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불교 용어 목록"을(를) 전체 찾아보기

불교 용어 목록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 . . 58회 일치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하였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조직화된 공장]]'''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2|초기 철로]]'''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을 연구하지 않았을 시 '''{{{#red -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3.3.1|실용주의]]''' 발명 발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4.3.1|근대 논리학]]'''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4|반 자동화]]''' 기술 연구시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1.1|소화기 생산]]'''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5.5|경제적 책임]]''' 기술 연구시 '''{{{#green +2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5.4|해군 병참]]''' 기술 연구시 '''{{{#green +25%}}}'''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6|군중 정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 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3%}}}'''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4.1|시간연구]]'''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 . . 28회 일치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하였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3|국가와 정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3|국가와 정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3.3|경험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와 제국주의]]'''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1|작업 관리와 계층제]]'''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1|작업 전문화]]''' 발명 발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2|정탄]]'''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4|Cheap Steel]]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5|연소기관]]'''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4.5|진보한 야금학]]'''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5|전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5|조립 라인]]'''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기계적 생산]]'''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s-6.2|조직화된 공장]]''' 기술 연구시 '''{{{#green +2%}}}'''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2|교체 가능한 부품]]''' 기술 연구시 '''{{{#green +1%}}}'''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4.3|철제 후장식 화포]]''' 기술 연구시 '''{{{#green +1%}}}'''
  • 로힝야 . . . . 23회 일치
         로힝야는 미얀마 북서부 라카인주에 80만명 가량이 거주하는 소수민족이다. 방글라데시의 난민촌에는 20만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로힝야의 언어는 방글라데시 남부지방의 [[방언]]과 유사하다. [[미안먀]]에서는 [[불교]]가 다수 [[종교]]를 차지하고 있으나, 로힝야는 [[이슬람교]]를 믿고 있다.
          * 타이 : 지원은 하지만 수용은 하지 못한다는 입장. 애초에 타이도 미얀마와 같은 불교 국가이다.
         미얀마 정부는 이들이 영국 통치 이후 미얀마에 이주하게 된 방글라데시 인으로 보고 있으며, 이들을 방글라데시 불법이민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미얀마 정부는 '벵갈리'라는 명칭을 쓰고 있다. 미얀마 정부가 로힝야를 차별하는 배경에는 [[종교]]가 있는데, 미얀마 [[불교]] 신도들의 '반 이슬람' 감정이 강하기 때문이다.
         2012년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은 로힝야 문제에 대하여 해법을 제시하였는데, “유엔난민기구(UNHCR)가 운영하는 난민캠프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만약에 이들을 받아주는 나라가 있다면 그 나라로 보내 버릴 수도 있다”는 것으로 사실상 '추방' 선언이었다. 미얀마 정부는 여성이 한 번 출산하면 아이를 3년 동안 갖지 못하며, 무슬림과 불교도의 결혼을 제한하는 법률을 발표했다. 이 법률은 로힝야를 겨냥한 것이라는 논란이 있다.
         심지어 비슷하게 방글라데시-미얀마에 분포하는 소수민족인 라카잉 족도 이슬람교도라는 이유로 로힝야를 싫어한다. 라카잉 족은 불교도이다. 미얀마에서 분리독립을 노리는 라카잉 족 계열 아라칸 무장단체가 버마족 중심의 정부와 협력해서라도 로힝야를 때려잡겠다고 생각할 정도.[[http://h21.hani.co.kr/arti/world/world_general/37086.html 참조]]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 박해는 20세기 내내 계속되었다. 1962년 군부 쿠데타 집권한 네윈 정권은,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버마족과 다수 불교도 위주의 정책을 펼쳤으며, 소수민족 탄압이 본격화 되었다. 1978년 네윈 정권은 무슬림 반군 토벌을 명분으로 하여, ‘킹 드래건 작전’ 을 펼쳐서 로힝야를 대규모로 체포했다. 로힝야 20만명이 방글라데시로 피난갔으나, 방글라데시에서도 지원을 별로 받지 못하여 1만 2천명이 아사나 병사했으며, 생존자는 미얀마로 송환됐다.
         2011년 미얀마가 [[민주화]]되기 시작하였으나, 로힝야에 대한 박해는 오히려 더욱 심해졌다. 미얀마의 다수 종교인 불교 승려들이 로힝야에 대해서 극단주의 주장을 펼치며 배척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2년에는 라카인주에서 불교도인 라카인족과 로힝야족 사이에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2012년에는 라카인주에서 불교도 라카인족과 로힝야족이 충돌하는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로힝야 남성이 라카인 여성을 [[성폭행]]했다는 소문 탓에 촉발되어 200명 이상이 숨졌으며, 희생자는 대부분 로힝야였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는 <할 수 있는 것은 기도뿐>이라는 보고서를 출판하여 이 사건을 비판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미얀마 정부와 군부, 불교 승려들이 라카인족이 로힝야를 살해하도록 선동하고 방조하는 [[인종청소]]를 저질렀다.
         2013년 3월 20일, 미얀마 중부 메이크틸라 지역에서 무슬림 금은방 주인과 불교도 손님 사이에서 말다툼이 벌어져서, 폭동으로 번지게 되었다. [[승려]]들이 선도하여 무기를 든 불교도들이 무슬림을 공격하였고, 무슬림을 산 채로 불길에 밀어넣기도 했다. 2007년에는 평화 시위대를 향하여 발포한 바 있는 군경은 이번에는 사태에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 이 반 무슬림 폭동은 사흘 동안 이어졌다.
         국제위기그룹의 보고서는 로힝야 무장단체가 국제무장세력과 연관이 있으나, 미얀마 내 불교도를 공격대상으로 삼는 것보다는 차별을 끝내고 시민권을 확보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종교적 주장을 펼치는 단체이고 국제 지하드 조직과 연결이 있어 언제나 목표가 바뀔 수 있으며, 미얀마 정부가 군사작전에만 치중하지 말고 로힝야의 고통을 외면하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 미얀마의 다수를 차지하는 불교 신도들이 로힝야 탄압을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다. 민주화 투사인 그녀라 하여도, 정계에 몸을 담고 있는 정치인이기도 하며 다수 미얀마 국민의 여론을 거스르기는 어렵다.
         === 미얀마 불교의 반 무슬림 운동 ===
         미얀마 민간에서는 무슬림에 대해서 [[음모론]] 적인 공포가 자리잡고 있다. 미얀마 민간에서는 무슬림들이 '786 운동'을 하고 있다고 여긴다. 786이란, 인도 파키스탄 등지의 무슬림들이 [[코란]]의 첫 구절인 ‘자비로우신 신의 이름으로’라는 문구를 상징하는데, 미얀마 불교도들은 이 세 숫자의 합이 21이며, 이는 '무슬림이 21세기에 세계를 정복하겟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믿고 있으며, 로힝야들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아 미얀마를 정복하려 한다고 믿고 있다.
         미얀마 승려 위라투는 이 음모론에 대응하는 '969 운동'을 시작했는데, 9는 붓다, 6은 법륜, 9는 붓다의 제자, 승려를 뜻한다. 969 운동은 무슬림의 '786 음모'에 맞서는 운동임을 주장한다. 위라투는 2003년 버마 중부 만달레이주 카욱세의 반 무슬림 폭동에서 배후를 자처했다. 이 때 위라투를 비롯한 5명의 승려가 경찰에 '증오 선동'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 25년 형을 선고받았다. 2011년 그는 민간 정부 출범을 기념한 대사면으로 석방됐으며, 이후로 미얀마 전역의 불교 사원을 순례하며 반무슬림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슬림이 운영하는 회사나 무슬림 상점에 보이콧을 선동하고, 신심있는 불교도라면 969 운동의 [[스티커]]가 붙은 가게에서만 물건을 사야 한다는 식이다.
         물론 모든 미얀마 승려들이 이런 움직임에 동조하는 것은 아니다. 민주화 운동에 참가해서 징역 68년을 선고받고, 역시 2011년 대사면에서 석방된 승려 우감비는 군인들이 권력을 놓치 않으려고 분쟁에 의존한다면서, 이러한 민족주의 선동은 군부 체제 유지에 이용될 뿐이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그는 결국 어느 불교사원에서도 나를 받앋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승복을 벗고 말았다.
         불교 승려들로 이루어진 '마 바 타'(Ma Ba Tha, 민족종교 보호를 위한 애국연합)라는 단체가 로힝야 탄압에 앞장서고 있다. 이들은 로힝야 보트피플이 사망한 사고에 대해서 미국 대사관이 논평을 내며 '로힝야'라는 표현을 사용하자, 미국 대사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로힝야 같은 종족은 없고 그런 말을 할거면 이들을 다 데려가라고 주장했다.
         해외 불교계는 물론 이러한 미얀마 불교의 움직임에 비판적이다. 티베트 불교 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2015년 5월 28일 호주언론 '더 오스트레일리안'과 인터뷰에서 로힝야 족의 현황에 슬픔을 느끼고 있다고 하고, 아웅산 수치 여사가 로힝야 족을 돕기를 희망하며, 국제사회가 로힝야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 정종원 . . . . 17회 일치
         '''정종원''' (1896년 5월 22일 ~ 1977년 3월12일)은 [[조흥은행]] 5대 행장이다. 동아일보 창간발기인으로 참여했고 대한아이스하키협회 4대 회장도 역임했다. 1960년 불교단체인 [[법시사]]를 창립한뒤 1990년까지 발행된 불교 전문 잡지 [[법시]]의 초대 발행인이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경상남북도에서 공직생활을 거쳐 평안남도에서 군수를 역임했다. 그의 부친은 [[정재학]] 대구은행 - 경상합동은행 행장으로 일제하 27년간 행장 직을 유지했다. 또한 그의 조카인 [[정운용]]은 해방 후 첫 조흥은행 행장으로 선임된 바 있다.
         조국분단과 [[한국전쟁]]을 겪고 난 뒤 60년대에 들어서 처음으로 발간된 불교 잡지는 '법시(法施)'로서 1967년 9월 법시사에 의해 첫 호를 발간했다.
         법시는 다른 불교전문 잡지들이 사찰 등의 후원을 받아 발행된 데 비해 선종불교에 심취한 정종원 전 조흥은행장이 이사장으로서 재정지원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 또한 [[김세련]] 전 한국은행총재, [[문종건]] 전 조흥은행도 후원자로 참여했다.<ref>경향신문 1967년 7월 8일 5면</ref> 불교계는 1960년 초부터 불교전문 잡지가 창간됐으나 법시를 1960년대 들어 최초의 발간된 불교잡지로 인정하고 있다. '법시'에 앞서 창간된 잡지들은 몇 해를 넘기지 못하고 폐간됐기 때문이다.
         '법시' 창간 이후 1968년 11월 '법륜'이 선을 보였고, 1974년 '불광'이 창간된데 이어 1979년에는 '여성불교'가 탄생했다. 불교 잡지는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렸다. 1990년대에 접어들며 불교계의 미디어는 신문 쪽으로 이동한다. 다양한 불교신문들이 등장하면서 불교잡지들이 설 땅이 좁아지며 1990년대 초반 대부분 정간됐다.<ref>불교전문지 월간 '해인', 1992년 12월 130호 '불교잡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ref><ref>[월간 선원 지령 200호] 1980~90년대와 2000년대 불교잡지 비교</ref>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7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니혼 대학 동문]]
  • 외도 . . . . 14회 일치
          * 불교용어. 불교 이외의 가르침이나, 그러한 가르침을 믿는 사람. 반댓말은 내도(内道). 외교(外教), 외법(外法)이라고도 한다. 이학(異学), 이견(異見)으로도 번역된다. 산스크리트어 (anya‐)tīrthaka에서 나왔다.
         본래 불교용어로서, 당대에 불교 이외의 가르침을 믿는 사람들을 뜻했다. [[불교]]가 탄생하던 시기는 [[인도]]에서 [[인도철학]]의 발전으로 아리안족의 전통적인 [[바라문교]]에서 벗어난 새로운 종교·사상이 많이 탄생하던 시기였다. 불경에서는 불교 이외에 당대의 신흥 종교나 철학을 육사외도(六師外道), 구십오종외도(九十五種外道) 등으로 언급하였으며, 불경은 불교중심적인 관점으로 쓰여졌으므로 다른 가르침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관점으로 서술하였다. [[바라문교]], [[자이나교]] 등이 불경에서 언급되는 대표적인 외도이다.
         외도(外道)란 본래 불교 외의 다른 사상가를 뜻하는 말이었으므로, 논쟁의 여지는 있어도 외도 자체가 악(惡)하다는 의미라고는 볼 수 없었다. 하지만 불교가 조직화 되면서 불교 중심적 관점에서 외도라는 단어는 비방하는 뜻이 강하게 담기게 되었으며, 불교를 폭력적으로 공격하거나 모욕적으로 비방하는 자들에게도 외도라는 말을 쓰게 되어 매우 부정적인 의미가 강하게 됐다.
         [[분류:불교]]
  • 마니교 . . . . 12회 일치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등의 교리를 종합하였다.
         크테시폰의 마니교 본부는 마니 사후 곧바로 분열에 빠진다. 마니가 후계자를 미리 지정해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싱과 가브리야브가 서로 후계자를 다투게 된다. 5년 간의 대립 끝에 시싱이 후계자가 되어 데인 서랄(최고 지도자)가 된다. 그러나 286년, 취임 후 시싱은 사프르에게 호출되어 3명의 장로와 함께 처형당하고 만다. 결국 페르시아 제국에서 탄압받은 마니교도는 [[로마 제국]]이나 주변국으로 탈출한다. 로마 제국에서는 마니교도가 급격하게 숫자를 불리게 되고, 일부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아랍계 속국왕 암르 이븐 아디에게 보호를 요청한다. 이 무렵 조로아스터교 대신관 킬데일은 유태교, 불교, 힌두교, 만다교, 기독교, 무토타크교, 잔드교를 이단으로 보고 이들이 제국에서 구축되었다는 비문을 남겼다.
         기록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소그디니아에서 마니교가 번창했다고 하지만, 실제로 이 지역에서 조로아스터교나 불교에 비해서 유물은 많이 나오지 않아 지배 종교가 되지는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니교도는 석굴식 사원(마니스탄)을 건설하고, 국가로부터 지조를 받으며 장원, 가축 소유, 노예 소유 등을 하게 된다. 서위구르의 투르판에서는 300~400명의 마니교 승려가 위구르 귀족의 저택에 모여서 마니교 찬송을 벌였다고 전해지고 있어, 국교로서의 위용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위구르 제국에서도 [[불교]]의 반격이 시작되는데, 위구르 어 불경을 만들고 전파를 시작하여 10세기 무렵에 마니교는 국교의 지위를 잃게 된다. 위구르 귀족들은 불교 사원을 세우는 반면, 10세기 말~11세기 초에는 마니교 사원을 파괴하기 시작한다.
         중국에서 마니교는 [[불교]]의 영향을 받게 된다. 마니광불(摩尼光佛)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마니는 소린국(蘇隣国, 바빌로니아)의 발제(抜帝,파티크)의 왕국에서, 금살건중(金薩健種, 캄사라간가문)의 만염(満艶,마르얌)에게 태어났다는 식으로 전파되는데, 만염은 목욕재계하고 청정한 가슴으로 마니를 낳았으며, 마니는 스스로 이종삼제(二宗三際)의 교리를 개시하였다고 여겨졌다. 마르얌이 가슴으로 마니를 낳았다는 것은, [[석가모니]]가 마야 부인의 겨드랑이에서 태어났다는 설화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도교, 불교와 습합되는 과정에서 마니교는 명교(明敎)라는 형태로 변형된다.
         명나라 말기는 마지막으로 명교의 기록은 '''소멸'''한다. 이미 원형에서 너무 멀어져 [[불교]]나 [[도교]]와 다르지 않게 되어, 명교 신도들 역시 자신이 명교도라는 것을 잃어버려 복건성을 마지막으로 거의 교단이 소멸한 것으로 추측된다. 13세기에 걸친 끝에 마니교는 마침내 방계 교단인 명교 역시 소멸하게 된 것이다. 그랬는데….
         여기까지 오면 --마니교는 이렇게 사라졌다. 박해를 받고 원형을 잃어, 불교와 도교와 뒤섞여, 한 때의 세계 종교는 중국의 외진 복건성의 산 속에서 적막하게 소멸했다. 신도들은 선조의 가르침이 무엇이었는지도 잊어버렸을 것이다.-- 라고 써야 하겠지만.
         경주궁은 순수한 마니교 사원은 아니며 도교와 불교와 습합화된 사원인데, 마니광불 이외에도 도교의 신인 십팔진인(十八眞人)과 본래 마을의 성황신에 해당하는 경주공(境主公), 불교의 관음보살과 도교의 복덕정신(福德正神) 등도 함께 모셔지고 있어, 총 7명의 신을 모시며 그 가운데 셋은 마니교, 셋은 도교, 하나는 불교라는 복잡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는 과거에 명사를 모시는 사원과 영상을 모시는 사원이 별도로 있었으나, 명나라 시기에 폐쇄당하여 여러 신들을 경주궁에 옮겨서 합사한 것이 계기가 된 듯 하다.
  • 박화요비 . . . . 11회 일치
         절친인 [[거미(가수)|거미]]의 2014년 6월 10일 자정 공개된 새 미니 앨범에 [[휘성]]과 함께 자작곡을 선물했다. 자세한 것은 [[/작사 목록, 작곡 목록]] 항목 참조.
         ==== [[화요비/작사 목록, 작곡 목록|작사, 작곡 목록]] ====
         [[화요비/작사 목록, 작곡 목록|작사, 작곡 목록]] 참조.
         == [[화요비/음반 목록|음반 목록]] ==
         [[화요비/음반 목록]] 참조.
  • 일념발기 . . . . 11회 일치
         '어떤 것을 이루려고 결심하고 마음을 쏟는다.'는 것이다. 본래 불교용어이다.
         불교 용어로서 일념발기는 일심(一心)으로 깨달음을 추구하며, 부처님에 대한 신심(信心)을 일으키는 것을 뜻한다. 불교 용어에서는 일념(一念)은 깨달음을 얻기로 마음을 굳힌다는 뜻이며, 발기(発起)는 불도(佛道)에 들어간다는 것을 뜻한다.
         본래 불교 용어이다. 「일념발기보리심(一念発起菩提心)」을 줄여서 「일념발기」라고 하였다.
         ## 용어의 변천사.
         [[분류:일본어]] [[분류:불교 용어]] [[분류:사자성어]]
  • 효령대군 . . . . 11회 일치
         |별칭 = 자는 선숙(善叔) <br/> 호는 연강(蓮江)<ref>불교 법명이기도 하다.</ref> <br /> 시호는 정효(靖孝)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조선]]의 제3대 국왕 [[조선 태종|태종]]의 둘째 아들이며, [[원경왕후]] 민씨의 소생이다. [[조선 세종|조선 세종대왕]]의 둘째 형으로 성씨는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이름은 '''보'''(補)이다. 초명은 '''호'''(祜)였는데 19세에 '''보'''(補)로 [[개명]]하였다. [[자 (이름)|자]]는 '''선숙'''(善叔)이고, [[호 (이름)|호]]는 '''연강'''(蓮江)이며 [[불교]] [[법명]]도 '''연강'''(蓮江)이고, [[시호]]는 '''정효'''(靖孝)이다.
         [[조선 세종|세종대왕]]의 형이자 [[조선 세조|세조]]의 백부로 실의 원로였으며, [[조선]]의 숭유 억불 정책으로부터 [[불교]]를 옹호,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 세종|세종대왕]] 즉위 후에도 [[조선 문종|문종]], [[조선 단종|단종]], [[조선 세조|세조]], [[조선 예종|예종]], [[조선 성종|성종]] 등 6대에 걸쳐서 장수를 누렸다. [[임사홍]]은 그의 손녀 사위였고, [[이량 (조선)|이량]]은 그의 5대손이며, [[조선 명종|명종]]<ref>그의 종6대손이기도 하다. 세종-세조-예종-성종-중종-명종</ref> 의 부인인 [[인순왕후]]와 [[심의겸]], [[심충겸]]은 그의 외6대손이다.
         그는 일찍부터 좌찬성 정역(鄭易)의 딸과 혼인하여 6남 1녀를 낳았으며, 서자녀로 1남 1녀를 두었다. 불교를 좋아하여 승도를 모아 불경을 강의하였다.
         === 불교 활동 ===
         불교를 심오하게 믿어 조정의 숭유억불 정책하에서 불교 보호의 방패 역할을 감당하였다. 원각사 창건 때에는 조성도감 도제조를 맡았다. 이 때 주조되어 [[1985년]]까지 보신각에 달려 있던 큰종과 탑골공원의 10층 석탑은 그 제조기법이나 예술성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10층 석탑은 국보 제2호로, 원각사지 대종은 보물 제2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로 나한도량(羅漢道場)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사찰이다. 나한은 여섯가지 신통(神通)과 여덟가지 해탈을 모두 갖추어 인간과 천인들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복전(福田)이기 때문에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 있다.
         [[분류:1396년 태어남]][[분류:1486년 죽음]][[분류:사상가]][[분류:조선의 왕자]][[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학자]][[분류:조선의 승려]][[분류:조선의 작가]][[분류:조선의 저술가]][[분류:한국의 불교사]][[분류:유교 이탈자|이보]][[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조선 세종]][[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 태종]][[분류:전주 이씨]]
  • 정좌관심 . . . . 10회 일치
         유교의 정좌는 [[불교]]와의 대립, 영향 관계에서 나타난 수행법으로 보인다.--[[좌선]] 퍼가요~-- 실제로 주희는 자신의 저작에서 유교의 '정좌'는 [[불교]]의 [[좌선]]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였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불교와의 관련성을 지적받게 되었다. [[정약용]]은 주희가 강조한 '본성'과 '명덕'이 『능엄경』의 '여래장'과 동일하며, 주희가 주장한 공부 방법 역시 불교의 [[좌선]]과 사실상 동일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는 주희가 불교와의 차별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반론도 있지만,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정좌관심은 간화선과 같이 한 순간에 얻어지는 깨달음(돈오돈수)가 아니라 독서와 병행한 '점진적'인 깨달음(돈오점수)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한국 불교에서 주류가 되는 [[간화선]]보다는 이후 불교계에서 쇠퇴하여 사라지는 [[묵조선]]과 유사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퇴계 이황]]은 정좌를 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자세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연구한 바 있으며, 주희의 주장에 근거하여 정좌는 불교의 수행과 다르다는 것을 밝히려 했다.
          * 주희의 철학과 불교의 관계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 긴나라 . . . . 9회 일치
         [[인도 신화]]의 종족. [[불교]]에서 [[천룡팔부]]의 일원이다.
         긴나라는 기원이 불확실하다. 산스크리트어 킴나라 자체도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를 뜻하는 말로서, 이들의 불확실한 정체를 가리키는 의문사가 곧 명칭으로 바뀐 것이다. 불교경전이 써질 당시에 이미 긴나라의 정체는 불확실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일설로는, 옛날 인도의 히마찰 프라데시의 킨나우르(Kinnaur) 지역에 살았던 고대의 인도-티베트 종족의 일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 지역 사람들이 음악과 노래를 좋아하며 대승불교에 경도되면서 불교 경전에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칠레가 아니었다니 실망이야...--
         반인반마의 모습을 하고 있다. 불교 경전에서는 마두인신(馬頭人身)으로 묘사된다.
         불교 미술 작품에서 그려지긴 하지만 숭배하는 사람은 없다(…). 무시당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제석천(帝釋天)이나 비사문천의 악사로서 묘사되며, 건달바(乾達婆)와 함께 가무를 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역할을 맡는다.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긴나라왕이 부처님에게 가르침을 물었다는 대수긴나라왕소문경(大樹緊那羅王所問經)이 존재한다.[[http://seoggy.net/hb/archives/3802 (참조)]]
         [[분류:인도 신화]][[분류:불교]]
  • Victoria II/디시전 . . . . 8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3.3|철제 증기선]]''' 기술을 연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2.1|말라리아 예방]]'''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3.3|철제 증기선]]''' 기술을 연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3.3.1|전동 공구]]'''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3.1|니트로글리세린]]''' 발명을 발견함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4|민족주의 & 제국주의]] 기술을 연구함
  • 김태희 . . . . 8회 일치
         | 수상 = [[김태희의 수상 및 후보 목록|수상 목록]]
         김태희는 2011년 1월부터 방영된 드라마 《[[마이 프린세스]]》에 출연했다. 드라마는 평균 15%의 시청률을 기록하였다.<ref>{{뉴스 인용 |저자=이수아|제목='마이 프린세스', 종영…여심 흔든 달콤한 '황실로맨스'|url=http://www.frontiertimes.co.kr/news/news/2011/02/25/65491.html|출판사=프런티어타임스|날짜=2011-02-25 |확인날짜=2012-02-29}}</ref> 김태희는 [[송승헌]]과 함께 공연해 대학생 이설 역할을 맡아 기존의 이미지와는 달리 코믹한 캐릭터를 연기했고, 이미지의 변화와 이전보다 향상된 연기로 호평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저자=김민호|제목=김태희 푼수연기 호평 "이제야 딱 맞는 캐릭터!"|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출판사=투데이코리아|날짜=2011-01-06|확인날짜=2011-01-06}}{{깨진 링크|url=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348 }}</ref> 4월 1일에는 《[[MBC 다큐스페셜]]》에서 셀러브리티 바이오그래피 [[MBC 스페셜 방영 목록#2011년|태희의 재발견]]이 방영되었고, 방송에서 김태희의 일상, 연기력 논란, 학창 시절 등에 대해서 다뤘다.<ref name="미디어스">{{뉴스 인용|저자=곽상아|제목=MBC스페셜 '태희의 재발견'…"황당·실망"|url=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960|출판사=미디어스|날짜=2011-04-03|확인날짜=2014-04-07}}</ref> 시청률은 지난 편에 비해 2배 가량 상승한 9.3%를 기록했다.<ref>{{뉴스 인용|저자=문완식|제목=궁금했던 김태희..'태희의 재발견' 시청률 9.3%|url=http://star.mt.co.kr/view/stview.php?no=2011040209125306836&type=1&outlink=1|출판사=머니투데이|날짜=2011-04-02 |확인날짜=2014-04-07}}</ref> 하지만 일부에서는 “뭘 말하려 했는지 모르겠다”, “김태희 홍보프로” 등의 비판이 이어졌다.<ref name="미디어스"/> 이에 대해 [[성공회대]] 김서중 교수는 “[[MBC스페셜]]이 김태희도 다룰 수 있다. 문제는 소재가 아니라 다루는 방식”이라고 말했다.<ref name="미디어스"/> 《[[마이 프린세스]]》가 종영되고 나서 김태희는 [[일본]] 기획사 [[스위트 파워]]와 계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한다고 발표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진출…"일본서 적극적으로 활동 펼칠 것"|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출판사=SSTV|저자=신영은|날짜=2011-03-03|확인날짜=2014-04-07|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408214713/http://sstv.hankyung.com/?c=news&m=v&nid=101064#|보존날짜=2014-04-08|깨진링크=예}}</ref> 이후 [[일본]] [[후지TV]]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에 여주인공 한유나 역할로 출연해 일본 배우 [[니시지마 히데토시]]와 공연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일본 드라마 주연…니시지마 히데토시와 호흡 |url=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519575|출판사=아시투데이|저자=정희영|날짜=2011-08-25 |확인날짜=2011-09-10}}</ref> 첫 [[일본]] 드라마는 평균 시청률 9.3%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끝냈고, 많은 CF 촬영도 진행 할 예정이였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 日 드라마 성공 데뷔 후 해외 CF 러브콜 쇄도|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출판사=일간스포츠|저자=김인구|날짜=2012-02-21|확인날짜=2012-02-25}}{{깨진 링크|url=http://isplus.joinsmsn.com/article/882/7420882.html?cloc= }}</ref> 그러나 2005년 이완과 함께 스위스에서 독도 사랑 캠페인을 벌인 것을 빌미로 각종 CF 방영 계획이 취소되었고, 드라마 촬영 중단까지 요구되었다.<ref name="광주일보">{{뉴스 인용 |제목=김태희, 日 CF행사 취소..독도발언 때문|url=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29898239461109010|출판사=[[광주일보]]|날짜=2012-02-22 |확인날짜=2012-02-25}}</ref>
         == 작품 목록 ==
         {{본문|[[김태희의 작품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본문|[[김태희의 수상 및 후보 목록]]}}
         |title = 김태희의 수상 목록
  • 유승민(정치인)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불교/인물, top3=대구광역시/인물)]
         ||<-5><bgcolor=#FFFFFF><:>[[틀:바른정당 대표|{{{#949494 {{{-1 역대 당대표 목록}}}}}}]]||
         ||<-5><bgcolor=#FFFFFF><:>[[틀:바른미래당 대표|{{{#949494 {{{-1 역대 당대표 목록}}}}}}]]||}}}||
         || '''종교''' ||<white><(> [[불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5031536001&code=910110|#]].][* 유승민 의원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12/0200000000AKR20170312026700001.HTML|교회 예배]]에 참석한 적이 있으나, 이는 [[개신교]] 신자라서 [[예배]]를 드린 것이 아니라 [[기불릭|대선 과정에서 표 확장과 홍보를 위해]] [[교회]]를 찾았다.] ||
         || '''의원 대수''' ||<white><(> [[제17대 국회의원 목록|17]],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제19대 국회의원 목록|19]], [[제20대 국회의원|20]] ||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8회 일치
         === 불교 계열 ===
         동시에 고용 가능한 승려의 수는 가지고 있는 불교 계열 건물의 수와 같다. 하지만 최대 5명이라는 상한선이 존재한다.
          * 불교 신자들의 행복도 +1
          * 해당 지역의 백성들을 불교로 개종시킴
          * 불교 신자들의 행복도 +1
          * 해당 지역의 백성들을 불교로 개종시킴
          * 주변 지역의 백성들을 불교로 개종시킴
          * 불교 신자들의 행복도 +2
  • Victoria II . . . . 7회 일치
         이 위키에 있는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한거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각 국가는 한개 이상의 주(State)로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각 주마다 "내셔널 포커스"라고 불리는 정책을 지정해 철도 건설, 특정 상품의 생산, 직업, 이주, 정당 지지율 등을 장려할 수 있다. 국가가 한번에 지정할 수 있는 내셔널 포커스의 양은 해당 국가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s-5|정치 사상 연구]]를 얼마나 연구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전쟁으로 할양받을 수 있는 영토의 단위는 기본적으로 주다.
         상품의 목록은 [[Victoria II/상품]] 문서 참조.
         기술과 발명의 목록은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페이지 참조.
         국가를 이루는 사람들. 게임 내 정식 용어는 인구(Population)지만 패러독스 팬덤에서는 POP라고 부른다.
         외교 행동을 하는데에는 외교 점수(Diplomatic Point)가 필요하다. 외교 점수는 기본적으로 0.3씩 들어오며, 특정 기술을 개발해서 수입을 늘릴 수 있다. 주요 열강은 외교 포인트를 두배로 더 받는다. 가능한 외교 행동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김재규 . . . . 7회 일치
          *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불교/인물]]
         ||<:> '''종교''' ||<:> [[무종교]] → [[불교]][* [[10.26 사건]]을 일으키고 수감된 이후에 [[불교]]를 믿었다.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5/05/005000000200505240026025.html|관련 출처]].] ||
         민주화 운동 층에서는 평이 서로 상반되게 갈라지는 편이다. 옹호하는 쪽에서는 ''''유신독재라는 암흑기 속에서 독재자를 몰아낸 영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를 대변하는 용어로 요즘 인터넷에 빈번히 보이는 단어가 '''김재규 의사'''.[* '''열사'''라고 칭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만약 칭호를 붙인다면 무력을 사용했으므로 '''열사가 아닌 '의사(義士)'라고''' 해야 맞다. 열사는 보통 자신의 지조를 지키다가 죽은 사람을 의미하는 반면 의사는 무력을 통해 의거를 한 사람을 뜻하므로 '김재규 의사'가 의미에는 좀 더 부합한다. 김재규 묘비에도 의사(義士)로 적혀 있다.] 이렇게 영웅으로 치켜 세우진 않더라도 [[10.26 사건]]이 독재를 몰아내는데 [[결과는 좋았다|일정부분 기여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경우도 많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사육신]] 목록에 자신의 조상인 [[김문기]]의 이름을 넣도록 하기 위해 학계에 압력을 가한 적이 있다. 사육신 문서 참고. 이는 사육신만 알고 삼중신을 몰라서 벌인 촌극이다.
         [[http://www.nis.go.kr/ID/1_5_3.do?page=03|국가정보원 홈페이지]]에서는 그래도 역대 원장들 중 한 명으로 기록해주고 있다. 하지만 육군에선 대우가 전혀 다른데, 이 사람이 사단장을 지냈던 [[제6보병사단|6사단]]의 역대 사단장, 연대장으로 지냈던 [[제5보병사단|5사단]] 독수리연대 역대 연대장 목록에는 제명당한 상태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가결된 2017년 이후 들어 재평가가 이루어지며 3군단과 6사단 등, 부임했던 부대에 다시 초상화가 걸리고 역대 지휘관 목록에는 부분적으로나마 다시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s://news.v.daum.net/v/20180807104522128]]
  • Victoria II/개혁 . . . . 6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3.1|수발식 소총]]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2.1|나폴레옹 이후 사상]]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s-5.1|참모 체계]]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s-2.1|넬슨 이후 사상]] 연구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5.1|실험적인 철로 기술]] 획득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2.1|수차 동력]] 기술 획득
  • head to head . . . . 6회 일치
         일반적인 의미로는 맞대면, 스포츠용어로는 "직접 경쟁"을 의미한다. 축구에 한정하면 "승자승 원칙"이라는 용어로 번역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상대전적 그 자체를 가리키는 단어로 흔히 쓰이기도 한다.
         사전적인 쓰임으론 face to face와 거의 같은 용어로 쓰이지만, 스포츠계로 넘어오면 제1순위결정기준으로 순위를 정할 수 없을 때 적용하는 동점간 직접비교를 통한 순위결정방식을 가리키는 단어다. 애초에 이 용어 자체가 상대전적을 의미하는 단어라는 걸 생각해 둘 필요가 있다.
         ## 용어의 변천사.
         엄밀히 말하자면 승자승이라는 번역은 좋은 번역이 아니다. 단순히 승부가 가려지지 않은 상황까지도 고려해 평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번역 자체가 난감한 경우이기도 하다. 상대전적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면 번역하기 까다로우므로 오히려 마케팅이나 라디오처럼 발음 그대로 쓰는 편이 나은 용어로 보인다. 상대전적을 가리키는 헤드 투 헤드일 때는 "상대전적"으로 번역하고, 다음 라운드 진출을 위한 우위비교일 때는 헤드 투 헤드로 부르는 게 낫다는 이야기.
  • 조응천 . . . . 6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4, top1=법조인/목록, top2=정치인/목록, top3=대구광역시/인물, top4=불교/인물)]
         || '''종교''' ||<(> [[불교]] ||
         [[일베]] 용어를 잘 알고 있으며[* 특히 '레이디 [[가카]]'(= [[박근혜]])라고 쓰는 일은 많지만 '레카'로 줄여 쓰는 경우는 일베 외에는 쓰는 사람이 거의 없는 용어이다.][* '내일 오전 레카가~걱정하면 좋지 '''않겠노''' ' 부분에서 의도적으로 않겠'''노'''를 쓰고 있으며 일베식 표현에 맞춰서 일부러 잘못된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고 있다.] [[정게할배]]들의 위치를 잘 파악하고 있다.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636318716667084&id=100008669135751|페북으로]]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636439779988311&id=100008669135751|일베 드립]]을 자연스럽게 구사할 정도다. 이후 일반인에겐 생경한 일베드립을 친 것에 대해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636488903316732&id=100008669135751|양해를 구하였다]]
  • 타력본원 . . . . 6회 일치
         [[불교]] 용어. [[정토교]] 계열의 용어로서, 현세에서는 수행하여 [[성불]]하기 어려우므로 [[염불]]을 외워 [[아미타불]]이 다스리는 서방극락정토에 [[환생]]하여 성불한다는 의미.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불교]]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 . . . . 5회 일치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육군]]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해군]]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권혁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 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include(틀: 관련 문서3, top1=한화 이글스/2018년, top2=불교/인물, top3=살려조)]
         ||<:> '''종교''' || [[불교]] ||
          * 상당히 신실한 [[불교]]신자로 추정된다. 모자, 글러브에 불교를 상징하는 '卍'자가 새겨져 있고 "다시 태어난다면 야구선수를 하겠느냐"라는 질문에 "다음 생에 사람으로 태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사람으로 태어나면 그때 생각해보겠다"라고 굉장히 심오하게 대답하는 등... 나름 열성신자인듯. 어떤 인터뷰에서는 부인이 올림픽 때 지리산 절에서 자신을 위해 기도를 올린 그 마음에 상당히 감동을 받았다 하기도 했다.
  • 박신혜 . . . . 5회 일치
         | 수상 = [[박신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수상 목록]]
         {{본문|박신혜의 작품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본문|박신혜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성시경 . . . . 5회 일치
         |종교 = [[불교]]<ref>[http://news1.kr/articles/?1756640 "마녀사냥 성시경" "기독교 중창단에서 나만 불교"]</ref>
         == 음반 목록 ==
         == 수상 목록 ==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일본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고려대학교 정경대학 동문]][[분류: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동문]][[분류:순창군 출신]][[분류:토이]][[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골든디스크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SBS 인기가요 1위 수상자]][[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1박 2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음악가]]
  • 의상 (신라) . . . . 5회 일치
         }}{{한국의 불교}}
         그 후 [[신라]]의 삼국통일 전쟁의 혼란을 피하여 [[661년]]([[문무왕]] 1년)에 [[당나라]] 사신의 배편을 빌려 타고 건너가 [[중난산 산|종남산]](終南山) [[지상사]](至相寺)에서 [[지엄]](至嚴: [[중국의 불교|중국]] [[화엄종]]의 시조)의 문하에 [[법장 (당나라)|현수]](賢首: 법장)와 같이 [[화엄]]의 깊은 이치를 깨달았다.<ref name="글로벌-의상"/> [[법장 (당나라)|현수]]는 [[지엄]]의 뒤를 이어 중국 [[화엄종]]의 제3조가 되고, 의상은 귀국 후 [[한국]] [[화엄종]]의 시조가 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분류=불교}}
         {{불교 둘러보기}}
         [[분류:625년 태어남]][[분류:702년 죽음]][[분류:7세기 철학자]][[분류:입당승]][[분류:신라의 왕족]][[분류:신라의 작가]][[분류:불교 철학자]][[분류:무속의 신]][[분류:경주 김씨]][[분류:병사한 사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
  • 정용화 . . . . 5회 일치
         == 음반 목록 ==
         {{참고|씨엔블루의 음반 목록|설명=정용화가 씨엔블루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 음반 목록
         ! 음반 목록
         {{참고|씨엔블루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설명=씨엔블루로 활동한 것에 대해서는}}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5회 일치
         오토모 가문은 불교와 관련된 세력 기술들이 기독교 관련 세력 기술들로 대체되어 있다.
          * 신토-불교: 불당(Buddhist Temple)을 건설할 수 있게 됨
          * 신토-불교: 불당(Buddhist Temple)을 사찰(Monastery)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신토-불교: 사찰(Monastery)을 대사찰(Temple Complex)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신토-불교: 대사찰(Temple Complex)을 명승사찰(Famous Temple)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토탈워: 쇼군 2/요원 . . . . 5회 일치
         >승려는 부처의 가르침에 대해 열성적인 지지자입니다. 이들은 적군의 사기를 꺾을 수 있고 적 마을에서 불안을 조성할 수 있는 선동가일 뿐만 아니라, 아군 부대의 사기를 증진하고 읍성에 거주하는 백성에게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또한, 승려는 평온과 자성의 삶을 통해 불교를 백성을 개종할 수 있고 적 요원이 임무를 단념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들은 특히 메츠케에 맞설 때 효과적입니다.
          * 자신이 존재하는 지방의 주민들을 신토-불교로 개종시킴.
          * 자신의 성에 배치시 해당 지역의 백성들을 신토-불교로 개종시킴.
          * 다른 가문의 성에 침투시 신토-불교도들의 반란을 선동할 수 있음.
         말 그대로 승려. 다이묘가 신토-불교를 믿을때만 생산할 수 있다. 메츠케에게 강하지만 닌자에게 약하다.
  • 허안나 . . . . 5회 일치
         === TV 출연 목록 ===
         === 예능 출연 목록 ===
         === 라디오 출연 목록 ===
         === 공연 목록 ===
         === 기타 활동 목록 ===
  • Crusader Kings 2/특성 . . . . 4회 일치
         === 불교 ===
          * 금강승 불교도(Vajrayana)
          * 대승 불교도(Mahayana)
          * 소승 불교도(Theravada)
  • MoniWikiTutorial . . . . 4회 일치
          * TitleIndex(목록) : 위키위키의 모든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PageList` - 인수로 사용되는 패턴과 일치하는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페이지가 발견되면 그 페이지로 갈 것이고, 발견되지 않으면 비슷한 이름의 페이지 목록을 보여줍니다.
  • NavigationMacro . . . . 4회 일치
         /!\ 매크로를 사용할 때에 주의할 점은, 각 문서의 목록 하단에 {{{[[Navigation(목록문서이름)]]}}}을 삽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목록문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정해주면 문서 상/하단에 Navigation 링크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action=navigation&value=목록문서}}}
  • Q.E.D. 증명종료 . . . . 4회 일치
         제목의 어원은 '증명 종료'라는 의미의 수학 용어 [[Q.E.D.]] 사건이 해결될 때마다 Q.E.D.라는 글자가 다양한 연출로 등장하는 게 특징. 알다시피 이는 [[엘러리 퀸]]의 버릇인데 작가 인터뷰에 따르면 작가는 처음에 이 문구를 넣을 생각이 별로 없었는데 편집자로부터 "김전일의 '수수께끼는 모두 풀렸어'같은 마무리 문구를 넣으라"는 조언을 듣고 생각해 냈다고 한다.
         그래도 고정팬들로부터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추리만화다. 다만 작가가 소재가 겹치는 [[C.M.B. 박물관 사건목록]]을 연재하면서 Q.E.D.를 다소 소홀히 하는 듯한 경향이 보이며 또 팬들의 애탄 바람과는 상관없이 [[토마 소|토마]]와 [[미즈하라 가나|가나]]의 ~~연애질~~연애노선이 진전될 가망이 안보인다는 점(...)[* 주인공들이 아직도 서로를 토마군-미즈하라씨 로 부르고 있다...]
         같은 작가의 [[C.M.B. 박물관 사건목록]]과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 극중에서 토마가 언급한 괴짜 사촌이 바로 박물관 사건목록의 주인공인 [[사카키 신라]]. 콜라보레이션 기획으로 두 작품의 주인공이 만나는 편도 있다. 이제까지 총 2번의 기획이 진행되었으며, 해당 단행본은 첫번째가 QED 28/CMB 6권[* 이 때는 서로 다른 사건을 쫓다가 마주하게 되었다. 사건이 성격이 각각 다르기에 둘의 지능에 우열을 매길 수는 없겠지만, 자기가 쫓는 사건이 아님에도 신라보다 진상 파악이 빨랐던 것으로 보이는 토마의 판정승이라 보는 의견이 많다.], 두번째가 최근의 QED 41/CMB 19권.[* 전편을 의식한 것인지, 이번엔 아예 각자의 두뇌를 한껏 활용하면서 말 그대로 정면충돌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예고편 동영상이 올라오면서 뭇 팬들을 설레게 했었다. 밝혀진 결과물은 정면 충돌.
  • UploadedFiles . . . . 4회 일치
         {{{UploadedFiles}}}플러그인은 이미 업로드 된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플러그인이다.
         {{{[[UploadedFiles]]}}} : 현재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pds/현제페이지이름/* 하위의 모든 파일 목록을 보여주게 된다.
         {{{[[UploadedFiles(페이지이름)]]}}} : 지정된 페이지에 첨부된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 고대 그리스 . . . . 4회 일치
         고대 그리스 문명은 철학, 정치, 과학, 미술 등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현대 서구 문명으로 이어지는 기반을 만들었기 때문에 서구인들의 고대 그리스에 대한 존경심은 뿌리깊은 것이다. 또한 불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는 동양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앙아시아 동방의 그리스인들은 [[불교]]로 개종하기도 했으며, [[간다라 미술]]같은 그리스 문화에 영향을 받은 불교 예술이 나타나 이후 동양 불교 예술의 근간이 되었다.
  • 귀적에 들어간다 . . . . 4회 일치
         [[일본어]]의 관용어로, "죽는다."는걸 돌려서 말한 것이다.
          * 귀적(鬼籍)은 [[불교]] [[사원]]에서 사망한 시주자의 이름과 날짜를 기록해두는 장부이다. 이를 과거첩(過去帳)이라고도 부른다.
         ## 용어의 변천사.
         [[분류:일본어]] [[분류:관용어]]
  • 금조(나인뮤지스) . . . . 4회 일치
         아래는 참여곡 목록
          * [[카라(아이돌)|카라]] - '''[[구하라/음반 목록|CUPID]]'''
          * [[구하라]] - [[구하라/음반 목록|어때? (Feat. 허영지)]]
          * [[구하라]] - [[구하라/음반 목록|하라구]]
  • 김성조 . . . . 4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의원 대수''' || [[제16대 국회의원 목록|16]], [[제17대 국회의원 목록|17]],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
  • 김윤환 . . . . 4회 일치
         || '''의원 대수''' || [[제10대 국회의원 목록|10]], [[제11대 국회의원 목록|11]], [[제13대 국회의원 목록|13]], [[제14대 국회의원 목록|14]], [[제15대 국회의원|15]] ||
  • 김형준(배우,가수) . . . . 4회 일치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 음반만 기록합니다. [[SS501(아이돌)|SS5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SS501(아이돌)/음반 목록]] [[Double S 301]]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Double S 301/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김형준/음반 목록]] 참조
          * 2009년 4월 14일부터 [[SBS 파워FM]]에서 매일 새벽 2시에 방송하는 김형준의 뮤직하이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DJ로 활동했으며 2013년 8월 현재 4년을 훌쩍 넘겨 장수 DJ 목록에 합류후 이 프로그램을 시작한지 정확히 5년째가 되는 2014년 4월 14일 끝으로 종방했다. 본인도 이 프로그램에 상당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듯. 10년 이상 활동하고 싶다고 라디오에서 몇번 밝혔다. 여담으로 이 프로그램, 새벽 2시 마지막 날 선곡표에는 자신의 곡 두 곡, 프로그램을 시작했던 날에 선곡했던 SS501의 '내 머리가 나빠서' 가 올랐다. 2014년 후반기 즈음으로 예상되는 군입대도 DJ 하차에 한 몫 하는 듯
  • 로미오 메일 . . . . 4회 일치
         2채널 용어. 가정, 생활판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남자의 경우는 로미오 메일, 여자의 경우는 쥴리엣 메일이라고 부른다. 줄여서 로미 메일, 쥬리 메일.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박경석(1937) . . . . 4회 일치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호는 화담(和潭)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법요 . . . . 4회 일치
         유족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추선공양(追善供養)을 법요라고 한다. 법사(法事), 불사(仏事)라고도 부른다. 불교식 제사라고 할 수 있다.
         종파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일본 불교에서는 고인이 죽고 나서 49재까지 내세의 목적지가 정해진다고 믿는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손담비 . . . . 4회 일치
         {{참고|손담비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손담비는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면서 많은 상을 받았다. [[서울가요대상]]에서는 2009년,<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미쳤어’ 열풍 과시|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2121717531002|출판사=뉴스엔|저자=지형준|날짜=2009-02-12|확인날짜=2014-05-15}}</ref> 2010년,<ref>{{뉴스 인용|제목=아이돌, 그들을 위한 잔치! 서울가요대상 이변은 없었다(종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2032026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날짜=2010-02-03|확인날짜=2014-05-15}}</ref> 2011년에 이은 3년 연속으로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3년 연속 본상 수상… “내겐 너무 특별한 상”|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출판사=뉴스엔|저자=양나래|날짜=2011-01-20|확인날짜=2014-05-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30014/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보존날짜=2014-05-17|깨진링크=예}}</ref> 2009년에는 제24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디지털음원부문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골든디스크 본상’ 손담비 “이렇게 큰 무대에서 큰 상을 받다니…”|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091210205154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 bnt뉴스|저자=박영주|날짜=2009-12-10|확인날짜=2014-05-15}}</ref> 2009 [[SBS 연기대상]]에서는 《[[드림 (드라마)|드림]]》으로 뉴스타상을 받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김범-이민정 등 12명,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url=http://osen.mt.co.kr/article/G0912310257|출판사=OSEN|저자=봉준영|날짜=2009-12-31|확인날짜=2014-05-15}}</ref> 2012년에는 《빛과 그림자》로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 우수상,<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MBC 연기대상 ‘우수상’ 수상, “숟가락 얹은 것 뿐”|url=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36379|출판사=뉴데일리|저자=신성아|날짜=2012-12-31|확인날짜=2014-05-15}}</ref>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신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신인상 수상...인증샷 공개|url=http://osen.mt.co.kr/article/G1109511163|출판사=OSEN|저자=정유진|날짜=2012-12-06|확인날짜=2014-05-15}}</ref> 배우, 가수 이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를 통해 200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특별상 베스트 브랜드상을 받았다.<ref name="2008MBC">{{웹 인용|url=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8entertain/awards/|제목=2008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자 목록|출판사=[[MBC]]|웹사이트=[[MBC 방송연예대상]]|확인날짜=2011-02-16}}</ref>
         == 음반 목록 ==
         {{본문|손담비의 음반 목록}}
  • 아니키 . . . . 4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니키(ニキ) : 파생 용어. [[2채널]]의 뭐든지 실황(なんJ)판에서 사용한 용어로서, 카네모토 토모아키에서 따와서 한신에 입단한 선수들 가운데 실력파 선수에게 썻다. 여기에서 파생되어 존재감 있는 인물에게 경의, 애착 등을 담아 「○○니키(ニキ)」라고 부르게 되었다.
  • 애니 일본어 . . . . 4회 일치
          * 오타쿠 대상 애니의 경우, 애니를 보는 사람은 오타쿠이므로, 그들에게 명백한 '오타쿠 용어'를 일상회화에 섞어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오타쿠 용어는 일상회화에 침투한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막 써대면 말이 안 통할 수도 있다. 가끔 한국 일상용어에 침투한 오타쿠 용어가 있다. [[신의 한 수]] 같은 것.
  • 연설환희불교 . . . . 4회 일치
         [[불교]]의 이단 종파. 사교.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따르면 불교의 외도 가운데 가장 악하고 사악한 것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오주문장전산고에서는 이슬람교(회회교) 역시 불교의 한 파벌로 보았다.
         [[분류:불교]][[분류:사교]]
  • 이명규(국회의원) . . . . 4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본관은 [[성주 이씨|성주]]이다.
  • 인카운트 . . . . 4회 일치
         RPG 등의 [[게임]] 용어.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게임 용어]]
  • 일본의 대학서열용어 . . . . 4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도쿄의 5개 명문 사립대학을 묶은 용어이다. 다음 5개 대학의 머릿글자를 따온 것이다.
         한자의 첫 글자를 따서 명청입법중(明青立法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태종무열왕 . . . . 4회 일치
         |종교 = [[불교]]
         해방 후에도 이러한 인식은 고스란히 이어졌다. [[한국]] [[민속학]]의 원조이기도 한 [[손진태]]는 [[김유신]]이나 [[김춘추]]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동족을 공격하기 위해서 이민족과 연맹하는 것은 민족적으로 최대의 죄악"이며, 신라가 당과 손잡은 것을 "귀족 국가의 비민족적 본질"이라 비난하였고,<ref>〈한국민족사개론〉, 1948년</ref> 한국역사연구회에서 편찬한 <한국역사>(1992)는 '통일'이라는 용어를 쓰면서도 그 통일의 '불완전함'과 '남북국 시대'라는 그 다음 시대의 성격을 강조했다.
         [[1993년]] [[성균관대학교]]의 김영하 교수는 [[천리장성]]의 예를 들어 축소된 강역으로 [[만주]]의 요동땅을 밟지못하고 고토를 잃고 살다가 [[조선]]에 와서야 겨우 [[압록강]]과 [[두만강]] 그리고 [[백두산]]만을 찾을 수 있었다고 평가를 내놓으면서 당의 [[한반도]] 경략에 발맞추어 외세와의 공조로 [[백제]]만을 겨우 정복한 [[신라]]는 "통일을 완수할 힘도 의도도 전혀 없었다"고 단정하고 '통일신라 시대' 대신에 '신라와 발해' 내지는 '남북국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적극 주장했다.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604년 태어남|태종무열왕]][[분류:661년 죽음|태종무열왕]][[분류:신라의 왕|태종무열왕]][[분류:무속의 신]][[분류:병사한 사람]][[분류:여당전쟁 관련자]][[분류:불교도 군주|김춘추]][[분류:경주 김씨]][[분류:문무왕]]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4회 일치
          * 신토-불교 전용
          * 신토-불교 전용
          * 신토-불교 전용
          * 불교-신토 전용
  • 한명회 . . . . 4회 일치
         |종교= [[유교]]([[성리학]]) → [[불교]]
         [[오가작통법]]과 [[면리제]](面里制)를 창시한 인물이며, 그가 만든 행정제도인 [[면리제]]는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1948년]]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한말의 [[불교]][[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은 그의 친아우인 [[한명진 (1426년)|한명진]]의 후손이었다.
         ** 동생: [[한명진 (1426년)|서원군 한명진]](西原君 韓明溍) - [[불교]]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인 만해 [[한용운]]의 선조
         [[분류:1415년 태어남]][[분류:1487년 죽음]][[분류:종묘배향공신]][[분류:사상가]][[분류:음서]][[분류:조선의 군인]][[분류:조선의 문신]][[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작가]][[분류:육군 군인]][[분류:한명회| ]][[분류:신숙주]][[분류:정난공신]][[분류:좌익공신]][[분류:익대공신]][[분류:좌리공신]][[분류:조선의 부원군]][[분류:병사한 사람]][[분류:부관참시된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분류:한국의 장군]][[분류:조선 세조]][[분류:훈구파]][[분류:영의정]][[분류: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대량 살인자]]
  • 현아 . . . . 4회 일치
         == 음반 목록 ==<!--음반 목록 문서가 있으므로 EP, 정규 음반만 적습니다.-->
         {{본문|현아의 음반 목록}}
         == 수상 및 후보 목록 ==
  • 홍주찬 . . . . 4회 일치
         == 음반 목록 ==
         {{참고|골든차일드의 음반 목록|설명=골든차일드 그룹으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 음반 외 활동 목록 ==
         {{참고|골든차일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설명=골든차일드 그룹으로 참여한 음반 외 활동에 대해서는}}
  • COCOM . . . . 3회 일치
         [[아이슬랜드]]를 제외한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 15개국이 참가했으며, [[일본]]과 [[호주]]가 이에 추가되었다. COCOM위원회에서는 참가국들에 [[소련]]과 공산권 국가 및 공산권 지역에 대하여 전략 물자 수출 기준을 제시하였고, 참가국들은 이에 따라야 했다. 구체적인 목록은 1988년 까지 비공개였다.
         1948년 [[미국]]은 공산권 봉쇄를 위하여 금수품 목록을 발표하는 등 수출 통제 정책을 시작했으며, 이를 북대서양 조약기구 전체로 확대하려 했다. 북대서양 조약기구 회원국들과 논의를 거쳐서 1949년 11월에 출범하게 된다. 1957년에는 대 중국 수출 위원회를 흡수했다.
         1960년대 이후로 COCOM 목록은 완화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등의 위기가 닥치면 강화되었다.
  • DQN 보복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넷 왕자 넷 용어사전 : http://netyougo.com/2ch/10422.html
  • U턴 취직 . . . . 3회 일치
         [[일본]]의 취업용어.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가키 . . . . 3회 일치
          * [[불교]]의 [[아귀]].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갸루 . . . . 3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코갸루(コギャル), 마고갸루(マゴギャル) : 1990년대 중반-말엽까지 쓰이던 단어. 코갸루는 갸루패션을 하는 여고생, 마고갸루는 역시 갸루패션을 하는 여중생이다. 여담으로 코는 아이, 마고는 손자를 뜻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사장된 용어이다. 다만 해외에서는 Kogal이라는 용어가 아직 쓰인다.
  • 경순왕 . . . . 3회 일치
         |종교 = [[불교]]
         [[분류:생년 미상|경순왕]][[분류:978년 죽음|경순왕]][[분류:신라의 왕|경순왕]][[분류:고려의 귀족|경순왕]][[분류:고려의 문신]][[분류:불교도 군주|김부]][[분류:고려의 정치인]][[분류:경주 김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고려 태조]][[분류:고려의 불교 신자]]
  • 골든 위크 . . . . 3회 일치
         골든 위크라는 이름은 이 시기에 "자유학교"라는 영화를 개봉하고 흥행이 정월, 오봉 연휴 이상으로 대성공한 것을 기념하여, 다수의 관객 동원을 목적으로 영화사 다이에이(大映)가 1952년 무렵에 만든 선전 용어였다. 이 용어가 각계에 퍼지게 되었다. 일부 언론사에서는 선전 용어라는 이유로 골든 위크라는 표현은 쓰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 광언 . . . . 3회 일치
          * 광언기어(狂言綺語) : [[불교]] 계에서 흥미위주로 과장하는 문학을 이치에 맞지 않다고 비난하는 표현.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그랜드슬램 . . . . 3회 일치
         어원을 찾아보면 브릿지 게임에서 비롯되었다. 승리를 얻을 수 있는 수를 얼마나 많이 구사했느냐에 따라 슬램이라고 부르던 것이 특정한 수를 12가지 쓰면 "스몰 슬램", 13가지 모두를 다 구사하면 그랜드슬램이라 부르던 것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용어가 테니스, 골프 등의 타 종목으로 퍼지면서 난이도가 높은 업적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이 기준을 달성한 대상에게 부여하는 칭호가 그랜드슬램이 되었다.
         ## 용어의 변천사.
          * 축구 : 축구에 한정하여 쓰이는 그랜드슬램이라는 용어는 특정 팀이 거둔 업적을 평가하는게 아니라 특이하게 [[FIFA]] 주관대회를 얼마나 많이 개최하였느냐에 따라 다르다. 여기에 해당하는 대회는 월드컵, 컨페더레이션스컵, U-20 월드컵, U-17 월드컵이 여기에 해당된다.
  • 김광석 . . . . 3회 일치
         1996년 1월 6일 새벽 자택에서 전깃줄로 목 매 죽은 채 발견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가수金光石 숨져|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0700209130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1-07&officeId=00020&pageNo=30&printNo=23074&publishType=00010|출판사=동아일보|쪽=30|날짜=1996-01-07|확인날짜=2013-08-20}}</ref> 향년 31세. 자살로 알려졌다. 시신을 화장한 후 [[사리]] 9과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사리 나온 가수 김광석 불교신행 화제|url=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1140020912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1-14&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081&publishType=00010|출판사=동아일보|저자=허엽 기자|쪽=22|날짜=1996-01-14|확인날짜=2011-02-13}}(PC 버전)</ref> 유족으로는 부인(4년 연하녀 서해순, 1990년 결혼)과 딸(김서연), 어머니(이달지), 큰누나(김광나), 둘째형(김광복), 작은누나(김광득)이 있는데 큰형(김광동)은 김광석이 군 입대 도중 세상을 떠났으며 아버지(김수영)는 2004년 별세했다. 딸 김서연은 1991년에 태어났고 [[자폐성 장애]]를 앓고 있었는데 2007년 사망한 사실이 2017년 9월 뒤늦게 밝혀졌다.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의 2016년 1월 23일, 1월 30일 방송분에서 김광석 20주기를 맞아 다시 김광석 편을 하였다.
         * [[1991년]] ~ [[1995년]] [[불교방송]] 《[[밤의 창가에서]]》 DJ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하모니카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통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의문사한 사람]]
  • 김병윤 . . . . 3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포항 동지교육재단 설립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일우(日字)이다.
  • 김윤아(1974) . . . . 3회 일치
         == [[자우림/음반 목록|디스코그라피]] ==
          자우림 활동은 [[자우림/음반 목록]]을 참조.
         [include(틀:김윤아/음반 목록)]
  • 김혜옥 . . . . 3회 일치
          | 종교 = [[불교]]
         * [[2006년]] [[불교방송]] 라디오 "아름다운 초대 11時' 진행중.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낚은 물고기에게는 먹이를 주지 않는다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관용어]] [[분류:일본어]]
  • 눈에서 비늘이 떨어진다 . . . . 3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일본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관용어이다보니, 일본에서 써진 창작물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주 쓰인다. 하지만 한국에선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역자의 주석이 따로 달려있지 않은 [[라이트 노벨]]이나 설명 자체가 배제될 가능성이 높은 [[애니메이션]]을 접할 때는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어 어리둥절하는 경우가 많다.
         [[분류:관용어]] [[분류:일본어]] [[분류:성경유래 관용구]]
  • 다크 유니버스 . . . . 3회 일치
         == 목록 ==
          * 본 게시물은 정식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 '유니버설 몬스터즈(Universal Monsters)'라 표기되었다. 영문 위키에서도 마찬가지라서 유니버설 픽처스의 괴물 영화 목록 페이지인 유니버설 몬스터즈에도 링크되어있다. 정식 명칭 공개 후에는 별도의 명칭을 가지게 되었으며 물론 영문 위키의 유니버설 몬스터즈 항목에서도 다크 유니버스를 찾을 수 있다.
          * 관련 영상을 보면 투명인간과 오페라의 유령의 팬텀도 등장하는 듯 하다. 그리고 예정 목록을 보면 노틀담의 꼽추인 콰지모도도 예정된 듯. 그런데 이상한 것이 투명인간이야 그렇다 해도 팬텀과 콰지모도는 괴물이 아니라 인간이다.(...) 물론 시점을 괴물영화보다 고전 호러 영화에 두면 딱히 이상하진 않다만 드라큘라, 미이라 등 대표적인 캐릭터들을 생각해보면 뭔가 안맞는 느낌도 있다.
  • 당질 . . . . 3회 일치
         2ch 용어. [[통합실조증]]의 은어. 통합실조증이 줄임말인 '통실'과 일본어 발음이 같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앙(웃음)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넷 용어사전
  • 마더콘 . . . . 3회 일치
         처음 나타난 것은 명확하지 않지만, 1965년대에 이미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었다고 한다. 1973년에 현대 용어 기초 지식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어머니 애착증"이라고 밖에 언급되저 잇지 않다. 1970년의 하세가와 마치코(長谷川町子, 사자에상의 작가)의 4컷 만화에서는 효도를 하는 것이 마더콘으로 여겨진다는 풍자 소재가 있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메데타시메데타시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일본어]] [분류:관용어]]
  • 멸문지화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무협 용어]]
  • 문무왕 . . . . 3회 일치
         |종교=[[불교]]
         |목록=[[신라의 역대 국왕|신라의 제30대 국왕]]
         [[분류:신라의 왕|문무왕]][[분류:신라의 군인|문무왕]][[분류:육군 장군]][[분류:신라의 작가]][[분류:신라의 외교관|김법민]][[분류:626년 태어남]][[분류:681년 죽음]][[분류:경주 김씨]][[분류:무속의 신]][[분류:한국의 장군]][[분류:불교도 군주|김법민]][[분류:병사한 사람]][[분류:영웅]][[분류:무속]][[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여당전쟁 관련자]][[분류:태종무열왕]][[분류:문무왕]]
  • 미즈코 . . . . 3회 일치
         일본 오컬트 용어. 본래는 어린 시절에 죽은 아이들의 영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1980년대 무렵부터 [[낙태]]로 죽은 아이들의 영을 가리키는 말로 바뀌게 되었다. '미즈코 공양'이라고 하여, 낙태로 죽은 아이들을 공양하는 종교단체(주로 불교사원)이 있다.
         ## 용어의 변천사.
  • 바르나바 복음서 . . . . 3회 일치
         [[바르나바]]([[바나바]])가 썻다고 하는 [[복음서]]. 초창기 기독교의 [[위경]] 목록에 바르나바 복음서라는 목록이 발견되며,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로 된 사본이 현존하며, [[아람어]]로 된 사본이 2010년대에 [[터키]]에서 발견되었다. 하지만 현존하는 사본과 고대 목록에 언급되는 바르나바 복음서가 같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을 알 수 없는 바르나바 복음서를 제외하고, 현존하는 바르나바 복음서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 박근혜 . . . . 3회 일치
         2017년 3월 10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 소추안을 인용]]하면서 박근혜는 대통령직에서 파면,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ref>{{웹 인용|url=https://www.ccourt.go.kr/cckhome/kor/event/adjuList.do|제목=선고목록 및 결정문 - 헌법재판소|확인날짜=2018-12-13}}</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56&aid=0010429073|제목=[영상]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3-10}}</ref> 탄핵 후에는 곧바로 3월 21일 검찰에 소환되어 대한민국의 전직 대통령 중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에 이어 네 번째로 검찰 수사를 받았고,<ref>{{뉴스 인용 |title=[박근혜 검찰 출석] 최순실 ‘곰탕’·이재용 ‘자장면’…박근혜는? 미리 준비한 ‘도시락’ |url=http://news.donga.com/3/all/20170321/83428508/2 |work=동아일보 |date=2017-03-21 |accessdate=2017-05-18}}</ref> 3월 31일에는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서울구치소]]에 수감되면서 전두환, 노태우에 이어 세 번째로 구속된 전직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title='최순실 국정농단 공범' 박근혜 구속…"혐의소명·증거인멸"(종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30/0200000000AKR20170330171251004.HTML |work=연합뉴스 |date=2017-03-31}}</ref> 구속된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진행하던 중에 2017년 10월 16일 6개월인 1심 구속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검사가 앞선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않은 뇌물 공소사실에 대하여 다시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구속기간이 최대 6개월 연장되었다. 이에 대하여 박 전 대통령 측은 반발하였고 모든 변호인단이 사임하였다.<ref>[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710171022138598395_1
         {{참고|박근혜의 대통령 순방 목록}}
         {{선거기록/KR/개인|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새누리당|비례대표]] | 새누리당 | 9,129,226 표 | 42.8 | 비례대표 1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5선]] }}
  • 백남억 . . . . 3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국회의원에 다섯번 당선되었으며, 민주공화당 의장을 지냈다. 송산 [[박준규(1925)|박준규]] 전 [[국회의장]]의 자형(姉兄)이 된다. [[종교]]는 [[불교]]이다.
  • 백일섭 . . . . 3회 일치
          | 종교 = [[불교]]
         |title = 백일섭의 수상 목록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6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창극 배우]][[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수원 백씨]][[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인]]
  • 블랙기업 . . . . 3회 일치
         블랙기업은 [[일본]]에서 유래한 용어로 보통 노동환경이 보편적인 시각에서 봤을 때 명백히 나쁜 기업을 가리키는 신조어다,.--검은 조직--
         용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원래는 [[야쿠자]]들이 사회에 진출하기 위해 만든 세탁기업들을 가리키는 은어였다. 일본에서 폭력단 대책법이 1992년 제정된 이후 경찰들이 야쿠자를 잡아들이기가 쉬워지자 야쿠자들이 명목상으로는 "나 야쿠자 아니요"라고 하기 위해 야쿠자들이 차린 회사들이 우후죽순 생겨났다.[* 기존의 야쿠자 조직은 '기업' 형태가 아니라 일종의 '결사'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다나카 요시키]]가 지은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사건부]]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업 '케이텐 흥업'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되는 케이스. 이를 '프런트 기업'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야쿠자 기업을 돌려서 표현하던 것이 2000년대 들어와서는 노동환경과 관련하여 명백하게 노동기준법을 위반하는 [[불법]]을 자행하고 있거나 불법은 아닐지라도 보편적인 윤리 및 도덕적 시각으로 볼 때 저지르지 말아야 할 일들이 태연히 일어나고 있는 기업을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 비둘기가 콩알총을 맞은 것처럼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일본어]] [[분류:관용어]]
  • 사람을 죽여 보고 싶었다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관용어]] [[분류:일본어]]
  • 산마이오로시 . . . . 3회 일치
         [[일본어]] 요리용어. 생선을 손질하는 방법을 뜻한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서영춘(코미디언)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불교/인물]]
         || '''종교''' ||<(> [[불교]] ||
  • 소년보도 . . . . 3회 일치
         [[일본]]의 경찰용어. 청소년 비행 등의 문제에 사용된다. 흔히 '보도'라고 한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손해보고 이득얻다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관용어]] [[분류:일본어]]
  • 아이린(레드벨벳) . . . . 3회 일치
          *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6년 상반기#s-2.25|29회]]에서 정수리에 점이 있다고 밝혔다.
         해당 발언(레벨업프로젝트2 생방송 팬미팅)이 나올 때, 아이린은 책 제목을 말할 때도 "그... 82년생... 그거 읽었고..."라며 제목을 정확히 기억하지도 못했다. 읽었다는 다른 책들도 대다수가 베스트셀러 목록에 있는 책들로, 제목을 기억하지 못했던 주황색 표지의 책도 시/에세이 부분 베스트셀러인 '별일 아닌 것들로 별일이 됐던 어느 밤'이란 책이다. 사실상 아이린의 취미가 독서이고 과거 인터넷을 잘 보지 않는다고 밝힌 것을 감안하면 인터넷 상의 남녀갈등과는 별개로 그저 휴가를 가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들을 읽었고, '그중에 우연히' 82년생 김지영이 포함된 것이었을 뿐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것을 구실로 연예인을 비난하는 것은 그냥 생트집일 뿐이다.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7433.html|한겨레 칼럼]]에서는 페미니스트인지 아닌지는 문제의 본질이 아니라며 "남성우월주의자들에게 사이버불링을 당한 것"이라고 하였다.[* 남성우월주의자라는 단어 사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이 칼럼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문제를 일으킨 쪽은 반페미니즘측이며, 언론에서 페미니스트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사건을 보도하는 것이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 악평등 . . . . 3회 일치
         사전에도 있는 용어지만 이명과 마찬가지로 그리 자주 쓰이진 않는다. 불평등과의 차이점은 불평등은 조건을 달리 적용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반면에 악평등은 모두에게 같은 조건을 제시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적용받는 모두에게 부당한 결과를 이끌어 낼 때 쓰인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울릉군 . . . . 3회 일치
         기독교에 대한 인식이 약한 제주도 같은 사례를 제외하면 해안, 섬 지역은 선교사의 포교가 용이한 관계로 기독교의 비율이 높은 편인데 이 곳 역시 [[불교]]가 초강세인 영남권에 있음에도 유일하게 [[개신교]]의 교세가 강한 곳이기도 하다. [[포항시|포항]]이나 [[거제시|거제]] 역시 영남권에서는 [[개신교]]의 교세가 강한 편이지만, 울릉군의 개신교 강세를 따라잡을 수준이 안된다.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주민의 47%가 [[개신교]] 신자로, 33%인 [[불교]] 신자 비율을 상회한다. 물론 영남도 대도시는 [[천주교]] 및 [[개신교]] 교세가 꽤 큰 편이라 이상할 건 없다. 당장 [[부산광역시]]에는 초대형 교회도 여럿 있고 [[대구광역시]]를 관할하는 [[가톨릭]] 교구는 무려 대교구([[천주교 대구대교구]])이며 [[부산]]에서 WCC총회도 열린 것을 생각해 보면 된다.
         섬 중에서 기독교 교세가 강한 점은 역시 섬이면서 [[천주교]]가 강세인 [[백령도]]와 비슷하다. 이 백령도는 실제로 지역 유지에 해병대 6여단 소속 해군 [[군종 신부]]가 들어갈 정도이다. 단, 울릉도의 천주교 교세는 개신교와 불교에 많이 밀린다. 본당도 도동에 있는 도동성당과 북쪽 북면소재지에 있는 천부성당 2개밖에 없다. 신자는 1천여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 은지원 . . . . 3회 일치
         ||<#000000> '''{{{#FFFFFF 종교}}}''' ||<(> [[불교]] ||
         === 음반 목록 ===
         '''지금 시점에서 보면 양날의 검이 된 관계이지만 이를 엮어서 은지원을 비난하는 것은 연좌죄와 다를게 없을 뿐만 아니라 아무런 문제없이 잘나가고 있는 이사람에게는 큰 실례이자 모욕이다.'''[* '''[[박근혜|고모가]] [[범죄자/목록/대한민국|이런 사람이니]]'''...]
  • 의심암귀 . . . . 3회 일치
          * 의심(疑心)은 본래 [[불교]]의 용어로서, '불교의 진리에 의혹을 품는 마음'을 뜻했다. 육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이다.
  • 이동흡 . . . . 3회 일치
         [[경상북도]] [[대구시]]의 [[고성 이씨|고성]](固城) 집안에서 [[1951년]] [[1월 27일]] 태어나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제15회 [[사법시험 (대한민국)|사법시험]]에 합격하여 5기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친 1978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종교는 [[불교]]이다.<ref>허신열,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701495&sid=E&tid=1 박근혜 인사에 불교계 민감반응], 내일신문</ref>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고성 이씨]]
  • 이석훈 . . . . 3회 일치
         == [[SG워너비/음반 목록#s-6|음반 목록]] ==
         [[SG워너비/음반 목록#s-6|문서 참고]].
  • 이선희 . . . . 3회 일치
         [[1964년]]<ref>[https://www.leesunhee.com/sunny/contents/contents.do?cmnx=16 데이터 관련 리스트]</ref> [[대구광역시]] 에서 [[울산광역시]] 출생의 [[불교]] [[승려]]였던 아버지와 [[부산광역시]] 출생의 [[불교]] 신도였던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대전광역시]] 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고 그 후 [[광주광역시]] 와 [[인천광역시]]에서 각기각기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1969년]] 이후 [[서울특별시]]에서 줄곧 자랐다.
         == 음반 목록 ==
  • 이영은(1982) . . . . 3회 일치
          * [[배우/한국]], [[불교/인물]], [[경상북도/인물]]
         ||<:> 종교 ||<(> [[불교]] ||
         == 출연작품 목록 ==
  • 이원형(1951) . . . . 3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자는 치언(致彦), 호는 청고(靑顧)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이종배(국회의원)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bgcolor=#C9151E> '''{{{#FFFFFF 종교}}}''' ||<(> [[불교]] ||
  • 인왕 . . . . 3회 일치
         본래 고대 간다라 문명에서 [[불상]]이 처음으로 제작됐을 때, 금강역사의 원형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폴로]]에서 그 모습에서 빌려온 [[석가모니]]와 유사하게, 그리스 신화의 [[헤라클레스]]의 모습으로서 석가모니를 수호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문명이 불교와 그리스 신화를 습합하여 신앙체계를 형성했으며, 이 과정에서 헤라클레스가 금강역사가 되어 수호신으로서 불교 세계에 들어오게 되었던 것이다.
         [[분류:불교]]
  • 인왕서기 . . . . 3회 일치
         굳건하게 우뚝 버티고 선 모습을 나타내는 말이다. [[인왕]](仁王)은 [[불교]]에서 호법신(護法神) [[금강역사]]를 뜻하며, 절의 수호를 상징하여 강인한 모습으로 절 앞에 서있는 모습으로 조각상을 묘사하는 것에서 이러한 말이 나왔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임동규(정치인)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다.
  • 저변교 . . . . 3회 일치
         저변교(底辺校,ていへんこう)란, 밑바닥(底辺,저변)에 있는 학교라는 뜻이다. 본래 저변은 수학용어이지만, 속어로서 저변은 사회의 하층을 뜻한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정난정 . . . . 3회 일치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의 신임을 얻어 궁궐을 마음대로 출입하였으며, [[1553년]](명종 8) 직첩(職帖)을 받아 마침내 외명부 종1품 정경부인이 되었다. 또한 [[윤원형]]이 상소하여 적자와 서자의 신분차별을 폐지하고 서자도 벼슬길에 나설 수 있도록 하였다. 당시로서는 신분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획기적인 정책이었으며 신분제도 때문에 좌절한 사람들에게 호응을 받았다. 승려 [[보우 (조선)|보우]]를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에게 소개시켜 선종판사(禪宗判事)에 오르게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선·교(禪敎) 양종이 부활되고 도첩제도(度牒制度)가 다시 실시되는 등 한때나마 [[불교]]가 융성하기도 하였다.
         그녀는 [[보우 (조선)|보우]]를 [[문정왕후 (조선)|문정왕후]]에게 적극 추천하여 그를 총애받게 한다. 정난정은 봉은사의 승려 보우를 문정왕후에게 소개시켜 병조판서직에 오르게 하였는데, 이 때문에 일시적으로 불교가 융성하기도 했다.<ref name="park207">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207페이지</ref>
         [[분류:생년 미상]][[분류:1565년 죽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의 정치인]][[분류:윤원형]][[분류:음독 자살한 사람]][[분류:조선의 왕족]][[분류:조선의 불교 신자]][[분류:초계 정씨]]
  • 정도복 (고려) . . . . 3회 일치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공양왕 2년(1390년)에 승정원 좌승선이 되었다. 그 뒤 [[고려]]에서 상시(常侍)에 이르렀다. [[1392년]] 형 [[정도전]] 등과 함께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다. 조선이 개국 되면서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숭상하는 정책을 폈으나, 아직 초창기여서 불교를 숭상하는 구습이 그대로 성하고 있어, 선생은 유생들에게 큰형 삼봉선생이 지은 『심문·천답』과 『심기리』3편을 강석하는 등 불교의 폐단을 바로잡음에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더불어 힘썼으며,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사회 기강을 잡는데 기여하였다.
  • 조원진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대구광역시/인물)]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제19대 국회의원 목록|19]], [[제20대 국회의원|20]]||
  • 지증왕 . . . . 3회 일치
         |종교 = [[불교]]
         |목록=[[신라의 역대 국왕|신라의 제22대 국왕]]
         [[분류:신라의 왕|지증 마립간]][[분류:437년 태어남|지증 마립간]][[분류:514년 죽음|지증 마립간]][[분류:신라의 군인|지증 마립간]][[분류:마립간]][[분류:한국의 전설]][[분류:불교도 군주|김지대로]][[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지증왕| ]]
  • 창작:요괴위키 . . . . 3회 일치
         요괴위키는 온갖 사물, 용어를 '[[요괴]]'로서 소개하는 프로젝트이다.
          * 사물이나 용어를 일종의 '요괴'로 보는 관점으로 서술한다.
         == 목록 ==
  • 천상천하유아독존 . . . . 3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분류:불교 용어]]
  • 체육회계 . . . . 3회 일치
         일본의 사회 용어.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치쿠아사 . . . . 3회 일치
         축전. 일본의 주택시장 용어.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카마세이누 . . . . 3회 일치
         [[일본어]] [[투견]] 용어. 물리는 개라는 의미이다.
         ## 용어의 변천사.
          * 국내의 격투기 속어로서는 [[떡밥]]이라는 용어가 가장 비슷하다.
  • 코피페 . . . . 3회 일치
         [[일본]]의 IT용어. 「카피(コピー,'''코피''')&'''페'''이스트(ペースト)」의 줄임말. '복붙'에 해당한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키라키라 네임 . . . . 3회 일치
          * DQN네임 : DQN네임(DQNネーム, 도큥 네임)이란, 2ch 용어이다. 「DQN인 부모가 아이에게 붙일 듯한 이름・DQN인 부모가 아이에게 붙이는 이름」을 뜻한다. 「DQN」이란 「상식을 일탈한 사람・비상식적인 사람」을 뜻하므로, DQN네임은 상식에서 일탈한, 몰상식하고 기묘한 이름을 놀리는 의미로 쓰인다.
          * 키라키라 네임 : 키라키라 네임(キラキラネーム, 키라키라=반짝반짝)은 DQN네임과 같은 뜻이다. DQN네임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이름을 붙인 부모에 대한 비하적인 의미는 들어있지 않고, 특이한 이름이라는 뜻에 가깝지만 사실상 같은 의미로 쓰인다. 공공 보도에서 DQN네임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이 같은 이름을 부모를 일률적으로 DQN으로 비하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러한 대체 용어를 사용한다.
  • 키프 . . . . 3회 일치
         버블 시대에 나타난 용어 키프 군(キープ君)에서 유래한다. 어원은 영어의 Keep.
         ## 용어의 변천사.
         버블 시기에는 키프 군 이외에 비슷한 용어가 있었다.
  • 타타리 . . . . 3회 일치
         [[일본]]의 오컬트 용어. 한국에서 말하는 '탈이 난다.', '동티가 난다'와 유사하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털이 난 정도 . . . . 3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분류:일본어]] [[분류:관용어]]
  • 토탈워: 쇼군 2/가문 . . . . 3회 일치
         불교의 한 분파인 일향종을 기반으로 한 농민 반란 세력. 에치젠을 본거지를 두며 카가도 다스리고 있다. 난이도 보통. 잇코라는 별개의 불교를 믿기 때문에 종교 차이로 인한 외교 패널티를 기본적으로 퍼먹는다. 그럼에도 아네가코지와 무역 중.
         게임이 시작하기도 전부터 기독교로 개종한 가문. 가문을 선택하면 나오는 영상도 서양인과의 접촉과 그로인한 철포, 기독교의 전파를 다루고 있다. 다들 신토-불교를 믿는데 혼자 기독교를 믿기 때문에 외교에 패널티가 심하다.
  • 표창원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이 당시 나온 대중성 있는 저서로는 [[http://www.yes24.com/24/Goods/1506195?Acode=101|한국의 연쇄살인(2005年)]]이 있다. 살인 사건을 다루는 내용에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지만, 무척 흥미진진하다. 초심자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독성 좋고 간결하면서 유려한 문체[* 이는 글 쓰기, 잘 팔리는 책이 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어려운 법률 용어, 현장 용어나 한자말을 피하고 중학생 정도 학력이면 이해할수 있을만큼 정말 쉼게 썼다.] 로 한국 근 현대사에서 유명한 여러 연쇄살인 사례들을 다루었다. 단 유혈이 낭자한 당시 현장 사진이 그대로 수록되어 있고 (다행히 컬러 사진은 아니다)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가 되어 있어 19세 미만 구입 불가 딱지를 붙여놓은 곳이 많다. 경찰 출신이다 보니 비슷하게 여러 사건 사례를 자세히 다루는 법의학 책과는 다른 시각으로 글을 써서, 보기에도 신선한 것이 그의 장점이기도 하다. 그 외에는 유제설 교수와 공저한 [[http://www.yes24.com/24/goods/6103472?scode=032&OzSrank=1|한국의 CSI(2011年)]] 또한 과학 수사에 대한 교양 서적으로 읽기 매우 좋은 책이다. 그의 책은 어디까지나 교양 서적이다 전문 서적 아니다. 그렇다고 재미를 추구한 책은 아니다. 내용이 실제 살인 사례이다 보니...
  • 한운사 . . . . 3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각본가, top2=불교/인물)]
         [[대한민국]]의 [[작가]], [[방송작가]]. [[충청북도]] [[괴산군]] 출생. [[본명]]은 한간남이다. [[종교]]는 [[불교]]다. [[일제 강점기]] 시절을 살았던 사람이니만큼 징집 당해 [[학도병]]이 되었다. [[운전병]]을 거쳤으며 해방될때까지 계속 운전병을 했다. 이때의 경험이 아로운 3부작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해방 후에는 대학을 다니던 때에 방송 극작가가 되었다. '이 생명 다하도록' 아로운 3부작인 '현해탄은 알고 있다' '현해탄은 말이 없다' '승자와 패자' 등을 썼으며 이 중 현해탄은 알고 있다는 [[김기영(1919)|김기영]] 감독이 영화로 연출하기도 했고 후에 TV [[드라마]]로도 나왔다. [[빨간 마후라]]의 시나리오도 한운사가 썼다. 후엔 자전적 에세이 '구름의 역사''를 썼다.
         == 작품 목록 ==
  • 황대봉 . . . . 3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영암(嶺岩)이다.
  • 황승민 . . . . 3회 일치
          * [[정치인/목록]]. [[불교/인물]]. [[경기고등학교/졸업생]]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 흑역사 . . . . 3회 일치
         본래는 [[∀건담|턴에이 건담]]의 용어. 작중에서는 본래 인류가 과거에 반복해온 '전쟁과 파괴의 역사'를 한동안 묻어두고 있었다가 이를 공개하면서 '흑역사'라는 용어로 지칭하였다.
         ## 용어의 변천사.
  • 히토데나시 . . . . 3회 일치
          * 불교에 나오는 신족, [[긴나라]](緊那羅)를 뜻하기도 한다.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BBA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CategoryTemplate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DT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JK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LDK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TPO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Victoria II/POP . . . . 2회 일치
         POP는 국가를 이루는 사람들을 뜻한다. 게임 내 정식 용어는 인구(Population)지만 패러독스 팬덤에서는 POP라고 부른다.
          * Size(규모): 해당 지역에 있는 해당 민족, 해당 종교, 해당 직업 POP의 인구수. 위 이미지에 따르면 평양에 거주하며 대승 불교를 믿는 조선인 관료는 모두 6,003명이다.
  • WordTemplate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weeaboo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野良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가면부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강재형 (아나운서) . . . . 2회 일치
         * [[2016년]] :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 위원
         * [[2004년]]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보도용어통일심의위원회 위원
  • 개돼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건담 동물원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게스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경대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3, top1=정치인/목록, top2=법조인/목록, top3=가톨릭/인물)]
  • 고미야시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고성국 . . . . 2회 일치
         2013년부터는 여러 방송에 다수 출연해 뉴스해설, 정치평론 등을 맡았다. 이후엔 영역을 넓혔다. tvn 오마이갓의 경우 기독교, 불교, 천주교의 성직자들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이었고, tvn 빨간의자는 시사 보다는 일반적인 토크쇼에 가까웠다. 한편으로는 친박근혜에 가깝다는 논란 때문에 KBS '글로벌 대한민국', '시사 진단'의 진행자로 섭외되었다가 자진 하차하는 일도 있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28|제목=KBS, '친박평론' 고성국 MC 기용 철회 - 미디어스|언어=ko|확인날짜=2018-04-10}}</ref> 2017년 들어서는 출연하던 대부분의 방송을 그만두게 된다. 특히 고성국 라이브쇼는 [[방통심의위]]의 지적을 받고 TV조선에서 자체 폐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5916|제목=방통심의위에서 ‘변화’ 약속한 TV조선, 얼마나 변할까|성=미디어오늘|날짜=2017-03-29|뉴스=미디어오늘|언어=ko|확인날짜=2018-04-10}}</ref>
         * [[2012년]] ~ [[2013년]], [[2015년]] 10월 5일 ~ : [[불교방송]] 고성국의 아침저널 진행
  • 고양이를 덮어쓰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골 결정력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곰보도 보조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교육 마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교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구성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구성재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금일봉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김기철 . . . . 2회 일치
         * [[김(성씨)/목록]]. . 동명의 [[성우]]는 [[김기철(성우)]] 문서로.
          * [[정치인/목록]]
  • 김봉환(1921)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 김연수(작가)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작가/목록]]
         == 작품 목록 ==
  • 김영준(1941)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 김장섭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 김재엽 . . . . 2회 일치
         '''김재엽'''(金載燁, [[1964년]] [[5월 17일]] - )은 전 [[대한민국]] [[유도]] 선수이자, 현재 대학 [[교수]]이다. [[종교]]는 [[불교]]다.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김종훈 (1952년) . . . . 2회 일치
         |종교 = [[불교]]
         [[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한미자유무역협정]][[분류:SK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사외이사]]
  • 김형기 (법조인) . . . . 2회 일치
         *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11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1년 2월 4일에 문공부 종무과장으로 있으면서 해외여행의 편의, 불교계 분규 수습에 있어 선처 등을 조건으로 불교계 관계자로부터 200여만원을 받아 구속된 한영수에게 [[특가법]] 뇌물죄를 적용해 징역1년6월 집행유예3년 추징금 217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81년 2월 5일자</ref> 4월 11일에 1965년 8월 남파된 삼촌에게 포섭되어 입북하여 노동당에 입당하고 남파돼종로구청 세무과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국가기밀 수집 등으로 간첩활동을 했던 정춘상에게 사형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81년 4월 11일자</ref>
  • 김형태(정치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정치인/목록]]. [[기자(직업)/목록]]
  • 날갯죽지 조르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남능미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 [[배우/한국]], [[불교/인물]]
         종교 [[불교]]
  • 남동훈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근대5종 참가 선수]]
  • 내추럴 하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네마와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네타바라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네토라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노발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노재헌 . . . . 2회 일치
         |종교 = [[불교]] → [[개신교]]([[감리교|감리회]])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육군 소위]][[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강남대학교 교수]][[분류:수원대학교 교수]][[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감리교도]][[분류:민주자유당 당원]][[분류:경복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조지타운 대학교 동문]][[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동문]][[분류:노태우 가]][[분류:교하 노씨]]
  • 노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농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뇌가 끓고 있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니라오치 . . . . 2회 일치
         인터넷 용어이다. 니라(ニラ)는 는 니야니야(ニヤニヤ,히죽히죽, 싱글벙글)이 변형된 니라니라(ニラニラ)에서 왔다. 오치(ヲチ)는 관찰하다는 뜻인 워치(ウォッチ)에서 나온 말이다.
         ## 용어의 변천사.
  • 다이코쿠바시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단카이 쥬니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데모데모닷데 . . . . 2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넷용어 사전 사이트 넷 왕자 데모데모닷데(デモデモダッテ)
  • 도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도도부현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도부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도짓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딩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로쿠데나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롤 모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루이토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리타이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앙 . . . . 2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넷 용어사전
  • 마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마토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운팅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의 2세아 . . . . 2회 일치
         [[일본]]의 육아용어.
         ## 용어의 변천사.
  • 마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츠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카나이 요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토메 사이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마토메야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맘모스교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망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메시마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메타 발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메타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모리시오 . . . . 2회 일치
         하나는 불교, 신토에서 정화하는 의미로 소금을 사용한 데서 왔다는 것이다. 불교에서 장례식 이후 소금을 뿌리거나, 신토에서 신단에 소금을 올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 모메사 . . . . 2회 일치
         2채널 용어.
         ## 용어의 변천사.
  • 모죠 . . . . 2회 일치
         2ch 용어. 인기없는 여자(もてない女)를 뜻한다.
         ## 용어의 변천사.
  • 무라하치부 . . . . 2회 일치
         현재는 방송자숙 용어가 되어 있다. 일본의 [[흑역사]].
         무라하치부의 어원은 보통 다음과 같이 말해진다. 무라 하치부는 무라 사회에서 공동으로 하는 활동 가운데 성인식, 결혼식, 출산, 질병, 집의 신축과 개축, 수해 피해 복구, 매년의 법요(불교식 제사), 여행 등의 8가지 활동에서 따돌리며, 장례식과 소방 활동을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함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무언의 귀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무용전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무직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무치무치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무협/용어 . . . . 2회 일치
         [[무협]] 장르에는 특정한 관용구가 존재한다. 거의 무협 장르에만 쓰이는 용어로서, 한국 무협소설에서는 매우 특이한 무협소설만의 문체를 만들어낸다.
          * [[중국어]]의 영향 : 무협 장르에서 쓰이는 용어들은 때때로 중국어의 영향을 받는다. 이는 불필요한 중국어 남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 문근영 . . . . 2회 일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불교/인물)]
         ||<#f08080><:> {{{#ffffff '''종교'''}}} ||<(><#ffe4e1> [[불교]] ||
  • 민폐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바-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바루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박두을 . . . . 2회 일치
         |종교 = [[원불교]]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2000년 죽음]][[분류:이병철]][[분류:삼성가]][[분류:순천 박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재홍(1941)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개종/인물]]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으나, [[개종]]해서 [[개신교]]이다.
  • 반면교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반하면 패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배빵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버리는 대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버리는 신 있으면 줍는 신도 있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버블 시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법 없이도 사는 사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베타보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보테바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봉준호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title = 봉준호의 수상 목록
  • 부사이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분류:3월의 라이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Europa Universalis 4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K리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NTX 공동창작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TV 프로그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Victoria II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동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조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가상의 지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건담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관련 정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게임 장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격투기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고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고전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곤충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관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괴롭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교통수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군함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2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그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념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기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논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도시전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독일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동음이의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드래곤 퀘스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랑그릿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러브라이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로마 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마블 퍼즐퀘스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만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만화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망한 나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명탐정 코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모발 기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모에요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무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문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 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미분류 . . . . 2회 일치
         어느 분류에 넣어야 할지 모르겠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민족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바키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범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보드게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보쿠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부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북두의 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불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불교 용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브로포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랙 클로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리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블리치 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비속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사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살인사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삼국시대 배경 창작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삼국시대의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존주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생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서든어택 2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소련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 히어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걸(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슈퍼마켓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틸오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페인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페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스포츠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식극의 소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식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조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체부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마성 드라큘라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악의 조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암살교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애니메이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야민정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양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어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역사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영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오스트리아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오컬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괴위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요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피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피스 에피소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원한해결사무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웹사이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위저드리 시리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위키 관련 정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유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유전질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육상선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은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은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음료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음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의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의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이노센스 투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이탈리아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인터넷 은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곱개의 대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논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드라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만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신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아이돌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여배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연예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영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전통의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 풍속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일본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잡지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장난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자제품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전쟁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절대가련 칠드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절대가련 칠드런/에피소드 . . . . 2회 일치
         [[절대가련 칠드런]]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정신질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조선 인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조선시대 소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좀비위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좀비탈출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종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주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중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지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지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직업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진격의 거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질병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총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총기난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최루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축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캐릭터 클리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커맨드 앤 컨커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컬트 종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컴퓨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클리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토리코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패션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페어리 테일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페이데이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편의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하이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학교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한국사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핫라인 마이애미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공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공폭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항법체계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분류:헌터X헌터 . . . . 2회 일치
         해당 분류에 속하는 페이지 목록 및 하위 분류 목록입니다.
  • 불단 . . . . 2회 일치
         불단은 일본의 풍속으로, 일본 [[불교]]에서 가정에 두는 예배 기구이다. 일종의 ‘가정에 배치된 작은 사원’같은 위치이다. 고인을 추모하는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불단을 설치하여 불상, 위폐 등이 놓여 있는 방을 불간(仏間)이라고 한다.
         [[분류:일본 풍속]][[분류:불교]]
  • 불임님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사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사고물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사반세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사이곳페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삼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삼일스님 . . . . 2회 일치
         삼일(三日)은 사흘이라는 뜻, 보우즈(坊主)는 [[불교]]의 [[승려]]를 뜻한다. 삼일스님은 삼일 정도 밖에 안 되는 짧은 시간만 스님을 하고 그만뒀다는 뜻으로, 어떤 것에 쉽게 질리고 오래가지 못하는 성질이나 그런 사람을 뜻하는 말이 파생되었다.
         ## 용어의 변천사.
  • 석경 . . . . 2회 일치
         돌에 새겨진 경전. 중국 문화에서 [[유교]], [[불교]], [[도교]] 등의 경전 문헌을 돌에 새겨 비석으로 만든 것이다.
         유교는 한나라 시기에 국교화 되었다. 경전의 문장을 공식화-통일화할 필요성이 있었으며, 국가교육기관인 태학에서 이를 배우게 할 목적으로서 석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를 모방하여 불교, 도교에서 석경을 건설하게 된다.
  • 선문답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성인 . . . . 2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이 4개의 교단은 각각 성인으로 인정하는 대상이 달라서 제각각 별도의 성인 목록을 가지고 있다. 정교회의 경우, 각 지역 정교회 마다 또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결과적으로 대체로 모든 교단에서 성인으로 인정받는 사람은 10명도 채 되지 않는다(…).
  • 성장이 나쁘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세금도둑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섹슈얼 해리스먼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소냐(가수) . . . . 2회 일치
         == 음반 목록 ==
         === 경연곡 목록 ===
  • 손요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손정혜 . . . . 2회 일치
          * 상위 항목 : [[법조인/목록]]
         == 출연 목록 ==
  • 손지민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쇼쿠오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수애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title = 수애의 수상 목록
  • 숙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슈가(방탄소년단) . . . . 2회 일치
         예명은 Sugar(설탕)가 아니라 '''SUGA'''가 맞다. 이 예명을 가지게 된 이유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피부가 무척 하얀 데다 웃을 때[* 웃을 때 본인 특유의 입동굴을 보인다. 이 입동굴 때문에 팬들이 팬사인회에서 아랫니를 보여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예쁘고 달콤해서 슈가라는 예명을 지었다는 것. 하지만 힙합이 너무 달콤하면 안 된다는 소리에, 'SUGAR'에서 R이 없는 그냥 'SUGA'를 선택했다 한다. 힙합 용어에서 '슈가'는 '중독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다른 하나는 학창 시절에 농구부에서 [[슈팅 가드]]를 맡았던 것에서 모티브를 따 줄임말인 '''슈가'''를 선택했다는 것. 모 인터뷰에서는 복싱이 터프하지만 정교한 기술이 필요해 'sweet science'로 불리는 것에서 영감을 얻어, 처음에는 스윗해 보이지만 음악적으로 시니컬한 면이 있어 이런 이중적인 면모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슈가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또한 믹스테이프인 'Agust D' 뮤직비디오를 볼 때, 소속사에서 공식적으로 올려 준 영어 자막을 틀고 보면 '성공'을 'sugar'라는 단어로 번역해 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난 '''성공'''과 거리가 먼 형들 사이 눈엣가시네 -> I'm a pain in yo' ass too far from the '''sugar'''. 성공을 통해 맛볼 수 있는 달콤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듯하다.] 예명의 본래 뜻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데 반해 본인은 별 신경을 쓰지 않는 듯하다. 매번 예명의 뜻을 설명할 때마다 이유가 달라진다. 때문에 최근에는 뭐 이젠 그런 게 중요한가 싶기도 하고요... 하고 답하기도 하였다.
         평소 '~슙' 이라는 말 습관이 있다. 일종의 의문문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공식 트위터 말투뿐만 아니라 팬들이 지어주는 여러 애칭과 자막에 '슙' 자가 종종 들어가는 것이 특징. 이 중 '슙기력'은 '슙'과 '무기력'이 합쳐진 용어로,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고 누워있는 것을 좋아하는 그의 무기력한 모습을 빗댄 말이다. 또한 평소 '씁'에 가까운 정체 모를 언어를 매우 자주 사용한다. 이 역시 의문문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https://youtu.be/JcYjKdZUFJs|여기서 들어볼 수 있다.]]
  • 스님 미우면 가사까지 밉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스베리토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스이츠 . . . . 2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동인용어의 기초지식
  • 스피커 아줌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시간이 약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시골에 들어오면 시골에 따라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아귀 . . . . 2회 일치
         [[인도 신화]], [[불교]]에서 유래한 요괴. 본래 조상의 영을 뜻하였으나, 점차 굶주린 귀신으로 이미지가 바뀌었다.
         프레타(Preta)는 본래 [[베다 시대]]의 [[리그 베다]] 등의 경전에서는 [[하늘]]에 거주하는 조상의 영혼으로 여겨졌다. 이는 저승의 신 [[야마]] 역시 비슷하여, 하늘에 살면서 조상의 영혼들을 다스리는 것으로 여겨졌다. 인과응보와 업보 사상이 발전하면서 이들은 업보를 받아 괴롭게 사는 죽은 자의 영혼으로 여겨져서, 불교 육도의 하나로서 지하세계에 해당하는 [[아귀도]]에 사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 아소비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아스팔트 우파 . . . . 2회 일치
         정치(?) 용어. 2010년대 대한민국 재야 정치단체(?)에서 나타난 용어이다.
  • 아웃 오브 안중 . . . . 2회 일치
         기원을 따져보면 원래는 1980년대 일본에서 쓰던 대학생들의 속어에서 비롯된다. 논할 가치가 없다는 ろんがい(=논외)를 보다 강조해서 말하기 위해 영어와 섞어 쓴 게 그 시초다. 하지만 워낙에 일부에서만 사용하던 용어였기 때문에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사실상 사어가 되었는데... 이걸 [[시게노 슈이치]]가 연재했던 [[만화]] [[이니셜 D]]의 애니메이션 판에서 등장인물인 [[이와키 세이지]]가 쓰면서 재조명 된다.
         ## 용어의 변천사.
  • 아카짱가에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아타리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아토노마츠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안숙선 . . . . 2회 일치
         '''안숙선'''(安淑善, AHN Sook Sun, [[194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중요 무형 문화재 보유자|인간문화재]]이다.<ref name="doopedia">{{웹 인용|url=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2871|title=안숙선|publisher=[[두산세계대백과사전]]|accessdate=2015-05-15|language=한국어}}</ref> [[종교]]는 [[불교]]다.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남원시 출신 인물]][[분류:판소리 명창]][[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암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애처 도시락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야마토 나데시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얀데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다른 데레계 용어와 함께 발생하여, 다른 데레계가 츤데레 유행의 종료와 함께 사멸하는 가운데도 생명력을 유지했다. 어떻게 보면 츤데레보다 생명력이 질기다고 할 수 있는데, 차별화와 특이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 어쌔신 크리드 III/부가요소 . . . . 2회 일치
         밑은 해방 임무의 목록. 해당 지역의 시민들을 돕는 임무가 주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 임무의 경우에는 [[어쌔신 크리드 III/임무일람]]의 해방 임무 부분 참고.
         ==== 목록 ====
  • 역병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연령=동정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연소조 연중조 연장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열쇠아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염상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영천시 . . . . 2회 일치
         [[팔공산]]도립공원 내에 있는 [[은해사]], 거조암, 수도사 등의 [[절(불교)|절]]과 치산계곡, 임고서원, [[보현산 천문대]], 최무선 과학관, 시안미술관, 운주산 자연휴양림등이 있다.
         망정동에 있는 아이존빌스타 서쪽에는 커다란 폐교[* 건물이 보통 대학교보다 수가 적지만 그래도 지하1층, 지상4층으로 옆으로 쫙 뻗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탓에 창신아파트나 아이존빌스타가 보이는 곳에서는 서쪽에 폐교가 보인다.]가 보이는데 옛 제원예술대학건물로 자세한 내용은 [[폐건물/목록]]항목 참조.
  • 오마모리 . . . . 2회 일치
         불교 사찰, 신도 신사에서 주로 판매한다. 일본의 오마모리는 한손으로 쥘 수 있을 법한 작은 주머니 형태를 하고 있으며, 끈이 달려 있어서 상시 휴대하고 다니기 편리하다. 광의적으로는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물건을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 오봉 . . . . 2회 일치
         불교의 우란분재(盂蘭盆齋) 의 기원 설화는 이러하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목련존자는 신통력으로 자신의 어머니가 아귀도에 떨어져 굶주림에 고통 받는 것을 보고, 석가모니에게 어떻게 해면 좋은지 물엇다. 석가모니는 여러가지 음식, 과일, 초를 준비하여 스님들의 안거가 끝나는 7월 15일에 공양을 하면 아귀도에 떨어진 자들 역시 음식을 먹게 될 것이라 하였다. 그대로 행하자 목련존자의 어머니 역시 아귀도에서 구제되었다.
         백중은 중원(中元)이라고도 하는데, 음력 7월 15일이다. 도교에서 이 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중국의 민속신앙에서는 이 날은 저승의 문이 열리고 조상의 영혼이 돌아오므로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일본에도 비슷한 민속 신앙이 있다. 대개 비슷한 시기에 행사가 모여 있으므로 불교, 도교, 민속 신앙 등이 습합되어 열린다. 서양에서는 할로윈에 대응하는 것으로 본다.
  • 오스소와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오모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유우기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이다시베야 . . . . 2회 일치
         이러한 풍속 자체는 과거부터 공공연하게 있어왔지만, 용어 자체는 2012년 12월에 [[아사히 신문]]이 존재를 알리고 큰 논란이 있었다. 2013년 1월에는 [[후생노동성]]에서 퇴직 강요 문제로 조사하여 여러 대기업에서 이러한 부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용어의 변천사.
  • 오칸 아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토코노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픈 캠퍼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오헤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온나코도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와가마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우라 게시판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우라가에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우키시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운니의 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위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유곽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유사국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유토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윤상현(배우) . . . . 2회 일치
          * [[배우/한국]], [[불교/인물]]
         ||<bgcolor=#DCE4E9> '''종교''' ||<(> [[불교]] ||
  • 율령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이웃집 잔디는 푸르게 보인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이차강간 . . . . 2회 일치
         성범죄 피해자가 성범죄의 특성상, 사회적으로 입게 되는 2차적 피해를 연구하면서 나타난 용어이다.
         ## 용어의 변천사.
  • 이챠이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이희근 (1929년)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192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 공군 대장]][[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경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공군사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공군방공포병학교 동문]][[분류:공군대학교 동문]][[분류:미국 공군참모대학교 동문]][[분류:미국 국방참모대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원 동문]][[분류:전두환]][[분류:백선엽]][[분류:박정희]][[분류:정일권]][[분류:노태우]][[분류:김종필]][[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정주영]][[분류:심대평]][[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인종개량 . . . . 2회 일치
         인종개량이라는 용어의 등장은 19세기 말, 일본이다. 당시 일본인들은 서양 문명을 도입하던 시기로써, 우생학도 일본에 전해지게 되어 이것이 인종개량론이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인종개량이라는 것이 혼혈을 통한 개량은 매우 극소수의 사람이 주장하던 것이였고, 의식주 같은 환경을 개량하여 순혈의 잠재력을 최대한 키우자는게 주류고 이게 인종개량을 주장하던 사람들의 대부분 의견이었다. 근데 그래봤자 인종개량이라는거 자체가 일본에서 주류는 커녕 존재감이 크게 없었다.
         [[후쿠자와 유키치]]와 모리 아리노리는 인터넷에 잘못 알려진 것과 달리 일본인과 서양인과의 잡혼을 통한 인종개량을 주장한 적이 없다. 영문과 일어 어느쪽에서도 관련 근거를 찾을수 없다. 아마 타카하시 요시오가 후쿠자와 유키치의 제자란 점과 모리 아리노리가 극단적인 영어 공용어화를 주장했다는 점 때문에 루머가 퍼진듯하다. 단, 건강한 일본인끼리의 결혼이나 의식주의 개량을 통한 것은 주장했을 수도 있다.
  • 인축무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일즙삼채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자손사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자의식과잉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자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자택경비원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장기오 (공무원) . . . . 2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장로교|장로회]])
         [[분류:193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 육군 중장]][[분류:인동 장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하나회]][[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유교 이탈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서울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육군기계화학교 동문]][[분류:육군공병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민주자유당 당원]][[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전두환 정부의 국무위원]]
  • 장세용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include(틀:정치인/목록)]
  • 전근족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전민제 . . . . 2회 일치
          | 종교 = [[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기독교한국침례회|침례회]])
         [[분류:김종필]][[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정주영]][[분류:심대평]][[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유교 이탈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
  • 접대 . . . . 2회 일치
         본래는 [[손님]]을 맞아서 대응한다는 뜻이다. 과거에는 [[집]]에서 손님을 맡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가정 간의 일에 가까운 용어였으나, 현대에는 주로 회사나 관공서 관계에서 [[을]] 측에서 [[갑]]에 해당하는 [[높으신 분들]]에게 각종 향응을 제공한다는 뜻으로 변질되어 쓰이고 있다.
         == 관련용어 ==
  • 정광용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친박]], [[박사모]],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정치깡패]], [[범죄자/목록/한국]]
          놀랍게도 그는 과거 [[기독교]]를 비판하는 책을 쓴 적이 있다. 박사모 회장인데 왜 이런 책을 쓰냐는 질문에 그는 "나는 그동안 책을 몇 권 쓴 작가다. 박사모 회장이라는 직책과 작가라는 직업은 엄연히 구분돼야 한다. 박사모 회장으로서 이런 책을 편 것은 절대 아니다. 작가는 어떤 글이든 쓸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독교든 불교든, 종교는 진실 앞에서는 겸허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걸 아는 양반이~~ 물론 기독교에서는 난리가 났다.[[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3&oid=003&aid=0003583796|#]]
  • 정재호 (1930년) . . . . 2회 일치
         '''정재호'''(鄭在虎, [[1930년]] [[12월 18일]] [[대구광역시|대구]] ~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다. [[경향신문]] 정치부장 출신으로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에서 제9,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분류:193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동래 정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정치공학 . . . . 2회 일치
         정치학의 한 분야, 혹은 한국 정계의 관용어. 때때로 쓰이는 단어지만 그 의미가 확실하지는 않다.
         ## 용어의 변천사.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2회 일치
          * [[정치인/목록]]. [[법조인/목록]]. [[경북고등학교/동문]]
  • 조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조성모(가수) . . . . 2회 일치
         === 음반 목록 ===
         [[조성모/음반 목록]] 문서 참조.
  • 주윤발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홍콩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홍콩의 남자 가수]][[분류:홍콩의 작사가]][[분류:홍콩의 불교 신자]][[분류:중국의 반공주의자]][[분류:싱가포르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중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스코틀랜드에 거주한 중국인]][[분류:중국계 영국인]][[분류:하카계 홍콩인]][[분류:1972년 데뷔]][[분류:홍콩의 억만장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중년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지혜주머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지훈(TRCNG) . . . . 2회 일치
          * 상위 문서: [[TRCNG]], [[가수/한국]], [[대한민국 아이돌]], [[보이그룹]], [[보이그룹/목록]], [[한국 아이돌/역사]]
         ||<table align=center> 솔로 및 단독 참여음반만 기록합니다. [[TRCNG]] 멤버들과 함께 참여한 음반은 [[TRCNG/음반 목록]] 문서에 기록해주세요. ||
  • 진찰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진학교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차민수 . . . . 2회 일치
         '''차민수'''(車敏洙, Jimmy Cha, [[1951년]] [[1월 15일]] - )는 [[대한민국]] [[한국기원]] 소속 프로 [[바둑 기사]](2014년 현재 5단)이다. 프로 [[도박사]]이기도 하며 종교는 [[불교]]이다.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연안 차씨]][[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대한민국의 무술가]][[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용산고등학교 동문]][[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미국 사람]][[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미국의 포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미국의 미술가]][[분류:광운대학교 교수]][[분류:세종대학교 교수]][[분류:동국대학교 교수]][[분류:미국의 불교 신자]][[분류:더 지니어스 참가자]]
  • 참군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챈슬러 (음악가) . . . . 2회 일치
         == 작품 목록 ==
         {{참고|이단옆차기#작품 목록|설명=이단옆차기로 활동한 작품에 대해서는}}
  • 천연보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최광식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주 최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중앙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청장]][[분류: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분류: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 육군 중위]][[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최은석 (배우) . . . . 2회 일치
         |종교 = [[불교]]
         [[분류:197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추미애 . . . . 2회 일치
         ||<#1870B9> '''{{{#FFFFFF 종교}}}''' ||<(> [[불교]][* [[http://raythep.mk.co.kr/newsView.php?cc=210002&no=10928|출처]]] ||
          * 대한민국 불교계의 대원로였던 [[성철]] 스님과 대면한 적이 있다. 그것도 2번씩이나. 이게 대단한 이유가 뭔가 하면 [[성철]] 스님은 "나를 만나고 싶거든 부처님 앞에 3,000배를 하고 오라"고 시켰는데, 추미애는 실제로 3,000배를 했기 때문. 참고로 [[박정희]]도 [[해인사]]를 방문했을 때 성철 스님을 만나려고 했지만, 성철 스님이 같은 조건을 내세우는 바람에 만남을 포기했었다.
  • 츠츠모타세 . . . . 2회 일치
         무로마치 시대의 츠츠모타세(筒持たせ)에서, 츠츠(筒)는 [[통]]이라는 뜻인데, 남성기나 여성기를 뜻하는 은어라는 설도 있으나, 본래는 도박 용어로서 [[주사위]] 도박에 사용되는 통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츠츠모타세(筒持たせ) 역시 도박 용어로서, "속임수를 숨긴, 세공을 가한 통을 쓴다"는 의미였다고 여겨진다.
  • 카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카시오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카이고로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카타와 . . . . 2회 일치
         현대에는 차별 용어로 간주되어 방송 금지 용어가 되어 있다.
  • 카타카나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카타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코나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코노나가레 주의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코뮤장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코미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쿄로충 . . . . 2회 일치
         [[리얼충]]의 파생어로서 태어난 2채널 대학생활판 용어이다.
         ## 용어의 변천사.
  • 쿠챠러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키레이고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키리후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킷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타베아루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타오팡파 . . . . 2회 일치
         2ch의 몇몇 판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마더콘]]이 쓰는 말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타오팡파'라는 말을 쓰면서 남자가 목욕을 하고 나오자 마자 여자가 타월, 팬츠, 파자마를 준비해놓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남편이 등장한 사연에서, 자기 신변에 대한 일을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 용어의 변천사.
  • 타코베야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테미야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텐프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토르투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토오리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퇴계 이황 . . . . 2회 일치
         이황은 전습록(傳習錄) 등을 지어서 당대 [[명나라]]에서 유행하던 [[양명학]]을 비판하였는데, 진헌장과 왕수인(왕양명)의 심즉리(心卽理)를 비판하고, 이것이 선불교의 돈오돈수 처럼 근거없이 자의식에 빠질 우려가 높다고 보았다. 또 자신의 마음에 치우쳐서 사물의 객관적인 이치를 탐구하는 것을 간과한다고 비판했다.
         [[화담 서경덕]] 학파와 대립하였는데, 서경덕의 제자 남언경(南彦經)이 무의(無意)와 무욕(無欲)으로 담일청명(湛一淸明)에 이르고자 하였을 때, 이를 불교식 수행법이라고 비판하였다.[* 퇴계전서 중 ‘남시보에 답하다’] 올바른 [[정좌관심|정좌(靜坐)]]는 신비주의적으로 정적에 빠지는 것이 아니라, 단지 마음을 통제하는 구체적인 노력을 갖추는데 그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퇴계전서 중 ‘김돈서에 답하다’, 퇴계전서 중 ‘이굉중에 답하다’]
  • 페이데이 2/하이스트 . . . . 2회 일치
         === 일반적인 에셋과 사전계획 목록 ===
         == 하이스트 목록 ==
  • 페이데이 2/하이스트/블라드 . . . . 2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블라드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코카인을 숨긴 곳들은 다음 목록 중 하나다.
  • 페이퍼 컴퍼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편차치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포렴을 팔로 밀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포챠포챠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푼스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풍평피해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프레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피난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피너츠 모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하리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한냐 가면 . . . . 2회 일치
         한냐(般若)는 [[불교]]의 [[반야]]라는 뜻인데, 왜 원령 가면에 '반야'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는지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 몇가지 설이 있는데….
         ## 용어의 변천사.
  • 한승주 (공무원) . . . . 2회 일치
         |직책 = [[고려대학교 총장 목록|고려대학교 총장 서리]]
         |직책 = [[고려대학교 총장 목록|고려대학교 총장 서리]]
  • 할머니가 기른 아이는 세푼싸다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함구료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해외결혼식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현주엽 . . . . 2회 일치
         [[1975년]] [[7월 27일]]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의류제조업을 하는 아버지 현진구(玄晉具)와 前 국가대표 농구 선수인 어머니 홍성화(洪性華) 사이에서 슬하 3남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그의 위로는 세 살 위의 두 쌍둥이 형이 있다. 그의 본관은 [[연주 현씨|연주]](延州)이고 [[종교]]는 [[불교]]이며 신장은 195cm이고, 체중은 120kg이다.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농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 SK 나이츠 선수]][[분류:부산 KT 소닉붐 선수]][[분류:창원 LG 세이커스 선수]][[분류: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농구 참가 선수]][[분류:아시안 게임 농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농구 해설자]][[분류:연주 현씨]][[분류:서울도성초등학교 동문]][[분류:휘문중학교 동문]][[분류:휘문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호농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호사가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화이트워싱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확신범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황은진 . . . . 2회 일치
          | 종교 = [[불교]]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199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듀서]][[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195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
  • 회고록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히모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히키니트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히토모도키 . . . . 2회 일치
         [[일본]]의 [[넷 우익]]이 [[한국인]]을 '쵸우센히토모도키'라고 불렀던 [[차별용어]]에서 유래한다.
         ## 용어의 변천사.
  • 히토쯔마 . . . . 2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용어의 변천사.
  • 10-4 . . . . 1회 일치
         Ten Four. 통신 용어의 일종.
  • 3월의 라이온/에피소드 . . . . 1회 일치
         [[3월의 라이온]] 에피소드 목록
  • Crusader Kings 2/종교 . . . . 1회 일치
         === 불교(Buddhist) ===
  • DQN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DV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1회 일치
         == 이벤트 목록 ==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회 일치
         각자의 연구진은 최대 여섯가지의 전공을 가지고 있다. 각자의 기술 또한 다섯-여섯개의 전공(겹칠 수 있음)을 요구하는데, 해당 전공이 연구진이 가지고 있는 전공이라면 연구 속도가 빨라진다. 전공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 IsbnMap . . . . 1회 일치
          IsbnMap 에서 map 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 이 경우 출판년도에 따라서 옵션을 달리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ISBN 매크로를 고쳐서 (가능하다면 jpg가 없을 때 gif를 찾는 어떤 로직을 넣는 방법이 있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coding에 능력이 전혀 없는지라, 이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리적 차원에서는 이게 사용자 정신건강에 이로운 해결책이 아닐까합니다. (제 위키에서 책목록을 관리하는데 수작업으로 바꿔 줄 생각을 하니 조금 끔직합니다. - 스크립트를 돌려도 되기는 하지만 ... )
  • KY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15시즌 . . . . 1회 일치
          1. 수원 FC가 승격함으로써 [[K리그 클래식]] 사상 최초로 지역더비가 완성된 점.[* 축구역사에서 더비라는 용어는 '''지역라이벌'''을 가리키는 것이 확장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축구사에 상당한 의미를 부여한 셈]
  • MythTemplate . . . . 1회 일치
         ## == 용어 ==
  • Project:Union . . . . 1회 일치
         == 각종 용어 ==
  • RecentChangesMacro . . . . 1회 일치
         대부분의 위키위키에서 RecentChanges 문서는 위키의 가장 중심이 되는 뷰이며 위키위키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 게시판에서 게시판 목록을 보는 것과 거의 같은 기능을 담당합니다.
  • StoryTemplate . . . . 1회 일치
         ## == 용어 ==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문화 . . . . 1회 일치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하였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 . . . . 1회 일치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하였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상업 . . . . 1회 일치
         게임 용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번역하였다. 유로파 카페 한글 패치가 안되는데 어쩌라고.
  • Victoria II/상품 . . . . 1회 일치
         농부에 의해 생산된다. 생산지는 인도에 많다. [[Victoria II/기술 및 발명 목록/산업#s-6.4.1|합성 염료]] 발명을 발견했을 경우 염료 공장의 기능공이 석탄을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 くぁwせdrftgyふじこlp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강대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강호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건담 시리즈 . . . . 1회 일치
         == 목록 ==
  •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에피소드 . . . . 1회 일치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 에피소드 목록.
  • 고아성 . . . . 1회 일치
         |title = 고아성의 수상 목록
  • 고준희 . . . . 1회 일치
         == 작품 목록 ==
  • 공기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곽승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광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구성윤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구자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국가원수 . . . . 1회 일치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된다. [[대만]]은 [[총통]]이라는 용어를 쓴다.
  • 국사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권은희 (1959년) . . . . 1회 일치
         '''권은희'''(權恩嬉, [[대구광역시|대구]], [[1959년]] [[5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컴퓨터공학자이다. 정계에 진출하여 [[2012년]] [[새누리당]]으로부터 공천을 받아 대구에서 당선되어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20대 총선에는 공천을 받지 못하고 컷오프 되었으며,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20_0013969591&cID=10301&pID=10300 與권은희 무소속 출마…유승민계 두 번째 탈당] 뉴시스, 2016년 3월 20일</ref> 바른미래당 전당대회에서 6.85%를 얻어 4위 안에 들지 못했으나, 여성 몫으로 최고위원이 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917155|제목=바른미래당, 전당대회…손학규 신임 대표 선출|성=남정민|날짜=2018-09-02|뉴스=SBS NEWS}}</ref>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시리즈 . . . . 1회 일치
         == 작품 목록 ==
  • 김갑수(배우) . . . . 1회 일치
         포탈 검색 결과만을 작성한 아래 목록보다 많을 듯 하다.
  • 김대호(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만수(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김만제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문집 . . . . 1회 일치
         |제목=친일문학 작품목록
  • 김봉수(1953)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부식 . . . . 1회 일치
         [[분류:김부식| ]][[분류:1075년 태어남]][[분류:1151년 죽음]][[분류:고려의 유학자]][[분류:고려의 불교 신자]][[분류:고려의 문신]][[분류:고려의 작가]]
  • 김상조 . . . . 1회 일치
         국제노동기구에서 근무하는 이상헌 박사가 이와 관련해 용어상의 혼선이라는 글을 남겼다 [[https://www.facebook.com/sangheon.lee.549/posts/1697202560293089?pnref=story|링크]]
  • 김상중(배우) . . . . 1회 일치
          * 과거 대학교 소극장에서 유준상을 별다른 이유 없이 구타한 일이 있다. [[http://theqoo.net/square/249161400]] 자세히 설명하면 당시 유준상은 소극장 청소를 하고 있었다. 청소 중 의자에 앉아있는 김상중을 발견했고, 청소 도중이라 가벼운 목례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갑자기 김상중의 표정이 굳더니 유준상에게 오라고 손짓을 했고 가까이 가자 갑자기 폭행을 시작했다고 한다. 사건이 있은 후 유준상은 왜 자신을 때렸는지 몇차례 물어봤으나 그럴때마다 그런 적이 없다고 부인을 했다. 그러다 다른 사람들의 증언이 나오자 그제서야 사과를 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싶다/2016년 방영 목록#s-3.4|똥군기에 관련된 사고가 그것이 알고 싶다에 나올때]]마다 이 일은 더욱더 흑역사로 부각될 것이다.~~
  • 김선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성겸(탤런트) . . . . 1회 일치
         사실은 김성겸도 [[MBC 성우극회]] 출신[* [[황일청]], [[최낙천]], [[변희봉]] 등과 같은 MBC 성우극회 2기로 데뷔. 지금은 [[배우]]로 활동이 많아져서 극회 목록에는 지워져 있다.]으로, 명예 [[성우]]이기도 하다. 성우로서는 80년대 초까지 [[존 웨인]]의 전담성우로 자주 활약했다.[* 존 웨인과도 닮았다.]
  • 김숙자 (1389년) . . . . 1회 일치
         김숙자는 스승 길재의 가르침에 확신했고, 그걸 제자들에게 가르쳤다. [[김종직]]은 아버지 김숙자의 이 가르침을 평생을 두고 지켰다. 어릴 때부터 책 목록을 정해 놓고, 그 순서대로 읽는 습관을 따랐다고 한다. ‘소학’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실천 강조 학풍은 김숙자-[[김종직]]을 거쳐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될 정도로 큰 설득력을 발휘했다. 뒤에 영남사림파의 큰 학자로 드러난 [[김굉필]]은 스스로 ‘소학동자’라고 지칭하면서 30세까지 ‘소학’에만 천착했을 정도였다. [[길재]]에서 김숙자를 거쳐 [[김종직]]에 이르는 [[정주학]](程朱學)의 학통이 이렇게 시작되었다.
  • 김승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김승목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쌍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김영환(195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의사)]
  • 김우동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정재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종호(193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정치인/목록, top2=가톨릭/인물)]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1회 일치
         * 김준영의 별명 '대인배'는 2005년 11월 12일 김준영이 구룡쟁패 듀얼토너먼트 2라운드 승자전 대 [[김근백]](당시 [[삼성전자 칸]], 은퇴) 전에서 불리한 상황에서 해처리 버그(해처리로 변태하다가 취소한 상태의 저그 드론이 소실될 경우 게임 자체가 멈춰 버리는 현상)가 발생하자 재경기가 가능한 상황에서 기꺼이 패배를 인정하는 스포츠맨십을 보여 준 것에서 유래하였다. '대인배(大人輩)'라는 용어는 당시 네티즌들의 화제가 되었던 [[김성모]]의 만화 중 등장한 '소인배'와 반대의 의미를 가진 어휘로, 본래 표준어가 아니며 '輩'라는 어미가 '소인배', '무뢰배', '폭력배' 등의 단어에서 보이듯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김준영을 '대인'이라고만 칭하기도 했다.
  • 김중혁 . . . . 1회 일치
         === 작품 목록 ===
  • 김처선 . . . . 1회 일치
          * [[김(성씨)/목록]]. [[한국사 관련 정보]]
  • 김충섭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김태룡(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태환(1943)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김현정 (1979년) . . . . 1회 일치
         == 저서 및 출판 목록 ==
  • 김형인(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김혜선(배우)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배우/한국]], [[김(성씨)/목록]]
  • 나비야 꽃이야 . . . . 1회 일치
         [[분류:일본어]] [[분류:관용어]]
  • 나용찬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에피소드 목록.
  • 나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남의 집은 남의 집 우리 집은 우리 집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낭만 주먹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넷카마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노트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노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녹색 종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뇌내 꽃밭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뇌피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다마시우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다메다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다멘즈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대마신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데부센 . . . . 1회 일치
         이러한 용어는 1997년 부터 나타나게 되었다고 한다.
  • 데부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데키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도야가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독이 든 성배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랑그릿사 . . . . 1회 일치
         = 시리즈 주요 용어 =
  • 레어 . . . . 1회 일치
         [[분류:게임 용어]]
  • 령시 . . . . 1회 일치
         [[일본]] [[오컬트]] 용어의 하나. 영적인 시각을 뜻하는 말이다.
  • 로빈 . . . . 1회 일치
         == 인물 목록 ==
  • 류중일 . . . . 1회 일치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 류씨]][[분류:영덕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LG 트윈스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리스트 컷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리얼리즘 FPS . . . . 1회 일치
         == 목록 ==
  • 리얼충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마기/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마기]]의 에피소드 목록.
  • 마약 . . . . 1회 일치
         == 목록 ==
  • 마재윤 . . . . 1회 일치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아프리카TV BJ]][[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저그 선수]][[분류:CJ 엔투스의 선수]]
  • 마철준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워즘이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맥스 페인 . . . . 1회 일치
         === 등장용어 ===
  • 맥스 페인 2: 맥스페인의 몰락 . . . . 1회 일치
         === 등장용어 ===
  • 맥스 페인 시리즈 . . . . 1회 일치
         == 작품 목록 ==
  • 머가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메시아 컴플렉스 . . . . 1회 일치
         통속심리학 용어. 자신이 '구세주'([[메시아]])가 되어야 한다는 비정상적인 강박관념을 가지고, 비정상적이거나 과도한 행동을 정당화하는 사고방식이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1회 일치
         == 목록 ==
  • 멘헬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모던 워페어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모테모테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목소리가 뒤집히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몬스터 페어런트 . . . . 1회 일치
         생략해서 몬페아(モンペア ), 몬페(モンペ) 로 부른다. 헬리콥터 부모(Helicopter parent) 등의 용어와 유사하지만 "몬스터"라는 수식어에서 알 수 있듯이 공격성이 강한 단어이다.
  • 무과금 . . . . 1회 일치
         [[분류:게임 용어]]
  • 문맹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문문 . . . . 1회 일치
         == 노래방 수록 목록 ==
  • 문서사유화 . . . . 1회 일치
         옛날 [[엔하위키]]에서 특정 문서를 자기 마음에 드는 형태로만 수정되어야 한다고 철저하게 관리하는 사람을 제제하기 위하여 새롭게 만들어졌던 용어. 생각해보면 위키위키인 이상 당연한 것이다.
  • 문태준(시인, PD) . . . . 1회 일치
         [[불교방송]] PD 겸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물에 흘려보내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미래소년 코난/설정 . . . . 1회 일치
         == 용어 ==
  • 미미도시마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미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바나나 공화국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바리어프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바코드 머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박기혁 . . . . 1회 일치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KT 위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성광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기환(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보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상규(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상돈(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대한민국 국군/인물]]
  • 박성원 (소설가) . . . . 1회 일치
         * 2012년 제17회 현대불교문학상
  • 박세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 박순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승호(정치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정수(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종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주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박준규(1925)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대구광역시/인물]]
  • 박준홍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박창달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박희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배경 세계 공유 . . . . 1회 일치
         == 목록 ==
  • 배기철(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배영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백진희 . . . . 1회 일치
         |title = 백진희의 수상 목록
  • 벨트스크롤 게임 . . . . 1회 일치
         == 목록 ==
  • 변질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병 속의 악마 . . . . 1회 일치
         ## == 용어 ==
  • 보쿠걸/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보쿠걸]] 에피소드 목록
  • 부녀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부릿코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북유럽 신화 . . . . 1회 일치
         == 용어 ==
  • 브리프 팬티 . . . . 1회 일치
         남성용 속옷의 일종. 의류 용어에서, 가랑이 아래가 생략된 짧은 것을 브리프라고 하며, 특히 남성용으로 가랑이 아래 쪽이 없는 간단한 타입을 브리프스(briefs)라고 한다.
  • 블리치/에피소드 . . . . 1회 일치
         [[블리치]]의 에피소드 목록
  • 비국민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빗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사람의 소문도 칠십오일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사이마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사축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사쿠라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사회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살을 주고 뼈를 친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삿시테쨩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생령 . . . . 1회 일치
         [[일본]] [[오컬트]] 심령학계의 용어. 이키료우(いきりょう) 혹은 세이레이(せいれい) 이키스타마(いきすだま)라고 읽는다. 생령이란 살아 있는 사람의 영이다. 이와 대조하여 죽은 사람의 영을 사령(死霊)이라고 한다.
  • 생리적으로 무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서호진 . . . . 1회 일치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동문]][[분류:신목중학교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세레브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소금대응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손민수(희극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코미디언/목록]]
  • 솔롱고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송병구 . . . . 1회 일치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분류: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포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프로토스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송아영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송언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경북고등학교/동문]]
  • 송창현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top1=한화 이글스/선수목록, top2=야구 관련 인물(KBO))]
  • 슈퍼히어로 . . . . 1회 일치
         == 관련 용어 ==
  • 스네이크 . . . . 1회 일치
         동인용어 기초지식
  • 스쿨 카스트 . . . . 1회 일치
         [[일본]]의 교육현장 용어. 학교 내에서 학생들 사이에 일종의 '계층'이 갈라지는 것을 뜻한다. 학교 내에서 벌어지는 [[카스트 제도]] 같은 현상이라고 하여 '스쿨 카스트'라고 부른다. 다른 나라에도 이런 것은 있지만, 스쿨 카스트라는 명칭은 주로 일본에서 사용한다.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 . . 1회 일치
         == 게임 목록 ==
  • 스테미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시로우토 동정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시바 . . . . 1회 일치
         === 불교 ===
  • 시장경제지위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식극의 소마/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식극의 소마]] 에피소드 목록.
  • 신민아 . . . . 1회 일치
          * 2015년 10월 15일 약 7년째 꾸준히 기부를 해온 사실이 기사로 나왔다. 새터민들을 돕는 단체 및 사랑의 열매를 통한 매달 200만원, 연말에는 5천만원에서 1억정도의 액수를 기부해 왔다고 한다. 그 외에도 싱글맘들을 위해 분유를 기부하기도 하고 다문화 가정 아이들을 돕기도 하는 등 그동안 기부한 액수가 약 10억 원 정도라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78574|관련 기사]] 특히 새터민들을 돕는 행사는 몇 년전 공개 행사를 할때 참석하였는데 드라마 작가인 노희경씨와 함께 하기도 하였다. 불교 단체를 통해 기부한 적도 있는데, 재미있게도 신민아는 개신교 신자. 이따금 절에서 목격담이 있기도 하고, 오래 전 인터뷰에서 자주 가는 장소 중 하나가 봉은사라고 했던 것으로 보아 타종교에 대한 편견은 없는 모양. --드라마 고사장에서 절을 하지는 않는 정도--
  • 신성왕후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신영식(만화가) . . . . 1회 일치
          * [[만화가 및 일러스트레이터 목록/한국]]
  • 신화용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심학봉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씽(마블 코믹스) . . . . 1회 일치
         애니에서는 아동 시청자들의 대변인 역할이라서, 리드가 전문용어로 [[과학]] 이론을 얘기하면, 수전, 조니 등과 함께 "간단하게 얘기해서 그냥 ~란 거잖여"로 정리하는 역할.(…) 사실 전투기부터 우주 로켓까지 각종 기계류를 다루는 재주도 뛰어난 편이다. 그리고 리처즈 집안의 아이들을 맡아주는 [[보모]] 역할도 해주고 있다. 참고로 판타스틱 포 멤버 중 거의 유일하게 군 복무 경험도 있어서, 퓨리를 잘 알고 있으며 [[닉 퓨리]] 역시 그에게 전폭적인 신뢰를 하고 있다.[* 《[[시크릿 워]]》에 수록된 퓨리의 S.H.I.E.L.D 개인파일에 보면 그에 대한 찬사로 가득하다. 다만 '''"외모가 문제야 외모가..."'''라는 말 한마디로 마무리 지을 땐 정말 [[안습|안구에서 땀이 찬다.]] 참고로 해당 파일은 라트베리아 잠입 멤버 선별에서 여러 이유로 탈락한 사람들이 기록되어 있다. 즉, 외모가 임무의 성격과 맞지 않아서 탈락된 것.]
  • 아라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아바즈레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안기효 . . . . 1회 일치
         그 외 대표적인 별명은 하부리그의 총사령관, 혹은 지옥의 하데스. 메이저 본선에서는 큰 활약을 펼치지 못하나, 하부리그인 챌린지 리그나 듀얼 토너먼트 등에서는 못이기는 상대가 없기에 붙여진 별명. [[온게임넷]] 예선인 챌린지리그와 듀얼토너먼트에서 대 테란전 전적은 총합 25승 6패이며 상대들의 이름만 보더라도, 각 팀 주전급 이상의 테란들이다. 아래는 챌린지 및 듀얼에서 맞붙은 [[테란]] 목록.
  • 안동준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안병용(기초단체장)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안종범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앙주 제국 . . . . 1회 일치
         앙주 제국은 한 명의 군주 아래에서 통치되었으나, 각 영토의 정치나 행정은 분리되어 있었으며 그 양상은 지방에 따라서 여러모로 다르게 나타났다. 군주가 보유하고 있는 가장 높고 대표적인 지위는 '잉글랜드 왕'이었지만, 실제로 왕실에는 문화적으로 영국화된 측면은 거의 없어 여러모로 '잉글랜드 왕'이라기 보다는 '프랑스 귀족'에 가까운 모습이었다. 앙주 제국의 군주들은 왕실 용어로서 [[프랑스어]]를 썻으며, 통치시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프랑스]]에 주로 머물렀고, [[영국]]을 방문한 기간은 극히 짧은 기간에 불과했다.
  • 애로우버스 . . . . 1회 일치
         == 목록 ==
  • 야리만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야설록 . . . . 1회 일치
         * [[한국의 장르작가 목록]]
  • 얀챠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 . . . . 1회 일치
         해당 아이템의 목록은 [[어쌔신 크리드 III/아이템/대번포트 농지]] 페이지 참조.
  • 에릭 (가수) . . . . 1회 일치
         |title = 에릭의 수상 목록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 용어 ==
  • 에이스 컴뱃 제로 : 더 벨칸 워 . . . . 1회 일치
         == 용어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 . . . . 1회 일치
         == 시리즈 목록 ==
  • 여자력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역린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영국 요리 . . . . 1회 일치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오늘만 산다 . . . . 1회 일치
         [[분류:관용어]] [[분류:인터넷 은어]]
  • 오니요메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오오반후루마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오중기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오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오퍼레이션 발할라 . . . . 1회 일치
         == 요원 목록==
  • 옴 진리교 . . . . 1회 일치
         [[아사하라 쇼코]](본명 마츠모토 치즈오)를 [[교조]]로 하는 [[컬트 종교]] 집단. [[불교]]와 [[요가]]에 바탕을 둔 신흥 종교 단체로서 1984년에 활동을 시작하였다. 청년들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신도를 모았으며, 점차 급진, 과격한 교리에 몰두하게 되어 다양한 범죄 활동을 일으켰다. 1995년 아사하라 쇼코의 지시로 일으킨 [[지하철 사린 사건]]을 계기로 하여 교주 아사하라가 체포되었으며, 2000년에 [[파산]] 선고를 받았다.
  • 외척 . . . . 1회 일치
         동양사에서 '외척'이라는 용어가 나오면 대개는 '군주의 외척'을 뜻한다. 그야 일반인이나 신하의 외척이라고 해봤자 역사적으로는 별로 중요한 의미가 없으니까.
  • 우건도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우라센케 . . . . 1회 일치
         [[센노 리큐]]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마찰을 빚어 [[할복]]한 뒤, 리큐의 양자 쇼우안(少庵)은 교토에서 재흥을 허락받아 후신안(不審庵) 같은 리큐와 연고가 있는 다실을 재건했다. 또한 불교에 들어가 있던 아들 소우탄(宗旦)을 [[환속]]시켜서 가문을 이어받게 하고 다도를 보급하는 것을 맡겼다. 소우탄은 도쿠가와 가문 등에 자식들을 다두(茶頭)로서 임관시켜 가문을 부흥시켰으며, 소우탄의 자식 대에 센 가문은 셋으로 갈라진다.
  • 우찬양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우치데노코즈치 . . . . 1회 일치
         『헤이케이야기(平家物語)』에서 [[오니]]가 가진 보물의 목록에 등장한다.
  • 우치벤케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운제부인 . . . . 1회 일치
         '''운제부인'''(雲帝夫人,雲梯夫人, 생몰년 미상) 혹은 '''아루부인'''(阿婁夫人)은 [[신라]] [[남해 차차웅]]의 정비(正妃)이며, 사후 신격화되어 운제산신으로 존숭되었다. [[합천 이씨]] 족보에서 발견되어 [[경주 이씨]] 족보에 참고용으로 실린 '35대 실전세계'에 의하면, 운제부인은 [[경주 이씨]] 시조 [[이알평]]의 손자인 계림후(鷄林侯) 이타(李它)의 딸로 기록되어 있으나, 역사적 고증의 어려움과 용어의 모순 등을 이유로 공식적으로는 인정되지 않는 자료이다.
  • 울펜슈타인 : 뉴오더 . . . . 1회 일치
         == 용어 ==
  • 원피스/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원피스]] 에피소드 목록.
  • 위키 템플릿 . . . . 1회 일치
          * [[WordTemplate]] - 용어 템플릿
  • 유미(가수)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유지태 . . . . 1회 일치
         |title = 유지태의 수상 목록
  • 유한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육홍균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윤진식(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윤천주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서울대학교/총장]], [[부산대학교/주요 총장]]
  • 윤태진(아나운서)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아나운서/목록]]
  • 은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은혼]]의 에피소드 목록
  • 의적 . . . . 1회 일치
         == 의적(이라고 불리는 사람들)목록 ==
  • 이강덕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이경실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이경영(1960) . . . . 1회 일치
         더욱이 [[2014년]]에 들어서면서 어마어마한 다작을 하였다. 그 목록을 보면
  • 이근직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근택(186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기택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이동찬(기업인)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업인/목록)]
  • 이미연 (배우) . . . . 1회 일치
         |title = 이미연의 수상 목록
  • 이병석(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병욱(스트리머) . . . . 1회 일치
         '''[[골초|상당한]] [[애연가]]'''다. 그래서인지 최근 영상 목록에는 대부분 [[담배]] 리뷰 밖에 없다.
  • 이상무(만화가) . . . . 1회 일치
          * [[만화가 및 일러스트레이터 목록/한국]]
  • 이상휘 . . . . 1회 일치
          * 상위문서: [[정치인/목록]], [[친이]]
  • 이성희(배구감독)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금지어/배구]]''', '''[[흑역사/목록/배구]]'''
  • 이순재(1935년 10월) . . . . 1회 일치
         == 출연 작품 목록 ==
  • 이승엽 . . . . 1회 일치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오릭스 버펄로스 선수]][[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분류:지바 롯데 마린스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0타점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분류:한국 프로 야구 400홈런 클럽]][[분류:한국시리즈 MVP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MVP 수상자]][[분류:KBO 장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출루율상 수상자]][[분류:KBO 득점상 수상자]][[분류:KBO 안타상 수상자]][[분류:KBO 타점상 수상자]][[분류:KBO 홈런상 수상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광주 이씨]][[분류:대구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시영(배우) . . . . 1회 일치
         2016년 10월 8일 [[JTBC]]의 예능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6년 하반기#s-2.15|45회]]에서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 이영희 (1936년) . . . . 1회 일치
         [[분류:1936년 태어남]][[분류:2018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경북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성신여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이예린 (1974년)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이원재(축구선수)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이은수(육군)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법조인/목록]]
  • 이인 . . . . 1회 일치
         |직책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참의원(서울특별시 제2부)]]
  • 이인영(정치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고려대학교/출신 인물]]
  • 이정무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종근(1923)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 이준(배우) . . . . 1회 일치
         2017년 2월 18일, [[소녀시대]] [[서현(소녀시대)|서현]]과 함께 [[아는 형님]] [[아는 형님/방영 목록/2017년 상반기#s-2.7|63회]]에 출연했다.
  • 이준섭(군인,정치인)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 이중환(법조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 [[법조인/목록]]
  • 이차영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창동 . . . . 1회 일치
         |제목 = 이창동의 수상 목록
  • 이철우(1955)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철희(1964)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치인/목록)]
  • 이판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헌일 . . . . 1회 일치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6437&ipp=10000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자 목록]
  • 이현보 . . . . 1회 일치
         * 해제: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를 하는 한가한 삶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 등장하는 어부는 "가어옹(假漁翁)"으로, 실제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어부와는 성격이 다르다. "가어옹"이란 속세를 떠나 강호에서 낚시하면서 시나 읊고 술잔을 기울이던 양반을 이르는 말로, 작품에서도 실제 어부의 삶이 구체적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천심녹수(千尋錄水)", "만첩청산(萬疊靑山)"과 같이 상투적인 용어를 구사하여 관념적으로 어부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의 어부의 삶이란 곧 자연 속에서의 은둔 생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5수의 초장과 중장에서 볼 수 있듯이 세상에 대한 관심을 완전히 끊지는 못하고 있다.
  • 이혜숙(영화배우) . . . . 1회 일치
         ||<#87CEFA> '''{{{#ffffff 종교}}}''' ||<(> [[불교]] ||
  • 이홍우(1959)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이효상 . . . . 1회 일치
         |직책 = 참의원([[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경상북도 제1부]])
  • 이희승(1913)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인텔리 야쿠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일본어 단어를 찾아보기 좋은 사이트 . . . . 1회 일치
          * 넷 용어사전 http://netyougo.com/
  • 일요목수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임각수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 임윤선(법조인) . . . . 1회 일치
          * 관련 문서: [[법조인/목록]]
  • 임은정(법조인) . . . . 1회 일치
          * 상위항목 : [[법조인/목록]]
  • 임인배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장남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장성원 (배우) . . . . 1회 일치
         [[같은 묘호와 시호 목록]]
  • 장연주 . . . . 1회 일치
         == 앨범 목록 ==
  • 장용석 . . . . 1회 일치
         == 연구 및 도서 목록(선별적) ==
  • 장우수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장우혁 . . . . 1회 일치
         [[분류:H.O.T.의 일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8년 태어남]][[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힙합댄서]][[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구미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백제예술대학교 동문]]
  • 장원준 (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장씨]][[분류:2015년 WBSC 프리미어 12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경찰 야구단 선수]]
  • 장항준 . . . . 1회 일치
         === 방송 목록 ===
  • 장혁주 . . . . 1회 일치
         |제목=친일문학 작품목록
  • 전순옥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민주통합당|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 7,777,123 표 | 36.45 | 비례대표 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전태일 . . . . 1회 일치
         그의 삶은 [[1983년]] 출판된 [[조영래]] 변호사의 《[[전태일 평전|어느 청년노동자의 삶과 죽음]]》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전태일재단에서 전태일 평전이 개정판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1990년대에 전태일의 생애를 다룬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란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전태일 역을 맡은 배우 [[홍경인]]과 내레이션 역할을 맡은 배우 [[문성근]]은 이 영화에 무료로 출연하였다.<ref>[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33100209138003&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3-31&officeId=00020&pageNo=38&printNo=22812&publishType=00010 영화「전태일」주역 확정 문성근 홍경인 무료출연] [[동아일보]] 1995년 3월 31일 작성</ref> 2000년에는 전태일 30주기에 맞춰 제작된, 전태일열사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의 인터뷰를 엮은 영화 《전태일의 기억》이 개봉하였다.<ref>[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34429 씨네21-전태일의 기억]</ref> 연극으로는 자유학교 물꼬 학생들의 연극모임 '터'의 9기 학생들이 선보인 《스물 한살》이 있다.<ref>[http://www.chuntaeil.org/?c=30&p=3&uid=742 전태일 재단-[영화/다큐멘터리<nowiki>]</nowiki> 목록]</ref>
  • 전희숙 . . . . 1회 일치
         [[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신석초등학교 동문]][[분류:신수중학교 동문]][[분류:중경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절대가련 칠드런/에피소드 . . . . 1회 일치
         [[절대가련 칠드런]] 에피소드 목록
  • 정무식(정치인)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 정상희(정치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정수성 (야구인) . . . . 1회 일치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현대 유니콘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분류: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분류: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분류:초당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우리 히어로즈 선수]][[분류:히어로즈 선수]]
  • 정승화(육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군인]]. [[육군사관학교]] 5기, 최종 계급은 [[대장(계급)|대장]].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다가 후에 [[천주교]]로 [[개종]]했으며 [[세례명]]은 베드로다.
  • 정웅인 . . . . 1회 일치
         <!--딸 정세윤의 광고 출연 목록도 함께 포함합니다-->
  • 정인숙 (1945년) . . . . 1회 일치
         당시 정치 주요인사 수십여 명의 이름과 연락처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사회지도층의 부도덕성은 여론과 시민들의 질타의 대상이 되었다. 당시 세간에는 '육박전' 이란 화두가 나돌았다. 정인숙 문제 때문에 [[육영수]] 여사가 박정희 대통령에게 사실여부를 추궁했고, 이것이 부부 싸움으로 이어졌다. 박정희는 육영수에게 재떨이를 던졌는데 이것이 얼굴에 맞았고, 얼마 뒤 육영수의 눈에 푸른 멍이 든 것을 각료들과 청와대 출입 기자들이 목격했다. 이는 박정희 대통령 부부간에 대판 싸움이 벌어진 것을 회화화되어 육박전이라는 풍자용어가 확산되었다. 사건 확산과 자신이 동침한 여자와의 사이에 아이가 태어났다는 점 등 여러가지 문제로 박정희의 호출에 무릎을 꿇은 정일권은 자신은 정인숙과 사귀긴 했으나 죽이지는 않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 정진욱(코미디언)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코미디언/목록]]
  • 정칠성 . . . . 1회 일치
         10월 이춘수와 대구여자청년회 창립을 주도하고 집행위원이 되었다. 대구여자청년회의 창립은 당시 종교단체외에 여성운동을 조직적으로 하는 단체가 없던 상황에서 여성대중을 대상으로 조직을 결성한 첫 시도였다.<ref name="dispose"/> [[개신교]], [[천주교]], [[불교]] 등의 부녀단체를 탐방, 연구한 정칠성은 전국적인 여성 단체, 여성 청년 단체 조직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후 대구여자청년회 집행위원(大邱女子靑年會執行委員)이 되어 [[1925년]] [[3월]]까지 대구여청에서 활동하였다.
  • 정형돈 . . . . 1회 일치
         |title = 정형돈의 출연 활동 목록
  • 제3의 로마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제령 . . . . 1회 일치
          *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일본에서는 주로 신토의 신관이나, 불교의 승려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 조길형(1962)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조대연(1888)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종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주상욱 . . . . 1회 일치
         |title = 주상욱의 수상 목록
  • 주상철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아나운서/목록]], [[가톨릭/인물]]
  • 죽으면 부처님 . . . . 1회 일치
         [[분류:불교]][[분류:일본 풍속]]
  • 중화소바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지뢰녀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지소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진헌식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차재욱 . . . . 1회 일치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연안 차씨]][[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분류:공군 ACE의 선수]]
  • 착각남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창작:Project NA . . . . 1회 일치
         === 관련 작품 목록 ===
  • 창작:왕국 . . . . 1회 일치
         || 공용어 || 해안왕국어, 사막왕국어, 산왕국어 ||
  • 창작:좀비위키 . . . . 1회 일치
         == 용어 ==
  • 창작:좀비탈출 . . . . 1회 일치
         == 목록 ==
  • 창작:좀비탈출/요새편 . . . . 1회 일치
         내가 이 영화를 본 것은 우연히 시사회표가 들어왔고 우연히 '''같이 가고 싶은 여자'''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2시간 가량 펼쳐지는 전문용어 난무와 벌건 황무지 밖에 볼 게 없는 미장센 때문에 드물게 숙면을 취해버렸고 그 애하고 썸씽도 그날로 끝나버렸다. 이후 리들리 스콧과 맷 데이먼은 꼴도 보기 싫었고 암암리에 영화 사이트에 별점 테러를 가하는 걸로 복수했다.
  • 창작:헤이즈 . . . . 1회 일치
         == 에피소드 목록 ==
  • 채동욱 . . . . 1회 일치
         |종교 = 불교
  • 챠라남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천호진 . . . . 1회 일치
         |title = 천호진의 수상 목록
  • 체육앉기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초식계남자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최남선 . . . . 1회 일치
         1927년 계명구락부의 기관지 《[[계명]]》 제18호에 [[일연]]의 《[[삼국유사]]》 전체를 게재하게 하였다.<ref>《도쿠가와가 사랑한 책》(스토리텔링 삼국유사 1) (현암사, 2009) 24~25쪽. {{ISBN|978-89-323-1536-2}} “1927년, 계명구락부의 기관지 『계명』에다 일연(一然)의『삼국유사(三國遺事)』 를 실은 것이었다.” </ref> 같은 해 총독부가 집과 연구 비용을 지원한다고 회유하자 그해 조선사편찬위원회 촉탁을 거쳐 조선사편수회 위원이 되었다. 1932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가 되었다. 총독부의 조선사 편수회에 가담한 일로 [[이광수]]와 절교하고, [[한용운]]과 [[홍명희]] 등도 연이어 그와 결별 선언을 했다. [[한용운]]은 그의 나무 위패를 새기고 장례식을 거행하여 그를 조롱하려고 시도했다.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1회 일치
          * 상위 문서: [[정치인/목록]]
  • 최동익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민주통합당|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 7,777,123 표 | 36.45 | 비례대표 2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최만린 . . . . 1회 일치
         [[분류:193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조각가]][[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수원 최씨]][[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추계예술대학교 교수]][[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유교 이탈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정일권]][[분류:노태우]][[분류:김영삼]][[분류:이회창]][[분류:김종필]][[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정주영]][[분류:백선엽]][[분류:심대평]][[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분류:프랫 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
  • 최민환 . . . . 1회 일치
         '''{{참고|FT아일랜드#수상 내역|설명=[[FT아일랜드]] 수상 목록은}}'''
  • 최수환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1회 일치
          * 관련 항목 : [[법조인/목록]], [[우병우 사단]]
  • 최은경 (쇼트트랙 선수)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용지초등학교 동문]][[분류:목일중학교 동문]][[분류:세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최재만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최효진 (축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중동중학교 동문]][[분류:중동고등학교 동문]][[분류:아주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
  • 최희서 . . . . 1회 일치
         | 제목 = 최희서의 수상 목록
  • 추자현 . . . . 1회 일치
         |title = 추자현의 수상 목록
  • 취활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칫빠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카리아게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카맛테쨩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카타르시스 . . . . 1회 일치
         현대시사용어 : http://www.donga.com/fbin/dict?n=sisa&a=v&l=7633
  • 칸닌부쿠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캡콤 . . . . 1회 일치
         == 게임 목록 ==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 . . 1회 일치
         == 게임 목록 ==
  • 켄카킥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코토부키 퇴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 . . 1회 일치
         == 작품 목록 ==
  • 쾌락절임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쿠와바라 쿠와바라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쿨 비즈 . . . . 1회 일치
         2005년에 일본 환경성에서 일반에 응모하여 용어를 설정하고, 캠페인과 함께 공표하였다.
  • 쿼터뷰 . . . . 1회 일치
         [[분류:게임 용어]]
  • 크립토나이트 . . . . 1회 일치
         여기 있는 목록들은 모두 리부트 전의 내용으로 지금은 리부트로 중구난방인 크립토나이트들은 없어지고 '''그린 크립토나이트'''만 남았다.
  • 키모오타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타마노코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타코나구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타히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파리피포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파치카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팔푼이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페어리 테일/493화 . . . . 1회 일치
          * 왠지 스타일도 불교풍.
  • 페어리 테일/에피소드 . . . . 1회 일치
         [[페어리 테일]] 에피소드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로크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로크가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베인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에서 베인이 의뢰하는 [[페이데이 2/하이스트|하이스트]]의 목록.
  • 페이데이 2/하이스트/클래식 . . . . 1회 일치
         [[페이데이 2]]의 클래식 하이스트 목록. 전작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의 하이스트들을 페이데이 2에 맞게 리메이크한 것들이다.
  • 평론을 쉽게 쓰는 법 . . . . 1회 일치
         = 목록 =
  • 프레퍼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프리터 . . . . 1회 일치
         ## 용어의 기원, 특기해야 할 경우.
  • 플래시(DC 코믹스) . . . . 1회 일치
         == 목록 ==
  • 피수영 . . . . 1회 일치
         피수영 교수는 많은 극소·저체중 출생아(일명 '미숙아, 체중 1.5kg이 되지 않은 신생아를 이르는 용어)를 죽음의 문턱에서 살려낸 명의(名醫)로 불린다. 피 교수는 20여 년간 [[유타 대학교]] 부속병원 등 [[미국]] 내 여러 병원을 거치면서 의술을 쌓았다. 미국에서도 그의 의술은 명성이 높았다. 그가 살았던 미네소타에선 지금도 "피 박사(Dr. 피), 당신이 내 아이를 살렸어요"라고 인사를 건네는 사람들이 있다.
  • 하이큐!! . . . . 1회 일치
         == [[하이큐/에피소드|에피소드 목록]] ==
  • 하이큐/268화 . . . . 1회 일치
          여자친구 "미카"는 슬슬 배구 용어가 입에 붙어가고 있었다. 스코어는 24 대 24. 매치 포인트가 눈 앞. 미카는 아는 척을 하며 이게 "듀스"지 않냐고 말했다. 생각에 잠겨있던 다이쇼가 정신을 차리고 그렇다고 대답한다. 거기서 미카가 이어한 말은 꽤 의미심장했다.
  • 하정우(영화감독) . . . . 1회 일치
          * 2008년 개봉한 히어로 영화 [[아이언맨|아이언맨1]]에서 당시 [[만다린(마블 코믹스)|만다린]] 역에 캐스팅 제의를 받고 오디션까지 봤다고 한다. 시나리오의 변경에 따라 만다린 배역은 없었던 것이 되었고, 그 만다린 역할은 다시 부활하여 [[아이언맨 3]]에서 [[벤 킹즐리]]가 맡게 되는데… --[[맥주/목록#s-2.1|우리는 지구상 최강의 맥주 먹방을 할리우드에서 볼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런데 만다린과 관련한 새로운 [[Marvel One Shot#s-2.5|떡밥]]이 나옴에 따라 어쩌면 다시 가능성이… 생기는걸까?
  • 하주석 . . . . 1회 일치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서울강남초등학교 동문]][[분류:덕수중학교 동문]][[분류:신일고등학교 동문]][[분류:이영민 타격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상무 야구단 선수]]
  • 하쿠다 켄 . . . . 1회 일치
         * [[한국계 일본인의 목록]]
  • 하현우 . . . . 1회 일치
         [[마이 리틀 텔레비전/방영 목록/MLT-31~MLT-35]] 문서 참조.
  • 한가인 . . . . 1회 일치
         |title = 한가인의 수상 목록
  • 한교원 . . . . 1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한말숙 . . . . 1회 일치
         [[분류:1931년 태어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숙명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청주 한씨]][[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분류:현대문학상 수상자]]
  • 한무숙 . . . . 1회 일치
         [[분류:1918년 태어남]][[분류:1993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극작가]][[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삽화가]][[분류:대한민국예술원 회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주 한씨]][[분류:경남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유교 이탈자]][[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한창희(전공기업인) . . . . 1회 일치
          * [[정치인/목록]]
  • 해자를 메꾸다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행복회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허가윤 . . . . 1회 일치
         {{참고|포미닛의 음반 목록|설명= 허가윤이 포미닛 음악 그룹에서 부른 음반에 대해서는}}
  • 허건엽 . . . . 1회 일치
         [[2014년]] 2군에 2점대 후반이라는 준수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1군에 콜업되지 않아 [[안치용(야구선수)|안치용]]처럼 "불교 등의 기독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를 믿는 것은 아닌가" 하는 소리가 나왔고, 여기서 나온 별명이 '''[[석가모니|허가모니]]''', '''[[이슬람|허슬람]]'''~~허슬두가 아니다!~~ 이 있다. 다만 2군 기록 기준 30이닝을 던져 삼진(18개)보다 볼넷(22개)가 많은 점이 흠.
  • 허범산 . . . . 1회 일치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강원 FC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아산 무궁화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동명초등학교 동문]][[분류:재현중학교 동문]][[분류:재현고등학교 동문]][[분류:우석대학교 동문]]
  • 허쉬 . . . . 1회 일치
         == 제품 목록 ==
  • 현이와 덕이 . . . . 1회 일치
         == 음반 목록 ==
  • 현진건 . . . . 1회 일치
         [[1925년]] 1월, 현진건은 『개벽』에 단편 「불」을 발표하였다. 이때 그는 「시대일보」의 사회부장이 되었으나 「시대일보」가 폐간되면서 동아일보사로 전직하여야 했다. 3월 1일자 『개벽』 제57호에는 이때의 현진건의 근황에 대해 "근래에 빙허(憑虛) 군은 신문사 일도 뜻대로 되지 않으므로 더 많은 독서와 연구에 노력하겠다 한다. 늘 군은 조선의 평론계가 아무 보잘 것 없는 것을 매우 분개해서 앞으로는 논문도 쓰실 작정이라고. 고마운 일이며 즐거운 일이며 마음히 든든해지는 일이다."라고 짤막하게 소개하고 있다.<ref>「文壇雜談」 1925년 3월 1일자 『개벽』제57호.</ref> 그리고 박문서관에서 그의 중편 「지새는 안개」가 단행본으로 간행되었다. 또한 2월에 단편 「[[B사감과 러브레터]]」를 『조선문단』에 발표하고<ref>현진건이 『조선문단』에 작품을 싣기 시작한 것은 『개벽』이 점점 '계급주의 문학'을 외치는 [[카프]]에 동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부터였다는 지적이 있다.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91.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총서24.</ref>, 4월과 5월에는 수필 「목도리의 복면」과 「설 때의 유쾌와 낳을 때의 고통」을 각각 기고하였다. 7월에는 「조선문단과 나」라는 기고에서 작가는 삼삼오오 짝을 짓고 당을 나누어 서로 갈라서서 싸우는 존재가 아니라 작가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개체라는 "일인일당(一人一黨)주의'라는 용어를 써가며, 계급주의 문학을 옹호하는 카프의 주장에 맞서 내용적 가치와 계급적 가치란 별개임을 주장하였다. 또한 『조선문단』에서 만든 조선문단합평회의 정기회원으로서, 10월에는 『조선문단』 신추문예(新秋文藝)에 응모한 작품들의 심사를 맡아 처음으로 평론을 싣기도 했다.
  • 혼모노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혼활 . . . . 1회 일치
         ## 용어의 변천사.
  • 홍상수 . . . . 1회 일치
         |title = 홍상수의 수상 목록
  • 홍진기 . . . . 1회 일치
         | 배우자 || [[김윤남]] || [[1924년]] [[6월 25일]] || [[2013년]] [[6월 5일]] || [[원불교]] 원정사
  • 홍창선 . . . . 1회 일치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7대 비례대표 열린우리당|비례대표]] | 열린우리당 | 8,145,824 표 | 38.26 | 비례대표 2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 홍해성 . . . . 1회 일치
         광복 후에는 [[1950년]]에 신극협의회 초대 회장으로 피선된 것과, [[불교]] 성극을 몇 편 연출한 것 외에는 활발한 활동을 하지 않았다. [[1957년]]에 [[국립중앙극장|국립극장]]에서 《신앙과 고향》을 연출한 것이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 홍화리 . . . . 1회 일치
         [[분류:200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4년 데뷔]][[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어린이 배우]]
  •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 . . . . 1회 일치
         [[화요비]]와 [[우리 결혼했어요]]를 촬영했었다. [[화요비]]에게 지어준 별명은 다름아닌 개똥이. 장난치기 좋아하는 나쁜 남자 기믹이었으나 ~~네티즌들이 무서웠는지~~ 점점 온순해졌다. 당시 "싸가지 없다"라거나 "차갑다"라는 식의 여론이 상당한 스트레스였는지 이후에 방송에서 예능이라 그런 점이 과장됐을 뿐, 실제로 무뚝뚝하긴 하지만 나쁜 남자는 아니라며 자주 억울함을 호소한다. ~~게다가 후반에 나쁜남자 기믹을 좀 죽였더니 이번엔 전보다 재미없다며 난리~~ 결국 금방 하차했다. 가장 빨리 하차한 커플 중 하나. 현재도 [[화요비]]와는 음악적 동료이자 좋은 친구 사이를 유지 중이다. 화요비의 [[화요비/음반 목록|앨범]] 인터뷰 당시, 앨범 공개전에 미리 노래도 들려줘서 환희의 조언도 받고, 다시 우결을 해도 환희와 다시 하고 싶다는 등을 언급했었다.
  • 황병기 . . . . 1회 일치
         [[분류:1936년 태어남]][[분류:우주 황씨]][[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재동초등학교 동문]][[분류:경기중학교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국악인]][[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이화여자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예술원 회원]][[분류:단국대학교 명예박사학위 동문]][[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2018년 죽음]]
  • 황준국 . . . . 1회 일치
         |직책 = [[한영 관계#외교관 목록|주 영국 대사]]
11531의 페이지중에 966개가 발견되었습니다 (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