선 유일하다.~~이런데서 유느님을 이기다니~~]
  • 브로포스/브로 . . . . 10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레이드]]를 패러디한 캐릭터. 근접공격이 나이프 투척이라 주무기보다 약간 먼 사거리를 가지고있다.
         == 브로인랙(Bro In Black) ==
          짧은 거리에 빛을 반짝한다. 빛에 맞은 적은 혼란상태가 되어 아군을 공격한다. 효과음은 맨인랙 영화에서 그냥 뜯어왔으니 컬럼비아 픽처스에 이르지 말아달라고. 아마 농담일거다.
         영화 [[맨인랙 시리즈]]의 J를 패러디한 캐릭터. 스팀 트레이딩카드의 설명에 따르면 초기 버전에서는 점착 폭탄을 사용했다고 한다.
          * 주무기: 더배럴 산탄총
         영화 [[이데드 시리즈]]의 [[애쉬 윌리엄스]]를 패러디한 캐릭터.
         == 더 브로 세븐(Double Bro Seven) ==
          순서대로 사용된다. 마티니는 그냥 잉여. 제트팩은 즉시 브로켓티어의 점프를 한번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레이저 시계는 전방 넓은 범위를 레이저로 지지며, 복면은 테러리스트들에게 가까이 접근해도 테러리스트들이 더 브로 세븐을 인식하지 못하게 해준다.
         발매 초기에는 단발 소총과 화염병으로 무장한 캐릭터였고, 해금 시기도 브로인랙 다음이었다. 하지만 캐릭터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 스팀 트레이딩 카드의 설명에 따르면]로 수정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원래 해금 시기도 브로티 해리에게 물려주고 한-참 뒤로 미뤄졌다. 하지만 수정 이전 스네이크 브로스킨을 해금했던 플레이어들은 브로티 해리와 스네이크 브로스킨 둘 다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블랙 클로버/114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3화]] |||| '''랙 클로버/114화''' |||| [[랙 클로버/11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4. '''맹세의 꽃'''
          * 시합이 시작했는데 잠이나 자고 자빠진 자칭 [[잭스 류그너]].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미모사 버밀리온]]이 분통을 터뜨리지만 요지부동.
          * 로열 나이츠 선발시합 제 1회전. 전략전술에 대해 일장연설을 늘어놨던 [[잭스 류그너]]가 시작과 동시에 드러누웠다. 노숙자마냥 흙바닥에서도 잘만 자는 잭스.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이럴 거면 설교는 왜 했냐고 갈군다. 잭스는 이기고 지는건 그들 관심이지 자신은 아니라 대꾸한다. 그러면서 그 특유의 신경 긁는 말투로 아스타와 [[미모사 버밀리온]]의 멘탈을 농락한다.
          * 이같은 임기응변은 갤러리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전술적인 조예가 없어서인지 별 생각없이 아스타가 첫시합에서 지지나 않기를 기원하고 있다. [[노엘 실버]]는 미모사와 아스타의 호흡이 잘 들어맞자 신경쓴다. 이 팀에서 순수하게 B팀의 선전을 응원하는건 [[클라우스 류넷]] 뿐이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6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5화]] |||| '''랙 클로버/116화''' |||| [[랙 클로버/11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6. '''산호의 공작 부단장'''
          *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하고는 성격도 외모도 안 맞아 마구 독설을 퍼붓는데, 이때문에 미모사가 오빠에게 직접 피의 축제를 벌여주려 한다.
          * [[미모사 버밀리온]]이 부끄러워 마지 않는 오라버니 [[키르슈 버밀리온]] 등장. 산호의 공작 소속 일등 상급 마법기사다. 아름답지 못한 것들이 만연한 세상에 아름답게 태어나고 말아서 괴롭다는 인물이다. 미모사는 가족에 대한 변호를 포기했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경악을 숨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 순간 가장 미치고 팔짝 뛰는 사람들은 이 인물과 한 팀을 이룬 [[매그너 스윙]]과 [[솔 마론]]이었다.
          * 이렇게 개판으로 시작된 2회전. 매그너, 마론, 키르슈의 C팀 대 D팀의 대결이다. 키르슈의 튀는 언행은 시합이 시작된 이후에도 계속됐다. [[유노(랙 클로버)|유노]]가 저 별종에 대해서 묻자 [[노엘 실버]]가 "미모사의 오빠인 기분 나쁜 사람"이라고 정확하게 묘사한다. 그런데 의외로 [[클라우스 류넷]]이 그를 변호한다. 저래봬도 산호의 공작에서 부단장을 맡고 있는 강자라는 것. 거기 단장이 맨날 잠들어 있는 상황이라 실질적으로 기사단을 이끄는 실무자는 키르슈였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1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0화]] |||| '''랙 클로버/121화''' |||| [[랙 클로버/12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1. '''때려눕히다'''
          * 그를 위해 모든 것을 바쳐온 나날, 그러던 중 [[유노(랙 클로버)|유노]]가 나타나 모든게 어그러졌고 그의 존재 자체가 벤전스를 우롱하고 있다고 믿게 됐다.
          * 때는 수년 전. [[알렉드라 산드라]]는 전쟁 중 부상을 입었다. 숨어있던 매복에 당한 그는 어느 동굴에 고립되어 서서히 죽어가고 있었다. 도저히 구조는 바랄 수 없다고 생각하던 찰라. 신은 그를 버리지 않았다. 금색의 여명 단장 [[윌리엄 벤전스]]는 그를 버리지 않았다. 거짓말처럼 나타난 그를 바라보며, 알렉드라는 일종의 경의를 느꼈다. 그 표현도 부족했다. 그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본 그림을 떠올렸다. 그 안에 묘사된 신의 모습. 신이 눈 앞에 나타났다. 신은 벤전스였다. 벤전스에게 구원 받고, 그를 추앙하며 지내온 나날. 알렉드라는 벤전스에게 마법 외에도 불가사의한 힘이 있고 그 따스한 힘이 단원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있다고 믿었다. 금색의 여명은 바로 그런 형태의, 벤전스에게 선택받은 엘리트 귀족 집단. 마치 신앙 같은 믿음. 그는 벤전스와 자신의 믿음을 위해 싸워왔다. 그 믿음은 영원히 흔들리지 않을 것 같았지만 한 사람의 등장으로 무참히 짓밟혔다. [[유노(랙 클로버)|유노]]의 입단. 볼품없는 하층민. 모든 단원을 평등하게 대해준 벤전스가 유일하게 특별취급하는 햇병아리.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미모사 버밀리온]]이 그녀의 마땅한 승리에 환호했다. P팀의 승리 확정.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30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9화]] |||| '''랙 클로버/130화''' |||| [[랙 클로버/13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30. '''지금 아로새겨주마'''
          랙 모드가 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잭스의 뒤에서 뛰어올랐다. 그의 반마법검이 랜길스의 마법을 모조리 베어버린다. 동시에 [[미모사 버밀리온]]이 마력을 쥐어짜내 잭스를 치료. 잭스는 왕족에게 치료받길 거절하지만 미모사는 그 거절을 거절한다.
          * 랜길스는 아스타의 랙 모드를 경계하며 그게 뭐냐고 묻는다. 아스타는 딱히 아무것도 아니라고 대답한다. 다만 "랜길스가 바보취급하는 하층민이 발버둥쳐서 된 모습"일 뿐이라 답하는데. 랜길스에겐 그런 것 조차 거슬린다. 아스타에게서 [[핀랄 룰러케이트]]를 겹쳐보며 선택받지 못한 자들이 자신처럼 선택받은 자들과 같은 무대에 서려한다고 독설한다. 아스타는 그런 선택받은 자들의 대단함을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 특별한 자들을 동경해왔다고. 그것은 잭스의 아버지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아버지나 아스타는 특별한 자들의 호감을 사고 싶은게 아니었다. 평범할지라도 특별한 자들과 함께 사람들을 지키고 함께 강해지고, 싸우기 위해서였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32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31화]] |||| '''랙 클로버/132화''' |||| [[랙 클로버/13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32. '''승자'''
          * I팀과 P팀의 사실상 결승전. [[노엘 실버]]와 [[엔 링가드]]는 I팀의 두 명이 공격해 오자 자군의 크리스탈을 수비한다. [[유노(랙 클로버)|유노]]는 공격을 맡아 돌격. I팀은 [[릴 부아모르티에]]가 크리스탈을 수비하자 유노와 격돌한다.
          * 유노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함께 했던 마나스킨 특훈으로 새로운 기술을 습득했다. 정령마법의 막대한 마력을 자신의 몸 안에 가두는 일종의 변신. 아스타의 랙 모드와 비슷한 성질이다. 유노는 본래 아스타와 결승에서 만났을 때 쓰고 싶었지만 기사단 단장을 상대라면 부족함이 없는 상대라며 이 상태를 해방한다. 마치 왕과 같은 모습으로 변하는 유노.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9화 . . . . 10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8화]] |||| '''랙 클로버/99화''' |||| [[랙 클로버/10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9. '''가족'''
          * [[마녀왕]]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를 조종해 제일 먼저 왕족인 [[노엘 실버]]를 죽이려든다.
          * 자신의 혈액마법으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를 손에 넣는데 성공한 [[마녀왕]]. 그녀는 이 자리에 있는 전원을 죽이라고 명령한다. 의식을 빼앗긴 아스타는 마녀왕의 명령에 따를 수밖에 없다.
          * 바깥으로 나간 그녀에겐 온갖 엉망진창인 것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중에서도 최고는 검은 폭우 단원들이었다. 초면인 바네사에게 작업거는 [[핀랄 룰러케이트]], 무심해 보이는 [[고든 아그리파]], 음식을 나눠주었던 [[챠미 퍼밋슨]]과 [[그레이(랙 클로버)|그레이]], 언제나 티격태격하는 [[락 볼티어]], [[매그너 스윙]], [[고슈 아들레이]]. 그리고 아스타와 노엘.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절대가련 칠드런/457화 . . . . 10회 일치
          * 그러나 랙팬텀은 치밀한 함정을 설치해 판도라를 노리고 마기도 랙팬텀에 완전히 사로잡힌 상태.
          * 결국 마기는 이젠 길리엄을 섬긴다면서 랙팬텀에 합류해버리고 효부는 최악의 상황을 선언하며 도움을 필요로한다.
          * 이때 효부는 힙노를 발생시켜서 간단한 정신간섭도 병행하고 있지만 간절한 마음과 달리 효과는 미지수. 설상가상으로 랙팬텀의 새로운 함정이 접근한다. 잠수함 언터쳐 엠프렌스에 탑승 중이던 쿠구츠 타카시가 잠수함에서 긴급하게 무전하는데 랙팬텀이 발사한 미사일이 접근 중이다. 상공에는 폭격기까지 대기 중. 사면초가의 상황이다.
          * 마기는 효부의 힙노를 뿌리친다. 뿐만 아니라 랙팬텀의 힘이 자신을 더 강하게 만들어줬다며 찬양한다. 그 중엔 "재능에만 의존하는 이전 세대는 쓸려나갈 거다"는 발언도 있는데, 이미 그에겐 랙팬텀의 계획 전모가 주입된 모양이다.
          * 효부는 이번에야 말로 마기를 쏴버리려고 염력을 집중하지만 결국 발사하지 못한다. 마기는 그 괴로워하는 얼굴 조차 비웃으며 이별을 선언한다. 때맞춰 랙팬텀의 미사일이 폭발하며 물기둥이 치솟는다. 마기는 이것을 틈타 상공의 폭격기와 접촉, 이제부턴 길리엄을 섬길 거라는 말과 함께 사라진다.
          * 효부일행은 언터쳐 엠프렌스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론 큰 피해는 없이 끝났지만 이들이 받은 정신적인 충격은 크다. 특히 요우는 마기가 모미지를 공격한 일로 이를 간다. 한편 치료 중인 모미지는 설득실패를 자기탓으로 돌린다. 효부는 애초부터 힘든 일이었다고 말하지만 내심 최악의 상황이라 여긴다. 같은 상황이 반복된다면 길리엄과 싸우는건 불가능하다. 효부는 뭔가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 헌터X헌터/369화 . . . . 10회 일치
          * 왕비는 그가 개인적인 득실 때문에 그런 결단을 내렸다 보지만, 크라피카는 와 왕자를 위해서 내린 결정이었다 항변하며 신뢰해줄 것을 부탁한다.
          * 그때 와 왕자가 언제나처럼 크라피카를 친근해하며 손을 뻗는 모습을 보고 왕비의 생각이 움직여 그의 뜻대로 체리드니히의 거처를 수색하기로 한다.
          * 5왕자 츠베파는 경비대장 마올과 경호원 "롱기"를 보내며 "무슨 수를 써서든, 와 왕자를 포함하는 한이 있어도 크라피카를 동료로 해라"고 지시.
          왕비는 잠에서 깬 것처럼 일어났다. 그녀가 시마노에게 와 왕자의 안부를 확인하는 사이, 빌이 크라피카에게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같은 시간에 쓰러지고, 다시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크라피카가 무리해서 쓰러지면 능력을 공유하는 인물도 같이, 그런 패턴이었다. 크라피카의 계산도 복잡해졌다. 혹시 엠퍼러 타임의 한계 시간이 3시간이란 의미인가? 그 한계를 넘으면 3배인 9시간의 랙아웃 상태에 빠지는 걸까? 아니다. 그렇게만 볼 일이 아니다. 빼앗은 능력에 따라 시간에 차이가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엠퍼러 타임은 여전히 발동 중이고 다음 번에도 3시간 만에 쓰러진다고 장담 할 수 없다. 정신을 잃기 직전 들었던 끔찍한 파열음. 그 폭음 같은 맥동이 신호일지 몰랐다.
          왕비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크라피카의 말이 그녀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움직였을까? 알 수 없는 일이었다. 그때 시마노가 침묵을 깼다. 그녀가 왕비에게 무언가를 보여줬다. 잠에서 깨어난 와 왕자. 왕자가 크라피카를 향해 손을 내밀고 있었다. 처음 그랬던 것처럼. 크라피카는 그 인사와 같이 내밀어진 작은 손을 정중히 잡았다. 크라피카가 "왕자님은 어떠신가요?"라 묻자, 왕자가 대답하는 것처럼 옹아리했다. 그것이 크라피카를 구했다.
          크라피카는 "넨능력을 아는 것만으로 생존확률이 대폭 상승"이라 말했다. 공감가는 말이다. 특히 그녀처럼 넨능력의 편린을 봤다면 더더욱. 그녀는 와왕자를 위해 "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일"을 늘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런 부탁을 받은 크라피카는 의외의 대답으로 돌려줬다.
          * 제 9왕자 할겐부르그는 사설병 둘을 보냈다. "세쥬르"라는 안경잽이 남자와 검은 머리의 "유히라이"라는 남자. 할겐부르그는 계승전에서 빠지기로 했지만 자신을 비롯해 소속병 전원의 손등에 "깃털문양"이 나타나자 예사일로 느끼지 않았다. 분명 "넨수"가 관련되었다, 그렇게 직감했다. 그 정보를 유포한 와 왕자측과 접촉해 이 깃털문양의 실체를 밝히는게 목표. 그걸 위해서라면 이쪽의 정보를 전부 공개하는 것도 상관없다. 세쥬르는 알아볼 필요도 없이 할겐부르그의 넨수일 거라고 짐작한다. 유히라이도 동감한다. 이 문양은 왕자가 말하는 "각오의 각인" 그 자체다.
          * 5왕자 츠베파는 철저하게 실리주의적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는 사전에 접촉시켰던 사설병 대장 "마올"을 다시 파견하고 "롱기"라는 머리가 긴 남자를 딸려보냈다. 그 역시 츠베파의 사설병. 그들의 목표는 "크라피카의 두뇌". 그를 동료로 확보하는 것이다. 와 왕자까지 포함해도 좋으니 꼭 동료가 될 수있도록 설득하라는게 진짜 목표였다. 넨 습득은 오히려 구실. 마올은 다른 진영 경호병의 눈을 의식해 은밀하게 처리하려면 편지를 사용하는게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다. 롱기도 같은 생각이다. 부호를 쓰거나 동작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 것도 노출된 우려가 컸다.
          벤자민이 보낸 "휴리코프"는 몹시 음험해 보이는 남자였다. 일단은 텐후토리처럼 정찰이 목적이기도 하지만, 진짜 "임무"는 따로 있다. 설마 와 측에서 먼저 초대할 줄은 몰랐다. 어쨌든 좋은 기회다. 적의 넨능력을 파악할 수단은 많다. 외견, 수업방식, 언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계통이나 능력 자체의 힌트가 될 수 있다. 그건 휴리코프만의 기술이었다. 넨능력이 아닌, 경험에 의한 노하우. 어찌보면 이거야 말로 그의 생명선이었으며, 그런만큼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은 비장의 수였다. 가령 능력자와 비능력자는 안구의 움직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옆에서 안구를 봤을 때 그 주변의 흔들림을 보는건 가장 간단하고 손쉬운 구분법이었다. 지금도 그는 1014호실 거실에 모인 안구들을 면밀히 살피고 있었다.
  • 김윤아(1974) . . . . 9회 일치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본래는 음대에 진학하고 싶었으나 부모님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혀 아동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해 심리학과에 입학한다.]에 입학한 93년 '풀카운트'라는 밴드의 키보디스트로 밴드활동을 시작하는데, 당시 풀카운트에서 드러머로 활동하던 구태훈과 처음 알게 된다. 이후 여러 밴드들을 거치다가 96년 김진만을 알게되고 97년 이선규와 김진만과 '미운오리'를 결성, 홍대 인근에서 활동한다. 이후 무대 디자인 일을 하고 있던 구태훈이 회사를 그만두고 합류하면서 최종 4인의 '미운오리'가 결성된다. 97년 4월 홍대클럽 "루데빌"에서 공연하던 중 영화 관계자에 발탁되어 <꽃을 든 남자> OST 'Hey Hey Hey'로 데뷔했다. 자우림이라는 이름은 이때 지은 것. 별 생각 없이 지은 '미운오리'라는 이름이 막상 CD 자켓에 넣으려니 부끄러워서 하룻밤을 새서 지었다고.
         기본적으로는 [[두성]]에 [[비음]]을 약간 섞어 사용한다. [[중성]]에서 [[가성]]으로 넘어가는 소위 '꺾기' 창법 역시 자주 사용한다.[* 어렸을 때 [[요들송]]을 배웠던 적이 있다고 하며 그 때문에 이 꺾기를 매우 쉽게 사용한다고 한다.] 벨칸토 식 성악창법과 락 창법도 사용한다. [[비성]] 창법이 트레이드마크처럼 여겨지지만 비음을 사용하지 않고 진성으로 부르는 곡도 많다. '''곡마다, 아니 곡 안에서도 창법을 계속 바꿀 수 있는[* 곡 중간에 창법을 바꾼다는 것은 어렵지만 사실 프로급 보컬들은 최소한 성대접촉은 조절해 창법을 바꿔가며 노래를 부른다. 그렇게 해야 노래의 강약조절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들은 김윤아와 달리 일반인들이 직감적으로 느낄 정도로 크게 변화시키지를 않는다. 창법변화를 크게주다가 잘못하면 창법을 변화하는 중간중간에 이질감때문에 곡의 분위기를 깨버리기 때문. 이렇기때문에 김윤아는 서로 이질감이 들 수 있는 창법을 조화시키며 노래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창법을 구사한다고 인정 받는다. 또한 김윤아는 그 창법의 변화를 통해 자기색깔을 드러내는, 즉 온전한 자기의 방식으로 노래하는 보컬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창법변화를 주는 것은 일반적인 방식은 아니라서 호불호가 있고, 그러다보니 표현이 작위적이라고 말하거나 자의식과잉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어쨋건 저런 김윤아식 보컬스타일은 유니크하며 인정받을만 한 것임이 틀림없다.] 드문 보컬리스트.''' 기본적으로는 락 보컬리스트이지만 리듬감을 강조하는 R&B나 [[루스]] 기반의 노래도 꽤 많다. 예컨대 '나비' 같은 곡들.
         '''특히 안정적인 중저음역대는 국내에서도 손에 꼽을 만한 실력을 지녔다.''' 데뷔 초기인 1~2집 때는 3옥타브 도(C5) 이하의 곡이 대다수였다.[* 그래서 이 시기 자우림 노래들은 음역대가 조금 높은 남자들도 키 전환 없이 소화할 수 있을 정도다.] 3옥타브 도(C5)가 있어도 한두 번 찍고 내려오는 수준. 워낙 이 시절에는 목에 힘을 빡 주고 [[벨팅]]으로 질러대는 스타일의 곡이 많았기 때문이다. '파애', '일탈' 등. 그러나 이런 스타일의 노래는 목을 매우 상하게 하는 것이었고[* 실제로 이렇게 질러대는 창법을 고수하다가 목이 완전히 가버리는 가수들이 꽤 많다. [[벨팅]]항목 참조.] 이후 3집 때부터는 전면적으로 목을 상하게 하지 않는 창법, 정확히는 [[두성]] 중심의 창법으로 전환했다. 90년대에 루 데빌스 등 홍대 클럽에서 연주하던 미운오리(자우림의 이전 이름)의 팬들은 1집때보다 훨씬 더 목을 긁어대는 김윤아를 기억하고 있다. 그 목소리를 듣지 못해 아쉽지만, 그 창법을 계속 고수했으면 지금까지 노래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무종교이다. 이전 버전에서는 [[가톨릭]]이라 했으나 김윤아가 7집 활동 당시 [[http://m.blog.naver.com/love__yuna/20052315480|로그]]에 무교라고 언급한 적 있다. 과거에는 정규앨범 3집 발매당시 멤버들과의 [[인터뷰]]에서 [[평화방송]]이 [[본인]]들의 신앨범 수록곡을 금지곡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본인이 가톨릭 신자인데 그런만큼 이에 대해 더욱 실망이라고 [[신부님]]께 따져야겠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다. [[세례성사]]를 받아서 [[세실리아]]라는 [[https://twitter.com/love_yuna/status/608540307127296001|영세명]]도 있지만 지금은 [[성당]]에 다니지 않는 [[냉담자]]인 것으로 추측된다.[* [[여담]]이지만 [[세례명]]을 율리아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2011년에는 비슷한 (약 10년의 세대차이는 있지만) '홍대 마녀'라는 별명을 가진 [[오지은(가수)|오지은]]과 한 음악프로그램에서 듀엣곡을 부른 적이 있다. 김윤아의 'Tango Of 2'[[http://www.youtube.com/watch?v=GRLEsw3amJI|링크]][* 김윤아 1집 수록. 본래는 [[유앤미루]]의 방준석과의 듀엣곡이다. 1절은 [[한국어]], 2절은 [[스페인어]]로 된 곡인데, 오지은의 전공을 살려 고른 노래인 듯.][* 노래를 부르고 김윤아가 "역시 전공자는 뭐가 다르군요"라는 멘트를 치자 오지은이 "전국에 계실 진짜 전공자 분들께 미안하다"라고 하기도.]와 심수봉의 '사랑밖엔 난 몰라'. 따로따로 진행된 김윤아와 오지은의 무대는 각각의 음악 세계를 잘 보여주는 훌륭한 무대였다. 오지은은 아주 좋아하는 무대라며 트위터에 올렸을 정도. [[https://twitter.com/heaventomorrow/status/756530445878038528|링크]]
         자우림, 김윤아의 음악에 대한 개인의 견해야 다양한 것이지만 작곡가의 곡을 받아서 연주하는 가수가 아닌 '''자신이 직접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는 싱어송라이터에게 '자의식 과잉' 이라는 표현은 잘못된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자기가 만드는 노래' 에 '자의식을 빼야' 한다는 건 애초에 성립하지 않는 주장이다. 차라리 "자의식에 진정성이 없다" 라든가 "자의식을 지나치게 패셔너하게 다룬다" 라는 식의 비판이 그나마 나을 수 있으나 이것들 역시 죄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허세 같다, 그냥 싫다" 는 비판은 유효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진정성이 없는지 판단할 기준도 없고 패셔너한 것도 죄는 아니다. 스타일리쉬한 영화 감독은 칭찬받는데 김윤아라고 그러지 말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
         ||<rowbgcolor=white> 47회[* 듀엣가요제 시즌 1 마지막 왕중왕전] || Trouble Maker || [[트러 메이커(가수)|트러 메이커]] || 443 || O ||
  • 박근혜 . . . . 9회 일치
         |혐의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랙리스트|문화예술계 랙리스트]] 관련 뇌물수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강요·기밀누설 등<br>----<br>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뇌물수수·국고손실)<br>----<br>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죄값 = 2심 징역 25년·벌금 200억 원, 검찰 단독 항소·상고로 상고심 진행중(최순실 및 랙리스트 관련)<br>----<br>1심 징역 6년, 검찰 단독 항소로 항소심 진행중. (국고손실 유죄. 뇌물수수 무죄.)<br>----<br>징역 2년 확정<ref>https://news.joins.com/article/23164465</ref>(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제5·6·7·8·9대 대통령 [[박정희]]의 차녀<ref group="주">박정희의 전처소생 [[박재옥]]이 있으므로 박근혜는 차녀가 된다.</ref>이자 [[육영수]]의 장녀로 [[대구]]에서 태어나 1963년 박정희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청와대]]에서 자랐다. 1970년에 [[서강대학교]]에 입학하여 1974년에 졸업했고, [[프랑스]] 그르노 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가 1974년 [[육영수 저격 사건|모친 사후]] 귀국하여 1979년 [[10.26 사건]] 이전까지 사실상 대통령 배우자 직무를 대행하였다. 아버지가 서거한 후에는 청와대에서 나와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의 이사장을 지냈다.
         박근혜는 대기업 관련 범죄·[[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랙리스트|문화예술계 랙리스트]] 등 혐의 18개 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 특활비 · 공천개입 등 혐의 3개에 대해 각각 재판을 받고 있다. 전자는 2심, 후자는 1심 판결이 나온 상태이다. 2018년 4월 6일 18개 혐의에 대한 1심에서는 혐의 16개에서 일부유죄 및 유죄가 인정되어 징역 24년 및 벌금 180억 원을 선고받았으며,<ref name=":0" />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 징역 25년 및 벌금 200억 원으로 형량이 늘어났다.<ref name=":2" /> 2018년 7월 20일 혐의 3개에 대한 1심에서는 2개가 인정되어 징역 8년 및 추징금 33억 원을 선고받은 상태이다.<ref name=":1">{{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0/0200000000AKR20180720096900004.HTML|제목=박근혜 '국정원 특활비·공천개입' 1심 징역 8년…33억 추징(2보)|성=송진원|이름=|날짜=2018-07-20|뉴스=연합뉴스|출판사=|언어=ko-KR}}</ref> 2개 재판을 합치면 혐의가 총 21개, 형벌은 총 33년형과 벌금 200억 원과 추징금 33억 원이다.
         [[서울장충초등학교]]에 입학하여 [[1964년]] 2월 졸업하였으며, [[정몽준]] 전 국회의원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그의 초등학교 동창이다.<ref>[http://news.mt.co.kr/view/mtview.php?no=2011091114473659729&type=1&outlink=2&EVEC 초등 동창 박근혜-정몽준, 대선 앞둔 지금은?]</ref><ref>[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19416&code=113 정몽준-박근혜 ‘외나무다리’ 만날까 - 위클리경향 814호]</ref> 그 뒤, 카톨릭계 미션스쿨인를 거쳐로 진학하였으며, [[1970년]] [[서강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에 진학하여 [[1974년]]에 졸업하였다. 같은 해 프랑스 [[그르노대학교]]에 입학하였다.
         *** 형부 [[한병기]] - 前 국회의원, 前 주캐나다 대사. 現 설악관광케이카 회장
         * [[2012년]] [[1월 2일]] "바쁜 '벌꿀'은 슬퍼할 겨를도 없다" <small>([[힐링캠프]]에 출연해 고 [[육영수]] 여사 서거당시 심정을 [[윌리엄 레이크]]의 '바쁜 꿀벌은 슬퍼할 겨를도 없다'를 잘못 빗대며)</small><ref>[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814125207525] 최지은 기자, 제 10장│바쁜 벌꿀, 텐아시아, 2012.8.14.</ref>
  • 박화요비 . . . . 9회 일치
         || '''소속사''' ||<(> 음악권력[* 신촌뮤직과 S&b Ent, [[라이온미디어]], 호기심스튜디오레이,주니힐 엔터테인먼트를 거쳤다] ||
         2007년, 몇년 전부터 앓아오던 성대낭종이 악화되어 수술을 받았다. 수술 회복 이후 2008년 초 6집 활동을 시작하고, 예능 [[우리 결혼했어요]]로 큰 인기를 얻었다. 특유의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와의 앙상은 코믹 그 자체. 자세한 사항은 후술할 문서 참조.
         데뷔 초부터 지금까지 주로 음악 프로그램 위주로 활동하였다. 공중파, 케이, 지역 방송사를 가리지 않고 꾸준히 출연하였다. 당시에는 활동 시기에 긴 공백기가 거의 없어서 TV 음악 프로그램에서 그녀를 자주 볼 수 있었다. 나중 이야기지만, '윤도현의 러브레터'에는 많이 출연한 가수 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4집 활동 도중, 추후 화요비의 제 2의 전성기를 열어준 예능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녀가 두각을 나타난 예능 프로그램은 [[KBS 2TV]]의 [[상상플러스]]로, 그 전에는 음악 방송에만 출연해왔기 때문에 그녀의 발언과 화제성의 파급력이 더 컸다고 볼 수 있다. 이휘재를 비롯한 출연진들을 빵 터지게 한 '케이 TV는 한 것을 자꾸 틀어준다는 발언'(...)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비슷한 기믹을 이어 '비디오' 관련 소재를 SBS [[X맨을 찾아라]]에서 사용하여 웃음을 유발하기도 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비디오 기믹의 유느님과의 콤비네이션이 유려하다!~~
         이전의 예능 출연에 비해 더더욱 대중적인 알림과 이미지를 구축한 것은 2008년 한가위 특집부터 출연한 [[우리 결혼했어요]]. 지고지순(?)한 여성적인 매력이 부각되고 특유의 말투와 캐릭터성이 절정에 달했던 시절로, 무뚝뚝한 남자인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와의 앙상은 팬들 입장에서보면 거의 환상 그 자체였다. 환희의 다소 마초적인 모습까지 화요비에 대한 여성 시청자들의 관심도를 상승시켰다는 점에 있어서 이래저래 시너지 효과가 장난이 아니었던 셈. 이후 [[언터쳐(가수)|언터쳐]]의 [[슬리피]]와 연애 사실이 알려지며 '가상결혼'에 대한 진실성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 [[언터쳐(가수)|언터쳐]]의 랩퍼 슬리피와 공개연애를 했었다. 차후 공개 연애는 안할 거라고.
  • 블랙 클로버/100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99화]] |||| '''랙 클로버/100화''' |||| [[랙 클로버/10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0. '''운명의 붉은 실'''
          * [[마녀왕]]은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를 조종해 [[노엘 실버]], [[핀랄 룰러케이트]]를 죽이나 그때마다 운명은 바네사의 의사대로 대체된다.
          * [[마녀왕]]은 바네사에게 기대하고 있던 "운명을 조종하는 힘"이 각성한 것을 직감한다. 그리고 그걸 시험하기 위해 조종하던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에게 [[노엘 실버]]를 죽이게 한다. 바네사가 안 된다고 외치자 고양이는 그 목소리에 반응한 것처럼 뛰어올라 아스타에게 달려든다. 하지만 고양이는 그저 아스타를 만진 것 뿐, 어떤 영향을 준 건지 전혀 알 수가 없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04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03화]] |||| '''랙 클로버/104화''' |||| [[랙 클로버/10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04. '''장미 아가씨의 우울'''
          * 그때 샬롯만 내버려두고 어딘가에 갔던 [[솔 마론]]이 돌아온다. 그런데 수습할 생각은 커녕 잘한다고 장단까지 맞춰주는게 가관이다.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슬슬 그만두지 않으면 진짜 죽을 거라고 말려달라고 하는데, 참으로 운 좋게 발이 걸려서 솔 마론의 가슴에 뛰어들게 된다.
          한 켠에 테이을 놓고 맥주가 준비된다. 룰은 간단. 1시간 동안 맥주를 몇 잔이나 마시냐를 놓고 승부한다. 술은 당연히 클로버 맥주. 원샷은 없는 걸로 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7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6화]] |||| '''랙 클로버/117화''' |||| [[랙 클로버/11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7. '''두 명의 공간마도사'''
          * 오빠가 한 없이 부끄럽기만 한 [[미모사 버밀리온]]과 달리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경탄을 금치 못하며 찬사를 쏟아냈다. 그러면 예의상으로라도 좋게 대꾸할 법도 한데, 키르슈는 아스타에게만은 가차없었다.
          * 이제 시합은 4시합으로 넘어간다. H팀과 G팀의 대결. G팀에는 아스타하곤 악연으로 얽힌 청동 마법의 [[셋케 브론자차]]가 있었다. 취록의 당랑 소속 5등 하급 마법기사. 대부분 튀고 싶어서 안달난 기사들 가운데, 셋케만은 여기에 와서 대후회, 못 올 곳에 왔다는 기분이다. 시합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강자들이 난무하자 자신감을 상실해 버린 것. 그가 참가한 것도 단장인 [[잭 더 리퍼(랙 클로버)|잭 더 리퍼]]가 권한 걸 넙죽 받은 탓이었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6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5화]] |||| '''랙 클로버/126화''' |||| [[랙 클로버/12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6. '''우등생 동생 vs 돼먹지 못한 형'''
          * 신나게 관전하건 [[마법제]]도 그 마법에 나오자 표정이 바뀌고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또한 어디서 느꼈던 흉흉한 기운이라 여기는데.
          * 공간마법 "타천사의 날개짓". 핀랄이 머리 모양이 바뀔 만큼 특훈을 해서 얻은 신 마법. 닿은 상대를 강제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옮기는 마법이다. 후배인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헌팅한 하고 다닌게 아니었다"며 환호했다. 핀랄은 또 한 번 타천사의 날개짓을 준비했다. 그의 상냥한 성격은 동생을 다치게 할 "공격 마법"을 쓸 순 없었지만 단지 멀리 옮겨 버리는 거라면 못할 리 없었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7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6화]] |||| '''랙 클로버/127화''' |||| [[랙 클로버/12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7. '''금색과 흑색의 불꽃'''
          * 이미 승부가 났음에도 랜길스는 그칠 줄을 몰랐다. 그는 핀랄이 사라져야 한다며 의식도 차리지 못하는 형을 공격하려 했다. 그때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매그너 스윙]], [[락 볼티어]]가 저지하고 나선다. 관중석에 있던 이들이 어느 새 날아와 랜길스의 목을 겨눴다. 비록 대회장에 난입하진 않았지만 [[챠미 퍼밋슨]]도 그리모어를 펼쳐들고 요격할 태세였으며 [[노엘 실버]]는 제일 먼저 핀랄의 상태를 확인하러 달려갔다.
          * 같은 금색의 여명단인 [[유노(랙 클로버)|유노]]나 [[클라우스 류넷]]은 부단장이 명백히 선을 넘는걸 보고 이유를 파악하지 못한다. 마르크스가 마법제에게 이걸 제지하지 않을 거냐고 묻는데 마법제는 매우 노한 표정이긴 했지만 둘의 대결을 말리려 들지 않았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33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32화]] |||| '''랙 클로버/133화''' |||| [[랙 클로버/13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33. '''로얄 나이츠 결성'''
          * [[유노(랙 클로버)|유노]]가 [[릴 부아모르티에]]의 승부를 끝으로 로얄 나이츠 선발 시합 종료. 최종 승자는 유노, [[노엘 실버]], [[엔 링가드]]의 I팀. [[잭스 류그너]]는 대회 종료 후 조용히 사라지려 했지만 마법제 율리우스가 그를 불러 세웠다. 마법제는 잭스의 재능이 필요하고 분명 선발에 합격할 것이니 부디 로얄 나이츠에서 힘써 달라 당부하는데, 잭스는 자신은 잭스 본인도 뭣도 아니라고 거절하려 한다. 하지만 마법제는 "자네도 원래는 마법기사"임을 지적하며 그의 아버지의 일을 언급한다. 마법제는 그의 아버지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다. 하층민이지만 뛰어난 마법기사였고 그 같은 인물이 좀 더 평가받을 수 있도록 별 시스템을 도입한 것도 그였다. 그런 사실을 언급하면서 지도자들의 불찰로 그가 다른 길을 걷게되긴 했지만, 이쯤에서 자기 단의 로브를 걸치고 복귀함이 어떻냐고 묻는다. 잭스는 마법제의 말대로 어떤 "맛이 간 단장"에게 로브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본인은 그 사실도 인정하지 않고 무시하고 있었다. 그래서 마법제의 권유에 대해서도 "나는 지나가던 되다만 슈퍼 마도사일 뿐"이라며 사라진다.
          * 한편 불완전연소로 대회를 마친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는 멍한 상태로 검은 폭우단 아지트에 방치돼 있다. 유노가 새로운 힘에 각성한 것이나 잭스가 실제론 사칭이었던 것, [[핀랄 룰러케이트]]의 용태 등으로 머리가 복잡해서 결국 아무 것도 못하고 있다. [[챠미 퍼밋슨]]도 유노에 대한 상사병이 도져서 멍하지만 밥은 잘 먹고 있다. 노엘이나 [[매그너 스윙]], [[락 볼티어]]는 서로 자기야 말로 로얄 나이츠로 선발될 거라며 티격태격한다. 핀랄은 목숨은 구했지만 여전히 중환자.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다. [[랜길드 보드]]는 연행. 노엘은 그가 막판에 발휘했던 수상한 마력을 찜찜해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2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1화]] |||| '''랙 클로버/82화''' |||| [[랙 클로버/8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2. '''마녀의 숲'''
          * 트러한 장면이 기다리고 있었다.
         판젤 크루거 일행은 랙 클로버 소설판의 등장인물. 국내엔 소개되지 않았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90화 . . . . 9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9화]] |||| '''랙 클로버/90화''' |||| [[랙 클로버/9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90 '''배반자와 속죄'''
          * [[판젤 크루거]]가 교관이던 시절은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나 [[라드로스]]도 평범한 소년들에 지나지 않았다.
          * [[판젤 크루거]]가 다이아몬드 왕국에서 교관을 하던 시절엔 [[마르스(랙 클로버)|마르스]]나 [[라드로스]]도 지금처럼 잔인한 성격이 아니었다. 젤은 이들의 힘이 다른 사람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가르쳤고 소년들은 그 말을 의심없이 믿었다. 이런 것들은 모두 과거의 일이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루 마블 . . . . 9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절대로 [[부루마불]]이 아닙니다.~~
         한국전쟁에 참가한 경력이 있는 해병 출신에 뛰어난 과학자다. 연구하다가 실수로 반물질을 만들어서 네거티브 존에 빠지게 되었고, 그 안의 네거티브 존 방사선에 의해 초능력을 얻게 되었다. [[슈퍼맨]]과 비슷한 능력에 [[반물질|반물질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조작할 수 있고, 일반적인 상태의 센트리에게 어느정도 대항하는 초음속의 스피드와 93,000톤 가량의 물체를 감당해내는 힘, [[센트리]]를 지구 밖으로 날려보낼 정도로 강력한 능력을 갖춘 초인. 같은 마 코믹스 캐릭터인 [[하이페리온(마 코믹스)|히페리온]], 센트리처럼 슈퍼맨과 비슷한 캐릭터.
         강력한 능력을 지녔으나 60년대쯤 히어로로 활동하던 중 케네디 대통령에게 불려나가 히어로 활동을 그만두기를 종용 당했다[* 흑인 차별이 심했던 당시 사회 여론을 의식한 대통령의 결정이었다.]. 이후 잠정적으로 히어로 활동을 중단하다 [[피어 잇셀프]]에서 잠시 등장. '[[인피니티(마 코믹스)|인피니티]]'에서는 뉴욕 한복판에 소환된 [[슈마고라스]]의 일부를 무찌르는데 일조했으며 [[루크 케이지]]의 마이티 [[어벤저스]]에 합류한다고 한다. 물체를 원자 단위로 볼 수 있는 능력도 있는데, 이걸 활용해서 반물질을 조작해 체내의 양성자가 반양성자로 인해서 분해되는 상태의 [[스펙트럼(마 코믹스)|스펙트럼]]이라는 여성 히어로를 구하기도 했다.
         루 마이란 이름은 아틀라스 코믹스[* [[마 코믹스]]의 전신 중 하나.]의 골든 에이지 히어로인 마 보이가 사용한 이름이기도 하다.
  • 소지섭 . . . . 9회 일치
         *레이: 킹핀 엔터테인먼트
         *레이: (주)SBS 콘텐츠허브
         *레이: [[CJ E&M]]
         *레이: 51K & [[CJ E&M]]
         *레이: 51K & [[CJ E&M]]
         *레이: 51K & [[CJ E&M]]
         *레이: 51K & [[CJ E&M]]
         *레이: [[CJ E&M]]
         | (주)랙야크
  • 손담비 . . . . 9회 일치
         | 레이 =
         | 관련활동 = 에스러쉬
         소속사에 들어가서는 트레이닝을 받았고 2002년에는 MBC의 시트콤 《[[논스톱3]]》에 단역으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준표도 담비도 출발은 단역 아이돌 스타 무명 시절 살펴보니 |url = 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출판사 = 스포츠서울 |저자 = 나지연 |날짜 = 2009-05-03 |확인날짜 = 2009-09-02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091011100530/http://www.sportsseoul.com/news2/entertain/hotentertain/2009/0503/20090503101040100000000_6928737571.html# |보존날짜 = 2009-10-11 |깨진링크 = 예 }}</ref> 이처럼 원래 손담비는 가수보다 배우가 꿈이었으며 기획사에 들어간 계기도 사실은 배우가 되기 위해서였다.<ref name="news">{{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원래 배우가 꿈, 연기 욕심 많다”(인터뷰③)|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4161748501002|출판사=뉴스엔|저자=유현진, 정유진|날짜=2009-04-17}}</ref> 2004년부터 가수가 되기로 결심하면서 춤을 배우기 시작했고, 2005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크럼핑을 배웠다.<ref>{{뉴스 인용 |제목 ="내 이름은 손담비, '몸치'였던 나의 이야기 들어볼래?"|url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DCD=A606&newsid=02086086583165328&OutLnkChk=Yl |출판사 =이데일리|저자 =박미애|날짜 = 2007-06-25|확인날짜 = 2009-09-02}}</ref> 크럼핑을 배울 당시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미국의 안무가 브라이언 프리드먼과 크럼핑 댄스의 창시자 릴C 등 유명인사들에게 배웠다.<ref>{{뉴스 인용|제목=미쓰에이 연습생 시절 보다 더 파워풀한 '손담비 연습생 시절' 영상|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출판사=ENS|저자=뉴스팀|날짜=2010-12-31|확인날짜=2010-12-31}}{{깨진 링크|url=http://ens.vop.co.kr/A00000350063.html }}</ref> 당시 릴C는 손담비에게 "너는 예쁘니까 그냥 연기나 해라"라고 할만큼 재능이 부족했지만, 오랜 연습끝에 춤을 잘 출 수 있게 되었다.<ref name="10아시아"/> 같은 해 2005년에는 CJ 뮤직이 글로벌 프로젝트로 에스러쉬라는 그룹을 결성해 초창기 멤버로 발탁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뉴스 인용 |제목 =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러시 멤버였다 |url =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 =머니투데이|저자 =김원겸|날짜 = 2007-05-06 |확인날짜 = 2014-05-15}}</ref> 2007년 5월에는 [[가희]]와 함께 에스러쉬 멤버로서 〈It's My Life〉를 발매했고, 미국 [[빌보드]] 핫 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 2위까지 진입했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빌보드 톱 랭크 에스-러시 멤버였다|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705061849043679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7-05-06|확인날짜=}}</ref> 하지만 팀 내부 사정으로 솔로로 전향하게 되었다.<ref name="머니투데이"/>
         2008년 2월 29일 게임 [[프리스톤테일2]]의 주제가 "Change the World"를 불렀다.<ref>[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136656 네이버 뮤직 - Change The World (프리스톤테일 2) O.S.T] 《[[네이버]]》</ref> 같은 해 4월 29일 손담비는 첫 미니 앨범 ''[[Mini Album Vol.1]]''을 발매하며 컴백 했다. 앨범의 타이틀 곡 "Bad Boy"로, 전 에스러쉬 멤버로 함께 활동했던 [[가희]]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이 때 손담비는 주로 여성스러운 이미지로 활동했다. "Bad Boy"는 발표한지 2주만에 음원 사이트 1위를 차지했고,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할때마다 검색어 순위는 1위를 차지하는 등 관심을 모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배드 보이', 29일 미니앨범 공개 후 '대박 조짐' |url=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327079|출판사=조이뉴스24|저자=박재덕|날짜=2008년 4월 20일|확인날짜=2011-02-06}}</ref>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후에는 조회수가 20만 건이 넘었고, 무대에서 입고나온 코르셋 스타일의 파격적인 의상도 많은 관심을 받아 홈페이지가 폭주하기까지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손담비 코르셋패션 "열기"...홈페이지 또 "혼수상태" |url=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63|출판사= 깜뉴스|저자=신명희 기자|날짜=2008년 5월 25일|확인날짜=}}</ref>
         2013년 3월 5일 《손담비의 뷰티바이》 제작발표회에서 손담비.
         * [http://blog.naver.com/dambipledis 손담비 네이버 로그]
  • 솔비 . . . . 9회 일치
         | 레이 =
         2010년 치유 목적으로 시작한 미술에 흠뻑 빠지며 화가로서의 역량도 발휘하고 있다. 2015년 'Trace'의 '공상'을 시작으로 셀프 콜라보레이션(서로 다른 두 개의 자아인 권지안과 솔비가 협업해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선보였다. 셀프 콜라보레이션은 2016년 '랙스완', '직지 코리아 국제 페스티벌' 초청작가, 2017년 '하이퍼리즘-레드', 2018년 '하이퍼리즘-루'까지 총 다섯 작품이다. 특히 솔비는 '하이퍼리즘'(정보와 콘텐츠의 홍수로 인해 현대인들의 욕망과 높아진 기대치들이 해소되지 못할 경우 반대로 오는 상대적 박탈감, 상실감 등의 부작용이라는 시대적 현상을 솔비가 정의한 용어)라는 신조어를 만들며 현대인의 우울과 상처에 대해 작품으로 표현했다. '하이퍼리즘-레드'<ref>{{뉴스 인용|url=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069|제목='다양성 가요계' 솔비가 쏘아 올린 작은 공|성=정진영 기자|이름=|날짜=2017년 6월 1일|뉴스=|출판사=한국스포츠경제|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는 여성의 상처를 주제로 KBS 2TV '뮤직뱅크'에서 파격적인 [https://tv.naver.com/v/1717804 '레드' 퍼포먼스]를 펼치며 신선한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2018년 3월 '하이퍼리즘-루'의 '클라스' 음원을 본인 유튜브채널에만 공개하는 등 독특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사회적 공헌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2012년부터 경기도 한 보육원에 재능기부와 선행 등 나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2016년엔 '파인드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음원 'Find'를 발매, 실종아동찾기 캠페인을 펼쳤다. 같은 해 12월엔 '손모아 장갑'을 발표하며 청각·언어 장애인들을 향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상처와 동정의 시선에서 벗어나 건강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왔다. 2017년엔 '다문화 아동 돕기 후원의 밤'에 참석해 특별 공연과 함께 5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 더불어 사회적인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솔비는 2014년부터 꾸준히 세월호 추모 그림을 그리며 남다른 애도를 표하고 있다. 더불어 2018년 1월 EBS '신년특집 미래강연 Q-호모커뮤니쿠스, 빅 픽처를 그리다'에 강연자로 출연해 "스토킹 처벌은 벌금 10만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솔비가 제안한 해당 법안은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조정 점검회의에서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방지 종합대책'으로 확정, '스토킹 처벌법'(가칭)이 제정됐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076873|제목=스토킹 뿌리뽑는다…벌금 10만원→최장 징역 5년 추진|성=김계연 기자|이름=|날짜=2018년 5월 10일|뉴스=|출판사=연합뉴스|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4&aid=0000530678|제목=강연자로 나선 솔비 “스토킹 벌금 불과 10만원” 지적…피해자 입장 법안 제정 당부|성=이유진 기자|이름=|날짜=2018년 1월 1일|뉴스=|출판사=|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또한 솔비는 2018년 '하이퍼리즘-루'의 '클라스'를 발표하며 통해 계급사회를 비판기도 했다. 2018년 6월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5859&cid=40942&categoryId=32774 뮤코다당증] 난치병 환우회에도 참석, 가족들에게 응원을 복돋아주기도 했다.
         디지털싱글 '랙스완(Black Swan)'
         하이퍼리즘 시리즈 2nd '하이퍼리즘:루' 디지털 싱글 '클라스(Class)'
         *2018년 '하이퍼리즘' '루' 경기도 장흥 빌라빌라콜라에서 국내 최초 아트 하우스 콘서트 개최.<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241&aid=0002789255|제목=솔비, 퍼포먼스 페인팅→경매→슈트 제작까지…기획력 빛났다|성=이미현 기자|이름=|날짜=2018년 5월 21일|뉴스=|출판사=일간스포츠|확인날짜=2018년 6월 28일}}</ref>
         |셀프 콜라보레이션(Self-Collaboration) 4th '하이퍼리즘: 루(Hyperism-Blue)' 발표 및 전시. 빌라빌라콜라, 솔비 스튜디오, 경기 양주
  • 이지아(배우) . . . . 9회 일치
         그러나 위에 '정리된 것'을 클릭해 보면 알 수 있듯이, 김순흥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사실을 지적하는 글이 대형 카페에서 아무런 이유 없이 삭제되기도 했고, 로그에 올라온 글도 명예훼손으로 신고를 당해 게시 중단된 사실이 있다. [[http://nila.tistory.com/133|*]]
         15년 전(1996년 11월 20일) [[스포츠서울]][* 그런데 15년 후에 이혼기사를 가장 처음으로 보도한 언론도 '''스포츠서울'''이었다.--15년을 벼르고 별렀다-- --15년? [[JTBC]]는 [[언론통폐합|30년을]] [[동양방송|별렀는데]]--]에서 이 진실을 보도한 적이 있으나, 당시는 오보취급 당하고 묻혔다. ~~15년 묵은 성지~~ --[[맨 인 랙]]-- --[[서태지|모진 놈(?)]] 옆에 있다 벼락 맞는 식으로 본의 아니게 정의구현을 당하고 있는 [[신은경(배우)|신은경]]--
         [[디아로 3]] 공식 홈페이지에 [[리쌍]], 작곡가 [[윤일상]]과 함께 인터뷰 영상이 올라왔다. 제목은 [[http://kr.battle.net/d3/ko/blog/1468860/회상_디아로를_추억하며-2012_05_03#blog/|"회상: 디아로를 추억하며..."]]. 실제로 [[왕십리역]]에서 발매기념 사인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근데 서태지의 자동차가 [[람보르기니 디아로|디아로]]였다--
         [[이탈리아]] [[피아트]] 그룹 산하의 최고급 스포츠 승용차 브랜드인 '''[[마세라티]]'''가 이지아 때문에 인지도가 급상승했다. 이지아는 [[마세라티]]의 플래그쉽 [[FR(자동차)|후륜구동]] 대형 세단인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콰트로포르테]] 5세대의 오너(사실은 리스차량)인데, [[2013년]] 4월의 어느 날에 음주한 후 대리운전 기사를 불러서 이동하다가 논현동에서 대리운전 기사가 [[현대 쏘나타|쏘나타]] [[경찰차]]와 접촉 사고를 내는 바람에 [[마세라티]]가 더 알려졌다. 6세대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콰트로포르테]]의 출시를 앞둔 상황에서 일어난 일인지라, 실제로 [[마세라티]]/[[페라리]] 수입사인 FMK 측에서는 이지아의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콰트로포르테]] 접촉사고 때문에 [[마세라티]]의 인지도 상승에 득이 되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본의아닌 노이즈가 있고 난 후 출시되었던 [[마세라티 기리|기리]], 6세대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콰트로포르테]]의 판매량이 늘어 [[마세라티]]의 국내 판매량이 증가하기도 했다. ~~고마워요 이지아~~
  • 최정호 (성우) . . . . 9회 일치
         *[[볼츠와 립]]([[KBS]]) - '''볼츠'''
         *[[메타제트]]([[KBS]]) - 랙 클라우드 기술사관 / 노아
         *[[레미제라 소녀 코제트]]([[애니원]]) - 콩브페르
         *[[가면라이더 레이드]]([[챔프]]) - 다카하라
         *[[트랜스포머 (영화)|트랜스포머]]([[KBS]]) - 범비([[마크 라이언]])
         **[[트랜스포머2]]([[KBS]]) - 범비([[마크 라이언]]) / 머드플랩([[톰 케니]])
         *[[포인트 랭크]]([[KBS]]) - 마르세르
         *[[라인드 가이]]([[KBS]])
         * 2000.03.12 피자 그리고 루마운틴
  • 토리코/358화 . . . . 9회 일치
         시공을 넘나드는 네오와 루 니트로의 진실.
          * '''"루 니트로"는 다른 우주에서 네오를 쫓아온 존재다. 지금 우주는 "레드 유니버스"다'''
          * '''루 니트로들은 레드 유니버스의 원주민인 "레드 니트로"를 노예화하고 "지구"의 조리를 시작한다'''
         지로와 루 니트로가 대치 중인 장소
          * 지로와 대치 중인 루 니트로는 '''"질량 보존의 법칙처럼 구르메 세포가 형성된 생물은 구르메 에너지를 가지며 육신이 죽더라도 언젠가는 부활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러나 '''네오에게 먹힐 경우엔 완전히 소멸하며 부활하지 못한다.''' 이것이 네오의 진정한 두려움이라고 한다
          * 네오는 사실 이 세계에 속한 존재가 아니라 "다른 우주"에서 온 존재였다. 루 니트로들은 그 네오를 추적해서 이 우주로 온 것이다.
          * 지금 우주의 이름은 "레드 유니버스". 따라서 루 니트로와 네오의 우주는 "루 유니버스"일 것이다.
          * 루 니트로, 레드 니트로라는 것은 단순한 계급명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우주의 존재임을 뜻하는 거였다.
  • 토리코/366화 . . . . 9회 일치
         풀파워가 된 지로는 압도적인 힘으로 루 니트로를 제압해 나간다.
          * 지로는 100% 파워를 해방하고 루 니트로는 '''"죽일 수 없다면 조리한다"'''면서 병따개를 준비한다.
          * 지로 앞에서 '''황금식기'''를 꺼낸 루 니트로는 갑자기 자신들은 "구르메 세포의 악마"라며 설명을 시작한다.
          * 지로는 그걸 '''"농담"치부'''하며 자신을 묶은 와이어를 끊어내 버리고 '''루 니트로들을 일방적으로 박살내 버린다.'''
          * 마치 장난하듯이 하나씩 하나씩 루 니트로를 처단하며 그들의 공격을 가볍게 받아친다.
          * 루 니트로는 숫자를 앞세워서 공격해 오는데, 몇몇은 지로에게도 타격을 주긴 하지만, '''"타임 노킹"'''까지 사용하는 지로의 상대는 되지 못한다.
          * 이렇게 일방적으로 싸우던 지로는 마지막으로 남은 루 니트로를 공격하려다 '''"너 어딜 보냐"'''며 잠시 방심한다.
          * 완전히 지로무쌍타임. 루 니트로는 유효타도 거의 먹이지 못하는데다가, 기껏 먹여봐야 데미지를 노킹해서 무효화시킨다. 물리 면역 ㄷㄷㄷ
          * 지로는 입김만으로도 노킹을 거는데 루 니트로 정도 되는 존재도 저항을 못하고 노킹에 걸린다.ㄷㄷㄷ
  • MC메타 . . . . 8회 일치
         ||<:> '''[[한국의 힙합 레이들|소속 레이]]'''||<(> [[한량사]] ||
         90년대 중반부터 [[렉스]]라는 하이텔 PC통신 흑인음악동호회에서 활동했고, 거기서 [[나찰]]과 만났다. 97년도 렉스 멤버들과 '푸른굴 양식장'이란 공연장에서 공연하다가, 98년부터 '푸른굴양식장'이 이름을 바꾼 클럽 [[마스터 플랜]]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실제 한국힙합씬에서 MC메타가 끼친 영향력은 대단하다. [[타이거 JK]]는 가장 존경하는 래퍼로 mc메타를 꼽고 있으며, [[허클베리피]]는 mc메타의 프리스타일 영상을 보고 래퍼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더 콰이엇]]역시 엄청난 MC 메타의 추종자(?)로, 그가 속해 있던 레이 소울컴퍼니의 멤버들 역시 메타를 정신적 지주로 여겼다.
         2015년 여성 래퍼 최삼과 같이 뉴스타파 설파에 출연하여 힙합씬에 만연해 있는 잘못된 문화를 꼬집는 '쇼미더힙합'을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VP_UN-Zrj8&feature=youtu.be&app=desktop|영상]] 여기서 랙넛을 간접적으로 디스한다. 이 곡은 이후 [[랙넛]]이 인디고 차일드에서 그를 디스하는 계기가 되었다.
         실력은 공식 데뷔로는 14년차 렉스시절까지 합하면 거의 20년 동안 랩을 하고 있지만, 뒤처지고 있다는 느낌은 전혀 없다. 수준급 스토리텔링과 시적인 가사, 특유의 한국어 라임 구성, [[붐뱁]] 비트, 재지(Jazzy)한 비트, [[트랩]] 비트 등에서도 랩을 할 수 있는 넓은 비트 스펙트럼. 플로우는 단조롭다고 느낄 수 있고, 엇박을 잘 타는 것도 아니지만 랩에서 느껴지는 무게감과 포스가 그 모든 걸 덮는다. 2018년 현재 48세란 나이가 무색할 정도이다. 가리온 2집의 '그리고, 은하에 기도를'에서 아직 본인의 랩 실력이 꺾이지 않았다는 걸 보여준다. 대부분의 1세대 래퍼들이 현재 랩을 안 하거나 퇴물 취급 받는 것과는 아주 대조적인 모습이다.[* 실제 마스터플랜 멤버 중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랩 작업물을 내는 건 메타와 나찰 정도 밖에 없다.--더럽게 안내지만--]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42화 . . . . 8회 일치
          * "랏슈"라는 무투가의 공격력은 키리시마의 레드 라이오트 언브레이커을 아득히 상회, 심지어 패트껌의 지방층으로도 충격을 상쇄할 수 없다.
          * 1층에선 [[버걸]]과 [[센티피더]]가 경찰과 협조해 시에핫사이카이 조직원을 거의 체포했다. 버걸은 설마 전원이 방해하러 올 줄은 몰랐다며 제정신이 아니라고 비난한다. 이래서는 잡히러 온 것 밖에 안 되니까. 조직원들은 "제정신이라 잡히러 왔다"고 반박한다. 얌전히 있으면 오버홀에게 반드시 죽었을 거라며. 그들은 오버홀, 아니 치사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모든게 변했다고 털어놨다. 원래 지금의 두목은 야쿠자 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 시에핫사이카이도 빌런집단과 선을 긋고 어디까지나 "협객"으로서 양지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조직원들은 그런 두목의 뜻을 따랐다. 반기를 든 것은 두목의 아들이었던 치사키. 그가 오버홀이란 이름을 걸고 조직을 장악했다. 그러고 나서는 빌런 같은 이름을 대고 행동을 했으며 빌런과 힘을 합쳤다. 개성 관련 금지 약품을 유통한 것도 치사키. 반항은 할 수 없었다. 조직원들은 현두목이 와병생활을 하게 된 것도 분명 오버홀의 짓이라고 수군댔다. 버걸은 그렇게 치사키를 싫어하면서도 그가 잡힐 거라고, 실패할 거라 생각하진 않는 거냐고 반문한다. 조직원은 그렇다고 답했다.
          * 키리시마가 먼저 반응했다. 그가 본 것은 주먹. 키리시마는 곧바로 "레드 라이오트 언브레이커"을 발동한다. 적의 주먹 따윈 맞아서 부러뜨릴 각오였다. 패트껌과 키리시마에게 폭풍처럼 떨어지는 러쉬. 패트껌은 문제 없다. 두터운 지방층 덕이다. 그렇지만 상당한 충격. 일순 움직이지 못한다. 새로 나타난 철포옥 핫사이슈는 그렇게 놀라워하지도 않는다. 주먹을 거둔 그는 상당한 무투파로 보인다. 패트껌 정도는 아니지만 상당한 덩치다. 무투파답게 총이나 칼을 쓰는 싸움은 "멋모르는 짓"이라고 입을 연다.
          * 폭격을 맞은 것처럼 날아간 키리시마. 무적의 방패였던 언브레이커이 깨졌다. 두 팔의 피부가 깨져서 피가 흘러나온다. 적의 공격력은 언브레이커 조차 상회하고 있다.
          >이런 조무래기 빨리 날려
  • 닥터 시바나 . . . . 8회 일치
         [[샤잠]]과 대립하는 악당이며, 과거 [[캡틴 마]]이던 시절부터의 적이다. 그에게 빨간 치즈덩이(Big Red Cheese)라는 별명도 붙였다.
         샤잠이 포셋 코믹스의 캡틴 마이던 시절의 캐릭터라 이쪽도 원래는 포셋 소속이었으나 이후 DC에 포셋이 흡수되면서 재등장했다.
         [[아이박]] 등 샤잠의 다른 빌런들과 동맹을 맺기도 했으며, 이중에는 [[랙 아담]]과 [[미스터 마인드]]도 있다.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에 가입하기도 했다.
         New52에서도 등장하며 이전의 시바나와 달리 악인이 아니며 외모도 대머리에 안경 외에는 인상이 달라졌다. 가족을 구하기 위해 [[마법]]을 찾아해매며 이때 랙 아담의 무덤을 조사하다 번개에 맞아 마법을 보는 눈을 얻었다. 이 눈을 이용해 랙 아담을 부활시키고, 그를 미국으로 안내한다. 이후 흩어져있던 7대 죄악을 모아 랙 아담의 앞에 대령한다.
         랙 아담이 사라진 후에는 아담이 락 오브 이터니티의 문을 연 곳으로 향하는데 안에 들어가려 해도 보이지 않는 장멱 탓에 그러지를 못했다. 과학은 자기 가족을 구하는데 실패했으니 이젠 마법이라며 들여보내달라 하고, 그런 그에게 방 안에 봉인되어있던 미스터 마인드가 말을 걸어온다.
  • 맥스 페인 . . . . 8회 일치
         [[윈도우 비스타]] 이후 버전은 맥스의 대사, BGM, 중간중간 삽입된 그래픽 노에서의 대사가 들리지 않는다. 들리는 것은 적의 고함소리와 총소리 뿐. 거슬린다면 사운드 패치를 적용하자.
          Jack Lupino. 펀치넬로 패밀리의 언더보스. 매춘, 마약매매, 청부살인을 밥줄로 삼고있다. "발키리"를 밀거래하고 있었기에 맥스가 펀치넬로 패밀리에 잠입수사를 벌이는 이유가 되었다. 뇌가 벽에 튀긴 모습을 보려고 사람을 쏠 정도로 미쳐버린 상태로 펀치넬로 또한 이를 알고 있어서 개선하지 않으면 트리오를 보내겠다고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루피노는 인신공양을 할 정도로 미쳐버렸기에 효과가 없었다. 라그나록에 쳐들어 온 맥스를 죽이려고 했지만 맥스에게 죽는다. 맥스는 루피노가 죽은 후에도 그에게 총을 쏜다. 더배럴 샷건과 화염병으로 무장했기에 짜증난다. 화염병 작작 던져라.
          Boris Dime. 화물선 "카론"의 선장. 러시아 갱단 보스인 라디미르의 무기를 운송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라디미르를 배신하고 펀치넬로에게 붙는다. 결국 라디미르의 제안을 받은 맥스에 의해 죽는다. 사용하는 무기는 더배럴 산탄총.
          * [[라디미르 렘]]
          Casa di Angelo. 안젤로 펀치넬로가 운영하는 레스토랑. 라디미르와의 거래로 무기를 확보한 맥스가 펀치넬로와 만나기로 한 곳이었지만, 펀치넬로는 카사 디 안젤로 전체에 휘발유를 끼얹은 후 맥스가 오자 불을 질러버린다.
  • 미스터 피어 . . . . 8회 일치
         [[마 코믹스]]의 빌런.
         본명 졸탄 드라고. 원래 밀납인형 박물관 경영자였으나 자신의 화학지식으로 인형들을 생명체로 만들어서 부하로 삼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공포가스를 얻었다. 공포가스를 이용해 옥스, 일을 부하로 삼아 펠로우쉽 오브 피어라 칭하며 활동을 시작, 그러나 데어데에게 패했다. 최초의 미스터 피어이나 두번째 미스터 피어은 스타 색슨의 손에 죽었다.
         본명 스타 색슨. 자신의 로봇으로 데어데을 죽이려 했지만 역으로 데어데이 로봇들을 죄다 쓰러뜨렸고, 이에 자신이 직접 데어데을 쓰러뜨리기로 했다. 그것을 위해 1대 미스터 피어를 죽이고 공포가스를 비롯한 장비를 빼앗았다. 현재는 사망.
         본명 래리 크래스턴. 무려 데어데의 법학과 동기지만 적이 되었다. 1대, 2대와 달리 마음을 조종하는 마약을 만들어 악당들에게 퍼뜨렸고, 심지어는 데어데의 아내에게도 마약을 제공헤 정신병자로 만들었다.
         본명 애런 페이건. 3대 미스터 피어의 조카이다. 1대부터 3대까지 데어데의 적이었지만 그는 스파이더맨의 적이 되었다. 닉 퓨리의 시크릿 워에도 등장했다.
  • 베이식 (가수) . . . . 8회 일치
         | 레이 =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
         | 소속팀 = 더 트러
         '''베이식'''(Basick, {{본명|이철주}}, [[1986년]] [[8월 12일]] ~ )은 [[이노베이터]]와 같은 [[더 트러]] 멤버이자 힙합 가수이다.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廣州)]]로 베이식은 2007년 2월부터 리드머 스튜디오를 통해 처음 가사를 쓰고 랩을 시작해 꾸준히 활동하다, [[2007년]] 여름 Z-juc 의 앨범을 통해 데뷔를 했다. [[DJ Soulscape]] 창작과 비트 Rap Competition 에서 2위 수상한 경력이 있으며<ref>[http://www.openmic.co.kr/bbs/bbs/viewbody.html?code=bbs_3&category=61&page=1&sort=1&number=210813&keyfield=&key= DJ Soulscape 랩컴피티션 발표]</ref>, 2007년 11월, 크루 [[Jiggy Fellaz]]에 영입되었다. [[이노베이터]]와 함께 [[더 트러]]을 결성했다. Jiggy Fellaz의 Vasco가 설립한 Independent Record로 거처를 옮겼지만 Vasco의 이혼으로 레이이 와해되며 현재 [[RBW]]와 계약을 맺었다.
  • 블랙 클로버/115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4화]] |||| '''랙 클로버/115화''' |||| [[랙 클로버/11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5. '''못 봐주겠네'''
          * A팀의 저격 전술을 파훼했으나 허점을 노출해 궁지에 몰린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미모사 버밀리온]].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19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8화]] |||| '''랙 클로버/119화''' |||| [[랙 클로버/12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19. '''좀 더'''
          * [[릴 부아모르티에]]는 어리숙한 첫인상과 달리 분명 단장급의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혼자만의 힘으로 상대팀의 총공격을 막아냈을 뿐만 아니라 상대측의 두 마법기사를 간단히 제압, 손쉽게 I팀의 승리로 연결시킨다. 동료들도 그의 실력에 대해서는 두말이 없어졌지만, 정작 그는 방금 전 "한 장"이 썩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가 쓴 회화 마법은 시합장의 지형을 바꿀 정도로 엄청난 위력을 선보였으나 그 개인적으로는 아쉬운 구석이 많다며 반성하고 있었다. 동료들은 좀 더 시합에 집중해주질 바랐지만 이루어질 것 같지 않았다. 그의 집사 "발터"는 이런 태도 조차도 "도련님이 정신을 똑바로 안 차리니까 주변 사람들이 정신을 똑바로 차리게 하는 거다"고 이 또한 그의 재능이라고 포장한다. 어리숙한 걸론 안 빠지는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 조차 납득하지 못하는 설명이었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0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19화]] |||| '''랙 클로버/120화''' |||| [[랙 클로버/12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0. '''인연'''
          * 드디어 [[유노(랙 클로버)|유노]]와 [[노엘 실버]]의 팀이 시합. 그런데 세 번재 멤버는 곧 죽을 것 같은 관상의 묘한 아저씨였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3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2화]] |||| '''랙 클로버/123화''' |||| [[랙 클로버/12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3. '''하층민의 함정'''
          * [[잭스 류그너]]는 하룻밤을 공들인 함정마법을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가 깨끗히 지워버리자 노발대발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5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4화]] |||| '''랙 클로버/125화''' |||| [[랙 클로버/12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5. '''아름다웠다'''
          * [[매그너 스윙]]과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의 동문대결 현장에 난입한 [[네르슈 버밀리온]]. 아스타는 매그너를 상대하느라 대응할 겨를이 없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128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27화]] |||| '''랙 클로버/128화''' |||| [[랙 클로버/12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28. '''금색과 흑색의 불꽃'''
          * 클로버 국왕은 눈 앞에서 이변이 벌어지고 있었지만 파악할 역량 조차 없는지 "짐 앞에서 무슨 짓들이냐"고 아우성칠 뿐 아무 역할도 하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마법제는 할 테면 해보라는 듯 "당장 [[아스타(랙 클로버)|아스타]]와 시합하겠다"는 [[랜길스 보드]]의 요청을 허가한다. 하지만 허락이 떨어지기 무섭게 둘이 붙으려 하자 시간 구속마법 "크로노 스테이시스"로 정지시킨다. 실전같이 싸워주면 좋긴 한데 어쨌든 이건 "시합"이라는 것. 하지만 둘의 열이 식기 전에 준비를 마치겠다고 말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2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1화]] |||| '''랙 클로버/52화''' |||| [[랙 클로버/5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2. '''마력이 없는 자'''
          * 마나에게 사랑 받는 자신들이 질리는 없으나 어째서 아스타처럼 마나도 없는 자가 "랙 클로버의 마도서"를 가지고 있는지 의문스러워하며 회수하겠다고 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3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2화]] |||| '''랙 클로버/53화''' |||| [[랙 클로버/5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3. '''네놈의 것이 아니다'''
          * 리히트는 아스타가 "그 분"의 검을 쓰고 있다면서 어째서 아스타가 랙 클로버의 마도서를 쓰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9화 . . . . 8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8화]] |||| '''랙 클로버/89화''' |||| [[랙 클로버/9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9. '''배반자와 속죄'''
          * 다이아몬드 왕국의 대군을 가로막은 [[판젤 크루거]]. 젤은 칼을 빼든 채 과거의 제자였던 [[마르스(랙 클로버)]]와 [[라드로스]]에게 물러날 생각은 없냐고 묻는다. 마르스는 말이 없지만 라드로스는 신나서 주절거린다. 오히려 그 말은 자신들이 할 말이며 그들은 마녀의 숲을 침략해야 할 필요도 있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알프레드 우든 . . . . 8회 일치
         병원에서 탈출한 맥스가 그를 찾아가 이너 서클이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 이유를 물어보자, 우든은 [[라디미르 렘]]이 범인이라고 지목한다. 몇년간 우든을 위해 더러운 일을 하던 라드는 우든이 암으로 죽어가며 권력을 잃게되자 반란을 일으킨 것이었다.
         라드는 우든이 모든 것의 흑막이라고 주장한다. 그가 지방 검사를 겁주기 위해 발할라 계획에 대한 정보를 보냈는데, 그걸 어쩌다가 미셸이 보게 된 것. 그 결과 미셸과 그녀의 딸이 증거인멸을 위해 마약중독자의 손에 죽은 것이었다. [[모나 색스]] 또한 우든의 부하로, 라드의 편을 든 이너 서클 멤버를 죽이는 일을 맡고 있었다.
         이후 라드에게 저택을 습격당한다. 라드는 이미 우든의 경호원을 매수해두었다. 그는 자신의 저택에 쳐들어온 라드를 목졸라 죽이려 하지만, 결국 라드의 반격에 사망한다.
  • 원피스/874화 . . . . 8회 일치
          * 그 다음 빅맘이 뇌운 "제우스"에 타고 있다는 점에 착안, 자신도 크리마텍트로 뇌운 "랙 볼"을 생성해 제우스의 관심을 돌린다.
          * "번개는 번개를 좋아한다"는 나미의 추정대로 제우스는 랙 볼을 맛있는 간식으로 여겨 정신이 팔리고, 이 때문에 빅맘은 제우스에서 떨어진다.
          * 제우스는 나미에게 다가와 "랙 볼을 더 달라"고 요구하는데 나미는 매일 랙 볼을 줄테니 "나의 시종이 되어달라"고 요청해 진지하게 고민한다.
          * 빅맘은 제우스에 타고 있었다. 그 말은 제우스가 없으면 빅맘의 기동성은 대폭 저하될 거란 것. 뇌운, 구름에 대해서라면 나미도 자신이 있었다. 그녀는 크리마텍트로 자신의 뇌운 "랙 볼"을 다량으로 만들어 허공에 뿌렸다.
          나미의 판단이 정확했다. 느긋한 얼굴로 빅맘을 태우고 다니던 제우스는 근처에 떠다니는 작고 검은 뇌운들에 시선을 빼앗겼다. 빅맘이 다시 한 번 위국을 쓰려고 나폴레옹을 치켜들었던 그때, 제우스는 임무도 팽개치고 랙볼을 따라 방향을 돌렸다. 빅맘은 발 밑이 흔들리면서 땅바닥에 위국을 꽂았고 자신도 중심을 잃고 추락했다. 주인을 닮아도 너무 닮은 제우스는 빅맘이 그러거나 말거나 한 줄로 늘어선 랙볼을 차례로 맛보며 "맛있다"를 연발했다. 그때까지 상공에서 지켜보던 "프로메테우스"가 이 어이없는 실수에 뜨악해한다. 나폴레옹도 황당해한다. 둘이서 질책해도 간식에 정신 팔린 제우스는 들은 척도 없었다. 그 사이 킹밤은 반토막난 몸으로도 바람 같이 달려서 유혹의 숲으로 향했다.
          이 황당한 요구에 응답한 것은 상디. 징베가 폭주 상태의 그를 점잖게 말린다. 하지만 제우스의 상태도 크게 다르진 않았다. 나미가 "매일 랙 볼을 먹여주겠다"고 꼬시자 진지하게 "어쩌지 어쩌지"하며 고민에 빠진다. 충성심이고 뭐고 찾아볼 수 없는 모습. 나미가 "하늘도 가릴 수 있을 정도로 큰 먹구름이 되게 멋있다"고 칭찬해주자 그런 칭찬 받아본게 처음이라고 어쩔 줄을 몰라한다. 이러다 정말 이적 시장에 나올지도 모르겠다.
  • 타루 . . . . 8회 일치
         | 레이 =
         # 날씨 맑음 ([[미스티 루]] cover song)
         * [[타로]] [[꿈꾸라]] - <시그널 송 "당신과 함께할 타로와 꿈꾸는 라디오" 2008 Ver.>
         * [[타로]] [[꿈꾸라]] - <시그널 송 "타로와 꿈꾸는 라디오" 2014 Ver.>
         * [[링캔유]] 광고곡 《Lovely Pink》- 〈Bling Bling〉
  • 토리코/365화 . . . . 8회 일치
         루 니트로와 대치하고 있던 [[지로"지로(토리코)"]]는 압도적인 힘으로 루 니트로를 제압한다.
          * 지로의 압도적인 힘에 루 니트로는 고전을 면치 못한다.
          * 루 니트로들도 혼신의 힘을 다 한 반격을 가하지만 지로는 끄떡도 없다.
          * 루 니트로는 그 가공할 힘을 '''팔왕이나 구르메 세포의 악마에 비견'''한다. 하지만 지로는 '''"재생기관"을 가진 인간'''인데, 인간의 몸임에도 '''"어둠의 세포"'''가 농축되어 있다는데...
          * 지금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네스 펀치는 루 니트로들이 '''"지구를 멸망시킬 작정이냐"'''고 물을 정도의 파괴력
          * 루 니트로들은 "어쩔 수 없게 됐다"며 '''"병따개"'''를 사용하겠다고 하는데...
          * 루 니트로는 팔왕이나 네오에는 못 미쳐도 이 세계 정점에 달한 실력자들이란게 통설이었는데, 100% 상태도 아닌 지로에게 완전히 박살나면서 완전히 체면을 구겼다.
  • 토리코/393화 . . . . 8회 일치
          * 아카시아는 루니트로 페어에게 네오에 대해 들은 후 네오 안에 갇힌 식령들을 해방코자 했다.
          * 하지만 그가 스스로 "어리석다"고 말한 것에 루 니트로 페어는 수긍하지 못한다. 그들이 처음 만났던 그 시절. 아카시아와 동행하던 페어는 문득 이런 이야기를 했다. "동포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것은 아카시아 안에 있는 네오의 존재와 루 니트로가 세운 봉인 계획을 설명하던 과정에서 나온 말이었다. 아카시아가 자세히 묻자 페어는 실언이었다며 그런거 보다 봉인 계획에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한다. 하지만 아카시아는 어딘지 석연치 않은 표정이다.
          * 그 혼신의 연구가 설득력을 얻은 것인지 페어는 드디어 "정말로 동포들을 구할 수 있는 거냐고" 묻는다. 아카시아는 시도할 가치는 충분하고 성공만 한다면 모두를 구하는데다 "푸른 식재" 또한 먹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 말을 들은 페어는 눈에서 눈물이 흘러내린다. 하지만 루 니트로에게 "울음"이란 문화가 없었기 때문인지 그것을 "눈에서 군침이 흘러나온다"고 표현한다. 아카시아는 그것은 "눈물이라고 부르는 것이다"라고 가르쳐준다.
          * 루 유니버스와 레드 유니버스를 오가며 어마어마한 음식을 먹어온 네오. 그 양은 아카시아 조차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지만 그의 "콤비"는 이미 새로운 식재의 조리를 마쳤다.
         페어의 선역화와 함께 어느 정도 가능성이 생겼던 아카시아의 선역화가 기어이 완성. 사실 아카시아가 선한 목적을 가지고 위악하고 있을 거라는 설은 꾸준히 있었지만 지로를 죽이던 시점에서 완전히 폐기되다시피했다. 아카시아의 계획은 네오 안에 갇힌 식혼들을 구하고 루 니트로들이 잃어버린 동포와 식재들을 복구한다는 것. 우주적인 입장에서 보면 네오에게서 동맥경화 일으키듯 막혀버린 맛의 순환이 재개되는 것이니 루 니트로들이 세운 봉인 계획에 비해 훨씬 이로운 것이다.
         또 페어는 센터를 먹은 아카시아를 네오에게 먹여 완전히 부활시킨 후 봉인하려 들었고 이게 원래 합의됐던 계획처럼 묘사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아카시아에게 설득 당해 다른 루 니트로들에겐 비밀로 새로운 작전을 짠 걸로 묘사된다. 이 또한 모순된 묘사다.
  • 판타스틱 포(2015년 실사영화) . . . . 8회 일치
         [[미국]] [[영화]]. [[마 코믹스]]의 [[판타스틱 포]] 실사영화다. 2015년에 개봉했으며 개봉일은 8월 7일(미국기준). 국내 개봉은 8월 20일.
         [[위플래쉬]]로 주목받고 있는 배우 마일즈 텔러가 '리드 리차드/[[미스터 판타스틱]]'을, [[케이트 마라]]가 '수잔 스톰/[[인비저 우먼]]', 크로니클에서 학생 회장이자 초능력자인 스티브로 열연했던 마이클 B. 조던이 '쟈니 스톰/[[휴먼 토치]]'를 맡으며 [[제이미 벨]][* 빌리 엘리어트의 소년 역, [[설국열차(영화)]]의 에드가 역.]이' 벤 그림/[[씽(마 코믹스)|씽]]'의 역할을 맡는다. [[닥터 둠]]의 역에는 [[혹성탈출 : 반격의 서막]]의 [[코바]] 역을 맡은 바 있으며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에 [[듀로탄]] 역을 맡을 예정의 배우 [[토비 캡벨]]이 맡는다.
         마의 유명인사인 판타스틱 포의 리부트 영화이기에 기대를 모으기도 했으나 아쉽게도 우려가 많았다.
         이 영화의 실패로 서구에서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를 예시로 들며 이 기회에 판타스틱 포가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로 돌아올 가능성이 생겼다며 전화위복으로 생각하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어떻게 될지는 일단 두고봐야 할 것이 먼저 어메이징 스파 시리즈가 샘 레이미 스파이더맨 시리즈보다 격이 떨어지고, 어메이징 스파2가 그렇게 되긴 했지만 스파이더맨의 MCU 참가는 그것만이 이유가 아닌데다 완전히 돌아왔다고 보기 뭐해서 이를 예시로 들어야 할지는 뭐하다. 결국 폭스는 판타스틱 포의 판권을 포기하지 않았으며 속편도 내놓을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감독은 교체하고 배우들은 그대로라 하는데 2015년판의 오명을 떨쳐내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듯 하다. 그러나 결국 이 속편은 무산되었다고 한다.(...)
         사실 폭스의 의향이 어떻건 마 스튜디오가 폭스를 상대로 판포 판권을 회수할 가능성은 뭐하다고 볼 수 있는데 애초에 판타스틱 포의 판권은 폭스가 아니라 독일의 콘스탄틴 필름이 가지고 있어서다. 그리고 이 콘스탄틴 필름이 판권 소유 기간 연장을 위해 로저 코먼에게 만들게 한 영화가 90년대에 나온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판타스틱 포 실사영화]]다.
          * 마찬가지로 마 코믹스 원작에 폭스에서 영화화한 [[브라이언 싱어]]의 [[엑스멘 실사영화 시리즈]] 세계관과 크로스오버를 얘기하는 팬들도 있는데, 사실 판타스틱 포 영화의 리부트 계획 당시 엑스맨 영화의 세계관과 병합시키고자 하는 '''크로스오버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차츰 계획 진행이 예상과 달라지면서 세계관 병합은 무리라고 판단한 20세기 폭스가 독자적인 영화로 만들고자 했는데, 제작자의 현재 입장은 "엑스맨과의 크로스 오버는 언제든 가능하다. 하지만 일단 판타스틱 4는 그 자체 작품만으로 집중할 것이다. 마이 그들만의 세계관을 합치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엑스맨과 판타스틱 4 역시 그러한 방면에서 융합이 시도될지도 모르지만 지금은 아니다." 라고 말했다.
  • 하이큐/255화 . . . . 8회 일치
          * 카게야마가 다시금 괴짜속공을 시도하고 이번에도 리드 록 당하지만, 히나타가 높은 집중력으로 록을 비집고 공격을 성공시킨다.
          * [[카라스노 고교]]의 간판이자 필살기라 할 만한 괴짜 속공. [[이나리자키 고교]]의 [[미야 아츠무]]는 즉흥적으로 그 기술을 카피해서 [[미야 오사무]]와 성공시킨다. 거기에 반격하러 온 [[히나타 쇼요]]와 [[카게야마 토비오]]의 원조. 이또한 아츠무의 천부적인 센스로 철통같이 리드 록, 철저하게 봉쇄하면서 회심의 미소를 짓는다. 스코어는 13 대 10으로 이나리자키의 3점 리드.
          * 이어지는 공격. [[마지로 알렝]]의 스파이크. [[니시노야 유]]가 받아낸다. 카게야마는 튀어오른 공을 곧바로 세트업, 두 번째 괴짜 속공 시도다. 불규칙한 궤도지만 아츠무의 시야를 벗어나진 못한다. 자신이 직접 리드 록을 시도하는 아츠무. 그런데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 체공하는 히나타의 눈이 뻗어오는 손아귀들을 뚫어지게 관찰한다.
          * 록의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는 스파이크. 라인을 넘어갔지만 심판의 판정은 터치 아웃. 아츠무의 손끝을 아슬아슬하게 스치고 내리꽂혔다. 아츠무는 믿기지 않는 얼굴로 감탄. 열세로 몰려가던 카라스노는 추격의 고삐를 죄었다.
          * 3점의 차이를 놓고 치열하게 진행되는 경기. 로테이션이 한 바퀴 돌아서 히나타가 코트를 나가고 다시 아츠무의 서브. 그런데 이 서브가 네트에 걸려서 넘어간다. [[사와무라 다이치]]가 다급하게 몸을 날려서 받는데 공은 그대로 다시 네트를 넘긴다. 공은 다시 아츠무에게. 아츠무는 또다시 괴짜 속공을 시도한다. 그런데 이번엔 조금 다르다. 카라스노의 록엔 [[츠키시마 케이]]가 있었다. 그는 공이 아츠무에게 넘어가고, 그가 공에서 손을 떼는 마지막 순간까지 하나도 놓치지 않았다.
          * 우카이 코치가 미야 형제의 괴짜 속공에 동요하지 않았던 또 하나의 이유. 그것은 괴짜 속공이 가진 약점 "로커가 익숙해지면 소용없다". 우카이 코치가 [[타케다 잇테츠]] 고문에게 밝힌 이유다. 그는 "괴짜 속공 킬러"를 칭할 수 있는 로커를 셋 거론한다. [[네코마 고교]]의 이누오카나 [[다테 공고]]의 아오네. 그리고 마지막은 일상적으로 괴짜 속공을 봐왔고 그걸 엄청나게 싫어하는, 츠키시마다. 그 말을 입증하듯 츠키시마는 "이걸 엄청 막아보고 싶었다"고 말하며 썩소를 짓는다. 그 흉흉한 포스에 미야형제는 물론, 괴짜 속공이 막혔을 때도 동요하지 않던 카게야마, 히나타가 소름 돋아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6화 . . . . 7회 일치
          * 밀리오가 미도리야를 데리고 사무실에 방문했을 땐 뜬금없이 사이드킥 [[버걸]]이 "유머가 없었다"는 이유 간지럽히는 벌을 내리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정이 있어서 어색하다". 올마이트 개인적으로 그와 트러이 있는 모양이다. [[프레젠트 마이크]]는 사적 감정이냐고 통렬한 태클을 건다.
          * 한편 사무실에서는 나이트아이가 사이드킥 [[버걸]]에게 사건을 보고받고 있다. 그 보고는 [[빌런연합]]과 [[오버홀]]의 접촉에 대한 것. 버걸은 전모를 파악하진 못했지만 교섭의 결렬과 유혈사태 등을 정확하게 짚어내고 있었다. 나이트아이는 진지한 표정으로 경청하고 있었지만, 문득 이런 말을 꺼낸다.
          이 두서없는 말이 퍼걸을 공포로 물들인다.
          그리고 밀리오와 미도리야가 사무실에 들어섰을 때는, 나이트아이는 매우 거창한 형틀에 버걸을 묶어 놓고 자비없는 간지럼 태우기 형벌을 가하고 있었던 것이다.
          * 들어서자마자 사이드킥 여성이 아헤가오를 지으며 자지러지는 모습에 미도리야는 경악과 충격으로 혼란에 빠진다. 물론 밀리오는 대략 어떤 상황인지 눈치채고 또 버걸이 유머를 잊어서 이렇게 된 거라고 짐작한다. 어쨌든 한창 즐거운 순간을 방해받았기 때문인지, 나이트아이가 유독 날카로운 눈빛으로 노려본다. 미도리야는 그 박력에 쫄지만 밀리오의 조언을 참고해서 "한 번은 웃기는" 걸 시도한다. 이미 강해지겠다고 다짐한 그는 유머에서도 그렇게 돼주겠다고 독한 마음을 먹는다.
  • 둠 패트롤 . . . . 7회 일치
         둠 패트롤의 특이한 점은, [[초능력]]을 지녔으나 전원이 '''사회에서는 [[괴물]]로 취급'''받고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뉴52 이전의 DC 유니버스에선 초인에 대한 취급이 마과 달랐다.] 정말 따지고 보면 [[저스티스 리그]]와는 많이 다른 스타일.
          여담으로 [[인크레더]]의 '엘라스티걸(Elastigirl)'과 이름이 같은데, [[픽사]]에서 디씨 코믹스에게 허가를 얻은 것이다. 다만 이 허가는 '영화 내부'에만 국한되어 있고 머천다이징에서는 허가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인크레더 부인'으로 표기된다.
         [[마 코믹스]]의 [[X-MEN]], [[판타스틱 포]]와 관련하여 논쟁이 있다.
         [[NEW 52]] 이후 <[[포에버 이]]> 타이인 이슈에서 멤버들이 [[크라임 신디케이트]] 멤버인 쟈니 퀵과 아토미카에 의해 의해 몰살당하다시피 패했다. 이후 치프로 보이는 사람이 '처음부터 다시 해야겠군'이라 말한다. 결국 포에버 이 이후 등장 암시가 나오더니 [[저스티스 리그]] #31화 막바지에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치프는 새로운 [[할 조던(지구-3)|파워 링]]인 제시카 크루즈 역시 팀에 넣을 생각인듯 싶었으나 숙주(제시카 크루즈)를 죽여서라도 [[볼툼]]의 반지를 얻으려는 것 같으며 민간인이 다치는 것도 신경쓰지 않는다[* 네거티브 맨, 로봇맨, 엘라스티 걸, 엘레멘트 우먼이 불난 빌딩에 있는 사람들을 구해야 한다고 했지만 치프는 "파워 링을 제압하지 않으면 더 많은 사람들이 죽는다." 며 민간인을 놔두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간신히 파워 링을 얻을 기회가 생기지만 [[렉스 루터]]가 치프를 붙잡는다. 치프와 루터의 대화로 볼때 둘은 잘 아는 사이인듯.[* 이때 루터가 치프에게 "네 척추에 구멍을 내기 전에 파워 링을 넘겨라." 라고 협박하는 것으로 봐선 곧 휠체어에 탈 운명인듯 싶다.]
          오리지널과 다르게 휠체어 신세가 아니다. 다만 루터가 그의 등에다 라스트 발포구를 대는 등 혹시 하는 정도의 묘사는 있다. 이후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 모나 색스 . . . . 7회 일치
         |||| 그래픽 노에서의 모습 ||
         맥스가 [[라디미르 렘]] 소유의 창고에서 [[스쿼키 청소회사]]와 총격전을 벌이는 와중에 등장. 경찰차 사이렌을 듣고 도망가려던 청소회사 직원들을 데저트이글로 죽여버렸다. 맥스에게는 이런식으로 만나는건 그만해야 한다는 말만 하고 사라진다.
         이후 맥스가 라드의 총에 맞기 전, 라드는 모나의 정체를 말해준다. 그녀는 [[알프레드 우든]] 밑에서 일하고 있었다.
         모나는 불길을 뚫고 쓰러진 맥스를 구해준다. 그녀는 맥스가 라드를 쫓는아 우든의 저택으로 가는걸 만류했지만 맥스는 말을 듣지 않았다. 결국 맥스가 우든의 저택에 갔을때, 모나는 권총으로 맥스의 머리를 후려치고는 자신의 일은 이 상황을 정리하는 것이며, 정리 대상에 맥스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밝힌다. 하지만 맥스가 저항하지 않고 총을 버리는 것을 보자 자신도 맥스를 죽이는걸 포기하고 총을 버린다. 그 직후, 뒤에서 나타나 총을 쏜 라드에 의해 죽는다.
         맥스가 라드를 죽인 후, 맥스는 죽은 모나의 입술에 입을 맞춘다.
  • 미스터 하이드 . . . . 7회 일치
         [[마 코믹스]]의 [[빌런]].
         원래 뛰어난 의학자였으나 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실제 이야기라 믿으면서 일이 꼬였다. 재보는 [[인간]] 본성의 짐승 같은 면을 해방시키는 화학 공식을 발견하는 연구에 몰두했는데 돈이 많이 들어서 고용주들에게서 갈취했고, 이걸 안 도널드 레이크는 그의 고용을 거절했다. 그리고 분노한 그는 도널드 레이크에게 복수를 다짐하여 연구에 몰두해 몇 달 뒤, 연구에 성공했다. 특수약품을 만든 재보는 이 약품을 써서 사악함과 괴력을 지닌 미스터 하이드가 되었고 자신을 진정한 악의 의인화라 믿으며 도널드 레이크를 자신의 첫 번재 희생자로 점찍었다. 그런데 모두가 알다시피 도널드 레이크는 [[토르]]의 인간 모습.(...)
         [[스파이더맨]], [[캡틴 아메리카]], [[데어데]]과도 자주 싸웠으며 [[어벤저스]]의 적대 팀인 [[마스터즈 오브 이]]에 가입하기도 했다.
  • 블랙 클로버/131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130화]] |||| '''랙 클로버/131화''' |||| [[랙 클로버/13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131.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0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49화]] |||| '''랙 클로버/50화''' |||| [[랙 클로버/5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0. '''심판의 빛'''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1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0화]] |||| '''랙 클로버/51화''' |||| [[랙 클로버/5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1. '''세 잎의 싹'''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4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3화]] |||| '''랙 클로버/54화''' |||| [[랙 클로버/5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4. '''마법기사단 단장회의'''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5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4화]] |||| '''랙 클로버/55화''' |||| [[랙 클로버/5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5. '''단장과 서민 소년'''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6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5화]] |||| '''랙 클로버/56화''' |||| [[랙 클로버/57화]] ||
         [[랙 클로버]] 56화. '''세 잎의 긍지'''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7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6화]] |||| '''랙 클로버/57화''' |||| [[랙 클로버/5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7. '''검은 해안 이야기'''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8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7화]] |||| '''랙 클로버/58화''' |||| [[랙 클로버/5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8. '''물의 소녀 성장담'''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59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8화]] |||| '''랙 클로버/59화''' |||| [[랙 클로버/6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59. '''해저신전'''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0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59화]] |||| '''랙 클로버/60화''' |||| [[랙 클로버/6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0. '''대사제의 장난'''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1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0화]] |||| '''랙 클로버/61화''' |||| [[랙 클로버/6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1. '''신전의 배틀로얄'''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2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1화]] |||| '''랙 클로버/62화''' |||| [[랙 클로버/6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2. '''강자군림'''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3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2화]] |||| '''랙 클로버/63화''' |||| [[랙 클로버/6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3. '''목숨을 건 게임'''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4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3화]] |||| '''랙 클로버/64화''' |||| [[랙 클로버/6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4. '''우직한 불꽃과 제멋대로인 번개'''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5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4화]] |||| '''랙 클로버/65화''' |||| [[랙 클로버/6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5. '''포기할 줄 모르는 남자'''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6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5화]] |||| '''랙 클로버/66화''' |||| [[랙 클로버/6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6. '''진짜 모습'''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7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6화]] |||| '''랙 클로버/67화''' |||| [[랙 클로버/6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7. '''유대'''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8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7화]] |||| '''랙 클로버/68화''' |||| [[랙 클로버/6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8. '''각성'''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69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8화]] |||| '''랙 클로버/69화''' |||| [[랙 클로버/7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69. '''유일한 무기'''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0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69화]] |||| '''랙 클로버/70화''' |||| [[랙 클로버/7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0. '''절망 vs 희망'''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1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0화]] |||| '''랙 클로버/71화''' |||| [[랙 클로버/7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1. '''운명을 베어가르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2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1화]] |||| '''랙 클로버/72화''' |||| [[랙 클로버/73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2. '''한계의 너머'''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3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2화]] |||| '''랙 클로버/73화''' |||| [[랙 클로버/7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3. '''싸움 끝에, 절망의 끝'''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4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3화]] |||| '''랙 클로버/74화''' |||| [[랙 클로버/7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4. '''올바름의 증명'''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5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4화]] |||| '''랙 클로버/75화''' |||| [[랙 클로버/7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5. '''키텐 전역'''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6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5화]] |||| '''랙 클로버/76화''' |||| [[랙 클로버/7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6. '''최강의 기사단'''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7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6화]] |||| '''랙 클로버/77화''' |||| [[랙 클로버/7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7. '''강한 자가 이긴다'''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8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7화]] |||| '''랙 클로버/78화''' |||| [[랙 클로버/7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8. '''약자의 선언'''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79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8화]] |||| '''랙 클로버/79화''' |||| [[랙 클로버/80화]] ||
         [[랙 클로버]] 페이지 79. '''가면 속'''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0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79화]] |||| '''랙 클로버/80화''' |||| [[랙 클로버/81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0. '''이제 두 번 다시'''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1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0화]] |||| '''랙 클로버/81화''' |||| [[랙 클로버/82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1. '''그런 그 녀석이'''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3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2화]] |||| '''랙 클로버/83화''' |||| [[랙 클로버/84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3. '''잠입'''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4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3화]] |||| '''랙 클로버/84화''' |||| [[랙 클로버/85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4. '''전장의 결단'''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5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4화]] |||| '''랙 클로버/85화''' |||| [[랙 클로버/86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5. '''폭우돌진'''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6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5화]] |||| '''랙 클로버/86화''' |||| [[랙 클로버/87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6. '''증오의 불꽃'''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7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6화]] |||| '''랙 클로버/87화''' |||| [[랙 클로버/88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7. '''모자란 녀석이 아냐'''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랙 클로버/88화 . . . . 7회 일치
         |||||||||| [[랙 클로버/에피소드]] ||
         || [[랙 클로버/87화]] |||| '''랙 클로버/88화''' |||| [[랙 클로버/89화]] ||
         [[랙 클로버]] 페이지 88. '''필살의 돌격'''
         [[분류:랙 클로버]] [[분류:랙 클로버/에피소드]]
  • 블리치/673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2화]] |||| '''리치/673화''' |||| [[리치/674화]] ||
         [[리치]] 673화. '''My Last Wards'''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4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3화]] |||| '''리치/674화''' |||| [[리치/675화]] ||
         [[리치]] 674화. '''God of Thuender 3'''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5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4화]] |||| '''리치/675화''' |||| [[리치/676화]] ||
         [[리치]] 675화. '''God of Thuender 4'''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6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5화]] |||| '''리치/676화''' |||| [[리치/677화]] ||
         [[리치]] 676화. '''The Gift'''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7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6화]] |||| '''리치/677화''' |||| [[리치/678화]] ||
         [[리치]] 677화. '''The Princess Dissection'''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8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7화]] |||| '''리치/678화''' |||| [[리치/679화]] ||
         [[리치]] 678화. '''공허, 귀축, 가람당'''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79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8화]] |||| '''리치/679화''' |||| [[리치/680화]] ||
         [[리치]] 679화. '''BIGGER, LOUDER, STRONGER'''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1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0화]] |||| '''리치/681화''' |||| [[리치/682화]] ||
         [[리치]] 681화. '''칼날2'''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2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1화]] |||| '''리치/682화''' |||| [[리치/683화]] ||
         [[리치]] 682화. '''더 퍼펙트 크림슨'''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3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2화]] |||| '''리치/683화''' |||| [[리치/684화]] ||
         [[리치]] 684화. '''더 퍼펙트 크림슨 2'''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5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4화]] |||| '''리치/685화''' |||| [[리치/686화]] ||
         [[리치]] 685화. '''The father'''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6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5화]] |||| '''리치/686화''' |||| [[리치/687화]] ||
         [[리치]] 686화. '''The father 2'''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7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6화]] |||| '''리치/687화''' |||| [[리치/688화]] ||
         [[리치]] 687화. '''Blood for my bone'''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8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7화]] |||| '''리치/688화''' |||| [[리치/689화]] ||
         [[리치]] 688화.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89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8화]] |||| '''리치/689화''' |||| [[리치/690화]] ||
         [[리치]] 689화. '''Horn of Salvation 2'''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0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9화]] |||| '''리치/690화''' |||| [[리치/691화]] ||
         [[리치]] 690화. '''The Future black'''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1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0화]] |||| '''리치/691화''' |||| [[리치/692화]] ||
         [[리치]] 691화. '''THE END'''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2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1화]] |||| '''리치/692화''' |||| [[리치/693화]] ||
         [[리치]] 692화. '''THE END 2'''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3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2화]] |||| '''리치/693화''' |||| [[리치/694화]] ||
         [[리치]] 693화. '''THE END TWO WORLD'''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4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3화]] |||| '''리치/694화''' |||| [[리치/695화]] ||
         [[리치]] 694화. '''THE TWO SIDED WORLD END'''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5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4화]] |||| '''리치/695화''' |||| [[리치/696화]] ||
         [[리치]] 695화. '''THE DARK SIDED OF TWO WORLD ENDS'''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6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5화]] |||| '''리치/696화''' |||| [[리치/697화]] ||
         [[리치]] 696화. '''The Blade'''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7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6화]] |||| '''리치/697화''' |||| [[리치/698화]] '''완결''' ||
         [[리치]] 697화. '''무결의 끝에'''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블리치/698화 . . . . 7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97화]] |||| '''리치/698화''' '''완결''' ||
         [[리치]] 698화. '''최종화''' '''Death & Strawberry'''
         '''리치 완결'''
         [[분류:리치]] [[분류:리치/에피소드]]
  • 신화용 . . . . 7회 일치
         [include(틀:수원 삼성 루윙즈/간략)]
         ||||<#074CA1> {{{#ffffff '''수원 삼성 루윙즈 No.1'''}}} ||
         ||<#990000> {{{#ffffff 소속팀}}} || '''[[포항 스틸러스]] (2004~2016)'''[br][[수원 삼성 루윙즈]] (2017~ ) ||
         > '''[[수원 삼성 루윙즈/2017년|2017 시즌]] [[김민우(축구선수)|최고의]] [[신화용|영입 2]]'''
         '''[[수원 삼성 루윙즈/2016년|작년 시즌]], 세오타임(SEO TIME)이라는 불명예를 얻었던 수원 수비 안정화의 일등공신. 2017 K리그 클래식 클린시트 1위.'''
         || 2017 || 수원 삼성 루윙즈 || 33 || 30 || 2 || 1 || 5 || 6 ||
         [[분류:1983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 [[분류:수원 삼성 루윙즈/현역]]
  • 원피스/841화 . . . . 7회 일치
         [[원피스]] 841화. '''이스트 루로'''
          * 그때 제르마는 이스트 루를 침공해 전쟁 중이었는데, 상디는 이틈을 타서 이스트 루로 달아날 생각을 한다.
          * 이후로 요리를 연구하면서 지내는데, 어느날 요리책에서 "오올 루"를 알게 된다.
          * 레이쥬는 돌아가기 전에 제르마는 곧 "레드라인"을 넘어 이스트 루의 어떤 나라랑 전쟁을 한다고 한다.
          * 같은 시각 제르마는 이스트 루의 "코지아"라는 나라와 교전에 들어간다.
          * 상디는 "이스트 루에서 달아나면 이제 두 번 다시는 아버지 얼굴을 안 봐도 될 거야!"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린다.
  • 유민상(개그맨) . . . . 7회 일치
         8월에는 스트리머 [[풍월량]]의 배틀그라운드 상자깡 방송을 장시간 도방[* 도둑방송 또는 도용방송이라는 뜻으로 아프리카 TV에도 있는 용어. 남의 허가 없이 자기의 라이브 방송에 남의 라이브 방송이나 다시 보기 화면을 띄우는 것이다. 아프리카나 트위치나 BJ의 방송 자체가 고유의 컨텐츠(저작권)이기 때문.]하는 일이 있었다. 트위치에서 허가 없는 도방은 금지[* 대표적인 사례가 하스스톤 카드공개 도방 사건이다. 리자드의 카드공개 방송을 도방하던 다수의 하스스톤 스트리머들이 단체로 2일 정지 처분을 받았다. 리자드의 카드공개 방송은 리자드에 저작권이 있기 때문에 영상 도네이션 중 저작권 보호 요청 영상을 틀면 정지되는 것과 마찬가지 현상이다.][* 트위치에서는 단시간 도방이 이미 문제 제기되었던 적이 있다. 영상 도네이션 등으로 '''허가 받지 않은 타 스트리머의 트위치 클립'''이나 '''유튜브 편집본을 송출'''하는 행위는 다시 보기 화면의 일부(도방)일뿐더러 엄연한 저작권 위반 행위이기 때문이다. ~~트수의 암살 시도~~]되어 있다는 시청자의 지적에 "그런말 할거면 팔로우나 누르고 가라"는 식으로 다시 한번 트위치 스트리머와 시청자를 존중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트게더에 이를 지적하는 글이 올라오자 이를 비꼬는 듯한 댓글을 달아 다시 논란을 가중시켰다.
          * 2014년 1월 23일 아프리카 BJ [[불양]]을 찾아와서 아프리카 방송에 출연했다. [[불양]] 길드에서 활동했다고 했으며, 러드엘프 사냥꾼 캐릭터를 90레벨까지 키웠다고 말했다. 지금은 전장만 주로 돌고 있다고.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업적 점수 9200점으로 라이트 유저 수준은 확실히 넘는데, 하이잘 서버는 얼라이언스 진영에, 아즈샤라 서버는 호드 진영에 주캐가 있다. 연예계 대표 [[와저씨]]로 [[리자드 엔터테인먼트|리자드]]에서도 홍보 겸 감사 겸 소장판을 [[군단(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군단 확장팩]] 때까지는 보내줬다고. 그런데 2018년 8월 [[격전의 아제로스]] 때는 안 보낸 모양. 게임 유튜버 [[김기열]]에게 '리자드가 나를 버렸다'고 농반진반 언급한 바 있다. 그렇긴 해도 격아 소장판 한국 버전에 문제가 많은 모양. 스토리 소설도 한국어 번역이 안돼있고 OST도 원래 그 전 확장팩까진 DVD였던 것이 다운로드 키만 제공된다. 아울러 북미판에는 들어있는 110레벨 부스트가 빠져있다. 특전 영상, 마우스 패드, 원화집 어느 것도 없다. 소장판 유저들에게 제공되는 '동맹 종족 영입 퀘스트'도 문제가 생겨 진행이 안되는 상태. 유민상에게 특별히 신경을 안쓴 게 아니라 그냥 소장판 자체에 신경을 안 쓴 모양.
  • 윤종신 . . . . 7회 일치
         ||<bgcolor=#201e1f> {{{#FFFFFF '''배우자'''}}} ||<(> [* 2015년 현재는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여군 특집에 출연해서 좀 유명해졌지만, 예전에 [[윔던]] 주니어 부분 결승에 진출한 적이 있었던 한국을 대표하는 여자 테니스 선수였다. 1994년 윔던 주니어 여자단식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는데, 당시의 결승전 상대 선수는 여자 테니스계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선수였던 [[마르티나 힝기스]]였다. 이후 1995년 US오픈에서는 힝기스와 복식조로 나서기도 했다. 2005년에 현역 생활을 마감하고 결혼했다. 2015년 현재 테니스 해설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으며, 후배 테니스 선수들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종신보다 키가 크다.] ||
         2006년, 9세 연하의 前 [[테니스]] 선수인 와 결혼했다.[* 1994년 윔던 주니어 여자 단식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기록한 경력이 있다. 당시 상대는 훗날 1990년대 중후반 세계 여자 테니스계를 주름잡았던 [[스위스]]의 [[마르티나 힝기스]]. 전미라는 2005년에 현역 은퇴를 선언한 후 이듬해 윤종신과 결혼했다. 현재는 [[MBC SPORTS+|엠스플]]의 테니스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후배 테니스 선수들을 위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고 한다. [[마이 리틀 텔레비전|마리텔]]에 부부 자녀 동반으로 출연했으나, 최하위에 그쳤다.] 힐을 안 신어도 가 더 크다[* 윤종신은 (프로필상) 170cm, 가 175cm이다. 각자 프로필 상 키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차이날 수도.]... 슬하에 1남 2녀를 두고 있다. 이름은 의 이름 끝 글자를 돌림자로 썼다고 한다. 를 거의 빼다 박은 수준으로 닮았다.
          * 둘째, 예능인으로서 윤종신은 [[라디오 스타]]의 장수에 힘입어 공중파뿐만 아니라 [[하트시그널]], [[방구석1열]] 등 케이 및 종편에서도 메인MC로 종횡무진 활약 중이다.
         [[2011년]] 10월에는 루스퀘어 삼성카드홀 개관기념으로 'Just Melody'라는 제목의 콘서트를 열었다.
         2014년 7월 31일부터 [[M.net]] 랙드라마 엔터테이너스에 출연했다. [[UV|UV신드롬]], 음악의 신, 방송의 적을 연출한 박준수 PD의 작품인데, [[페이크 다큐멘터리]]였던 전작과는 달리 드라마 혹은 시트콤의 성격이 강하다. 윤종신이 [[틴탑]]의 프로듀싱을 맡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음악의 신에서 한 몸 불살라 제 2의 전성기를 열었던 [[이상민(룰라)|이상민]]처럼 자기 비하도 서슴지 않으며 분투하고 있지만 영 반응이 시원찮은 편.
          * JTBC 예능프로 '나의 외사친'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영어 이름이 파로(Pablo - Paul의 스페인어 버전)이다. 아마 대원외고 스페인어학과 시절 지은 이름인 듯.
  • 이병욱(스트리머) . . . . 7회 일치
         ||[[https://youtu.be/0PxLoTcvGOw|초코향나는 희귀한 담배 랙데빌 솔직 후기]]||
         ||[[https://youtu.be/o7qSwo_hCxo|포도향나는 담배 레종 프렌치랙 솔직 후기]]||
         ||[[https://youtu.be/2_teU86-5tE|타르 18미리!! 딸기 감기약맛 미국 미니시가 담배 랙스톤 스트로베리 솔직 후기]]||
         ||[[https://youtu.be/JZWJWQuJRr0|캡슐이 2개!!! 오렌지맛 담배 말보루 징더 솔직 후기]]||
         ||[[https://youtu.be/tkkYqNeMErE|모히또향 멘솔 담배 보헴 쿠바나 더 솔직 후기!!]]||
         ||[[https://youtu.be/SrNbjT_qBEQ|신상 담배 루베리 맛? 보헴 파이프 스코티 솔직 후기]]||
         ||[[https://youtu.be/AKnGREv6mYA|신상 여름 한정판 담배 [아이스 라스트 SUMMER EDTION 17+3] 솔직 후기 "3까치만 다른맛"]]||
  • 절대가련 칠드런/463화 . . . . 7회 일치
          * 랙 팬텀의 오염물질에 잠식된 BABEL의 수뇌부는 "전 에스퍼 등록격리법안"이란 반인권적 법안에 적극 찬성한다.
          *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하이레벨의 에스퍼인 더 더 페이스 [[노와키 호타루]]와 [[토키와 나츠코]]를 속여야 한다.
          * 한때 일본 정부는 "전 에스퍼 등록격리법안"이란 것을 추진했다. 문자 그대로 모든 에스퍼를 등록, 격리해서 관리한다는 방침으로 명목은 비 에스퍼 국민의 안전. 당연히 에스퍼를 보호하는 BABEL에서는 반발할 수밖에 없었다. [[키리츠보 타이조]]는 단숨에 테이을 엎으려 격분.
          * 입구의 경비병력은 효부와 유리의 최면으로 간단히 통과, 보안키도 미리 준비한 위조ID카드로 무사히 지나간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난관이다. 바벨 보안시스템의 최종 방어라인 더 더 페이스. 하이 레벨 에스퍼인 [[노와키 호타루]]와 [[토키와 나츠코]]에겐 최면도 통하지 않는다. 일행이 나타나자 마자 더 페이스는 초감각으로 투사가 안 되는걸 감지하고 경계한다.
          * 사카키가 이들을 보고 동요하지만 효부는 방법이 있다며 진정시킨다. [[아카시 카오루]]가 먼저 선글라스를 벗으며 주위를 끈다. 시호와 [[노가미 아오이]]도 다른 사람들은 신경 쓸 것 없다며 얼버무리는데 더 페이스는 이 분야의 프로. 셋에게 신경을 빼앗기기 않고 곧바로 나머지 인원의 투시를 하려 한다. 유리가 더 강한 최면을 걸어보려고 하지만 단숨에 눈치채버린다. 모두 당황하는데 효부는 "마음의 가드를 깨면 된다"고 조언하는데.
          * 그리고 유리는 역시 전 팬텀 도터의 명성대로 더 페이스의 심리 헛점을 파고든다. 노처녀의 아픔을 공략, 칠드런 일행은 무사하지만 씁쓸하게 입성에 성공한다.
  • 정찬성 . . . . 7회 일치
         ||<#000002> '''{{{#white 입상 기록}}}''' || Pancrase 2007 네오 러드 토너먼트 우승, Korea FC 토너먼트 우승 ||
         2008년 8월 [[일본]]으로 건너간 그는 DEEP에서 오미가와 미치히로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었다. 오미가와는 유도가 출신으로 [[UFC]]와 [[PRIDE]]를 모두 경험했던 베테랑 파이터였으나 정찬성의 공세에 밀려 패배하고 말았다. 훗날 오미가와는 Dream 15회 대회 이후 인터뷰에서 이 경기를 회상하며 '그 때는 정찬성의 정보를 알지 못하고 있었다. 다시 붙으면 꼭 이기겠다'는 말을 했다. 그러자 정찬성 선수는 로그에 '오미가와에 대해 매우 실망했다. 다시 붙는다면 그 때는 변명을 대지 못 하게 이기겠다.'며 재대결을 강력하게 희망했다. 이후 오미가와는 센고쿠 토너먼트에서 수많은 페더급 강자들을 쓰러뜨리고 페더급 토너먼트에서 준우승을 하면서 TOP 10급 파이터로 부상하게 된다.
         2010년 2월에는 It's Showtime에 출전하여 [[태국]]의 룸피니 챔피언인 패종슥 룩프라밧과 입식 경기를 갖게 되었다. 패종슥의 킥에 고전하는 양상을 살짝 보였으나 2분 경 킥 페이크 이후 백스핀 로로 패종슥을 실신시키며 대 이변...을 일으키는 줄 알았으나 '''백 스핀 로가 반칙으로 인정되면서''' 반칙패를 당하게 되었다. 2010년부터 백 스핀 공격을 반칙 공격으로 하는 것으로 룰이 개정되었었는데 룰 미팅 당시 통역도 없었고 분위기도 어수선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반칙인 줄 몰랐다고 한다.[* 이게 사실 문제가 심각한 게 정찬성은 물론 상대 선수인 패종슥도 백스핀 로우가 반칙인 줄 몰랐다고 한다. 경기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그래서 패종슥도 자신이 패배한 줄 알고 있다가 경기 결과를 듣고는 어리둥절해한다. 쇼타임의 선수관리가 얼마나 허술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 비록 패배를 하긴 했지만 이 경기를 통해 매니아들 사이에서 정찬성의 네임벨류가 올라가게 되며 이는 ZUFFA사와의 계약으로 이어지게 된다.
         결국 5월 15일 UFC on FUEL TV 3의 메인이벤트에서 [[더스틴 포이리에]]를 상대로 멋진 다스 초크 서브미션 승을 거두었다. 3라운드까지의 심사위원들의 스코어카드를 공개했는데 전부 정찬성의 승리였다. 그 정도로 압도적이었던 상황. 1라운드는 의외로 정찬성이 발전된 레슬링 기량과 정확한 타격을 선보이며 포이리에를 밀어붙였다. 포이리에는 얼굴에 커팅까지 나긴해도 스윕을 성공하며 선전했지만 스탠딩 상태에서 정찬성과 주고받으면서 대미지를 받은 상황. 그리고 이어지는 2라운드에는 무에타이 스탠스에서 '''플라잉 니킥과 트레이드마크인 넥클린치 니킥''', 그리고 어퍼컷으로 화끈하게 난타전을 벌이다가 포이리에가 더렉을 시도하자 몽키 플립을 시전해 탑 포지션을 점유하며 암바와 트라이앵글초크를 연속적으로 시도하며 오히려 포이리에를 빠져나오지 못하게 했다. 사실 2라운드 마지막에 걸린 트라이앵글 초크로 피니시를 할 수도 있었지만, 공이 울리며 아쉽게도 경기는 계속 진행되었다. 2라운드 이후부터 관중들의 'Zombie!' 챈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시작했다. 3라운드 에서는 두 선수 모두 어느정도 지친 모습을 보였고, 포이리에가 아웃복싱으로 정찬성을 견제했지만 정타수는 정 선수가 위였다. 다소 정찬성이 많이 맞은 정도로 보인것. Fuel TV 중계진도 포이리에가 영리하게 타격을 선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때 체력이 저하되는 조짐이 보인 것. 사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기자가 물어보니 2라운드인가 3라운드 중반에 무릎을 다쳐서 페이스를 조절해야 했다고 했다. 본인은 지친 기색이 별로 없었던 모양. 그리고 이어지는 4라운드에서 초반 상황을 살피다가 어퍼컷과 레프트 스트레이트를 포이리에의 턱에 적중시켜서 케이지로 몰아 붙인 뒤 이어지는 '''플라잉 니킥'''에 포이리에는 타격을 입었고, 반사적으로 정찬성에게 테이크다운을 시도했지만, 정찬성은 침착하게 포이리에에게 다스 초크 그립을 완성시키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그리고 경기 후 인터뷰에서는 "I want Jose Aldo"라는 코멘트로 정식으로 챔피언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마크 호미닉전을 시작으로 2경기 연속 언더독으로 평가받으며 싸웠는데, 모두 승리로 마무리 지었으니 선수 자신에게도 감격이 클 듯. 대회가 끝나고 이 경기는 Fight of The Night과 Submission of The Night에 선정되어 보너스만 미화 10만 불을 받았다. 참고로 이 보너스는 병세로 인해 현장에 없던 데이나 화이트 대표가 직접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즉시 주라고 했다고 한다. --역시나 각별한 사장님의 코리안 좀비 사랑--
         2018년 5월 9일, [[박재범]]이 이끄는 힙합 레이인 [[AOMG]]의 새로운 멤버로 공개되었다.[* 물론 뮤직 아티스트가 아니라 새로운 사업인 스포츠 관련으로 영입되었다.]
  • 캡틴 아톰 . . . . 7회 일치
         원래는 [[루비틀(DC 코믹스)|루 비틀]](댄 개릿) 등과 같은 찰턴 코믹스(Charlton Comics) 캐릭터였으나, 출판사가 문을 닫으며 DC로 넘어왔다.
         기본적으로 방사능을 다룰 수 있고 강력한 캐릭터지만 그다지 대접을 받지도 못하고 [[슈퍼맨]], [[캡틴 마]] 등등의 DC 코믹스 내의 강력한 파워캐릭터와 붙으면 쪽도 못쓰고 발린다. 언젠가는 세뇌돼서 캡틴 마의 여동생인 메리 마과 싸운 적이 있는데 그냥 발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저스티스 리그]]에 가입한 초반부에 임무 때문에 루 비틀 II에게 초대 루 비틀과 친했다고 했다가 거짓말인 것이 들통나기도 했다. 그런데 어찌보면 거짓말이 아닌 것이 사교관계가 어쨌든 두 캐릭터는 찰턴 코믹스에 있다가 DC 코믹스에 흡수되었다.
  • 토리코/375화 . . . . 7회 일치
          * 루 니트로 페어와 싸우고 있는 적귀는 고전하고 있다.
          * 루 니트로 아톰과 싸우고 있는 청귀는 상대를 확실히 앞서는 듯 하다.
          * 루 니트로 아톰은 팔왕 전원이 집결하고 있다는걸 알아차린다.
          * 청귀는 루 니트로와 마찬가지로 루 유니버스에서 왔을 거란 설이 대세였는데 사실로 확인됐다.
          * 청귀는 지금까지 적귀와는 달리 아카시아의 풀코스를 탐내거나 먹고 강해지는 묘사가 없었는데, 어쩌면 청귀는 이미 루 유니버스에서 그 우주의 풀코스를 먹고 강해진 상태일지 모른다. 실제로 루 니트로를 상대로 훨씬 선전하고 있다.
  • 토리코/390화 . . . . 7회 일치
          * 루 니트로 페어는 아카시아의 모습을 보고 과거를 회상하는데, 그는 그의 세포 안에서 "동포들의 목소리"를 느꼈다고 한다.
          * 한편 영혼세계의 이치류는 루 니트로들의 시체가 뒤엉켜 있는 것을 발견한다.
          * 루 니트로 페어는 미도라를 공격하는 아카시아를 보고 과거의 그를 떠올린다.
          * 이치류는 돈슬라임과 루 그릴에서 함께 보았던 이상한 덩어리를 조사하고 있다.
          * 탐험을 계속하던 그는 엄청난 수의 루 니트로 시체가 엉켜있는 것을 발견한다.
         아카시아는 일부러 "분노의 힘을 담은 공격"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 된다. 토리코는 그의 진짜 목적을 안다고 하는데, 그건 루 니트로 페어가 알려준 듯 하다. 아카시아의 "진짜 목적"이 따로 있다면 급격한 선역화도 가능할지도?
         오랜만에 이치류의 재등장. 돈슬라임과 함께 봤던 거대한 덩어리를 조사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네오가 먹어치운 것들이 뭉쳐 있는 것 같다. 루 니트로의 시체가 잔뜩 있는걸 보면 이게 페어가 들었다는 "동포들의 목소리"의 정체일 듯.
  • 토리코/394화 . . . . 7회 일치
          * 네오로부터 루 유니버스의 식재들이 끝없이 쏟아져나오고 토리코 안에 있던 청귀가 기뻐 날뛴다.
         * 네오가 뿜어내는 식재는 우주까지 뿜어져 나간다. 막대한 양의 루 유니버스의 식재들도 섞여 있어서 토리코 안의 청귀가 기뻐하며 날뛴다. 토리코는 그 중에서 어떤 식재의 냄새를 감지하는데, 그것은 바로 "감초"라는 별칭을 가진 "엔드 매머드"라는 고대의 생물이었다. 토리코가 맡았던 네오의 고기 냄새는 사실 이 매머드의 것이었고 간간히 뜯어먹던 네오의 고기 또한 이 엔드 매머드의 것.
         * 루 니트로 페어도 이 생물에 대해 알고 있어서 이름과 내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고대 미식가들 사이에선 매우 유명했던 식재로 맛만을 놓고 보면 미식세계를 평정할 만한 식재. 네오의 안에서 맛이 더욱 숙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청귀는 루 유니버스의 식재가 아닌 탓인지 전혀 관심을 주지 않는데 제 3의 악마는 유심히 쳐다보더니 "저 식재가 토리코의 여정의 마침표가 되진 않을 것 같다"고 평한다.
         * 제 1대륙에 있는 루 니트로의 우주선. 우멘과 자우스의 사투가 끝났다. 우멘은 죠아의 세뇌가 풀려서 제정신으로 돌아오지만 지금까지의 기억이 불분명해보인다. 자우스는 그가 돌아온걸 보고 싸움은 끝났다고 말한다. 인간계에서도 지구의 위기가 지나가고 재생의 시기가 왔음을 직감한다. 인간계를 지키고 있던 세츠노는 겨우 한숨 돌리는데 이 재생이 미도라의 힘임을 깨닫는다.
         * 네오는 그 후에도 끝없이 식재를 분출한다. 우주의 은하수를 수놓을 정도로 엄청난 양의 식재. 페어는 그 중 자신의 동포 루 니트로들이 섞여 있는걸 발견한다. 결국 아카시아와 페어의 염원이 이루어진 셈이다.
         네오 뱃속에서 나오는 식재들은 죽은 채로 나오는게 아니라 완전히 살아있는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페어가 발견한 루 니트로들도 살아있는 건지는 불명.
  • 토리코/395화 . . . . 7회 일치
          * 토리코는 식장 한 곳에 빈 테이을 놔뒀는데, 거기에 이치류, 지로, 아카시아, 플로제의 식혼이 찾아와 함께 즐긴다.
          * 린은 식장 한켠에 빈 테이이 놓여있는걸 발견한다. 그런데 여느 가정집에서나 쓸법한 낡고 평범한 테이이다. 린이 뭐냐고 묻자 토리코는 "어떤 식혼들을 초대한 자리"라며 꼭 와주길 기대한다고 말하는데.
          * 세 번째 "생성요리", 오가이(먼 바다의 기억). 킹듀 소스를 곁들이고 복고래, 샤이밍 구라미, 마담피쉬, 어나더까지 함께 제공된다. 모두 토리코와 코마츠가 함께 포획했던 생선들. 특히 코마츠는 복고래를 포획하던 일을 떠올리며 눈물 짓는다. 술을 즐기는 맨섬 회장은 복고래 지느러미 술을 함께 마시며 취한다. 루 그릴의 주민들과 치코도 와서 코마츠가 요리한 어나더를 먹고 감탄한다.
          * 그러는 사이 토리코는 낡은 테이에 기다리고 있던 식혼들이 도착한걸 눈치챈다. 이치류와 지로. 어느새 도착해서 술잔을 기울이고 있었다.
          * 삼형제들의 테이에는 어느새 새로운 손님이 도착했다. 아카시아와 플로제. 생전의 회한을 잊은 듯 단란한 모습이다. 아카시아는 잠시 루 니트로 페어와 눈이 마주친다. 페어 또한 아카시아의 식혼을 느끼고 있다.
  • 페어리 테일/486화 . . . . 7회 일치
          * 가질의 목을 조르며 자신은 "저항할 수 없는 죽음"이라 표현하는 러드맨.
          * 첫 번째 손님은 천마와 호랑이(루 페가수스와 세이버투스 연합군), 두 번째 손님은 요정(페어리 테일), 세 번째는 "성가신 손님"이라고 칭하는데.
          * 러드맨의 능력은 그 몸에서 나오는 마장입자. 이 마장입자를 마신 마도사는 죽는다.
          * 가질이 상성상 우위인 걸로 보였으나 러드맨은 몸 자체가 마장입자로 되어 있어 가질의 공격이 전혀 먹히지 않았다.
          * 광범위하게 해골이 쌓여있는 필드를 만드는 러드맨
          * 러드맨은 성속성 마법이라며 당황하는데, 그의 약점은 성속성인 듯.
          * 그런 둘에게 "네놈들에게 삶은 없다"며 본 모습을 드러내는 러드맨.
  • 하이큐/225화 . . . . 7회 일치
          * 츠키시마 케이는 카게야마의 리드에 적응해 다테의 록을 공략한다.
          * 공격의 핵이어야 할 히나타 조차 다테의 록에 막혀 득점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경기는 점점 다테에 유리하게 흘러간다.
          * 아즈마네는 그것도 잘 받아서 힘껏 때리지만 다테의 록에 막혀 실점한다.
          * 다테의 전략은 서브로 폭격하고 록으로 반격을 차단하는 전형적인 서브&
          * 그러나 이를 눈치챈 아오네가 록 위치를 급하게 변경, 사와무라의 스파이크를 차단한다.
          * 그런데 아오네가 록하다 후쿠타치에게 또 부딪혀서 데미지를 입힌다.
  • 하이큐/252화 . . . . 7회 일치
          * [[히나타 쇼요]]는 이나리자키의 더 퀵을 알아차리고 좋은 위치를 선점하나 리시브에서 실부, 발로 받는 실수를 연출한다.
          * 카라스노의 TO가 끝나고 오지로의 두 번째 서브로 재개. 서브는 타나카에게 향한다. 타나카가 조금 위태롭게 리시브한 공을 [[카게야마 토비오]]가 논스톱으로 세트업, 히나타의 속공으로 잇는다. 히나타는 미처 록이 따라오기도 전에 스파이크를 꽂아넣으며 스코어는 7 대 5. 카라스노가 따라붙는다.
          * 공은 아츠무에게 연결. 이번에도 논스톱 세트업이다. 더 퀵. 두 명의 선수가 뛰어나온다. 록인 츠키시마, 타나카, [[사와무라 다이치]]는 공이 어디로 갈지 끝까지 주시한다. 결국 공은 우측으로. 츠키시마와 사와무라가 록하러 간다. 이 더 퀵을 읽어낸 선수는 한 명 더 있었다. 후방의 히나타가 스파이크 낙하 지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자리를 선점한다.
          그의 차례다 아니다. 공은 우측의 사와무라에게. 히나타에게 정신이 팔렸던 이나리자키의 록은 깨끗하게 속으면서 사와무라에게 1점을 헌납한다. 점수는 7 대 6. 카라스노가 추격세를 이어가지만 히나타 본인은 흑역사가 하나 늘었다.
  • 하이큐/261화 . . . . 7회 일치
          * 코사쿠의 서브가 [[사와무라 다이치]]의 리시브를 튕겨내고 높이 치솟는다. 그대로 [[이나리자키 고교]] 진영의 외야로 날아가는 공. 그러나 아직 공은 살아있다. [[카게야마 토비오]]가 상대편 코트를 가로지르면서까지 쫓아가 받아낸다. 아슬아슬하게 [[카라스노 고교]] 진영으로 돌아오는 공. 여기서 [[아즈마네 아사히]]가 과감히 날아오른다. 강렬한 스파이크가 이나리자키의 록에 맞고 아웃되면서 카라스노의 득점. 스코어는 23 대 24. 카라스노의 1점 리드를 지켜내고 세트포인트에 도달한다. 꼼짝없이 재역전이라 생각했던 [[우카이 케이신]] 코치가 한숨 돌린다. [[니시노야 유]]는 "에이스 같았다"고 격찬, [[츠키시마 케이]]는 "아즈마네 선배는 에이스가 맞다"며 새삼스러울게 뭐냐는 반응. [[타나카 류노스케]]는 동료 선수들이 "물이 올랐다"고 감탄하며 자신도 분발한다.
          * [[타키노우에 유스케]]는 [[시마다 마코토]]가 자리를 비웠다 좋은 장면이 다 지나가고 돌아오자 대차게 깐다. 아까 [[야마구치 타다시]]가 대활약했는데, 그 선생님인 시마다가 왜 자리를 비웠냐는 이유다. 물론 그는 시마다가 경기장 반대편까지 열심히 뛰다 온 걸 모른다. 그리고 그가 자기 태릿을 무단으로 빌려갔던 것도 눈치채지 못했다. 시마다는 그 짧은 순간에 "봉투 안에 타릿을 끼워서 켜면 더 잘 보일 거다"는 계산까지 염두했던 것이다.
          * 이어지는 공방전. 아즈마네의 공격을 아카기가 리시브, 산지마의 스파이크로 잇는다. 츠키시마, 카게야마가 록. 카게야마의 팔에 맞고 뒤로 밀린 공을 사와무라가 커버한다. [[히나타 쇼요]]가 빠져있고 쓸만한 공격 자원들이 빠진 상황. 그래도 [[스가와라 코시]]는 기회는 있다고 희망을 놓지 않는다. 카게야마에게 이어진 공, 츠키시마가 뛰어오르나 진짜는 타나카다. 이 시간차가 먹힐까?
          * 전위에는 카게야마. 이나리자키 측은 투 어택도 대비했다. 카게야마의 세트업에 맞춰서 모이는 이나리자키 록. 카게야마도 공격자원 전원이 네트 앞으로 뛰어오르며 록을 모아놓는다. 츠키시마, 타나카, 아즈마네가 각각 중앙, 좌측, 우측에서 뛴다. 그러나 이들 중에 진짜는 츠키시마 뒤에서 튀어나온 사와무라. 실전에서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사와무라의 백어택이다. 그것도 자신이 별로 자신없어 하는 공격.
          * 사와무라는 지금 만큼은 백어택이 익숙하지 않은 걸 잊어버리고 때렸다. 록의 반응이 늦다. 완전히 속였다. 스파이크가 이나리자키 코트를 깊숙히 관통한다. 완벽한 코스. 카라스노가 아츠무의 서브를 단칼에 끊으며 1점을 추가한다. 아츠무도 여기에는 "제법"이라 인정하지 않을 도리가 없다. 스코어는 24 대 25. 다시 세트포인트. 후쿠로다니의 콤비가 "사와무라가 백어택 치는건 처음 봤다"며 눈이 휘둥그래하다.
  • 휴먼 토치 . . . . 7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판타스틱 포]]의 일원. 누나 [[인비저 우먼|수 스톰]]과 [[미스터 판타스틱|리드 리처즈]], [[씽(마 코믹스)|벤 그림]]과 함께 우주여행을 갔다가 우주 방사능에 노출되어 온몸이 불타오르는 능력을 얻게 되었다. 이전에 [[짐 해먼드|그와 비슷한 능력을 지녔던 슈퍼히어로]]의 이름을 따 스스로를 '휴먼 토치'라고 이름 붙였고, 수, 리드, 벤과 함께 슈퍼히어로 팀 '[[판타스틱 포]]'로 활동하게 된다.
         [[댄 슬롯]]이 스토리를 담당한 "스파이더맨 - 휴먼 토치" 미니 시리즈에선 10대 시절부터 피터가 학교 선생이 되고 불가피하게 휴먼 토치에게 정체를 드러낼때까지의 과정이 나타나있는데 서로 심술부리며 싸우면서도 도와주고[* 일례로 닥터 둠이 휴먼 토치를 얼음속에 가둬두고 없애버리려 하자 스파이더맨은 닥터둠에게 굽실거리며 자신의 숙적인 휴먼 토치를 없애게 해달라고 조아린다. 이를 마음에 들어한 닥터 둠은 스파이더맨에게 휴먼 토치를 끝내라고 얼음 전체를 주지만 스파이더맨은 휴먼 토치를 들고 도망간다(...)] 마지막에 피터가 다니는 학교에서 휴먼 토치와 스파이더맨이 악당들을 물리친뒤에 가면을 벗고 대면하면서 서로에게 부러웠던 점을 얘기한다[* 피터는 쟈니가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고 판타스틱 포와 온갖 모험을 하고 언론의 음해를 당하지 않는 유명인의 삶을 사는 것을 부러워했고, 쟈니는 피터에게 자상한 숙모가 있고(쟈니는 고아로 자랐기에 부모의 사랑을 그리워했다) 친한 미인 여자친구들이 많으며 미스터 판타스틱 못지 않게 머리도 좋고 사진도 잘 찍는 것을 부러워했다. 이러면서 피터처럼 운이 좋은 걸 파커 럭이라고 불렀다는데, 원래 파커 럭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지는 피터의 삶을 얘기하는 단어이다(...)]. 슈피리어 이후 피터가 돌아온 것을 안 쟈니는 옥토퍼스가 몸을 차지한 기간동안 피터가 놓친 영화, 드라마, 음악등을 USB에 담아주기도 하며 자기가 죽었다 돌아온 시절을 얘기하며 괜찮아 질 것이라고 격려한다. 스파이더맨에게 데어데이나 울버린등이 어디까지나 가까운 "동료"라면 휴먼 토치는 몇 안되는 '''친구'''이다.
         570호부터 정신적인 성장을 예고하는 장면들이 잦아지고 노력하는 모습이 많아져 팬들의 불안을 야기했으며 결국 587호에서 백스터 빌딩 안에 [[네거티브 존]]이 어나이얼레이션으로부터 강제로 열려지자 [[인간]]으로 돌아온 [[씽(마 코믹스)|씽]]과 백스터 빌딩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식객 그리고 [[프랭클린 리처즈]]와 [[발레리아 리처즈]]를 지키기 위해 자신은 네거티브 존에 남아 장렬한 최후를 맞이한다. [[미국]] 만화 특성상 결국 언젠가 다시 부활하겠지만.
          * 오래 전에 국내에서 방영한 TV 애니메이션(1994년판)에서는 알아듣기 쉬우라고 "[[파이어]]"라고 개명당했다. 튀기 좋아하고 가벼운 젊은이 같은 성격 때문에 진중한 성격인 [[씽(마 코믹스)|씽]]과 티격거리는 경우가 자주 있다.
          * 옛날에 나온 애니메이션 판에선 혼자 짤리고 허비(H.E.R.B.I.E)라는 로봇이 그 자리를 차지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먼 토치를 보고 아이들이 자기 몸에 불을 붙힐까봐-라고 짐작했고 80년대의 판타스틱 포 만화에선 이를 의식한 에피소드도 존재한다. 하지만 사실은 마이 [[헐크]]처럼 실사화를 위해 휴먼 토치를 판권을 다른 회사에 팔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정작 판권은 넘겼지만 당시 기술론 휴먼 토치를 재현해낼수가 없어서 결국 실사화는 안되었다.
  • 고준희 . . . . 6회 일치
         |웹사이트 = {{공식 로그|www.instantcoop.com/}}<br>{{인스타그램|gojoonhee/}}
         | 《[[언터처 (대한민국의 드라마)|언터처]]》
         ||에이씨앤씨||미샤 (화장품)||[[박주미]], [[이혜상]]
         ||에이씨앤씨||미샤 L'EAU DE MISSHA (향수)||[[동방신기]]
         * {{공식 로그|www.instantcoop.com|고준희}}
  • 김갑수(배우) . . . . 6회 일치
         2009년 [[KBS2]] [[아이리스(드라마)|아이리스]]에서 핵물리학자 [[유정훈]]으로 출연해서 사망하고, 후속작 2013년 [[아이리스 2]]에서 그 형이자 핵물리학자 [[미스터 랙]]으로 출연해서 사망. ''''1인 2역' 사망'''(...).
         || 아이리스II: 더 무비 || 미스터랙 || 조연 || ☆[* ??? ~~추가바람~~.] ||
         || KBS2 || [[러드(드라마)|러드]] || 유석주 || 조연 || 사망 ||
         || KBS2 || [[아이리스 2]] || [[미스터 랙]] || 조연 || 사망[* 아이리스 1에서 [[유정훈]]으로 사망, 그 형으로 출연해서 '''1인 2역''' 사망(...)] ||
         || 1991년 || KBS1 || 둥지를 찾아서 || 기자1[* or 2 [[https://blog.naver.com/neuronjo/221114364388]|로그 글]]] || 출연 || ||
  • 맥시멈즈 . . . . 6회 일치
         DC의 캐릭터이나 캐릭터들 자체는 [마 코믹스] 캐릭터들의 패러디로 [어벤저스], 혹은 [얼티밋 유니버스]의 어벤저스인 얼티밋을 패러디했다.
         참고로 DC의 마 패러디는 이 맥시멈즈가 처음이 아닌것이 이전에도 저스티파이어즈를 통해 마 코믹스 캐릭터들을 패러디했다. 그리고 마 코믹스 패러디는 이것만이 아니며 마 역시 DC 코믹스 패러디 캐릭터들이 꽤 있다.
          * 로봇 - [아이언맨], [비전] 패러디. 아이언맨처럼 하늘을 날고, 손바닥에서 에너지 라스트를 발사한다. 아이언맨이 갑옷입은 인간인 것과 달리 이쪽은 로봇.
  • 박주영 . . . . 6회 일치
         드리의 경우 전성기 때에는 뛰어난 순간 속도와 예측력을 기반으로 한 번에 확 치고 나가는 스타일을 선호했다. 즉 일단 공을 잡아놓고 상대 수비수가 마크하러 오면 수비수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서 반대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확 치고 나가는 스타일이었다. 볼 키핑력과 순간속도, 예측력이 있기에 가능한 스킬이었는데 무릎 부상을 포함한 피지컬 하락과 폼이 죽으면서 이런 스타일의 드리은 잘 시도하지 않는다. 다만 아직도 예측력은 유효한 강점으로 상대 수비의 움직임이나 공의 흐름 같은 것을 잘 읽는 편이다. 그래서 흐르는 볼에도 강점이 있다.
          * 버팍 : 아스날 입단 후 여러모로 거품(버)에 가까운 모습이 보여지며 붙은 별명. 발음 자체는 [[현아(가수)|현아]]의 히트곡인 [[Bubble Pop!]]의 패러디이다. 기사 댓글에서 주로 "버 팍팍"[* Bubble Pop!의 가사 'Bubble Bubble Pop! Pop!'의 패러디.] 하면서 조롱할 때 자주 쓰였다. 곡의 연차가 오래되고 박주영의 거품도 꺼지면서 점차 생명력을 잃었다.
  • 보육원 떨어졌다 일본 죽어라!!! . . . . 6회 일치
         >엠럼인지 뭔지 아무래도 좋으니까 보육원 만들어.
         [[아사히 신문]]의 기자가 이메일로 로그 소유자와 연락한 바에 따르면, 로그 소유자는 [[도쿄]]에 거주하는 30대 초반 여성이라고 자칭했으며, 남편과 1세가 되는 남자아이와 3인 가족이서 생활하고 있고, 사무직 정규직으로 4월에 복직할 예정이었으나 보육소에 아이를 넣을 수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고 하였다.
         2월 29일에는 일본 국회의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야마오 시오리(山尾志桜里) 민주당 의원이 이 로그에 대해서 거론했으나, [[아베 신조]] 총리는 "익명인 이상 실제로 진실인지, 내가 확인할 수 없다"고 답변하였으며, 의원석에서는 "누가 (로그에) 쓴거야", "(질문자는) 제대로 (쓴) 본인을 내놔."라는 야유가 날아왔다고 한다.
          * "보육원 떨어졌다 일본 죽어라"익명 로거에게 기자 접촉(아사히 신문) : http://www.asahi.com/articles/ASJ3355J2J33UTIL01N.html
  • 블러드와인드 . . . . 6회 일치
         [[마법]]형 캐릭터로 러드젬(Blood Gem)에서 힘을 얻는다. 능력은 라스트, 괴력, 방패, 변신술, 텔레포트 등.
         미국에 노예제도가 있던 시절, 제이콥 휘트니라는 인물이 운영하는 면 재배지가 있었는데 그곳의 노예들은 모든 노예들의 불행과 눈물에서 창조된 러드젬을 연마하기 위해 25일 밤 넘게 자신들의 혈액을 이용한 고대의식을 치루었고, 이후 러드젬은 휘트니를 영원히 가두었다.
         러드젬은 한 가족에 의해 보호되었고, 이후 그들의 후손은 러드와인드가 되었다.
  • 블리치/680화 . . . . 6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79화]] |||| '''리치/680화''' |||| [[리치/681화]] ||
         [[리치]] 680화. '''BIGGER, FASTER, STRONGER'''
         [[분류:리치 에피소드]]
  • 스쿼키 청소회사 . . . . 6회 일치
         맥스가 처음으로 이들을 목격한 것은 [[라디미르 렘]]의 창고에서 들린 총성을 조사하러 갔을 때였다. 이때는 일반적인 청소회사 직원으로 위장하고 있었지만, 맥스가 허점을 등을 보이자마자 공격을 시작했다. 라드의 애인인 총기 제조업자 애니 핀을 살해한 이들은 경찰이 오자 도망쳤다. 맥스가 해당 사건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해 라드를 찾아갔을 때, 라드는 이들이 펀치넬로 패밀리의 마피아인 [[비니 고그니티]]의 부하들일거라고 주장했다.
         이후 맥스는 [[알프레드 우든]]에게서 라드가 이너 서클 내에서 반란을 일으켰다는 이야기를 듣고서는 라디미르 렘이 청소부를 움직이고 있었다는 걸 깨닫는다.
  • 스파이더맨 . . . . 6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미국]]의 [[슈퍼 히어로]]들 중에서도 [[슈퍼맨]]과 더불어 큰 인지도를 지니고 있다.
         본명은 피터 파커. 그냥 뛰어난 두뇌의 젊은이였으나 방사능 거미에 물리면서 초능력을 얻었다. 이후 스파이더맨이 되어 다양한 악당들과 싸운다. 주로 상대하는 빌런은 [[그린 고린]], [[닥터 옥토퍼스]], [[베놈]] 등등이 있다.
         [[마 코믹스]]의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참가하지 못했다. 스파이더맨의 영화 판권이 어벤져스 영화 시리즈를 만든 [[마 스튜디오]]가 아니라 [[소니 픽쳐스]]에 있기 때문. 결국 마과 소니의 합의로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에 출연할 수 있게 되었다,
  • 아이언맨(영화) . . . . 6회 일치
         마 스튜디오의 영화.
         [[마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아이언맨]]이 주인공이며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첫 발이다.
          * [[아이언맨(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아이언맨]]/토니 스타크
          * [[워 머신(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제임스 로즈]]
         아이언맨의 함께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성공적인 데뷔.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 요괴:파워블로거지 . . . . 6회 일치
         [[식당]] 같은 가게에 나타나 밥을 먹거나 물건을 가져간다. 홀연히 사라져버리거나, 돈을 내지 않고 오히려 돈을 내지 않으면 식당의 평판을 떨어뜨린다고 소리친다. 이 때 겁을 먹고 돈을 던져주면 기쁘게 웃으면서 홀연히 사라지지만 몇일 뒤에 또 나타나서 같은 짓을 요구한다. 계속 같은 일을 하면 파워로거지는 밥통이 점점 커져서 점점 더 많은 음식을 먹고, 또 다른 파워로거지의 무리가 나타나서 점점 손해가 커진다. 마침내 가게를 망하게 만든다.
         이들의 행동이 [[거지]]와 같으며, 이들이 장사꾼을 위협할 때는 "로그~ 로거~ 파워로거~"하는 요사한 주문을 외우면서 울기 때문에 "파워로거지"라고 부르게 되었다.
  • 유키히라 소마 . . . . 6회 일치
         무수한 미식 경험으로 엄청나게 깐깐한 심사위원[* 이들 중 대표는 센다와라 쌍둥이 자매로 각각 A,B록 심사위원장을 맡았다. 이 자매는 작중 대기업인 카레를 주로 생산하는 하우비 식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언니인 나츠메는 CEO, 동생인 오리에는 COO를 맡고 있다. 둘 다 '''고금동서의 카레를 전부 다 알고 있어서''' 예선 주제인 '''카레'''로는 진입장벽이 굉장히 높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심사위원들도 전세계의 요리들을 거의 다 알고 있는 일류 미식가들이다.]에 좌절하는 사람[* 심사위원들의 기준이 어찌나 높은지 자신들의 말로는 '''50점 이상''' 받으면 훌륭한 요리라고 하는 데 각 록 TOP8에 든 16명을 제외하고는 전부 '''40점도 못 넘었다.(...)''' 특히 A록 심사위원장인 나츠메는 [쿠로키바 료|료]의 프렌치 왕새우 카레를 먹기 전까지 어느 누구에게도 '''단 1점도 주지 않았다.''' [흠좀무].]과 그럼에도 감탄사를 끌어내는 실력자들[* 앞서 얘기한 각 록 TOP8에 든 16명으로 전부 이 까다로운 심사위원들한테서 '''80점 이상'''을 받았다.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A록은 '''아키라''', '''소마''', '''료''', '''스바루''', 슌, 젠지, 니쿠미, 료코 / B록은 '''아리스''', '''히사코''', '''타쿠미''', '''메구미''', 미요코, 이사미, 유우키, 나오이다. 강조처리한 애들은 본선 진출자들.]이 등장하는 예선에서 후반부에 드디어 요리를 완성. 직접 만든 망고 처트니를 숨김 맛으로 쓴 카레 리조또 오므라이스로 심사위원의 감동을 이끌어내는데 성공, 하야마가 날카로운 창이라면 소마는 맛의 파상공격이라는 극찬을 받았지만 아쉽게도 아키라의 홀리 바질 카레에 1점 못미치는[* 단 하야마보다 높은 점수를 준 사람이 심사위원 5인 중 3명이었다. 즉 이게 점수 합산 방식이 아닌 식극처럼 다수결 방식이라면 오히려 소마가 이겼다. 이 때문에 심사위원들이 서로 다투기까지 했다.] 93점으로 [쿠로키바 료|료]와 함께 공동 2위로 본선 진출 성공.
  • 절대가련 칠드런/445화 . . . . 6회 일치
         랙 팬텀의 자객은 한조에게 넘겨진다.
          * 칠드런은 카시와기 역시 랙팬텀의 마수에 당한 거라고 여기고 있으나 쉽게 드러내지 못한다.
          * 하지만 랙 팬텀의 에이전트도 지지 않고 "우리들 세대에겐 '개성'이 주어졌다"고 응수하며 문어가 좋다며 문어 예찬론을 펼친다.
          * 사실 비행기는 테오도르(랙 팬텀) 일당이 장악하고 있었다.
          * 한조의 말대로라면 지금 랙 팬텀의 에이전트들은 다른 사람이 부여한 개성에 따라 이미지를 만든다는 것이 된다.--그리고 닌자 취미는 순전히 본인 의향이라는 씁슬한 진실이--
          * 테오도르의 말대로라면 이미 바벨의 상층부는 전원 랙 팬텀의 손아귀에 떨어진 걸로 볼 수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71화 . . . . 6회 일치
          * 그러나 그 장소에 있는건 미나모토와 [[사카키 슈지]]의 디코이 로봇, 역시나 [[랙팬텀]]의 함정이었다.
          * 파티는 바깥에서 경계하기로 하고 미오, 모모타로, 카가리, 카즈라가 진입한다. 미오와 모모타로는 카가리, 카즈라와 간격을 둔 채로 미나모토와 사카키가 갇힌 감옥으로 접근했다. 미나모토의 모습이 보이자 그녀는 미나모토의 무사를 확인하고 카오루에게 전할 말은 없냐고 묻는다. 그녀의 등장에 놀란 미나모토는 혼자 온 거냐고 묻는데 모모타로가 고개를 내밀고 자신들과 카가리, 카즈라, 파티가 같이 왔다고 말해버린다. 그게 실수였다. 이들은 진짜가 아니라 디코이. 랙 팬텀의 함정이다.
          * 일행이 진입하기 전부터 랙 팬텀의 병력이 그들을 주시하고 있었다. 카가리와 카즈라가 쓰러지자 숨어있던 에스퍼가 모습을 드러낸다. 바벨의 와일드 캣, [[우메가에 나오미]]였다. 그녀도 정신오염 당해 랙 팬텀의 수하가 되었다.
          * 한편 엉겁결에 텔레포트를 하게 된 미오와 모모타로는 형무소 어딘가로 떨어진다. ECM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걸 몰랐기 때문에 왜 초능력이 써지는지 당황해한다. 그때 그들 앞에도 랙 팬텀의 자객이 등장한다. 팀 토이, [[바렛 실버]]와 [[팀 토이]]. 역시 정신오염 당했다. 랙팬텀의 명령을 받고 "마음껏 싸우러" 왔다.
  • 절대가련 칠드런/473화 . . . . 6회 일치
          * 일행이 코드네임을 가지고 시시덕거리는데 모든 걸 지켜보고 있는 [[랙 팬텀]],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길리엄]]은 그 코드네임이 마음에 걸린다.
          * 문제는 랙 팬텀 측도 분진폭발에 휘말렸다는 것. [[우메가에 나오미]]는 중파지만 [[팀 토이]]와 [[바렛 실버]]는 대파 상태. 나오미는 이런 상태로도 "벌써 승부가 났다"며 자신하지만 그리 좋기만 한 상황은 아니다.
          * 카즈라는 "비열한 능력, 처음부터 랙 팬텀이 되기 위해 태어난게 아니냐"고 매도하면서 틈을 만들려 한다. 하지만 아키라가 쉽게 넘어가지 않고 투항을 제촉하는데, 잠깐 동안 낌새가 이상하더니 카가리의 정신으로 돌아온다.
          * 더 하운드와 엇갈리듯 도착한 칠드런팀. 뒤이어 [[쿠모이 유리]]와 [[마츠카제 코우이치]]도 도착한다. 마츠카제는 레이더로 근처에 랙 팬텀의 전투 헬기가 접근하고 있어서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한다. 시호는 곧바로 근처의 정보를 읽어서 더 하운드 팀이 방금 전 도주한 것, 그리고 와일드 캣과 섀도우 오브 더 칠드런 팀이 정신 오염 상태로 교전 중이라는 것까지 파악한다.
          카오루가 책임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여주자 시호와 아오이도 한 발 물러선다. 둘은 각각 "카오루가 파괴의 여왕이라면 "금단의 여제"(언터쳐 엠프레스), "신속의 여신"(라이트스피드 가디스)인가"라고 중얼거린다. 이 말을 들은 유리가 흥분해서 "그런 나는 뭐야"라고 끼어드는데, 마츠카제가 "넌 그냥 "팬텀 도터"잖아"라고 대충 정해준다. 하지만 유리는 세트가 좋다며 "현혹의 여교황"(다즐링 하이프리스너스)같은 급조한 명칭을 제안한다. 여기서 마츠카제가 대항심을 느껴 "지옥의 타천사"같은 되도 안 되는 명칭을 들이밀어서 사이좋게 둘 다 츳코미 당한다.
          * 일행이 만담을 하는 동안 상황은 랙 팬텀에게 착실하게 전달되고 있었다. 인근의 카메라가 일행의 모습을 담는다. 모니터 너머로 지켜보고 있던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길리엄]]은 카오루가 말한 "판도라의 대리"나 "파괴의 여왕"이란 이름을 듣고 뭔가 마음에 걸리는 모습이다.
  • 차선우 . . . . 6회 일치
         ||<|3><:> [[2017년]] ||<:> 드라마 ||<:> [[KBS 2TV]] ||<:> 비바 앙상 ||<:> 김선우 역 ||<:> 장애 인식 개선 드라마, 재능기부 형식의 출연 ||
          출연 영역이나 배역이 매우 독특하고 스펙트럼이 넓다. 케이 드라마와 지상파 드라마는 물론 단편영화, 웹무비, 웹드라마, 장애 인식 개선 드라마 등에서 연기했으며 여지껏 맡은 배역으로는 순수한 '''의대생''', '''지적장애인'''[* 그것도 두 차례나 맡았다.], '''싸이코패스''', '''시각장애인'''[* 정확히는 시각장애인인 척 하고 살아가는 남자] 등 다양하다.[* 축구 마니아, 연예인, 일진짱, 조금 어눌한 친구 같은건 오히려 평범한 축에 속하게 되었다... ]
          * [[유지애]]([[러리즈]]) - Delight (2013)
         현재 [[러리즈]]로 활동 중인 '''그 [[유지애]] 맞다.'''[* 해당 곡은 [[유지애]]가 [[러리즈]]로 데뷔하기 전 개인 활동을 하던 시절에 발표한 곡이다.] ~~전반적으로 팬들은 산뜻한 분위기의 움짤을 얻었지만 오글거림 또한 떨쳐내지 못했다는 평이 대부분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FWPJtK10O4|메이킹필름 A]] [[https://www.youtube.com/watch?v=PLVwYeVNaB8|메이킹필름 B]]
          * 멤버들 사이에서 엽사를 굉장히 잘 찍는다. 본인의 말로는 얼굴근육이 유연하다고 한다. 눈썹도 유연한 편이다. ~~그래도 [[락비]] 앞에선...~~ [[http://blog.naver.com/nowly/70142184006?p__g=n__w|하품하는 차바로]]
  • 최덕희 . . . . 6회 일치
         * [[파워 퍼프 걸]] ([[SBS]]) - '''로섬'''
         * [[그랑루 (영화)|그랑 루]] ([[KBS]]) - 조애나 ([[로재나 아켓]]) / 어린 작크
         * [[미션 임파서: 로그네이션]]([[KBS]]) - 일사([[레베카 퍼거슨]]) <ref>{{뉴스 인용|url=http://www.mun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044|제목='미션 임파서: 로그네이션' 더빙 방영…톰 크루즈·레베카 퍼거슨 성우는 누구?|출판사=문화뉴스|날짜=2017-01-30}}</ref>
         * [[환타지 특급 - 데로드 앤드 데랑]] (KBS) - 에라브레
  • 최석기 . . . . 6회 일치
         최석기는 [[대전중앙중학교]] 3학년때부터 배구를 시작하였다. 그는 다른 선수에 비하면 늦은 편이지만 키가 크고 로킹 타이밍이 좋은 선수로 성장하였다. 대전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 입학하면서 [[박준범]], [[진상헌]]과 함께 장신벽을 구축하며 철벽 로킹을 과시하기도 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nms/basket_volleyball/news/vb/view.do?cate=23794&newsid=209416 -대학배구 최강전- 한양대, 인하대와 결승 대결] 《연합뉴스》 2007년 11월 7일 16:18, 2009년 3월 19일 《미디어다음》에서 확인</ref>
         그는 [[NH농협 2008~2009 V-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1순위로 [[수원 KEPCO 45]]의 지명을 받으며 입단하였다. 그러나 팀은 단 한 번의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고 연패를 당하게 되었고, 이는 [[공정배]] 감독(현재[[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단장) 이 경질되는 빌미가 되었다. 하지만 그는 소속팀이 상무를 이기고 기나긴 25연패를 끊으며 첫 승을 기록하였을 때에는 감격스러워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이어 [[2009년]] [[3월 5일]]에 열린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의 경기에서 12득점, 5로킹을 올리는 활약으로 이변을 일으키는 데 기여하였다.<ref>[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70908 〈프로배구〉KEPCO 45, 현대캐피탈 제압 '대이변'] 《제주투데이》 2009년 3월 5일 23:54, 2009년 3월 19일 1:37 확인</ref>
         최석기는 신인으로는 유일하게 개인기록상 주요 부문인 로킹 부문에서 5위 안에 들면서 [[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의 [[세터 (배구)|세터]] [[황동일]]과 함께 신인왕 후보로 오를 만큼 활약을 펼쳤으나<ref>[http://www.sportsseoul.com/news2/sports/volleyball/2009/0317/20090317101030400000000_6732676814.html 지금은'석기시대' KEPCO45 최석기 신인상 맹추격] 《스포츠서울》2009년 3월 17일 12:23, 2009년 3월 19일 1:42 확인</ref> 전 경기를 소화한 황동일에 밀려 신인상 수상에 실패하였다.<ref>[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Sports/Basketball/Article.asp?aid=20090416004415&subctg1=05&subctg2=00 프로배구 정규리그 MVP 박철우?데라크루즈, 공격남녀 최후의 승자] 《스포츠월드》 2009년 4월 16일 22:53, 2009년 4월 19일 23:01 확인</ref> 하지만 그는 팀내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NH농협 2008~2009 V-리그 올스타전]]에는 [[한국 배구 연맹]]의 추천으로 [[수원 KEPCO 45]]의 유일한 올스타 선수로 참가하였다.
         최석기는 로킹을 성공시키면 처음에는 덩실덩실 춤을 추는 세레모니를 펼쳤다. 이날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와 [[수원]] 홈경기에서 최석기가 [[로베르틀란디 시몬]] 한테 로킹을 무려 8개나 잡아내며 시몬 킬러로 등극했다. 득점을 올릴 때마다 자진방아타령이 울려퍼진다. 여기다 그가 세레모니하는 장면은 [[KBS N sports]]의 배구 프로그램 [[스페셜 V]]에서 선정한 주간 베스트로 뽑히기도 했다. 이후에 공격 성공후 자신이 개발한 세레모니를 펼치면서 팬들의 인기를 얻게 되었다.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6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며 전직 [[국가정보원]] 제2차장이다. [[우병우]]의 서울법대 84학번 동기이자, 우병우의 최측근으로서 [[문화계 랙리스트]] 작성·실행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정원 제2차장으로 일하면서 2016년 6월 ‘[[정운호 게이트]]’ 사건과 관련한 수사를 받았다. 서울지검 제3차장 시절이던 2015년 2월경 [[홍만표]] 변호사로부터 청탁을 받아 정운호의 무혐의 처분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실제로 2016년 6월 [[정운호]] [[네이처 리퍼릭]] 대표는 도박 혐의로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홍만표 변호사에게 사건 청탁 명목으로 3억원을 건넸고, 홍 변호사가 당시 박성재 서울중앙지검장과 최윤수 3차장 검사에게 청탁하겠다고 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닌 게 아니라 2015년 2월 당시 최윤수 차장검사가 홍만표 변호사의 청탁 알선을 받고 정운호의 뒤를 봐줬기 때문인지 정운호는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고 풀려났다.
         ==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랙리스트|문화계 랙리스트]] 관여 ==
         국정원 제2차장 시절에 '국정원 문화·예술인 배제 보고서'를 수차례 보고 받고 지시하는 등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랙리스트|문화계 랙리스트]] 작성·실행에 관여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추명호]]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이 우병우 전 수석에게 ‘비선 보고’하는 데 관여한 혐의도 받고 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1421.html#csidx24444379242d545ae3e855a102f4499|#]] 그러한 이유로 검찰에 의해 [[구속영장]]이 청구되었으나 2017년 12월 2일 [[오민석(법조인)|오민석]] 부장판사에 의해 기각되었다. 물론 검찰 내부에서는 최 전 차장의 구속영장이 '가담 정도'를 이유로 기각된 것에 불과하고 범죄 사실 소명 자체는 어느 정도 인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1731.html#csidxe6517123a8063c9aaa12e8244fa6d69|#]]
  • 최홍만 . . . . 6회 일치
         엄청나게 큰 덩치와 씨름 선수였을 당시의 경력으로 인해서 꽤 주목을 받았으며, 격투기 실력이야 어떨지 몰라도 일단 등장과 동시에 2005년 3월 서울 토너먼트에서 우승해 아시아 챔피언이 돼 버렸기에 굉장한 주목을 받았다.[* 근데 이 토너먼트 출전 선수들과 대진표가 '''막장'''이었다. 당시 출전했던 선수들 중 ('''그나마''')가장 강한 선수가 카오클라이였는데 최홍만과의 체중 차이가 거의 '''80kg''' 가까이...게다가 최홍만이 있는 토너먼트 럭에서는 그 유명한 [[아케보노 타로|아케보노]]와 당시 '''45세'''였던 ''''심판'''(선수가 아니다!) [[카쿠다 노부아키]], 당시 39세 스모선수 와카쇼요 등의 ~~사실 선수라고 불러주기 좀 민망한 수준의 파이터들만~~있던 반면, 카오클라이의 럭에는 수십 전 이상의 킥복싱 경력이 있는 파이터들인 호리 히라쿠와 이면주 등이 포진해 있었다. 여러 모로 최홍만 띄우기 대회라고 팬들 사이에서 적잖이 까였다. 덕분에 최홍만은 지역 대회 우승이라는 나름대로 대단한 경력을 갖고 데뷔했음에도 불구하고, 밥 샙을 이기기 전까지는 한동안 검증 안 된 서커스 파이터 취급을 받았다.] 게다가 초창기의 대부분의 시합이 실력이야 어찌됐든 간에, 니킥과 럭키 펀치에 의한 시원한 KO 승리로 끝났기 때문에 한국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끌어냈다.
         2007년 4월과 8월 각각 마이크 말론과 [[개리 굿리지]]를 KO로 잡아내며 재기에 성공한 최홍만은 2007년 9월 서울에서 열린 월드 그랑프리 개막전에서 마이티 모를 상대로 리벤지에 성공한다. 요코하마에서의 패배를 의식한 듯 가드를 굳히고 로우킥을 내는 전법을 들고 나온 최홍만은 결국 우세한 경기를 펼쳐내며 판정승을 거둔다.[* 1차전에서와 같은 오버 핸드가 수차례 적중했지만 이때는 쓰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홍만이 모에게서 빼앗은 다운이 실은 [[로로]]였다는 것이 드러나며 큰 논란이 되었다. 모는 판정에 큰 불만을 드러냈고 심지어 한국의 팬들 사이에서도 모에 대한 동정론이 일었다. 반면 최홍만에 대해서는 2차례에 걸친 지나친 어드밴티지와 데뷔 때부터 제자리걸음인 기량 등을 이유로 안티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http://www.mfight.co.kr/serial/viewbody.php?code=mfight_board_serial2&number=203|당시 인터뷰. 마이티 모의 표정에서 엄청난 분노를 느낄 수 있다(...).]] 마이티 모가 너무 빡친 나머지 판정 결과에 대해 비디오 판독을 요구하며 재판정을 요구를 했으나 K-1측의 답변은 '''다운이 로로인 건 인정하는데 니가 진 건 맞음 ㅋ'''이었기 때문에 K-1도 상당히 많이 까였다. 2006년 밴너와 레미의 대결 당시 판정 논란이 일자 비디오 판독을 통해 결과를 정정한 것과는 반대되는 부분.
         11월 10일, 경기 도중 이롱이 스피닝 킥을 차다가 로로를 맞은 듯 했고, 최홍만이 속행 불가 의사를 밝히자 이롱의 승리를 선언했다. 이에 국내의 팬들은 마스파이트가 대놓고 편파를 한다고 비난했으나, 슬로우모션 캡쳐 결과 타격 위치가 치골이었고 이에 [[심건오|건오]]했다는 비아낭을 받았다. 게다가 경기 내내 최홍만은 유효타 제로에 저우진펑전 때처럼 이롱에게 일방적으로 로킥과 안면 펀치를 허용하며 형편없는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덕분에 사람들의 반응은 싸늘함 그 자체. 이제는 예전과 다르게 욕이나 악플조차 달리지 않을 정도로 사람들의 관심 자체에서 멀어진 듯 하다.
         [[리치|모 사신 만화]] [[사도 야스토라|이 친구]]를 닮았다는 소리가 가끔 들린다.
  • 토리코/374화 . . . . 6회 일치
          * "센터"가 숨겨진 식재였던 것은 루 니트로가 의도적으로 배제했기 때문인데, 센터는 "지구의 구르메 세포"의 핵에 해당하며 구르메 세포 그 자체와 같기 때문.
          * 그렇기에 루 니트로 아톰은 토리코의 "네오를 풀코스에 넣겠다"는 선언을 정신나간 소리 취급한다.
          * 청귀가 버텨준 덕에 멀리 날아가지 않았고, 루 스핏이란 기술로 반격까지 한다.
          * 이것을 우려한 루 니트로아톰과 페어가 싸움에 가세한다.
          * 그 순간 적귀와 청귀, 두 오니가 토리코로부터 분리되어 루니트로들과 싸운다.
          * 지로가 니트로를 포식했다고 했을 때 루 니트로가 놀라는 이유가 있었다. 그만큼 지로가 압도적인 존재였기 때문.
  • 토리코/381화 . . . . 6회 일치
          * 루 니트로 페어는 루 니트로 센터에게서 센터를 넘겨 받고 "보험"이라며 센터를 죽인다.
          * 루 니트로 페어는 드디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에 몸을 떨며 루 니트로 센터에게 다음 작업을 준비시킨다.
          * 루 니트로 페어는 전부터 아카시아와 뭔가 다른 꿍꿍이를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설이 있었는데, 센터를 죽이긴 했지만 임무를 계속하기 위해 그런 걸 보면 통수 치는건 아닌 듯.
          * 정작 아카시아가 루 니트로들을 통수칠 가능성은 높다.
  • 토탈워 시리즈 . . . . 6회 일치
         [[영국]]의 게임 제작사 [[크리에이티브 어셈리]]에서 제작하는 턴제 대전략+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크리에이티브 어셈리가 [[SEGA]]에게 인수된 지금은 SEGA의 잘 나가는 브랜드 중 하나다.
          * 미디: 토탈워
          * 미디: 토탈워 - 바이킹 인베이전
          * 미디 2: 토탈워
          * 미디 2: 토탈워 킹덤즈
  • 하이큐/273화 . . . . 6회 일치
          * [[카게야마 토비오]]의 "온화 모드" 발동으로 분위기가 반전됐다. 스코어는 20 대 12. 카게야마의 노 터치 서브 에이스 달성을 기점으로 [[이나리자키 고교]]가 첫 번째 TO를 쓴다. 중계진은 경기가 서브 경쟁으로 흐름이 바뀌는 걸로 보고 있고 과연 카게야마의 서브로 [[카라스모 고교]]의 반격이 시작될지 주목한다. 그렇게 카게야마의 2회차 서브. 이번에도 완벽한 서브. [[미야 오사무]]가 손을 뻗었지만 리시브 실패. 연속 서브 에이스. 거기서 그치지 않는다. 카게야마는 세 번째 서브에 임한다. 이번엔 긴지마 쪽. 리시브에는 성공했지만 자세가 좋지 않았다. 공은 [[오지로 아란]]에게 연결. 2세트부터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오지로. [[우카이 케이신]] 코치의 의도도 그것이다. 아주 조금씩 쌓인 스트레스, 피로감이 평소 플레이를 조금씩 뒤흔든다. 그리고 지금 미스로 이어진다. 이번에도 오지로의 스파이크엔 록 세 장이 따라붙었다. [[사와무라 다이치]], [[히나타 쇼요]], [[타나카 류노스케]]. 오지로는 우카이 코치가 노린대로 평소보다 아주 조금 더 록을 의식하게 됐고 우측으로 길게 찌른 스파이크가 라인을 벗어난다. 카라스노의 득점. 스코어는 20 대 14. 우카이 코치는 이것이 전환의 1점임을 단언한다. 관중석의 [[다이쇼 스그루]]와 여친 미카도 알 수 있었다. 방금 전 그 아웃은 오지로에겐 "꺼림직한 아웃"이다.
          * 카게야마의 4회차 서브. 이번에도 역시 강력하다. 긴지마가 받은 공은 크게 떠올라 다시 카라스노 진영이로. 여기서 카게야마가 또 묘기를 부린다. 서브 이후 "직결 셋업". 바보커플의 여자 쪽은 카라스노의 9번 카게야마를 보면서 "봄이 한 번에 돌아왔다"는게 무슨 말인지 실감했다. 그리고 10번, 히나타도 그랬다. 카게야마의 신속한 세트업 만큼이나 히나타가 날아오른 것도 빨랐다. 이나리자키 록은 미처 따라붙지 못했고 완전 노마크로 스파이크. 하지만 득점하지 못한다. [[미야 아츠무]]가 귀신같이 루트를 꿰뚫어보고 리시브해낸다. 공은 오사무를 거쳐서 다시 오지로에게. 오지로는 방금 전 꺼림직함을 떨쳐내려는 듯 강렬한 스파이크로 1점을 되찾아 간다. 카게야마의 득점 행진은 여기서 멈췄지만 분위기는 충분히 변했다. 카라스노의 괴짜 콤비와 미야 아츠무 간의 신경전. 그대로 고조된다.
          * [[쿠로오 테츠로]]는 크게 앞서서 안심했던 이나리자키가 카게야마가 불을 지핀 추격세로 흔들렸다고 봤다. 지록 오지로는 실책을 만회하긴 했지만 대신 팀 전체가 "꺼림직한 분위기"를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코즈메 켄마]]도 같은 생각이었다. 그정도의 작은 흔들림도 평소의 플레이를 조금은 흔들리게 하고 그 다음 약간의 미스가 겹쳐서 실점으로 이어진다. 그걸 결국 흐름이 뒤집히는 결과를 낳는다. 그 말처럼 이나리자키의 플레이는 조금씩 어긋나고 있었다. 긴지마의 스파이크가 카라스노의 록에 막혀서 자군 코트를 때렸다. 다행이 이 플레이는 록에 참가한 [[아즈마네 아사히]]의 터치네트로 실점이 되진 않았지만 팀의 분위기는 크게 바뀌었다. 이젠 초조하기까지 하다.
          록에 빠릿빠릿하게 참가하고 카게야마가 4회차 서브 직후 직결 세트업을 올릴 때 쏜살같이 달려나와 스파이크를 날렸다. 이쪽도 카게야마 온화모드 못지 않게 팔팔한 상태지만 아쉽게도 득점은 하지 못했다.
  • 한성호 . . . . 6회 일치
         |레이 =
         - 자신의 회사(구 F&C뮤직)에 소속되어 있는 FT아일랜드(이홍기), 씨엔루(정용화)가 출연하고 있는 SBS 《[[미남이시네요]]》 7회에서 까메오로 출연했다. 유일하게 버즈에 이어서 아이돌밴드를 만든 FT아일랜드, 씨엔루를 무서운 신인으로 만들어 각종 1위, 상위권 차트를 휩쓸었다.
         : 발매사: (주)[[웅진그룹|웅진코웨이]] (PLYZEN 레이)
         * [[씨엔루]] - 외톨이야, LOVE, 직감 등등
         * [[씨엔루]]
  • 허준호(배우) . . . . 6회 일치
         ||<bgcolor=#113759> {{{#white '''데뷔'''}}} ||[[1986년]] 영화 '청 루 스케치'[* 뮤지컬 데뷔는 [[1983년]] '방황하는 별들']||
         최근 영화 출연보다는 뮤지컬 출연이 더 잦다. 원래 갬러 자체가 일본에 건너간 거의 최초의 뮤지컬 수출작이기도 하다. 허준호는 갬러에 거의 10년째 출연했고 [[시카고(뮤지컬)]]나 [[바람의 나라]]에도 출연했다.
         [[2005년]] [[뮤지컬]] "갬러"를 공연(재공연)하러 일본에 갔는데, 그가 비중있게 출연했던 드라마 [[올인(드라마)|올인]]이 당시 일본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이었던지라 일본인 [[기자(직업)|기자]]로부터 인터뷰를 하게 되었는데 [[독도]]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받고는 말없이 걸어가 [[펜]]을 훅 뺏고는 "기분이 어떠세요?"라고 했다는 [[간지폭풍]]의 일화가 전한다. [[http://sangto3.tistory.com/1193|#]] 기자는 사과했다고.
          * 1986년 《청 루스케치》... 준호 역
          * 1998년 《루스》... 카페 주인 역
  • 강동우 . . . . 5회 일치
         피나는 노력으로 재활을 마치고 2000년 시즌 막판에 겨우 복귀해서 다시 삼성의 주전 [[외야수]]로 활약하지만, 신인 시절의 성적은 다시 나오지 않았고 평범한 선수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래도 [[류중일]] 코치가 선수 시절에 달던 1번을 달고 뛰며 타격에서는 나름대로 제몫을 하며 삼성의 주전 외야수로 활동했고, 2002년 [[김응용]] 감독 아래에서 타율 0.288, 9홈런으로 어느 정도 부활에 성공하였다. [[2002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는 2001년 데뷔하여 삼성의 붙박이 타자가 된 왕년의 좌타 [[라이벌]] [[박한이]]와 함께 [[테이 세터]]를 이뤄 활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즌 타율이 2할 중후반에 머무르는 바람에 '비운의 톱타자'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이후 [[선동열]] 감독과 마찰을 빚게 되었고 외야진 보강 차원에서 2006년 3월 [[두산 베어스]]의 [[강봉규]], [[김창희(야구)|김창희]]를 상대로 [[트레이드]]되고 말았다. 당시 삼성 팬들은 격분하여 난리를 쳤다. 이는 훗날 [[양준혁]]의 등떠밀기식 은퇴, [[이승엽 와도 자리없다]]는 발언 등과 함께 [[선동열]]의 삼성 프랜차이즈 내치기 사건 중 하나다.
         '''2009시즌 한화 투수진엔 [[류현진]], 중심타선엔 [[김태완]], 그리고 테이 세터엔 [[강동우]]로 정리된다.'''
         7월 30일 [[SK 와이번스]]의 큰 [[이승호(1976)|이승호]]를 상대로 쓰리런을 때리며 기어코 개인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인 11호 홈런을 쏘아 올렸다!! ~~테이세터고 뭐고 그냥 넘겨서 점수내면 되는 거잖아? 그리고 요즘 더워서 누상에 서 있으면 힘들다고...~~
         이제 나이도 있고 하니 체력적으로 힘든 [[테이 세터]]를 다른 선수가 맡아주길 바랬으나... [[고동진(야구선수)|개막전에서 시범으로 다른 선수를 1번으로 기용했다가 쫄딱]] [[망했어요]]. 그래서 이 해도 1번타자로 활약했다.(...) ~~그나마 포지션은 주로 [[우익수]]로 뛰는게 다행...인가?~~
         5월 17일 두산전에서 [[3루수]]가 공을 잡자 오른팔을 빼고 왼팔을 뻗어 태그하는 ~~헬멧 로킹~~ 센스있는 주루플레이로 3루타를 만들어냈다.
  • 강영식 . . . . 5회 일치
         그래서 그런지 [[선발 투수]]나 좌완 [[원 포인트 릴리프]]로 나왔을 때는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리고 탈삼진 능력은 뛰어나지만 가끔씩 몰리는 공에 장타를 크게 맞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서두에 상술되어 있듯이 새가슴으로 유명한데, 이는 불펜 투수로서는 결정적인 약점이다. 그리고 일 년에 한 달 정도는 비교적 제구 잘 되는 날의 비율이 높으며 구위도 언터처한 모습을 보이지만 잔부상이 잦고 체력도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닌지 이후 귀신같이 피홈런이 증가. 설명서가 필요한 불펜 투수의 전형적인 사례. 그래서 [[양승호]] 감독 체제에서 아주 잘 써먹은 반면, [[김시진]] 체제에서는 한 달만 잘 하다가 나머지 달에는 원 포인트로 기용되어 많이 말아드셨다. [[제리 로이스터]] 前 감독 때는 2008시즌 언터처이었으나 불펜 붕괴로 이후 시즌에는 다소 불가피하게 혹사당한 감이 있다.
         수술과 재활에 성공적이었는지 시즌 초에는 거의 2008 시즌 때만큼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5월 이후로 난조를 보였다. 피홈런이 많아 피안타율이나 [[WHIP]]에 비하면 [[평균자책점]]은 높았다. 롯데 불펜진 중 [[임경완]](4개) 다음 가는 론세이브(3개)를 기록했다. 시즌 중반에 [[허준혁(1990)|허준혁]](좌완)이 불펜에 합류하기 전까지는 좌완투수가 없는 관계로 상당히 자주 등판했다.
         2010 시즌 정규시즌 기록은 63경기 52⅔이닝 3승 3패 2세이브 3론세이브 7홀드, 평균자책점 4.44, WHIP 1.41.
         하지만 6윌이 지나자마자 실점하는 경기가 많아지면서 평균자책점이 4점대 중반까지 치솟았다. --정말 딱 한달만 언터쳐 이었다--
  • 강흠덕 . . . . 5회 일치
         |소속 구단 = 성남 루팬더스
         * [[성남 루팬더스]] 트레이닝 코치 (2017년 ~ 현재)
         '''강흠덕'''(姜欽悳<ref>한국야구위원회, 2012 가이드북</ref>, [[1958년]] [[8월 15일]] ~ )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포수]]이자, 현 [[경기도 챌린지 리그]] [[성남 루팬더스]]의 트레니닝 코치이다.
         2011년부터 [[두산 베어스]] 2군 트레이닝 코치로 활동하였다. 2017년부터 [[성남 루팬더스]]의 트레니닝 코치로 활동했다.
         {{성남 루팬더스 명단}}
  • 권혁 . . . . 5회 일치
         8월 2일 넥센전까지 38경기 11홀드 1론 ERA 2.70 WHIP 1.33 30이닝 23피안타(1피홈런) 18사사구 15K를 기록 중이다. 뭐 충분히 뛰어난 성적이긴 하다. 그러나 이름값과 1억 9천만 원이라는 연봉을 생각하면 기대에 많이 못미친다. 보면 알겠지만, 경기당 1이닝이 안되는 수치로서 이는 당초 기대되던 강력한 셋업맨이 아니라 LOOGY, 즉 [[원 포인트 릴리프]]다.[* 물론 예전과 달리 선발 투수들의 소화 이닝이 6이닝 이상까지 올라갔으며 8회에는 [[안지만|힙합전사]]가, 9회에는 [[오승환|인간투석기]]가 풀가동 중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6~7회의 아웃카운트 4~6개를 [[정현욱]], [[권오준]]과 나눠 소화하게 되기 때문에 납득하지 못할 변화도 아니다. [[권오준]]만 해도 경기당 1이닝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LOOGY들에게 가장 금물이라 할 수 있는 '''볼질'''이 심해졌다. 작년만 해도 73K/19BB였고 통산 K/BB도 2를 넘는데 올해는 어째... 물론 [[삼성 라이온즈]]나 국내 야구판에 권혁만한 레프티 릴리버가 있어도 얼마나 더 있겠냐마는, 이전에 비해 좀 안습인건 사실이다.
         8월 6일 한화전에서 끝내기 홈런을 맞고, 8월 8일 롯데전에선 한 타자도 못잡고 1자책을 허용했으나, 끝내기 홈런은 [[임창용]]의 론 이후 나온 것이라 삼성팬들은 임창용을 까기 바빴고, 롯데전에선 좌우놀이에 휘말려 1타자를 출루시킨 뒤 심창민의 깔끔한 분식으로 실점한 것이라 권혁에겐 비판의 화살이 거의 없었다. ~~이듬해 이 팀으로 적을 옮긴 후, [[정근우]]가 이때 맞은 홈런을 가지고 권혁을 놀린다는 얘기가 있다~~
         7월 23일 두산 베어스와의 원정경기에서 4-3으로 앞선 7회말에 등판하였으나, [[윤규진]]이 남겨놓은 승계주자를 실점시키며 비야누에바의 승리를 날려먹는 '''론세이브'''를 범했고 팀이 8회초에 역전을 시켜 승리투수 요건을 갖췄으나, 김재환에게 홈런을 얻어맞고 8회 2아웃 상황에서 [[정우람]]에게 바통을 넘겼다. 이날 기록은 1이닝 1실점.
          * '''2003년 2월 하와이 전지훈련 때'''[* 2006년이라고 잘못 기재했었는데, 이건 아마 사진을 2003년에 촬영한 뒤 2006년에 로그에 업로드한 것으로 추정된다. 로그를 보면 [[이승엽]]과 [[틸슨 브리또]], [[김진웅]], [[이정호]]가 삼성에 있었고 [[손혁]]과 [[차명주]]가 [[두산 베어스]] 소속인 상태이다. 당시 권혁은 입단 2년 차였다.] '''2.5M 깊이의 [[익사|물에 빠져 죽다가 살아난 적]]이 있다'''. 수영이 능숙하지 않음에도 깊은 데로 갔다가 빠진 경우인데, 당시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야말로 제대로 빠져서 익사 직전까지 갔다가 인공호흡 및 응급처치로 살아난 케이스. 정황상 권혁은 당시 그곳이 그렇게 깊은 곳인 줄 몰랐던 것 같다. 물놀이 분위기가 고조되어 맥주병 선수들도 너 나 할 것 없이 폭포를 왕복하고 있었는데 권혁도 그렇게 하다가 빠진 것. 체격 건장한 운동선수라 물에 빠져도 어떻게든 나올 것 같은데 당시 권혁은 얼마 버티지 못하고 가라앉았던 걸 보면 역시 물에는 장사 없다는 말이 맞는 듯. 다행히 현장에 있던 [[배영수]]와 이재국 기자[* 당시 스포츠조선 소속. 현재는 스포츠동아로 옮긴 상태이다. [[이광용의 옐로우카드]]의 주 패널로 잘 알려져 있다.]가 가까스로 그를 건져내서 응급조치로 살려냈다. [[http://blog.naver.com/namastae?Redirect=Log&logNo=40022370751|당시 사건을 자세하게 기록했다. 사진도 있음.]] 그리고 13년 뒤인 2016년 현재 배영수와 권혁은 나란히 한화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 김형철 (가수) . . . . 5회 일치
         |장르 = [[루스 록]]
         |관련활동 = [[신화창조 (음악 그룹)|신화창조]] <br/> [[신촌 루스]]
         1985년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루스 록 가수 첫 데뷔하였고 [[1988년]] [[신화창조 (음악 그룹)|신화창조]]라는 록 밴드에서 본격 록 음악가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1년]]에는 [[신촌루스]]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이후 영화배우로도 활약을 하였다.
         * [[신촌 루스]]
  • 라늬 . . . . 5회 일치
         | 레이 =
         [*[2020년]] ;[[서울 경기 케이방송]]
         *[[2021년]] ;[[서울 경기 케이방송]]
         *[[2010년 ]] :언터처
         *[[2009년]] [[언터쳐]]- 난리부르스
  • 랑그릿사 . . . . 5회 일치
         == vs 파이어 엠렘 ==
         사실, 랑그릿사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닌텐도의 [[파이어 엠렘 시리즈]]에 대항하는 메가드라이브 시장에서의 '대항마'라는 위치가 강하다.
         단순한 유사성도 있을 수 있겠지만, 서로 다른 경쟁 게임기에서 비슷한 장르로, 이렇게 많이 비슷한 게임이 나왔다는 점에서 보면, 랑그릿사는 파이어 엠렘을 굉장히 많이 의식하여 대항하는 관점에서 만든 게임으로 보는 것도 불합리한 것은 아니다.
         반대로 파이어 엠렘 역시 랑그릿사를 의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성전의 계보(1996)에서는 먼저 나온 랑그릿사 2[* 정확히는 멀티엔딩 요소와 더불어 분기에 따른 연애까지 갈라지게 만드는 [[슈퍼패미컴]] 이식작 데어 랑그릿사를 가리킨다. 메가드라이브판 랑그릿사 2는 빛의 후예 엔딩 하나만 있는 리아나 일직선이다.]를 연상케 하는 '연애 요소'를 도입한데 더해서, 단순히 엔딩에서 맺어지는 상대를 정하는 수준을 넘어서 2대에 걸치는 싸움을 묘사하는 등 한 단계 더 나아간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에서는 한글화와 PC판 발매, 애니메이션과 일러스트 덕분에 훨씬 높은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지만, 일본에서는 아무래도 인기 측면에서는 하드 자체가 마이너한 하드(메가드라이브, 세가 새턴)을 주로 나왔고 시리즈의 명맥이 아예 끊겨버린 상황이라, 현재는 인지도와 인기가 파이어 엠렘에 훨씬 뒤쳐진 상황이다.
  • 마블 퍼즐퀘스트 . . . . 5회 일치
         [[마 퍼즐퀘스트/1성]]
         [[마 퍼즐퀘스트/2성]]
         [[마 퍼즐퀘스트/3성]]
         [[마 퍼즐퀘스트/4성]]
         [[분류:게임 관련 정보]] [[분류:퍼즐 게임]] [[분류:마 퍼즐퀘스트]]
  • 미스터 판타스틱 . . . . 5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초능력 외에도 [[지구]]상에서 가장 우수한 과학적 지능을 가진 히어로이다. 리드 리처즈는 [[마 코믹스]]의 지구상에서 가장 지적인 존재중 하나로서 전기,기계 및 항공우주공학,전자공학, 화학, 물리학의 모든 수준,그리고 인간과 외계 생물학에도 숙달한 천재다. [[타임머신]]이나 차원도약장치 정도는 뚝딱뚝딱 만들어내는 과학자이다.
         즉, 리드 리처즈라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력이 이미 국가차원의 기술력을 압도한다. 리드 개인의 기술력은 다른 차원으로 이동하는 [[포털]]이나 다른우주를 관측하는 장비까지 만드는 수준으로 과학의 새로운 미래로 그들을 이끌어나갈 수준이라고 보면된다. 실재로 [[마 유니버스/평행세계|멀티버스]] 중에는 리드에 의해 인류의 과학수준이 올라간 세계도있다.--그럼 이 인간보다 더 똑똑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라는 [[발레리아 리처즈|딸]]은 대체..--
         리드 리처즈는 '''브리지'''라는 기계도 만들었는데, 무한한 가능성들 가운데 특정 가능성이 실현된 [[마 유니버스/평행세계|멀티버스]]의 다른 우주를 관측하는 '대체현실 뷰어'다.
         어렸을 적부터 [[물리학]], [[수학]] 등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인 [[신동]]으로, [[뉴욕]]의 대학에서 [[빅터 폰 둠]]과 룸메이트 [[벤 그림]]과 만나게 된다. 당시 리드는 행성간 우주선 건조를 계획하고 있었고 벤이 농담 삼아 그 우주선의 파일럿이 되어주겠다는 약속을 한다. [[맨해튼]]의 하숙집을 얻을 때 '''나이가 띠동갑 수준'''인 수전 "수" 스톰(인비저 우먼)과 인연을 갖게 된다.
  • 박경림(MC) . . . . 5회 일치
         그 이후 90년대 말부터 MBC 예능프로그램에 등장하기 시작해, 드세면서도 재치있는 입담과 '사각턱'과 '특이한 목소리'[* 목소리가 꽤 걸걸하고 허스키하다. 본인 말에 의하면 학창 시절에 [[운동회]]를 했을 때 응원을 너무 열심히 하는 바람에 목이 쉰 것이 지금까지 이어진 거라고 한다.] 기믹을 앞세워 새로운 예능캐릭터의 트렌드를 이끌면서 상승세를 타다가 결국 2000년대 초반에 정점을 찍어 수많은 광고와 방송3사 인기프로그램들에 출연하다 못해 영화나 드라마에까지 출연하는 등 연예계 루칩이 되었고, 결국 2001년 연예대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그 후에도 2000년대 중반까지 꾸준히 예능계의 인기스타로 활약했다.
         박경림 이후 박경림처럼 예쁘지 않지만 매력있는 컨셉의 여자연예인들이 꽤 나오기는 했지만, 그녀의 전성기 이후 10여년이 지난 후까지도 그녀같은 스타일로 광고계까지 접수하는 여성 대스타가 전혀 나오지 않은만큼, 그녀는 그야말로 한국 연예사에서 절대적인 역사를 쓴 입지전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오히려 그녀의 시대 이후로는 국민여동생 붐으로 [[문근영]], [[김연아]], [[손연재]], [[아이유]] 등 미모가 되는 10대후반 ~ 20대초반 여자스타들만이 광고계 루칩으로 떠오를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배우, 가수, 스포츠 등 자기분야에서의 인기를 업고 올라간 것이지, 박경림처럼 순수히 예능 MC와 출연자로써만 인기를 얻어 광고계 루칩이 된 것이 아니다.]
          * 전성기 시절의 위업을 한문장으로 표현하자면 '''20대 여성이 연예대상 최연소 수상'''으로 설명 할 수 있다. 20대 연예대상은 최초이자 최후이고, 여자 연예대상은 이효리의 공동대상을 빼면 단독수상으론 박경림이 유일. 다만 과거 연예대상이아닌 방송대상 코미디 부분이나 코미디대상에선 여성으로는 김미화와 이경실, 20대로는 이경실, 서경석, 박준형이 수상을 한 적은 있었다. 다만 최연소 기록은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박경림의 수상 당시 나이는 만22세. 지금 잘 나가는 여자MC들 전부를 합쳐도 박경림 인기에 미치지 못했을 정도로[* 시상식 수상자로 나와 꺅꺅 소리지르는 소녀팬들을 몰고다닐 정도였으니..그것도 여자 예능인이..더 웃긴 건 그 소녀팬들한테 시끄럽다고 호통치는 센스까지..] 2000년대 초반 당시엔 엄청난 인기를 구가했다. 그녀 이후 당시 그녀의 예능계 포스에 조금이라도 비교할만큼 잘 나가 봤던 연예인은 그나마 [[이효리]] 한명뿐이다.[* 배우와 예능 MC를 병행하며 박경림보다 더 오래 예능계 몸담은 [[김원희]]도 있지만, 그녀는 미모의 여배우치고 코믹연기가 능해 이미지가 재미있고, 남자MC와 호흡맞추며 하는 진행을 잘하여 롱런한게 훌륭한 것이지 박경림처럼 3년 정도 장기간 예능계 여성 원탑이었던 적은 없었고, 잘 나갈때의 이효리조차 [[신동엽(코미디언)|신동엽]], [[유재석]]이라는 대스타 MC의 받쳐주기 후광으로 받은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데다가, 예능만으로는 2000~2002년 박경림이라는 여성 예능인의 파괴적 인기점유율에 미치지 못한다. 전성기 박경림은 박수홍 같은 남자MC들과 출연하더라도 그녀가 웃음과 진행을 이끌어가는 메인이었지 남자MC의 보조만으로 끝났던 적이 거의 없다. 그야말로 당시 잘나가던 남자 MC들과 동급 혹은 그 이상이었다. 또한 다른 여자연예인들은 다른 분야 활동에서의 인기가 예능에도 미쳤던 영향이 있지만 박경림은 자신이 혼자 진행하는 인기프로그램까지 있었을만큼, 예능만으로 절대적 루칩이 되었던 인물이다.]
          * 결혼 후 예능에서의 활동은 잘 안 보이는 상태. 애엄마가 돼서 그런 듯하다. 케이에 간혹 드문드문 보이는 경우도 있다. 과거 코미디 얘기만 얘기하던 시절의 [[코미디프로그램 갤러리|코갤]]에선 8대 [[신]] 다음으로 여신 라인의 수장을 차지하는 위엄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안 좋은 의미로(…). 방송에서의 인맥 자랑 + 같은 이야기 여러 번 울궈먹기 때문에 이미지가 많이 안 좋아졌기 때문. 전성기 시절에는 자기 스스로 망가지는 모습에 서슴이 없었고 과감했기 때문에 시청자들의 호감을 샀으나 복귀 이후에는 몸을 사리는 모습을 보이며 다른 여자MC와 차별점을 두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 부시왜커 . . . . 5회 일치
         [[마 코믹스]]의 빌런.
         오른팔이 [[총]]으로 개조된 악당이며 주적은 [[데어데]]과 [[퍼니셔]]다.
         한때 성직자를 꿈꿨던 전직 CIA 요원.[* 이때 팔이 총으로 개조되었다.] 현재는 뮤턴트 사냥꾼인데 그에게 희생된 뮤턴트들은 초인적 힘의 소유자들이 아니라 예술 관련으로 뛰어난 재능을 소유한 뮤턴트들이며 큰 돈을 받고 활동하는 것은 맞으나 누구에게 고용됐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런 그의 행동을 멈추기 위해 [[울버린]]이 추격에 나섰으며 그의 아내에게 부탁받은 맷 머독도 움직였다. 처음엔 부시왜커를 죽이려는 울버린을 맷 머독이 데어데로서 막았으나 탈출한 부시왜커의 손에 뮤턴트 발레리나가 죽으면서 둘이 연합하게 되었다. 결국은 패배했으며 이때 울버린에게 다시 죽을뻔했으나 데어데이 또 살려줬다. 이후 데어데의 손에 의해 뉴욕 경찰서에 넘겨졌다.
  • 블리치/684화 . . . . 5회 일치
         |||||||||| [[리치/에피소드]] ||
         || [[리치/683화]] |||| '''리치/684화''' |||| [[리치/685화]] ||
         [[리치]] 684화. '''Son of Darkness'''
  • 소명(가수) . . . . 5회 일치
         |레이 =
         * 2011년 제18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전문케이 선정 10대 가수상
         * 2012년 제19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전문케이 선정 10대 가수상
         * 2013년 제20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전문케이 선정 10대 가수상
         * 2014년 제21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전통가요 전문케이 선정 10대 가수상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 5회 일치
          * 마 슈퍼 히어로즈 VS 스트리트 파이터
          * 마 VS 캡콤
          * 마 VS 캡콤 2
          * 마 VS 캡콤 3
          * 얼티밋 마 VS 캡콤 3
  • 승리(빅뱅) . . . . 5회 일치
         그가 운영하고 있는 사업 중 제일 큰 규모의 사업은 '''아오리의 행방불명(아오리 라멘)''' 사업이다. 사람들에게는 승리 라멘집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6년 12월 16일,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승승장구하며 국내 체인점도 많이 늘어났으며 일본, 한국, 중국, 동남아까지 사업 규모를 넓혀가서 1년만에 30호점을 달성했다. 다만 기본 1만원 이상의 가격이 타 국내 라멘집은 물론 일본에 비해서도 비싸다는 평. 또한, DJ 레이 '''Natural high records의 사장'''으로, 현재 레이을 [[양현석]]이 인수를 하면서 현재 YG엔터테인먼트 레이 사장직이기도 하다.
         || '''3''' || GG BE (지지베) (Feat. [[제니]] of [[BLACKPINK]])[* 발매 당시 표기는 Jennie Kim Of YG New Artist 였으나 최근 지드래곤의 결국, 랙과 함께 음원사이트 표기가 수정됨.] || 승리 || 승리, 최필강 || 최필강 ||
          * 일본에서 꽤 인기가 있다.[* 일본계의 대도서관이라 불리는 [[히카킨|HIKAKIN]]의 게릴라 라이브에서도 얼굴을 비췄다.] 일본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문화를 정확히 알고 오는 사람을 좋아하는데, 승리가 그런 케이스. 일본은 개그코드가 한국과 많이 달라 한류열풍으로 간 사람들이 일본 방송에서 크게 성공을 못할 때가 많다. 바닥부터 겪어봐야 일본 현지인의 말투나 문화, 개그코드를 이해하기 쉽다. 승리는 밑바닥부터 시작해서 처절하고 비참한 예능현실을 많이 맛봤다. 일본 현지 예능인들도 잘 나가고 싶지 않아하는, 한국에 비유하자만 케이 방송보다 못한 수준의 예능프로에 나가 열심히 했고, 이를 토대로 일본 방송에서 인기를 얻을 수 있었다. 왜냐하면 승리는 그나라의 문화도 무시하지 않고 수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리는 일본의 문화를 존중하고 받아들이면서도 한국의 문화를 비하하는 것은 참지 않는다. 사실 당연하지만 분위기상 그렇게 하기가 쉬운 것만은 아니다.[* 그 외에도 한국요리만 소개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MC로써 다양한 요리를 소개하고 잡지에 코너를 만들어 한국음식 소개함] 스태프에게 잘하고 방송을 열심히 해서 일본 방송에서는 MC나 고정게스트로 자리잡았다. 또한 첫 일본 CF를 승리가 따냈다. 승리만 보고 빅뱅에게 CF를 줄만큼 신임을 얻고 있다는 증거.
  • 아이박 . . . . 5회 일치
         그냥 인간이었으나 루시퍼의 마법으로 인해 아이박이란 단어를 말하면 초록 불꽃에 휩싸여 괴력을 가진 아이박이 된다. 약점은 캡틴 마처럼 단어를 말하지 못하게 되면 아이박이 될수 없다는 것.
         마찬가지로 샤잠의 빌런인 [[닥터 시바나]]와 협력하기도 했으며 샤잠의 적들이 모인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에 합류하기도 했다. DC 코믹스 악당들의 대규모 집단인 시크릿 소사이어티 오브 슈퍼 빌런즈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등장 시기는 상상히 오래된 빌런으로 샤잠의 이름이 [[캡틴 마]]이던 시절부터 등장해왔다.
         현대의 악당이었으나 뉴52에서는 설정이 변경되어 과거 [[랙 아담]]이 인간이던 시절에 칸다크를 침공한 폭군이 되었다. 힘을 가지게 된 랙 아담의 마법에 의해 석상이 되었다.
  • 울릉군 . . . . 5회 일치
         그 외에도 세무서는 포항세무서가 2009년 울릉도에 세정 업무를 돕기 위해 포항세무서 울릉지서가 울릉군을 관장하며, 일반적인 세정 사무는 포항까지 나가야 하며, 관세 부문은 포항세관이 울릉도를 책임지고 있다. 또한 케이TV는 [[현대HCN]] 경북방송이 울릉군도 관할하게 된다.
          * 도동약수공원 일원-도동 위로 올라가다가 약수공원 방향으로 올라가면 독도 박물관과 독도 전망대가 있다. 특히, 독도 전망대는 경치가 좋기에 인기가 많은 관광지. 박물관에서 케이카 타고 전망대로 올라가면 왕복 15분 거리의 도동 방향 전망대와 30분 거리의 해안 전망대로 길이 나뉘는데, 어느 쪽이든 생각보다 가까우니 겁먹지 말고 가보도록 하자. 참고로 케이카는 바람이 거세면 통제되므로 미리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독도 박물관 반대편 갈림길에 있는 도동 약수는 쇠맛이 날 정도로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마시기 전에 수질검사표를 확인하자.--
         그래서인지 이곳 출신 인물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위치에 오르면 지역신문은 물론이고 중앙일간지에서도 실어주기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CE부문 [[대표이사]])[* 원래는 고2때까지 울릉수산고등학교를 다녔는데, 더 큰 꿈을 이루겠다는 생각으로 대구에 있는 [[대륜고등학교]]에 1학년으로 입학해 총 5년이나 고등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남한권 [[예비역]] [[준장]]([[대한민국 육군]] 인사행정처장), [[박현동]] 라시오 [[아빠스]]([[천주교]] [[베네딕토회]] 왜관수도원장 겸 [[덕원자치수도원]]장 서리) 등이 있다.
         비행기 타고 해외여행을 가고자 한다면 대부분 [[포항시]]로 향하는 여객선을 이용, 포항에서 대구, 부산으로 향하는 리무진 버스, 전세버스 등을 대절하여 대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일본]], [[중국]], [[몽골]], [[동남아시아]], 극동러시아([[라디보스토크]] 등) 등지로 향하게 된다. [[미국]]이나 [[중동]], [[유럽]], [[호주]],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공화국|인도]], [[카자흐스탄]], [[아프리카]] 등지로 나갈 경우 [[포항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까지 [[대한항공]] 또는 [[에어포항]]의 국내선을 이용, 김포공항까지 내려온 다음 다시 김포공항에서 인천공항으로 향하는 리무진버스, 공항철도를 이용하면 바로 인천공항에 닿는다.
  • 유하나(1986) . . . . 5회 일치
         || '''링크''' || [[http://blog.naver.com/hahana111|로그]][[http://cafe.daum.net/YouHana|팬카페]][[http://minihp.cyworld.com/pims/main/pims_main.asp?tid=21635368|미니홈피]] ||
         로그나 기타 SNS에 올라오는 소식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연기 복귀보다는 우선 내조생활에 전념하는 듯 하며, 한식 조리사 자격증[[http://blog.naver.com/hahana111/150151224684|#]]까지 취득하면서 주부로 변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실일|'''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결국 2013년 11월 17일 이용규는 FA로 [[한화 이글스]]로 이적하게 된다. --근데 한화 이글스는 수도권이 아니잖아-- 문젠 이 과정에서 과도한 언플로 인해 잡음이 끊이질 않았는데, 이적이 결정된 후 이용규의 행보에 실망한 일부 팬들이 유하나의 로그에 댓글로 불만을 토로해 잠시 로그를 닫기도 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당시 댓글에 인신공격이나 욕설이 난무했다. 심지어 아기사진에도 욕설을 달았다는 말도 나오지만 이는 와전된 이야기고, 실제로는 이용규와 관련해서 응원과 섭섭하단 글이 주였다. 이후 로그를 닫은 것은 자신의 사적인 이야기를 하던 공간에 남편과 관련된 글이 더 많이 올라온 탓에 부담을 느껴 그런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지배적이다.] 그 전까지는 유하나가 팬들과 함께 단관을 추진하는 등 팬 친화적인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렇게 된 것이 안타깝다는 반응이 많았다.
  • 육성재 . . . . 5회 일치
         [include(틀:비투비 루)]
         2015년 복면가왕에서 [[난 이제 지쳤어요 땡벌]]로 나와 놀라운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후아유 - 학교 2015]]에 ~~서브남주~~ 공태광 역할로 나와 대중에게 확실하게 육성재와 BTOB를 각인시켰다. 실제로 후아유가 종영하고 연말에 발매된 BTOB의 <집으로 가는 길>과 이듬해 연초에 발매된 <봄날의 기억>이 케이과 지상파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머쥐며 BTOB가 뒤늦게나마 빛을 보았다.
         2017년 판타스틱듀오 거미, 양희은 편에서 랙핑크 로제, 뮤지컬 배우 손준호등을 제치고 거미의 듀엣파트너로 선정되었고, 양희은&산들 듀오와의 대결에서 승리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최후의 3인이 함께 부른 '날 그만 잊어요'에서는 짙은 감성과 이어지는 듀엣으로 호평을 받았다.
         막내임에도 불구하고 형들(특히 리더 서은광과 이창섭) 몰이를 주도한다. 진공 드립(박 1위 후보편 서은광)[[https://www.youtube.com/watch?v=1tBfXPCJbgk&feature=youtu.be&t=5m25s|#]], 소드립[[https://youtu.be/lan50SjDkkw|#]], 밥배달 드립, 벌레드립 등으로 형들을 괴롭힌다. 비투비에서는 막내몰이란걸 상상도 못한다는 정도.--[[혁|이 분]]과 절친이라더니 역시나..--
         ||<|3> 2017년 || 케이 방송대상 || 라이징스타상 ||<|3>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
  • 윤정희(1944) . . . . 5회 일치
         ||<:> [[하지원]][br]([[내사랑 내곁에(영화)|내사랑 내곁에]]) ||<:> {{{+1 → }}} ||<:> [[수애]][br]([[심야의 FM]])[br]'''윤정희[br]([[시(영화)|시]])'''||<:> {{{+1 → }}} ||<:> [[김하늘]][br]([[라인드(영화)|라인드]]) ||
         ||<:> [[수애]][br]([[님은 먼 곳에(영화)|님은 먼 곳에]]) ||<:> {{{+1 → }}} ||<:> '''윤정희[br]([[시(영화)|시]])''' ||<:> {{{+1 → }}} ||<:> [[김하늘]][br]([[라인드(영화)|라인드]]) ||
         사실 그녀는 단순하게 인기가 많은 데에 그치지 않고 폭넓은 배역폭을 보여줌으로써 영화사에 굵직한 기여를 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cr333&logNo=120061757343&isFromSearchAddView=true|한 로거의 말에 의하면]], 당시 여배우의 맡는 통상적인 역할은 어머니상이나 요부상에 그쳤는데, 윤정희의 경우에는 이 두 역은 물론이고, 백치미까지 능숙하게 연기했다고. 단순히 트로이카들과 비교해도 이 차이가 두드러지는데, 하이틴 스타와 같은 통통 튀는 발랄한 역을 연기한 [[남정임]], 우수에 빠진 눈매로 비련의 여인을 연기했던 [[문희]]에 비해 폭넓은 역을 맡았다. 또 그녀의 이미지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지적인 세련미이다.
  • 윤채경(가수) . . . . 5회 일치
         ||<bgcolor=#FF69B4><:>'''{{{#white 팬사이트}}}''' ||<(> [[http://cafe.naver.com/moonlight02210707|빛채경팬카페]] [[http://cafe.naver.com/dspuretty/|퓨리티팬카페]] [[http://9602210707.tistory.com/|투윤닷컴]] [[https://chaekyung.kr/|채경 팬페이지 링]] [[http://gall.dcinside.com/board/lists/?id=chaekyoung|윤채경 갤러리]]^^[[윤채경 갤러리|(나무위키 문서)]]^^ ||
         6월 22일 케이채널 'TRENDY'의 《플랜맨》 촬영을 위해 4박5일 일정으로 푸켓으로 출국했다. 방송은 7월 10일 밤 10시 첫방송 되었다.
         [[APRIL]]에는 빨리 녹아든 듯하다. 티저 공개 이후 공개된 영상에서 [[APRIL]]의 멤버들이 인사를 하는데 [[http://m.dcinside.com/view.php?id=produce101&no=2865205|하트를 굉장히 완벽한 모양으로 짓는다]]. 나이 때문에 그룹 색깔과 어울릴지 걱정하는 팬들도 있었지만, 합류 후 매 앨범 컨셉을 그룹에 잘 묻어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나은]]과 함께 보컬라인을 탄탄하게 받쳐주는 포지션에 있고, 경력 덕에 댄스실력도 준수한 편이라 실력 면에서 밸런스가 잘 잡혀있는 멤버라고 볼 수 있다. 비주얼에 있어서는 짙은 쌍꺼풀, 평소에는 오목조목해보이지만 미소가 환하게 드러나는 입술과 고운 옆태 등등 러리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맏언니지만 동생들한테 당해주기도 하고 같이 망가지기도 하고 전혀 꿀리지 않는 비글미를 보여주는 등 여러모로 동생들과 함께 어우러지며 지내는 타입이다. 물론 회사에 들어온지 가장 오래된 멤버이자 연장자로 동생들이 말하는 것처럼 팀을 앞에서 잘 이끌어주는 맏언니로서 리더쉽 있는 모습도 있으며 소속사와 그룹 구성원 간의 창구 노릇을 하는 사실상 리더 역할도 하고 있다.
          * 2016년 4월 13일, 케이 채널 [[온스타일]]에서 방영하는 <기부티크>라는 패션 프로그램에 [[김소희(1995)|김소희]], [[한혜리]], [[기희현]]과 함께 출연했다..--퀵빛짹푼핸 중 퀵빛짹이 모였다.-- 해당 방송은 4월 20일 저녁 7시 --또-- 네이버 [[V LIVE]]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http://vlive.tv/video/7399|기부티크 Ep5 PRODUCE 101 윤채경·김소희·한혜리·기희현 출연 하이라이트]]
  • 절대가련 칠드런/467화 . . . . 5회 일치
          * 마기는 랙 팬텀의 세뇌로 효부에게 삐뚫어진 집착을 보이는 얀데레가 되고 말았다.
          * 탄소섬유는 일행이 있는 [[츠보미 후지코]]의 방을 촘촘하게 에워싸고 있었다. [[후지우라 요우]]는 대처할 틈도 없이 부상을 당한다. [[효부 쿄스케]]는 이것 또한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길리엄]]이 사전에 기획한 함정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이 함정을 치고 있는 당사자는 랙 팬텀에 세뇌된 [[마기 시로]], 그의 오른팔이다.
          * 마기는 쓸데없는 말은 필요없다며 오늘은 "수확의 날"이라고 말한다. 바로 소령의 "절망"을 수확하는 날. 그의 머리카락 사이에서 엄청난 수의 랙 팬텀의 레어메탈 버그가 기어나온다. 모두를 세뇌하는게 길리엄의 목적이라는 걸까?
          내면의 본질을 비틀어버리는 랙팬텀의 세뇌가, 마기를 [[얀데레]]로 변질시키고 말았다. 그는 효부도 길리엄의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말을 한다.
          * 카오루는 자신이 어떻게든 할 테니 쏘라고 소리친다. 미나모토는 더이상 선택지가 없다고 판단하고 래스터를 들어올린다. 하지만 그때 효부가 제지한다. 그는 마기가 정신을 잃긴 했지만 로봇이 된 건 아니라며 어떤 행동을 저지른다. 그가 저지른 행동에 일행은 물론 마기 조차 한순간 얼어붙는다.
  • 조재윤 . . . . 5회 일치
         * 2015년 [[KBS2]] 《[[러드 (드라마)|러드]]》 - 우일남 역
         * 2017년 [[OCN (방송)|OCN]] 《[[랙 (드라마)|랙]]》 - 저승사자 No.007 역
         * 2015년 《벽을 뚫는 남자》 - 듀, 변호사, 형무소장, 경찰 역
  • 크립토나이트 . . . . 5회 일치
         반대로 슈퍼맨의 반전 버전인 [[울트라맨(DC 코믹스)|울트라맨]]처럼 이것을 섭취할 수록 강해지는 생명체도 존재하며, 슈퍼맨의 적 중 하나인 [[메탈로]]는 동력원으로 이 크립토나이트를 사용한다. [[포에버 이]] 이슈에서 울트라맨은 강해지기 위해 자신의 세계뿐만 아니라 프라임 세계에 있는 거의 모든 크립토나이트까지도 빨아들여 먹어버렸는데, 이후 더욱 강해지기 위해 [[크라임 신디케이트|데스스톰]]에게 인공적으로 크립토나이트를 합성하여 만들 것을 지시한다. 그 후 얼마되지 않아 데스스톰은 [[렉스 루터|알렉산더 루터]]에 의해 끔살당했기 때문에 그가 크립토나이트를 만드는 장면은 나오지 않지만, 포에버 이 이후의 이야기들에서도 지속적으로 크립토나이트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인공적으로 크립토나이트를 만드는 방법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 '''루 크립토나이트''' ===
         히어로와 빌런이 역전된 세계 지구-3의 슈퍼맨인 울트라맨은 루 크립토나이트가 약점인듯 하다.
         === '''랙 크립토나이트''' ===
  • 토리코/364화 . . . . 5회 일치
          * 그때 언제 나타났는지 루 니트로 "페어"가 나타난다. 페어는 돈슬라임의 추측을 확인해주듯 '''"우리(루 니트로)와도 다르며 그렇기 때문에 'NEO'라 불린다"'''고 말한다.
          * 페어는 GOD를 제공하기 전에 해줄 일이 있다고 하는데, 그건 바로 광란의 늑대 지로. '''루 니트로 전원이 덤벼도 도저히 상대할 수가 없었다'''
          * 원래 아카시아는 다른 루 니트로 앞에서는 자아가 붕괴된 척하고 있었는데, 유독 "페어"와는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있다.
          * 최초로 아카시아에게 풀코스를 소개한 것도 "페어"였다는 점, 페어가 단독으로 아카시아와 접촉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이 페어가 다른 루 니트로와 뭔가 다른 부분이 있는게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
  • 토리코/376화 . . . . 5회 일치
          * 루 니트로들은 아카시아의 위기에 정신이 팔리는데, 청귀와 적귀는 그 틈을 노리려하지만 토리코에게 한계가 와서 몸안으로 돌아간다.
          * 루 니트로 페어가 용왕 데로우스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레이저로 요격하려 한다.
          *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아카시아와 루 니트로, 죠아는 팔왕을 엄청나게 깔보고 있다.--현실은 개털리는 입장--
          * 루 니트로는 페어편에서 드러났듯 루 니트로 혼자서는 팔왕급을 상대할 수가 없다.
  • 토리코/377화 . . . . 5회 일치
          * 루 니트로 아톰은 탈출하라고 하지만 그 말에 자극받은 네오는 전력을 다한 공격으로 문을 일시적으로 멈춘다.
          * 그는 자신이 루 니트로의 발을 묶을 테니 토리코에게 어서 GOD를 먹으라고 한다.
          * 경왕 문이 모든 것을 빨아들이기 시작하자 루 니트로 아톰은 다급하게 경고한다.
          * 그러나 루 니트로 페어는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당장 구하려고 달려간다.
          * 텟페이는 "내 명줄도 여기까지"라고 생각하며 토리코에게 자신이 루 니트로를 막고 있을 테니 어서 GOD로 가라고 한다.
  • 토리코/379화 . . . . 5회 일치
          * 텟페이는 루 니트로 아톰을 겨우 저지한다.
          * 루 니트로 센터는 테리를 비롯한 배틀울프 전원에게 포위된다.
          * 루 니트로 아톰은 텟페이가 풀어놓은 나무에 둘러쌓인다.
          * 그러나 루 니트로의 강인한 육체엔 통하지 않았다.
          * 루 니트로 센터는 테리를 고작 배틀울프의 유생체 따위로 취급한다.
  • 토리코/383화 . . . . 5회 일치
          * 루니트로 페어는 아카시아를 협조하게 할 생각으로 여러가지 정보를 주었다.
          * 루 니트로 페어는 아카시아의 배신에 분개한다. 그러나 아카시아는 천연덕스러운 얼굴이다.
          * 페어는 아카시아를 협조시킬 목적으로 루 니트로들이 함구하던 정보를 여럿 알려준 것 같다.
          * 그 중엔 루 니트로의 진짜 목적에 대한 것도 있는데.
          * 루 니트로 페어과 독자적으로 아카시아와 협력관계를 맺은건 사실이었다. 이전에도 묘하게 단독으로 아카시아와 만나는 장면이 많아서 의심되던 부분인데 확인되었다.
  • 토리코/385화 . . . . 5회 일치
          * 토리코의 완전부활. 브란치는 루 니트로 페어를 못 믿겠다 하지만 토리코는 페어가 거짓말은 하지 않을 거라고 한다.
          * 일행을 도울 테니 노킹을 풀어달라는 루 니트로 페어.
          * 부활한 토리코는 루 니트로는 제압할 수 있지만 네오의 힘을 사용하는 아카시아라면 무리라도 생각한다.
          * 토리코 일행의 리들챕터는 원래 루 니트로 페어의 것. 중요한 떡밥으로 보인다.
          * 토리코는 모처럼 부활했는데 여전히 파워인플레이션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스스로 루 니트로는 어찌할 수 있지만 현재의 아카시아는 어쩔 수 없다는데, 아직 GOD나 센터를 먹지 못한 듯.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 . . . . 5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 Fall of the Samurai.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쇼군 2]]의 스탠드 얼론 확장팩이다.
          3,300\.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센다이 번을 추가한다.
          3,300\.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쓰 번을 추가한다.
          3,300\.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오바마 번을 추가한다.
          3,300\.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사가 번을 추가한다.
  • 페어리 테일/485화 . . . . 5회 일치
          * 아이린과 두 심복은 연합군의 기세가 살아난걸 보고 있는데, 아이린은 러드맨과 라케이드가 있으니 신경 쓸 필요 없다고 단언한다.
          * 공격의 정체는 러드맨.
          * 가질은 러드맨을 철근을 박아서 벽에 매달아 버리며 "네가 책형을 당하니 기분이 어떻냐"고 도발한다.
          * 하지만 러드맨은 여유롭게 "네놈이 닿은 것은 '죽음'"이라며 웃는다.
         - 가질 레드폭스. 동료들을 책형해서 굴욕을 준 러드맨을 매달아버리며.--사실 잊고 싶은 흑역사를 자극해서 빡친 거--
  • 표창원 . . . . 5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s://twitter.com/drpyo|트위터]], [[https://www.facebook.com/pyochangwon|페이스북]], [[http://blog.daum.net/drpyo|로그]] ||
         방송 쪽으로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와 같은 범죄 관련 프로그램에 단골로 출연하여 유명해졌고, 케이 채널의 <살인자는 말한다>등의 자기 이름을 걸고 나오는 프로를 진행한 적도 있다. 2012년 경찰대학 정교수 퇴직 이후에는[* 개인 [[로그]] 및 [[트위터]]를 통해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의혹]]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는 과정에서 돌연 "경찰대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경찰대학 교수직을 사퇴했다.] [[JTBC]] [[표창원의 시사 돌직구]]라는 프로그램에 MC로 발탁돼 방송인을 겸했으며, 범죄심리분석 전문가로서의 행보는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대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면서 본 문서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했던것 처럼, "저명성에 걸맞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냐."는 지적들이 나왔지만, 어쨌거나 [[대한민국]]에 프로파일 기법이나 범죄자에 대한 복합적 연구를 처음으로 대중화한 점에서 공로가 있다는 것은 인정 받고 있다.
          * [[수원 삼성 루윙즈]]의 지지자다. 경찰대에 부임한 이후로 동네에서 가장 가까운 팀을 찾다 수원 루윙즈를 지지하게 되었다고 한다. 주간 서형욱에 2013년 3월 3일 출연해서 그냥 말로만 지지하는 게 아니라 진짜 지지자임을 보여줬다. 가끔씩 직관을 하러 빅버드에 온다고 한다.--그냥 시축 한번 해줬으면 좋겠다.--
  • 하수빈 . . . . 5회 일치
         | 레이 =
         카사랑카
         삶 속에서 카사랑카 (웅대한 사랑)
         * [http://cyhome.cyworld.com/?home_id=a1584706 하수빈 싸이월드 로그]
         * [http://blog.naver.com/lovelisaha 하수빈 네이버 로그]
  • 하이큐/224화 . . . . 5회 일치
          * 계속되는 록 앞에 이성을 잃어버리는 카게야마 토비오.
          * 다테 공고의 강한 록에 향상심을 자극 당한 카게야마 토비오.
          * 아즈마네는 다테 공고의 록 타이밍과 어긋나게 치려고하는데 아직 적응이 안 돼서 잘 되지 않는 상황. 아까의 미스도 그런 시도 중에 나온 것이다.
          * 타나카도 일부러 아슬아슬한 코스를 노리고 있는데, 다테 공고 정도 되는 록을 상대로 이런 훈련을 하는건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 열 받아도 참으라고 한다.
          * 이 공격은 다테의 록을 뚫어내지만 아슬아슬하게 라인을 벗어난다.
  • 하이큐/227화 . . . . 5회 일치
          * 종반에 들어선 아즈마네가 완전히 부활. 특유의 파워로 록을 격파하며 자신감을 회복한다.
          * 그러나 이번엔 다테 공고의 록이 빨랐다. 코가네가와 칸지와 아오네 타카노부의 리드 록에 가로막히는 공격.
          * 카게야마는 다시 아즈마네에게 공을 올리고 이번엔 다테의 코가네가와, 아오네, 후쿠타치 3인이 리드 록으로 다가온다.
          * 3인의 록을 뚫고 후방의 관중석까지 날아간다.
  • 하이큐/242화 . . . . 5회 일치
          * 스가와라는 침착하게 대응을 지시하며 자신이 높이 이어 카게야마에게 전달한다. 카게야마는 [[타나카 류노스케]]에게 세트 업, 록을 피해서 핀포인트로 꽂아넣지만 츠바키하라의 카이카게가 파인 플레이로 리시브한다. 타나카는 허접한 스파이크였다고 내심 투덜댄다.
          * [[공]]은 다시 츠바키하라 진영으로. 이번엔 이와무로가 떠오른다. 록이 미처 대응하지 못한 스파이크. [[사와무라 다이치]]가 리시브한다. 공은 카게야마에게 넘어가 [[히나타 쇼요]]에게 세트 업. 그러나 이번 속공은 에치고가 리시브한다. 공은 마루야마에게 넘어가는데.
          * 마루야마는 논스톱으로 스파이크, 록을 맞추고 크게 튀어오른다. 이대로는 츠바키하라의 득점으로 이어지는데.
          그것을 예측하고 먼저 움직이고 있던 스가와라. 스가와라는 마루야마에게 공이 넘어가는 시점부터 경계하고 있었다. 마루야마는 록아웃이 특기지만 페인트도 얼마든지 치는 타입. 예측은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 히나타와 카게야마가 뛰오른다. 또다시 속공일까? 츠바키하라에겐 네트 앞에서 망설일 시간이 없었다. 쇼요가 뛰어오르는 걸 보고 록 세 명이 동시에 따라온다. 하지만 그것은 페이크. 진짜는 뒤에서 기다리고 있던 아즈마네였다. 아즈마네가 솟아오르고 츠바키하라는 패배를 직감한다. 그리고 그것을 실현시키는 쐐기같은 스파이크.
  • 하이큐/264화 . . . . 5회 일치
          * 부단히 쓴맛을 보았던 [[이나리자키]]전에서도 타나카는 다시 기운을 차려서 공격에 나선다. 그는 [[스나 린타로]]의 록도 따돌리고 마침내 득점에 성공한다.
          [[카게야마 토비오]]가 공을 보낸다. 오른쪽에서 [[히나타 쇼요]]도 뛰어오르지만 이나리자키 록들은 낚이지 않았다. 특히 번번히 타나카를 물먹인 [[스나 린타로]]는 카게야마가 부담을 느낄 정도로 반응이 빨랐다. 뒤쪽에서 우려하는 [[츠키시마 케이]].
          초 이너 크로스. 타나카가 어슷하게 때린 공이 네트와 록은 한 가운데, 네트를 따라가는 것처럼 사선으로 내리꽂힌다. 아웃 라인 안쪽. 카라스노의 득점. 긴 인내 끝에 승리의 포효를 지르는 타나카.
          * 27 대 25. 카라스노의 역전. 역전에서 이어진 1세트 선취 벤치로 향하는 이나리자키 팀의 표정이 밝지 못하다. 파란이 일어났다. 중계석은 "최강의 도전자"로부터 "미지의 강호"가 1세트를 갈취했다고 표현했다. 스나의 스파이크를 막은 록과 거기서 이어진 최후의 일격. 중계석에서는 이 두 플레이의 가치를 높이 쳤다. 타나카에 대한 평가가 완전히 뒤집힌 셈이다.
          * 카노카는 타나카의 활약을 지켜보고도 어딘지 울적해 보였다. 그녀는 다시 배구를 처음 시작하던 무렵으로 돌아가 있었다. 자신의 큰 키를 부끄러워했던 어린 카노카. 그리고 그게 처음으로 재능이라는 걸 깨달았던 배구. 그걸 깨닫게 해준건 타나카였다. 카노카의 높은 록을 대단하다고 아낌없이 칭찬해주었다. 아니, 부러워했다. 타나카가 진심으로 부러워했기 때문에 이게 얼마나 큰 재능인지 깨달을 수 있었다. 언제나 한결 같은 타나카. 숨기는 것도 없고 꾸미는 방법도 모르는 타나카.
  • 하이큐/272화 . . . . 5회 일치
          * [[사나타 사에코]]는 응원도 멈추고 [[이나리자키 고교]]의 4번, 오지로를 "시라토리자와 고교"의 "우시카와" 같다고 비유한다. 그 말을 들은 [[시마다 마코토]]는 꼭 그렇지도 않다고 답했다. 비슷하긴 해도 우시와카랑 다르게 서브 리시브에 참가하고 서브로 공략할 여지도 있다. 실제로 오지로를 상대로 제법 서브 에이스를 따기도 했다. 이는 오지로로서도 꽤 스트레스였을 테고, 저렇게 훨훨 나는 것 같아도 계속 어려운 공이 올라온 데다 로킹도 성가시게 따라붙으니 육체적 정신적으로 상당한 피로가 누적됐으리라 추측한다. 적어도 그렇게 믿고 싶었다.
          * 긴지마의 2회차 서브. [[아즈마네 아사히]]의 리시브로 공은 [[카게야마 토비오]]에게. 카게야마는 [[타나카 류노스케]]에게 세트업. 타나카는 좌측에서 이나리자키의 [[미야 오사무]], [[스나 린타로]]의 로킹을 따돌리며 우측으로 꽂아넣는다. 네트에 바짝 붙은 스파이크. 한동안의 침채를 씻어내는 듯하다. 그래서인지 중계진도 1세트 이후부터 컨디션이 좋아지고 있다고 호평. [[츠키시마 케이]]의 서브 순서에서 선수교체. 츠키시마가 빠지고 [[스가와라 코시]]가 투입된다. 로테이션으로 [[니시노야 유]]가 빠지고 히나타가 진입. 스가와라는 실컷 두들겨 맞은 니시노야에게 "원수를 갚아준다"고 농담했지만 "저 아직 안 죽었습니다"라는 신경질 섞인 대답이 돌아온다. [[엔노시타 치카라]]는 스가와라가 빠르게 투입된 이상 [[키노시타 히사시]]가 나갈 차롄 없겠다며 내심 아쉬워했으나 정작 키노시타는 머릿속으로 25 번째 서브 에이스를 따내며 이미지 트레이닝을 멈추지 않는다. 투입 여부와 상관없이 준비는 완료.
          당연히 이나리자키의 싸늘한 시선이 꽂혀온다. 하지만 이것도 전날 우카이 코치가 지시한 내용이다. 오지로에게 계속 압박을 주라는 것. 로킹이나 서브를 활용해야 한다. 서브 에이스를 내는게 제일 좋겠지만, 그래도 이상적인 건 "무릎을 꿇게 만드는 것". 스가와라는 최대한 실행해볼 생각이다.
          * 비록 자신이 코트에 있는건 10초, 혹은 20초 남짓이겠지만 단 5초라도 이나리자키를 열받게 하는데 전력을 다할 것이다. 그런 각오로 스가와라의 1회차 서브. 역시 아슬아슬한 코스로 오지로를 노렸다. 네트에 가깝게 떨어지는 공. 오지로가 달려와서 받는다. 타이밍에 맞추기 위해 "무릎을 꿇고" 리시브하는 오지로. 리시브는 성공했지만 일어서는 모습이 힘겨워 보인다. 공은 [[미야 아츠무]]에게. 아츠무는 [[미야 오사무]]에게 세트업. 우측의 스파이크를 히나타가 록. 손에 받고 뒤로 튕겨나온 공을 스가와라가 잡아낸다. 공은 산 채로 카라스노 진영으로. [[아즈마네 아사히]]가 이어서 [[카게야마 토비오]]에게 돌린다. 카게야마는 우측 네트 앞에서 공을 받음과 동시에 몸을 돌려 오지로 쪽으로 밀어넣는다. 오지로는 이것도 받아내긴 했지만 역시 성가셔하는 느낌. 공은 이나리자키 좌측에서 높이 뜬다. 오지로가 신경질적으로 "레프트"라고 외치자 아츠무가 허겁지겁 달려오는데, 세트업이 조금 낮다. 그대로 오지로 뛰어올라 스파이크, 하지만 낮은 만큼 록을 뚫지 못한다. 하지만 카게야마의 손에 맞은 공이 라인을 벗어나면서 아웃. 오지로나 아츠무에겐 가슴이 철렁한 플레이였다. 스코어는 20 대 9. 스가와라와 츠키시마가 다시 교대한다.
  • 현이와 덕이 . . . . 5회 일치
         * 2013년 3월 <[[KBS]] [[TV]]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별이 된 천재소녀 故 장덕 편 : [[왁스]] · [[나르샤]] · [[이지형]] · [[노브레인]] · [[엠랙]] · [[김다현]] 출연 ([[리메이크]])
         | 웹사이트 = [http://koachangdeok.ze.am/ 웹사이트], [http://koaculture.blog.me/ 로그]
         '''장덕'''(張德, Chang Deok, [[1961년]] [[4월 21일]] ~ [[1990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다. 그녀는 싱어송라이터로서 [[진미령]] · [[이은하]] · 양하영 · [[임병수]] · [[김범룡]] · 국보자매 등 많은 다른 가수들의 음반에 참여하며 [[작사가]] · [[작곡가]]로 활동하였고, [[음반 프로듀서]]로도 활동을 하였다. 그녀는 친오빠 [[장현]]과 함께 현이와 덕이를 결성, 만 14세의 최연소 [[싱어송라이터]]로 가요계에 데뷔하여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만 15세([[고등학교]] 1학년) 때 [[MBC 서울국제가요제|서울국제가요제]]에서 최연소 [[작사]] · [[작곡가]]로 출전하여 입상하는 등 [[천재]]소녀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또한 그녀는 예쁘장한 외모로 [[배우]]로도 활동, 10여 편의 [[영화]]에 [[주연]] 또는 [[조연]]으로 출연하며 하이틴 [[스타]]로도 거듭났다. 그리고 솔로로 독립해 성인이 된 후에도 더욱 많은 연예활동을 하여 [[스타]]의 자리를 지켰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장덕 [[작사]] · [[작곡]]의 [[작품]] 개수는 총 129개(2015년 6월 기준: 신탁자코드 W0138300)이며, 생전 남긴 창작작품은 [[록]] · [[포크]] · [[리듬 앤 루스]](R&B) · [[컨트리]] · [[댄스]] · [[펑키]] · [[트로트]] · [[발라드]] · [[융합]](복합) 등 다양한 [[장르]]의 300여개 정도이다.<ref>이은정.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7623003 요절가수 장덕·장현 남매 25주기…음원 등으로 재조명]. 연합뉴스. 2015년 5월 28일.</ref>
         1986년 5월 장덕은 훗날 수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메이크 되고, 또 그녀가 작곡한 가장 훌륭한 곡 중 하나로 평가받게 되는 리듬앤루스 스타일의 곡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모습처럼>을 작곡, 동료가수인 [[이은하]]에게 주어 빅히트를 안겨준다. 그리고 6월 오빠 장현과 추구하는 음악세계가 달랐던 장덕은 솔로로서의 욕심으로 인해 더 이상 듀엣 활동을 이어나가지 않고 타이틀곡 <님 떠난 후>를 비롯 <어른이 된 후에 사랑은 너무 어려워>, <사랑해줘요>, <소외> 등이 수록된 솔로 정규 3집 《[[님 떠난 후]]》를 발표한다. 그리고 이 앨범에서 [[포크뮤직]]에 [[디스코]]가 섞인 타이틀곡 <[[님 떠난 후]]>가 [[KBS]] [[가요톱10]]에서 5주(1987년 2월 18일 ~ 1987년 3월 18일) 연속 1위를 차지, 골든컵을 수상하였고 MBC 라디오 인기가요, KBS 2FM 인기가요 광장, PCI(인기가요순위 조사연구소), 뮤직박스(도서출판), 전국 DJ 연합회 등 각종 인기 순위 차트에서 정상을 차지하게된다. 1986~87년 장덕은 제 2의 전성기를 보냈으며 가장 [[성공]]한 [[여성]][[스타]]로 인정받았다.
         * 2013년 3월 <[[KBS]] [[TV]]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별이 된 천재소녀 故 장덕 편 : [[왁스]] · [[나르샤]] · [[이지형]] · [[노브레인]] · [[엠랙]] · [[김다현]] 출연 ([[리메이크]])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4회 일치
          * Blohm & Voss(롬 & 포스)
          * A. S. Yakovlev Design Bureau(A. S. 야코레프 설계국)
          * Percy Noble(퍼시 노)
          * Societe des Avions Marcel Bloch(마르셀 로흐 항공기회사)
  • 김연수(작가) . . . . 4회 일치
         [include(틀:러썸 소속 아티스트)]
          * [[이글루스]] [[로그]] [[http://larvatus.egloos.com/|#]][* 현재 동결]
          * [[Tumblr|텀러]] [[http://yeonsukim.tumblr.com/|#]]
         본인 스스로도 '하루도 빠짐없이 글을 써왔다'고 할 만큼 왕성하게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수상 경력도 화려하며, 내놓는 작품마다 호평을 받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김훈(소설가)|김훈]], [[박민규]]와 더불어 가장 주목받는 작가들 중 한 명이며 중학교 동창인 [[문태준]], [[김중혁]]과 함께 김천 3인방이라고도 불리며, 21세기의 루칩이라는 말 또한 들어왔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4회 일치
         [[소년 점프]] 주간 연재작. 작가는 [[호리코시 코헤이]]. 일본에선 "히로아카"란 약칭으로 통하며 국내에선 "나히아"로 약칭. [[마 코믹스]]나 [[DC 코믹스]] 같은, [[미국]] [[슈퍼히어로]] 장르와 비슷한 배경 세계를 가지고 있다.
         점프의 신흥 강자. [[원펀맨]], [[랙 클로버]]와 함께 신 [[원나]]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 초능력자가 절대다수인 사회와 초능력 없는 보통 사람의 취급이 안좋다는 점에서 마 코믹스의 [[하우스 오브 M]]을 떠오르게 한다.
  • 뉴 워리어즈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 소속 드라마가 나올 것이라 한다. 정보는 적으나 일단 [[스쿼럴걸]]도 등장할 것이라 한다.
          * 마보이[* 이후에 '저스티스'라는 이름을 쓴다.]
          * 랙윙
  • 라미란 . . . . 4회 일치
         [[KBS 드라마 스페셜]]의 정마담 역으로 '정마담의 마지막 일주일'에 출연했으며, 2017년 많은 단편작들 중, 제일 높은 시청률을 달성하여 시청률 순위 1위를 차지했다. 그 기세를 이어 다음 웹툰원작의 tvN드라마 [[부암동 복수자들]]의 주인공으로 출연하여 케이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기록, 동시간대 지상파 드라마들과 경쟁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 청춘 그루브 || 케이 PD || 868 ||
         || [[잉여공주]] || 세린 ||
         || 케이 방송대상 || 인기스타상 || ||
  • 레킹 크루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슈퍼 빌런]] 팀. 레커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거구의 4인조 팀이다. 본래 별거 없는 범죄자들이었으나, [[아스가르드]]의 [[마법]]의 힘으로 강력한 신체를 지니게 되어 슈퍼 빌런이 되었다. 대적자는 주로 토르.
          주무기는 마법의 쇠 지렛대. 그냥 휘두르기도 하지만 특수한 힘이 있어서 [[방어막]] 생성, [[텔레포트]], 환영 생성, 에너지 라스트 발사, 작은 지진 생성, 소유하려는 사람의 정신을 조종 등 강력한 무기다.[* 근데 마에서는 이런거 꽤나 흔히 있지 않나...?]
          레커처럼 자신만의 무기로 건물해체용 [[철구]]로 무장하고 있다. 철구는 에너지 라스트를 발사한다. 한 때는 특수한 갑옷을 착용하기도 했다.
  • 릭 존스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헐크]]의 [[동료]]. [[캡틴 마]]과도 인연이 있다.
         [[캡틴 아메리카]]의 [[사이드킥]]인 [[버키]]가 된적도 있고, 캡틴 마의 동료가 된적도 있다.
         최근 내용에는 '''[[어보미네이션(마 코믹스)|A-밤]]'''이라는 존재가 되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4회 일치
          메탈슬러그 세컨드 미션의 플레이어 캐릭터. "김릿"은 암호명이다. 모덴군이 외계인들과 접선한다는 정보를 획득해 사령부에 지원을 요청, 거부당한다. 그러자 단독으로 모덴군 기지를 공격한다.
          메탈슬러그 세컨드 미션의 플레이어 캐릭터. "레드아이"는 암호명이다. 모덴군이 외계인들과 접선한다는 걸 알아내고 정보를 얻기 위해 단독으로 적 기지를 공격한다.
          메탈슬러그 어드밴스의 플레이어 캐릭터. "펠그린 팔콘즈"에 지원한 훈련병이다.
          메탈슬러그 어드밴스의 플레이어 캐릭터. "펠그린 팔콘즈"에 지원한 훈련병. 영어 사이트에서는 자신의 기척을 완전히 숨기고 목표물에 접근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암살자라고 한다.
  • 몰맨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슈퍼 빌런]].
         다양한 [[슈퍼 히어로]]들과 싸웠는데 [[헐크]], [[데어데]], [[엑스멘]]과도 전투를 벌였으며 [[월드 워 헐크]]에서도 등장.
         오래 등장한 악당이다보니 마 관련 미디어믹스 이곳저곳에서도 등장했다. 판타스틱 포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은 물론 헐크와 에이전트 오브 스매쉬에도 등장. [[아이언맨]] 관련과 슈퍼 히어로 스쿼드 쇼에도 등장했다.
         애니메이션 [[인크레더]]에서는 언더마이너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몰맨의 패러디로 추정된다.
  • 미스터 아톰 . . . . 4회 일치
         찰스 랭글리(Dr. Charles Langley)가 만든 지능있는 [[로봇]]. [[원자력]]으로 가동한다. [[괴력]]을 지니고 있으며 비행 가능. 특수 [[금속]]으로 만들어져서 방어력도 뛰어나다. 손에서 에너지 라스트를 발사한 적도 있다.
         [[샤잠]] 계열 [[슈퍼 빌런]]. 샤잠이 [[캡틴 마]]이던 시절부터 등장했는데 세계의 지배자가 되려다 캡틴 마에게 패했다. 이후로도 캡틴과 싸웠으며 [[슈퍼맨]], [[그린 랜턴]],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 등 DC 코믹스의 다른 영웅들을 상대로도 싸웠다.
         [[미스터 마인드]]의 부하이며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의 멤버이기도 했다.
  • 백승주(정치인) . . . . 4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외부링크}}}''' ||<(> [[http://blog.naver.com/gumibsj1778|로그]] [[https://www.facebook.com/gumibsj1778|페이스북]] [[http://band.us/#!/band/59133056|밴드]] ||
         2016년 7월 26일 [[THAAD|사드]]관련 성주 지역주민과의 간담회에서 성주 사드 배치는 노리스 오리주라고 발언하였고, 이에 대해 한 [[성주군]]민이" (백 의원 지역구인) [[구미시]]에 사드를 배치해도 그렇게 말하겠느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변하였다. --이분이 연구원으로 일하신 분야가 국방이다.--
         [[최순실 청문회]]의 새로운 X맨으로 등극 중이다.[* 최순실, 박근혜 게이트의 우병우 증인 등 변호하는 듯한 답변 유도와 태릿PC에 집중하고 야당 의원에게 고함을 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중 백미는 왜 최순실의 PC를 조사했냐는 것. 그리고 [[노승일]]이 멋대로 문서를 복사해 갔다고 범죄행위로 몰았다. --노승일은 쿨하게 처벌받겠다고 했다.-- 그리고 노승일에게 무슨 의도로 문서를 복사했냐는 등 어떻게든 물타기를 시도했다가 의도와 정 반대로 답변이 나와서 모두 실패했다. 박근혜와 친족관계임이 밝혀지면서 '친박 이완용을 넘어서는 친족 백승주가 왔다' 는 평이 나왔다.
  • 블랙 블록 . . . . 4회 일치
         록이란, 검은 옷과 후드, 마스크로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시위 현장 등에 나타나서 파괴활동을 하는 아나키즘 성향의 집단 혹은 이러한 운동활동을 뜻한다.
         반 파시즘 시위 활동으로서 주목을 받는다. 그러나 록 집단이 폭력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 경우도 있다.
  • 블랙기업 . . . . 4회 일치
         랙기업은 [[일본]]에서 유래한 용어로 보통 노동환경이 보편적인 시각에서 봤을 때 명백히 나쁜 기업을 가리키는 신조어다,.--검은 조직--
         랙기업이냐 아니냐를 두는 기준은 단 하나, 보편적 가치관에서 본 노동환경 수준이다. 기원을 보면 알겠지만 [[야쿠자]]의 악행에 비견할 만큼 노동자에 대한 대우가 나쁠 정도로 노동환경이 열악한 기업을 가리킨다.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고 하는데,
         이게 일본에서 상당한 이슈를 끌었기에 [[랙회사에 다니고 있는데, 지금 나는 한계에 도달했는지도 모른다]]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되었다. 한국에서도 개봉되었으며, 원작 소설도 "랙회사"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 서울특별시/인물 . . . . 4회 일치
         * [[비범(락비)|비범]] - 강동구
         * [[지코(락비)|지코]] - 마포구
         * [[태일(락비)|태일]] - 송파구
         * [[한비(립버)|한비]] - 용산구
  • 손지창 . . . . 4회 일치
         * 2017년 [[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더루편》
         * 더 루 1집 - 너만을 느끼며 (1992년)
         * 더 루 2집 The Blue (1995년)
         * 더 루 미니앨범 - The Blue, The First Memories (2009년)
  • 송지효 . . . . 4회 일치
         |《[[러리 호러리]]》
         |rowspan=3| [[KBS 연기대상]] || 미니시리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rowspan=3|[[러리 호러리]] ||{{nom}}
  • 송하윤 . . . . 4회 일치
         ||<|2> [[에이씨엔씨|에이C&C]] || [[미샤]] - 수퍼아쿠아 마린 포레스트 || [[https://youtu.be/uqa2-lnL1zA|영상]] ||
         || [[2012년]] || [[에이씨엔씨|에이C&C]] || [[미샤]] - 콜라보레이션(with.[[김혜수]], [[박하선]], 이혜상 || [[https://youtu.be/u9tViiW85L4|메이킹 영상]] [[https://youtu.be/k82EAtXruSE|영]][[https://youtu.be/h6J2bZrlCVQ|상]] ||
  • 슈가(방탄소년단) . . . . 4회 일치
         나아가 스케줄이 끝나고 숙소에 도착한 시점부터 기어다닌다고 한다. 스케줄이 없는 날은 아예 침대 위의 산송장. 본인은 '오래 많이 자는 게 아니라 새벽에 작업을 하기 때문에 짧게 많이 자는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다만 멤버들은 슈가가 워커홀릭인 건 다 컨셉이라고 디스 하기도 한다. 애초에 외출하는 것도 별로 좋아하지 않아 작업실, 숙소, 방송국 빼고는 잘 다니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본인이 좋아하는 일에 있어서는 최소한 게으르진 않으며, 최선을 다한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DVD에서 본인피셜 하루에 한 곡씩은 쓰고 있다고. 물론 쉬는 날도 종종 있다고 한다.] 실제 BTS COMBACK SHOW에서 하루종일 작업실에서 작업을 하는 슈가의 모습이 공개되었으며, 작업실 내부에 샴푸를 비롯한 생필품들이 비치되어 있다. 정말 작업실에서 살다시피 한다고. 슙기력한 면모와는 달리 의외로 외향적인 모습도 보이는데, 멤버들 중 절대적 친화력을 자랑하는 [[뷔|김스치면인연]] 다음으로 연예인 친분이 많은 축에 속한다. [[슈퍼주니어]]의 [[희철]][[https://www.youtube.com/watch?v=VDLOJUoZuHQ|#]], [[슈퍼주니어 M]]의 [[조미(슈퍼주니어-M)|조미]][[https://www.youtube.com/watch?v=9pp52q-TSAQ|#]], [[GOT7]]의 [[JB]][[http://www.vlive.tv/video/38334?channelCode=ECDF|27분]], [[SURAN|수란]][[https://www.youtube.com/watch?v=4kXopVVKo1A|#]], 같은 [[대구광역시]] 출신 [[김신영]][[https://youtu.be/jr43w98yPOE|#]] [[에픽하이]]의 [[타로]] [[https://www.youtube.com/watch?v=fLjsOTe8Y6E|#]], [[워너원]]의 [[강다니엘]][[https://youtu.be/K0piUcRvIq8|#]], 등.
         [[http://btsblog.ibighit.com|로그]]에 목소리와 손만 나오는 방탄소년단 앨범 리뷰를 올리고 있다. 다만 발매된 지 3개월 정도 뒤에 올라오는데 본인도 뒷북인 걸 알고 자주 민망해한다. [[http://btsblog.ibighit.com/320|화양연화 pt.1 리뷰]], [[http://bangtan.tistory.com/259|DARK&WILD 리뷰]], [[http://bangtan.tistory.com/227|SKOOL LUV AFFAIR 리뷰]], [[http://bangtan.tistory.com/142|2 COOL 4 SKOOL 리뷰]]. 보통 자기 사진만 찾고 앨범 제작과 트랙들에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해주는 편이다. 또한 리뷰 영상을 찍을 때 펼친 앨범을 거침없이 꾹꾹 눌러 접어버리는 특징이 있다. 그 장면을 볼 때마다 움찔거리는 팬들이 많다고...
          * 본래는 믹스테이프 수록곡인 <So far away>가 [[방탄소년단]] 정규 앨범 솔로곡 후보였으나, 다른 멤버들의 곡과의 조화를 수록해 빼고 대신 넣은 것이 <First Love>라고 한다. 메인 라인은 두 곡이 모두 같다. 나중에 그룹 공식 로그에 방탄소년단 멤버인 [[진(방탄소년단)|진]]과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참여한 <So far away>를 공개했다.
          * 양날개를 담당하는 [[진(방탄소년단)|멤버]][[RM|들]]이 슈가가 본인들에게 가려져서 그렇지 슈가도 사실 춤을 잘 추는 편은 아니다, 슈가는 거품이다[* 줄여서 슈. 발음 주의. 콘서트에서 [[RM]]이 직접 지어 주었다.]를 외칠 때마다 자신은 그래도 남들의 시선을 받을 정도로 못하지는 않는다며 진심으로 울컥하는 모습을 보인다.
  • 식극의 소마/198화 . . . . 4회 일치
          * 소문이 자자한 [[사이바 죠이치로]]가 나타나지 않자 The BULE 회장은 혼란의 도가니가 된다. 스텝들은 어떻게든 죠이치로를 찾기 위해 허둥대고 해외에서 그를 보러 왔던 요리사들은 어이가 없다며 "겁 먹고 사라졌다"는 소문이 돌게 된다. 토오츠키 학원에선 그의 실종 소식이 전달되면서 "맨날 수업을 빼먹더니 더 루까지 빼먹은 건가"라며 경악해 한다. [[시오미 준]]은 그렇다쳐도 이유가 뭔지, 왜 참석 조차 하지 않은 건지 의아해한다. [[나키리 아자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당혹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급기야 [[에비사와 리코]]는 그가 적어도 새벽에는 모습을 감췄을 거라고 추론하며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더니, 더 루가 귀찮아서 그런게 아니면 괜한 생각을 한게 아니냐"고 불길한 소릴 한다. 처음엔 그게 무슨 소리냐는 반응이던 학생들도 진지하게 자해나 자살을 떠올리며 우려한다.
          >... 루? 아아 루. 알아... 아는데.
  • 신혜진 . . . . 4회 일치
         >`[[오마이걸]]의 '''{{{#!html<span style="text-shadow: 0 0 5px #7bdefb;color:#000000"> 러리}}}''' [[보컬]] ,,[[진이]]입니다!`,,[* 실제로는 말끝이 흐려지는 게 [[함정]].]
         '''[[오마이걸]]의 영원한 [[러리]] [[핑크]]빛 [[고래]]'''
         '[[러리]] [[보컬]]'이라는 이명처럼 [[목소리]]가 [[여성]]스럽고 예쁘다. [[https://m.youtube.com/watch?v=rsD2wbbvhNo|#1]][[https://m.youtube.com/watch?v=xZ2RyG1EaxA|#2]] [[비니(오마이걸)|비니]] 다음으로 낮은 [[목소리]]를 가지고 있고 음역대도 비교적 좁아 주로 낮은 음의 파트를 [[소화]]하는 편. 팀 내에선 [[보컬]] 면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은데, [[본인]]이 못한다기보단 다른 멤버들이 지금까지의 곡 [[콘셉트]]에 더 잘 맞는 편이라 우선순위에서 밀렸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위에서 누르고 아래에서 올라오고 어째 [[안습]]~~ 다만 [[오마이걸]]은 멤버 수가 8명이나 되는 만큼 [[서브보컬]] 또한 3명으로 많기에 파트의 배분이 그만큼 세분화된다. 때문에 진이는 여타 [[걸그룹]]의 [[서브보컬]]들처럼 주로 [[포인트]]가 되는 파트를 맡음으로써 [[오마이걸]] 내에서 '[[서브보컬]]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을 듯.
         지금 [[미라클]] 여러분도 저와 같이 많이 속상하실 걸 알기에 [[마음]]이 많이 아프지만 [[오마이걸]] 멤버로 활동하면서 [[미라클]]과 함께 했던 [[시간]]들은 평생 그 때 그 자리에서 잊지 못한 소중한 [[추억]], [[기억]]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미라클]] 여러분께도 [[오마이걸]]의 둘째, [[CCTV]], [[러리]] [[보컬]] [[진이]]는 늘 밝고 [[건강]]한 모습으로! 좋은 [[기억]]으로 남았으면 좋겠어요! 앞으로의 도전에도 여러분의 [[응원]]을 떠올리면 큰 [[힘]]이 될 것 같아요!
  • 애로우 . . . . 4회 일치
         '''로럴 랜스''' / 랙 카나리(2대)
         랙 카나리로서 한 번 돌아왔던 사라가 사망한 뒤, 사라를 대신하여 자신이 랙 카나리가 된다.
         '''사라 랜스''' / 랙 카나리(1대)→화이트 카나리
  • 의성군 . . . . 4회 일치
         [[http://blog.naver.com/uiseong-good|[[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의성군 공식 로그]]
         국내 컬링계는 현재 [[경기도]]와 [[경상북도]]가 양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경기도(의정부)는 엘리트 체육, 경북(의성)은 생활 체육 기반이라는 점도 대비된다. 아이러니하게도 경북의 실업팀은 남녀에 믹스더까지 있는 반면, 경기도의 실업팀은 여자팀만 있지만.] [[경기도청 컬링팀|경기도청]] 선수들도 마땅히 연습할 시설이 없어 '''의성에서 훈련한 뒤에 의성에서 경기를 치를 정도'''였다. 2018년 [[의정부컬링훈련장]]이 완공됐고 그에 앞서 [[진천선수촌]] 컬링장도 완공됐지만[* 다만 진천은 국가대표팀의 훈련용으로 사용된다.], 이미 의성의 [[경북컬링훈련원]]은 [[카자흐스탄]]이나 [[몽골]] 등 비교적 컬링 역사가 짧은 아시아의 대표팀이 찾아와 훈련할 정도로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컬링장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도 의성에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22423&cid=51938&categoryId=54649|의성 마늘배 전국 컬링 대회]]'''를 주기적으로 열어 컬링 보급에 힘쓰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녀, 믹스더 대표팀 모두 [[경북체육회 컬링팀]] 선수들이 선발됐고, 특히 여자팀의 선수들 중 중 네 명[* [[김은정(컬링)|김은정]], [[김영미]], [[김선영(컬링)|김선영]], [[김경애]]]이 의성 출신의 선수들이며, 모두 같은 학교 출신[* 의성여중-의성여고]에 '''학교 방과후 활동으로 컬링을 시작한''' 만화 같은 이야기와 준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은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하며 주목받았다.[* 자세한 사항은 [[김은정(컬링)]] 항목 참조.] 이 뿐만 아니라 2014년 소치 올림픽 당시 국가대표팀이었던 [[경기도청 컬링팀|경기도청]]의 [[이슬비(컬링)|이슬비]] 선수도 의성여고 출신이다. 이로써 2회 연속 올림픽 컬링 대표선수들을 길러낸 도시가 되었다.
  • 이명주 (축구선수) . . . . 4회 일치
         이후로도 [[6월 27일]]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전과 [[7월 1일]] [[수원 삼성 루윙즈|수원]]전에서 1도움씩을 기록했고 팀의 [[FA컵 2012]] 우승에도 일조했지만 7월 1일 이후로 공격 포인트가 없어 "출장 수로만 신인왕 후보"이라는 비아냥을 받다가 10월 28일 [[경남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 38분 중거리슛으로 골을 기록했고 신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K리그 주간 베스트 11 MVP에 올랐다. 이 경기 이후 11월 17일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전 1골, 11월 25일 [[경남 FC|경남]]전 1골 1도움, 11월 29일 [[FC 서울|서울]]전 2도움, 12월 2일 [[수원 삼성 루윙즈|수원]]전 1골을 터뜨리며 신인왕 후보로 거론된 선수들 중 가장 많은 5골 6도움 11개의 공격 포인트를 쌓았다. 이명주는 [[12월 3일]] K리그 대상 시상식에서 [[광주 FC]]의 [[이한샘]], [[전남 드래곤즈]]의 [[박선용]]을 압도적인 표 차이로 제치고 [[K리그 영플레이어상|신인 선수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 |제목=(K리그 대상) ‘신인왕’ 이명주 “포항의 축구스타일, 나랑 잘 맞았다”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_league&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452360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2-12-03}} }}</ref>
         2013년에는 시즌 내내 에이스로 활약하며 [[포항 스틸러스|포항]]이 국내 최초로 [[더 (축구)|더]], 즉, [[K리그 클래식 2013|K리그 클래식]] 우승과 [[FA컵 2013|FA컵]] 우승을 이루어내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이러한 활약을 인정 받아 프로 데뷔 2년차에 연말 시상식에서 MVP 후보에 올랐으나 아쉽게 수상을 놓쳤고, 그 해 [[K리그 베스트 11|K리그 클래식 베스트 11]] 미드필더 부문에 선정되었다.
  • 이윤열 . . . . 4회 일치
         2015년 11월 9일 일반인 여성과 교제의 끝에 혼인의 길을 맺었고 [[리자드 엔터테인먼트]]측은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스타크래프트 II: 공허의 유산]] 출시행사에서 결혼식을 가지게 되어 전세계로 생중계 되어 많은 팬들이 축하를 남겼다.
         * 2005년 리즈컨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3위
         * 2008년 리즈컨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 (0:2)
         * 2009년 리즈컨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이현우(배우) . . . . 4회 일치
         ||<#6495ED><:> {{{#ffffff '''데뷔'''}}}||<(> [[2004년]] [[KBS 2TV]] [[어린이 드라마]] [[울라불라 루짱]][* 어린이 드라마의 단역으로 데뷔.] ||
          * 2015년 7월 인터뷰에서 [[랙넛]]을 좋아한다고 밝혔다가 논란이 있었다.
         || 2004년 || KBS2 || [[울라불라 루짱]] || || 단역 • 데뷔작 ||
         ||<|2> 2012년 || [[크리니크]] || 클리어 스킨 챌린지 안티-레미쉬 || ||
  • 인비저블 우먼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인비저 우먼의 투명화는 자기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물체를 투명하게 만드는 능력'이다. 투명화 능력의 폭이 넓어서 변장도 할 수 있다. 머리카락을 [[모히칸]] 스타일로 보이게 하거나, 복장을 다른 것으로 보이게 하는 것.
         인비저 우먼이 사용하는 포스 필드의 경우 자신에게도 투명하다고 한다.
         [[미스터 판타스틱]]과 연인 → 부부 관계이다.[* 참고로 나이차이가 상당히 심하다. 거의 키잡에 가깝다.(…)] 판타스틱 포의 [[홍일점]]이며, 두 아이에다 항상 티격태격하는 벤과 동생 조니, 워커홀릭 남편인 미스터 판타스틱이 그렇게 사고치고 속을 썩이는데도 용케도 끝까지 같이 사는 걸 보면 '''[[성녀]]''' 수준.(…) 게다가 퓨처 파운데이션 이후 집에 식구가 더 늘어났다(...). 그러나 그녀가 남편만 바라보고 사는 건 아닌 것 같은 것이, [[닥터 둠]], [[네이머]]와 서로 끌리는 관계에 있음을 그린 에피소드들이 많다. 수잔 스톰 자체가 [[마 코믹스]]에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 중 최고급의 미모를 자랑해서 그렇기도 하고.
  • 임수정(탤런트) . . . . 4회 일치
         ||<:> [[김하늘]][br]([[라인드(영화)|라인드]]) ||<:> {{{+1 → }}} ||<:> '''임수정[br]([[내 아내의 모든 것]])'''||<:> {{{+1 → }}} ||<:> [[한효주]][br]([[감시자들]]) ||
         || 2017년 || [[더 테이]] || 혜경 || 102,785명 || ||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배우는 아니다. 따라서 한류스타로 보기는 어렵다. 역시나 드라마 출연이 많지 않은것이 원인인듯. 하지만 [[중국인]]들이 비교적 좋아하는듯 하다.[[http://spn.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1302166589594128|#]] [* 또한 개소문 사이트에 똑같은 드레스를 입은 중화권 연예인과의 비교기사에 올라온 중국 누리꾼들의 댓글은 비교적 우호적이다.] 그리고 《[[미안하다 사랑한다]]》가 알려지면서 중동권과 [[터키]], 남미에도 어느 정도 알려졌다. [[일본]]에도 [[로그]]를 운영하는 열성팬이 있었는데 2007년 그녀의 생일 이후로는 활동을 안하고 있다.
  • 임윤선(법조인) . . . . 4회 일치
         2015년 6월 24일 [[TV조선]]의 프로그램 <[[강적들]]> 85회 면세점 전쟁편부터 출연하고 있다. 9월 9일에는 [[KBS]] 드라마 <[[어셈리(드라마)]]> 17회에 깜짝 출연, 주인공 [[진상필]]을 심문하는 검사로 열연, [[김서형]]에게도 밀리지 않는 카리스마를 보여줬다. 2016년 11월 [[TV조선]] <박종진 라이브 쇼>에서 반고정 패널로 출연 중이며, [[채널A]] <신문 이야기 돌직구쇼>에 매일 아침 9시 고정 패널로, 2017년 7월 KBS [[역사저널 그날]]에 고정으로 출연 중이며 2018년 1월 [[JTBC]] [[착하게 살자]]에 출연했다.
          * [[2015년]] [[KBS 2TV]] [[어셈리(드라마)|어셈리]] 검사 역
          * [[2017년]] [[SBS CNBC]] 임윤선의 [[루베리]]
  • 장범준 . . . . 4회 일치
         * 레이: [[지니뮤직]]
         # 신풍역 2번 출구 루스
         * 레이: [[지니뮤직]]
         * 레이: [[카카오엠]]
  • 저스디스 . . . . 4회 일치
         | 레이 =[[인디고뮤직]]
         '''저스디스''' ('''JUSTHIS''', {{본명|허승}}, 1991년 5월 7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2010년, '''[[시로스카이]]'''의 EP "The Orbit"에 당시 활동명 '''TiMeWiNe'''으로 피쳐링하여 활동을 시작했다.<ref>[http://www.melon.com/song/detail.htm?songId=3030666 곡 정보>멜론]. 멜론.</ref> 2011년, 같은 이름으로 [[믹스테이프]] "A Little Bird Told Me"를 무료로 배포하고,<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7890&keyfield=&key=%ED%8B%B0%EB%AF%B8%EC%9C%84%EB%8B%88 'A Little Bird Told Me' 무료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오케이션]]'''의 믹스테이프 "Preseason #2"에 비트와 랩 피쳐링으로 참여했으며,<ref>[http://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2&sort=&num=7305&keyfield=&key=okasian 오케이샨(Okasian), 하이라이트 레코즈 입단 및 믹스테이프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2년, 이름을 저스디스(JUSTHIS)로 바꾸고 믹스테이프 "QUAL N TITY : True Up"을 무료로 배포 후,<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9627&keyfield=&key=%EC%A0%80%EC%8A%A4%EB%94%94%EC%8A%A4 'QUAL N TITY : True Up'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3년, '''[[매드 클라운]]'''과 '''커먼콜드'''라는 팀을 결성하였다.<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0421&keyfield=&key=%EC%BB%A4%EB%A8%BC%EC%BD%9C%EB%93%9C 매드클라운과 저스디스, 커먼콜드 결성]. 힙합플레이야.</ref> 믹스테이프 "_ u c k!"를 준비중에 있다가<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0482&keyfield=&key=%EC%BB%A4%EB%A8%BC%EC%BD%9C%EB%93%9C 커먼콜드(Mad Clown & justhis) '_ u c k!' 수록곡 선 공개]. 힙합플레이야.</ref> 2014년 5월 7일, 본인의 텀러를 통해 믹스테이프 "[[Money Vs. Love: Dream (MVLD)]]"를 공개했다.<ref>[http://justhiseung.tumblr.com/post/85002465677 {{웨이백|url=http://justhiseung.tumblr.com/post/85002465677 |date=20140508113407 }} JUSTHIS - Money Vs. Love: Dream (MVLD) [Mixtape]]. Tumblr.</ref> 그 이후에는 크루 '''불한당'''의 프로젝트 앨범 "A Tribe Called Next"와<ref>[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95768 앨범 정보>멜론]. 멜론.</ref> '''매드 클라운'''의 미니 앨범 "Piece Of Mind" 등에서의 피쳐링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ref>[http://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98221 앨범 정보>멜론]. 멜론.</ref> 현재 프로듀서 [[디프라이]](Deepfry), 자코(Jaqo)와 함께 준비 중인<ref>[http://www.hiphopplaya.com/magazine/article/view.html?category=&category2=&mode=&page=1&sort=&num=16028&keyfield=&key=justhis 저스디스(JUSTHIS) | 그런 말장난들론 여기 시스템 못 바꿔]. 힙합플레이야.</ref> 본인의 첫 번째 앨범 [[2 Many Homes 4 1 Kid]]<ref>[https://twitter.com/JUSTHISeung/status/596326033197924352 저스디스의 트윗]. 트위터.</ref>
         2017년 8월 8일, [[스윙스]]의 두 번째 레이 [[인디고뮤직]]의 세 번째 아티스트로 영입되었다.
         |더케이 (Double K)
  • 절대가련 칠드런/443화 . . . . 4회 일치
         칠드런을 공격하는 새로운 랙팬텀의 자객
          * 그때 랙팬텀의 자객이 말을 걸며 게임을 제안한다.
          * 랙 팬텀은 10분 후 다른 폭탄을 사용하겠다며 그 안에 자신을 잡으면 칠드런의 승리고, 자신이 칠드런 전원을 잡으면 자신의 승리로 하겠다고 말한다.
          * 랙팬텀의 자객은 마츠카제를 견습지휘관이라고 부르면서 전만큼 얼빵하진 않다고 하는데, 이걸로 보아 이전부터 칠드런 팀을 감시하고 있던 걸로 보인다.
  • 절대가련 칠드런/446화 . . . . 4회 일치
         랙 팬텀의 화물이 실린 배를 급습하는 효부 쿄스케
          * 배를 점거한 효부는 실려있는 화물이 랙팬텀의 "상품"인 에스퍼라는걸 확인한다.
          * 그러면서 "부숴지지 않았으면 좋겠는데"라고 하는데, 그 말을 들은 마기가 "부숴질 예정입니까? 랙 팬텀과 교전할 가능성이라도?"라고 묻느낟.
          * 기본적으로는 화물의 경로를 추적해서 랙 팬텀의 꼬리를 잡으려 했던 것 같다.
  • 절대가련 칠드런/449화 . . . . 4회 일치
          * 정부군의 헬기인데 사실 조종하는 것은 "랙 팬텀"
          * 효부는 세일즈 상의 경쟁자라고 설명한다. 사실 이 나라의 내전도 랙 팬텀이 돈을 벌기 위한 수단.
          * 현재 랙팬텀은 회상편에 나오는 랙팬텀이 전신으로 보인다. 아마도 길리엄의 부친이 세운 시절의 조직으로 추정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8화 . . . . 4회 일치
          * 협력자에 정보에 따르면 사카키는 랙 팬텀의 백도어로 이용당하고 있으며 다시 지배 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그때 관측소에 있는 사카키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랙팬텀의 세뇌가 발동하려 하는데.
          산노미야 시호는 어떤 조사를 위해 타니자키를 두고 미나모토와 사카키를 데려오라고 말하며 현장에 있는 더 하운드와 나오미도 따라달라고 말한다. 협력자의 조사에 따르면 지금까지 사카키는 랙 팬텀에게 "백도어"로 이용당해 왔고 그쪽에선 다시 사카키를 지배하려 들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태. 그 말을 들은 미나모토는 사카키를 혼자 두고 온 걸 후회한다. 본래는 ESP 감지기에 사카키가 걸릴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관측소에 두고 온 건데 이런 식으로 악수가 됐다. 나오미는 자신이 먼저 관측소에 가보겠다고 하는데 미나모토는 혼자 움직이는건 위험할 거라 판단해서 전원이 돌아가기로 한다. 미나모토는 이 작전에 대해선 모든 것이 자신의 판단미스라고 후회한다.
          * 한편 관측소의 사카키는 아무 것도 모른 채 작업 중이다. 그런데 그의 왼팔에서 랙팬텀의 감염체가 스멀스멀 기어나오는데.
  • 절대가련 칠드런/464화 . . . . 4회 일치
          * [[쿠모이 유리]]의 힙노로 랙 팬텀이 파견한 용병들을 간단하게 제압한다.
          이것은 [[쿠모이 유리]]가 보여준 환상. 이들은 모두 랙 팬텀 산하의 경비업체에 소속된 용병들이다. [[효부 쿄스케]]는 신념도 뭣도 없이 상황이나 이득에만 관심있는 녀석들은 최면에 걸리기 쉽다고 비아냥 댄다. 그러자 유리는 "대부분의 인간이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나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오빠]]도 세력을 키웠다."고 자조한다.
          * 악의 보스 같은 위엄이지만 칠드런의 선제 공격으로 위엄은 한 컷도 가지 못한다. 칠드런은 "국장의 우리들에 대한 애정은 겨우 그 정도냐"고 까면서 문답무용으로 국장을 패는데 [[사카키 슈지]]와 미나모토는 "아무리 그래도 국장도 사람인데 랙 팬텀의 세뇌를 이길리 없다"고 진정시키려 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정말로 국장이 정신을 차린다. 랙 팬텀의 수장도, 판도라의 2인자 [[마기 시로]]도 바벨의 정점 후지코 조차 이기지 못한 세뇌를 일반인이 풀러낸 것이다.
  • 절대가련 칠드런/465화 . . . . 4회 일치
          * 후지코가 갑자기 총을 꺼낸다. [[미나모토 코이치]]는 래스터를 겨누며 무기를 버리라고 소리친다. 후지코는 이만큼 에스퍼를 데려와서 이런게 무섭냐고 빈정거린다. 그건 그냥 "악세사리"라는데. 그녀가 꺼낸 "특별한 추억의 물건"은 악취미적이기 그지없다. 과거 [[사오토메 에이지]] 대위가 효부를 쏠 때 썼던 그 권총이다. 후지코는 찾는데 고생했는데 그럴 보람이 있었다고 너스레 떤다.
          * 카오루가 나서서 랙팬텀의 음모라는걸 안다며 하지만 어째서 후지코를 비롯한 사람들이 이렇게까지 하는 거냐고 묻는다. 후지코는 랙팬텀의 세뇌는 본심을 거스르게 하는 요소가 전혀 없다고 말한다. 그녀는 "동료"가 되면 알 거라며 오히려 칠드런 일행도 함께 세뇌 당하자고 제안한다. [[노가미 아오이]]와 [[산노미야 시호]]가 반발한다. [[쿠모이 유리]]는 힙노를 전개하며 본심이었다면 후지코가 그렇게 말할 리가 없다며 "원래 자신"을 떠올려달라고 호소한다. 하지만 후지코는 "본래의 자식"이란게 뭐냐는 식으로 반문하고 미나모토가 "세상을 좋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한다.
          그녀는 국민의 의지를 반영해 조직을 재편한 거라며 초능력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에스퍼에게 관용적인 지휘관을 경질한다, 이것이 모두의 바람대로가 아니냐고 묻는다. 지금의 그녀에겐 소수 에스퍼의 안녕보다는 사회 전체의 평화가 중요한 문제다. 만약 그녀가 이대로 랙 팬텀이나 "보통 사람들"같은 조직을 분쇄하면 그걸로 끝날까? 인간은 배타적인 생물이다. 설사 그들이 사라져도 또다른 조직이 나타나 에스퍼를 배척할 것이다. 교육이나 홍보로 그걸 극복할 수 없고 그런데 연연하는건 시간낭비다. 그럼 차라리 그들이 원하는 대로 둬버리면, 반대로 에스퍼도 "원하는 대로" 해버릴 명분이 생긴다. 그렇게 전쟁이 시작되면 결국 이기는 건 에스퍼. 세상은 한 번 망하겠지만 에스퍼의 주도로 재건될 것이다.
  • 절대가련 칠드런/469화 . . . . 4회 일치
          효부는 모미지를 진정시키며 원래부터 자기는 유령같은 존재라고 말하지 않았냐고 농담을 던진다. 모미지는 열불이 터져서 그런지 랙 팬텀이 운영하는 랙마켓에서 이식용 심장 같은건 당일배송이 없는지 알아본다.
          * [[머슬 오오카마]]가 효부의 부상 소식에 사색이 돼서 달려온다. 효부에게 자신의 심장을 바칠 테니 써달라는 참 갸륵한 말을 하지만 역시 머슬이 하는 소리라 그런지 효부는 심기 불편한 얼굴로 거절한다. 머슬은 로비에트 정부가 랙팬텀에 넘어갔는지 일방적으로 관계를 단절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이제 대사직도 없어진 자신이 조직에 헌신하는건 그런 것 정도라고 말하지만, 효부는 그 제안에 심전도가 떨어질 정도로 거부반응을 일으켜서 결국 보류된다.
          * 잠시 뒤, 모미지로부터 이상의 상황을 전달받은 [[아카시 카오루]]는 어떻게 초조하지 않을 수 있냐고 방방 날뛴다. 그녀와 칠드런 일행은 퀸 오브 카타스트로피의 [[도서관]]에 모여서 대책을 논의하고 있었다. [[산노미야 시호]]나 [[노가미 아오이]], [[쿠모이 유리]], [[마츠카제 코우이치]]는 비교적 침착한 모습이다. 하지만 카오루는 고함을 치면서 이렇게 된 이상 힘으로 바벨을 습격하자는 과격한 말을 하다가 시호가 쏜 바람총을 맞고 다운된다. 시호는 그런 결단은 랙팬텀의 의도대로 되는 것이라고 정론을 펼친다.
  • 챔피언스 오브 앵거 . . . . 4회 일치
         사실 이 챔피언스 오브 앵거는 [[마 코믹스]]의 [[어벤저스]] 패러디. 멤버들도 마 히어로들의 패러디다. 적대 집단인 익스트리미스트도 마 빌런들의 패러디.
          * [[마 코믹스]]
  • 최문식 . . . . 4회 일치
         |클럽=[[포항 스틸러스|포항 아톰즈 / 포항 스틸러스]]<br />→ [[국군체육부대|상무]] (군복무)<br />[[전남 드래곤즈]]<br />[[오이타 트리니타]]<br />[[수원 삼성 루윙즈]]<br />[[제주 유나이티드 FC|부천 SK]]
         결국 [[1994년 FIFA 월드컵|1994년 미국 월드컵]] 출전 당시 국가대표팀 감독이였던 [[김호]]의 부름을 받고, [[2001년]] 6월 [[수원 삼성 루윙즈]]로 이적했으며, [[2002년]] [[제주 유나이티드 FC|부천SK]]로 이적했으며, 한해 동안 28경기에 출전하며 준수한 활약을 보인뒤, 은퇴를 선언하였다.
         최문식은 K리그 클래식 잔류라는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보다는 자신의 축구철학을 토대로 짧은 패스 위주의 공격 축구 전술을 구사함으서 팀컬러를 맞추고 선수 개개인의 기술력을 끓어올리는 등의 장기적인 미래를 보는 축구를 펼치겠다고 밝혔다.<ref> [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311&aid=0000476883/최문식, 대전 9대 감독 취임 "대전의 색 만든다"] </ref> [[6월 3일]] [[수원 삼성 루윙즈]]와의 홈 경기서 감독으로서 데뷔전을 치루었으나 1:2로 패했다. [[8월 15일]] [[성남 FC]]전 패배로 대전은 14경기 연속 무승의 늪에 빠졌고, [[8월 19일]] [[광주 FC]]와의 26라운드 원정 경기서 2:1 승리를 거두며, 겨우 최문식의 데뷔 이후 첫 승과 시즌 2승을 거두었다. [[10월 4일]] [[울산 현대]]와의 홈경기서도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 K리그에 스플릿 라운드 제도 도입 이후 최초 스플릿 라운드 이전 홈 무승이라는 불명예를 얻었다. [[10월 18일]] [[전남 드래곤즈]]와의 홈 경기서 1:0 승을 거두며 리그 개막 7개월만에 홈 첫승을 거두었으며, 이후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 경기서도 승리하며 2연승을 거두었지만 [[울산 현대]]와의 원정 경기서 패해 사실상 강등이 확정되었다. [[인천 유나이티드 FC|인천]]과의 홈 폐막전서 패하며 강등이 확정되었다. 이에 분노한 대전팬들이 경기 종료 후 선수단 버스 앞에서 최문식 감독의 사퇴를 촉구하는 등 강한 불만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상무 축구단 (실업)의 축구 선수]][[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분류:오이타 트리니타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삼성 루윙즈의 축구 선수]][[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감독]][[분류:199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문]][[분류:수원대학교 동문]][[분류:경기대학교 동문]][[분류: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J2리그의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코칭스태프]][[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코칭스태프]][[분류:K리그2의 축구 감독]][[분류:K리그1의 축구 감독]][[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코칭스태프]][[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최성국 (축구선수) . . . . 4회 일치
         | 클럽 =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 호랑이]] <br /> → [[가시와 레이솔]] (임대) <br /> [[성남 FC|성남 일화 천마]] <br /> → [[광주 상무 불사조]] (군 복무) <br /> [[수원 삼성 루윙즈]]
         [[서울특별시]] 출생으로 [[동곡초등학교]], [[역곡중학교]], [[정명고등학교]]를 거쳐 [[고려대학교]]를 중퇴하였다. 개인기가 좋아 환상적인 드리로 상대 수비 2~3명을 쉽게 따돌리는 점이 [[디에고 마라도나]]와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리틀 마라도나'라는 별명이 붙었다.
         [[2011년]] [[1월 10일]], [[수원 삼성 루윙즈]]가 최성국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수원, 공격수 최성국 영입 발표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11016004047§ion_code=10&key=%C3%D6%BC%BA%B1%B9&field=gisa_title&search_key=y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0-1-10}} }}</ref> 수원에 입단한 후, [[2011년]] [[3월 5일]] [[FC 서울|서울]]과의 [[K리그 2011|2011 시즌]] 개막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ref>{{뉴스 인용 |제목=‘게인리히 데뷔골’ 수원, K리그 슈퍼매치 완승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30614522512§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이민선 |날짜=2011년 3월 6일 }}</ref> [[2011년]] [[4월 15일]] [[강원 FC|강원]]전에서 데뷔골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마토 4호골’ 수원, 2-0 완승…강원 시즌 6연패 수렁 |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11041520291628§ion_code=10&key=&field= |출판사=스포탈코리아 |저자=홍재민 |날짜=2011년 4월 15일 }}</ref>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가시와 레이솔의 축구 선수]][[분류:성남 FC의 축구 선수]][[분류:광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삼성 루윙즈의 축구 선수]][[분류:FK 라보트니치키의 축구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7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정명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한민국의 축구 해설자]][[분류:J1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최수진 (성우) . . . . 4회 일치
         * [[미션임파서3]] ([[MBC]]) - 젠([[매기 큐]])
         * [[루 데]] ([[MBC]])
         * [http://www.mbcvoice.net/profile/profile_main.php?pageMode=viewProfile&pMode=&uid=127&now_page=12&sortMode=0&searchCategory=&searchWord= 문화방송 성우극회 최수진 로그]
  • 추미애 . . . . 4회 일치
          * 2018년 4월 1일, [[만우절]]을 맞아 추미애 대표의 네이버 로그와 페이스북이 초선 의원이던 시절로 맞춰져 변경되었다.[[https://web.archive.org/save/https://blog.naver.com/choovision|#]] 심지어 로그 포스트의 내용도 당시 시절로 깔맞춤되었다.[[https://web.archive.org/save/https://blog.naver.com/choovision/221242043007|#]][[https://web.archive.org/save/https://blog.naver.com/choovision/221242045204|#]] 만우절에 쓴 로그 글 중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추미애 의원이 배우 [[채시라]] 씨를 닮았다고 말씀하셨다며 자신의 미모(?)를 자랑하는 자뻑글도 있는데, ~~마땅히 대중의 공분을 사야할~~ 이 글은 다른 이유로 화제를 모았다. 그 이유가 알고 싶다면 [[https://www.dispatch.co.kr/1227442|이쪽으로]]. 이후 추미애 로그에 이 만우절 드립 제작의 [[https://blog.naver.com/choovision/221245881984|후기가 올라왔다.]]
  • 츠키시마 케이 . . . . 4회 일치
         ||<:>신장 / 몸무게[[br]](고교 1학년 4월 달 기준) || 188.3cm/68.4kg || 포지션 || 미들 로커(MB) ||
         '''영리한 로커'''
         독설가에 냉소적이며 남을 비꼬는 데에 꽤나 거리낌이 없는 성격이다. 또한 표정 변화가 거의 없다. 경기에는 매우 냉정하게 임하고 로킹 실력도 좋지만 리시브가 약하다. [[wiki:"카게야마 토비오" 카게야마]]와 [[wiki:"히나타 쇼요" 히나타]]의 입부 경기 때 상대팀이었다. 저 둘이 입부 경기를 위해 한창 연습하고 있을 때 나타나, 히나타를 '초등학생', 카게야마를 '제왕'이라 부르며 조롱했다. 이후 [wiki:"야마구치 타다시" 야마구치]와의 대화에서 히나타와 카게야마를 '쓸데없이 열 내는 녀석들'이라 부르며 진심으로 싫어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종종 카게야마를 '제왕' 혹은 '엘리트'로, 본인을 포함한 평범한 배구부 부원들을 '서민'으로 칭하곤 한다. 이런 태도 때문에 연습이나 시합 중 카게야마와 자주 부딪치지만 그때마다 [[wiki:"사와무라 다이치" 사와무라]]가 --웃으면서-- 말린다.
         인터하이 예선 탈락 후, 코치로부터 히나타와 MB로서 시라토리자와의 우시와카도 막을 수 있는 로커가 되어 달라고 부탁 받았다. 그러나 씩씩하게 대답한 히나타와는 달리 속으로 '우시와카는 무리…'라고 생각했다.
  • 캡틴 아메리카:시빌워/스포일러 . . . . 4회 일치
          * 범인으로 윈터 솔저가 지목되며 '''랙 팬서가 새로운 와칸다 국왕으로 즉위.'''
          * 아이언맨팀은 아이언맨, 워머신, 비전, 랙 위도우, 랙팬서.
          * 랙 위도우는 토니편을 들지만 공항에서 교전 중 마지막엔 캡틴이 도주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 캡틴 코만도 . . . . 4회 일치
         서구적인 [[슈퍼히어로]]물 느낌을 풍기는 게임. 플레이어 캐릭터들도 그렇고, 적 캐릭터들도 그러한 느낌이 든다.
          캡콤의 격투 게임인 마 VS 캡콤 시리즈에서도 등장. 동료 코만도들도 기술에서 등장한다. 또한 남코X캡콤에서도 등장.
         모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고, 엔딩을 맞이하면 단상에서 누군가가 연설을 한다. 이때 뒤쪽의 모니터에 캡틴 코만도가 나타나고, 누구냐는 질문에 캡틴은 '나는 캡틴 코만도다.'라고 답한다. 이 부분은 마 VS 캡콤의 캡틴 코만도 엔딩에서도 나왔다.
          * 특이하게도 캐릭터들이 지닌 특수기나 무장에 의해 기괴한 사망 모션이 나온다. 캡틴 코만도의 캡틴 파이어에 맞아서 에너지를 전부 잃어버린 적은 불에 타서 재가 되고(...), 닌자도를 쓰는 쇼우의 공격은 적을 절단낸다.(...) 제네티의 경우 상대를 부패(?)시켜 해골만 남긴다.(...) 이러한 모션은 플레이어 캐릭터에게서도 나오며 자유로운 것은 적측 여전투원인 캐롤과 브렌다 정도.
  • 토리코/384화 . . . . 4회 일치
          * 브란치는 죽어가는 텟페이에게 요수를 부어주고 살리려 하는데 옆에 있던 루 니트로 페어가 협력해줄테니 노킹을 풀라고 한다.
          * 그리고 네오에게 헝그리 로우를 작렬. 다시 땅으로 처박는다.
          * 요수를 가져왔다며 사용하려고 하는데, 마침 옆에 있던 루 니트로 페어가 그들을 부른다.
          * 설마했던 루 니트로 페어의 아군화. 아카시아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막이 드러날 듯 보인다.
  • 토리코/391화 . . . . 4회 일치
          * 이치류는 발견한 것은 레드 니트로와 루 니트로가 뒤엉킨 시체더미.
          * 레드 니트로 뿐만 아니라 루 니트로의 시체도 섞여 있다.
          * 루 니트로 페어의 신호와 함께 부활한 팔왕들과 사천왕의 총공격이 일제히 명중한다.
         갑자기 토리코와 루 니트로 페어를 제외한 일행 전원이 리타이어. 텟페이는 멀쩡해 보이긴 하지만 아무 도움도 될 거 같지 않다. 네오 레이드 때 갑자기 모습을 감춘 용왕 데로우스와 낭왕 기네스가 갑자기 등장했지만 별다른 설명도 없이 필살기 한 번씩 써주고 리타이어. 머리를 먹혀서 부활의 여지도 없다.
  • 토탈워: 쇼군 2 . . . . 4회 일치
         Total War: Shogun 2.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이다.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핫토리 가문을 추가한다.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잇코 잇키를 추가한다.
          바닐라 게임에 플레이어로 오토모 가문을 추가한다.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번 . . . . 4회 일치
         === 플레이어 번 ===
         === DLC 추가 플레이어 번 ===
         === 플레이어 번 ===
         === DLC 추가 플레이어 번 ===
  • 판타스틱 포(2005년 실사영화)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판타스틱 포]]의 실사영화. 90년대에 나온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판타스틱 포]] 이후에 나온 두번째 영화화다. 제작은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를 만든 [[20세기 폭스]]이며 이후 2007년에 속편인 <[[판타스틱 포: 실버 서퍼의 위협]]>이 만들어졌다.
         [[인비저 우먼]](수잔 스톰) 역의 [[제시카 알바]]가 미모로 꽤나 호평(?)을 받았으며 이는 속편에서도 마찬가지다.
         해당 영화에서 휴먼토치를 연기한 크리스 에반스는 후에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저]]에서 휴먼토치와 정반대의 성격인 [[캡틴 아메리카(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캡틴 아메리카]]를 연기했다. 참고로 휴먼토치는 국내에서 이름이 '파이어'가 되었다.
  • 페이데이 2/적 . . . . 4회 일치
         이들을 케이 타이로 묶어서 인질로 만들 수 있다. 인질로 만들면 도망치다가 총격전에 휘말려 죽지도 않고,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주변에서 총소리라도 나면 움직이지 않고 뻐팅기려 들지만. 무엇보다 구금당한 팀원과 인질을 맞교환 할 수 있다.
         유니크 민간인으로 "보헤드 밥"이 있다. [[https://youtu.be/7hsi5-338Fg|빅 뱅크 DLC 트레일러]]에서 주인공으로 출연한 이후 계속 트레일러 등지에서 모습을 비추는 중.
         === 루 SWAT ===
         ==== 랙 불도저 ====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 . . . 4회 일치
         민간인을 [[케이 타이]]로 묶거나 죽기 직전의 법집행관을 위협해서 인질로 만들 수 있다. 이 인질은 크루 중 하나가 구속당했을 때 인질 교환으로 크루를 풀려나게 하는 용도다. 인질은 경찰에 의해 풀려날 수 있다. 풀려난 민간인은 도망가며, 풀려난 법집행관은 다시 플레이어에게 맞선다.
          케이 타이 소지량이 늘어난다.
          * 케이 타이
          * 루 SWAT
  • 프라이머리 (음악가) . . . . 4회 일치
         | 레이 = [[피스쿨|Primary Skool]], [[빅딜 레코드]], [[가라사대]]
         '''프라이머리'''(Primary, {{본명|최동훈}}, 1983년 1월 31일 ~ )는 [[대한민국]]의 DJ 겸 음악 프로듀서이다. 과거 [[다 크루|Da Crew]]의 레이 [[가라사대]] 소속이었으며, 이후 [[빅딜 레코드]], 타일뮤직을 거쳐 현재는 [[아메바컬쳐]]의 전속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 마일드 비츠 (Primary & Mild Beats), [[프라이머리 스쿨]] (Primary Skool), 프라이머리 스코어 (Primary Score) 등 여러 프로젝트 그룹으로도 활동하며 밴드 음악을 베이스로 한 힙합 장르를 기본으로 재즈, R&B 등을 섞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빅딜 레코드]]를 동료 뮤지션들과 설립해 [[데드피]]의 《[[Undisputed LP]]》에 프로듀서로 참여하며 본격적으로 힙합씬에 발을 들여놓았다. 2006년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올해의 힙합 싱글을 수상한 [[가리온]]의 《[[무투 (음반)|무투]]》, [[다이나믹 듀오]]의 《[[Band of Dynamic Brothers|죽일 놈]]》, [[슈프림팀]]의 1집 《[[Supremier]]》 등을 프로듀싱하기도 했다.
         아메바 컬쳐 소속으로서 《[[Primary And The Messengers LP]]》를 발매해 방송에도 꾸준히 나섰다. 엠랙 지오와 "I'm Back" 곡작업을 같이 한 것을 인연으로 엠랙 "Sexy Beat"의 타이틀곡 "Smoky Girl"을 같이 작업하기도 했다. 본인에 의하면 자신이 지금까지 작업한 곡들 중 가장 녹음횟수가 많았다고 할 만큼 작은 추임새 하나까지도 심혈을 기울인 곡이다.<ref>[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30621000878 "천둥 염색 이유…"팬들과 3년 전 약속 지켰다"", 뉴스핌, 2013-6-24]</ref>
  •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The X-Men #40(January 1, 1968).
         여담이지만 이 캐릭터는 마의 [[프랑켄슈타인]]의 [[크리처(프랑켄슈타인)|크리처]]가 아니다. 마판 크리처는 따로 존재하는데 바로 [[프랑켄슈타인(마 코믹스)|프랑켄슈타인]]. 다만 그 기원에서 프랑켄슈타인의 크리처와 닮은 점이 있는 것은 맞다.
  • 프랑켄슈타인(마블 코믹스) . . . . 4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의 경우 60년대급인 상당히 오래된 캐릭터. 코믹 바인에 기재된 정보에 의하면 The X-Men #40(January 1, 1968), 위키피디아에는 아틀라스 코믹스 시절이 Menace #7(Sept. 1953), 마 코믹스 시절이 The Silver Surfer #7(Aug. 1969)다.
         빅터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만든 괴물. 그러니까 소설 [[프랑켄슈타인]]에 등장하는 [[크리처(프랑켄슈타인)|크리처]]의 마 버전이다. 원전의 크리처처럼 프랑켄슈타인 박사에 대한 감정이 안좋다. 엑스멘과 충돌하기도 했다.
         마에 프랑켄슈타인 안드로이드라는 캐릭터가 존재하는데 엄연한 별개의 캐릭터다. 그런데 코빅 바인에 기재된 정보에는 첫등장 에피소드가 동일하다. 거기다 엑스멘과 대립한 적도 있는 공통점이 있다.
  • 하이큐/216화 . . . . 4회 일치
          * 어쨌든 그의 스파이크가 인상적이었는지 "네가 친다면 나도 록하겠다"고 나서는 선수들이 속출.
          * 츠키시마는 장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로킹이 가장 낮은 점을 자각한다.
          * 앞으로 보다 수준 높은 팀들과 격돌할 것이고, 그럴 수록 스파이커와 로커 간의 눈치게임은 심해질 것이다.
          * 히나타가 록을 보고 때리는 스파이커인 이상, 그걸 상대로 연습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
  • 하이큐/221화 . . . . 4회 일치
          * 다테 공고의 록은 지금도 현내 최고 수준. 봄예선 이후로는 레벨이 더 올라갔다는 소문이다.
          * 하지만 코가네가와, 아오네 타카노부, 후타쿠지 켄지의 삼중 리드 록이 다가온다.
          * 평소라면 록 한 장이 올까 말까한 초속공이지만 다케공고는 능숙하게 대응하고 있다.
          * 우카이 코치는 시라토리자와전 때 츠키시마의 활약을 예로 들며 좋은 록은 스파이커는 물론 세터도 압박한다고 말한다.
  • 하이큐/223화 . . . . 4회 일치
          * 다테 공고의 록으로 공격이 풀리지 않는 카라스노.
          * 츠키시마가 스파이크를 때리지만 여전히 다테 공고의 록은 뚫리지 않는다.
          * 초반엔 사이드에서 올리는 공격 때문에 분산되기도 했지만 시간이 갈 수록 익숙해지면서 다테의 록은 더욱 견고해졌다.
          * 타나카가 스파이크를 때리지만 너무 록을 의식한 탓에 네트에 맞는다.
  • 하이큐/237화 . . . . 4회 일치
          * 히나타의 서브 2회차로 공격이 재개된다. 츠바키하라는 에치고가 세트를 올리는데 아테마에게 올릴 것 같다. 그러나 눈치 빠른 [[츠키시마 케이]]는 속지 않고 마루야마의 백어택을 정확히 예측한다. 하지만 마루야마도 순순히 막히지 않는다. 순간적으로 록을 피해 공을 떨어뜨린다.
          사실 츠키시마가 딱히 토스를를 잘하는건 아니다. 하지만 이번에 올리는 토스는 확연이 달라졌는데 스기우라는 "약간의 어색함과 최대한의 정성"이라 표현한다. 합숙에서 [[코가네가와 켄지]]에게 잔뜩 쓴소리를 들은 탓인지 높고 깔끔한 세트가 올라온다. 아즈마네는 "왠지 감동적"이라 여기며 힘차게 뛰어오른다. 그러나 츠바키하라 쪽에선 록 3장으로 덤비는데.
         >3번 아즈마네. 록을 날려버렸어요!
          * 아즈마네는 파워풀한 스파이크로 록을 날리고 득점에 성공한다. 스코어는 19대 18. 카라스노의 역전.
  • 하이큐/254화 . . . . 4회 일치
          * 그런데 그런 카게야마의 심리를 귀신같이 간파한 아츠무, 이번 공격이 히나타의 마이너스 템포임을 사전에 인지하고 철벽같은 로킹으로 막아낸다.
          그런데, 우카이 코치의 말을 비웃듯 미야 형제의 두 번째 마이너스 템포가 꽂힌다. 이번에도 우측에서 [[츠키시마 케이]], [[타나카 류노스케]]의 록을 완벽하게 따돌리며 작렬. 아즈마네와 니시노야가 리시브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 중계석도 확실히 "카라스노의 1학년 콤비에 못지 않은 속도"라고 격찬.
          * 츠키시마의 서브로 경기 재개. 아카기가 리시브한다. 동시에 빠르게 움직이는 이나리자키의 공격진. 오사무가 네트 앞으로 다가오자 히나타가 섣불리 로킹을 뛰지만 페이크, 아츠무의 세트업은 스나 쪽으로 향한다. 그러나 스나의 스파이크는 사와무라가 받아내고 흔들린다. 불안하게 떠오르는 공. 카게야마가 따라간다. 그리고 카게야마는 몰랐지만, 여기서부터는 아츠무가 시뮬레이션한 그대로의 상황이 펼쳐진다.
          그 예상이 적중. 히나타는 아츠무가 준비한 록 앞으로 정확히 뛰어오른다.
  • 황치열 . . . . 4회 일치
         | 레이 = [[NHN벅스]]
         * 2015년 3월 5일 케이 방송 [[Mnet]]의 음악 예능 프로그램 [[너의 목소리가 보여]] 2회에 자칭 '[[임재범]]이 인정한 보컬트레이너, 황치열'로 참가, '[[고해]]'를 불러 개성 강한 허스키한 보이스로 방청객과 시청자들을 매료시켜 큰 반향을 일으킴. 이후 일반 참가자에서 가수 '황치열'로 패널로서 동일 프로그램에 다수 출연함.
         * 2016년 1월 15일 중국 '나는 가수다' 시즌4 첫방송에서 한국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 OST로 중국에 알려진 [[이승철]]의 '그 사람'을 한국어로 부르며 8명의 가수 중 '''2위'''를 차지, 처음 가수 황치열을 선보인 이 무대를 통해 웨이보 팔러워 수가 50만에 육박. 황쯔리에 신드롬을 일으키며 중국 대륙의 가장 핫한 루칩으로 부상함.
         * 중국의 광고계에서도 루칩으로 러브콜을 받고 있으며 첫 광고로 중국 최대 인터넷 종합 쇼핑몰 [http://www.yunhou.com/ 운구전구(云购全球)] 광고 모델로 발탁되어 광고 모델로도 활동을 시작함.<ref>{{웹 인용 |url=http://www.yunhou.com/act-huang-zhi-lie.html |제목=운구전구 전속모델 황치열 |확인날짜=2016-01-2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124193936/http://www.yunhou.com/act-huang-zhi-lie.html |보존날짜=2016-01-24 |깨진링크=예 }}</ref>
  • DC 코믹스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와 미국 코믹스 시장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회사이며 [[슈퍼맨]], [[배트맨]], [[원더우먼]]이 소속된 곳이기도 하다. [[그린 랜턴]], [[플래시(DC 코믹스)|플래시]]도 DC의 히어로이며 이러한 영웅들의 팀인 저스티스 리그가 유명하다.
         마처럼 몇몇 코믹스가 국내에 정발되어 있다.
          * [[마 코믹스]]
  • MoniWikiTutorial . . . . 3회 일치
         == 일곱째 고개: 리스트와 테이 ==
         === 테이 ===
         "||"로 시작해서 내용이 "||"로 분리되고 "||"로 끝나면 테이이 만들어집니다.
  •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 . 3회 일치
          * [[웨리 리볼버|웨리 MKVI]]
          * [[웨리 포스베리]]
  • 고경표(배우) . . . . 3회 일치
         [[랙넛]]이 여성혐오 논란으로 비판을 받고있을 때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랙넛의 노래가 좋다는 글과 랙넛의 '내가 할 수 있는 것'의 스트리밍 인증샷을 올려서 논란이 있었다. 이에 사람들이 인스타에 고경표와 고경표의 가족에게 [[모욕죄|모욕]]과 [[명예훼손죄|인신 공격성 테러]]를 가하였고, 설전이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사실 해당 노래는 여성 혐오에 대한 가사로 논란이 일었던 노래조차 아니였다. 이후 사과글을 게시한 것으로 마무리되었으나, 일부 네티즌들의 의도적 판 키우기와 언론인들의 가쉽성 보도 때문에 고경표 일베설이라던가, 여성혐오자라더라 같은 [[냄비근성|루머가 돌게 된 것이다.]]
  • 고아성 . . . . 3회 일치
         고아성은 6살 때인 1997년 길거리 캐스팅을 통해 외환카드 광고 아역 모델로 연예계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자체발광' 고아성 "은호원으로 희로애락 다 펼쳐…시즌2 희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268211|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이정현|날짜 = 2017-05-16|확인날짜 =2017-09-07}}</ref> 이후 그는 2004년 어린이 드라마 《[[울라불라 루짱]]》의 타이틀롤을 맡아 배우로서 정식 데뷔했다. 2006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 (2006년 영화)|괴물]]》에서 박강두([[송강호]])의 딸 역을 연기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대한민국영화연기대상 영스타상,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연기자상을 수상하였다.
         | [[울라불라 루짱]]
         | 노다지 (루스톤 공주)
  • 곰둘라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Journey into Mystery #61(October 1, 1960)
         마의 [[괴물]] 캐릭터인 거대 [[미이라]]. 사실은 [[외계인]]이며 지구 정복을 위해 와서 이집트에 살고 있었으나 인간에게 패했다.
         이 캐릭터 외에도 마에 미이라 캐릭터가 있는데 바로 은칸투. 은칸투가 이후에도 등장하는 것과 달리 곰둘라는 적은 에피소드에만 등장했다.
  • 김미숙(1959) . . . . 3회 일치
         || '''소속''' ||<(> 리마커엔터테인먼트 ||
         그리고 2009년 연기 인생 처음의 악역이라 일컫는 <[[찬란한 유산]]>으로 드라마에서의 제2의 전성기를 맞는다. 진정한 노리스 오리제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가족애와 성장드라마를 짬뽕한 이 드라마는 시청률 40%를 넘기며 큰 히트를 기록한다. 여기서 김미숙은 '''"정말 악역을 안 할 것 같은 배우"'''의 얼굴로, 징그러울 정도로 현실적인 백성희를 완벽하게 소화한다. 그 해 연기대상 최우수상 수상. 언제나 선하고 호감가는 역할만 하던 김미숙에게는 처음으로 욕을 먹는 경험(?)을 하게 한 작품이라고.[* 신선한 악역 연기에 찬사를 보내자 김미숙은 인터뷰에서 "다들 내가 이런 역할 못할 줄 알았나봐"라며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 김민희(1982) . . . . 3회 일치
         ||<:><#0f0f3e> {{{#white '''▲ 롯데캐논 버젯 CF (2000)'''}}} ||
          * 연예계 대표적인 패셔니스타다. 큰 키와 마른 몸매의 대명사 격으로, 어떤 스타일과 메이크업도 소화하는 편이라 여성들의 패션 롤모델로 자주 거론된다. [[장동건]]-[[고소영]] 커플의 결혼식 참석 당시 입었던 패션이 여성스러우면서도 재치를 잃지 않는 센스로 당시 하객패션 가운데 가장 큰 화제가 되었는데, 후에 당시 착용한 [[라우스]]가 명품이 아니라 2만원대 보세 제품이라는 것이 알려지며 더욱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역시 옷이 문제가 아니라 누가 입느냐가 문제다.-- 또 다른 패셔니스타로 유명한 [[윤여정]]도 김민희에게 "이전에 입었던 옷이 뭐냐? 나도 좀 사다 달라"고 부탁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 일로 인해 모 광고모델 사에게 위약금을 물어주면서 광고계에서는 랙리스트에 올라가 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799801|#]]
  • 김성주(축구선수) . . . . 3회 일치
         5월 2일 [[수원 FC]]와의 리그 원정경기에서 61분에 이재안 선수와 교체되며 출전해서 76분에 김창욱선수가 보낸 패스를 받아 살짝 드리 후 왼발로 감아찬
         5월 13일 [[강원 FC]]와의 리그 홈경기에서 51분 이재안 선수와 교체되며 투입되었다. 후반 종료직전에 보비와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 사이로 패스를 보냈고 이를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가 받은 후 드리로 수비를 속이고 오른발 슛으로 득점에 성공하지만 팀은 결국 2:4로 패하고 만다.
         5월 23일 [[고양 Hi FC]]와의 리그 원정경기에서 선발 출전해서 47분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가 뺏은 공을 드리 후 먼거리에서 감아찬 슛이 들어가며 골을 기록하였고 55분 코너킥 상황에서 상대 키퍼가 펀칭으로 처리한 공을 페널티박스 밖에서 또 감아찬 슛이 키퍼에 손에 닿지한고 들어가며 멀티골을 기록하며 2연속 MOM을 달성했고 팀은 4:2로 승리를 거두며 리그 2연승.
  • 김중혁 . . . . 3회 일치
         [include(틀:러썸 소속 아티스트)]
         동진은 자신이 사라지면 중혁이 반드시 조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로그를 개설하여 비밀글들을 숨겨두었고 예상대로 중혁은 동진의 로그속 마녀의 법칙을 찾아낸다. [* 이때 아이디는 중혁의 주민등록번호였으며 비밀번호는 'Shine on you'였다.]동진의 조사가 유독 오래 걸린 이유가 미정을 조사함과 동시에 대학시절부터 중혁에 관해서도 눈치채고 같이 역학조사를 하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중혁과 관계된 여성 리스트가 나오는데 수십명~~이런말 하면 안되지만 '''부럽다'''. 게다가 다 남녀공학이야~~가까이 중혁을 좋아하여 사고를 당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맨 마지막글은 이 글을 볼 중혁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중혁아. 네가 사랑해야 돼.''' 라는 말, 즉 해결책을 써준 동진에 대한 크나큰 고마움을 느낀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7화 . . . . 3회 일치
          비록 미도리야가 웃기는데는 실패했지만 대화를 잘 풀어나가자 [[토오가타 밀리오]]도 한숨 돌리며 나름대로 좋은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간지럼 형벌을 당하던 버걸을 풀어준다.
          * 나이트아이는 그걸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이라며 채용시험을 제안한다. 그는 3분을 주면서 자신의 손에 있는 인감도장을 빼앗아 직접 서류에 찍어 보라고 제시한다. 그러면서 버걸과 밀리오를 퇴실시킨다.
          * 사무실에서 쫓겨난 버걸은 밀리오 때는 이런 시험은 없지 않았냐고 묻는다. 밀리오는 자신인 애초부터 지명을 받았으니까 그런 거라고 대답하면서도, 미도리야의 앞길이 캄캄하다고 걱정한다. 나이트아이의 "개성"이 있는한 달성하기 불가능한 퀘스트라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6화 . . . . 3회 일치
          * 그러나 현실적으로 처한 고난이 만만치 않다. 불평만 늘어놓던 레게풍의 히어로는 이번에도 둘의 의기에 찬물을 끼얹는다. 둘을 "꼬마"라 부르며 아무리 열을 올려봤자 쉽지 않은 일이라 강조한다. 우선 그 에리라는 소녀가 적의 핵심적인 자원이라면 당연히 꼭꼭 숨길 것이다. 하물며 소녀가 예기치 않은 트러로 외부로 노출, 히어로 둘에게 보여져 버렸다면 더욱 방비를 두텁게 할 것이다. 레게풍 히어로는 자신이라면 더이상 아지트에 두지도 않을 거라고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 시에핫사이카이의 본거지를 틀어봤자, 아무 것도 나오지 않을게 분명하다. 하려면 적어도 소녀가 어디에 있는지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후 [[버걸]]이 상세한 자료를 개별적으로 나눠주며 회의가 종료된다.
          * 웅영고의 학생들은 잠시 뒤 따로 테이에 둘러앉았다. 그들은 미도리야와 밀리오가 겪였던 일을 다시 한 번 듣는다. [[키리시마 에지로]], [[우라라카 오챠코]], [[아스이 츠유]]는 미도리야의 분한 심정에 공감한다. 밀리오와 미도리야는 회의가 끝난 이후에도 고개를 들지 못할 정도로 낙담하고 있다. [[아마지키 타마키]]는 이렇게 침울한 밀리오는 처음 본다며 내심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9화 . . . . 3회 일치
          * 나이트아이의 두 사이드킥이 나선다. [[센티피더]]가 개성 "지네"를 발동, 맨 앞의 조직원 둘을 묶으며 나머지 한 사람은 [[버걸]]에게 맡긴다.
          * 버걸은 피부에서 거품을 생성하는데 아이자와가 조직원의 개성을 무효화하는 동안 거품으로 시야를 가리고 체술로 간단히 제압한다. 둘은 조직원들을 무력화시킨 뒤 따라가겠다며 일행을 선행시킨다.
          * 일행이 추적을 속행하려 하자 비밀통로 전체가 파도치듯 일렁거리기 시작했다. 바깥에서 조직원들을 구속하던 버걸과 센티피더도 괴이하게 변모하는 통로를 보고 당황한다. 오도가도 못하게 된 일행. 변하는 형태로 보아 치사키의 개성은 아니다. 형사는 아마도 본부장 [[이리나카]]의 개성일 걸로 추측한다. 항상 오버홀 옆에 따라다니는 작은 부하가 그다. 그의 개성은 "의태". 특정한 물건에 들어가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다. 지금은 건물의 콘크리트에 들어가 지하통로를 살아있는 미궁으로 바꾸었다. 하지만 정보에 따르면 그에겐 이정도 규모를 조종할 힘은 없다. 기껏해야 냉장고 하나 정도가 한계. 패트껌은 부스트 약물을 쓴 거라면 불가능하진 않을 거라고 추측한다. 허를 찌르는 함정이지만 분명 몸에 무리가 갈 텐데. 패트껌은 아이자와에게 무효화를 요청하나 본체를 정확하게 잡는게 아니라면 그에게도 무리다.
  • 디도(성우) . . . . 3회 일치
         || '''링크''' || [[http://cafe.naver.com/dreemyvoicedido|팬카페]] [[http://www.cyworld.com/did0|미니홈피]] [[https://twitter.com/4DVoiCe|트위터]] [[http://blog.naver.com/cjhunters|로그]] [[https://www.instagram.com/4dvoice/|인스타그램]]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대원 재더빙판에서 [[치바 마모루|턱시도 가면]] 역을 맡게 되었다. 사실상 첫 주역 데뷔작이지만 '''평가가 좋지 않았다.''' 본인도 그 점을 알고 더 정진하겠다는 ~~[[대인배]]~~ 글을 로그에 올렸다. 하지만 [[하트 캐치 프리큐어!]]에서 [[최종보스]]인 [[듄(하트 캐치 프리큐어!)|듄]]을 연기할 때 캐릭터성을 잘 살리지 못한 반면 쿠루미 류노스케([[쿠루미 에리카]] 아빠), [[묘도인 사츠키]]([[묘도인 이츠키]] 오빠)는 무난하게 소화한 걸 감안하면 과묵한 캐릭터와는 다소 상성이 안 맞는 듯.[* 반대로 [[파워레인저 캡틴포스]]의 [[제라싯트]]나 [[가면라이더 W]]의 [[마쿠라 슌]] 같은 [[개그 캐릭터]]에는 강점이 있다는 평. 목소리 특색은 부드러운 미남톤인데, 디도 본인이 워낙 밝고 개성있는 역에서 강점을 보이니 진지한 캐릭터보다는 밝은 캐릭터를 더 잘 소화하는 듯 하다.] 하지만 3기인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S]]에서는 많이 나아진 모습을 보였다.[* 게다가 여전히 원판 성우인 [[후루야 토오루]]에 비하면 아쉽다, [[김일(성우)|김일]]이 더 낫다, 그래도 뭔가 부족하다는 등 비판적인 의견이 있는 걸 보면 아직은 진지한 배역보다 밝고 가벼운 배역을 더 잘 소화하는 듯. 그리고 의외로 발성이 좋아 [[잔크로우|열혈 캐릭터]]도 잘 소화하는 걸 보면 과거의 [[최재호(성우)|최재호]]와는 반대로 소리지르는 연기엔 강하나 진지하고 과묵한 배역엔 약한 것 같다.]
          * [[해적전대 고카이저|파워레인저 캡틴포스]] - 유괴범, [[제라싯트|젤라시트]], [[도몬]](타임 옐로), [[아키라(광전대 마스크맨)|박태환(루 마스크)]][* 비디오판은 [[최수민]]. 선배 성우인 최수민이 똑같이 소화하기 힘들다고 판단되어 이 인물을 맡았다.], [[구성주의 브라지라]](극장판)[* TV판 [[천장전대 고세이저|파워레인저 미라클포스]]는 선배 [[임하진]]. 성우의 자격 정지 전부터 이 인물을 맡고 있다.]
  • 마블 코믹스 . . . . 3회 일치
         국내에서도 [[캡콤]] 등의 게임을 통해 이전부터 인지도가 있었으며 스파이더맨과 아이언맨 등 캐릭터들이 실사영화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만들어지면서 더 큰 인지도를 지니게 되었다.
          * [[마 코믹스/캐릭터]]
          영화 세계인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도 등장하나 이쪽은 차이점이 있으며 이름도 [[인피니티 스톤]]이 되었다.
  • 맨불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괴력을 지닌 빌런. 원래 잡범이었는데 미스터 클라인이 특별한 혈청을 얻고, 이 혈청을 실험해볼 사람을 납치차려는 목적에 몇명의 범죄자들과 같이 고용되었으나 [[데어데]]이 이를 저지. 결국 클라인이 그에게 강제로 혈청을 주사하면서 지금의 황소인간이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되버린 것이 데어데 책임이라며 몇번이고 그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 맨씽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Savage Tales #1(May 1971)
         마의 괴물 캐릭터로 구성된 [[리전 오브 몬스터즈]]에 소속되어있기도 하다. [[고스트 라이더]]가 리더인 첫 번째 버전은 물론 웨어울프 바이 나이트가 리더인 두번째 버전에서도 멤버. 두 번째 버전은 [[퍼니셔]]가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처럼 되버린 코믹스에서도 등장하는데 이때 맨씽은 퍼니셔의 시체를 회수해갔다.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등장할 가능성에 대한 떡밥이 있다. 영화 [[아이언맨 3]]에서는 관련인물인 [[엘렌 브란트]]가 등장했고 [[에이전트 오브 쉴드]] 1시즌 20화에 등장한 [[마리아 힐]]의 대화에서 언급되었다. 다만 이것을 등장 떡밥으로 봐야될지는 미지수인 것이 브랜트는 맨씽과 관련없이 AIM 관련으로만 등장했을 수도 있고, 힐의 언급은 그저 서비스적인 측면일 수도 있다.
  • 미스터 마인드 . . . . 3회 일치
         [[샤잠]]과 관련된 악당으로 캐릭터명이 [[캡틴 마]]이던 시절부터 싸워온 빌런이다.
         겉모습은 그냥 벌레. 문자 그대로 보통 애벌레 크기다. 그런 이유로 [[랙 아담]]이나 [[아이박]]처럼 괴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나 [[닥터 시바나]]처럼 지능형 빌런인데다 정신계 능력을 써서 만만치않은 적이다. [[몬스터 소사이어티 오브 이]](Monster Society of Evil)의 일원이기도 하다.
  • 박성배 . . . . 3회 일치
         |클럽=[[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다이노스]]<br />[[광주 상무 불사조]] <small>(군 복무)</small><br />[[FC 서울]]<br />→ [[부산 아이파크]] <small>(임대)</small><br />[[수원 삼성 루윙즈]]<br />[[영하트 마나와투]]<br />[[이스턴 서버브스 AFC|이스턴 서버브스]]<br />[[용인시청 축구단|용인시청]]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다이노스]]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고 2005년 [[FC 서울]]에 입단하였다. 하지만 바로 [[부산 아이파크]]로 임대를 갔고 그 후 2006년에는 정규 리그와 리그컵에는 전혀 출전하지 못하고 2군 리그인 [[R리그]]에서만 뛰다가 2007년 초 [[수원 삼성 루윙즈]]로 이적하였다.<ref>[http://soccerlove.co.kr/news/news_detail.asp?idx=59399&cat=223&pg=141 재기 노리는 박성배-정광민 '팀공격력 내게 맡겨!]</ref>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분류:광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삼성 루윙즈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충청북도 출신 인물]][[분류:청주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숭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뉴질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용인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뉴질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붐(연예인) . . . . 3회 일치
         그러다 워케이 방송의 [[VJ]]로 활동, 공중파를 비롯한 100여 명이 넘는 취재진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당시 톱스타였던 [[김희선]]의 [[인터뷰]]를 당당히 따내어 [[유명세]]를 탔다. 이를 계기로 [[MBC]]의 연예 정보 프로그램 섹션TV에 [[리포터]]로 발탁되어 다시 [[공중파]]에 입성하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후로는 특유의 친화력으로 각종 프로그램에서 감초로 활약하며 활동반경을 넓혀갔다. 이 [[섹션TV 연예통신]]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알리고자 마이크에 자신의 예명인 BOOM을 크게 새겨넣고 소개시 "붐이에요!"라는 자체 [[유행어]]를 제작,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존재감을 발휘해서 예능 속 이미지를 확실히 굳혔다.
         그 후 게스트로 출연했던 용감한 작가들의 고정 MC가 됐고,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6&sid2=224&oid=109&aid=0002939173|기사]] [[케이방송]]에이어 [[지상파 방송|지상파]]에서도 2015년 1월 2일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3387471|복귀했다]].
          * 《[[라인드 테스트쇼 180도]]》 ([[MBC]])
  • 송원근(배우) . . . . 3회 일치
         결국 연예계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모든 것을 내려놓으려 하다가 드라마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OST에 참여할 당시 음악감독이었던 가수 하울의 소개로 [[뮤지컬]] ‘궁’ 캐스팅 오디션을 봤고, 주인공 이신 역으로 발탁됐다. 이후에 [[렌트]], [[김종욱 찾기]], [[쓰릴 미]], [[랙메리포핀스]], [[아가씨와 건달들]] 등에 출연하며 뮤지컬 배우로서 괜찮은 필모를 쌓아가고 있는 중이다. 평은 대체로 크게 나쁘지는 않은 듯.
          * 2014년 [[랙 메리 포핀스]] - 헤르만 역
          * [[랙 메리 포핀스]]에서 ~~치명적인~~ 대사 실수를 했다. 원래 "형의 치명적인 모순이 뭔지 알아?" 라는 대사를 "형의 치명적인 매력이 뭔지 알아?" 라 쳐버린 것. 홈커밍데이에서 이에 대한 해명을 했는데 연습을 할 때 대사 실수를 한 게 트라우마가 되었다고 한다.
  • 슈퍼맨 리벤지 스쿼드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에도 비슷한 팀인 [[스파이더맨 리벤지 스쿼드]]가 있다.
          첫등장은 Action Comics #286 (March 1962). 마 코믹스의 일렉트로와는 별개의 캐릭터다.
          래스트를 발사한다. 외계인.
  • 슈퍼히어로 . . . . 3회 일치
         주로 [[미국]]에서 발달한 장르로서, [[미국]]의 [[DC 코믹스]], [[마 코믹스]]가 이 슈퍼히어로 장르로 유명하다. 특히 DC의 [[슈퍼맨]]은 대표적인 슈퍼히어로라고 할 수 있다.
          * '''[[마 코믹스]]'''
          * [[DC 코믹스]]와 [[마 코믹스]], [[이미지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는 해당 항목을 참조.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 . . 3회 일치
         [[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 프랜차이즈. [[워크래프트 시리즈]], [[디아로 시리즈]]와 더불어 리자드의 대표적인 게임 시리즈다.
  • 스틸오션/미국 . . . . 3회 일치
         >애틀랜타급 순양함은 원래 선도구축함으로 설계된 경순양함이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에서 효과적인 대공구축함이라는걸 증명해냈다. 애틀랜타급 순양함 총 네척과 개선형인 오클랜드급 순양함(Oakland-class) 네척이 발주되었다. 애틀랜타는 1942년 11월 13일에 일어난 과달카날 해전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고 격침되었다. 주노(Juneau)는 인디스펜서 해협에서 후퇴하던 도중 일본 잠수함 I-19에게 격침되었다. 이때 사망자에는 설리반 오형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설리반 오형제의 죽음으로 미 전쟁성은 솔서바이버 정책[* Sole Survivor Policy. 형제들 중 전사자가 있을 경우 병역이나 전투병과에서 제외되는 정책.]을 채택한다.
         >독일 U보트로부터 항로를 지키기 위해 많은 C3형 화물선 선체가 호위항모로 만들어졌다. 그중 몇몇은 왕립 해군에게 공여되었다. 보그급 호위항모 중에는 두척의 잠수함(1943년에 U-220, 1944년에 U-1059)을 격침시킨 록 아일랜드(Block Island)도 있었다. 이 함선은 네척의 유보트를 구축함과 함께 격침시키기도 했다. 록 아일랜드는 1944년 5월 29일, U-549의 뇌격으로 격침된다.
  • 시노자키 아이 . . . . 3회 일치
          * 라인 로그 : http://lineblog.me/shinozakiai/
          * 아메바 로그 : http://ameblo.jp/oshino-ai/
          * 텀러 : http://ls-shit.tumblr.com/
  • 신민아 . . . . 3회 일치
         그리고 시작 전 엄청난 기대를 받았고 그나마 나름 TV커리어에서 승리를 거두었다고 할수 있으나 그 초반의 압도적인 기대에는 거의 미치지 못한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이 드라마 압도적인 기대를 모은 것은 작가가 홍자매인 점이 첫 번째고 두 번째는 바로 바로 상대역이 무려 [[이승기]]. [[소문난 칠공주]]로 연기 데뷔하고 [[한효주|동생으로 유명한 그분]]과 함께 한 찬란한 유산이 기대 이상의 엄청난 대박을 터뜨리고 [[1박2일]] 시즌1로 전성기를 구가하며 [[강심장]]으로 인기를 끌던 그야말로 드라마를 찍지 않아도 TV를 종횡무진하던 그와 함께 하여 정말 이번에는 안망할 줄 알았다. 사실 2010년 위 이승기라면 마이더스의 손으로 하는 족족 앨범 드라마 예능 모두 성공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 16회 중 20%를 넘거나 근접한 것은 막판 4회 뿐이고 거의 나머지 기간동안은 10%초반을 찍었다. 결국 평균 시청률은 15%(TNms기준)였다. AGB 기준으로는 12.6%이다. 시청률 20%는 거의 보장하는 것으로 유명한 [[홍자매]]와 시청률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2014년도와는 거리가 한참 있는 2010년도에 작품을 했음에도 이거밖에 못 거둔거면 사실 망했다고 보는게 맞다. 홍자매의 전작인 [[미남이시네요]]도 사실 별로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이는 홍자매 또한 특정 연령층을 겨냥한 그닥 높지 않은 시청률을 생각했다고 밝혔으나[* 방송사에서도 시청률이 제일 중요하지만 매번 대박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일선에서 뛰는 모PD의 로그-[[일지매]]PD-에 따르면 심지어 엄청난 대작이 상대방에서 나올 경우 일부러 시간 떼우기로 폭망할 작품을 넣는 경우까지도 있다. 시청률이 잘 안 나올지도 모른다고 해서 무조건 편성을 안하진 않는다. 쓸만한 작품이 없어서 방송은 계속 해야 되는 거니까.. --그러니 푸쉬받고 세 번이나 망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라니깐--] [[쾌도 홍길동]]과 더불어 홍자매가 이건 뜰 거라고 생각했던 작품인데도 안됐다. --물론 쾌도 홍길동도 20%은 못넘겼지-- 물론 동시 방영하던 타방송사 작품이 [[제빵왕 김탁구]]였긴 했으나 아까 위에서 말했다시피 이것저것 변명대면 남는 게 없다. 홍자매 또한 [[미남이시네요]]로 할 거 다 해보고 여기서는 다시 뜰 줄 알았으나 그냥저냥 했던 홍자매는 바로 이후 작품인 [[최고의 사랑]]이 AGB 기준 20%를 넘기면서 부활에 성공했다. 하지만 마이더스의 손, 이승기는 이후 [[더킹 투하츠]]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하긴 했다. 영화계를 떠나서 드라마만 봐도 이정도면 흥행 랙홀이다.
         다만 여러가지로 봤을 때, 신민아 본인의 작품을 선택하는 기준이나 안목이 흥행과는 거리가 한참 멀어보인다. 작품성만 보고 한 것도 아닌데 선구안이 항상 아쉽다. 본인도 한 오래전 인터뷰에서 록버스터나 스케일이 큰 영화보다 작은 영화, 매니악한 영화를 좋아한다고 밝힌 적이 있고 --좋아하는 작품을 얘기한 인터뷰를 보면 쉽게 대중들에게 이해될 영화는 아니나, 취향이 그렇다고 하여 주연 배우로서의 작품 선택이 흥행하지 못한 것에 이유는 될 수 없다만-- 출연한 작품을 보면 나름대로 고심..을 한 듯 하지만, --마왕은 애초에 시청률이 높지 않을 것 같다 하여 소속사에서는 만류하였으나 본인의 고집으로 출연하였다-- 그렇다 해도 어떤 장르의 영화, 드라마든지간에 일단 대중을 대상으로 한다면 흥행이란 것을 떼어놓고 말할 수 없는 노릇이라..
  • 아이린(레드벨벳) . . . . 3회 일치
          * 2014년 디지털 싱글 2집 Be Natural 활동을 위해 [[흑발]]을 했다. 그리고 2015년 미니 1집 Ice Cream Cake와 더 타이틀곡 Automatic 활동에서는 금발로 염색했다. Ice Cream Cake 활동이 중반을 넘어갔을 때, 다른 멤버들과 함께 다시 흑발로 돌아왔다.
          * [[레드벨벳]]의 양궁 에이스. [[예리]]와 함께 양궁 주전 멤버다. 비록 결승전에서 [[EXID]]에게 패해 준우승했지만 처음 나섰던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6년|2016 설날 아육대]] 양궁에서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와 디펜딩 챔피언 [[마마무]]를 무너뜨리며 강한 인상을 남겼고, 1년 후 돌아온[* 2016 추석에는 SM 창립 20주년 단합대회 관계로 불참했다.]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7년|2017 설날 아육대]]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예리]]가 세트 직격을 저지르고 [[슬기(레드벨벳)|슬기]] 대신 양궁에 나선 [[웬디(레드벨벳)|웬디]]마저 과녁을 빗나가는 0점을 기록하는 최악의 부진으로 인해 [[레드벨벳]]은 [[러리즈]]에게 7점 차로 패해 예선 [[광속 탈락|광탈]]의 수모를 당했다.
          * 게임을 잘 하는 모습을 여러 번 보여주었다. 대표적으로는 V앱에서 [[예리]]를 상대로 루키게임 완승이 있다.--(feat. 랙홀 [[예리]])--
  • 안효민 . . . . 3회 일치
         * 삼국레이드 - 손책
         * 드라마 바이 - 야곱 / 삼손
         * [http://anhm10.blog.me 안효민 로그]
  • 애니멘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빌런 팀. 첫등장은 Daredevil #10(October 1, 1965
         [[동물]]에 주제를 둔 특수 수트를 착용하는 악당들. Organizer[* 뉴욕 시장 후보였다.]의 지시에 따라 악행을 저질렀으나 [[데어데]]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후 [[엑스멘]] 등 다른 히어로들과도 대립.
         [[DC 코믹스]]에 비슷한 캐릭터들인 [[테러 트리오]]가 있다.
  • 영덕군 . . . . 3회 일치
         ||<bgcolor=#F781F3> {{{#FFFFFF '''링크'''}}} ||<bgcolor=#F8E0F7> [[http://www.yd.go.kr/|홈페이지]][[https://www.facebook.com/love4ydpage/|[[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15]]페이스북]][br][[https://twitter.com/love4yd|[[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15]]트위터]][[http://blog.naver.com/ydcounty|[[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영덕군 공식 로그]][br][[http://band.us/@yeongdeokgun|[[파일:BANDico 6.x.png|width=15]]네이버 밴드]] ||
         [[트래킹]] 코스로 해안가를 따라가는 '''루로드'''가 있고, 대게 집게가 등대를 감싸고 있는 모양새인 창포말등대와 그 주변의 해맞이공원 등등 이런저런 볼거리가 많다.
  • 왓치맨 . . . . 3회 일치
         WATCHMEN. 미국의 만화회사 DC 코믹스가 출판한 [[그래픽 노]]. [[브이 포 벤데타]]와 [[FROM HELL]]의 작가인 [[앨런 무어]]가 쓰고 [[할렘 히어로즈]], [[댄 데어]]의 작가인 [[데이브 기본즈]]가 그렸다.
         1985년 10월 12일, 에드워드 레이크라는 남자가 고층 아파트에서 내던져져 사망한다. 그는 "코미디언"이라는 히어로로 활동해오던 사람이었다. 히어로 "로어셰크"는 코미디언을 죽인 자를 찾기위해 과거에 활동하던 히어로와 빌런을 찾아다닌다.
          * 에드워드 레이크/[[코미디언(왓치맨)|코미디언]]
  • 우현(배우) . . . . 3회 일치
          * [[랙]](2017, OCN) - 왕영춘 역
          * 킹닷컴 라썸 라스트 사가
  • 워저드 . . . . 3회 일치
         === 플레이어 캐릭터 ===
          * 레이드
          워저드의 [[최종보스]]. 성우는 고오리 다이스케. 모든 사건의 원흉. 레이드를 악당으로 타락시킨 [[만악의 근원]]이다. 한 번 쓰러진 후 진 발돌로 변신한다.
  • 원빈(배우) . . . . 3회 일치
         서울로 올라와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며 틈틈히 오디션에 도전해 케이의 제일방송 3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게 된다.[* 지금은 [[MBC 드라마넷]]이 되었다.] 누구나 그렇듯 어렸을 적부터 드라마와 영화를 보고 배우의 꿈을 키웠던 것 같은데 영화 [[아저씨(영화)|아저씨]]와 관련한 인터뷰에서 [[최민수]] 주연의 [[테러리스트(영화)|테러리스트]]를 보고 액션 배우의 꿈을 키웠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액션에도 일가견이 있는 배우다.[* 실제로 [[태권도]] 유단자라고 한다. 90년대에 예능 프로에서 [[안재모]]와 태권도 대련을 하는 방송도 있었다.] [[http://todayhumor.com/?star_225458|#]]
         최근에는 [[류승완]] 감독의 차기작인 영화 《[[군함도(영화)|군함도]]》도 고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491352|관련 기사]]. 기사에 나온 바에 따르면 《[[신과 함께]]》나 《[[군함도(영화)|군함도]]》와 같이 규모가 큰 록버스터보다도 작가주의적 성향의 영화를 찾고 있는 듯.
          * 본인은 인터뷰에서 '대단한 게임 마니아는 아니다' 라고 언급했으나, 실제론 '''대단한 게임 매니아가 맞다'''는 이야기가 자주 떠돈다. 특히 그가 [[프로 에볼루션 사커|위닝일레븐]] 최고수라는 것은 팬미팅 등을 통해서도 이미 잘 알려진 사실. 연예계 게임 고수를 자처하는 남창희가 [[강동원(배우)|강동원]]을 상대로 위닝을 다섯 판 했는데 전패했다고 한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2207037|#]] 그런데 그 강동원이 하는 말이 '자신도 빈이 형에게는 한 판도 못 이긴다' 는 것. [[변우민]] 역시 원빈을 상대로 완패했을 뿐더러 개발자와의 게임 대결에서도 원빈이 승리했다고 한다. [[http://star.mt.co.kr/stview.php?no=2011092102240452778&type=3|#]] 또한 강동원과 함께 PC방에서 [[스타크래프트]] 등도 즐긴다고... 주종은 [[프로토스]]. [[http://m.news.nate.com/view/20100721n08128|#]] ~~진짜 끼리끼리 만나는구나... 후~~ [* 다만 그둘의 친분이 과장이 되었다고 했다 친한건 맞았으나 현재는 연락을 잘 안한다고 한다.]~~아재게임 디아로3도~~
  • 원우(가수) . . . . 3회 일치
         다른 멤버들에 비해 헤어 컬러나 스타일에 다양한 변화를 주는 편은 아닌지라 세 번째 미니 앨범 <[[Going Seventeen]]>의 [[타이틀 곡]] '붐붐'에서 갑작스레 형광 민트색의 [[투럭]] 스타일로 등장한 [[원우]]를 보고 팬들이 깜짝 놀라는 일도 있었다. 그전까진 쭉 어두운 머리색을 유지하고 있었던 [[원우]]로선 대단히 과감한 시도를 한 것인데, 본인도 그 당시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볼 때마다 적응이 안되었다고 한다. 이후 다시 어두운 머리색을 유지하다가 두 번째 정규 앨범 <[[TEEN, AGE]]>에서 밝은 애쉬 컬러의 금발을 시도하기도 했다.
         롤모델은 루페 피아스코와 [[에픽하이]]의 [[타로]]. 이들의 가사는 자신을 흔들어 놓는 것 같다고 한다.
          * [[정한]]의 [[V LIVE]] [[라디오]] 방송 <따뜻한 우유 한잔>을 시원한 소주 한잔 방송으로 만들어 버려 [[정한]]의 랙리스트 명단에 올라갔다.
  • 원피스/823화 . . . . 3회 일치
          * 돈칭자오의 나라 웨스트 루의 "꽃의 나라"는 중국풍.
          * 사우스 루의 "와루랙 드럼왕국"에선 와포루가 여전히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도르곤에게 복수를 꿈꾸고 있다.
  • 원피스/844화 . . . . 3회 일치
          * 오랜만의 재회에도 뜻밖의 폭언과 폭행으로 나오는 상디. 몽키 D. 루피는 동료의 돌변에 영문을 몰라한다. 하지만 상디는 태연한 태도로 "날 정말로 생각한다면 왜 맞이하러 왔냐"고 폭언을 내뱉는다. 그는 영세한 밀집모자 해적단 보다 빅맘 해적단이 훨씬 믿을만하고 루피가 해적왕이 될 수 있다고 믿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나미는 무슨 장난이냐고 말하다가 진지한 상디의 표정에 말문이 막힌다. 루피는 그렇다면 "지금까지 날 속여온 거냐"고 묻는데 상디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테니 "체감"시켜 준다며 디아잠브의 자세를 취한다.
          * 높이 솟아올라 내리찍는 발기술 "콩갓세". 루피의 정수리에 정확히 내리꽂힌다. 지금까지 어떻게든 버티고 다시 일어섰던 루피도 정신을 잃고 무너진다. 결투는 상디의 승리로 끝나고 제르마의 병사들은 그가 보여준 디아 잠브의 불꽃과 화려한 기술, 강력함에 혀를 내두른다.
          * 그의 말대로 상디는 눈물을 삼키고 있다. 나미는 어쨌든 상디는 그들을 버린 거라고 말하지만 루피는 듣지 않는다. 레이쥬는 상디에게 잠시 멈출지 묻는데 상디는 그냥 가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오올 루"에 대해 처음으로 얘기를 나눴던 그때를 떠올리는데.
  • 원피스/853화 . . . . 3회 일치
          레이쥬는 상디를 찾고 있지 않냐고 말을 꺼내며 그가 방금 전에 의무실을 떠났다고 알려준다. 루피는 빨리 상디를 찾아서 푸딩에게 모두 속았고 그를 죽이려 하고 있다고 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자 뒤늦게 레이쥬의 부상을 발견하고 괜찮냐고 묻는다. 레이쥬는 그 대답 대신 "상디는 이미 푸딩의 진짜 얼굴을 알고 있다."고 알려준다. 그녀는 상디에게 도망치라고 계속 설득했지만 그는 밀집모자 일행과 이스트 루의 인질을 계속 걱정해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해준다. 루피는 이스트 루의 인질이 발라티에의 제프 일행이란걸 알아차린다. 루피는 그들이 정말로 위험하다면 이스트 루에 돌아가는 한이 있더라도 가서 싸우겠다고 외친다.
  • 원피스/869화 . . . . 3회 일치
          * 구속에서 해방된 빈스모크 일가. 그리고 [[상디]]. 아직 그들이 묶였던 테이이다. [[샬롯 페로스페로]]가 이들과 대치. 그는 다시 한 번 모조리 사탕으로 묶어버리려는 모양이다. 상디는 테이 위에서 아버지 [[빈스모크 저지]]를 내려보며 말 없이 가보라고 손짓 한다. 자존심이 상한 듯 얼굴을 일그러뜨리는 저지. [[빈스모크 이치디]]는 나미 일행이 갖다 준 레이드 슈츠를 들여다보다 [[빈스모크 니디]]와 고개짓을 주고받는다. 빅맘 해적단이 빈스모크 일가에게 다시 총구를 들이 댈 때, 그들은 레이드 슈츠가 담긴 캡슐을 벨트에 장착한다. 변신.
          * 악의 히어로 GERMA 66(제르마 더 식스) 등장이다. Sparking RED 이치디, Dengeki BLUE 니디, Poison PINK [[빈스모크 레이쥬|레이쥬]], Winch GREEN [[빈스모크 욘디|욘디]]. 그리고 저지.
  • 원피스/870화 . . . . 3회 일치
          * 저지는 상디의 말대로 하겠다며 "이스트 루"에도 손대지 않겠다 약속한다. 그리고 제르마66이 호위를 할 테니 벳지의 탈출작전을 실행하자고 한다.
          * 이윽고 저지는 돌아서며 알겠다고 대답한다. 다시는 그들 앞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이스트 루"의 발라티에도 손대지 않겠다고 약속한다. 이로써 그들의 관계는 완전히 정리됐다. 레이쥬는 나름대로 만족스러운 결말을 얻었는지 작게 미소짓는다. 그러는 동안 탈출방법에 대한 논쟁은 답도 없이 치열해졌다. 무조건 성공확률 0%라고 주장하는 시저, 어차피 이대로도 죽는다는 벳지의 의견이 평행선이었다. 이 논쟁의 종지부를 찍은 것은 저지. 그는 제르마가 호위가 될 테니 작전을 실행하자고 한다. 시저는 왜 너희 맘대로 하냐고 반발하지만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았다. 벳지는 듣고 보니 제르마도 하늘을 날 수 있었다며, 다만 그럴 경우 제르마를 두고 가게 될 텐데 괜찮겠냐고 반문한다.
          * 벳지의 품을 해집고 두 명이 튀어나온다. 상디와 루피. 상디가 "디아잠브 스트라이크"로, 루피가 "고무고무 엘리펀트건"으로 제우스를 상쇄한다. 이럴 줄은 몰랐던 레이쥬. 루피와 상디는 서로 왜 뛰쳐나왔냐 탓한다. 루피가 "나오지 말라더니 너는 나왔냐"고 까자 "나는 나와도 되니까 한 소리"라 응수한다. 그리고 이 둘을 제일 까고 싶은 브룩, 나미, 쵸파는 "저 바보들이 나가버렸다"고 비명을 지른다.
  • 유언/게임 . . . . 3회 일치
         || [[라디미르 렘]] || 맥스, 내 가장 친한 친구여. 난 영웅이 되었어야 했어. ||
         || 라디미르 마카로프 ||프라이스 대위, 잘가라. ||
         === 콜 오브 듀티: 랙 옵스 ===
  • 유인촌 . . . . 3회 일치
          * [[가톨릭]] 집안 출신이다. [[세례명]]은 토마스 아퀴나스. 남동생은 [[성직자]]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이다. 2013년부터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을 근거리에 모시는 요직인 보좌주교를 담당하고 있다. 유경촌 주교가 막 신부가 됐을 적에, 배우 유인촌의 동생이라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http://m.pbc.co.kr/paper/view.php?cid=490221&path=201312|기사]]. 형제의 정치적 성향은 다른데, 유인촌이 보수정권 하에서 장관까지 지낼 정도로 보수성향이고, 동생 유경촌 주교는 카톨릭 내에서 진보적인 인사로 사회교리를 전공하였고, [[신부(종교)|신부]] 시절에는 [[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교리 전공 교수를 역임했다. 유인촌 본인은 [[이명박 정부]] 시절에 [[개신교]]([[장로회]])를 잠시 믿었다가 이후에 다시 천주교로 돌아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된 후인 2015년 11월 22일에 논현2동 [[성당]]에서 동생인 유경촌 디모테오 주교로부터 [[견진성사|견진]]을 받았다. [[http://rose6217.blog.me/220557780401|같이 견진 받은 사람의 대모가 운영하는 로그]]를 보면 [[박인환]]과 [[이형석]]과 더불어서 견진을 받은 사진이 나열되어 있다. 사실 완전한 [[개종]]보다는 개신교 신자인 이명박의 측근으로 있으면서 잠시 붙어다니다가, 다시 가톨릭으로 되돌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 랙리스트 ===
         [[2017년]] [[가을]],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랙리스트]]의 작성이나 실행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와서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164108|기사]]. 일단 본인은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965355|기사]].
  • 윤주희(배우) . . . . 3회 일치
         || 2011년 || [[버시스터즈]] || 기다린다 || [[https://youtu.be/NjPxH3jISwY|영상]] ||
         || [[버시스터즈]] || 눈물이 나요 || [[https://youtu.be/9kn1dvh6PuQ|영상]] ||
          *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EEACA9AC59522560DA269FBAC37C07F8CBB8&outKey=V128f5d387608005a19e182fdcd292dca4904ff6b73a3f356ca2982fdcd292dca4904&width=720&height=438|더 에이]]
  • 이광수(배우) . . . . 3회 일치
         런닝맨 초창기에는 소심한 성격 때문에 낯가림이 심해 큰 활약을 하지는 못했지만[* 다만 초창기에도 송지효나 김종국을 저격하는 모함광수 캐릭터로 종종 분량을 확보했던 것을 볼때 기본적으로 재능은 충분히 있었다.] 날이 갈수록 예능감이 늘어나 미치다 못해 폭주하게 되었다.[* 런닝맨 초창기 때랑 지금이랑 비교하면 완전히 천지개벽 수준이다. 그 당시에는 낯도 많이 가리고 말을 하다가도 말이 끊기면 말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게스트들도 광수랑 팀이 되면 많이 어색해했는데 최근에 와서는 오히려 게스트가 광수랑 팀이 되면 게스트 분량도 많이 나오고 서로 편한듯한 모습이 나와서 게스트들도 이광수랑 팀이 되는 걸 선호한다. 런닝맨 초창기 때를 보면 저런 사람이 어떻게 지금 이런 캐릭터가 되었지라고 의문을 가질 정도.] 덕분에 물이 오른 예능감으로 현재 런닝맨의 분량을 상당히 뽑아 인기가 더 높아졌고 게스트들도 이광수랑 팀을 되는 것을 은근 선호한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런닝맨의 실질적인 실세라고 불릴 정도로 런닝맨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멤버는 물론이고 게스트까지 이광수를 놀리면서 주로 분량을 뽑는다. [[제니(랙핑크)|제니]]도 런닝맨에 나왔을 때 대놓고 이광수를 놀렸다.이광수가 말을 하면 다 그건 별로라고 놀렸다. 한마디로 이광수는 멤버는 물론 게스트들한테까지도 편한 이미지를 장착했다는 말이 된다.
         또한 경쟁 프로인 [[1박 2일]] 일부 멤버들과도 친한데 차태현은 김종국의 절친인 동시에 본인 역시 차태현 라인에 속할 정도로 친하다. [[윤시윤]]은 [[지붕 뚫고 하이킥]]에 함께 출연하였다. 가끔 1박2일을 케이 방송으로 모니터링 한다고 언급했다.
          * 런닝맨 '7개의 숟가락' 특집에서 이광수의 집이 공개됐는데 어마어마하게 많은 피규어로 덕밍아웃을 했다. 스타워즈, 마, 디씨 뿐만 아니라 원피스, 드래곤볼 등등 미국, 일본 구분 없이 덕질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이유리(배우) . . . . 3회 일치
         드라마 《반짝반짝 빛나는》의 성공 이후 본격적으로 이유리는 복수극이나 대립물 등에서 강렬한 캐릭터들로 활약하기 시작한다. 2012년 [[tvN]] 아침드라마 《[[노란복수초]]》에서 억울하게 죄를 뒤집어쓰고 복수의 화신으로 재탄생하는 '설연화'역을 맡았다. 드라마는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반응이 좋아 케이에서는 이례적으로 8회가 연장됐고 23주간 케이 동시간대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선보이며 2012년 《[[응답하라 1997]]》과 함께 tvN 드라마의 부흥을 이끌었다.
         같은해부터 다음해인 2017년까지 연극 《불효자는 웁니다》에서 '장옥자'역을, 뮤지컬 《오! 캐롤》에서는 로맨틱한 사랑을 꿈꾸는 소녀 감성의 '로이스' 역을 맡아 러리한 모습으로 친구의 사랑을 이어주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사랑에 설레여 하는 달달한 로맨스로 180도 달라진 반전 매력을 선보이며 꾸준한 연극 무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 이중환(법조인) . . . . 3회 일치
         ||<#ddd><-2> [[이화여자대학교 정유라 특혜 논란|이화여대 입시부정 및 특혜]] || [[김장자]] · __[[최경희]]__ · __[[김경숙(1955)|김경숙]]__[br][[남궁곤]] · [[이인화|류철균]] · [[이인성(교수)|이인성]] ||<#ddd>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랙리스트|문화·예술계[br]랙리스트]] || __[[김기춘]]__ · __[[조윤선]]__ · [[김희범]] · [[김소영(정치인)|김소영]][br][[정관주]] · [[신동철]] · [[모철민]] · [[송광용]] ||
         ||<-6> [[박근혜정부]] · [[새누리당]] · [[친박]] · [[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 · [[더루K]] · [[비덱]] ·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 [[팔선녀(단체)|팔선녀]]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 [[삼성그룹/비판 및 문제점#s-10|삼성그룹]]([[삼성전자 승마단]]) · [[국민연금공단]] · [[이화여자대학교/사건사고|이화여자대학교]] · [[영세교]] · [[알자회]] · [[고령향우회]] · [[통일교]] · [[일베저장소]] · [[대한민국어버이연합|어버이연합]] · [[대한민국 엄마 부대|엄마부대]] · [[박사모]] · [[아프리카TV/사건사고#s-1.10|아프리카 TV]] · [[주식갤러리#s-2.5|주식갤러리]] · [[JTBC]] · [[회오리축구단]] · [[워마드]] ||
  • 장은아 . . . . 3회 일치
         | 소속 그룹 = [[러브홀릭스]] <br/> [[W & JAS|더유 앤 자스]]
         === [[W & JAS|더유 앤 자스]] ===
         {{더유 앤 자스}}
  • 장재인 . . . . 3회 일치
         || '''링크''' ||<(> [[http://m.cafe.naver.com/shinyjaein.cafe|공식사이트]] [[http://blog.naver.com/merryjam|[[파일:네이버 로그 아이콘.png|width=24]]]] [[https://m.facebook.com/jangjan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instagram.com/jangjane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2011년 1월 16일에는 메리 제이 라이즈의 내한공연에서 오프닝 무대를 한다.
         2011년 4월 28일 29일 날 자정에 나올 예정인 EP앨범의 수록곡 '그대는 철이 없네'의 뮤직비디오가 로그에 공개되었다.
  • 전민희 . . . . 3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enjolas 개인로그]
         - 2013년 FAQ를 자신의 로그에 게시하였다.<ref>{{웹 인용|제목=자주 받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url=http://blog.naver.com/enjolas/150158596660|날짜=2013-02-03}}</ref>
         - 2015년 로그 댓글로 여러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였다.<ref>{{웹 인용|제목=질문 두 번 드렸으니...|url=http://blog.naver.com/enjolas/220449142510}}</ref>
  • 전성우 (배우) . . . . 3회 일치
         * 《[[더 테이]]》 (2017년) - 민호 역
         * 《랙 메리 포핀스》 헤르만 버전 초연 (2016년) - 헤르만
         * 《랙 메리 포핀스》 초연 (2012년) - 헤르만
  • 절대가련 칠드런/434화 . . . . 3회 일치
         랙팬텀의 내부 사정이 크게 바뀌고 길리엄의 새로운 마수가 드러난다.
          * 랙 팬텀은 오클랜드 사건 이후 대대적으로 쇠퇴했다. 그러나 보스를 비롯한 수뇌부는 존속하고 있다
          * 랙팬텀은 이미 길리엄 손아귀에 완전히 넘어갔고 테오도르도 레어메탈을 주입 받고 그의 부하가 된다
  • 절대가련 칠드런/439화 . . . . 3회 일치
          * 마기의 눈 주위에 랙팬텀에 세뇌된 자 특유의 균열이 보인다.
          * 카오루가 반발하자 에스퍼 제압용 래스터를 들이대며 "레벨7은 위험분자고 필요하면 제거하라는 지시가 있었다"고 말한다.
          * 츠보미가 랙팬텀의 세뇌에 당한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됐다.
  • 절대가련 칠드런/444화 . . . . 3회 일치
          * 랙팬텀의 자객은 위치가 감지되지 않는다.
          * 랙팬텀의 자객은 길리엄에게 어필해 더 강한 능력을 받으려는 자로 얌전히 있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칠드런을 잡으러 온다.
          * 원래 랙 팬텀의 자객들은 오타쿠 컨셉이었는데 그냥 변태 컨셉으로 바뀐 듯하다.
  • 절대가련 칠드런/447화 . . . . 3회 일치
          * 마기는 구해야하는건 오히려 소령이라며 랙팬텀으로 오라고 회유한다.
          * 그는 그런 시도는 헛수고라고 폄하하고 "나는 나인 채로 랙 팬텀"이라고 주장한다.
          * 지금까지 랙 팬텀에 당한 에스퍼는 변태로 각성했기 때문에 시로도 변태성을 드러내는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그럼 후지코는?-- --원래 [[치녀]]잖아?--
  • 절대가련 칠드런/451화 . . . . 3회 일치
          * 석연치 않은 기분에 돌아온 모미지와 요우. 우려대로 마기는 랙 팬텀에 침식 당했고 효부 또한 그를 구하기 위해 침식을 무릅쓰고 있다.
          * 요우는 마기의 짓임을 알아보는데 모미지는 랙 팬텀의 에이전트이거나 "마기가 랙 팬텀에 세뇌되어 소령과 교전한 것"일 거라고 정확히 예측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9화 . . . . 3회 일치
          사카키 자신은 감시 영상을 교체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론 미나모토 일행의 탈출 사실을 전달하는 메시지를 작성하고 있었다. 경악하는 사카키. 나오미와 하츠네의 경계 아래 전에 랙 팬텀의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왼팔을 조사하게 된다.
          * 덤으로 지박령도 있는데, 좌절모드가 된 사카키였다. 붙박이장에 틀어박혀서 찌질대고 있다. 그는 아직도 랙 팬텀의 세뇌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것에 분개하며 설사 팔을 잘라내는 한이 있어도 복수하겠다고 과격한 발언을 한다. 그런데 정작 미나모토는 찬장에서 차나 찾으며 딴청을 부리고 있다.
         미나모토는 지금까지 보여준 것 중에 가장 분노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맨손으로 물건을 부수기도 하는걸 보면 상당히 과격한데, 이게 랙 팬텀의 세뇌 영향이 아니냐는 설도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60화 . . . . 3회 일치
          * 그녀는 시호의 능력을 기반으로 구현화, 미나모토에게 전쟁 직후 후지코에게 일어난 일과 랙 팬텀이 어떤 점을 파고 들었는지 밝힌다.
          시호는 유일한 임무를 완수하긴 커녕 랙팬텀에게 놀아났다며 문자 그대로 사카키를 짓밟는다. 자격지심이 발동한 사카키는 저항의지를 잃고 오히려 밟혀 마땅하며 밟아달라고 애원하기에 이른다.
          * 이 날을 기점으로 후지코는 변했다. 그는 효부가 느낀 고통을 이해하긴 했지만 그와 미래를 구하고자 바벨을 창설, 오늘에 이른다. 과거의 후지코는 랙팬텀이 정신적으로 취약했던 이 시기의 틈새를 파고 들었을 거라고 추축하는데.
  • 절대가련 칠드런/462화 . . . . 3회 일치
          잠잠한 것 같았지만 정신오염물질(레어메탈)이 잠복하고 있던 사카키의 팔에서 뛰쳐나온다. 분출된 레어 메탈은 마치 랙팬텀의 망령 같은 모습으로 괴로워하다 흩어져 버린다. 혈청은 성공. 사카키는 기뻐하며 "랙 팬텀에 의한 정신오염물질 해독 혈청"을 줄여서 STAP라 명명한다. 그럴듯하게 말했지만 사실 진짜 의미는 "스팟하고 해결"에서 따온 것. 그 밖에도 "사카키"나 "사이코", "안티도핑"같은 이름도 제시했지만 모두 구리다가 거절. 그냥 "혈청"으로 끝난다.
          * 효부라면 이를 가는 미나모토지만 마츠카제의 동의를 받은 거라면 따르겠다고 한다. 게다가 아직 효부는 본론을 말하지도 않았지만 판도라 내부에도 랙팬텀의 오염물질이 침투했고 한 번 제거에 실패했을 거라고 날카로운 추측을 내놓는다. 효부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은 채 퉁명스럽게 말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8화 . . . . 3회 일치
          * 바깥에는 이미 랙 팬텀의 새로운 병력이 몰려오고 있는데 ECCM에 봉쇄되고 부상자가 속출한 상황에서는 저항이 어렵다.
          요우는 마기가 제정신으로 돌아왔다며 기뻐하지만 유리의 힙노 효과로 일시적으로 네트워크에서 차단됐을 뿐이다. 실제로는 랙 팬텀의 세뇌가 너무 강해서 백신이 접종되려는 순간, 자신의 신체를 탄소 결정으로 피막을 씌워 주사를 막았다. 그가 제정신으로 있을 수 있는 시간은 고작 몇 분. 요우는 그래도 함께 도주하자고 하지만 마기가 거절한다. 도중에 세뇌가 다시 걸리면 다 같이 위험해지기 때문. 대신 마기는 자신이 남아 시간을 벌겠다고 한다. 요우는 그러다 죽을 거라고 하지만 마기는 자신이 저지른 일을 알고 있다고 단호히 말하며 의지를 꺾지 않는다. 세뇌 당했을 때 그는 무엇이 이상한지도 눈치채지 못했다. 그건 굴욕적인 일이고 소령이 같은 일을 당하는 것 만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 미나모토는 바로 탈출 인원을 선별한다. 효부는 당연히 피신해야 하고 그를 살리고 있는 카오루도 마찬가지. 그리고 ECCM 범위 밖에서 텔레포트를 사용할 아오이와 츠보미 문서를 구현하고 있는 시호, 힙노와 랙팬텀의 네트워크에 대항할 수 있는 유리. 그리고 요우가 아슬아슬하게 한 명 더 데리고 갈 수 있어서 마츠카제를 더하기로 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0화 . . . . 3회 일치
          * 코메리카 합중국도 [[에스퍼]]에 대한 반감이 확산되어 규제 강화 여론이 강해진다. 배후에는 [[길리엄(절대가련 칠드런)|길리엄]]과 [[랙 팬텀]]이 있다.
          * 작전은 세뇌된 이들을 관리하는 랙 팬텀의 감응 네트워크 포털을 탈취, 붕괴 것. 그러자면 포털의 3분의 1 이상을 탈취해야 하나 아직 포털의 위치조차 모른다.
          * 우츠미는 유리의 능력으로 반격의 실마리를 잡을 것 같다고 칠드런 일행에게 말한다. 유리는 이미 오염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돼서 정면 승부는 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반대로 정신오염 네트워크를 이용한 반격이 가능하다. 정신오염에 당한 사람들은 모두 랙 팬텀의 정신 감응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다. 그렇다면 이 네트워크 포탈을 몇 군데 점거하는 식으로 전체 정신오염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그러자면 포탈의 절반, 적어도 3분의 1을 점거할 필요가 있다. 그 숫자는 약 10개 안팍. 문제는 아직 그 위치가 불분명해 정보를 더 모아야 한다. 카오루는 그 말을 기대 반 아쉬움 반으로 여기며 마음 속에서 미나모토에게 좀 더 기다려달라고 말한다.
  • 정형돈 . . . . 3회 일치
         * 2012년 1월 7일 [http://music.naver.com/album/index.nhn?albumId=310817 《영계백숙》] - [[무한도전]] 나름 가수다 (무대연출 - 김동연, 안무 - 김경엽, 편곡 - 원미솔, Feat - 뮤지컬 & 앙상 13인)<ref>{{뉴스 인용|제목='나름 가수다', '영계백숙' 무대 연출 숨겨진 의도 놀라워|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1&aid=0002254584|출판사=서울신문NTN|저자=연예뉴스팀|날짜=2012-01-09}}</ref>
         * 2014년 8월 30일, 19시 00분, 루스퀘어 삼성카드홀 [http://ticket.interpark.com/Ticket/Goods/GoodsInfo.asp?GoodsCode=14007194 《고민it수다》] - 게스트
         * 제4회 [[케이TV 방송대상]] '''올해의 TV 스타상'''<ref>{{뉴스 인용|제목=개그맨 정형돈, `롤러코스터`로 올해의 스타상 수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9&aid=0002227027|출판사=매일경제|저자=강영국 기자|날짜=2010-03-03}}</ref>
  • 조성모(가수) . . . . 3회 일치
         || '''레이''' ||<(> 오감 엔터테인먼트 ||
         '''더 밀리언 셀러를 두 번 달성한 가수.'''[* '희망사항'으로 유명한 [[변진섭]] 등이 여기에 속한다. 조성모의 정규 2집과 3집은 모두 2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므로 골든디스크 대상은 당연한 결과였다.]
          - 불멸의 사랑 (1집) - [[http://www.youtube.com/watch?v=SqqEH4OXLKc|1부]], [[http://www.youtube.com/watch?v=S8r5LC_daW8|2부]] : [[이병헌]], [[황수정]][* 2001년 말 최음제 마약 복용 사건으로 연예계에서 완전히 퇴출되어 지금은 거의 잊혀진 여배우이지만, 이 뮤직비디오가 나오던 1998년 당시만 해도 황수정은 떠오르던 루칩이었고, 이 뮤직비디오의 인기에 힘입어 이듬해에 MBC 드라마 허준의 주연급인 예진아씨역으로 캐스팅되어 탑클래스 여배우로 등극하게 된다.], [[김승우]], [[김정은]][* 촬영 당시 이미 출연중이었던 드라마 '해바라기'에서 머리를 삭발한 것 때문에 여기 뮤직비디오에서는 가발을 쓰고 나오는데, 티가 좀 나긴 한다.], [[강성민]][* 뮤직비디오에서 이병헌이 일하는 전차회사 후배직원으로 등장한다. 청소년기에는 Uno라는 그룹으로 잠시 아이돌 가수 활동도 했지만, 현재는 배우로서 차근차근 경력을 쌓으며 연기활동을 하고 있다. [[켠김에 왕까지]]에서 맹활약중이다.]
  • 채수빈 . . . . 3회 일치
         | [[:en:Blackbird (play)|랙버드]]
         | 서울 대학로 수현재 씨어터 DCF 대명문화공장 1관 비발디파크홀<br />(2016.10.13 ~ 2016.11.20 공연)<ref>{{웹 인용|title=채수빈, 연극 ‘랙버드’ 관객 호평 속 마무리|url=http://m.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520905|website=Naver}}</ref>
         | 카페라떼 더
  • 최성환 . . . . 3회 일치
         |클럽=[[대구 FC]]<br> [[수원 삼성 루윙즈]]<br> [[울산 현대 축구단|울산 현대]]<br> [[광주 FC]]<br> [[경남 FC]]
         {{2008년 수원 삼성 루윙즈 선수 명단}}
         [[분류:수원 삼성 루윙즈의 축구 선수]][[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광주 FC의 축구 선수]][[분류:경남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
  • 최원홍 . . . . 3회 일치
         * 2017년 [[OCN (방송)|OCN]] 《[[랙 (드라마)|랙]]》 - 오상민 역
         * 씨엘
  • 최준석 . . . . 3회 일치
         이 때는 신인이라 2002년부터 2004년까지 12경기에 포수로 출장했다. 그리고 절친 [[이대호]]와 그의 형 이차호와 같이 동래 모처에서 살았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더사이즈 [[침대]] 하나에 [[이대호]]와 같이 누워서 잤다(…).~~ 침대가 뭔 죄래? 침대: 아니 이 녀석들이?~~
         11월 29일, 일본 돗토리 현에서 개인훈련 중이며 12월 초에 협상 테이을 갖겠다고 한다.
          * 별명은 '''돼준석'''. [[최훈]]의 프로야구 카툰에서는 아예 돼지로 묘사된다. 두산 시절 잘 나갈 때는 '''광돈신'''이란 별명도 있었다. 여기에 2014년 포수 마스크를 쓰고 [[김주찬]]의 도루를 저지하며 [[버스터 포지|버스터 돼지]]라는 별명도 추가되었다. 여기에 [[야구친구]]는 한술 더 떠서 '''돼루저지'''를 했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또한 경기에서 잘못을 저지르면 '''석고돼죄'''하라는 글도 종종 올라온다. 그 외에 '링돼'라는 별명도 있다.
  • 캐딜락&디노사우르스 . . . . 3회 일치
         본디 원작은 마크 슐츠[* [[피너츠]]의 작가와 성씨가 같지만 혈연관계는 아니다. 나중에는 슈퍼맨&배트맨 vs 에일리언&프레데터 같은 작품을 쓰기도 했다.]의 제노조익 테일즈(Xenozoic Tales). [[만화]]가 히트한 후 당시 애니메이션의 주 시청자인 미국의 10대 소년, 소녀들에게 맞게 원작의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부분을 삭제하면서 내용을 변형시키고[* 그러한 부분들을 삭제하니 내용 자체가 안 이어져서 그냥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제목을 바꿔서 [[애니메이션]]화한 것이 바로 캐딜락&디노사우르스이다. 이후 애니메이션을 베이스로 [[마 코믹스]]에서 이걸 다시 만화화했으며, 또 이 만화를 [[캡콤]]이 [[벨트스크롤 액션게임]]화한 것 또한 캐딜락&디노사우르스이다. 본 항목에서는 게임 위주로 서술한다.
         그 이유는 바로 '랙 마켓'이라는 암흑 조직의 악당들이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공룡을 마구잡이로 사냥했던 것. 그들은 이렇게 포획한 공룡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뿐 아니라, 세계 정복에 이용하기 위해 유전자 개조를 행하기까지 했다. 이에 4인의 정의의 용사들이 악의 무리들을 소탕하기 위해 나서게 되었다.
         불타는 마을에서 모건이 공룡으로 변해버린 걸 본 주인공 일행은 그 바로 윗동네인 광산으로 찾아간다. 그리고 거기서 페센덴 박사가 개발한 3단변신 괴물을 보고, 이에 따라 단순한 껄렁이 조직인줄 알았던 랙 마켓은 알고보니 천재 과학자 시몬 페센덴이 거느린 거대 조직임이 드러났고 페센덴의 진짜 목적인 '모든 이들에게 공룡 바이러스를 주입하여 공룡이 세상을 지배하는 세계'를 막기 위해 모든 것이 시작된 해상 도시로 돌아와서 적들을 물리치며 지하의 기지로 내려간다. 하지만 그곳에는 이미 박사가 없었고 거기에는 슬라이스를 개조한 슬라이사우르스 2마리(혹은 3마리)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 후 주인공 일행은 더욱 깊숙이 내려가서 동굴 끝에 있는 페센덴 박사의 숨겨진 연구실에서 공룡으로 변한 페센덴 박사와 대결해 이기게 되었으나 박사는 자기 몸에 공룡 머리 두 개가 붙은 무려 삼두룡으로 진화하며, "세계는 내 것이다!"라며 공격해온다. 그러나 주인공 일행의 다구리(…)를 못 이기고 패배한다. 이 때 아직 보여주지 못한 게 있다고 외치며 저항하지만 결국 쓰러지고 연구실과 자폭하여 온 몸이 터진다. ~~수류탄과 바주카 맞아서 흩어진 애들은?~~.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 . . 3회 일치
          * [[콜 오브 듀티: 랙 옵스]]
          * [[콜 오브 듀티: 랙 옵스 2]]
          * [[콜 오브 듀티: 랙 옵스 3]]
  • 토리코/389화 . . . . 3회 일치
          * 미도라는 아카시아를 식운으로 공격하지만 오래가지 못한다. 그 사이 토리코는 루 니트로 페어에 의해 분노의 힘을 일깨운다.
          * 루 니트로 페어는 토리코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말하며 갑자기 꼬리를 찔러넣는다.
          * 루 니트로 페어는 아카시아에게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듯.
  • 트로피코 4/건물 . . . . 3회 일치
          * 랙잭: 하층민들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서비스 질이 10% 향상됩니다. 트로피코인, 휴양객 관광객 수용 가능.
          * 세계 첫 상영: 최신 록버스터는 서비스 질을 20 향상시킵니다.
          * 버 팝: 매월 인근에 거주하는 21세 미만의 시민 한 명 당 숙련도 만큼의 수익을 챙깁니다.
  • 트로피코 4/인물 . . . . 3회 일치
         == 엘 디아로 ==
         El Diablo. 스킨헤드 남자. 자신을 "나"가 아니라 "엘 디아로"라고 칭한다.
         캠페인에서 영국 정부가 반대하는데도 무명의 섬을 냅다 영국 식민지로 만드는 걸 보면 한가닥 하는 사람으로 보인다. 막장 랙코미디물이라 그런 가능성이 더 높겠지만.
  • 티타노 . . . . 3회 일치
         [[DC 코믹스]], [[마 코믹스]]의 캐릭터. 각 [[회사]]에 동일한 이름의 캐릭터가 존재한다.
          [[비자로]] 버전도 있는데 이 티타노는 루 크립토나이트 비전을 쓴다.
          * [[마 코믹스]]
  • 퍼니셔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등장. 데어데 시즌2에서 등장해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주연 드라마도 확정되었다.
  • 페어리 테일/496화 . . . . 3회 일치
          * 러드맨, 월 vs 로그, 미네르바. 스팅은 유니버스 원 발동 당시 어디론가 날아간 듯?
          * 러드맨과 월은 로그, 미네르바가 상대한다.
          * 윌과 러드맨 역시 히스토리아임을 알아보고 조종하는 자(나인하르트)를 찾기 위해 유키노에게 부탁한다.
  • 페어리 테일/532화 . . . . 3회 일치
          * 한편 아크놀로기아는 루 페가수스의 크리스티나 호를 추격, 반파시켰다. 루 페가수스 길드원들이 열심히 수습해 보지만 역부족.
          * 루 페가수스와 아크놀로기아의 추격전은 끝에 다다랐다. 크리스티나 호가 한계에 봉착했다. 아크놀로기아를 떼어내어도 뒷날개가 파손됐고 속도도 유지할 수 없다. [[이브 티름]], [[렌 아카츠키]]가 안간힘을 쓰지만 아크놀로기아는 차츰 따라잡고 있다. [[제니 리아라이트]]가 예비 마도 부스터를 점화한다. 일시적으로 거리를 벌리지만 아크놀로기아에겐 "잔재주"에 지나지 않는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3회 일치
         === 라드 ===
         우크라이나 마피아 보스인 라드가 의뢰하는 하이스트들.
         [[페이데이 2/하이스트/라드]] 페이지 참조.
  • 프리덤 파이터즈 . . . . 3회 일치
          * [[랙 콘도르]](Black Condor)
          * [[인비저 후드]](Invisible Hood)
          * [[랙 호크스]](Blackhawks)
  • 하이큐/236화 . . . . 3회 일치
          10번을 막을 궁리를 하는 거 자체가 카라스노의 페이스에 말리는 것. 꾹 참고 리드 록으로 정석적으로 대응하며 상대를 압박하는 것이 해법이다. 오오사도 감독은 결국 어떻게 되던지 "줍고서 공격"하는 단순한 것이 배구라며 늘하던 대로 하라고 격려한다.
          * 스코어가 18대 17인 상황에서 [[니시노야 유]]가 코트를 나가고 히나타가 후위로 내려간다. 히나타의 서브. 에치고는 히나타가 후위로 내려갔으니 한숨 돌렸다고 여기지만 그 우시와카를 막아낸 록 [[츠키시마 케이]]가 전위로 올라온다. 오히려 에치고 본인에겐 힘겨운 상황.
          * 양측의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공방. 공은 수 차레 양 진영을 오가며 화려한 랠리가 이어진다. 이쯤에서 츠바키하라가 승부수를 던진다. 높이 공을 띄우며 테라도마리의 스파이크를 준비한다. 카라스노는 츠키시마를 주축으로 세 명이 록에 나선다. 이미 츠키시마에겐 테라도마리의 특징과 습관에 대한 파악이 끝났다. 높이도 파워도 초고교급이지만 코스는 대각선으로 편중되는 경향이 있다.
  • 하이큐/241화 . . . . 3회 일치
          * 타나카의 2회차 서브. 이번엔 카이카제가 받아서 마이코에게 연결한다. 마이코는 스파이크를 때리려 했으나 [[아즈마네 아사히]]와 [[히나타 쇼요]]의 록으로 주저, [[공]]은 라인을 벗어난다. 카라스노의 2연속 득점. 점수는 18 대 17로 역전.
          * 아테마는 에치고와 함께 록하려 하는데 순간 라이트 측에서 뛰어오르는 히나타를 보고 망설인다. 하지만 그게 함정. 진짜는 레프트에서 뛰어오르던 아즈마네였다. 깨끗하게 꽂히는 아즈마네의 스파이크. 히나타를 너무 의식한 결과였다. 이 시점에서 츠바키하라는 두 번째 TO. [[오오사토 타츠미]] 감독은 다음 로테이션에 10번(히나타)가 내려가고 상대측 록은 그렇게 위협적이지 않으니 눈 딱 감고 강하게 치라고 지시한다.
  • 하이큐/250화 . . . . 3회 일치
          * [[이나리자키 고교]]의 서브. 서버는 [[스나 린타로]]. 아츠무와 달리 이나리자키 응원단은 시끄럽게 응원한다. 스나는 시끄러워도 영향을 안 받는 타입. 1회차 서브는 우측 구석, [[사와무라 다이치]] 쪽으로 뚝 떨어지는 서브. 받기 힘든 코스지만 사와무라가 어떻게든 리시브한다. 하지만 공이 흔들리고 히나타가 살려서 그대로 타나카의 스파이크. 그러나 [[미야 오사무]]의 록에 걸린다. 그대로 찬스볼. 응원단이 "찬스볼"을 합창하듯 입을 맞춰 외친다. 스나가 받으러 오는데 여기서 아츠무가 묘기를 부린다.
          아츠무는 퍼스트 터치와 동시에 그대로 새트업, 약속이라 한 것 처럼 [[오지로 아란]]이 총알같은 스파이크로 점수를 벌어간다. 카게야마가 록을 뛰어 보지만 무리. 그외 카라스노의 다른 선수들은 반응하지도 못했다. 오지로는 성공해 놓고도 아츠무에게 "놀라게 한다"고 신경질을 부린다. 응원단은 선수들 이상으로 기세가 오른다. 중계석은 이나리자키에 칭찬 일색.
          하지만 카게야마가 능숙하게 대처한다. 순간적으로 몸을 돌려서 공을 록에 맞춰 리바운드를 노린다. 오사무는 순간적으로 이런 플레이를 하는 것에 감탄한다.
  • 하이큐/265화 . . . . 3회 일치
          * 봄고 남자 2회전 C코트 경기. 도쿄 출신 네코마 고교 대 이시카와 출신 사루카와 공업 고교. 스코어는 15 대 13으로 네코마의 무난한 리드. 하지만 사루카와의 공격이 제법 매섭다. 4번의 스파이크. 코즈메와 쿠로오가 록을 뛰었다. 하지만 4번은 꽤 절묘한 솜씨로 록을 피해 우중간을 파고 든다.
          * [[애마모토 타케토라]]와 야쿠의 중간. 둘이 동시에 리시브를 뻗는다. 받은 건 야쿠 쪽. 떠오른 공을 코즈메에게, 코즈메가 쿠로오에게 연결해 스파이크. 그러나 사루카와 9번이 리시브한다. 다시 사루카와의 공격. 이번에도 그쪽 4번이다. 또 스파이크로 나올까? 아니었다. 코즈메와 쿠로오의 록을 살짝 넘기도록 밀어넣는 페이크. 그 바로 뒤에 있던 카이가 재빨리 눈치채서 커버한다. 탄탄한 수비. 중계진이 "수비의 네코마"를 연호하며 칭찬했다. 카이가 살린 공을 받으려고 코즈메가 다시 후방으로 향한다. 코즈메가 왕복하는 패턴이 계속된다. 이번엔 후쿠나가 쇼헤이에게 보내서 좌측을 공략해 보는데. 하지만 실패. 사루카와도 네코마 못지 않게 끈질긴 수비를 펼친다.
  • 하현우 . . . . 3회 일치
         방송이 거듭될수록 비주얼이 훌륭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 잔의 추억' 을 부를 때는 고시생 스타일이었다가 '가장무도회' 를 부를 때는 까마귀 깃털 같은 걸 단 랙 코트 차림으로 나타나서 아이돌 같은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박상민]] 왈, "촌놈이 용 됐다." 혹자는 아예 하현우가 섹시해서 나가수 본다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
         ==== [[러드(드라마)|러드]] OST Part 3 (2015.03.23) ====
  • 헐크 . . . . 3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마 코믹스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진 캐릭터이며 국내에도 드라마가 방영되었다. 이후 영화화도 되었으며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주요 캐릭터들 중 하나가 되었다.
  • 홍광호 . . . . 3회 일치
         * 2006년 《미스사이공》- 아시안 앙상, 크리스/투이 1st 커버
         * 2002년 《명성황후》- 신하 앙상
         * 2008년 《[[고고70]]》 - 데스 색소폰, 준엽 역
  • 황석두 . . . . 3회 일치
         황석두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친척들이 그의 재산을 모두 상속받았다. [[페롱]] [[사제|신부]]는 황석두를 [[한문학]] [[교사]]이자 [[교리]] [[교사]] 및 회장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그는 [[사제]]들의 [[복사 (기독교)|복사직]]도 수행했다. 황석두는 그 의무들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그는 마침내 [[베르뇌]] [[주교]]와 [[다뤼]] [[주교]]의 복사가 되었다. 그는 [[주교]]들과 함께 여러 권의 [[서적]]을 [[번역]] 및 저술하였다.
         [[1866년]] [[3월]] [[충청도]] [[홍주군|홍주]] 거더리에서 [[다뤼]] [[주교]]가 [[체포]]되었는 데, 그는 황석두의 지식과 능변을 아까워하여 포졸들에게 황석두만은 체포하지 말아달라고 간청했다. 하지만, 황석두는 [[한양]]으로 압송되는 주교를 수 십[[리]] 동안 뒤따라가 [[체포]]되어 [[주교]]와 함께 함께 압송되었다. [[1866년]] [[3월 30일]] 황석두는 [[사형]]을 선고받고 [[보령시|보령]]의 [[갈매못]]([[충청도]]에 있던 [[해군]] 기지)에서 [[다뤼]] [[주교]]와 [[위앵]] [[사제|신부]], [[오메트르]] [[사제|신부]] 그리고 [[장주기]] 등과 함께 [[참수]]되고 [[군문효수]]되었다. 그렇게 그가 [[순교]]하던 때의 나이는 54세였다.
  • 황태연 . . . . 3회 일치
         |등단작 = [[Lotus]](영문 소설),<br>[[수영 바이]](수영 이론서)
         |주요 작품 = [[Lotus]](영문 소설),<br>[[수영 바이]](수영 이론서)
         필명 황태연과 황연으로 활동하는 저자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외국인 번역가나 대리인 없이 영문 소설을 처녀작으로 직접 집필, 퇴고, 편찬한 최초의 한국인이다. 현재 [[Lotus]](ISBN-10: 1980979170, ISBN-13: 978-1980979173)라는 소설 작품으로 해외 [[아마존닷컴]]에 등단하여 종이책, [[아마존 킨들]] 전자책으로 판매 중이며 왕성한 활동 중인 작가는 연이어 한국 수영 이론서인 [[수영 바이]]을 BOOKK란 출판사와 교보문고 퍼플 출판사, 유페이퍼 출판사를 통해 종이책 컬러본과 흑백본, 그리고 전자책으로 출간하였다.
  • 4,000-lbs HC . . . . 2회 일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공군이 사용한 항공폭탄. 이름의 뜻은 4,000 파운드 고용량(High Capacity). "록버스터", "쿠키"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
         전쟁이 끝나고 한참 뒤, [[https://youtu.be/fa_fq-yOQ1g|독일의 도시인 코렌츠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 이로인해 약 45,000명의 시민들이 대피했다.
  • Crusader Kings 2 . . . . 2회 일치
         위 이미지는 ~~뉴비들의 친구~~더린 백작 무르하 우어 켄셀라이그의 인물 소개 창이다.
          3. 선택한 인물의 대표 작위 문장. 해당 문장은 더린 백작령의 문장이다. 옆에 보이는 초상화에는 배우자, 군주, 후계자, 섭정[* 모종의 사유로 섭정이 대신 통치중인 경우], 그 외 여러가지의 초상화가 딸려나온다.
  • HelpOnEditing . . . . 2회 일치
          * 입력) {{{{{{#green 로그 BPM 120}}} - {{{#orange 위키백과 BPM 160}}} - {{{#FF0000 리그베다 위키 BPM 200}}}}}}
          * 출력) {{{#green 로그 BPM 120}}} - {{{#orange 위키백과 BPM 160}}} - {{{#FF0000 리그베다 위키 BPM 200}}}
  • MoniWikiOptions . . . . 2회 일치
          * 1로 설정하면, 로그 아래 댓글(comment)이 함께 보인다. (기본값 0)
          * 모니위키 로그에서 트랙백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NTX . . . . 2회 일치
          * 설문조사 : 설문조사나 별점평가를 하는 곳. 현재는 함장의 로그인 [[http://storyis.blogspot.kr/|괴이공간]]에 번역되어 올라오는 2ch 막장 스레드에 대한 설문조사가 주를 이룬다.
          * 위키 테이 : 자주 쓰는 표의 서식을 적어두는 곳.
  • The Tyger . . . . 2회 일치
         [[영국]]의 [[시인]] [[윌리엄 레이크]]의 시. Tyger는 [[호랑이]]라는 뜻이다. 여담으로 레이크가 직접 그린 그림을 보면 별로 호랑이 처럼 안 생겼다.(…)
  • 강지섭 . . . . 2회 일치
         * [[2010년]] [[노레스 (가수)|노레스]] - 이별후유증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44화 . . . . 2회 일치
          * 우마루는 척 보기에도 너무 큰 TV테이을 사자고 하는데 타이헤이가 반대하지만 우마루는 "나를 못 믿는 거야?"라며 우겨서 결국 산다
          * 우마루가 고른 Tv 테이은 역시나 너무 컸다.
  • 구승빈 . . . . 2회 일치
         그러나 롤 마스터즈 플레이오프 CJ와의 1차전에서 2세트 레이즈와의 경기 탑과 정글이 상당히 말려버린 상태에서 마타와 함께 봇듀오가 종횡무진 맵을 휘저으며 게임을 뒤집어버렸다. 러보와 앰비션의 부진 탓도 있었지만 임프 마타 듀오의 클래스를 보여준 경기였다는 평.
         비시즌에는 더리프트와 던지기 배틀을 벌이고 반년만에 돌아온 VG의 바실리에게 솔킬을 따이는 등 팀의 리빌딩과 함께 폼이 오락가락하는 중이다.
  • 권성욱 . . . . 2회 일치
         '''권성욱'''([[1970년]] [[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케이 방송국 [[KBS N 스포츠]]의 [[스포츠캐스터]]이자 현 KBS N 편성국장으로 [[야구]]중계를 격주 1회정도로 겸하고 있으며, [[농구]]중계도 담당했었다.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1998년]] [[2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지역방송국인 PSB 부산방송(현재 [[KNN]])으로 입사하여 아나운서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주로 프로야구 중계를 많이 담당하였다. [[2001년]]부터는 스포츠 전문 케이방송인 [[KBS N 스포츠]]로 소속을 옮겨 [[2013년]]까지 [[KBO 리그]], [[KBL 리그]] 농구 중계를 담당하였다. [[201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2011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때는 일부 필드경기 및 시상식 장내해설을 맡은 바 있다. [[2014년]] 팀장으로 승진하면서 마이크를 내려놓았는데, 2015년 5월 2일과 10월 21일 2경기 마이크를 잡았으며, 2016년 4월 1일, [[KT 위즈]]와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마이크를 잡았다.
  • 권은희 (1959년)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eunhee.kr/ 공식사이트]<br />[http://ehkwon1.blog.me 권은희 로그]
         * [http://ehkwon1.blog.me 권은희 로그]
  • 길용우 . . . . 2회 일치
         ||종교||<(> [[가톨릭]]교([[세례명]] : [[토마스]])[* 천주교 케이 채널인 PBC 평화방송이 제작한 김수환 추기경 추모 다큐드라마에서 김 추기경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
         이에 길성진은 "손님 또는 근처를 지나던 사람들이 일반 대중에 공개된 옥상에 자발적으로 올라가 음식물을 취식한 것이지, 옥상에서 영업한 사실이 없다"며 소송을 냈다. 또 구청의 처분은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 판결 조사 결과 "당시 건물 옥상에는 테이과 의자가 비치됐고 조명도 설치됐으며 옥상에 가기 위해선 해당 맥줏집 내부를 통과해야만 한다"며 "단속을 전후해 건물 옥상에서 나오는 음악·이야기 소리로 민원이 여러 차례 제기된 점을 들어 불법 영업을 옥상에서 했다는 증거가 된다라고 짚었다.
  • 김광석 . . . . 2회 일치
         | 레이 =
         2007년, 그가 부른 노래 중 하나인 〈[[서른 즈음에]]〉가 음악 평론가들에게서 최고의 노랫말로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우리 가요에 깃든 '서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8&aid=0000078450|출판사=머니투데이 스타뉴스|저자=김원겸 기자|날짜=2007-09-27|확인날짜=2011-12-10}}</ref> 2008년 1월 6일에는 12주기 추모 콘서트와 함께 [[대학로 (서울)|대학로]]의 학전 루 소극장에서 노래비 제막식이 열렸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8010694037|제목=김광석 12주기 추모콘서트 개최 ‥ 노래비 제막식도 함께 진행돼|출판사=한국경제신문|저자=디지털뉴스팀|날짜=2008-01-06|확인날짜=2008-01-06}}</ref>
  • 김동준(제국의아이들) . . . . 2회 일치
          * [[랙(OCN)|랙]](OCN, 2017) - 오만수 역
  • 김영철(배우) . . . . 2회 일치
         [[1973년]] 극단에 입단해 연극배우 생활을 하던 중, [[1977년]] [[동양방송]] 공채 18기 탤런트로 브라운관에 데뷔하여 조연으로 주요 드라마에 출연하다가, [[언론통폐합]] 이후 KBS 드라마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80년대 TV 문학관에서 거의 주인공을 전담하다시피 했다.[* [[선우휘]] 원작의 단독 강화에서는 대사 없는 시체로 나온 적도 있다.] 가장 인상적인 연기는 이병주 원작의 변명에서 독립운동가의 역할과 [[프랑스]] 지식인[* 원작에서 주인공이 고민하는 것이 프랑스 레지스탕스였던 로크 교수의 총살 에피소드이다. 김영철은 여기서 1인 2역으로 한국인 독립운동가 탁인수와 프랑스 교수 로크를 모두 맡았다], [[심훈]] 원작의 [[상록수(소설)|상록수]] 주인공, [[벙어리 삼룡이]]의 주인공 등이다. 체육인 출신이었던 덕에 젊은 시절에는 몸도 좋았던지라 KBS 특집극에서 [[손기정]]을 맡은 적도 있다.[* KBS 1TV에서 82년 1월에 5부작으로 방영했던 '맨발의 영광'이란 미니시리즈이다. 2013년에 작고한 [[강태기]] 씨가 이 드라마에서 손기정의 빛에 가려진 또 한 명의 [[마라톤]] 영웅인 남승룡 선수 역을 했다.] 대하드라마 [[토지(소설)|토지]]에서 김환 역을 하기도 했다.
  • 김원주(가수) . . . . 2회 일치
          * 첫사랑과 사귈 때 100일 이벤트를 나름 준비했으나 [[실연]]을 당한 뒤 [[럼피쉬]]의 비와 당신을 들으며 울었다고 한다.[* 첫사랑은 고2(2004년)때 있었다고 말했는데 럼피쉬의 '비와 당신'은 김원주가 22살 때인 2008년도에 나왔다. 아마도 처음으로 사귄 여자친구인것으로 추측된다.]
  • 김진환(iKON) . . . . 2회 일치
          * 아이콘 멤버들 중 같이 씻기를 제일 먼저 시작한 사람이다. 본인에 의하면 주동자라고.. 바비, 비아이, 진환 이렇게 셋이 있을 때부터 같이 씻기 시작했다고 한다. 타로는 이를 듣고 진환에게 '같이 씻기 좋은 상'이라고 평했다. 비누 같다나... [* 151012 타로의 꿈꾸는 라디오]
  • 김태희 . . . . 2회 일치
         김태희는 2009년 4년 만에 첩보액션 드라마 《[[아이리스 (드라마)|아이리스]]》의 여주인공 최승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아이리스`, 가장 진지하게 준비한 작품"|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9&no=273866|출판사=MK 뉴스|저자=진향희|날짜=2009-05-12|확인날짜=2014-03-05}}</ref> 드라마는 최고 시청률 39.9%, 평균 시청률 30%대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 |제목=‘아이리스’ 실체 추적하는 감성적 액션 주목하세요… 록버스터 드라마 ‘아이리스2’ 제작발표회|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6627557&cp=nv|출판사=국민일보|저자=진정희|날짜=2012-11-14|확인날짜=2014-03-05}}</ref> 연기력에 있어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에서는 첩보원 역할에 걸맞지 않다는 평도 있었다.<ref>{{뉴스 인용 |제목='멍때리는' 김태희? 연기논란 재점화 |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09102914300874627&type=1&outlink=1 |출판사=머니투데이 |날짜=2009-10-29 |확인날짜=2010-01-02}}</ref> 그 해 [[KBS 연기대상]]에서 처음으로 연기력으로 우수연기상을 받았는데,<ref>[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김태희, '아이리스'로 연기력 논란 극복하고 상도 받고 눈물 '펑펑']{{깨진 링크|url=http://web.reviewstar.net/news/articleView.html?idxno=220883 }} 리뷰스타 2010년 1월 1일</ref> 이에 대해 “우수연기상은 인기로 받은 인기상이 아닌 연기자로 인정받은 최초의 상이었다. 연기로 인정 못 받고 있다고 그간 생각했다.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ref>{{뉴스 인용|저자1=김지연|제목=김태희 "연기력 논란, 항상 마음의 무거운 짐"|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0091500362265489&type=1&outlink=1|날짜=2010-09-15|확인날짜=2015-12-14|뉴스=머니투데이}}</ref> 2010년 1월 김태희는 소속사를 [[나무엑터스]]에서 자신의 형부가 설립한 루아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ref>{{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1인 기획사 대열 합류… 전 소속사와 협업관계 유지 |url=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305720 |출판사=[[일간스포츠]] |날짜=2010-01-11 |확인날짜=2010-01-11}}</ref> 9월 16일에는 영화 《[[그랑프리 (영화)|그랑프리]]》에서 서주희 역할로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추석영화열전⑥]'그랑프리' 김태희, 연기논란 잠재우고 흥행퀸 '찜'|url=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91608154987413|출판사=아시아경제|저자=조범자 |날짜=2010-09-16|확인날짜=2015-07-17}}</ref> 김태희의 연기력은 이전보다 나아졌다며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나, 16만 명의 관객수를 끝으로 상업적 실패를 거뒀다.<ref>{{뉴스 인용|제목=[울림과스밈] ‘그랑프리 실패’ 김태희에게는 ‘약'|url=http://www.hani.co.kr/arti/culture/movie/442216.html|출판사=한겨레|저자=김진철|날짜=2010-10-05|확인날짜=2015-07-17}}</ref> 11월 22일에는 몇몇 내용을 편집해 만든 《[[아이리스: 더 무비]]》가 개봉했다.<ref>{{웹 인용|제목=씨네21 - 아이리스 더 무비|url=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출판사=[[씨네21]]|날짜=2010|확인날짜=2012-02-29|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4124525/http://www.cine21.com/do/zlgam/detail/main?prodSeq=1623#|보존날짜=2016-03-04|깨진링크=예}}</ref> 12월 13일에는 《[[아이리스]]》의 스핀오프작 《[[아테나: 전쟁의 여신]]》 1회에 회상신으로 특별 출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짧아서 아쉬워"..이병헌·김태희 `아테나` 깜짝 등장|url=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SCD=EA31&newsid=01138166593198520&DCD=A10102|출판사=[[이데일리]] |날짜=2010-12-14|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이완와 2017년 1월 19일 [[대구광역시|대구]] [[달서구]] 이곡2동 의 한 [[성당]]에서 [[혼인성사]]로 비공개 대구에이더유호텔 결혼식을 올렸다.<ref>{{뉴스 인용 |제목 =[단독] 이완♥김태희, 오늘(19일) 결혼식 후 피로연…하객 대접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13&aid=0000940877|출판사 =TV리포트 |저자 =김예나|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ref>{{뉴스 인용 |제목 =“이젠 부부” 이완·김태희, ‘007 작전’ 방불케 한 결혼식 (종합)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9&aid=0002920777|출판사 =노컷뉴스 |저자 =김현식|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ref>{{뉴스 인용 |제목 =[종합]이완-김태희 결혼…장수 톱스타 커플, 이젠 부부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875953|출판사 =매일경제 |저자 =박세연|날짜 = 2017-01-19|확인날짜 =2017-09-09}}</ref>
  • 김현정 (1979년)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kimhyunjungtalk.com/ 네이버 로그]
         * [http://www.kimhyunjungtalk.com 네이버 로그]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8화 . . . . 2회 일치
          * [[토오가타 밀리오]]와 [[버걸]]이 시험이 끝났다고 생각하고 사무실로 돌아온다. 나이트아이는 밀리오에게 미도리야의 채용결정을 통보한다. 시험에 실패했기 때문에 완전히 글렀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미도리야는 난데없는 전개에 눈이 휘둥그래진다.
          * 다음날 미도리야는 인턴으로서 첫 일을 받는다. 임무는 패트롤과 "감시". 팀은 나이트아이와 버걸, 밀리오와 미도리야로 나뉜다. 현재 나이트아이는 "시에핫사이카이"라는 과거의 야쿠자, 현재의 "지정 빌런 단체"를 비밀조사하고 있다. 특히 그들의 차기 보스 "치사키", 통칭 [[오버홀]]은 요주의 인물. 나이트아이는 밀리오와 미도리야에게 그의 사진을 보여주며 그가 묘한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전달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0화 . . . . 2회 일치
          * 핫사이카이의 아지트이자 자택은 상당한 고가의 저택이었다. 게다가 담장이 높고 창이 작아 빌런의 아지트로서는 딱이었다. [[서 나이트아이]]는 바로 이곳을 포인트로 정해 치사키, [[오버홀]]의 동향을 감시 중이었다. 이날은 특히 오가는 사람이 적어 주시하고 있었는데 사이드킥 [[버걸]]이 생각지도 못한 연락을 받는다.
          속사포같이 설교하고 둘을 사무실로 돌려보내는 나이트아이. 버걸만 데리고 다시금 첩보활동에 복귀한다. 쏟아지는 비와 함께 큰 응어리만 남기고 미도리야의 첫 인턴활동이 눈 깜짝할 사이에 끝나버렸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2화 . . . . 2회 일치
          시라가키는 자리에 앉으면서 테이에 발을 올려놓는다. 시라가키는 그건 오버홀 측이 멋대로 해석한 거라고 부정한다. 빌런연합은 세력확장, 시에핫사이카이는 브랜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서로 니즈가 맞는다고 말한다.
          오버홀은 시라가키가 테이에 발을 올려놓은 쪽에 더 신경 쓴다. 직접적으로 발을 내리라고 경고하지만 시라가키는 "내려주지 않겠나"라고 말하라며 본래라면 오버홀 측이 고개를 숙일 입장이라고 거만한 태도를 유지한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3화 . . . . 2회 일치
          * 키리시마는 특훈을 통해 개발한 자신이 최대 경도 모드 "레드 라이오트 언브레이커"로 빌런의 공격을 막아낸다.
          키리시마의 몸에 변화가 생긴다. 피부가 보다 단단하고 두껍게 진화한다. 한 번은 그의 경도를 초월했던 칼날도 다시는 그의 몸을 뚫지 못한다. 칼날이 산산히 조각나고 빌런은 고통스럽게 비명을 지른다. 이것이 특훈을 통해 도달한, 키리시마의 현시점 최대경도. '''레드 라이오트 언브레이커'''이다.
  • 나폴레옹: 토탈워/러시아 . . . . 2회 일치
          * 야로슬라(Yaroslavl): 산업 중심지
         === 파로프스크 척탄병(Pavlovsk Grenadiers) ===
  • 나폴레옹: 토탈워/영국 . . . . 2회 일치
          * '''더린(Dublin)'''
         === 펜시(Fencibles) ===
  • 남명렬 . . . . 2회 일치
         * [[2015년]] [[KBS 2TV|KBS2]] 월화드라마 《[[러드 (드라마)|러드]]》 - 정한수 역
  • 노 오디너리 패밀리 . . . . 2회 일치
         가족 히어로라는 점에서 [[판타스틱 포]]를 연상케하는데 의도한 것인지 주연인 짐 파웰을 맡은 마이클 치클리스는 판타스틱 포 실사영화에 출연했다. 이러한 점을 의식한 것인지 국내에서 방송할 때도 제목이 '판타스틱 패밀리'. 방송사인 ABC도 [[마 코믹스]]와 연관이 있다. 이외에도 가족 히어로라는 공통점 탓에 애니메이션 [[인크레더]]이 떠오르게 한다.
  • 대한민국 FA컵 . . . . 2회 일치
         과거 포항이 더을 달성했을 때는 3.5장이 아니라 4장을 부여하였기에 '''어차피 똑같은 1장'''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FA컵 우승팀이 들어가야 할 F조의 자리를 당시 리그 4위였던 서울에게 바로 넘겨줬기 때문에 서울이 F조 자리로 갔었다. 그리고 0.5장이란 개념이 없던 미비했던 동아시아 조추첨의 경우는 각 국가별로 조별단계에서 겹치지 않도록 국가별 조추첨을 통해 조편성이 이루어졌기에 한때는 리그 2위였던 성남이 E조에 들어가고 우승팀인 전북이 F조 들어가는 등의 상황이 있었다. 허나 지금은 동아시아 조편성에 0.5장이라는 특수성이 과거에 비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조편성이 난감해질 우려가 생겼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가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K리그 뿐만이 아니라 똑같이 3.5장을 부여받는 J리그와 중국 슈퍼리그도 비슷한 논리로 조편성을 위한 티켓부여가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 클래식-FA컵 더인 경우 ===
  • 더 선 . . . . 2회 일치
         The Sun. 영국의 타로이드 신문.
         이 신문은 타로이드 신문 답게 뻘 기사가 많으므로 반쯤 걸러듣는게 좋다.
  • 레이디 제인 (가수) . . . . 2회 일치
         * 2011. 《Love Treatment》 (Feat. [[언터쳐 (음악 그룹)|언터쳐]])
  • 리전 오브 몬스터즈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에 등장하는 팀. 첫등장은 Marvel Premiere #28.
         흡혈귀, 늑대인간, 미이라 등 마의 괴물 캐릭터들로 구성된 팀이다. 두버전이 존재하는데 1976년 버전은 고스트 라이더가 리더이며 Starseed라는 존재와 관련해서 만들어졌으며 이후 해체되었다. 그리고 2010년 버전이 나왔는데 리더는 웨어울프 바이 나이트이고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같은 형태로 되살아난 퍼니셔도 이들과 협력했다.
  • 마누엘 고도이 . . . . 2회 일치
         1807년에 고도이는 [[포르투갈]] 정복을 노리는 나폴레옹과 [[퐁텐로 조약]]을 체결했다. 이 때 나폴레옹이 점령한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Algarve) 지역의 영유를 인정받았는데, 고도이는 황태자 페르난도(후의 [[페르난도 7세]])와 사이가 나빴기 때문에, 황태자가 즉위하면 파면될 것이라고 여겼으므로 파면 이후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알가르브를 영유하는 대신 스페인에 프랑스 군의 침공을 허용하는 조약을 맺었던 것이다.
         결국 1808년 3월, 마드리드 남부 아랑후에즈(Aranjuez) 일어나 [[카를로스 4세]]는 실각하고 황태자가 [[페르난도 7세]]로 즉위, 고도이 역시 재상 자리에서 해임되고 알가르브 영위 역시 인정받지 못해 프랑스의 [[마르세유]]로 망명하였다. 그리고 나폴레옹은 고도이와 맺은 퐁텐로 조약이 파기된 것을 명분으로 침공해오게 된다.
  • 마법병 . . . . 2회 일치
          * 인용 로그 : http://ameblo.jp/yusyaoyabun/entry-11543761986.html
          * 인용 로그 : http://blog.goo.ne.jp/chiku39/e/afa96742ac347a3b3ca8ec84cb6c7f50
  • 마블 퍼즐퀘스트/1성 . . . . 2회 일치
         === 랙 위도우(모던) ===
         [[분류:마 퍼즐퀘스트]]
  • 마치콘 . . . . 2회 일치
         마치콘은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과 얽힌 트러이 많다.
          * 마치콘에서 만난 상대에게 돈을 빌려줬지만 행방을 알 수 없게 됬다. → 상대방에게 경계심이 적어서 금전 트러도 자주 볼 수 있다.
  • 머신맨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로봇]] 히어로. 첫등장은 2001: A Space Odyssey #8[* 화수가 다르게 표기된 곳도 있다.] (July 1977)
         로봇 군인을 원한 [[미군]]의 극비계획에서 탄생한 로봇. 올리버 브로드허스트 박사의 지휘로 51대의 실험 로봇들이 프로그래밍되었고 X-51은 이 로봇들 중 하나였다. 에이 스택 박사는 로봇이 사람처럼 생각할수 있다면 위협이 될수 있다고 생각해 자신의 안전은 무시하고 로봇 중 하나인 X-51을 데려가 아들처럼 교육시켰으며 로봇에게 인간같은 모습을 준비해줬다. 그리고 로봇에게 머신맨이라는 이름을 줬다.
  • 몬스터 페어런트 . . . . 2회 일치
          *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낮아졌다. 1990년대 부터 이러한 종류의 보호자가 증가했는데, 이들이 부모가 되는 1965년대 전후 출생은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의 학교 폭력이 격렬한 시기를 거쳤기 때문에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애초에 희미했다. 버 경제 시기에 사회에 진출했기 때문에 당시 교직은 인기가 낮았다. 버 이후의 구조조정으로 사회적 지위를 잃은 사람들은 종신 고용이 보장된 공무원, 교사에 대해서 증오심을 품게 되었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 . . 2회 일치
          * 바이오하자드 5 : 골드 에디션 PC판 (2015)[* 스팀판에는 바이오하자드가 아니라 '레지던트 이 : 골드 에디션'이라는 제목으로 발매. 참고로 얼터너티브 에디션의 북미판 제목이 골드 에디션이다.]
          * 영화화도 되었다. 제목은 레지던트 이. 게임의 해외판 이름이기도 하다.
  • 박석민 . . . . 2회 일치
         아들 사랑이 꽤나 지극한 편. 홈런을 치면 주는 [[레오]] 인형 대신 손목보호대를 던진다. 인형이 아니라 더 비싼 손목보호대를 던지는 이유는 아들 준현이가 인형을 더 좋아해서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amsunglions&no=1213455&page=1&bbs=|집에 갖다주려고.]] 홈경기 때는 샤워도 안하고 바로 집에 가서 아들과 같이 목욕한다고 한다. 아들이 실제로 대구 홈경기 때 박석민의 손을 잡고 대구구장에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당시 유니폼에 적힌 등번호는 '''박석민의 18번'''이었고 이름에는 '''박석민 Jr.'''이라 적혀 있었다.
         2013년부터 [[류현진]]이 뛰는 팀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주전 3루수이자 류현진의 팀동료 겸 절친 후안 유리베의 이름을 따서 자신을 '''박리베'''로 불러달라고 했다.~~근데 그 유리베는 2015년에 애틀랜타로 트레이드되었다.~~ ~~아~그러다 몇 게임 안 뛰고 또 뉴욕 메츠로 갔다.~~ ~~그 이후에는 클리랜드로 갔다.~~
  • 박은수 (1956년) . . . . 2회 일치
         | 공식홈페이지 = [http://blog.daum.net/parkeunsoo/ 로그]
         * [http://blog.daum.net/parkeunsoo 박은수 - 다음 로그]
  • 박지일(배우) . . . . 2회 일치
         * [[2015년]] [[KBS 수목드라마]] 《[[어셈리 (드라마)|어셈리]]》 - 오세창 역
  • 백진희 . . . . 2회 일치
         * [[프록터 앤드 갬|한국P&G]] 페브리즈
         * [[프록터 앤드 갬|한국P&G]] 페브리즈
  • 블리치 . . . . 2회 일치
         [[리치/에피소드]]
         [[분류:만화]] [[분류:리치]] [[분류:애니메이션]]
  • 서강준 . . . . 2회 일치
         | 루마운틴
         | 컨템포러리 부문 몽랑 옴므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2회 일치
         얻으면 레드와 루 둘 다 생기는 캐릭터들.
         === 루 ===
  • 서효림 . . . . 2회 일치
         | [[엠랙]]
         * 케이 코미디TV
  • 성재(가수) . . . . 2회 일치
         '''성재'''([[1980년]] [[1월 30일]] ~ )는 [[대한민국]]의 하드코어 밴드 [[비셔스글레어|비셔스글레어(Vicious Glare)]]와 언리시드앵거의 가수, 기타리스트이다. 본명은 '''박해진'''이며,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출신이다. 2008년 부터 ankind-Design'이라는 자신의 개인 디자인 브랜드를 운영, 음악 레코딩 [[프로듀서]] 및 [[작곡가]]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하드코어 메탈 전문 레이 [[GMC 레코드]]의 [[웹마스터]] / [[디자이너]]로도 활동하다가 2014년 중순부터 레이을 인수 받아서 CEO가 되어 운영중이다. 1남 1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https://en.wikipedia.org/wiki/Straight_edge Straight Edge]라는 생활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 세미스텔스 . . . . 2회 일치
          * 공기 흡입구 내부에 레이더 로커 설치
          * SR-71 랙버드
  • 세븐 솔저스 오브 빅토리 . . . . 2회 일치
          * 랙호크(Blackhawk)
          * 리틀 보이 루(Little Boy Blue)
  • 송금식 . . . . 2회 일치
         * 1998년 《[[루스 (영화)|루스]]》 ... 마대영 역
  • 송병구 . . . . 2회 일치
         * 2008년 6월 29일 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결승전 2경기 송병구 승
         * 2008년 6월 29일 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결승전 1경기 송병구 승
  • 시티락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마 관련 게임에 등장. PS2, PSP인 Spider-Man: Web of Shadows에 등장했다.
  • 씽(마블 코믹스)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온몸이 바위와 같이 단단해졌기에 상당한 내구력이 있고 힘도 그에 걸맞게 세다. 마 히어로즈의 파워 기믹 캐릭터들 중에선 [[헐크]] 같이 초강력 푸시를 받는 [[캐사기]]급은 못 되더라도, 메이저들 중에선 상급에 속하는 방어력 및 괴력에 지력도 어느 정도 겸비한 캐릭터.
  • 아웃워드 작전 . . . . 2회 일치
         당시 영국은 독일의 폭격을 방해하기 위해 [[방공기구]]를 띄우고 있었다. 가끔씩 방공기구를 매단 케이이 끊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경우 방공기구가 자기 멋대로 날아다니다가 전선과 같은 시설물에 걸려 피해를 입히기도 했다.
         [[http://www.nww2m.com/2017/03/scitech-tuesday-operation-outward/|뉴올리언스 제2차 세계 대전 박물관 로그의 기사(영문)]]
  • 아이언맨 . . . . 2회 일치
         [[미국]] [[만화]] 회사 '[[마 코믹스]]'의 작품 중 하나에 나오는 [[슈퍼히어로]]. ~~빨리 발음하면 '아연맨'으로 들린다.~~
         21세기 초반 최고의 인기 히어로 가운데 하나로, 국내에서도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아이언맨 실사 영화 시리즈 등이 흥행하면서 인지도를 얻었다.
  • 아토믹 스컬 . . . . 2회 일치
         [[스타 연구소]] [[과학자]]였는데 혼란스러운 신경을 치료할 방법을 못찾고 있었다. 그때 범죄조직 스컬이 그에게 원자 라스트로 신경을 고정시키는 법을 알려줬다.
         초능력은 [[원자력]] 라스트 발사.
  • 안기효 . . . . 2회 일치
         2014년 4월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4042311132233789|데일리e스포츠]]를 통해 인터뷰를 가졌다. 최근에는 [[아프리카TV]]에서 퍼리싱 중인 모바일게임 [[아이러브치킨]] 사업부에 소속되어 있는 듯.
         2014년 10월에는 아프리카 스타판에 불을 지폈다. [[박지호]]와의 스폰 매치중 박지호의 방플을 의심하며 그를 세차게 디스했다. ~~현재는 화해~~ 그런 어그로로 시청자를 끌어모은 뒤 주로 WWE 레슬러를 흉내내는 리액션과 심심하면 랙리스트를 거는 컨텐츠로 별풍을 팔고있다. 방송중에 노래를 부르는 모습도 종종 보여주는데 꽤 잘하는 편이다. 임창정스러운 감성에 연규성과 비슷한 창법, 목소리를 구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WJSbUITb5-M|슬픈 혼잣말]] [[https://www.youtube.com/watch?v=o049dPIyACM|또 다시 사랑]] 등등 임창정의 노래를 좋아하고 잘 부른다. [[https://www.youtube.com/watch?v=WFRzK0KUku0|내가 저지른 사랑]]. 노래를 부를 땐 방금 실연을 당한듯한 리얼한 표정을 보여주며 임창정 특유의 창법을 상당한 수준으로 사용한다. 철구같은 억지 뇌성이 아니라[* 말이 좋아 뇌성이지 완전 목을 긁어내는 발성이라 성대가 남아나질 않는다. 철구는 성대 수술을 받기도 했는데 뇌성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프로 가수들도 샤우팅을 자제하는 이유가 구사하기도 어렵지만 목을 긁어내지 않으면서 발성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고음과 정확한 샤우팅을 구사했다. 다만 콧소리가 상당히 들어간걸로 보아 발성을 따로 배우진 않은듯 하다. ~~덕분에 팬들 사이에서는 면성이라는 새로운 창법을 창조해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 안석환 . . . . 2회 일치
         * 2004년 [[MBC]] 단막극 《[[MBC 베스트극장]] - 타로이드 朴 / Episode 1 / J양의 진실》
         * 2012년 [[SBS]] 아침드라마 《[[너라서 좋아]]》 ... 잭랙 역
  • 안영준 . . . . 2회 일치
         전주 KCC와의 4강 플레이오프에서도 상대팀의 에이스인 에밋을 잘 수비하면서도 필요한 순간에 외곽슛을 성공시키며 활약했다. 1차전 3점 2개 포함 10득점(야투율 100%), 2차전 3점 2개 포함 10득점, 3차전 13득점 4리바운드, 최준용이 부상으로 결장해 활약이 절실했던 4차전에서도 파울트러로 고생하면서도 3점 3개 포함 16득점 6리바운드로 펄펄 날며 이번에는 팀을 챔피언 결정전으로 올려놓았다. 4차전 4쿼터에 5반칙 퇴장을 당한 것은 옥에 티. 신인답지 않게 터프한 상황에서도 주저하지 않고 3점을 던지는 모습에 문경은 감독에게 강심장이라는 찬사를 들었다.
         1년 선배인 최준용에 비해 돌파라는 '확실한 득점 루트'가 있는 것이 장점이다. 운동능력을 이용해 미리 떠서 상대의 락을 피하는 경우가 많고, 몸으로 밀고 들어가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볼 핸들링이 나쁘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외곽에서 헤지테이션에 이은 크로스 오버 돌파를 자주 시도하는 편이다. 데뷔시즌 4강 플레이오프 때부터 챔피언결정전 6차전까지 내내 터졌던 3점슛은 SK 나이츠의 우승에 힘을 보탰다.
  • 안재욱(배우,가수) . . . . 2회 일치
         2017년 1월 18일부터 [[세종문화회관]]에서 [[뮤지컬 영웅]]에서 [[안중근]]역으로 출연중이다. 1월 9일 삼성카드홀 [[루스퀘어]]에서 열린 쇼케이스에서 가사를 틀리는 실수를 범했다.
         2014년 안재욱의 소속사인 제이엔터테인먼트가 떼아뜨로와 합병하여 현재는 EA&C에 소속되어있다.
  • 어쌔신 크리드 III . . . . 2회 일치
         조작키가 에치오 삼부작 시절에 비해 겁나게 많이 바뀌었다. 후속작인 [[어쌔신 크리드 IV 랙 플래그]]에서도 상당히 많은 조작키가 바뀌었다.
          * 랙크릭 - 요새가 위치하고 있다.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2회 일치
         전장식 권총. 재장전 시간이 길다. 보통은 단발이지만, 더배럴 같은 예외도 있다.
          대번포트 농지에서 제작 가능. 철, 은, 호두나무로 만든 권총. 더액션 트리거를 채용한 권총이기에 두발을 장전할 수 있다. 잘 보면 총신도 두개다.
  •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주요임무 . . . . 2회 일치
          여관의 테이 근처에서 반격기를 사용하자. 적 병사가 여덟명이나 되니 두명을 테이에 처박는건 일도 아니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2회 일치
          * 레이즈(Blaze)
          플레이어. 레이즈는 TAC 네임으로 본명은 나오지 않는다. 훈련생이지만 샌드 섬의 인원이 부족해지자 차출된다.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 . . 2회 일치
         [[역사]]를 소재로 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개발은 [[앙상 스튜디오]], 발매는 [[마이크로 소프트]]가 맡았다. SF적인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스타보다 비교적 밀리터리적 요소를 가진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 달리 역사를 소재로 한 게임 답게 선택할 수 있는 진영도 고대 [[문명]]이거나 [[국가]]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가 나온 이후 2편, 3편 등이 발매되었으나 아쉽게도 앙상 스튜디오가 해체되면서 3편에서 끝나게 되었다.
  • 영주시 . . . . 2회 일치
         [[http://blog.naver.com/yeongju_city/|[[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영주시 공식 로그]] ||
  • 예천군 . . . . 2회 일치
         [[http://blog.naver.com/chj0494|[[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예천군 공식 로그]] ||
  • 울진군 . . . . 2회 일치
         [[http://blog.naver.com/uljingokr|[[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울진군 공식 로그]]
  • 원피스/832화 . . . . 2회 일치
          * 일명 "4국 베기" 사건을 묘사한 초상화. 노스 루의 네 왕국을 제압한 일을 그린 것이다.
          * 상디는 이런 "재수없는 장식"이라고 말하며 마구 까는데 레이쥬는 오히려 "아버지의 꿈은 다시 노스 루를 제압하는 것이고 남자가 힘과 명성을 추구하는게 뭐가 어떻냐"고 대답한다.
  • 원피스/833화 . . . . 2회 일치
          * 신발에 장비한 기능으로 "전자 크랙" "래스터"를 쓰며 상디를 수세로 몬다.
          * 그러면 그 병력을 써서 "한심한 꿈"이나 이루라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노스 루의 정복".
  • 원피스/836화 . . . . 2회 일치
          * 나미는 로라에게 받았던 비 카드를 파운드에게 보여준다. 킹 바움은 그 비 카드에서 빅맘의 영혼이 느껴진다며 공격하지 못하고 있다.
  • 원피스/857화 . . . . 2회 일치
          * 벳지는 웨스트루 출신으로 그곳을 주름잡는 5개의 마피아 중 하나. 지위나 영역에 관심없이 잔인한 고문과 조직 내부의 패권다툼을 즐기는 성격.
          * 징베는 그러면서 갑자기 루피와 같은 [[초신성(원피스)|초신성]]의 한 명이자 현 사황 해적단 산하의 [[카포네 벳지|카포네 갱 벳지]]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웨스트루 출신으로 그곳은 다섯 마피아 조직이 뒷세계를 주무르고 있다. 그 서족의 다섯 마피아 중 한 명이 벳지. "갱"이란 이름은 어릴적 별명인 "철포환"에서 유례한 것으로 살아있는 생물의 머리를 자르고 몸이 발버둥치는걸 보고 즐기는 잔인한 성격에서 비롯했다고 한다.
  • 원피스/859화 . . . . 2회 일치
          쵸파는 그런 괴성이 울려퍼진다면 움직이지 못하는건 이쪽도 마찬가지 아니냐고 묻는다. 벳지는 여기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놨다. 이름하여 "인빈시 심포니아 시스템". 보통 귀마개다.
          * 그리고 신부 푸딩의 방. 신부화장을 마치고 드레스까지 착용한 푸딩은 뜻밖에 우울한 모습이다. 니트로와 라뱐이 그녀에게 "메리지 루"냐며 가볍게 놀린다. 푸딩은 자신에게 주어진 짐이 너무 무겁다고 투정한다. 상디를 죽인 뒤 피가 튀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고 자신만은 착한 아이로 남기 위해 여러 사람들의 기억을 지우고 다녀야 하는데 그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 원피스/861화 . . . . 2회 일치
          * 빅맘의 맞은 편, 다과회 테이 위에 "마더 카르멜"의 사진이 놓인다. 벳지의 정보대로다. 잔뜩 들떠 있던 빅맘이 이 순간 만큼은 경건한 태도로 맞이한다.
          * 다과회는 대성황. 빈스모크 일가는 각자 게스트들과 어울려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빈스모크 저지]]는 빅맘과 같은 테이에 앉아 세계 정상급 게스트들과 대화 중. [[빈스모크 레이쥬]]를 비롯한 형제들은 각자 편한 자리에서 나름대로 시간을 즐기고 있다.
  • 원피스/864화 . . . . 2회 일치
          그는 자신의 인생 전체를 노스 루의 나라들에 복수하기 위해 바쳐왔다고 하소연한다. 하객들은 대놓고 그를 빈정거리지만 아무래도 좋다. 그는 암살 주모자 빅맘에게 "무슨 말이든 해달라"고 호소한다. 그러나 그가 호소하는 빅맘은 웨딩케이크의 붕괴, 망쳐진 결혼식, 밀집모자 일당, 그리고 마더 카르멜의 사진이 깨진 것 등등. 너무 많은 일이 한꺼번에 일어나 뇌가 정지하다시피했다. 페르스페로가 이런 빅맘의 상태를 전하며 대신 대답한다.
          * 벳지는 징베와 페드로에게 전력으로 루피를 원호할 것, 그리고 루피는 다시 한 번 빅맘에게 깨진 사진을 보여주라고 지시한다. 그리고 큰 소리도 회장에 있는 모든 "연합군"에게 귀마개 "인지지 심포니아"를 장비하라고 소리친다. 이 행동으로 빅맘 해적단의 이목이 그에게 쏠린다. 하지만 개의치 않는다. 그동안 루피는 사진을 챙겨서 빅맘에게 향하고 케이스 속의 나미 일행은 귀마개를 낀다.
  • 원피스/865화 . . . . 2회 일치
          * [[샬롯 다이후쿠]]와 대치 중이던 [[상디]]는 가족의 목숨이 풍전등화가 되자 그 자리를 이탈했다. 당장 그들을 구하기 위해서 빈스모크 일가의 테이로 달려오지만 무감정한 빈스모크 형제들은 그 조차도 "허둥지둥 뭐하는 짓이냐"고 비웃음의 대상으로 삼는다. [[빈스모크 레이쥬]]도 그의 모습을 보았다. 상디는 정신없이 달려오자 다이후쿠의 마인에게 붙잡혀 넘어졌다. 레이쥬 또한 그의 구조를 바라지도, 살고자 바라지도 않았지만 느끼는 감정은 형제들과 전혀 달랐다. 그녀는 가족들도 놔두고 도망치지 않는 상디에게 "너의 상냥함을 얕봤다"고 독백한다. 그녀는 평생을 빈스모크라는 이름을 부끄러워하고 원망하며 살아왔다.
          * 레이쥬는 갑자기 나타난 괴상한 사슴, [[쵸파]]가 귀마개를 채워주자 놀란다. 그녀 뿐만 아니라 빈스모크 일가 모두에게 귀마개가 끼워진다. 상디는 디아 잠브로 가족들을 구속하던 사탕을 깨뜨린다. 저지와 형제들은 뜻밖의 구조를 뜨악한 표정으로 바라본다.
  • 원피스/871화 . . . . 2회 일치
          * [[빈스모크 이치디]], [[빈스모크 니디]], [[빈스모크 욘디]]가 합체기술 "랙 버그"로 사탕을 부수고 퇴로를 연다.
          * [[샬롯 페로스페로]]가 장기인 "캔디 월"로 시저의 앞을 막는다. 이에 [[빈스모크 이치디]], [[빈스모크 니디]], [[빈스모크 욘디]]가 힘을 합쳐 "랙 버그"란 기술로 사탕벽을 무너뜨리고 퇴로를 연다.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2회 일치
         1989년 6월 새벽, [[KGB]] 소속 [[정치장교]] 발레리 레브데예프 소령은 [[동베를린]]에 위치한 소련군 대대로 파견된다. 오랜 친구였던 대대 지휘관 라디미르 올로프스키 대령과 포옹을 나눈 레브데예프는 올로프스키에게 소련 정치국이 전쟁을 벌이기로 했다는 암시를 준다. 이에 올로프스키는 휘하 장교인 로마노프 중위를 부른다.
         몇번의 전투 후에 연합군은 남프랑스 소련군 사령부의 위치를 알아냈다. 소여 대위는 소련군 사령부를 괴멸시키기 위해 사령부가 있는 곳으로 곧바로 진격해 들어갔다. 성공한다면 남프랑스 소련군을 와해시킬 수 있지만, 실패한다면 그대로 포위당해 전멸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한편, 대대원들은 끊임없이 트러을 일으키는 배넌 대위를 어떻게 통제해야 할 것인지도 생각하기 시작했다.
  • 유승민(정치인) . . . . 2회 일치
         || '''링크''' ||<white><(> [[http://www.ysm21.com/|홈페이지]], [[http://blog.naver.com/ysm21comm|[[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0]]네이버 로그]][br][[https://www.facebook.com/sminyoo|[[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0]]페이스북]] [[https://www.instagram.com/yooseongmin21|[[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0]]인스타그램]][br][[https://pf.kakao.com/_SJtrd|[[파일:플러스친구.png|width=20]]카카오톡 플러스친구]][br][[http://tv.kakao.com/channel/2730122/cliplink/375460571?metaObjectType=Channel|[[파일:kakaotv_icon.png|width=20]]kakao TV 채널]] ||
  • 유해진(배우) . . . . 2회 일치
         || '''데뷔''' ||<(> [[1997년]] 영화 '랙잭' ||
         ||1997년||랙잭||덤프1|| || ||
  • 윤석용 . . . . 2회 일치
         윤석용은 2008년 18대 국회에 출사표를 던지며, 아래와 같은 것을 공약으로 내세웠다.<ref>{{웹 인용|제목=강동의 미래 |url=http://blog.naver.com/nicekorea08/10029051209|저자=윤석용 로그|확인날짜=2008-07-30}}</ref>
         * [http://blog.naver.com/nicekorea08 윤석용 네이버 로그]
  • 윤인조 . . . . 2회 일치
         * [[2015년]] [[KBS2]] 월화드라마 《[[러드 (드라마)|러드]]》 - 서기자 역
  • 은혼/601화 . . . . 2회 일치
          * 해방군과의 트러은 해결됐지만 지구의 분위기는 흉흉해진다.
          * 하긴 요즘 점프는 리치랑 니세코이까지 종결되고 마땅한 신작도 없어서 어려운 상황이긴 하다.
  • 이보림 . . . . 2회 일치
         이후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7~8회|첫 미션]] 준비 과정에서 이보림은 춤에 익숙하지 못해 중간 점검 때 안무가 김화영으로부터 랙홀 멤버라는 지적을 받았고, [[의진(소나무)|의진]]과 함께 다른 방에서 연습하는 모습이 보였다. 이로 인해 의진에게 "의진 센세"라는 별명이 붙었다.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9~10회|포지션 배틀]] 중 댄스 부문에 가장 먼저 [[http://tv.naver.com/v/2366699|참가]]해서 43부트를 받았는데, 뒤에 나온 [[박지원(1997)|박지원]]이 48부트를 받아 밀려났다.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9~10회|RESTART 미션]]에서는 빨강팀에서 'Gee'를 공연했는데, 막내 [[한비(립버)|한비]]에게 안무를 배우면서 연습에 매진했다. 초보자인지라 안무 중간 점검에서는 김화영에게 주시당했는데, 팀원들의 커버를 잘 받아서 '팀복은 타고났다'는 이야기와 함께 '그래도 많이 늘었다'는 칭찬도 받을 수 있었다. 마지막에는 '그래서 네가 틀리면 안 된다'라는 말도 덧붙였는데... 본 경연 도입부분에서 혼자 틀리는 실수를 범해 무대가 끝난 다음에는 이에 대한 자책감에 눈물을 보였고 이에 [[우희(달샤벳)|우희]]와 팀원들이 첫 실수 이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무대를 마친 것을 칭찬해 주며 격려했다. 현장 투표에서는 113표로 7위를 기록했다. 첫 미션에서 보여 준 [[의진(소나무)|의진]]과의 케미와 성장이 좋은 평가를 받았는지, 방송 종료 후 공개된 중간 개인 순위에서는 무려 19계단이나 상승해 25위에 올랐다.
  • 이소선 . . . . 2회 일치
         당국은 이재민에게 천막 하나를 주고 [[도봉동]] 개울가로 내몰았다. 이소선의 가족은 [[쌍문동]] 공동묘지 근처 208번지로 이사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2175815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5) - 판자촌에 다시 모인 가족], 경향신문, 2009년 4월 22일</ref> 이소선이 살던 쌍문동 집은 무허가 판잣집이었다. 간혹 단속반이 와서 헐고 갔기 때문에 시멘트 럭만을 쌓아 올려 벽을 만들었다가 헐리면 다시 세웠다. 전태일은 단속반이 집을 헐며 럭을 부수면 다시 사야하기 때문에 단속반이 온다는 소리를 들으면 미리 집을 헐어 두었다고 한다.<ref name="경향46">[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31745425&code=2100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6) - 쌍문동 208번지], 경향신문, 2009년 4월 23일</ref> 이 무렵 전태일은 평화시장의 미싱사가 되었으며 동생 순옥이 만한 어린 소녀들이 퀴퀴한 다락방에서 쉴 새 없이 일하다 폐병을 앓는다고 안타까워 했다. 전태일은 공장에서 있었던 일을 어머니께 자세히 말하곤 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4261859022&code=210100&s_code=af077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47) - 춥고 배고픈 어린 시다들], 경향신문, 2009년 4월 27일</ref>
  • 이수진(치어리더) . . . . 2회 일치
         프로야구 2013 시즌 중반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치어리더팀인 루팅커스에 합류해서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으며, 프로배구 2013-14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에서도 치어리더 활동을 했다. 보통 [[박기량(치어리더)|박기량]], [[김연정]] 등과 함께 손꼽히는 치어리더.
          * 박기량과 아주 친하다고 한다. 2014년 SBS 설 특집 페이스오프에 같이 출연하면서 친해졌고 얼마 전 클래식시리즈 금토는 루다 행사에서 같이 무대를 가지기도 했다.
  • 이승효(탤런트) . . . . 2회 일치
         소속사 [[루드레곤]]
         2017년 10월 8일에 2009년부터 8년간 몸담은 소속사 매니지먼트 구와의 전속계약이 만료됐고, 2018년 1월 11일 [[루드레곤]]과 전속 계약을 맺었다.
  • 이시영(배우) . . . . 2회 일치
         케이의 연예정보 프로그램에서 성형 잘 된 연예인으로 [[서우]]에 이어 2위로 뽑히는 나름대로의 영예를 누렸다. 이시영 씨 말로는 10년 전에 손댄 것 말고는 건드린 적이 없다고 했다.
          * [[롯데하이마트]] - 2016년 11월 전국동시세일, 랙 프라이데이
  • 이연희(배우) . . . . 2회 일치
         원래 편성 받은 뒤 방송이 나가면서 계속 촬영하려고 한 드라마이나 공중파에서 죄다 외면하는 바람에 본의 아니게 100% 사전제작 된 작품이다. 케이에서나 틀어줘도 다행이 될 뻔 했는데 SM 프렌들리 방송국 [[SBS]]에서 편성이 잡혔다. 마지막 방송인 2011년 03월 15일 AGB닐슨 기준 8.4%.2011년 초에 한자릿수면 결코 좋은 시청률이 아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골든타임인 10시가 아닌 9시에 방영된 드라마이며, 무려 KBS의 9시 뉴스가 경쟁작이 만큼 10시타임 드라마와 시청률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 8.4%의 시청률은 그 시간대에 방영한 드라마로선 안정적인 시청률을 기록한 것이 맞다.
          * 2017년 배리어프리영화 《볼링링》 화면해설
  • 이요원 . . . . 2회 일치
         2016년 [[JTBC]] 드라마 《[[욱씨남정기]]》에 출연하여 물오른 연기로 인생캐릭터를 만났다는 극찬을 받았다. 2016년 11월 [[MBC]] 《[[불야성 (드라마)|불야성]]》에서 이요원이 연기하는 서이경은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자신의 왕국을 세우려는 거대한 야망을 품은 황금의 여왕이자, 탐욕은 죄가 없다고 믿는 냉정과 열정의 화신이다. 여리한 외모와는 달리 피도 눈물도 없는 차가운 심장을 가진 얼음여왕. 말 한마디에 거액이 오가는 협상 테이에서도 평온한 말투와 흐트러짐 없는 자세로 상대를 굴복시키는 철의 여인이다. 디즈니 배급 영화 《그래,가족》는 2017년 2월 15일에 개봉되었다. 영화는 핏줄이고 뭐고 모른 척 살아오던 삼남매에게 예상치 못한 막내동생이 나타나면서 벌어지는 치열한 가족의 탄생기를 그린 코미디 가족영화에서 잘난 체해도 결국 흙수저인 둘째 오수경 기자 역할을 연기했다.
         * [[LG생활건강]] 더리치 트리트먼트칼라
  • 이재용(배우) . . . . 2회 일치
         ||<|2> MBC || [[굿바이 미스터 랙(드라마)|굿바이 미스터 랙]] || 윤재민 || ||
  • 이정재(영화배우) . . . . 2회 일치
          * 자타공인 연예계의 대표 패셔니스타. 그가 레드카펫이나 공식행사에서 입은 의상은 바로 인구에 회자되며 무슨 옷을 입고 나타나는지가 대단한 관심거리가 된다.[* 실제로 시상식에 참가하면 그 날의 패셔니스타로 무조건 뽑힌다고 봐도 될 정도로 댄디하면서 멋진 수트핏을 연출한다.] 유수 명품 패션 브랜드의 파티에도 꼭 초대받는 패션 셀렙. 개인적으로는 댄디하고 베이직한 스타일을 선호한다고 하며 좋아하는 브랜드는 입생로랑, 디올옴므 등이라고... 그렇지만 럭셔리하게 옷장을 몇 개씩 채우고 있을 이미지와는 다르게 쇼핑은 일 년에 두세번 하는 정도로 그친다고. 돈 쓰는 것도 별로 안 좋아하며 옷에 대한 욕심이 없다고 한다. 실제로 故우종완과 출연한 [[케이]]TV의 프로그램 '토크 앤 시티'에 보면 몇십만원짜리 티셔츠를 비싸서 사기 싫다고 하는 대목이 나온다.
         ||1994||SBS||사랑은루||주연||재성||
  • 이철우(1955) . . . . 2회 일치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링크 ''' }}} ||<(><bgcolor=#FCFEFE> [[http://www.leecw.pe.kr/|공식 홈페이지]][br][[https://blog.naver.com/lcw619| [[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5]] 로그]] | [[https://twitter.com/CUagainLee| [[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트위터]][br][[https://www.instagram.com/lee_cheol_woo|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인스타그램]] | [[https://www.facebook.com/lcw619| [[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페이스북]] ||
  • 일곱개의 대죄/170화 . . . . 2회 일치
          * 에스카노르는 '''"마음을 가지고 논 죄를 그 몸으로 속죄해라"'''면서 힘을 방출하고, 고우서는 해볼태면 해보라며 쌍궁 헬릿으로 "랙 아웃트로"를 발사한다.
          * 결국 승자는 고우서. '''에스카노르를 랙 아웃트로에 꿰뚫려 쓰러진다.'''
  • 일곱개의 대죄/202화 . . . . 2회 일치
          * 디안느 또한 [[드롤]]의 몸에 빠르게 적응한다. 킹이 만든 틈을 놓치지 않고 "기가 픽"이란 기술로 발을 묶는다. 둘은 힘을 합쳐 끝장을 보려 하는데 카르마디오스도 호락호락 당하지 않고 "이 브레스"를 내뿜어 반격한다.
          * 그것을 가로 막으며 나타난 [[멜리오다스]]. 카르마디오스는 그의 등장에 동요하는데 멜리오다스는 "나쁘게 생각하지 마라"는 말과 함게 풀카운터로 이 브레스를 날려보낸다. 때를 맞춰 킹이 영창 10형태 "에메랄드 옥토"로, 디안느가 "기가 크래쉬"로 협공을 펼쳐 카르마디오스를 쓰러뜨린다. 카르마디오스는 쓰러지면서도 어째서 멜리오다스가 여기에 있는지, 어째서 그를 공격하는지 납득하지 못했다. 그는 비록 지금은 쓰러지지만 금방 돌아오겠다는 말과 함께 "반드시 동포들을..."이란 의미심장한 말을 남기는데.
  • 자타라 . . . . 2회 일치
         현재 시간대에서는 이미 사망했으며 재커리 자타라(Zachary Zatara)가 히어로 자타라가 되었다. 사망했기에 [[래키스트 나이트]]에서 랙랜턴으로 등장.
  • 장우람 (가수) . . . . 2회 일치
         |레이 =
         * [[2015년]] 루무드 《침묵 5분 50초》 (Duet)
  • 장우석 . . . . 2회 일치
         * [http://blog.daum.net/chaosad 장우석 로그]
         * [http://www.mulae.net 물레책방 로그]
  • 장은숙 (가수) . . . . 2회 일치
         * 《아카사카 레이니루 (赤坂レイニーブルー, 赤坂 Rainy Blue)》([[2012년]])
         * 《참회의 루스 (懺悔のブルース)》([[2013년]])
  • 전소민(배우) . . . . 2회 일치
         ||<#FFB1BC> '''{{{#white 별명}}}''' ||<#ffffff><(> [[개구리]], [[앵무새]][* 쉴 새 없이 수다를 떤다고 해서 부모님이 붙여준 별명이라고 한다.], 쏘미닝, 전소똥[* 초등학생 시절 별명이라고 한다. 원래 젖소똥이었는데 순화해서 전소똥이라고 한다.] '''돌소민[* 돌아이+전소민이라는 뜻으로, 주로 [[런닝맨]]에서 많이 쓰이는 별명이다.]''', [[불나방]][* [[런닝맨]]에서 물불 안 가리고 게임에 무작정 달려들거나, 더티 플레이를 즐기는 [[유재석]], [[이광수(배우)]], [[전소민]], [[양세찬]] 등을 일컫는 별명], 전어리[* [[런닝맨]] 372회 방영분에서 최약체 [[전소민]]과 [[지석진]]이 한 팀이 되자 [[유재석]]이 붙여준 별명. 전어리와 지석바리.], 쉽사빠, 여자[[이광수(배우)|광수]], 토크지옥[* [[유재석]], [[하하(가수)]]도 감당 못하는 엄청난 수다쟁이], 자석인간[* 숟가락, 국자, 동전 등이 이마에 자석처럼 탁 붙어서 생긴 별명. 심지어 동전을 붙이고, New Face까지 췄다.], 연애검찰, 돌리, 전소바리, 두릅소녀, 콸라여신, 명랑소녀, 뻥개구리 ||
         || 러리 하트 || 가방 ||
  • 전순옥 . . . . 2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sparksoon 로그]<br />{{페이스북|spark.soonok}}
         * [http://blog.naver.com/sparksoon 전순옥 로그]
  • 전태일 . . . . 2회 일치
         어머니 이소선이 다시 의사에게로 가서 매달리자 의사는 고개를 흔들며, "그 약이 지금 여기에는 없으니 성모병원으로 옮기도록 하라"고 했다. 이때까지 전태일은 간단한 응급치료 외엔 서너 시간을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다.<ref name="chock289"/> 명동 성모병원으로 전태일을 옮기는 앰런스가 오자, 이때 근로감독관이 다시 나타나 전태일 등과 함께 타고 병원을 떠났다. 차 안에서 전태일은 근로감독관이 어머니와 하는 소릴 듣고 나서, "사람이 그럴 수가 있습니까? 감사가 끝났다고 그렇게 배신할 수가 있소? 내가 죽어서라도 기준법이 준수되나 안되나 지켜볼 것이오" 라고 마음 속으로 분개하였다.<ref name="chock289"/>
         {{인용문|사랑하는 친우(親友)여, 받아 읽어주게.// 친우여, 나를 아는 모든 나여.// 나를 모르는 모든 나여.// 부탁이 있네. 나를,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영원히 잊지 말아주게.// 그리고 바라네. 그대들 소중한 추억의 서재에 간직하여주게.// 뇌성 번개가 이 작은 육신을 태우고 꺾어버린다고 해도,// 하늘이 나에게만 꺼져 내려온다 해도,// 그대 소중한 추억에 간직된 나는 조금도 두렵지 않을 걸세.// 그리고 만약 또 두려움이 남는다면 나는 나를 영원히 버릴 걸세.// 그대들이 아는, 그대 영역의 일부인 나,// 그대들의 앉은 좌석에 보이지 않게 참석했네.// 미안하네. 용서하게. 테이 중간에 나의 좌석을 마련하여주게.// 원섭이와 재철이 중간이면 더욱 좋겠네.// 좌석을 마련했으면 내 말을 들어주게.// 그대들이 아는, 그대들의 전체의 일부인 나.// 힘에 겨워 힘에 겨워 굴리다 다 못 굴린,// 그리고 또 굴려야 할 덩이를 나의 나인 그대들에게 맡긴 채.// 잠시 다니러 간다네. 잠시 쉬러 간다네.// 어쩌면 반지<ref>금력(金力)을 뜻함.</ref> 의 무게와 총칼의 질타에// 구애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않기를 바라는// 이 순간 이후의 세계에서,// 내 생애 다 못 굴린 덩이를, 덩이를,// 목적지까지 굴리려 하네.// 이 순간 이후의 세계에서 또다시 추방당한다 하더라도// 굴리는 데, 굴리는 데, 도울 수만 있다면,// 이룰 수만 있다면…….}}
  • 절대가련 칠드런/432화 . . . . 2회 일치
          * 애초에 랙팬텀의 세뇌에 걸린 자는 자신이 배신했다는 사실 자체를 자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
          * 레어메탈은 신체와 일체화하는 성질이 있고 랙팬텀이 쓰는 것은 길리엄의 의지를 담고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53화 . . . . 2회 일치
          * 마기는 효부의 그런 면모를 고치기 위해 랙 팬텀에 들어간 거라고 말하는데.
          * 랙 팬텀의 새로운 세뇌가 숙주의 의지를 억누르는게 아니라 특정한 감정을 자극해 비틀어놓는 거라는 것도 파악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4화 . . . . 2회 일치
          * 도주한 [[랙 팬텀]]의 특무 에스퍼들은 전투헬기를 타고 상공으로 이동했다. 팀과 [[바렛 실버]], [[우메가에 나오미]], 더 하운드의 [[야도리기 아키라]], [[이누카미 하츠네]] 전원 탑승.
          나오미는 원래 예정보다 일찍 퇴각했다고 지적한다. 원래 예정은 전투 헬기들이 일대를 완전히 포위할 때까지 일행을 묶어두는 것이었다. 아키라는 만약 그랬다면 랙 팬텀의 일제사격에 자기들까지 휩쓸렸을 거라며 어쩔 수 없었다고 대답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77화 . . . . 2회 일치
          * 랙팬텀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에스퍼들에게 세상은 점점 더 살기 어려워져 가고, BABEL은 에스퍼들을 탄압하는 첨병으로 전락한다.
          * 그 시각, 칠드런 일행은 PANDRA가 추적한 정보를 토대로 랙 팬텀의 감응 통신망(포털)이 있는 곳을 급습한다.
  • 정기고 . . . . 2회 일치
         | 레이 = [[로엔엔터테인먼트]]<br />PCI 뮤직
         * [http://www.junggigo.com/ 정기고 네이버 로그]
  • 정다정 . . . . 2회 일치
         [[부산외국어고등학교|부산외고]] 재학 중 한국의 입시 풍토에 적응하지 못해 1학년을 마치고 [[미국]]으로 갔다가, 미국에서 고교 졸업 후 2011년 귀국하였다. 2011년 9월경 로그에 올린 그림, 레시피가 [[네이버]] [[웹툰]] 관계자의 눈에 띄어, 같은 해 네이버에 웹툰 《[[역전! 야매요리]]》를 연재하며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 닭떡된 닭튀김? 괜찮아요 ‘야매요리’니까!|url = http://news.donga.com/3/all/20120802/48267162/1|출판사 = 동아일보|저자 = 신나리|쪽 = |날짜 = 2012-08-02|확인날짜 = 2012-10-27}}</ref> 가족관계로는 부모님과 정다정보다 5살 어린 남동생이 있다.
         * [http://blog.naver.com/usamibabe 정다정 로그] - [[네이버]]
  • 정명훈 (지휘자) . . . . 2회 일치
         | 레이 = [[도이체 그라모폰]]
         정명훈은 19세 때부터 누나 [[정명화]]의 시누이로 다섯 살 연상의 구순열을 짝사랑했고, [[가족]]에게 숨긴 채 교제를 했다.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받은 상금 3000루로 비행기 티켓을 사서 [[카리브 해]]로 밀월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1979년]] [[부모]]의 허락을 받지 못한 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결혼식]]을 올렸고 식에는 어머니 이원숙 여사만이 참석했으나 나중에는 [[부모]]에게도 인정받았다.<ref>황호택, 《신동아》 [[2004년 2월]]호</ref> 부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 정진, 정선, 정민을 두고 있다.
  • 정영기(배우) . . . . 2회 일치
          * 2011년 《[[라인드(영화)|라인드]]》 ...경찰4 역
  • 조진호 (축구인) . . . . 2회 일치
         비록 [[수원 삼성 루윙즈]]과의 FA컵 4강전은 조진호 감독의 사망으로 [[이승엽 (축구인)|이승엽]] 감독 대행이 지휘했지만,이미 조진호가 FA컵 4강 대진표가 나왔을 때 대비해 전술을 모두 파악해 놓은 상태였으며, 이를 인수인계받은 [[이승엽 (축구인)|이승엽]] 대행은 조진호 감독의 전술을 파악해 전방 압박을 충실히 해서 조진호 감독이 원했던 공격적인 축구를 선보였고, 승부차기 끝에 수원 삼성 루윙즈를 꺾고 FA컵 결승에 진출하며 명장의 마지막 경기에 피날레를 찍었으며, 이날 경기에서 이승엽 대행은 조진호 감독이 입었던 속옷을 입고 경기를 지휘했다고 한다.<ref>{{뉴스 인용|url=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71567 |제목="아, 감독님" 이정협의 되새김질과 이승엽 대행의 '속옷'|출판사=SPO TV |저자=조형에 |날짜=2017-10-26}}</ref>
  • 존 딜린저 . . . . 2회 일치
         어쨌든 시카고로 무사히 도망친 딜린저는 애인인 에린 프래쳇(Evelyn Frechette)과 합류, 같은 주의 도시인 세인트폴로 가서 호머 밴 미터(Homer Van Meter), [[레스터 길리스]](Lester Gillis)[* 일명 베이비 페이스 넬슨(Baby Face Nelson)], 에디 그린(Eddie Green), 토미 캐럴(Tommy Carroll)과 함께 새로운 갱단을 구성한다. 새로 구성된 딜린저 갱은 또다시 은행강도를 벌이기 시작한다.
         존 딜린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 2009년 개봉한 [[퍼릭 에너미]]가 있다.
  • 주다영 . . . . 2회 일치
         * 1997년 잡지 모델로 시작해 베비라 모델 ,비유와상징, 농협 아름찬 김치, 데이콤 08217, 우리은행, 해태제과 베스트 원 아이스크림, 페브리즈, 한국통신, 맥도날드, LG 휘센에어컨, 대교, 하나은행, 삼환 아파트, 마몽드, 장인가구, 풍성건설, 아디다스, 톰키드, 원아동복, 루독, 정상어학원, 소니 핸디캠, LG CNS, 메이크업 포에버, 간지(GanGee) 2013년 12월호 표지모델, CAMPUS JOB&JOY 제52호 표지모델, 간지(GanGee) 2014년 11월호, 센트리얼 휘트니스
         * 제10차 아시아 태평양 에이즈 대회(CAAP10) - 뮤지컬 퍼포머스 '랙수트 뉴 걸'(2011.8.26)
  • 줄리아나 도쿄 . . . . 2회 일치
         [[도쿄]]에 있었던 [[버 시대]]의 '''전설적'''인 [[디스코]] 홀. 1991년 5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도쿄 시바우라에서 영업했다. 영국의 레코드 회사 줄리아나와 합작하여 만들어졌다.
         당시의 패션, 음악이나 디스코 유행 등의 첨단을 달리던 장소로서, [[버 시대]]의 상징이라고 불린다.
  • 지수원 . . . . 2회 일치
          * [[2017년]] [[OCN]] [[랙(OCN)|랙]] ... 박지수 역
  • 진격의 거인/97화 . . . . 2회 일치
          * 식당에선 또다른 일과가 기다리고 있었다. 라이너의 옆 테이에서 [[엘런 예거]]와 [[아르민 알레르토]], [[미카사 아커만]]이 식사 중이었다. 엘런은 아침부터 심기가 불편했다. 라이너가 유독 살기등등하다고 말을 걸자 맞은 편에 앉은 [[장 키르슈타인]]이 어제 훈련 탓이라고 참견했다. 입체기동장치 실습. 자기 와이어에 얽혀 죽을 뻔한 엘런. 장이 꼴사납다고 빈정거리자 엘런은 "거인한테서 도망치는 훈련을 하는게 더 꼴사납다"며 말상자식이라고 받아쳤다. 장은 다시 엘런은 용감하게 돌격하자 와이어가 엉켜 죽을 거고 거인이 그걸 보고 미친 듯이 웃을 거라고 빈정거렸다. 슬슬 때가 됐다. 어김없이 멱살잡이가 이어진다. 그걸 막는 것도 라이너의 일과. 병단에 들어온 뒤 항상 하는 일이다. 달라진건 없다. 저쪽,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 애니가 시체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것 외에는. 애니는 [[미나 캐롤라이나]] 한 테이에 앉아 있었지만 식사에 손을 댄 흔적이 없었다. 식당의 전원이 소동을 구경하고 있는데 애니는 촛점 없는 시선을 정면에 던지고 있을 뿐이었다. 뭔가 잘못됐다. 베르톨트도 그렇게 느끼고 있었다.
  • 진구 . . . . 2회 일치
         | [[언터처 (대한민국의 드라마)|언터처]]
  • 짐 브라부라 . . . . 2회 일치
         |||| 그래픽 노에서의 모습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맥스 페인 2]]에서의 사건이 끝난 후 맥스를 불러 도대체 어떻게 된건지 추궁한다. 발레리 윈터슨이 [[라디미르 렘]]의 애인이었다는 말을 들은 브라부라는 맥스가 뇌물을 받고 윈터슨을 쏜게 아니었다는걸 다행으로 생각하지만 맥스를 경찰 자리에서 내쫓는다. 그때 맥스에게 계속 만나자는 말을 했고, 실제로도 맥스가 브라부라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 차동엽 . . . . 2회 일치
         |웹사이트 = [http://blog.naver.com/norbert_cha/ 공식 로그] <br /> [https://www.facebook.com/erainbow2013 공식 페이스북]
         * [http://blog.naver.com/norbert_cha 공식 로그]
  • 챌린저스 오브 더 언노운 . . . . 2회 일치
         [[둠 패트롤]](Doom Patrol), [[데드맨]](Deadman), [[스웜프 씽]](Swamp Thing), [[조니 더]](Jonny Double), [[시 데스]](Sea Devils)와 대면하기도 했다.
  • 청송군 . . . . 2회 일치
         [[http://blog.naver.com/gocheongsong|[[파일:네이버로그.png|width=15]]청송군 공식 로그]]
  • 초식계남자 . . . . 2회 일치
         연애에 있어서 수동적, 물욕이나 출세욕이 적고, 온화한 성격을 가진 남자. 그 소극적인 모습을 [[초식동물]]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 반댓말은 육식계(肉食系). 일본에서 버 붕괴 이후 장기불황으로, 소비욕구가 얕고 이성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세대가 나타났다고 여겨진다. 원인의 한가지로는 환경 교육이나 젠더 교육의 영향도 있다고 여겨진다.
          * [[트러 다크니스]] : [[모모 베리아 데빌룩]]이 [[유우키 리토]]를 초식남에 비유하면서, 육식남으로 만들겠다고 '하렘계획'을 세운다.
  • 최다빈 . . . . 2회 일치
         * [[레 미제라 (뮤지컬)|레 미제라]] <br>{{small| by [[클로드 미셸 숀베르그]] <br> performed by [[본마우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br> choreo. by 파스퀘일 카멜렝고 }}
  • 최은석 (배우) . . . . 2회 일치
         * 《[[라인드 (2011년 영화)|라인드]]》 (2011년) - 형사 2 역
  • 최재웅 (배우) . . . . 2회 일치
         |루스퀘어 삼성전자홀
         |충무아트홀 중극장
  • 최종원(국회의원) . . . . 2회 일치
          * [[언터처(드라마)|언터처]]([[JTBC]], 2018): 구용찬 역
  • 최진순 . . . . 2회 일치
         [[2005년]] [[한국경제신문]]으로 이직해 [[2016년]] 9월 현재 편집국 기자로 재직 중이며 [[언론중재위원회]] [[언론중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신문협회]] 기조협의회 포털팀(TFT) 등 신문업계 기구에서 계속 활동하고 있다. [[2005년]]부터 로그 [[최진순 기자의 온라인저널리즘의 산실]]을 운영 중이다. [[2013년]]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강의 과목은 온라인저널리즘, 디지털스토리텔링, 로그저널리즘 등이다.
  • 최희암 . . . . 2회 일치
         * [[2006년]] ~ [[2009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랙슬래머]] 감독
         |직책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랙슬래머]] 감독
  • 추경호 . . . . 2회 일치
         2014년12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우회가 주관하는 ‘올해의 교우상’을 받았다. 이 상은 1980년부터 고려대 경영대 교우회가 각 부문 특성에 맞춰 뛰어난 동문에게 수여하고 있는데 노리스 오리제를 실천하는 품성과 덕망도 함께 평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 카네다 쇼타로 . . . . 2회 일치
         태양의 사자 버전에선 소년탐정이 아닌 평범한 소년 이었다가 철인의 조종사가 되면서 ICPO(인터폴)의 대원이 되었다. 이후 돈 란치 등 다양한 범죄자들과 싸우며, 최후에는 우주에서 나타난 우주마왕과 싸우게 된다.
         복장은 레이저에 반바지 차림. FX에서는 정장에 트렌치 코트 등 서양 느와르의 탐정풍 복장을 입다 이후 인터폴 장관이 되면서 장관복을 입는다.
  • 캡콤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들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었으며 이후 마 vs 캡콤 등의 게임을 내놓기도 했다.
  • 캡틴 아메리카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어벤저스의 리더하면 떠오르는 캐릭터이기도 하며 영화 시리즈인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주요 캐릭터가 되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 . . . 2회 일치
         [[홈월드]], [[임파서 크리쳐스]], [[워해머 40,000: 던 오브 워]]를 개발했던 [[렐릭 엔터테이먼트]]가 개발했으며, 렐릭 엔터테이먼트를 소유하고 있던 [[THQ]]가 배급하였다. THQ가 파산해 사라진 현재는 렐릭을 인수한 [[세가 게임즈]]가 배급하고 있다.
          테일즈 오브 발러에서 지원되는 캠페인. 제82공수사단 소속 에이 분대와 베이커 분대가 주인공. 라 피에르 둑길을 확보하기 위해 벌인 전투를 다루고 있다.
  • 케이블 타이 . . . . 2회 일치
         [[케이]]을 묶어서 정리하기 위한 [[플라스틱]] 밴드. 주로 복잡한 컴퓨터나 가전제품 케이을 묶어서 정리하는데 사용한다. 잘못 사용하면 정리하는게 아니라 더 복잡해지니 주의. [[끈]]이나 [[매듭]]보다 묶기가 간편하고, 매듭보다 훨씬 풀리기 어렵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도구.
  • 코미디언(왓치맨) . . . . 2회 일치
         만화 [[왓치맨]]의 등장인물. 코미디언은 히어로로써의 이름이고 본명은 에드워드 모건 레이크(Edward Morgan Blake). 작중에선 이미 살해된 상태이다. 왓치맨의 도입부는 코미디언 살해범을 찾으려는 [[로어셰크]]의 독백과 레이크 살해현장을 조사하는 두 [[형사]]의 대화로 시작된다.
  •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 . . . 2회 일치
         이후 오스만 전군이 모두 모였던 4월 5일에, 황제는 그의 정예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메소테이키온 성벽에 자리잡았고, 그의 오른쪽에 카리시오스 문과 미리안드리온 성벽엔 주스티니아니가 자리잡았다.[* 그러나 튀르크의 공격이 메소테이키온에 집중되자, 그의 병력을 이끌고 거기서 황제를 지원했다.] 그중 미리안드리온은 제노바에서 그들의 무기와 방어구를 직접 구입해 도달했던 보카아르디 삼형제가 이끌었다. 베네치아 거류민 대표 미노토와 그의 휘하 병사들은 라케르나에 황궁 구역에 자리를 잡으면서 해자를 비우고 다시 메우는 임무를 맡았고, 역시 베네치아인인 테오도르 카리스토는 칼리가리아 문과 테오도시우스 성벽 사이 성벽 방어를 담당했다. 레오나르도 주교와 제노바에서 온 란가스코 형제는 금각만근처 해자뒤쪽에 자리잡았다. 한편으론 황제의 왼편에는 제노바병사들이 자리를 잡았고, 그 옆에는 황제의 친족인 테오필로스 팔레올로고스가 그리스인 군대와 함께 페가에문을 방어하고 있었다. 황금문은 마누엘이라는 제노바인이 담당했으며, 그의 옆 바다쪽에는 황제가 가장 신뢰하던 군인인 데메트리오스 칸타쿠제노스가 자리잡았다.
         이에 맞서 튀르크군은 자가노스 파샤[* 그리스인 배교자로, 대표적인 주전파였다.]를 지휘관으로 한 부대를 금각만 근처에 배치했고, 보소포로스 해협건너 언덕에 병력을 산개시켜 페라의 제노바인들이 도시를 돕지 못하게 막았다. 그리고 성벽 맞은편쪽으로 시선을 돌리면, 금각만에서 언덕위에 카리시오스 문까지는 카라쟈 파샤를 지휘관으로 한 유럽 정규군들이 배치되었다. 이들은 중포도 상당수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포들은 라케르나에 성벽에서 테오도시우스 성벽과 이어지는 귀퉁이 공격에 사용될 예정이었다. 리쿠스 계곡 남쪽 경사면에서 마르마라 해안까지는 이샤크 파샤의 지휘하에 아나톨리아 정규군이 저라접었는데, 그는 황제의 신임을 받지못했기에 그의 절친한 친구였던 그리스인 배교자 마무드 파샤가 지휘를 맡았다.[* 그는 특이하게도 앙겔로스가 출신이었다.] 술탄은 메소테이키온 성벽 맞은편 리쿠스 계곡에 자리잡았는데, 그의 앞에는 그의 최정예 부대인 예니체리 부대와 헝가리인 대포 기술자 우르반의 대포들이 있었다.[* 이 우르반이란 자는 본래 황제에게 고용된 자였는데, 황제가 그의 신작품들을 만들어줄 자금이 충분치 않다는걸 알자, 몰래 도시를 빠져나와 술탄에게 간 자였다.]
  • 콩고(소설) . . . . 2회 일치
         배경은 1970년대, 장래 레이저 산업 분야나 반도체 분야에서 유망한 용도가 전망되는 루 다이아몬드 광산을 찾아서, 미국의 지구자원개발연구소는 콩고의 정글로 탐사대의 파견하지만 목적지에 거의 도달한 상태에서 미지의 존재에게 기습당해 전멸된다. 단서라곤 연결되어 있던 영상 통신에 잠깐 잡힌 이상한 고릴라의 모습 뿐.
         탐사대에서 유일하게 루 다이아몬드 몇알을 챙겨서 제법 큰 돈을 만진다.
  • 크루세이더즈 . . . . 2회 일치
          Freedom Fighters #7 (April 1, 1977)에서 첫등장. 제2차 세계대전 시절에 지구1의 만화책에서 등장한 팀으로 이후 진짜로 등장. 오리지널 멤버들을 보면 마의 인베이더즈가 모티브다. 비슷한 경우로 [[맥시멈즈]], [[챔피언스 오브 앵거]]가 있다.
          * [[마 코믹스]]
  • 크림 전쟁 . . . . 2회 일치
         [[흑해]] 연안이 아닌 곳에서도 전투가 벌어졌다. 영국과 프랑스의 함대가 [[발트해]]의 [[크론슈타트]]를 봉쇄하고 [[백해]]의 [[콜라(도시)|콜라]]를 포격하였다. 영국과 프랑스는 [[캄차카 반도]]에 위치한 [[페트로파롭스크]]를 공격했지만 큰 피해를 입고 물러났다. 이들은 러시아군이 철수한 이후에야 페트로파로프스크를 점령할 수 있었다.
  • 키프 . . . . 2회 일치
         버 시대에 나타난 용어 키프 군(キープ君)에서 유래한다. 어원은 영어의 Keep.
         버 시기에는 키프 군 이외에 비슷한 용어가 있었다.
  • 타오파이파이 . . . . 2회 일치
         레드리본군 편에서 등장하며, [[루 대령]]을 [[혀]]를 사용하여 살해하는 무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레드리본군의 의뢰를 받아 손오공과 대결하여 한 차례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카린탑]]에서 수행하고 내려온 손오공에게 패배. 복수를 노리고 [[사이보그]]가 되어 부활했으나 [[천진반]]에게 패배한다.
         등장 당초에 손오공 이상의 강자로서, 손오공을 고전시켰던 루 대령을 혀만 가지고 살해했다. 또 레드리본군 병사들을 쉽게 제압하던 우파의 아버지 보라를 살해. 손오공과 대결하여 도돔파로 쓰러뜨렸으며, 손오공은 품 속에 넣어둔 드래곤볼이 없었다면 죽었을 것이다. 하지만 카린탑에서 수행한 손오공에게는 패배하고 만다.
  • 테헤페로 . . . . 2회 일치
          * 2009년 7월, 히카사가 로그에서 처음으로 사용.
          * 2011년 3월 [[AKB48]]의 [[와타나베 마유]]가 감염되어 로그에서 사용.
  • 템포라 . . . . 2회 일치
         [[광케이]]을 해킹해 전화 통화, 인터넷 접속 내역, 이메일 등을 수집하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렇게 빼낸 정보는 30일 이상을 저장된 상태로 분류되고 분석되었으며, 미국 정보기관인 [[NSA]]에 공유되기도 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7303662|국민일보 - 영국 정보기관, 대서양 광케이 해킹… ‘템포라’ 프로그램 운용(한글)]]
  • 토리코/367화 . . . . 2회 일치
          * 루 니트로 아톰은 지금이야 말로 지로를 처리할 기회지만 아카시아에게 금관두를 보일 수가 없어 망설인다.
          * 루 니트로는 자기들의 전체 계획을 네오, 아카시아와 공유하고 있는게 아니었다.
  • 토리코/370화 . . . . 2회 일치
          * 스타는 레이즈 돔으로 GOD가 도주하지 못하게 감싸 버린다.
          * 루 니트로를 배신한 그들을 보살펴준 것이 이치류였다. 명령에 따른 거지만 살육을 저지른 과거도 죄를 묻지 않았다.
  • 토리코/371화 . . . . 2회 일치
          * 조금 떨어진 곳에서 루 니트로 아톰과 페어가 지켜보고 있다.
          * 아톰은 페어에게 루 니트로 센터의 행방을 묻는데, 곧 "센터"를 가지고 이리로 올 거라 답한다.
  • 토리코/373화 . . . . 2회 일치
          * 과거 루 니트로를 탄생케 했던 구르메 세포를 담은 운석이 지구에도 떨어졌던 것이다.
          * 나카우메는 이 식기들이 루 니트로들이 풀코스를 조리하며 썼다는 것을 기억해내고 GOD가 있는 곳으로 가겠다고 자청한다.
  • 토리코/378화 . . . . 2회 일치
          * 루 니트로 센터가 돌아와 토키로를 공격하나 테리가 나타나 구해준다.
          * 그때 루 니트로 센터가 복귀, 토리코를 공격한다.
  • 토리코/382화 . . . . 2회 일치
          * 루 니트로 페어는 풀코스를 먹은 아카시아를 네오에게 먹여 모든걸 끝내려 하지만 아카시아는 배신한다.
          * 루 니트로 페어는 네오는 지금까지 없던 최고 상태지만 "완전한 생명"을 갖춘 형태는 아니라고 말한다.
  • 토리코/388화 . . . . 2회 일치
          * 루니트로 페어는 무슨 일이 생겨도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는데...
          * 토리코는 예상치 못한 전개에 당황하는데 그때 루 니트로 페어가 나타나 "시작된 거다"라고 말한다.
  • 토시코 막스 . . . . 2회 일치
         1936년 태생, 1971년 런던정치경제대학교를 졸업, 1976년 영국 귀족 로톤 남작 마이클 막스(Baron Marks of Broughton)와 결혼하여 로톤 백작 부인 마크스 토시코(Honourable Toshiko Marks, Baroness Marks of Broughton)가 되었다.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2회 일치
         == 플레이어 가문 ==
         == DLC 추가 플레이어 가문 ==
  •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 . . . . 2회 일치
         파이널 파이트 정식 속편들은 [[슈퍼패미컴]]으로 2탄과 3탄이 나왔다. 다들 1편만도 못한 함량미달로 묻혔으나 [[슈퍼패미컴]]용 2탄의 여성 캐릭터 '[[겐류사이 마키]]'가 [[CVS2]]에 등장하면서 잠시 재조명될 뻔 하기도 했다. 마키는 이후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3 더 어퍼 등의 이식작에서도 등장하는데, 이식작들 반응이 좋지 않아서 역시 그냥 묻혔다.(...)
         2010년에는 리메이크 버전인 파이널 파이트 : 더 임팩트가 [[DLC]]로 출시. 안에 덤으로 [wiki:"매직 스워드" 매직 소드]가 동봉되어 있다.
  • 페어리 테일/488화 . . . . 2회 일치
          * 러드맨은 가질을 황천의 문으로 끌고 들어가며 두 번 다시는 돌아갈 수 없다고 하며 소멸한다.
         - 가질. 러드맨의 최후의 발악으로 끌려가며 레비에게.
  • 페어리 테일/494화 . . . . 2회 일치
          * 스프리건12 집결. 갓세레나, 월, 러드맨은 사망해서 나인하르트가 히스토리아로 부활시킨다.
          * 윌 이히트, 러드맨, 갓세레나 부활. 나인하르트가 당하면 끝이므로 셋에게 경호를 맡긴다.
  • 페어리 테일/508화 . . . . 2회 일치
          * 러드맨, 윌을 상대하던 미네르바 올랜드와 로그 체니도 목격한다.
          * 상처투성이가 된 로그 체니와 미네르바 올랜드. 러드맨과 윌이 쓰러져 있다. 미네르바는 해치웠다고 표현하지만 사실 그들이 쓰러뜨린 건지 술자(나인하르트)가 쓰러져서 사라지는 건지는 불분명. 상태로 봐선 후자에 가까운 듯 하다.
  • 페어리 테일/528화 . . . . 2회 일치
          * 그때 루 페가수스의 천마호가 나타나 아크놀로기아에 몸통박치기를 가한다.
          * 루 페가수스의 "마도폭격정 크리스티나"호가 불시착으로 내려와 아크놀로기아를 치어버린다.
  • 페어리 테일/531화 . . . . 2회 일치
          * [[안나 하트필리아]]와 [[엘자 스칼렛]] 일행을 태운 [[루 페가수스]]의 크리스티나호는 [[아크놀로기아]]를 시간의 틈새로 유인한다.
          * [[루 페가수스]]의 크리스티나호는 [[아크놀로기아]]를 상대로 아슬아슬한 추격전을 이어가고 있다.
  • 페어리 테일/536화 . . . . 2회 일치
          * 둘의 힘을 더해서 크리스티나호는 다시 날아올랐다. 웬디와 루 페가서스의 길드원들이 그들을 불러보지만 소용이 없다. 이치야는 얼마 남지 않은 화기를 총동원해 아크놀로기아의, 제랄을 붙잡은 팔에 쏟아붙는다. 타격은 되지 않았지만 제랄을 쥐고 있던 손이 풀린다. 이치야가 제랄에게 말했다.
          * 시간의 틈새를 둘러싼 공방도 종결을 맞이했다. 눈 부신 빛이 지나가고 나자 그 자리에는 아무 것도 남지 않았다. 엘자는 제랄을 구했고 함께 하늘을 올려다봤다. 웬디도, 루 페가서스의 모든 사람도. 마룡도, 배도, 이치야와 안나도 없어진 하늘. 히비키가 모두 시간의 틈새로 사라졌다고 중얼거린다. 제니가 믿기지 않아서인지 슬퍼서인지 모를 복잡한 눈물과 함께 말했다.
  • 페어리 테일/540화 . . . . 2회 일치
          * 현실세계에서 웬디를 빼앗아간 아크놀로기아의 거체는 방향을 돌려 매그놀리아로 향한다. [[엘자 스칼렛]]가 분통을 터뜨리나 손쓸 수단이 없다. 그때 다시 하늘이 갈라지면서 시간의 틈새로 사라졌던 [[안나 하트필리아]]와 [[이치야 반다레이 코토부키]]가 떨어진다. [[제니 리아라이트]]와 루 페가수스의 길드원들이 그들에게 헤엄쳐간다. 이치야는 자신도 왜 여기로 돌아왔는지 어리둥절해하지만 기뻐하는 루 페가수스 멤버들에겐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 핀 팡 품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드래곤]]을 닮은 [[괴수]] 캐릭터다. 첫등장은 Strange Tales #89 (October 1, 1961) [[스탠 리]]와 [[잭 커비]]에 의해 만들어졌다.
         거대한 몸집 탓에 그냥 괴수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파충류]]형 [[외계인]]으로 종족은 Makluan/Axonn-Karr. [[노바]] 군단에도 같은 종족 출신이 있다. 그래도 마의 괴수 캐릭터들 중 하나이긴 하다.
  • 하이큐!! . . . . 2회 일치
         [[카라스노 고교]]의 모델은 이와테현 구노헤 군 가루마이마치의 현립 가루마이 고교이다. 실제로 까마득한 산골로, 하이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관광 코스를 소개하고 있다. [http://blogs.yahoo.co.jp/yosicosmic 로그(일본어)] 작품의 배경은 미야기현이면서 카라스노 고교의 배경은 이와테현이 된 셈인데, 이는 작가가 미야기 출신이지만 이와테현에서 청소년기를 보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작가인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이 불분명하다. 심지어는 후루다테 작가가 졸업한 도쿄 디자인 전문학교에 졸업 후 찾아왔었다는 포스팅이 어떤 로그에 올라왔는데, 댓글에서 어떤 팬이 후루다테 하루이치의 성별을 묻자 '작가님이 직접 공개하지 않으신 사생활은 공개할 수 없습니다' 라고 철통방어(...)를 하기도 했다. 종합 1000만 부 이상 팔린 만화책의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으로도, 온라인으로도, 심지어는 인터뷰조차도 그의 활동은 적어 필명이 본명인지, 나이가 얼마인지, 성별이 무엇인지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작품들이 [이와테]현 및 [미야기]현을 작중 배경으로 하고 있고 작가 본인도 인터뷰에서 그렇게 밝혔으므로 출신지가 그 쪽인 것은 분명하다. 작가가 여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팀메이트 간의 감정 묘사, 이름 및 생일의 의미와 관련성까지도 계산한 ~~설정덕후의~~ 섬세함, 특유의 동글동글한 그림체를 근거로 내세워 여자 작가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반면 작가가 남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wiki:"니시노야 유" 니시노야]와 [wiki:"타나카 류노스케" 타나카]의 [wiki:"시미즈 키요코" 시미즈] 빠질을 저렇게 완벽하게(...)그려내는 것은 남자밖에 하지 못한다.', '[쿠로코의 농구]도 남자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감정선을 잘 그려내고 있다' 등을 근거로 남자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점치고 있다.
  • 하이큐/218화 . . . . 2회 일치
          * 츠키시마는 햐쿠자와가 쉬운 공격을 하지 않는다고 보고 록 없이 물러나서 받을까 고민하는데, 그래도 햐쿠자와는 "내려 찍을 것"이라 예측하고 정확히 록한다.
  • 하이큐/233화 . . . . 2회 일치
          * 테라도마리는 190cm에 이르는 장신. 다소 흐트러진 상황에서도 칠 수 있고 후위에서도 공격적이다. 우카이 코치는 사전에 "록 위로 맞는 상황을 피하도록" 지시했다. 그리고 첫 공격부터 록 위로 쳐대는 테라도마리. [[니시노야 유]]가 아슬아슬하게 막아낸다. [[아즈마네 아사히]]가 타나카에게 토스를 올리지만 평소보다 길게 올라갔다. 공은 츠바키하라에게 넘어가고 반격이 스파이크를 막아내지 못한다. 츠바키하라의 연속득점. 스코어는 0대2.
  • 하이큐/234화 . . . . 2회 일치
          공은 에치고에게 연결되지만 아즈마네와 사와무라, [[츠키시마 케이]]의 록에 막혀 저지. 첫 록과 동시에 득점한다. 츠바키하라의 오오사도 감독은 리시브가 늦다고 칼같이 지적,
  • 하이큐/238화 . . . . 2회 일치
          * [[히나타 쇼요]]의 3회차 서브. 츠바키하라에서 받아서 공격. 하지만 [[츠키시마 케이]]가 록한다. [[우카이 케이신]] 코치는 지금 한창 물이 올랐다고 표현하는데 츠키시마는 히나타에 대한 대항심이 좋은 플레이로 이어지고 있다. 츠키시마가 막은 공을 [[타나카 류노스케]]가 살려 찬스볼로 만든다. 그리고 후방으로부터 마이너스 템포로 뛰어드는 히나타. 공중을 나는 것처럼 뛰어오르는 히나타를 보며 [[스기와라 코시]]가 "후방 마이너스!"라고 외친다.
          아즈마네의 스파이크는 아쉽게도 록에 막혀 공이 카라스노 진영으로 떨어지는데 니시노야가 다시 몸을 날려 살린다. 그 공을 이번엔 츠키시마가 우격다짐으로 밀어 넣어 카라스노의 득점으로 연결한다. 다시 벌어지는 점수차.
  • 하이큐/240화 . . . . 2회 일치
          * 히메카와의 3차 서브. 아즈마네가 오버 핸드로 받아내지만 공이 낮게 흐른다. [[카게야마 토비오]]가 바로 공을 살려서 사와무라에게 연결, 사와무라는 스파이크를 칠 듯 하다가 살짝 밀어넣어서 록을 재낀다. 하지만 히메카와가 직접 그걸 받아낸다. 원래 히메카와는 수비 능력이 뛰어나 발탁된 선수였다. 공수양면에서 대활약하는 히메카와.
          니시노야는 카라스노를 애먹이던 천장서브를 보란 듯이 "리시브 자세"로 받아낸다. 공은 카게야마가 주문한 대로 높이 올라간다. 곧바로 [[히나타 쇼요]]가 달려들며 속공 태세. 그러나 페이크였다. 진짜는 아즈마네. 아즈마네의 스파이크가 록을 재치고 히메카와의 옆으로 쐐기처럼 박힌다.
  • 하이큐/244화 . . . . 2회 일치
          * 에이와의 TO 종료. 경기가 재개된다. 에이와의 서브를 코미가 리시브. 아카아시가 보쿠토에게 올린다. 록이 세 명이나 따라 붙지만 보쿠토는 절묘하게 라인에 걸치는 스파이크로 록을 농락, 역전을 성공시킨다.
  • 하이큐/245화 . . . . 2회 일치
          카게야마의 묘사처럼 "동", 하고 뛰어 오른 호시우미가 상대측 록의 위에서 스파이크를 꽂아넣는다. 야마구치는 그 점이 대단하다며 혹시 잡지 같은데 실린 적은 없냐고 묻는다. 옆에 있던 카게야마는 그가 취재받는걸 싫어해 그런 적이 없다고 대답해준다. 히나타는 자리에서 갑자기 일어난다.
          * 호시우미는 그저 점프가 대단한 스파이커가 아니다. 수비면에서도 리시브와 록, 위치를 가리지 않고 고르게 활약하는 좋은 선수다.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는 그는 중계진도 혀를 내두르며 칭찬을 아끼지 않을 만큼 빛나는 활약을 한다. 그 플레이에 관중들까지 단숨에 팬으로 만든다. 그리고 자신의 서브 차례에서 깔끔한 점프 서브로 서브 에이스까지 기록하는 등, 그야말로 전천후 에이스의 모습을 보여준다.
  • 하이큐/253화 . . . . 2회 일치
          * 멋진 페이크로 [[이나리자키 고교]]의 록을 따돌리며 경기의 균형을 맞춘 [[카게야마 토비오]]. 득점에 솔직하게 환호하는 [[사와무라 다이치]]와 달리 사령탑 카게야마는 생각이 복잡하다. 사실 그가 노린 페이크 상대는 맞은 편의 오미미. [[히나타 쇼요]]가 튀어나가면 당연히 따라붙을 줄 알았는데, 잘도 간파하고 히나테에 붙지 않았다. 오미미도 방금 전 카게야마가 "의도적으로 낚으려 했다"며 눈을 흘긴다.
          생각이 복잡한건 코트 바깥의 세터도 그랬다. [[후쿠로다니 학원]]의 [[아카아시 케이지]]가 그랬다. 옆의 [[보쿠토 코타로]]는 완전히 히나타한테 올리는 건 줄 알았다며 카게야마를 칭찬하지만, 아카아시는 차라리 소름이 돋았다. 단순한 미끼를 던져 봐야 이나리자키의 록은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하지만 방금 전 세트업은 퍼스트 터치가 코트 중앙으로 올라가서 각도상으로 보면 완전히 히나타한테 가는 흐름이었다. 그걸 교묘하게 라이트로 보낸게 성공의 이유. 이는 카게야마가 시야가 넓기만 한게 아니라 상대에게 어떻게 보일지까지 파악한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남은 요소는...
  • 하일권 . . . . 2회 일치
         19금 만화책인 ‘코끼리 애교’ 출판에 참여하였다. 또한 ‘히어로 주식회사’, ‘육식공주 예그리나’와 같은 도서의 스토리를 맡기도 했다. 로그에서 ‘박사박사와 발명의성’과 ‘0.1g’이란 만화를 잠깐 올리기도 하였다. '도밍고씨의 흥하는 흥신소'라는 by series브랜드 웹툰도 연재했었다.
         * [http://blog.naver.com/hailkwon 로그]
  • 하정우(영화감독) . . . . 2회 일치
         하정우 라이트 팬이 신분을 속이고 친구 대신 다녀온 캠프 인증글이 디시인사이드 기타 국내 드라마 갤러리에 올라와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하고 각종 사이트로 배달되며 화제가 된 사건. 하정우가 더 테러 라이브, 군도 촬영 전 팬미팅 성격의 캠프를 주최하였다. 하정우와 정경호를 비롯한 후배들 대거 참여(전날 롤러코스터 크랭크업을 했다고) 피의 선착순 댓글을 뚫고 캠프에 당첨된 하정우 팬 80명은 경기도 모처 살얼음이 낀 논두렁 위에서 팀을 나누어 단체 티셔츠를 입은 후 각종 게임을 하였다. 퀴즈 1등 상품은 하정우 그림액자(하정우가 직접 시상). 참가 후기에 따르면 하정우는 동네 형과 싱크로율이 100%라는 이야기가.. 본인이 질식할 만큼 말보로 화이트를 석션했다카더라.. 80명의 테이을 일일이 돌며 털털하게 소맥을 마는데 이 때 머리 크기가 배우치고가 아니라 일반인 치고도 크고 아름다운 사이즈라 카더라. 마지막날 1대1 딥포옹 셀카 촬영 등 지옥의 팬서비스. (하정우에겐 호된 경험이었는지.. 그후 2차 캠프에 관한 이야기는 아직 없는 실정이라고) 이후 하정우 캠프에 대타로 참가한 글쓴이는 하정우가 나오는 영화를 볼 때마다, 하정우 티셔츠를 맞춰 입고 하정우 앞에서 단체 줄넘기 하던 자신의 모습이 불현듯 떠올라.......... 캠프 이후 하정우가 나오는 영화를 잃었다는 안타까운 썰이 있다.
          * 2008년 개봉한 히어로 영화 [[아이언맨|아이언맨1]]에서 당시 [[만다린(마 코믹스)|만다린]] 역에 캐스팅 제의를 받고 오디션까지 봤다고 한다. 시나리오의 변경에 따라 만다린 배역은 없었던 것이 되었고, 그 만다린 역할은 다시 부활하여 [[아이언맨 3]]에서 [[벤 킹즐리]]가 맡게 되는데… --[[맥주/목록#s-2.1|우리는 지구상 최강의 맥주 먹방을 할리우드에서 볼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런데 만다린과 관련한 새로운 [[Marvel One Shot#s-2.5|떡밥]]이 나옴에 따라 어쩌면 다시 가능성이… 생기는걸까?
  • 한진희(1949) . . . . 2회 일치
         [[리멤버 - 아들의 전쟁]]에서는 [[남일호]]라는 [[범죄자]] 랙기업인을, [[문화방송|옆 동네]]의 내일도 승리에서는 천사 그 자체인 자상한 아버지 [[서동천]] 회장님을 연기하는데 이중인격이 아닐까 할 정도로 완전 두 캐릭터가 성격이 반대이다. 분명 동일인물이 연기를 하는데도 소름끼칠 정도로 [[서동천|절대 선]]과 [[남일호|절대 악]]으로 분리되어 있다. [[남일호]]가 한 짓을 [[서동천]] 회장님이 알면 참 볼만해질 것이다. 또한 [[남일호]]가 한 짓을, [[금 나와라, 뚝딱!]]의 [[박순상]]이나, [[왔다 장보리]]의 [[이동후]]가 봐도 볼 만해지실 것이다. 참고로 한진희보다 선배급 탤런트인 [[이정길]]도 2015년 즈음에 동시 방영된 내일도 승리의 전작인 이브의 사랑에서는 [[남일호]]처럼 악하게 생긴 악덕 랙기업인 [[구인수(이브의 사랑)|구인수]] 회장을, 9월 쯤 방영된 [[내 딸 금사월]]에서는 [[서동천]] 회장처럼 인자하게 생기시고, 자상하고, 도덕관이 투철하고 투명한 생각을 가진 [[신지상]] 회장님을 연기한 적이 있다.
  • 한희 (연출가) . . . . 2회 일치
         | align="left" | [[MBC 수목드라마|수목드라마]] 《[[굿바이 미스터 랙 (텔레비전 드라마)|굿바이 미스터 랙]]》
  • 핫라인 마이애미 . . . . 2회 일치
          * 더배럴 산탄총
          6발짜리 산탄총. 나머지는 더배럴 산탄총과 같다.
  • 허드슨 대학교 . . . . 2회 일치
         참고로 로 앤 오더 만이 아니라 은근히 범죄극에 등장하여 흉악사건의 무대가 되는 경우가 많다. 등장한 작품으로는 캐슬, 러드 등이 있다. 의외로 코스비 가족에도 등장했던 모양.
  • 허안나 . . . . 2회 일치
         * 2018 코믹컬 드립걸즈 시즌7 루팀 ('''허안나''',[[성현주]],[[박은영 (희극인)|박은영]],신기루)
         * 2010~2011 러리수 쇼핑몰모델
  • 현주엽 . . . . 2회 일치
         현주엽은 상무 복무중 출전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농구 결승전에서 중국에 극적 역전승을 이끌어 내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ref>연합뉴스 2002년 10월14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01&article_id=0000255351 “아시안게임-<농구> 한국, 20년만의 금메달(종합)”]</ref> 당시 중국은 NBA 지명 1순위에 빛나는 야오밍이 포함되어 있었고, 한국은 시종일관 중국에 리드를 당해 종료 3분 17초를 남기고 71-84로 뒤지며 패색이 짙었다. 이때 김진 대표팀 감독은 작전타임을 부른후 현주엽과 김승현을 교체 투입하는 마지막 승부수를 띄웠다. 현주엽의 미들슛과 골밑돌파, 그리고 김승현의 가로채기와 어시스트가 빛을 발하며 한국팀은 무더기 득점을 엮어나가기 시작했다. 마침내 4쿼터 종료 4.7초를 남기고 현주엽이 드리에 이은 대담한 골밑돌파로 레이업슛을 성공, 동점을 만들면서 승부는 연장전으로 넘어갔다. 연장전에서도 김승현과 현주엽의 활약은 이어졌고 102-100로 경기를 마무리 지으며 20년만에 남자농구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되찾아올 수 있었다.
         * 발은 느리지만 70cm에 달하는 서전트점프 능력으로 골밑을 장악하고, 센터출신치고는 보기 드물게 드리 능력과 아웃렛 패스 능력이 좋아서 고교 시절부터 한 경기 평균 5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대학시절부터 종종 멋진 덩크슛을 성공시켜 팬들의 특별한 사랑을 받기도 했다.
  • 홍화리 . . . . 2회 일치
         * 2015년 [[KBS 2TV|KBS2]] 월화드라마 《[[러드 (드라마)|러드]]》 ... 이나정 역
  • 황광희 . . . . 2회 일치
         | 스타 펫 트래 광희 in Japan
         | 뷰티바이 2015
  • 황선희 . . . . 2회 일치
         | [[러리 호러리]]
  • 황제성(코미디언) . . . . 2회 일치
         || 소속사 ||<(> [[iHQ|Sidus HQ]][* 기존 소속사였던 iHQ의 매니지먼트 예능 사업본부 ‘뉴에이’이 싸이더스HQ에 재편입되면서 싸이더스 소속이 되었다.] ||
          * 2015년 SPOTV <버파이터>
  • 히나타 쇼요 . . . . 2회 일치
         ||<:>신장 / 몸무게[[br]](고교 1학년 4월 달 기준) || 162.8cm/51.9kg || 포지션 || 미들 로커 (MB) ||
         日向 翔陽 . 만화 [[하이큐!!]]의 주인공. [[카라스노 고교]] 소속 선수로 포지션은 미들 로커(센터). 일명 '''최강의 미끼'''로 불린다.
  • 히어로즈 포 하이어 . . . . 2회 일치
         [[마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팀]]. 첫등장은 Power Man and Iron Fist #50 April 1, 1978
         게임 얼티밋 [[마 VS 캡콤 3]]의 아이언 피스트 엔딩에서도 언급. 루크 케이지, 미스티 나이츠, 콜린 윙 외에도 [[류]], [[춘리]], [[이치몬지 바츠]]가 같이 등장했다.
  • 1000가지 위기의 순간 . . . . 1회 일치
         1000 Ways to Die. [[단막극]] 형식으로 사고사 사례를 보여주는 미국의 TV 프로그램이다. 국내에서는 케이 채널인 [[스마일TV]]가 방송 중.
  • 3월의 라이온/125화 . . . . 1회 일치
          * 스미스, 요코미조, 타나카 3인은 대국을 마치고 한잔 하러 가는데, 마침 나메리카와와 마주처 호러한 택시에 타게 된다.
  • 3월의 라이온/126화 . . . . 1회 일치
          * 팔다 남은 음식들을 서둘러 챙기야 하는데 테이이 무너지면서 음식이 쏟아질 뻔 한다.
  • 3월의 라이온/129화 . . . . 1회 일치
          * 또 하나 니카이도가 기대하는 것은 키리야마와 반대 록에 있다는 것. 즉 둘이 대결한다면 대회 결승이다. 게다가 그가 결승까지 나갔다는건 무려 "소야 명인을 쓰러뜨린 기사"라는 얘기가 되어버린다. 니카이도는 엄청 흥분해서 키리야마에게 절대 지지 말고 결승에게 붙자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키리야마는 드라이한 톤으로 "왜 네가 소야 명인을 이겼다는걸 전제로 하냐"고 딴죽을 건다.
  • A-10 선더볼트 . . . . 1회 일치
         1960년대 미 공군이 근접항공지원용 공격기를 공모했을 당시 [[페어차일드|페어차일드 리퍼릭]]사가 내놓은 모델이 채택, A-10 선더볼트가 되었다. 1972년 첫 비행을 벌였고 1975년 실전 배치 되었다고.
  • Crusader Kings 2/DLC . . . . 1회 일치
         룬스톤, 로트, 광전사와 같은 토속 신앙 전용 디시전과 이벤트가 추가되었다.
  • DC 확장 유니버스 . . . . 1회 일치
         DC판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이며 DC의 유명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슈퍼맨 주연 영화인 맨 오브 스틸이 첫 영화이며 그 이전에 나온 DC 영화들과는 무관한 세계관이다. 즉, 크리스토퍼 리브의 슈퍼맨 시리즈, 다크나이트 트릴로지 등과는 세계를 공유하지 않아 설정과 내용에서 아무 관계 없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1회 일치
         원래는 모드였으나,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에서 별도의 게임으로 퍼리싱 해줬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1회 일치
          * 발동 조건: 아헨, 쾰른, 뒤셀도르프, 에센, 코렌츠, 노이비에트, 트리어, 자르브뤼켄, 마인츠, 다름슈타트, 카를스루에, 프라이브루크, 튀빙겐 중 한 지역에 독일군이 위치해야 함.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1회 일치
          * 긍정적인 효과: 주둔병 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5%, 헌병 여단 생산 비용 및 시간 -5%, 만율 증가량 -8%
  • Drunken Sailor . . . . 1회 일치
         게임 [[어쌔신 크리드 IV: 랙 플래그]]에 [[https://youtu.be/9r2b-CSOwDY|등장한다.]]
  • EM 드라이브 . . . . 1회 일치
          * EM 드라이브의 작동은 워프 버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 K리그 . . . . 1회 일치
          * [[수원 삼성 루윙즈]]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1회 일치
         [[수원 삼성 루윙스]]
  • MoniWikiPlugins . . . . 1회 일치
         === 로그 관련 ===
  • RandomQuoteMacro . . . . 1회 일치
         '''Q''' : 로그를 쓰면 Calendar 밑에 이 모듈이 붙어있더군요.
  • That 70's show . . . . 1회 일치
         [[미국]]의 [[시트콤]]. 1998년에서 2006년 까지 방송했다. 미국 FOX 채널에서 방송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요절복통 70쇼 등으로 케이 TV 등에서 방송됐다. 1970년대, [[위스콘신]] 주의 포인트 플레이스라는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 USS 피닉스 (CL-46) . . . . 1회 일치
         1943년 7월, [[국무장관]]이었던 [[코델 헐]]을 [[카사랑카]]까지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한 피닉스는 다시 태평양 전역으로 돌아온다. 같은 해 12월에는 글로스터 곶에 상륙하는 연합군을 지원하였으며, 1944년 1월에는 [[뉴기니]] 섬의 해안시설을 포격하는 임무를 맡았다. 2월에는 [[로스니그로스]] 섬에 상륙하는 연합군을 지원하였고, 3월에는 다른 연합군 순양함과 함께 일본군의 해안 포대를 깨부쉈다. 4월 22일에는 홀란디아[* 現 [[자야푸라]].]에 상륙하는 연합군을 지원하였고, 그로부터 1주일 후에는 근처 지역의 일본군 비행장을 포격, 연합군을 위협할 수 없게 하였다. 5월에는 또다른 상륙작전들을 지원하여 일본군의 초소를 초토화시켰다. 6월에는 해당 지역에 증원군을 수송하던 일본군 구축함들을 발견, 쫓아내었다. 7월에는 Numfoor[* Neumfoor라고 읽기도 하는 듯. 갓-구글님께서 한국어 표기를 말씀하시지 않으신다.]의 해안을 포격했다. 9월에는 말루쿠 제도의 [[모로타이]] 섬 상륙작전을 지원하였다.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1회 일치
          * Vacuum Table(베큠 테이)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1회 일치
          * Thorstein Veblen(소스타인 베런)
  • head to head . . . . 1회 일치
         이 규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대회이며, 매 시즌마다 이 규정 때문에 희비가 엇갈리는 팀이 꼭 생길 정도로 대회의 흥행을 좌우하는 요소로 자리잡았다. 2016시즌만 봐도 A조의 [[알 이티하드]], G조의 [[수원 삼성 루윙즈]]는 각조 2위에 비해 골득실이 높았지만 이 원칙에 의해 순위에 밀려나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 강구열 . . . . 1회 일치
         | 키보드 = 삼성 랙 키보드
  • 강연재 . . . . 1회 일치
         * {{공식 로그|https://blog.naver.com/yjk-black|강연재}}
  • 강재형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2011년]] 2월 : 루터치 홍보대사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156화 . . . . 1회 일치
          * 우마루와 실핀이 신나게 떠들던 세계관은 이데드나 매드맥스, 터미네이터가 짬뽕된 해괴한 포스트 아포칼립스.--폴아웃이네--
  • 검은방 시리즈 . . . . 1회 일치
          검은방 4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로 등장.
  • 고수희 . . . . 1회 일치
         * 《꽃다방 루스》
  • 고원희 . . . . 1회 일치
         * 2016년 《[[한강루스]]》 ... 안젤라 수녀 역
  • 공명(배우) . . . . 1회 일치
          * [[https://www.youtube.com/watch?v=kmjnzEHQLHw&feature=youtu.be|CF - 루마운틴 # 이거 하나면 돼 편]] (with [[김도연(위키미키)|김도연]], [[최유정]], [[차은우]])
  • 공산당 지도 원리 . . . . 1회 일치
         [[공산주의]]의 정치사상. [[라디미르 레닌]]이 주창한 것으로서, 레닌주의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북한에서는 '당의 영도'라고도 번역한다.
  • 권희동 . . . . 1회 일치
         || '''응원가''' || ~~[[미션 임파서]] 주제곡~~ [* 본인이 타격에 집중이 안된다고 응원가 변경을 요청했었으나 팬덤의 반응이 워낙 좋았던지(...) 다시 부활했다.][* 동~동 동동 N~C 희동 동~동 동동 N~C 희동 권희동~권희동~안타!x2][* [[KBO 리그 응원가 저작권 사태|저작권 문제]] 때문에 2017년 들어서 쓰지 않는다.] [br] ~~[[체리필터]]-Show Time~~[* 응원가 변경을 요청했을 때 당시의 바뀐 응원가. 가사는 이봐 친구 날 위해 싸워주리~ 권희동 안타~권희동 안타~화끈하게 다 날려버려~x2. 이 응원가는 만들고 조금 후에 바로 사라진 탓에 이 응원가를 모르고 응원가가 없어진 줄 알았다는 사람도 많다.] [br] [[Colonel Bogey March]][* NC! 권희동 날려라! NC 권희동 날려라! NC! 권희동 안타! 오오오오오오오오오][* 2017년 6월부터 사용, 잘 알다시피 [[에릭 테임즈|테임즈]] 응원가 재탕이다...] ||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지역 . . . . 1회 일치
         === 루베리(Blueberry) ===
  • 그린 애로우 . . . . 1회 일치
         연인은 랙 카나리가 있다.
  • 기간트 . . . . 1회 일치
          * 인원 부족 및 숙련도 저하 : 레프카의 심복들은 숫자가 적은데다가 기간트가 원래 1급 비밀에 가까운 물건이라서 해당 기체의 성능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간신히 조종록에서 다른 곳을 원격조종하는 수준만 가능했기 때문에 엔진실등 중요 부위에 인원을 하나도 배치하지 못했다. 그래서 코난 일행이 파괴공작을 쉽게 한 것이다.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 . . . 1회 일치
         [[철인 28호]]를 연상케하는 요소가 있다. 주역기인 잉그램은 등장 초기만 해도 다른 레이버들보다 앞서는 성능의 신형기체였는데 내용이 진행되면서 잉그램보다 더 우수한 성능의 레이버가 등장하는 묘사는 [[철인 28호(로봇)|철인 28호]]와 닮았다. 심지어 잉그램의 대표적인 라이벌인 그리폰은 랙 옥스처럼 검은 색에 굉장한 전투력을 발휘하는 적이다.
  • 기동전사 건담 실루엣 포뮬러 91 . . . . 1회 일치
         코믹스는 사이버 코믹스(CYBER COMIX)[* 반다이에서 발매한 SF 만화 잡지. 건담계열 작품이 많이 연재되었는데, '''온갖 괴작'''이 넘쳐나는 잡지였다. 건담으로 닌자물이 되어버린 G의 인영이나, 마법의 소위 래스터 마리 등등(…)]와 MS SAGA에서 발표되었다. 이후 단행본으로 출시. 소설은 MJ 지에서 발표되었다.
  • 기축통화 . . . . 1회 일치
         1970년대 까지, 미국 달러화는 세계 경제의 2/3를 차지했다. 나머지 1/3은 영국 파운드화와 소련 루이 양분(각각 1/6)하였다.
  • 길은혜 . . . . 1회 일치
         * [[2011년]] 《[[마이 랙 미니드레스]]》 ... 서브작가 역
  • 김가은(1989년 5월) . . . . 1회 일치
         || [[2008년]] || [[씨야]], [[다비치]], [[랙펄]] || Blue Moon || ||
  • 김경식 (희극인) . . . . 1회 일치
         === 케이 방송 ===
  • 김구현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2008년]] 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2008 스타크래프트 부문 4위
  • 김기수(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자신이 런칭한 썬 스틱 화장품 영상에선 [[https://youtu.be/Usd6i4iJAlk?t=1m42s|시연자의 피부에 바르는 '시늉'만 하는 장면을 보여줘]] '루투스 선스틱'이라는 부정적인 반응도 나타났다. [* 이에 관련 제조업체는 '촬영 전 연출된 부분' 이라 해명했고 김기수는 '홈쇼핑 생방에서는 제가 직접 화장 위에 시연한다. 본의아니게 실망드려 죄송하다.'며 곧바로 사과 댓글을 썼지만 애초에 연예인의 이름을 걸고 광고할 때 소비자는 연예인을 신뢰하고 사기 때문에 조심했어야하는 부분.]
  • 김대륙 . . . . 1회 일치
         5월 19일 경기에도 9번 유격수로 선발출장하여, 첫 타석 3루타를 기록했으나, 나머지 두 타석은 삼진으로 물러났다.-- 3루타를 이틀 연속 치다니 또 다른 거포유격수인건가… 는 무슨.-- 이후 엔트리 말소해서 2군에 지내고 있다가 7월 10일 연이은 난조로 말소된 [[조쉬 린드럼]]와 교대되어 1군에 다시 올라왔다
  • 김도균 . . . . 1회 일치
         [[편의점을 털어라]] 파일럿 1화에서 100만점 돌파를 인증한 후, 정규편성 1화에도 등장했는데 이 때 한 말이 "원래는 100만포인트 모이면 태릿PC를 사려고 했는데, 100만까지 모으고 나니 그냥 별 생각이 없더라. '''기왕 이렇게 된 거200만도 한번 노려볼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인증하며 출연진들을 경악시켰다.
  • 김동욱(배우) . . . . 1회 일치
         || 2016년 || 제10회 케이TV 방송대상 || 베스트 캐릭터상 || 라이더스: 내일을 잡아라 ||
  • 김미경(강사) . . . . 1회 일치
         || '''소속''' || 더유 인사이츠 (대표)[br]김미경의 이클래스 (대표) ||
  • 김민기(가수) . . . . 1회 일치
         김민기가 창단한 극단인 학전으로부터 배출된 배우들이 꽤 유명하다. [[황정민]], [[설경구]], [[조승우]] 등 모두 대학로의 학전을 한 번씩 거쳐간 인물들이다. 노래로 유명한 학전 출신 가수는 [[김광석]], [[유재하]][* 김민기가 유재하로 하여금 '가요계의 루칩 같은 존재' 라고 언급한 적도 있다.], [[김민기(가수)|김민기]] 본인(...) 등이 있다.[* 실제로 학전을 창단한 뒤로도 김민기는 자신의 음악 활동을 이어갔으며, 그 과정 중에 나온 것이 [[1993년]] 김민기 전집 1~4이다.]
  • 김민아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minamint 김민아] - 네이버 로그
  • 김범룡 . . . . 1회 일치
         | 레이 =
  • 김봉근(배우) . . . . 1회 일치
         * 《[[원지동 루스]]》([[KBS]])
  • 김선재 (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맨 인 랙박스]]》(2016년 9월 6일 ~ 2017년 9월 10일)
  • 김성민 (1991년) . . . . 1회 일치
          | 소속사 = 룸엔터테인먼트
  • 김수자 . . . . 1회 일치
         김수자는 1957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으며, [[홍익대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하였다. 김수자의 화가로서의 근본은 그녀의 예술 발전에서 중요한 시작점이다.<ref>Arum Sok, Christina, Kimsooja: A Modern Day Global Nomad Transcending boundaries, re-constructing a global identity 2014, paper Abstract, in Kimsooja’s official website: http://www.kimsooja.com/texts/sok_2014.html</ref> 김수자의 "꿰매기" 시리즈는 세계의 뒤엉퀸 모습을 수평면과 수직면의 체계에 합성하여 십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천의 아상라주를 만든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루초 폰타나]]가 하나의 색으로 칠해진 캔버스를 날이 선 단도로 꽤뚫었던 것과 같이 김수자 또한 작품의 표면을 꿰매어 더 이상 환상의 화면이 이닌 3차원 구조의 예술을 창조하였다.<ref name="Contemplating">Suh Young–hee, Contemplating a System of Horizontals and Verticals, Vancouver Art Museum, 2013.</ref>
  • 김승대 . . . . 1회 일치
         2015년 8월 2일 중국전에서 선제 득점을 기록했다. 유럽파를 차출하지 못해 [[기성용]]이 빠진 상태에서 미드필러 라인을 어떻게 꾸릴 것인지 우려가 많았으나, 슈틸리케 감독은 뜻밖에도 원톱 이정협 밑에 김승대 [[이종호(축구선수)|이종호]] [[권창훈]] [[이재성(1992)|이재성]] 등 드리러가 아닌 공간 침투와 패스에 능한 선수들을 배치하며 4-5-1과 4-3-3을 자유롭게 오가는 전형을 선보였다. 경기 초반에는 손발이 잘 맞지 않아 답답한 모습을 보였으나 차츰 이들의 연계가 맞물리기 시작하면서 중국 미드필더들은 속수무책, 글자 그대로 능욕을 당했다.
  • 김시진 . . . . 1회 일치
         2013 시즌 계투진의 많은 론세이브와 투수 교체에 관한 비판이 있었고, 또한 당시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였던 [[김승회]] 혹사 논란이 있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296602]
  • 김옥이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kim_oklee/ 김옥이 로그]
  • 김유미(1979) . . . . 1회 일치
         || 2006 || 버시스터즈 || 사랑 먼지 ||
  • 김재규 . . . . 1회 일치
          [[백윤식]]이 열연했다. 김재규와 [[박정희]] 살해 사건을 주제로 한 랙 코미디 영화. 이런 류의 풍자 코미디가 드문 한국에서는 괜찮은 수작이다. 다만 조롱에 중점을 둔 나머지 영화 속 청와대 사람들에 대한 묘사의 리얼리티는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 김재박 . . . . 1회 일치
         쌓이고 쌓여서 2015년 6월 5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릴 경기를 비가 그쳤음에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l&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414294&date=20150605&page=1|우천 취소를 때려버려]] 팬들의 원성을 샀고 급기야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1284855&cpage=&mbsW=search&select=sct&opt=1&keyword=%C0%E7%B9%DA|SBS 스포츠]]에서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1298498&cpage=&mbsW=&select=&opt=&keyword=|우천취소 메뉴얼]]까지 제안해가며 김재박을 깠다. 2015시즌 후반부 월요일 경기 및 더헤더 임시 도입에 이 사람의 우천취소 남발이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다.
  • 김종훈 (1952년) . . . . 1회 일치
         * [http://jhkimdragon.tistory.com/ 김종훈 로그]
  • 김준 (배우) . . . . 1회 일치
         | 스마트 트래러 인 도쿄
  • 김지석(배우) . . . . 1회 일치
         ||<|4> 2017년 ||<|2> 제11회 케이 방송대상 || 인기스타상 ||<|2> 또 오해영 ||
  • 김지훈 (영화감독) . . . . 1회 일치
         1998년 단편영화 《온실》로 제2회 [[세계 필름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으며, 제46회 [[독립영화제]]에서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후 《[[목포는 항구다]]》, 《[[화려한 휴가]]》를 제작하였다. [[5.18]]을 다룬 《[[화려한 휴가]]》는 [[전라도]] 사투리 연구에 많은 공을 들였고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22&aid=0000227432 김지훈 감독 "대구출신이라 3년 간 전라도 사투리 연구"] 세계일보. 2007년 05월 17일</ref> [[2011년]] [[8월]] 개봉한 한국 최초 3D 록버스터인 《[[7광구]]》를 제작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 = 김지훈: 영화정보-씨네21|url =http://www.cine21.com/Movies/Mov_Person/person_info.php?id=6724|출판사 = 씨네21|확인날짜=2011-05-19}}</ref>
  • 김진우(WINNER) . . . . 1회 일치
          * 맘이 여린 탓에 맏형답지 않게 눈물을 자주 흘리는 가녀린 성격.[* 눈물은 잘 흘리지만 의외로 강단 있는 성격이다. 20살이라는 적지 않은 나이로 연습생을 시작한 것과 가끔 보이는 마이페이스 적인 모습들로 보아 외유내강형인듯.] [[JYP]] 연습생[* 당시 데뷔를 앞둔 [[GOT7]]의 멤버 몇 명과 [[DAY6]] 멤버들]과의 대결 때 가사 실수를 하고 펑펑 울기도 했다. 상당히 노력파이기도 한데, 위너 티비에서 [[강승윤]]은 김진우에 대해 "잠이 없는 노력의 천재"라고 평했다. 남들 잘 시간에 연습을 한다는 의도. 많이 자면 4시간이라고. 연습생 기간에는 자는 시간과 밥 먹는 시간이 아깝다며 밥 대신 커피를 텀러에 들고 다니며 마셨다 여담이지만 [[iKON|형제그룹]]의 [[김진환(iKON)|맏형]]도 눈물이 많다 그나마 TV방송에선 이런 모습은 적은편이다.
  • 김청(1962년 6월) . . . . 1회 일치
          * 2004년 신석기 루스
  • 김태우(god) . . . . 1회 일치
         2011년 3월 29일 정규 2집 앨범 'T-School'을 발매했다. 타이틀곡은 '메아리'. 노래 자체는 나쁘지 않은데 2009년에 발매했던 '사랑비'보다는 뭔가 아쉽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안타깝게도 '사랑비'의 반응이 상당히 좋아서 기대치가 높았던 데다 이 시기 [[8eight|이현]], [[휘성]], [[케이윌]] 등의 남자 솔로 가수들이 가히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던 탓에 조금 부족한 감이 없지 않아 있었다. 다만 저 세 가수의 경우는 정말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기 때문에 이들과 비교할 때 부족해 보일 뿐, 타이틀곡 자체는 음원 사이트에서 [[씨엔루]]나 [[걸스데이]], [[포미닛]] 등 아이돌들 사이에서 상위권에 랭크되기도 하는 등 꽤나 선전했다. 또 앨범의 수록곡 'Brothers&me'는 [[박진영]]과 [[비(연예인)|비]]가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그리고 여담이지만 타이틀곡 '메아리'의 뮤직비디오에서 김태우의 1인 2역 연기를 볼 수 있다... ~~곰 두 마리가 한 집에 있어!~~
  • 김하은(1984) . . . . 1회 일치
         * [[2011년]] 제5회 [[케이TV 방송대상]] 스타상 ([[비밀기방 앙심정]])
  • 김현성(가수) . . . . 1회 일치
         제물포고등학교40회 졸업생이다.[* [[김광진(가수)]]은 27회, [[지상렬]], [[김구라]], [[염경환]]은 33회다.] [[인하대학교]] 불어불문학 2학년 재학 중이던 1997년 제18회 [[강변가요제]]에서 '스톱'을 불러 금상을 받으면서 데뷔했다. 그후 [[김형석]]에게 스카우트 되면서 소원, 이해할께, heaven 등의 히트곡을 남겼으나 [[성대결절]]로 인해 한동안 음악활동을 하지 못했다. 로그의 글이나 언론 인터뷰 등에서 이야기한 것에 따르면 2000년대 중반 연예계를 은퇴했으며 이후 여행 및 저술 활동등을 하며 지냈다고 한다. 참고로 [[2015년]] 기준 미혼이라고...
  • 김현철(교수) . . . . 1회 일치
         2015년 11월 2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최고위 경제분석과정 강의에서 “수출 부진과 가계부채 증가로 한국 경제는 파국에 접어들고 있다”며 지금의 [[대한민국/경제]]가 1990년대 중반 버이 꺼지기 시작한 일본경제와 닮았다고 평가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소니가 삼성 때문에 쓰러졌다고 생각하지만 소니는 삼성이 아니라 일본 정부가 무너뜨린 것"[* 소니가 안 무너졌다는 반론은 있다. 오히려 반등에 성공했다는 지표도 있다.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19018|링크참조]] 그러나 맥락상 포인트는 소니가 무너졌다 안무너졌다의 단순 팩트 체크가 아니라, 일본 정부의 법인세율 인상 정책 때문에 소니가 피해를 입었다는 맥락이다.]이라며, 법인세율 인상은 기업을 망가뜨리게 되고 나아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혜옥 . . . . 1회 일치
         * [[2017년]] 《[[더 테이]]》 ... 숙희 역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3화 . . . . 1회 일치
          * 신도라는 학생은 올해 이어진 웅영고의 트러에 대해 위로하며 A반 학생들과 하나하나 악수를 나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05화 . . . . 1회 일치
          * 신장비인 아이언솔은 다리로 강한 충격을 준 순간 로우 백 같은 작용을 해 부담을 덜어주고 위력을 배가시키는 서포트 장비이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9화 . . . . 1회 일치
          * 미도리야가 원 포 올 풀카울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같은 변칙적인 움직임엔 따라갈 수가 없다. 뒤에서 내리꽂히는 깨끗한 보디 로우. 미도리야가 가드레일 쪽으로 몰린다. 충분히 충격을 줬을 텐데 바쿠고는 한 치의 여유도 주지 않고 다시 추격한다. 미도리야는 문자 그대로 숨 쉴 틈도 없다. 코앞까지 따라온 바쿠고. 미도리야는 난간을 붙잡고 뒤로 넘어가려고 하지만 바쿠고가 짐승같은 반응속도로 잡아채서 내동댕이친다. 그러다가 본인도 난간에 몸을 부딪히며 잠깐이나마 공격에 틈이 생긴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22화 . . . . 1회 일치
          * 교장 [[네즈]]가 내려간 후 이어서 생활지도를 맡고 있는 [[하운드 독]]이 단상에 오른다. 하운드 독은 여러가지로 격렬해서 개짖는 소리로 밖에 들리지 않는 설교를 마치고 내려간다. 도저히 전달이 안 되기 때문에 러드 킹이 흥분한 그를 진정시키고 번역해서 학생들에게 전파한다. 그 내용은 어제 싸움한 학생이 있었다는 걸로 [[미도리야 이즈쿠]]와 [[바쿠고 카츠키]]에 대한 것. [[야오요로즈 모모]]는 둘이 문제아로 찍힌거 아닌가 우려한다. [[미네타 미노루]]는 하운드 독은 흥분하면 사람말도 못하게 되는 거냐고 두려움에 떤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4화 . . . . 1회 일치
          * 그 중에는 [[아이자와 쇼타]]나 [[그랜토리노(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그랜토리노]] 같이 익숙한 얼굴도 있었다. 나이트아이 사무소의 [[버걸]]도 보인다. 미도리야와 친구들은 어리둥절한 채 주위를 둘러보는데 네지레는 그들 사이에서 [[류큐]]를 발견하고 달려가서 질문을 세례를 퍼붓는다. 류큐는 곧 알게 될 거라면서 나이트아이에게 "그 안건"에 대해 슬슬 시작하자고 말하는데.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5화 . . . . 1회 일치
          * 착석이 끝나고 회의가 시작된다. 나이트아이의 사이드킥 [[버걸]]이 간단히 브리핑을 시작한다. 나이트아이의 사무소는 2주 전부터 지정빌런 단체 "시에핫사이카이"를 조사하고 있었다. 계기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15화|레저보어독스라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0화|빌런 강도단의 사고]]였다. 경찰은 사고로 처리했지만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그들에게 의뢰, 조사가 시작되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137화 . . . . 1회 일치
          * 그가 공언했듯 "확신을 얻었을 때 확인용"으로 사용한 예지. 이번엔 유효하게 작용했다. 이후 그 남자가 집에 있는 시간은 [[버걸]]과 [[센티피드]]가 확보. [[그랜토리노(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그랜토리노]]는 영장도 발부됐음을 알린다.
  • 나이츠 오브 더 라운드 . . . . 1회 일치
         == 플레이어 캐릭터 ==
  • 나폴레옹: 토탈워 . . . . 1회 일치
         Napoleon: Total War. 잉글랜드의 게임회사 [[http://www.creative-assembly.com/|크리에이티브 어셈리]]가 제작하고 [[SEGA]]가 유통한 전략 게임. [[토탈워 시리즈]]의 6번째 작품이다.
  • 나폴레옹: 토탈워/프로이센 . . . . 1회 일치
          * 게브하르트 폰 뤼허(Gebhard von Blücher) - ☆×3
  • 남유진 . . . . 1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www.namyoochin.com/|공식 사이트]] [[https://blog.naver.com/namyoochin|[[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namyoochin1|[[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9idNb2O1DSBW_Ua6sh-iEQ?view_as=subscriber|[[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gumi_yooch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남일해 . . . . 1회 일치
         | 레이 =
  • 노경주 . . . . 1회 일치
         * [[베스트극장]] 카사랑카에서 (1993년, [[문화방송|MBC]])
  • 노루토끼 . . . . 1회 일치
         볼퍼팅어Wolpertinger의 한국어 번역 명칭. 리자드의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한국 서버에선 '노루토끼'로 번역되어 있기 때문이다.
  • 니라오치 . . . . 1회 일치
         [[아이돌]]의 [[로그]], [[트위터]]나 [[SNS]]에서 이상한 발언을 하는 유저에 대해서 끼어들지 않고 관찰하면서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지 관찰하는 것을 뜻한다. 직접적으로 코멘트나 비판은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관찰하는 상태이다.
  • 니엘(가수) . . . . 1회 일치
         데뷔 초 노래들인 박수나 Supa luv에서 보여줬듯이, 굳이 오토튠을 쓰지 않더라도 사이버틱한 연출이 가능한 특이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또 파워풀한 발성으로 인해 무대에서 폭발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때문에 팬들은 간혹 파워보이스(천지)와 감성보컬(니엘)이 바뀐 것 아니냐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특이하고 통통 튀는 음색과 다소 부정확하고 어눌한 발음이 잔잔하게 불러야 하는 발라드와 어울리지 않았다. 그러나 2014년 랙아이드필승과 작업하면서부터 점점 발라드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곡에 녹아들고 있다.
  • 다크 유니버스 . . . . 1회 일치
         [[유니버설 픽처스]]의 [[셰어드 유니버스|배경 세계 공유]] 영화 시리즈. [[드라큘라]], [[늑대인간]], [[미이라]], [[프랑켄슈타인]],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투명인간]], [[길맨]] 등 유니버설 스튜디오의 클래식 [[몬스터]]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고전 [[괴물]]판 [[마 시네마틱 유니버스]]다.
  • . . . . 1회 일치
         [[http://blog.gangjung.com/34|강정이 기가막혀 로그]]
  • 데부 . . . . 1회 일치
         또 다른 속설로는 영어 더 친(Double chin, 이중턱)이 "데부친"이 되어 "데부"가 되었다는 설, 데스 앤 버스트(Death and Burst, 죽음과 폭발)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 데스 소스 . . . . 1회 일치
          * 레이즈 살사 데스 소스 : 매운 맛은 일반 핫소스([[타바스코]])의 3배 가량.--[[계왕권]] 3배다!--
  • 도지한 . . . . 1회 일치
         * [[버시스터즈]] '피아노의 숲'
  • 돈가스 . . . . 1회 일치
         [[http://www.ekapepia.com/mobile/blog/blogView.do?boardNo=00018107|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 로그]]
  • 돌턴 갱 . . . . 1회 일치
          * 찰리 "랙페이스드" 브라이언트(Charlie "Black-Faced" Bryant)
  • 디텍티브 침프 . . . . 1회 일치
         [[스펙터]]와 싸우기 위해 결성된 섀도팩트에 강제로 가입하게 되었으나 뛰어난 탐정기술과 천재 전술가로서의 실력을 보여주서서 랙 앨리스와 나이트셰이드의 능력을 사용하기 위한 몇몇 계획을 세웠다.
  • 딩크 . . . . 1회 일치
         영미권에서 [[맞벌이]]를 하면서 의식적으로 아이를 가지지 않는 부부. 수익은 2인분, 아이는 없음을 뜻하는 더 인컴 노 키즈(Double Income No Kids)의 머리문자에서 따왔다. Dinky라고도 한다.
  • 램즈혼 달팽이 . . . . 1회 일치
         수조에서 사육하여 관상용으로 쓰는 종류는 껍질의 색에 따라서, 레드, 루, 옐로, 핑크 등을 붙여서 부른다.--모두 모아서 달팽이 [[전대물]]을 찍어보자.--
  • 레오(워저드) . . . . 1회 일치
         다른 캐릭터들처럼 엔딩 분기가 있느나 다른 캐릭터들이 엔딩 도중의 선택에 의해 달라지는 것과 달리 레오는 중간보스인 레이드에 대한 절단 피니시를 하냐 마냐에 따라 엔딩이 달라진다. 절단 피니시를 안하는 쪽이 굿 엔딩이니 주의 바람. 특히 필살기 대부분이 참격이다보니 꽤 주의해야 한다.
  • 레이나 검랑전설 . . . . 1회 일치
         어느 행성을 위협하는 발터 자르크라는 악당과 대결하는 내용이다. 자르크와의 대결에서 위기에 처한 롬을 돕기 위해서 레이나와 루 제트, 로드 드릴, 짐이 나선다는 내용.
  • 로버트 켈리 . . . . 1회 일치
         2017년 박근헤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압두고, 룸버그에서 "한국의 워터게이트 사건이다. 한국 역사에 유례없는 일이 벌어졌다", "현재로써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하지만 기각이 될 경우 대규모 시위가 우려된다"고 전망했다.[[http://msportalkorea.mt.co.kr/news/n_news_view.php?sec=2&gisa_uniq=2017031010131578173&key=&page=1&field=§ion_code=#_adtep (참조)]]
  • 로베르 기스카르 . . . . 1회 일치
         이후 기욤이 죽고 그의 바로 아래 동생인 드로고가 형의 영지를 상속받을때, 기스카르는 아무 영지도 받지 못했고, 이를 그의 바로 위의 형인 옹프루이가 딱하게 여겼는지 그에게 라벨로 성을 준다. 이후 그는 카푸아 공작 판돌포 4세와 연합해 살레르노 공국을 치려하지만, 공작이 약속했던 공작의 딸과의 혼인과 영지 할양을 거부하자 그와의 협조를 거부하고 돌아가버린다. 이후 칼리브리아로 간 기스카르는 거기서 칼리브리아를 정복을 진행중이던 드로고에게 자기몫의 영지를 달라고 요구했고, 이에 드로고는 최근에 쌓은 성채인 스크리라성[* 현재의 스페차노 알바네세]을 그에게 준다.
  • 로어셰크 . . . . 1회 일치
         1975년, 레어 로셰라는 이름의 6살 된 여자아이가 납치당한다. 코백스는 그녀를 구하기 위해 15명의 사람들을 심문해 한 양장점의 위치를 알아낸다. 그곳에 간 코백스는 로셰가 강간당하고 살해당한 후 그 양장점에서 길러지는 셰퍼드 두마리의 먹이가 되었다는걸 알아낸다. 그는 셰퍼드 두마리를 죽인 후, 밤 늦게 양장점으로 돌아온 양장점 주인을 묶은 다음에 양장점째로 불태워버린다. 그는 이 일 이후 자신이 "로어셰크 인 척 하는 코백스"가 아니라 "로어셰크"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 로켓레드 . . . . 1회 일치
         이외에 로켓레드 #7인 라디미르 미코얀이 있으며 관련 캐릭터로 [[파이어스톰]]의 협력자인 [[포자르]]가 있다.
  • 로쿠데나시 . . . . 1회 일치
          * 만화 [[로쿠데나시 루스]]
  • 록맨 시리즈 . . . . 1회 일치
         본편 외에도 마 vs. 캡콤 시리즈,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시리즈에도 출연.
  • 류원정 . . . . 1회 일치
         | 레이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뮤직앤뉴]]
  • 마이사카 코우 . . . . 1회 일치
         [[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 ([http://maisaka100ka.blog.fc2.com/ 작가 로그])
  • 마철준 . . . . 1회 일치
         발 기술이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하는 사이드 풀백으로 불렸다. 군더더기 없는 크로스 능력과 간결한 드리로 SK 유나이티드 시절 전성기를 보내왔으며, 팀의 준우승 멤버로 이름을 알리기도 하였다. 수비력에 있어서도 악착같은 수비를 잘 보여주며 평균 이상은 해준다는 평. 그러나 점차 노쇠화가 진행되면서 체력적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 수비력이 떨어지고 공격 가담 상황에서도 크게 힘을 못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마터니티 마크 . . . . 1회 일치
         임신 초기는 아기의 성장은 물론, 엄마의 건강을 유지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시기이지만, 외관으로는 초기 임산부를 구분할 수 었기 때문에 다양한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서 지하철 같은 곳에서 노약자, 임산부 석을 이용할 때 트러이 일어나거나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스스로 초기 임산부라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마터니티 마크가 제작되었다. 현재 이 마터니티 마크의 디자인의 저작권은 일본 후생노동성에 귀속되어 있으며, 동시에 영리 목적의 사용은 금지되어 있다.
  • 맥스 페인 시리즈 . . . . 1회 일치
         스토리 중간중간 실제 사진을 이용한 [[그래픽 노]]을 삽입했었다. 과거형인 이유는 3편에서 묘사 방법을 바꿨기 때문.
  • 멀티플맨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로 [[엑스멘]] 관련 캐릭터. 다만 주된 소속 팀은 [[엑스 펙터]]다.
  • 메탈멘 . . . . 1회 일치
         이후 [[포에버 이]]이 일어나자, [[크라임 신디케이트]]를 막으려는 [[사이보그]]는 플래티넘이 그리드와 연결되지 않은 로봇이라는 것을 떠올리고 매그너스 박사를 찾아가나 매그너스 박사는 메탈멘은 실패작이고 자신은 사이보그를 도울 수 없다고 한다.[* 사실 매그너스 박사는 자기가 봤던 감정을 지닌 존재들 중 메탈멘이 가장 착한 존재들이였기에 또 위험하게 만들기 싫었었던 것이다.] 하지만 사이보그의 설득 끝에 매그너스 박사는 세계를 구하기 위해 메탈멘을 다시 가동시킨다.
  • 모던 워페어 시리즈 . . . . 1회 일치
          * 라디미르 마카로프
  • 문근영 . . . . 1회 일치
         2017년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이 랙리스트를 주도한 가운데 한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아이디가 문근영에게 외할아버지의 일을 바탕으로 "빨갱이 이미지"를 덧씌워 비방했던 사실이 드러났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0398&iid=5054248&oid=032&aid=0002820225&ptype=052|[단독]‘문성근 합성사진’ 유포 ID, 비방글 무차별 양산…최근 일제히 삭제]]
  • 문문 . . . . 1회 일치
         '비행운'이 음원 차트에서 [[역주행]]을 하며 인기를 얻게 되면서 2017년 12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산하 레이 하우스 오브 뮤직과 전속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화장실]] [[몰카]] 사건으로 인해 스스로의 명성에 먹칠을 하면서 경력이 사실상 끝났으며 소속사인 하우스 오브 뮤직과도 계약 해지되었다.
  • 문연주 . . . . 1회 일치
         | 레이 =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1회 일치
          다이스 선장이 담당한 배. 원양항해가 가능한 기범선이다. 동력기관으로는 돛과 함께 증기기관을 사용하며, 증기기관의 연료로는 불타는 것은 다 된다고 하는 것을 볼때 혼소가 가능한 보일러라고 보면 된다. 선체 상부에는 2개의 마스트와 2개의 굴뚝이 있으며, 수선(首線)부분이 부풀어 오른 텀홈형 선체를 갖고 있다.
  • 미이라(2017년 영화) . . . . 1회 일치
         주연은 [[미션 임파서 시리즈]] 등에서 출연한 [[톰 크루즈]],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에 등장한 [[소피아 부텔라]] 등이 등장한다.
  • 바리어프리 . . . . 1회 일치
         단차를 제거한 주택이나 도로, [[계단]] 대신에 설치하는 경사로, 공공장소나 도로에 [[점자 록]]이나 음성 안내 설치, [[보청기]] 보급, 기능을 줄이고 쓰기 쉽게 만들어진 [[가전제품]] 같은 것이 바리어프리의 사례로 꼽힌다.
  • 박상규(가수) . . . . 1회 일치
         [[http://blog.naver.com/oopldh/10165369225|삶에 대해 다룬 로그 링크]]
  • 박상원(배우) . . . . 1회 일치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공연 당시 더 캐스팅으로 빌라도 역을 맡은 [[유인촌]]이 다리라도 부러졌으면 하고 매번 빌었다고 한다.
  • 박신혜 . . . . 1회 일치
         * {{언어링크|ja}} {{아메바 로그|ssinz-japan}}
  • 박영진(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테러 메이커]]
  • 박윤경(가수) . . . . 1회 일치
         | 레이 =
  • 박창달 . . . . 1회 일치
         || '''SNS''' ||[[http://powerpark514.blog.me/|로그]] [[https://www.facebook.com/powerpark714/|페이스북]] [[https://twitter.com/powerpark714/|트위터]]||
  • 박하나(배우) . . . . 1회 일치
         || 4월 29일 || KBS Drama || 뷰티바이 2017 || 게스트 || ||
  • 박학기 . . . . 1회 일치
          | 레이 =
  • 박현진 (음악가) . . . . 1회 일치
         | 레이 =
  • 박현철 . . . . 1회 일치
         |레이 =
  • 방실이 . . . . 1회 일치
          * 그 후 2000년에 [[가수]]로 복귀하였고 2003년 발표한 트로트 《뭐야 뭐야》로 다시 한 번 많은 사랑을 받으며 성인가요 분야에서 상위권을 석권하였다. 이 [[노래]]는 전 세대에 널리 알려져 노래방 애창곡으로도 자리잡게 되었다. 그리고 2005년에는 빠른 박자와 댄스 리듬의 트로트 〈아! 사루비아〉가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방실이는 트로트라는 장르에 약간의 댄스 비트와 발라드, 루스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개성있는 창법과 출중한 [[가창력]], 풍부한 성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적 요소들을 섭렵하며 인기를 확보한 실력 있는 가수로 거듭났다. 또한 그녀는 데뷔 때부터 거구한 체중과 단발머리를 주로 선호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이미지로 자신의 이미테이션 가수들(밤실이, 방쉬리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
  • 배소연 . . . . 1회 일치
         | 레이 =
  • 배슬기(배우) . . . . 1회 일치
         그러나 2010년 소속사를 옮기는 과정에서 트러이 생겨 영화는 하차. 영화사가 투자를 제대로 받지 못해 오랜 기간동안 제대로 촬영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보인다. 새 소속사는 티엔터테인먼트로 [[박정현]], [[차승원]], [[유지태]] 등이 소속 중.
  • 배영수 . . . . 1회 일치
          * ~~[[버스커 버스커]]의 장범준과 닮았다. [[성우]] [[엄상현]]과도 묘하게 닮았다. [[러리즈]]의 [[Kei]]와도 묘하게 닮았다. [[정준하|이 사람]]또한...~~
  • 백성현 . . . . 1회 일치
         | [[차이나 루]]
  • 뱌체슬라브 몰로토프 . . . . 1회 일치
         1924년 [[라디미르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을 지지했다. 1926년 정치국 정의원으로 승진, 모스크바 당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 1930년 인민위원회 의장(소련의 총리)에 올랐으며, 1941년 까지 지위를 유지했다. 물론 스탈린이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 버블 시대 . . . . 1회 일치
         [[일본]]에서 [[버 경제]]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의 초호황기를 뜻한다.
  • 베를린 보병여단 . . . . 1회 일치
         베를린 보병여단 소속 차량들은 사각사각한 흰색-회색-갈색 위장무늬를 사용했다. 아마 시가전용 위장이었겠지만 아무리봐도 누더기나 레고 록 쌓아둔 것 같다. 구글에 Berlin Brigade Camo라고 치면 이미지 나오니 알아서 찾아봐라.
  • 벨트스크롤 게임 . . . . 1회 일치
         [[게임]]의 장르 가운데 하나. [[횡스크롤 게임]]의 일종이다. 대표적으로 [[파이널 파이트 시리즈]], [[더 드래곤 시리즈]] 같은 것이 있으며, 21세기에 나온 게임으로는 [[던전 앤 파이터]]가 유명하다.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1891년에 발표되었다.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에서 2월-5월, 랙 앤 화이트 런던(Black and White London)에서 3월에서 4월에 걸쳐서 연재되었다. 1893년 발표된 단편집 Island Nights' Entertainments에 수록되었다.
  • 보스 트롤 . . . . 1회 일치
         FC판에서는 드랍 테이에 전사가 장비할 수 있는 최강의 검인 뇌신의 검(らいじんのけん)이 있으며, 고작 1/256의 확률이긴 하지만 최강 장비인 만큼 [[리셋 노가다]]로 노려볼만하다.
  • 부산광역시/인물 . . . . 1회 일치
         * [[미래(립버)|미래]] - 북구(부산)
  • 북유럽 신화 . . . . 1회 일치
          * 니헤임 : 저승. 죽은 자들이 가는 곳이다.
  • 분류:블리치 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분류:리치]]
  • 브라우닝 시토리 . . . . 1회 일치
         Browning Citori. [[미국]]의 총기회사 [[브라우닝]]에서 판매하는 [[더 배럴 샷건]]. [[총열]]이 상하로 배열된 형태다. 사용 구경은 모델마다 다름.
  • 빅 사이언스 액션 . . . . 1회 일치
          래스트를 쓸수 있으며 비행 가능. 상당히 오래된 캐릭터로 Action Comics #379 (August 1969)에 첫등장.
  • 빌리 블랭크스 . . . . 1회 일치
         1974년에 [[결혼]]한 부인과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을 두었다. 딸 셰리[* 전처의 딸]는 빌리의 부트캠프에도 출연했다. 아들 빌리 랭크스 주니어는 에어로빅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 삼고 . . . . 1회 일치
         버경제 시대에 유행했던 말. 남자친구로 바라는 남성의 조건으로서, 고학력, 고수익, 고신장을 뜻한다.
  • 샘 윗위키 . . . . 1회 일치
         고등학생 때 중고차 가게에서 차를 하나 샀는데 그게 하필 [[오토봇]]인 [[범비]]였다. 그 이후 [[고등학생]] 때 한번, [[대학생]] 때 한번, [[사회인]] 때 한번씩 죽을 위기를 겪고도 살아남는다. 이후 배우인 샤이아 라보프가 트랜스포머 영화 시리즈에 하차하며 등장하지 않게된다.
  • 샬롯 링링 . . . . 1회 일치
         5번째 설정집인 루 딥에 따르면 [wiki:"샹크스(원피스)" 샹크스]를 비롯한 다른 [[사황]]과는 적대 관계, [해군본부원피스)|해군본부]와는 대립 관계라고 한다.
  • 서지석(배우) . . . . 1회 일치
         방송에 알려진 바로는 농구를 잘한다고 알려졌으며 우리동네 예체능에서 마이클조던의 더클러치를 재현했다. 일단 점프력이랑 농구센스는 좋은 편이다.
  • 성시경 . . . . 1회 일치
         |레이 = {{국기그림|대한민국}} [[스톤뮤직 엔터테인먼트]] <br /> {{국기그림|일본}} [[JVC 켄우드 빅터 엔터테인먼트]]
  • 센티멘탈 그래피티 . . . . 1회 일치
         당시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대히트로 연애 시뮬레이션이 엄청난 인기를 모으던 시절이었으며, 센티멘탈 그래피티는 막대한 홍보비를 쏟아서 미디어믹스 전략의 선구를 달렸다. 그 때문에 발매전에 이미 엄청난 기대를 모았으나, 정작 나온 게임은 거지같아서 순식간에 버이 꺼져버렸다.
  • 손석우(작곡가) . . . . 1회 일치
         | 레이 =
  • 손지현(배우) . . . . 1회 일치
          * 포미닛의 트래 메이커에서 씨스타 멤버들과 포미닛 멤버들이 합세해 지현을 화나게 해보자는 몰래카메라를 한 적이 있다. 그런데 대응이 너무 착했다. 다솜과 소유가 지현이 만든 피자밥이 맛이 없다고 태클을 걸자 "아무래도 다시 만들어야 될 것 같다." 라면서 다시 만들러 갔다(...). 이때문에 마음이 약해진 멤버들이 몰래카메라를 그만두기도 했을 정도. 다만 이 에피소드에서 [[현아(가수)|실세]]는 출연하지 않았는데 그녀가 있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다.
  • 송가인 . . . . 1회 일치
         | 레이 =
  • 송정현 . . . . 1회 일치
         [[1999년]] [[경북 드래곤즈]]에 입단하였으나, 그 해 발목 부상을 입어 재활 치료를 받다가 [[2000년]] 복귀하였다. 하지만 [[2001년]] 다리 부상을 입어 시즌이 끝난 뒤 방출되었고, 이후 1년 간 무적 신분으로 지내다 [[2003년]] 당시 신생 팀이자 연고 팀인 [[대구 FC]]에 창단 멤버로 입단하였다. [[2006년]] 친정 팀 [[전남 드래곤즈]]로 복귀하여,<ref>[http://www.dragons.co.kr/news/news.asp?mode=view&category=&boardcode=tb_board_news&idx=6157 송정현, 진순진 영입]</ref> [[2006년]] [[수원 삼성 루윙즈]]와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였고,<ref>[http://www.segye.com/Articles/Spn/Sports/Article.asp?aid=20061203000144&cid=0101110300000&dataid=200612031710000231 전남, 9년 만에 FA컵 품었다…송정현·김태수 연속골]</ref> [[2007년]] [[포항 스틸러스]]와 결승전에서 2골을 기록하는 등<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12021657372235 '혼자 2골' 송정현, FA컵 2연패 가능케 한 전남의 영웅 ]</ref> [[FA컵 (대한민국)|FA컵]] 2연패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09년]] [[FA]]로 풀린 송정현은 [[울산 현대 호랑이]]로 이적하였으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903221500532234 울산, FA 송정현 긴급 수혈…전반기 단발 계약]</ref>
  • 송호창 (1967년)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www.hochang21.com/ 공식 사이트] <br /> [https://www.twitter.com/HOwindow 공식 트위터] <br /> [http://blog.naver.com/shochang 공식 로그]
  • 스트리트 파이터 . . . . 1회 일치
          * 플레이어 캐릭터
  • 스트리트 파이터 2 . . . . 1회 일치
          * [[랑카]]
  • 스틸오션/일본 . . . . 1회 일치
         >유바리급은 히라가 유즈루가 설계한 실험용 경순양함이었다. 오로지 한척만이 건조되었다. 연장 포탑의 사용과 연장 어뢰 발사관 두개를 중심선에 배치하는 걸로 갑판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했다. 유바리의 설계는 이후 일본 군함 설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제1차 상하이 사변에 참가하였고, 1937년 광저우에서 중국 순양함 차오호에게 피해를 입혔다. 제1차 솔로몬 해전에서는 미국 순양함 빈센스(Vincennes)를 뇌격했다. 1944년 초반 대규모 개장 이후 뛰어난 대공 성능을 보였다. 1944년 4월 26일, 수송임무를 수행하던 중 미국 잠수함 루길(Bluegill)에게 격침되었다.
  • 스파이 스매셔 . . . . 1회 일치
          1대 스파이 스매셔. 상당히 오래전의 히어로로 첫등장은 Whiz Comics #1에 등장. 이때가 1940년이었다. 회사는 [[캡틴 마]]과 같은 포셋.
  • 스파이더 슬레이어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에 등장하는 로봇.
  • 시그니처 웨폰 . . . . 1회 일치
          * [[마 코믹스]] - [[캡틴 아메리카]]의 방패
  • 식극의 소마/183화 . . . . 1회 일치
          * 랙 페퍼, 카옌 페파, 파프리카, 갈릭 파우더 등이 조합된 것으로 일본에서도 유명한 조합이다.
  • 식극의 소마/208화 . . . . 1회 일치
          * 각 대결의 제한 시간은 2시간. 꽤 촉박한 시간인데 [[잇시키 사토시]]는 하라는 조리는 안 하고 옆 테이의 [[유키히라 소마]]가 엄청난 악운으로 "소바"를 뽑은 걸 보고 웃고 있다. 보다못한 [[요시노 유키]]가 똑바로 하라고 소리친다.
  • 식극의 소마/223화 . . . . 1회 일치
          * 반면 츠카사는 엽차, 옥로, 현미차, 찐 엽차, 총 네 가지 찻잎을 최상의 현태로 랜딩하며 맛을 이끌어 내고 있어 대조를 이룬다.
  • 신귀식 . . . . 1회 일치
         * [[1996년]] [[KBS 2TV|KBS]] 드라마 《[[컬러 (드라마)|컬러]] - 루》
  • 신동주(야구) . . . . 1회 일치
         1999년 6월 24일 대구에서 벌어진 LG와의 더헤더 2차전에서 2회말 볼넷으로 출루한 뒤 2,3루 도루와 홈 스틸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대기록을 작성했다. 게다가 그의 이미지는 찬스에 강하며 '만루홈런의 사나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그도 그럴것이 삼성에서 뛰었던 2000년까지 6개의 만루 아치를 그렸으며 그것은 [[김기태(1969)|김기태]](당시까지 8개)에 이은 2번째 기록이며 당시 한참 홈런을 많이 때리던~~먹튀의 [[흑역사]]로 상징되던~~ [[홍현우]](5개)보다도 많은 수치였다.[* 2000년 당시까지를 기준으로 [[김기태(1969)|김기태]]는 227홈런, [[홍현우]]는 173홈런을 때려냈다. 신동주의 홈런수는 82개에 불과했다. 그가 얼마나 만루에 강했는지 알려주는 지표다.] 그러나 [[김기태(1969)|김기태]]와 [[마해영]] 등 거포영입에 혈안을 기울이던 삼성프런트의 정책에 따라 장타력이 그들에비해 어정쩡(?)한[* 물론 당시로 따져도 평균이상의 호쾌한 타구를 날리던 그였다.] 장타력을 가진 선수로 각인되어 [[김응용]] 감독 부임 직후 2001년 초 [[강영식]]과의 트레이드로 [[해태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해태-KIA에서도 주전 외야수로 뛰다가 2003년 시즌 후 KIA로 이적한 FA [[마해영]]의 보상선수로 친정팀인 삼성에 복귀했다. 2005년 시즌 중 최용호와의 트레이드로 다시 KIA로 오고 이듬해인 2006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은퇴했다.
  • 신수항 (배우) . . . . 1회 일치
         * 더 에이
  • 신웅 . . . . 1회 일치
         | 레이 =
  • 신혜성 . . . . 1회 일치
         | 레이 = [[CJ E&M]] (CJ E&M Music)
  • 심현섭(코미디언) . . . . 1회 일치
         이시기에 디즈니 에니메이션인 [[쿠스코? 쿠스코!]]의 주인공 더빙을 맡았었는데, 상당한 호평을 받았었다. 이외에도 [[니켈로디언]]의 어린이 프로그램인 [[수수께끼 루]]의 KBS판에서 '와 아저씨'[* 원판에서는 '스티브'(Steve)로 나온다.]라는 이름으로 진행을 맡았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1회 일치
          * 듀케인 요새 - 랙크릭에 위치함. 영국군 하나가 요새 안에서 망치질을 하고 있는데, 얘는 요새가 해방되어도 가끔씩 나타나서 대륙군들에게 맞아죽는다.
  • 엉클 샘 . . . . 1회 일치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엉클 샘은 이 캐릭터를 사용한 것. 당연히 [[마 코믹스]]의 [[캡틴 아메리카]]처럼 애국자 히어로다. 덧붙여 DC의 엉클 샘은 원래 퀄리티 코믹스의 캐릭터였다가 후에 퀄리티가 DC에 흡수되면서 DC의 캐릭터가 되었다. 그의 동료들인 [[프리덤 파이터즈]] 멤버들도 퀄리티 출신. [[배트맨 더 브레이브 앤 더 볼드]]에 등장한 적이 있다.
  • 에릭 (가수) . . . . 1회 일치
         |레이 = [[CJ E&M]]
  • 엔포서스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빌런팀. 첫등장은 The Amazing Spider-Man #10 (March 1964)에서 처음 등장.
  • 엘디아 인 . . . . 1회 일치
          * 거인화 : 엘디아 인은 거인의 척수액에서 채집한 '거인화 약물'을 주사받으면 거인으로 변신한다. 어떤 원리로 이러한 일이 일어나는지는 명. 거인화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는 작중에 나오는 '지성이 없는 거인'이 된다. 이러한 거인들을 마레에서는 전쟁에 투입하고 있다.
  • 연광철 . . . . 1회 일치
         가곡의 해석에도 일가견이 있어 정명훈의 반주로 <겨울여행(Winterreise)>를 소니 레이로 출반하기도 했다. 그의 독일어에 대한 해석은 시대와 지방에 따른 뉘앙스와 억양의 차이까지도 디테일하게 전달하는 분석적인 해석으로 정평이 나있다.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JCC아트홀에서 마스터클래스를 통해 젊은 성악도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 연분홍 . . . . 1회 일치
         | 레이 =
  • 연정(우주소녀) . . . . 1회 일치
         또한 스타쉽에서 관리를 혹독하게 시켰는지 비주얼이 엄청나게 상승했다.[[http://dcimg2.dcinside.com/viewimage.php?id=34b2df3fe0dd36ac7bb1d1&no=29bcc427b38b77a16fb3dab004c86b6f113d37b1bcb96f75556c19c26e5db7632c4092fc08cf1ba17954fbb230ddbbbfd58f21588be8d5b584a26b1400|#]] 팬들은 '''연정이가 각성했다'''라며 환호 중. 스타쉽이 이전까지의 홀대[* 일단 프로듀스 101에서 스타쉽이 밀었던 멤버가 태하였는데, 문제는 스타쉽의 기대와 달리 태하가 8회만에 방출당했다는 것..... 결국 태하는 스타쉽에서 더킥으로 이적해 모모랜드에 합류했다.]를 멈추고 본격적으로 연정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듯 하니, 앞길은 창창할 것으로 보인다.
  • 염재욱 . . . . 1회 일치
         * [[2000년]] 랙홀 7집타이틀곡"어둠속의 빛"
  • 오니요메 . . . . 1회 일치
          * 실록 오니요메 일기(実録鬼嫁日記)라는 [[로그]]가 있었으며, 드라마화도 되었다.
  • 오세창 . . . . 1회 일치
         이승만 귀국환영식에 참석<br />(맨 왼쪽 테이에 선 이가 오세창)
  • 오승근 (가수) . . . . 1회 일치
         | 레이 =
  • 오승희 . . . . 1회 일치
         | 레이 = 후지티비 분장실
  • 오영식 (1967년)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okys04 오영식 로그]
  • 오중기 . . . . 1회 일치
         || '''링크''' || [[https://twitter.com/iskr12|[[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ohjungki|[[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2]]]], [[https://blog.naver.com/iskr12|[[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2]]]], [[https://www.youtube.com/user/ohjungki|[[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2]]]] ||
  • 오지철 . . . . 1회 일치
         * 2006.03 ~ 2007.11 : 한국케이TV방송협회장
  • 오지훈 (1973년) . . . . 1회 일치
         * [https://www.youtube.com/watch?v=Fd8qVe4gSZs 한국종합유선방송협회 30개의 채널 케이 TV](1994)
  • 오충훈 . . . . 1회 일치
         | 키보드 = 삼성랙 dt-35
  • 오타쿠 혐오 . . . . 1회 일치
          * [[여드름]] 등 각종 피부 트러 : 이는 오타쿠들이 취미에 관심을 쏟고, 피부 관리를 할 비용을 줄이기 때문에 나타난다.
  • 와일드 독 . . . . 1회 일치
         총으로 무장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버리면서 과격한 자경단원이 되었다는 점에서 [[마 코믹스]]의 [[퍼니셔]]와 비슷하다.
  • 와일드캣 . . . . 1회 일치
         [[권투]] 선수 출신으로 뛰어난 격투가. 특별한 [[초능력]]은 없다. 전신 검은 타이츠와 [[고양이]] 모양의 큐트한(…) 후드를 쓰고 다니는 것이 특징이다. [[랙 카나리]](2대)를 훈련시키기도 했다.
  • 원피스 . . . . 1회 일치
         이스트 루의 소년 [[몽키 D. 루피]]는 해적왕을 꿈꾸며 바다로 나선다.
  • 원피스/824화 . . . . 1회 일치
          * 이누아라시는 잭 일행이 '''비 카드를 가지고 있다'''는걸 알게 된다.
  • 원피스/826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브룩은 "제르마66은 본디 왕족이 아니냐"고 되묻는다. 한때 노스루를 "무력"으로 제압했던 일족.
  • 원피스/835화 . . . . 1회 일치
          * 쵸파는 한 사람이라도 루피와 합류해야 한다며 럼볼을 써서 시간을 번다.
  • 원피스/838화 . . . . 1회 일치
          * 제르마 왕국의 두 왕좌, 빈스모크 이치디(스파킹 레드)와 빈스모크 니디(전격 루) 등장.
  • 원피스/840화 . . . . 1회 일치
          * 상디는 니디가 한 짓이 얼마나 큰 죄인지 깨닫게 해주겠다며 달려드는데 이치디가 "이스트 루에 인질(제프)가 있다는걸 이지 마라"고 참견한다.
  • 원피스/845화 . . . . 1회 일치
          * 마침내 한 테이에 모인 제르마 왕가와 샬롯 링링. 빅맘은 푸딩의 결혼식을 기대한 것과는 달리 "정략결혼이니 나와 빈스모크 저지만 만족하면 된다"는 식으로 떠들어댄다. 오히려 저지 쪽에서 "그래도 애들이 행복하면 나쁠 건 없다"고 자식을 생각하는 듯한 발언을 한다. 화기애애한 이들과 달리 푸딩과 상디는 표정이 무겁다. 특히 상디는 심란한 와중에 음식들이 노래하고 춤추고 난리를 쳐서 더욱 짜증이 난다. 그러던 중 푸딩은 살짝 쪽지를 전해 나중에 단둘이 이야기하자고 전하는데.
  • 원피스/849화 . . . . 1회 일치
          * 소란이 벌어지자 쵸파는 브레인 포인트를 써서 몸집을 작게 줄인다. 큰 몸집에 맞춰졌던 포승이 저절로 풀리자 쵸파는 럼볼을 복용한다. 그 사이 캐럿은 가짜 캐럿, 개구리까지 구해내고 안전하게 지상에 착지. 부하들이 브륄레를 도우러 달려들자 젖은 바닥으로 전기충격인 "일렉트리컬 루나"를 사용해 전부 감전시킨다.
  • 원피스/852화 . . . . 1회 일치
          * 레이쥬는 자신의 고향이자 가문이자 가족들을 그렇게 한 마디로 평가했다. 다행히 빅맘이 원하는건 제르마의 "과학력". 상디가 도망친대도 구태여 이스트 루의 발라티에까지 관심을 가지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을 인질취급했던 제르마의 인간들은 죽어 마땅하다. 단순한 "살인자 집단"이니까. 상디는 다른 가족들에겐 일말의 정도 없지만, 어째서 레이쥬까지 죽음을 자청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 원피스/856화 . . . . 1회 일치
          [[빈스모크 저지]]는 진짜 연회는 내일이라며 자리를 접는다. 그는 빅맘과 손을 잡고 노스 루의 지배자가 될 기대로 부풀어 있다. 그런걸 생각하면 그 "등신"도 도움이 됐다며 웃는다. 세 아들은 모두 그 말에 동조한다.
  • 원피스/858화 . . . . 1회 일치
          * 회의장소로 벳지가 나타난다. 벳지는 밀집모자일당에게 제대로 씻었냐며 묻는다. 그의 신조는 "옷이 사람을 만든다.". 몸가짐이 되먹지 못한 상대는 대화할 생각도 들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루피 일행은 그럴 듯한 옷도 한 벌씩 제공 받는다. 징베만 특유의 야쿠자 스타일을 고수. 테이을 가운데 놓고 빙 둘러앉은 양측의 패밀리. 하지만 분위기가 화기애애할 수는 없다.
  • 원피스/862화 . . . . 1회 일치
          레이쥬는 자신들의 테이 근처를 샬롯 가문의 형제들이 둘러싸고 있는 걸 보고 이미 포위당한 걸 알아차린다. 하지만 그녀는 제르마라는 가문과 함께 죽기를 각오한 몸. 그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동요도 하지 않지만 상디 만큼은 살아나가기를 바라며 루피에게 비책이 있기를 기도한다.
  • 원피스/863화 . . . . 1회 일치
          그때 페드로가 루피를 원호하려고 달려오는데 징베가 자신에게 맡기라며 테이에 있던 홍차로 "해수 한 판 엎어치기"를 시전한다. 그가 노린 것은 루피를 붙잡은 카타쿠리의 다리였다. 물기가 덮치자 루피는 아주 손쉽게 빠져나온다. 징베는 카타쿠리가 자연계 "탱글탱글 열매"(모치모치, 떡떡열매)라고 밝힌다. 물기를 붙히면 빠져나올 수는 있지만 될 수 있는 한 접근하지 말라고 루피에게 경고한다. 그리고 마더 카르멜의 정보를 넘긴건 자신이라고 밝힌다. 그건 혹시라도 벳지가 노출되는 걸 피하기 위해서. 자신이 산하에 있는 동안 주워들은 거라고 얼버무린다.
  • 원피스/868화 . . . . 1회 일치
          이제 그녀의 꿈은 카르멜의 꿈도, 당초 그녀가 가졌던 꿈과도 상관없는 무언가가 되어 있었다. 그럼에도 "모두가 같은 눈높이로 바라보는 삶"에 대한 집착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녀는 이제 없어진, 어떤 의미에선 영원히 하나가 된 카르멜과 그녀의 친구들을 꼭 다시 찾고 자신만큼 크게 만들어서 한 테이에 둘러앉아 밥을 먹겠다고 다짐했다. 사황에 오른 지금까지도.
  • 월드 인 컨플릭트 . . . . 1회 일치
          * 라디미르 올로프스키
  • 월드 인 컨플릭트/유닛 . . . . 1회 일치
          미국은 UH-60 랙호크, 소련은 Mi-8 힙, NATO는 SA-330 슈퍼 퓨마. 보병 분대 하나를 탑승시킬 수 있다.
  • 유동근(배우) . . . . 1회 일치
         1980년대까지만 해도 드라마에서 악역을 맡는 일이 많았다. 그런데 쌍꺼풀 수술을 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생기더니 드라마에서 맡는 역할도 좋은 쪽으로 바뀌었고 그러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로맨틱한 역할의 포텐셜이 폭발한 것은 1996년 방영한 드라마 [[애인(드라마)|애인]]으로, 이 드라마에서 보여준 부드럽고 낭만적인 모습을 통해 기혼 여성들의 수퍼스타로 순식간에 자리매김했다. '''잉크루''' 컬러 셔츠의 유행은 덤. [[불륜]]을 메인 소재로 삼은 이 드라마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가정윤리를 파괴하는 저질 드라마'''라는 비난도 쇄도했지만[* 심지어 국회 문화체육상임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공영방송 [[문화방송|MBC]]가 이런 막장드라마를 방영해서 되겠냐면서 논란이 되었다.], 아무렴 어떤가. 우리는 [[막장 드라마|그보다 더 자극적인 소재로 방영시간을 가득 채운 드라마들]]이 범람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 유지태 . . . . 1회 일치
         | 제11회 [[케이TV 방송대상]]
  • 윤상현(배우) . . . . 1회 일치
          * [[농심그룹]] 신라면
  • 윤지숙(배우) . . . . 1회 일치
         * [[2005년]] [[KBS2]] 단막극 《[[KBS 드라마시티|드라마시티]] - 랙메일》 ... 지선 역
  • 윤진이 . . . . 1회 일치
         | 에이씨앤씨
  • 윤철형 . . . . 1회 일치
          * 2004년 : [[울라불라 루짱]] ... 노진식 역(KBS2)
  • 윤태진(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2018년 6월 18일 부터 강남경찰서 홍보대사를 하고 있다 --경찰춘-- [[https://www.instagram.com/p/BkKgG9GBCko/?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인스타그램]] [[http://blog.naver.com/polinlove2/221306978271|로그]]
  • 은지원 . . . . 1회 일치
         그리고 리자드는 은지원을 '''게임 내 [[판다렌]] [[NPC]]로 등장시켰다!'''[[http://game.donga.com/64920/|#]] ~~이제 [[이소라(가수)|이소라]]만 나오면 된다~~
  • 은혼/574화 . . . . 1회 일치
         * [[사카모토 다츠마]]가 중재하려고 끼어들어서 최대한 오라트하게 표현을 바꿔주지만 [[가츠라 고타로]]와 [[사카타 긴토키]]가 학을 떼며 "누가 그따위로 통역하랬냐"고 쥐어터진다
  • 은혼/599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요시와라의 안 좋은 이미제 때문에 수용된 주민들과 트러이 끊이지 않는다.
  • 은혼/600화 . . . . 1회 일치
          * 화장실에 가겠다는 일념으로 필사적으로 협상을 진행하나 오해가 오해를 부르는 협상 테이. 결국 노부노부는 화장실에 가지 못한다.
  • 은혼/627화 . . . . 1회 일치
          게도마루와 식신들은 판데모니엄으로 차린 다채로운 급식과 배식자들의 호러한 비쥬얼로 배식을 익사이팅하게 해주며, [[게츠노 세이메이]]와 [[시리노 도만]]은 순찰대를 빙자해 서로 식신이 더 흉악하고 무섭다고 싸우며 소란, [[게츠노 아나운서|게츠노 크리스텔]]은 기도로 싸움하게 좋은 날씨를 만들며 싸움을 조장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 이경실 . . . . 1회 일치
         2010년 11월 17일 케이 채널 QTV에서 방송된 '여자만세' 프로그램에서 "최근 한 여자 후배에게서 잊지 못할 굴욕을 당한 적이 있다"며 비화를 공개했다. 이를 두고 네티즌들은 이경실의 멘션들을 증거로 그 후배가 누군지 추측을 쏟아냈는데 용의자(?) 중 한명으로 지목된 [[정가은]]이 해당 인물이 아님에도 갖은 비난을 받았던 해프닝까지 있었다. ~~사실 잘 나가고 있다는 말에서부터 [[정가은]]은 해당사항이 없지만...~~
  • 이경영(1958) . . . . 1회 일치
         [[http://blog.naver.com/lky5858|개인로그]]
  • 이경영(1960) . . . . 1회 일치
         이렇게 다작을 하게 된 원인은 물론 자숙기간 활동을 못한 본인의 활동 욕구에다 현실적으로 지상파에는 출연금지 상태라 할 수 있는 것이 케이 빼면 영화밖에 없어서이기도 하겠지만[* 실제로 이와 비슷한 케이스로 [[송영창]]이 있다. 다만 이분은 영화 대신 주로 연극과 뮤지컬 쪽으로 방향을 잡아 거의 충무로 이경영급으로 다작 중이다. 이유도 비슷하다. 특히 뮤지컬쪽에선 어느 정도 입체감이 있는 중년 역할을 맡을 배우가 그리 많지 않고, 진중한 역부터 코믹 역까지 폭이 넓기 때문.], 현재 영화판에서 이경영 정도의 나잇대에 어느 정도 연기가 되면서 조연을 맡을 사람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도 있다.
  • 이노센트 투어 . . . . 1회 일치
         기종은 [[PC98]]로 최초 발매하였다가 후에 IBM PC로 컨버전되었으며, 이에 따라 사운드 래스터를 정식 지원하게 되면서 음악의 질도 상당히 좋아지게 되었다.
  • 이문식(배우) . . . . 1회 일치
          * [[KIA 타이거즈]]팬으로 유명하다. 225럭 기아 응원석에 앉아서 2016 기아vs엘지 와일드카드 2차전에 출연했다.
  • 이민우(배우) . . . . 1회 일치
         || 2005년 || 국방홍보영화 루 드래곤 || || ||
  • 이석훈 . . . . 1회 일치
         ~~본인 말로는 [[러리너스]]라고 한다.~~
  • 이선희 . . . . 1회 일치
          | 레이 = [[카카오엠]]
  • 이수민(야구선수) . . . . 1회 일치
         상무에서의 생활과 전역 후 부진에 관련된 글. [[http://gall.dcinside.com/samsunglions_new/562430|주소 현재 원글은 지워진 상태다.]][* 다만 이 로그 주인의 다른 글들이 [[사자 사랑방]]과의 논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적당히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 이순재(1935년 10월) . . . . 1회 일치
         [[2010년]]부터는 케이TV 생명보험 광고, 상조회사 광고에 고정 출연 중. 특유의 칼칼한 목소리로 [[메멘토 모리|죽을 걸 생각하라고]] 강권 중.
  • 이승현(농구선수) . . . . 1회 일치
         챔피언결정전에서는 상대 빅맨들이 이전까지 붙었던 빅맨들의 상위호환이어서 그들을 끌어내기 위해 더 활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매치업 상대가 하승진인 것을 이용하여 3점을 던지고 있고, 붙으면 돌파까지도 하는 동시에 수비에서는 그동안 갈고 닦았던 대인 방어와 박스아웃의 정수를 보여주었다. 이 덕분에 정규시즌에선 잘 나오지 않았던 파울트러을 많이 기록하기도 했다. 4차전에서는 9점 5리바운드에 그쳤지만 하승진을 9점(필드골 3/9) 9리바운드로 막았고, 5차전에서는 오리온이 패하긴 했지만, 감기몸살에도 불구하고 23점 6리바운드 5어시스트(필드골 7/10, 3점슛 5/8)을 기록하면서 하승진(8점 7리바운드 필드골 4/6)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진정한 졌잘싸~~ 6차전에서는 4쿼터 막판 상대의 추격 의지를 꺾어버리는 연속 5득점 포함 14득점 7리바운드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그 동안의 개고생[* 4쿼터 중반 허일영의 3점 세레머니 때 나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줬다. 체력이 많이 떨어져 있었다는 이야기.]에 대한 보답으로 '''챔피언결정전 MVP를 수상하였다!!''' 평균 기록은 [[조 잭슨(농구선수)|조 잭슨]]이, 임팩트 면에서는 [[김동욱(농구선수)|김동욱]]이 좀 더 앞서는 느낌이 있어 수상에 약간의 의문을 제기하는 팬들도 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최고조의 컨디션을 보이던 하승진을 잠궈버린 수비공헌도와 기록,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수상에 부족함은 없다.
  • 이영아(배우) . . . . 1회 일치
          * 2012년 SBS 라인드 러브쿡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 '''SNS''' ||[[http://blog.naver.com/liy1964|로그]], [[https://twitter.com/lee_inyoung|트위터]]
  • 이재룡(1964) . . . . 1회 일치
         ||<:><#4C4C4C>'''{{{#FFFFFF 종교}}}'''||<(> [[무종교]] → [[개신교]][* [[2017년]] [[3월]], 개신교 [[연예인]]들이 대거 참여한 '오디오 바이' 녹음에서 [[다윗]] 왕 역할로 참여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에 [[세례]]를 받았다고...] ||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1회 일치
         1999년 '레미제라' 에포닌, 판틴 역
  • 이종배(국회의원) . . . . 1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외부링크}}}''' ||<(> [[https://blog.naver.com/victoryljb|로그]] ||
  • 이종혁 (배우) . . . . 1회 일치
         * [[2004년]] 《[[신석기 루스]]》 - 신석기 A 역
  • 이카르부스 . . . . 1회 일치
         1935년에는 최초의 국산 설계 군용기인 [[이카루스 IK-1]]을 제작했으며, 1930년대에는 [[영국]]제 군용기인 [[호커 퓨리]]와 [[브리스톨 렌헤임]]을 생산했다.
  • 이현 (1983년) . . . . 1회 일치
         | 레이 = [[아이리버|IRIVER]]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테란 선수]][[분류:이스트로의 선수]][[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분류:CJ 엔투스의 선수]][[분류:Team SCV Life의 선수]][[분류:이 지니어스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이홍우(1959) . . . . 1회 일치
         || '''SNS''' ||[[https://blog.naver.com/lhwcamp|[[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5]]]]·[[https://www.facebook.com/hongwooNET|[[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5]]]] ||
  • 이훈(배우) . . . . 1회 일치
         원래도 마초적인 성격이 강하다보니 트러이 잦았는데 대표적인 일이 바로 서경석과의 악연. [[서경석]]이 군 복무를 할 당시 그의 맞고참이었다. 실제로 서경석이 자신의 군 생활을 엮어 집필한 책인 '서경석의 병영일기'의 내용을 보면 이훈에 대해 안 좋은 감정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자신보다 연예계 후배이고 나이도 어린데 너무나 막 대하는 것에 상당한 앙금이 남았던 듯. 책에서는 아니지만 서경석이 전입한 날에 이훈이 재떨이를 던진 사건은 방송계에서 꽤 유명한 일화며 [[http://k.daum.net/qna/view.html?qid=3GaDe|와전된 것이라고 해명한 적이 있다.]]
  • 인천광역시/인물 . . . . 1회 일치
         * [[서지수(러리즈)|서지수]] - 계양구
  • 일곱개의 대죄/181화 . . . . 1회 일치
          * 속세에 미련이 있거나 강한 증오가 있는 자를 살려내는 주술인데, 호크가 "혹시 2대 성기사장에게 복수할 셈이냐"고 묻자 "그래"하고 호러한 얼굴로 대답한다.
  • 일곱개의 대죄/185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이번엔 에스타롯사가 빨랐다. "랙 아웃"(암흑회귀)를 사용, 그의 태양을 삼켜 버린다.
  • 일곱개의 대죄/191화 . . . . 1회 일치
          * 그레이로드는 역시 위험하다며 "브레이커 버그"로 벌떼를 만들어 공격시킨다.
  • 일곱개의 대죄/219화 . . . . 1회 일치
          이렇게 해서 술집의 평화는 상처를 남긴 채 돌아왔다. 사실 옆 테이에서 [[그리아몰]]과 [[하우저(일곱 개의 대죄)|하우저]]가 마시던 중이었는데 무섭기도 하고 "시끄러운 손님들"취급을 받는 그들이 창피하기도 해서 모른척해버렸다.
  • 일곱개의 대죄/222화 . . . . 1회 일치
          방을 나선 엘리자베스는 식당으로 내려온다. 잠시 뒤 소란을 듣고 온 [[호크(일곱 개의 대죄)|호크]]가 테이에 앉아 있는 엘리자베스에게 무슨 일이냐 묻는다. 그런데 그녀가 고개 숙인 채 눈물을 떨구고 있다. 호크가 당황해서 어쩔 줄 몰라하자 그녀가 안심시킨다.
  • 일곱개의 대죄/226화 . . . . 1회 일치
          * 한편 암담의 고치에 붙들린 멜리오다스는 묘한 공간으로 옮겨졌다. 어디를 봐도 시커먼 어둠 뿐. 벗어나기 위해 공격을 가해보지만 어느 것도 통하지 않았다. 어둠의 힘을 끌어내 "헬 레이즈"를 날려도 그랬다. 타오르는 마력의 불꽃은 어디에도 닿지 못하고 허공 속에서 사그라들었다. 멜리오다스는 주의를 놓지 않고 경계했다. 어느덧 메라스큐라가 속삭이는 소리가 들렸다.
  • 일곱개의 대죄/228화 . . . . 1회 일치
          * 디안느는 재미있는 장난이 성공해서 흡족했다. 깔깔거리는 여유를 보였지만 [[에스카노르]]의 접근을 허용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디안느의 상태를 보고 "다소 난폭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중얼거렸다. 그리고 작렬하는 "다소 난폭한" 치료. 거인족의 허리가 꺾이는 강렬한 보디 로우. 그렇지만 "여성인 점을 고려해 얼굴만은 피하는" 다정함을 담고 있었다. 위력 자체는 디안느의 갑옷이 터져나갈 정도였지만, 지금의 디안느에겐 정말로 "다정한" 수준에 지나지 않았다. 아무 타격도 주지 못한 채 주먹으로 되갚아주는 디안느. 에스카노르 또한 아무 상처도 입진 않았지만 자신의 다정함이 무시 당한게 아쉬운 모양이다. 직성이 풀릴 때까지 주먹으로 대화를 하려고 드는 에스카노르.
  • 일곱개의 대죄/230화 . . . . 1회 일치
          * 놀랄 일은 아직도 한참 남았다. 이번엔 [[킹(일곱 개의 대죄)|할리퀸]]의 분풀이 차례였다. 그 몸이 바닥에 채닿기도 전에 무수하게 분열된 영창이 벌떼처럼 덮쳤다. "버비". [[그로키시니아]]에 필적하는 신수의 힘이었다. 긴몸에 성한 곳이 없을 정더로 잘게 저며진 메라스큐라는 맥 없이 바닥에 처박혔다.
  • 임백천 . . . . 1회 일치
         [[1958년]] [[5월 30일]], [[전라남도]] [[순천시|순천]]에서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순천시|순천]] 소재의 [[초등학교]]를 입학했으나, [[서울특별시|서울]]로 상경해 학창 시절을 보냈다. 이후 [[국민대학교]] 건축학과에 입학해 [[1978년]] 고영선과 함께 참가한 [[MBC 대학가요제|대학가요제]]에서 장려상을 받고 곧바로 [[가수]]로 데뷔했으나, 가수 활동보다 [[MC]]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0년대 말에 [[TBC 젊은이의 가요제|해변가요제]] 출신의 [[왕영은]]과 함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의 더 DJ/MC로 방송에 데뷔해 큰 인기를 얻은 게 MC로 진출한 계기였다.
  • 임효성 . . . . 1회 일치
         || 소속팀 || [[서울 SK 나이츠]](2004~2006) [br]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랙슬래머/엘리펀츠]](2006, 2009~2013) [br] [[창원 LG 세이커스]](2006~2009) ||
  • 자본통제 . . . . 1회 일치
          * 선진국의 금리 인상, 국제금융시장의 격변으로 단기자금이 사라지면, 자산버이 붕괴되어 통화위기, 경제위기를 겪을 수 있다.
  • 장계현 . . . . 1회 일치
         |레이 =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 《[[러디 쉐이크]]》
  • 장세용 . . . . 1회 일치
         ||<bgcolor=#1870B9> '''{{{#FFFFFF 외부 링크}}}''' ||<(> [[https://blog.naver.com/syjang26|[[파일:네이버로그.png|width=24]]]] [[https://www.facebook.com/people/장세용/100008262002091|[[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jang_seyong_gumi/|[[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
  • 장우혁 . . . . 1회 일치
         * [[2006년 2월]] : 서울대어린이병원후원회 루캠페인 수호천사
  • 전관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gjun9994/ 전관 네이버 로그]
  • 전국 BASARA . . . . 1회 일치
         === 플레이어 ===
  • 전명운 . . . . 1회 일치
         그는 장인환의 재판이 진행되는 동안 [[라디보스토크]]로 잠시 이주했다가 다시 샌프란시스코로 귀환, 그 곳에서 '''맥 필즈'''(Mack Fields)라는 이름으로 개명하고 1920년 결혼, 귀화하였다. 말년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며 어렵게 생계를 꾸려 나갔다.<ref>《미국의소리》 (2007.6.18) [http://www.voanews.com/korean/2007-06-18-voa18.cfm 미주한인 100년의 발자취/ 미국서 독립의거 - 전명운, 장인환 의사]</ref>
  • 전재용 . . . . 1회 일치
         [[2012년]] 전직 대통령이 묻어둔 비자금의 일부라는 소문이 파다했던 골프장 회원권 142개(약 355억원)가 매물로 나왔다. 매물로 나온 회원권 142개의 소유자는 에스더유디씨라는 법인인데, 이 업체 임원으로 전두환의 차남인 전재용, 전재용의 부인 박상아, 전두환의 처남 이창석, 이창석의 부인 홍정녀 등 4명이 있다. 전두환 일가가 골프장 회원권을 구입한 경위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2322266 골프장 회원권이 전두환 비자금?] 동아일보 2012년 3월 23일</ref>
  • 전혜빈 . . . . 1회 일치
         || 2011년 || 제4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케이TV상 || 야차 ||
  • 절대가련 칠드런/436화 . . . . 1회 일치
          * 효부가 꾼 악몽을 생각하면 효부 또한 랙 팬텀의 마수가 뻗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절대가련 칠드런/437화 . . . . 1회 일치
          * 시호와 유리는 사카키 슈지의 집에서 "츠보미 후지코가 랙 팬텀에게 오염됐을 수도 있다"는 의견을 주고받는다.
  • 절대가련 칠드런/438화 . . . . 1회 일치
         '''* 츠보미의 눈가에 랙팬텀의 세뇌가 걸린 사람들에게 발견되는 균열이 나타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1화 . . . . 1회 일치
          * 물론 자신이 이기겠지만 그래서야 랙 팬텀의 뜻대로 놀아날 뿐이라고 말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42화 . . . . 1회 일치
          * 하지만 랙팬텀의 세뇌를 이겨내지 못하고 "진짜 세상을 좀 먹는 존재를 밝히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며 합리화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52화 . . . . 1회 일치
          * 뿐만 아니라 호위함으로 잠수함 금단의 여제(언터쳐 엠프레스)호도 뒤따라 오고 있다.
  • 절대가련 칠드런/461화 . . . . 1회 일치
          * 카오루는 마츠카제가 준비한 타렛PC와 미나모토의 옷가지 등도 가지고 왔는데 미나모토는 자취방에 고향에서 짐을 보낸 느낌이라고 말해서 카오루가 당황한다. "어머니나 가족"이 온 느낌이라고 정정하지만 분위기가 묘하게 변한다.
  • 절대가련 칠드런/466화 . . . . 1회 일치
          * 머리에 총을 댄 [[츠보미 후지코]]. 랙 팬텀의 인형이 된 그녀는 스스럼없이 방아쇠를 당긴다.
  • 정링컨 . . . . 1회 일치
         * 레몬트리&루독 [[유기견]] 캠페인 (2012)
  • 정미남 . . . . 1회 일치
         * 2005년 《에이젼트 티 하이루 스카이》 ... 에이젼트 역
  • 정수아 . . . . 1회 일치
         | 레이 =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문화방송]]의 드라마 [[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MBC 성우 [[정승현]]씨가, [[SBS]]의 드라마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MBC 성우 [[최병학]]씨가,[* 이후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12.12 직후 신군부의 지지로 [[국방장관]]이 되어 [[5.17 내란]]에 동조한 [[공군참모총장]] 출신의 [[주영복]] 역할로 출연했다.]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배우 [[박인환(배우)|박인환]]씨가 정승화 역을 맡았다. 영화 [[그때 그 사람들]]에선 정종준씨가 분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정종준은 1995년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에서는 정승화 체포령을 내린 [[전두환]] 역으로 출연했다.] 영화 자체가 랙코미디이다 보니 꽤나 우유부단하고 코믹하게 나오는데 육군본부 앞에서 자신을 못알아보는 초병에게 내가 육군참모총장이라고 고래고래 소리 지르는 씬은 이 영화의 백미. 영화 속 설정상 여자에는 사족을 못 쓰는 것은 덤.
  • 정승환(가수) . . . . 1회 일치
          * '이 바보야'의 경우 무려 8시간을 녹음했다. 작곡가의 바람대로 슬픔이 폭발하는 느낌을 보여주는 멋진 클라이막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게 본인이 너무 높다는 걱정을 했다. [* 참고로 '이 바보야'와 함께 더 타이틀곡인 '그 겨울'은 더 높다.][* 첨언하면, 이 바보야의 최고음은 A4#(2옥타브 라#)이며, 그 겨울의 경우는 B4(2옥타브 시)이다.] 안테나 엔젤스가 모두 그렇듯 AR을 전혀 배제하고 라이브를 소화하고 있다. [* 결국 20161206 더쇼 방송분부터 클라이막스 도입부에 한정하여 급조한 AR을 깔아주긴 한다.] -- 유희열 밑에선 고음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정재호 (1964년)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qwertjung/ 정재호 로그]
  • 정종철 . . . . 1회 일치
         * [http://www.okdongja.co.kr 옥동자(정종철) 로그]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 [[굿바이 미스터 랙(드라마)]]
  • 제너럴 우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슈퍼 빌런. Tales of Suspense #61/2 (January 1965)
  • 젠 멘 . . . . 1회 일치
         DC의 경쟁사인 [[마 코믹스]]의 [[엑스멘]] [[패러디]] 팀. '[[닥터 다이하드]](Dr. Diehard)'가 이끄는 메타휴먼 팀인데 닥터 다이하드는 [[프로페서X]] + [[매그니토]]에 젠 멘 스쿨이란 시설도 있다. 멤버들 중에도 사이클롭스나 울버린을 닮은 캐릭터 등 엑스멘을 알고 있는 독자는 한번쯤 봐봤을 얼굴이 보인다.
  • 젬누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첫등장은 Journey into Mystery #62(November 1, 1960).
  • 조원진 . . . . 1회 일치
         || '''외부 링크''' ||[[http://twitter.com/chowonjin|트위터]], [[https://www.facebook.com/cho01|페이스북]], [[http://blog.naver.com/chowonjin88|로그]]||
  • 조응천 . . . . 1회 일치
         || '''외부 링크''' ||<(> [[https://www.facebook.com/chopros|페이스북]], [[https://twitter.com/chopros|트위터]], [[http://blog.naver.com/chopros|로그]] ||
  • 존 루터 존스 . . . . 1회 일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asey_Jones.jpg|출처]], 퍼릭 도메인 ||
  • 주영(가수) . . . . 1회 일치
         ||<:><#797979> {{{#white '''소속 레이'''}}} ||<(><#FFFFFF> [[스타쉽엔터테인먼트|스타쉽엑스]] ||
  • 주현미 . . . . 1회 일치
         '''[[루스]]의 여왕.''' '''[[가요무대]] 최다 출연의 주인공.'''[* 2005년 기준으로 총 485번 나왔다. 2위는 470번을 나온 [[현철]]이며 3위는 438번을 나온 [[설운도]]다.]
  • 지석진 . . . . 1회 일치
         ||<#FFA500> {{{#FFFFFF ''' 가족 ''' }}} ||<#ffffff><(> 부: 지창균[* 2018년 6월 21일 사망,], 모, 형[* 런닝맨 364회에서 형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동생, 배우자: 류수정[* 러리즈 류수정과 동명이인이다.], 아들: 지현우[* 배우와는 동명이인이다. 2002년 생.] ||
  • 진격의 거인/84화 . . . . 1회 일치
          * 베르톨트가 거인화하는 순간 한지를 구한건 모릿이었다.
  • 차선화 . . . . 1회 일치
         * [[2011년]] - 지스타 레드러드 모델
  • 창원시 . . . . 1회 일치
         [[http://blog.naver.com/cwopenspace/|로그]]
  • 창작:바벨 코스트 . . . . 1회 일치
         18세기 경, 제정 러시아가 폴란드를 위협해 오던 상황에서 몇몇 폴란드인이 영국을 거쳐 미대륙으로 건너가 서부 해안의 이름없는 땅에 자리를 잡은 것이 시작이였다. 이들은 고통스러운 모국의 상황이 나아지길 바라며 폴란드 역사상 최고의 성군인 카지미에시 3세를 떠올렸고, 크라쿠프의 바벨(Wavel) 성에서 이름을 따와 'Nowy Wavel'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영국계 백인들의 영향이 컸던 탓에 바벨(Babel) 코스트로 이름이 지어지게 되는 굴욕을 겪었다. Wavel을 영어로 읽으면 웨이에 가까운 발음이 나지만, Babel이라 이름지은 것은 그저 발음나는대로 쓰다보니 이렇게 됐다고도 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동유럽계 이민자들에 대한 경계와 멸시에서 비롯되어 바벨탑을 연상시키는 이름을 지었다는 해석도 있다.
  • 창작:좀비탈출/5-1-1-1-1 . . . . 1회 일치
         토트넘의 집은 채광이 좋지 않다. 우리 아버지가 사랑하던 풍경이 그에게는 달갑지 않았던거 같다. 이 집의 거실 유리창은 훨씬 작고 불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다. 그걸로 부족했는지 라인드까지 쳐져 있다. 그래서 실내는 다소 어둡다. 그래도 대략적으로 살펴보는 데는 지장이 없다.
  • 창작:좀비탈출/학교 . . . . 1회 일치
         다만 민구는 애초에 나가기를 거부한 쪽이었다. 엄밀하게 말하면, 가끔 길거리에서 들려오는 끔찍한 비명 소리를 듣고 겁이 나서 나갈 수 없었다고 한다. 다행히 학교 자체는 작년에 야자탈출에 신경질적이었던 교감의 지시로 담벼락이 2미터 가까운 높이의 콘크리트 록담으로 개수되어 있어 되려 어지간한 주택 보다도 안전했다. 넓은 학교에 평소에도 음울하고 조용한 공부벌레들만 몇명 있다보니까 소음도 크게 나지 않고, 벽이 높고 보안이 튼튼하다보니 피난처로는 상당히 좋은 곳이었다.
  • 챈슬러 (음악가) . . . . 1회 일치
         | [[엠랙]]
  • 천보영 . . . . 1회 일치
         * [[2014년]] - 부산국제모터쇼 기아자동차 웨어러K 시연 및 소개 모델
  • 천호진 . . . . 1회 일치
         | [[청 루스케치]]
  • 철인 28호 . . . . 1회 일치
          * [[랙 옥스]]
  • 철인 28호(로봇) . . . . 1회 일치
         [[카네다 쇼타로]]가 조종하는 [[거대로봇]]. 쇼타로의 아버지인 [[카네다 박사]]와 동료인 [[시키시마 박사]]가 만들었다. 쇼타로와 그의 파트너나 다름없는 [[오오츠카 서장]], 동료인 시키시마 박사와 함께 활약. 대표적인 적은 [[프랑켄 박사]]의 [[랙 옥스]].
  • 최공웅 . . . . 1회 일치
         1966년에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어 1969년 까지 재직하다가 서울형사지방법원으로 전보되어 1971년 까지 재직하였다. 1971년에 다시 서울민사지방법원으로 돌아와서 1975년 까지 근무하다가 1975년과 1976년에 [[춘천지방법원]]에서 합의부 재판장을 하였다. 1977년부터 1980년 까지 [[서울고등법원]]에서 판사를 하면서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치는 동안 1974년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비교법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78년에 Hague Academy of International Law에서 국제국제사법 과정을 연수했다. 특히 헤이그 국제법 아카데미에서 국제사법 연수를 받고 저서 <국제 소송>은 국제사법 분야에서 바이로 통한다.<ref>동아일보 1995년 11월 21일자</ref>
  • 최란(배우) . . . . 1회 일치
          *신석기 루스 (박 실장 역)
  • 최성조 . . . . 1회 일치
         * [http://gancoach.blog.me/ 공식 로그]
  • 최연제 . . . . 1회 일치
         | 레이 =
  • 최영미 (시인) . . . . 1회 일치
         [[서울대학교]] 2학년이던 198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내 시위에 가담하여 [[서울관악경찰서|관악경찰서]]에서 구류 10일을 살고 1년간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 대학졸업 후에 반독재 투쟁을 위해 만들어진 비합법 조직 '제헌의회그룹'의 사회주의 원전 번역팀에 들어가 [[카를 마르크스]]와 [[라디미르 레닌|레닌]]의 저작물을 공동번역했다. 십 여명이 번역과 교열작업에 매달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해방 이후 최초로 현대 한국어로 옮긴 《자본 1》이 1987년 이론과실천사에서 김영민이라는 허구의 인물을 역자로 내세워 출판되었고, 출판사 대표는 사회주의 원전을 출판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1980년대 말 [[소련|소비에트 정권]]의 붕괴와 공산주의의 몰락을 경험하면서 최영미는 거대 담론과 이데올로기에 회의를 품게 되었고, 자신의 안과 밖에서 진행되는 심각한 변화를 글로 표현하려 노력하며 작가의 길을 걷게 된다.
  • 최재만 . . . . 1회 일치
         |레이=
  • 최재연 . . . . 1회 일치
         * [http://cafe.daum.net/ggagul 공식 로그]
  • 최재우 . . . . 1회 일치
         7세 때 부터 스키를 타기 시작했으며, 2004년에 모굴 스키에 입문하였다. [[서울유현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이던 2006년에 캐나다 랙콤에서 열린 스피릿 시리즈 하프파이프 경기와 슬로프스타일 경기에서 1위를 했고, 같은 해에 실버스타 스키장에서 열린 대회에서도 모굴 1위, 듀얼 모굴 2위를 기록했다. [[2007년]]에 캐나다 사이프러스에서 열린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청소년 모굴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하였으며, 2009년 1월 31일에 대한민국 대표로 발탁되어 [[일본]] [[이나와시로]]에서 열린 FIS 레이스에 참가하여 모굴 경기에서 46위를 기록하였다. 2월에도 이나와시로에서 열린 FIS 레이스에 참가하여 모굴 부문 20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3월에는 이나와시로에서 열린 [[2009년 세계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권 대회|세계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모굴 부문에서 26위, 듀얼 모굴 부문에서 22위를 기록하였다. 그 해 8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위치한 페리셔 스키 리조트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컵에 참가하여 21일에 진행된 모굴 경기에서는 35위, 다음 날에 열린 경기에서는 13위에 올랐다.
  • 최재희 . . . . 1회 일치
         | 레이 =
  • 최정원(남자배우) . . . . 1회 일치
         [[뮤직비디오]]로는 '백기웅 - 그립니다(2013)', 40(포티) - Black(랙) (feat. Swings(스윙스)(2014)'가 있다.
  • 최지우(영화배우) . . . . 1회 일치
         2009년 3월 이후 1인 기획사 씨콤마 제이더유 컴퍼니 소속으로 활동했으나 2014년 2월, [[YG엔터테인먼트]]로 이적을 발표했다. 5년만에 다시 [[대형 기획사]]로 돌아가게 된 셈.
  • 최태수(가수) . . . . 1회 일치
         | 레이 =
  • 최현진 (드러머) . . . . 1회 일치
         | 레이 =
  • 충완 . . . . 1회 일치
         | 레이 =
  • 카라스노 고교 . . . . 1회 일치
         시합 때 입는 유니폼은 오렌지색과 남색을 배색한 디자인으로 무난하다는 평. 그런데 연습할 때 입는 배구부 트레이닝복이 상하의 모두 칙칙하다 못해 시꺼먼 '''검정색'''이다.[* 사족으로 카라스노 고교의 학교 체육복은 팥색.] 여기에 학교의 상징동물인 [[까마귀]]와 [[타나카 류노스케|얼굴만으로]] [[카게야마 토비오|사람을]] [[아즈마네 아사히|쫄게 하는]] 선수들이 더해지면서, 이미지만으로는 매우 살벌한 학교가 되어 버렸다. 어쩌다 대회장에서 '날지 못하는 까마귀' 운운했다가는 높은 확률로, 이들이 전원 [[죽은 눈]]을 한 채 호러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을 볼 수 있다.
  • 카를로스 4세 . . . . 1회 일치
         1805년, [[트라팔가 해전]]에서 스페인은 모든 함대를 잃었고, 1807년에는 [[퐁텐로 조약]]으로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군이 이베리아 반도에 침입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결국 국민들이 분노하여 1808년 3월 황태자 페르난도([[페르난도 7세]])가 이끄는 아란후에스 폭동이 일어나, 페르난도에게 양위하고 퇴위, 망명하였다.
  • 캡틴 울트라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캐릭터. 본명 Griffin Ultra. 첫등장은 Fantastic Four #177 (December 1976)
  • 캬바쿠라 . . . . 1회 일치
         1980년대 중반에 나타난 유흥업소. 서비스 요금은 기본적으로 시간제이며, 접대를 맡는 캬바죠우가 테이에 동석한다. 대충 아가씨 끼고 노는 술집이라고 보면 된다.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 . . . . 1회 일치
          * 라디미르 장군
  • 케모 . . . . 1회 일치
         그냥 그 자체만으로도 위험한 괴물인데 그 특성상 고공에서 떨구는 것으로도 강력한 무기가 되어서 악당 조직인 소사이어티가 러드헤븐에 떨어뜨려 수많은 인명을 학살했는데 이때도 케모는 그리 오래가지 않고 재생했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 . . . . 1회 일치
          더 배럴 산탄총. 장탄수가 적고 사정거리가 짧은게 문제. 코 앞에 있는 적을 이걸로 쏴죽이면 추가 점수가 들어온다.
  • 콜 오브 후아레즈 : 건슬링어/줄거리 . . . . 1회 일치
         1910년, [[캔자스]] 주 애린에 말을 탄 노인 한명이 찾아온다. 불스 헤드(Bull's Head)라는 주점 안으로 들어선 노인은 그곳의 사람들에게 자신은 사일러스 그리브스라고 소개한다. 이에 젊은 남자가 현상금 사냥꾼인 사일러스 그리브스 맞냐고 물어보자 사일러스는 자신이 현상금 사냥꾼 일을 했던 적이 있다며 인정한다.
  • 킹 오브 드래곤즈 . . . . 1회 일치
         == 플레이어 캐릭터 ==
  • 태보 . . . . 1회 일치
         1980년대에 [[빌리 랭크스]]가 창안한 무술 겸 트레이닝 프로그램. 이름은 태권도('''tae''' kwon do)와 복싱('''bo'''xing)에서 따온 것이다.
  • 토리코/357화 . . . . 1회 일치
          * 네오 대 돈슬라임, 지로 대 루 니트로, 미도라 대 죠아 등등 굵직한 빅매치를 놔두고 설마했던 설명편. 흐름을 다 짤라먹고 있다.--맥가위버--
  • 토리코/361화 . . . . 1회 일치
          * 루 그릴에서 골든 쿡웨어를 만들 때 2대 멜크에게 부탁해 병따개를 만들었고 코마츠는 지금이야 말로 통조림을 열 때라고 말한다
  • 토리코/369화 . . . . 1회 일치
          * 죠아는 GOD의 출연을 느끼고 아카시아(네오)는 루 니트로 페어와 함께 현장으로 날아올 준비를 한다.
  • 토리코/372화 . . . . 1회 일치
         * 루 니트로 아톰은 나서려 하지만 페어는 잠시 기다리도록 한다.
  • 토리코/380화 . . . . 1회 일치
          * 때를 놓치지 않고 죠아, 루 니트로 페어가 그들을 공격한다.
  • 토리코/392화 . . . . 1회 일치
          * 루 니트로 페어는 토리코도 그걸 알아차린 거냐고 말한다.
  • 트로피코 4/칙령 . . . . 1회 일치
         메신저, 로그, 페이스북, 직장 내의 수다를 금지시킨다. 시민들이 소셜 네트워크에 홀리지 않고 일에 집중하기에 생산력이 5% 상승한다. 게임 자체의 페이스북/트위터 연동 기능도 차단된다.
  • 특이한 세금 . . . . 1회 일치
          * 루베리세 : 메인 주에 있다.
  • 티나 (1980년) . . . . 1회 일치
         | 레이 =
  • 판타스틱 포(1994년 실사영화) . . . . 1회 일치
         [[마 코믹스]]의 [[판타스틱 포]]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실사 [[영화]]. 1994년에 나왔다. 제작은 저예산 영화의 대가인 [[로저 코먼]]의 [[콩고드 픽처스]].
  • 페어리 테일/484화 . . . . 1회 일치
          * 아이린은 손님(적)이 왔음을 느끼고 러드맨과 라케이드에게 준비는 됐냐고 묻는다.
  • 페어리 테일/499화 . . . . 1회 일치
          * 쥬비아는 워터 메이크 "러드", 수혈 마법을 써서 자신의 피를 그레이에게 옮긴 것이다.
  • 페어리 테일/521화 . . . . 1회 일치
          * 흩어져서 싸우던 스프리건12들이 하나둘 쓰러진다. [[미라젠 스트라우스]]와 싸우던 [[제이콥 레시오]]도 결국 패배. 미라젠의 보디 로를 맡고 쓰러진다. 미라젠은 이기긴 했지만 매우 힘겨운 싸움이었는지 승리와 함께 테이크오버가 풀린다. 아마 강함만으로는 제이콥 쪽이 우세했던 듯 하지만, 특유의 야한거에 약한 기질 때문에 미라젠과 싸우는 내내 눈을 감고 있었다고 한다. 패인은 그것인듯.
  • 페어리 테일/533화 . . . . 1회 일치
          * 한 자리에 모인 길드원들은 각기 정보를 공유한다. [[아크놀로기아]]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누군가 루 페가수스의 크리스티나 호를 쫓아가는 걸 봤다고 말한다. [[에버그린(페어리 테일)|에버그린]]은 그들이 미끼가 되어 준거라 생각한다. [[엘프런 스트라우스]]는 그들에게 감사를 표한다. 길다트는 여기에도 없는 인원에 대해 묻는다. [[나츠 드래그닐]], [[루시 하트필리아]], [[그레이 록버스터]], [[엘자 스칼렛]], [[웬디 마벨]], [[해피(페어리 테일)|해피]]까지 총 6명. 이들의 행방은 찾고 있지만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다. 남은 인원들은 저 여섯 명이 무사히 있기를 기도한다.
  • 페어리 테일/538화 . . . . 1회 일치
          * [[이치야 반다레이 코토부키]]와 [[안나 하트필리아]]의 희생으로 [[아크놀로기아]]를 물리쳤다. 그러나 마룡을 시간의 틈새로 밀어넣기 위해 두 사람도 함께 휘말리고 말았다. 살아남은 루 페가수스의 길드원들과 [[엘자 스칼렛]], [[제라르 페르난데스]], [[웬디 마벨]]. 그들은 바다를 건너 작은 바위섬 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마지막까지 마룡과 싸우며 만신창이가 됐던 제랄은 어느 정도 회복했지만 일어날 정도는 아니었다. 그는 엘자의 무릎에 누운 채로 또 살아남았다고 한탄조로 말한다.
  • 페어리 테일/544화 . . . . 1회 일치
          * 짧은 시간 만에 그녀는 전 대륙을 둘러보고 오는 길이었다. 그리고 링크마법은 전대륙, 전국민에게 빠짐없이 부여됐다. 페어리 테일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링크 마법을 통해 힘을 보내주고 있었다. 그야말로 이 세계 전체의 힘. 거기에는 이 자리에 도착하지 못한 동료들도 있었다. [[제라르 페르난데스]]와 [[안나 하트필리아]], [[이치야 반다레이 코토부키]]와 [[루 페가수스]], [[바커스]]와 [[콰트로 케르베로스]], [[머메이드 힐]], [[코로나 플레어]]와 태양의 마을 주민들, [[피오레 왕국]] 일동까지.
  • 페어리 테일/545화 . . . . 1회 일치
          * 다른 길드들은 대체로 전쟁 전과 다를 게 없다. 세이버투스는 매년 하는 푸드 파이터 대회를 또 개최했고 또 [[미네르바 올랜드]]가 석권했다. 최종 경쟁자였던 [[스팅 유클리프]]와 [[로그 체니]]를 압도적으로 앞지르는 스코어. 루 페가수스는 [[이치야 반다레이 코토부키]]가 IOY 자리에 오르며 전성기를 구가 중. 변동이 심한건 머메이드 힐. 주간 소서러의 전속 모델팀으로 발탁되면서 [[카구라 미카즈치]]가 관심도 없던 모델 일을 시작했다. 어쨌든 다들 잘 지내고 있다.
  • 페이데이 2 . . . . 1회 일치
          카지노를 터는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와 돌격소총(Cavity 9mm), 슬롯머신 손잡이, 스위치레이드, 칩 수거용 막대기, 전기충격기가 들어있는 DLC.
  • 페이데이 갱 . . . . 1회 일치
          * 라드(Vlad)
  • 프리터 . . . . 1회 일치
         [[버 경제]] 시기에 나타난 말. 당시에는 임금이 높았기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자유롭게 일하고 여유로운 생활을 보내는 이상적인 패턴이라는 의미가 강했지만, 점차 경기가 악화되면서 비정규직으로 어렵게 일하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가 강해졌다.
  • 핑커톤 . . . . 1회 일치
         || 현재 사용되는 핑커톤의 엠럼 ||
  • 하리수 . . . . 1회 일치
         * [[2013년]] 《[[드랙퀸]] (Drag Queen)》, 뮤지컬 ... 클럽 랙로즈 사장 오마담 역
  • 하이큐/211화 . . . . 1회 일치
          * 이전에 카라스노 3학년 회상 중 다이치가 "볼을 줍는 동안에도 얻는 게 있다"고 말한 적 있다. 스파이커의 모션을 보고 코스를 읽는다는 내용이었는데, 히나타의 깨달음도 같은 것 아닐까? 로커로서 성장할 기회가 될 수도
  • 하이큐/243화 . . . . 1회 일치
          * 카라스노는 도시락을 먹으며 [[네코마 고교]]의 경기를 관전한다. 네코마의 상대는 코치현의 키요카와 고교. 3학년 WS 야마자키 료지가 에이스를 맡고 있다. 신장 183cm의 스파이커. 상당히 활약하며 네코마의 록을 공략하고 있다. 아즈마네와 스기와라가 굉장하다고 평할 정도의 기량이지만, 사실 봄고 대회까지 오면 굉장하지 않은 팀도, 굉장하지 않은 선수도 없다.
  • 하이큐/247화 . . . . 1회 일치
          평소처럼 승부욕에 불타는 히나타. 하지만 요점이 다르다. "1위랑 2위 전부"랑 싸운다는건, 결국 2위 이나리자키를 이기겠다는 말이다. 너무 당연한 것처럼 말하는 태도에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황당해한다. 딱 한 사람만 아무렇지 않게 맞장구치는데 그것이 카게야마. 한술 더 떠서 1위 "이타치야마 고교"랑 싸우려면 반대록이니 결승까지 그쪽이 와줘야 한다고 말한다. 히나타는 설령 이타치야마가 못 와도 "이타치야마한테 이긴 팀이 결국 1위"라는 논리로 아무튼 1위랑 싸우는건 변함없다고 장담하고 있다.
  • 하이큐/249화 . . . . 1회 일치
          * 그런데 그 좋은 점프를 뛰어놓고, 정작 올라온 공을 치질 못한다. 치지 않았다기 보다는... 그냥 점프를 잘 뛰는데 정신이 팔려서 공 치는걸 잊어버린 것이다. 맥없이 코트에 떨어지는 공. 히나타를 보고 록했던 스나가 떨어지는 공을 황당하게 쳐다본다.
  • 하이큐/266화 . . . . 1회 일치
          * 그로부터 시간이 흘러 봄고 2일차. 코즈메는 결국 야마모토를 "토라"라고 불렀다. 사루카와의 스파이크가 쿠로오를 맞고 좌측으로 빠졌다. 코즈메의 신호에 맞춰 야마모토가 커버했다. 공은 다시 코즈메에게. 코즈메는 다시 야마모토에게 세트업. 그러나 사루카와의 록이 빨랐다. 사루카와의 득점. 하지만 네코마 벤치에서 지적한 건 코즈메 쪽이었다. 방금 또 "귀찮음"이 발동한 걸 들킨 것이다. 오버로 올릴 수 있는 공을 언더로 올렸기 때문이다. 올리는 입장에선 오버 쪽이 조금 더 공이 드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오버로 높은 지점에서 올리는 쪽이 언더에 비해 안정적이고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했다.
  • 하태웅(가수) . . . . 1회 일치
         | 레이 =
  • 하현정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happyihhj 하현정 네이버 로그]
  • 한가빈 . . . . 1회 일치
         |레이 = 디지탈레코드
  • 한가인 . . . . 1회 일치
         | 루페페
  • 한교원 . . . . 1회 일치
         데뷔시즌인 11시즌에는 주로 최전방에서 뛰었지만 12시즌부터 윙어로 포지션을 변경, 이후 본인이 인터뷰에서 자신의 장점이라고 언급했던 [[근성]] 넘치는 플레이와 빠른 스피드, 의외성 넘치는 플레이로 주전자리를 꿰찼다. 그리고 이어지는 13시즌에는 다소 투박하지만 수비수를 제껴내는 드리과 중앙 침투로 인천의 핵심으로 자리잡았다. 당시 인천의 돌풍에 [[이석현(축구선수)|이석현]], [[김남일]]과 함께 가장 많이 공헌한 선수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 좌측은 [[남준재]]와 [[이천수]]가 돌아가면서 출전했고, 최전방의 [[디오고 아코스타]]는 나름 괜찮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때때로 아쉬움을 남겨 [[설기현]]과 로테이션 체제가 나오기도 했는데, 한교원만큼은 붙박이 우측 윙어로 공격진을 이끌었다. 이 활약 덕분에 영플레이어 상을 받을 만한 후보로도 점쳐졌지만, 최종 수상자는 [[고무열]].
  • 한동근 . . . . 1회 일치
         | 레이 = [[로엔 엔터테인먼트]]
  • 한동욱 . . . . 1회 일치
         * [[2007년]] [[10월 24일]] vs [[도재욱]] (루스톰)
  • 한상원 . . . . 1회 일치
         | 레이 =
  • 한승엽 (1985년) . . . . 1회 일치
         | 키보드 = 삼성 랙키보드
  • 한윤성 . . . . 1회 일치
         | 레이 =
  • 한인수(탤런트) . . . . 1회 일치
         드라마 바이에도 참여하여 [[하나님]]역을 맡은바 있다. [[https://namu.wiki/w/%ED%8C%8C%EC%9D%BC:DBVoice3.png|출처]]
  • 한지유 (모델) . . . . 1회 일치
         | 레이 =
  • 한현민(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케이 ==
  • 한혜숙(배우) . . . . 1회 일치
         실제 성격이 직선적이고 도도한 편으로, 드라마에 반영되어 주로 꼿꼿하고 도도하고 고집이 있는 여자주인공 역할을 주로 맡았다. 1970년대에 '브라운관의 [[김지미]]'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상당한 미모를 자랑했다. 올곧은 성격으로 인해 [[PD(방송)|PD]]들하고 트러도 있었는데, 그로 인해 하차하거나 방송에 나오지 못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래도 1970 ~ [[1980년대|80년대]] 미모 순위하면 항상 순위권에 들었다.
  • 함신영 . . . . 1회 일치
         * 모두의 마
  • 해쉬스완 . . . . 1회 일치
         |레이 = [[CJ E&M]]
  • 허범욱 . . . . 1회 일치
         | 웹사이트 = [https://www.facebook.com/yiyi1983 페이스북]<br>[http://blog.naver.com/yiyi1983 로그]
  • 허지애 . . . . 1회 일치
         * [http://blog.naver.com/honeydaily87 허지애 네이버 로그]
  • 헌경왕후 . . . . 1회 일치
         * 《[[붉은 왕세자빈]]》(The Red Queen, 한글판 부제 : 영혼의 ‘한중록.’마거릿 드래, 전경자 옮김, 문학사상사, 2005, {{ISBN|89-7012-697-X}})
  • 헤이즈 (가수) . . . . 1회 일치
         | 레이 = [[NHN벅스]] (2014년 1월 ~ 2015년 6월)<br />[[CJ E&M]] (CJ E&M Music) (2016년 4월 ~ 현재)
  • 혐저 . . . . 1회 일치
         이러한 사고방식이 확대되어, 광고적인 내용을 많이 넣어서 [[스팸]] 같은 경향이 나타나는 [[로그]], 2채널에서 인용한 글을 주로 만든 서적류에 대한 불만, 거기에서 더 나가가 동영상 사이트([[니코니코 동화]] 등) 같은 곳에서 공개된 음악([[보컬로이드]] 등)이 상업적으로 전개되는 것, 동영상 사이트에서 게임 플레이 영상 중개, 나아가서 '''"다른 사람이 인터넷을 통하여 돈을 버는 것 자체"'''에 불만을 느끼는 분위기를 뜻하게 되었다.
  • 홍경인 . . . . 1회 일치
         하지만... '전태일' 이후의 그의 행보는 썩 좋지 못했다. 케이 및 공중파 오락프로그램에 여기저기 출연하고 진행하는 등의 그의 행보로 인하여 특히 영화계에서는 '''도대체 누가 배우 관리를 저렇게 하는거냐? 저런 배우를 제대로 관리하지도 못하고 방송 여기저기 나오게 하냐?'''는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다.[* 심지어 개그맨들과 꽁트를 찍기도 했었고 드라마타이즈 코미디에도 참여했을 정도다. 그것도 개그를 받쳐주는 정상인 역할이 아니라 오히려 본인이 바보스럽게 코믹한 쪽으로... 무려 90년대 최고 개그우먼 중 하나인 [[이영자]]와도 꽁트를 했을 정도. --이영자한테 홍진경이 77년생이고 자기가 76년생이라 홍진경이 누나라는 드립을 치기도...--] 그럴수 밖에 없었던게 이 당시 젊은 배우들은 극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예능프로에 자주 출연하여 인지도나 친밀감을 쌓는게 당연시였던 시절이었고, 당시 [[배용준]]이 소속되어있던 소속사로 이적하다보니 여기저기 나오는게 당연시 되었던 것.[* 역시 배우에게는 예능이 毒이다. 그리고 이 시기에 홍경인과 [[배용준]]을 관리하던 사람은 바로 훗날 [[전지현]]을 대 스타로 만든 사이더스HQ의 '정훈탁' 되시겠다. 당시 정훈탁은 EBM이라는 매니지먼트사를 차렸는데, 소속 연예인은 바로 배용준, 한재석, 정찬, 차태현, 홍경인...] 더불어 영화 전태일의 이미지를 지우고자 선택했던 '피아노맨', '채널 식스나인'이라는 영화에서도 연기력면에서는 호연을 보여줬으나 영화 자체의 운이 없었거나 연기력이나 화제성에서 다른 배우들에게 밀리기도 했다.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1회 일치
         7집부터 변화하기 시작한 환희의 창법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흉성을 진득하게 다루던 6집에 비해서 아주 조금은 얇아지고 비음이 가미되었으며 고음역폭이 넓어졌다.[* 8집의 술을 들어보면 환희의 고음역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특이한 버릇이 생겼는데, 6집까지는 없던 습관으로서 음을 끌다 끝처리를 독특하게 맺는다. 이 끝음 처리라는 것이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것인데, 들어보면 제법 호불호가 갈릴 법한 습관이다. 2015년 [[유희열의 스케치북]]에서 '미워해야 한다면'라는 더 타이틀 곡중 하나를 불렀는데 바리톤의 음역대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3옥타브 도#의 진성 고음 파트는 '''레전드 수준'''. 창법이 안정적으로 바뀐 2014년도부터 최근 라이브를 들어보면 굉장히 안정적이라는 걸 알 수 있다.
  • 황가히 . . . . 1회 일치
         * [[SONY]] [[플레이스테이션 포터|PSP]] 지면 모델
  • 황산 (삽화가) . . . . 1회 일치
         * [http://h2so4.egloos.com/ 황산 로그]
  • 황정립 . . . . 1회 일치
         [[2012년]] [[KIA 타이거즈]]의 8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확대 엔트리 시행 후 1군에 올라왔고, 2012년 9월 14일 광주 무등경기장 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더헤더 2차전에서 8:7로 뒤지고 있던 연장 12회말 2아웃 데뷔 첫 타석에서 [[투수]] [[강영식]]을 상대로 3구를 받아 쳐 동점 홈런을 날렸다.
  • 황정민(남자배우) . . . . 1회 일치
          * ~~상당한 의리남이다~~ [[김제동]]은 신년특집 MBC스페셜에 출연해 “황정민, [[박건형]]과 소주를 먹게 됐다. 옆 테이에 술이 많이 취하신 분이 시비를 걸었다. ‘연예인 별 거 아니네. 못생겼네’라고 하자 누구를 지목하지도 않았는데 황정민이 벌떡 일어나 ‘우리 제동이 욕하지 말라’고 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 황정오 . . . . 1회 일치
         [[경북 선산군 무을면 무이동]]에서 태어나 대구 [[중앙중학교]]와 [[계성고등학교]]를 입학하면서 유도를 배우기 시작했고, [[1979년]]에 유도 국가 대표로 발탁되었고 [[1980년]] [[폴란드]] 클라라프에서 열린 세계 대학생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해 주목 받기 시작했다.
  • 황희두 . . . . 1회 일치
         * {{공식 로그|heenimhwang}}
  • 히노쿠니 . . . . 1회 일치
          * 2016년 4월 16일에 여배우 [[후지와라 노리카]]가 자신의 [[로그]]에 쿠마모토의 지진 뉴스에 마음이 아파하면서 이상과 같은 문장을 써서, 쿠마모토 현의 주민들이 [[신]]에게 벌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거냐는 비판이 나와 논란이 되었다.[[http://www.asagei.com/excerpt/56724 (참조)]]
11531의 페이지중에 97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