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블랙리스트"을(를) 전체 찾아보기

블랙리스트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 . . . . 14회 일치
          * '''상위 항목 : [[창작:블랙리스트]],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인물]]'''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4.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5.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2.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3. ~~딱히 컨셉이 없어서 TS화 되었다~~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0. ~~이름은 근육의 말장난이라고 카더라~~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6.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9.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7.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4 + 세인츠 로우 2의 악역 베테랑 차일드.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8.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5.
          모티브는 니드 포 스피드: 모스트 원티드의 블랙리스트 #10.
          마피아와 관계된 VIP들을 경호하거나 곤란한 사안을 대신 처리하는 총잡이. 실력도 실력이지만 겸손하고 조용하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는 대인배로 불리고 있다. 당연히 개차반들만 모여 있는 그리지오 패밀리에서는 상당히 싫어한다. 언제 총을 써야 하는지 경우를 잘 가릴 줄 아는, 블랙리스트에서도 손꼽히는 상식인. 모종의 사유로 그리지오 패밀리에게 추격을 당하고 있다.
  • 창작:블랙 마켓 . . . . 7회 일치
         블랙 마켓 자체가 형태를 가진 조직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구성원들은 각자 별도의 직업이나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이 중에는 진짜로 사회적으로 존재하는 직업도 있고, 단순히 위장을 위해 만들어낸 역할도 있다. 다만 이들 중 위험도가 높거나 자주 알려진 인물들은 범죄자건 일반인이건 모두 [[창작:코스모폴리턴/블랙리스트|코스모폴리턴/블랙리스트]]에 등록된다. 이런 블랙리스트 등록자들을 사살 혹은 생포~~원피스의 현상금?~~하는 자에겐 사회적 명성과 보상이 주어지며, 이를 본업으로 삼는 자들도 있다. 그러나 이를 빌미삼아 범죄의 길로 빠지는 자들도 많다. ~~원피스 표절이네.~~
         소속원 목록은 각 도시의 인물 문서(ex.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인물|트와일라이트 시티/인물]])나 블랙리스트(ex. [[창작:블랙리스트|블랙리스트]])를 참고.
         블랙리스트나 블랙 마켓의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천부적인 재능. 블랙 마켓에서는 이 중 '범죄'나 '수사'에 도움이 될 만한 재능을 추려 별도로 분류한다. 게임으로 치면 패시브 스킬. 직업이나 역할에 따라 겹치는 경우도 있지만, 잠재 및 신체 능력과 경험치에 따라 천차만별 급으로 갈린다.
  • 박근혜 . . . . 5회 일치
         |혐의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관련 뇌물수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강요·기밀누설 등<br>----<br>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뇌물수수·국고손실)<br>----<br>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죄값 = 2심 징역 25년·벌금 200억 원, 검찰 단독 항소·상고로 상고심 진행중(최순실 및 블랙리스트 관련)<br>----<br>1심 징역 6년, 검찰 단독 항소로 항소심 진행중. (국고손실 유죄. 뇌물수수 무죄.)<br>----<br>징역 2년 확정<ref>https://news.joins.com/article/23164465</ref>(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박근혜는 대기업 관련 범죄·[[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등 혐의 18개 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 특활비 · 공천개입 등 혐의 3개에 대해 각각 재판을 받고 있다. 전자는 2심, 후자는 1심 판결이 나온 상태이다. 2018년 4월 6일 18개 혐의에 대한 1심에서는 혐의 16개에서 일부유죄 및 유죄가 인정되어 징역 24년 및 벌금 180억 원을 선고받았으며,<ref name=":0" />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 징역 25년 및 벌금 200억 원으로 형량이 늘어났다.<ref name=":2" /> 2018년 7월 20일 혐의 3개에 대한 1심에서는 2개가 인정되어 징역 8년 및 추징금 33억 원을 선고받은 상태이다.<ref name=":1">{{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0/0200000000AKR20180720096900004.HTML|제목=박근혜 '국정원 특활비·공천개입' 1심 징역 8년…33억 추징(2보)|성=송진원|이름=|날짜=2018-07-20|뉴스=연합뉴스|출판사=|언어=ko-KR}}</ref> 2개 재판을 합치면 혐의가 총 21개, 형벌은 총 33년형과 벌금 200억 원과 추징금 33억 원이다.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5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며 전직 [[국가정보원]] 제2차장이다. [[우병우]]의 서울법대 84학번 동기이자, 우병우의 최측근으로서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실행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계 블랙리스트]] 관여 ==
         국정원 제2차장 시절에 '국정원 문화·예술인 배제 보고서'를 수차례 보고 받고 지시하는 등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실행에 관여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추명호]]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이 우병우 전 수석에게 ‘비선 보고’하는 데 관여한 혐의도 받고 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1421.html#csidx24444379242d545ae3e855a102f4499|#]] 그러한 이유로 검찰에 의해 [[구속영장]]이 청구되었으나 2017년 12월 2일 [[오민석(법조인)|오민석]] 부장판사에 의해 기각되었다. 물론 검찰 내부에서는 최 전 차장의 구속영장이 '가담 정도'를 이유로 기각된 것에 불과하고 범죄 사실 소명 자체는 어느 정도 인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1731.html#csidxe6517123a8063c9aaa12e8244fa6d69|#]]
  • 창작:블랙리스트 . . . . 4회 일치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
          * 모티브는 NFS: 모스트 원티드에 나오는 "블랙리스트"와 미국 드라마 "블랙리스트", 미국 고전만화 "딕 트레이시"에 나오는 로그 갤러리(Rogue's Gallery)이다.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인물 . . . . 4회 일치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블랙리스트]] 계열 캐릭터들은 해당 문서를 참고.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블랙리스트]]
  • 박명수(MC) . . . . 3회 일치
         2012년 대선 때 [[문재인]]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명단에 이름이 올라갔다.[* 실제로 성향이 진보적인지는 알수없다. 과거 무한도전에서 [[김종필]]을 존경한다는 투의 애드립을 쳤다가 뭇매를 맞은 적이 있었으며 2017년 북한의 ICBM 개발을 두고 [[개성공단]]으로 들어간 자금이 핵개발에 쓰였을 것이라는 발언을 라디오에서 한 적이 있었다.]
          * '''[[청와대 블랙리스트]]'''[* 거성답게(...) 명단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셨다. 애초에 안 들어가 있는 사람을 찾기 힘든 블랙리스트지만, 무한도전 멤버들 중에선 유일하다.~~이런데서 유느님을 이기다니~~]
  • 유인촌 . . . . 2회 일치
         === 블랙리스트 ===
         [[2017년]] [[가을]], [[이명박 정부의 방송장악 블랙리스트]]의 작성이나 실행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와서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164108|기사]]. 일단 본인은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2965355|기사]].
  • 이중환(법조인) . . . . 2회 일치
         ||<#ddd><-2> [[이화여자대학교 정유라 특혜 논란|이화여대 입시부정 및 특혜]] || [[김장자]] · __[[최경희]]__ · __[[김경숙(1955)|김경숙]]__[br][[남궁곤]] · [[이인화|류철균]] · [[이인성(교수)|이인성]] ||<#ddd>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br]블랙리스트]] || __[[김기춘]]__ · __[[조윤선]]__ · [[김희범]] · [[김소영(정치인)|김소영]][br][[정관주]] · [[신동철]] · [[모철민]] · [[송광용]] ||
  • 창작:코스모폴리턴 . . . . 2회 일치
          * [[창작:블랙리스트|블랙리스트]]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조직 . . . . 2회 일치
          * [[창작:트와일라이트 시티/블랙리스트|트와일라이트 시티의 블랙리스트]]
  • 김민희(1982) . . . . 1회 일치
         이 일로 인해 모 광고모델 사에게 위약금을 물어주면서 광고계에서는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3799801|#]]
  • 문근영 . . . . 1회 일치
         2017년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이 블랙리스트를 주도한 가운데 한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아이디가 문근영에게 외할아버지의 일을 바탕으로 "빨갱이 이미지"를 덧씌워 비방했던 사실이 드러났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70398&iid=5054248&oid=032&aid=0002820225&ptype=052|[단독]‘문성근 합성사진’ 유포 ID, 비방글 무차별 양산…최근 일제히 삭제]]
  • 안기효 . . . . 1회 일치
         2014년 10월에는 아프리카 스타판에 불을 지폈다. [[박지호]]와의 스폰 매치중 박지호의 방플을 의심하며 그를 세차게 디스했다. ~~현재는 화해~~ 그런 어그로로 시청자를 끌어모은 뒤 주로 WWE 레슬러를 흉내내는 리액션과 심심하면 블랙리스트를 거는 컨텐츠로 별풍을 팔고있다. 방송중에 노래를 부르는 모습도 종종 보여주는데 꽤 잘하는 편이다. 임창정스러운 감성에 연규성과 비슷한 창법, 목소리를 구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WJSbUITb5-M|슬픈 혼잣말]] [[https://www.youtube.com/watch?v=o049dPIyACM|또 다시 사랑]] 등등 임창정의 노래를 좋아하고 잘 부른다. [[https://www.youtube.com/watch?v=WFRzK0KUku0|내가 저지른 사랑]]. 노래를 부를 땐 방금 실연을 당한듯한 리얼한 표정을 보여주며 임창정 특유의 창법을 상당한 수준으로 사용한다. 철구같은 억지 뇌성이 아니라[* 말이 좋아 뇌성이지 완전 목을 긁어내는 발성이라 성대가 남아나질 않는다. 철구는 성대 수술을 받기도 했는데 뇌성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프로 가수들도 샤우팅을 자제하는 이유가 구사하기도 어렵지만 목을 긁어내지 않으면서 발성하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비교적 안정적인 고음과 정확한 샤우팅을 구사했다. 다만 콧소리가 상당히 들어간걸로 보아 발성을 따로 배우진 않은듯 하다. ~~덕분에 팬들 사이에서는 면성이라는 새로운 창법을 창조해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11830의 페이지중에 14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